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725267B1 -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5267B1
KR102725267B1 KR1020210139552A KR20210139552A KR102725267B1 KR 102725267 B1 KR102725267 B1 KR 102725267B1 KR 1020210139552 A KR1020210139552 A KR 1020210139552A KR 20210139552 A KR20210139552 A KR 20210139552A KR 102725267 B1 KR102725267 B1 KR 10272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decassoside
teca
skin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773A (ko
Inventor
정현일
김도훈
박유화
이계완
엄희정
박준상
Original Assignee
동국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52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52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AND MADECASSOSID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진피층(dermis layer)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의 작용과 그 수가 감소하여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등의 구조 단백질의 합성량이 감소하고, 피부세포 내 수분이 손실되며 각질층의 구조가 변화 된다.
특히 콜라겐은 인체의 단백질 총 질량 중 약 25%를 차지하는 중요한 섬유성 단백질로서 세포외 기질의 중요한 구성성분이며 피부에서 구조적 지지체 기능 및 피부의 인장강도 제공 등의 중요한 기능을 하는데 콜라겐의 생성과 분해가 적절하게 조절되지 못하면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생겨나는 등 피부노화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M. Tzaphlidou, Micron 35:173(2004)).
피부의 세가지 주요 층에는 표피, 진피 및 피하가 포함된다. 가장 바깥쪽 층인 표피는 수분 장벽을 제공하고 피부에 톤을 부여한다. 하지만 자외선의 영향을 받으면 피부가 건조해 지면서 점차 거칠어지고 외관상 색이 검고 뻣뻣한 감촉으로 깊은 주름이 생긴다. 각질층이 두터워지며 피부도 두께가 증가하나 시간이 경과되면 피부는 다시 위축된다. 반복적인 자외선 조사로 피부의 팽창 및 위축이 반복되어 피부의 정상적인 탄력성이 소실되면서 심해지면 축 늘어진 모양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화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변하는 피부에서 피부 중요 구성성분인 콜라겐의 생합성 및 탄력유지, 피부세포보호 및 피부수분억제를 적절히 유지한다면 상당한 피부노화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주름 개선용 화장료로는 레티노이드, 아데노신, 동물 태반 유래 단백질,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개선 효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지만 물질이 불안정하고 피부 적용시에 자극, 발작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자외선으로부터 피부세포의 보호 및 재생,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피부보호를 통한 피부 수분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M. Tzaphlidou, Micron 35:173(2004)
본 발명의 목적은 병풀 정량 추출물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이하 'TECA'라 합니다.) 및 마데카소사이드(이하 'Madecassoside'라 합니다.) 성분을 함유하여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자외선 유도에 의한 세포 보호 효과, 피부수분 손실 억제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하며, 구체적으로 TECA 및 Madecassoside 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구체적인 해결과제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TECA 1 중량% 및 Madecassoside 0.05~0.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별한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수단을 개시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 다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개시한다.
