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789B1 -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1789B1 KR102251789B1 KR1020200124212A KR20200124212A KR102251789B1 KR 102251789 B1 KR102251789 B1 KR 102251789B1 KR 1020200124212 A KR1020200124212 A KR 1020200124212A KR 20200124212 A KR20200124212 A KR 20200124212A KR 102251789 B1 KR102251789 B1 KR 102251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medication
- disease
- prescription
- dru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5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for dispensing of multiple dru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은 약품의 처방 정보 및 복약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약품을 수용하고, 복약자가 상기 약품을 복약했음을 나타내는 복약 완료 정보를 입력받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및 외부 서버로부터 질병 정보 및 상기 질병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질병 정보 및 상기 진료 정보를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여 질병 관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 및 상기 복약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 및 상기 복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약자의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처방 분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복약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약품의 복약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만성질환자나 고령자와 같이 일상 생활에서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들은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한다.
하지만, 고령자와 같이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해 별도의 복약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실제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때문에 최근에는 고령자가 약복용 스케줄에 쉽게 적응하고,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분량의 약을 복용하도록 계획적인 약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개발된 약복용 지원에 대한 기술들을 고령자에게 실제 적용한 결과에 의하면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래의 약복용 지원 기술 중 대표적인 기술은 시계와 알림 장치를 부착한 약병 또는 약상자 등의 약복용 지원 장치가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약복용 지원 장치는 약복용 시간이 설정되면, 설정된 시간에 LED 및 소리나 음성을 통해 약복용 시간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다른 기술로는 약상자에 센서와 통신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약복용 상태를 다른 서버에 전송하는 장치들도 있다. 이들 장치들은 커버에 센서를 장착하고, 커버가 열리면 사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간주하며, 약복용 상태를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약복용 상황을 관리한다.
그러나 처방에 따라 제조된 약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약의 오복용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봉지로 포장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는데, 종래의 장치들은 이러한 봉지로 포장된 약들에 대한 서비스가 불가능하며, 한 명의 사용자가 하루에 여러 종류의 약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즉, 사용자는 한가지 질병에 대해 아침, 점심, 저녁에 대해 서로 다른 약을 복용할 수 있으며, 하루에 고혈압, 당료, 심장병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을 복용할 수 있는데, 종래의 장치들은 이러한 경우에 대해 고려하고 있지 않다.
또한, 종래의 장치들은 단기간에 복용할 수 있는 약만을 보관 및 서비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만성질환과 같이 장기간 약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 종래의 장치들은 약을 매일 분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장치들은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약복용 서비스를 수행하므로 예를 들어 종래의 장치들은 사용자가 약을 소지하여 외출한 경우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과거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약품의 오남용 및 중복 처방을 방지하도록 처방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복약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복약 분석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복약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은 약품의 처방 정보 및 복약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약품을 수용하고, 복약자가 상기 약품을 복약했음을 나타내는 복약 완료 정보를 입력받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및 외부 서버로부터 질병 정보 및 상기 질병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질병 정보 및 상기 진료 정보를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여 질병 관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 및 상기 복약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 및 상기 복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약자의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처방 분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복약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버는 공공데이터포털 서버,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서버, 공공보건 포털 서버, 질병관리청 서버, 건강보험공단 서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 및 식품의약품안전처 서버 중 어느 하나인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질병 정보 및 상기 진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진료 정보는 상기 질병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 치료 경과 정보, 상기 질병 정보가 나타내는 질병의 치료에 처방된 질병 약품 처방 정보 및 상기 질병 정보가 나타내는 질병의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버는 상기 복약자의 처방 정보로부터 상기 복약자의 질병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델에 상기 복약자의 질병 정보 및 상기 처방 정보를 입력값으로 입력하여 상기 복약자에 대응하는 질병 관리 정보를 출력받을 수 있다.
