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040352B1 -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352B1
KR102040352B1 KR1020157001633A KR20157001633A KR102040352B1 KR 102040352 B1 KR102040352 B1 KR 102040352B1 KR 1020157001633 A KR1020157001633 A KR 1020157001633A KR 20157001633 A KR20157001633 A KR 20157001633A KR 102040352 B1 KR102040352 B1 KR 102040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gas purification
frame
engine
pur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863A (ko
Inventor
요시후미 코니시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60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336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895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972111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72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8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the axis of inlet or outlet tubes being other than the longitudinal axis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는 디젤 엔진(14)을 탑재하는 주행 기체(1)와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구비한다. 디젤 엔진(14)의 배기관(116)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배기가스 취입구(86)를 접속시킨다. 디젤 엔진(14)이 설치되는 엔진룸(92)을 주행 기체(1) 상에 형성한다. 엔진룸(92)의 상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94,95)를 형성한다. 엔진룸(92) 상측면의 설치부(94,95)에 고정구(96)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적재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ENGINE DEVICE FOR MOUNTING ON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포장에 식립한 곡간을 베어내서 곡립을 수집하는 콤바인, 또는 사료용 곡간을 베어내서 사료로서 수집하는 사료 콤바인 등의 작업기에 탑재하는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이 배출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 등에 탑재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장용의 농작업기로서의 콤바인은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에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주행부)를 장착하고,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를 구동 제어해서 포장 등을 이동하는 한편,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의 밑둥을 예취날 장치에 의해 절단하고, 곡간 반송 장치에 의해 탈곡 장치에 그 곡간을 반송하고, 탈곡 장치에 의해 그 곡간을 탈곡하여 곡립을 수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종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엔진에 인접시켜서 배치되고,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향해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0-22244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은 엔진에 인접시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룸 근방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엔진룸 용적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용적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화물 자동차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주행 기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지만, 배기가스 정화 장치 내의 배기가스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로 저하되어 자기 재생 능력이 저감되기 쉬운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들 현재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은 디젤 엔진을 탑재하는 주행 기체와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가스 취입구를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을 상기 주행 기체 상에 형성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룸의 상측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엔진룸 상측면의 설치부에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적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외측면 중 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구로서의 복수의 상측 배치 고정구의 상단측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룸 상측면의 설치부에 상기 복수의 상측 배치 고정구의 하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하면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를 하향으로 개구시킨 것이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의 상부 또는 측부를 둘러싸는 기체 프레임으로 상기 엔진룸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룸에 작업부를 인접시키는 구조이며,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를 상기 기체 프레임의 일부로서 형성하고, 상기 작업부에 인접한 상기 기체 프레임 일측방의 상측면에 상기 고정구로서의 상측 배치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작업부의 측면에 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에 작업부를 인접시키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룸 상측면 중 상기 작업부 근처의 상측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부의 상면측에 상기 고정구로서의 상측 배치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엔진룸의 상방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이 적재되는 기체 프레임의 상부 하면측에 상기 고정구로서의 매달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하면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를 하향으로 개구시킨 것이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면측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의 일단측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기체 프레임의 상면측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의 타단측을 연장하고, 상기 기체 프레임의 상면측에 상방으로부터 상기 매달기 고정구의 타단측을 접촉시켜서 상기 기체 프레임의 상면측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체결한 것이다.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 설치부에 인접한 작업부를 향해서 상기 기체 프레임 중 상면 프레임의 일부를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면 프레임의 돌출부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5항에 기재된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부의 기체 상면과 상기 디젤 엔진 설치부에 인접한 작업부의 기체 상면 사이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디젤 엔진을 탑재하는 주행 기체와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가스 취입구를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을 상기 주행 기체 상에 형성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룸의 상측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를 형성하여 상기 엔진룸 상측면의 설치부에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적재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룸 상측면의 고위치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엔진룸 용적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용적이 제한될 일이 없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는(자기 재생 능력이 저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디젤 엔진으로부터 이간시킨 위치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부착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젤 엔진 정지시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방열로 상기 디젤 엔진의 주변이 고온으로 되는 폐해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외측면 중 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구로서의 복수의 상기 상측 배치 고정구의 상단측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엔진룸 상측면의 설치부에 상기 복수의 상측 배치 고정구의 하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하면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를 하향으로 개구시킨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룸 상측면의 설치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간단한 조립 조작으로 상부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 상기 배기가스 취입구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디젤 엔진의 냉각풍로를 우회하여 상기 디젤 엔진과 상기 배기가스 취입구 사이의 배기관을 간단하게 연장할 수 있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온도 관리 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젤 엔진의 상부 또는 측부를 둘러싸는 기체 프레임으로 상기 엔진룸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룸에 작업부를 인접시키는 구조이며,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를 상기 기체 프레임의 일부로서 형성하고, 상기 작업부에 인접한 상기 기체 프레임 일측방의 상측면에 상기 고정구로서 상측 배치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작업부의 측면에 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작업부에 대면한 상기 기체 프레임의 일측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를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젤 엔진과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이간 거리를 소정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작업부에 인접한 상기 엔진룸 상측면의 스페이스 등을 활용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컴팩트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룸에 작업부를 인접시키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룸 상측면 중 상기 작업부 근처의 상측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부의 상면측에 상기 고정구로서의 상측 배치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엔진룸의 상방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디젤 엔진 설치부와 작업부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양측방이 포위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고온으로 되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작업자 