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684B1 - Portable coffee machine - Google Patents
Portable coffee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5684B1 KR101575684B1 KR1020140067175A KR20140067175A KR101575684B1 KR 101575684 B1 KR101575684 B1 KR 101575684B1 KR 1020140067175 A KR1020140067175 A KR 1020140067175A KR 20140067175 A KR20140067175 A KR 20140067175A KR 101575684 B1 KR101575684 B1 KR 101575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water supply
- button
- coffee
- cylindrical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를 소형화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두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ffee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offee maker capable of easily making and drinking a coffee bean regardless of a place because it can be easily carried by miniaturizing the volume.
최근 점점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맛과 향취가 우수하며 카페인의 함량이 적은 원두 커피를 선호하고 있다.In recent years, interest in health ha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and coffee beans with excellent taste and flavor and low caffeine content are preferred.
그러나 원두 커피는 커피분말에 끓인 물을 융합하여 거름망 등의 필터 수단을 통해 추출액만을 받아 음용하는 것으로, 이를 마시기 위해서는 커피분말, 커피분말과 끓는 물을 융합하는 잔, 커피 추출액을 받는 잔 등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손쉽게 커피메이커를 이용한다.However, the coffee beans are made by mixing the boiled water with the coffee powder, and drinking only the extract solution through the filter means such as the sieve. To drink this, the coffee powder, the glass fused with the coffee powder and the boiling water, Therefore, coffee makers are generally used easily at home or office.
하지만, 상기 커피메이커는 휴대 및 이동에 어려움이 있어 외부에서 사용되기 불편하여, 야외 활동시에는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원두커피를 음용하고 싶은 경우 비싼 비용을 들여 판매되는 제품을 구입하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coffee maker is difficult to carry and move, the coffee maker is inconvenient to use outside, and when it is hard to use in outdoor activities, it is a case to purchase a product to be sold at a high cost when it is desired to drink coffee beans.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여 어느 곳에서나 원두 커피를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는 기구의 개발이 절실하다.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be easily carried and extracted from coffee beans at any plac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11622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8592호 등이 있다.A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16227,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78592,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를 소형화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원두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coffee maker which can be easily carried by miniaturizing its volu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물공급부, 물공급부 하부면에 적층하여 설치되며, 차폐부와 개폐부가 형성된 개폐판, 상기 물공급부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개폐판의 전진 및 후진작동을 도모하는 개폐부재,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드리퍼가 지지되도록 뚫려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드리퍼 하우징, 상기 드리퍼 하우징의 결합홈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되, 하부면에 추출홈이 형성되는 드리퍼, 상기 드리퍼 내측 하부면에 착탈되도록 삽입되는 필터, 상기 드리퍼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피저장부 및 상기 커피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두저장부로 구성되되, 상기 개폐부재는 버튼구동수단이 작동되도록 전단에 형성된 버튼 및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버튼이 장착되어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개폐판의 전진 및 후진작동이 반복되도록 하는 버튼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water supply part formed in a receiving space therein,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outlet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 opening /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lower out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configur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 droplet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drier housing and has an extraction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filter which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ropler, A coffee storage unit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a bean storage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ffee storage unit,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cludes a button formed at a front end for operating the button driving means, And a button driving unit coupled to an outside of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having a button mounted at one end thereof for repeatedly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s the button is pressed.
또한, 상기 버튼구동수단은 버튼이 장착되는 제1원통부재, 제1원통부재의 일단과 맞물리는 제2원통부재, 제2원통부재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물공급부의 하부 외주면에 물공급부로부터 돌출 결합되며,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재, 제2원통부재, 샤프트 및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버튼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한다.The button driv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cylindrical member to which the button is mounted, a second cylindrical member to be engaged with one end of the first cylindrical member, a shaft into which th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ylindrical member, And a button box into which a first cylindrical member, a second cylindrical member, a shaft, and an elastic member are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ortion, A manufacturing machine is provided.
또한, 상기 버튼의 일면에는 상기 제1원통부재의 장착을 위한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한다.Further, a first joint part for mounting the first cylindrical memb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utton.
또한, 상기 필터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는 착탈되도록 스크류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lter, and a screw is further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또한, 상기 원두저장부는 개구된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공간이 구획되도록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ffee bean storage unit is formed with a partition wall so that a space is defi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opening.