상기 질병 관리 정보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질병 관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질병 관리 방법 정보, 발병이 예상되는 다른 질병에 대한 발병 예측 정보 및 처방된 약품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약품을 나타내는 대체 약품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버는 상기 처방 정보로부터 약품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약품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약품 복약량 별 처방 제한 기간 정보를 확인하고, 과거 처방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약품 식별 정보와 동일한 약품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과거 처방 정보로부터 최신의 처방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처방일 정보와 상기 약품 복약량 별 처방 제한 기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처방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상기 복약 완료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및 상기 복약 완료 정보가 입력된 복약 시간 정보와 상기 복약 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시간 정보를 설정하고, 현재 시간 정보와 상기 복약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복약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제1 약품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메인 수용부 및 냉매가 주입되어 상기 제1 메인 수용부를 둘러 싸도록 형성된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메인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인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제1 약품을 둘러 싸도록 형성된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둘러싸인 상기 제1 약품과 상기 홀더부가 수용되는 제2 메인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제2 약품 및 복약지시서 중 하나 이상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서브 수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서브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제2 약품 및 상기 복약지시서를 수용하는 제2 서브 수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약 정보 및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상기 제1 약품의 제1 무게 정보 및 상기 제2 약품의 제2 무게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게 정보 및 상기 제1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 준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무게 정보 및 상기 제2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 준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약 시간대 정보 및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약 시간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상기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복약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용량 정보 및 상기 제2 복약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용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복약 시간대의 시작 시점의 상기 제1 무게 정보와 상기 제1 복약 시간대의 종료 시점의 상기 제1 무게 정보 간의 제1 무게차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무게차 정보가 상기 제1 복용량 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1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복약 시간대의 시작 시점의 상기 제2 무게 정보와 상기 제2 복약 시간대의 종료 시점의 상기 제2 무게 정보 간의 제2 무게차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2 무게차 정보가 상기 제2 복용량 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2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거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약품의 오남용 및 중복 처방을 방지하도록 처방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복약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복약 분석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복약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전면과 좌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후면과 우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3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전면과 좌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후면과 우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3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10)에 포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200),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약품의 처방 정보 및 복약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는 약품을 수용하고, 복약자가 상기 약품을 복약했음을 나타내는 복약 완료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서버(3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질병 정보 및 상기 질병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질병 정보 및 상기 진료 정보를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여 질병 관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복약자의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처방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약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10)의 각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1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부(210), 통신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약품을 복용하는 복약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약품의 처방 정보 및 복약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처방 정보는 처방 의사 식별 정보, 처방일 정보 및 약품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약 정보는 처방된 약품의 복약에 대한 정보로써, 복용량 정보, 복용 시간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부(210) 외에도, 통신부(220)를 통해 처방 정보 및 복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처방 정보 및 복약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처방 정보 및 복약 정보는 병원 서버 또는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에서 서버(300)로 송신되고, 서버(300)에서 통신부(220)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서버(300)로부터 복약 완료 정보와 복약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서버(300)로부터 인공지능모델의 학습을 통해 출력된 복약자의 질병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230)는 복약자의 과거 처방 정보, 복약 정보, 복약 완료 시간 정보, 복약 시간 정보, 처방 분석 정보 및 복약 분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30)는 인공지능모델의 학습을 통해 출력된 복약자의 질병 관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30) 및 입력부(21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40)에는 프로세서(2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입력부(210), 통신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5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25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전면과 좌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후면과 우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덮개부(13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는 도 3의 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3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는 몸체부(110), 홀더부(120), 덮개부(130), 표식부(140), 센싱부(150), 프로세서(160), 통신부(170), 저장부(180) 및 입출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제1 약품(D1)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메인 수용부(111) 및 냉매(115')가 주입되어 제1 메인 수용부(111)를 둘러 싸도록 형성된 온도조절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메인 수용부(111)는 온도조절부(115)의 외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한편, 제1 메인 수용부(111)와 온도조절부(115)는 몸체부(1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조절부(115)는 제1 메인 수용부(111)를 둘러싸는 외벽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내주에 홀더부(120)가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냉매는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약품(D1)은 약품통에 담겨진 상태일 수 있으며, 액체일 수 있다.
