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979B1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9979B1 KR101879979B1 KR1020170027050A KR20170027050A KR101879979B1 KR 101879979 B1 KR101879979 B1 KR 101879979B1 KR 1020170027050 A KR1020170027050 A KR 1020170027050A KR 20170027050 A KR20170027050 A KR 20170027050A KR 101879979 B1 KR101879979 B1 KR 1018799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bearing
- hinge
- facing
- cap
- bear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65D43/165—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these elements being assembled by a separate pin-lik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힌지부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가진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3)으로서,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부에 통액구가 마련된 캡 본체(8)와, 캡 본체(8)에 힌지부(10)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9)를 구비하며, 힌지부(10)에는, 덮개체(9)를 회동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27)와, 덮개체(9)를 회동축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51)가 마련되어 있다.
[해결 수단]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3)으로서,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부에 통액구가 마련된 캡 본체(8)와, 캡 본체(8)에 힌지부(10)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9)를 구비하며, 힌지부(10)에는, 덮개체(9)를 회동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27)와, 덮개체(9)를 회동축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51)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마개체)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를 참조.). 캡 유닛의 상부에는, 립(lip) 또는 주둥이를 개폐하는 덮개체가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캡 유닛은, 힌지부에 마련된 가압 부재에 의해 립 또는 주둥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덮개체를 립 또는 주둥이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고정하는 덮개 락(lock)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서는, 덮개 락 기구에 의한 덮개체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가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회동하면서, 립 또는 주둥이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 내의 음료를 마실 수 있다.
그런데,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힌지부의 내측에, 회동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를 회동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을 마련하여, 코일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를 힌지부의 일방측으로 압접(壓接)함으로써, 덮개체의 회동 동작을 안정시키는 마개체 힌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힌지부의 일방측에 마련된 클릭(click) 돌기와 타방측에 마련된 클릭 받이부와의 걸림에 의해서, 덮개체가 유통(流通) 구멍을 개방하는 위치에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덮개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마개체 힌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 문헌 2에는, 힌지부의 내측에 마개 부재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마련하고, 덮개체의 회동시에 힌지부에 마련된 돌기부를 덮개체 또는 숄더 부재에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의 회동 동작을 안정시키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가 개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료용 용기에 이용되는 캡 유닛(마개체)에서는, 힌지부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힌지부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가진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통액구(通液口)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덮개체를 회동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덮개체를 회동축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힌지부는, 상기 캡 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제1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캡 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 어느 타방에 마련된 제2 힌지 베어링부 및 제3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 베어링부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된 힌지축을 가지며,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상기 제1 가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상기 제2 가압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캡 유닛.
[3]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캡 유닛.
[4] 상기 힌지부는,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클릭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캡 유닛.
[5] 상기 클릭 기구는,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일방의 면에 마련된 걸림 오목부와, 타방의 면에 마련된 걸림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 오목부에 상기 걸림 볼록부가 걸려지는 것에 의해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캡 유닛.
[6] 상기 일방의 면 중, 회동 방향에서 상기 걸림 볼록부와 접촉하는 면이 상기 걸림 오목부를 향해 오름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캡 유닛.
[7] 상기 걸림 오목부와 상기 걸림 볼록부 중, 회동 방향에서 서로 걸려지는 면이 서로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캡 유닛.
[8]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의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일방의 대면(對面)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9] 상기 일방의 대면 부재는,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기재된 캡 유닛.
[10]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일방의 면에 마련되어 타방의 면과 슬라이드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11]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의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타방의 대면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타방의 대면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캡 유닛.
[12] 상기 타방의 대면 부재는,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캡 유닛.
[13]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14]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를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락(lock)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
[15]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부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가진 캡 유닛, 및 그러한 캡 유닛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캡 유닛의 폐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유닛의 폐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입구 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걸림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그 전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그 후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캡 유닛의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힌지 베어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힌지 베어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슬라이드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3 힌지 베어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캡 유닛의 폐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유닛의 폐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입구 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걸림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그 전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그 후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캡 유닛의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힌지 베어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힌지 베어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슬라이드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3 힌지 베어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1은, 음료용 용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음료용 용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음료용 용기(1)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4) 및 내부 용기(5)를 가지며, 외부 용기(4)의 내측에 내부 용기(5)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부 용기(4)와 내부 용기(5)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6)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6)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減壓)(진공 퍼지(purge))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4)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脫氣孔)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外周)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起立)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서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口頸部)(2c)를 가지고 있다. 또,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구경부(2c)의 내측에는, 링 모양의 단차부(段差部)(7)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음료용 용기(1)는, 전체로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음료용 용기(1)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塗裝)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괜찮다.
캡 유닛(3)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후술하는 캡 본체(8)에 덮개체(9)가 힌지부(10)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측을 음료용 용기(1)의 「후측」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음료용 용기(1)의 「전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도 2는, 캡 유닛(3)의 폐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유닛(3)의 폐색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유닛(3)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캡 유닛(3)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캡 유닛(3)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캡 유닛(3)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후술하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후술하는 걸림 부재(18)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그 전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그 후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캡 유닛(3)의 힌지부(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후술하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후술하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후술하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의 내측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27)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52)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후술하는 제3 힌지 베어링부(47)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캡 유닛(3)은,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3)은, 캡 본체(8)와, 캡 본체(8)에 힌지부(10)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9)를 구비하고 있다.
