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51925B1 -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925B1
KR101951925B1 KR1020160057385A KR20160057385A KR101951925B1 KR 101951925 B1 KR101951925 B1 KR 101951925B1 KR 1020160057385 A KR1020160057385 A KR 1020160057385A KR 20160057385 A KR20160057385 A KR 20160057385A KR 101951925 B1 KR101951925 B1 KR 101951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electronic device
pedestal
bowl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153A (ko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기술센타
Priority to KR102016005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92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모바일의 원격제어용 리모트컨트롤러을 자체 훼손 없이 안정하게 장착 및 보호하고, 거치한 모바일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받쳐서 모바일이 출력하는 DMB와 동영상과 내비게이션 이미지 등의 출력 영상을 사용자가 자신에게 편안한 시선 각으로 맞춰 시청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장착된 리모트컨트롤러를 매개로 모바일을 원격제어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과 연결되는 받침대; 전자기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보울과, 일단이 상기 보울에 연결되고 타단이 받침대에 탈부착하는 넥을 구비한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MOBILE CRADLE INSTALLING A DEVICE FOR A MOBILE}
본 발명은 모바일의 사용자 핸들링과 안정한 거치를 위해 모바일을 받치며 지지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리모트컨트롤러와 IOT 기기와 각종 측정장치 등의 전자기기를 자체 훼손 없이 안정하게 장착 및 보호해서, 상기 전자기기가 갖는 기능이 거치기능과 더불어 효과적으로 발현하도록 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인 모바일은 일반 전화는 물론 통신 미디어, 인터넷,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사진촬영,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형 복합 장치이다. 또한, 모바일은 사용자의 휴대 이용이 가능해야 하므로 비교적 소형이면서도, 사용자가 출력 영상을 시청하는데 불편이 없는 최대한의 스크린 구성을 갖추어야 했다. 따라서 종래 모바일은 휴대 기능과 스크린 형태에 디자인적 연구가 집중되었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쥐고 사용하거나 거치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적 연구는 차순위로 밀렸다. 결국, 종래 모바일은 조작 등이 불편한 디자인적 한계로 인해서, 사용 도중에 모바일을 낙하시켜 파손하는 사고가 빈번했다. 특히 모바일의 불편한 핸들링 자세가 요구되는 일명 '셀카' 등의 촬영 중에는 모바일의 낙하사고가 더욱 빈번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일명 '셀카봉'으로 불리는 도구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종래 '셀카봉'은 명칭 그대로 봉의 형태를 이루므로, 사용 범위와 사용장소가 매우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모바일은 TV는 물론 다양한 영상과 오디오 기능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모바일을 쥐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모바일을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할 경우에는 손의 흔들림에 의해서 화면이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움직임은 눈에 피로를 높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을 손으로 들지 못하는 상황에서 영상을 시청해야 할 경우에는 판 형상의 모바일을 탁자나 책상 등에 그대로 뉘어놓아야 하는데, 이 경우 화면이 상방을 향하므로 사용자의 모바일 시청이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모바일을 받치는 다양한 형태의 지지대가 개발되었다. 상기 지지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852호(이하 '선행기술')에서 공지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는 영상촬영장치의 배면에 자성체와 자력을 띠는 금속재가 부착된 것과; 영상촬영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걸고리에 끈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는 상기 금속재와 밀착고정자성체가 설치되고, 이 자성체가 설치된 타측에는 수평면에 대하여 밀착되어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 기능의 구성요소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영상촬영장치의 배면에 금속재를 부착하여야 하고, 받침대 기능의 구성요소에는 금속재에 대응되는 자성체를 구성해야 하므로, 제작 단가는 물론 판매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영상촬영장치에 부착되는 금속재가 돌출된 턱을 이룰 수밖에 없으므로, 영상촬영장치를 휴대하고 이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턱에 상해를 입을 수 있었다. 또한, 금속재를 영상촬영장치의 배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떨어지면 금속재가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이탈하여 기능을 상실하는 단점 또한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514호(2015.06.17 공고)
선행기술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852호(2005.03.11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을 이용해서 일반 촬영은 물론 셀프 촬영을 안정하면서도 원하는 자세와 형태로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수용하고 모바일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스크래치 등의 훼손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전자기기의 안정한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의 플레이 영상을 편안한 시선 각으로 시청할 수 있게 하고, 통화 등을 위해서 사용자가 모바일을 손으로 들어야 할 때에는 안전하고 불편 없이 모바일을 쥐고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하며, 모바일 지지 방식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한편, 모바일 지지를 위한 탈부착이 손쉽고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과 연결되는 받침대; 및
전자기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보울과, 일단이 상기 보울에 연결되고 타단이 받침대에 탈부착하는 넥을 구비한 어댑터;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과 통신하는 전자기기;
상기 모바일과 연결되는 받침대; 및