또한, 제1 약품(D1)은 섭씨 10도 미만으로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약품일 수 있다
몸체부(110)는 제2 약품(D2) 및 복약지시서(T) 중 하나 이상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서브 수용부(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서브 수용부(112)는 몸체부(110)의 표면 중 일부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함입된 공간일 수 있다.
제1 서브 수용부(112)를 형성하는 몸체부(110)의 표면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약품(D2)은 종이 또는 비닐 재질로 형성된 약품 봉지에 담겨진 상태일 수 있으며, 분말이거나 분말이 응집된 정제일 수 있다.
또한, 제2 약품(D2)은 상온에서 보관 가능한 약품일 수 있다
또한, 복약지시서(T)는 제1 약품(D1)의 제1 복약 정보(I) 및 제2 약품(D2)의 제2 복약 정보(I) 중 하나 이상이 기재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덮개부(130)가 개폐되는 경우, 덮개부(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된 힌지 파이프(113)를 상부 후면에 더 구비할 수 있다.
힌지 파이프(113)는 덮개부(130)의 하부 후면에 형성된 힌지 핀(133)이 삽입되어 힌지 핀(133)과 힌지 겹합됨으로써, 덮개부(130)가 몸체부(110)의 상부를 개폐하는데 있어서 회전 축이 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상부 전면에 함입되어 형성된 제1 결합부(114)를 구비하고, 제1 결합부(114)는 돌출 형성된 제1 결합 돌기(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114')는 덮개부(130)의 하부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결합부(134)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결합 돌기(134')와 걸림 결합되어 몸체부(110)의 상부에 덮개부(130)가 덮어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몸체부(110)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내부 온도에 대응하여 색깔이 변화하는 온도 표시부(1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표시부(116)는 미리 정해진 온도 범위에 따라 색깔이 변화하는 시온 안료가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표시부(116)는 온도조절부(115)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온 안료는 표면 온도가 섭씨 10도 이하인 경우 파란색으로 변화하고, 표면 온도가 섭씨 10도를 초과하는 경우 흰색으로 변화할 수 있다.
홀더부(120)는 제1 메인 수용부(1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메인 수용부(111)에 수용되지 않은 제1 약품(D1)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부(120)는 제1 약품(D1)이 제1 메인 수용부(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부가 제1 메인 수용부(11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제1 메인 수용부(111)의 외부로 돌출된 제1 약품(D1)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부(120)는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가 뚫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의 외주 형상이 제1 메인 수용부(111)를 둘러싸는 온도조절부(115)의 상부 내주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홀더부(120)에 둘러싸인 제1 약품(D1)과 홀더부(120)가 수용되는 제2 메인 수용부(131)를 구비하고, 몸체부(1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개폐되는 경우, 몸체부(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된 힌지 핀(133)을 하부 후면에 더 구비할 수 있다.
힌지 핀(133)은 힌지 파이프(113)에 삽입되어 힌지 파이프(113)와 흰지 겹합됨으로써, 덮개부(130)가 몸체부(110)의 상부를 개폐하는데 있어서 회전 축이 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하부 전면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결합부(134)를 더 구비하고, 제2 결합부(134)는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결합 돌기(13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134')는 덮개부(130)가 몸체부(110) 상부에 덮어지는 경우, 제1 결합 돌기(114')와 걸림 결합되어 몸체부(110)의 상부에 덮개부(130)가 덮어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134')는 제2 결합부(134)에 전면을 향하는 외력이 인가되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제2 결합부(134)가 전면을 향해 휘어져 제1 결합 돌기(114')와의 걸림 결합이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제1 서브 수용부(112)에 수용되지 않은 제2 약품(D2) 및 복약지시서를 수용하는 제2 서브 수용부(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덮개부(130)는 상부 후면에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회전되는 손잡이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부(135)는 회전되어 덮개부(130)에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손잡이부(135)가 덮개부(13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손잡이부(135)가 파지될 수 있다.
