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96518B1 -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518B1
KR101596518B1 KR1020100023668A KR20100023668A KR101596518B1 KR 101596518 B1 KR101596518 B1 KR 101596518B1 KR 1020100023668 A KR1020100023668 A KR 1020100023668A KR 20100023668 A KR20100023668 A KR 20100023668A KR 101596518 B1 KR101596518 B1 KR 101596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power supply
pixel
line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394A (ko
Inventor
테츠오 미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올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올레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올레드
Publication of KR2010010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5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09G2300/0866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by means of changes in the pixel supply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대해 연속하는 복수의 행 단위로 그룹화 해서 상기 그룹 단위로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대해서 같은 전원 전위를 공급하는 구동 주사선과, 상기 그룹에 속하는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발광소자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기간 중에, 상기 전원 전위를 해당 전원 전위에 비해 높은 전위인 고레벨 전원 전위로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소광기간과 관련된 상기 그룹에 속하는 각 화소 회로에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의 각각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축적하기 위한 축적 용량과, 상기 구동 주사선에 의해 공급된 전원 전위를 받음에 의해 상기 축적 용량에 축적된 전압에 기초한 전류를 상기 발광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소광기간에 있어 상기 발광소자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전위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하고, 그 후,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축적 용량에 기입하는 기록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INSTRUMEN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발광소자로서 유기 일렉트로루미넷센스(EL : Electroluminescence) 소자를 이용한 평면 자발광형의 표시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상기 유기 EL소자는 유기 박막에 전계를 가하면 발광한다. 상기 유기 EL 소자는 저전압 구동형이어서 시인성이 양호하다. 이것은 표시장치의 경량 박막화나 저소비 전력화 등에 기여하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유기 EL소자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 회로를 구성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의해 유기 박막에 인가하는 전계의 제어를 실시한다. 그러나, 구동 트랜지스터 사이의 이동도 및 임계치는 격차가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격차를 보정하기 위해 임계치 보정 처리 및 이동도 보정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보정 처리의 기능을 갖춘 표시장치가 고안 되고 있다. 예를 들면, 화소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스위칭시킴에 의해, 화소 회로를 구성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사이의 임계치 전압 및 이동도의 격차를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JP-A-2008-33193호 공보(도 4 A) 참조).
상술의 종래 기술에서는 화소 회로를 구성하는 구동 트랜지스터들 사이의 임계치 전압 및 이동도의 격차를 보정할 수가 있다. 상기 경우, 전원 신호를 변환하기 위해, 전원 신호를 바꾸기 위한 드라이버가 각각의 행(row) 마다 필요해, 표시장치의 코스트가 비싸진다. 이에 비해, 복수의 행 마다 전원 신호를 변환함에 의해 드라이버수가 삭감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전원 신호의 변환에 의존함이 없이 발광소자가 소광되어, 발광소자의 기생 용량등의 영향에 의해 발광소자를 완전하게 소광시키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표시 화상에 그라데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표시장치에서, 그라데이션을 경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는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는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대해 연속하는 복수의 행 단위로 그룹화 해 상기 그룹 단위로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대해서 같은 전원 전위를 공급하는 구동 주사선과, 상기 그룹에 속하는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발광소자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기간 중에, 상기 전원 전위를 해당 전원 전위에 비해 높은 전위인 고레벨 전원 전위로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소광기간과 관련되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각 화소 회로에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의 각각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축적하기 위한 축적 용량과, 상기 구동 주사선에 의해 공급된 전원 전위를 받음에 의해 상기 축적 용량에 축적된 전압에 기초한 전류를 상기 발광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소광기간에 있어 상기 발광소자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전위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하고, 그 후,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축적 용량에 기입하는 기록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이다. 그에 따라, 1개의 구동 주사선에 접속된 복수의 행의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발광소자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기간에 있어 전원 전위를 고레벨 전원 전위로 전환함에 의해, 발광소자의 입력 단자의 전위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킨다.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소광기간 중에 상기 소광기간과 관련되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각 화소 회로 중 라인 순차 주사에 의해 마지막 소광대상이 되는 행의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소광전위가 주어진 후에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1개의 구동 주사선에 접속된 복수의 행의 화소 회로 중 최후의 행의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소광전위가 주어진 후에,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해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소광기간 중에 상기 소광기간과 관련되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각 화소 회로 중 라인 순차 주사에 의해 마지막 소광대상이 되는 행의 소정수 이전의 행의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소광전위가 주어진 후에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1개의 구동 주사선에 접속된 복수의 행의 화소 회로 중 소광대상이 되는 최후의 행의 소정수 이전의 행의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소광전위가 주어진 후에,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해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소광기간 중에 상기 전원 전위를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로 전환함에 의해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를 상기 구동 주사선에 공급할 수 있다. 그에따라, 구동 주사선을 개입시켜, 전원 전위를 고레벨 전원 전위로 전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부터 광이 발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그라데이션이 경감되는 뛰어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적용 대상이 되는 표시장치의 기본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A 및 도 2B는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구동 스캐너(DSCN)를 구성하는 드라이버에 의한 전원 신호의 생성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수평 실렉터(HSEL)에 의한 데이터선(DTL)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의 생성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표시장치의 기본 동작의 하나의 예에 관한 타이밍 차트.
도 5는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화소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화소의 기본 동작의 하나의 예에 관한 타이밍 차트.
도 7A 내지 도 7C는 TP8, TP1, TP2의 기간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의 동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8A 내지 도 8C는 TP3 내지 TP5의 기간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의 동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9A 내지 도 9C는 TP6 내지 TP8의 기간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의 동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10은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소광기간 TP1에 대해 제2 노드(ND2)의 전위가 완만하게 저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화소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11A 내지 도 11C는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소광기간 TP1에 대해 제2 노드(ND2)의 전위가 완만하게 저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에 관한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 스캐너(DSCN)에 있어서의 드라이버에 의한 구동 주사선(DSL)에 공급되는 전원 신호의 생성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소의 동작의 하나의 예에 관한 타이밍 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에 대해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화소에 있어서의 최상단 및 최하단의 화소의 제2 노드(ND2)의 전위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노드(WSL1) 및 제2 노드(WSLj)(663)에 있어서의 발광소자의 발광량에 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소의 동작의 하나의 예에 관한 타이밍 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의 공급 타이밍의 하나의 예에 관한 타이밍 차트.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휘도와 주사선과의 관계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텔레비젼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비디오 카메라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예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대로 실시한다.
1. 제1의 실시예(표시 제어: 전원 신호에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한 예)
2. 제2의 실시예(표시 제어: 발광 기간에 고레벨 전원 전위로 전환하는 예)
3. 제3의 실시예(표시 제어: 전자기기에의 적용예)
<1. 제1의 실시예>
[표시장치의 기본 구성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적용 대상이 되는 표시장치의 기본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표시장치(100)는 기록 스캐너(WSCN: Write SCaNner)(200)와, 수평 실렉터(HSEL: Horizontal SELector)(300)와, 구동 스캐너(DSCN: Drive SCaNner)(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100)는 화소 어레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 어레이부(500)는 n×m의 이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100)에는 기록 주사선(WSL)(210)과, 데이터선(DTL)(310)과, 구동 주사선(DSL)(410)이 배선되어 있다.
기록 주사선(WSL)(210) 및 구동 주사선(DSL)(410)은 화소(600)의 각각의 행에 대해서 각각 배선되어 기록 스캐너(WSCN)(200) 및 구동 스캐너(DSCN)(400)에 각각 접속된다. 데이터선(DTL)(310)은, 화소(600)의 각 열에 대해서 각각 배선되어 수평 실렉터(HSEL)(300)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기록 주사선(WSL)(210), 데이터선(DTL)(310) 및 구동 주사선(DSL)(410)의 각각은 화소(600)의 각각에 각각 접속된다.
기록 스캐너(WSCN)(200)는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600)를 라인 순차 주사 하는 것이다. 상기 기록 스캐너(WSCN)(200)는 데이터선(DTL)(310)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행 단위에 의해 화소(600)에 기입한다. 즉, 기록 스캐너(WSCN)(200)는 데이터선(DTL)(310)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화소(600)에 기입하는 타이밍을 행 단위 마다 차례차례 제어한다.
상기 기록 스캐너(WSCN)(200)는 그 데이터 신호가 기입해지는 타이밍을 차례차례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기록 스캐너(WSCN)(200)는 데이터 신호를 기입하기 위한 온 전위, 데이터 신호의 기입을 정지시키기 위한 오프 전위를 제어 신호로서 생성한다. 상기 기록 스캐너(WSCN)(200)는 그 오프 전위로서 화소(600)를 발광시키기 위한 제1 오프 전위 및 화소(600)의 초기화에 의한 데이터선(DTL)(310)으로부터의 전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오프 전위를 생성한다. 즉, 상기 기록 스캐너(WSCN)(200)는 온 전위, 제1 오프 전위 및 제2 오프 전위 중 어느 쪽이든 1개의 전위를 제어 신호로서 생성한다. 또한, 기록 스캐너(WSCN)(200)는 그 생성된 제어 신호를 기록 주사선(WSL)(210)에 공급한다.
상기 기록 스캐너(WSCN)(200)는 화소(600)의 각 행에 각각 대응하는 드라이버(201 내지 205)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201 내지 205)는 각각 대응하는 각 행의 화소(600)에 대해서, 데이터선(DTL)(310)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기입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201 내지 205)는 그 생성된 제어 신호를 기록 주사선(WSL)(211 내지 215)에 각각 공급한다.
수평 실렉터(HSEL)(300)는 영상 신호의 전위, 화소(600)를 구성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임계치 전압의 보정(임계치 보정)을 행하기 위한 기준 신호의 전위, 화소(600)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신호의 전위(소광전위) 중의 어느 하나라도 선택하는 것이다. 즉, 상기 수평 실렉터(HSEL)(300)는 영상 신호, 기준 신호 및 소광신호중의 적어도 1개의 신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실렉터(HSEL)(300)는 그 선택된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서 데이터선(DTL)(310)에 공급한다. 또한, 수평 실렉터(HSEL)(300)는 기록 스캐너(WSCN)(200)에 의한 라인 순차 주사에 근거해 데이터 신호를 바꾼다.
