[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65769B1 -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암전류 차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암전류 차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769B1
KR102365769B1 KR1020140173009A KR20140173009A KR102365769B1 KR 102365769 B1 KR102365769 B1 KR 102365769B1 KR 1020140173009 A KR1020140173009 A KR 1020140173009A KR 20140173009 A KR20140173009 A KR 20140173009A KR 102365769 B1 KR102365769 B1 KR 102365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processor
driving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511A (ko
Inventor
전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769B1/ko
Priority to US14/789,363 priority patent/US9841796B2/en
Publication of KR2016006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4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4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4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4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05F1/4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semiconductor devices only being controlled rectifiers in series with th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Abstract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암전류 차단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는 전력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구동 전력의 전압을 조절하여,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전압 조절기;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 사이에 위치하여,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on-off)하는 제1 스위치; 및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암전류 차단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OFF DARK CURRENT IN BATTERY MANAGEMENT SYSTEM}
아래의 실시 예들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암전류 차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문제와 에너지 자원 문제가 점점 중요해 지면서, 전기 자동차 (Electric Vehicle)가 미래의 운송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2차 전지(cell)가 하나의 팩(pack)으로 형성된 배터리를 주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작다.
최근에는, 배터리 및 배터리를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는 프로세서; 전력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구동 전력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전압 조절기;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on-off)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파워 래치 신호(power latch signal)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제2 스위치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이 제공될 때부터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에 입력되지 않고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2 스위치에 상기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스위치가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시간 이상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파워 래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OR 게이트; 및 상기 OR 게이트 및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OR 게이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전달하는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파워 래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전달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파워 래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다이오드에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제3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2 스위치에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제공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입력받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제공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전달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는 구동 전력을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전력 제공기; 및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제공기의 상기 구동 전력의 제공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공기는, 상기 구동 전력의 전압을 상기 프로세서에 입력될 수 있는 전압으로 조절하는 전압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공기는,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파워 래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제공기가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기는, 상기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전력 제공기가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기는, 상기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파워 래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파워 래치 신호의 입력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전력 제공기가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가 장착된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입력됨에 따라 전압 조절기로부터 구동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압 조절기로부터 수신한 구동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이 제공될 때부터 상기 구동 신호의 상기 배터리 제어 장치로의 입력이 차단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에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파워 래치 신호의 상기 스위치로의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시간 이상의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제어 장치의 동작에 따른 타임 차트(time char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제어 장치(100)는 제1 스위치(110), 제2 스위치(120), 전압 조절기(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를 제어한다. 배터리는 배터리가 장착된 구동 수단(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모듈은 각각 복수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셀은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2차 전지일 수 있다. 복수의 셀의 용량 또는 전압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배터리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를 제어한다. 배터리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열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고, 복수의 배터리 모듈간의 충전 상태가 균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고,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수명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의 수명 상태(State of Health: SoH),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기능 상태(State of Function: SoF)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명 상태는 배터리의 성능이 제조 시에 비해 어느 정도 열화되었는지를 나타내고, 충전 상태는 배터리에 수용된 전하량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기능 상태는 배터리의 성능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얼마나 부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배터리 제어 장치(100)는 수명 정보, 충전 정보, 기능 정보를 전자 관리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제어 장치(1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관리 장치(EC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배터리 제어 장치(10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MCU(Micro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구동 전력을 공급받는 동안 동작을 수행하고, 구동 전력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구동 수단의 이그니션 스위치(ignition switch)가 온(on) 상태가 될 경우, 프로세서(140)는 구동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될 경우에는 구동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다.
전압 조절기(130)는 전력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구동 전력의 전압을 조절하여 프로세서(140)에 구동 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전력 공급기는 배터리 제어 장치(100)에 계속적으로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예를 들어, 납축 전지)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로 표현될 수 있다. 전력 공급기는 배터리 제어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압 조절기(130)는 전력 공급기로부터의 구동 전력의 전압을 프로세서(140)에 입력 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하고, 조절된 전압으로 구동 전력을 프로세서(1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에 0 내지 5V의 전압이 입력될 수 있고, 전력 공급기가 5V보다 큰 전압의 구동 전력을 전압 조절기(130)에 공급하는 경우, 전압 조절기(130)는 전력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구동 전력을 5V 이하의 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압 조절기(130)는 5V 이하의 전압을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 있어, 프로세서(140)에 과전압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10)는 제2 스위치(120)의 제어를 받아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130)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on-off)한다. 제1 스위치(110)는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20)는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이그니션(ignition) 스위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는 온 상태가 될 경우, 배터리 제어 장치(10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될 경우, 배터리 제어 장치(10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110)와 제2 스위치(120)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110)는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130)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스위치(120)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및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지스터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이하 BJT로 표현함),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이하 FET로 표현함) 또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이하 IGBT로 표현함)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스위치(110)는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130)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위치(120)는 구동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110)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20)가 이그니션 스위치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제2 스위치(120)는 제1 스위치(110)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1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압 조절기(130)는 프로세서(140)에 전력 공급기로부터의 구동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구동 전력을 제공받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로부터의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2 스위치(120)는 제1 스위치(11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13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130)가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전력 공급기는 구동 전력을 배터리 제어 장치(110)에 공급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제어 장치(110)에서 암전류(dark current)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암전류는 전력 공급기가 전압 조절부(130)와 상시 연결됨에 따라, 전압 조절부(130)에서 흐르는 누설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조절기(130)의 프로세서(140)로의 구동 전력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구동 전력을 제공받지 못하게 되어,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전력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프로세서(140)가 예기치 못하게 동작을 종료함으로써, 프로세서(140)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140)가 파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치(120)는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1 스위치(11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13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소정의 시간동안 프로세서(140)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종료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에 구동 전력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프로세서(140)는 동작을 안정적으로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를 안정적으로 종료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40)로의 구동 전력의 공급 차단을 소정의 시간 동안 늦추는 배터리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파워 래치(power latch)라고 나타낼 수 있다.
