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70034117A - 커피 카트리지용 깔대기 삽입체 - Google Patents

커피 카트리지용 깔대기 삽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117A
KR20070034117A KR1020077003846A KR20077003846A KR20070034117A KR 20070034117 A KR20070034117 A KR 20070034117A KR 1020077003846 A KR1020077003846 A KR 1020077003846A KR 20077003846 A KR20077003846 A KR 20077003846A KR 20070034117 A KR20070034117 A KR 20070034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up portion
discharge hole
coffee maker
inn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 리차드슨 케이프
Original Assignee
캐리어 커머셜 리프리저레이션,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리어 커머셜 리프리저레이션, 인크. filed Critical 캐리어 커머셜 리프리저레이션,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3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4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a cartridge, e.g. having grooves or protrusions to separate cartridge from the bottom of the brew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커피 제조기는 몸체부와, 커피 카트리지를 보유하는 고형 깔대기 삽입체를 포함한다. 깔대기 삽입체는 내측 컵부 및 외측 컵부를 포함한다. 가열된 물은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를 통해 깔대기 삽입체 내로 유동하고, 커피 카트리지를 포화시켜, 커피를 형성한다. 커피는 깔대기 삽입체의 내측 컵부의 배출 구멍을 통해 유동하여 커피 포트에 모이게 된다. 배출 구멍의 크기는 원하는 커피 맛을 위해 조절될 수 있다. 내측 컵부의 바닥부 상의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는 배출 구멍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고, 커피 카트리지를 바닥부로부터 상승시켜, 온수가 커피 카트리지 아래에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커피 제조기, 몸체부, 커피 카트리지, 깔대기 삽입체, 컵부, 돌기부

Description

커피 카트리지용 깔대기 삽입체{FUNNEL INSERT FOR COFFEE CARTRIDGE}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개선된 품질의 커피를 제공하도록 커피 카트리지를 바닥부로부터 상승시키는 깔대기 삽입체를 포함하는 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 제조기는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유형의 커피 제조기는 커피 카트리지를 사용한다. 커피 카트리지는 밀봉된 다공성 종이 쉘내에 수용된 미리 결정된 양의 커피를 포함한다. 커피 카트리지는 깔대기 삽입체에 삽입된다. 제조가 완료되면, 깔대기 삽입체는 커피 제조기로부터 제거되어 폐기된다. 그 후 신선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새로운 커피 카트리지가 깔대기 삽입체에 삽입될 수 있다.
커피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의 단점은 개방된 커피 필터에서의 신선한 빻아진 커피와 동일한 품질의 커피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온수가 커피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깔대기 삽입체 내로 유동할 때, 물은 깔대기 삽입체의 바닥부에 대해 동일 높이에 있는 커피 카트리지의 바닥부를 회피하여 통과한다. 온수는 커피 카트리지의 감소된 표면적에 접촉하여, 커피를 묽게 한다.
온수가 커피 카트리지 아래에서 유동하게 하도록 와이어 깔대기 삽입체가 사용된다. 그러나, 와이어 깔대기 삽입체의 단점은 물이 직접 와이어 깔대기 삽입체 를 통과하여 커피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 품질의 커피를 제공하고 종래 기술의 단점 및 결점을 극복하는, 커피 카트리지를 바닥부로부터 상승시키는 깔대기 삽입체를 포함하는 커피 제조기에 대한 요구가 업계에 존재하게 된다.
커피 제조기는 몸체부와, 커피 카트리지를 보유하는 고형 깔대기 삽입체를 포함한다. 커피 카트리지는 빻아진 커피를 수용하는 다공성 종이 쉘이다. 가열된 물은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를 통해 깔대기 삽입체 내로 유동한다. 물은 커피 카트리지를 포화시켜 커피를 형성한다. 커피는 깔대기 삽입체의 배출 구멍을 통해 유동하여, 제공을 위해 커피 포트에 모이게 된다.
