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2297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979B1
KR101622979B1 KR1020140015021A KR20140015021A KR101622979B1 KR 101622979 B1 KR101622979 B1 KR 101622979B1 KR 1020140015021 A KR1020140015021 A KR 1020140015021A KR 20140015021 A KR20140015021 A KR 20140015021A KR 101622979 B1 KR101622979 B1 KR 10162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substrate
connector
contact
meta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327A (ko
Inventor
유이치 다케나가
타카유키 니시무라
히로아키 오비카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5)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 및 플러그 하우징(40)을 포함한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는 각각 제1 굽힘부(50) 등을 포함한다. 제1 굽힘부(50) 등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가 배열된 방향으로 정렬된다. 리셉터클(3)은 제2 금속 부품 및 리셉터클 하우징(6)을 포함한다. 플러그(5)와 리셉터클(3)이 교합될 때, 플러그(5)의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는, 리셉터클(3)의 복수의 제2 금속 부품에 각각 접촉된다. 플러그 콘택트(41)가 제2 금속 부품과 각각 접촉될 때, 제2 금속 부품 각각은, 리셉터클(3)로부터의 플러그(5)의 빠짐에 대한 대항력을 발휘한다. 보조 금속 부품(8)은, 리셉터클 콘택트(7)의 크기와 상이한 크기를 갖는 대항력을 발휘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본 발명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 및 교합 커넥터(mating connector; 101)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102)가 개시되어 있다. 커넥터(100)는 2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103)와, 복수의 콘택트(103)를 유지(holding)하는 절연체(insulator; 104)를 포함한다. 교합 커넥터(101)는 2열로 배열된 복수의 교합 콘택트(105)와, 복수의 교합 콘택트(105)를 유지하는 교합 절연체(106)를 포함한다. 커넥터(100)와 교합 커넥터(101)가 교합될 때, 복수의 콘택트(103)와 복수의 각 교합 콘택트(105)가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커넥터(100)와 교합 커넥터(101)가 교합 상태에 있을 때, 커넥터(100)로부터 교합 커넥터(101)가 빠지지 않도록, 각 콘택트(103)와 대응하는 교합 콘택트(105)에 잠금 수단(locking means)이 형성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163054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커넥터(100)로부터 교합 커넥터(101)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대항력으로서의 잠금력(locking force)은, 콘택트(103)와 교합 콘택트(105)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커넥터 장치(102)의 용도에 따라 콘택트(103)와 교합 콘택트(105)의 수가 가변적으로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을 갖는 모든 장치에 대하여 잠금력이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하게 된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잠금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교합 커넥터(101)에 부가적으로 잠금력 전용 금속부를 형성할 수 있지만, 교합 커넥터(101)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합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용이하게 잠금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커넥터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1 금속 부품 및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을 인서트 성형(insert molding)에 의해서 유지(holding)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굽힘부(bending portion)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의 굽힘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이 배열된 방향으로 정렬되는, 제1 커넥터부; 및 복수의 제2 금속 부품 및 상기 복수의 제2 금속 부품을 유지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가 교합될 때,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이,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2 금속 부품에 각각 접촉된다. 상기 제1 금속 부품이 상기 제2 금속 부품과 접촉될 때, 상기 제2 금속 부품의 각각은, 상기 제2 커넥터부로부터의 상기 제1 커넥터부의 빠짐(pull-out)에 대한 대항력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2 금속 부품 중 하나로서의 특수 금속 부품(special metal part)의 대항력의 크기는, 상기 특수 금속 이외에 상기 제2 금속 부품으로서의 통상 금속 부품(normal metal part)의 대항력의 크기와 상이하다.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상기 특수 금속 부품의 일부분의 두께는,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상기 통상 금속 부품의 일부분의 두께와 상이하다.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상기 특수 금속 부품의 일부분의 폭은,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상기 통상 금속 부품의 일부분의 폭과 상이하다.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상기 특수 금속 부품의 일부분의 재질은,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상기 통상 금속 부품의 일부분의 재질과 상이하다.
상기 제2 커넥터부는 기판상에 탑재된다. 상기 특수 금속 부품은,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 상기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로부터 연장하도록 형성된 간섭부; 상기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부에서 걸어 고정하는 로크 융기; 및 상기 간섭부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기판의 반대측에 위치되어 상기 기판에 고정된 변위 규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부는 기판상에 탑재된다. 상기 특수 금속 부품은,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기판상에서의 변위가 금지된 변위 금지부; 상기 변위 금지부로부터 연장하여 들보(beam)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이한 변형이 가능한 변형 용이부; 및 상기 변형 용이부를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변위 금지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변위 허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 허용부는, 상기 제1 금속 부품과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를 유지하는 보유지지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로부터 상기 제1 커넥터부가 빠지는 방향인 빠짐 방향으로 상기 변위 금지부와 접촉될 수 있는 간섭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 허용부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금속 부품과 접촉될 때, 상기 특수 금속 부품은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고, 상기 간섭부가 상기 변위 금지부와 상기 빠짐 방향으로 접촉될 때, 상기 빠짐 방향으로의 상기 변위 허용부의 변위가 규제된다.
상기 간섭부의 두께 방향은 상기 빠짐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변위 금지부는, 상기 간섭부와 상기 빠짐 방향으로 접촉되는 변위 규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 규제부의 두께 방향은 상기 빠짐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간섭부의 두께 방향과 상기 변위 규제부의 두께 방향은 상기 빠짐 방향의 관점에서 상이하다.
상기 간섭부의 두께 방향은 상기 빠짐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커넥터부와 제2 커넥터부 사이에 필요한 대항력은 특수 금속판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은, 서로 접속되어 하나의 캐리어에 의해서 동시에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부는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보드 대 보드(board-to-board) 커넥터가 교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는, 보드 대 보드 커넥터가 교합되기 전의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3은, 리셉터클(receptacle)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4는, 리셉터클의 확대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5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6은 리셉터클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7은 리셉터클 콘택트의 측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8은 보조 금속 부품(auxiliary metal fitting)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9는 보조 금속 부품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0은 보조 금속 부품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1은 플러그(plug)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2는 플러그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3은 플러그 콘택트의 측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4는 제조 공정에서의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5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교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6은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교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7은 특허문헌 1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보조 금속 부품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9는 도 18에서 A부분의 확대 도면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0은 도 18에서 B부분의 확대 도면이다(제1 실시 형태).