상기 구동 스캐너(DSCN)(400)는 연속하는 복수의 행(j행: j는 2이상의 정수) 단위로 각 화소 회로를 그룹화 해, 상기 그룹 마다 같은 전원 신호를 차례차례 공급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 스캐너(DSCN)(400)는 복수의 구동 주사선(DSL)(410)마다 전원 신호를 차례차례 공급한다. 상기 구동 스캐너(DSCN)(400)는 예를 들면, 일정수의 행 단위에 의해, 화소(60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전위, 또는 화소(600)를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화 전위의 어느쪽이든 한편에 전원 신호를 바꾼다. 또한, 상기 구동 스캐너(DSCN)(400)는 그 전원 신호를 구동 주사선(DSL)(410)에 공급한다.
상기 구동 스캐너(DSCN)(400)는 복수행(j행) 마다(그룹마다)에 각각 대응하는 드라이버(401 내지 403)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버(401 내지 403)는 각각 대응하는 일정수의 행의 화소(600)에 대한 전원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드라이버(401 내지 403)는 그 생성된 전원 신호를 구동 주사선(DSL)(411 내지 413)에 각각 공급한다. 즉, 상기 구동 주사선(DSL)(411 내지 413)은, 복수의 화소(600)에 대해서 복수행(j행) 마다 같은 전원 전위를 공급한다. 구동 주사선(DSL)(411 내지 413)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구동 주사선의 하나의 예이다.
화소(600)는 기록 주사선(WSL)(21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해, 데이터선(DTL)(310)으로부터의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에 응해 소정의 기간, 발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동 스캐너(DSCN)(400)는 복수행의 화소(600)마다 같은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구동 스캐너(DSCN)(400)의 드라이버의 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장치(100)의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가 있다.
[구동 스캐너에 있어서의 드라이버의 구성례]
도 2A 및 도 2B는 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구동 스캐너(DSCN)(400)를 구성하는 드라이버(401 내지 403)에 의한 전원 신호의 생성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표시장치(100)의 드라이버(401 내지 403)에 있어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선(431) 및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위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2A에는 p형 트랜지스터(421) 및 n형 트랜지스터(422)가 서로 직렬로 접속 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인버터가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 구동 주사선(DSL)(410)과 p형 트랜지스터(421)와 n형 트랜지스터(422)와 제어 신호선(431)과 고정 전위선(491, 492)이 나타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대해서는 p형 트랜지스터(421)는 그 게이트 단자에 제어 신호선(431)이 접속되어 그 소스 단자에 고정 전위선(491)이 접속되어 그 드레인 단자에 구동 주사선(DSL)(410) 및 n형 트랜지스터(422)의 드레인 단자가 접속된다. 또한, n형 트랜지스터(422)는 그 게이트 단자에 제어 신호선(431)이 접속되어 그 소스 단자에 고정 전위선(492)가 접속된다.
제어 신호선(431)에는 구동 주사선(DSL)(410)에 있어서의 전원 신호를 바꾸기 위한 제어 신호가 공급된다. 고정 전위선(491, 492)에는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위가 공급된다. 고정 전위선(491, 492)에는 화소(600)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원 전위(Vcc)와 화소(600)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초기화 전위(Vss)가 각각 공급된다.
도 2B에는 횡축을 공통의 시간 축으로 하는 제어 신호선(431) 및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는 1 필드 기간(1F)에 있어서의 드라이버(401 내지 40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전의 필드 기간의 종료 직전에 있어, 제어 신호선(431)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의 전위가 L(Low)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1 필드 기간(1F)에 있어, 제어 신호선(431)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의 전위가 H(High) 레벨로 천이 한다. 이 때, p형 트랜지스터(421)가 온(도통) 상태가 되는 것과 동시에, n형 트랜지스터(422)가 오프(비도통)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주사선(DSL)(410)에는 전원 신호로서 고정 전위선(491)의 전원 전위(Vcc)가 공급된다.
다음에, 제어 신호선(431)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의 전위가 L레벨로부터 H레벨에 천이 하기 위해, p형 트랜지스터(421)가 오프(비도통) 상태가 되는 것과 동시에, n형 트랜지스터(422)가 온(도통)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주사선(DSL)(410)에는 전원 신호로서 고정 전위선(492)의 초기화 전위(Vss)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p형 트랜지스터(421) 및 n형 트랜지스터(42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어 신호선(431)의 제어 신호에 근거해, 전원 전위(Vcc) 및 초기화 전위(Vss)의 어느쪽이든 한편의 전위를 구동 주사선(DSL)(410)에 공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수평 실렉터(HSEL)(300)의 구성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수평 실렉터의 구성례]
도 3A 및 도 3B는 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수평 실렉터(HSEL)(300)에 의한 데이터선(DTL)(311 내지 313)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의 생성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표시장치(100)을 구성하는 수평 실렉터(HSEL)(300)에 있어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의 스위칭 제어선(321 내지 323) 및 데이터선(DTL)(310)의 전위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3A에는 영상 신호선(301 내지 303)과 기준 신호선(391)과 소광 신호선(392)과 스위칭 제어선(321 내지 323)과 스위칭 회로(351 내지 353)와 스위칭 회로(361 내지 363)와 스위칭 회로(371 내지 373)가 나타나고 있다.
영상 신호선(301 내지 303)에는 각 열의 화소(600)의 각각에 대한 영상 신호(Vsig)가 시분할에 의해 공급된다. 기준 신호선(391)에는 화소(600)를 구성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임계 전압의 보정(임계치 보정)을 행하기 위한 기준 신호(Vofs)가 공급되고 있다. 소광 신호선(392)에는 화소(600)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신호(Vers)가 공급되고 있다. 스위칭 제어선(321)에는 스위칭 회로(351 내지 353)의 변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Gsig)가 공급된다. 스위칭 제어선(322)에는 스위칭 회로(361 내지 363)의 변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Gofs)가 공급된다. 스위칭 제어선(323)에는 스위칭 회로(371 내지 373)의 변환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Gers)가 공급된다.
스위칭 회로(351 내지 353)는 스위칭 제어선(321)으로부터의 스위칭 제어 신호(Gsig)에 근거해, 영상 신호선(301 내지 303)으로 데이터선(DTL)(311 내지 313)과의 사이의 접속의 유무를 각각 바꾸는 것이다. 스위칭 회로(361 내지 363)는 스위칭 제어선(322)로부터의 스위칭 제어 신호(Gofs)에 근거해, 기준 신호선(391)으로 데이터선(DTL)(311 내지 313)과의 사이의 접속의 유무를 각각 바꾸는 것이다. 스위칭 회로(371 내지 373)는, 스위칭 제어선(323)으로부터의 스위칭 제어 신호(Gers)에 근거해, 소광 신호선(392)로 데이터선(DTL)(311 내지 313)과의 사이의 접속의 유무를 각각 바꾸는 것이다.
도 3B에는 횡축을 공통의 시간 축으로 하는 스위칭 제어선(321 내지 323) 및 데이터선(DTL)(310)의 전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본래, 영상 신호의 전위(Vsig)는 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응해 변화하지만, 상기 예에서는 일정한 전위인 것을 상정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1 수평 주사 기간(1H)에 있어서의 수평 실렉터(HSEL)(3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이전의 수평 주사 기간의 종료 직전에 있어, 스위칭 제어선(321)에 있어서의 스위칭 제어 신호(Gsig)의 전위가 L레벨로, 스위칭 제어선(322)에 있어서의 스위칭 제어 신호(Gofs)의 전위가 H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제어선(323)에 있어서의 스위칭 제어 신호(Gers)의 전위가 L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1 수평 주사 기간에 있어, 스위칭 제어선(321)에 있어서의 스위칭 제어 신호(Gsig)의 전위가 L레벨로부터 H레벨에 천이함과 함께, 스위칭 제어선(322)에 있어서의 스위칭 제어 신호(Gofs)의 전위가 H레벨로부터 L레벨에 완전히 교체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칭 회로(351 내지 353)에 의해 영상 신호선(301 내지 303)으로 데이터선(DTL)(311 내지 313)이 각각 접속되기 때문에, 데이터선(DTL)(310)에 데이터 신호로서 영상 신호(Vsig)가 공급된다.
다음에, 스위칭 제어선(321)에 있어서의 스위칭 제어 신호(Gsig)의 전위가 H레벨로부터 L레벨에 완전히 교체되는 것과 동시에, 스위칭 제어선(323)에 있어서의 스위칭 제어 신호(Gers)의 전위가 L레벨로부터 H레벨에 완전히 교체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칭 회로(371 내지 373)에 의해 소광 신호선(392)로 데이터선(DTL)(311 내지 313)이 각각 접속되기 때문에, 데이터선(DTL)(310)에 데이터 신호로서 소광신호(Vers)가 공급된다.
다음에, 스위칭 제어선(323)에 있어서의 스위칭 제어 신호(Gers)의 전위가 H레벨로부터 L레벨에 천이함과 함께, 스위칭 제어선(322)에 있어서의 스위칭 제어 신호(Gofs)의 전위가 L레벨로부터 H레벨에 완전히 교체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칭 회로(361 내지 363)에 의해 기준 신호선(391)으로 데이터선(DTL)(311 내지 313)이 각각 접속되기 (위해)때문에, 데이터선(DTL)(310)에 데이터 신호로서 기준 신호(Vofs)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선(DTL)(310)의 각각에 대해서, 3개의 스위칭 회로 및 3개의 스위칭 제어선(321 내지 323)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3치화 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가 있다.
[표시장치의 기본 동작의 예]
도 4는 표시장치(100)의 기본 동작의 하나의 예에 관한 타이밍 차트이다. 여기에서는 횡축을 공통의 시간 축으로 하고, 구동 주사선(DSL)(411, 412)과 데이터선(DTL)(310)과 기록 주사선(WSL)(211 내지 214)과의 전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데이터선(DTL)(310)의 전위 변화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실렉터(HSEL)(30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신호의 전위 변화이다. 구동 주사선(DSL)(411, 412)의 전위 변화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스캐너(DSCN)(400)에 있어서의 드라이버(401, 402)에 의해 생성된 전원 신호의 전위 변화이다.
기록 주사선(WSL)(211 내지 214)은 기록 스캐너(WSCN)(200)에 있어서의 드라이버(201 내지 204)에 의해 각각 생성된 제어 신호의 전위 변화이다. 상기 기록 주사선(WSL)(211 내지 214)에는 제어 신호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온 전위(Von), 제1 오프 전위(Voff1) 및 제2 오프 전위(Voff2)의 어느쪽이든 1개의 전위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기록 주사선(WSL)(211 내지 214)에는 각각 3개의 펄스(221 내지 223)가 공급된다.