깔대기 삽입체는 커피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내측 컵부 및 외측 컵부를 포함한다. 내측 컵부는 중심 설정된 배출 구멍을 구비하는 바닥부 및 바닥부에 대해 각이 진 측벽을 포함한다. 배출 구멍의 크기는 원하는 맛의 커피를 위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깔대기 삽입체의 바닥부는 배출 구멍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바닥부 상의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깔대기 삽입체는 깔대기 삽입체의 측부 상에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를 포함한다. 길다란 융기형 방사상 돌기부는 깔대기 삽입체의 바닥부로부터 커피 카트리지를 상승시켜, 온수가 커피 카트리지 아래에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커피를 제조할 때, 커피 카트리지는 깔대기 삽입체에 위치된다.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로부터의 물은 내측 컵부를 채우고, 커피 카트리지를 완전히 포화시킨다.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는 커피 카트리지를 커피 카트리지의 바닥부로부터 상승시키므로, 온수는 커피 카트리지의 바닥부를 회피하여 통과하지 않는다. 커피는 깔대기 삽입체로부터 배출 구멍을 통해 배출되어 커피 포트에 모이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이하의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양호하게 이해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본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수반되는 도면이 이하에서 간단히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커피 제조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커피 제조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깔대기 삽입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4는 깔대기 삽입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커피 제조기(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커피 제조기(20)는 커피 제조기(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코드(23)를 포함한다. 커피 제조기(20)는 몸체부(22), 및 핸들(21)을 구비하는 고형 깔대기 삽입체(24)를 포함하며, 상기 깔대기 삽입체(24)는 커피 카트리지(26)를 수용한다. 고형 깔대기 삽입체(24)는 외측 컵부(27) 및 내측 컵부(25)를 포함한다.
작동자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깔대기 삽입체(24)를 이동시키도록 핸들(21)을 당긴다. 온수 탱크(도시되지 않음)는 커피를 제조하도록 가열되어 내측 컵부(25)의 커피 카트리지(26)를 통해 여과되는 물을 저장한다. 커피 카트리지(26)는 빻아진 커피를 수용하는 다공성 종이 쉘이다. 카트리지는 또한 포장하지 않은 차와 같은 다른 재료도 수용할 수 있다. 커피 카트리지(26)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도 있다.
작동자가 커피 제조 사이클을 개시하기를 원하면, 작동자는 제조 스위치(36)를 가압한다. 커피 제조기(20)가 비-자동식이면, 작동자는 물을 커피 제조기(20) 내로 붓는다. 제조 스위치(36)는 커피 제조 사이클을 개시하도록 작동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커피 제조기(20)는 커피의 적당한 양을 제조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온수 탱크의 물은 히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되어 가압된다.
가열된 물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66)를 통해 깔대기 삽입체(24) 내로 유동한다.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로부터 온 물은 외측 컵부(27)내로 유동하여 그 안에 모이게 된다. 물은 커피 카트리지(26)를 포화시켜 커피를 형성한다. 커피는 내측 컵부(25)의 배출 구멍(48)을 통해 유동하여 선반(34)에 지지된 커피 포트(32)에 모이게 된다.
일 예에서, 커피 제조기(20)는 제조되는 커피의 양을 조절하도록 가압될 수 있는 양 선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커피 제조기(20)는 또한 온수 분배 스위치 또는 온수 꼭지(42)를 포함한다. 온수 분배 스위치 또는 온수 꼭지(42)는 커피 카트리지(26)를 통해 유동하지 않는, 커피 제조기(20)로부터 나온 온수를 분배하도록 작동자에 의해 각각 가압되거나 또는 당겨진다. 분배된 온수는 차 등과 같은 다른 온음료를 제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커피가 제조될 준비가 되고 온수 탱크의 물이 가열되면, 제조 준비 광(44)이 밝혀진다.
도3은 본 발명의 깔대기 삽입체(24)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깔대기 삽입체(24)는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 강철로 제작될 수 있다. 깔대기 삽입체(24)는 외측 컵부(27)에 대해 내측 컵부(25)를 강성 부착시켜 중심 설정하고 외측 컵부(27)로부터 내측 컵부(25)를 이격시키는 아암(58)을 포함한다. 내측 컵부(25)와 외측 컵부(27) 사이의 공간은 변경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깔대기 삽입체(24)는 외측 컵부(27)에 대해 내측 컵부(25)를 중심 설정하는 4개의 아암(58)을 포함한다. 4개의 아암(58)이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임의의 수의 아암(58)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컵부(25)는 바닥부(50)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50)는 바닥부(50)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에 위치된 배출 구멍(48)을 구비한다. 바닥부(50)는 배출 구멍(48)쪽으로 수평면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내측 컵부(25)는 또한 바닥부(50)에 대해 각이 진 측벽(52)을 포함한다. 바닥부(50) 및 측벽(52)은 커피 카트리지(26)를 수용하는 구획부(54)를 한정한다. 외측 컵부(27)는 또한 배출 구멍(48)과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배출 구멍(64)을 포함한다.