등이 접촉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인 블록 등의 하역 기기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매달아서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젤 엔진이 적재되는 기체 프레임의 상부 하면측에 상기 고정구로서의 매달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하면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를 하향으로 개구시킨 것이기 때문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기체 프레임의 고위치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엔진룸 용적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용적이 제한될 일이 없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는(자기 재생 능력이 저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간단한 부착 구조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젤 엔진 정지시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방열로 그 주변이 고온으로 되는 폐해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면측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의 일단측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기체 프레임의 상면측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의 타단측을 연장하고, 상기 기체 프레임의 상면측에 상방으로부터 상기 매달기 고정구의 타단측을 접촉시켜 상기 기체 프레임의 상면측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체결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일체적으로 승강 조작해서 상기 기체 프레임에 착탈시킬 수 있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장착 작업성 또는 분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젤 엔진 설치부에 인접한 작업부를 향해서 상기 기체 프레임 중 상면 프레임의 일부를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면 프레임의 돌출부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디젤 엔진 설치부와 이것에 인접한 작업부 사이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컴팩트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젤 엔진 설치부와 작업부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포위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고온으로 되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작업자 등이 접촉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기계 외측으로 노정시켜서 상기 디젤 엔진 정지시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온도를 신속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젤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부의 기체 상면과 상기 디젤 엔진 설치부에 인접한 작업부의 기체 상면 사이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작업부의 상면측을 향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디젤 엔진 설치부와 작업부 사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냉각풍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젤 엔진을 운전 중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온도를 필요 이상으로 유지하여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자기 재생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디젤 엔진을 정지시켰을 때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온도를 단시간에 강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범용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범용 콤바인의 후방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6은 엔진룸부의 후방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엔진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앞면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자탈형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자탈 콤바인의 엔진룸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범용 콤바인의 후방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배면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엔진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앞면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부의 측면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엔진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앞면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엔진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측면에서 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엔진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을 참조하여 콤바인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2)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1)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는 곡간을 베어내면서 받아들이는 예취 장치(3)가 단동식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예취 회동 지점축(4a) 둘레로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행 기체(1)에는 급동(6)을 갖는 탈곡 장치(5)와, 상기 탈곡 장치(5)로부터 인출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물 탱크(7)가 횡배열 형상으로 탑재된다. 또한, 탈곡 장치(5)가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 좌측에, 곡물 탱크(7)가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 우측에 배치된다.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 선회 가능한 배출 오거(8)가 설치되고, 곡물 탱크(7) 내부의 곡립이 배출 오거(8)의 벼 배출구(9)로부터 트럭의 짐받이 또는 컨테이너 등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 장치(3)의 우측방이며 곡물 탱크(7) 앞측방에는 운전 캐빈(10)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10) 내에는 조종 핸들(11)과, 운전 좌석(12)과, 주변속 레버(43)와, 부변속 레버(44)와, 탈곡 클러치 및 예취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작업 클러치 레버(45)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운전 캐빈(10)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스텝과, 조종 핸들(11)을 설치한 핸들 칼럼(46)과, 상기 각 레버 (43,44,45)를 설치한 레버 칼럼(47)이 배치되어 있다. 곡물 탱크(7) 후방의 주행 기체(1) 상에는 동력원으로서의 디젤 엔진(14)이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21)을 배치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21)에는 주행 크롤러(2)에 엔진(14)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22)과, 주행 크롤러(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23)와,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의 트랙 롤러(24)와,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유지하는 전후의 중간 롤러(25)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22)에 의해 주행 크롤러(2) 앞측을 지지하고, 텐션 롤러(23)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뒷측을 지지하고, 트랙 롤러(24)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지지하고, 중간 롤러(25)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지지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3)는 탈곡 장치(5) 전방부의 탈곡구(5a)에 연통된 피더 하우스(51)와, 피더 하우스(51)의 전단에 연설된 가로로 긴 버킷 형상의 곡물 헤더(52)를 구비한다. 곡물 헤더(52) 내에 레이킹 오거(raking auger)(53)(플랫홈 오거)를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 레이킹 오거(53)의 전방부 상방에 타인 바(tine bar) 부착 레이킹 릴(raking reel)(54)을 배치한다. 곡물 헤더(52)의 전방부에 바리캉 형상의 예취날(55)을 배치한다. 곡물 헤더(52) 전방부의 좌우 양측에 좌우의 분초체(分草體)(56)를 돌출시킨다. 또한, 피더 하우스(51)에 공급 컨베이어(57)를 내설한다. 또한, 피더 하우스의 하면부와 주행 기체(1)의 전단부가 승강용 유압 실린더(4)를 통해서 연결되고, 예취 회동 지점축(4a)(예취 입력축인 피더 하우스 컨베이어축)을 승강 지점으로 해서 예취 장치(3)가 승강용 유압 실린더(4)로 승강 이동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좌우의 분초체(56) 사이의 미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이 레이킹 릴(54)로 레이킹되고, 미예취 곡간의 줄기측이 예취날(55)로 예취되며, 레이킹 오거(53)의 회전 구동에 의해 곡물 헤더(52)의 좌우 폭의 중앙부 근처의 피더 하우스(51) 입구 부근에 예취 곡간이 모아진다. 곡물 헤더(52)의 예취 곡간의 전량은 공급 컨베이어(57)에 의해 반송되어, 탈곡 장치(5)의 탈곡구(5a)에 투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더 하우스(51)의 전방부에 좌우 경사 조절 지점축(58)을 통해서 곡물 헤더(52)를 좌우 경사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있다. 곡물 헤더(52)를 좌우 경사 조절 지점축(58) 둘레로 회동시키는 좌우 경사 조절용 유압 롤링 실린더(59)를 구비하고, 곡물 헤더(52)의 좌우 방향의 경사 각도를 롤링 실린더(59)로 조절하여 곡물 헤더(52), 및 예취날(55), 및 레이킹 릴(54)을 포장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지지한다.
또한,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탈곡실 내에 급동(6)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주행 기체(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킨 급동축(71)에 급동(6)을 축 지지한다. 급동(6)의 하방측에는 곡립을 누하시키는 수망(74)을 설치한다. 또한, 급동(6) 전방부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스크류 날개 형상의 도입 날개가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탈곡구(5a)로부터 투입된 예취 곡간은 급동(6)의 회전으로 주행 기체(1)의 후방을 향해서 반송되면서, 급동(6)과 수망(74) 사이 등에서 혼련되어서 탈곡된다. 수망(74)의 그물코보다 작은 곡립 등의 탈곡물은 수망(74)으로부터 누하된다. 수망(74)으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짚부스러기 등은 급동(6)의 반송 작용에 의해 탈곡 장치(5) 후방부의 배진구(73)로부터 포장으로 배출된다.
또한, 급동(6)의 상방측에는 탈곡실 내의 탈곡물의 반송 속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송진 밸브(도시 생략)를 회동 가능하게 피봇 부착한다. 상기 송진 밸브의 각도 조정에 따라 탈곡실 내의 탈곡물의 반송 속도(체류 시간)를 예취 곡간의 품종이나 성상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탈곡 장치(5)의 하방에 배치된 곡립 선별 기구(75)로서 그레인 팬 및 채프 시이브 및 그레인 시이브 및 짚체 등을 갖는 비중 선별용의 요동 선별반(76)을 구비한다.
또한, 곡립 선별 기구(75)로서 요동 선별반(76)에 선별풍을 공급하는 풍구팬(77) 등을 구비한다. 급동(6)에서 탈곡되어서 수망(74)으로부터 누하된 탈곡물은 요동 선별반(76)의 비중 선별 작용과 풍구팬(77)의 바람 선별 작용에 의해 곡립(정립 등의 1번물), 곡립과 짚의 혼합물(지경부착 곡립 등의 2번물), 및 짚부스러기 등으로 선별되어 인출되도록 구성한다.
