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162200B1 -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200B1
KR102162200B1 KR1020200012816A KR20200012816A KR102162200B1 KR 102162200 B1 KR102162200 B1 KR 102162200B1 KR 1020200012816 A KR1020200012816 A KR 1020200012816A KR 20200012816 A KR20200012816 A KR 20200012816A KR 102162200 B1 KR102162200 B1 KR 10216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drug
information
temperature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영
Original Assignee
김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영 filed Critical 김나영
Priority to KR102020001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2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4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제1 약품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메인 수용부 및 냉매가 주입되어 상기 제1 메인 수용부를 둘러 싸도록 형성된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메인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인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제1 약품을 둘러 싸도록 형성된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둘러싸인 상기 제1 약품과 상기 홀더부가 수용되는 제2 메인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Portable apparatus for storing drug and controlling temperature of drug}
본 발명은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가 주입된 온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약품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만성질환자나 고령자와 같이 일상 생활에서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들은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한다.
하지만, 고령자와 같이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해 별도의 복약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실제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때문에 최근에는 고령자가 약복용 스케줄에 쉽게 적응하고,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분량의 약을 복용하도록 계획적인 약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개발된 약복용 지원에 대한 기술들을 고령자에게 실제 적용한 결과에 의하면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래의 약복용 지원 기술 중 대표적인 기술은 시계와 알림 장치를 부착한 약병 또는 약상자 등의 약복용 지원 장치가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약복용 지원 장치는 약복용 시간이 설정되면, 설정된 시간에 LED 및 소리나 음성을 통해 약복용 시간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다른 기술로는 약상자에 센서와 통신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약복용 상태를 다른 서버에 전송하는 장치들도 있다. 이들 장치들은 커버에 센서를 장착하고, 커버가 열리면 사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간주하며, 약복용 상태를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약복용 상황을 관리한다.
그러나 처방에 따라 제조된 약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약의 오복용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봉지로 포장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는데, 종래의 장치들은 이러한 봉지로 포장된 약들에 대한 서비스가 불가능하며, 한 명의 사용자가 하루에 여러 종류의 약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즉, 사용자는 한가지 질병에 대해 아침, 점심, 저녁에 대해 서로 다른 약을 복용할 수 있으며, 하루에 고혈압, 당료, 심장병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을 복용할 수 있는데, 종래의 장치들은 이러한 경우에 대해 고려하고 있지 않다.
또한, 종래의 장치들은 단기간에 복용할 수 있는 약만을 보관 및 서비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만성질환과 같이 장기간 약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 종래의 장치들은 약을 매일 분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장치들은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약복용 서비스를 수행하므로 예를 들어 종래의 장치들은 사용자가 약을 소지하여 외출한 경우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47566호
본 발명은 약품을 보관하는 수용부의 수용부 온도를 보관 기준 온도 범위 내로 조절하여 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제1 약품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메인 수용부 및 냉매가 주입되어 상기 제1 메인 수용부를 둘러 싸도록 형성된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메인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인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제1 약품을 둘러 싸도록 형성된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둘러싸인 상기 제1 약품과 상기 홀더부가 수용되는 제2 메인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제2 약품 및 복약지시서 중 하나 이상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서브 수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서브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제2 약품 및 상기 복약지시서를 수용하는 제2 서브 수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약 정보 및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는 상기 제1 약품의 제1 무게 정보 및 상기 제2 약품의 제2 무게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무게 정보 및 상기 제1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 준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무게 정보 및 상기 제2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 준수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약 시간대 정보 및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약 시간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상기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복약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용량 정보 및 상기 제2 복약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용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복약 시간대의 시작 시점의 상기 제1 무게 정보와 상기 제1 복약 시간대의 종료 시점의 상기 제1 무게 정보 간의 제1 무게차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무게차 정보가 상기 제1 복용량 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1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복약 시간대의 시작 시점의 상기 제2 무게 정보와 상기 제2 복약 시간대의 종료 시점의 상기 제2 무게 정보 간의 제2 무게차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2 무게차 정보가 상기 제2 복용량 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2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품을 보관하는 수용부의 수용부 온도를 보관 기준 온도 범위 내로 조절하여 약품을 보관함으로써, 약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전면과 좌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후면과 우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의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전면과 좌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후면과 우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덮개부(13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는 몸체부(110), 홀더부(120), 덮개부(130), 표식부(140), 센싱부(150), 프로세서(160), 통신부(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제1 약품(D1)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메인 수용부(111) 및 냉매(115')가 주입되어 제1 메인 수용부(111)를 둘러 싸도록 형성된 온도조절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메인 수용부(111)는 온도조절부(115)의 외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온도조절부(115)는 제1 메인 수용부(111)를 둘러싸는 외벽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내주에 홀더부(120)가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냉매는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약품(D1)은 약품통에 담겨진 상태일 수 있으며, 액체일 수 있다.
