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232B1 -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4232B1 KR101884232B1 KR1020180076587A KR20180076587A KR101884232B1 KR 101884232 B1 KR101884232 B1 KR 101884232B1 KR 1020180076587 A KR1020180076587 A KR 1020180076587A KR 20180076587 A KR20180076587 A KR 20180076587A KR 101884232 B1 KR101884232 B1 KR 101884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ing
- bogie
- unloading
- lorry
- good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06Q50/2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창고를 입고공간과 출고공간으로 구분하여 물품의 입고 및 출고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자율주행하는 대차에 화물차를 안착시킨 상태로 물품창고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대차 위의 화물차에 직접 물건을 적재 또는 하역하도록 하고, 화물차의 적재량을 측량하여 과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품창고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차(화물차)의 위치를 모니터하여 이동시 서로 충돌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층으로 화물차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대차승강기를 구비하는 등 물품의 입고 및 출고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에 화물차가 안착한 자율주행대차, 대차승강기, 대차회전장치 및 대차이동레일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단일 층은 물론 복수의 층에 분산되어 저장된 물품의 저장 및 출고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보관창고는 물건을 보관하는 적치 랙(Rack, 이하 랙)이 설치되어 있다. 화물차에 실려온 물건을 랙에 적치하거나 랙에 적치된 물건을 화물차에 실을 때 스태커 크레인을 사용하는데, 물건의 입고 및 출고를 위해서는 출입구(입구 및 출구)와 랙 사이를 스태커 크레인이 왕복하여야 한다. 스태커 크레인이 물건의 이전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지게차 등의 물류장비가 다음 화물의 적재 작업을 위해 대기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에 따라 화물의 적재나 하역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을 물론 물류장비가 대기 상태에서 방치됨으로 불필요한 장비가 이중으로 투입되는 등 작업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일단 랙에 적치된 물건은 출고될 때까지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랙의 효율적인 사용이 저해되고 있었다. 이는 물건의 적치 형태가 입고 및 보관과 출고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화물차로부터 물건(물품)을 픽업하여 랙으로 이동할 때 지게차를 이용하는데, 이는 화물차가 물류보관창고에 직접 들어오지 않고 물류보관창고의 입구에서 대기하면서 하역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물류보관창고가 1층일 때에는 화물차를 물류보관창고의 입구에 세워둔 상태로 물건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물류보관창고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물건이 1층이 아닌 타 층의 랙에 보관되어야 할 때에는 1층의 화물차에서 물건을 픽업하여 승강기로 이송하고, 해당 물건을 승강기를 통해 랙이 위치하는 층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지게차를 이용하여 랙으로 이송하여 적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품창고를 입고공간과 출고공간으로 구분하여 물품의 입고 및 출고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자율주행하는 대차에 화물차를 안착시킨 상태로 물품창고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대차 위의 화물차에 직접 물건을 적재 또는 하역하도록 하고, 화물차의 적재량을 측량하여 과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품창고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차(화물차)의 위치를 모니터하여 이동시 서로 충돌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층으로 화물차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대차승강기를 구비하는 등 물품의 입고 및 출고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은, 물품창고, 대차대기소 및 물류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물품창고는 입고공간과 출고공간이 분리되어 있고, 대차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로 및 상기 대차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대차대기소는 상기 물품창고의 외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대차가 이동하며 대기하고, 화물차를 상기 대차에 탑재한다. 상기 물류관리서버는 상기 대차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대차의 위치를 파악하며, 대차에 탑재된 화물차의 하역완료 예상시간 및 화물차의 적재완료 예상시간을 산출하여, 대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화물차의 하역완료 예상시간 및 화물차의 적재완료 예상시간을 상기 대차대기소에 전달한다.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은 상부에 화물차가 안착한 자율주행대차, 대차승강기, 대차회전장치 및 대차이동레일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단일 층은 물론 복수의 층에 분산되어 저장된 물품의 저장 및 출고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화물의 과적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운전자가 화물차의 적재 또는 하역 완료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 중 대차, 대차대기소 및 물품창고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일 실시 예이다.
도 4는 물품저장부 및 대차이동레일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물품창고에 설치된 대차승강시스템의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 중 대차, 대차대기소 및 물품창고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일 실시 예이다.