상기 전자기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보울과, 일단이 상기 보울에 연결되고 타단이 받침대에 탈부착하는 넥을 구비한 어댑터;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을 이용해서 일반 촬영은 물론 셀프 촬영을 안정하면서도 원하는 자세와 형태로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러를 포함한 전자기기를 모바일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스크래치 등의 훼손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전자기기의 안정한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모바일의 플레이 영상을 편안한 시선 각으로 시청할 수 있게 하고, 통화 등을 위해서 사용자가 모바일을 손으로 들어야 할 때에는 안전하고 불편 없이 모바일을 쥐고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하며, 모바일 지지 방식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한편, 모바일 지지를 위한 탈부착이 손쉽고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모바일 지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장착되는 전자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1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거치대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한 거치대의 핸들링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2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2실시 예를 다르게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2실시 예를 다양하게 사용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4실시 예를 180도로 뒤집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4실시 예에서 전자기기의 동작 모습을 180도로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5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5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로부터 분리된 어댑터를 링크할 수 있는 행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모바일 지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장착되는 전자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모바일(200)이 입설하도록 받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선 각으로 모바일(200)의 출력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거치대(100)는 모바일(200)의 배면에 밀착해서 모바일(200) 정면의 스크린이 사용자의 시선 각 범위 이내에 위치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받침대(110)와 모바일(200) 배면 간의 탈부착을 통한 위치 변경이 가능하므로, 거치대(100)의 설치 위치 변경에 의한 모바일(200)의 입설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사용자가 모바일(200)을 직접 쥐고 조작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모바일(200)의 동작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는 거치대(100)만을 쥔 상태에서 모바일(200)의 카메라 조작, 플레이 영상 또는 음악 선택, 음량 조절 등이 가능한 것이다.
전술한 기능을 갖는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모바일(200)을 받치는 받침대(110)와, 바닥에 안착하며 받침대(110)를 지지하는 어댑터(120; 도 3 참고)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의 어댑터(120)는 모바일(200)을 원격제어하는 기능의 전자기기(140)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전자기기(140)는 리모트컨트롤러를 예시하며, 예시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는, 하우징(140a)과,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하우징(140a)에 배치되는 스위치(141)와, 스위치(141)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모바일(200)에 호환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해 생성하는 처리모듈(142)과, 처리모듈(142)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모바일(200)에 발신하는 통신모듈(143)을 포함하고, 처리모듈(142)과 통신모듈(143)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출력하는 전원모듈(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의 전자기기(14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통해서 모바일(200)과 통신하므로, 모바일(200)과의 통신 효율 개선을 위해 하우징(140a)은 비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전자기기(140)의 하우징(140a)은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다. 하우징(140a)의 재질에 관한 설명은 어댑터(120)의 설명과 함께 한다.
본 실시의 스위치(141)는 어댑터(120) 또는 받침대(110)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쉽게 터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터치해 클릭하면 입력신호를 발생시켜서 처리모듈(142)에 전달한다. 스위치(141)는 사용자의 기계적인 클릭을 통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고, 터치스크린과 같이 전기적인 클릭을 통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는 스위치(141)가 기계적인 클릭을 요하는 버튼이고, 배치위치는 어댑터(120)의 상단에 위치하며, 1개의 버튼으로도 모바일(2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셔터와 전화 ON/OFF 등의 조작용으로 활용된다.
본 실시의 처리모듈(142)은 스위치(141)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를 확인해서 모바일(200)이 인지하는 해당 기능의 제어신호로 출력한다. 스위치(141)의 입력신호를 받아서 모바일(200)의 실행을 위한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처리모듈(142)의 종류와 변환 프로세스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의 통신모듈(143)은 처리모듈(142)이 출력한 제어신호를 모바일(200)에 전달한다. 거치대(100)와 모바일(200) 간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유선의 경우 통신모듈(143)은 모바일(200)의 이어폰잭 규격 또는 USB 코드 규격 등의 케이블일 수도 있고, 무선의 경우 통신모듈(143)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규약에 맞춘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처리모듈(142)과 통신모듈(143)은 자체 프로세싱을 위해 최소한의 전력이 요구되며, 이를 충족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전원모듈(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모듈(144)은 충방전지 또는 수은전지 등을 전원으로 구성하고, 충방전지가 전원인 경우에 전원모듈(144)은 충전기(미 도시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의 전원에 수은전지와 같은 일회성 전지가 적용될 경우에는 수은전지를 모두 방전하면 새로운 전지로 교체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언급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거치대(100)에 통신모듈(143)이 유선방식이면, 케이블이 연결된 USB 포트를 통해서 모바일(100)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처리모듈(142)은 상기 전력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동작을 위해 전원모듈(144)이 반드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에서 어댑터(120)의 보울(121)에 탈부착하는 대상인 전자기기(140)를 리모트컨트롤러인 것으로 예시했으나, 이외에도 보울(121)에 탈부착하는 대상은 모바일(100)과 연동하면서 사용자의 생체상태를 감지해 모바일(100)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감지수단 또는 IOT 기반의 통신모듈 등일 수 있다.
