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686B1 -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1686B1 KR102141686B1 KR1020190010861A KR20190010861A KR102141686B1 KR 102141686 B1 KR102141686 B1 KR 102141686B1 KR 1020190010861 A KR1020190010861 A KR 1020190010861A KR 20190010861 A KR20190010861 A KR 20190010861A KR 102141686 B1 KR102141686 B1 KR 102141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vinyl
- waste
- melting
- vinyl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7—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 B29C48/274—Cleaning; Purging; Avoiding contamination of the extrud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0—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plasticising zone, e.g. by heating cylinders
- B29C48/802—He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 Y02W30/6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는 수집된 폐비닐의 분쇄, 세척, 탈수하는 전처리공정을 거친 폐비닐을 저장하는 원료보관기; 상기 원료보관기로부터 이송되어 일측에서 투입된 폐비닐을 압출이송 과정으로 탈수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잔여 수분이 제거된 폐비닐을 용융 및 커팅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수분제거기; 상기 수분제거기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서로 소통되는 제1 용융영역 및 제2 용융영역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1차 용융 및 2차 용융을 수행하는 2단 압출기; 상기 2단 압출기의 제2 용융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된 폐비닐이 여과공간 내부로 공급될 때 이물질 및 폐비닐을 분리 여과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여과기; 상기 여과기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냉각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냉각기; 상기 냉각기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건조 및 커팅하여 일정 크기의 펠렛으로 성형하는 펠렛성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순물 및 이물질이 없는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 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부력을 이용하여 각종 수산물 양식에 필요한 시설이나 부교 등의 부상 시설물을 물 위에 띄우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며, 통상 스티로폼으로 성형한 원통형의 스티로폼의 외주면에 마대를 감아 끈으로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스티로폼으로 제작되는 부표는 재질이 연약하고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조류나 파도, 작업선 등의 외부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쉽게 부스러지고, 강한 자외선에 의해 조직이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며, 파손된 스티로폼이 수면 위로 부유하여 심각한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부표 사용시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부표가 제작 및 보급되어 친환경 부표를 통하여 연안어장의 스티로폼 부표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 및 안전한 수산물 공급기반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친환경 부표 제품은 스티로폼을 내부에 넣고 외부를 감싸는 형식의 속이 찬 부표와, 내부를 비워 놓고 사출 등으로 제품을 성형하는 속이 빈 부표 등으로 나뉘는데, 향후 스티로폼 자체 사용금지 등의 정부 추진 방향을 감안해 현재 사용중인 스티로폼 대체재를 개발하는 쪽으로 방향이 설정되어 추진되고 있다.
친환경 부표의 제작시 비드 형태의 펠렛 원료를 사용하게 되는데, 친환경 부표의 제작에 있어서, 펠렛 원료의 품질은 제작되는 친환경 부표의 품질을 좌우하므로 펠렛 원료의 품질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펠렛 원료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펠렛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불순물 등이 제거된 고품질의 폐비닐 원료를 얻을 수 있고, 생산된 고품질의 원료로 펠렛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친환경 부표의 제조를 위한 불순물 및 이물질이 없는 친환경 펠렛 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는 수집된 폐비닐의 분쇄, 세척, 탈수하는 전처리공정을 거친 폐비닐을 저장하는 원료보관기; 상기 원료보관기로부터 이송되어 일측에서 투입된 폐비닐을 압출이송 과정으로 탈수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잔여 수분이 제거된 폐비닐을 용융 및 커팅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수분제거기; 상기 수분제거기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서로 소통되는 제1 용융영역 및 제2 용융영역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1차 용융 및 2차 용융을 수행하는 2단 압출기; 상기 2단 압출기의 제2 용융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된 폐비닐이 여과공간 내부로 공급될 때 이물질 및 폐비닐을 분리 여과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여과기; 상기 여과기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냉각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냉각기; 상기 냉각기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건조 및 커팅하여 일정 크기의 펠렛으로 성형하는 펠렛성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제거기는, 폐비닐이 투입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와 소통되며 상기 호퍼부로부터 폐비닐이 공급되며 말단부에 물배출구멍이 구비되는 제1 폐비닐수용관,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으로 투입된 폐비닐을 압출 이송하는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에서 폐비닐이 압출 이송될 때 상기 물배출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를 통해 상기 호퍼부로부터 투입되는 폐비닐을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 내부에서 압출 이송하면서 폐비닐을 탈수시키는 탈수부;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의 