요동 선별반(76)의 하측방에는 곡립 선별 기구(75)로서 1번 컨베이어 기구(78) 및 2번 컨베이어 기구(79)를 구비한다. 요동 선별반(76) 및 풍구팬(77)의 선별에 의해 요동 선별반(76)으로부터 낙하한 곡립(1번물)은 1번 컨베이어 기구(78) 및 양곡 컨베이어(80)에 의해 곡물 탱크(7)에 수집된다. 곡립과 짚의 혼합물(2번물)은 2번 컨베이어 기구(79) 및 2번 환원 컨베이어(81) 등을 통해서 급동(6)의 탈곡 시단측으로 되돌아와 급동(6)에 의해 재탈곡된다. 짚부스러기 등은 주행 기체(1) 후방부의 배진구(73)로부터 포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이어서, 도 4~도 7을 참조하여 디젤 엔진(14)과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디젤 파티큘레이터 필터)로서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및 그 부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는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는 입구측 케이스(63)와 출구측 케이스(64)를 갖는다.
또한, 입구측 케이스(63)와 출구측 케이스(64)의 내부에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하는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65)(가스 정화체)와 포집한 입자상 물질(PM)을 비교적 저온에서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하는 허니콤 구조의 매연 필터(66)(가스 정화체)를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하고 있다. 입구측 케이스(63) 및 출구측 케이스(64)에 내장된 디젤 산화 촉매(65)와 매연 필터(66)에 의해,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해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를 저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케이스(63)에 배기가스 입구관으로서의 정화 입구관(86)을 용접 고정함과 아울러, 출구측 케이스(64)에 배기가스 출구관으로서의 테일 파이프(87)를 연결한다.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가 정화 입구관(86)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내에 도입되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내의 배기가스가 테일 파이프(87)로부터 기체 밖으로 방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입구측 케이스(63)와 출구측 케이스(64)는 복수세트의 두꺼운 판 형상 중간 플랜지체(88)와 복수개의 볼트(89)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산화 촉매(65)의 산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질소(NO2)가 매연 필터(66) 내에 일측 끝면(도입측 끝면)으로부터 공급된다.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은 매연 필터(66)에 포집되어 이산화질소(NO2)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해서,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이어서,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물 탱크(7) 후방의 주행 기체(1) 상에 기체 프레임으로서의 엔진룸 프레임(91)을 세워서 설치하고, 엔진룸 프레임(91)으로 엔진룸(92)을 형성하고 있다. 주행 기체(1) 상면측에 디젤 엔진(14)을 적재하고, 엔진룸(92) 내부의 하방측에 디젤 엔진(14)을 내설함과 아울러 엔진룸(92) 내부 중 디젤 엔진(14)의 상측방에 수냉용 라디에이터(93) 등을 내설한다. 즉, 디젤 엔진(14)과 디젤 엔진(14)의 수냉용 라디에이터(93)를 세로로 긴 형상의 엔진룸(92) 내부에 상하 2단 구조로 배치하고 있다.
또한, 디젤 엔진(14)과 수냉용 라디에이터(93)의 우측과 배면측과 상면측이 엔진룸 프레임(91)으로 둘러싸여져 엔진룸 프레임(91)의 우측 바깥쪽으로부터 엔진룸(92) 내부로 수냉용 외기를 도입하는 한편, 디젤 엔진(14)과 수냉용 라디에이터(93)를 냉각한 후의 따뜻한 공기가 엔진룸 프레임(91)(엔진룸(92))에 인접한 작업부로서의 탈곡 장치(5)를 향해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룸(92)(디젤 엔진(14) 설치부)에 인접한 탈곡 장치(5) 후방부의 우측면과 평행하게 기체 프레임으로서의 엔진룸 프레임(91) 중 좌측 상면 프레임(94)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로서의 전후의 가로살 프레임(95)을 좌측 상면 프레임(94)에 연결한다. 좌측 상면 프레임(94)에 가로살 프레임(95)을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가 배치되어 있다. 즉, 디젤 엔진(14)이 적재되는 엔진룸 프레임(91)의 상측면의 좌측 상면 프레임(94)에 가로살 프레임(95)을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하면측에 정화 입구관(86)(배기가스 취입구)을 하향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또한,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케이스(63)의 앞면측에 앞의 지지 프레임체(96)의 상단측을 볼트 체결하고, 출구측 케이스(64)의 후면측에 뒤의 지지 프레임체(96)의 상단측을 볼트 체결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전후에 상측 배치 고정구로서의 전후의 지지 프레임체(96)의 상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한편, 좌측 상면 프레임(94)(가로살 프레임(95))의 상측면에 전후의 지지 프레임체(96)의 하단측을 접촉시키고, 좌측 상면 프레임(94)(가로살 프레임(95))의 상면측에 전후의 지지 프레임체(96)의 하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환언하면, 엔진룸(92)의 상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좌측 상면 프레임(94), 가로살 프레임(95))를 형성하고, 엔진룸(92) 상측면의 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에 전후의 지지 프레임체(96)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적재하고 있다.
즉, 좌측 상면 프레임(94)(가로살 프레임(95))의 상측면에 상방으로부터 전후의 지지 프레임체(96)를 접촉시켜서 체결하는 것으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외측면 중 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후의 지지 프레임체(96)(복수의 상측 배치 고정구)의 상단측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엔진룸(92) 상측면의 좌측 상면 프레임(94)(가로살 프레임(95))에 전후의 지지 프레임체(96)의 하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그 결과, 좌측 상면 프레임(94)(가로살 프레임(95))을 통해서 엔진룸 프레임(91)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의 중간부가 가로 놓기 자세(전후 방향 자세)로 상부 적재 고착된다. 디젤 엔진(14)이 설치되는 엔진룸(92)부의 상면 중, 디젤 엔진(14) 설치부에 인접한 탈곡 장치(5)의 우측부 근처의 상면에 전후의 지지 프레임체(96)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가 배치된다.