도 21은 보조 금속 부품의 사시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2는 보조 금속 부품의 사시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3은 도 21에서 A부분의 확대 도면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4는 도 21에서 B부분의 확대 도면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5는 도 22에서 A부분의 확대 도면이다(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완전히 이해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은 설명을 위해서만 주어진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로 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대 보드(board-to-board) 커넥터(1)는, 리셉터클측 기판(2)(제2 기판,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2a)에 탑재될 리셉터클(3)(제2 커넥터부) 및, 플러그측 기판(4)(제1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4a)에 탑재될 플러그(5)(제1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보드 대 보드 커넥터(1)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과, 플러그측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을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5)가 리셉터클(3)과 교합될 때,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은 플러그측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셉터클; 3)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3)은, 리셉터클 하우징(6)(제2 하우징),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제2 금속 부품; 통상 금속 부품; 제2 콘택트) 및, 한 쌍의 보조 금속 부품(auxiliary metal fittings; 8)(제2 금속 부품; 특수 금속 부품)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하우징(6)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 및 한 쌍의 보조 금속 부품(8)을 유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는 2열로 배열된다. 2열의 각각에서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도 1을 참조하여, "피치 방향", "피치 직교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을 정의한다. "피치 방향"이란,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서,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가 2열로 배열되어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피치 방향" 중 리셉터클(3)의 중앙에 근접하는 방향을 "피치 중앙 방향"으로 정의하고, 리셉터클(3)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피치 반(反)중앙 방향"으로 정의한다. "피치 직교 방향"이란,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서, 피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피치 직교 방향" 중 리셉터클(3)의 중앙에 근접하는 방향을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정의하고, 리셉터클(3)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으로 정의한다. "기판 직교 방향"이란,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기판 직교 방향" 중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근접하는 방향을 "기판 근접 방향"으로 정의하고,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기판 이간(away) 방향"으로 정의한다. 기판 이간 방향은 리셉터클(3)로부터 플러그가 빠지는 방향인 빠짐 방향(pull out direction)에 대응한다. 이들 피치 방향, 피치 직교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 피치 방향, 피치 직교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은, 또한 플러그(5)에 대한 설명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5)의 설명에서, 기판 근접 방향 및 기판 이간 방향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기초하여 정의되지만, 플러그측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기초하여 정의되지 않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6)은, 바닥판(bottom plate; 9), 주위벽(peripheral wall; 10) 및, 중앙 융기(central protuberance; 11)를 갖는다.
바닥판(9)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평행하다.
주위벽(10)은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여 바닥판(9)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다. 주위벽(10)은 사각 고리 모양(rectangular annular shape)으로 형성된다. 주위벽(10)은 한 쌍의 보조측 벽(12)과 한 쌍의 콘택트측 벽(13)을 갖는다. 한 쌍의 보조측 벽(12)은, 한 쌍의 보조 금속 부품(8)을 유지한다. 한 쌍의 보조측 벽(12)은,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한 쌍의 콘택트측 벽(13)은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를 유지한다. 한 쌍의 콘택트측 벽(13)은 피치 직교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중앙 융기(11)는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여 바닥판(9)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다. 중앙 융기(11)는 바닥판(9)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사각 고리 모양 플러그 수용 공간 S가, 주위벽(10)과 중앙 융기(11) 사이에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콘택트(7)는, 기판 고정부(15), 보유지지부(held portion; 16),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18) 및,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를 갖는다. 기판 고정부(15), 보유지지부(16),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18) 및,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는 이 순서로 형성된다.
기판 고정부(15)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낵터 탑재면(2a)에 납땜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고정된다. 기판 고정부(15)는 피치 직교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보유지지부(16)는, 리셉터클 하우징(6)에의 가압 고정(press fit)에 의해서 유지된다. 보유지지부(16)는, 기판 고정부(15)의 단부(end)로부터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중앙 방향(pitch orthogonal center direction)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는 플러그(5)와 함께 콘택트 포인트로서 기능한다.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는, 보유지지부(16)의 단부로부터,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여 기판 이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진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는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형성된다.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는, 외부 콘택트 포인트(17a) 및 후킹부(hooking portion; 17b)를 갖는다. 외부 콘택트 포인트(17a)는,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의 피치 직교 중앙 방향측 단부에 위치된다. 후킹부(17b)는, 외부 콘택트 포인트(17a)보다 기판 근접 방향으로 더 먼 장소에 위치된다. 후킹부(17b)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18)는,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와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 사이를 연결한다.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18)는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의 단부로부터,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는 플러그(5)와의 콘택트 포인트로서 기능한다.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는,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18)의 단부로부터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진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는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는 내부 콘택트 포인트(19a)를 갖는다. 내부 콘택트 포인트(19a)는,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의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측 단부에 위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17a)와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의 내부 콘택트 포인트(19a)는, 그 사이에 개재된 플러그 수용 공간 S를 두고, 피치 직교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금속 부품(8)은, 보조 금속 부품 몸체(20), 가이드(guide; 21), 한 쌍의 잠금 기구(locking mechanism) F, 및 한 쌍의 고정부(fixed part; 22)를 갖는다.
보조 금속 부품 몸체(20)는 피치 직교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21)는, 플러그(5)가 리셉터클(3)와 교합될 때, 피치 방향으로 리셉터클(3)과 플러그(5)를 정렬시킨다. 가이드(21)는 직선 기울어짐부(straight inclined portion; 21a) 및 직선 수직부(straight vertical portion; 21b)를 갖는다. 피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보조 금속 부품 몸체(20)의 중앙에서, 직선 기울어짐부(21a)가, 보조 금속 부품 몸체(20)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진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직선 기울어짐부(21a)는 평탄 안내면(flat guiding surface; 21c)을 갖는다. 직선 수직부(21b)는, 직선 기울어짐부(21a)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피치 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잠금 기구 F는, 보조 금속 부품 몸체(20)의 양 단부로부터,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잠금 기구 F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기 때문에, 잠금 기구 F 중 하나만 설명하고 다른 잠금 기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잠금 기구 F는 베이스(base; 30), 잠금 스프링편(lock spring piece; 31), 로크 융기(lock protuberance; 32) 및, 변위 규제부(displacement restricting portion; 33)를 갖는다.