도 4는 물품저장부 및 대차이동레일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물품창고에 설치된 대차승강시스템의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운행 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100, 이하 물류시스템)은 크게 물품창고(110), 자율주행대차(120, 이하 대차), 대차대기소(130) 및 물류관리서버(140)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품창고(110)는 화물차 진입구(111), 화물차 진출구(112), 물품저장부(113), 물품 처리부(114), 제1 대차이동레일(115), 대차 이동관리장치(116) 및 대차승강시스템(117)을 포함한다.
화물차가 출입하는 화물차 진입구(111)와 화물차 진출구(112)는 상당한 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 대차(120)에 안착하여 이동하는 화물차끼리 서로 동선이 교차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예를 들면 물품창고(110)의 전면에 화물차 진입구(111)가 설치되어 있다면 화물차 진출구(112)는 물품창고(110)의 후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차와 화물차는 혼용하여 사용되겠지만, 화물차는 대차에 안착하여 대차와 함께 이동하게 될 것이므로, 실제로는 대차를 고정하여 화물차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물품저장부(113)는 물건이 보관되는 곳으로, 물건의 입고공간(113-1)과 출고공간(113-2)으로 구분하여 동일층에서 수행하는 물건의 입고와 물건의 출고가 서로 다른 장소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화물차가 안착한 대차의 이동경로도 서로 충돌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물건의 입고공간(113-1)과 출고공간(113-2)이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건의 입고공간(113-1)과 출고공간(113-2)을 서로 다르게 하였기 때문에, 물건의 출고를 위해서는 입고공간(113-1)에 위치하는 물건을 출고계획에 맞춰 출고공간(113-2)으로 이동해야 하는 추가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은 있지만, 물류의 흐름으로 볼 때에는 이 정도의 번거로움은 감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품 처리부(114)는 화물차의 물건을 하역하거나 화물차에 물건을 적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입고데크(114-1), 출고데크(114-2), 물품이송수단(114-3), 대차고정장치(114-4), 대차회전장치(114-5) 및 무게측정장치(114-6)를 포함한다.
입고데크(114-1)는 물건을 실은 화물차가 고정되며 화물차에 적재된 물건을 하역하여 입고공간(113-1)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입고공간(113-1)과 근접한 곳에 설치한 장소이다. 출고데크(114-2)는 물건을 실을 화물차가 고정되며, 출고공간(113-2)에 적재된 물건을 이송하여 비어 있는 화물차에 적재할 수 있도록 출고공간(113-2)과 근접한 곳에 설치한 장소이다. 1물품이송수단(114-3)은 입고데크(114-1)와 출고데크(114-2)에 각각 설치되며, 입고데크(114-1)에 고정된 화물차와 입고공간(113-1) 사이, 및 출고데크(114-2)에 고정된 화물차와 출고공간(113-2) 사이를 각각 이동하면서 물건을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지게차가 그 예가 될 것이다. 대차고정장치(114-4)는 상부에 화물차를 안착시킨 대차가 자율적으로 이동하여 입고데크(114-1)나 출고데크(114-2)의 특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 대차의 진행을 방지하고 고정하는 장치이다. 대차에 안착한 화물차가 고정되어야 화물차로부터 물건을 하역하거나 화물차에 물건을 적재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대차의 진행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나 고정수단(locker)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특정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대차회전장치(114-5)는 화물차가 안착한 대차를 회전하도록 하며, 이는 입고데크(114-1)나 출고데크(114-2)의 형태에 따라 설치를 결정하면 된다. 무게측정장치(114-6)는 한편으로는 대차고정장치(114-4)에 의해 고정된 화물차의 과적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화물차의 하역완료 및 적재완료시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으로, 대차 및 화물차의 무게를 측정하여 후술하는 물류관리서버(140)에 전달한다. 제1 대차이동레일(115)은 물품창고(110)의 바닥에 형성되어 대차가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guide)하며, 1층의 경우에는 화물차 진입구(111), 화물차 진출구(112), 입고데크(114-1) 및 출고데크(114-2) 사이를 각각 연결하게 될 것이고, 2층 이상일 때에는 후술하는 대차승강기(117)와 입고데크(114-1) 및 출고데크(114-2) 사이를 각각 연결하게 될 것이다. 대차승강기(117)가 입고용 대차승강기(117-1)와 출고용 대차승강기(117-2)로 구분되어 있을 경우, 제1 대차이동레일(115)은 입고용 대차승강기(117-1), 출고용 대차승강기(117-2), 입고데크(114-1) 및 출고데크(114-2) 사이를 연결하게 될 것이다.