캡 본체(8)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주벽부(周壁部)(8a)와, 주벽부(8a)의 상부에 주벽부(8a)보다도 지름이 축소된 개구부(8b)가 형성된 상측 벽부(8c)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8)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벽부(8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구경부(2c)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11)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는,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립(lip) 또는 주둥이(본 실시 형태에서는 립)을 형성하는 입구 형성 부재(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3)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입구 형성 부재(13)는, 통액구(通液口)(14)가 형성된 저벽부(低壁部)(13a)와, 저벽부(13a)의 주위로부터 상부를 향해 세워지는 통 모양의 주벽부(13b)와, 저벽부(13a)의 외주면의 하단측으로부터 링 모양으로 돌출된 하측 플랜지부(13c)와, 주벽부(13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반대측까지 서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3d)와, 주벽부(13b)의 전측의 상단으로부터 경사 컷(cut) 모양으로 돌출된 립부(lip部)(13e)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8)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에는,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 입구 형성 부재(13)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입구 탈착 기구(15)가 마련되어 있다. 입구 탈착 기구(15)는, 도 8 및 도 9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형성 부재(13)의 전측에 제1 클로부(claw部)(16)와,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에 제2 클로부(17)가 마련된 걸림 부재(18)를 가지고 있다.
제1 클로부(16)는, 주벽부(13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걸림 부재(18)는,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는 한 쌍의 암부(18a)와, 한 쌍의 암부(18a)의 상단(선단)측을 연결하는 연결부(18b)를 가지고 있다. 또, 한 쌍의 암부(18a)의 하단(기단)측에는, 한 쌍의 지지축(19)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축(19)은, 한 쌍의 암부(18a)의 내측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18b)로부터는, 탄성편(20)이 한 쌍의 암부(18a)의 사이부터 한 쌍의 암부(18a)와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로부(17)는, 걸림 부재(18)의 상단(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걸림 부재(18)는,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 걸림 부재(18)의 하단(기단)부는, 입구 형성 부재(13)에 마련된 힌지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걸림 부재(18)의 상단(선단)부에는, 이 걸림 부재(18)를 손가락으로 회동 조작하기 쉽게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진 조작부(18c)(도 9의 (a)를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3)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축(19)이 끼워넣어지는 축 구멍(22)과, 탄성편(20)이 맞닿아지는 피(被)맞닿음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축 구멍(22)은, 하측 플랜지부(13c)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간 플랜지부(13f)의 상면으로부터 입구 형성 부재(13)의 후측의 외주면을 따라서 돌출된 리브벽(13g)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피맞닿음부(23)는, 축 구멍(22)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리브벽(13g)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21)는, 축 구멍(22)의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지지축(19)을 축 구멍(22)의 내측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서, 한 쌍의 암부(18a)가 리브벽(13g)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걸림 부재(18)의 하단(기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을 전방(회동 방향의 일방)측을 향해 회동시켰을 때, 탄성편(20)이 피맞닿음부(23)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탄성편(20)이 탄성 변형 하면서, 걸림 부재(18)를 후방(회동 방향의 타방)측을 향해 가압한다. 또, 입구 탈착 기구(15)에서는, 탄성편(20)의 길이나 두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위에서 설명한 탄성편(20)이 탄성 변형할 때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입구 형성 부재(13)의 주벽부(13b)의 후측으로부터 돌출된 계단부(13h)의 하면에, 걸림 부재(18)의 암부(18a)의 전측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8d)(도 9의 (a)를 참조.)가 면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걸림 부재(18)가 후방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입구 탈착 기구(15)는,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의 전측에 제1 피(被)걸림부(24)와, 캡 본체(8)의 후측에 제2 피걸림부(25)를 가지고 있다. 제1 피걸림부(24) 및 제2 피걸림부(25)는, 상측 벽부(8c)의 개구부(8b)를 따른 전후 위치에, 각각 마련된 단차부로 이루어진다.
입구 탈착 기구(15)에서는, 제1 피걸림부(24)에 대해서 제1 클로부(16)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내측에, 입구 형성 부재(13)를 하측으로부터 끼워넣는다. 이 때, 캡 본체(8)의 상측 벽부(8c)의 하면에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3d)가 맞닿아진 상태가 된다. 또, 제1 클로부(16)가 제1 피걸림부(24)에 걸려진다. 게다가, 제2 클로부(17)가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가장자리에 맞닿으면서, 제2 클로부(17)가 개구부(8b)의 가장자리를 타고 넘는 것에 따라서,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이 전방을 향해 회동한 후에,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이 후방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과 동시에, 제2 클로부(17)가 제2 피걸림부(25)에 걸려진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3)는, 캡 본체(8)의 개구부(8b)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 입구 형성 부재(13)가 장착됨과 동시에, 캡 본체(8)의 개구부(8b)로부터 립부(13e)가 외부(상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입구 탈착 기구(15)에서는, 걸림 부재(18)의 선단측을 전방을 향해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제2 피걸림부(25)에 대한 제2 클로부(17)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피걸림부(24)에 대한 제1 클로부(1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캡 본체(8)의 개구부(8b)의 하측으로부터 입구 형성 부재(13)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입구 형성 부재(13)가 장착된 캡 본체(8)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3)가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 한다.