베이스(30)는, 보조 금속 부품 몸체(20)의 단부로부터,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잠금 스프링편(31)은, 피치 직교 방향으로 로크 융기(32)의 탄성 변위가 가능하도록, 로크 융기(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잠금 스프링편(31)은, 베이스(30)의 단부(end)로부터,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여 기판 이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잠금 스프링편(31)은, 스프링편 몸체(34),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35) 및, 간섭부(interference portion; 36)를 갖는다. 스프링편 몸체(34)는, 베이스(30)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진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35)는,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스프링편 몸체(34)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간섭부(36)는,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35)의 단부로부터,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을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로크 융기(32)는 플러그(5)를 걸어 채우고, 이에 의해서, 리셉터클(3)로부터의 플러그(5)의 빠짐에 대한 대항력인 커넥터 잠금력의 일부로서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이 발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융기(32)는,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35)로부터,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변위 규제부(33)는,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 및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한 로크 융기(32)의 과도 변위를 규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규제부(33)는, 베이스(30)로부터,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변위 규제부(33)는, 잠금 스프링편(31)의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35)로부터 보았을 때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 측에 위치되고, 피치 직교 방향으로 잠금 스프링편(31)의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35)와 대면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변위 규제부(33)는, 피치 직교 반 중앙 방향을 향한 로크 융기(32)의 과도 변위를 규제한다. 마찬가지로, 변위 규제부(33)는, 잠금 스프링편(31)의 간섭부(36)로부터 보았을 때 기판 이간 방향 측에 위치되고, 기판 직교 방향으로 잠금 스프링편(31)의 간섭부(36)와 대면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변위 규제부(33)는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한 로크 융기(32)의 과도 변위를 규제한다.
한 쌍의 고정부(22)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리셉터클 하우징(6)을 고정한다. 각 고정부(22)는, 대응하는 베이스(30)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기판 근접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각 고정부(22)는, 리셉터클 하우징(6)에 가압 고정되고, 또한 납땜에 의해서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금속 부품(8) 중 하나의 잠금 기구 F 중 하나의 로크 융기(32), 다른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기구 F 중 하나의 로크 융기(32) 및, 하나의 열로 배열된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의 후킹부(17b)가, 임의 간격을 두고 피치 방향으로 한 줄로 배치된다. 보조 금속 부품(8) 중 하나의 잠금 기구 F 중 하나의 로크 융기(32) 및, 다른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기구 F 중 하나의 로크 융기(32)가, 하나의 열로 배열된 복수의 리셉터클 콘택트(7)의 후킹부(17b)를, 피치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배열된다. 다른 잠금 기구 F는 상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플러그; 5)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는 플러그 하우징(40)(제1 하우징) 및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제1 금속 부품; 제1 콘택트)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40)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를 유지한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는 피치 방향으로 2개의 열로 배열된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 모두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플러그 하우징(40)은 바닥판(42) 및 주위벽(43)을 갖는다.
바닥판(42)은 플러그측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평행하다.
주위벽(43)은 바닥판(42)으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주위벽(43)은 사각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주위벽(43)은, 한 쌍의 보조측 벽(44)과 한 쌍의 콘택트측 벽(45)을 갖는다. 한 쌍의 보조측 벽(44)은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한 쌍의 콘택트측 벽(45)은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를 유지한다. 한 쌍의 콘택트측 벽(45)은 피치 직교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콘택트(41)는, 기판 고정부(46),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48) 및,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를 갖는다. 기판 고정부(46),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48) 및,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는, 이 순서대로 연속한다.
기판 고정부(46)는, 납땜에 의해서 플러그측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고정된다. 기판 고정부(46)는 피치 직교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는, 리셉터클(3)과의 콘택트 포인트로서 기능한다.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는, 기판 고정부(46)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48)는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와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를 서로에 연결한다.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48)는,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의 단부로부터,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는 리셉터클(3)과의 콘택트 포인트로서 기능한다.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는,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48)의 단부로부터, 기판 이간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는 후킹부(49a)를 갖는다. 후킹부(49a)는,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의 기판 근접 방향측 단부에 위치된다. 후킹부(49a)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참조하면, 플러그 콘택트(41)는, 제1 굽힘부(50)(bending portion; 굽힘부), 제2 굽힘부(51)(굽힘부) 및, 제3 굽힘부(52)(굽힘부)를 갖는다. 제1 굽힘부(50)는 기판 고정부(46)와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고, 피치 방향의 관점에서 대략 90도로 만곡된다. 제2 굽힘부(51)는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와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48)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고, 피치 방향의 관점에서 대략 90도로 만곡된다. 제3 굽힘부(52)는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48)와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고, 피치 방향에서 보아 대략 90도로 만곡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가 플러그 하우징(40)에 의해서 유지되는 상태에서, 각 열에서,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의 제1 굽힘부(50), 제2 굽힘부(51) 및, 제3 굽힘부(52)는, 동일한 열에 있는 다른 플러그 콘택트(41)의 제1 굽힘부(50), 제2 굽힘부(51) 및, 제3 굽힘부(52)와 동일한 피치 방향으로 각각 정렬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열에서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를 상호 접속할 수 있고, 단일 캐리어 K에 의해서 동시에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를 이송할 수 있다. 이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플러그(5)가 제조될 때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대한 두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첫째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K의 수는, 플러그(5)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제조될 때 총 2이고, 이는 적은 수의 부품만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K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제조될 때 서로 물리적으로 간섭하지 않고, 따라서 몰드에 캐리어 K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따라서 몰드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보드 대 보드 커넥터(1)를 이용하는 법)