내부와 소통하는 제2 폐비닐수용관, 상기 제2 폐비닐수용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의 말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폐비닐이송스크류, 상기 제2 폐비닐수용관의 일부길이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폐비닐수용관 내부에서 이송되는 폐비닐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폐비닐이송스크류가 폐비닐을 압출 이송하면서 상기 히터가 폐비닐을 가열하여서 폐비닐이 압출 및 용융되도록 하는 폐비닐용융부; 상기 폐비닐용융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폐비닐용융부에서 용융되어 배출되는 폐비닐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폐비닐컷팅부; 상기 폐비닐컷팅부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폐비닐컷팅부로부터 컷팅되어 낙하되는 폐비닐을 수용하는 폐비닐수용공간, 상기 폐비닐수용공간의 일측에서 상기 폐비닐수용공간에 관통되는 폐비닐배출관, 상기 폐비닐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폐비닐수용공간에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폐비닐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폐비닐이 상기 폐비닐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폐비닐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비닐배출관은 상기 2단 압출기의 제1 용융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은 수집된 폐비닐의 분쇄, 세척, 탈수하는 전처리공정 후 폐비닐을 원료보관기에 저장하는 단계; 탈수된 폐비닐을 압출이송 과정으로 추가로 탈수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잔여 수분이 제거된 폐비닐을 용융 및 커팅하는 폐비닐탈수단계; 커팅된 폐비닐을 서로 소통되는 제1 용융영역 및 제2 용융영역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1차 용융 및 2차 용융을 수행하는 폐비닐용융단계; 용융된 폐비닐 및 이물질을 분리 여과하는 이물질여과단계; 이물질과 분리된 폐비닐을 냉각하는 폐비닐냉각단계; 및 냉각된 폐비닐을 건조 및 커팅하여 일정 크기의 펠렛으로 성형하는 펠렛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폐비닐을 다수 단계로 용융 및 여과하므로 불순물 등이 제거된 고품질의 폐비닐 원료를 얻을 수 있고, 생산된 고품질의 원료로 펠렛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친환경 부표의 제조를 위한 불순물 및 이물질이 없는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 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율 및 생산량이 향상되고, 높은 물성이 확보되는 펠렛의 제조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분제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2단 압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의 2단 압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용융검사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용융검사부의 외관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분제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2단 압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의 2단 압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용융검사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용융검사부의 외관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분제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2단 압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는 원료보관기(100), 수분제거기(200), 2단 압출기(300), 여과기(400), 냉각기(500), 펠렛성형기(600)를 포함한다.
원료보관기(100)는 수집된 폐비닐의 분쇄, 세척, 탈수하는 전처리공정을 거친 폐비닐을 저장한다.
수분제거기(200)는 원료보관기(100)로부터 이송되어 일측에서 투입된 폐비닐을 압출이송 과정으로 탈수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잔여 수분이 제거된 폐비닐을 용융 및 커팅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
수분제거기(200)는 호퍼부(210), 탈수부(220), 폐비닐용융부(230), 폐비닐컷팅부(240), 폐비닐이송부(250)를 포함한다.
호퍼부(210)는 원료보관기(100)와 연결되어 원료보관기(100)로부터 폐비닐이 투입된다. 원료보관기(100)로부터 폐비닐을 호퍼부(210)로 투입시키는 수단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호퍼부(210) 및 원료보관기(100) 사이에 이송컨베이어를 설치하여 폐비닐을 공급할 수 있다.
탈수부(220)는 호퍼부(210)와 소통되며 상기 호퍼부(210)로부터 폐비닐이 공급되며 말단부에 물배출구멍(221a)이 구비되는 제1 폐비닐수용관(221),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으로 투입된 폐비닐을 압출 이송하는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222),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에서 폐비닐이 압출 이송될 때 상기 물배출구멍(221a)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223)를 포함한다. 물수용부(223)에는 물배출호스(미도시)가 연결된다. 이러한 탈수부(220)는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222)를 통해 상기 호퍼부(210)로부터 투입되는 폐비닐을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 내부에서 압출 이송하면서 폐비닐을 탈수한다. 이때, 폐비닐의 탈수에 의한 물은 물배출구멍(221a)을 통해 물수용부(223)로 낙하되어 물수용부(223)로 배출되며, 물수용부(223)로 배출된 물은 물배출호스를 통해 배출된다.
폐비닐용융부(230)는 제1 폐비닐수용관(221)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의 내부와 소통하는 제2 폐비닐수용관(231), 상기 제2 폐비닐수용관(231)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222)의 말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222)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폐비닐이송스크류(232), 상기 제2 폐비닐수용관(231)의 일부길이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폐비닐수용관(231) 내부에서 이송되는 폐비닐을 가열하는 히터(233)를 포함한다. 제1 폐비닐수용관(221) 및 제2 폐비닐수용관(231)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222) 및 제2 폐비닐이송스크류(232)는 연결축(미도시)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폐비닐용융부(230)는 제2 폐비닐수용관(231) 내에서 제2 폐비닐이송스크류(232)가 폐비닐을 압출 이송하면서 히터(233)가 폐비닐을 가열하여서 폐비닐이 압출 및 용융되도록 한다.