또한,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전단측의 배기가스 공급측 중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의 하면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로서의 정화 입구관(86)을 하향 자세로 설치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하면측에 정화 입구관(86)을 하향으로 개구시킨 것이며, 디젤 엔진(14)의 상면측을 향해서 정화 입구관(86)을 개구시키고 있다. 또한, 출력축(111)을 좌우 방향을 향해서 주행 기체(1)에 탑재한 엔진(14)의 앞면측 상부에 배기 매니폴드(112)와 과급기(113)를 배치하고 있다. 정화 입구관(86)에 절곡 가능한 벨로우즈 형상 배기관(114)을 통해서 배기 연결관(115)의 일단측을 연결하는 한편, 과급기(113)의 배기 출구관(116)에 배기 연결관(115)의 타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배기 매니폴드(112)에 과급기(113)와 배기 연결관(115) 등을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가 연통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 후방부의 우측방에 있어서 탈곡 장치(5) 우측면 근처의 엔진룸 프레임(91) 상면측에 형성되는 스페이스에 전후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가로 놓기 자세)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가 배치된다. 배기 매니폴드(112), 과급기(113), 배기 출구관(116), 배기 연결관(115), 벨로우즈 형상 배기관(114)을 통해서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의 입구측 케이스(63) 내에 도입된다.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전방부의 디젤 산화 촉매(65)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후방부의 매연 필터(66)로 이동하여 탈곡 장치(5)(엔진룸(92))의 후측방을 향해서 테일 파이프(83)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또한, 탈곡 장치(5) 근처의 엔진룸 프레임(91) 상면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가 배치된다. 즉, 상기 배출 오거(8) 하면 높이보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상면 높이를 낮게 형성하고, 탈곡 장치(5) 상면 높이보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하면 높이를 높게 형성하고 있다. 수납 위치(수확 작업 자세)의 상기 배출 오거(8) 저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가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 오거(8)가 수납 위치 또는 기체 외측방의 곡립 배출 위치 중 어디로 이동해도 배출 오거(8)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등에 충돌할 일이 없기 때문에, 곡물 탱크(7)의 곡립 배출 작업에 있어서 기체 내외로 배출 오거(8)를 용이하게 선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4,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앞면측과 뒷면측에 전후의 매달기 금구체(121,122)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콤바인의 조립 공장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체인 블록 또는 호이스트 등의 하역 매달기 장치의 훅에 매달기 금구체(121,122)를 록킹시켜 상기 체인 블록 등에 매달기 금구체(121,122)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매달 수 있고, 무거운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의 후단측에 테일 파이프(83)를 연결하기 위한 두꺼운 판 형상 후단 플랜지체(123)에 매달기 금구체(122)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로서의 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을 엔진룸 프레임(91)(기체 프레임)의 일부로써 형성하고, 탈곡 장치(5)(작업부)에 인접한 좌측 상면 프레임(94)의 상측면에 지지 프레임체(96)(상측 배치 고정구)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하고, 탈곡 장치(5)의 우측면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원통 형상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가 가로 놓기 자세(전후 방향 자세)로 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에 상부 적재 고착되어 있다.
또한, 엔진룸(92) 상측면 중 탈곡 장치(5)(작업부) 근처의 상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좌측 상면 프레임(94), 가로살 프레임(95))를 형성하고, 좌측 상면 프레임(94) 및 가로살 프레임(95)의 상면측에 지지 프레임체(96)(상측 배치 고정구)를 통해서 엔진룸(92)의 상방측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장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두꺼운 판 형상 후단 플랜지체(123)에 센서 브래킷(124)을 볼트 체결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후단측의 출구측 케이스(77)의 상면측으로 센서 브래킷(124)을 돌출시킨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후단부의 상면측에 센서 브래킷(124)을 배치시킨다. 전기 배선 커넥터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차압 센서(125)가 센서 브래킷(124)의 평탄한 상면에 부착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의 외측면에 센서 브래킷(124)을 통해서 차압 센서(125)가 배치된다.
또한, 차압 센서(125)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류측 센서 배관과 하류측 센서 배관의 일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내의 매연 필터(66)를 끼우듯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에 배치된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센서 배관 보스체에 상류측과 하류측의 상기 각 센서 배관의 타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따라서, 매연 필터(66)의 유입측의 배기가스 압력과 매연 필터(66)의 유출측의 배기가스 압력의 차(배기가스의 차압)가 차압 센서(122)를 통해서 검출된다. 매연 필터(66)에 포집된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배기가스의 차압에 비례하기 때문에, 매연 필터(66)에 잔류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소정 이상으로 증가했을 때에 차압 센서(125)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매연 필터(66)의 입자상 물질량을 감소시키는 재생 제어(예를 들면, 배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어) 또는 경보 표시 등이 실행된다.
또한, 디젤 산화 촉매(76)의 배기가스 취입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28)와 디젤 산화 촉매(65)의 배기가스 배출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30)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28)의 전기 배선 커넥터(129)와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30)의 전기 배선 커넥터(131)를 센서 브래킷(124)에 고착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내부의 배기 온도의 검출 결과(각 센서(128,130) 출력)에 의거하여, 그 적부 또는 경보 표시 등이 실행된다.