대차 이동관리장치(116)는 물품창고(110)의 곳곳에 설치되어 대차의 이동상황을 검출하는 장치로, 카메라(116-1), 위치감지센서(116-2) 및 통신모듈(116-3)을 포함한다. 카메라(116-1)는 물품 처리부(114), 제1 대차이동레일(115) 및 대차 승강기(117)의 내부 및 주변에 각각 설치되어 대차의 이동 및 물품(물건)의 처리 여부를 모니터할 수 있도록 영상을 생성한다. 위치감지센서(116-2)는 카메라(116-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치에 설치하거나, 이외의 별도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여 대차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한다. 통신모듈(116-3)은 후술하는 물류관리서버(140)나 물류시스템(100)의 운영자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각 층에 별도로 설치하는 실시 예는 물론 카메라(116-1) 및 위치감지센서(116-2)에 각각 설치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대차승강시스템(117)은 물품창고(110)가 2층 이상일 때 설치하게 되며, 입고용 대차승강공간(117-1), 출고용 대차승강공간(117-2),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 및 대차정지 및 고정수단(117-5)을 포함한다.
입고용 대차승강공간(117-1)은 화물차 진입구(111)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설치되고, 출고용 대차승강공간(117-2)은 화물차 진출구(112)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고용 대차승강공간(117-1)은 물품창고(110)에 설치되어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진입대기소(130-1)에 위치하는 대차를 필요한 층으로 이송하고, 출고용 대차승강공간(117-2)은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화물차가 안착한 대차를 대차 진출대기소(130-2)로 이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고용 대차승강공간(117-1), 출고용 대차승강공간(117-2)은 서로 상당한 거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 대차의 동선이 교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물차가 상부에 안착한 대차(120)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대차정지 및 고정수단(117-5)이 내부에 설치하여 운반하고 있는 대차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고정하도록 한다. 대차정지 및 고정수단(117-5)은 상술한 대차고정장치(114-4)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대차(120)는 미리 설치해 놓은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거나 물품창고의 바닥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도록 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차(120)가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재한다. 대차(120)는 물품창고(110) 내부에서는 제1 대차이동레일(115)을 따라 이동하며 물품창고(110) 밖에서는 후술하는 대차대기소(130)에 설치한 제2 대차이동레일(130-3)을 따라 이동하며, 팰릿(120-1), 바퀴(120-2), 모터(120-3), 화물차 고정수단(120-4) 및 통신모듈(120-5)을 포함한다.
팰릿(120-1)은 상부에 화물차가 안착하는 곳으로 각종 화물차가 상부에 안착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 및 화물을 적재한 화물차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현해야 한다. 바퀴(120-2)는 팰릿(120-1)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레일(115, 130-3)을 따라 이동한다. 모터(120-3)는 후술하는 물류관리서버(140)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바퀴(120-2)를 회전하는 동력원이다. 화물차 고정수단(120-4)은 팰릿(120-1)의 상부에 설치되며, 화물차가 대차(120)가 이동하는 동안 움직이지 않도록 화물차를 팰릿(120-1)의 상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화물차의 바퀴를 팰릿(120-1)의 상부에 고정하도록 하는 실시 예가 가능하다. 통신모듈(120-5)은 물류관리서버(140)와 통신을 수행하여 물류관리서버(140)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을 모터(120-3)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차대기소(130)는 대차(120)가 대기하는 곳으로, 대차 진입대기소(130-1), 대차 진출대기소(130-2), 제2 대차이동레일(130-3), 및 입출력수단(130-4 ~ 130-6)을 포함한다.
대차 진입대기소(130-1)는 화물차 진입구(111) 또는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로 진입할 대차가 진입 전에 대기하는 곳이고, 대차 진출대기소(130-2)는 화물차 진출구(112) 및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에 위치하는 화물차가 대차(120)를 벗어날 때까지 대기하는 곳이다. 제2 대차이동레일(130-3)은 물품창고(110)의 외부에 설치되며, 대차 진입대기소(130-1)와 대차 진출대기소(130-2), 화물차 진입구(111)와 대차 진입대기소(130-1) 그리고 화물차 진출구(112)와 대차 진출대기소(130-2)를 연결한다.