참고로, 전자기기(140)는 IOT 시대인 요즘, 모바일(100)과 연동해 동작하는 센서, 리모트컨트롤러, 통신모듈, 바이오측정기 등, 모바일(100)과 연동하나 모바일(100)과는 독립한 개체인 다양한 종류가 예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거치대는 이러한 전자기기(14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면서 모바일(100)의 거치기능을 실현한다.
이하에서는 전자기기(140)가 리모트컨트롤러인 것으로 예시해 설명하나, 거치대가 수용하는 전자기기(140)가 리모트컨트롤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1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거치대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받침대(110)는 모바일(200)과 접합하는 바디(111)를 포함한다.
어댑터(120)는 바닥에 안착하며 전자기기(140)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보울(121)과, 보울(121)과 바디(111)를 연결하는 넥(124)을 포함한다. 거치대(100)는 받침대(110)와 어댑터(120)가 일체일 수 있으나, 받침대(110)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받침대(110)의 바디(111)와 넥(124)을 상호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한다.
한편, 보울(121)과 넥(124)은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의 보울(121)과 넥(124)은 상호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한다. 본 실시의 보울(121)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울(121)은 전자기기(14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며 장착할 수 있는 원형의 용기 형상이다. 이때, 보울(121)은 전자기기(140)의 일부를 긴밀히 감싸며 조이는 방식으로 전자기기(140)를 장착하므로, 보울(121)의 형상은 전자기기(14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체 탄력으로 전자기기(140)를 조이기 위한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자기기(140)를 보울(121)에 압입하면 보울(121)은 탄발하면서 전자기기(140)를 수용하고, 수용된 전자기기(140)를 탄성에 의해 조이면서 안정하게 장착한다. 물론 전자기기(140)를 보울(12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자기기(140)를 보울(121)로부터 강제로 압출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전자기기(140)와 보울(121)은 사용자가 손으로 편안하게 쥐고 핸들링할 수 있으면서도, 거치대(100)를 모바일(200)에 자세 제한 없이 고정해서 모바일(200)을 거치할 수 있도록, 둘레가 곡면 형태로 볼록한 원판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거치대(100)는 둥근 원편 형상의 보울(121) 또는 전자기기(140)가 바닥에 맞닿아 놓이게 되므로, 모바일(200)과의 연결 위치, 모바일(200)이 바닥에 놓인 자세, 상기 바닥의 굴곡 형태 등에 상관없이, 안정한 고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의 보울(121)과 전자기기(140)는 원판 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모바일(200)을 받치는 받침대(110)와 연결되어서 모바일(200)을 바닥에서 지지할 수 있다면, 보울(121)과 전자기기(140)는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어댑터(120)는 탄성 재질의 보울(121)과 넥(124)의 상호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넥(124)과 일체를 이루는 링커(122)와, 보울(121)과 링커(122)를 체결하는 체결부재(123)를 더 포함한다. 링커(122)는 보울(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을 갖는 넥(124)이 보울(121)을 안정하게 안착하며 체결될 수 있도록 단면적을 확장시킨 구간이고, 체결부재(123)는 보울(121)을 관통해서 링커(122)에 삽입되는 볼트 또는 핀 등의 수단이다. 본 실시의 체결부재(123)는 볼트이고, 링커(122)는 볼트가 볼팅하는 너트홀을 구성한다.
참고로, 보울(121)은 탄성 재질이며 전자기기(140)의 원활한 압입과 압출을 위해서 넥(124)과의 조립과 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에서 보울(121)과 넥(124) 간의 연결을 위해 별도의 링커(122)를 구성했으나, 넥(124)에 직접 너트홀을 구성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바디(111)와 넥(124) 간의 상호 탈부착을 위해서, 본 실시는 바디(111)에 너트홈(111a)을 형성하고, 넥(124)의 말단에는 너트홈(111a)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볼트(125)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너트홈(111a)에 볼트(125)를 풀거나 결합하는 방식으로 받침대(110)와 어댑터(120)를 탈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의 볼트(125)는 넥(124)과 일체를 이루므로, 넥(124)을 받침대(11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어댑터(120) 전체를 돌리며 볼팅해야 한다.