표식부(14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약품(D1)의 제1 복약 정보(I) 및 제2 약품(D2)의 제2 복약 정보(I)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식부(140)는 몸체부(110)에 체결된 와이어(141)를 구비하고, 와이어(141)는 표식부(140) 내부에 권취 고정되어 사용자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표식부(140)는 전면에 제1 복약 정보(I) 및 제2 복약 정보(I)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개재할 수 있는 표시창(14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창(142)은 디스플레이 모듈이거나 제1 복약 정보(I) 및 제2 복약 정보(I) 중 하나 이상이 기재된 안내문을 개재할 수 있는 소형 게시판일 수 있다.
센싱부(150)는 제1 약품(D1)의 제1 무게 정보 및 제2 약품(D2)의 제2 무게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50)는 냉매의 냉매 온도 및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50)는 제1 메인 수용부(111)와 제1 서브 수용부(112) 각각에 배치되는 무게 센서 및 온도조절부(115)와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최외곽 표면 각각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50)는 덮개부(13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50)는 덮개부(130)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미리 설정된 개방 시간 이상 덮개부(1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개방 알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센싱부(150), 통신부(170), 저장부(180) 및 입출력부(19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6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상기 복약 완료 정보가 입력된 복약 시간 정보와 상기 복약 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복약 정보를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60)는 RTC(리얼 타임 클럭) 모듈로부터 실시간으로 시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상기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시간 정보를 설정하고, 현재 시간 정보와 상기 복약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복약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복약 정보에 포함된 복약 시간대 정보를 복약 시간 정보로 설정하고, 현재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현재 시간이 복약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복약 시간에 도달하면 복약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복약 알림 정보가 생성되면 사용자 단말(200) 또는 보호자 단말(복약자의 임시 보호자(예를 들어, 학교 선생님)가 사용하는 단말)로 복약 알림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하거나, 복약 알림 신호를 빛, 진동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입출력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덮개부(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입출력부(190)로 터치 입력이 1회 입력되면, 복약 완료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복약 완료 정보가 입력된 시간을 나타내는 복약 시간 정보와 함께 복약 완료 정보를 서버(3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덮개부(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입출력부(190)로 터치 입력이 2회 입력되면,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도록 입출력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덮개부(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입출력부(190)로 터치 입력이 2회 입력되면,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배터리 상태 정보 및 온도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소리, 빛 및 진동 중 하나 이상으로 출력하도록 입출력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덮개부(1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입출력부(190)로 터치 입력이 1회 입력되면, 부가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도록 입출력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정보는 날씨 정보, 미세먼지 정보, 습도 정보, 일교차 정보 및 황사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30)는 냉매 온도, 외부 온도, 제1 약품(D1)의 보관 가능한 온도 범위를 나타내는 제1 약품 보관 기준 온도 범위에 기초하여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냉매의 냉매 무게와 외부 온도 별로 시간에 따른 냉매 온도가 매핑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온도 데이터 중에서 온도조절부(115)에 주입된 냉매(115')의 냉매의 냉매 무게와 센싱부(150)로부터 측정된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온도 데이터를 선별 온도 데이터로 선별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선별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의 제1 시점으로부터 냉매 온도가 제1 약품 보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제2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미리 정해진 생성 주기마다 외부 온도를 재측정하여 상술된 선별 온도 데이터의 선별 과정과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의 생성 과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미만이거나, 현재의 제1 시점으로부터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이 경과된 경과 시점이 미리 설정된 보관 종료 시점을 초과하는 경우, 보관 온도 위험 알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범용 통신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사용자 단말, 약품 관리 서버 중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70)는 범용 통신을 수행하는 범용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범용 통신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이거나,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근거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한 통신 방식이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적외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70)는 외부로부터 온도 데이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미리 설정된 보관 종료 시점 및 제1 약품 보관 기준 온도 범위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 복약 지시 미준수 알림 신호 및 보관 온도 위험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80)에는 프로세서(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입출력부(190)는 다양한 정보 및 요청을 외부로부터 입력받거나, 다양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부(190)는 복약자가 약품을 복약했음을 나타내는 복약 완료 정보를 입력받거나, 부가 정보의 출력을 요청하는 부가 정보 출력 요청을 입력받거나,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온도 및 배터리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 정보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90)는 요청된 부가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상태 정보, 복약 정보, 복약 알림 정보를 빛, 진동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출력부(190)는 정보 및 요청을 입력받는 터치 버튼, 정보를 출력하는 