폐비닐컷팅부(240)는 폐비닐용융부(230)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폐비닐용융부(230)에서 용융되어 배출되는 폐비닐을 일정 길이로 절단한다.
폐비닐이송부(250)는 폐비닐컷팅부(240)의 아래에 배치된다. 폐비닐이송부(250)는 폐비닐컷팅부(240)로부터 컷팅되어 낙하되는 폐비닐을 수용하는 폐비닐수용공간(251), 상기 폐비닐수용공간(251)의 일측에서 상기 폐비닐수용공간(251)에 관통되는 폐비닐배출관(252), 상기 폐비닐수용공간(251) 내에 배치되어 상기 폐비닐수용공간(251)에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폐비닐수용공간(251)에 수용되는 폐비닐이 상기 폐비닐배출관(25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기(253)를 포함한다. 폐비닐배출관(252)은 2단 압출기(300)의 제1 용융영역(311)에 연결된다. 이러한 폐비닐이송부(250)는 폐비닐수용공간(251)에 폐비닐이 수용되면 송풍기(253)에 의한 바람에 의해 폐비닐은 폐비닐이송부(250) 내에서 비산되고, 폐비닐이 비산되는 과정에서 폐비닐배출관(252)으로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폐비닐배출관(252)으로 배출될 수 있다.
2단 압출기(300)는 상기 수분제거기(200)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서로 소통되는 제1 용융영역(311) 및 제2 용융영역(313)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1차 용융 및 2차 용융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2단 압출기(300)는 배럴(310), 호퍼(320), 스크류(330), 구동모터(340), 제1 용융수지가이드부(350), 제1 여과기(360), 제2 용융수지가이드부(370) 및 제2 여과기(380)를 포함한다.
배럴(310)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스크류(330)를 수용한다. 배럴(310)은 제1 용융영역(311), 스크류삽입블록부(312), 제2 용융영역(313)을 포함한다. 제1 용융영역(311)은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원료 수지가 1차로 용융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스크류삽입블록부(312)는 제1 용융영역(311)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2 용융영역(313)은 스크류삽입블록부(312)의 후방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원료 수지가 2차로 용융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류삽입블록부(312)의 중앙에는 스크류(330)의 후술하는 중간매개부(333)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된다.
호퍼(320)는 제1 용융영역(311)에 연결되어 제1 용융영역(311)으로 원료 수지를 공급한다.
스크류(330)는 배럴(310) 내에 삽입되어 호퍼(320)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 수지를 압출 용융되도록 한다. 스크류(330)는 제1 용융영역(311)으로부터 제2 용융영역(313)까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스크류(330)는 제1 압출이송부(331), 제2 압출이송부(332) 및 중간매개부(333)를 포함한다. 제1 압출이송부(331)는 제1 용융영역(311) 내에 삽입되며, 제1 이송날개(3311)를 포함한다. 제2 압출이송부(332)는 제2 용융영역(313) 내에 삽입되며 제2 이송날개(3321)를 포함한다. 중간매개부(333)는 제1 압출이송부(331) 및 제2 압출이송부(332) 사이에 위치하고, 스크류삽입블록부(312) 내로 삽입된다.
구동모터(340)는 스크류(330)에 연결, 즉 스크류(330)의 제1 압출이송부(331)의 단부에 연결되어 스크류(330)를 회전시킨다.
제1 용융수지가이드부(350)는 스크류삽입블록부(312)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1 용융영역(311)에 연결되고, 제1 용융영역(311)에서 용융되어 이송되는 용융수지가 제1 용융영역(311)의 외부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며, 관 형태로 구비된다. 일 예로, 제1 용융수지가이드부(350)는 제1 용융영역(311)에 연결되는 수직연장부(351) 및 수직연장부(35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꺽인 수평연장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융수지는 제1 용융영역(311)에서 원료 수지가 가열 용융된 상태를 의미한다.
제1 여과기(360)는 제1 용융수지가이드부(350)의 관의 단부, 즉 수평연장부(352)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용융수지가이드부(350)에서 이송되는 용융수지를 여과한다. 예를 들어, 제1 용융수지가이드부(350)에서 이송되는 용융수지 내의 용융되지 않은 수지입자, 용융수지에 포함된 불순물, 열에 의해 탄화된 수지찌꺼기를 여과할 수 있다.