구동 신호가 제2 스위치(120)에 공급되지 않는 경우, 파워 래치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2 스위치(12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스위치(110)가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제어 장치(1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스위치(120)에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제공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고, 캐패시터가 제2 스위치(120)에 소정의 시간 동안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제공함에 따라, 제2 스위치(12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스위치(110)를 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이그니션 스위치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파워 래치를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서(140)에 구동 전력이 입력될 때부터 구동 신호가 프로세서(140)에 입력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2 스위치(120)에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래치 신호는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력을 갖는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파워 래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제2 스위치(120)는 제1 스위치(110)를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파워 래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 스위치(120)는 제1 스위치(11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파워 래치를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4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스위치(120)가 제1 스위치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2 스위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20)가 프로세서(14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2 스위치(120)는 제1 스위치(11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워 래치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 동안,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서(140)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파워 래치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을 프로세서(140)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시간 이상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전력 제공기(210) 및 전력 제어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제공기(210)는 배터리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구동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도 1의 프로세서(140)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는 구동 전력을 제공받는 동안 동작을 수행하고, 구동 전력을 제공받지 않는 경우,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배터리 제어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 배터리 제어 장치와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다.
전력 제공기(21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시 전력을 공급받아 프로세서에 구동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전력 제공기(210)는 구동 전력의 전압을 프로세서에 입력할 수 있는 전압으로 조절하는 전압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전압 조절기에서 조절된 전압으로 전력 제공기(210)에 구동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제공기(210)에 포함된 전압 조절기는 도 1의 전압 조절기(130)를 나타낼 수 있다.
전력 제어기(220)는 이그니션 스위치로부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구동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전력 제어기(220)는 전력 제공기(210)의 구동 전력의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기(220)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외부 전원과 전력 제공기(210)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 전원과 전력 제공기(210)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할 수 있다. 제2 스위치는 구동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치는 도 1의 제1 스위치(110)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스위치는 도 1의 제2 스위치(120)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가 포함된 구동 수단을 동작 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구동 수단의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인 동안, 이그니션 스위치는 전력 제어기(220) 또는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전력 제어기(220)는 전력 제공기(210)가 프로세서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면, 이그니션 스위치는 전력 제어기(220) 또는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로의 구동 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전력 제어기(220)는 전력 제공기(210)가 프로세서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구동 전력이 차단되어 전력 제공기(210)와 프로세서 사이에 전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가 포함된 배터리 제어장치에서 암전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는 순간에 전력 제공기(210)가 프로세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게 되면, 프로세서는 예기치 못하게 동작을 종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 관리 장치(200)는 파워 래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이그니션 스위치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파워 래치를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는 프로세서에 구동 전력이 입력될 때부터 구동 신호가 프로세서에 입력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전력 제어기(220)에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력 제어기(220)가 구동 신호가 입력받지 않더라도 파워 래치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전력 제어기(220)는 전력 제공기(210)가 프로세서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부터 프로세서가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동안, 프로세서는 처리하던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기(220)는 파워 래치 신호를 입력받지 않아도,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에 전력 제공기(210)가 프로세서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200)는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력을 제공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고, 캐패시터는 구동 신호가 전력 제어기(220)에 입력되지 않을 때, 소정의 시간 동안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제어기(220)는 소정의 시간동안 전력 제공기(210)가 프로세서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력 제공기(210)가 프로세서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300)은 배터리, 전력 공급기(310), 배터리 제어 장치(320) 및 이그니션 스위치(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는 배터리 제어 장치(320)에 계속적으로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공급기(310)는 배터리 제어 장치(320)에 DC 전력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일례로, 전력 공급기(310)는 A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310)는 외부로부터 AC 전력을 수신하고, A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C 전력을 배터리 제어 장치(3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370)는 온-오프되어 배터리 시스템(3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을 제어한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일 경우, 배터리 시스템(3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이 걸리고,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경우, 배터리 시스템(3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이 꺼질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370)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370)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는 동안 OR 게이트(351) 및 MCU(3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370)는 OR 게이트(351) 및 MCU(3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 제어 장치(320)는 FET(321), 저항기(322), 레귤레이터(330), MCU(340), OR 게이트(351) 및 BJT(352)를 포함할 수 있다.