1번째의 펄스(221)는, 화소(600)의 발광을 소광시키기 위해서 소광신호의 전위(Vers)를 화소(600)에게 주기 위한 펄스이다. 2번째의 펄스(222)는 임계치 보정을 위한 기준 신호의 전위(Vofs)를 화소(600)에게 주기 위한 펄스이다. 3번째의 펄스(223)는, 화소(600)를 구성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는 것과 동시에 영상 신호(Vsig)를 기입하기 위한 펄스이다. 또한, 기록 주사선(WSL2)(212)에는 기록 주사선(WSL1)(211)을 기준으로서 1H(수평 주사 기간) 후에 각각의 펄스가 공급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기록 주사선(WSL2)(212)의 1행 후의 주사선에는 기록 주사선(WSL2)(212)를 기준으로서 1H 후에 각각의 펄스가 공급된다.
이 경우, 기록 주사선(WSL)(211 내지 213)에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에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가 동시에 인가되어 기록 주사선(WSL)(214)에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에 구동 주사선(DSLj+1)(412)의 전원 신호가 인가된다.
[화소의 구성례]
도 5는 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화소(600)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화소(600)는 기록 트랜지스터(610)와 구동 트랜지스터(620)와 축적 용량(630)과 발광소자(640)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이다. 화소(600)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의 복수의 화소 회로의 하나의 예이다. 여기에서는 기록 트랜지스터(610) 및 구동 트랜지스터(620)가 각각 n채널형 트랜지스터인 경우를 상정한다.
기록 트랜지스터(610)의 게이트 단자 및 드레인 단자에는 각각 기록 주사선(WSL)(210) 및 데이터선(DTL)(310)이 접속된다. 또한, 기록 트랜지스터(610)의 소스 단자에는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 및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게이트 단자(g)가 접속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접속 부위를 제1 노드(ND1)(650)로 한다.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드레인 단자(d)에는 구동 주사선(DSL)(410)이 접속되어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소스 단자(s)에는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 및 발광소자(640)의 입력 단자가 접속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접속 부위를 제2 노드(ND2)(660)로 한다.
기록 트랜지스터(610)는,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선(DTL)(310)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축적 용량(630)에 기입하는 것이다. 상기 기록 트랜지스터(610)는, 발광소자(640)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압을 축적 용량(630)에 가세하기 위해서,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에 데이터 신호의 전위를 준다.
상기 기록 트랜지스터(610)는, 축적 용량(630)에 대해서, 임계치 보정에 의해 기준 신호의 전위(Vofs)에 근거해 임계치 전압을 축적시킨 후에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전압을 기입한다. 또한, 상기 기록 트랜지스터(610)는,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에 소광신호의 전위(Vers)를 준다. 즉, 상기 기록 트랜지스터(610)는, 발광소자(640)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게이트 단자에 소광신호의 전위(Vers)를 준다. 기록 트랜지스터(610)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록 트랜지스터의 하나의 예이다.
구동 트랜지스터(620)은, 구동 주사선(DSL)(410)으로부터의 전원 전위(Vcc)를 받음에 의해, 축적 용량(630)에 기입해진 영상 신호의 전위(Vsig)에 근거하는 전압에 응한 구동 전류를 발광소자(640)에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620)는, 기록 트랜지스터(610)에 의해, 그 게이트 단자에 주어진 소광신호의 전위(Vers)에 의해, 발광소자(640)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구동 트랜지스터(620)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하나의 예이다.
축적 용량(630)은, 기록 트랜지스터(610)에 의해 주어진 데이터 신호에 상당하는 전압을 축적하는 것이다. 상기 축적 용량(630)은, 예를 들면, 기록 트랜지스터(610)에 의해 기입해진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축적한다. 축적 용량(630)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의 축적 용량의 하나의 예이다.
발광소자(640)는, 구동 트랜지스터(620)로부터 공급된 구동 전류의 크기에 대응해 발광하는 것이다. 상기 발광소자(640)는, 예를 들면, 유기 EL소자에 의해 실현될 수가 있다. 발광소자(640)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의 발광소자의 하나의 예이다.
상기 예에서는 기록 트랜지스터(610) 및 구동 트랜지스터(620)가 각각 n채널형 트랜지스터인 경우를 상정했지만, 상기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트랜지스터는 인핸스먼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디프레션형이나 듀얼 게이트형의 것이라도 좋다.
[화소의 기본 동작의 예]
도 6은, 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화소(600)의 기본 동작의 하나의 예에 관한 타이밍 차트이다. 상기 타이밍 차트에는 횡축을 공통의 시간 축으로 하고, 기록 주사선(WSL)(210), 데이터선(DTL)(310), 구동 주사선(DSL)(410), 제1 노드(ND1)(650) 및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가 점선에 의해 나타나고 그 이외의 전위 변화가 실선에 의해 도시도어 있다. 각 기간을 나타내는 횡축의 길이는 개략적인 것이며, 각 기간의 시간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타이밍 차트에서는 화소(600)의 동작의 천이를 TP1로부터 TP8의 기간에 편의적으로 단락짓고 있다. 발광 기간 TP8에서는 발광소자(640)는 발광 상태에 있다. 발광 기간 TP8의 종료 직전에 있어,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는 제1 오프 전위(Voff1)로, 데이터선(DTL)(310)은 소광신호의 전위(Vers)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는 전원 전위(Vcc)로 설정되어 있다.
이 후, 라인 순차 주사의 새로운 필드에 들어가, 소광기간 TP1에서는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제1 오프 전위(Voff1)로부터 온 전위(Von)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노드(ND1)(650)의 전위가 소광신호의 전위(Vers)까지 저하하는 것에 따라, 축적 용량(630)에 의한 커플링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제2 노드(ND2)(660)의 전위도 저하한다.
다음에, 소광기간 TP2에서는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는 제2 오프 전위(Voff2)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발광소자(640)의 임계 전위(Vthel+Vcat)까지 저하하기 때문에, 발광소자(640)는 소광 한다. 이 때, 제1 노드(ND1)(650)의 전위도 축적 용량(630)으로부터의 커플링의 영향을 받아 저하한다. Vthel는 발광소자(640)의 임계치 전압이며, Vcat는 발광소자(640)를 구성하는 음극 전극에게 줄 수 있는 전위이다.
또한,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 TP3에 대해 제1 노드(ND1)(650)의 전위가 초기화 전위(Vss) 부근까지 저하한다. 상기 경우,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를 제1 오프 전위(Voff1)로 설정하면, 기록 트랜지스터(610)으로부터 제1 노드(ND1)(650)의 방향으로 전류가 누설된다. 이 때문에,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 TP3에 있어서의 제1 노드(ND1)(650)의 전위를 고려해,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의 제2 오프 전위(Voff2)를 제1 오프 전위(Voff1)에 비해 낮은 전위로 설정한다.
계속되어,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 TP3에서는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는 전원 전위(Vcc)로부터 초기화 전위(Vss)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620)에는 드레인 단자 측에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제1 노드(ND1)(650)의 전위가 "Vss+Vthd"까지 저하한다. 이 때, 제2 노드(ND2)(660)의 전위도 저하한다. 즉, 화소(600)이 초기화된다. Vthd는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와의 사이의 임계치 전압이며, 여기에서는 드레인 단자측의 임계치 전압과, 한다.
다음에, 임계치 보정 대기 기간 TP4에서는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는 초기화 전위(Vss)로부터 전원 전위(Vcc)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620)에는 소스 단자측인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에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제1 노드(ND1)(650) 및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상승한다.
다음에, 임계치 보정 기간 TP5에서는 임계치 보정 동작을 한다. 데이터선(DTL)(310)의 데이터 신호가 기준 신호의 전위(Vofs)에 대해,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는 제2 오프 전위(Voff2)로부터 온 전위(Von)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노드(ND1)(650)으로 제2 노드(ND2)(660)과의 사이에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임계치 전압(Vth)에 상당하는 전압이 더해진다. 그 후, TP6에서는 일단,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제1 오프 전위(Voff1)로 떨어져 데이터선(DTL)(310)의 데이터 신호가 기준 신호의 전위(Vofs)로부터 영상 신호의 전위(Vsig)로 전환할 수 있다.
다음에, 기록 기간/이동도 보정 기간 TP7에서는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온 전위(Von)로 상승하고 제1 노드(ND1)(650)의 전위가 영상 신호의 전위(Vsig)까지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620)으로부터 발광소자(640)의 기생 용량(641)에 전류가 흘러 기생 용량(641)의 충전이 개시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2 노드(ND2)(660)의 전위는 이동도 보정에 의한 상승량(ΔV)만큼 상승한다. 즉,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온 전위(Von)가 되는 것에 의해,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에는 영상 신호의 전위(Vsig)가 기입해진다. 그것과 함께,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에는 TP5에 대해 더해진 전위(Vofs-Vth)로부터 이동도 보정에 의한 상승량(ΔV)만큼 상승한 전위((Vofs-Vth)+ΔV)가 더해진다. 이것에 의해, 축적 용량(630)에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으로서 "Vsig-((Vofs-Vth)+ΔV)"의 전압이 축적된다.
이 후, 발광 기간 TP8에서는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제1 오프 전위(Voff1)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축적 용량(630)에 축적된 전압(Vsig-Vofs+Vth-ΔV)에 응한 휘도에 의해 발광소자(640)가 발광한다. 상기 경우, 축적 용량(630)에 축적된 전압(Vsig-Vofs+Vth-ΔV)은, 임계치 전압(Vth) 및 이동도 보정에 의한 상승량(ΔV)에 의해 보정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발광소자(640)의 휘도는 구동 트랜지스터(620)에 있어서의 임계치 전압(Vth) 및 이동도의 격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발광 기간 TP8의 도중까지의 기간으로는 제1 노드(ND1)(650) 및 제2 노드(ND2)(660)의 전위는 상승한다. 이 때, 제1 노드(ND1)(650)으로 제2 노드(ND2)(660)과의 사이의 전위차(Vsig-Vofs+Vth-ΔV)는 유지된다.
여기에서는 발광소자(640)에 있어서의 1회의 발광에 대해서 임계치 보정 동작을 1회실시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임계치 보정 동작의 회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회 이상도 좋다.