제2 용융수지가이드부(370)는 제1 여과기(360)의 출구측으로부터 제2 용융영역(313)으로 연장되어 제1 여과기(360) 및 제2 용융영역(313) 사이에 연결되며, 제1 여과기(360)를 통과한 용융수지가 제2 용융영역(313)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고, 관 형태로 구비된다.
제2 여과기(380)는 제2 용융영역(313)의 끝단부, 즉 제2 용융영역(313)에서 용융수지가 배출되는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용융영역(313)에서 용융되어 배출되는 용융수지를 여과한다. 예를 들어, 제2 용융영역(313)에서 배출되는 용융수지 내의 용융되지 않은 수지입자, 용융수지에 포함된 불순물, 열에 의해 탄화된 수지찌꺼기를 여과할 수 있다.
여과기(400)는 2단 압출기(300)의 제2 용융영역(313)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된 폐비닐이 여과공간 내부로 공급될 때 이물질 및 폐비닐을 분리 여과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여과기(400)의 내부에는 메쉬타입의 벨트를 구비하는 이송컨베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용융영역(313)으로부터 폐비닐과 함께 흙과 같은 폐비닐보다 무거운 이물질이 공급되는 경우 이물질은 메쉬타입의 벨트 상에서 낙하되는 형태로 여과될 수 있다.
냉각기(500)는 여과기(400)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냉각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 일 예로, 냉각기(500)는 냉각수가 저장된 냉각수조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냉각수는 펠렛성형기(600)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펠렛성형기(600)는 냉각기(500)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건조 및 커팅하여 일정 크기의 펠렛으로 성형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예로, 펠렛성형기(600)는 챔버, 챔버 내에 구비되는 열풍기, 챔버 내에 구비되어 폐비닐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챔버의 외부에 배치되어 챔버로부터 인출되는 폐비닐을 컷팅하는 컷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열풍기는 챔버 내에 더운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더운 공기는 폐비닐이 녹지 않을 만큼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은 수집된 폐비닐의 분쇄, 세척, 탈수하는 전처리공정 후 폐비닐을 원료보관기에 저장하는 원료저장단계(S110); 탈수된 폐비닐을 압출이송 과정으로 추가로 탈수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잔여 수분이 제거된 폐비닐을 용융 및 커팅하는 폐비닐탈수단계(S120); 커팅된 폐비닐을 서로 소통되는 제1 용융영역(311) 및 제2 용융영역(313)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1차 용융 및 2차 용융을 수행하는 폐비닐용융단계(S130); 용융된 폐비닐 및 이물질을 분리 여과하는 이물질여과단계(S140); 이물질과 분리된 폐비닐을 냉각하는 폐비닐냉각단계(S150); 및 냉각된 폐비닐을 건조 및 커팅하여 일정 크기의 펠렛으로 성형하는 펠렛성형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폐비닐탈수단계(S120)에서, 원료보관기(100)로부터 폐비닐이 수분제거기(200)의 호퍼부(210)로 공급되고, 호퍼부(210)로 투입된 폐비닐은 탈수부(220)로 투입된다. 탈수부(220)로 투입된 폐비닐은 제1 폐비닐수용관(221)의 내부에서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222)를 통해 폐비닐용융부(230) 방향으로 압출 이송되면서 탈수되고, 이때 탈수에 의한 물은 제1 폐비닐수용관(221)에 구비되는 물배출구멍(221a)을 통해 물수용부(223)로 배출된다. 이어서, 폐비닐은 폐비닐용융부(230)의 제2 폐비닐수용관(231)의 내부로 공급되고, 제2 폐비닐수용관(231) 내부에서 제2 폐비닐이송스크류(232)를 통해 압출 이송되고, 이때 폐비닐은 히터(233)에 의해 용융된다. 용융된 폐비닐은 폐비닐컷팅부(240)로 이송되면서 폐비닐컷팅부(240)에 의해 일정 길이로 커팅된 후 폐비닐이송부(250)로 공급된다. 폐비닐이송부(250)로 공급된 폐비닐은 송풍기(253)에 의해 폐비닐수용공간(251) 내에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폐비닐수용공간(251) 내에 비산되고, 바람이 폐비닐배출관(252)으로 배출될 때 바람에 의해 폐비닐배출관(252)으로 배출되어 2단 압출기(300)의 제1 용융영역(311)으로 공급된다.
폐비닐용융단계(S130)에서, 먼저, 호퍼(320)를 통해 폐비닐이 배럴(310)의 제1 용융영역(311) 내로 투입된다. 이때, 스크류(330)는 구동모터(340)에 의해 회전된다.
배럴(310) 내로 투입된 폐비닐은 회전하는 스크류(330)에 의해 용융되면서 이송된다. 즉, 폐비닐은 제1 용융영역(311)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330)의 제1 압출이송부(331) 및 배럴(310)에 의해 가열 및 압출되면서 용융되어 배럴(310)의 스크류삽입블록부(312) 방향으로 이송된다.