FET(321)은 전력 공급기(310)와 레귤레이터(330)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한다. 일 실시예에서, FET(321)은 시모스(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엔모스(N-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 NMOS) 및 피모스(P-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 PMOS)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BJT(352)는 OR 게이트(351) 및 FET(321)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FET(32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에서, FET(321)은 엔모스로 표현되고, BJT(352)는 npn형으로 표현되었지만, FET(321) 및 BJT(352)가 각각 엔모스 및 npn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370)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는 동안 OR 게이트(351) 및 MCU(3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동 신호의 수신에 따라, OR 게이트(351)는 BJT(352)의 베이스에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BJT(352)의 베이스에 출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 BJT(352)가 온 상태가 되어, BJT(352)의 콜렉터는 그라운드와 동 전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ET(321)의 게이트가 그라운드와 동 전위가 됨으로써 저항기(322)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FET(321)의 소스-게이트 전압이 FET(321)의 문턱 전압보다 높아짐에 따라, FET(321)은 온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310)와 레귤레이터(3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310)와 레귤레이터(330)가 연결될 경우, 레귤레이터(330)는 전력 공급기(3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330)는 전력 공급기(310)로부터 수신한 전력의 전압을 MCU(340)에 입력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330)는 전압이 조절된 전력을 MCU(340)에 제공할 수 있다. MCU(340)는 레귤레이터(3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MCU(340)는 이그니션 스위치(3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MCU(340)는 OR 게이트(351)에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래치 신호는 파워 래치를 위해 전송되는 것으로, 구동 신호와 대응되는 전력을 가질 수 있다. OR 게이트(351)는 MCU(340)로부터 파워 래치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이미 이그니션 스위치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계속하여 BJT(352)의 베이스에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370)는 OR 게이트(351) 및 MCU(3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OR 게이트(351)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이미 MCU(340)로부터 파워 래치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므로, 계속하여 BJT(352)의 베이스에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3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MCU(340)는 처리하던 프로그램을 소정의 시간동안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부터 프로그램을 모두 종료하기까지의 시간으로 매번 MCU(340)가 설정할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MCU(340)가 처리하던 프로그램을 모두 종료한 경우, MCU(340)는 OR 게이트(351)로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구동 신호 및 파워 래치 신호를 모두 수신하지 못함에 따라, OR 게이트(351)는 BJT(352)의 베이스에 출력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BJT(352)의 베이스에 출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BJT(352)의 베이스가 오프되어, BJT(352)는 오프(또는, 컷-오프(cut-off))될 수 있다. 이 때, BJT(352)의 콜렉터는 BJT(352)의 이미터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BJT(352)의 콜렉터는 전력 공급기(310)와 동 전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ET(321)의 소스 및 게이트와 전력 공급기(310)가 동 전위가 되어, FET(321)의 소스-게이트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FET(321)은 오프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310)와 레귤레이터(330) 사이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기(3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저항기(322) 및 BJT(352)를 통하여 접지(GND)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330)와 MCU(340)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음으로써, 배터리 제어 장치(320)에는 암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4는 도 3의 배터리 제어 장치의 동작에 따른 타임 차트(time char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임 차트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타임 차트의 세로축은 동작 또는 신호의 유무를 나타낸다.
전력 공급기(310)는 시점(411)부터 계속적으로 배터리 제어 장치(32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그니션 스위치(370)는 시점(421)부터 시점(422)까지 온 상태가 되고, 시점(422)부터 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370)가 온 상태가 되는 동안, 이그니션 스위치(370)는 OR 게이트(351) 및 MCU(3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구동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OR 게이트(351)는 BJT(352)의 베이스에 출력 신호를 전송한다. 출력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BJT(352)는 시점(431)부터 온 상태가 될 수 있고, BJT(352)는 FET(321)이 온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BJT(352)에 의하여 FET(321)은 시점(441)에서 온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310)과 레귤레이터(330)를 연결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310)는 시점(451)부터 레귤레이터(33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레귤레이터(330)는 전력 공급기(310)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MCU(340)에 입력 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하여 MCU(340)에 전력을 전송한다. MCU(340)는 레귤레이터(3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시점(461)부터 구동될 수 있다. 파워 래치를 위해, MCU(340)는 파워 래치 신호를 OR 게이트(351)에 전송할 수 있다.