본 발명은 부피를 소형화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레저활동이나 여행중에도 원두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by miniaturizing the volum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nd drink coffee beans even during leisure activities or traveling.
본 발명은 원두 커피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bean can be separately stored,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개폐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제조기의 '개폐판'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ffe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ffe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a portable coffe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coffe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of a portable coffe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용 커피 제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rtable coffee mak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제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물공급부(100), 물공급부(100) 하부면에 적층하여 설치되며, 차폐부와 개폐구가 형성된 개폐판(120), 상기 물공급부(100)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개폐판(120)의 전진 및 후진작동을 도모하는 개폐부재(200),상기 물공급부(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결합홈(330)이 형성되어 드리퍼(320)가 장착되는 드리퍼 하우징(300), 상기 드리퍼 하우징(300)의 결합홈(300)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되, 하부면에 추출구(321)가 형성되는 드리퍼(320), 상기 드리퍼 내측 하부면에 착탈되도록 삽입되는 필터(330), 상기 드리퍼 하우징(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피저장부(400) 및 상기 커피저장부(4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두저장부(500)로 구성되되, 상기 개폐부재(200)는 버튼구동수단(220)이 작동되도록 전단에 형성된 버튼(210) 및 상기 물공급부(100)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버튼(210)이 장착되어 상기 버튼(210)을 누름에 따라 개폐판(120)의 전진 및 후진작동이 반복되도록 하는 버튼구동수단(220)으로 구성된다.The portabl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물공급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수용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110)가 형성된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100)의 측벽 외주면에는 눈금선을 표시하여, 투입되는 물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scale line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wall of the
상기 물공급부(100)의 하부면에는 몸체에 개폐부(121)와 차폐부(122)가 형성된 개폐판(120)이 적층하여 설치된다.The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120)은 물공급부(100)의 하부면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개폐판(120)이 인입되면 물공급부(100)에 형성된 배출구(110)와 개폐판(120)에 형성된 개폐부(121)가 상하 연통되어 결과적으로 물공급부(100)의 배출구(110)는 개방되고, 상기 개폐판(120)이 인출되면 물공급부(100)에 형성된 배출구(110)의 상부에는 개폐부(121)와 엇갈리며 결과적으로 물공급부(100)의 배출구(110)는 폐쇄된다.4A and 4B, the opening an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제조기는 개폐판(120)의 인입, 인출에 따라 물공급부(100)에 형성된 배출구(110)의 개방 또는 폐쇄가 택일하여 설정되며, 상기 물공급부(100)의 개폐를 위한 개폐판(120)의 이동은 후술하는 개폐부재(20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portabl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00)는 물공급부(100)의 하부 외측에 고정되어 내측 수용공간에 저장된 물을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온/오프 장치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pening and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200)는 버튼구동수단(220)이 작동되도록 전단에 형성된 버튼(210), 상기 물공급부(100)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버튼(210)이 장착되어 버튼(210)을 누름에 따라 개폐판(120)의 전진 및 후진작동이 반복되도록 하는 버튼구동수단(220)으로 구성된다.2B, the opening and
상기 버튼(210)은 누르는 동작에 의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즉, 버튼(210)을 한 번 누르면 개폐판(120)이 인입되어 배출구(110)가 열리고, 상기 개폐판(120)이 인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버튼(210)을 한 번 더 누르면 개폐판(120)이 인출되어 배출구(110)가 폐쇄되어 상기 개폐판(120)이 인출된 상패로 고정된다.The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구동수단(220)은 버튼(210)이 이러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버튼(210)이 장착되는 제1원통부재(221), 제1원통부재(221)의 일단과 맞물리는 제2원통부재(222), 제2원통부재(222)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샤프트(223), 샤프트(223)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24), 물공급부(100)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되며, 제1원통부재(221), 제2원통부재(222), 샤프트(223) 및 탄성부재(224)가 삽입되는 버튼박스(225)로 구성된다.2B, the button driving means 220 includes a first
