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684B1 - 휴대용 커피 제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커피 제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5684B1 KR101575684B1 KR1020140067175A KR20140067175A KR101575684B1 KR 101575684 B1 KR101575684 B1 KR 101575684B1 KR 1020140067175 A KR1020140067175 A KR 1020140067175A KR 20140067175 A KR20140067175 A KR 20140067175A KR 101575684 B1 KR101575684 B1 KR 101575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water supply
- button
- coffee
- cylindrical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피를 소형화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두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커피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커피 제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물공급부, 물공급부 하부면에 적층하여 설치되며, 개폐부와 차폐부가 형성되는 개폐판, 상기 물공급부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개폐판의 전진 및 후진작동을 도모하는 개폐부재,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드리퍼가 지지되도록 뚫려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드리퍼 하우징, 상기 드리퍼 하우징의 결합홈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되, 하부면에 추출홈이 형성되는 드리퍼, 상기 드리퍼 내측 하부면에 착탈되도록 삽입되는 필터, 상기 드리퍼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피저장부 및 상기 커피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두저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를 소형화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두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점점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맛과 향취가 우수하며 카페인의 함량이 적은 원두 커피를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원두 커피는 커피분말에 끓인 물을 융합하여 거름망 등의 필터 수단을 통해 추출액만을 받아 음용하는 것으로, 이를 마시기 위해서는 커피분말, 커피분말과 끓는 물을 융합하는 잔, 커피 추출액을 받는 잔 등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손쉽게 커피메이커를 이용한다.
하지만, 상기 커피메이커는 휴대 및 이동에 어려움이 있어 외부에서 사용되기 불편하여, 야외 활동시에는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원두커피를 음용하고 싶은 경우 비싼 비용을 들여 판매되는 제품을 구입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여 어느 곳에서나 원두 커피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는 기구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11622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8592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를 소형화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원두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물공급부, 물공급부 하부면에 적층하여 설치되며, 차폐부와 개폐부가 형성된 개폐판, 상기 물공급부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개폐판의 전진 및 후진작동을 도모하는 개폐부재,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드리퍼가 지지되도록 뚫려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드리퍼 하우징, 상기 드리퍼 하우징의 결합홈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되, 하부면에 추출홈이 형성되는 드리퍼, 상기 드리퍼 내측 하부면에 착탈되도록 삽입되는 필터, 상기 드리퍼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피저장부 및 상기 커피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두저장부로 구성되되, 상기 개폐부재는 버튼구동수단이 작동되도록 전단에 형성된 버튼 및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버튼이 장착되어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개폐판의 전진 및 후진작동이 반복되도록 하는 버튼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튼구동수단은 버튼이 장착되는 제1원통부재, 제1원통부재의 일단과 맞물리는 제2원통부재, 제2원통부재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물공급부의 하부 외주면에 물공급부로부터 돌출 결합되며,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재, 제2원통부재, 샤프트 및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버튼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버튼의 일면에는 상기 제1원통부재의 장착을 위한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는 착탈되도록 스크류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두저장부는 개구된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공간이 구획되도록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피를 소형화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레저활동이나 여행중에도 원두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두 커피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개폐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개폐판'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개폐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개폐판'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제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물공급부(100), 물공급부(100) 하부면에 적층하여 설치되며, 차폐부와 개폐구가 형성된 개폐판(120), 상기 물공급부(100)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개폐판(120)의 