시점(422)에서, 이그니션 스위치(370)는 오프 상태가 되고, 이그니션 스위치(370)는 시점(422)부터 OR 게이트(351) 및 MCU(340)로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시점(422)부터 구동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에 따라, MCU(340)는 시점(481)부터 시점(482)까지 처리하던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따라서, MCU(340)가 시점(481)부터 시점(482)까지 종료를 위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MCU(34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MCU(340)의 성능이 저해되지 않을 수 있다.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 MCU(340)는 파워 래치 신호를 OR 게이트(351)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구동 신호 및 파워 래치 신호를 모두 수신하지 못함에 따라, OR 게이트(351)는 BJT(352)의 베이스에 출력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이에 따라, 시점(432)에서 BJT(352)는 오프될 수 있다. BJT(352)가 오프되면 FET(321)은 시점(442)에서 오프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310)와 레귤레이터(330) 사이의 연결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시점(452)부터 레귤레이터(330)는 MCU(34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시점(462)에서 MCU(340)는 구동을 중단한다. 레귤레이터(330)와 MCU(340)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배터리 제어 장치(320)에는 암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500)은 배터리, 전력 공급기(510), 배터리 제어 장치(520) 및 이그니션 스위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510)는 배터리 제어 장치(520)에 계속적으로 구동 전력(예를 들어, DC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을 나타낼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570)는 온-오프되어 배터리 시스템(5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일 경우, 배터리 시스템(5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이 걸리고, 이그니션 스위치는 제1 다이오드(561) 및 MCU(5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경우, 배터리 시스템(5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이 꺼지고, 이그니션 스위치는 제1 다이오드(561) 및 MCU(5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 제어 장치(520)는 FET(521), 저항기(522), 레귤레이터(530), MCU(540), 제1 다이오드(551), 제2 다이오드(552) 및 BJT(553)를 포함할 수 있다.
FET(521)은 전력 공급기(510)와 레귤레이터(530)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한다.
BJT(553)는 FET(52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도 5에서, FET(521)은 엔모스로 표현되고, BJT(553)는 npn형으로 표현되었지만, FET(521) 및 BJT(553)가 각각 엔모스 및 npn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다이오드(551)는 이그니션 스위치(5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BJT(553)에 전달하고, 제2 다이오드(552)는 MCU(540)로부터 파워 래치 신호를 입력받아 BJT(553)에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다이오드(551) 및 제2 다이오드(552)는 도 3의 OR 게이트(351)와 대응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다이오드(551) 및 제2 다이오드(552)는 정류 다이오드로 표현되었지만, 제1 다이오드(551) 및 제2 다이오드(552)가 정류 다이오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다이오드(551) 및 제2 다이오드(552)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가변 용량 다이오드(variable-capacitance diode), 배리스터 다이오드(voltage variable resistor diode), 스위칭 다이오드(switching diode),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 밴드 스위칭 다이오드(band switching diode), 터널 다이오드(tunnel diode), 임팻 다이오드(IMPATT diode), 건다이오드(gunn diode), PIN 다이오드를 나타낼 수 있다.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570)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는 동안 제1 다이오드(551) 및 MCU(5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구동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다이오드(551)는 BJT(553)의 베이스로 구동 신호를 입력한다. BJT(553)의 베이스에 구동 신호가 입력될 경우, BJT(553)가 온 상태가 되어, BJT(553)의 콜렉터는 그라운드와 동 전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ET(521)의 게이트가 그라운드와 동 전위가 됨으로써 저항기(522)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FET(521)의 소스-게이트 전압이 FET(521)의 문턱 전압보다 높아짐에 따라, FET(521)은 온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510)와 레귤레이터(5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510)와 레귤레이터(530)가 연결될 경우, 레귤레이터(530)는 전력 공급기(5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530)는 전력 공급기(510)로부터 수신한 전력의 전압을 MCU(540)에 입력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530)는 전압이 조절된 전력을 MCU(540)에 제공한다. MCU(540)는 레귤레이터(5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또한, MCU(540)는 이그니션 스위치(5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MCU(540)는 제2 다이오드(552)에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한다. 제2 다이오드(552)는 파워 래치 신호를 BJT(553)에 전달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570)는 제1 다이오드(551) 및 MCU(5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다이오드(551)는 BJT(553)에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없지만, BJT(553)는 제2 다이오드(552)로부터 파워 래치 신호를 수신하므로, BJT(553)의 콜렉터에 소정의 전압이 계속하여 발생되고, FET(521)은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5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MCU(540)는 소정의 시간동안 처리하던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MCU(540)가 처리하던 프로그램을 모두 종료한 경우, MCU(540)는 제2 다이오드(552)로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제2 다이오드(552)는 파워 래치 신호를 BJT(553)에 전달할 수 없고, BJT(553)의 베이스에 구동 신호 또는 파워 래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BJT(553)의 베이스가 오프되어, BJT(553)는 오프될 수 있다. 이 때, BJT(553)의 콜렉터는 BJT(553)의 이미터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BJT(553)의 콜렉터는 전력 공급기(510)와 동 전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ET(521)의 소스 및 게이트와 전력 공급기(510)가 동 전위가 되어, FET(521)의 소스-게이트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FET(521)은 오프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510)와 레귤레이터(530) 사이를 연결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 공급기(5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저항기(522) 및 BJT(553)를 통하여 접지(GND) 된다.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530)와 MCU(540)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배터리 제어 장치(520)에는 암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600)은 배터리, 전력 공급기(610), 배터리 제어 장치(620) 및 이그니션 스위치(6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는 배터리 제어 장치(620)에 계속적으로 구동 전력(예를 들어, DC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을 나타낼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670)는 온-오프되어 배터리 시스템(6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을 제어한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일 경우, 배터리 시스템(6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이 걸리고, 이그니션 스위치는 제1 BJT(651) 및 MCU(6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경우, 배터리 시스템(6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이 꺼지고, 이그니션 스위치는 제1 BJT(651) 및 MCU(6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배터리 제어 장치(620)는 FET(621), 제1 저항기(622), 레귤레이터(630), MCU(640), 제1 BJT(651), 제2 저항기(652), 제1 다이오드(653), 제2 다이오드(654) 및 제2 BJT(655)를 포함할 수 있다.