마지막 일 양태에서,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 조성물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감소된 콜라겐 생성과 피부세포보호, 피부수분손실 억제, 피부 두께감소 등 자외선 조사 후 야기되는 피부손상 완화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고, 피부세포 보호를 통해 피부수분손실을 억제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TECA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Madecassoside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콜라겐의 생합성을 더 촉진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하고, 피부수분손실을 억제하며 표피두께 감소를 통해 탄력개선에 유효한 효능을 보임으로써 궁극적으로 피부노화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향후 노화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TECA와 Madecassoside가 혼합된 혼합물 (이하 'TECA와 Madecassoside 복합물'이라 합니다.) 의 콜라겐 생성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간 피부섬유아세포에서 TECA와 Madecassoside 복합물의 세포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무모쥐를 이용한 광노화 동물모델에서 TECA와 Madecassoside 복합물의 주름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무모쥐를 이용한 광자극 및 광노화 동물모델에서 등부위 피부의 조직병리 (masson’s trichrome)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무모쥐를 이용한 광자극 동물모델에서 TECA와 Madecassoside 복합물의 경피수분손실 억제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무모쥐를 이용한 광자극 및 광노화 동물모델에서 피부 내 콜라겐 발현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무모쥐를 이용한 광자극 및 광노화 동물모델에서 피부 내 표피 두께 (epidermal thickness)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에 대한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에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문구 또는 문장에서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장료 조성물을 연구 개발 하던 중, TECA의 콜라겐 발현 증가효과와 마데카소사이드의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고, TECA와 Madecassoside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자외선으로부터 피부세포의 보호 및 재생,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피부보호를 통한 피부수분손실억제에 대해 시너지 효과가 있었고,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어 화장품으로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수단을 개시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병풀 정량 추출물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TECA) 및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병풀 정량 추출물(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TECA)」이란, 병풀 (Centella asiatica)에서 얻은 난용성 추출물로 상처치유 및 항주름 물질을 의미한다. 특히 병풀 정량 추출물은 피부결합조직, 섬유아세포와 글라이코스아미노글라이칸(glycosaminoglycans)의 정상화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각화세포를 유도해 주며 조직 구성성분의 빠르고 건강한 성장을 촉진시켜준다. 상기 병풀 정량 추출물은 센텔라(원생약: 센텔라아시아티카 Centella asiatica (미나리과 Umbelliferae) 전초를 건조 후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침적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용매는 농도가 35%, 50%, 75%(v/v)인 에탄올을 이용하였고, 특히 75%(v/v)의 에탄올을 이용하였다. 위 공정에서 얻어진 공정액을 탈색 여과 및 건조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를 얻는다. 또한 위의 공정액에 에탄올과 가성소다액을 혼합하여 가수분해한 후 게닌(genins)을 얻는다. 아시아티코사이드와 게닌을 배합 및 혼합하여 TECA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후술되는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 방법으로 제조된 병풀 정량 추출물에는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40 중량% 및 게닌(genins) 60 중량%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란, 병풀로부터 분리된 물질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표시되며, 본 발명에서의 마데카소사이드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마데카소사이드는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이용하거나,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이용하였다.
[화학식 1]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화장료 조성물로써 피부 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장벽 보호,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TECA와 Madecassoside는 20~10 : 1의 중량비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TECA와 Madecassoside를 포함할 경우 각 유효 성분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자외선 유도에 의한 콜라겐 합성 및 피부세포 보호로 주름개선 및 피부수분손실 억제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TECA 1 중량% 및 Madecassoside 0.05~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조합을 설명하자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병풀 정량 추출물 1 중량%과 마데카소사이드 0.05 중량%의 조합, (2) 병풀 정량 추출물 1 중량%과 마데카소사이드 0.1 중량%의 조합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함량으로 조합할 경우 주름개선 및 피부수분손실 억제에서 효과가 우수할 수 있고, 콜라겐의 생합성과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을 완화하여 피부손상을 억제하여 피부수분증발을 억제할 수 있는 유효한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Madecassoside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자외선 조사에 따른 피부두께 감소 효과 및 콜라겐 생합성 증진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Madecassoside의 함량이 0.1 중량%를 초과할 경우 비용이 상승하여 경제성이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 내의 TECA와 Madecassoside의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콜라겐 생합성 증진, 피부두께 감소 효과, 피부수분손실억제 효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어 주름개선과 피부손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TECA와 Madecassoside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의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노화 방지용」이란,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에 나타나게 되는 유형과 무형상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표피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피의 세포 수나 혈관 수를 증가시키고, DNA 손상복구 능력을 개선하는 일련의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 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주름 개선용」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 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탄력 증진용」이란, 외력에 의해 변형된 피부가 해당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쉽게 원형으로 복귀되는 특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은 콜라겐의 생합성 촉진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보호용 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장벽 보호용」이란,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의 장벽 기능을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장벽보호는 피부세포 사멸 억제 및 경피수분 소실 억제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용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용」이란, 자외선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색소침착, 피부 