[화소의 동작 상태의 상세]
다음에, 상술의 화소(600)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도 6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의 TP1 내지 TP8의 기간에 대응하는 화소(6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편의상, 발광소자(640)의 기생 용량(641)을 도시한다. 또한, 기록 트랜지스터(610)를 스위치로서 도시해, 기록 주사선(WSL)(210)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7(A) 내지(C)는 TP8, TP1, TP2의 기간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600)의 동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발광 기간 TP8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는 전원 전위(Vcc)로 설정되어 있어 구동 트랜지스터(620)은 발광소자(640)에 구동 전류(Ids)를 공급하고 있다.
다음에, 소광기간 TP1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선(DTL)(310)의 데이터 신호가 소광신호의 전위(Vers) 때에,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제1 오프 전위(Voff1)로부터 온 전위(Von)에 천이 한다. 이것에 의해, 기록 트랜지스터(610)이 온(도통) 상태가 되는 것으로부터, 제1 노드(ND1)(650)의 전위는 소광신호의 전위(Vers)까지 저하한다. 이 때, 제1 노드(ND1)(650)의 전위 저하에 의한 축적 용량(630)을 개입시킨 커플링의 영향에 의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도 저하한다. 계속되어, 소광기간 TP2에서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제2 오프 전위(Voff2)에 천이 하는 것에 의해, 기록 트랜지스터(610)는 오프(비도통)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는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발광소자(640)의 임계 전위(Vthel+Vcat)까지 저하하는 것으로, 발광소자(640)는 소광 한다. 제1 노드(ND1)(650)의 전위도 제2 노드(ND2)(660)의 전위 저하에 따르듯이 저하한다.
도 8(A) 내지(C)는 TP3 내지 TP5의 기간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600)의 동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TP2에 이어,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 TP3에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가 전원 전위(Vcc)로부터 초기화 전위(Vss)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620)에는 구동 주사선(DSL)(410)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제2 노드(ND2)(660)의 전위는 저하한다. 그것과 함께, 제1 노드(ND1)(650)가 부유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2 노드(ND2)(660)의 전위 저하에 따르듯이 제1 노드(ND1)(650)의 전위도 저하한다. 이 때, 제1 노드(ND1)(650)의 전위와 구동 주사선(DSL)(410)의 초기화 전위(Vss)와의 사이의 전위차가 구동 트랜지스터(620)에 있어서의 드레인 단자측의 임계치 전압(Vthd)에 상당하는 전압이 될 때까지 제1 노드(ND1)(650)의 전위는 저하한다. 즉, 제1 노드(ND1)(650)의 전위는 "Vss+Vthd"까지 저하한다. 이와 같이 해, 화소(600)는 초기화된다.
다음에, 임계치 보정 대기 기간 TP4에서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는 초기화 전위(Vss)로부터 초기화 전위(Vcc)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620)에는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의 방향으로 미량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제1 노드(ND1)(650) 및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약간 상승한다.
그리고, 임계치 보정 기간 TP5에서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선(DTL)(310)의 데이터 신호가 기준 신호의 전위(Vofs) 때에,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제2 오프 전위(Voff2)로부터 온 전위(Von)에 천이 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노드(ND1)(650)의 전위는 기준 신호의 전위(Vofs)로 설정되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620)으로부터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부터,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상승한다.
그리고, 제1 노드(ND1)(650)으로 제2 노드(ND2)(660)과의 사이의 전위차가 구동 트랜지스터(620)에 있어서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와의 사이의 임계치 전압(Vth)에 상당하는 전압이 되고 전류가 멈춘다(컷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준 신호의 전위(Vofs)를 기준으로서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임계치 전압(Vth)에 상당하는 전압이 축적 용량(630)에 축적되어 임계치 보정 동작이 완료한다. 여기에서는 음극 전극의 전위(Vcat)를 구동 트랜지스터(620)으로부터의 전류가 발광소자(640)에 흐르지 않게 설정하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TP6 내지 TP8의 기간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600)의 동작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TP5에 이어, TP6에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주사선(WSL)(210)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가 온 전위(Von)로부터 제2 오프 전위(Voff2)에 천이 하는 것에 의해, 기록 트랜지스터(610)이 오프(비도통) 상태가 된다. 그 후, 데이터선(DTL)(310)의 데이터 신호가 기준 신호의 전위(Vofs)로부터 영상 신호의 전위(Vsig)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경우, 데이터선(DTL)(310)에 대해서는 데이터선(DTL)(310)에 접속된 복수의 화소(600)내의 기록 트랜지스터(610)에 의해, 영상 신호의 전위(Vsig)의 첫 시작이 완만하게 된다. 이 때문에, 데이터선(DTL)(310)의 순간적인 특성을 고려해, 데이터 신호가 영상 신호의 전위(Vsig)에 이를 때까지, 기록 트랜지스터(610)을 오프 상태로 하고 있다.
TP6에 이어서 기록 기간/이동도 보정 기간 TP7에서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온 전위(Von)에 천이 하는 것으로써, 기록 트랜지스터(610)이 온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노드(ND1)(650)의 전위가 영상 신호의 전위(Vsig)로 설정된다. 그것과 함께, 구동 트랜지스터(620)으로부터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ΔV"만큼 상승한다. 그리고, 제1 노드(ND1)(650)으로 제2 노드(ND2)(660)과의 사이의 전위차가 "Vsig-Vofs+Vth-ΔV"로 된다. 이와 같이, 영상 신호의 전위(Vsig)의 기록, 및, 이동도 보정에 의한 상승량(ΔV)의 조정을 한다.
이 동작에 대해, 영상 신호의 전위(Vsig)가 큰 만큼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커지기 때문에, 이동도 보정에 의한 상승량(ΔV)도 커진다. 따라서, 휘도 레벨(영상 신호의 전위)에 응한 이동도 보정을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화소마다의 영상 신호의 전위(Vsig)를 일정하게 했을 경우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가 큰 화소만큼 이동도 보정에 의한 상승량(ΔV)도 커진다. 예를 들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가 큰 화소에서는 이동도가 작은 화소에 비해 축적 용량의 한편의 전극에 흐르는 전류량이 커지기 때문에, 그 만큼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이 낮아진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가 큰 화소에서는 발광 기간에 있어 발광소자에게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이동도의 작은 화소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에 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해, 화소마다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있어서의 이동도의 격차가 제거된다.
다음에, 발광 기간 TP8에서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제1 오프 전위(Voff1)에 천이 하는 것으로써, 기록 트랜지스터(610)가 오프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620)으로부터의 구동 전류(Ids)에 응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상승함과 함께, 제1 노드(ND1)(650)의 전위도 연동해 상승한다. 이 때, 부트스트랩(bootstrap) 동작에 의해, 제1 노드(ND1)(650)으로 제2 노드(ND2)(660)과의 사이의 전위차(Vsig-Vofs+Vth-ΔV)는 유지된다.
이와 같이, 임계치 보정 동작에 의해 임계치 전압(Vth)에 상당하는 전압을 축적 용량(630)에 축적시킨 후에, 축적 용량(630)의 한편의 전극에 이동도 보정 동작에 의한 상승량(ΔV)이 더해진다. 이것에 의해, 화소(600)마다의 구동 트랜지스터(620)에 있어서의 임계치 전압 및 이동도의 격차가 캔슬되기 (위해)때문에, 표시 화상에 나타나는 얼룩짐등을 막을 수가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100)에 대해서는 발광소자(640)의 기생 용량(641) 및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기생 용량등에 의해 소광기간 TP1에 대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충분히 저하하지 않는 것이 상정된다. 소광기간 TP1에 대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충분히 저하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화소(600)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소광기간에 있어서의 제2 노드의 전위 저하가 완만한 경우의 예]
도 10은, 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소광기간 TP1에 대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완만하게 저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화소(600)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여기에서는 굵은 점선에 의해 가리키는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 이외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다. 또한, 가는 점선에 나타내는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는 도 6에 나타낸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이다.
이 예에서는 굵은 점선에 의해 나타나는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에 주목해 설명한다. 소광기간 TP1에서는 제1 노드(ND1)(650)의 전위 저하에 수반하는 축적 용량(630)으로부터의 커플링에 의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저하한다. 상기 경우에는 발광소자(640)의 기생 용량(641) 등의 영향에 의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는 급격하게는 저하하지 않고, 완만하게 저하한다. 그리고, 소광기간 TP2에서는 주로 축적 용량(630)의 방전에 의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는 서서히 저하하여 발광소자(640)의 임계 전위(Vthel+Vcat)에 이르기 전에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 TP3에 천이 한다.
이 때,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발광소자(640)의 임계 전위(Vthel+Vcat)에 비해 높은 것으로부터, 발광소자(640)에는 전류가 계속 흘러 버린다. 이 때문에, 소광기간 TP2에 대해 서서히 휘도는 저하하는 것의 발광소자(640)는 발광을 계속한다
그 후,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 TP3에서는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가 전원 전위(Vcc)로부터 초기화 전위(Vss)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노드(ND2)(660)의 전위는 발광소자(640)의 임계 전위(Vthel+Vcat)에 비해 낮아진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640)는 완전하게 소광 한다.
이와 같이, 소광기간 TP1에 대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완만하게 저하하는 경우에는 발광소자(640)는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 TP3의 직전까지 발광을 계속한다. 이러한 표시장치(100)에 대해서는 복수행 단위(그룹 단위)에 의해 전원 신호가 동시에 바뀌는 것으로부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행의 화소(600)마다 소광기간 TP2가 다르기 때문에, 각 행의 화소(600)마다 발광소자(640)가 발광하는 기간은 달라진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소광기간 TP1에 대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완만하게 저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A)는, 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표시 화상에 대한 열방향의 휘도 특성과 도 11(A)에 대해 가리킨 표시 화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C)는, 도 11(B)에 대해 가리킨 휘도 특성의 그래프를 90도 회전시켜 확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표시장치(100)에 입력되는 입력 화상을 전체가 회색의 화상과 상정하고 있다.
도 11(A)에는 구동 주사선 공용 영역(451 내지 453)이 나타나고 있다. 구동 주사선 공용 영역(451 내지 453)은, 동일한 전원 신호가 공급되는 화소(600)에 의해 표시되는 각각의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구동 주사선 공용 영역(451 내지 453)은, 위의 행으로부터 차례로 서서히 어두워지고 있다. 상기 구동 주사선 공용 영역(451 내지 453)에 있어서의 가장 어두운 색이 입력 화상의 색이다.