전진 및 후진작동을 도모하는 개폐부재(200),상기 물공급부(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결합홈(330)이 형성되어 드리퍼(320)가 장착되는 드리퍼 하우징(300), 상기 드리퍼 하우징(300)의 결합홈(300)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되, 하부면에 추출구(321)가 형성되는 드리퍼(320), 상기 드리퍼 내측 하부면에 착탈되도록 삽입되는 필터(330), 상기 드리퍼 하우징(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피저장부(400) 및 상기 커피저장부(4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두저장부(500)로 구성되되, 상기 개폐부재(200)는 버튼구동수단(220)이 작동되도록 전단에 형성된 버튼(210) 및 상기 물공급부(100)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버튼(210)이 장착되어 상기 버튼(210)을 누름에 따라 개폐판(120)의 전진 및 후진작동이 반복되도록 하는 버튼구동수단(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수용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110)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100)의 측벽 외주면에는 눈금선을 표시하여, 투입되는 물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100)의 하부면에는 몸체에 개폐부(121)와 차폐부(122)가 형성된 개폐판(120)이 적층하여 설치된다.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120)은 물공급부(100)의 하부면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개폐판(120)이 인입되면 물공급부(100)에 형성된 배출구(110)와 개폐판(120)에 형성된 개폐부(121)가 상하 연통되어 결과적으로 물공급부(100)의 배출구(110)는 개방되고, 상기 개폐판(120)이 인출되면 물공급부(100)에 형성된 배출구(110)의 상부에는 개폐부(121)와 엇갈리며 결과적으로 물공급부(100)의 배출구(110)는 폐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제조기는 개폐판(120)의 인입, 인출에 따라 물공급부(100)에 형성된 배출구(110)의 개방 또는 폐쇄가 택일하여 설정되며, 상기 물공급부(100)의 개폐를 위한 개폐판(120)의 이동은 후술하는 개폐부재(20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00)는 물공급부(100)의 하부 외측에 고정되어 내측 수용공간에 저장된 물을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온/오프 장치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200)는 버튼구동수단(220)이 작동되도록 전단에 형성된 버튼(210), 상기 물공급부(100)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버튼(210)이 장착되어 버튼(210)을 누름에 따라 개폐판(120)의 전진 및 후진작동이 반복되도록 하는 버튼구동수단(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210)은 누르는 동작에 의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즉, 버튼(210)을 한 번 누르면 개폐판(120)이 인입되어 배출구(110)가 열리고, 상기 개폐판(120)이 인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버튼(210)을 한 번 더 누르면 개폐판(120)이 인출되어 배출구(110)가 폐쇄되어 상기 개폐판(120)이 인출된 상패로 고정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구동수단(220)은 버튼(210)이 이러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버튼(210)이 장착되는 제1원통부재(221), 제1원통부재(221)의 일단과 맞물리는 제2원통부재(222), 제2원통부재(222)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샤프트(223), 샤프트(223)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24), 물공급부(100)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제1원통부재(221), 제2원통부재(222), 샤프트(223) 및 탄성부재(224)가 삽입되는 버튼박스(22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버튼구동수단(220)을 이용함으로써 버튼(210)을 누르는 동작의 반복에 의해 배출구(110)를 닫거나 열 수 있다.
상기 버튼(210)의 일면에는 제1원통부재(221)와 버튼(210)을 연결 또는 장착하기 위한 제1체결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211)에는 제1원통부재(221)와의 체결을 위해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볼펜과 유사한 동작을 하기 위하여 버튼구동수단(220)의 제1원통부재(221), 제2원통부재(222) 및 버튼 박스(22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통부재(221)의 일단에는 버튼(210)의 제1체결부(211)가 연결되고, 하측의 타단에는 제2원통부재(222)의 상부가 삽입된다. 제1원통부재(221)의 하부 타단에는 지그재그 모양 또는 삼각형 모양의 요철(2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원통부재(222)에는 제1원통부재(221)의 요철과 형합되는 요철(22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원통부재(222)의 상단은 제1원통부재(221)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2원통부재(222)의 최외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222b)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돌기(222b)는 제2원통부재(222)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동일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원통부재(221)의 요철(221a)과 제2원통부재(222)의 요철(222a)이 서로 맞물리거나 형합된 상태에서 버튼(210)을 누르면 제1원통부재(221)와 제2원통부재(222)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요철(221a, 222a)의 맞물린 부분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2원통부재(222)의 상단은 막혀 있으며, 제2원통부재(222)에 샤프트(223)의 상단이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223)는 탄성부재(224)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23)에는 탄성부재(224)의 상단이 접촉 지지되는 걸림부(223a)가 형성되고, 샤프트(223)하부에는 버튼박스(225)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된다.
상기 순차적으로 삽입연결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는 버튼(210), 제1원통부재(221) 및 제2원통부재(222) 및 샤프트(223), 탄성부재(224)는 버튼박스(225)에 삽입한다.