입구 형성 부재(13)의 하측 플랜지부(13c)에는,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 패킹(26)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6)은, 단차부(7)(용기 본체(2))와 입구 형성 부재(13)(캡 본체(8))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링 모양의 씰 부재이다. 지수 패킹(26)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26)은, 하측 플랜지부(13c)의 외주부에 끼워져 있다.
지수 패킹(26)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단차부(7)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단차부(7)와 입구 형성 부재(13)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덮개체(9)는, 도 2~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 형성 부재(13)가 형성하는 립 또는 주둥이(통액구(14))를 개폐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체(9)는, 캡 본체(8)의 주벽부(8a)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주벽부(9a)와, 주벽부(9a)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부(天壁部)(9b)와, 천벽부(9b)를 관통한 상태에서 천벽부(9b)의 하면으로부터 세워 내려지는 대략 원통 모양의 내벽부(9c)를 가지고 있다.
덮개체(9)는, 후술하는 힌지부(10)의 내측에 마련된 토션 스프링(제1 가압 부재)(27)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3)의 통액구(14)를 개방하는 방향(이하, '개방 방향'이라고 함)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덮개체(9)의 내측에는, 입구 형성 부재(13)의 통액구(14)를 폐색하는 덮개 패킹(28)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8)은, 입구 형성 부재(13)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 모양의 씰 부재이다. 덮개 패킹(28)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수 패킹(26)과 동일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덮개 패킹(28)은,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9)의 내벽부(9c)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저면을 가지는 원 모양의 씰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 패킹(28)은, 그 내측의 중심 구멍(28a)에 내벽부(9c)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내벽부(9c)의 하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덮개 패킹(28)의 저면(28b)은, 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 패킹(28)의 상부측의 외주부에는, 단차부(28c)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8)은, 중심 구멍(28a)의 내측에 내벽부(9c)를 꽉 끼워넣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 유닛(3)에서는, 용기 본체(2) 내가 부압(負壓)이 되어, 덮개 패킹(28)에 인장하는 방향의 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덮개체(9)를 열었을 때에 덮개 패킹(28)이 내벽부(9c)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용기 본체(2) 내가 양압(陽壓)이 되어, 덮개 패킹(28)으로 미는 방향의 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덮개 패킹(28)의 단차부(28c)가 내벽부(9c)의 기단부에 맞닿아지는 것에 의해서, 덮개 패킹(28)의 내측으로 내벽부(9c)가 더 들어가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캡 유닛(3)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덮개 패킹(28)이 탄성 변형하면서, 통액구(14)의 주위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3)의 통액구(14)를 폐색할 수 있다.
천벽부(9b)의 상면측에는,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벽부(9c)의 상단측을 덮는 커버 부재(29)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29)는, 덮개체(9)와 동일 재질의 것을 이용하여, 대략 원판(圓板)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천벽부(9b)의 상면에는, 커버 부재(29)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천벽부(9b)와 커버 부재(29)와의 사이에는, 오목부(30)에 커버 부재(29)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커버 탈착 기구(31)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탈착 기구(31)는, 커버 부재(29)의 전측에 제3 클로부(32)와, 커버 부재(29)의 후측에 제4 클로부(33)가 마련된 스토퍼(34)를 가지고 있다.
제3 클로부(32)는, 커버 부재(29)의 전측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커버 부재(29)의 선단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34)는, 커버 부재(29)의 후측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34)의 선단에는, 제4 클로부(33)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커버 탈착 기구(31)는, 오목부(30)의 전측에 제3 피걸림부(35)와, 오목부(30)의 후측에 제4 피걸림부(36)를 가지고 있다. 제3 피걸림부(35) 및 제4 피걸림부(36)는, 오목부(30)의 저면의 전후 위치에, 각각 마련된 구멍부로 이루어진다.
커버 탈착 기구(31)에서는, 제3 피걸림부(구멍부)(35)에 제3 클로부(32)를 삽입한 상태에서, 오목부(30)의 내측에 커버 부재(29)를 끼워넣는다. 이 때, 제4 피걸림부(구멍부)(36)에 스토퍼(34)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4 클로부(33)가 천벽부(9b)에 걸려진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29)는, 오목부(30)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 커버 부재(29)가 장착됨과 동시에, 커버 부재(29)가 내벽부(9c)의 상단측을 덮게 된다.
한편, 커버 탈착 기구(31)에서는, 스토퍼(34)에 마련되어 있는 제4 클로부(33)를 상부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서, 이 제4 클로부(33)와 제4 피걸림부(36)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3 피걸림부(35)에 대한 제3 클로부(32)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오목부(30)로부터 커버 부재(29)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커버 탈착 기구(31)에서는, 내벽부(9c)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커버 부재(29)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서, 내벽부(9c)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것을 시인(視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29)는, 덮개체(9)의 내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빠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캡 유닛(3)의 덮개체(9)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29)를 떼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스토퍼(34)는, 내벽부(9c)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29)를 떼어낼 때에, 덮개 패킹(28)을 떼어낼 필요도 없다.