그런데 어댑터(120)에 기성제품인 전자기기(140)를 일체로 고정하며, 어댑터(120)를 받침대(110)에 연결하기 위해 볼팅하는 과정에서 전자기기(140)의 하우징(140a)에 스크래치 등의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의 보울(121)은 전자기기(140)와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어댑터(120)를 받침대(110)에 조립할 때에는 보울(121)에서 전자기기(140)를 분리하고, 어댑터(120)와 받침대(110)가 조립되면 전자기기(140)를 보울(121)에 장착해서 거치대(100)로서 활용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모바일(200)과의 부착을 위한 탈착패드(130)를 더 포함한다. 탈착패드(130)의 제1면(131)은 바디(111)에 고정되고, 제2면(132)은 모바일(200)에 부착된다. 여기서 제2면(132)은 모바일(200)에 밀착하는 방식으로 부착되고, 이를 통해서 바디(111)는 탈착패드(130)를 매개로 모바일(200)에 고정된다. 또한, 모바일(200)에 고정된 제2면(132)은 사용자의 인력으로 충분히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치대(100)를 모바일(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탈착패드(130)는 접착성질을 갖는 우레탄 재질의 패드를 적용했다. 참고로, 본 실시의 탈착패드(130)는 재접착 성질을 갖는 우레탄 재질의 양면 테이프로서, 일명 '겔패드'란 명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스카치테이프 제작사로 유명한 '3M™'의 '재접착 폼 양면 테이프'가 대표적이다. 여기서, 제1면(131)은 강한 접착력에 의해서 탈착패드(130)가 바디(111)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고, 제2면(132)은 인력으로도 모바일(200)과의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1면(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접착력을 갖는다.
본 실시의 어댑터(120)는 넥(124)과 볼트(125) 사이의 경계를 이루도록 둘레를 따라 확장 형성된 펜스(126)를 더 포함한다. 펜스(126)는 볼트(125)가 너트홈(111a)으로 볼팅할 때 받침대(110)에 면접촉해서, 너트홈(111a)과 볼트(125) 사이의 노출 틈을 가리고, 이를 통해서 거치대(100)가 깔끔한 외관 미를 갖게 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볼트(125)는 펜스(126)와의 사이에 피치가 형성되지 않은 미끈부(125a)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미끈부(125a)의 둘레를 감싸는 탄성의 링(127)이 보강된다. 따라서 볼트(125)의 미끈부(125a)에는 링(127)이 보강된 상태로, 도 4의 (b)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11)의 너트홈(111a)에 삽입된다.
그런데 링(127)은 볼트(125)가 너트홈(111a)에 삽입되면서 너트홈(111a)의 내면과 밀착하고, 이 과정에서 탄성의 링(127)이 미끈부(125a)의 외면과 너트홈(111a)의 내면에 밀착해 가압한다. 이로 인해 볼트(125)는 너트홈(111a)과 긴밀하게 맞물리게 되고, 미끈부(125a) 자체의 마찰에 의해서 볼트(125)는 너트홈(111a)에서 회전 없이 현 위치를 고수한다.
결국, 너트홈(111a)에 삽입된 볼트(125)는 풀림이 제한되어서, 받침대(110)와 어댑터(120)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한 거치대의 핸들링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의 받침대(110)는 어댑터(120) 방향으로 돌출하며 모서리가 없는 돔(Dome) 형상으로 되어서, 사용자는 거치대(100)가 부착된 모바일(200)을 쥘 때 간섭 없이 편안한 그립감과 안정된 사용감을 느낄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거치대(100)가 모바일(200)을 받치는 상황(도 1 참조)에서 모바일(200)을 이용해 전화를 해야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모바일(200)을 손으로 감싸쥐어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오른손의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거치대(100)의 넥(124)을 끼우면서 약지(F3)와 함께 모바일(200)의 일측을 감싸고, 모바일(200)의 타측은 엄지(미도시)로 감싼다.