도 11(B)에는 휘도 특성(460)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세로축을 표시 화상의 수평 라인(주사선)을 나타내는 축으로 하고, 횡축을 휘도치를 나타내는 축으로 하는 휘도 특성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휘도 특성(460)은, 도 11(A)에 나타난 표시 화상의 수평 라인에 대응하는 휘도치를 나타내는 휘도 특성이다.
도 11(C)에는 도 11(B)에 대해 가리킨 휘도 특성(460)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시계회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확대한 그래프가 나타나고 있다. 즉, 상기 도면에서는 횡축을 주사선을 나타내는 축으로 하고, 세로축을 휘도치를 나타내는 축으로 하는 휘도 특성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 11(B) 및 EH 11(C)는, 도 11(A)에 대해 가리킨 표시 화면의 휘도 특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휘도 특성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도 18(A)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소광기간 TP1에 대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가 충분히 저하하지 않는 경우에는 1행 마다 다른 소광기간 TP2에 있어서의 화소(600)의 발광에 의해, 표시 화상에 그라데이션이 생겨 버린다. 즉, 각 행의 화소(600)의 소광기간 TP2에 있어서의 발광소자(640)의 발광량이 다르기 때문에, 표시 화상에 그라데이션이 생겨 버린다. 이 때문에, 표시 화상에 생기는 그라데이션을 경감하기 위해서 개량한 것이,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이다.
[구동 스캐너의 드라이버의 구성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 스캐너(DSCN)(400)에 있어서의 드라이버(401 내지 403)에 의한 구동 주사선(DSL)(410)에 공급되는 전원 신호의 생성 방법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동 스캐너(DSCN)(400)의 드라이버(401)에 있어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이다. 여기에서는 p형 트랜지스터(423), 제어 신호선(432), 제어 신호선(433) 및 고정 전위선(493) 이외의 다른 구성은,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구성에 대해, p형 트랜지스터(423)는, 그 게이트 단자에 제어 신호선(433)이 접속되어 그 소스 단자에 고정 전위선(493)이 접속된다. 그리고, p형 트랜지스터(423)의 드레인 단자에는 p형 트랜지스터(421)의 드레인 단자와 n형 트랜지스터(422)의 드레인 단자와 구동 주사선(DSL)(410)이 접속된다. 또한, n형 트랜지스터(422)의 게이트 단자에는 도 2A에 나타낸 제어 신호선(431)에 대신해 제어 신호선(432)가 접속된다.
제어 신호선(431 내지 433)에는 구동 주사선(DSL)(410)에 있어서의 전원 신호를 바꾸기 위한 제어 신호가 각각 공급된다. 고정 전위선(493)에는 고정 전위선(491)에 비해 높은 전위인 고레벨 전원 전위(Vcc_H)가 공급된다.
도 12(B)에는 횡축을 공통의 시간 축으로 하는 제어 신호선(431 내지 433) 및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는 1 필드 기간(1F)에 있어서의 드라이버(4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이전의 필드 기간의 종료 직전에 있어, 제어 신호선(431 내지 433)에 있어서의 각각의 제어 신호의 전위가 H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1 필드 기간에 있어, 제어 신호선(431) 및 432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의 전위가 L레벨에 각각 천이 한다. 이 때문에, p형 트랜지스터(421)가 온(도통) 상태가 되어, n형 트랜지스터(422)가 오프(비도통) 상태가 된다. 이 때, p형 트랜지스터(423)은 오프(비도통)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주사선(DSL)(410)에는 전원 신호로서 고정 전위선(491)의 전원 전위(Vcc)가 공급된다.
다음에, 제어 신호선(431)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의 전위가 L레벨로부터 H레벨에 천이함과 함께, 제어 신호선(433)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의 전위가 H레벨로부터 L레벨에 바뀐다. 이 때, p형 트랜지스터(421)가 오프(비도통) 상태가 되어, 그것과 함께 p형 트랜지스터(423)이 온(도통)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주사선(DSL)(410)에는 전원 신호로서 고정 전위선(493)의 고레벨 전원 전위(Vcc_H)가 공급된다.
이 후, 제어 신호선(433)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의 전위가 L레벨로부터 H레벨에 천이함과 함께, 제어 신호선(432)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의 전위가 L레벨로부터 H레벨로 바뀐다. 이 때, p형 트랜지스터(423)이 오프(비도통) 상태가 되어, 그것과 함께 n형 트랜지스터(422)가 온(도통)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주사선(DSL)(410)에는 전원 신호로서 고정 전위선(492)의 초기화 전위(Vss)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동 스캐너(DSCN)(400)에 있어서의 드라이버(401 내지 403)에 p형 트랜지스터(423)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전원 전위(Vcc)로부터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에 전원 신호를 바꿀 수가 있다. 구동 스캐너(DSCN)(400)에 있어서의 드라이버(401 내지 403)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의 전원 공급 회로의 하나의 예이다.
[화소의 동작의 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소(600)의 동작의 하나의 예에 관한 타이밍 차트이다. 여기에서는 구동 주사선(DSL)(410), 제1 노드(ND1)(650) 및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 이외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다. 또한, 가는 점선에 의해 표시되는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는 도 10에 대해 굵은 점선에 의해 표시된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이다.
여기에서는 굵은 점선에 의해 표시되는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에 주목해 설명한다. 소광기간 TP1에서는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제1 오프 전위(Voff1)로부터 온 전위(Von)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록 트랜지스터(610)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게이트 단자에 소광신호의 전위(Vers)가 주어지기 때문에, 제1 노드(ND1)(650)의 전위는 소광신호의 전위(Vers)까지 저하한다. 이 때, 제2 노드(ND2)(660)의 전위도 약간 저하한다.
그 후, 소광기간 TP2에서는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제2 오프 전위(Vff2)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가 전원 전위(Vcc)로부터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위가 급격하게 오르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드레인 단자와 게이트 단자와의 사이의 기생 용량에 의한 커플링의 영향을 받아 제1 노드(ND1)(650)의 전위는 상승한다. 이것에 수반해, 주로 축적 용량(630)으로부터의 커플링에 의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도 상승한다. 그 후, 제2 노드(ND2)(660)의 전위는 서서히 저하된다.
이와 같이, 소광기간 TP2에 대해,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를 전원 전위(Vcc)로부터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함에 의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640)에 공급되는 전류가 커진다. 그에 따라, 발광소자(640)의 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소광기간에 있어서의 발광소자(640)의 발광량을 크게 할 수가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전원 신호의 변환 정밀도를 고려해 제어 신호를 제2 오프 전위(Voff2)로 전환하고 나서 일정기간 경과 후에,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고 있지만, 제2 오프 전위(Voff2)의 변환과 동시에 해도 괜찮다. 다음에, 소광기간 TP2에 있어서의 제2 노드(ND2)(660)의 전위 상승에 의한 표시 화상의 그라데이션에의 영향에 대해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소광기간에서의 최상단 및 최하단의 행의 제2 노드의 전위 변화의 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100)에 대해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상기 타이밍 차트는 표시장치(100)에 대해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화소(600)(동일 그룹에 속하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최상단 및 최하단의 화소(600)의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의 하나의 예이다. 여기에서는 최하단의 화소(600)에 있어서의 소광기간 TP2의 개시 후에,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했을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횡축을 공통의 시간 축으로 하고, 실선에 의해 구동 주사선(DSL)(411), 데이터선(DTL)(310), 기록 주사선(WSL1)(211) 및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의 전위 변화와 굵은 점선에 의해 제2 노드 661 및 663의 전위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2 노드(WSL1, WSLj)(661, 663)의 전위 변화가 가는 점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선(DSL)(310)의 전위 변화는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다.
기록 주사선(WSL1)(211)은, 구동 주사선(DSL)(411)에 접속된 화소(600) 가운데, 최상단인 1행째의 화소(600)에 접속된 주사선이다. 상기 기록 주사선(WSL1)(211)에 접속된 화소(600)에 있어서의 소광기간이 WSL1 소광기간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즉, 상기 WSL1 소광기간은, 같은 전원 신호가 공급되는 화소(600) 중 기록 주사선(WSL1)(211)에 접속된 화소(600)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기간이다. 또한,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은, 구동 주사선(DSL)(411)에 접속된 화소(600) 가운데, 최하단인 j행째의 화소(600)에 접속된 주사선이다. 상기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에 접속된 화소(600)에 있어서의 소광기간이 WSLj 소광기간으로서 나타나고 있다. WSL1 소광기간의 개시부터 WSLj 소광기간의 종료까지(WSL)의 기간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의 발광소자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기간의 하나의 예이다.
이 예에서는 기록 주사선(WSL1)(211) 및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에 각각 접속된 화소(600)에 있어서의 제2 노드(WSL1)(661) 및 제2 노드(WSLj)(663)의 전위 변화에 주목해 설명한다.
WSL1 소광기간에 있어, 우선, 기록 주사선(WSL1)(211)의 제어 신호가 일시적으로 온 전위(Von)에 천이 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노드(WSL1)(661)의 전위는 축적 용량(630) 등의 방전에 의해 서서히 저하해 간다.
그 후, WSLj 소광기간 개시와 동시에,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의 제어 신호가 일시적으로 온 전위(Von)에 천이 하는 것으로써, 제2 노드(WSLj)(663)의 전위는 완만하게 저하한다. 그리고,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의 제어 신호가 제2 오프 전위(Voff2)로 전환한 후에,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가 전원 전위(Vcc)로부터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할 수 있다. 즉, 구동 스캐너(DSCN)(400)에 의해, 1개의 구동 주사선에 접속된 복수의 행의 화소 중 마지막 행의 화소에 있어서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소광전위(Vers)가 주어진 후에 고레벨 전원 전위(Vcc_H)가 공급된다.
이 때, 구동 주사선(DSL)(411)의 급격한 전위 상승에 수반하는 커플링의 영향을 받음에 의해, 제2 노드(WSL1)(661) 및 제2 노드(WSLj)(663)의 전위는 동일한 정도로 상승한다. 즉, 전원 신호가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함에 의해, 구동 주사선(DSL)(411)에 접속되고 있는 모든 화소(600)에 있어서의 제2 노드(ND2)(660)의 전위는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640)의 임계 전위(Vthel+Vcat)에 대한 전위차가 커져, 발광소자(640)에 공급되는 전류가 커지기 때문에, 발광소자(640)의 휘도는 커진다. 그리고, 제2 노드(WSL1)(661) 및 제2 노드(WSLj)(663)의 전위는 각각 완만하게 저하하여 임계치 보정 준비 기간 TP3에 대해 발광소자(640)의 임계 전위(Vthel+Vcat) 이하가 된다.