도 1 내지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박스(225)는 물공급부(100)의 하부 외측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버튼박스(225)는 물공급부(110)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물공급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튼박스(225)를 물공급부(110)에 결합하는 경우 연결되는 부위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버튼박스(225)가 나사결합되는 결합방식, 상기 물공급부(110)와 버튼박스(225)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간에 결합되는 방식 등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버튼박스(225)의 상부 내면에는 제2원통부재(222)의 돌기(222b)와 형합될 수 있는 가이드 요철부(225a)가 형성되고, 가이드 요철부(225a)의 하부에는 요철(222a)의 상단 끝단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요철부(225b)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요철부(225b)는 버튼(210)을 누름에 따라 제2원통부재(222)의 요철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작동에 의해 샤프트(223)가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샤프트(223)와 결합된 개폐판(120)이 배출구를 닫거나 열 수 있다. 눌려진 버튼(210)은 탄성부재(224)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버튼(210)과 버튼구동수단(220)의 작동 원리는 노크식(knock) 볼펜의 작동원리와 동일하다. 예를 들면, 볼펜 중에서 한 번 누르면 볼펜심이 나와서 필기를 할 수 있고 한 번 더 누르면 볼펜이 들어가는 볼펜의 작동 원리와 동일하다. 이에 상기 제1원통부재(221), 제2원통부재(222)의 작동원리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버튼구동수단(220) 중 상기 샤프트(223)의 하단은 개폐판(120)과 결합됨으로써 버튼(210)을 누름에 따라 개폐판(120)의 전진 및 후진작동이 반복되어 물공급부의 배출구(110)를 닫거나 열 수 있다.
도 4a 및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23) 하단과 개폐판(120)을 결합하는 방법은 개폐판(120)에 샤프트 삽입결합홈을 형성하여 끼움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223)와 개폐판(12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간에 결합되는 방식 등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100)의 하부에는 드리퍼 하우징(300)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드리퍼 하우징(300)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드리퍼(320)가 지지되도록 뚫려 형성된 결합홈(310)이 형성되어 드리퍼(320)가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게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100) 하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삽입결합홈을 형성하고, 드리퍼 하우징(300)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결합홈과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물공급부(100)의 각 걸림돌기를 드리퍼 하우징(300)의 삽입결합홈에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물공급부(110)의 삽입결합홈의 형태 및 드리퍼 하우징에 마련되는 결합돌기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고, 물공급부(100)와 드리퍼하우징(300)의 결합형태도 나사결합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리퍼(320)는 드리퍼 하우징(3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310)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됨으로써 드리퍼 하우징(300)에 고정된다.
상기 드리퍼(320)은 원두커피 분말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이되,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이며, 하부면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추출구(321)가 형성된다.
도 2a에서는 상기 추출구(321)를 3개를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드리퍼(320)의 용량에 따라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리퍼(320)의 하부 내측면에는 필터(330)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필터(330)는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원두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분말을 거르기 위한 망 구조물로, 드리퍼(320) 하부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공급부(100)의 배출구(110)가 개방되면 물공급부(100)내의 물이 드리퍼 하우징(300)내 드리퍼(320)로 공급이 이루어지면, 소정시간이 흐르면서 커피원액이 필터(330)를 거쳐 추출홈((321)을 통해 커피저장부(400)로 배출된다.
상기 필터(330)에는 후술할 스크류(340)를 고정되게 안착시키기 위한 장착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330)의 장착홈(331)에는 수직되게 스크류(340)가 착탈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필터(330)의 장착홈(331)은 드리퍼(320)에 형성된 추출홈(3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340)는 필터(330)에 형성된 장착홈(331)에 끼워짐으로써 드리퍼(220)에 고정된다.
상기 스크류(340)는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바리스타가 주전자를 들고 드리퍼에 원을 그리며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스크류(340)는 방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나선의 깔데기 형태로, 드리퍼(320)의 외경부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나선 형태로 하향 연장되므로 물저장부(1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은 드리퍼(320)내에서 나선 형태의 궤적을 그리며 이동한다.
상기 물공급부(100)내의 물이 드리퍼(320)로 공급이 이루어지면, 소정시간이 흐르면서 커피원액 중 일부는 스크류(340)를 통해 나선형태로 회전되면서 필터(330)를 거쳐 추출홈(321)을 통해 커피저장부(400)로 배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리퍼 하우징(300)의 하부에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피저장부(4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피저장부(400)는 드리퍼(320)의 추출구(321)로부터 추출된 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컵의 역할도 동시에 한다.
