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287B1 -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9287B1 KR102309287B1 KR1020200157937A KR20200157937A KR102309287B1 KR 102309287 B1 KR102309287 B1 KR 102309287B1 KR 1020200157937 A KR1020200157937 A KR 1020200157937A KR 20200157937 A KR20200157937 A KR 20200157937A KR 102309287 B1 KR102309287 B1 KR 1023092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unit
- access
- occupant
- manag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 G06K9/00221—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정보 관리와 해당 출입자의 체온 관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출입관리시스템은 이용시설의 출입구에 구비되되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출입자관리유닛과, 출입자가 휴대하되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출입자관리유닛과 통신 가능한 출입단말을 포함하고, 출입자관리유닛은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매칭정보와 출입정보를 생성시키는 확인모듈을 포함한다.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는 출입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이거나 확인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출입자정보로 이루어지고, 확인모듈은 매칭정보와 출입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결정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출입관리시스템은 이용시설의 출입구에 구비되되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출입자관리유닛과, 출입자가 휴대하되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출입자관리유닛과 통신 가능한 출입단말을 포함하고, 출입자관리유닛은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매칭정보와 출입정보를 생성시키는 확인모듈을 포함한다.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는 출입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이거나 확인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출입자정보로 이루어지고, 확인모듈은 매칭정보와 출입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결정정보를 생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정보 관리와 해당 출입자의 체온 관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출입관리시스템은 출입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시설관리, 건물관리, 주차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질 뿐만 아니라 청결하고 위생적인 삶을 누구나 누릴 수 있도록 각종 기술과 제도가 발달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세기 산업화를 통해 전기, 통신, 상하수도, 도로, 항만, 공항과 같은 사회간접자본을 구축하고,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 의무교육과 같은 사회제도를 확충하고, 각종 산업기술, 생활기술, 의료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 우리국민들의 평균수명도 크게 증가하면서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2003년의 사스(SARS), 2015년의 메르스(MERS), 2020년의 코로나 바이러스 19(Corona virus 19) 사태로 인해,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바이러스와 신종 질병에 대한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21세기 세계화 시대에는 단일 국가의 노력만으로 계속적으로 출현하는 신종 감염병을 효과적으로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가 간의 협력과 정보공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감염병이 발생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대유행시기가 오는데,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일단 감염자를 최대한 선별하고 선별된 감염자는 격리 조치하는 것이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정보 관리와 해당 출입자의 체온 관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한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은 이용시설의 출입구에 구비되되,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출입자관리유닛; 및 출입자가 휴대하되,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 통신 가능한 출입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은,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를 생성시키는 확인모듈;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는, 상기 출입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이거나, 상기 확인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출입자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인모듈은,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결정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확인모듈은, 출입자의 체온 측정을 위해 출입자를 촬영하는 열화상카메라;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해 출입자를 촬영하는 안면인식카메라;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안면인식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출입자의 체온정보가 표시되는 관리디스플레이; 출입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입력부;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안면인식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출입자의 체온정보와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상기 출입정보와 상기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컨트롤러는, 상기 안면인식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추출하는 안면인식부; 적어도 상기 안면인식부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얼굴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에 포함된 얼굴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안면매칭부; 상기 열화상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추출하는 체온추출부; 적어도 상기 체온추출부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체온정보와 기설정된 체온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체온매칭부; 및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의 출입 여부에 따른 상기 결정정보를 생성하는 출입결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컨트롤러는, 상기 안면인식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상태를 체크하여 착용정보를 생성하는 마스크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확인부는, 상기 착용정보가 "거짓" 인 경우, 출입자에게 마스크 착용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컨트롤러는,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안면인식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유동인원을 체크하는 영상감시부; 및 상기 영상감시부가 체크하는 유동인원과 기설정된 제한인원을 비교하여 위험정보를 생성하는 혼잡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잡제어부는, 상기 유동인원이 기설정된 제한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에 대한 위험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위험정보가 "참"으로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인모듈은, 상기 관리컨트롤러의 정보를 출입자에게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전달하는 정보알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확인모듈은, 출입자정보와,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에서 생성 또는 수신되는 정보와, 출입자의 이동에 따라 생성 또는 수신되는 동선정보가 출입자를 기준으로 매칭되어 저장되는 관리정보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확인모듈은, 상기 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기설정된 보관기간이 경과한 정보를 추출하여 삭제하는 출입정보삭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은,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마주보는 위치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입사되는 반사광을 흡수하는 반사방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반사방지모듈 사이에는, 출입자가 이동하는 출입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은, 출입자에게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모듈; 및 상기 확인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단말에는,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어플; 및 상기 위치확인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단말통신부;가 포함되고, 출입자정보와,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와, 출입자의 이동에 따라 생성 또는 수신되는 동선정보가 출입자를 기준으로 매칭되어 저장되는 단말정보저장부;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출입단말에는, 상기 단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기설정된 보관기간이 경과한 정보를 추출하여 삭제하는 단말정보삭제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출입단말에는,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어플; 및 상기 위치확인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단말통신부;가 포함되고,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의 통신을 유지시키고,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의 통신을 차단시키는 동선전환부;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출입단말에는,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어플; 및 상기 위치확인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단말통신부;가 포함되고, GPS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 및 상기 GPS수신부에서 수신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하는 단말컨트롤러;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은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되어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동선파악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선파악유닛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하는 동선인식모듈; 및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가 휴대한 상기 출입단말과의 통신 상태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하는 위치확인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선인식모듈은, 이용시설의 내부를 촬영하는 동선촬영부; 상기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출입자를 인식하는 사람인식부; 상기 사람인식부가 인식한 출입자의 얼굴이 포함되도록 상기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확대하는 확대부; 상기 확대부가 확대한 영상에서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추출하는 출입추출부; 상기 출입추출부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얼굴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에 포함된 얼굴정보를 매칭시켜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를 특정하는 출입매칭부; 및 상기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분석을 통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동선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선계산부는, 계산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은, 상기 결정정보에 대응하여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식별을 위한 스티커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동선인식모듈은, 이용시설의 내부를 촬영하는 동선촬영부; 상기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출입자를 인식하는 사람인식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에게 부착된 상기 스티커가 포함되도록 상기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확대하는 확대부; 상기 확대부가 확대한 영상에서 상기 스티커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출입추출부; 상기 출입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식별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를 매칭시켜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를 특정하는 출입매칭부; 및 상기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분석을 통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동선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선계산부는, 계산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동선인식모듈은, 이용시설의 내부를 촬영하는 동선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유동인원을 체크하는 영상감시부; 및 상기 영상감시부가 체크하는 유동인원과 기설정된 제한인원을 비교하는 혼잡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잡제어부는, 상기 유동인원이 기설정된 제한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에 대한 위험을 안내하기 위한 위험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확인모듈은, 상기 출입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제1통신부; 상기 출입단말과 상기 제1통신부 사이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및 상기 정보추출부에서 추출한 상기 통신속도 또는 상기 통신강도를 바탕으로 해당 출입단말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계산부는, 계산된 출입단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통신부는, 비콘신호를 통해 상기 출입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비콘부; 블루투스신호를 통해 상기 출입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부; RF신호를 통해 상기 출입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RF부; 및 UWB신호를 통해 상기 출입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UWB앵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확인모듈은, 각각의 