몸체부(110)는 제2 약품(D2) 및 복약지시서(T) 중 하나 이상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서브 수용부(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서브 수용부(112)는 몸체부(110)의 표면 중 일부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함입된 공간일 수 있다.
제1 서브 수용부(112)를 형성하는 몸체부(110)의 표면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약품(D2)은 종이 또는 비닐 재질로 형성된 약품 봉지에 담겨진 상태일 수 있으며, 분말이거나 분말이 응집된 정제일 수 있다.
또한, 복약지시서(T)는 제1 약품(D1)의 제1 복약 정보(I) 및 제2 약품(D2)의 제2 복약 정보(I) 중 하나 이상이 기재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덮개부(130)가 개폐되는 경우, 덮개부(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된 힌지 파이프(113)를 상부 후면에 더 구비할 수 있다.
힌지 파이프(113)는 덮개부(130)의 하부 후면에 형성된 힌지 핀(133)이 삽입되어 힌지 핀(133)과 힌지 겹합됨으로써, 덮개부(130)가 몸체부(110)의 상부를 개폐하는데 있어서 회전 축이 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상부 전면에 함입되어 형성된 제1 결합부(114)를 구비하고, 제1 결합부(114)는 돌출 형성된 제1 결합 돌기(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114')는 덮개부(130)의 하부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결합부(134)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결합 돌기(134')와 걸림 결합되어 몸체부(110)의 상부에 덮개부(130)가 덮어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몸체부(110)는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내부 온도에 대응하여 색깔이 변화하는 온도 표시부(1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표시부(116)는 미리 정해진 온도 범위에 따라 색깔이 변화하는 시온 안료가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120)는 제1 메인 수용부(1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메인 수용부(111)에 수용되지 않은 제1 약품(D1)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부(120)는 제1 약품(D1)이 제1 메인 수용부(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부가 제1 메인 수용부(11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제1 메인 수용부(111)의 외부로 돌출된 제1 약품(D1)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부(120)는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가 뚫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의 외주 형상이 제1 메인 수용부(111)를 둘러싸는 온도조절부(115)의 상부 내주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홀더부(120)에 둘러싸인 제1 약품(D1)과 홀더부(120)가 수용되는 제2 메인 수용부(131)를 구비하고, 몸체부(1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개폐되는 경우, 몸체부(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된 힌지 핀(133)을 하부 후면에 더 구비할 수 있다.
힌지 핀(133)은 힌지 파이프(113)에 삽입되어 힌지 파이프(113)와 흰지 겹합됨으로써, 덮개부(130)가 몸체부(110)의 상부를 개폐하는데 있어서 회전 축이 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하부 전면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결합부(134)를 더 구비하고, 제2 결합부(134)는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결합 돌기(13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134')는 덮개부(130)가 몸체부(110) 상부에 덮어지는 경우, 제1 결합 돌기(114')와 걸림 결합되어 몸체부(110)의 상부에 덮개부(130)가 덮어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134')는 제2 결합부(134)에 전면을 향하는 외력이 인가되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제2 결합부(134)가 전면을 향해 휘어져 제1 결합 돌기(114')와의 걸림 결합이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제1 서브 수용부(112)에 수용되지 않은 제2 약품(D2) 및 복약지시서를 수용하는 제2 서브 수용부(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덮개부(130)는 상부 후면에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회전되는 손잡이부(1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부(135)는 회전되어 덮개부(130)에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손잡이부(135)가 덮개부(13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손잡이부(135)가 파지될 수 있다.