이 경우에 대해, 제2 노드(WSL1)(661) 및 제2 노드(WSLj)(663)의 전위는 가는 점선에 의해 각각 표시되는 전위에 서서히 가까워져 간다. 또한, 제2 노드(WSL1)(661)에 있어서의 굵은 점선에 나타나는 전위와 가는 점선에 의해 나타나는 전위와의 전위차는 제2 노드(WSLj)(663)에 있어서의 전위차와 비교해 서서히 작게 되어 간다. 이것에 의해, 각 행 마다 다른 소광기간에 의해 생기는 제2 노드(WSL1)(661) 및 제2 노드(WSLj)(663)에 있어서의 발광소자(640)의 발광량이 증대하게 된다. 여기서, 제2 노드(WSL1)(661) 및 제2 노드(WSLj)(663)에 있어서의 발광소자(640)의 발광량의 증대에 의한 영향에 대해 차도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노드(WSL1)(661) 및 제2 노드(WSLj)(663)에 있어서의 발광소자(640)의 발광량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A)는 제2 노드(WSL1)(661) 및 제2 노드(WSLj)(663)의 소광기간 TP2에 대해 발광소자(640)에 공급되는 전류에 관한 특성을 RC모델에 근거해 산출한 결과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예에서는 구동 주사선(DSL)(411)을 공용하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최하단(j)의 행을 48행으로 하고 있다. 또한, 48행째의 화소(600)에 있어서의 소광기간 TP2의 개시 직후에,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했을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실선에 의해 전류 특성(711, 721)이 나타나 파선에 의해 전류 특성(712, 722)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횡축을 소광기간으로 하고, 세로축을 발광소자(640)에 공급되는 전류치로 하고 있다.
실선에 의해 나타난 전류 특성(711, 721)은,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함에 의해, 제2 노드(WSL1, WSL48)(661, 663)의 전위를 상승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전류 특성이다. 파선에 의해 나타난 전류 특성(712, 722)은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2 노드(WSL1, WSL48)(661, 663)의 전류 특성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나타낸 전류 특성(711, 721)의 적분치에 관한 비율과 전류 특성(712, 722)의 적분치에 관한 비율과의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행째의 적분치 731에는 도 15(A)에 나타낸 WSL1 적분 범위에 있어서의 전류 특성(711, 712)의 적분치가 나타나고 있다. 48행째의 적분치 732에는 도 15(A)에 나타낸 WSL48 적분 범위에 있어서의 전류 특성(721, 722)의 적분치가 나타나고 있다. 상기 1행째 및 48행째의 적분치 731 및 732는 제2 노드(WSL1, WSL48)(661, 663)의 소광기간에 있어서의 발광소자(640)의 발광량에 상당한다.
차분 비율 733에는 1행째의 적분치 731에서 48행째의 적분치 732를 줄인 값을 1행째의 적분치 731에 의해 제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 나타나고 있다. 상기 차분 비율 733의 값이 작을수록, 표시 화면에 생기는 그라데이션이 완화된다.
전류 특성 740의 고레벨 전원 전위(전환 Vcc_H) 없음의 란에는 도 15(A)에 나타낸 전류 특성(712, 722)의 적분치가 나타나고 있다. 전류 특성 740의 고레벨 전원 전위(전환 Vcc_H) 유의 란에는 도 15(A)에 나타낸 전류 특성(711, 721)의 적분치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1행째의 적분치 731 및 48행째의 적분치 732를 크게 하는 것으로써, 차분 비율 733이 "2. 2%"로부터 "1. 2%"에 작아진다. 이것은, 차분 비율 733의 분자가 되는 1행째 및 48행째의 적분치 731 및 732의 차이는 대부분 변함없지만, 차분 비율 733의 분모가 되는 1행째의 적분치 731이 커지기 때문이다. 차분 비율 733이 작아지는 것으로부터,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그라데이션이 완화된다. 즉, 48행째의 화소(600)에 있어서의 소광기간 TP2에 대해 제2 노드(WSL1, WSL48)(661, 663)에 대응하는 발광소자(640)에 공급하는 각각의 전류를 크게 하는 것으로써,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그라데이션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서는 WSLj 소광기간에 있어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함에 의해, 제2 노드(WSL1, WSLj)(661, 663)의 전위를 상승시킬 수가 있다. 즉, WSLj 소광기간에 있어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함에 의해, 구동 주사선(DSL)(411)에 접속된 복수행의 화소(600)에 있어서의 제2 노드(ND2)(660)의 전위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1개의 구동 주사선에 접속된 복수행의 화소(600)에 있어서의 발광소자(640)의 발광량을 증대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그라데이션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는 타이밍으로서는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에 있어서의 소광기간 TP2의 개시 직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커플링을 받을 때의 제2 노드(WSLj)(663)의 전위가 높을수록, 제2 노드(WSL1 내지 WSLj)(661 내지 663)에 있어서의 발광소자(640)의 발광량의 증가량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행의 화소 마다 동일한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소광기간에 있어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는 것으로, 표시 화상에 나타나는 그라데이션을 경감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입력 화상의 재현성을 유지하면서, 구동 스캐너(WSCN)(400)의 드라이버수의 삭감에 의해 코스트의 저감을 꾀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최하단의 화소(600)에 있어서의 소광기간 TP2의 개시 후에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함에 의해, 그라데이션을 경감시키는 것을 상정했다. 그렇지만, 상기 전원 신호의 전위를 바꾸는 타이밍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타이밍에 있어 바꾸는 것에 의해, 한층 더 그라데이션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서는 그라데이션에 있어서의 휘도의 급격한 변화를 경감하는 예에 대해 도 16 내지 18을 이용해 설명한다.
<2. 제2의 실시예>
[화소의 동작의 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소(600)의 동작의 하나의 예에 관한 타이밍 차트이다. 상기 예에서는 발광 기간의 사이에 전원 신호가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설정되는 화소(60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횡축을 공통의 시간 축으로 하고, 구동 주사선(DSL)(410), 데이터선(DTL)(310), 기록 주사선(WSL)(210), 제1 노드(ND1)(650) 및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 구동 주사선(DSL)(410), 제1 노드(ND1)(650) 및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 이외는 도 13에 대해 도시된 것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가는 점선에 의해 표시되는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는 도 10에 대해 굵은 점선에 의해 도시된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이다. 또한, 굵은 점선에 의해 표시되는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이다.
상기 도 16에서는 화소(600)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도시하지 않음) 및 제2 노드(ND2)(660)의 전위 변화에 주목해 설명한다. 우선, 발광 기간 TP8에 대해,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원 신호의 전위가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신호의 전위의 상승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드레인 단자의 전위가 상승해, 어얼리 효과(early effect)의 영향에 의한 구동 전류(Ids)의 전류량의 증가가 일어난다. 여기서, 어얼리 효과란, 포화 영역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트랜지스터에 대해, 드레인-소스간 전압(Vds)이 변화하면 구동 전류(Ids)도 변화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에 기인하는 효과이다. 상기 전류량이 증가한 구동 전류(Ids)가 발광소자(640)에 공급되는 것으로, 발광 기간 TP8에 있어서의 휘도가 증가한다.
또한, 도 13의 소광기간 TP2와 같게, 구동 트랜지스터(620)의 게이트 단자(g)와 드레인 단자(d)와의 사이의 기생 용량을 개입시킨 용량성 커플링의 영향에 의해, 전원 신호의 전위의 상승에 수반해 제1 노드(ND1)(650)의 전위가 "Vp"만큼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노드(ND1)(650)의 전위의 상승에 추종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 역시 축적 용량(630)을 개입시킨 커플링의 영향에 의해 상승한다. 다만, 발광소자(640)의 기생 용량(641)의 영향 등에 의해, 제2 노드(ND2)(660)의 전위의 상승량은, 제1 노드(ND1)(650)의 상승량 "Vp"보다 낮은 전위차 "Vp'"가 된다. 이것에 의해, 축적 용량(630)에 축적되고 있는 전압은, 도 9(C)에 대해 설명한 부트스트랩(bootstrap) 동작에 의해, 축적된 전압 "Vgs1(Vsig-Vofs+Vth-ΔV)"보다 큰 전압 "Vgs2"가 축적된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640)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Ids)의 전류량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어얼리 효과의 영향에 의한 구동 전류(Ids)의 전류량의 증가와 축적 용량(630)에 축적되고 있는 전압의 증가와에 기인해, 소광기간 TP1가 개시될 때까지 화소(600)의 휘도의 증가 상태가 계속한다.
이 후, 기록 주사선(WSL)(210)의 제어 신호가 제1 오프 전위(Voff1)로부터 온 전위(Von)로 전환할 수 있어, 소광기간 TP1가 개시된다. 상기 소광기간 TP1 이후는 도 10에 대해 가리킨 전위 변화와 같은 것이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발광 기간 TP8에 대해,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위를 전원 전위(Vcc)로부터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함에 의해, 발광 기간 TP8에 있어서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고레벨 전원 전위의 공급 타이밍의 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의 공급 타이밍의 하나의 예에 관한 타이밍 차트이다.
여기에서는 횡축을 공통의 시간 축으로 하고, 구동 주사선(DSL)(411), 데이터선(DTL)(310), 기록 주사선(WSL1)(211), 기록 주사선(WSLj-1)(216) 및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의 전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여기에는 제2 노드(WSL1)(661), 제2 노드(WSLj-1)(666) 및 제2 노드(WSLj)(663)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위 변화가 굵은 점선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2 노드(WSL1)(661), 제2 노드(WSLj-1)(666) 및 제2 노드(WSLj)(663)의 전위 변화가 가는 점선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데이터선(DSL)(310)의 전위 변화는 도 13에 대해 가리킨 것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기록 주사선(WSL1)(211) 및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의 전위 변화는 도 14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기록 주사선(WSLj-1)(216)은, 구동 주사선이 공유하고 있는 주사선(WSL1로부터 WSLj) 중 최하단의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의 하나전의 주사선이다. 상기 주사선(j-1)(216)에 접속된 화소(600)에 있어서의 소광기간이 WSLj-1소광기간으로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상기 주사선(j-1)(216)에 접속된 화소(600)의 소광기간에 있어서의 제2 노드(ND2)(650)의 전위 변화가, 제2 노드(WSLj-1)(666)로서 나타나고 있다.