다음으로, 보드 대 보드 커넥터(1)를 이용하는 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3)은,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탑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는, 플러그측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탑재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는 기판 직교 방향으로 리셉터클(3)을 향하여 대면하고, 플러그측 기판(4)은 리셉터클측 기판(2)에 근접한다. 이때, 리셉터클(3)과 플러그(5)는 모두 리셉터클측 기판(2)과 플러그측 기판(4) 사이에 끼워져 육안으로 직접 인식할 수 없다. 플러그측 기판(4)이 리셉터클측 기판(2)에 근접할 때, 도 11에 도시된 플러그(5)의 플러그 하우징(40)의 보조측 벽(44)은, 도 8에 도시된 보조 금속 부품(8)의 가이드(21)의 직선 기울임부(21a)의 안내면(guiding surface; 21c)에 대하여 부딪치고, 안내면(21c)의 기울어짐을 따라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이동한다. 다음으로, 리셉터클(3) 및 플러그(5)는 피치 방향으로 정렬된다. 피치 직교 방향으로의 리셉터클(3)과 플러그(5)의 정렬은,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기구 F의 잠금 스프링편(31)의 스프링편 몸체(34)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리셉터클(3)과 플러그(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치 방향 및 피치 직교 방향으로 정렬될 때, 도 11에 도시된 플러그(5)의 플러그 하우징(40)의 사각 고리모양 주위벽(43)은, 도 5에 도시된 리셉터클 하우징(6)의 사각 고리모양 플러그 수용 공간 S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첫째로, 플러그 콘택트(41)의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48) 및,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는, 리셉터클 콘택트(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와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 사이에 삽입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는, 진한 화살표 P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근접 방향 및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는, 진한 화살표 Q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다음으로,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와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가 피치 직교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약간 움직이고, 이로 인해서, 플러그 콘택트(41)의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 콘택트 포인트 접속부(48) 및,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가, 리셉터클 콘택트(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와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플러그 콘택트(41)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의 후킹부(49a)가, 리셉터클 콘택트(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의 후킹부(17b)보다 기판 근접 방향으로 더 먼 장소에 위치될 때, 플러그 콘택트(41)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가, 리셉터클 콘택트(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17a)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콘택트(41)의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47)는, 리셉터클 콘택트(7)의 내부 콘택트 포인트부(19)의 내부 콘택트 포인트(19a)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리셉터클(3)로부터 플러그(5)를 기판 이간 방향으로 빼려고 시도할 때, 플러그 콘택트(41)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의 후킹부(49a)가, 리셉터클 콘택트(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의 후킹부(17b)에 걸어 고정되고, 이에 의해서 리셉터클(3)로부터의 플러그(5)의 빠짐에 대한 대항력인 접촉 잠금력이 발휘된다.
더욱이, 둘째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콘택트(41)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는,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고,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기구 F의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지만,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기구 F의 잠금 스프링편(31)의 스프링편 몸체(34)는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35)는 진한 화살표 R에 의해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이는 기판 근접 방향으로의 플러그 콘택트(41)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의 더 많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플러그 콘택트(41)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의 후킹부(49a)가,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기구 F의 로크 융기(32)보다 기판 근접 방향으로 더 먼 장소에 위치된 때, 심지어, 리셉터클(3)로부터 플러그(5)를 기판 이간 방향으로 빼려고 시도할 때, 플러그 콘택트(41)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49)의 후킹부(49a)가,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기구 F의 로크 융기(32)를 걸어 고정하고, 이에 의해서, 리셉터클(3)로부터의 플러그(5)의 빠짐에 대한 대항력인 커넥터 잠금력의 일부로서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이 발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3)로부터의 플러그(5)의 빠짐에 대한 대항력으로서 커넥터 잠금력으로서, 콘택트 잠금력과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이 있다. 즉,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 잠금력은, 6개 위치에 있는 콘택트 잠금력과 4개 위치에 있는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의 총 합이다.
여기서, 도 15에서, 플러그 콘택트(41)와 리셉터클 콘택트(7)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은 확고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플러그 콘택트(41)와 리셉터클 콘택트(7)의 접촉 압력이 가장 우선적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콘택트 잠금력은 전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없다. 반면에, 도 16에서, 보조 금속 부품(8)의 플러그 콘택트(41)와 잠금 기구 F는 전기적인 접촉이 확고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3)로부터의 플러그(5)의 빠짐에 대한 대항력으로서 커넥터 잠금력을 바람직한 값이 되도록 조절하기 위해서,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이 조절된다. 예를 들면,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은,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스프링편(31)의 스프링편 몸체(34)의 두께, 폭 및 재료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스프링편(31)의 스프링편 몸체(34)의 두께는, 리셉터클 콘택트(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의 두께보다 두꺼워서, 보조 금속 부품(8)의 로크 융기(32)가,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으로 벗어나기 어렵게 되고, 이에 의해서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이 콘택트 잠금력보다 커진다.
부가적으로, 접촉 잠금력의 총 합이 다수의 핀에 의해 초과하는 경우, 리셉터클(3)로부터의 플러그(5)의 빠짐에 대한 대항력으로서의 커넥터 잠금력은, 예를 들면, 보조 금속 부품(8)의 두께를, 리셉터클 콘택트(7)의 두께 미만으로 줄임으로써,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지금까지 설명했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을 이하 설명한다.
(1) 보드 대 보드 커넥터(1)(커넥터)는 플러그(5)(제1 커넥터부) 및 리셉터클(3)(제2 커넥터부)을 포함한다. 플러그(5)는, 일 열로 배열된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제1 금속 부품) 및,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유지하는 플러그 하우징(40)(제1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는 각각 제1 굽힘부(50)(굽힘부)를 갖는다.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가 배열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의 제1 굽힘부(50)가 정렬된다. 리셉터클(3)은, 제2 금속 부품(리셉터클 콘택트(7) 및 보조 금속 부품(8)에 대응) 및, 복수의 제2 금속 부품을 유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6)(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플러그(5)가 리셉터클(3)과 교합될 때, 플러그(5)의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는, 리셉터클(3)의 복수의 각 제2 금속 부품과 접촉된다. 각 플러그 콘택트(41)가, 대응하는 제2 금속 부품과 접촉할 때, 제2 금속 부품은 리셉터클(3)로부터의 플러그(5)의 빠짐에 대한 대항력(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과 콘택트 잠금력에 대응하는 대항력)을 발휘한다. 리셉터클(3)의 복수의 제2 금속 부품 중 하나로서 보조 금속 부품(8)(특수 금속 부품)에 의해서 발휘되는 대항력의 크기는, 보조 금속 부품(8) 이외에 제2 금속 부품으로서 리셉터클 콘택트(7)(보통의 금속 부품)의 대항력의 크기와 다르다. 즉,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의 크기는 콘택트 잠금력의 크기와 다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5)와 리셉터클(3) 사이에 필요한 대항력으로서의 커넥터 잠금력을 보조 금속 부품(8)에 의해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는, 서로 접속될 수 있고, 하나의 캐리어 K에 의해서 동시에 이송(transport)될 수 있다. 이는 플러그(5)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이 발휘되는 보조 금속 부품(8)의 일부는,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스프링편(31)의 스프링편 몸체(34)이다. 마찬가지로, 콘택트 잠금력이 발휘되는 리셉터클 콘택트(7)의 부분은, 리셉터클 콘택트(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이다.