그런데 모바일(200)의 폭은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F1) 사이, 엄지와 중지(F2) 사이의 폭보다 짧으므로, 사용자의 손바닥은 모바일(200)의 배면으로부터는 아치(ARCH) 형태로 이격하게 된다. 결국, 모바일(200)을 쥔 손바닥은 모바일(2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한 받침대(110)와 직접 접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받침대(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돔 형상을 이루므로, 아치 형태로 벌어진 손바닥 면을 따라 밀착하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200)을 쥐었을 때 공허함 없는 그립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받침대(110)의 모서리가 손바닥에 긁힘이나 간섭을 주지 않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어댑터(120)의 넥(124)이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끼워지므로, 사용자가 모바일(200)의 사용 손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바꾸거나 그 반대로 하더라도 불편 없이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넥(124)의 말단에는 넥(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의 큰 보울(121)과 전자기기(140)가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검지(F1)와 중지(F2)는 보울(121)과 받침대(110") 사이에 걸리게 되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넥(124)을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끼우는 것만으로도 모바일(200)을 직접 쥘 필요 없이 모바일(200)을 들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모바일(200)을 활용해서 셀프 카메라 등의 촬영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거치대(100)의 어댑터(120)를 감싸 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넥(124)이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끼도록 하고, 약지(F3)와 소지(F4)는 어댑터(120)를 받치면서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엄지(F5)는 스위치(141)가 위치한 전자기기(140)의 평면에 배치되어서, 필요한 상황에서 엄지(F5)로 스위치(141)를 바로 클릭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전술한 대로 스위치(141)의 입력신호는 처리모듈(142) 및 통신모듈(143)을 통해 모바일(200)에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200)을 직접 쥐거나 조작하지 않아도 모바일(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보울(121)과 넥(124)을 연결하기 위한 링커(122)가 돌출하게 구성된다. 링커(122)는 곡면의 돔 형상을 이루므로, 돔 형상의 받침대(110)와 같이 보울(121)을 감싸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공허함을 느끼지 않으며 보울(121)을 쥘 수 있게 해서, 사용자는 편안한 그립감을 느낄 수 있다.
전술한 핸들링 외에도 사용자는 자세와 사용 목적 등에 맞춰서 거치대(100)를 다양하게 핸들링할 수 있다. 특히 보울(121)이 전자기기(140)를 수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도 6에서 보인 자세로 보울(121)만을 가압하며 회전시켜서, 어댑터(120)와 받침대(110) 간의 조립과 분리를 진행할 수 있고, 이때 전자기기(140)의 외면에 가해지는 스크래치 등의 훼손 가능성은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의 보울(121)은 바람직하게 넥(124)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확장된 형상을 이루나, 이외에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쉽게 핸들링할 수 있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2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2실시 예를 다르게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2실시 예를 다양하게 사용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의 거치대(100')에 구성된 받침대(110")의 바디(111")는 외면(fa1, fa2, fa3)에 둘 이상의 너트홈(111a, 111a', 111a")이 형성된다. 이때, 너트홈(111a, 111a', 111a")은 바디(111")의 외면(fa1, fa2, fa3) 별로 각각 분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면(fa1, fa2, fa3)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이룬다.
본 실시의 바디(111")에서 제1외면(fa1)은 도 7에서 보인 대로 수평면을 이루고, 제2외면(fa2)은 경사면을 이루며, 제3외면(fa3)은 도 8에서 보인 대로 제1외면(fa1)을 기준해서 수직면을 이룬다. 따라서 외면(fa1, fa2, fa3) 별로 각각 형성된 너트홈(111a, 111a', 111a")으로 어댑터(120)가 끼워지면, 어댑터(120)는 바디(111")를 기준으로 서로 다양한 자세를 이룬다.