이와 같이 구성된 버튼구동수단(220)을 이용함으로써 버튼(210)을 누르는 동작의 반복에 의해 배출구(110)를 닫거나 열 수 있다.By using the button driving means 2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버튼(210)의 일면에는 제1원통부재(221)와 버튼(210)을 연결 또는 장착하기 위한 제1체결부(211)가 형성된다.A
상기 제1체결부(211)에는 제1원통부재(221)와의 체결을 위해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볼펜과 유사한 동작을 하기 위하여 버튼구동수단(220)의 제1원통부재(221), 제2원통부재(222) 및 버튼 박스(22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The first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통부재(221)의 일단에는 버튼(210)의 제1체결부(211)가 연결되고, 하측의 타단에는 제2원통부재(222)의 상부가 삽입된다. 제1원통부재(221)의 하부 타단에는 지그재그 모양 또는 삼각형 모양의 요철(2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원통부재(222)에는 제1원통부재(221)의 요철과 형합되는 요철(22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원통부재(222)의 상단은 제1원통부재(221)의 내부에 삽입된다.2B, the
제2원통부재(222)의 최외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222b)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돌기(222b)는 제2원통부재(222)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동일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econd
제1원통부재(221)의 요철(221a)과 제2원통부재(222)의 요철(222a)이 서로 맞물리거나 형합된 상태에서 버튼(210)을 누르면 제1원통부재(221)와 제2원통부재(222)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요철(221a, 222a)의 맞물린 부분도 회전하게 된다.When the
한편, 제2원통부재(222)의 상단은 막혀 있으며, 제2원통부재(222)에 샤프트(223)의 상단이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223)는 탄성부재(224)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23)에는 탄성부재(224)의 상단이 접촉 지지되는 걸림부(223a)가 형성되고, 샤프트(223)하부에는 버튼박스(225)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외경면이 단턱지게 축소된다.2B, the
상기 순차적으로 삽입연결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는 버튼(210), 제1원통부재(221) 및 제2원통부재(222) 및 샤프트(223), 탄성부재(224)는 버튼박스(225)에 삽입한다.The
도 1 내지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박스(225)는 물공급부(100)의 하부 외측에 돌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상기 버튼박스(225)는 물공급부(110)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물공급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튼박스(225)를 물공급부(110)에 결합하는 경우 연결되는 부위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버튼박스(225)가 나사결합되는 결합방식, 상기 물공급부(110)와 버튼박스(225)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간에 결합되는 방식 등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The
상기 버튼박스(225)의 상부 내면에는 제2원통부재(222)의 돌기(222b)와 형합될 수 있는 가이드 요철부(225a)가 형성되고, 가이드 요철부(225a)의 하부에는 요철(222a)의 상단 끝단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요철부(225b)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요철부(225b)는 버튼(210)을 누름에 따라 제2원통부재(222)의 요철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작동에 의해 샤프트(223)가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샤프트(223)와 결합된 개폐판(120)이 배출구를 닫거나 열 수 있다. 눌려진 버튼(210)은 탄성부재(224)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The
상기 버튼(210)과 버튼구동수단(220)의 작동 원리는 노크식(knock) 볼펜의 작동원리와 동일하다. 예를 들면, 볼펜 중에서 한 번 누르면 볼펜심이 나와서 필기를 할 수 있고 한 번 더 누르면 볼펜이 들어가는 볼펜의 작동 원리와 동일하다. 이에 상기 제1원통부재(221), 제2원통부재(222)의 작동원리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상기 버튼구동수단(220) 중 상기 샤프트(223)의 하단은 개폐판(120)과 결합됨으로써 버튼(210)을 누름에 따라 개폐판(120)의 전진 및 후진작동이 반복되어 물공급부의 배출구(110)를 닫거나 열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도 4a 및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23) 하단과 개폐판(120)을 결합하는 방법은 개폐판(120)에 샤프트 삽입결합홈을 형성하여 끼움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223)와 개폐판(12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간에 결합되는 방식 등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4A and 4B, a method of engaging the lower end of the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100)의 하부에는 드리퍼 하우징(300)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1 and 3, the
상기 드리퍼 하우징(300)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드리퍼(320)가 지지되도록 뚫려 형성된 결합홈(310)이 형성되어 드리퍼(320)가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게 안착된다.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부(100) 하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삽입결합홈을 형성하고, 드리퍼 하우징(300)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결합홈과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물공급부(100)의 각 걸림돌기를 드리퍼 하우징(300)의 삽입결합홈에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물공급부(110)의 삽입결합홈의 형태 및 드리퍼 하우징에 마련되는 결합돌기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고, 물공급부(100)와 드리퍼하우징(300)의 결합형태도 나사결합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in the tempor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리퍼(320)는 드리퍼 하우징(3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310)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됨으로써 드리퍼 하우징(300)에 고정된다.2A, the drier 320 is fixed to the
