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448B1 - 시트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트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5448B1 KR101505448B1 KR1020110088127A KR20110088127A KR101505448B1 KR 101505448 B1 KR101505448 B1 KR 101505448B1 KR 1020110088127 A KR1020110088127 A KR 1020110088127A KR 20110088127 A KR20110088127 A KR 20110088127A KR 101505448 B1 KR101505448 B1 KR 1015054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examples
- poly
- res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2—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 diox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개발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재로 하되, 강도 조절제, 연성제, 충전제 및 활제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기존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제품류의 환경 유해 논란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함과 동시에 이들 제품류 대비 동등 수준의 기계적, 열적 물성, 가공성, 인쇄 적성, 엠보 및 표면 처리 등의 후가공성 및 탁월한 방염 특성과 연신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존 폴리염화비닐 수지 제품류 대체제로 등장한 열가소성 플라스틱류의 최대 단점인 소규모 생산 방식인 압출 생산 방식을 극복한 대량 생산 방식인 카렌다 가공법을 적용한 것을 최대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재로 하여 강도 조절제, 연성제, 치수안정제, 충격보강제, 충전제, 은폐력 향상제, 발포제, 발포셀 조정제, 난연제, 방염제, 방담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3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주거, 사무 공간에 주로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 소재는 국내외에서 환경오염 및 인체 유해성 논란으로 인해 환경부 및 관계 당국으로부터 어린이용 장난감이나 식품 포장재, 병원용 링거백 등의 용도로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사용되지 않도록 권고 및 제한 받고 있으며, 해외, 특히 유럽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함유된 제품 자체의 수출입 통관을 규제하는 등의 사용 제한이 꾸준하게 진행되어오고 있다. 그 주된 원인은 폴리염화비닐 소재의 제품류들이 화재 또는 재활용이 어려워 폐기물로 소각될 시 인체에 치명적인 다량의 염화수소(HCl) 등의 유독 가스류와 다이옥신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는 폴리염화비닐 소재는 근원적으로 단독으로는 제품화가 되지 않아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사용되는 가소제, 안정제, 난연제, 안료등의 가공 첨가제류가 인체에 매우 유독하여 야기되는 것이다. 가공 첨가제의 경우 폴리염화비닐 소재의 작업성과 유연성을 부여하기 사용되는 프탈레이트 계열의 가소제는 환경호르몬 물질로 인간 및 자연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국내의 경우 가소제 메이커 4사에서는 사용 제한 관련된 협약을 맺고 있으며, 안정제류와 안료 등은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류를 함유하고 있어 인간 및 자연생태계에 매우 치명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 제품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환경 친화적인 범용 플라스틱을 적용한 대체제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대체재들은 동절기에 연성이 부족하여 깨지는 특성 등의 물성상의 문제 및 후공정 시 인쇄 적성, 재단성 및 접착성이 열세하여 가공 첨가제를 추가 사용하여야 하는 비용 부담이 있으며, 압출 공법의 생산 및 소재 자체의 높은 가격으로 인하 고가의 비용 문제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를 주재로, 인체 및 자연생태계에 유해하지 않은 최소한의 가공 첨가제를 첨가하여 폴리염화비닐 제품류의 대체제로 출현한 환경 친화적 범용 플라스틱인 변성 폴리에틸렌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올페핀계 수지, 아크릴 수지등의 제품류의 인쇄 적성, 재단성, 접착성 등의 후가공성 및 물성 열세를 극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제품들은 탁월한 방염 특성을 갖고, 매우 우수한 연기밀도 특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여 내장재 용도에 취약한 화재시 발생되는 다량의 치명적인 유독가스류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펠렛(pellet) 형태의 고분자 소재가 카렌다 가공에 어려움이 있는 점을 극복하여 압출 공법 대비 생산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폴리비닐염화수지에 비하여 낮은 온도에서 가공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높아지고 비중을 낮출 수 있어 낮은 점도 가공업체의 제조 원가 절감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0.1~100 중량부, 연성제 0.1~5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0.1~30 중량부, 충전제 0.1~20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시트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시트용 수지 조성물에,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용화제 0.1~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시트용 수지 조성물에,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시트용 수지 조성물에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0.5~20 중량부 또는 난연제 0.1~20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용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과 함께 상기의 함량 범위를 갖는 첨가제의 조합을 반드시 포함함으로써 폴리염화비닐 제품류를 대체하면서 기계적 물성, 가공성, 인쇄적성, 재단성, 접착성 등의 후가공성, 또는 방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카렌다 가공이 가능하여 압출 공법 대비 생산비를 현저히 낮출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다.