제1통신부와 통신하는 상기 출입단말의 수를 체크하는 통신감시부; 및 상기 통신감시부가 체크하는 상기 출입단말의 수와 기설정된 단말개수를 비교하는 혼잡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잡제어부는, 상기 출입단말의 수가 기설정된 단말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통신하고 있는 상기 출입단말에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에 대한 위험을 안내하기 위한 위험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단말에는,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어플; 및 상기 위치확인모듈과 무선 통신하는 단말통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어플에는, 상기 출입단말과 상기 위치확인모듈 사이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및 상기 정보추출부에서 추출한 상기 통신속도 또는 상기 통신강도를 바탕으로 해당 출입단말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계산부는, 계산된 출입단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통신부는, 동 시간대에 둘 이상의 위치확인모듈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위치계산부는, 상기 정보추출부에서 추출한 상기 통신속도 또는 상기 통신강도 중 동 시간대에 최상위부터 내림차순으로 획득한 둘 이상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바탕으로 해당 출입단말의 위치정보를 보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은 상기 출입단말과의 무선 통신 및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출입자를 기준으로 정보들을 수집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은 상기 출입단말과의 무선 통신과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의 유무선 통신 그리고 상기 동선파악유닛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출입자를 기준으로 상기 정보들을 수집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은 상기 출입단말과의 무선 통신과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의 유무선 통신 그리고 상기 동선파악유닛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출입자를 기준으로 상기 정보들을 수집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동 시간대에 둘 이상의 위치확인모듈과 무선 통신함에 따라 출입자를 기준으로 시계열에 따라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수집한 다음, 수집된 상기 통신속도 또는 상기 통신강도 중 동 시간대에서 최상위부터 내림차순으로 획득한 둘 이상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바탕으로 해당 출입단말의 위치정보를 보정하고, 보정된 출입단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이고, 상기 출입자관리유닛 또는 상기 출입단말에 입력되는 출입자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에 출입자정보를 등록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확인모듈을 통해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를 생성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확인모듈을 통해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를 분석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확인모듈을 통해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결정정보를 생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방법은 상기 확인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상태를 체크하는 제2-1단계; 상기 확인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이용시설의 출입구 부분에서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를 체크하는 제2-2단계; 상기 확인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모듈에 저장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제5-1단계; 상기 출입단말을 통해 상기 출입단말에 저장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제5-2단계; 상기 확인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이용시설의 출입구 부분에서 내부에서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를 체크하는 제6-1단계;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 중 동선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를 체크하는 제6-2단계;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 중 위치확인모듈과 통신하는 출입단말의 수를 이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를 체크하는 제6-3단계; 및 상기 제4단계를 거친 다음, 출입자에게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방법은 출입자의 이용시설 이용 상태에 대응하여 출입단말과 출입자관리유닛 사이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동선전환단계; GPS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수신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시설의 외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관리하는 외부동선파악단계;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 중 동선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선파악유닛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관리하는 제1내부동선파악단계;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 중 동선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스티커를 이용하여 상기 동선파악유닛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관리하는 제2내부동선파악단계;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 중 제1통신부와 출입단말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동선파악유닛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관리하는 제3-1내부동선파악단계; 및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 중 제1통신부와 출입단말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단말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관리하는 제3-2내부동선파악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에 따르면,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정보 관리와 해당 출입자의 체온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단말을 통해 출입자관리유닛에 출입자정보를 사전 등록하거나, 이용시설의 출입구에서 확인모듈을 통해 출입자관리유닛에 출입자정보를 직접 등록할 수 있고,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정보 관리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인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 그리고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출입자가 확인할 수 있고, 관리입력부를 통해 이용시설의 출입구에서 출입자관리유닛에 출입자정보를 직접 등록할 수 있으며, 출입자의 정보 관리를 위한 매칭정보와 해당 출입자의 체온 관리를 위한 출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컨트롤러의 세부 구성을 통해 매칭정보와 출입정보의 생성을 명확하게 하고, 출입결정부가 결정정보를 안전하게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컨트롤러에서 마스크확인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상태와 출입자의 방역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컨트롤러에서 유동인원을 체크함으로써, 이용시설의 출입구를 통과하는 출입자들 사이의 거리두기 상태를 확인하고, 출입자들이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확인모듈에서 정보알림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이용시설의 출입구에서 출입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인모듈에서 관리정보저장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자관리유닛이 획득한 정보들을 보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인모듈에서 출입정보삭제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관리정보저장부의 용량 초과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출입자관리유닛이 획득한 정보를 안전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관리유닛에서 반사방지모듈의 부가 구성을 통해 열화상카메라로 입사되는 광 중 주변의 반사광이 열화상카메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화상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추출되는 출입자의 체온정보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하고, 출입자의 체온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단말에서 단말정보저장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단말이 획득한 정보들을 보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단말에서 단말정보삭제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단말정보저장부의 용량 초과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출입단말이 획득한 정보를 안전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단말에서 동선전환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이용시설의 내부 동선 파악과 이용시설의 외부 동선 파악에 있어서 출입단말의 배터리 사용량과 동선 파악을 위한 출입단말의 조작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모듈을 통해 이용시설의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에게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를 통해 확인모듈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확인모듈의 설치에 따른 제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단말에서 GPS수신부와 단말컨트롤러의 부가 구성을 통해 이용시설의 외부 동선 파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선파악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이용시설의 내부 동선 파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선파악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얼굴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선인식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얼굴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허가된 출입자의 위치정보와 동선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모듈의 부가 구성과 연계한 동선인식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식별정보 분석 기술을 적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허가된 출입자의 위치정보와 동선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선인식모듈에서 유동인원을 체크함으로써,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출입자들 사이의 거리두기 상태를 확인하고, 출입자들이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확인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허가된 출입자의 위치정보와 동선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통신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출입단말과 위치확인모듈이 무선 통신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의 세부 구성을 통해 출입단말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계산부의 세부 동작 관계를 통해 출입단말의 위치정보를 보정하고, 출입자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이용시설의 내부에 마련된 통로부와 실내공간부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출입자의 위치를 특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단말과 출입자관리유닛과 관리서버 사이의 정보 전달과 수집 그리고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단말과 출입자관리유닛과 동선파악유닛과 관리서버 사이의 정보 전달과 수집 그리고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단말과 출입자관리유닛과 동선파악유닛과 관리서버 사이의 정보 전달과 수집 그리고 관리를 간편하게 함은 물론, 별도의 보정없이 통신속도와 통신강도를 직접 수신하여 출입자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이용시설의 내부에 마련된 통로부와 실내공간부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출입자의 위치를 특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출입관리유닛에 포함된 확인모듈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출입자의 얼굴이 인식위치에 정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출입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이용시설의 내부에 대해 출입단말과 동선파악유닛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동선파악유닛의 동선인식카메라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동선파악유닛의 위치확인모듈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이용시설의 외부에 대해 출입단말과 GPS위성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출입자관리유닛과 출입단말과 관리서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출입관리유닛에 포함된 확인모듈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출입자의 얼굴이 인식위치에 정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출입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이용시설의 내부에 대해 출입단말과 동선파악유닛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동선파악유닛의 동선인식카메라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동선파악유닛의 위치확인모듈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이용시설의 외부에 대해 출입단말과 GPS위성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에서 출입자관리유닛과 출입단말과 관리서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정보 관리와 해당 출입자의 체온 관리를 간편하게 하는 것으로, 출입자관리유닛(100)과, 출입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시설에는 다가구 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집합건물, 사무실, 관공서, 공공시설, 빌딩, 종교시설, 등산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자관리유닛(100)은 이용시설의 출입구에 구비된다. 출입자관리유닛(100)은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출입정보를 생성한다. 출입자정보에는 출입자의 성명, 연락처, 얼굴정보 등 출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는 출입단말(200)에 의해 입력되어 출입자관리유닛(100)에 사전 등록된 출입자정보일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는 확인모듈(110)에 의해 입력되어 현장에서 출입자관리유닛(100)에 직접 등록된 출입자정보일 수 있다.