바닥부(50)의 배출 구멍(48)의 크기는 원하는 커피 맛을 얻을 수 있도록 조 절될 수 있다. 배출 구멍(48)이 보다 클수록, 커피 카트리지(26)를 수용하는 배출 구멍의 증가된 크기로 인해 온수는 보다 신속하게 구획부(54)를 통해 배출되어, 커피는 보다 약하게 제조된다. 배출 구멍(48)이 보다 작을수록, 배출 구멍(48)의 감소된 크기로 인해 온수는 보다 느리게 구획부(54)를 통해 배출되어, 커피는 보다 진하게 제조된다.
깔대기 삽입체(24)의 내측 컵부(25)는 또한 배출 구멍(48)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바닥부(50) 상의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0, 62)를 포함한다.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0)는 배출 구멍(48)으로부터 내측 컵부(25)의 측벽(52)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2)는 배출 구멍(48)으로부터 깔대기 삽입체(24)의 측벽(52)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된다.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0, 62)는 커피 카트리지(26)를 깔대기 삽입체(24)의 바닥부(50)로부터 상승시켜, 온수가 커피 카트리지(26) 아래에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즉, 온수는 바닥부(50)와 커피 카트리지(26)의 바닥 표면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는 온수에 의해 접촉되는 커피 카트리지(26)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커피 카트리지(26)의 제조 강도를 증가시킨다.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2)는 커피 카트리지(26)가 깔대기 삽입체(24)의 측벽(5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2)는 또한 깔대기 삽입체(24)에 대해 커피 카트리지(26)를 중심 설정한다.
일 예에서,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0, 62)는 교호식이다. 즉, 각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0)는 2개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2) 사이에 존재한다. 일 예에서, 6개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0) 및 6개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2)가 존재한다. 그러나, 임의의 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0, 62)가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커피를 제조할 때, 커피 카트리지(26)는 깔대기 삽입체(24)의 내측 컵부(25)에 위치된다. 깔대기 삽입체(24)가 커피 제조기(20) 내로 삽입되면, 커피 카트리지(26)는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46) 근처에 존재하여, 커피 카트리지(26)가 부유하는 것이 방지된다. 커피 제조기(20)가 작동되면,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로부터의 온수는 깔대기 삽입체(24)의 내측 컵부(25)의 구획부(54)를 채우고, 커피 카트리지(26)를 완전 포화시켜, 커피가 형성된다.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60, 62)는 커피 카트리지(26)를 커피 카트리지(26)의 바닥부(50)로부터 상승시키므로, 온수는 커피 카트리지(26)의 바닥부를 회피하여 통과하지 않고, 그 아래에서 유동하게 된다. 커피는 깔대기 삽입체(24)로부터 배출 구멍(48)을 통해 배출되고, 외측 컵부(27)의 배출 구멍(64)을 통해 유동하며, 제공을 위해 커피 포트(32)에 모이게 된다. 측벽(52)은 또한 커피를 구획부(54)로부터 배출시키는데 조력한다.
상술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할 뿐이다. 많은 변형 및 변화가 상기 가르침을 고려하여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하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내용을 결정하도록 연구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커피 제조기이며,
    외측 컵부와, 외측 컵부에 수용되는 내측 컵부를 포함하는 제거 가능한 삽입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컵부는 배출 구멍을 구비하는 바닥부 및 구획부를 한정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는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를 포함하는 커피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커피 카트리지가 상기 내측 컵부에 수용되는 커피 제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는 상기 내측 컵부내로 유동하는 온수를 배출하는 커피 제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컵부는 외측 컵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중심 설정되어 있는 커피 제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컵부는 아암에 의해 상기 외측 컵부에 부착되는 커피 제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각이 진 커피 제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는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상기 측벽으로 연장되는 커피 제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는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상기 측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커피 제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상기 측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상향 연장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제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 및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상향 연장 돌기부는 실질적으로 교호식으로 배치되는 커피 제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컵부는 외측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커피 제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바닥부에서 중심에 위치되는 커피 제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실질적으로 고형인 커피 제조기.
