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135U -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4135U KR20120004135U KR2020100012470U KR20100012470U KR20120004135U KR 20120004135 U KR20120004135 U KR 20120004135U KR 2020100012470 U KR2020100012470 U KR 2020100012470U KR 20100012470 U KR20100012470 U KR 20100012470U KR 20120004135 U KR20120004135 U KR 2012000413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coupled
- fixing
- adsorption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8—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uction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그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그 타단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지지부; 및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흡착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로 구성된 착탈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흡착부를 진공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고, 이를 차량내부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에는 어떠한 고정 부착물 없이도, 필요시에만 휴대단말기를 차량내부에 고정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PDA 등과 같이 화면표시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는 현재 차량 내부에 고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들을 차량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 장치는, 주로 진공 흡착방식의 거치대를 차량의 전면 유리 내측에 고정시킨 후, 거치대의 단부에 구비된 안착부에 휴대단말기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내비게이션과 같이 차량 전용 제품의 경우, 거치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을 제품자체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거치대의 단부에 구비된 안착부에 고정시키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다.
또한, 휴대폰 또는 PDA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폰 또는 PDA에 차제에는 거치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별도로 없기 때문에, 주로 거치대의 단부에 구비된 안착부의 형상이 휴대폰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종래 흡착방식의 거치대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를 차량의 전면 유리창의 내측면 하부에 부착하게 되면, 운전자의 전방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은 물론, 차량 내부의 미관을 크게 훼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휴대폰 또는 PDA와 같이 내비게이션 이외의 용도를 겸하고 있는 휴대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거치대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부의 형상이 휴대단말기를 끼워 고정시키거나, 또는 휴대 단말기를 전체적으로 받쳐 주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보다 부피가 큰 안착부를 구비하고 있게 되어 더욱 문제이다.
한편, 안착부의 부피를 줄이고자 휴대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에 별도의 부착물을 고정시키는 구성도 생각해 볼 수는 있겠으나, 이러한 별도의 부착물을 고정시키거나 휴대폰 등에 손상을 주는 것은 사용자가 극히 싫어한다.
그리고 종래 흡착방식의 거치대는. 내비게이션등의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전체 장치를 전면 유리로부터 제거할 수는 있으나,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제한된 수납공간을 가지는 차량 내부에 보관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이나, 애플사의 아이패드 또는 삼성전자의 갤럭시탭과 같은 소형 태블릿 PC(tablet PC) 제품을 차량 내부에서 내비게이션 용도 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으나, 이러한 제품을 차량 내부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제품에는 어떠한 손상도 주지않고 부피가 적은 차량용 지지장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체 부피는 작고 휴대 단말기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휴대 단말기를 차량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그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그 타단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지지부; 및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흡착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로 구성된 착탈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차량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그 일측면이 양면테이프에 의해 차량에 고정되고 그 타측면이 상부로 돌출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한 제1부재;와 상기 고정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제1부재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부를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가 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수용홈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착탈흡착부의 몸체부재는, 상호 회전이동이 가능한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상기 흡착부재의 타측면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타측으로 돌출된 제3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3몸체는 상기 제1몸체와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제1몸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3몸체가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흡착부재를 잡아당기게 되어, 그 흡착부재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타측면에 결합된 원판형상의 이격부와, 상기 이격부에 결합되고 이격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결합원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지지부에는, 상기 결합원판부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원호를 따라 돌출형성된 턱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는 탄성을 가진 양면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에는 상기 홈에 삽입된 결합원판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돌출원판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원판부의 테두리부의 타측면에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원판부가 상기 턱부의 의해 형성된 홈에 삽입된 후 소정각도 회전되는 경우, 상기 돌기부가 그 홈에 끼워져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으로서,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는, 차량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그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결합된 지지부; 및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흡착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로 구성된 착탈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에 의하면, 필요시에만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및 차량에 고정된 구성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외에는 분리할 수 있는 착탈흡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내부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휴대 단말기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휴대 단말기를 차량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고정부와 연결부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회전지지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착탈흡착부의 측면도,
도 6과 도 7은, 도 1의 착탈흡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가 차량 내부에서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고 있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Ⅱ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고정부와 연결부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회전지지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착탈흡착부의 측면도,
도 6과 도 7은, 도 1의 착탈흡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가 차량 내부에서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고 있는 것을 예시한 도면.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1)는, 내비게이션은 물론,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이 화면표시장치를 가진 휴대단말기를 차량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1)는, 고정부(10), 연결부(20), 회전지지부(30) 및 착탈흡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0)는, 차량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10)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차량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된다. 차량의 내부 중 주로 전면 유리의 아래 대쉬보드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면테이프가 아닌 다른 부재, 예컨대 나사부재와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에 고정부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2에는, 고정부(10)의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1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11)이 구비된다. 고정부(10)는, 제1부재(14)와 너트부재(16)를 더 포함한다.