입출력수단(130-4 ~ 130-6)은 입력수단(130-4), 모니터(130-5) 및 통신모듈(130-6)을 포함한다. 입력수단(130-4)은 차량의 인식번호(차량번호), 차량의 최대 적재량 및 운전자 등을 입력하는 수단이고, 모니터(130-5)는 대차(120)의 위치나 화물차의 처리 상태 등을 촬영한 영상 및 문자를 재생하며, 통신모듈(130-6)은 입출력수단(130-4~130-6)과 물류관리서버(140)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문자는, 대차의 위치, 특정 화물차의 하역완료 예상시간 및 적재완료 예상시간 등을 포함한다.
물류관리서버(140)는 대차(1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대차이동관리장치(116)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차(화물차)의 위치 및 해당 화물차의 하역완료 예정시간 및 적재완료 예정시간을 산출하며, 필요한 정보를 모니터(130-5)에 전송하여 재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 중 대차, 대차대기소 및 물품창고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물품창고(110)의 1층에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 또는 화물차 진입구(111)) 그리고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 또는 화물차 진출구(112))이 서로 멀리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차 진입대기소(130-1)는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와 가까운 곳에 설치되고, 대차 진출대기소(130-2)는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와 가까운 곳에 설치된다.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는 입고용 대차승강공간(117-1)을 따라 그리고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는 출고용 대차승강공간(117-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는 것이 이미 설명하였다.
제2 대차이동레일(130-3)은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 대차 진입대기소(130-1), 대차 진출대기소(130-2) 및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를 연결하며,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 및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대차 진입대기소(130-1)에 도달한 복수의 대차(120)에는 화물차가 안착·고정되어 정렬하고 있다가 제2 대차이동레일(130-3)을 따라 순서대로 화물차 진입구(111) 또는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로 진입한다. 대차 진출대기소(130-2)에 도달한 대차(120) 중 하역을 마친 대차(120)는 제2 대차이동레일(130-3)을 따라 대차 진입대기소(130-1)로 이동하고, 물품이 적재된 대차(120)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대차(120)로부터 화물차를 분리 이동시킨 후에 제2 대차이동레일(130-3)을 따라 대차 진입대기소(130-1)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대차(120)의 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물류관리서버(140)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일 실시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차(120)의 본체가 되는 팰릿(120-1)의 상부에는 화물차 고정수단(120-4)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4개의 바퀴(120-2)가 장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터(120-3) 및 통신모듈(120-5)은 팰릿(120-1)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필요한 곳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 3에서는 제외하였다.
4개의 바퀴(120-2)는 팰릿(120-1)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대차(120)의 상부에 장착된 화물차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사용한다. 여기서 화물차의 진행방향이라함은 화물차의 물리적인 형태로 볼 때 도로에서 화물차가 실제로 진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4는 물품저장부 및 대차이동레일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일한 층에 각각 설치된 입고공간(113-1)과 출고공간(113-2)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입고공간(113-1)에는 입고데크(114-1)가 설치되어 있고 출고공간(113-2)에는 출고데크(114-2)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입고테크(114-1) 및 출고테크(114-2) 사이 공간에는 제1 대차이동레일(115)이 설치되어 있고 화물차 진입구(111, 또는 입고용 대차승강공간(117-1))와 화물차 출입구(112, 또는 출고용 대차승강공간(117-2)) 사이에는 제2 대차이동레일(130-3)이 설치되어 있다. 동일한 층에 적어도 2개의 대차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데, 도 4를 참조하면, 2개의 대차(120) 중 오른쪽의 대차(120)는 출고용으로 사용되며, 왼쪽의 대차(120)는 입고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1 대차이동레일(115)은 화물차 진입구(111,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와 화물차 진출구(112,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에서는 서로 합쳐지지만 입고공간(113-1)과 출고공간(113-2) 사이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 서로 다른 작업 도중에는 2대의 대차(120)가 서로 충돌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을 먼저 마무리하는 대차(120)부터 화물차 진출구(112,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로 이동하면 되므로, 2개의 대차가 서로 충돌하는 일이 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는 1층에 대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물품창고(110)의 복수의 층 각각은 제2 