상기 도 17에서는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의 전위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는 타이밍에 주목해 설명한다. 우선, WSL1 소광기간에 있어, 기록 주사선(WSL1)(211)의 제어 신호가 일시적으로 온 전위(Von)에 천이 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으로 설명한 것처럼, 제2 노드(WSL1)(661)의 전위는 축적 용량(630) 등의 방전에 의해 서서히 저하해 간다. 그 후, WSLj-1소광기간의 개시와 동시에, 기록 주사선(WSLj-1)(216)의 제어 신호가 일시적으로 온 전위(Von)에 천이 하는 것으로써, 제2 노드(WSLj-1)(666)의 전위는 완만하게 저하한다.
그리고,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의 제어 신호가 온 전위(Von)로 전환하기 전에,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원 신호가 전원 전위(Vcc)로부터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신호가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할 수 있는 기간은, 도 17에 대해 기간 P1로 가리킨 기간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서는 기록 주사선(WSLj-1)(216)에 있어서의 온 전위(Von)의 공급 개시부터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에 있어서의 온 전위(Von)의 공급 개시까지의 기간(기간 P1)에 있어, 전원 신호의 전위가 교체된다.
이 때,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이 접속되는 화소(600) 상태는 발광 기간 TP8에 있어서의 발광 상태이다. 이 때문에,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의 공급 개시부터 WSLj 소광기간의 개시까지,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이 접속되는 화소(600)의 휘도는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의 공급전의 발광 기간의 휘도보다 커진다. 이것에 의해,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이 접속되는 화소(600)의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휘도가 증가한다. 기간 P1에 대해,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에의 천이의 타이밍이 기록 주사선(WSLj-1)(216)의 온 전위(Von)의 공급 개시에 가까운 타이밍인 만큼,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이 접속되는 화소(600)의 휘도는 크게 증가한다.
또한, 전원 신호의 전위가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려면, 기록 주사선(WSL1)(211)으로부터 기록 주사선(WSLj-1)(216)까지의 주사선이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는 이미 소광기간이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화소(600)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노드(ND2)의 전위가 증가하는 것에 의해, 소광기간에 있어서의 발광소자(640)의 휘도가 증가한다.
그 후,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의 제어 신호가 일시적으로 온 전위(Von)에 천이 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대해 설명한 것처럼, 제2 노드(WSLj)(663)의 전위는 축적 용량(630) 등의 방전에 의해 서서히 저하해 간다. 제2 노드(WSLj)(663)의 전위는 전원 신호의 전위가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는 전보다도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이 접속되는 화소(600)의 소광기간에 있어서의 발광소자(640)의 휘도도,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휘도보다 증가한다.
이와 같이, 기간 P1에 대해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위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에 천이 시키는 것으로,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주사선의 최하단의 주사선이 공급되는 화소(600)의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경우에 대해,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주사선(WSL1 내지 WSLj)의 주사선이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에서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와 같게, 소광기간에 있어서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서는 기록 기록 주사선(WSLj)(213)이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의 휘도의 증가량을 다른 주사선(WSL1 내지 WSLj-1)이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의 휘도의 증가량보다 크게 할 수가 있다.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휘도의 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휘도와 주사선과의 관계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은, 횡축을 주사선을 나타내는 축으로 하고, 세로축을 휘도치(발광 기간 TP8, 소광기간 TP1 내지 2에 있어서의 휘도의 총량)를 나타내는 축으로 하는 휘도 특성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즉, 도 18(A) 내지EH 18(C)에 나타내는 그래프는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그래프에 대응하는 그래프이다. 편의상, 화소(600)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는 모두 같은 계조의 것으로 한다.
도 18(A)에는 도 11(C)와 같게,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를 공급하지 않는 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휘도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주사선(WSL1)에 대응하는 휘도치 811은, 기록 주사선(WSL1)이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휘도치이다. 또한, 휘도치 812, 821 및 822도 각각 대응하는 기록 주사선(WSLj), 기록 주사선(WSLj+1) 및 기록 주사선(WSL2j)이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휘도치이다. 휘도치 811으로부터 휘도치 812까지의 각 휘도치를 나타내는 백색 원(점선의 직선(810)상에 배치되고 있는 각각의 백색 원)는 기록 주사선(WSL1)으로부터 기록 주사선(WSLj)까지의 각각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휘도치이다. 또한, 휘도치 821으로부터 휘도치 822까지의 각 휘도치를 나타내는 각각의 백색 원(점선의 직선(820)상에 배치되고 있는 각각의 백색 원)는 기록 주사선(WSLj+1)으로부터 기록 주사선(WSL2j)까지의 각각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휘도치이다. 또한, 기록 주사선(WSL1)으로부터 기록 주사선(WSLj)까지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과 기록 주사선(WSLj+1)으로부터 기록 주사선(WSL2j)까지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과는 다른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기록 주사선(WSL1)으로부터 기록 주사선(WSLj)까지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과 기록 주사선(WSLj+1)으로부터 기록 주사선(WSL2j)까지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와는 다른 그룹의 화소(600)인 것으로 한다. 도 18(A) 내지 도 18(C)에 나타내는 그래프상에 있어서의 기록 주사선(WSL1 내지 WSL2j) 및 각 휘도치는 설명의 편의상 간략화한 값이지만 표시장치(100)에 있어서의 실제의 값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L1는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를 공급하지 않는 표시장치(100)에 대해, 가장 높은 휘도가 되는 화소(600)의 휘도치와 가장 낮은 휘도가 되는 화소(600)의 휘도치와의 사이의 휘도의 차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8(A)에서는 가장 높은 휘도가 되는 화소(600)의 휘도치는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주사선 중 최상단의 주사선(휘도치 811 및 821)이다. 또한, 가장 낮은 휘도가 되는 화소(600)의 휘도치는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주사선 중 최하단의 주사선(휘도치 812 및 822)이다.
이와 같이,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것에 의해,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주사선 중 최상단의 주사선에 의한 휘도는 가장 높아져, 최하단의 주사선에 의한 휘도는 가장 낮아지는 그라데이션이 생긴다. 상기 경우에 대해,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주사선의 경계(휘도치 812로 휘도치 821과의 경계)에서는 가장 높은 휘도치와 가장 낮은 휘도치와의 차분치 L1만 휘도치가 변화한다. 상기 변화는 그라데이션의 경계인 것과 동시에 급격한 휘도의 변화때문에, 유저에게 시인되기 쉬운 휘도의 변화가 된다.
도 18(B)에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휘도치가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는 휘도치 831은, 도 18(A)에 있어서의 휘도치 811과 같게, 기록 주사선(WSL1)이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에 의한 휘도이다. 또한, 휘도치 832, 841 및 842 등이나 각각 대응하는 휘도치 812, 821 및 822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도 18(A)과의 차이에 대해 주목해 설명한다.
L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장 높은 휘도가 되는 화소(600)의 휘도치(휘도치 831 및 841)와 가장 낮은 휘도가 되는 화소(600)의 휘도치(휘도치 832 및 842)와의 사이의 휘도의 차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서는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를 공급하지 않는 표시장치(100)과 비교해,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주사선의 최상단과 최하단과의 휘도의 차분치(L2)가 작아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서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휘도의 차분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그라데이션을 경감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주사선의 경계(휘도치 832로 휘도치 841과의 경계)에서는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를 공급하지 않는 표시장치(100)와 같게, 가장 높은 휘도치와 가장 낮은 휘도치와의 차분치 L2만 휘도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그라데이션의 완화의 정도에 따라서는 상기 경계가 유저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도 18(C)에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휘도치가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는 휘도치 851은, 도 18(B)에 나타내는 휘도치 831과 같게, 기록 주사선(WSL1)이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에 의한 휘도이다. 또한, 휘도치 853, 861 및 863도 각각, 도 18(B)에 나타내는 휘도치 832, 841 및 842와 같다. 이 때문에, 이러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휘도치 852는 구동 주사선이 공유되고 있는 화소(600) 중 최하단의 하나전의 기록 주사선(WSLj-1)이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휘도치이다. 같이 휘도치 862는 구동 주사선이 공유되고 있는 화소(600) 중 최하단의 이전의 주사선(WSL2j-1)이 접속되고 있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휘도치이다.
L3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장 높은 휘도가 되는 화소(600)의 휘도치(휘도치 851 및 861)와 가장 낮은 휘도가 되는 화소(600)의 휘도치(휘도치 852 및 852)와의 사이의 휘도의 차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L4는 가장 높은 휘도치(휘도치 851 및 861)와 구동 주사선이 공유되고 있는 화소(600) 중 최하단의 하나전의 주사선에 대응하는 휘도치(휘도치 853 및 863)와의 휘도의 차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8(C)에 대해, 구동 주사선이 공유되는 주사선 가운데 최하단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는 발광 기간인 동안에 구동 주사선(DSL)(411)의 전위가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에 천이 한 것에 의해,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휘도가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최하단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는 최하단의 이전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보다 휘도치가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최하단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휘도치를 구동 주사선이 공유되는 화소(600) 가운데 가장 낮은 휘도보다 높은 값으로 할 수가 있다. 즉, 최하단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에 있어서의 휘도치는 휘도치 853 및 863과 같이, 가장 낮은 휘도와 가장 높은 휘도와의 사이의 휘도치가 된다. 상기 도 18(C)에서는 휘도치 853 및 863은, 가장 높은 휘도치보다 차분치 L4만 낮은 값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구동 주사선이 공유되는 주사선 가운데 최하단의 이전의 주사선이 접속되는 화소(600)에 의한 휘도치 852 및 853이, 구동 주사선이 공유되는 화소(600) 가운데 가장 낮은 휘도치가 된다.