상기 커피저장부(400)은 스테일리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커피로 인한 변색을 방지하고 세척에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는 드리퍼하우징(300) 하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삽입결합홈을 형성하고, 커피저장부(400)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결합홈과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드리퍼 하우징(300)의 각 걸림돌기를 커피저장부(400)의 삽입결합홈에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드리퍼 하우징(300)의 삽입결합홈의 형태 및 커피저장부(400)에 마련되는 결합돌기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고, 드리퍼 하우징(300)와 커피저장부(400)의 결합형태도 나사결합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저장부(400)의 하부에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두저장부(5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원두저장부(500)는 개구된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공간이 구획되도록 격벽(510)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두저장부(500)의 격벽은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담아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는 커피저장부(400) 하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삽입결합홈을 형성하고,원두저장부(500)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결합홈과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원두저장부(500)의 각 걸림돌기를 커피저장부(400)의 삽입결합홈에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커피저장부(400)의 삽입결합홈의 형태 및 원두저장부(500)에 마련되는 결합돌기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고, 커피저장부(400)와 원두저장부(500)의 결합형태도 나사결합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물공급부(100), 드리퍼하우징(300), 커피저장부(400), 원두저장부(500)가 상호 결합된 휴대용 커피제조기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 의한 휴대용 커피 제조기에서 원두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결합된 물공급부(100), 드리퍼(320)가 장착된 드리퍼하우징(300), 원두저장부(500)를 분리하여 개방한다.
드리퍼(320) 내부에 필터(330)를 넣고 필터(330)의 장착홈(331)에 스크류(340)를 장착 거치시킨 후에 원두저장부(500)에 수용되어 있는 적당량의 원두커피 분말을 드리퍼 하우징(320) 결합홈(310)에 거치되어 있는 드리퍼(320)에 스크류(340)가 덮어질 정도로 채우고, 드리퍼 하우징(300)의 상측을 물공급부(100)의 하측과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물공급부(100)에 적당량의 뜨거운 물을 충진시킨다. 버튼(210)을 눌러 배출구(100)를 개폐시켜 드리퍼(320)에 물을 공급한다. 즉, 버튼(210)을 누르면 개폐판(120)이 인입되어, 배출구(110)과 개폐부(121)가 일치되므로 물공급부(100)의 배출구(110)가 개방되어 물공급부(110)내의 물이 배출구(110)을 통해 드리퍼 하우징(300)내 드리퍼(320)로 공급된다.
드리퍼(320)내에 물공급이 이루어지면, 소정시간이 흐르면서 커피원액이 필터(330)를 거쳐 드리퍼 추출홈(321)을 통해 커피저장부(400)로 배출되는데, 커피원액 중 일부는 스크류(340)를 통해 나선형태로 회전되면서 추출홈(321)을 통해 추출된다.
적당량의 커피가 커피저장부(400)에 담기면, 버튼(210)을 한 번 더 눌러 배출구(110)을 폐쇄하여 물공급부(100)를 통한 물공급을 중단한다. 즉, 버튼(210)을 한 번 더 누르며, 개폐판(120)이 인출되어 배출구(110)와 개폐판(121)이 어긋나므로 물공급부(100)의 배출구(110)가 폐쇄되어 물이 드리퍼(320)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드리퍼 하우징(300)과 결합되어 있는 커피저장부(400)를 개방한 후, 이를 이용해 커피를 마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피를 소형화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두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물공급부
110: 배출구 120: 개폐판
200: 개폐부재
210: 버튼 220: 버튼구동수단 221: 제1원통부재 222: 제2원통부재
223: 샤프트 224: 탄성 부재 225: 버튼박스
300: 드리퍼 하우징
310: 결합홈 320: 드리퍼 330: 필터 340: 스크류
400: 커피저장부 500: 원두저장부
110: 배출구 120: 개폐판
200: 개폐부재
210: 버튼 220: 버튼구동수단 221: 제1원통부재 222: 제2원통부재
223: 샤프트 224: 탄성 부재 225: 버튼박스
300: 드리퍼 하우징
310: 결합홈 320: 드리퍼 330: 필터 340: 스크류
400: 커피저장부 500: 원두저장부
Claims (5)
-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물공급부;
물공급부 하부면에 적층하여 설치되며, 개폐부와 차폐부가 형성되는 개폐판;
상기 물공급부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개폐판의 전진 및 후진작동을 도모하는 개폐부재;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드리퍼가 지지되도록 뚫려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드리퍼 하우징;
상기 드리퍼 하우징의 결합홈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되, 하부면에 추출홈이 형성되는 드리퍼;
