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01435B1 -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 Google Patents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435B1
KR101901435B1 KR1020180042496A KR20180042496A KR101901435B1 KR 101901435 B1 KR101901435 B1 KR 101901435B1 KR 1020180042496 A KR1020180042496 A KR 1020180042496A KR 20180042496 A KR20180042496 A KR 20180042496A KR 101901435 B1 KR101901435 B1 KR 101901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late
column
steel frame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익
Original Assignee
최원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7193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014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익 filed Critical 최원익
Priority to KR102018004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4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둥과 보의 폭보다 작거나 혹은 동일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파형 강판을 앵커를 이용하여 철근과 간섭없는 위치에 기둥과 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파형 강판의 정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재와 철골 골조의 배면을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철골 골조의 배면과 파형 강판 정면 사이에 철근을 삽입한 다음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기둥 또는 보의 크기를 확장한 상태에서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SEISMIC REHABILITATION METHOD FOR OPENINGS OF BUILDING OF INDIRECT CONNECTION METHOD USING CORRUGATED STEEL PLATES}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둥과 보의 폭보다 작거나 혹은 동일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파형 강판을 앵커를 이용하여 철근과 간섭없는 위치에 기둥과 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파형 강판의 정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재와 철골 골조의 배면을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철골 골조의 배면과 파형 강판 정면 사이에 철근을 삽입한 다음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기둥 또는 보의 크기를 확장한 상태에서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시야를 확보하고 거주자의 생활을 보다 쾌적하게 하기 위해 창문, 출입문과 같은 개구부가 설치되며, 이러한 개구부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공간을 확보한 후, 공간 내부에 창호 등을 삽입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개구부는 건축물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응력 집중이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지진 등의 횡하중에 대해서 개구부가 매우 취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욱이, 내진설계기준이 제정된 1988년 이전에 건설된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경우, 내진성능이 충분치 못하여 개구부에서 기인하는 구조손상으로 인해 지진 발생 시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진으로부터 인적 피해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건물의 개구부 또는 기둥이나 보와 같은 구조부재에는 다양한 제진장치가 설치되고, 이러한 제진 장치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은 건물의 신축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상기 제진장치는 구조부재인 개구부 골조에 대각 방향의 가새형 댐퍼를 설치하여, 지진에 의한 반복하중이 발생하는 동안 소성이력거동 및 감쇠에 의해 건물의 지진변형응답을 저감하는 운동에너지를 소산시킴으로써 건물 손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제진장치는, 첫째, 댐퍼를 설치하기 위해 기둥이나 보와 같은 큰 강성을 갖는 구조부재(댐퍼 지지용)를 필요로 하므로, 기존 구조부재와 댐퍼지지 구조부재 간에 시공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철근콘크리트 건물은 댐퍼를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진장치의 설치가 힘들고, 특히 내진성능이 취약한 저층건물에는 성능대비 설치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특히 가새형 댐퍼는 개구부의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기 때문에 거주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거주환경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관을 해침으로서 건물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65320호(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과, 제10-1695315호(건물 개구부에 대한 외부 부착형 내진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 내측에 사각 형태의 철골프레임(210)을 설치하되 상기 철골프레임의 하부는 하부 보(140)에 고정구(22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양 측면은 기둥(120)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며, 상면은 상부 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철골프레임(210)은 양 기둥 사이에 양 단부가 지지되며, 상부 보의 저면에 상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철골(211); 양 기둥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부철골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양 수직철골(212); 상기 양 수직철골 하부를 서로 연결시키되 하부가 하부 보에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된 하부철골(213); 및 상기 양 수직철골의 내측 하부와 하부철골 상면에 설치된 가새철골(214)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건물 개구부에 대한 외부 부착형 내진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개구부(100)를 형성하는 좌, 우의 기둥(101, 101')과 상, 하의 보(102, 102')에 각기 밀착 고정되는 "ㄷ"자 단면의 앵글바(10, 10')와, 상기 앵글바(10, 10')에 대응하여 밀착 고정되는 "H"자 단면의 철골프레임(20, 20')을 각기 구비하여, 건물 외벽에 밀착 고정되는 앵글바(10, 10')와 상기 앵글바(10, 10')에 고정되는 철골프레임(20, 20') 및 이들 앵글바(10, 10')와 철골프레임(20, 20')의 사이에 고인성 몰탈(30)이 충전되게 한건물 개구부에 대한 외부 부착형 내진 프레임에 있어서, 보(102, 102')에 고정되는 앵글바(10, 10') 및 철골프레임(20, 20')의 양 끝단은 기둥(101, 101')에 고정되는 철골프레임(20, 20')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게 구성하고, 상기 기둥(101, 101')에 고정되는 철골프레임(20, 20')의 양 끝단에는 마감판(40)을 고정 형성하여 이들 앵글바(10, 10')와 철골프레임(20, 20') 사이의 고인성 