용융되어 이송되는 폐비닐이 스크류삽입블록부(312)까지 이송되면 스크류삽입블록부(312)는 밀폐되어 있으므로 스크류(330)에 의한 압출 이송 압력에 의해 제1 용융수지가이드부(35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제1 용융수지가이드부(350)를 통해 제1 여과기(360)를 향해 이송된다.
제1 용융수지가이드부(350)에서 이송되는 폐비닐은 제1 여과기(360)를 통과하여 제2 용융수지가이드부(37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폐비닐 내의 불순물 등이 1차 여과된다.
제2 용융수지가이드부(370)로 유입된 1차 용융된 폐비닐은 제2 용융수지가이드부(370)를 따라 배럴(310)의 제2 용융영역(313)으로 이동하여 제2 용융영역(313)에 수용된다.
제2 용융영역(313)에 수용된 1차 용융된 폐비닐은 제2 용융영역(313) 내에서 2차 용융된다. 즉, 제2 용융영역(313) 내에 수용된 폐비닐은 스크류(330)의 제1 압출이송부(331) 및 배럴(310)에 의해 가열 및 압출되면서 용융되어 제2 여과기(380)를 향해 이송된다.
제2 용융영역(313) 내에서 2차 용융되는 폐비닐이 제2 용융영역(313) 끝에 도달하면 스크류(330)의 압출 이송 압력에 의해 제2 여과기(380)로 유입되고, 제2 여과기(380)에서 폐비닐 내의 불순물 등이 2차 여과된다.
2단 압출기를 이용하면 투입된 폐비닐이 순차적으로 1차 용융, 1차 여과, 2차 용융 및 2차 여과 과정이 진행되므로 불순물 등이 제거된 고품질의 폐비닐, 즉 원료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물질여과단계(S140)에서, 2단 압출기(300)로부터 용융된 폐비닐이 여과기(400)로 공급되며, 여과기(400)에서 폐비닐 및 이물질이 분리된다.
폐비닐냉각단계(S150)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폐비닐이 냉각되면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폐비닐은 냉각수조에 저장된 냉각수를 통해 냉각 및 이송될 수 있다.
펠렛성형단계(S160)에서,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폐비닐은 펠렛성형기(600)의 챔버 내로 공급되어 열풍에 의해 건조된 후 챔버로부터 인출되면서 일정 길이로 컷팅되어 펠렛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폐비닐을 다수 단계로 용융 및 여과하므로 불순물 등이 제거된 고품질의 폐비닐원료를 얻을 수 있고, 생산된 고품질의 원료로 펠렛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친환경 부표의 제조를 위한 불순물 및 이물질이 없는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 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율 및 생산량이 향상되고, 높은 물성이 확보되는 펠렛의 제조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의 2단 압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용융검사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용융검사부의 외관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는 2단 압출기(300)가 용융검사부(391), 디스플레이부(392), 제어부(3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융검사부(391)는 투시창(3911), 카메라가이드부재(3912), 카메라이동부재(3913) 및 카메라(3914)를 포함한다.
투시창(3911)은 배럴(3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고, 제1 용융영역(311)의 길이의 일부 구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용융영역(311)의 원주 방향 전체에 대하여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투시창(3911)은 강화유리일 수 있고, 투시창(3911)은 배럴(310)에 가해지는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투시창(3911)의 단부와 투시창(3911)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용융영역(311)의 단부 사이에 단열재가 개재되어 직접적인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가이드부재(3912)는 투시창(3911)으로부터 원주면이 이격되는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며, 투시창(3911)을 에워싸도록 상기 배럴(310) 상에 구비된다. 또한, 카메라가이드부재(3912)는 원주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개구되는 원형슬릿(3912a) 및 원형슬릿(3912a)의 양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레일(3912b)을 포함한다.
카메라이동부재(3913)는 카메라(3914)를 배럴(3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가이드부재(3912)의 원통 형상의 원주면 상에 구비되어서 카메라가이드부재(39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카메라이동부재(3913)는 카메라장착부(39131), 톱니레일(39132), 이동모터(39133), 이동기어(39134)를 포함한다.
카메라장착부(39131)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며, 플레이트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롤러(39131a) 및 제2 롤러(39131b)를 포함하고, 제1 롤러(39131a) 및 제2 롤러(39131b)가 한 쌍의 롤러레일(3912b) 상에 안착되도록 원형슬릿(3912a) 위로 배치된다. 이러한 카메라장착부(39131)의 저면에는 카메라(3914)가 고정되며, 이때 카메라(3914)는 카메라가이드부재(3912)의 원통 형상의 내부에 위치한다.