진동소자,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10)에 포함된 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처방 정보, 복약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복약 완료 정보와 복약 시간 정보를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며, 처방 분석 정보, 복약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외부로부터 온도 데이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미리 설정된 보관 종료 시점 및 제1 약품 보관 기준 온도 범위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프로세서(33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 복약 지시 미준수 알림 신호 및 보관 온도 위험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320)에는 프로세서(3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통신부(310) 및 저장부(3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33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질병 정보 및 상기 질병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질병 정보 및 상기 진료 정보를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여 질병 관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는 공공데이터포털 서버,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서버, 공공보건 포털 서버, 질병관리청 서버, 건강보험공단 서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 및 식품의약품안전처 서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통신부(310)는 공공데이터포털 서버,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서버, 공공보건 포털 서버, 질병관리청 서버, 건강보험공단 서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 및 식품의약품안전처 서버 중 어느 하나인 외부 서버로부터 질병 정보 및 진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서버로부터 획득되는 질병 정보 및 진료 정보는 인공지능모델의 학습을 위해 획득되는 학습 데이터이며, 불특정한 환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료 정보는 상기 질병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 치료 경과 정보, 상기 질병 정보가 나타내는 질병의 치료에 처방된 질병 약품 처방 정보 및 상기 질병 정보가 나타내는 질병의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상기 복약자의 처방 정보로부터 상기 복약자의 질병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델에 상기 복약자의 질병 정보 및 상기 처방 정보를 입력값으로 입력하여 상기 복약자에 대응하는 질병 관리 정보를 출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질병 관리 정보는 통신부(310)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될 수 있다.
질병 관리 정보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질병 관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질병 관리 방법 정보, 발병이 예상되는 다른 질병에 대한 발병 예측 정보 및 처방된 약품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약품을 나타내는 대체 약품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복약자의 처방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330)는 학습을 위해 질병 정보 및 상기 질병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획득하여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복약자의 처방 정보로부터 질병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질병 정보를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여 질병 관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30)는 범용성 있는 인공지능모델을 통해 모든 질병 정보와 진료 정보를 학습하여 질병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화된 제2 인공지능모델을 통해 복약자의 처방 정보 및 질병 정보에 대한 질병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30)는, 초기 설정된 임의의 학습 데이터,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된 학습데이터는 제1 인공지능모델의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되, 복약자의 처방 정보 및 질병 정보로부터 학습된 학습 데이터는 제2 인공지능모델의 학습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330)는 획득되는 다양한 정보를 해석하기 위해, 자연어 이해부(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질병 정보 관리 매니지먼트 모듈, 자연어 생성부(Natural Language Generator, NLG), 및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부는 수신한 질병 정보를 바탕으로 엔티티(entity) 및 질병 정보의 의도(intent)와 관련된 태스크(task)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자연어 이해부는 문장의 구조 및 주요 성분 분석을 통해 문장을 해석하고 통계/분석 등을 이용하여 문장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질병 정보 관리 매니지먼트 모듈은 자연어 이해 결과 및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 관리 정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질병 정보 관리 매니지먼트 모듈은 Frame기반, Agent기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MDP(Markov Decision Process),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기반 모델링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질병 정보 관리 매니지먼트 모듈은 응답(질병 관리 정보)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된 정보는 자연어 이해부를 통해 파악된 태스크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자연어 생성부는 질병 정보 관리 매니지먼트 모듈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질병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자연어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는 질병 정보 관리 매니지먼트 모듈에서 응답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다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모델 학습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 기반의 인공지능모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인공지능모델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이 인공지능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deep Neural Networks, CNN)은 최소한의 전처리(preprocess)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다계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s)의 한 종류이다. 합성곱 신경망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합성곱 계층(convolutional layer)과 그 위에 올려진 일반적인 인공신경망 계층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중치와 통합 계층(pooling layer)들을 추가로 활용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합성곱 신경망은 2차원 구조의 입력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곱 신경망은 표준 역전달을 통해 훈련될 수 있다. 합성곱 신경망은 다른 피드포워드 인공신경망 기법들보다 쉽게 훈련되는 편이고 적은 수의 매개변수를 사용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 DNN)은 입력 계층(input layer)과 출력 계층(output layer) 사이에 복수개의 은닉 계층(hidden layer)들로 이뤄진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이다.