주름, 피부 탄력, 피부 자극 등을 개선 내지 완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화장료 조성물」이란, 피부에 직접 도포 하거나 살포하는 등으로 투여하기 위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용어 「투여」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목적하는 조직에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 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및 메이크업 제거제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액상으로 제형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에 대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피마자유, 글리세린,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과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에 대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히드록시에틸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또는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에 대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스프레이로 제형화하는 경우에는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정제수,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킬레이트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색소, 향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모든 성분들은 각 국가에서 정하는 규제를 초과하여 포함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TECA」 및 「Madecassoside」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란, 일반적으로 외용에 사용하는 조성물 전반을 포괄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의 제형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 조성물을 연고, 크림 등으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담체로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TECA와 Madecassoside는 20~10 : 1의 중량비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TECA 1 중량% 및 Madecassoside 0.05~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 주름 개선용,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장벽 보호용 및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일 수 있다. 각 용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TECA」 및 「Madecassoside」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건깅기능식품」이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산제, 과립제, 환, 정제, 캡슐제의 형태뿐만 아니라 일반 식품 또는 음료의 형태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TECA 및 Madecassoside를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종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피부 노화 방지 용도, 주름 개선 용도, 피부 탄력 증진 용도, 피부 장벽 보호 용도 및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 용도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TECA 1 중량% 및 Madecassoside 0.05~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시에 상기 Madecassoside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중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100 mL당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상기 유효성분의 유효용량은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섭취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섭취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 주름 개선용,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장벽 보호용 및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일 수 있다. 각 용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 조성물
마지막 양태에서, TECA 및 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TECA」 및 「Madecassoside」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식품 첨가제」란, 식품에 첨가하여 섭취할 수 있는 전반을 포괄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 첨가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TECA 1 중량% 및 Madecassoside 0.05~0.1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TECA 및 Madecassoside를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피부 노화 방지 용도, 주름 개선 용도, 피부 탄력 증진 용도, 피부 장벽 보호 용도 및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 용도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첨가제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 주름 개선용,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장벽 보호용 및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일 수 있다. 각 용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식품 첨가제 조성물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면, 본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재료의 준비
TECA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추출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고, Madecassoside는 Sigma-Aldrich Korea 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기타 시약 또한 Merck, Sigma-Aldrich Korea 및 덕산종합과학 등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1: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의 세포 내 콜라겐 발현양 확인을 위한 시험물질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및 실험군(Test 1~11)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대조군으로는 Vehicle(PBS 중의 0.5% EtOH), 양성 대조군으로는 20 ng/mL TGF-ß1을 이용하였다.
또한, 실험군으로는 TECA 단독군(TECA 용액)과,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된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을 이용하였다. 이의 제조법은 하기와 같다.
[TECA 단독군 (TECA 용액)의 제조]
TECA 용액은 필요량의 TECA를 칭량하고 표 1의 해당 농도가 되도록 부형제(0.5% EtOH in PBS)를 가한 후 vortex mixer로 섞어 완전히 용해시켜 TECA 용액을 제조하였다.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 제조]
이 후 필요량의 Madecassoside를 칭량하고, 여기에 상기 제조된 TECA 용액을 가하여 vortex mixter로 섞어 완전히 용해하였다. 이 후 TECA 용액을 가하여 표 1과 같이 Madecassoside 농도에 맞게 단계 희석하여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군(Group) 시험물질
Normal control Vehicle (0.5% EtOH in PBS)
Positive control 20 ng/mL TGF-ß1
Test 1 2.0 μg/mL TECA
Test 2 2.0 μg/mL TECA+0.02 μg/mL Madecassoside
Test 3 2.0 μg/mL TECA+0.05 μg/mL Madecassoside
Test 4 2.0 μg/mL TECA+0.10 μg/mL Madecassoside
Test 5 2.0 μg/mL TECA+0.20 μg/mL Madecassoside
Test 6 3.9 μg/mL TECA
Test 7 3.9 μg/mL TECA+0.02 μg/mL Madecassoside
Test 8 3.9 μg/mL TECA+0.05 μg/mL Madecassoside
Test 9 3.9 μg/mL TECA+0.1 μg/mL Madecassoside
Test 10 3.9 μg/mL TECA+0.2 μg/mL Madecassoside
Test 11 3.9 μg/mL TECA+0.39 μg/mL Madecassoside
제조예 2: 자외선 조사에 따른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의 Hs68 세포보호효과 확인을 위한 시험물질 제조
하기 표 2와 같이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및 실험군(Test 1~7)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대조군 및 음성대조군은 Vehicle (PBS중의 0.5% EtOH), 양성 대조군은 20 ng/mL TGF-ß1을 이용하였다.