도 1,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14)을 탑재하는 주행 기체(1)와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구비하고, 디젤 엔진(14)의 배기관으로서의 배기 출구관(116)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배기가스 취입구로서의 정화 입구관(86)을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디젤 엔진(14)이 설치되는 엔진룸(92)을 주행 기체(1) 상에 형성하는 구조로서 엔진룸(92)의 상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로서의 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을 형성하고, 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에 고정구로서의 지지 프레임체(96)(상측 배치 고정구)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적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룸(92) 상측면의 고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장착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엔진룸(92) 용적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61) 용적이 제한될 일이 없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는(자기 재생 능력이 저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디젤 엔진(14)으로부터 이간시킨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를 형성할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부착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디젤 엔진(14) 정지시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방열로 디젤 엔진(14)의 주변이 고온으로 되는 폐해를 저감할 수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외측면 중 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 프레임체(96)의 상단측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엔진룸(92) 상측면의 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에 복수의 지지 프레임체(96)의 하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하면측에 정화 입구관(86)을 하향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따라서, 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간단한 조립 조작으로 위에 얹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젤 엔진(14)의 배기 매니폴드(112)에 정화 입구관(86)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디젤 엔진(14)의 냉각풍로를 우회하여 디젤 엔진(14)과 정화 입구관(86) 사이에 배기관(배기 연결관(115))을 간단하게 연장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온도 관리 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14)의 상부 또는 측부를 둘러싸는 기체 프레임으로서의 엔진룸 프레임(91)으로 엔진룸(92)을 형성함과 아울러 엔진룸(82)에 작업부로서의 탈곡 장치(5)를 인접시키는 구조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를 엔진룸 프레임(91)의 일부로서 형성하고, 탈곡 장치(5)에 인접한 엔진룸 프레임(91) 일측방의 상측면에 지지 프레임체(96)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하고, 탈곡 장치(5)의 측면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탈곡 장치(5)에 대면한 엔진룸 프레임(91)의 일측부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를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디젤 엔진(14)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이간 거리를 소정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탈곡 장치(5)에 인접한 엔진룸(92) 상측면의 스페이스 등을 활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컴팩트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룸(92)에 탈곡 장치(5)를 인접시키는 구조로서 엔진룸(92) 상측면 중 탈곡 장치(5) 근처의 상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를 형성하고, 좌측 상면 프레임(94) 또는 가로살 프레임(95)의 상면측에 지지 프레임체(96)를 통해서 엔진룸(92)의 상방측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 엔진(14) 설치부(엔진룸(92))와 탈곡 장치(5)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양측방이 포위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고온으로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에 작업자 등이 접촉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인 블록 등의 하역 기기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매달아서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자탈형 콤바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탑재한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8은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2)로 지지된 주행 기체(1)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는 곡간을 베어내면서 거두어들이는 6조 베기용의 예취 장치(133)가 단동식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134)에 의해 예취 회동 지점축(134a) 둘레로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행 기체(1)에는 피드 체인(136)을 갖는 탈곡 장치(135)와 상기 탈곡 장치(135)로부터 인출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물 탱크(137)가 횡배열 형상으로 탑재된다. 또한, 탈곡 장치(135)가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 좌측에, 곡물 탱크(137)가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 선회 가능한 배출 오거(138)가 설치되어, 곡물 탱크(137) 내부의 곡물이 배출 오거(138)의 벼 배출구(139)로부터 트럭의 짐받이 또는 컨테이너 등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 장치(133)의 우측방이며 곡물 탱크(137) 앞측방에는 운전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140)에는 조종 핸들(141)과, 운전 좌석(142)과, 주변속 레버(145)와, 부변속 레버와, 탈곡 클러치 및 예취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작업 클러치 레버 등을 배치하고 있다. 운전 좌석(142)의 하방의 주행 기체(1)에는 동력원으로서의 디젤 엔진(1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140)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스텝(146)이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147)을 배치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동 스프로킷(22)에 의해 주행 크롤러(2) 앞측을 지지하고, 텐션 롤러(23)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뒤측을 지지하고, 트랙 롤러(24)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지지하고, 중간 롤러(25)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지지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133)의 예취 회동 지점축(134a)에 연결한 예취 프레임(151)의 하방에는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의 밑둥을 절단하는 바리캉식의 예취날 장치(152)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51)의 전방에는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을 일으켜 세우는 6조분의 곡간 세우기 장치(153)가 배치되어 있다. 곡간 세우기 장치(153)와 피드 체인(136)의 전단부(이송 시단측) 사이에는 예취날 장치(152)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154)가 배치된다. 또한, 곡간 세우기 장치(153)의 하부 전방에는 미예취 곡간을 분초하는 6조분의 분초체(155)가 돌출되어 있다.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예취 장치(133)에 의해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을 연속적으로 베어낸다.
이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135)에는 곡간 탈곡용의 급동(156)과, 급동(156)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탈립물을 선별하는 요동 선별반(157) 및 풍구팬(158)과, 급동(156)의 후방부로부터 인출되는 탈곡 배출물을 재처리하는 처리동(159)과, 요동 선별반(57) 후방부의 배진을 배출하는 배진팬(1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취 장치(133)로부터 곡간 반송 장치(154)에 의해 반송된 곡간은 피드 체인(136)으로 계승되어 탈곡 장치(135)에 반입되어서 급동(156)에서 탈곡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157)의 하방측에는 요동 선별반(157)에서 선별된 곡립(1번물)을 인출하는 1번 컨베이어 기구(161)와 지경부착 곡립 등의 2번물을 인출하는 2번 컨베이어 기구(162)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반(157)은 급동(156)의 하방에 펼쳐 설치된 수망으로부터 누하된 탈곡물이 요동 선별(비중 선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요동 선별반(157)으로부터 낙하한 곡립은 그 곡립 중의 분진이 풍구팬(158)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고, 1번 컨베이어(161)에 낙하한다. 1번 컨베이어(161)로부터 인출된 곡립은 양곡 컨베이어(163)를 통해서 곡물 탱크(137)로 반입되어 곡물 탱크(137)에 수집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157)은 요동 선별에 의해 지경부착 곡립 등의 2번물을 2번 컨베이어(162)에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2번 컨베이어(162)의 종단부는 환원 컨베이어(166)를 통해서 요동 선별반(157)의 상면측에 연통 접속되어, 2번물을 요동 선별반(157)의 상면측으로 되돌려서 재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136)의 후단측(이송 종단측)에는 배고(排藁) 체인(164)과 배고 커터(165)가 배치되어 있다. 피드 체인(136)의 후단측으로부터 배고 체인(164)으로 계승된 배고(곡립이 탈립된 짚)는 긴 상태로 주행 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탈곡 장치(135)의 후방부에 설치된 배고 커터(165)에 의해 적당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뒤, 주행 기체(1)의 뒤쪽 하방으로 배출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142)의 하방의 주행 기체(1) 상에 기체 프레임으로서의 엔진룸 프레임(191)을 세워서 설치하고, 엔진룸 프레임(191)으로 주행 기체(1) 상면측에 엔진룸(192)을 형성하고, 엔진룸(192) 내에 디젤 엔진(14)을 설치하고 있다. 한편, 엔진룸 프레임(191) 앞측에 스텝 프레임(193)을 일체적으로 연설하고, 스텝 프레임(193) 상에 운전부(140)(스텝(146))를 설치함과 아울러 엔진룸 프레임(191) 전방부 상방측에 시트 지지 기구(143)를 통해서 운전 좌석(142)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조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구비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하면측에 지지 프레임체(196)의 상단측을 체결함과 아울러, 엔진룸 프레임(191) 중 상면 프레임(194)의 상측면에 지지 프레임체(196)의 하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벨로우즈 형상 배기관(114), 배기 연결관(115), 배기 출구관(116) 등을 통해서 하향으로 개구시킨 정화 입구관(86)(배기가스 취입구)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내부로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를 송급하는 한편,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에 연결한 테일 파이프(87)로부터 정화 후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킨다. 테일 파이프(87)는 탈곡 장치(135)의 상면측에서 후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어, 탈곡 장치(135)의 후방으로 배기가스가 방출된다.