본 실시에 따른 거치대(100")의 사용모습을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0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어댑터(120)가 받침대(110")의 바디(111") 제1외면(fa1)에 설치되면, 거치대(100")가 모바일(200)에 부착됐을 때 어댑터(120)가 수직하게 돌출한다. 따라서 어댑터(120)는 전자기기(140)와 함께 모바일(200)로부터 곧게 돌출한 형태로 해서 모바일(200)을 바닥(B)에서 받친다. 물론 도시한 대로 어댑터(120)와 모바일(200)에 바닥(B)에 안착해서 모바일(200)의 정면 스크린(화면)이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도 10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어댑터(120)가 받침대(110")의 바디(111") 제2외면(fa2)에 설치되면, 거치대(100")가 모바일(200)에 부착됐을 때 어댑터(120)가 다소 경사지게 돌출한다. 따라서 어댑터(120)는 모바일(200)로부터 경사지게 돌출한 형태로 해서 모바일(200)을 바닥(B)에서 받친다. 물론 도시한 대로 어댑터(120)와 모바일(200)에 바닥(B)에 안착해서 모바일(200)의 스크린(화면)이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제2외면(fa2)에 설치된 어댑터(120)는 모바일(200)을 바닥(B)으로부터 세우듯이 지지하므로, 제1외면(fa1)에 설치된 어댑터(120)보다는 모바일(120)의 경사각을 크게 할 수 있다. 물론, 모바일(200)의 스크린은 사용자를 향해 수평방향을 향하므로, 사용자는 다른 자세에서도 모바일(200)의 출력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0의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어댑터(120)가 받침대(110")의 바디(111") 제3외면(fa3)에 설치되면, 거치대(100")가 모바일(200)에 부착됐을 때 어댑터(120)가 모바일(200)과 나란한 자세를 이룬다. 이때 모바일(200)에 대한 거치대(100")의 설치 위치를 모바일(200)의 가장자리로 배치하면, 어댑터(120)는 모바일(200)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모바일(200)을 대신해서 어댑터(120)와 전자기기(140)를 핸들링해서 모바일(200)을 활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어댑터(120)를 쥐고도 모바일(200)의 배치위치를 수월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120)는 전자기기(140)를 수용하므로, 사용자는 모바일(200)로부터 돌출한 전자기기(140)를 쥐고 스위치(141)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자세와 다양한 방향으로의 모바일(200) 촬영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받침대(110") 바디(111")는 제1,2,3외면(fa1, fa2, fa3) 3면에 각각 너트홈(111a, 111a', 111a")을 하나씩 형성하고, 제1외면(fa1)은 수평하고, 제2외면(fa2)은 45도로 경사지고, 제3외면(fa3)은 90도로 경사지게 했으나, 이외에도 2개의 외면 또는 4개 이상의 외면에 너트홈(111a, 111a', 111a")을 구성할 수 있고, 각 외면들의 형성 각도도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110")는 도시한 대로 다면체일 수 있으나, 외면이 곡면을 이루는 곡면체일 수도 있다. 물론, 곡면을 이루는 외면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각의 접면을 이루므로, 본 실시의 너트홈(111a, 111a', 111a")이 다양한 각으로 형성할 수 있게 한 면이라면 제1,2,3외면(fa1, fa2, fa3)이 다면체의 각 외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의 거치대(100)에 스위치(141')는 버튼이 다수 개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거치대(100)는 모바일(200)에 대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다. 본 실시는 스위치(141')가 영상 또는 음악 등의 플레이를 조작하기 위한 기능을 갖도록, 재생/정지 버튼(141a)과 음량 버튼(141b)과 선택 버튼(141c)을 포함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재생/정지 버튼(141a)은 재생 중인 영상 또는 음악을 일시정지시키거나 재싱시키고, 음량 버튼(141b)은 출력 음량을 조정하며, 선택 버튼(141c)은 다음 영상/음악 또는 이전 영상/음악을 선택한다.
해당 스위치(141')는 사용자가 손쉽게 선택해서 클릭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촬영 모드에서 촬영을 위해 다수의 버튼 중 1개 이상이 혼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처리모듈(142)은 스위치(141')로부터 전달된 입력신호를 확인해서 해당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고 출력한다. 본 실시는 음량을 높이는 음량 버튼(141b)이 촬영 모드에서 셔터 기능을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4실시 예를 180도로 뒤집어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4실시 예에서 전자기기의 동작 모습을 180도로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는 전원모듈(144)의 전원이 수은전지와 같은 1회용 전지인 경우에, 1회용 전지가 모두 방전하면 사용자가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우징(140a)은 전지함(140b)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에서 전지(144a)를 탑재하는 전지함(140b)은 하우징(140a)에 배치되고, 서랍방식으로 여닫히면서 사용자가 전지(144a)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의 전지함(140b)은 하우징(140a)을 뒤집은 상태에서 전지(144a)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했으나, 이와는 반대로 하우징(140a)의 평면이 상향한 상태에서 전지(144a)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전지함(140b)을 구성하는 하우징(140a)이 보울(121)에 수용되고, 보울(121')은 전지함(140b)의 삽탈에 간섭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보울(121')은 전지함(140b)의 삽탈을 위한 개구부(121a)를 형성한다. 개구부(121a)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함(140b)이 위치한 구간에 절개 형성되고, 사용자는 보울(121')의 간섭없이 전지함(140b)을 손쉽게 삽탈할 수 있다.
본 실시의 보울(121')은 일측 선단을 따라 지정된 범위로 절개된 개구부(121a)를 이루므로, 보울(121')의 변형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기(140)를 보울(121')에 수용할 때, 손쉽게 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5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어댑터(120")와 받침대(110')는 볼트(125)와 너트홈(111a)을 매개로 탈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받침대(110')에 대한 어댑터(120")의 조임 정도에 따라 받침대(110')에 위치하는 어댑터(120")의 회전 위치가 변하게 된다.