  14. 커피 제조기이며,
    외측 컵부와, 외측 컵부에 수용되는 내측 컵부를 포함하는 제거 가능한 삽입체와,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컵부는 배출 구멍을 구비하는 바닥부 및 구획부를 한정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기 스프레이 헤드는 온수를 상기 내측 컵부의 상기 구획부 내로 배출하는 커피 제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상기 측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벽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길다란 융기형 상향 연장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제조기.
KR1020077003846A 2004-10-20 2005-10-11 커피 카트리지용 깔대기 삽입체 KR20070034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69,265 US20060081132A1 (en) 2004-10-20 2004-10-20 Funnel insert for coffee cartridge
US10/969,265 2004-10-20
PCT/US2005/036280 WO2006044284A2 (en) 2004-10-20 2005-10-11 Funnel insert for coffee cart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117A true KR20070034117A (ko) 2007-03-27

Family

ID=3617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846A KR20070034117A (ko) 2004-10-20 2005-10-11 커피 카트리지용 깔대기 삽입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81132A1 (ko)
EP (1) EP1802221A4 (ko)
JP (1) JP2008516728A (ko)
KR (1) KR20070034117A (ko)
CN (1) CN101043834A (ko)
AU (1) AU2005295956A1 (ko)
RU (1) RU2007115393A (ko)
WO (1) WO20060442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3217A1 (en) * 2005-09-29 2008-09-18 Carrier Commercial Refrigeration, Inc. Brewing System and Methods
US8707855B2 (en) 2011-05-09 2014-04-29 Eko Brands, Llc Beverage Brewing Device
US20140013958A1 (en) * 2012-07-12 2014-01-16 Select Brands, Inc. Hybrid coffee maker with multiple brewing modes
USD732906S1 (en) 2013-09-25 2015-06-30 Chris S. Anderson Brew funnel drip cup
FR3010881A1 (fr) * 2013-09-26 2015-03-27 Finam Adaptateur a introduire dans une machine a cafe filtre de menage, permettant l'utilisation de doses de cafe
AU2014352005B2 (en) * 2013-11-22 2016-11-24 Unilever Plc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CN106618215B (zh) * 2015-11-03 2020-01-31 威斯达电器(中山)制造有限公司 咖啡机及其咖啡篮
USD1048792S1 (en) 2023-04-12 2024-10-29 Sharkninja Operating Llc Coffee machine
USD1048793S1 (en) 2023-05-02 2024-10-29 Sharkninja Operating Llc Coffee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1349A (en) * 1968-05-20 1971-02-09 Farmer Bros Co Brewing means for prepackaged coffee
US3450024A (en) * 1968-06-17 1969-06-17 Bunn O Matic Corp Coffee making machine with holder for prepackaged ground coffee
CA2083324A1 (en) * 1992-02-03 1993-08-04 Shirdan J. Grykiewicz Brew basket
US5910205A (en) * 1997-07-24 1999-06-08 Cafe 98 Industries Limited Brew basket for coffee-making machine
US6805042B2 (en) * 2002-05-10 2004-10-19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Division Of Conopco, Inc. Apparatus for brewing a be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16728A (ja) 2008-05-22
EP1802221A2 (en) 2007-07-04
RU2007115393A (ru) 2008-10-27
EP1802221A4 (en) 2008-12-03
AU2005295956A1 (en) 2006-04-27
US20060081132A1 (en) 2006-04-20
CN101043834A (zh) 2007-09-26
WO2006044284A2 (en) 2006-04-27
WO2006044284A3 (en) 200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9329B1 (en) A beverage maker incorporating multiple beverage collection chambers
EP1978854B1 (en) Coffee brewer
JP4499105B2 (ja) コーヒー入れ器
JP5037130B2 (ja) 消費に適する飲料の調製
RU26765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ва напитка
CA2225015C (en) Apparatus for quick brewing of tea
KR20070034117A (ko) 커피 카트리지용 깔대기 삽입체
US20070131119A1 (en) Coffee maker having a filter support incorporating a sieve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WO2015038809A1 (en) Tea brew basket
JP2006512947A (ja) 飲料の均一な分配をする容器受入ユニット
CN220862277U (zh) 冲洗装置
JP6552295B2 (ja) 飲料抽出器および飲料製造装置
KR200354880Y1 (ko) 커피 메이커
CN219680350U (zh) 一种两用咖啡手柄及咖啡机
CN210765232U (zh) 啤酒酿造机用料包盒
CN211380767U (zh) 烹饪器具
CN115413931A (zh) 烹饪器具的分离装置和具有其的烹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