또한, 실험군으로는 TECA 단독군 (TECA 용액), Madecassoside 단독군,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된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을 각각 이용하였다. TECA 단독군 및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의 제조법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TECA 농도와 Madecassoside 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1에서 서술한 방법을 통해 실험군 (TECA 단독군 (TECA 용액)과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된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Madecassoside 단독군은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Madecassoside 단독군 제조]
Madecassoside 단독군은 필요량의 Madecassoside를 칭량하고 표 2의 해당 농도가 되도록 부형제(0.5% EtOH in PBS)를 가한 후 vortex mixer로 섞어 완전히 용해시켜 Madecassoside 단독군을 제조하였다.
군(Group) 시험물질
Normal control (UVB-) Vehicle (0.5% EtOH in PBS)
Negative control (UVB+) Vehicle (0.5% EtOH in PBS)
Positive control (UVB+) 20 ng/mL TGF-ß1
Test 1 (UVB+) 2.0 μg/mL TECA
Test 2 (UVB+) 2.0 μg/mL TECA+0.05 ug/mL Madecassoside
Test 3 (UVB+) 2.0 μg/mL TECA+0.10 ug/mL Madecassoside
Test 4 (UVB+) 2.0 μg/mL TECA+0.20 ug/mL Madecassoside
Test 5 (UVB+) 0.05 ug/mL Madecassoside
Test 6 (UVB+) 0.10 ug/mL Madecassoside
Test 7 (UVB+) 0.20 ug/mL Madecassoside
(상기 표 2에서, UVB-는 세포에 UVB를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UVB+는 세포에 UVB를 처리한 것을 의미한다.)
제조예 3. 무모쥐를 이용한 광노화 동물모델에서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의 피부개선을 확인을 위한 시험물질 제조
하기 표 3과 같이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및 실험군(Test 1~5)을 설정하였다.
이 때, 양성 대조군(G7)은 필요량의 Retinoic acid를 칭량하고 0.1mg/mL (0.01%)가 되도록 부형제(propylene glycol)를 가하여 vortex mixer로 섞어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또한, 실험군으로는 TECA 단독군(G8), Madecassoside 단독군(G9),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된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G4~G6)을 각각 이용하였다. 이의 제조는 아래와 같다.
[TECA 단독군(TECA 용액) 제조]
TECA 단독군은 필요량의 TECA를 칭량하고 10 mg/mL (1%)가 되도록 부형제(propylene glycol)를 가한 후 중탕기에서 80℃로 가온하여 vortex mixer로 섞어 완전히 용해시켜 TECA 단독군(TECA 용액)을 제조하였다.
[Madecassoside 단독군 제조]
Madecassoside 단독군은 Madecassoside를 칭량하고 1 mg/mL (0.1%)가 되도록 부형제(propylene glycol)를 가하여 vortex mixer로 섞어 용해시켜 Madecassoside 단독군을 제조하였다.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의 제조]
필요량의 TECA를 칭량하고 10 mg/mL (1%)가 되도록 부형제(propylene glycol)를 가한 후 중탕기에서 80℃로 가온하여 vortex mixer로 섞어 완전히 용해시켜 TECA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 후 Madecassoside를 칭량하여 1 mg/mL (0.1%)가 되도록 미리 제조해 놓은 1% TECA 용액을 가하여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을 제조하였다(G4 제조). 그리고 나서 제조한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G4)은 1% TECA 용액과 1:1 비율로 섞어 단계 희석하여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G5 및 G6)을 제조하였다.