출입자관리유닛(100)은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매칭정보와 출입정보를 생성시키는 확인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확인모듈(110)은 매칭정보와 출입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결정정보를 생성한다.
확인모듈(110)에서 생성된 결정정보를 바탕으로 후술하는 정보알림부, 세정모듈(120), 출력모듈(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확인모듈(110)은 열화상카메라(111)와, 안면인식카메라(112)와, 관리디스플레이(113)와, 관리입력부(114)와, 관리컨트롤러(1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확인모듈(110)은 일체로 모듈화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111)는 출입자의 체온 측정을 위해 출입자를 촬영한다. 열화상카메라(111)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 및 관리하는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열화상카메라를 적용할 수 있다. 일예로, 열화상카메라(111)에는 NIR 또는 RGB 또는 3Ddepth 등의 촬영이 가능한 다중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안면인식카메라(112)는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해 출입자를 촬영한다. 안면인식카메라(112)는 출입자의 얼굴을 획득 및 관리하는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안면인식카메라를 적용할 수 있다. 일예로, 안면인식카메라(112)에는 얼굴인식 기술과 Face ID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관리디스플레이(113)는 열화상카메라(111)가 촬영한 영상과 안면인식카메라(112)가 촬영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출입자의 체온정보가 표시된다. 관리디스플레이(113)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영상표시장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관리디스플레이(113)는 출입자의 얼굴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의 얼굴이 포함되도록 인식위치(113-1)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출입자의 얼굴이 인식위치(113-1)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관리컨트롤러(118)는 정보알림부를 동작시켜 출입자의 얼굴이 인식위치(113-1)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므로, 출입자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관리입력부(114)는 출입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관리입력부(114)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키보드 방식, 터치패드 방식, 터치스크린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출입자는 관리입력부(114)를 조작함에 따라 현장에서 출입자관리유닛(100)에 출입자정보를 직접 등록할 수 있다.
관리컨트롤러(118)는 열화상카메라(111)가 촬영한 영상과 안면인식카메라(112)가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출입자의 체온정보와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매칭정보와 출입정보를 생성한다. 관리컨트롤러(118)는 열화상카메라(111)가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추출하여 출입정보를 생성하고, 안면인식카메라(112)가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추출하여 매칭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관리컨트롤러(118)는 매칭정보와 출입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결정정보를 생성한다.
좀더 자세하게, 관리컨트롤러(118)는 안면인식부(118-1)와, 안면매칭부(118-2)와, 체온추출부(118-4)와, 체온매칭부(118-5)와, 출입결정부(118-6)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인식부(118-1)는 안면인식카메라(112)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추출한다. 안면인식부(118-1)는 출입자의 얼굴이 인식위치에 포함됨에 따라 안면인식카메라(112)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출입자의 얼굴이 인식위치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안면인식부(118-1)는 정보알림부를 동작시켜 출입자의 얼굴이 인식위치(113-1)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므로, 출입자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안면인식부(118-1)는 안면인식카메라(112)가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Face ID 기술과 마스크 판별 기술 등에 대해 AI 딥러닝 기술이 적용되므로, 마스크로 코와 입을 모두 가리거나, 마스크로 입을 가리거나, 마스크로 턱을 가리더라도 정확하게 안면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안면인식카메라(112)와 안면인식부(118-1)의 연계를 통한 AI 딥러닝 기술은 임베디드 AI로 출입자관리유닛(100)에 내장되어 관리서버(500)와의 통신없이도 즉각적으로 출입자관리유닛(100)에서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안면인식속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출입자가 많은 이용시설에서도 출입자가 지체없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안면매칭부(118-2)는 적어도 안면인식부(118-1)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얼굴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에 포함된 얼굴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안면인식부(118-1)는 기설정된 출입자정보에 포함된 출입자의 얼굴정보와 안면인식부(118-1)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얼굴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이용시설에 출입 가능한 출입자로 판단하여 매칭정보를 "참" 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안면인식부(118-1)는 기설정된 출입자정보에 포함된 출입자의 얼굴정보와 안면인식부(118-1)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얼굴정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이 불가능한 출입자로 판단하여 매칭정보를 "거짓" 으로 생성할 수 있다. 매칭정보가 "거짓" 이면, 관리컨트롤러(118)는 정보알림부를 동작시켜 출입자에게 출입자관리유닛(100)에 출입자정보를 등록하도록 안내하므로, 출입자에게 출입자정보를 요청하는 한편, 출입자의 출입을 거부할 수 있다.
체온추출부(118-4)는 열화상카메라(111)에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추출한다. 체온추출부(118-4)는 출입자가 열화상카메라(111)의 전방을 지나감에 따라 열화상카메라(111)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출입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해당 추입자의 체온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체온추출부(118-4)는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추출하지 못하면, 정보알림부를 동작시켜 출입자가 다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체온매칭부(118-5)는 적어도 체온추출부(118-4)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체온정보와 기설정된 체온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체온매칭부(118-5)는 체온추출부(118-4)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체온정보가 기설정된 체온정보 이하인 경우, 이용시설에 출입 가능한 출입자로 판단하여 출입정보를 "참" 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체온매칭부(118-5)는 체온추출부(118-4)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체온정보가 기설정된 체온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이 불가능한 출입자로 판단하여 출입정보를 "거짓" 으로 생성할 수 있다. 출입정보가 "거짓" 이면, 관리컨트롤러(118)는 정보알림부를 동작시켜 출입자에게 위험 상황을 안내하므로, 출입자 및 주변 사람들에게 위험 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일예로, 기설정된 체온정보는 코로나를 기준으로 섭씨 37.5도로 설정될 수 있다.
출입결정부(118-6)는 매칭정보와 출입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의 출입 여부에 따른 결정정보를 생성한다. 출입결정부(118-6)는 매칭정보와 출입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에만, 결정정보를 "참" 으로 생성할 수 있다.
결정정보가 "참" 이면, 관리컨트롤러(118)는 정보알림부와, 세정모듈(120)과, 출력모듈(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켜,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정정보가 "거짓" 인 경우, 관리컨트롤러(118)는 출입자정보의 갱신 안내 또는 출입자의 출입 거부를 표현할 수 있다.
관리컨트롤러(118)는 안면인식카메라(112)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상태를 체크하여 착용정보를 생성하는 마스크확인부(1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확인부(118-3)에는 안면인식카메라(112)가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Face ID 기술과 마스크 판별 기술 등에 대해 AI 딥러닝 기술이 적용되므로, 정확한 안면인식과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AI 딥러닝 기술에 따르면, 마스크로 코와 입을 모두 가리거나, 마스크로 입을 가리거나, 마스크로 턱을 가리더라도 안면인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마스크확인부(118-3)는 마스크가 출입자의 코와 입을 가려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상태가 양호하면, 착용정보를 "참" 으로 생성하고,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상태가 불량이면, 착용정보를 "거짓" 으로 생성한다.
그리고 관리컨트롤러(118)는 매칭정보와 출입정보와 착용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에만 결정정보를 "참" 으로 생성할 수 있다.