제1부재(14)의 일측면은 양면테이프(12)에 의해 차량에 고정되고 그 타측면이 상부로는 나사부(1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3)는, 고정부(10)의 관통공(11)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너트부재(16)는, 제1부재의 나사부(14)에 체결되며, 고정부(10)를 차량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고정부(10)의 관통공(12)의 상부와 하부에는, 직경이 확대된 부분이 구비된다. 상부의 직경확대된 부분에는, 너트부재(16)가 수용되고, 하부의 직경확대부분에는, 양면테이프(12), 제1부재(14) 및 또 다른 양면테이프(15)가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고정부(10)의 상측면과 하측면은 돌출되는 부분이 없게 된다.
상기 연결부(20)는, 고정부(10)에 그 일단부가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부(20)의 일단부(22)는 고정부(10)와 힌지축(24)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호 운동은 힌지축(24)의 마찰력에 의해 적당히 제어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20)는 하나의 부재로 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호 관절부로 연결된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20)가 2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흡착부(4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연결부(20)에는, 수용홈(25)이 구비되어 있다. 수용홈(25)은, 고정부(10)를 향하는 일측면에 오목하게 구비된 부분으로서, 고정부(10)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이다.
수용홈(25)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20)가 회전이동하여 고정부(10)에 근접하는 경우, 수용홈(25)에 고정부(1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즉, 연결부(20)의 수용홈(25)으로 고정부(10)가 대부분 삽입되어 전체 외부 부피가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30)는, 연결부(20)의 타단부(26)에 결합된다. 회전지지부(30)는, 연결부의 타단부(26)에 힌지축(28)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 이동동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지지부(30)에는, 결합원판부(462)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는 홈(3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원호를 따라 돌출형성된 턱부(34)가 구비되어 있다. 턱부(34)는, 결합원판부(46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면, 대략 반원을 따라 형성되며, 반원의 단부에서 약간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30)에는 턱부(32)에 의해 형성된 홈(32)에 삽입된 결합원판부(462)를 가압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돌출원판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홈(32)에 결합원판부(462)가 삽입되면, 돌출원판부(36)가 결합원판부(462)를 턱부(34)를 향해(도 4의 위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삽입된 결합원판부(462)가 견고히 지지 된다. 또한, 결합원판부(462)가, 홈(32)에 끼워진 후 고정되도록, 턱부의 하측면과 돌출원판부(36)의 상측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착탈흡착부(40)는, 몸체부재(42), 흡착부재(44) 및 결합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재(42)의 외측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재(42)는, 제1몸체(422), 제2몸체(424) 및 제3몸체(42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제1몸체(422)와 제2몸체(424)는 상호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3몸체(426)은, 흡착부재(44)의 타측면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을 향해(도 7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3몸체(426)는, 제1몸체(422)와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몸체(4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몸체(426)가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흡착부재(44)를 잡아당기게 된다.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접촉한 흡착부재(44)의 중앙부가 잡아 당겨지게 되면, 흡착부재(44)의 내부에는 진공이 형성되며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흡착부재(44)는, 몸체부(42)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46)는 몸체부(42)의 타측면에 구비된다. 결합부재(46)는, 회전지지부(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부재(46)는)의 테두리부, 결합원판부(462)와 이격부(4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격부(464)는, 몸체부재(42)의 타측면에 결합된 원판형상의 부재이다. 이격부(464)는 탄성을 가진 양면테이프로 되어 있다. 다만, 이격부의 소재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 변형 가능하다.
결합원판부(462)는, 이격부(464)에 결합된 원판형상의 부재로서, 이격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결합원판부(464)의 테두리부는, 회전지지부(30)의 턱부(34) 아래 홈(3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원판부(462)의 타측면에는 돌기부(463)가 구비되어 있다. 돌기부(463)는, 결합원판부(462)가 턱부(34)의 의해 형성된 홈(32)에 완전히 삽입된 후 소정각도 회전되는 경우, 홈(32)에 끼워져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홈(32)과, 이러한 홈(32)에 끼워진 결합원판부(462) 사이의 결합은 더욱 견고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구비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1)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8에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1)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0)를 차량의 내측면(102)에 고정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
휴대폰, 내비게이션, PDA, 아디패드 또는 갤럭시탭과 같은 태블릿 PC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휴대단말기를, 본 고안의 지지장치(1)를 이용하여 차량내부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고정부를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놓는다.