상기 드리퍼(320)은 원두커피 분말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이되,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이며, 하부면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추출구(321)가 형성된다.The
도 2a에서는 상기 추출구(321)를 3개를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드리퍼(320)의 용량에 따라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ree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리퍼(320)의 하부 내측면에는 필터(330)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A, a
상기 필터(330)는 원두커피 분말로부터 원두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분말을 거르기 위한 망 구조물로, 드리퍼(320) 하부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물공급부(100)의 배출구(110)가 개방되면 물공급부(100)내의 물이 드리퍼 하우징(300)내 드리퍼(320)로 공급이 이루어지면, 소정시간이 흐르면서 커피원액이 필터(330)를 거쳐 추출홈((321)을 통해 커피저장부(400)로 배출된다.When the water in the
상기 필터(330)에는 후술할 스크류(340)를 고정되게 안착시키기 위한 장착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필터(330)의 장착홈(331)에는 수직되게 스크류(340)가 착탈되도록 결합된다.The
상기 필터(330)의 장착홈(331)은 드리퍼(320)에 형성된 추출홈(3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상기 스크류(340)는 필터(330)에 형성된 장착홈(331)에 끼워짐으로써 드리퍼(220)에 고정된다.The
상기 스크류(340)는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바리스타가 주전자를 들고 드리퍼에 원을 그리며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Since the
상기 스크류(340)는 방사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나선의 깔데기 형태로, 드리퍼(320)의 외경부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나선 형태로 하향 연장되므로 물저장부(100)로부터 공급받은 물은 드리퍼(320)내에서 나선 형태의 궤적을 그리며 이동한다.Since the
상기 물공급부(100)내의 물이 드리퍼(320)로 공급이 이루어지면, 소정시간이 흐르면서 커피원액 중 일부는 스크류(340)를 통해 나선형태로 회전되면서 필터(330)를 거쳐 추출홈(321)을 통해 커피저장부(400)로 배출된다.When the water in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리퍼 하우징(300)의 하부에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피저장부(4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3, a
상기 커피저장부(400)는 드리퍼(320)의 추출구(321)로부터 추출된 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컵의 역할도 동시에 한다.The
상기 커피저장부(400)은 스테일리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커피로 인한 변색을 방지하고 세척에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는 드리퍼하우징(300) 하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삽입결합홈을 형성하고, 커피저장부(400)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결합홈과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드리퍼 하우징(300)의 각 걸림돌기를 커피저장부(400)의 삽입결합홈에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드리퍼 하우징(300)의 삽입결합홈의 형태 및 커피저장부(400)에 마련되는 결합돌기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고, 드리퍼 하우징(300)와 커피저장부(400)의 결합형태도 나사결합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3,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저장부(400)의 하부에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두저장부(5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3, a
상기 원두저장부(500)는 개구된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공간이 구획되도록 격벽(510)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두저장부(500)의 격벽은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담아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는 커피저장부(400) 하단부 내주면에는 다수의 삽입결합홈을 형성하고,원두저장부(500)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결합홈과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원두저장부(500)의 각 걸림돌기를 커피저장부(400)의 삽입결합홈에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커피저장부(400)의 삽입결합홈의 형태 및 원두저장부(500)에 마련되는 결합돌기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고, 커피저장부(400)와 원두저장부(500)의 결합형태도 나사결합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in the insta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sert-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상기 물공급부(100), 드리퍼하우징(300), 커피저장부(400), 원두저장부(500)가 상호 결합된 휴대용 커피제조기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ortable coffee maker having the
상기 구성에 의한 휴대용 커피 제조기에서 원두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for producing coffee beans in the portabl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is as follows.