(2) 또한, 플러그(5)의 복수의 플러그 콘택트(41)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이는 플러그(5)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게 한다.
(3) 또한,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스프링편(31)의 스프링편 몸체(34)는, 리셉터클 콘택트(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의 두께와 다른 두께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의 크기와 콘택트 잠금력의 크기의 차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게다가,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스프링편(31)의 스프링편 몸체(34)의 폭은, 리셉터클 콘택트(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의 폭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단순한 구성에 따르면,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의 크기와 콘택트 잠금력의 크기의 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5) 더욱이, 보조 금속 부품(8)의 잠금 스프링편(31)의 스프링편 몸체(34)의 재료는, 리셉터클 콘택트(7)의 외부 콘택트 포인트부(17)의 재료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이러한 단순한 구성에 따르면,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의 크기와 콘택트 잠금력의 크기 사이의 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6) 또한, 리셉터클(3)은 리셉터클측 기판(2)(기판) 상에 탑재된다. 보조 금속 부품(8)은,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35),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35)로부터 연장하도록 형성된 간섭부(36),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35)에 형성되어 플러그(5)를 걸어 고정하여, 커낵터 잠금력으로서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대항력)을 발휘하는 로크 융기(32) 및, 간섭부(36)로부터 보았을 때 리셉터클측 기판(2)의 반대측에 위치되어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되는 변위 규제부(33)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로크 융기(32)의 과도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의 보조 금속 부품(8)을,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금속 부품(8)은 보조 금속 부품 몸체(60), 가이드(61) 및, 한 쌍의 잠금 유닛(62)을 포함한다.
보조 금속 부품 몸체(60)는 피치 직교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61)는, 플러그(5)가 리셉터클(3)과 교합될 때, 피치 방향으로 리셉터클(3)과 플러그(5)를 정렬하는 부분이다. 가이드(61)는 직선 기울어짐부(61a)와 직선 수직부(61b)를 갖는다. 피치 직교 방향으로의 보조 금속 부품 몸체(60)의 중앙에서, 직선 기울어짐부(61a)는, 보조 금속 부품 몸체(60)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진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직선 기울어짐부(61a)는 평탄 안내면(flat guiding surface; 61c)을 갖는다. 직선 수직부(61b)는, 직선 기울어짐부(61a)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피치 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잠금 유닛(62)은, 보조 금속 부품 몸체(60)의 양 단부로부터,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잠금 유닛(62)은 대칭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잠금 유닛(62) 중 하나만 설명하고, 다른 잠금 유닛(6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유닛(62)은, 변위 금지부(63), 변형 용이부(easy-to-deform portion; 64) 및, 변위 허용부(65)를 갖는다.
변위 금지부(63)는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된 부분이고, 이에 의해서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서의 변위가 금지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금지부(63)는, 변위 금지부 몸체(66), 고정부(67) 및, 변위 규제부(68)를 갖는다. 변위 금지부 몸체(66)는, 보조 금속 부품 몸체(60)의 단부로부터,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67)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리셉터클 하우징(6)을 고정하는 부분이다. 고정부(67)는, 변위 금지부 몸체(66)의 중앙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피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67)는, 리셉터클 하우징(6)에 가압 고정되고, 또한 납땜에 의해서,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된다. 변위 규제부(68)는, 변위 허용부(65)가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 및 기판 이간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한다. 변위 규제부(68)는, 변위 금지부 몸체(66)의 단부로부터,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변위 금지부 몸체(66)의 두께 방향, 고정부(67)의 두께 방향 및, 변위 규제부(68)의 두께 방향은 모두, 기판 직교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따라서,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규제부(68)의 변위 및,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규제부(68)의 탄소성 굽힘 변형이, 강하게 금지된다.
변형 용이부(64)는, 변위 허용부(6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이에 의해서 변위 허용부(65)가 피치 직교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용이부(64)는, 변위 금지부(63)의 변위 금지부 몸체(66)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진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 연장하여 들보(beam)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이한 변형이 가능해진다.
변위 허용부(65)는, 변형 용이부(64)를 사이에 개재하여, 변위 금지부(63)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허용부(65)는, 로크 융기(69)(접촉부), 보유지지부(holding portion; 70) 및, 간섭부(71)를 갖는다. 로크 융기(69)는 플러그(5)의 플러그 콘택트(41)와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이다. 로크 융기(69)가 플러그(5)의 플러그 콘택트(41)와 접촉되는 경우, 보조 금속 부품(8)은, 커넥터 잠금력의 일부로서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을 발휘한다. 보유지지부(70)는 로크 융기(69)를 유지한다. 보유지지부(70)는, 변형 용이부(64)의 단부로부터,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로크 융기(69)는, 보유지지부(70)의 일부를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보유지지부(70)는, 변위 규제부(68)로부터 보았을 때, 변위 규제부(68)로부터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위치되고, 변위 규제부(68)와 피치 직교 방향으로 대면한다. 이는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65)의 소정량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65)의 소정량을 초과한 과도 변위를 금지시킬 수 있게 한다. 간섭부(71)는, 변위 금지부(63)의 변위 규제부(68)와 기판 이간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이다. 간섭부(71)는, 보유지지부(70)의 단부로부터,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간섭부(71)는, 변위 규제부(68)로부터 보았을 때, 변위 규제부(68)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위치되고, 변위 규제부(68)와 기판 직교 방향으로 대면한다. 이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65)의 약간(minute)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65)의 과도 변위를 금지시킬 수 있게 한다. 보유지지부(70)의 두께 방향은, 기판 직교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간섭부(71)의 두께 방향은 기판 직교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간섭부(71)의 두께 방향이 기판 직교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기 때문에, 간섭부(71)가 변위 규제부(68)의 하면(68a)과 확고하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의 보조 금속 부품(8)을 재차 설명했다. 전술한 제1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7) 리셉터클(3)(제2 커넥터부)은 리셉터클측 기판(2)(기판) 상에 탑재된다. 보조 금속 부품(8)(특수 금속 부품)은,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된 변위 금지부(63)를 가지며, 이에 의해서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서 변위하거나, 변위 금지부(63)로부터 연장하는 들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이한 변형이 가능한 변형 용이부(64) 상에서 변위하거나, 변형 용이부(64)를 개재하여 변위 금지부(63)에 의해서 지지되는 변위 허용부(65) 상에서 변위하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변위 허용부(65)는, 플러그(5)의 플러그 콘택트(41)(제1 금속 부품)와 접촉될 수 있는 로크 융기(69)(접촉부), 로크 융기(69)를 유지하는 보유지지부(70) 및, 변위 금지부(63)와 기판 이간 방향(리셉터클(3)로부터 플러그(5)가 빠지는 방향인 빠짐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는 간섭부(71)를 갖는다. 변위 허용부(65)의 로크 융기(69)가 플러그(5)의 플러그 콘택트(41)와 접촉될 때, 보조 금속 부품(8)은, 커넥터 잠금력(대항력)의 일부로서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을 발휘한다. 간섭부(71)가 변위 금지부(63)와 기판 이간 방향으로 접촉될 때,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65)의 변위가 규제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65)의 변위가, 플러그(5)가 리셉터클(3)로부터 빠질 때, 규제되기 때문에,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65)의 변위에 의해서 야기되는 변형 용이부(64)의 탄성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변형 용이부(64)는 반복되는 빠짐에 의해서 손상을 받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보조 금속 잠금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11) 간섭부(71)의 두께 방향은 기판 이간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간섭부(71)의 두께 방향이 기판 이간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할 때보다, 간섭부(71)가 변위 규제부(68)에 더 확고하게 접촉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금속 부품(8)을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금속 부품(8)은, 보조 금속 부품 몸체(72), 가이드(73) 및, 한 쌍의 잠금 유닛(74)을 갖는다.