FET(621)은 전력 공급기(610)와 레귤레이터(630)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한다.
제1 BJT(651)는 이그니션 스위치(6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제1 다이오드(653)에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제2 BJT(655)는 FET(62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도 6에서, FET(621)은 엔모스로 표현되고, 제1 BJT(651) 및 제2 BJT(655)는 npn형으로 표현되었지만, FET(621), 제1 BJT(651) 및 제2 BJT(655)가 각각 엔모스 및 npn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다이오드(653)는 제1 BJT(651)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제2 BJT(655)에 전달하고, 제2 다이오드(654)는 MCU(640)로부터 파워 래치 신호를 입력받아 제2 BJT(655)에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다이오드(653) 및 제2 다이오드(654)는 도 3의 OR 게이트(351)와 대응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다이오드(653) 및 제2 다이오드(654)는 정류 다이오드로 표현되었지만, 제1 다이오드(653) 및 제2 다이오드(654)가 정류 다이오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670)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는 동안 제1 BJT(651) 및 MCU(6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제1 BJT(651)의 베이스에 구동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제1 BJT(651)는 온 상태가 되어, 제1 BJT(651)의 이미터로 구동 신호와 대응되는 전류를 출력한다. 제1 BJT(651)의 이미터로 출력된 전류는 제1 다이오드(653)에 입력된다. 제1 다이오드(653)는 제1 BJT(651)로부터 입력된 전류를 제2 BJT(655)에 전달한다.
제2 BJT(655)의 베이스에 전류가 입력될 경우, 제2 BJT(655)가 온 상태가 되어, 제2 BJT(655)의 콜렉터는 그라운드와 동 전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ET(621)의 게이트가 그라운드와 동 전위가 됨으로써, 제1 저항기(622)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FET(621)의 소스-게이트 전압이 FET(621)의 문턱 전압보다 높아짐에 따라, FET(621)은 온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610)와 레귤레이터(630) 사이를 연결한다.
전력 공급기(610)와 레귤레이터(630)가 연결된 경우, 레귤레이터(630)는 전력 공급기(6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한다. 레귤레이터(630)는 전력 공급기(610)로부터 수신한 전력의 전압을 MCU(640)에 입력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한다. 레귤레이터(630)는 전압이 조절된 전력을 MCU(640)에 제공할 수 있다. MCU(640)는 레귤레이터(6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또한, MCU(640)는 이그니션 스위치(6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MCU(640)는 제2 다이오드(654)에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한다. 제2 다이오드(654)는 파워 래치 신호를 제2 BJT(655)에 전달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670)는 제1 BJT(651) 및 MCU(6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BJT(651)의 베이스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제1 BJT(651)는 오프(또는, 컷-오프)되어, 제1 BJT(651)의 이미터에서 전류가 출력될 수 없다. 제1 BJT(651)의 이미터로부터 전류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제1 다이오드(653)는 제2 BJT(655)에 전류를 전송할 수 없지만, 제2 BJT(655)는 제2 다이오드(654)로부터 파워 래치 신호를 수신하므로, 제2 BJT(655)의 콜렉터에 소정의 전압이 계속하여 발생되고, FET(621)은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6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MCU(640)는 소정의 시간동안 처리하던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거나 MCU(640)가 처리하던 프로그램을 모두 종료한 경우, MCU(640)는 제2 다이오드(654)로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다이오드(654)는 파워 래치 신호를 제2 BJT(655)에 전달할 수 없고, 제2 BJT(655)의 베이스에 구동 신호 또는 파워 래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제2 BJT(655)의 베이스가 오프되어, 제2 BJT(655)는 오프될 수 있다. 이 때, 제2 BJT(655)의 콜렉터는 제2 BJT(655)의 이미터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제2 BJT(655)의 콜렉터는 전력 공급기(610)와 동 전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ET(621)의 소스 및 게이트와 전력 공급기(610)가 동 전위가 되어, FET(621)의 소스-게이트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FET(621)은 오프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610)와 레귤레이터(630) 사이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기(6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제1 저항기(622) 및 제2 BJT(655)를 통하여 접지된다.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630)와 MCU(640)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배터리 제어 장치(620)에는 암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700)은 배터리, 전력 공급기(710), 배터리 제어 장치(720) 및 이그니션 스위치(7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는 배터리 제어 장치(720)에 계속적으로 구동 전력(예를 들어, DC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을 나타낼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770)는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배터리 시스템(7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을 제어한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일 경우, 배터리 시스템(7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이 걸리고, BJT(752) 및 MCU(7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경우, 배터리 시스템(7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이 꺼지고, BJT(752) 및 MCU(7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배터리 제어 장치(720)는 FET(721), 저항기(722), 레귤레이터(730), MCU(740), 캐패시터(751) 및 BJT(752)를 포함할 수 있다.