마스크확인부(118-3)는 착용정보가 "참" 인 경우, 정보알림부와, 세정모듈(120)과, 출력모듈(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켜,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스크확인부(118-3)는 착용정보가 "거짓" 인 경우, 출입자에게 마스크 착용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마스크확인부(118-3)는 안내정보를 바탕으로 정보알림부를 동작시켜 마스크의 정상 착용을 위해 안내하므로, 출입자가 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안면인식카메라(112)와 마스크확인부(118-3)의 연계를 통한 AI 딥러닝 기술은 임베디드 AI로 출입자관리유닛(100)에 내장되어 관리서버(500)와의 통신없이도 즉각적으로 출입자관리유닛(100)에서 판단할 수 있게 되어 마스크 착용 여부를 위한 판단속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출입자가 많은 이용시설에서도 출입자가 지체없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관리컨트롤러(118)는 열화상카메라(111)와 안면인식카메라(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유동인원을 체크하는 영상감시부(118-7)와, 영상감시부(118-7)가 체크하는 유동인원과 기설정된 제한인원을 비교하여 위험정보를 생성하는 혼잡제어부(118-9)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제한인원은 열화상카메라(111)와 안면인식카메라(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촬영거리 2m 이내, 화각 70도를 기준으로 초당 촬영한 영상에서 유동인원의 수로 나타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제한인원은 10명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컨트롤러(118)의 혼잡제어부(118-9)는 유동인원이 기설정된 제한인원 이하인 경우, 위험정보를 "거짓" 으로 생성하고, 유동인원이 기설정된 제한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에 대한 위험을 안내하기 위해 위험정보를 "참" 으로 생성할 수 있다.
관리컨트롤러(118)의 혼잡제어부(118-9)는 위험정보가 "거짓" 인 경우, 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위험정보가 "참" 인 경우, 정보알림부를 동작시켜 출입공간을 향해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에 대한 위험을 안내하므로, 출입자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확인모듈(110)은 출입자정보와, 출입자관리유닛(100)에서 생성 또는 수신되는 정보와, 출입자의 이동에 따라 생성 또는 수신되는 동선정보가 출입자를 기준으로 매칭되어 저장되는 관리정보저장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인모듈(110)은 관리정보저장부(115)와 더불어 관리정보저장부(115)에 저장된 정보 중 기설정된 보관기간이 경과한 정보를 추출하여 삭제하는 출입정보삭제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모듈(110)은 관리컨트롤러(118)의 정보를 출입자에게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전달하는 정보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알림부는 관리디스플레이(113)를 동작시키거나 별도의 표시부(미도시)를 동작시켜 시각적으로 관리컨트롤러(118)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정보알림부는 스피커(116)를 동작시켜 청각적으로 관리컨트롤러(118)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정보알림부는 관리디스플레이(113), 별도의 표시부(미도시), 스피커(116)를 복합적으로 동작시켜 관리컨트롤러(118)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확인모듈(110)은 출입단말(200)과의 통신을 위한 관리통신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통신부(119)는 후술하는 동선파악유닛(300)과 통신할 수 있다. 관리통신부(119)는 후술하는 관리서버(500)와 통신할 수 있다. 결국, 관리통신부(119)는 출입단말(200)과, 동선파악유닛(300)과, 관리서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이라 함은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으로 정의한다.
출입자관리유닛(100)은 세정모듈(120)과, 반사방지모듈(130)과, 출력모듈(140)과, 지지대(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모듈(120)은 출입자에게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일예로, 세정모듈(120)은 결정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세정모듈(120)은 별도의 구동원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세정모듈(120)은 출입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반사방지모듈(130)은 열화상카메라(111)와 마주보는 위치에 이격 배치된다. 반사방지모듈(130)은 열화상카메라(111)로 입사되는 반사광을 흡수할 수 있다. 반사방지모듈(130)은 열화상카메라(111)로 입사되는 광 중 주변의 반사광을 흡수하여 반사광이 열화상카메라(111)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열화상카메라(111)가 촬영한 영상에서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추출할 때, 출입자의 체온정보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하고, 출입자의 체온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방지모듈(130)은 빛을 흡수하는 블랙바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열화상카메라(111)와 반사방지모듈(130) 사이에는 출입자가 이동하는 출입공간이 형성되어 출입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출력모듈(140)은 결정정보에 대응하여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식별을 위한 스티커를 출력한다. 스티커에는 출입자의 식별을 위한 비콘정보 또는 QR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출입자는 출력된 스티커를 부착하고 이용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출입자는 지정된 위치에 스티커를 부착하므로, 후술하는 동선파악유닛(300)을 통해 스티커를 안정되게 확인할 수 있다.
지지대(150)는 확인모듈(11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대(150)는 확인모듈(110)이 이용시설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구에서 확인모듈(110)을 지지하게 되고, 확인모듈(11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0은 이용시설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문이고, 미설명부호 20은 출입문(10)의 잠금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한 출입개폐모듈이다. 출입개폐모듈(20)은 결정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출입개폐모듈(20)은 결정정보에 의해 이용시설의 관리자가 조작할 수 있다.
출입단말(200)은 출입자가 휴대한다. 출입단말(200)에서는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다. 출입단말(200)에는 출입자관리유닛(100)과 통신이 가능하다. 출입단말(200)은 출입자관리유닛(100) 사이에는 무선 통신을 기본으로 하고, 유선 통신도 가능하다.
출입단말(200)은 출입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입단말(200)에는 단말디스플레이(201)가 구비되어 출입단말(200)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도록 한다. 단말디스플레이(201)는 출입단말(200)인 스마트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
출입단말(200)에는 후술하는 어플(210)에 대응하여 정보 입력을 위한 어플입력부(202)가 구비될 수 있다. 어플입력부(202)는 출입단말(200)인 스마트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출입단말(200)에는 GPS수신부(203)가 구비될 수 있다. GPS수신부(203)는 출입단말(200)인 스마트폰에 구비된 GPS수신부(203)가 적용될 수 있다. GPS수신부(203)는 GPS위성(400)과의 통신을 통해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출입단말(200)에는 출입자정보와, 출입자관리유닛(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와, 출입자의 이동에 따라 생성 또는 수신되는 동선정보가 출입자를 기준으로 매칭되어 저장되는 단말정보저장부(204)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정보저장부(204)는 어플(210)이 출입단말(200)에 설치됨에 따라 출입단말(200)에 구비된 저장소를 할당받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출입단말(200)에는 출입자관리유닛(100)과의 통신을 위한 단말통신부(205)가 구비될 수 있다. 단말통신부(205)는 출입단말(200)인 스마트폰에 구비된 통신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통신부(205)는 후술하는 동선파악유닛(300)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205)는 후술하는 관리서버(500)와 통신할 수 있다. 결국, 단말통신부(205)는 출입자관리유닛(100)과, 동선파악유닛(300)과, 관리서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출입단말(200)에는 출입자관리유닛(100)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어플(210)이 내장된다. 어플(210)은 후술하는 동선파악유닛(300)과 관리서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정보 교환도 가능하다.
출입단말(200)에는 단말정보저장부(204)와 더불어 단말정보저장부(204)에 저장된 정보 중 기설정된 보관기간이 경과한 정보를 추출하여 삭제하는 단말정보삭제부(22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정보삭제부(220)는 어플(210)이 출입단말(200)에 설치됨에 따라 어플(210)에 포함되어 출입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다.
출입단말(200)에는 GPS수신부(203)와 더불어 단말컨트롤러(230)가 구비될 수 있다. 단말컨트롤러(230)는 GPS수신부(203)에서 수신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한다. 단말컨트롤러(230)에서 생성된 동선정보는 시계열에 따라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단말정보저장부(204)에 저장되므로, 이용시설의 외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출입단말(200)에는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출입자관리유닛(100)과의 통신을 유지시키고,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벗어나는 경우, 출입자관리유닛(100)과의 통신을 차단시키는 동선전환부(24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동선전환부(240)는 어플(210)이 출입단말(200)에 설치됨에 따라 어플(210)에 포함되어 출입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다.