보조 금속 부품 몸체(72)는 피치 직교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73)는, 플러그(5)가 리셉터클(3)과 교합될 때 리셉터클(3)과 플러그(5)를 피치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부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73)는 직선 기울어짐부(73a) 및 직선 수직부(73b)를 갖는다. 피치 직교 방향으로의 보조 금속 부품 몸체(72)의 중앙에, 직선 기울어짐부(73a)가, 보조 금속 부품 몸체(72)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진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직선 기울어짐부(73a)는 평탄 안내면(73c)을 갖는다. 직선 수직부(73b)는, 직선 기울어짐부(73a)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피치 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잠금 유닛(74)은, 보조 금속 부품 몸체(72)의 양 단부로부터,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잠금 유닛(74)은 대칭 형상을 갖기 때문에, 잠금 유닛(74) 중 하나만 설명하고, 다른 잠금 유닛(7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유닛(74)은, 변위 금지부(75), 변형 용이부(76) 및, 변위 허용부(77)를 갖는다.
변위 금지부(75)는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되어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 서 변위되는 것을 금지하는 부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금지부(75)는, 변위 금지부 몸체(78), 고정부(79) 및, 변위 규제부(80)를 갖는다. 변위 금지부 몸체(78)는, 보조 금속 부품 몸체(72)의 단부로부터,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79)는,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리셉터클 하우징(6)을 고정하는 부분이다. 고정부(79)는, 변위 금지부 몸체(78)의 중앙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피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79)는, 리셉터클 하우징(6)에 가압 고정되고, 또한 납땜에 의해서 리셉터클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고정된다. 변위 규제부(80)는 변위 허용부(77)가 기판 이간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한다. 변위 규제부(80)는, 변위 금지부 몸체(78)의 단부로부터, 피치 직교 중앙 방향 및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중앙 방향으로 기울어져 연장한다. 변위 금지부 몸체(78)의 두께 방향, 고정부(79)의 두께 방향 및, 변위 규제부(80)의 두께 방향은 모두, 기판 직교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따라서,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규제부(80)의 변위 및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규제부(80)의 탄소성 굽힘 변형이 강하게 금지된다.
변형 용이부(76)는, 변위 허용부(77)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변위 허용부(77)가 피치 직교 방향 및 기판 직교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게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용이부(76)는, 변위 금지부(75)의 변위 금지부 몸체(78)의 단부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을 향하여 약간 기울어진 피치 직교 중앙 방향을 향하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 연장하는 들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이한 변형이 가능하다.
변위 허용부(77)는, 변형 용이부(76)를 사이에 개재하여 변위 금지부(75)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허용부(77)는, 잠금 폴(locking pawl; 81), 보유지지부(82) 및, 간섭부(83)를 갖는다. 잠금폴(81)은, 플러그(5)의 플러그 콘택트(41)와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이다. 잠금폴(81)이 플러그(5)의 플러그 콘택트(41)와 접촉되는 경우, 보조 금속 부품(8)은, 커넥터 잠금력의 일부로서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을 발휘한다. 보유지지부(82)는 잠금폴(81)을 유지한다. 보유지지부(82)는, 변형 용이부(76)의 단부로부터,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잠금폴(81)은, 피치 직교 중앙 방향으로 90도로 피치 중앙 방향으로 보유지지부(82)의 선단을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간섭부(83)는 변위 금지부(75)의 변위 규제부(80)와 기판 이간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이다. 간섭부(83)는, 보유지지부(82)로부터, 피치 직교 반중앙 방향 및 피치 중앙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져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간섭부(83)는, 변위 규제부(80)로부터 보았을 때 변위 규제부(80)로부터 기판 근접 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위치되고, 변위 규제부(80)와 기판 직교 방향으로 대면한다. 이는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77)의 약간(minute)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77)의 과도 변위를 금지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2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83)의 선단(83a)은, 변위 규제부(80)의 선단(8a)과 기판 직교 방향으로 대면한다. 더욱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83)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과 변위 규제부(80)의 길이 방향은 상이하다. 즉, 도 2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83)의 두께 방향과 변위 규제부(80)의 두께 방향은 상이하다. 요약하면, 도 25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83)와 변위 규제부(80)는 서로 교차한다. 이는 간섭부(83)가 변위 규제부(80)의 하면(80b)과 확고하게 접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잠금폴(81)의 두께 방향, 보유지지부(82)의 두께 방향 및, 간섭부(83)의 두께 방향은 모두, 기판 직교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따라서, 플러그(5)가 리셉터클(3)로부터 빠지거나, 간섭부(83)가 변위 규제부(80)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 외력이 기판 이간 방향으로 잠금폴(81)에 가해질 때,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잠금폴(81), 보유지지부(82) 및 간섭부(83)의 변위 및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잠금폴(81), 보유지지부(82) 및 간섭부(83)의 탄소성 굽힘 변형이 강하게 금지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했다. 제2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7) 리셉터클(3)은 리셉터클측 기판(2)에 탑재된다. 