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023B1 -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5023B1 KR102145023B1 KR1020180145873A KR20180145873A KR102145023B1 KR 102145023 B1 KR102145023 B1 KR 102145023B1 KR 1020180145873 A KR1020180145873 A KR 1020180145873A KR 20180145873 A KR20180145873 A KR 20180145873A KR 102145023 B1 KR102145023 B1 KR 1021450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weed
- extract
- weight
- collagen peptide
- cosmetic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6—Echinodermata, e.g. starfish, sea cucumbers or sea urch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역추출물 또는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류에서 추출한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는 전 세계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일부 아시아지역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이제까지 약 800 여종의 해조류가 밝혀졌으며, 이중 50 여종이 식용으로 사용되고 각종 기능성 식품 원료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한국은 3면의 바다이고 갯벌이 있어 풍부한 바다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조류를 포함한 바다자원의 양식기술이 녹색성장 고부가가치 산업분야로 꾸준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해조류는 단백질(6-42%)과 지방의 함량(1-3%)이 낮고, 탄수화물을(6-74%)을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며, 칼륨, 요오드, 칼슘 등 각종 무기염류와 비타민-A(β-carotene), 비타민 C, niacin 등을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고 있다. 특히, 요오드 함량이 높고 독소배출에 용이해 성장기의 어린이와 산모에게 필수적인 식품으로 섭취되고 있다. 특히, 미역에 포함된 성분 중 후코이단은 해조류에서 분리되는 분자량이 약 200,000 Da 이상의 고분자 다당류로 암세포 특이적으로 아포토시스(apoptosis)를 일으키고 HGF(간세포성장인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손상된 세포와 조직을 회복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코이단을 저분자화하면 체내 후코이단의 용해도가 증가하고 흡수력이 상승하며, 이에 따라 약물학적 효능이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25∼30세가 되면 체내 콜라겐 생성능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화장이 들뜨고 기미, 잡티가 증가한다. 이에 이 시점부터 촉촉하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 피부에 세포와 조직 회복 능력이 있는 영양분과 콜라겐을 공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화장품은 피부에 자극을 주는 다량의 화학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민감한 피부에 사용시 오히려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키거나 피부가 상하는 등의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인체에 안전한 천연자원 유래의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직까지 해조류 중 미역의 추출물과 불가사리로부터 추출한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우수한 미백, 주름 개선 효과 및 항염증 효과는 입증된 바가 없으며, 특히 미역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미역 추출물과 불가사리로부터 추출한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께 사용할 때 상기 효능의 상승효과에 관해서는 이제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예는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일 예는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염증 개선 효과를 갖는,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예를 들면, 항염 활성,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역추출물, 또는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역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미역 추출물은 미역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용매 추출물, 이의 용매 분획물, 상기 용매 추출물 또는 용매 분횝물의 정제물 또는 건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역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9.99 중량부, 0.1 내지 99.0 중량부, 0.1 내지 90.0 중량부, 0.1 내지 80.0 중량부, 0.1 내지 70.0 중량부, 0.1 내지 60.0 중량부, 0.1 내지 50.0 중량부, 0.1 내지 40.0 중량부, 0.1 내지 30.0 중량부, 0.1 내지 20.0 중량부, 0.1 내지 10.0 중량부, 0.1 내지 5.0 중량부, 0.1 내지 3.0 중량부, 0.1 내지 2.0 중량부, 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0.5 중량부, 0.1 내지 0.3 중량부, 0.2 내지 3.0 중량부, 0.2 내지 2.0 중량부, 또는 0.2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역 추출물은 건조물, 농축물, 또는 농축 건조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 미역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미역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미역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참미역(UNDARIA PINNATIFIDA)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된 참미역에는 단백질 12.7%, 당질 52%, 지방 1.1%, Ca 1300mg%, 비타민 A 140IU, B1 0.11mg%, B2 0.14mg%, 니코틴산 10mg%, 비타민 C 15mg%가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함량이 높으며, 요오드도 약 100 mg% 가 포함되어 있다. 그 외 알긴산,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색소로 푸코잔틴(fucoxanthine), 비올라크산틴(violaxanthine), 루테인(lutein), 베타-카로틴(β-carotene) 등을 포함한다.