또한, 상면 프레임(194)의 상방에 정화룸 프레임(197)을 설치하고, 엔진룸(192)의 상방에 정화룸 프레임(197)으로 정화룸(198)을 형성하고, 정화룸(198)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내설하여 엔진룸(192) 및 정화룸(198)의 따뜻한 공기가 풍구팬(158)의 외기 도입 작용 등에 의해 탈곡 장치(135) 방향 또는 운전 좌석(142) 하방을 향해서 배출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룸(192)의 상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상면 프레임(194))를 형성하고, 엔진룸(192) 상측면의 상면 프레임(194)에 상측 배치 고정구로서의 지지 프레임체(196)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적재하고 있다. 엔진룸(192)에 작업부로서의 곡물 탱크(137)를 인접시키는 구조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상면 프레임(194))를 엔진룸 프레임(191)(기체 프레임)의 일부로서 형성하고, 곡물 탱크(137)의 앞면측에 인접한 엔진룸 프레임(191) 후측방의 상측면에 지지 프레임체(196)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하고 있다.
즉, 곡물 탱크(137) 앞측면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원통 형상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가 가로 놓기 자세(좌우 방향 자세)로 상면 프레임(194)에 상부 적재 고착되어 있다. 또한, 엔진룸(192) 상측면 중 곡물 탱크(137) 근처의 상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상면 프레임(194))를 형성하고, 상면 프레임(194)의 상면측에 지지 프레임체(196)를 통해서 엔진룸(192)의 상방측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장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10~도 14를 참조하여 범용 콤바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탑재한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도 7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범용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룸(92) 상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시키고 있다.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 근처의 엔진룸(92) 상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로서의 탑재대 프레임(211)을 형성하고, 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의 상측 배치 고정구로서의 앞 지지 프레임체(212)와 뒤 지지 프레임체(213)를 통해서 탈곡 장치(5)에 인접한 엔진룸(92) 상측면의 탑재대 프레임(21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하면측에 정화 입구관(86)을 하향으로 개구시킴과 아울러 탑재대 프레임(211)의 상면측에 앞 지지 프레임체(212)와 뒤 지지 프레임체(213)를 통해서 엔진룸(92)의 상방측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장착하고, 탈곡 장치(5)의 우측면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3~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룸(92)측으로부터 탈곡 장치(5)의 우측면을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시키는 끝면 C형상의 전방부 상면 프레임(214)과 전방부 상면 프레임(214)의 우측 단부에 전단측을 연결하는 상면 파이프 프레임(215)을 구비한다. 엔진룸 프레임(91)의 일부인 전방부 상면 프레임(214)과 상면 파이프 프레임(215)으로 탑재대 프레임(211)을 형성한다. 탈곡 장치(5)의 우측면에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상면 파이프 프레임(215)을 연장시키고 있다.
즉, 엔진룸 프레임(91)으로부터 탈곡 장치(5)의 우측면을 향해서 돌출시킨 전방부 상면 프레임(214)과 상면 파이프 프레임(215)으로 엔진룸 프레임(91)의 상면 높이를 다단 형상으로 구성하고, 엔진룸 프레임(91)의 최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전방부 상면 프레임(214)과 상면 파이프 프레임(215)으로 엔진룸(92) 상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전방부 상면 프레임(214)과 상면 파이프 프레임(215) 상에 적재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상면 높이가 엔진룸 프레임(91)의 최상면 높이와 같거나 낮아진다. 엔진룸(92)의 상면 중,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상하 폭 치수만큼 최상면(배출 오거(8)의 이동 궤적)보다 낮은 위치에 전방부 상면 프레임(214)과 상면 파이프 프레임(215)을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상면 및 우측면을 덮는 정화 장치 커버체(216)를 구비한다. 정화 장치 커버체(216)는 그 측면부에 다수의 구멍을 개구시키고 있다. 엔진룸 프레임(91)의 최상면에 전후의 위 커버 브래킷(217)을 설치하고, 상면 파이프 프레임(215)에 전후의 아래 커버 브래킷(218)을 설치한다. 위 커버 브래킷(217)과 아래 커버 브래킷(218)에 정화 장치 커버체(216)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61) 주변의 환기 등을 고려하면서, 정화 장치 커버체(216)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 및 차압 센서(125) 등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디젤 엔진(14)에 외기를 공급하는 에어 클리너(221)와 에어 클리너(221)에 외기를 도입하는 프리 클리너(222)를 구비한다. 프리 클리너(222)는 엔진룸(92)의 상면 중, 곡물 탱크(7)의 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221)는 디젤 엔진(14)의 상면측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하면측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프리 클리너(222)로부터 에어 클리너(221)를 통해서 디젤 엔진(14)의 흡기 매니폴드에 연소용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15~도 18을 참조하여 범용 콤바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탑재한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도 7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범용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룸(92) 상측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시키고 있다.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룸(92)(디젤 엔진(14) 설치부)에 인접한 탈곡 장치(5)의 후방부 상면측을 향해서 기체 프레임으로서의 엔진룸 프레임(91) 중 상면 프레임(394)의 좌단측을 대략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전후의 상면 프레임(394) 좌단측의 돌출부에 전후의 매달기 고정구(395)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하고 있다. 즉, 디젤 엔진(14)이 적재되는 엔진룸 프레임(91)의 상부 하면측에 상면 프레임(394)과 매달기 고정구(395)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하면측에 정화 입구관(86)(배기가스 취입구)을 하향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또한,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케이스(63)의 상면측에 앞의 매달기 고정구(395)의 하단측을 용접 고정하고, 출구측 케이스(64)의 상면측에 뒤의 매달기 고정구(395)의 하단측을 용접 고정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상면측에 전후의 매달기 고정구(395)의 일단측을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상면 프레임(394)(기체 프레임)의 상면측에 전후의 매달기 고정구(395)의 상단측을 연장하고, 전후의 매달기 고정구(395)의 상단측에 지지 프레임체(396)의 하면을 용접 고정한다. 전후의 상면 프레임(394)의 상면측에 상방으로부터 지지 프레임체(396)의 전후 단부를 접촉시켜, 전후의 상면 프레임(394)에 지지 프레임체(396)의 전후 단부를 볼트(397) 체결하고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체(396)의 상면측에 손잡이(398)를 고착시키고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체(396)의 하면측에 전후의 매달기 고정구(395)를 문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를 양쪽 지지 형상으로 지지시킬 수도 있다.
즉, 상면 프레임(394)(기체 프레임)의 상면측에 위쪽으로부터 매달기 고정구(395) 상단측의 지지 프레임체(396)를 접촉시켜 상면 프레임(394)의 상면측에 지지 프레임체(396)를 통해서 매달기 고정구(395)의 상단측을 체결함으로써, 엔진룸 프레임(91)에 상면 프레임(394)을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의 중간부가 가로 놓기 자세(전후 방향 자세)로 매달려 고착되어 있다. 디젤 엔진(14)이 설치되는 엔진룸(92)부의 상면과 디젤 엔진(14) 설치부에 인접한 탈곡 장치(5)의 상면 사이에 매달기 고정구(395)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가 배치된다.