군(Group) 시험물질
Normal control (UVB-)
(G1)
Vehicle (0.5% EtOH in PBS)
Negative control (UVB+)
(G2)
Vehicle (0.5% EtOH in PBS)
Vehicle control (UVB+)
(G3)
Vehicle (0.5% EtOH in PBS)
Test 1 (UVB+)
(G4)
10 mg/mL TECA+ 0.25 mg/mL Madecassoside
TECA:Madecassoside (40:1 중량비)
Test 2 (UVB+)
(G5)
10 mg/mL TECA+ 0.5 mg/mL Madecassoside
TECA:Madecassoside (20:1 중량비)
Test 3 (UVB+)
(G6)
10 mg/mL TECA+ 1 mg/mL Madecassoside
TECA:Madecassoside (10:1 중량비)
Positive control (UVB+)
(G7)
0.1 mg/mL Retinoic acid
Test 4 (UVB+)
(G8)
10 mg/mL TECA
Test 5 (UVB+)
(G9)
1 mg/mL Madecassoside
(상기 표 3에서, UVB-는 무모쥐에 UVB를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UVB+는 무모쥐에 UVB를 처리한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1.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의 콜라겐 생성 효과
본 실험예 1은 TECA와 Madecassoside의 복합물이 콜라겐 생합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콜라겐 생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TGF-ß1 물질을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콜라겐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피부 섬유아 세포인 Hs68 (ATCC, U.S.A)를 24-well 마이크로 플레이트 (Corning, U.S.A)에 각 well 당 2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 (ATCC, U.S.A) 및 37
Figure 112021119724393-pat00002
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제조예 1의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과 대조군을 FBS free DMEM medium에 최종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well의 상층액을 모아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P) EIA Kit (TAKARA, Japan)를 이용하여 생합성된 콜라겐 양 (ng/mL)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생성율 (%)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고, 이에 따른 콜라겐 생성량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 (%) X 100

(Group)
시험물질 콜라겐 생성률
(단위: %)
Normal control Vehicle (0.5% EtOH in PBS) 0.0
Positive control 20 ng/mL TGF-ß1 15.5
Test 1 2.0 μg/mL TECA 10.2
Test 2 2.0 μg/mL TECA+0.02 ug/mL Madecassoside 16.6
Test 3 2.0 μg/mL TECA+0.05 ug/mL Madecassoside 17.3
Test 4 2.0 μg/mL TECA+0.10 ug/mL Madecassoside 22.1
Test 5 2.0 μg/mL TECA+0.20 ug/mL Madecassoside 29.8
Test 6 3.9 μg/mL TECA 17.0
Test 7 3.9 μg/mL TECA+0.02 ug/mL Madecassoside 19.5
Test 8 3.9 μg/mL TECA+0.05 ug/mL Madecassoside 10.3
Test 9 3.9 μg/mL TECA+0.1 ug/mL Madecassoside 12.2
Test 10 3.9 μg/mL TECA+0.2 ug/mL Madecassoside 21.8
Test 11 3.9 μg/mL TECA+0.39 ug/mL Madecassoside 18.3
표 4 및 도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TECA와 Madecassoside 혼합물은 정상 대조군 대비 콜라겐 생성률이 최대 29.8%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TECA와 Madecassoside 혼합물에서 TECA :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20:1, 10:1일 때, 양성대조군 및 TECA 단독군 대비 동등 이상의 콜라겐 생성률 (%)을 나타내어 최적의 비율로 TECA 및 Madecassoside를 조합함으로써 콜라겐 생성률(%)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UV조사에 의한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 세포보호효과