상기 미역추출물의 용매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역추출물은 용매추출물, 추출물의 분획물, 추출물의 농축물, 추출물의 건조물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미역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당시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미역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미역추출물의 추출횟수는 2 ~ 5회 반복해 추출할 수 있다. 추출방법으로 가압조건에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열수 추출하는 것이 적절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역추출물은 건조 미역에 추출 용매를 가하고 55 내지 75℃에서 2 내지 6시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상기 1차 추출 후 미역을 건져내고 용매를 가하여 55 내지 75℃에서 2 내지 6시간 동안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1차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1 : 1 내지 5 : 1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미역 총 중량 대비 5배 내지 15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배 내지 12배, 또는 8배 내지 11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온도는 5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또는 65 내지 70℃ 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미역의 부패, 변색 및 변취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상기 1차 추출시간은 2 내지 6 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시간, 또는 3 내지 4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차 추출시간 역시 2 내지 6 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시간, 또는 3 내지 4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시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미역이 과하게 물러지고 미역에서 추출된 영양성분이 파괴될 위험이 급속히 상승하며, 추출시간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미역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역추출물은 세포의 NO2 농도를 감소시켜 항염효과를 발휘하며, 시료 처리군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이 15 % 이상, 예를 들면 15 내지 40%를 나타내며,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이 높아 피부 미백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원 발명의 치료 처리군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이 10%이상,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높은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주름개선효과를 갖는다. 상기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3의 방법으로 계산된다:
[수학식 3]
[수학식 3]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 펩타이드는 그 제조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불가사리의 아미노펩티데이즈 분해물 또는 이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콜라겐 펩타이드는 불가사리 분쇄물을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pH 5.0 내지 7.0의 pH 범위로 조정하여 아미노펩티데이즈를 처리하고, 50℃ 내지 90℃의 열수로 열수추출한 추출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예에서, 상기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는, 불가사리 분쇄물의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 염분이 제거된 불가사리 분쇄물을 NaOH 등의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시켜 알칼리 처리하는 단계; 알칼리 처리된 불가사리 분쇄물에 물을 혼합하고 혼합물의 최종 pH가 5.0 내지 7.0 이 되도록 구연산을 첨가하여 중화하는 단계; 중화된 혼합물에 아미노펩티데이즈를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 중량부를 첨가하고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가수분해물에 증류수를 투입하고 60℃ 내지 80℃ 온도의 열수로 추출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펩티데이즈를 처리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에서 추가로 막변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불가사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막변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 5 중량부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막변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컨대 지방족 당류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지방족 에테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방족 당류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도데실말토사이드(dodecylmaltoside), 도데실글루코사이드(dodecylglucoside), 헵틸글루코사이드(heptylglucoside) 등일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지방족 에테르는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 옥타에틸렌글리콜 n-도데실 모노에테르(octa(ethyleneglycol) ndodecylmonoether) 등일 수 있다. 상기 불가사리는 아무르불가사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별불가사리, 거미 불가사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을 이용할 경우, 피부 노화 방지에 유효한 콜라겐 펩티드 및 지용성 펩티드들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 펩타이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 추출물의 농축물, 추출물 또는 농축물의 분말, 상기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순수한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를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콜라겐 펩타이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99.9 중량부, 0.5 내지 99.5 중량부, 1 내지 99 중량부, 1 내지 90 중량부, 1 내지 80중량부, 1 내지 70 중량부, 1 내지 60 중량부, 1 내지 50 중량부, 1 내지 40 중량부, 1 내지 30 중량부, 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2 내지 98 중량부, 2 내지 90 중량부, 2 내지 80 중량부, 2 내지 70 중량부, 2 내지 60 중량부, 2 내지 50 중량부, 2 내지 40 중량부, 2 내지 30 중량부, 2 내지 20 중량부, 2 내지 10 중량부, 3 내지 97 중량부, 3 내지 90 중량부, 3 내지 80 중량부, 3 내지 70 중량부, 3 내지 60 중량부, 3 내지 50 중량부, 3 내지 40 중량부, 3 내지 30 중량부, 3 내지 20 중량부, 또는 3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부, 1 내지 6 중량부, 2 내지 8 중량부, 2 내지 6 중량부, 중량부, 3 내지 8 중량부, 또는 3 내지 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적용 형태,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다만,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실질적인 항염 또는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을 떨어트리므로,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예에서,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혼합비는,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1:99 내지 99:1, 10:90 내지 90:10, 20:80 내지 80:20, 30:70 내지 70:30, 40:60 내지 60:4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1:99, 1:1.5 내지 1:80, 1:2 내지 1:60, 1:3 내지 1:40, 1:3.3 내지 1:30, 1:4 내지 1:25, 1:5 내지 1:20, 1:6 내지 1:25, 1:6 내지 1:20, 또는 1:6 내지 1: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이상 미역 추출물은 고형분 중량이며,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는 고형분 중량이거나 액체상태의 추출물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추출물에는 콜라겐 펩타이드 외 부틸렌글라이콜 등의 성분을 포함하며, 추출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순수한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가 1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5 중량부, 3 내지 60 중량부, 4 내지 60 중량부, 5 내지 60중량부, 6 내지 60 중량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는 겔화온도가 30℃ 내지 4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2,500 달톤(Da)인 펩타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역추출물 또는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펩타이드의 혼합물은 세포의 NO2 농도를 감소시켜 우수한 항염효과를 발휘한다. 