톱니레일(39132)은 카메라장착부(39131)와 이격되도록 카메라가이드부재(3912)의 원주면의 일측에 구비되며, 카메라가이드부재(39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톱니가 나열되어 있다.
이동모터(39133)는 카메라장착부(39131)의 상면에 고정되고, 구동축(39133a)이 톱니레일(39132)을 향하도록 카메라장착부(39131)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동기어(39134)는 이동모터(39133)의 구동축(39133a)에 결합되어 톱니레일(39132)에 치합되고, 이동모터(39133)가 구동되어 구동축(39133a)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톱니레일(39132) 상에서 회전하면 톱니레일(39132)을 따라 이동하여 이동모터(39133) 및 카메라장착부(39131)가 카메라가이드부재(39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392)는 카메라(3914)를 통해 촬영되는 용융수지의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392)는 LCD일 수 있다.
제어부(393)는 이미지획득부(3931), 용융수지분석부(3932), 모터제어부(3933)를 포함한다.
이미지획득부(3931)는 카메라(3914)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카메라(3914)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으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한다. 일 예로, 이미지획득부(3931)는 RAM 카드일 수 있다.
용융수지분석부(3932)는 이미지획득부(3931)를 통해 획득된 용융수지이미지를 스캔 및 분석한다. 일 예로, 용융수지분석부(3932)는 분석 프로그램이 저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미지의 분석은 획득된 이미지 내의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알갱이이미지에 대한 획득된 이미지 크기 내에서의 분포도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의 이미지 크기를 다수의 구획으로 나누고, 각 구획에서의 알갱이이미지 유무를 확인하여 알갱이이미지의 분포도를 확인 및 판단할 수 있고, 분포도를 퍼센트(%) 단위로 출력할 수 있다.
모터제어부(3933)는 스크류(33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용융수지분석부(393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4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모터제어부(3933)에는 상기 알갱이이미지의 분포도와 비교하기 위한 설정값이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설정값은 50%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의 2단 압출기(300)에서 용융검사부(391)를 통해 스크류(330)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원료 수지가 순차적으로 1차 용융, 1차 여과, 2차 용융 및 2차 여과 과정이 진행되는 중에 용융검사부(391)는 배럴(310)의 제1 용융영역(311)에서 용융되는 용융수지의 상태를 검사한다.
즉, 이동모터(39133)가 구동되어 구동축(39133a)이 회전되면 이동기어(39134)가 회전한다. 회전하는 이동기어(39134)는 톱니레일(39132) 상에서 회전하므로 톱니레일(3913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톱니레일(39132)과 함께 이동모터(39133), 카메라장착부(39131) 및 카메라장착부(39131)에 고정된 카메라(3914)가 이동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3914)는 배럴(3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카메라(3914)는 투시창(3911)을 통해 투시되는 용융수지를 촬영한다.
카메라(3914)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392)에 디스플레이되고, 촬영영상은 실시간으로 이미지획득부(3931)로 전송되어 저장되며, 이미지획득부(3931)는 촬영영상으로부터 일정 크기의 용융수지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용융수지이미지는 용융수지분석부(3932)를 통해 분석된 후, 모터제어부(3933)로 전송된다.
용융수지분석부(3932)로부터 출력된 알갱이이미지의 분포도가 50% 미만인 경우 현재의 스크류(330)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고, 출력된 알갱이이미지 분포도가 50% 이상인 경우 모터제어부(3933)는 스크류(33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다. 스크류(33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면 배럴(310) 내 용융온도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용융되지 않은 수지 알갱이, 즉 폐비닐이 용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압출기를 이용하면 원료 수지를 용융하는 과정에서 즉시 용융효율을 높여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폐비닐을 이용한 원료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의 수분제거기(200)의 탈수부(220)의 제1 폐비닐수용관(221) 및 폐비닐용융부(230)의 제2 폐비닐수용관(231)의 내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오염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암포디글리시네이트와 솔비톨 에스테르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암포디글리시네이트 및 솔비톨 에스테르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암포디글리시네이트 0.1 몰 및 솔비톨 에스테르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의 수분제거기(200)의 탈수부(220)의 물수용부(223)의 내면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20중량%, 옥시카르복시산엽 15중량%, 이미다졸린 티온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25중량%, 디글리시딜 아닐린 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7㎛로 형성할 수 있다.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옥시카르복시산엽, 이미다졸린 티온 및 디글리시딜 아닐린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원료보관기 200 : 수분제거기