출입단말(200)과 출입자관리유닛(100)의 통신이 유지되는 경우, 동선전환부(240)는 출입자가 이용시설의 이용 예정 또는 이용시설의 이용 중인 것으로 간주하고, 출입단말(200)과 GPS위성(400)의 접속을 차단시킬 수 있다.
출입단말(200)과 출입자관리유닛(100)의 통신이 차단되면, 동선전환부(240)는 출입자가 이용시설에서 나온 것으로 간주하고, 출입단말(200)과 GPS위성(400)을 접속하여 출입단말(200)과 GPS위성(400)의 통신을 통해 이용시설의 외부에서 출입단말(200)의 위치정보가 출입단말(200)에 시계열로 저장되도록 하고, 이용시설의 외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출입단말(200)에는 상술한 어플(210)과, 단말통신부(205)가 구비되되, 어플(210)에는 출입단말(200)과 후술하는 동선파악유닛(300) 중 위치확인모듈(320) 사이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322)와, 정보추출부(322)에서 추출한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바탕으로 해당 출입단말(200)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출입단말(200)의 위치계산부는 계산된 출입단말(200)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동선정보는 출입단말(200)에 저장된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선정보는 출입자관리유닛(100)의 관리정보저장부(115)에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선정보는 후술하는 관리서버(500)에 전송되어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단말통신부(205)는 동 시간대에 둘 이상의 위치확인모듈(320)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단말(200)의 위치계산부는 정보추출부에서 추출한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 중 동 시간대에 최상위부터 내림차순으로 획득한 둘 이상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바탕으로 해당 출입단말(200)의 위치정보를 보정하므로, 출입단말(200)의 위치정보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은 동선파악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선파악유닛(300)은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다. 동선파악유닛(300)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한다.
동선파악유닛(300)은 동선인식모듈(310)과, 위치확인모듈(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동선인식모듈(310)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한다. 동선인식모듈(310)은 일체로 모듈화될 수 있다.
일예로, 동선인식모듈(310)은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동선촬영부와, 사람인식부(311)와, 확대부(312)와, 출입추출부(313)와, 출입매칭부(314)와, 동선계산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동선촬영부는 이용시설의 내부를 촬영한다. 동선촬영부는 이용시설의 내부에 마련된 통로부(30)와 실내공간부(40)에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사람인식부(311)는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출입자를 인식한다.
확대부(312)는 사람인식부(311)가 인식한 출입자의 얼굴이 포함되도록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확대한다.
출입추출부(313)는 확대부(312)가 확대한 영상에서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추출한다.
출입매칭부(314)는 출입추출부(313)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얼굴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에 포함된 얼굴정보를 매칭시켜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를 특정한다.
동선계산부(315)는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분석을 통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계산한다. 동선계산부(315)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영상 분석 기법,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의 확대량 등을 통해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동선계산부(315)는 동선파악유닛(300)에 내장되어 관리서버(500)와의 통신없이도 즉각적인 계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면, 동선계산부(315)는 계산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동선정보는 출입자관리유닛(100)의 관리정보저장부(115)에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선정보는 후술하는 관리서버(500)에 전송되어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선정보는 출입단말(200)에 전송되어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선인식모듈(310)은 출입자관리유닛(100)과의 통신을 위한 동선통신부(3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선통신부(316)는 후술하는 관리서버(500)와 통신할 수 있다. 동선통신부(316)는 출입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선인식모듈(310)은 출입자에게 부여된 스티커를 이용하기 위해 동선촬영부와, 사람인식부(311)와, 확대부(312)와, 출입추출부(313)와, 출입매칭부(314)와, 동선계산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동선촬영부는 이용시설의 내부를 촬영한다. 동선촬영부는 이용시설의 내부에 마련된 통로부(30)와 실내공간부(40)에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사람인식부(311)는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출입자를 인식한다.
확대부(312)는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에게 부착된 스티커가 포함되도록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확대한다.
출입추출부(313)는 확대부(312)가 확대한 영상에서 스티커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출입매칭부(314)는 출입추출부(313)에서 추출된 식별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를 매칭시켜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를 특정한다.
동선계산부(315)는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분석을 통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계산한다. 동선계산부(315)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영상 분석 기법, 동선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의 확대량 등을 통해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동선계산부(315)는 동선파악유닛(300)에 내장되어 관리서버(500)와의 통신없이도 즉각적인 계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면, 동선계산부(315)는 계산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동선정보는 출입자관리유닛(100)의 관리정보저장부(115)에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선정보는 후술하는 관리서버(500)에 전송되어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선정보는 출입단말(200)에 전송되어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동선인식모듈(310)은 이용시설의 내부를 촬영하는 동선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유동인원을 체크하는 영상감시부와, 영상감시부가 체크하는 유동인원과 기설정된 제한인원을 비교하는 혼잡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제한인원은 동선촬영부가 촬영거리 2m 이내, 화각 70도를 기준으로 초당 촬영한 영상에서 유동인원의 수로 나타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제한인원은 10명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동선인식모듈(310)의 혼잡제어부는 유동인원이 기설정된 제한인원 이하인 경우, 위험정보를 "거짓" 으로 생성하고, 유동인원이 기설정된 제한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에 대한 위험을 안내하기 위해 위험정보를 "참" 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동선인식모듈(310)의 혼잡제어부는 위험정보가 "거짓" 인 경우, 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위험정보가 "참" 인 경우, 정보알림부를 동작시켜 출입공간을 향해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에 대한 위험을 안내하므로, 출입자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위치확인모듈(320)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가 휴대한 출입단말(200)과의 통신 상태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한다.
위치확인모듈(320)은 출입단말(200)과 무선 통신하는 제1통신부(321)와, 출입단말(200)과 제1통신부9) 사이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322)와, 정보추출부(322)에서 추출한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바탕으로 해당 출입단말(200)의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위치계산부(323)를 포함할수 있다.
그러면, 위치확인모듈(320)의 위치계산부(323)는 계산된 출입단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동선정보는 출입자관리유닛(100)의 관리정보저장부(115)에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선정보는 후술하는 관리서버(500)에 전송되어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동선정보는 출입단말(200)에 전송되어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통신부(321)는 비콘신호를 통해 출입단말(200)과 무선 통신하는 비콘부(320a)와, 블루투스신호를 통해 출입단말(200)과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부(320b)와, RF신호를 통해 출입단말(200)과 무선 통신하는 RF부(320c)와, UWB신호를 통해 출입단말(200)과 무선 통신하는 UWB앵커부(320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321)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비콘통신장치, 블루투스통신장치, RF통신장치, UWB통신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위치확인모듈(320)은 출입자관리유닛(100)과 유무선 통신하는 제2통신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부(324)는 후술하는 관리서버(500)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2통신부(324)는 출입단말(200)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2통신부(324)는 제1통신부(321)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제1통신부(321)로 대체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위치확인모듈(320)은 각각의 제1통신부(321)와 통신하는 출입단말(200)의 수를 체크하는 통신감시부와, 통신감시부가 체크하는 출입단말(200)의 수와 기설정된 단말개수를 비교하는 혼잡제어부(118-9)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단말개수는 제1통신부(321)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위치확인모듈(320)의 혼잡제어부는 출입단말(200)의 수가 기설정된 단말개수 이하인 경우, 위험정보를 "거짓" 으로 생성하고, 출입단말(200)의 수가 기설정된 단말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에 대한 위험을 안내하기 위해 위험정보를 "참" 으로 생성할 수 있다.