구체적으로 LPS만 처리한 대조군 대비 LPS 농도를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30 내지 80%, 또는 30 내지 7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이 높아 피부미백효과가 뛰어나다. 구체적으로 무처리 대조군 대비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20 내지 40%, 또는 25 내지 40%의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정 저해율을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무처리 대조군 대비 20 내지 35%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주름개선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10 내지 30%, 또는 15 내지 30%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을 가지며,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15 내지 25%, 또는 20 내지 30%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3의 방법으로 계산된다:
[수학식 3]
[수학식 3]
또한, 본 발명의 미역추출물 또는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펩타이드의혼합물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인체에 안전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세포 내 항염,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및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을 저해하는 효능을 가지며, 또한, 피부 임상실험을 통해, 피부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염, 주름개선 및/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백이란, 피부에 과도한 멜라닌 색소의 침착을 방지하거나, 기존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의 색을 엷게 하여 기미나 주근깨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말한다. 사람 피부에 있는 멜라닌 색소는 UV에 의한 손상을 보호해주는 주요한 메커니즘이지만, 기미(melasma), 주근깨(freckles), 광선각화증(senile lentigines) 또는 과도한 색소 같은 비정상 색소 형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들을 야기시키는데,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는 사람의 피부에 멜라닌 생합성을 초래한다. 따라서, 티로시나아제의 저해제는 미백효과를 위한 화장품에 사용되는 중요한 소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미역추출물, 또는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효능이 입증되었는 바, 피부의 미백 효능을 가진다. 특히,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은 미역추출물과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을 혼합함으로써 티로시나아제 억제에 있어 시너지(synergy)효과를 발휘해, 미역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보다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주름 개선이란, 피부의 주름 및 탄력과 관련된 능력을 유지 또는 강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은 피부 노화를 증가시키고 피부 탄력의 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엘라스틴 분해효소의 활성 저해제는 피부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역추출물, 또는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엘라스틴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바,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다. 특히,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이 미역추출물은 특히,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은 미역추출물과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엘라스타아제 억제 효율에 있어 시너지(synergy)효과를 발휘해, 미역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보다 우수한 주름개선 효과를 가진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투여 경로에 따라서, 피부 외용, 경피 또는 피하 투여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 또는 경피,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 투여가 가능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두피 또는 모발에 경피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제품(바디 클렌져, 바디로션 등), 면도용 제품, 모발 제품(샴푸, 린스, 헤어 에센스 등) 등의 모든 화장품 제품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고제, 스프레이제, 현탁액, 유액, 크림, 젤, 폼 등의 형태로 제제화된 것일 수 있으나,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의 제품화 또는 제제화에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부형제, 희석제, 무기염류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와 함량은 최종 산물의 용도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미역추출물, 또는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에 관한 설명 및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량 범위는 앞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미역추출물 또는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세포에 처리시, 우수한 NO2 억제효과를 가짐을 실험으로 입증하였으며, 특히 미역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 보다,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NO2 억제효과가 2배 가까이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질환은 비염, 위염, 장염, 신장염, 간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잇몸염, 및 습진 중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염증, 또는 잇몸염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역추출물 또는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세포 내의 NO2 함량에 미치는 영향 및 항염효과를 확인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세포독성효과를 확인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능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엘라스테라아제 저해 효능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후의 Overall size 주름 개선율을 측정해, 눈가 주름 개선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후의 Depth 주름 개선율을 측정해, 눈가 주름 개선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세포독성효과를 확인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능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엘라스테라아제 저해 효능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후의 Overall size 주름 개선율을 측정해, 눈가 주름 개선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실시예 1에 따른 미역추출물 및 실시예 2에 따른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후의 Depth 주름 개선율을 측정해, 눈가 주름 개선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역 추출물의 제조
경북 울진 염암리 고포리 어촌계에서 공급받은 자연산 미역을 사용해 미역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건미역 가공시 떨어지는 파지(부산물) 미역을 여러 번 수세한 후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시킨 미역에, 미역 중량 대비 10배의 물을 가하고 60 내지 65℃ 온도에서 4시간 동안 1차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1차 추출을 완료한 미역을 건져내고, 상기 미역에 미역중량의 3배의 물을 첨가한 후 60 내지 65℃ 온도에서 4시간 동안 2차 추출하였다. 상기 1차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혼합해 최종 미역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차 추출을 완료한 미역은 물을 다량 머금고 있으므로 1차 추출보다 2차 추출 시 가하는 물의 양을 줄이는 것이 적절하다. 2차 추출을 수행할 경우, 생산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1차 추출단계에서 용해되지 않은 미역의 유효성분이 2차 추출시 용해되어 후코이단 등의 미역의 영양성분을 고함량 포함하는 미역의 물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미역의 물추출물을 -20℃에서 동결시킨 후, 1mmHg 고진공으로 얼음 결정을 승화시켜 건조하고 분말화하였다.