그런데 받침대(110')를 기준으로 연결한 어댑터(120")의 회전 위치가 특별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회전 위치에 어댑터(120")가 맞춰지도록 볼트(125)를 중심으로 어댑터(120")를 돌려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맞춤 방식은 볼트(120")와 너트홈(111a)이 더 조여지거나 풀린 상태로 받침대(110')와 어댑터(120")가 연결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어댑터(120")는, 펜스(126')와 볼트(125)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펜스(126')와 넥(124)은 일체로 연결해서, 사용자가 볼트(125)를 돌리면 볼트(125)의 수나사 부분이 넥(124)을 중심으로 공회전을 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받침대(110')에 어댑터(120")를 연결하기 위해서 볼트(125)를 너트홈(111a)에 맞추고, 볼트(125)를 돌리면서 너트홈(111a)에 맞춰 결합하면, 헤드(121')가 자체 회전 없이 현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어댑터(120")를 받침대(110')에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는 넥(124)의 하단에 펜스(126')를 일체로 고정하되, 펜스(126')는 수용관(126a)을 형성하고, 수용관(126a)에 볼트(125)가 고정된 핸들(128)이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며, 수용된 핸들(128)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수용관(126a)을 마감하는 마감판(126b)을 구성한다. 여기서 마감판(126b)은 볼트(125)가 관통하는 관통공(126c)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관(126a)의 둘레면 일부를 절개해서 핸들(128)의 가장자리가 개구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출된 핸들(128)을 조작해서, 핸들(128) 및 볼트(125)를 회전시킬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받침대(110')에 어댑터(120")를 연결하기 위해서 볼트(125)를 너트홈(111a)에 맞추고, 핸들(128)를 돌리면서 볼트(125)를 너트홈(111a)에 맞춰 결합하면, 헤드(121') 및 넥(124)이 자체 회전 없이 현 자세를 유지하면서 받침대(11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5실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거치대(100')는 너트홈(111a)과 볼트(125)를 매개로 서로 결합한 어댑터(120") 및 받침대(110')가 볼트(125)의 자체 풀림에 의해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도, 너트홈(111a)에 볼트(125)가 삽입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받침대(110') 또는 펜스(126')가 받침대(110')와 직접 마찰하지 않도록, 받침대(110')를 덮는 커버(112)를 더 포함한다.
커버(112)는 받침대(110')의 일면을 덮는 탄성 재질의 패드 형상을 이루며, 볼트(125)가 관통하는 관통홈(112a)을 형성한다.
따라서, 볼트(125)를 너트홈(111a)에 맞추고 볼트(125)를 너트홈(111a)에 삽입해 조이는 과정에서 펜스(126)가 커버(112)에 밀착하게 되고, 이렇게 밀착한 펜스(126)는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이 고무재질의 커버(112)가 갖는 마찰력에 의해 저지되어서, 어댑터(120)는 받침대(1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더욱이 커버(112)는 자체 탄성을 가지므로 펜스(126)를 탄발해 밀어올려서, 볼트(125)의 나사산이 너트홈(111a)의 상방으로 힘을 받아 밀리므로, 볼트(125)와 너트홈(111a) 간의 밀착력은 더욱 높아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펜스(126)가 받침대(110')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받침대(110')의 바디(111') 일면이 마모하거나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12)와 받침대(110')의 바디(111')는 별도의 접착제를 매개로 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본 실시 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바디(111') 일면에 끼움홈(111b)을 형성시켜서, 커버(112)가 끼움홈(111b)에 끼워지게 할 수도 있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로부터 분리된 어댑터를 링크할 수 있는 행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분리된 어댑터(120)를 연결해 보관하는 행거(3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받침대(110)와 어댑터(120)를 서로 조합해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서포터(미 도시)에 받침대(110)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별도의 서포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어댑터(120)를 받침대(110)로부터 분리해야 하므로, 상기 서포터를 사용하는 중에는 어댑터(120)에 대한 분실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거치대(100)는 분리된 어댑터(120)를 연결해 보관하기 위한 행거(300)를 더 포함한다.
행거(300)는 모바일(200)의 커넥팅 홀(210, 220)에 삽탈하는 코드(310)와, 어댑터(120)의 볼트(125)가 끼워지는 너트홈(321)을 갖춘 본체(320)와, 코드(310)와 본체(320)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330)를 포함한다.