몰탈(30)이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상기 철골프레임(20, 20')의 웨브(2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의 주입공(25)을 형성하여, 상기 주입공(25)을 통해 앵글바(10, 10')와 철골프레임(20, 20') 사이의 공간부에 고인성 몰탈(30)이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내진보강방법은 기둥과 보에 철골프레임, 즉 골조를 움직임이 없이 직접 설치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앵커볼트로 수직으로 일정간격을 이격시키는 상태에서 고정하여야 하며, 이러한 다수의 앵커볼트로 고정시키는 도중에 기둥과 보 내부에 내설된 철근과의 간섭으로 인해 앵커볼트를 고정 설치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내진보강방법은 기둥 또는 보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65320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953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과 보의 폭보다 작거나 혹은 동일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파형 강판을 앵커를 이용하여 철근과 간섭없는 위치에 기둥과 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파형 강판의 정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재와 철골 골조의 배면을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철골 골조의 배면과 파형 강판 정면 사이에 철근을 삽입한 다음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기둥 또는 보의 크기를 확장한 상태에서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형 강판의 돌출부 내부에 철근망을 삽입한 상태에서 내부에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를 충전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구조체 역할을 수행하고, 측방향으로 전단키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파형 강판의 정면과, 연결재의 양측면 및 철골 골조의 배면에 전단 연결재를 형성하여 무수축 모르타르와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철골 골조를 이용하여 기둥과 보를 보강하는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보강공법에 있어서, 정면에 연결재가 돌출 형성된 파형 강판을 상기 기둥 또는 보에서 위치를 선정하여 앵커구멍을 천공하는 천공 공정과; 상기 앵커구멍에 상기 파형 강판을 앵커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파형 강판 고정 공정과; 상기 파형 강판의 정면에 철근을 설치하는 철근 설치 공정과; 상기 철골 골조를 상기 기둥 또는 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철골 골조의 배면을 상기 파형 강판의 연결재와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접합 공정과; 상기 파형 강판과 철근이 위치한 상기 기둥 또는 보와 상기 철골 골조 사이의 공간부 양측에 거푸집을 고정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 공정과; 상기 거푸집 내에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를 타설하는 타설 공정; 및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을 탈형하고, 마감재로 감싸는 마감재 설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파형 강판은 상기 기둥과 보의 철근과 간섭시 좌우로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기둥과 보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파형 강판은 중앙부에 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곡선형 구조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끝단 양측면에 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에 일렬배치 또는 엇모배치 형태로 앵커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연결재는 상기 돌출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되되, 다단으로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파형 강판의 정면과, 연결재의 양측면 및 철골 골조의 배면에는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와 일체화되도록 전단 연결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앵커는 케미컬 앵커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파형 강판 고정 공정은 상기 파형 강판의 돌출부가 수직 방향으로 구조체 역할을 수행하고, 측방향으로 전단키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파형 강판의 돌출부 내에 제 1철근망을 삽입하고, 내부에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를 충전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철근은 상기 연결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외력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나선형 철근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철근은 상기 파형 강판의 연결재와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된 제 2철근망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따르면, 기둥과 보의 폭보다 작거나 혹은 동일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파형 강판을 앵커를 이용하여 철근과 간섭없는 위치에 기둥과 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파형 강판의 정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재와 철골 골조의 배면을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철골 골조의 배면과 파형 강판 정면 사이에 철근을 삽입한 다음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기둥 또는 보의 크기를 확장한 상태에서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형 강판의 돌출부 내부에 철근망을 삽입한 상태에서 내부에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를 충전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구조체 역할을 수행하고, 측방향으로 전단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파형 강판의 정면과, 연결재의 양측면 및 철골 골조의 배면에 전단 연결재를 형성하여 무수축 모르타르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건물 개구부에 대한 외부 부착형 내진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적용된 파형 강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설명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의해 건축물 개구부 내측을 보강한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의해 건축물 개구부 외측을 보강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적용된 파형 강판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파형 강판(10)은 기둥과 보의 철근과 간섭시 좌우로 위치를 조정하도록 기둥과 보의 폭보다 더 작게 혹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곡선형 구조의 돌출부(11)가 형성되며, 돌출부(11)의 끝단 양측면에 수평부(13)가 형성되고, 수평부(13)에 지그재그 형태로 앵커 관통구멍(1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돌출부(11)를 사다리꼴로 도시하였다.