실시예 2. 미역 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 제조
2-1. 불가사리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 제조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는 아무르콜라겐㈜ 제품을 구매해 사용하거나, 아래의 제조방법으로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무르불가사리(North Pacific seastar)의 내장을 제거하고 여러번 세척한 후 약 10cm3 체적크기로 분쇄하여 증류수에 12시간 동안 침지하고 2일동안 건조시켜 염분을 제거하였다. 염분이 제거된 아무르불가사리 분쇄물 30g을 2.5중량%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270g에 침지시켜 상온에서 12시간동안 알칼리 처리한 후, 비유효성분과 기타성분들이 포함된 상등액을 제거하고 남은 아무르불가사리 분쇄물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알칼리 처리된 아무르불가사리 분쇄물 및 증류수 500g을 반응기에 투입해 혼합하고, 혼합물의 최종 pH가 6.0이 되도록 구연산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상기 수용액에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미노펩티데이즈(Recombinant Aeromonas Aminopeptidase, PEPROTECH) 1.7g과 막변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지방족 에테르(Triton x-100, SIGMAALDRICH) 5g을 첨가하고 47℃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가수분해하였으며, 80℃에서 20분동안 반응시켜 효소를 실활시키고 가수분해 반응을 종료하였다.
이어서, 가수분해된 아무르불가사리 분쇄물에 증류수 1,000g을 투입하고 70℃에서 7시간동안 열수추출을 진행하였다. 열수추출된 혼합액을 필터 여과 (6 ㎛)하여 최종적으로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2.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역추출물의 분말 1g 과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함유 추출물 10mL를 혼합해 최종적으로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항염효능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역추출물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의 혼합물에 대해 항염효능을 확인하고자, RAW 264.7 세포주에 상기 혼합물 시료를 처리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NO2(nitro oxid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주에 세균 내 독소로 알려진 LPS를 처리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NO2(nitro oxide), PG(cytokine prostaglandin)와 같은 염증반응의 매개물질들이 생성되어 염증과 관련된 병리학적 반응이 일어난다.
항염 효능 측정을 위한 세포로서, RAW 264.7 세포주를 DMEM 배지을 포함하는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37℃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을 완료한 후, 각 웰의 기존 배지를 새로운 DMEM 배지로 교환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역추출물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혼합시료를 각각 1.0mg/ml, 5.0mg/ml씩 농도별로 희석하여 10㎕씩 처리하였다. 이어서, 1시간 후에 Lipopolysaccharide(LPS)를 0.2ug/ml 처리하고 37℃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구로 아무런 시료처리를 하지 않은 배지에서 자란 RAW 264.7 세포주(Con)와 LPS를 단독처리하고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시료는 처리하지 않은 RAW 264.7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배양 후 얻어진 배양액의 상층액 100㎕과, Griess reagent 100㎕를 혼합하여 96 웰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실온에서 약 10분동안 방치한 후, 540nm 빛을 조사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itrate의 농도는 NaNO2를 표준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LPS,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처리에 따른 Nitrate(NO2)농도 (μM)를 아래 표 1 및 도 1에 나타냈다.