이때, 심층 신경망의 구조는 퍼셉트론(perceptron)으로 구성될 수 있다. 퍼셉트론은 여러 개의 입력 값(input)과 하나의 프로세서(330)(prosessor), 하나의 출력 값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330)는 여러 개의 입력 값에 각각 가중치를 곱한 후, 가중치가 곱해진 입력 값들을 모두 합한다. 그 다음 프로세서(330)는 합해진 값을 활성화함수에 대입하여 하나의 출력 값을 출력한다. 만약 활성화함수의 출력 값으로 특정한 값이 나오기를 원하는 경우, 각 입력 값에 곱해지는 가중치를 수정하고, 수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출력 값을 다시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퍼셉트론은 서로 다른 활성화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퍼셉트론은 이전 계층에서 전달된 출력들을 입력으로 받아들인 다음, 활성화 함수를 이용해서 출력을 구한다. 구해진 출력은 다음 계층의 입력으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최종적으로 몇 개의 출력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딥 러닝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다시 돌아가면, 순환 신경망(Reccurent Neural Network, RNN)은 인공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말한다. 순환 신경망은 앞먹임 신경망과 달리, 임의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신경망 내부의 메모리를 활용할 수 있다.
심층 신뢰 신경망(Deep Belief Networks, DBN)이란 기계학습에서 사용되는 그래프 생성 모형(generative graphical model)으로, 딥 러닝에서는 잠재변수(latent variable)의 다중계층으로 이루어진 심층 신경망을 의미한다. 계층 간에는 연결이 있지만 계층 내의 유닛 간에는 연결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심층 신뢰 신경망은 생성 모형이라는 특성상 선행학습에 사용될 수 있고, 선행학습을 통해 초기 가중치를 학습한 후 역전파 혹은 다른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의 미조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훈련용 데이터가 적을 때 굉장히 유용한데, 이는 훈련용 데이터가 적을수록 가중치의 초기값이 결과적인 모델에 끼치는 영향이 세지기 때문이다. 선행학습된 가중치 초기값은 임의로 설정된 가중치 초기값에 비해 최적의 가중치에 가깝게 되고 이는 미조정 단계의 성능과 속도향상을 가능케 한다.
상술한 인공지능 및 그 학습방법에 관한 내용은 예시를 위하여 서술된 것이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서 이용되는 인공지능 및 그 학습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동일한 과제해결을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인공지능 기술 및 그 학습방법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30)는 상기 처방 정보로부터 약품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약품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약품 복약량 별 처방 제한 기간 정보를 확인하고, 과거 처방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약품 식별 정보와 동일한 약품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과거 처방 정보로부터 최신의 처방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처방일 정보와 상기 약품 복약량 별 처방 제한 기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처방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과거 처방 정보 중에서 처방일 정보가 최신인 처방 정보의 약품 복약량을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약품 복약량 별 처방 제한 기간 정보 테이블에서 확인된 약품 복약량의 처방 제한 기간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처방일 정보의 처방일로부터 현재 시점이 처방 제한 기간 정보가 나타내는 처방 제한 기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확인된 처방일 정보의 처방일로부터 현재 시점이 처방 제한 기간 정보가 나타내는 처방 제한 기간에 포함되면 약물 오남용 및 중복 처방을 나타내는 처방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30)는 제1 무게 정보 및 제1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약품(D1)에 대한 복약 지시 준수 여부를 판단하고, 제2 무게 정보 및 제2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약품(D2)에 대한 복약 지시 준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약품(D1)의 제1 복약 시간대 정보 및 제2 약품(D2)의 제2 복약 시간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복약 시간대에 대응하는 제1 약품(D1)의 제1 복용량 정보 및 제2 복약 시간대에 대응하는 제2 약품(D2)의 제2 복용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제1 복약 시간대의 시작 시점의 제1 무게 정보와 제1 복약 시간대의 종료 시점의 제1 무게 정보 간의 제1 무게차 정보를 산출하고, 제1 무게차 정보가 제1 복용량 정보 미만이면 제1 약품(D1)에 대한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복약 시간대의 시작 시점의 제2 무게 정보와 제2 복약 시간대의 종료 시점의 제2 무게 정보 간의 제2 무게차 정보를 산출하고, 제2 무게차 정보가 제2 복용량 정보 미만이면 제2 약품(D2)에 대한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복약 정보 및 제2 복약 정보는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30)는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약 지시 미준수 알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200: 사용자 단말
3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서버
Claims (8)
- 약품의 처방 정보 및 복약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
약품을 수용하고, 상기 약품을 처방받은 복약자가 상기 약품을 복약했음을 나타내는 복약 완료 정보를 입력받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및