위치확인모듈(320)의 혼잡제어부는 위험정보가 "거짓" 인 경우, 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혼잡제어부는 위험정보가 "참" 인 경우, 통신하고 있는 출입단말(200)에 위험정보를 전송하여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에 대한 위험을 안내하므로, 출입자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은 관리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관리서버(500)는 출입단말(200)과의 무선 통신 및 출입자관리유닛(100)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출입자를 기준으로 정보들을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서버(500)는 출입단말(200)과의 무선 통신과 출입자관리유닛(100)과의 유무선 통신 그리고 동선파악유닛(300)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출입자를 기준으로 정보들을 수집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500)는 동 시간대에 둘 이상의 위치확인모듈(320)과 무선 통신함에 따라 출입자를 기준으로 시계열에 따라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수집한 다음, 수집된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 중 동 시간대에서 최상위부터 내림차순으로 획득한 둘 이상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바탕으로 해당 출입단말(200)의 위치정보를 보정하고, 보정된 출입단말(200)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이렇게 갱신된 동선정보는 출입자정보와 매칭되어 관리서버(500)에 저장될 수 있다.
관리서버(500)에서는 출입자관리유닛(100)과 출입단말(200)과의 상호 통신 관계를 통해 각각 저장된 출입자정보를 취합하여 출입자정보를 최신의 상태로 갱신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출입자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방법은 출입자관리유닛(100) 또는 출입단말(200)에 입력되는 출입자정보를 바탕으로 출입자관리유닛(100)에 출입자정보를 등록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를 거친 다음 확인모듈(110)을 통해 매칭정보와 출입정보를 생성시키는 제2단계와, 제2단계를 거친 다음 확인모듈(110)을 통해 매칭정보와 출입정보를 분석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를 거친 다음 확인모듈(110)을 통해 매칭정보와 출입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결정정보를 생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방법은 확인모듈(110)을 통해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상태를 체크하는 제2-1단계와, 확인모듈(110)을 통해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이용시설의 출입구 부분에서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를 체크하는 제2-2단계와, 확인모듈(110)을 통해 확인모듈(110)에 저장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제5-1단계와, 출입단말(200)을 통해 출입단말(200)에 저장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제5-2단계와, 확인모듈(110)이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이용시설의 출입구 부분에서 내부에서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를 체크하는 제6-1단계와,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300) 중 동선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를 체크하는 제6-2단계와,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300) 중 위치확인모듈(320)과 통신하는 출입단말(200)의 수를 이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를 체크하는 제6-3단계와, 제4단계를 거친 다음 출입자에게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방법은 출입자의 이용시설 이용 상태에 대응하여 출입단말(200)과 출입자관리유닛(100) 사이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는 동선전환단계와, GPS위성(400)과의 통신을 통해 수신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시설의 외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관리하는 외부동선파악단계와,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300) 중 동선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이용하여 동선파악유닛(300)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관리하는 제1내부동선파악단계와,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300) 중 동선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스티커를 이용하여 동선파악유닛(300)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관리하는 제2내부동선파악단계와,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300) 중 제1통신부(321)와 출입단말(200)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이용하여 동선파악유닛(300)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관리하는 제3-1내부동선파악단계와, 이용시설의 내부에 구비된 동선파악유닛(300) 중 제1통신부(321)와 출입단말(200)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이용하여 출입단말(200)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관리하는 제3-2내부동선파악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시설의 출입방법]
이용시설의 출입방법에는 사전등록방식과 현장등록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전등록방법의 경우, 출입자는 휴대하고 있는 출입단말(200)에 어플(210)을 설치하고, 어플입력부(202)를 통하여 어플(210)에 출입자정보가 입력되면, 출입단말(200)은 출입자관리유닛(100)에 출입자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출입자관리유닛(100)에는 전송받은 출입자정보를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로 저장된다.
현장등록방식의 경우, 출입자가 출입자관리유닛(100)을 통과함에 있어서, 출입자관리유닛(100)의 확인모듈(110)에 구비된 관리입력부(114)를 통해 출입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출입자정보는 출입자관리유닛(100)에서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로 저장된다.
그리고 출입자가 이용시설의 출입구에서 출입자관리유닛(100)의 확인모듈(110)을 통과하면, 확인모듈(110)에서는 열화상카메라(111)가 촬영한 영상을 통해 출입자의 체온정보가 추출되고, 안면인식카메라(112)가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출입자의 얼굴정보가 추출된다. 그러면, 확인모듈(110)에서는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매칭정보와 출입정보가 생성되고, 이를 바탕으로 결정정보가 생성되며, 결정정보에 의해 출입자는 이용시설에 입장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자는 세정모듈(120)에서 공급되는 세정액으로 소독이 가능하고, 출력모듈(140)로부터 스티커를 발급받을 수 있다.
또한, 확인모듈(110)의 동작으로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확인모듈(110)의 동작으로 촬영을 통해 이용시설에 입장하는 유동인원에 대한 밀집도 또는 혼잡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어플(210)이 설치된 출입단말(200)을 휴대한 출입자의 경우, 동선전환부(240)는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출입단말(200)과 출입자관리유닛(100)의 통신을 활성화하여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동안 통신을 유지시키고, 동선파악유닛(300)의 위치확인모듈(320)과의 통신을 활성화할 수 있다.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벗어나는 경우, 출입단말(200)과 출입자관리유닛(100)의 통신을 차단시키고, 동선파악유닛(300)의 위치확인모듈(320)과의 통신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용시설의 내부동선 파악방법]
이용시설의 내부동선 파악방법에는 출입자의 얼굴 인식방식, 스티커 인식방식, 출입단말과의 통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출입자의 얼굴 인식방식은 동선인식모듈(310)이 이용되고, 출입추출부(313)가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추출함에 따라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내부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스티커 인식방식은 동선인식모듈(310)이 이용되고, 출입추출부(313)가 출입자의 스티커를 추출함에 따라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내부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일예로, 출입단말(200)과의 통신방식은 위치확인모듈(320)이 이용되고, 위치확인모듈(320)의 정보추출부(322)에서 출입단말(200)과 제1통신부(321) 사이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추출함에 따라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내부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출입단말(200)과의 통신방식은 출입단말(200)이 이용되고, 출입단말(200)의 정보추출부에서 출입단말(200)과 제1통신부(321) 사이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추출함에 따라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내부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출입단말(200)에서는 복수의 위치확인모듈(320)과 통신함에 따라 둘 이상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바탕으로 출입단말(200)의 위치저보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선인식모듈(310)의 동작으로 촬영을 통해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유동인원에 대한 밀집도 또는 혼잡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치확인모듈(320)의 동작으로 통신을 통해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유동인원에 대한 밀집도 또는 혼잡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용시설의 외부 동선 파악]
이용시설의 외부 동선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출입단말(200)에 어플(210)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어플(210)이 설치된 출입단말(200)을 휴대한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벗어나는 경우, 동선전환부(240)는 GPS수신부(203)를 활성화하여 GPS위성으로부터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출입자의 외부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출입자가 이용시설을 벗어난다는 것은 출입자가 이용시설로 이동하는 경우, 출입자가 이용시설의 이용을 마치고 이용시설에서 나온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를 이용한 출입자정보 관리]