300 : 2단 압출기 400 : 여과기
500 : 냉각기 600 : 펠렛성형기
300 : 2단 압출기 400 : 여과기
500 : 냉각기 600 : 펠렛성형기
Claims (3)
- 수집된 폐비닐의 분쇄, 세척, 탈수하는 전처리공정을 거친 폐비닐을 저장하는 원료보관기(100);
상기 원료보관기(100)로부터 이송되어 일측에서 투입된 폐비닐을 압출이송 과정으로 탈수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잔여 수분이 제거된 폐비닐을 용융 및 커팅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수분제거기(200);
수분제거기(200)에 연결되어서 수분제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폐비닐이 공급되고 내부에 스크류(330)가 수용되며 제1 용융영역(311) 및 제2 용융영역(313)이 형성되는 배럴(310)이 구비되고, 수분제거기(200)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서로 소통되는 배럴(310)의 제1 용융영역(311) 및 제2 용융영역(313)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1차 용융 및 2차 용융을 수행하는 2단 압출기(300);
상기 2단 압출기(300)의 제2 용융영역(313)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융된 폐비닐이 여과공간 내부로 공급될 때 이물질 및 폐비닐을 분리 여과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여과기(400);
상기 여과기(400)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냉각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냉각기(500);
상기 냉각기(500)로부터 이송된 폐비닐을 건조 및 커팅하여 일정 크기의 펠렛으로 성형하는 펠렛성형기(600)를 포함하고;
배럴(310)에는 배럴(31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면서 배럴(310) 내부의 수지의 용융 상태를 촬영하는 용융검사부(391)가 더 구비되며;
용융검사부(391)는,
제1 용융영역(311) 중 한 부분에 위치되고 배럴(310) 둘레에 구비되며 중앙에 원형슬릿(3912a)이 형성되는 카메라가이드부재(3912)와,
카메라가이드부재(3912) 내측의 배럴(310) 사이에 구비되어서 배럴(31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3911)과,
카메라가이드부재(3912)에 설치되고 카메라가이드부재(3912)의 둘레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이동부재(3913)와,
투시창(3911)을 바라보도록 원형슬릿(3912a) 내에 위치되고 카메라이동부재(3913)에 설치되며 카메라이동부재(3913)의 원형슬릿(3912a)를 따라 회전되면서 배럴(310)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39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기(200)는,
폐비닐이 투입되는 호퍼부(210);
상기 호퍼부(210)와 소통되며 상기 호퍼부(210)로부터 폐비닐이 공급되며 말단부에 물배출구멍(221a)이 구비되는 제1 폐비닐수용관(221),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으로 투입된 폐비닐을 압출 이송하는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222),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에서 폐비닐이 압출 이송될 때 상기 물배출구멍(221a)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2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222)를 통해 상기 호퍼부(210)로부터 투입되는 폐비닐을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 내부에서 압출 이송하면서 폐비닐을 탈수시키는 탈수부(220);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폐비닐수용관(221)의 내부와 소통하는 제2 폐비닐수용관(231), 상기 제2 폐비닐수용관(231)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222)의 말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폐비닐이송스크류(222)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폐비닐이송스크류(232), 상기 제2 폐비닐수용관(231)의 일부길이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폐비닐수용관(231) 내부에서 이송되는 폐비닐을 가열하는 히터(2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폐비닐이송스크류(232)가 폐비닐을 압출 이송하면서 상기 히터(233)가 폐비닐을 가열하여서 폐비닐이 압출 및 용융되도록 하는 폐비닐용융부(230);
상기 폐비닐용융부(230)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폐비닐용융부(230)에서 용융되어 배출되는 폐비닐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폐비닐컷팅부(240);
상기 폐비닐컷팅부(240)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폐비닐컷팅부(240)로부터 컷팅되어 낙하되는 폐비닐을 수용하는 폐비닐수용공간(251), 상기 폐비닐수용공간(251)의 일측에서 상기 폐비닐수용공간(251)에 관통되는 폐비닐배출관(252), 상기 폐비닐수용공간(251) 내에 배치되어 상기 폐비닐수용공간(251)에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폐비닐수용공간(251)에 수용되는 폐비닐이 상기 폐비닐배출관(25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기(253)를 포함하는 폐비닐이송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폐비닐배출관(252)은 상기 2단 압출기(300)의 제1 용융영역(3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 청구항 1의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집된 폐비닐의 분쇄, 세척, 탈수하는 전처리공정 후 폐비닐을 원료보관기에 저장하는 원료저장단계(S110);
탈수된 폐비닐을 압출이송 과정으로 추가로 탈수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한 후 잔여 수분이 제거된 폐비닐을 용융 및 커팅하는 폐비닐탈수단계(S120);