모바일(200)의 커넥팅 홀(210, 220)은 이어폰 단자를 끼우는 이어폰 홀(210)과, USB 단자를 끼우는 USB 홀(220) 등이 있는데, 본 실시의 행거(300)는 이어폰 홀(210) 전용 코드(310)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의 코드(310)는 USB 홀(220) 전용 단자일 수도 있고, 두 종류의 단자 모두가 코드(3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결국, 거치대(100)를 미사용할 때는 열쇠고리와 같이 모바일(200)에 걸어 휴대하고, 사용할 때는 행거(300)로부터 분리해서 모바일(200) 거치 및 조작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행거(300)와 연결한 상태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매개로 모바일(200) 조작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거치대 110, 110'; 받침대 111, 111'; 바디
112; 커버 120, 120', 120"; 어댑터
121, 121'; 보울 122; 링커 124; 넥
125; 볼트 126, 126'; 펜스 130; 탈착패드
131; 제1면 132; 제2면 140; 전자기기
140a; 하우징 141; 스위치 141a; 전지함
141b; 개구부
142; 처리모듈 143; 통신모듈 144; 전원모듈
144a; 전지 200; 모바일 300; 행거

Claims (6)

  1. 모바일의 제어를 위해 무선통신하고, 비금속 재질인 하우징이 원형을 이루고, 상기 하우징의 평면 중앙부에는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둘레가 곡면을 형태를 이루되, 전지를 탑재하는 전지함이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서 삽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자기기;
    상기 모바일에 접착되며 상면에 너트홈이 형성된 판 형상의 받침대;
    상기 너트홈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전자기기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원형의 용기 형상을 이루며 금속 재질로 된 보울과, 일단이 상기 보울에 연결되고 타단이 받침대에 탈부착하는 넥을 구비한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보울의 저면에서 돔 형상으로 볼록하며 넥과 이어지는 링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이 받침대에 다양한 각도로 연결 가능하도록, 다수 개의 상기 너트홈이 받침대에 서로 다른 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5. 제 1 항과 제 2 항과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보울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지함의 삽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보울의 둘레가 전지함이 노출되도록 절개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6. 삭제
KR1020160057385A 2016-05-11 2016-05-11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KR101951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385A KR101951925B1 (ko) 2016-05-11 2016-05-11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385A KR101951925B1 (ko) 2016-05-11 2016-05-11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153A KR20170127153A (ko) 2017-11-21
KR101951925B1 true KR101951925B1 (ko) 2019-02-27

Family

ID=6080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385A KR101951925B1 (ko) 2016-05-11 2016-05-11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828A (ko) 2020-02-14 2021-08-24 윤여신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KR20240092836A (ko) 2022-12-15 2024-06-24 (주)에이텍모빌리티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받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828B1 (ko) * 2017-12-20 2021-11-09 박수성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102301971B1 (ko) * 2020-08-26 2021-09-16 김예슬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439Y1 (ko) * 2005-11-29 2006-03-14 이경호 각도조절이 용이한 거치대의 지지장치.
JP2009206839A (ja) * 2008-02-27 2009-09-10 Kyocera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おける消費電流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52Y1 (ko) 2004-11-24 2005-03-11 황상철 영상촬영장치의 액세서리 겸용 지지대
KR20130100530A (ko) * 2012-03-02 2013-09-11 (주)서원인텍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어셈블리
KR20150104757A (ko) * 2014-03-06 2015-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스피커
KR20160011437A (ko) * 2014-07-22 2016-02-01 씨온드림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네이티브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원격 구동 및 제어하는 장치와 그 장치가 속한 막대형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77514Y1 (ko) 2014-09-01 2015-06-17 신양순 셀카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439Y1 (ko) * 2005-11-29 2006-03-14 이경호 각도조절이 용이한 거치대의 지지장치.
JP2009206839A (ja) * 2008-02-27 2009-09-10 Kyocera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における消費電流測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828A (ko) 2020-02-14 2021-08-24 윤여신 모바일 디바이스 거치대
KR20240092836A (ko) 2022-12-15 2024-06-24 (주)에이텍모빌리티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153A (ko)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925B1 (ko)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TWI233068B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assembling/disassembling method of display part
US8244299B1 (en) Grip attachment for a mobile phone
US8944614B2 (en)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30106353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JP3132095U (ja) 赤外線カメラ
US20060077286A1 (en) Video camera support assembly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O2007112115A3 (en) Kaliedoscope for attaching with a video monitor
KR101208860B1 (ko) 소형 전자기기 홀딩스탠드
US20210084782A1 (en)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KR101773108B1 (ko)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형 손잡이
US11340717B2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system
CN221926892U (zh) 用于图像捕获设备的附件
KR101741642B1 (ko) 모바일 거치형 스피커
US11528987B1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holster
WO2019004490A1 (ko) 리모컨트롤 기능의 모바일 거치대
KR101825743B1 (ko) 모바일 거치대
KR20170059367A (ko) 모바일 받침용 다기능 거치대
US20170337430A1 (en) Bae baby monitor watch systems
KR200492512Y1 (ko)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US20100283725A1 (en) Manipulat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N217643427U (zh) 手机无线多功能手持助拍器
KR20120004135U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 장치
KR101043637B1 (ko) 휴대용 듀얼 모니터의 카메라 모듈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