또, 커버 부재(29)에 대해서는, 덮개체(9)와 동일 재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재질이나 색 등이 다른 것을 이용해도 좋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해도 괜찮다. 이 경우, 의장적으로 뛰어난 캡 유닛(3)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커버 부재(29)의 상부에 입체적인 구조물을 배치하거나, 각인(刻印)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서, 캡 유닛(3)이나, 캡 유닛(3)을 포함하는 음료용 용기(1)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캡 유닛(3)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커버 부재(29)가 덮개체(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진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 부재(29)의 감합량(嵌合量)을 꼭 끼게 조정한 구성으로 하거나 커버 부재(29)가 덮개체(9)에 대해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 구성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커버 부재(29)에 핸들과 같은 손잡이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캡 유닛(3)은, 덮개체(9)가 통액구(14)를 폐색하는 위치(이하, '폐색 위치'라고 함)에서, 이 덮개체(9)를 토션 스프링(27)의 가압에 저항하여 캡 본체(2)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37)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 락 기구(37)는,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에 힌지부(38)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락 부재(39)와, 캡 본체(8)에 힌지부(38)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링 스토퍼(40)를 가지고 있다.
락 부재(39)는, 캡 본체(8)(주벽부(8a))의 전측에 마련된 힌지부(38)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락 부재(39)는, 힌지부(38)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제1 암부(39a)와, 힌지부(38)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제2 암부(39b)를 가지고 있다.
제1 암부(39a)의 선단(락 부재(39)의 상단)에는, 훅부(41)가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암부(39b)와 주벽부(8a)와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42)가 배치되어 있다. 또, 탄성 부재(42)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 부재를 이용해도 괜찮다.
링 스토퍼(40)는, 일부가 개방된 링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이 힌지부(38)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링 스토퍼(40)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덮개 락 기구(37)는, 락 부재(39)의 훅부(41)가 걸려지는 락 받이부(43)와, 링 스토퍼(40)가 걸려 고정되는 스토퍼 받이부(44)를 가지고 있다. 락 받이부(43)는, 덮개체(9)(주벽부(9a))의 전측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클로부로 이루어진다. 스토퍼 받이부(44)는, 링 스토퍼(40)의 내측에 대응한 형상으로, 락 받이부(클로부)(43)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벽부로이루어진다.
덮개 락 기구(37)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락 부재(39)의 훅부(41)가 락 받이부(43)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42)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락 부재(39)의 제2 암부(39b)측을 압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락 받이부(43)에 대한 훅부(41)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힌지부(10) 내의 토션 스프링(27)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덮개 락 기구(37)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8)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링 스토퍼(40)가 스토퍼 받이부(44)에 걸려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덮개 락 기구(37)에서는, 락 부재(39)의 불필요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은, 힌지부(10)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힌지부(10)는, 도 7,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8)에 마련된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덮개체(9)에 마련된 제2 힌지 베어링부(46)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 제2 힌지 베어링부(46)와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의 사이에 제1 힌지 베어링부(45)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5, 46, 47)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된 힌지축(48)을 가지고 있다.
제1 힌지 베어링부(45)는,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45a)을 가지며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캡 본체(8)의 후측 중앙부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힌지 베어링부(45)에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와 대향하는 면(面)측을 회동축 방향으로 대략 원통 모양으로 움푹 패이게 한 제1 수용 오목부(45b)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힌지 베어링부(45)에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와 대향하는 면측을 토션 스프링(27)의 일단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움푹 패이게 한 일방의 암 받이부(45c)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힌지 베어링부(46)는, 도 7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46a)을 가지며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연속한 형상을 가지도록, 덮개체(9)의 후측 중앙부를 사이에 둔 일방측으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힌지 베어링부(46)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제1 대면(對面) 부재(타방의 대면 부재)(49)를 가지고 있다.
제1 대면 부재(49)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에 마련된 제1 감합 오목부(타방의 감합 오목부)(46b)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제1 대면 부재(49)에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와는 재질이 다른 것,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이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금속 등, 제2 힌지 베어링부(46)보다도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의 것(본 실시 형태에서는 POM)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제1 대면 부재(49)를 제2 힌지 베어링부(46)와는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힌지부(10)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 힌지 베어링부(46)에 대해서는, 반드시 제1 대면 부재(49)를 별체로 구성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대면 부재(49)가 일체화된 구성이라도 좋다.
제1 대면 부재(49)의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대향하는 면(일방의 면)에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슬라이드 접촉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돌기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대면 부재(49)의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대향하는 면에는, 토션 스프링(27)의 타단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움푹 패이게 한 타방의 암 받이부(49a)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부(50)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슬라이드 접촉될 때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대략 반구(半球) 모양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복수의 돌기부(50)는, 제1 대면 부재(49)에 의해 구성되는 축 구멍(45a)의 주위에 방사모양(등간격)으로 늘어서 마련되어 있다. 또, 돌기부(50)의 수에 대해서는, 적어도 3개 이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힌지 베어링부(45)의 제1 대면 부재(49)와 대향하는 면(타방의 면)에는,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부(50)와 슬라이드 접촉되는 슬라이드 접촉면(45d)이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접촉면(45d)은, 제1 수용 오목부(45b) 및 일방의 암 받이부(45c)의 주위에 대략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27)은, 제1 힌지 베어링부(45)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토션 스프링(27)은, 코일 모양으로 권회(卷回)된 권회부(27a)와, 권회부(27a)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된 일방의 암부(27b)와, 권회부(27a)의 타단측으로부터 연장된 타방의 암부(27c)를 가지고 있다.