보조 금속 부품(8)은, 리셉터클측 기판(2)에 고정되어 리셉터클측 기판(2) 상에서 변위되는 것이 금지되는 변위 금지부(75), 변위 금지부(75)로부터 연장하는 들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이한 변형이 가능한 변형 용이부(76) 및, 변형 용이부(76)를 사이에 개재하여 변위 금지부(75)에 의해서 지지되는 변위 허용부(77)를 갖는다. 변위 허용부(77)는, 플러그(5)의 플러그 콘택트(41)와 접촉될 수 있는 잠금폴(81)(접촉부), 잠금폴(81)을 유지하는 보유지지부(82) 및, 변위 금지부(75)와 기판 이간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는 간섭부(83)를 갖는다. 변위 허용부(77)의 잠금폴(81)이 플러그(5)의 플러그 콘택트(41)와 접촉되는 경우, 보조 금속 부품(8)은 커넥터 잠금력의 일부로서 보조 금속 부품 잠금력(대항력)을 발휘한다. 간섭부(83)가 변위 금지부(75)와 기판 이간 방향으로 접촉되는 경우,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77)의 변위는 규제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77)의 변위는, 플러그(5)가 리셉터클(3)로부터 빠질 때 규제되고, 이에 의해서,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77)의 변위에 의해서 야기되는 변형 용이부(76)의 탄성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변형 용이부(76)는, 반복되는 빠짐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고 안정된 보조 금속 잠금력이 발휘된다.
(8) 간섭부(83)의 두께 방향은 기판 이간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간섭부(83)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서 플러그(5)가 리셉터클(3)로부터 빠질 때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77)의 변위가 확실하게 규제될 수 있다.
(9) 변위 금지부(75)는, 간섭부(83)와 기판 이간 방향으로 접촉하는 변위 규제부(80)를 갖는다. 변위 규제부(80)의 두께 방향은 기판 이간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규제부(80)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서, 플러그(5)가 리셉터클(3)로부터 빠질 때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77)의 변위가 확실하게 규제될 수 있다.
(10) 간섭부(83)의 두께 방향과 변위 규제부(80)의 두께 방향은 기판 직교 방향(기판 이간 방향)의 관점에서 상이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간섭부(83)의 두께 방향과 변위 규제부(80)의 두께 방향이 기판 직교 방향(기판 이간 방향)의 관점에서 동일한 경우보다, 간섭부(83)가 변위 규제부(80)와 더 확고하게 접촉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및 제2 실시예를 설명했다. 제1 및 제2 실시예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수정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간섭부(71)가 변위 규제부(68)와 기판 이간 방향으로 접촉되어,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65)의 변위가 규제된다. 대안으로, 간섭부(71)가 리셉터클 하우징(6)과 기판 이간 방향으로 접촉되어,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65)의 변위가 규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간섭부(83)가 변위 규제부(80)와 기판 이간 방향으로 접촉되어,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77)의 변위가 규제된다. 대안으로, 변위 허용부(77)가 리셉터클 하우징(6)과 기판 이간 방향으로 접촉되어, 기판 이간 방향으로의 변위 허용부(77)의 변위가 규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많은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변경은 발명의 본질 및 범주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모든 이러한 수정은 하기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을 의도로 한다.

Claims (12)

  1. 일렬로 배열되며 동일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1 금속 부품(metal part)과,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을 인서트 성형(insert molding)에 의해서 보유지지(holding)하는 제1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구부러져 있는 굽힘부(bending portion)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의 상기 굽힘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보면 위치가 정렬되어 있는, 제1 커넥터부와,
    복수의 제2 금속 부품과, 상기 복수의 제2 금속 부품을 보유지지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제2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를 끼워맞춤시키면,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과,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2 금속 부품이 각각 접촉하고,
    각 제1 금속 부품과 각 제2 금속 부품이 접촉함으로써, 각 제2 금속 부품은, 상기 제2 커넥터부로부터의 상기 제1 커넥터부의 빠짐(pull-out)에 대항하는 대항력을 발휘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2 금속 부품 중 어느 하나의 제2 금속 부품으로서의 특수 금속 부품(special metal part)은, 상기 특수 금속 부품 이외의 제2 금속 부품으로서의 통상 금속 부품(normal metal part)과 비교하여, 상이한 크기의 대항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금속 부품 중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부분은, 상기 통상 금속 부품 중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부분과 비교하여, 상이한 판두께를 갖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금속 부품 중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부분은, 상기 통상 금속 부품 중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부분과 비교하여 상이한 판폭을 갖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금속 부품 중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부분은, 상기 통상 금속 부품 중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부분과 비교하여, 상이한 재질인, 커넥터.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부는 기판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것이고,
    상기 특수 금속 부품은,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와,
    상기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간섭부와,
    상기 로크 융기 보유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넥터부에 대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는 로크 융기와,
    상기 간섭부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기판과 반대측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기판에 대하여 고정되는 변위 규제부를 갖는, 커넥터.