이와 같이, 구동 주사선이 공유되는 주사선 가운데 최하단의 주사선에 관한 휘도가 상승하면, 그라데이션이 되는 휘도의 차분치는 차분치 L3가 된다. 또한, 휘도치 853이, 휘도치 852로 휘도치 861과의 사이의 값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와 비교해, 그라데이션의 경계 부근에 있어서의 가장 낮은 휘도로부터 가장 높은 휘도에의 급격한 변화가 완화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효과에 그라데이션의 경계가 시인 되기 어려워지는 효과가 더해져, 그라데이션의 시인을 한층 더 경감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하면, 그룹간에 있어서의 휘도의 급격한 변화를 완화하면, 그라데이션의 경계를 시인 되기 어렵게 하는 것에 의해,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그라데이션의 시인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기간 P1보다 전의 발광 기간에 있어, 전원 전위(Vcc)로부터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에의 변환을 실시하면, 휘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변곡점이 증가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거기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서는 기간 P1에 대해 전원 전위(Vcc)를 고레벨 전원 전위(Vcc_H)로 전환하는 예를 나타냈다. 다만, 휘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변곡점이 증가하지 않게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의 전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기간 P1보다 전의 기간에 있어 전원 전위(Vcc)로부터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에의 변환을 실시하여도 괜찮다. 예를 들면, 도 17에서 도시하는 WSL1 소광기간의 개시시점으로부터 WSLj-1소광기간의 개시시점까지의 구간에 있어,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에의 변환을 실시하여도 괜찮다. 즉, 구동 주사선을 공유하는 복수의 주사선 중 최하단의 기록 주사선(WSLj)으로부터 소정수(N) 전의 주사선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의 일시적인 온 전위(Von)에의 천이를 한 후에,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에의 변환을 실시하여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최하단의 기록 주사선(WSLj)의 "N-1"개전의 주사선으로부터 최하단의 기록 주사선(WSLj)까지의 주사선이 접속된 화소(600)의 휘도치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기록 주사선(WSL1) 내지(WSLj)가 접속되는 화소(600)의 발광 기간에 있어서의 휘도치를 소광기간에 있어서의 휘도차이를 지우도록(듯이)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그라데이션을 경감시킬 방법이 생각된다. 상기 방법은, 예를 들면, 구동 주사선(DSL)(410)의 전위의 고레벨 전원 전위(Vcc_H)에의 변환을 기록 주사선(WSL1)이 접속되는 화소(600)의 소광기간의 개시 후부터 서서히 상승시켜 가는 것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는 플랫 패널 형상을 가져, 여러가지 전자기기, 예를 들면, 디지탈카메라,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비디오 카메라등의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전자기기에 입력된 영상 신호나 전자기기내에서 생성한 영상 신호를 화상 또는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모든 분야의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3. 제3의 실시예>
[전자기기에의 적용례]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텔레비젼 세트의 예이다. 상기 텔레비젼 세트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가 적용된 텔레비젼 세트이다. 상기 텔레비젼 세트는 프런트 패널(12), 필터 유리(13) 등으로부터 구성되는 영상 표시 화면(11)을 포함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를 그 영상 표시 화면(11)에 이용하는 것으로 제작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예이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가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이다. 여기에서는 위에 디지털 카메라의 정면도를 나타내, 아래에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촬상 렌즈(15), 표시부(16), 컨트롤 스위치, 메뉴 스위치, 셔터(19) 등을 포함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를 그 표시부(16)에 이용하는 것으로 제작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의 예이다.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가 적용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다.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는 본체(20)에는 문자 등을 입력할 때 조작되는 키보드(21)를 포함해, 본체 커버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를 그 표시부(22)에 이용하는 것으로 제작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단말 장치의 예이다. 상기 휴대단말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단말 장치이다. 여기에서는 좌측으로 휴대단말 장치가 연 상태를 나타내, 우측으로 휴대단말 장치가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 장치는 위쪽 케이스(23), 아래 쪽 케이스(24), 연결부(여기에서는 경첩부)(25), 디스플레이(26), 서브 디스플레이(27), 픽처 기록(28), 카메라(29)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를 그 디스플레이(26) 이나 서브 디스플레이(27)에 이용하는 것으로 제작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비디오 카메라의 예이다.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가 적용된 비디오 카메라이다.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본체부(30), 전방을 향한 측면으로 피사체 촬영용의 렌즈(34), 촬영시의 스타트/스톱 스위치(35), 모니터(360) 등을 포함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를 그 모니터(36)에 이용하는 것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현화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이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발명 특정 사항과 각각 대응 관계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대해 여러 가지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100: 표시장치 200: 기록 스캐너
201~205: 드라이버 210~215: 주사선
300: 수평 실렉터 310~313: 데이터선
321~323: 스위칭 제어선
351~353, 361~363, 371~373: 스위칭 회로
391: 기준 신호선 392: 소광신호선
400: 구동 스캐너 401~403: 드라이버
410~413: 구동 주사선 421 및 423: p형 트랜지스터
422: n형 트랜지스터 431~433: 제어 신호선
491~493: 고정 전위선 500 화소 어레이부
600: 화소 610: 기록 트랜지스터
620: 구동 트랜지스터 630: 축적 용량
640: 발광소자 641 기생 용량

Claims (6)

  1. 표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대해 연속하는 복수의 행 단위로 그룹화 해서 상기 그룹 단위로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대해서 같은 전원 전위를 공급하는 구동 주사선과,
    상기 그룹에 속하는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발광소자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기간 중에, 상기 전원 전위를 상기 전원 전위에 비해 높은 전위인 고레벨 전원 전위로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소광기간과 관련된 상기 그룹에 속하는 각 화소 회로에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의 각각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축적하기 위한 축적 용량과,
    상기 구동 주사선에 의해 공급된 전원 전위를 받음에 의해 상기 축적 용량에 축적된 전압에 기초한 전류를 상기 발광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소광기간에 있어 상기 발광소자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전위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하고, 그 후,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축적 용량에 기입하는 기록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소광기간 중에 상기 소광기간과 관련되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각 화소 회로 중 라인 순차 주사에 의해 마지막 소광대상이 되는 행의 소정수 이전의 행의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소광전위가 주어진 후에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소광기간 중에 상기 전원 전위를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로 전환함에 의해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를 상기 구동 주사선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전자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대해 연속하는 복수의 행 단위로 그룹화 해서 상기 그룹 단위로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대해서 같은 전원 전위를 공급하는 구동 주사선과,
    상기 그룹에 속하는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발광소자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기간 중에, 상기 전원 전위를 상기 전원 전위에 비해 높은 전위인 고레벨 전원 전위로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소광기간과 관련된 상기 그룹에 속하는 각 화소 회로에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의 각각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축적하기 위한 축적 용량과,
    상기 구동 주사선에 의해 공급된 전원 전위를 받음에 의해 상기 축적 용량에 축적된 전압에 기초한 전류를 상기 발광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소광기간에 있어 상기 발광소자를 소광시키기 위한 소광전위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하고, 그 후,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상기 축적 용량에 기입하는 기록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소광기간 중에 상기 소광기간과 관련되는 상기 그룹에 속하는 각 화소 회로 중 라인 순차 주사에 의해 마지막 소광대상이 되는 행의 소정수 이전의 행의 화소 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소광전위가 주어진 후에 상기 고레벨 전원 전위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00023668A 2009-03-25 2010-03-17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Active KR101596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3978 2009-03-25
JPJP-P-2009-073978 2009-03-25
JPJP-P-2009-258645 2009-11-12
JP2009258645A JP2010250267A (ja) 2009-03-25 2009-11-12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394A KR20100107394A (ko) 2010-10-05
KR101596518B1 true KR101596518B1 (ko) 2016-02-22

Family

ID=4277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668A Active KR101596518B1 (ko) 2009-03-25 2010-03-17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9755B2 (ko)
JP (1) JP2010250267A (ko)
KR (1) KR101596518B1 (ko)
CN (1) CN101847360B (ko)
TW (1) TW2011063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3262B2 (ja) * 2007-04-09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0002498A (ja) * 2008-06-18 2010-01-07 Sony Corp パネルおよび駆動制御方法
CN102054422B (zh) * 2010-10-19 2013-04-1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器
KR20120065716A (ko) * 2010-12-13 2012-06-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2074183B (zh) * 2010-12-30 2013-04-24 清华大学 场发射显示器的驱动方法
JP2013222124A (ja) * 2012-04-18 2013-10-28 Sony Corp 信号伝達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201465B2 (ja) 2013-07-08 2017-09-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6854625B2 (ja) * 2016-11-04 2021-04-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0021259B (zh) * 2018-03-23 2020-1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源电压提供电路、方法、显示基板和显示装置
WO2019187063A1 (ja) * 2018-03-30 2019-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
CN110379393B (zh) * 2018-08-10 2022-01-1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与栅极驱动器
CN110322842B (zh) * 2019-05-21 2021-07-0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像素驱动电路及显示装置
CN111369949B (zh) * 2020-04-28 2021-04-0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扫描驱动方法
CN116246583A (zh) * 2023-02-27 2023-06-09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0323A (ja) * 2005-05-26 2006-12-07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045A (ja) * 1992-06-30 1997-02-25 ウェスチングハウス・ノーデン・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個別にステップ補正を行うグレイスケール階段状ランプ発生器
JP2005099598A (ja) * 2003-09-26 2005-04-14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KR100541975B1 (ko) * 2003-12-24 2006-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능동 구동형 el의 소스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JP4568198B2 (ja) * 2005-09-15 2010-10-27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4203772B2 (ja) 2006-08-01 2009-01-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306753B2 (ja) * 2007-03-22 2009-08-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JP4470960B2 (ja) * 2007-05-21 2010-06-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JP2009192854A (ja) * 2008-02-15 2009-08-27 Casio Comput Co Ltd 表示駆動装置、並びに、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0323A (ja) * 2005-05-26 2006-12-07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7360B (zh) 2013-01-30
US20100245334A1 (en) 2010-09-30
KR20100107394A (ko) 2010-10-05
CN101847360A (zh) 2010-09-29
JP2010250267A (ja) 2010-11-04
TW201106318A (en) 2011-02-16
US8269755B2 (en)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518B1 (ko)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JP5493733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146090B2 (ja) El表示パネル、電子機器及びel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CN102867840B (zh) 像素电路、显示器、电子装置和像素电路的驱动方法
JP5217500B2 (ja) El表示パネルモジュール、el表示パネル、集積回路装置、電子機器及び駆動制御方法
JP4826597B2 (ja) 表示装置
JP2008203478A (ja) 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20090049995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전자기기
JP2009258275A (ja) 表示装置および出力バッファ回路
KR20110097638A (ko) 화소 회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US20210183316A1 (en) Display device
KR20090050010A (ko) 표시장치,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전자기기
KR101685203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5716292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20130293527A1 (en)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984863B2 (ja) 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2008145647A (ja) 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2011069943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197516A (ja) 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2010139926A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装置
JP2011221165A (ja)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365734B2 (ja) 表示装置
US20110001741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818242B2 (en) Pixel circuit including plurality of switching transistors and capacitors, and display unit
JP2011064957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9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