토션 스프링(27)은, 권회부(27a)를 제1 수용 오목부(45b)의 내측에 수용하며, 일방의 암부(27b)를 제1 힌지 베어링부(45)측의 일방의 암 받이부(45c)에 걸리게 하고, 타방의 암부(27c)를 제2 힌지 베어링부(46)측의 타방의 암 받이부(49a)에 걸리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힌지부(10)에서는, 덮개체(9)가 통액구(14)를 개방하는 위치(이하, '개방 위치'라고 함)로부터, 이 덮개체(9)를 개방 방향과는 반대측(이하, '폐쇄 방향'이라고 함)을 향해 회동시켰을 때에, 토션 스프링(27)의 일방의 암부(27b)와 타방의 암부(27c)와의 열림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그 반발력에 의해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개방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힌지 베어링부(45)에는, 도 7, 도 10,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 대향하는 면측을 회동축 방향으로 대략 원통 모양으로 움푹 패이게 한 제2 수용 오목부(45e)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수용 오목부(45e)의 내측에는, 덮개체(9)를 회동축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제2 가압 부재)(51)이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수용 오목부(45e)의 내측에는, 슬라이드 부재(52)가 코일 스프링(51)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회동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52)는, 대략 저면을 가지는 원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저벽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 구멍(52a)과, 측벽의 일부가 회동축 방향으로 노치된 노치부(52b)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제2 수용 오목부(45e)의 내주면에는, 노치부(52b)의 내측에 삽입되는 가이드 볼록부(45f)가 회동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52)는, 노치부(52b)의 내측에 가이드 볼록부(45f)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제2 수용 오목부(45e)의 내측에서 회동축 둘레로 회전하지 않고, 회동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힌지 베어링부(47)는,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47a)을 가지고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연속한 형상을 가지도록, 덮개체(9)의 후측 중앙부를 사이에 둔 타방측으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3 힌지 베어링부(47)는,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제2 대면 부재(일방의 대면 부재)(53)를 가지고 있다.
제2 대면 부재(53)는, 도 10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힌지 베어링부(47)에 마련된 제2 감합 오목부(일방의 감합 오목부)(47b)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제2 대면 부재(53)에는,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는 재질이 다른 것,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이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금속 등, 제3 힌지 베어링부(47)보다도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의 것(본 실시 형태에서는 POM)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제2 대면 부재(53)를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는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힌지부(10)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3 힌지 베어링부(47)에 대해서는, 반드시 제2 대면 부재(53)를 별체로 구성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대면 부재(53)가 일체화된 구성이라도 좋다.
힌지축(48)은, 도 7,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5, 46, 47)의 축 구멍(45a, 46a, 47a)에 삽입 통과되는 것에 의해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5, 46, 47)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힌지부(10)는, 개방 위치에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클릭 기구(54)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클릭 기구(54)는, 슬라이드 부재(52)의 제2 대면 부재(53)와 대향하는 면(일방의 면)에 걸림 오목부(55)와, 제2 대면 부재(53)의 슬라이드 부재(52)와 대향하는 면(타방의 면)에 걸림 볼록부(56)를 가지고 있다.
걸림 오목부(55)는, 도 7, 도 10, 도 11,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면의 덮개체(9)가 통액구(14)를 개방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오목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 일방의 면에는, 걸림 볼록부(56)를 회동 방향에서 걸림 오목부(55)로 안내하는 경사면(57)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57)은, 걸림 볼록부(56)와 접촉하는 면이며, 걸림 오목부(55)를 향해 오름 경사를 가지고 있다.
한편, 걸림 볼록부(56)는, 도 10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걸림 오목부(55)와 걸림 볼록부(56)는, 회동 방향에서 서로 걸려지는 면(이하, '걸림면'이라고 함)(55a, 56a)이 서로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다.
슬라이드 부재(52)는, 제2 수용 오목부(45e) 내에 압축된 코일 스프링(51)에 의해서, 제3 힌지 베어링부(47)로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걸림 볼록부(56)가 슬라이드 부재(52)에 꽉 눌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반대로, 제1 힌지 베어링부(45)는, 제2 수용 오목부(45e) 내에서 압축된 코일 스프링(51)에 의해서, 제2 힌지 베어링부(46)로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돌기부(50)가 슬라이드 접촉면(45d)에 꽉 눌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힌지부(10)에서는, 폐색 위치로부터 덮개체(9)를 개방 방향을 향해 소정량만큼 회동시켰을 때에, 클릭 기구(54)를 구성하는 걸림 볼록부(56)가 걸림 오목부(55)에 걸려진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걸림 볼록부(56)와 걸림 오목부(55)와의 걸림에 의해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마실 때에,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한 채로, 용기 본체(2)를 기울일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토션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의해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토션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의존하지 않고,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힌지부(10)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덮개체(9)를 회동시켰을 때에, 걸림 볼록부(56)가 오름 경사로 이루어지는 경사면(57)과 접촉(슬라이드 접촉)하면서, 걸림 오목부(55)로 안내된다. 