또한, 돌출부(11) 정면에 연결재(17)가 돌출 형성되되, 연결재(17)는 돌출부(11)에서 길이 방향으로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되되, 다단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연결재(17)를 판재로 도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설명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의해 건축물 개구부 내측을 보강한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에 의해 건축물 개구부 외측을 보강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은 천공 공정(S10)과, 파형 강판 고정 공정(S20)과, 철근 설치 공정(S30)과, 접합 공정(S40)과, 거푸집 설치 공정(S50)과, 타설 공정(S60) 및 마감재 설치 공정(S70)으로 이루어진다.
《천공 공정-S10》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강판(10)을 기둥 또는 보(1)에서 위치를 선정하고, 파형 강판(10)의 앵커 관통구멍(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앵커구멍(H)을 천공한다. 이때, 파형 강판(10)은 기둥 또는 보(1)에서 2개 이상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파형 강판 고정 공정-S20》
앵커구멍(H)의 천공이 완료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구멍(H)에 파형 강판(10)을 앵커(A)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앵커(A)는 케미컬 앵커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파형 강판(10)의 돌출부(11)가 수직 방향으로 구조체 역할을 수행하고, 측방향으로 전단키 역할을 수행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강판(10)의 돌출부(11) 내에 선조립된 제 1철근망(R1)을 삽입하고, 내부에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를 충전할 수도 있고,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 충전시 돌출부(11) 하부에 테이핑 또는 칸막이를 설치해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돌출부(11) 내에 무수축 모르타르나 에폭시를 충전하는 경우 수평부(13) 측으로 흘러나와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 내부에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를 미충전하여 하기의 타설 공정(S50)에서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의 타설시 돌출부(11) 내부로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철근 설치 공정-S30》
각각의 파형 강판(10)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강판(10)의 정면에 철근(20)을 설치한다. 이때, 철근(20)은 파형 강판(10)의 연결재(17)와 간섭되지 않도록 외력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나선형 철근(스파이럴 철근)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철근이 아닌 선조립된 제 2철근망(R2)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접합 공정-S40》
철근(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철골 골조(30)를 기둥 또는 보(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철골 골조(30)의 배면을 파형 강판(10)의 연결재(17)와 용접 혹은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시킨다. 이때, 철골 골조(30)는 H 형강의 사용을 권장하고, 건축물 내부에 설치시에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고, 건축물 외부에 설치시에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외력에 대해 충분한 저항능력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철골 골조(30)의 배면을 파형 강판(10)의 연결재(17)를 용접 방식에 의해 접합시키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강판(10)의 정면과, 연결재(17)의 양측면 및 철골 골조(30)의 배면에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와 일체화되도록 전단 연결재(SC)가 구비될 수도 있다.
《거푸집 설치 공정-S50》
철골 골조(3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강판(10)과 철근(20)이 위치한 기둥 또는 보(1)와 철골 골조(30) 사이의 공간부 양측에 거푸집(40)을 고정 설치한다. 이때, 거푸집(40)은 나무판재, 강판, 합성수지판, 유로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타설 공정-S60》
거푸집(4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40) 내에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를 타설한다.
《마감재 설치 공정-S70》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40)을 탈형하고, 마감재(50)로 감싸 설치를 완료한다. 이때, 마감재(50)는 석고보드, 칼라 강판, 합판 등을 부착하거나 벽돌 등을 부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개구부의 내부 또는 외부를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기둥 또는 보 10 : 파형 강판
11 : 돌출부 13 : 수평부
15 : 앵커 관통구멍 17 : 연결재
20 : 철근 30 : 철골 골조
40 : 거푸집 50 : 마감재
A : 앵커 H : 앵커구멍
SC : 전단 연결재

Claims (9)

  1. 철골 골조를 이용하여 기둥과 보를 보강하는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보강공법에 있어서,
    정면에 연결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둥과 보의 철근과 간섭시 좌우로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기둥과 보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곡선형 구조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끝단 양측면에 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에 일렬배치 또는 엇모배치 형태로 앵커 관통구멍이 형성된 파형 강판을 상기 기둥 또는 보에서 위치를 선정하여 앵커구멍을 천공하는 천공 공정과;
    상기 앵커구멍에 상기 파형 강판을 앵커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되, 상기 파형 강판의 돌출부가 수직 방향으로 구조체 역할을 수행하고, 측방향으로 전단키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파형 강판의 돌출부 내에 제 1철근망을 삽입하고, 상기 돌출부 하부에 테이핑 또는 칸막이를 설치하여 내부에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를 충전하여 무수축 모르타르나 에폭시가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은 방지하고, 상기 수평부 측으로 흘러나오도록 하여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파형 강판 고정 공정과;
    상기 파형 강판의 정면에 상기 연결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외력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나선형 철근을 설치하는 철근 설치 공정과;
    상기 철골 골조를 상기 기둥 또는 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철골 골조의 배면을 상기 파형 강판의 연결재와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접합 공정과;
    상기 파형 강판과 철근이 위치한 상기 기둥 또는 보와 상기 철골 골조 사이의 공간부 양측에 거푸집을 고정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 공정과;