  7.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1 금속 부품과,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보유지지하는 제1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구부러져 있는 굽힘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의 상기 굽힘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이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서 보면 위치가 정렬되어 있는, 제1 커넥터부와,
    복수의 제2 금속 부품과, 상기 복수의 제2 금속 부품을 보유지지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제2 커넥터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를 끼워맞춤시키면,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과,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2 금속 부품이 각각 접촉하고,
    각 제1 금속 부품과 각 제2 금속 부품이 접촉함으로써, 각 제2 금속 부품은, 상기 제2 커넥터부로부터의 상기 제1 커넥터부의 빠짐에 대항하는 대항력을 발휘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2 금속 부품 중 어느 하나의 제2 금속 부품으로서의 특수 금속 부품은, 상기 특수 금속 부품 이외의 제2 금속 부품으로서의 통상 금속 부품과 비교하여, 상이한 크기의 대항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커넥터부는 기판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것이고,
    상기 특수 금속 부품은, 상기 기판에 대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대한 변위가 금지되는 변위 금지부와, 변형 용이해지도록 상기 변위 금지부로부터 들보(beam)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변형 용이부와, 상기 변형 용이부를 개재하여 상기 변위 금지부에 지지되는 변위 허용부를 갖고,
    상기 변위 허용부는, 상기 제1 금속 부품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 및 상기 제2 커넥터부로부터 상기 제1 커넥터부가 빠지는 방향인 빠짐 방향으로 상기 변위 금지부와 접촉될 수 있는 간섭부를 갖고,
    상기 변위 허용부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 금속 부품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특수 금속 부품은 상기 대항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간섭부가 상기 변위 금지부와 상기 빠짐 방향으로 접촉될 때, 상기 변위 허용부의 상기 빠짐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빠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금지부는, 상기 빠짐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가 접촉하는 변위 규제부를 갖고,
    상기 변위 규제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빠짐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인,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의 판두께 방향과 상기 변위 규제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빠짐 방향에서 보아 상이한, 커넥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빠짐 방향에 평행인, 커넥터.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상기 복수의 제1 금속 부품은, 동일 형상인, 커넥터.
KR1020140015021A 2013-03-14 2014-02-10 커넥터 KR101622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1976 2013-03-14
JPJP-P-2013-051976 2013-03-14
JP2013200128A JP6148952B2 (ja) 2013-03-14 2013-09-26 コネクタ
JPJP-P-2013-200128 2013-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327A KR20140113327A (ko) 2014-09-24
KR101622979B1 true KR101622979B1 (ko) 2016-05-20

Family

ID=5150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021A KR101622979B1 (ko) 2013-03-14 2014-02-10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47969B2 (ko)
JP (1) JP6148952B2 (ko)
KR (1) KR101622979B1 (ko)
CN (1) CN104051882B (ko)
TW (1) TWI5493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5040B2 (ja) * 2011-08-31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6144122B2 (ja) * 2013-06-14 2017-06-07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5887326B2 (ja)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4795654B (zh) * 2014-01-17 2017-09-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CN105098413B (zh) * 2014-04-17 2017-09-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614334B2 (en) * 2014-10-31 2017-04-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JP6513509B2 (ja) *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6635583B2 (ja) * 2015-10-30 2020-01-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2395645B1 (ko) * 2015-11-03 2022-05-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용 컨택트 및 기판 커넥터
JP6404248B2 (ja) * 2016-02-15 2018-10-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9075507B (zh) * 2016-04-28 2020-08-2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安装金属配件、连接器和连接系统
WO2018025875A1 (ja) 2016-08-04 2018-02-08 京セラ株式会社 コンタクト
JP6761736B2 (ja) * 2016-11-11 2020-09-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8522114U (zh) * 2017-04-24 2019-02-19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电连接器之微机电(mems)端子结构
JP6942074B2 (ja) * 2018-03-05 2021-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937400B2 (ja) * 2018-08-21 2021-09-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660432B2 (ja) * 2018-08-21 2020-03-1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714056B2 (ja) * 2018-09-12 2020-06-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816747B2 (ja) * 2018-10-01 2021-01-20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1645828S (ko) * 2019-03-29 2019-11-18
JP1645829S (ko) * 2019-03-29 2019-11-18
JP7282464B2 (ja) * 2019-05-31 2023-05-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7196028B2 (ja) * 2019-07-04 2022-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1659118S (ko) * 2019-09-27 2020-05-11
USD941246S1 (en) * 2019-12-18 2022-01-18 Ls Mtron Ltd. Connector
USD941245S1 (en) * 2019-12-18 2022-01-18 Ls Mtron Ltd. Connector
CN111613920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2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509430B (zh) * 2020-04-13 2021-06-0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1B (zh) * 2020-04-13 2021-11-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WO2021208518A1 (zh) * 2020-04-13 2021-10-2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214849145U (zh) * 2020-05-13 2021-11-23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WO2021253801A1 (zh) * 2020-06-16 2021-12-23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7536659B2 (ja) * 2021-01-05 2024-08-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9684A (ja) 2010-09-08 2012-04-19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2649B2 (ja) 2001-11-27 2005-08-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2004055306A (ja) *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3969303B2 (ja) * 2002-12-24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ンセントの刃受構造
JP4287825B2 (ja) * 2005-01-28 2009-07-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5041412B2 (ja) * 2007-07-20 2012-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JP5203029B2 (ja) * 2008-04-25 2013-06-0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23694B2 (ja) 2008-05-12 2014-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784673B2 (ja) * 2009-03-24 2011-10-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05822B2 (ja) * 2010-03-31 2012-08-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45766B2 (ja) * 2011-03-08 2016-07-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ならびに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およびヘッダ
US8292635B2 (en) * 2011-03-12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assembly with robust latching means
JP5815277B2 (ja) * 2011-05-13 2015-11-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9684A (ja) 2010-09-08 2012-04-19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51882B (zh) 2016-06-15
JP6148952B2 (ja) 2017-06-14
KR20140113327A (ko) 2014-09-24
TW201436376A (zh) 2014-09-16
TWI549375B (zh) 2016-09-11
US20140273587A1 (en) 2014-09-18
JP2014199799A (ja) 2014-10-23
US9147969B2 (en) 2015-09-29
CN104051882A (zh)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979B1 (ko) 커넥터
US10333239B2 (en) Connector
US8672713B2 (en) Connecto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necting target and to substrate
US8540534B2 (en) Connector
US20140170886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KR20180086235A (ko) 플로팅 커넥터 장치
US20040157477A1 (en) High density connector
KR101636616B1 (ko) 배선 기판 연결 장치
KR20130122910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1780968B1 (ko) 커넥터 단자
US9379489B2 (en) Contact, connector, and connecting device
US9093795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JP5809463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875803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JP5920565B2 (ja) 配線基板連結装置
JP2014093181A (ja) 電気コネクタ
US20060185159A1 (en) Memory card insertion tool
US78196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ositioning protrusion with various thickness
JP2012164525A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20230261418A1 (en) Connector assembly
US10312633B2 (en) Dual connector system having a securing strap
EP3217486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JP5261608B1 (ja) コネクタ
JP583348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202218839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