이 때, 경사면(57)에 대한 걸림 볼록부(56)에 가압력(마찰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토션 스프링(27)의 가압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는 덮개체(9)의 회동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에서 설명한 덮개 락 기구(37)의 해제에 의해 덮개체(9)가 세게 회동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 클릭 기구(54)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걸림 볼록부(56)가 걸림 오목부(55)에 걸려진 상태에서, 서로 걸려지는 걸림면(55a, 56a)이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 경우, 서로 걸려지는 걸림면(55a, 56a)의 사이에서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걸림 오목부(55) 및 걸림 볼록부(56)의 마모나 손상 등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힌지부(10)에 기능을 집약하는 것에 의해서, 컴팩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힌지 구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힌지부(10)의 내측에, 서로 가압하는 방향이 다른 토션 스프링(제1 가압 부재)(27)와 코일 스프링(제2 가압 부재)(51)을 회동축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이들 가압 부재(27, 51)를 힌지부(10) 내에 집약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힌지부(10)에, 토션 스프링(27)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기구와, 개방 위치에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덮개체(9)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클릭 기구(54))와, 코일 스프링(51)의 가압에 의해 걸림 볼록부(56)를 슬라이드 부재(52)에 꽉 누름과 아울러, 복수의 돌기부(50)를 슬라이드 접촉면(45d)에 꽉 누르기 위한 기구를 집약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3)에서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측의 복수의 돌기부(50)가 제1 힌지 베어링부(45)측의 슬라이드 접촉면(45d)에 슬라이드 접촉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캡 본체(8)에 대해서 덮개체(9)를 회동시킬 때에, 힌지부(10)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종래보다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토션 스프링(27) 및 코일 스프링(51)에 대해서는, 그 가압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제2 힌지 베어링부(46)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7)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낮게 억제하여, 힌지부(10)의 내구성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10)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캡 본체(8)측에 제1 힌지 베어링부(45), 덮개체(9)측에 제2 힌지 베어링부(46)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7)가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체(9)측에 제1 힌지 베어링부(45), 캡 본체(8)측에 제2 힌지 베어링부(46) 및 제3 힌지 베어링부(47)가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힌지부(10)에서는, 제2 힌지 베어링부(46)측의 구성과, 제3 힌지 베어링부(47)측의 구성을 서로 바꾸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힌지부(10)에서는, 제1 대면 부재(49)의 제1 힌지 베어링부(45)와 대향하는 면측에 복수의 돌기부(50)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제1 힌지 베어링부(45)의 제1 대면 부재(49)와 대향하는 면측에 복수의 돌기부(50)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힌지부(10)에서는, 슬라이드 부재(52)의 제2 대면 부재(53)와 대향하는 면에 걸림 오목부(55)를 마련하고, 제2 대면 부재(53)의 슬라이드 부재(52)와 대향하는 면에 걸림 볼록부(56)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슬라이드 부재(52)의 제2 대면 부재(53)와 대향하는 면에 걸림 볼록부(56)를 마련하고, 제2 대면 부재(53)의 슬라이드 부재(52)와 대향하는 면에 걸림 오목부(55)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음료용 용기(1)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외관 형상을 가진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이즈나 기능,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음료용 용기(1)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를 이용한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캡 유닛이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용 용기나, 냄비와 같은 넓은 개구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냄비 덮개를 가지는 조리용 냄비에 대해서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음료용 용기 2 - 용기 본체
2c - 구경부 2d - 상부 개구부
3 - 캡 유닛 8 - 캡 본체
9 - 덮개체 9a - 주벽부
9b - 천벽부 9c - 내벽부
10 - 힌지부 13 - 입구 형성 부재(립 또는 주둥이)
14 - 통액구 15 - 입구 탈착 기구(탈착 기구)
16 - 제1 클로부 17 - 제2 클로부
18 - 걸림 부재 19 - 지지축
20 - 탄성편 21 - 힌지부
22 - 축 구멍 23 - 피맞닿음부
24 - 제1 피걸림부 25 - 제2 피걸림부
26 - 지수 패킹(씰 부재) 27 - 토션 스프링(제1 가압 부재)
28 - 덮개 패킹(씰 부재) 29 - 커버 부재
30 - 오목부 31 - 커버 탈착 기구
32 - 제3 클로부 33 - 제4 클로부
34 - 스토퍼 35 - 제3 피걸림부
36 - 제4 피걸림부 37 - 덮개 락 기구
38 - 힌지부 39 - 락 부재
40 - 링 스토퍼 41 - 훅부
42 - 탄성 부재 43 - 락 받이부
44 - 스토퍼 받이부 45 - 제1 힌지 베어링부
46 - 제2 힌지 베어링부 47 - 제3 힌지 베어링부
48 - 힌지축 49 - 제1 대면 부재(타방의 대면 부재)
50 - 돌기부 51 - 코일 스프링(제2 가압 부재)
52 - 슬라이드 부재 53 - 제2 대면 부재(일방의 대면 부재)
54 - 클릭 기구 55 - 걸림 오목부
56 - 걸림 볼록부 57 - 경사면
2c - 구경부 2d - 상부 개구부
3 - 캡 유닛 8 - 캡 본체
9 - 덮개체 9a - 주벽부
9b - 천벽부 9c - 내벽부
10 - 힌지부 13 - 입구 형성 부재(립 또는 주둥이)
14 - 통액구 15 - 입구 탈착 기구(탈착 기구)
16 - 제1 클로부 17 - 제2 클로부
18 - 걸림 부재 19 - 지지축
20 - 탄성편 21 - 힌지부
22 - 축 구멍 23 - 피맞닿음부
24 - 제1 피걸림부 25 - 제2 피걸림부
26 - 지수 패킹(씰 부재) 27 - 토션 스프링(제1 가압 부재)
28 - 덮개 패킹(씰 부재) 29 - 커버 부재
30 - 오목부 31 - 커버 탈착 기구
32 - 제3 클로부 33 - 제4 클로부
34 - 스토퍼 35 - 제3 피걸림부
36 - 제4 피걸림부 37 - 덮개 락 기구