FET(721)은 전력 공급기(310)와 레귤레이터(330)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한다.
BJT(752)는 FET(72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도 7에서, FET(721)은 엔모스로 표현되고, BJT(752)는 npn형으로 표현되었지만, FET(721) 및 BJT(752)가 각각 엔모스 및 npn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770)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는 동안 BJT(752) 및 MCU(7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구동 신호가 BJT(752)의 베이스에 입력됨에 따라, BJT(752)가 온 상태가 되어, BJT(752)의 콜렉터는 그라운드와 동 전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ET(721)의 게이트가 그라운드와 동 전위가 됨으로써 저항기(722)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FET(721)의 소스-게이트 전압이 FET(721)의 문턱 전압보다 높아짐에 따라, FET(721)은 온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710)와 레귤레이터(7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710)와 레귤레이터(730)가 연결된 경우, 레귤레이터(730)는 전력 공급기(7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한다. 레귤레이터(730)는 전력 공급기(710)로부터 수신한 전력의 전압을 MCU(740)에 입력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한다. 레귤레이터(730)는 전압이 조절된 전력을 MCU(740)에 제공한다. MCU(740)는 레귤레이터(7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또한, MCU(740)는 이그니션 스위치(7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770)는 BJT(752) 및 MCU(7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BJT(752)의 이미터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지만, 캐패시터(751)는 소정의 시간동안 BJT(752)의 이미터에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캐패시터(751)는 소정의 시간동안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BJT(752)의 콜렉터에 소정의 전압이 계속하여 발생되고, FET(721)은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CU(740)가 처리하는데 걸리는 평균적인 시간이 미리 계산될 수 있고, 캐패시터(751)는 계산된 시간에 대응하는 전력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7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MCU(740)는 소정의 시간동안 처리하던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캐패시터(751)는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BJT(752)에 전달할 수 없고, BJT(752)의 전류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BJT(752)의 베이스가 오프되어, BJT(752)는 오프될 수 있다. 이 때, BJT(752)의 콜렉터는 BJT(752)의 이미터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BJT(752)의 콜렉터는 전력 공급기(710)와 동 전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ET(721)의 소스 및 게이트와 전력 공급기(710)가 동 전위가 되어, FET(721)의 소스-게이트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FET(721)은 오프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710)와 레귤레이터(730) 사이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기(7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저항기(722) 및 BJT(752)를 통하여 접지된다.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730)와 MCU(740)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배터리 제어 장치(720)에는 암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800)은 배터리, 전력 공급기(810), 배터리 제어 장치(820) 및 이그니션 스위치(8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는 배터리 제어 장치(820)에 계속적으로 구동 전력(예를 들어, DC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을 나타낼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870)는 이그니션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배터리 시스템(8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을 제어한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일 경우, 배터리 시스템(8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이 걸리고, BJT(854) 및 MCU(8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경우, 배터리 시스템(8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시동이 꺼지고, BJT(854) 및 MCU(8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배터리 제어 장치(820)는 FET(821), 제1 저항기(822), 레귤레이터(830), MCU(840), 캐패시터(851), 다이오드(852), 제2 저항기(853) 및 BJT(854)를 포함할 수 있다.
FET(821)은 전력 공급기(310)와 레귤레이터(330)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한다.
BJT(854)는 FET(821)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도 8에서, FET(821)은 엔모스로 표현되고, BJT(854)는 npn형으로 표현되었지만, FET(821) 및 BJT(854)가 각각 엔모스 및 npn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이오드(852)는 BJT(854)와 캐패시터(851) 사이에 연결되고, 구동 신호 또는 구동 신호와 대응하는 전류를 BJT(854)에 전달한다.