인간 피부 섬유아 세포인 Hs68를 96-well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well 당 1 X 104 세포가 되도록 seeding하고,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 따른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의 collagen 생성 결과를 참고하여(도 1 참조) 세포독성이 없고 증식을 나타내며 콜라겐 생성에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용량을 선택하여 제조예 2의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과 대조군을 FBS free DMEM medium에 최종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고, 100 μL PBS로 교체 후 60 mJ/cm2 UVB (LT Lutron, Taipei, Taiwan)로 조사하였다. 이 후 FBS free DMEM medium으로 배지를 교체하여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고, 배지 제거 후, 각 well 당 세포 배양배지 90 μL와 WST-1 10 μL를 넣은 후 3시간 동안 37 ℃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 후, microplate reader (Infinite 200pro, Austria) 장비를 사용하여 4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세포 사멸율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표 5 및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정상 대조군은 UVB를 조사하지 않고 나머지 시험군과 똑같은 과정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수학식 2]
세포생존율 (%) X 100
시험물질 세포생존율
(단위: %)
Normal control (UVB-) 100
UVB+ 48.1
UVB++TGF-ß1 53.1
UVB++2.0 μg/mL TECA 55.2
UVB++2.0 μg/mL TECA+0.05 μg/mL Madecassoside 58.3
UVB++2.0 μg/mL TECA+0.10 μg/mL Madecassoside 68.5
UVB++2.0 μg/mL TECA+0.20 μg/mL Madecassoside 68.7
UVB++0.05 μg/mL Madecassoside 50.6
UVB++0.10 μg/mL Madecassoside 56.5
UVB++0.20 μg/mL Madecassoside 53.6
표 5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UVB 조사에 따른 세포손상에서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은 양성대조군, 단독군(TECA 용액) 및 Madecassoside 단독군 대비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사멸이 억제되어 자외선 노출로부터 피부 손상 억제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UV조사에 의해 피부손상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의 주름개선 효과 확인
피부에서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의 주름개선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7주령 암컷 무모생쥐 (SKH-1) 마우스를 이용하여 제조예 3에 따른 시험물질을 무모생쥐의 등 부위에 302 nm 파장의 자외선 조사와 함께 10주간 도포하였다 (군당 6마리, 총 9군). 자외선 조사는 3회/주로, 상기 시험물질의 도포는 매일 오전/오후 2회로 진행하였고, 이 후 모사판 (Replica) 주름 분석 방법을 통해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름 개선 평가방법에서는 광노화 모델을 이용하였다. 즉, 무모쥐의 등 부위에 자외선을 10주간 자외선 조사 (1주: 1MED, 2주: 2MED, 3~4주, 3MED, 4주~10주: 4MED)를 하면서 피부내 콜라겐 손상 및 콜라겐 발현을 억제시켜 주름을 유도하게 되는데 이때 시험물질을 함께 도포함으로써 주름의 생성 정도가 얼마나 억제되었는지 10주 후 모사판을 이용하여 등 부위에 있는 주름을 분석하여 판단하였다. 모사판 안에 있는 주름은 wrinkle measurement 장비인 visiolin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주름은 굴곡 및 거칠기에 대한 값을 수치로 나타내었으며 (표 6 참조), 구체적인 이미지로는 도 3 및 도 4으로 나타내었다.
군(Group) Total Wrinkle area 평균
(단위: mm2)
Total Wrinkle area 표준오차
(단위: mm2)
G1 5293.5
Normal control (UVB-) 2708.5
G2 (Negative control) 25332
UVB+ only 4188.7
G3 (vehicle control) 21925.9
UVB++ vehicle 8882.3
G4 16102.6
UVB++TECA+Madecassoside (중량비: 40:1) 8089.9
G5 14467.2
UVB++TECA+Madecassoside (중량비: 20:1) 7478.8
G6 13089.4
UVB++TECA+Madecassoside (중량비: 10:1) 2820.9
G7 13433.8
UVB++Retinoic acid (Positive control) 3093.4
G8 15240.1
UVB++TECA 3990.9
G9 16316
UVB++Medecassoside 6866.3
표 6을 참조하면,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 전체군(G4~G6)에서 Negative control (G2) 및 vehicle control (G3) 대비 주름 개선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TECA 단독(G8) 또는 Madecassoside 단독(G9) 대비 우수한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ECA 및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10:1인 시험군(G6)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Retinoic acid 대비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10주 동안 자외선 조사를 받은 UVB+ (G2, G3) 대조군은 자외선 조사를 받지 않은 정상군 (UVB-)에 비해 다수의 굵고 깊게 패인 주름과 함께 잔주름이 형성된 것을 육안 및 visioline 영상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TECA 단독군(TECA 용액), TECA와 Madecassoside 복합물, Madecassoside 단독군은 자외선 조사를 받은 UVB+ (G2, G3) 대조군에 비해 주름의 굵기와 깊이가 현저히 감소하여 자외선 조사에 따른 피부변화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UV조사에 의해 피부손상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의 경피수분 손실량 측정