38 - 힌지부 39 - 락 부재
40 - 링 스토퍼 41 - 훅부
42 - 탄성 부재 43 - 락 받이부
44 - 스토퍼 받이부 45 - 제1 힌지 베어링부
46 - 제2 힌지 베어링부 47 - 제3 힌지 베어링부
48 - 힌지축 49 - 제1 대면 부재(타방의 대면 부재)
50 - 돌기부 51 - 코일 스프링(제2 가압 부재)
52 - 슬라이드 부재 53 - 제2 대면 부재(일방의 대면 부재)
54 - 클릭 기구 55 - 걸림 오목부
56 - 걸림 볼록부 57 - 경사면
Claims (15)
-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상부에 통액구(通液口)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덮개체를 회동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덮개체를 회동축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캡 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제1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캡 본체와 상기 덮개체 중 어느 타방에 마련된 제2 힌지 베어링부 및 제3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 베어링부를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된 힌지축을 가지며,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상기 제1 가압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상기 제2 가압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클릭감(click感)을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클릭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릭 기구는, 상기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의 서로 대향하는 면(面) 중, 일방의 면에 마련된 걸림 오목부와, 타방의 면에 마련된 걸림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 오목부에 상기 걸림 볼록부가 걸려지는 것에 의해서, 클릭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면 중, 회동 방향에서 상기 걸림 볼록부와 접촉하는 면이 상기 걸림 오목부를 향해 오름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 오목부와 상기 걸림 볼록부 중, 회동 방향에서 서로 걸려지는 면이 서로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의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일방의 대면(對面)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면 부재는, 상기 제3 힌지 베어링부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와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의 서로 대향하는 면 중, 일방의 면에 마련되어 타방의 면과 슬라이드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의 상기 제1 힌지 베어링부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타방의 대면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타방의 대면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대면 부재는, 상기 제2 힌지 베어링부와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가 상기 통액구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를 상기 캡 본체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락(lock)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음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039242 | 2016-03-01 | ||
JP2016039242A JP6681745B2 (ja) | 2016-03-01 | 2016-03-01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2442A KR20170102442A (ko) | 2017-09-11 |
KR101879979B1 true KR101879979B1 (ko) | 2018-07-18 |
Family
ID=5971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7050A KR101879979B1 (ko) | 2016-03-01 | 2017-03-02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267423A1 (ko) |
JP (1) | JP6681745B2 (ko) |
KR (1) | KR101879979B1 (ko) |
CN (1) | CN107140307B (ko) |
CA (1) | CA2959270A1 (ko) |
TW (1) | TWI62157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1228B1 (ko) | 2016-05-04 | 2020-09-29 | 하디 슈타인만 | 휴대용 음료 용기 |
JP6846325B2 (ja) * | 2017-10-31 | 2021-03-24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保冷箱 |
JP7090489B2 (ja) * | 2018-06-26 | 2022-06-24 | サーモス株式会社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JP7161339B2 (ja) * | 2018-08-10 | 2022-10-26 | サーモス株式会社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US10512347B1 (en) * | 2018-08-28 | 2019-12-24 | Zak Designs, Inc. | Dual-dispensing lid |
US12082729B2 (en) | 2019-04-30 | 2024-09-10 | Hidratesmart Llc | Smart container with interactive, colored lights |
US11396408B2 (en) | 2019-08-05 | 2022-07-26 | Yeti Coolers, Llc | Lid for container |
USD955818S1 (en) * | 2019-09-19 | 2022-06-28 | Real Value LLC | Tumbler |
JP7445124B2 (ja) * | 2020-04-03 | 2024-03-07 |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 栓体 |
USD974830S1 (en) * | 2020-07-22 | 2023-01-10 | Shenzhen Too Feel Plastic & Hardware Co., Ltd | Lid for water bottle |
US11912471B2 (en) | 2020-10-27 | 2024-02-27 | Yeti Coolers, Llc |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
USD957196S1 (en) | 2020-10-27 | 2022-07-12 | Yeti Coolers, Llc | Bottle |
USD983597S1 (en) | 2021-02-08 | 2023-04-18 | Lifetime Brands, Inc. | Cap |
USD966790S1 (en) * | 2021-03-09 | 2022-10-18 | Zhejiang Feijian Technology Co., Ltd. | Drinking bottle lid |
CN112890555B (zh) * | 2021-03-31 | 2024-09-13 | 上海人尔实业有限公司 | 一种自动上锁杯盖及其使用方法 |
JP2022180977A (ja) * | 2021-05-25 | 2022-12-07 | サーモス株式会社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JP2022180978A (ja) * | 2021-05-25 | 2022-12-07 | サーモス株式会社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USD1029582S1 (en) * | 2021-06-04 | 2024-06-04 | Jogan Health, Llc | Fluid container |