구분 | 시료 | 시료농도(mg/ml) | NO2 농도 (μM) |
LPS | LPS | 0 | 18.02 |
실시예3-1 | 실시예1 | 1.0 | 11.79 |
실시예3-2 | 실시예1 | 5.0 | 9.12 |
실시예3-3 | 실시예2 | 1.0 | 8.10 |
실시예3-4 | 실시예2 | 5.0 | 7.09 |
표 1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혼합물 시료를 처리할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NO2 생성 저해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0 mg/ml 농도의 시료를 처리할 경우,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실시예 2의 혼합물이 2배정도의 우수한 NO2 저해능을 나타냈다. 즉, 미역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상대적으로 우수한 NO2 저해능을 가지며, 항염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과 실시예 2의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체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시험을 위한 멜라닌 세포를 준비하고자, 96 웰 플레이트에 B16-F10 멜라닌 세포(제조사 ATCC LOT. 60508145) 현탁액(5000cells/well)을 100㎕씩 분주하고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pre-incubation 시켜 세포를 well plate에 부착시켰다. Blank well에는 B16-F10 멜라닌 세포를 포함하지 않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제조사 ATCC) 배지를 100㎕ 분주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을 물에 희석하여 0.1mg/ml, 0.2mg/ml, 5mg/ml, 농도를 갖는 시료를 제조한 후, 웰에 각각의 농도별로 10 ㎕씩 처리하였다. 이와 함께, 배지를 10㎕ 포함하는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과 배지에 에탄올(EtOH)을 10㎕ 첨가한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을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다음으로 각 웰에 CCK-8 용액을 10㎕씩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450nm의 빛을 조사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lank는 멜라닌 세포를 포함하지 않는 시료를 넣고 측정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2의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을 물에 희석하여 0.1mg/ml, 0.2mg/ml, 5mg/ml, 농도를 갖는 시료를 제조한 후, 웰에 각각의 농도별로 10 ㎕씩 처리하고, 배지를 10㎕ 포함하는 음성대조군과 배지에 에탄올을 첨가한 양성대조군을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동안 인큐베이션시킨 다음, 각 웰에 CCK-8 용액을 10㎕씩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450nm의 빛을 조사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Blank는 멜라닌 세포를 포함하지 않는 시료를 넣고 측정하였다. Cell viability는 아래 수학식 1을 사용해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를 아래 표 2 및 도 2에 나타냈다.
[수학식 1]
survival rate(%) = (Asample-Ab)/(Ac-Ab) × 100
Asample : sample 흡광도
Ab : blank 흡광도
Ac : 음성 대조군 흡광도 (멜라닌 세포가 있는 상태에서 증류수를 투입하고 측정한 값)
1회 실험 | 시료 | 시료농도(μg/ml) | 세포생존율(%) |
CON | - | - | 100 |
EtOH | EtOH | - | 23.07 |
LPS | LPS | - | 101.99 |
실시예 4-1 | 실시예1 | 0.1 | 98.74 |
실시예 4-2 | 실시예1 | 0.2 | 98.74 |
실시예 4-3 | 실시예1 | 5.0 | 102.85 |
2회 실험 | 시료 | 시료농도(μg/ml) | 세포생존율(%) |
CON | - | - | 100 |
EtOH | EtOH | - | 19.563 |
LPS | LPS | - | 91.48 |
실시예 4-4 | 실시예2 | 0.1 | 98.10 |
실시예 4-5 | 실시예2 | 0.2 | 98.10 |
실시예 4-6 | 실시예2 | 5.0 | 95.68 |
표 2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멜라닌 세포에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혼합물을 처리할 경우, LPS의 처리 여부에 상관없이, 90% 이상의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다. 반면, EtOH 100% 를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율이 10% 이하로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의 체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피부 미백효능 검증
시험시료로서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혼합물의 피부 미백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B16-F10 멜라닌 세포에 여러 가지 농도의 시료를 처리한 후,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험을 위한 멜라닌 세포를 준비하고자, 24 웰 플레이트에 B16-F10 멜라닌 세포(제조사 ATCC LOT. 60508145) 상등액(50,000 cells/well)을 500㎕씩 분주하고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pre-incubation 시켜 세포를 well plate에 부착시켰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 실시예 2의 혼합물,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 C(Vit-C) 각각을 물에 희석하여 0.2mg/ml, 1.0mg/ml, 5.0mg/ml 농도의 시료를 제조한 후, 각 웰에 50㎕씩 분주하고 37℃ 및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1mg/ml 트립신(trypsin)을 10㎕ 처리하고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1000rpm에서 약 2분 동안 원심분리시켜 펠렛을 얻었다. 이로부터 얻은 펠렛을 1% triton X-100 PBS 0.5ml 용액에 용해시켰으며, 0.2% L-DOPA 0.1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를 0.5ml 혼합한 후에 37℃에서 2시간동안 배양시키고 490nm의 빛을 조사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율은 아래 수학식 2 를 이용해 계산하였으며,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측정결과를 아래 표 3 및 도 3에 나타냈다. 무첨가 대조군으로서, 실시예와 동일하게 멜라닌 세포를 준비하나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동일 실험을 진행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 3 및 도 3에는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Vit-C),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시료를 0.2, 1.0 및 5.0 mg/ml의 각각의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에 의한, 멜라닌 세포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표시하였다. 무처리 대조군의 활성 저해율은 100%이었다.