제2 저항기(853)은 다이오드(852)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870)는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는 동안 다이오드(852) 및 MCU(8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다이오드(852)는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BJT(854)의 베이스에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구동 신호가 BJT(854)의 베이스에 입력됨에 따라, BJT(854)가 온 상태가 되어, BJT(854)의 콜렉터는 그라운드와 동 전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ET(821)의 게이트가 그라운드와 동 전위가 됨으로써 제1 저항기(822)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FET(821)의 소스-게이트 전압이 FET(821)의 문턱 전압보다 높아짐에 따라, FET(821)은 온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810)와 레귤레이터(8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전력 공급기(810)와 레귤레이터(830)가 연결될 경우, 레귤레이터(830)는 전력 공급기(8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830)는 전력 공급기(810)로부터 수신한 전력의 전압을 MCU(840)에 입력 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한다. 레귤레이터(830)는 전압이 조절된 전력을 MCU(840)에 제공한다. MCU(840)는 레귤레이터(8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또한, MCU(840)는 이그니션 스위치(8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이그니션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 경우, 이그니션 스위치(870)는 다이오드(852) 및 MCU(84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오드(852)는 구동 신호를 BJT(854)에 전송할 수 없다. 이 경우, 캐패시터(851)는 소정의 시간동안 다이오드(852)에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전송할 수 있고, 다이오드(852)는 입력된 전류를 BJT(854)의 베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BJT(854)의 콜렉터에 소정의 전압이 계속하여 발생되고, FET(821)은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그니션 스위치(87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MCU(840)는 처리하던 프로그램을 소정의 시간동안 종료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캐패시터(851)는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다이오드(852)에 전달할 수 없고, 다이오드(852)는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BJT(854)에 입력할 수 없다. BJT(854)의 전류가 입력되지 않음에 따라, BJT(854)의 베이스가 오프되어, BJT(854)는 오프될 수 있다. 이 때, BJT(854)의 콜렉터는 BJT(854)의 이미터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BJT(854)의 콜렉터는 전력 공급기(810)와 동 전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FET(821)의 소스 및 게이트와 전력 공급기(810)가 동 전위가 되어, FET(821)의 소스-게이트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FET(821)은 오프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기(810)와 레귤레이터(830) 사이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기(8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제1 저항기(822) 및 BJT(854)를 통하여 접지된다.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830)와 MCU(840)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배터리 제어 장치(820)에는 암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가 프로세서가 장착된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입력됨에 따라 전압 조절기로부터 구동 전력을 수신한다(910).
또한, 프로세서는 전압 조절기로부터 수신한 구동 전력을 이용하여 프로세서를 구동한다(920).
또한, 프로세서는 프로세서에 구동 전력이 제공될 때부터 구동 신호의 배터리 제어 장치로의 입력이 차단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에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한다(93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구동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프로세서는 구동 신호를 입력받는 동안 구동될 수 있고, 구동될 때부터 구동 신호의 배터리 제어 장치로의 입력이 차단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파워 래치 신호를 스위치에 전송할 수 있다. 구동 신호 또는 파워 래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동안, 스위치는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를 연결할 수 있다.
구동 신호의 배터리 제어 장치로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스위치는 구동 신호를 입력받지 못하지만, 소정의 시간동안 프로세서로부터 파워 래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는 파워 래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계속하여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를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소정의 시간 동안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는 안정적으로 종료되어, 프로세서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소정의 시간을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시간 이상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소정의 시간은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파워 래치 신호의 스위치로의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940). 파워 래치 신호가 스위치에 입력되지 않을 경우, 스위치는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오프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전압 조절기로부터 구동 전력을 수신할 수 없게 되어,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가 프로세서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스위치가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스위치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스위치는 전력 공급기와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오프하여, 프로세서가 전압 조절기로부터 구동 전력을 수신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에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4)

  1. 프로세서;
    전력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구동 전력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전압 조절기;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on-off)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OR 게이트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OR 게이트는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파워 래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OR 게이트 및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OR 게이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기
    를 포함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제2 스위치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이 제공될 때부터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에 입력되지 않고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2 스위치에 상기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스위치가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에 전송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시간 이상의 시간으로 설정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전달하는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파워 래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전달하는 제2 다이오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파워 래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다이오드에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제3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제2 스위치에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제공하는 캐패시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입력받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제공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배터리 제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전달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기
    를 포함하는,
    배터리 제어 장치.
  15. 구동 전력을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전력 제공기; 및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제공기의 상기 구동 전력의 제공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기는,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공기와 전압 조절기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제1 스위치; 및
    OR 게이트와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OR 게이트는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파워 래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OR 게이트 및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OR 게이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제공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전력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공기는,
    상기 구동 전력의 전압을 상기 프로세서에 입력되는 전압으로 조절하는 상기 전압 조절기
    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공기는,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파워 래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 제공기가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전력 관리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기는,
    상기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전력 제공기가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전력 관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기는,
    상기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파워 래치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파워 래치 신호의 입력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전력 제공기가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전력 관리 장치.