대차이동레일(130-3)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층이 입고와 출고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물품창고에 설치된 대차승강시스템의 예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대차승강시스템(117)은 입고용 대차승강공간(117-1), 출고용 대차승강공간(117-2),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 대차정지 및 고정수단(117-5)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입고용 대차승강공간(117-1) 및 출고용 대차승강공간(117-2)은 물품창고(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비어 있는 내부 공간으로 각각 입고용 대차승강기(117-3) 및 출고용 대차승강기(117-4)가 상하로 이동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물차는 대차(120)에 안착한 상태로 대차승강시스템(117)을 이용하여 물품창고(110)의 상하로 이동하고, 해당 층에서는 제1 대차이동레일(115)를 이용하여 입고공간(113-1) 또는 출고공간(113-2)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대차정지 및 고정수단(117-5)은 대차승강기(117-3, 117-4)에 대차(120)를 고정하여, 대차승강기(117-3, 117-4)가 상하로 이동할 때 대차(1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물품창고
111: 화물차 진입구 112: 화물차 진출구
113: 물품 저장부 114: 물품 처리부
115: 제1 대차이동레일 116: 대차 이동관리장치
117: 대차승강시스템
120: 대차(자율주행대차)
120-1: 팰릿 120-2: 바퀴
120-3: 모터 120-4: 화물차 고정수단
120-5: 통신모듈
130: 대차대기소
130-1: 대차 진입대기소 130-2: 대차 진출대기소
130-3: 제2 대차이동레일 130-4: 입력수단
130-5: 모니터 130-6: 통신모듈
140: 물류관리서버
111: 화물차 진입구 112: 화물차 진출구
113: 물품 저장부 114: 물품 처리부
115: 제1 대차이동레일 116: 대차 이동관리장치
117: 대차승강시스템
120: 대차(자율주행대차)
120-1: 팰릿 120-2: 바퀴
120-3: 모터 120-4: 화물차 고정수단
120-5: 통신모듈
130: 대차대기소
130-1: 대차 진입대기소 130-2: 대차 진출대기소
130-3: 제2 대차이동레일 130-4: 입력수단
130-5: 모니터 130-6: 통신모듈
140: 물류관리서버
Claims (5)
- 입고공간과 출고공간이 분리되어 있고, 대차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로 및 상기 대차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제공하는 물품창고;
상기 물품창고의 외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대차가 이동하며 대기하고, 화물차를 상기 대차에 탑재하는 대차대기소; 및
상기 대차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대차의 위치를 파악하며, 대차에 탑재된 화물차의 하역완료 예상시간 및 화물차의 적재완료 예상시간을 산출하여, 대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화물차의 하역완료 예상시간 및 화물차의 적재완료 예상시간을 상기 대차대기소에 전달하는 물류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제1항에서, 상기 물품창고는,
화물차가 진입하는 화물차 진입구;
상기 화물차가 진출하는 화물차 진출구;
물건(물품)의 입고공간과 출고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물품저장부;
상기 입고공간에 접하는 곳에 설치되는 입고데크, 상기 출고공간과 접하는 곳에 설치되는 출고데크, 물품이송수단, 대차고정장치, 대차회전장치 및 무게측정장치를 포함하는 물품처리부;
상기 대차 및 화물차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장치;
상기 화물차 진입구, 상기 화물차 진출구, 상기 입고데크 및 상기 출고데크 를 연결하며, 상기 대차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대차이동레일;
상기 물품창고의 곳곳에 설치되는 카메라, 위치감지센서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대차 이동관리장치; 및
상기 물품창고가 2층 이상일 때 설치되며, 상기 대차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대차승강시스템; 을
포함하는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제2항에서, 상기 대차승강시스템은,
상기 화물차 진입구에 대응되는 곳에 설치되는 입고용 대차승강공간;
상기 화물차 진출구에 대응되는 곳에 설치되는 출고용 대차승강공간;
상기 입고용 대차승강공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입고용 대차승강기;
상기 출고용 대차승강공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출고용 대차승강기; 및
상기 대차를 상기 입고용 대차승강기 및 상기 출고용 대차승강기의 내부에 고정하는 대차정지 및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제3항에서, 상기 대차대기소는,
상기 화물차 진입구 또는 상기 입고용 대차승강공간과 근접하여 설치되는 대차 진입대기소;
상기 화물차 진출구 또는 상기 출고용 대차승강공간과 근접하여 설치되는 대차 진출대기소;
상기 화물차 진입구, 상기 입고용 대차승강공간, 상기 대차 진입대기소, 상기 화물차 진출구, 상기 출고용 대차승강공간 및 상기 대차 진출대기소를 연결하며, 상기 대차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 대차이동레일; 및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대차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화물차의 하역완료 예상시간 및 화물차의 적재완료 예상시간을 제공하는 모니터 및 상기 물류관리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입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제1항에서 상기 대차는,
상부에 화물차가 안착하는 팰릿;
상기 팰릿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창고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
상기 물류관리서버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회전하는 힘을 상기 바퀴에 전달하는 모터;
상기 대차가 이동하는 동안 움직이지 않도록 화물차를 상기 팰릿의 상부에 고정하는 화물차 고정수단; 및