표식부(14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약품(D1)의 제1 복약 정보(I) 및 제2 약품(D2)의 제2 복약 정보(I)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식부(140)는 몸체부(110)에 체결된 와이어(141)를 구비하고, 와이어(141)는 표식부(140) 내부에 권취 고정되어 사용자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표식부(140)는 전면에 제1 복약 정보(I) 및 제2 복약 정보(I)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거나 개재할 수 있는 표시창(14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창(142)은 디스플레이 모듈이거나 제1 복약 정보(I) 및 제2 복약 정보(I) 중 하나 이상이 기재된 안내문을 개재할 수 있는 소형 게시판일 수 있다.
센싱부(150)는 제1 약품(D1)의 제1 무게 정보 및 제2 약품(D2)의 제2 무게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50)는 냉매의 냉매 온도 및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50)는 제1 메인 수용부(111)와 제1 서브 수용부(112) 각각에 배치되는 무게 센서 및 온도조절부(115)와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최외곽 표면 각각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센싱부(110), 통신부(170) 및 저장부(18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6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100)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제1 무게 정보 및 제1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약품(D1)에 대한 복약 지시 준수 여부를 판단하고, 제2 무게 정보 및 제2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약품(D2)에 대한 복약 지시 준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약품(D1)의 제1 복약 시간대 정보 및 제2 약품(D2)의 제2 복약 시간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복약 시간대에 대응하는 제1 약품(D1)의 제1 복용량 정보 및 제2 복약 시간대에 대응하는 제2 약품(D2)의 제2 복용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제1 복약 시간대의 시작 시점의 제1 무게 정보와 제1 복약 시간대의 종료 시점의 제1 무게 정보 간의 제1 무게차 정보를 산출하고, 제1 무게차 정보가 제1 복용량 정보 미만이면 제1 약품(D1)에 대한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복약 시간대의 시작 시점의 제2 무게 정보와 제2 복약 시간대의 종료 시점의 제2 무게 정보 간의 제2 무게차 정보를 산출하고, 제2 무게차 정보가 제2 복용량 정보 미만이면 제2 약품(D2)에 대한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복약 정보 및 제2 복약 정보는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약 지시 미준수 알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냉매 온도, 외부 온도, 제1 약품(D1)의 보관 가능한 온도 범위를 나타내는 제1 약품 보관 기준 온도 범위에 기초하여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냉매의 냉매 무게와 외부 온도 별로 시간에 따른 냉매 온도가 매핑된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온도 데이터 중에서 온도조절부(115)에 주입된 냉매(115')의 냉매의 냉매 무게와 센싱부(150)로부터 측정된 외부 온도에 대응되는 온도 데이터를 선별 온도 데이터로 선별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60)는 선별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의 제1 시점으로부터 냉매 온도가 제1 약품 보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제2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미리 정해진 생성 주기마다 외부 온도를 재측정하여 상술된 선별 온도 데이터의 선별 과정과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의 생성 과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미만이거나, 현재의 제1 시점으로부터 약품 보관 가능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이 경과된 경과 시점이 미리 설정된 보관 종료 시점을 초과하는 경우, 보관 온도 위험 알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범용 통신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사용자 단말, 약품 관리 서버 중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70)는 범용 통신을 수행하는 범용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범용 통신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이거나,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근거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한 통신 방식이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적외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70)는 외부로부터 온도 데이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미리 설정된 보관 종료 시점 및 제1 약품 보관 기준 온도 범위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 복약 지시 미준수 알림 신호 및 보관 온도 위험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80)에는 프로세서(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110: 몸체부
120: 홀더부
130: 덮개부
140: 표식부
150: 센싱부
160: 프로세서
170: 통신부
180: 저장부

Claims (6)