USD1015804S1 (en) | 2021-09-15 | 2024-02-27 | Yeti Coolers, Llc | Lid |
USD1036936S1 (en) | 2021-10-26 | 2024-07-30 | Yeti Coolers, Llc | Bottle |
USD1049761S1 (en) * | 2024-05-29 | 2024-11-05 | Honglin Wu | Bottle lid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7170A (ja) * | 1998-04-24 | 2000-01-11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US20030136803A1 (en) * | 2002-01-18 | 2003-07-24 | Toshiaki Kuwano | Inner plug of a container for holding beverage |
JP2007126186A (ja) * | 2005-11-04 | 2007-05-24 |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 蓋体ロック構造 |
JP3169208U (ja) * | 2011-05-10 | 2011-07-21 | オルゴ株式会社 | 携帯用飲料容器 |
JP5105319B2 (ja) * | 2010-07-06 | 2012-12-26 | サーモス株式会社 | 飲料用容器の栓体 |
JP2013056680A (ja) * | 2011-09-07 | 2013-03-28 | Thermos Kk | 飲料用容器の栓体 |
JP2013112349A (ja) * | 2011-11-25 | 2013-06-10 | Takeo Tanabe | 飲料用容器 |
CN104129579A (zh) * | 2013-05-02 | 2014-11-05 | 膳魔师株式会社 | 饮料用容器的栓体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59081B2 (ja) * | 1994-12-21 | 2004-08-25 |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 ヒンジキャップ |
TWM244854U (en) * | 2000-09-27 | 2004-10-01 | Nippon Oxygen Co Ltd | Cork for soft drink container |
CA2342756A1 (en) * | 2001-04-04 | 2002-10-04 | Takashi Ohno | Plug structure for liquid container |
US6857538B2 (en) * | 2002-04-25 | 2005-02-22 | Tsong-Yow Lin | Garbage bin with cover |
JP2009043001A (ja) * | 2007-08-08 | 2009-02-26 | Nec Saitama Ltd | クリック構造、ヒンジ構造及び折り畳み式携帯電話端末 |
CN201235992Y (zh) * | 2008-04-15 | 2009-05-13 | 郑松 | 速溶即饮式饮料瓶包装用的复合瓶盖 |
MX2011002011A (es) * | 2008-09-15 | 2011-03-30 | Sca Hygiene Prod Ab | Arreglo de bisagra. |
US8613417B2 (en) * | 2010-05-26 | 2013-12-24 | Donald William Kraus, JR. | Coaster and drink cover |
JP5263361B2 (ja) * | 2011-09-30 | 2013-08-14 | サーモス株式会社 | 飲料用容器の栓体 |
CN202449356U (zh) * | 2012-01-17 | 2012-09-26 |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 一种上下盖连接机构 |
JP5430689B2 (ja) * | 2012-01-27 | 2014-03-05 | サーモス株式会社 | 飲料用容器の栓体 |
CN103431715B (zh) * | 2013-06-05 | 2015-10-14 | 浙江哈尔斯真空器皿股份有限公司 | 一种杯盖 |
JP5650284B1 (ja) * | 2013-07-05 | 2015-01-07 | サーモス株式会社 | 飲料用容器の栓体ヒンジ構造 |
WO2015033254A1 (en) * | 2013-09-09 | 2015-03-12 | Lim Huy | Drink container cover |
TW201538398A (zh) * | 2014-04-02 | 2015-10-16 | Crown Mfg Corp | 飲料用容器之栓體 |
CN204161794U (zh) * | 2014-05-05 | 2015-02-18 | 上海宏晨家庭用品有限公司 | 按钮内藏式防误开容器盖 |
-
2016
- 2016-03-01 JP JP2016039242A patent/JP6681745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2-07 TW TW106103984A patent/TWI621570B/zh active
- 2017-02-23 CN CN201710099430.7A patent/CN107140307B/zh active Active
- 2017-02-28 CA CA2959270A patent/CA295927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2-28 US US15/444,685 patent/US2017026742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3-02 KR KR1020170027050A patent/KR1018799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7170A (ja) * | 1998-04-24 | 2000-01-11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US20030136803A1 (en) * | 2002-01-18 | 2003-07-24 | Toshiaki Kuwano | Inner plug of a container for holding beverage |
JP2007126186A (ja) * | 2005-11-04 | 2007-05-24 | Peacock Vacuum Bottle Co Ltd | 蓋体ロック構造 |
JP5105319B2 (ja) * | 2010-07-06 | 2012-12-26 | サーモス株式会社 | 飲料用容器の栓体 |
JP3169208U (ja) * | 2011-05-10 | 2011-07-21 | オルゴ株式会社 | 携帯用飲料容器 |
JP2013056680A (ja) * | 2011-09-07 | 2013-03-28 | Thermos Kk | 飲料用容器の栓体 |
JP2013112349A (ja) * | 2011-11-25 | 2013-06-10 | Takeo Tanabe | 飲料用容器 |
CN104129579A (zh) * | 2013-05-02 | 2014-11-05 | 膳魔师株式会社 | 饮料用容器的栓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140307A (zh) | 2017-09-08 |
US20170267423A1 (en) | 2017-09-21 |
JP2017154780A (ja) | 2017-09-07 |
TW201731738A (zh) | 2017-09-16 |
CN107140307B (zh) | 2019-12-03 |
KR20170102442A (ko) | 2017-09-11 |
TWI621570B (zh) | 2018-04-21 |
CA2959270A1 (en) | 2017-09-01 |
JP6681745B2 (ja) | 202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9979B1 (ko)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
KR101879987B1 (ko)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
US11045024B2 (en) |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 |
KR20190042513A (ko) |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 |
JP6509783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 |
JP7090489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
JP6466387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 |
JP6346785B2 (ja) | 栓体及び栓体を備える容器 | |
JP6716370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 |
JP7549464B2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
JP2020026292A (ja) |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 |
CN115384938A (zh) | 盖单元以及带盖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