그리고 나서, 착탈흡착부(40)의 흡착부배(44)를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접촉시킨다. 제1몸체(4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에 의해 제3몸체(426)는 흡착부재(44)를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흡착부재(44)는, 진공의 강한 힘으로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다음으로, 착탈흡착부(40)의 결합원판부(462)를 회전지지부(30)의 홈(32)에 끼워 넣는다. 이때, 결합원판부(462)의 타측면에 형성된 돌기부(463)가 턱부(34)에 접촉하지 않는 방향으로 끼워 넣는다. 그 뒤, 착탈흡착부(40)를 대략 30도 정도 회전시켜, 돌기부(463)가 턱부(34)의 아래로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휴대단말기(100)의 하측단부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2)의 일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부(10)가 차량(102) 일측면 상에 고정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고정위치에서 돌기부(463)가 턱부(34)에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착탈흡착부(40)의 접촉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1)는, 필요시에만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하고, 그 이외에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착탈흡착부(4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종류의 휴대단말기라도 차량 내부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착탈흡착부(40)가 진공 흡착식이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후면에는 아무런 흠집이 나지 않으며, 어떠한 고정장치도 부착시켜 놓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착탈흡착부(40)를 회전지지부(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내부에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착탁흡착부(40)를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휴대폰 혹은 타블릿PC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시켜 간이 받침대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착탈흡착부의 크기를, 휴대 단말기의 크다에 맞도록 제작하게 되면, 어떠한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10)가 연결부(20)의 후면 홈에 수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차량 내부에 고정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착탈흡착부는 별도로 보관하고, 고정부를 연결부 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시키게 되면, 차량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극히 적게 되어 공간의 낭비가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지지부가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다르게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지지부가 아닌 지지부가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고 고정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착탈흡착부의 결합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연결부가 상호 관절로 연결된 다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착탈흡착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 10 ... 고정부
20 ... 연결부 30 ... 회전지지부
40 ... 착탈흡착부 42 ... 몸체부재
44 ... 흡착부재 46 ... 결합부재
20 ... 연결부 30 ... 회전지지부
40 ... 착탈흡착부 42 ... 몸체부재
44 ... 흡착부재 46 ... 결합부재
Claims (10)
- 차량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그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그 타단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지지부; 및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흡착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로 구성된 착탈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차량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그 일측면이 양면테이프에 의해 차량에 고정되고 그 타측면이 상부로 돌출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한 제1부재;와 상기 고정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제1부재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부를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고정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가 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수용홈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흡착부의 몸체부재는, 상호 회전이동이 가능한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상기 흡착부재의 타측면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타측으로 돌출된 제3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3몸체는 상기 제1몸체와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제1몸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3몸체가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흡착부재를 잡아당기게 되어, 그 흡착부재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타측면에 결합된 원판형상의 이격부와, 상기 이격부에 결합되고 이격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결합원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지지부에는, 상기 결합원판부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원호를 따라 돌출형성된 턱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탄성을 가진 양면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에는 상기 홈에 삽입된 결합원판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돌출원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원판부의 테두리부의 타측면에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원판부가 상기 턱부의 의해 형성된 홈에 삽입된 후 소정각도 회전되는 경우, 상기 돌기부가 그 홈에 끼워져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 - 차량 내부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그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결합된 지지부; 및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흡착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타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로 구성된 착탈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2470U KR20120004135U (ko) | 2010-12-02 | 2010-12-02 |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2470U KR20120004135U (ko) | 2010-12-02 | 2010-12-02 |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4135U true KR20120004135U (ko) | 2012-06-12 |
Family
ID=4661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2470U KR20120004135U (ko) | 2010-12-02 | 2010-12-02 |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4135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82055A (zh) * | 2016-11-22 | 2018-05-29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车载电子装置和具有其的汽车 |
CN112519696A (zh) * | 2020-11-24 | 2021-03-19 | 南京城建隧桥经营管理有限责任公司 | 一种便于安装固定的车载视频监控设备 |
-
2010
- 2010-12-02 KR KR2020100012470U patent/KR20120004135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82055A (zh) * | 2016-11-22 | 2018-05-29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车载电子装置和具有其的汽车 |
CN112519696A (zh) * | 2020-11-24 | 2021-03-19 | 南京城建隧桥经营管理有限责任公司 | 一种便于安装固定的车载视频监控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51287B2 (en) | Magnetic stand for tablet device | |
US10100971B2 (en) | Device for supporting portable terminal | |
US1208125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 article | |
JP6425105B2 (ja) | 携帯用電子・電気機器のアクセサリー | |
KR101849112B1 (ko) | 물품 부착용 다기능 자석 거치대 | |
CN200976610Y (zh) | 具有旋转摄像头的手机 | |
KR20120004135U (ko) | 차량용 휴대단말기 지지 장치 | |
KR101265526B1 (ko) | 휴대용 기기의 다단 다관절 거치대 | |
CN103425196A (zh) | 电子装置 | |
JP5580501B1 (ja) | 携帯端末装置のアクセサリー | |
KR20160148845A (ko) | 스마트폰 거치대 | |
CN209767757U (zh) | 一种便携usb蓝牙音箱 | |
CN203907158U (zh) | 一种便携式电子设备用万向支架 | |
CN203377934U (zh) | 一种便携式新型手机支架 | |
KR20120066402A (ko) |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 |
KR101384652B1 (ko) | 차량용 거치대 | |
KR20120015202A (ko) | 태블릿pc용 거치대 | |
KR200488289Y1 (ko) |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 |
CN217135535U (zh) | 一种旋转手机支架 | |
CN210034935U (zh) | 支架及电子设备 | |
KR101741642B1 (ko) | 모바일 거치형 스피커 | |
CN210979259U (zh) | 一种一体式视频终端 | |
US20110188221A1 (en) | Extended player | |
CN215891849U (zh) | 一种支架和电子设备保护套 | |
WO2013089098A1 (ja) | 支持アダプ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