또한,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전단측의 배기가스 공급측 중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의 하면측에 정화 입구관(86)을 하향 자세로 설치하고, 디젤 엔진(14)의 상면측을 향해서 정화 입구관(86)을 개구시키고 있다. 또한, 출력축(111)을 좌우 방향을 향해서 주행 기체(1)에 탑재한 엔진(14)의 앞면측 상부에 배기 매니폴드(112)와 과급기(113)를 배치하고 있다. 정화 입구관(86)에 절곡 가능한 벨로우즈 형상 배기관(114)을 통해서 배기 연결관(115)의 일단측을 연결하는 한편, 과급기(113)의 배기 출구관(116)에 배기 연결관(115)의 타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배기 매니폴드(112)에 과급기(113)와 배기 연결관(115)을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가 연통 접속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 후방부의 우측방에 있어서 엔진룸 프레임(91) 좌측면과 탈곡 장치(5) 우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에 전후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가로 놓기 자세)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가 배치된다. 배기 매니폴드(112), 과급기(113), 배기 연결관(115)을 통해서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에 도입된다.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전방부의 디젤 산화 촉매(65)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후방부의 매연 필터(66)로 이동하여 탈곡 장치(5)의 후측방을 향해서 테일 파이프(83)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또한, 엔진룸 프레임(91) 상면과 탈곡 장치(5) 상면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가 배치된다. 즉, 엔진룸 프레임(91) 상면 높이보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상면 높이를 낮게 형성하고, 탈곡 장치(5) 상면 높이보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상면 높이를 높게 형성하고 있다. 엔진룸 프레임(91) 좌측면과 탈곡 장치(5) 우측면 사이의 고위치에서 탈곡 장치(5) 상면을 향해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의 우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엔진룸 프레임(91) 측면 또는 탈곡 장치(5) 상면에 테일 파이프(83)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편, 도 15,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외측면 중 이 상단측에 전후의 매달기 금구체(121,122)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콤바인의 조립 공장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체인 블록 또는 호이스트 등의 하역 매달기 장치의 훅에 매달기 금구체(121,122)를 록킹시켜 상기 체인 블록 등에 매달기 금구체(121,122)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매달 수 있고, 손잡이(398)를 이용한 위치 조절 등으로 무거운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장착 또는 분리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의 후단측에 테일 파이프(83)를 연결하기 위한 두꺼운 판 형상 후단 플랜지체(123)에 매달기 금구체(122)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두꺼운 판 형상 후단 플랜지체(123)에 센서 브래킷(124)을 볼트 체결하여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후단측의 출구측 케이스(77)의 상면측에 센서 브래킷(124)을 돌출시킨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상단측의 외면측에 센서 브래킷(124)을 배치시킨다. 전기 배선 커넥터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차압 센서(125)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상면측으로 돌출시킨 센서 브래킷(124)의 평탄한 상면에 부착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의 외측면에 센서 브래킷(124)을 통해서 차압 센서(125)가 배치된다.
또한, 차압 센서(125)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류측 센서 배관과 하류측 센서 배관의 일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내의 매연 필터(66)를 끼우듯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에 배치된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센서 배관 보스체에 상류측과 하류측의 상기 각 센서 배관의 타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따라서, 매연 필터(66)의 유입측의 배기가스 압력과 매연 필터(66)의 유출측의 배기가스 압력의 차(배기가스의 차압)가 차압 센서(122)를 통해서 검출된다. 매연 필터(66)에 포집된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배기가스의 차압에 비례하기 때문에, 매연 필터(66)에 잔류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소정 이상으로 증가했을 때에 차압 센서(125)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매연 필터(66)의 입자상 물질량을 감소시키는 재생 제어(예를 들면 배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어) 또는 경보 표시 등이 실행된다.
또한, 디젤 산화 촉매(76)의 배기가스 도입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28)와 디젤 산화 촉매(65)의 배기가스 배출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30)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128)의 전기 배선 커넥터(129)와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130)의 전기 배선 커넥터(131)를 센서 브래킷(124)에 고착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62) 내부의 배기 온도의 검출 결과(각 센서(128,130) 출력)에 의거하여 그 적부 또는 경보 표시 등이 실행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와 센서 브래킷(124) 사이가 지지 프레임체(96)로 차열되기 때문에, 차압 센서(122) 또는 커넥터(129,131)의 배선 등을 간략화할 수 있다. 기타 구성은 도 1~도 7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15~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구비하고, 디젤 엔진(14)의 배기관으로서의 배기 출구관(116)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배기가스 취입구로서의 정화 입구관(86)을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디젤 엔진(14)이 적재되는 기체 프레임으로서의 엔진룸 프레임(91)의 상부 하면측에 고정구로서의 매달기 고정구(395)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하면측에 정화 입구관(86)을 하향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따라서, 매달기 고정구(395)를 통해서 엔진룸 프레임(91)의 고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장착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엔진룸(92) 용적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61) 용적이 제한될 일이 없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는(자기 재생 능력이 저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간단한 부착 구조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디젤 엔진(14) 정지시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방열로 그 주변이 고온으로 되는 폐해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5~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상면측에 매달기 고정구(395)의 일단측을 연결함과 아울러 엔진룸 프레임(91)의 상면측에 매달기 고정구(395)의 타단측을 연장하고, 엔진룸 프레임(91)의 상면측에 상방으로부터 매달기 고정구(395)의 타단측을 접촉시켜 엔진룸 프레임(91)의 상면측에 매달기 고정구(395)를 체결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에 매달기 고정구(395)를 장착한 상태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와 매달기 고정구(395)를 일체적으로 승강 조작해서 엔진룸 프레임(91)에 착탈시킬 수 있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장착 작업성 또는 분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14) 설치부에 인접한 작업부로서의 탈곡 장치(5)를 향해서 엔진룸 프레임(91) 중 상면 프레임(94)의 일부를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면 프레임(94)의 돌출부에 매달기 고정구(395)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 엔진(14) 설치부와 이것에 인접한 탈곡 장치(5) 사이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컴팩트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디젤 엔진(14) 설치부와 탈곡 장치(5)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가 포위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고온으로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에 작업자 등이 접촉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기체 외측으로 노정시켜서 디젤 엔진(14) 정지시 등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온도를 신속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5~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14)이 설치되는 엔진룸(92)측의 기체 상면과 디젤 엔진(14) 설치부에 인접한 탈곡 장치(5)측의 기체 상면 사이에 매달기 고정구(395)를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탈곡 장치(5)의 상면측을 향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디젤 엔진(14) 설치부와 탈곡 장치(5)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냉각풍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디젤 엔진(14)을 운전 중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온도를 필요 이상으로 유지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자기 재생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디젤 엔진(14)을 정지시켰을 때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온도를 단시간에 강하시킬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61)의 배출 열로 주위의 구성 부품이 가열되는 문제의 발생 등을 저감시킬 수 있다.