[수학식 2]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대조군의 흡광도-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구분 | 시료 | 시료농도 (mg/ml) |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 (%) |
실시예 5-1 | 실시예 1의 시료 | 0.2 | 16.26 |
실시예 5-2 | 실시예 1 의 시료 | 1.0 | 28.50 |
실시예 5-3 | 실시예 1 의 시료 | 5.0 | 30.52 |
실시예 5-4 | 실시예 2 의 시료 | 0.2 | 18.07 |
실시예 5-5 | 실시예 2 의 시료 | 1.0 | 34.69 |
실시예 5-6 | 실시예 2 의 시료 | 5.0 | 36.31 |
Vit-C | Vit-C | 0.2 | 27.59 |
Vit-C | Vit-C | 1.0 | 56.88 |
Vit-C | Vit-C | 5.0 | 70.95 |
표 3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이 상승하였으며, 대략 15 내지 35%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냈다. 실시예 3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이 상승하였으며, 약 15 내지 40%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미역추출물의 단독처리보다는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사용하였을 때, 상승효과가 일어나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내며,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피부 주름개선 효과 검증
시험 시료로서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혼합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16-F10 멜라닌 세포에 여러 가지 농도의 시료를 처리한 후,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시험을 위한 멜라닌 세포를 준비하고자, 24 웰 플레이트에 B16-F10 멜라닌 세포(제조사 ATCC LOT. 60508145) 상등액(50,000 cells/well)을 500㎕씩 분주하고 37℃, 5% CO2조건에서 24시간 동안 pre-incubation 시켜 세포를 웰 플레이트에 부착시켰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 실시예 2의 혼합물,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 C(Vit-C) 각각을 물에 희석하여 0.2mg/ml, 1.0mg/ml, 5.0mg/ml 농도의 시료를 제조한 후, 각 웰에 10㎕씩 분주한 후, 50mM tris-HCl 버퍼(pH 8.6)에 녹인 porcine pancreas elastase (10㎍/mL)용액을 50㎕씩 첨가하고 기질로 50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N-succinyl-(L-Ala)3-p-nitroanilide (0.5mg/mL)을 100㎕씩 첨가한 후, 20분간 반응시킨 다음 B16-F10 멜라닌 세포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을 아래 표 4 및 도 4에 나타냈다. 무첨가 대조군으로서, 실시예와 동일하게 멜라닌 세포를 준비하나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동일 실험을 진행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은 아래 수학식 3을 이용해 계산하였다.
[수학식 3]
구분 | 시료 | 시료농도 (mg/ml) |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 (%) |
실시예 6-1 | 실시예 1의 시료 | 0.2 | 12.45 |
실시예 6-2 | 실시예 1 의 시료 | 1.0 | 12.62 |
실시예 6-3 | 실시예 1 의 시료 | 5.0 | 20.78 |
실시예 6-4 | 실시예 2 의 시료 | 0.2 | 12.19 |
실시예 6-5 | 실시예 2 의 시료 | 1.0 | 20.51 |
실시예 6-6 | 실시예 2 의 시료 | 5.0 | 25.40 |
Vit-C | Vit-C | 0.2 | 36.78 |
Vit-C | Vit-C | 1.0 | 75.91 |
Vit-C | Vit-C | 5.0 | 92.29 |
표 4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을 처리했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엘라스타아제 저해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 대략 10 내지 30%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냈으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10 내지 25%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역추출물 또는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이 우수한 엘라스타아제 저해능을 가져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가 있으며, 미역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혼합물을 처리했을 때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이 상승하며, 우수한 피부 주름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전체 화장품 100 중량%를 기준으로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 0.2 중량%, 실시예 2의 혼합물 5 중량% (순수한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약 3.3 중량%)를 포함하는 에센스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에센스 제형의 화장품의 조성을 아래 표 5에 기재하였다. 필요에 따라 상기 구성 성분 중 일부만을 선택해 적절한 조성비로 혼합해 제조할 수 있다.