외부 서버로부터 질병 정보 및 상기 질병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질병 정보 및 상기 진료 정보를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여 질병 관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 및 상기 복약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처방 정보 및 상기 복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약자의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처방 분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복약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제1 약품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메인 수용부 및 냉매가 주입되어 상기 제1 메인 수용부를 둘러 싸도록 형성된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메인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인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제1 약품을 둘러 싸도록 형성된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둘러싸인 상기 제1 약품과 상기 홀더부가 수용되는 제2 메인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2 약품 및 복약지시서 중 하나 이상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서브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서브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제2 약품 및 상기 복약지시서를 수용하는 제2 서브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약 정보 및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식부; 및
냉매의 냉매 무게와 외부 온도 별로 시간에 따른 냉매 온도가 매핑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온도 데이터 중에서 상기 온도조절부에 주입된 상기 냉매의 냉매 무게와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온도 데이터를 선별 온도 데이터로 선별하고, 상기 선별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의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냉매 온도가 상기 제1 약품의 보관 가능한 온도 범위를 나타내는 제1 약품 보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제2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미만이면 보관 온도 위험 알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공공데이터포털 서버,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서버, 공공보건 포털 서버, 질병관리청 서버, 건강보험공단 서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 및 식품의약품안전처 서버 중 어느 하나인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질병 정보 및 상기 진료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료 정보는
상기 질병 정보에 대응하는 질병 치료 경과 정보, 상기 질병 정보가 나타내는 질병의 치료에 처방된 질병 약품 처방 정보 및 상기 질병 정보가 나타내는 질병의 환자에 대응하는 환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약자의 처방 정보로부터 상기 복약자의 질병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델에 상기 복약자의 질병 정보 및 상기 처방 정보를 입력값으로 입력하여 상기 복약자에 대응하는 질병 관리 정보를 출력받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질병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질병 관리 정보는
질병의 치료를 위한 질병 관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질병 관리 방법 정보, 발병이 예상되는 다른 질병에 대한 발병 예측 정보 및 처방된 약품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약품을 나타내는 대체 약품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처방 정보로부터 약품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약품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약품 복약량 별 처방 제한 기간 정보를 확인하고, 과거 처방 정보 중에서 상기 확인된 약품 식별 정보와 동일한 약품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과거 처방 정보로부터 최신의 처방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처방일 정보와 상기 약품 복약량 별 처방 제한 기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처방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상기 복약 완료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약 완료 정보가 입력된 복약 시간 정보와 상기 복약 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시간 정보를 설정하고, 현재 시간 정보와 상기 복약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복약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212A KR102251789B1 (ko) | 2020-09-24 | 2020-09-24 |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212A KR102251789B1 (ko) | 2020-09-24 | 2020-09-24 |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1789B1 true KR102251789B1 (ko) | 2021-05-14 |
Family
ID=7591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4212A KR102251789B1 (ko) | 2020-09-24 | 2020-09-24 |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178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562768A (zh) * | 2023-05-29 | 2023-08-08 | 北京市永康药业有限公司 | 一种药品仓储管理方法及系统 |
KR20240070877A (ko) | 2022-11-15 | 2024-05-22 | 주식회사 아이오테드 | 인공지능 스피커와 결합되는 약 공급 장치 |
KR102690035B1 (ko) * | 2023-07-14 | 2024-07-31 | 조학연 | 스마트 투약기 및 이를 포함하는 투약관리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3736A (ko) * | 2016-01-11 | 2017-07-19 | 배형준 |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KR101920466B1 (ko) * | 2017-08-18 | 2018-11-20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처방 약품 분석이 가능한 방법, 시스템 및 휴대형 단말 |