관리서버(500)는 적어도 출입단말(200)과의 무선 통신 및 출입자관리유닛(100)과의 유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출입자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500)에서는 둘 이상의 위치확인모듈(320)이 동 시간대에서 하나의 출입단말(200)과 통신한 경우, 둘 이상의 통신속도 또는 통신강도를 바탕으로 해당 출입단말(200)의 위치정보를 보정하고,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에 따르면,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정보 관리와 해당 출입자의 체온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출입단말(200)을 통해 출입자관리유닛(100)에 출입자정보를 사전 등록하거나, 이용시설의 출입구에서 확인모듈(110)을 통해 출입자관리유닛(100)에 출입자정보를 직접 등록할 수 있고,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출입자의 정보 관리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확인모듈(1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출입자를 촬영한 영상 그리고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출입자가 확인할 수 있고, 관리입력부(114)를 통해 이용시설의 출입구에서 출입자관리유닛(100)에 출입자정보를 직접 등록할 수 있으며, 출입자의 정보 관리를 위한 매칭정보와 해당 출입자의 체온 관리를 위한 출입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컨트롤러(118)의 세부 구성을 통해 매칭정보와 출입정보의 생성을 명확하게 하고, 출입결정부(118-6)가 결정정보를 안전하게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컨트롤러(118)에서 마스크확인부(118-3)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상태와 출입자의 방역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컨트롤러(118)에서 유동인원을 체크함으로써, 이용시설의 출입구를 통과하는 출입자들 사이의 거리두기 상태를 확인하고, 출입자들이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확인모듈(110)에서 정보알림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이용시설의 출입구에서 출입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확인모듈(110)에서 관리정보저장부(115)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자관리유닛(100)이 획득한 정보들을 보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확인모듈(110)에서 출입정보삭제부(117)의 부가 구성을 통해 관리정보저장부(115)의 용량 초과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출입자관리유닛(100)이 획득한 정보를 안전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출입자관리유닛(100)에서 반사방지모듈(13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열화상카메라(111)로 입사되는 광 중 주변의 반사광이 열화상카메라(111)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화상카메라(111)가 촬영한 영상에서 추출되는 출입자의 체온정보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하고, 출입자의 체온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출입단말(200)에서 단말정보저장부(204)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단말(200)이 획득한 정보들을 보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출입단말(200)에서 단말정보삭제부(220)의 부가 구성을 통해 단말정보저장부(204)의 용량 초과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출입단말(200)이 획득한 정보를 안전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출입단말(200)에서 동선전환부(24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이용시설의 내부 동선 파악과 이용시설의 외부 동선 파악에 있어서 출입단말(200)의 배터리 사용량과 동선 파악을 위한 출입단말(200)의 조작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세정모듈(120)을 통해 이용시설의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에게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50)를 통해 확인모듈(110)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확인모듈(110)의 설치에 따른 제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입단말(200)에서 GPS수신부(203)와 단말컨트롤러(23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이용시설의 외부 동선 파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선파악유닛(3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이용시설의 내부 동선 파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선파악유닛(3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얼굴인식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출입자의 위치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동선인식모듈(3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얼굴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허가된 출입자의 위치정보와 동선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출력모듈(140)의 부가 구성과 연계한 동선인식모듈(3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식별정보 분석 기술을 적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허가된 출입자의 위치정보와 동선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동선인식모듈(310)에서 유동인원을 체크함으로써,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출입자들 사이의 거리두기 상태를 확인하고, 출입자들이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위치확인모듈(3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허가된 출입자의 위치정보와 동선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321)의 세부 구성을 통해 이용시설의 내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출입단말(200)과 위치확인모듈(320)이 무선 통신되도록 한다.
또한, 어플(2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출입단말(200)에서 출입자의 이동에 따른 동선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위치계산부(323)의 세부 동작 관계를 통해 출입단말(200)의 위치정보를 보정하고, 출입자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이용시설의 내부에 마련된 통로부(30)와 실내공간부(40)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출입자의 위치를 특정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5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단말(200)과 출입자관리유닛(100)과 관리서버(500) 사이의 정보 전달과 수집 그리고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5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단말(200)과 출입자관리유닛(100)과 동선파악유닛(300)과 관리서버(500) 사이의 정보 전달과 수집 그리고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50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출입단말(200)과 출입자관리유닛(100)과 동선파악유닛(300)과 관리서버(500) 사이의 정보 전달과 수집 그리고 관리를 간편하게 함은 물론, 별도의 보정없이 통신속도와 통신강도를 직접 수신하여 출입자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이용시설의 내부에 마련된 통로부(30)와 실내공간부(40)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출입자의 위치를 특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와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출입자관리유닛 110: 확인모듈 111: 열화상카메라
112: 안면인식카메라 113: 관리디스플레이 113-1: 인식위치
114: 관리입력부 115: 관리정보저장부 116: 스피커
117: 출입정보삭제부 118: 관리컨트롤러 118-1: 안면인식부
118-2: 안면매칭부 118-3: 마스크확인부 118-4: 체온추출부
118-5: 체온매칭부 118-6: 출입결정부 118-7: 영상감시부
118-9: 혼잡제어부 119: 관리통신부 120: 세정모듈
130: 반사방지모듈 140: 출력모듈 150: 지지대
200: 출입단말 201: 단말디스플레이 202: 어플입력부
203: GPS수신부 204: 단말정보저장부 205: 단말통신부
210: 어플 220: 단말정보삭제부 230: 단말컨트롤러
240: 동선전환부 300: 동선파악유닛 310: 동선인식모듈
311: 사람인식부 312: 확대부 313: 출입추출부
314: 출입매칭부 315: 동선계산부 316: 동선통신부
320: 위치확인모듈 320a: 비콘부 320b: 블루투스부
320c: RF부 320d: UWB앵커부 321: 제1통신부
322: 정보추출부 323: 위치계산부 324: 제2통신부
400: GPS위성 500: 관리서버 10: 출입문
20: 출입개폐모듈 30: 통로부 40: 실내공간부
112: 안면인식카메라 113: 관리디스플레이 113-1: 인식위치
114: 관리입력부 115: 관리정보저장부 116: 스피커
117: 출입정보삭제부 118: 관리컨트롤러 118-1: 안면인식부
118-2: 안면매칭부 118-3: 마스크확인부 118-4: 체온추출부
118-5: 체온매칭부 118-6: 출입결정부 118-7: 영상감시부
118-9: 혼잡제어부 119: 관리통신부 120: 세정모듈
130: 반사방지모듈 140: 출력모듈 150: 지지대
200: 출입단말 201: 단말디스플레이 202: 어플입력부
203: GPS수신부 204: 단말정보저장부 205: 단말통신부
210: 어플 220: 단말정보삭제부 230: 단말컨트롤러
240: 동선전환부 300: 동선파악유닛 310: 동선인식모듈
311: 사람인식부 312: 확대부 313: 출입추출부
314: 출입매칭부 315: 동선계산부 316: 동선통신부
320: 위치확인모듈 320a: 비콘부 320b: 블루투스부
320c: RF부 320d: UWB앵커부 321: 제1통신부
322: 정보추출부 323: 위치계산부 324: 제2통신부
400: GPS위성 500: 관리서버 10: 출입문
20: 출입개폐모듈 30: 통로부 40: 실내공간부
Claims (10)
- 이용시설의 출입구에 구비되되,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출입자관리유닛; 및 출입자가 휴대하되,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 통신 가능한 출입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은,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를 생성시키는 확인모듈;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는,
상기 출입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이거나, 상기 확인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출입자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인모듈은,
출입자의 체온 측정을 위해 출입자를 촬영하는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결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은,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마주보는 위치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입사되는 반사광을 흡수하는 반사방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반사방지모듈 사이에는, 출입자가 이동하는 출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관리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모듈은,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해 출입자를 촬영하는 안면인식카메라;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안면인식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출입자의 체온정보가 표시되는 관리디스플레이; 출입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입력부;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안면인식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출입자의 체온정보와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상기 출입정보와 상기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컨트롤러는,
상기 안면인식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추출하는 안면인식부;
적어도 상기 안면인식부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얼굴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에 포함된 얼굴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안면매칭부;
상기 열화상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추출하는 체온추출부;
적어도 상기 체온추출부에서 추출된 출입자의 체온정보와 기설정된 체온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체온매칭부; 및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의 출입 여부에 따른 상기 결정정보를 생성하는 출입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관리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컨트롤러는,
상기 안면인식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상태를 체크하여 착용정보를 생성하는 마스크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확인부는,
상기 착용정보가 "거짓" 인 경우, 출입자에게 마스크 착용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관리시스템.