상기 실험예 3에 따른 광노화 동물모델로 실험종료 1일 전 마취상태에서 무모쥐 등부위에서 피부수분측정기 (Corneometer CM 825, Germany)로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7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Group 수분손실량 평균 (단위: g/hm2)
수분손실량 표준오차 (단위: g/hm2)
G1 7.5
Normal control (UVB-) 1.3
G2 24.7
UVB+ only 3.8
G3 23.1
UVB++ vehicle 4.5
G4 20.5
UVB++TECA+Madecassoside (40:1 ratio) 5.0
G5 19.9
UVB++TECA+Madecassoside (20:1 ratio) 2.8
G6 14.7
UVB++TECA+Madecassoside (10:1 ratio) 4.4
G7 58.3
UVB++Retinoic acid (Positive control) 7.9
G8 20.0
UVB++TECA 5.2
G9 16.1
UVB++Medecassoside 4.4
표 7 및 도 5를 참조하면,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 전체군(G4~G6)에서 Negative control(G2) 및 vehicle control(G3) 대비 경피수분 손실이 상당히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TECA 단독(G8) 대비 TECA 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20:1인 실험군(G5) 및 TECA 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10:1인 실험군(G6)에서 경피수분손실 억제에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adecassoside 단독(G9) 대비 TECA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10:1인 실험군(G6)에서 경피수분손실 억제에서 우수한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양성 대조군(G7)인 Retinoic acid에서는 피부 자극에 의한 경피수분손실이 상당히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UV조사에 의해 피부손상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콜라겐 생합성 증가 확인
피부에서 TECA 및 Madecassoside 복합물의 주름개선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험예 3에 따른 광노화 동물모델을 실험 종료일에 도태시켜 등부위 피부를 채취하였다. 이 후,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시켜 통상적인 조직 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Masson’s trichrome staining를 수행하여 조직 내 콜라겐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조직 내 콜라겐 발현양은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화 하여 표 8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군(Group) 피부 내 콜라겐 양 평균
(px)
피부 내 collagen 양 표준오차
G1 244220.7
Normal control (UVB-) 21150.7
G2 174327.7
UVB+ only 11305.5
G3 201680.7
UVB++ vehicle 12160.6
G4 190596.7
UVB++TECA+Madecassoside (40:1 ratio) 16040.7
G5 204115.3
UVB++TECA+Madecassoside (20:1 ratio) 8525.7
G6 212856.7
UVB++TECA+Madecassoside (10:1 ratio) 9882.0
G7 224275.0
UVB++Retinoic acid (Positive control) 7838.0
G8 208337.0
UVB++TECA 6142.6
G9 200454.7
UVB++Medecassoside 14952.9
표 8,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UVB 단독 유발군(G2) 대비 Normal control(G1)을 제외한 전체 군에서 콜라겐 생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Vehicle control(G3) 대비 TECA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20:1인 실험군(G5) 및 TECA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10:1인 실험군(G6)에서 피부 내 콜라겐 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ECA 단독(G8) 대비 TECA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10:1인 실험군(G6)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피부 내 콜라겐의 증가가 나타났고, Madecassoside 단독(G9) 대비 TECA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20:1인 실험군(G5) 및 TECA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10:1인 실험군(G6)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피부 내 콜라겐의 증가가 나타났다.