    상기 거푸집 내에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를 타설하는 타설 공정; 및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을 탈형하고, 마감재로 감싸는 마감재 설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상기 돌출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접합되되,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강판의 정면과, 연결재의 양측면 및 철골 골조의 배면에는,
    무수축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와 일체화되도록 전단 연결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케미컬 앵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설치 고정은,
    상기 나선형 철근을 대신하여 상기 파형 강판의 연결재와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된 제 2철근망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KR1020180042496A 2018-04-12 2018-04-12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Active KR10190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96A KR101901435B1 (ko) 2018-04-12 2018-04-12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96A KR101901435B1 (ko) 2018-04-12 2018-04-12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435B1 true KR101901435B1 (ko) 2018-09-27

Family

ID=6371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496A Active KR101901435B1 (ko) 2018-04-12 2018-04-12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43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801B1 (ko) * 2019-03-27 2019-12-17 최원익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공법
KR102088739B1 (ko) * 2019-07-30 2020-03-13 손동희 탄성완충 및 지지력보강기능을 갖는 구조물용 내진보강구조
CN114086792A (zh) * 2021-12-03 2022-02-25 广州容柏生建筑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点位连接的增大截面加固结构及其方法
KR102383859B1 (ko) * 2021-08-17 2022-04-08 (주)신개산업 내진 보강용 프레임구조
KR102384645B1 (ko) * 2022-01-03 2022-04-08 김수연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KR102591264B1 (ko) * 2022-10-04 2023-10-19 주호성 외부 부착 현장 타설 철근콘크리트 골조를 사용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US11927029B2 (en) 2019-09-16 2024-03-12 Arisu Engineering Co., Ltd. Anti-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panel zone reinforcing fix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WO2025135451A1 (ko) * 2023-12-22 2025-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327B1 (ko) * 2013-08-13 2014-03-25 (주)한국방재기술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1814688B1 (ko) * 2017-04-26 2018-01-04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및 단면증설 보강구조
KR101845078B1 (ko) * 2017-06-13 2018-04-03 박상태 유동식 연결부재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327B1 (ko) * 2013-08-13 2014-03-25 (주)한국방재기술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1814688B1 (ko) * 2017-04-26 2018-01-04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및 단면증설 보강구조
KR101845078B1 (ko) * 2017-06-13 2018-04-03 박상태 유동식 연결부재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801B1 (ko) * 2019-03-27 2019-12-17 최원익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공법
KR102088739B1 (ko) * 2019-07-30 2020-03-13 손동희 탄성완충 및 지지력보강기능을 갖는 구조물용 내진보강구조
US11927029B2 (en) 2019-09-16 2024-03-12 Arisu Engineering Co., Ltd. Anti-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panel zone reinforcing fix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383859B1 (ko) * 2021-08-17 2022-04-08 (주)신개산업 내진 보강용 프레임구조
CN114086792A (zh) * 2021-12-03 2022-02-25 广州容柏生建筑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点位连接的增大截面加固结构及其方法
KR102384645B1 (ko) * 2022-01-03 2022-04-08 김수연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KR102591264B1 (ko) * 2022-10-04 2023-10-19 주호성 외부 부착 현장 타설 철근콘크리트 골조를 사용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WO2025135451A1 (ko) * 2023-12-22 2025-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435B1 (ko)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KR101377327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1397800B1 (ko) 단면증설 및 지중보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1459082B1 (ko) 거푸집 겸용 보강 철골과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 및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KR101214139B1 (ko) 클램프를 이용한 단면증설 내진보강구조 및 단면증설 내진보강공법
US10125468B2 (en) Stay-in-place footing 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1565543B1 (ko) 철근 콘크리트와 철골프레임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공법
KR101951095B1 (ko) 학교 건축물 창호 개구부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611820B1 (ko) 건축물 내진보강 및 리모델링 시공 방법
KR20120087640A (ko) 건물 보-기둥 골조 내부구간에 외벽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끼움형으로 설치하는 리모델링 시공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JP4502484B2 (ja) 耐震補強壁
JP3690437B2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101242978B1 (ko) 슬릿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칸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KR101397886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및 보강장치
JP3766941B2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方法
JP4945428B2 (ja) 補強構造
KR20200025362A (ko)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JP2009046829A (ja) 耐震補強壁
JP2006132150A (ja) 制震柱とその構築方法
JP4980782B2 (ja) 建築物の中間階免震機構
JP3384785B2 (ja) 制震壁の施工方法
JP2002357009A (ja) 制振梁及び制振梁の構築方法
JP3991876B2 (ja) 耐震補強構造
JP3817402B2 (ja) Rc造耐震間柱
KR102050801B1 (ko)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