1 : 주행 기체 5 : 탈곡 장치
14 : 디젤 엔진 61 : 배기가스 정화 장치
86 : 정화 입구관(배기가스 취입구) 91 : 엔진룸 프레임(기체 프레임)
92 : 엔진룸 94 : 좌측 상면 프레임(설치부)
95 : 가로살 프레임(설치부) 96 : 지지 프레임체(상측 배치 고정구)
116 : 배기 출구관(배기관) 137 : 곡물 탱크(작업부)
191 : 엔진룸 프레임(기체 프레임) 192 : 엔진룸
194 : 상면 프레임(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
196 : 지지 프레임체(상측 배치 고정구)
394 : 상면 프레임 395 : 매달기 고정구

Claims (8)

  1. 디젤 엔진을 탑재하는 주행 기체와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디젤 엔진의 배기관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가스 취입구를 접속시키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가, 상기 주행 기체 상에 탈곡 장치와 곡물 탱크를 횡배열 형상으로 탑재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디젤 엔진의 상부 또는 측부를 둘러싸는 기체 프레임으로 상기 디젤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을 상기 주행 기체 상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곡물 탱크 후방에서 상기 엔진룸에 상기 탈곡 장치를 인접시키고, 상기 탈곡 장치의 인접하는 측면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룸의 일측면을 덮고 있고,
    상기 엔진룸의 상측면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부를 상기 기체 프레임의 일부로서 형성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외측면 중 배기가스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측 배치 고정구의 상단측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설치부에 상기 복수의 상측 배치 고정구의 하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상기 탈곡 장치의 측면 중 상기 엔진룸에 인접하는 측면에 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탈곡 장치에 인접한 상기 기체 프레임 일측방의 상측면에서, 상기 엔진룸의 상방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하면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를 하향으로 개구시키고, 상기 엔진룸 내의 상기 엔진의 배기관과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엔진에 외기를 공급하는 에어 클리너가 상기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상기 엔진과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 사이의 공간으로서 상기 엔진룸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프레임의 상부 하면측에 매달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하면측에 배기가스 취입구를 하향으로 개구시키고 있고,
    상기 매달기 고정구의 일단측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면측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매달기 고정구의 타단측이, 상기 기체 프레임의 상면측에 연장되어, 상면측에 손잡이가 고착되어 있는 지지 프레임체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기체 프레임의 상면측에 상방으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체가 접촉하여, 상기 기체 프레임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부에 인접한 탈곡 장치를 향해서 상기 기체 프레임 중 상면 프레임의 일부를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면 프레임의 돌출부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 엔진이 설치되는 엔진룸부의 기체 상면과 상기 엔진룸부에 인접한 탈곡 장치의 기체 상면 사이에 상기 매달기 고정구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7001633A 2012-08-08 2013-08-07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KR102040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6062 2012-08-08
JP2012176062A JP2014033634A (ja) 2012-08-08 2012-08-08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2012189511A JP5972111B2 (ja) 2012-08-30 2012-08-30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JP-P-2012-189511 2012-08-30
PCT/JP2013/071385 WO2014024929A1 (ja) 2012-08-08 2013-08-07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863A KR20150040863A (ko) 2015-04-15
KR102040352B1 true KR102040352B1 (ko) 2019-11-04

Family

ID=5006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633A KR102040352B1 (ko) 2012-08-08 2013-08-07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40352B1 (ko)
CN (1) CN104519732B (ko)
WO (1) WO2014024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2321B2 (ja) 2014-03-18 2017-11-15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機のエンジン装置
JP6360331B2 (ja) * 2014-03-19 2018-07-18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6378049B2 (ja) * 2014-11-07 2018-08-22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440A (ja) * 2000-12-20 2002-07-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自脱型コンバインの燃料タンク
US20100031644A1 (en) * 2008-08-07 2010-02-11 Caterpillar Inc. Mounting assembly for emissions control system
JP2010138832A (ja) * 2008-12-12 2010-06-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0229959A (ja) * 2009-03-30 2010-10-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11024510A (ja) * 2009-07-28 2011-02-1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244782A (ja) * 2010-05-31 2011-12-0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1210A1 (ja) * 2004-07-29 2006-02-02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WO2008136203A1 (ja) * 2007-05-01 2010-07-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224954B2 (ja) 2008-07-17 2013-07-03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443027B2 (ja) * 2009-03-16 2014-03-1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5522360B2 (ja) * 2009-08-28 2014-06-1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1230638A (ja) * 2010-04-27 2011-11-17 Iseki & Co Ltd トラクタ
JP5508351B2 (ja) * 2011-06-30 2014-05-2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440A (ja) * 2000-12-20 2002-07-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自脱型コンバインの燃料タンク
US20100031644A1 (en) * 2008-08-07 2010-02-11 Caterpillar Inc. Mounting assembly for emissions control system
JP2010138832A (ja) * 2008-12-12 2010-06-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0229959A (ja) * 2009-03-30 2010-10-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11024510A (ja) * 2009-07-28 2011-02-1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244782A (ja) * 2010-05-31 2011-12-0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4929A1 (ja) 2014-02-13
CN104519732B (zh) 2017-09-26
KR20150040863A (ko) 2015-04-15
CN104519732A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366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244647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JP5995708B2 (ja) コンバイン
WO2015033480A1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2016158591A (ja) コンバイン
JP5971859B2 (ja) コンバイン
JP2016029895A (ja) コンバイン
JP6305277B2 (ja) コンバイン
KR102040352B1 (ko) 작업기 탑재용 엔진 장치
JP6227859B2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5945220B2 (ja) コンバイン
JP2016131547A (ja) コンバイン
JP2014025392A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6245759B2 (ja) コンバイン
JP6158113B2 (ja) 作業車両
JP5972111B2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5945219B2 (ja) コンバイン
JP2014136976A (ja) コンバイン
JP2016146772A (ja) コンバイン
JP2014033634A (ja)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2016029894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