KR20190047566A (ko) | 2017-10-27 | 2019-05-08 |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 스마트 의약품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시스템 |
KR20200025756A (ko) * | 2018-08-31 | 2020-03-10 | 주식회사 모노라마 | 빅데이터 기반의 환자 맞춤형 복약 정보 제공 장치 및 복약 정보 제공 방법 |
KR20200087466A (ko) * | 2019-01-11 | 2020-07-21 | 허재혁 | 식품의약품 이력 관리 및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 |
-
2020
- 2020-09-24 KR KR1020200124212A patent/KR1022517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3736A (ko) * | 2016-01-11 | 2017-07-19 | 배형준 |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환자 맞춤형 질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KR101920466B1 (ko) * | 2017-08-18 | 2018-11-20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처방 약품 분석이 가능한 방법, 시스템 및 휴대형 단말 |
KR20190047566A (ko) | 2017-10-27 | 2019-05-08 |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 스마트 의약품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시스템 |
KR20200025756A (ko) * | 2018-08-31 | 2020-03-10 | 주식회사 모노라마 | 빅데이터 기반의 환자 맞춤형 복약 정보 제공 장치 및 복약 정보 제공 방법 |
KR20200087466A (ko) * | 2019-01-11 | 2020-07-21 | 허재혁 | 식품의약품 이력 관리 및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0877A (ko) | 2022-11-15 | 2024-05-22 | 주식회사 아이오테드 | 인공지능 스피커와 결합되는 약 공급 장치 |
CN116562768A (zh) * | 2023-05-29 | 2023-08-08 | 北京市永康药业有限公司 | 一种药品仓储管理方法及系统 |
KR102690035B1 (ko) * | 2023-07-14 | 2024-07-31 | 조학연 | 스마트 투약기 및 이를 포함하는 투약관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1789B1 (ko) |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 |
US1205723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describing and recommending optimal treatment plans in adaptive telemedical or other contexts | |
US11923057B2 (en) |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 |
US1141076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ynamic treatment environments based on patient information | |
US11270795B2 (en) |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physician-smart virtual conference rooms for use in a telehealth context | |
US2021040767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equipment for prediction of secondary disease | |
JP2023099132A (ja) | コンピュータ実装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 |
US2022015130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based personal service | |
US20180008516A1 (en) | Smart medication container | |
Redford | Speech product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 |
US11439346B2 (en) | Robotic device for assisting individuals with a mental illness | |
US2003014482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nd evaluating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modeling an adaptable predictive analysis for symptoms management | |
JP2019505897A (ja) | ロバストなヘルストラッキングサービス | |
Panesar et al. | What Is the Future of Healthcare? | |
AU202320466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ensor data from rehabilitation or exercise equipment to treat patients via telemedicine | |
Sivakumar et al. | Intelligent and assisted medicine dispensing machine for elderly visual impaired people with deep neural network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 | |
KR20210036691A (ko) | 복용약 보관함과 연동되는 복약정보 알림시스템 | |
KR20230102413A (ko) | 스마트 복약 지원 디바이스 및 시스템 | |
Brugués de la Torre | Contributions to interoperability, scalability and formalization of personal health systems | |
Jesse | Analysis of voice assistants in eHealth | |
KR102162200B1 (ko) |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 |
KR20230033783A (ko) | 약통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
Mavropoulos et al. | A smart dialogue-competent monitoring framework supporting people in rehabilitation | |
JP6937053B1 (ja) | 服薬管理装置及び服薬管理システム | |
US20230044000A1 (en) | System and method using ai medication assistant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rpm)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