  1. 제1 약품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메인 수용부 및 냉매가 주입되어 상기 제1 메인 수용부를 둘러 싸도록 형성된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메인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인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제1 약품을 둘러 싸도록 형성된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둘러싸인 상기 제1 약품과 상기 홀더부가 수용되는 제2 메인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2 약품 및 복약지시서 중 하나 이상의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서브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서브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은 상기 제2 약품 및 상기 복약지시서를 수용하는 제2 서브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약 정보 및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품의 제1 무게 정보 및 제2 약품의 제2 무게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무게 정보 및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 준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무게 정보 및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 준수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약 시간대 정보 및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약 시간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고, 상기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복약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약품의 제1 복용량 정보 및 상기 제2 복약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약품의 제2 복용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복약 시간대의 시작 시점의 상기 제1 무게 정보와 상기 제1 복약 시간대의 종료 시점의 상기 제1 무게 정보 간의 제1 무게차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무게차 정보가 상기 제1 복용량 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1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복약 시간대의 시작 시점의 상기 제2 무게 정보와 상기 제2 복약 시간대의 종료 시점의 상기 제2 무게 정보 간의 제2 무게차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2 무게차 정보가 상기 제2 복용량 정보 미만이면 상기 제2 약품에 대한 복약 지시가 미준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KR1020200012816A 2020-02-03 2020-02-03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Active KR10216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816A KR102162200B1 (ko) 2020-02-03 2020-02-03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816A KR102162200B1 (ko) 2020-02-03 2020-02-03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200B1 true KR102162200B1 (ko) 2020-10-08

Family

ID=7289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816A Active KR102162200B1 (ko) 2020-02-03 2020-02-03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2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30B1 (ko) * 2014-01-21 2014-08-11 주식회사 예진 복용 시를 알리는 천연염색된 휴대용 약 보관장치
KR20150101740A (ko) * 2014-02-27 2015-09-04 뤼프게스 페테르 휴대가능한 약제용 온도 조절 장치
KR101840299B1 (ko) * 2017-02-09 2018-03-20 주식회사 리앤원 휴대용 약 보관용기
KR20190047566A (ko)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스마트 의약품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30B1 (ko) * 2014-01-21 2014-08-11 주식회사 예진 복용 시를 알리는 천연염색된 휴대용 약 보관장치
KR20150101740A (ko) * 2014-02-27 2015-09-04 뤼프게스 페테르 휴대가능한 약제용 온도 조절 장치
KR101840299B1 (ko) * 2017-02-09 2018-03-20 주식회사 리앤원 휴대용 약 보관용기
KR20190047566A (ko)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스마트 의약품 보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0635B2 (e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KR102077901B1 (ko) 약물 전달 장치
US87252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onitoring of daily dispensing of medication
US20190167902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Control of Medical Devices
US10195343B2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control of medical devices
KR101874328B1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040030068A (ko) 의료 데이타 정보의 통신을 위한 휴대용 장치 및 방법
US1222732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CA2900205C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control of medical devices
US20150254427A1 (en) Medication Adherence System for and Method of Monitoring a Patient Medication Adherence and Facilitating Dose Reminders
US20150360834A1 (en) Pill Bottle Lid Incorporating Audible Messaging Device, and Pairing Thereof with External Devices for Dosage Reminder and Conflict Checking Purposes
US20140228783A1 (en) Eye drop dispenser
US20170326033A1 (en) Portable drug dispenser
US20120165975A1 (en) Medication Compliance Monitor - Method and Apparatus
US11626197B2 (en) System and process for monitoring medication dosage
KR102251789B1 (ko) 스마트 복약 관리 시스템
US20220362467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control of medical devices
KR102162200B1 (ko)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KR20190009712A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KR20180010157A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US11045349B2 (en) Device for measuring and improving adherence of eye drops
KR20170091497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내용물 기구 및 복약 관리 장치
JP7155141B2 (ja) 医療装置、プログラミング装置、無線端末、および医療システム
KR20220095570A (ko) IoT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KR20160076154A (ko) 스마트 텀블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