한글명 | 함량 |
정제수 | To 100 중량% |
실시예 1의 미역추출물 | 0.2 |
실시예 2의 미역추출물&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 | 5.0 |
아데노신 | 0.04 |
금 (CI 77480) | 0.05 |
1,2-헥산디올 | 2.0 |
나이아신아마이드 | 2.0 |
메칠글루세스-10 | 0.1 |
펜틸렌글라이콜 | 0.1 |
카라기난추출물 | 0.1 |
사탕수수추출물 | 0.1 |
카카오씨추출물 | 0.1 |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 2.0 |
디프로필렌글라이콜 | 0.1 |
글리세레스-26 | 0.1 |
베타인 | 0.1 |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 0.1 |
디메치콘 | 0.1 |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 0.1 |
트로메타민 | 0.1 |
카프릴릴글라이콜 | 0.1 |
옥틸도데세스-16 | 0.1 |
글리세릴폴리아크릴레이트 | 1.0 |
덱스트린 | 0.1 |
에칠헥실글리세린 | 1.0 |
부틸렌글라이콜 | 0.1 |
레시틴 | 0.1 |
카보머 | 0.1 |
디소듐이디티에이 | 0.1 |
향료 | 0.1 |
글리세린 | 3.0 |
실시예
8.
화장료
조성물 피부자극 테스트
상기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자극 테스트를 위해 24시간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패치에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충분히 적신 후 총 20명의 피험자(무작위로 선발한 성인여성 20명, 평균연령 43.5세)의 피부에 붙인 후,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24시간 후에 패치를 제거하고 30분, 24시간, 48시간 후에 피부과 전문의가 피험자의 일차 피부 자극 유무를 판정하였다. 피부 자극 판정은 국제접촉피부염학회 ICDRG) 기준 및 미국화장품협회(PCPC)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수행했으며, 각 피험자들의 피부 반응 점수를 이용하여 자극 지수를 산출하였다. 아래 표 6의 첩포시험 판정기준에 따라 24시간 첩포시험 판정결과는 표 7에 나타냈다.
점수 | 판정기준 |
0(-) | 염증의 징후 없음, 정상 피부 (No signs of inflammation, normal skin) |
0.5(±) | 불확실한 또는 희미한 반응 (Doubtful or slight reaction) |
1(+) | 희미한 홍반(Slight erythema) |
2(++) | 부분적인 부종 또는 구진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보통의 홍반(Moderate erythema with or without partial edema or papules) |
3(+++) | 미만성 부종을 동반한 보통의 홍반(Moderate erythema with diffuse edema) |
4(++++) | 수포와 미만성 부종을 동반한 강한 홍반 Intense erythema with diffuse edema with vesicles |
구분 | 제품 사용 2주 경과후 평가 | 제품 사용 3주 경과후 평가 |
홍반(Erythema) | - | - |
부종Edema | - | - |
인설Scaling | - | - |
가려움Itching | - | - |
자통 Stinging | - | - |
작열감 Burning | - | - |
뻣뻣함Tightness | - | - |
따끔거림Prickling | - | - |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고 2주 및 3주 후에도 피부에 홍반, 부종, 인설,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및 따끔거림 자극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피부자극지수 0점을 얻었다. 따라서, 실시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지않으며, 안정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화장료 조성물 주름개선효능 테스트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개선효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총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4주간의 눈가주름 개선 효능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중도 탈락자 없이 20명의 피험자가 모두 시험을 완료하였으며, 피험자 기본정보를 아래 표 8에 나타냈다.