- 이용시설의 출입구에 구비되되,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와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를 매칭시켜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출입자의 체온을 체크하여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출입자관리유닛; 및 출입자가 휴대하되,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상기 출입자관리유닛과 통신 가능한 출입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은,
출입자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를 생성시키고, 상기 매칭정보와 상기 출입정보가 모두 "참" 인 경우, 이용시설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결정정보를 생성하는 확인모듈;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출입자정보는,
상기 출입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출입자정보이거나, 상기 확인모듈에 의해 입력되는 출입자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인모듈은,
출입자의 체온 측정을 위해 출입자를 촬영하는 열화상카메라;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해 출입자를 촬영하는 안면인식카메라;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안면인식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출입자의 체온정보가 표시되는 관리디스플레이; 출입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관리입력부;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안면인식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출입자의 체온정보와 출입자의 얼굴정보를 각각 추출하여 상기 출입정보와 상기 매칭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컨트롤러는,
상기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안면인식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유동인원을 체크하는 영상감시부; 및
상기 영상감시부가 체크하는 유동인원과 기설정된 제한인원을 비교하여 위험정보를 생성하는 혼잡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잡제어부는,
상기 유동인원이 기설정된 제한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유동인원의 밀집도 또는 유동 혼잡도에 대한 위험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위험정보가 "참"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관리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모듈은,
상기 관리컨트롤러의 정보를 출입자에게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전달하는 정보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관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모듈은,
출입자정보와,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에서 생성 또는 수신되는 정보와, 출입자의 이동에 따라 생성 또는 수신되는 동선정보가 출입자를 기준으로 매칭되어 저장되는 관리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관리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모듈은,
상기 관리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기설정된 보관기간이 경과한 정보를 추출하여 삭제하는 출입정보삭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관리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관리유닛은,
출입자에게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모듈; 및
상기 확인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관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7937A KR102309287B1 (ko) | 2020-11-23 | 2020-11-23 |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7937A KR102309287B1 (ko) | 2020-11-23 | 2020-11-23 |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9287B1 true KR102309287B1 (ko) | 2021-10-07 |
Family
ID=7860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7937A KR102309287B1 (ko) | 2020-11-23 | 2020-11-23 |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928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4209B1 (ko) * | 2022-01-25 | 2022-11-09 | (주)현명 | 지능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
KR102674498B1 (ko) * | 2024-01-31 | 2024-06-11 | 홍창환 | 무선통신 단말과 영상촬영기기를 이용한 행사장의 운영관리 시스템 |
KR102703840B1 (ko) * | 2024-05-30 | 2024-09-06 | (주)이데아인포 | 스마트 임도 관제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6712A (ko) * | 2012-09-18 | 2014-03-26 | 김태원 | 건강 관리 스마트폰 |
KR102134903B1 (ko) * | 2020-06-08 | 2020-07-17 |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
KR102139341B1 (ko) | 2020-04-14 | 2020-07-30 |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
KR20200096443A (ko) | 2020-07-25 | 2020-08-12 | 강소영 |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19 동선 파악 취득 장치 |
KR102135633B1 (ko) * | 2020-04-20 | 2020-08-26 | 김승호 | 출입자의 id와 체온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
KR102171016B1 (ko) * | 2019-09-23 | 2020-10-28 | 장성욱 | 무선통신기반으로 연결되는 공동현관 로비폰을 제공하는 공동현관 통합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2020
- 2020-11-23 KR KR1020200157937A patent/KR1023092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6712A (ko) * | 2012-09-18 | 2014-03-26 | 김태원 | 건강 관리 스마트폰 |
KR102171016B1 (ko) * | 2019-09-23 | 2020-10-28 | 장성욱 | 무선통신기반으로 연결되는 공동현관 로비폰을 제공하는 공동현관 통합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139341B1 (ko) | 2020-04-14 | 2020-07-30 |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
KR102135633B1 (ko) * | 2020-04-20 | 2020-08-26 | 김승호 | 출입자의 id와 체온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
KR102134903B1 (ko) * | 2020-06-08 | 2020-07-17 |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
KR20200096443A (ko) | 2020-07-25 | 2020-08-12 | 강소영 |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19 동선 파악 취득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4209B1 (ko) * | 2022-01-25 | 2022-11-09 | (주)현명 | 지능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
KR102674498B1 (ko) * | 2024-01-31 | 2024-06-11 | 홍창환 | 무선통신 단말과 영상촬영기기를 이용한 행사장의 운영관리 시스템 |
KR102703840B1 (ko) * | 2024-05-30 | 2024-09-06 | (주)이데아인포 | 스마트 임도 관제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9287B1 (ko) | 출입관리시스템과 이것을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 |
KR102177824B1 (ko) |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인식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 |
US20060204050A1 (en) | Face authenticating apparatus and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apparatus | |
CN107978051A (zh) | 一种基于人脸识别的门禁系统及方法 | |
JP6180682B1 (ja) | セキュリティゲート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 |
JPWO2020075307A1 (ja) |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2233265B1 (ko) | 딥러닝 기반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출입통제시스템 | |
KR102012672B1 (ko) | 얼굴인식 기반의 사람 특징인식을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 |
JP7006804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916356B1 (ko) | 병원에 적용되는 방문환자인식확률향상부가 구비된 환자 인식 진료대기 시스템 | |
CN112668762A (zh) | 基于消防疏散指示终端的访客导航方法、系统和终端 | |
US20220351548A1 (en) | Gate apparatus, gate system, and gate control method | |
KR20030091345A (ko) | 살아있는 얼굴의 진위 여부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232485B1 (ko) | 분산형 동선 추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
CN110164007B (zh) | 一种基于身份证据和人脸图像关联关系的门禁系统 | |
KR102150642B1 (ko) | 무선충전을 이용한 스마트 도어 시스템 | |
KR20170115314A (ko) | 영상 장치를 이용한 고령자 판별 시스템 및 방법 | |
KR102345479B1 (ko) | 건물 출입 관리시스템 | |
KR102328199B1 (ko) | 추적 가능한 비식별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CN214670663U (zh) | 一种生物特征检测设备 | |
CN114783097B (zh) | 一种医院防疫管理系统及方法 | |
JP7554214B2 (ja) | 入退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ユニットハウス | |
KR102285619B1 (ko) | 키오스크를 이용한 발열체크 시스템 | |
CN108022411A (zh) | 基于图像处理的监控系统 | |
KR20220022490A (ko) |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