결합된 물공급부(100), 드리퍼(320)가 장착된 드리퍼하우징(300), 원두저장부(500)를 분리하여 개방한다.The combined
드리퍼(320) 내부에 필터(330)를 넣고 필터(330)의 장착홈(331)에 스크류(340)를 장착 거치시킨 후에 원두저장부(500)에 수용되어 있는 적당량의 원두커피 분말을 드리퍼 하우징(320) 결합홈(310)에 거치되어 있는 드리퍼(320)에 스크류(340)가 덮어질 정도로 채우고, 드리퍼 하우징(300)의 상측을 물공급부(100)의 하측과 결합시킨다.After the
이후 상기 물공급부(100)에 적당량의 뜨거운 물을 충진시킨다. 버튼(210)을 눌러 배출구(100)를 개폐시켜 드리퍼(320)에 물을 공급한다. 즉, 버튼(210)을 누르면 개폐판(120)이 인입되어, 배출구(110)과 개폐부(121)가 일치되므로 물공급부(100)의 배출구(110)가 개방되어 물공급부(110)내의 물이 배출구(110)을 통해 드리퍼 하우징(300)내 드리퍼(320)로 공급된다.Then, the
드리퍼(320)내에 물공급이 이루어지면, 소정시간이 흐르면서 커피원액이 필터(330)를 거쳐 드리퍼 추출홈(321)을 통해 커피저장부(400)로 배출되는데, 커피원액 중 일부는 스크류(340)를 통해 나선형태로 회전되면서 추출홈(321)을 통해 추출된다.When the water is supplied into the drier 320, the coffee raw solu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적당량의 커피가 커피저장부(400)에 담기면, 버튼(210)을 한 번 더 눌러 배출구(110)을 폐쇄하여 물공급부(100)를 통한 물공급을 중단한다. 즉, 버튼(210)을 한 번 더 누르며, 개폐판(120)이 인출되어 배출구(110)와 개폐판(121)이 어긋나므로 물공급부(100)의 배출구(110)가 폐쇄되어 물이 드리퍼(320)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된다.If an appropriate amount of coffee is contained in the
드리퍼 하우징(300)과 결합되어 있는 커피저장부(400)를 개방한 후, 이를 이용해 커피를 마실 수 있다.After open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피를 소형화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두커피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by miniaturizing the volume, so that the coffee bean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consumed at any place.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can be modified and embodied in various embodiments.
100: 물공급부
110: 배출구 120: 개폐판
200: 개폐부재
210: 버튼 220: 버튼구동수단 221: 제1원통부재 222: 제2원통부재
223: 샤프트 224: 탄성 부재 225: 버튼박스
300: 드리퍼 하우징
310: 결합홈 320: 드리퍼 330: 필터 340: 스크류
400: 커피저장부 500: 원두저장부100: water supply part
110: outlet 120: opening / closing plate
200: opening / closing member
210: button 220: button driving means 221: first cylindrical member 222: second cylindrical member
223: shaft 224: elastic member 225: button box
300: Dripler housing
310: coupling groove 320: drifter 330: filter 340: screw
400: coffee storage part 500: bean storage part
Claims (5)
물공급부 하부면에 적층하여 설치되며, 개폐부와 차폐부가 형성되는 개폐판;
상기 물공급부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개폐판의 전진 및 후진작동을 도모하는 개폐부재;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드리퍼가 지지되도록 뚫려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드리퍼 하우징;
상기 드리퍼 하우징의 결합홈에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되, 하부면에 추출홈이 형성되는 드리퍼;
상기 드리퍼 내측 하부면에 착탈되도록 삽입되는 필터;
상기 드리퍼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피저장부; 및
상기 커피저장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두저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버튼구동수단이 작동되도록 전단에 형성된 버튼 및 상기 물공급부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버튼이 장착되어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개폐판의 전진 및 후진작동이 반복되도록 하는 버튼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제조기.A water supply unit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outlet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 opening / closing plate stacked on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art and having an opening / closing part and a shielding part;
An opening / closing memb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opening / closing plate;
A drier hous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support a driper;
A drier detachably inserted into a coupling groove of the drier housing and having an extraction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 filter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roplet;
A coffee storage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rier housing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coffee storage compartmen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ffee storage compartment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include a button formed at the front end to operate the button driving means And a button driving unit coupled to an outside of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having a button mounted at one end thereof to repeat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s the button is pressed.