상기 물류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물류관리서버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을 상기 모터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6587A KR101884232B1 (ko) | 2018-07-02 | 2018-07-02 |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PCT/KR2019/007773 WO2020009371A1 (ko) | 2018-07-02 | 2019-06-27 |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6587A KR101884232B1 (ko) | 2018-07-02 | 2018-07-02 |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4232B1 true KR101884232B1 (ko) | 2018-08-30 |
Family
ID=6345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6587A KR101884232B1 (ko) | 2018-07-02 | 2018-07-02 |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4232B1 (ko) |
WO (1) | WO2020009371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09371A1 (ko) * | 2018-07-02 | 2020-01-09 | 국무상 |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KR20200123879A (ko) | 2019-04-15 | 2020-11-02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물류 처리 주행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55049B2 (ja) * | 2021-03-03 | 2023-10-0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制御方法、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0513B1 (ko) | 2012-09-27 | 2013-03-18 |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용방법 |
JP2017036128A (ja) * | 2015-08-11 | 2017-02-16 |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 自走式搬送台車を用いた保管設備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14325B2 (ja) * | 1995-05-17 | 2002-08-12 | 新明和工業株式会社 | 物品格納設備 |
JP3138983B2 (ja) * | 1996-09-10 | 2001-02-26 | 株式会社ダイフク | 収納棚用の搬出入設備 |
KR20100004449A (ko) * | 2008-07-04 | 2010-01-13 | 박상희 | 물류 무인수송 시스템 |
KR101710104B1 (ko) * | 2014-11-14 | 2017-03-08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지능형 무인 이/적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적재 방법 |
KR101884232B1 (ko) * | 2018-07-02 | 2018-08-30 | 국무상 |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
2018
- 2018-07-02 KR KR1020180076587A patent/KR1018842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6-27 WO PCT/KR2019/007773 patent/WO202000937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0513B1 (ko) | 2012-09-27 | 2013-03-18 |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 Mdps시스템 및 mdps시스템 운용방법 |
JP2017036128A (ja) * | 2015-08-11 | 2017-02-16 |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 自走式搬送台車を用いた保管設備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09371A1 (ko) * | 2018-07-02 | 2020-01-09 | 국무상 |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KR20200123879A (ko) | 2019-04-15 | 2020-11-02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물류 처리 주행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09371A1 (ko) | 2020-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5594B1 (ko) | 반송 시스템 | |
JP5229363B2 (ja) |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 |
JP6315098B2 (ja) | 仕分けシステムと仕分け方法 | |
JP6048686B2 (ja) | 一時保管装置と搬送システム及び一時保管方法 | |
JP2013136458A (ja) | 補助装置に配置された貨物を運送する為のシステム | |
KR102059451B1 (ko) |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 |
JPWO2016178347A1 (ja) | 自動倉庫及び懸垂式スタッカクレーン | |
KR101884232B1 (ko) | 자율주행대차 및 대차승강시스템을 구비하는 물류시스템 | |
TWI503268B (zh) | Trolley system and pallet truck system control method | |
WO2020220950A1 (zh) | 物品运送系统 | |
JP2007246226A (ja) | 物品卸し装置及びその物品卸し装置を備えた物品収納設備 | |
JP2010052878A (ja) | ピッキングシステム | |
RU2323149C1 (ru) |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склада высокоплотного ярусного хранения груза на поддонах | |
JP2003267518A (ja) | 物流設備 | |
JP6531626B2 (ja) | 自動倉庫システム | |
CN112543946B (zh) | 在两个仓储区域之间的货物转移改善的仓储和分拣系统及分拣方法 | |
CN115151494A (zh) | 自动仓库系统以及自动仓库系统的控制方法 | |
JPS61217404A (ja) | 自動倉庫システム | |
KR101419354B1 (ko) | 반송 시스템 및 그 대차승강장치 | |
JP3921285B2 (ja) | コンテナ用立体自動倉庫 | |
JP6657661B2 (ja) | 自動倉庫システム | |
CN111738636B (zh) | 多楼层建筑仓库及其生产方法、货梯和仓库管理系统 | |
JP2022146697A (ja) | 搬送制御システム、搬送システム、搬送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0260718A (ja) | コンテナターミナル | |
JP2020040747A (ja) | 搬送台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