커팅된 폐비닐을 서로 소통되는 제1 용융영역(311) 및 제2 용융영역(313)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1차 용융 및 2차 용융을 수행하는 폐비닐용융단계(S130);
용융된 폐비닐 및 이물질을 분리 여과하는 이물질여과단계(S140);
이물질과 분리된 폐비닐을 냉각하는 폐비닐냉각단계(S150); 및
냉각된 폐비닐을 건조 및 커팅하여 일정 크기의 펠렛으로 성형하는 펠렛성형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0861A KR102141686B1 (ko) | 2019-01-29 | 2019-01-29 |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0861A KR102141686B1 (ko) | 2019-01-29 | 2019-01-29 |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1686B1 true KR102141686B1 (ko) | 2020-08-05 |
Family
ID=7204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0861A KR102141686B1 (ko) | 2019-01-29 | 2019-01-29 |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168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2291B1 (ko) * | 2020-09-01 | 2021-03-25 | 주식회사 더쎈 | 폐비닐을 재활용하는 친환경 부구 및 그 부구의 제조 방법 |
KR20230051325A (ko) * | 2021-10-07 | 2023-04-18 | 주식회사 신우산업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펠렛 제조 장치 및 공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5081A (ko) * | 2004-03-24 | 2005-09-29 | 조보헌 | 핫커팅 방식을 채용한 재생 합성수지 펠릿 제조 방법 및그 제조설비 |
KR100974490B1 (ko) * | 2008-02-29 | 2010-08-10 | 안성호 | 폐비닐 재활용 방법 및 장치 |
KR100976340B1 (ko) * | 2010-05-19 | 2010-08-16 | 조규송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
KR101516957B1 (ko) | 2013-05-07 | 2015-06-11 | (주)에리텍 |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
-
2019
- 2019-01-29 KR KR1020190010861A patent/KR1021416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5081A (ko) * | 2004-03-24 | 2005-09-29 | 조보헌 | 핫커팅 방식을 채용한 재생 합성수지 펠릿 제조 방법 및그 제조설비 |
KR100974490B1 (ko) * | 2008-02-29 | 2010-08-10 | 안성호 | 폐비닐 재활용 방법 및 장치 |
KR100976340B1 (ko) * | 2010-05-19 | 2010-08-16 | 조규송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
KR101516957B1 (ko) | 2013-05-07 | 2015-06-11 | (주)에리텍 |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2291B1 (ko) * | 2020-09-01 | 2021-03-25 | 주식회사 더쎈 | 폐비닐을 재활용하는 친환경 부구 및 그 부구의 제조 방법 |
KR20230051325A (ko) * | 2021-10-07 | 2023-04-18 | 주식회사 신우산업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펠렛 제조 장치 및 공정 |
KR102562450B1 (ko) * | 2021-10-07 | 2023-08-04 | 주식회사 신우산업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펠렛 제조 장치 및 공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1686B1 (ko) | 폐비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제조용 펠렛의 제조방법 | |
TWI504673B (zh) | A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a molded product comprising the same | |
KR101810856B1 (ko) | 2축 압출 장치 및 필름 제조 방법 | |
KR19990028207A (ko) | 결정화 가능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무정형의 투명한uv 안정화 판 | |
CN104552972A (zh) | 一种双向拉伸聚乳酸膜片装置 | |
CN101605836A (zh) | 用于制造几乎无表面缺陷的挤塑膜的聚碳酸酯 | |
CA2454927C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kaging band | |
AT506403B1 (de) | Verfahren und anordnung zur vorbehandlung von polymermaterialien | |
CA3138614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compostable, drink straws from polyhydroxyalkanoate material | |
CN115891094A (zh) | 一种废旧塑料薄膜回收制粒装置及方法 | |
KR102096460B1 (ko) | 2단 압출기 | |
CN109020164B (zh) | 高硼硅浮法玻璃成型用锡槽结构 | |
CN110154427A (zh) | 一种pvc薄膜的生产设备 | |
CN113881159A (zh) | 一种pvc薄膜 | |
CN108000912B (zh) | 一种hdpe缠绕管的制造方法 | |
TW201718730A (zh) | 樹脂薄膜之製造方法 | |
OA10662A (fr) | Plaque amorphe transparente en un thermoplastique cristallisable ayant une viscosité standard élevée | |
KR102146406B1 (ko) | 압출제품의 제조방법 | |
WO201903061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MIXED PLASTIC WASTE | |
CN110497594A (zh) | 高档pc光学级片材挤出生产线 | |
CN215039549U (zh) | 一种水溶性pva流延薄膜生产装置 | |
CN212594350U (zh) | 一种用于树脂生产的过滤设备 | |
US8992198B2 (en) | Apparatus for preparing pellet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 |
CN215026141U (zh) | 一种生产紫外线吸收剂的结晶设备 | |
CN207324829U (zh) | 一种热熔胶连续反应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