전체 피험자수 | 22명 | |
성별 | 남: 0명 | 여: 20명 |
평균 연령 | 43.5세 | |
30대 | 4 명 | |
40대 | 8 명 | |
50대 | 10명 |
주름개선효능은 ANTERA 3DTM (Miravex, Ireland) 장비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ANTERA 3DTM 은 다파장 LED 광원을 이용해 피부의 표피와 진피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2차원 및 3차원 재구성이 가능하고 파장대별 분석이 가능하다.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하고 2주 후, 및 4주 후로 나누어 피험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피부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첫 테스트를 시작하기 12시간 전부터는 기초 화장품의 사용을 금지시켰으며, 피험자는 시험자가 제공한 기준 세안제를 이용해 세안한 후, 페이퍼 타올로 가볍게 두드려 물기를 제거하고 30분간 항온 항습 조건(20~24℃, 40~60% RH)의 환경에서 안정을 취한 후, 양측 눈가 주름 부위를 ANTERA 3DTM 를 이용해 화상측정을 실시하였다. ANTERA 3D 촬영 구역으로 안와 전체 및 양측 눈가를 포함하는 6cm X 6cm 크기의 정방향 구역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고 2주차, 4주차가 지난 후의 테스트는 첫 방문일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부위에서 기기평가를 시행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 사용하고 2주 후, 4주 후에 측정된 눈가주름 측정치 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이용해 분석 및 검증하였다. 측정결과, Overall size 주름 개선율을 도 5에 나타냈으며, Depth의 주름 개선율을 도 6에 나타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비교해,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눈가 주름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p < 0.05). 또한,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모든 피험자에서 특별한 피부 이상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2주차 이후부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눈가주름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Claims (12)
- 미역을 물로 추출한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미역은 참미역(Undaria pinnatifida)인,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추출물은,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99.99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 중량비가 1 : 99 내지 99 : 1 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는 겔화온도가 30℃ 내지 4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2,500 달톤(Da)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는
불가사리 분쇄물을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pH 5.0 내지 7.0의 pH 범위로 조정하여 아미노펩티데이즈를 처리하고, 50℃ 내지 90℃ 온도의 열수로 열수추출한 추출물로 제공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추출물은
건조 미역에 5배 내지 15배 부피비의 물을 가하고 55 내지 75℃에서 1차 추출하는 단계; 상기 1차 추출 후 얻어진 미역에 미역 중량의 3 내지 5배의 물을 가하여 55 내지 75℃에서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1 : 1 내지 5 : 1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미역을 물로 추출한 미역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미역은 참미역(Undaria pinnatifida)인,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비염, 위염, 장염, 신장염, 간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잇몸염, 및 습진 중 하나인 것인, 약학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미역추출물과 불가사리 콜라겐 펩타이드의 혼합 중량비가 1 : 99 내지 99 : 1 인 것인, 약학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5873A KR102145023B1 (ko) | 2018-11-23 | 2018-11-23 |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5873A KR102145023B1 (ko) | 2018-11-23 | 2018-11-23 |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0822A KR20200060822A (ko) | 2020-06-02 |
KR102145023B1 true KR102145023B1 (ko) | 2020-08-28 |
Family
ID=7109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5873A KR102145023B1 (ko) | 2018-11-23 | 2018-11-23 |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502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0799B1 (ko) * | 2016-03-11 | 2016-07-19 | 아무르콜라겐(주) | 불가사리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불가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6317B1 (ko) * | 2012-09-27 | 2015-04-30 |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 넓미역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
KR20150062624A (ko) * | 2013-11-29 | 2015-06-08 | 한국콜마주식회사 | 꼬시래기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및 꽈배기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2018
- 2018-11-23 KR KR1020180145873A patent/KR1021450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0799B1 (ko) * | 2016-03-11 | 2016-07-19 | 아무르콜라겐(주) | 불가사리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불가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0822A (ko) | 2020-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WO2004016236A1 (ja) | 化粧料 | |
MX2009000693A (es) | Uso de un hidrolizado de proteina de arroz como principio activo pigmentador. | |
KR20100135871A (ko) |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 |
JP2002193738A (ja) | 皮膚老化の徴候を処置する組成物における、少なくとも1種のツツジ科植物の少なくとも1種の抽出物の使用 | |
JP2003201229A (ja) |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抗老化用化粧料 | |
EP2691074A1 (fr) | Composition a base de camellia japonica et polygonum hydropiper pour protection de la peau | |
EP3980124B1 (fr) | Extrait du tourteau des graines de moringa peregrina, son procédé d'obtention et son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étiques ou nutricosmétiques | |
KR102476660B1 (ko) | 비타민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63686B1 (ko) |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CN114222558A (zh) | 抑制par2激活的方法以及用于该方法的组合物 | |
KR100521768B1 (ko) |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FR3029417A1 (fr) | Complexe actif pour un produit cosme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e | |
KR101734873B1 (ko) | 해삼 자숙액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EP1830787A1 (fr) | Association d'extraits vegetaux à base de groseille maquereau, d'orchidee noire et de tulipe noire et composition topique comprenant l'association de ces extraits végétaux | |
KR102145023B1 (ko) |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2011654B1 (ko) |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1854444B1 (ko) |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10101308A (ko) |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149711B1 (ko) | 저분자 후코이단,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가 함유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0205499B1 (ko) | 피부자극이 완화된, 주름개선효과를 갖는 기초화장료 조성물 | |
JP2000226311A (ja) | 抗老化剤 | |
JP2012201615A (ja) | エラスターゼ活性抑制剤 | |
JP4716497B2 (ja) |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 |
JP2007045733A (ja) |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 |
KR102725267B1 (ko) |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