실험예 6. UV조사에 의해 피부손상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표피두께 측정
상기 실험예 5에 따른 광노화 동물모델의 등 부위의 조직을 병리한 후 염색 결과를 광학현미경 확대 사진으로 나타내고 각 개체에 대해 표피 두께(epidermal thickness)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9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Group 표피두께 평균 (단위: μm)
표준오차
G1 2.9
Normal control (UVB-) 0.4
G2 12.2
UVB+ only 3.6
G3 12.8
UVB++ vehicle 3.8
G4 10.6
UVB++TECA+Madecassoside (40:1 ratio) 3.9
G5 9.5
UVB++TECA+Madecassoside (20:1 ratio) 2.3
G6 8.3
UVB++TECA+Madecassoside (10:1 ratio) 2.6
G7 30.0
UVB++Retinoic acid (Positive control) 11.2
G8 9.8
UVB++TECA 0.9
G9 12.5
UVB++Medecassoside 5.7
표 9,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UVB 단독 유발군(G2) 및 Vehicle control(G3) 대비 TECA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40:1, 20:1 및 10:1인 실험군(G4~G6)에서 표피(epidermis) 두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ECA 단독(G8) 대비 TECA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20:1인 실험군(G5) 및 TECA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10:1인 실험군(G6)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표피 두께(epidermal thickness) 감소를 나타내었고, Madecassoside 단독(G6) 대비 TECA와 Madecassoside의 중량비가 40:1, 20:1 및 10:1인 실험군(G4~G6)에서 표피 두께(epidermal thickness) 감소에서 우수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다. 표피 두께(epidermal thickness)에서 양성 대조군(G7)인 Retinoic acid는 피부 자극에 의한 염증반응으로 표피 두께(epidermal thickness)가 두껍게 측정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될 것이다.

Claims (14)

  1. 병풀 정량 추출물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TECA) 및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병풀 정량 추출물 1 중량% 및 마데카소사이드 0.05~0.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은 콜라겐의 생합성 촉진에 의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보호용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피부장벽보호는 피부세포 사멸 억제 및 경피수분 소실 억제에 의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 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및 메이크업 제거제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용인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연고, 패치, 겔, 크림 및 분무제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13.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용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4.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 조성물로서,
    상기 식품 첨가제 조성물은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 손상 방지용인 것인 식품 첨가제 조성물.
KR1020210139552A 2021-10-19 2021-10-19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725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52A KR102725267B1 (ko) 2021-10-19 2021-10-19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52A KR102725267B1 (ko) 2021-10-19 2021-10-19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773A KR20230055773A (ko) 2023-04-26
KR102725267B1 true KR102725267B1 (ko) 2024-11-01

Family

ID=8609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552A Active KR102725267B1 (ko) 2021-10-19 2021-10-19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52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837B1 (ko) 2018-09-19 2019-04-23 동국제약 주식회사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0753B1 (ko) 2020-04-10 2021-03-19 천금식 리포솜 화장품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8117B1 (fr) * 2002-12-10 2006-08-04 Roche Consumer Health Ltd Procede de preparation d'un extrait de centella asiatica riche en madecassoside et en terminoloside
KR20170072177A (ko) * 2017-06-14 2017-06-26 최경석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837B1 (ko) 2018-09-19 2019-04-23 동국제약 주식회사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0753B1 (ko) 2020-04-10 2021-03-19 천금식 리포솜 화장품 및 그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hooshia/222189772641, 어퓨마데카소사이드 앰플 병풀추출물 시카로 민감성피부 집중진정!, 2020.12.29.*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100501767, 헬스조선뉴스, 화장품 속 마데카소사이드 연고처럼 새살 돋을까?, 2021.10.06.*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5599932&memberNo=8648334&vType=VERTICAL, 네이버블로그, 마데카소사이드 병풀추출물의 강력한 조합, 2019.09.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773A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63998B (zh) 美白化妆品添加剂和美白精华原液及其制备方法
CN116712370B (zh) 一种温和的具有美白保湿功效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725267B1 (ko) 병풀 정량 추출물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30172825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mprising amino acid complex as active ingredient
KR20170079977A (ko) 프레이럽토린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8259A (ko) 아이소스테비올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45023B1 (ko)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76429A (ko) 폴리갈라사포닌 f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114018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0242A (ko) 파르테노리드를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656321B1 (ko) 디오스메틴 7-o-베타-d-글루코피라노시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70079975A (ko) 아주골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6443A (ko) 로가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70080094A (ko) 4-(4-하이드록시페닐)-2-부타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9974A (ko) 루부소사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656322B1 (ko) 가르데노시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70080074A (ko) 브라시놀라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0069A (ko) 에스큘렌토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0012A (ko) 슈도프로토디오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0250A (ko) 우고노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765A (ko) 다이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804A (ko) 소포리코시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70078097A (ko) 폴리갈라신 디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26452A (ko) 브레비스카핀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70080077A (ko) 호모플란타지닌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10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