상기 드리퍼 내측 하부면에 착탈되도록 삽입되는 필터;
상기 드리퍼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피저장부; 및
상기 커피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두저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버튼구동수단이 작동되도록 전단에 형성된 버튼 및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버튼이 장착되어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개폐판의 전진 및 후진작동이 반복되도록 하는 버튼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제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구동수단은 버튼이 장착되는 제1원통부재, 제1원통부재의 일단과 맞물리는 제2원통부재, 제2원통부재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물공급부의 하부 외주면에 물공급부로부터 돌출 결합되며,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재, 제2원통부재, 샤프트 및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버튼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는 착탈되도록 스크류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두저장부는 개구된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공간이 구획되도록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7175A KR101575684B1 (ko) | 2014-05-30 | 2014-05-30 | 휴대용 커피 제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7175A KR101575684B1 (ko) | 2014-05-30 | 2014-05-30 | 휴대용 커피 제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5684B1 true KR101575684B1 (ko) | 2015-12-08 |
Family
ID=5487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7175A KR101575684B1 (ko) | 2014-05-30 | 2014-05-30 | 휴대용 커피 제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568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1582U (ko) * | 2017-12-18 | 2019-06-26 | 강현식 | 커피가루 분산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1377Y1 (ko) | 2001-07-04 | 2001-11-17 | 황성철 | 농도조절이 가능한 커피추출기 |
KR200278592Y1 (ko) | 2002-03-05 | 2002-06-20 | 엄기탁 | 휴대용 커피메이커 |
KR101116227B1 (ko) | 2011-06-27 | 2012-02-20 | 이린아 | 휴대용 에스프레소 제조기 |
-
2014
- 2014-05-30 KR KR1020140067175A patent/KR1015756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1377Y1 (ko) | 2001-07-04 | 2001-11-17 | 황성철 | 농도조절이 가능한 커피추출기 |
KR200278592Y1 (ko) | 2002-03-05 | 2002-06-20 | 엄기탁 | 휴대용 커피메이커 |
KR101116227B1 (ko) | 2011-06-27 | 2012-02-20 | 이린아 | 휴대용 에스프레소 제조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1582U (ko) * | 2017-12-18 | 2019-06-26 | 강현식 | 커피가루 분산장치 |
KR200490342Y1 (ko) | 2017-12-18 | 2019-10-31 | 강현식 | 커피가루 분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308399A1 (en) | Receptacle device for holding coffee capusle | |
EP1829797A4 (en) | OUTPUT BIN | |
CA2978338C (en) | Coffee making apparatus with a froth spoon and at least one impeller | |
KR101011692B1 (ko) | 필터 일체형 핸드밀 | |
CN205458121U (zh) | 一杯咖啡复合器 | |
KR101575684B1 (ko) | 휴대용 커피 제조기 | |
KR200469512Y1 (ko) |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 |
KR102536304B1 (ko) | 미세홀을 포함하는 주서기 | |
KR101648624B1 (ko) |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 |
CN104523148A (zh) | 一种咖啡机研磨冲泡装置 | |
KR100995873B1 (ko) | 밀이 내장되는 휴대용 커피 추출장치 | |
KR101544308B1 (ko) | 캐니스터 그라인더 | |
KR101707084B1 (ko) | 커피추출장치 | |
CN205286049U (zh) | 一种多功能饮料机 | |
KR101595475B1 (ko) | 아메리카노 커피 공급 기능을 구비한 음료 추출 장치 일체형 정수기 | |
KR20070034117A (ko) | 커피 카트리지용 깔대기 삽입체 | |
CN106136777B (zh) | 一种可重复使用的胶囊饮品冲调杯 | |
CN102835812B (zh) | 旋转式口红盒的改良结构 | |
CN203953164U (zh) | 多功能随身杯 | |
CN209153029U (zh) | 食物处理机 | |
KR101632016B1 (ko) | 커피추출장치 | |
KR20160066864A (ko) | 주서기 | |
KR200458422Y1 (ko) |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 |
CN103547196A (zh) | 饮料胶囊收容体 | |
EP2404533A1 (en) | Receptacle device for holding coffee caps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