상기 버튼구동수단은 버튼이 장착되는 제1원통부재, 제1원통부재의 일단과 맞물리는 제2원통부재, 제2원통부재의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물공급부의 하부 외주면에 물공급부로부터 돌출 결합되며,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재, 제2원통부재, 샤프트 및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버튼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tton driving means includes a first cylindrical member to which the button is mounted, a second cylindrical member to be engaged with one end of the first cylindrical member, a shaft into which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ylindrical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A button box into which a first cylindrical member, a second cylindrical member, a shaft, and an elastic member ar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the first cylindrical member being protru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and formed of one module.
상기 필터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에는 착탈되도록 스크류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has a mount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a screw is further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to be detachable.
상기 원두저장부는 개구된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공간이 구획되도록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제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ffee bean storage part is formed with a partition so that a space is defined from an upper part of the coffee bean storage space to a lower part there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7175A KR101575684B1 (en) | 2014-05-30 | 2014-05-30 | Portable coffee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7175A KR101575684B1 (en) | 2014-05-30 | 2014-05-30 | Portable coffee mach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5684B1 true KR101575684B1 (en) | 2015-12-08 |
Family
ID=5487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7175A KR101575684B1 (en) | 2014-05-30 | 2014-05-30 | Portable coffee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568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1582U (en) * | 2017-12-18 | 2019-06-26 | 강현식 | Dispersion device of coffee powder applied to coffee machi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1377Y1 (en) | 2001-07-04 | 2001-11-17 | 황성철 | Density-controllable coffee maker |
KR200278592Y1 (en) | 2002-03-05 | 2002-06-20 | 엄기탁 | a portable coffee maker |
KR101116227B1 (en) | 2011-06-27 | 2012-02-20 | 이린아 | Portable espresso machine |
-
2014
- 2014-05-30 KR KR1020140067175A patent/KR10157568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1377Y1 (en) | 2001-07-04 | 2001-11-17 | 황성철 | Density-controllable coffee maker |
KR200278592Y1 (en) | 2002-03-05 | 2002-06-20 | 엄기탁 | a portable coffee maker |
KR101116227B1 (en) | 2011-06-27 | 2012-02-20 | 이린아 | Portable espresso machin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1582U (en) * | 2017-12-18 | 2019-06-26 | 강현식 | Dispersion device of coffee powder applied to coffee machine |
KR200490342Y1 (en) | 2017-12-18 | 2019-10-31 | 강현식 | Dispersion device of coffee powder applied to coffee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308399A1 (en) | Receptacle device for holding coffee capusle | |
EP1829797A4 (en) | Ejecting container | |
CA2978338C (en) | Coffee making apparatus with a froth spoon and at least one impeller | |
KR101011692B1 (en) | a hand mill with all-in-one fillter | |
CN205458121U (en) | Coffee recombiner | |
KR101575684B1 (en) | Portable coffee machine | |
KR200469512Y1 (en) | Coffee basket for drip coffee | |
KR102536304B1 (en) | A juicer comprising micro holes | |
KR101648624B1 (en) | Cartridge for infusing beverage and device for both infusing beverage using the same | |
CN104523148A (en) | Grinding and brewing device of coffee machine | |
KR100995873B1 (en) | a device for extract coffee having hand mill | |
KR101544308B1 (en) | canister grinder | |
KR101707084B1 (en) |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 |
CN205286049U (en) | Multifunctional beverage machine | |
KR101595475B1 (en) | Water Purifier Incorporated with a Beverage Extractor Having a Function of Providing an Americano Coffee | |
KR20070034117A (en) | Funnel inserts for coffee cartridge | |
CN106136777B (en) | A kind of reusable capsule drink reconstitutes cup | |
CN102835812B (en) | The structure-improved of rotary lipstick box | |
CN203953164U (en) | Multifunctional carry-on cup | |
CN209153029U (en) | Food processor | |
KR101632016B1 (en) |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 |
KR20160066864A (en) | Juicer | |
KR200458422Y1 (en) | A portable infuser of water bottle for drinking tea | |
CN103547196A (en) | Insert module for a beverage capsule | |
EP2404533A1 (en) | Receptacle device for holding coffee caps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