  20.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가 장착된 배터리 제어 장치에 입력됨에 따라 전압 조절기로부터 구동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압 조절기로부터 수신한 구동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구동 전력이 제공될 때부터 상기 구동 신호의 상기 배터리 제어 장치로의 입력이 차단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2 스위치에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파워 래치 신호의 상기 제2 스위치로의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전압 조절기와 전력 공급기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2 스위치와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OR 게이트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OR 게이트는 상기 구동 신호 또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파워 래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에 출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OR 게이트 및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OR 게이트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전력 공급기와 상기 전압 조절기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래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시간 이상의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서의 제어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73009A 2014-12-04 2014-12-04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암전류 차단 방법 및 장치 KR102365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009A KR102365769B1 (ko) 2014-12-04 2014-12-04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암전류 차단 방법 및 장치
US14/789,363 US9841796B2 (en) 2014-12-04 2015-07-01 Preventing dark current in batter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009A KR102365769B1 (ko) 2014-12-04 2014-12-04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암전류 차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511A KR20160067511A (ko) 2016-06-14
KR102365769B1 true KR102365769B1 (ko) 2022-02-21

Family

ID=5609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009A KR102365769B1 (ko) 2014-12-04 2014-12-04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암전류 차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41796B2 (ko)
KR (1) KR102365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973B2 (ja) * 2016-06-01 2021-12-15 アセンシア・ディアベティ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アーゲー 低電圧バッテリ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に電力供給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TWI625919B (zh) * 2016-12-23 2018-06-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電源保持電路裝置
KR101989492B1 (ko) * 2017-03-06 2019-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립 모드의 mcu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
KR101821327B1 (ko) 2017-05-30 2018-01-2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암전류 저감이 가능한 입력 회로
JP7040079B2 (ja) * 2018-02-07 2022-03-2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変換装置
CN111868538B (zh) * 2018-11-30 2023-05-26 株式会社Lg新能源 开关控制设备、电池管理系统、电池组和开关控制方法
CN115593231B (zh) * 2022-08-16 2024-05-07 中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客车蓄电池主动防亏电智能控制电路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6529A (ja) 2012-08-09 2014-02-24 Denso Corp 組電池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7579A (en) * 1983-02-11 1985-12-10 Olympus Optical Co., Ltd. Automatic focussing apparatus
US4710699A (en) * 1983-10-14 1987-12-0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Electronic switching device
KR19990002408A (ko) 1997-06-20 1999-01-15 김영환 자동차 ecu의 암전류 절감방법
JP4693290B2 (ja) 2001-07-06 2011-06-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上がり防止装置
JP4146408B2 (ja) * 2004-09-10 2008-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KR20070016385A (ko) * 2005-08-03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암전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33377B2 (ja) 2008-04-09 2013-07-1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00055049A (ko) 2008-11-17 2010-05-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이퀄라이저 시스템의 암전류 제거 장치
KR20100062615A (ko) 2008-12-02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암전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4082B1 (ko) * 2009-06-30 2015-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하의 암전류 제어 장치 및 부하의 암전류 제어 방법
KR20130030676A (ko) 2011-09-19 2013-03-27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CA2849807C (en) * 2012-04-16 2016-10-11 Abb Technology Ag Standby power supply circuit for 2-wire bus intercom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1952098B1 (ko) 2012-09-04 2019-02-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부스터 시스템의 전원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JP2014051144A (ja) 2012-09-05 2014-03-2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電子制御ユニット
KR101953121B1 (ko) 2012-11-14 2019-02-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481243B1 (ko) 2012-12-28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환경차량용 완속충전기의 초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6529A (ja) 2012-08-09 2014-02-24 Denso Corp 組電池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511A (ko) 2016-06-14
US9841796B2 (en) 2017-12-12
US20160162014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769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의 암전류 차단 방법 및 장치
US11205804B2 (en) BMS wake-up device, and BMS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11121566B2 (en) Power supp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JP6868037B2 (ja) バッテリーバランシング装置及び方法
KR102210282B1 (ko)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247393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EP2562899B1 (en) Direct current bus management controller
JP7039773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電力システム
US20110305926A1 (en) Battery protecting circuit,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KR102246769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KR102257902B1 (ko) 이종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 및 그 충전 방법
JP6107591B2 (ja) 車両電源システム
US8729877B2 (en) Fast startup algorithm for low noise power management
CN105811747A (zh) 具有使能控制的高压电源系统
CN105446206A (zh) Usb和无线电力系统之间的电力切换控制
KR20220113709A (ko) 적응형 다중-모드 충전
JP6523322B2 (ja) 電流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2036407B1 (ko) 적은 출력 전압 리플을 실현하는 하베스팅 회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449399B1 (ko) 과충전 방지 회로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162831A1 (en) Integrated circuit adapted to perform power path control in a mobile equipment
US9735415B2 (en) Battery pack and pro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686238B2 (ja) 電気回路、充電制御装置、充電システム、制御方法、蓄電装置、および蓄電システム
KR20180101756A (ko) 슬립 모드의 mcu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
CN109638930B (zh) 电池充电控制方法及供电系统
WO2017172042A1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