상기 강도조절제는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은 플라스틱 소재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인열강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하는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고분자 수지로, 기계적 물성 향상 외에도 부수적으로 제품의 내열 특성과 치수안정성 개선 역할을 하며,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라틱액시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류의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락틱산 또는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성제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또는 글루타르산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도조절제는 펠렛형 또는 액상형이며, 수평균분자량 200~500인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강도조절제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다른 성분과의 조합으로 인한 물성 향상의 시너지 효과가 떨어져 제품의 내열성 또는 치수안정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인장강도, 인열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강도조절제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용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폴리올레핀과의 용융성을 개선하여 균일한 조성을 갖는 배합물을 수득함과 동시에 목적하는 물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에틸렌,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타입, 폴리프로필렌,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타입,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 타입 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타입을 사용할 수 잇다. 이때,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화합물은 용융지수(190도, ASTM D1238)가 0.3~0.9g/10min 이며, 밀도 0.5~2.0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다른 성분과의 조합을 통하여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 가공성, 치수안정성, 내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백토, 이산화티탄,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백색카본 또는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무기충전제 또는 멜라민 수지 또는 요소수지를 포함하는 유기충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제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다른 성분과의 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떨어지며 제품의 강성이 저하되고, 수축,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가공 도중 플라스틱에 첨가되어, 표면에 미세하게 코팅되어 고분자 가공 장비 간 및고분자-고분자 간 마찰을 줄여 제품의 생산성 증대 및 플라스틱 간 점착을 막아 시트나 필름 형상의 제품 사용을 용이하게 해주는 물질이며, 최종 제품의 내열성 향상과 완제품 권취시 시트끼리 달라붙는 문제를 해결하는 목적으로, 스테아릭산 또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제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용융점도가 너무 낮아져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다른 성분과의 조합에 있어 물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충격 보강제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후성 등은 좋지 않으나 충격강도가 우수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공중합체, 충격강도는 부타디엔 형태의 보강제보다는 낮으나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충격보강제(AIM) 또는 물성 측면보다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염소화 폴리에틸렌(CP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불투명용으로 사용한 충격 보강제는 겉보기 비중이 0.25g/cc 이상이며, 입도는 #10 mesh 미통과 입도가 3wt%, #200 mesh 통과 입도가 35wt% 이며, 휘발분은 1wt% 이하이며, 아이조드 충격강도(ISO 180)는 50 kg·cm/cm 이상(23℃ 1/4", 10 kg·cm/cm 이상(-30℃ 1/4"이며, 투명용 충격보강제는 겉보기 비중이 0.32g/cc 이상이며, 입도는 #24 mesh 미통과 입도가 2wt%, #200 mesh 통과 입도가 20wt% 이며, 휘발분은 1wt% 이하이며, 아이조드 충격강도(ISO 180)는 80 kg·cm/cm 이상(23℃)이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경질 제품에 있어 깨지기 쉬워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고분자 소재와 각종 부원료가 첨가된 상태에 온도, 압력, 시간 등의 조건 및 물리, 화학, 기계적 방법으로 고분자 내에 가스를 주입 또는 인위적인 발생으로 인해 셀을 형성시켜 발포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첨가제로, 화학 발포제 중에서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아질산암모늄, 아지드화합물, 붕수소화나트륨, 경금속 등은 열분해시 흡열반응을 나타내며, 분해 양상이 불규칙적이고 기체 생성 속도가 다소 느린 무기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의 분해 생성 기체는 거의 이산화탄소로 수지에 대한 투과성이 크기 때문에 연속 기포(Open-cell) 구조의 발포체 제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ADCA), N, 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N, 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DNPA), 4, 4'-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4, 4'-Oxybis(benzenesulfonylhydrazide, OBSH), p-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p-Toluenesulfonylhydrazide, TSH)를 포함하는 유기 발포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 발포제와 유기 발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2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범위에서 다른 성분과의 조합을 통하여 제품의 경량화, 탄력성, 단열성, 방음성,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관이 우수하다.
상기 난연제는 인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할로겐계 화합물 및 수화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품의 경량화, 충격완화성, 쿠션감, 우수한 촉감성, 원가 절감, 치수안정성, 단열, 방음성, 부력, 흡수성, 장식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0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난연 및 방염성을 향상시키며, 다른 성분과의 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성제는 고분자 소재의 분해 온도 이하에서 가공할 수 있도록 해서 고분자의 가공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고분자 소재의 유연성(Flexibility)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단분자 형태의 액상 물질과 고분자 형태의 고상 물질을 말하며, 제품 제조시 마찰열 발생을 최소화시키거나 탄성, 점착성, 유연성 등의 물성 개선과, 제품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펠렛 형태의 고분자 물질을 쉽게 용융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성제로, 하기 구조식의 다이패티-101 또는 MTGA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에 대한 이들은 최적 함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사용되는 범용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대비 1/6 수준을 적용해도 동등 수준 이상의 기계적 물성과 경도를 나타내며, 내이행성(가소제 이행)은 매우 탁월하다.
또한, 상기 연성제는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레이트류를 중합반응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얻은 고상의 폴리 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류를 사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때, 연성제는 기계적 물성과 내열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85%,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15~5% 및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25~5%를 극성 용제로 처리시켜 얻은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A828(LG화학)을 일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연성제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0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다른 성분과의 조합을 통하여 용융성, 가공성을 놀라울 정도로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탄성, 점착성,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제품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은폐력 향상제는 완제품의 백색도 및 착색력, 미적 효과와 은폐력 개선을 위한 것으로 벽지용 또는 장식용 시트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탄성부여제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인조피혁류 발포 제품에 적용되어 탄성 개선 효과를 극대화 하며, 치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여제로는 NBR 또는 변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담제는 주로 포장용 랩에 사용되는 물질로 포장된 내용물(주로 야채, 과일, 음식물 포장)의 호흡이나 포장 내외면의 온도 차이 등으로인해 수분이 응축되며 이로인해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시에 내용물이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발생하고 내용물의 신선도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매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포장된 내용물에 응축된 물방울이 닿을 경우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담제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일양태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0.1~100 중량부, 연성제 0.1~50 중량부, 상용화제 0.1~5 중량부를 , 은폐력 향상제 0.1~30 중량부, 충전제 0.1~20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시트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양태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치수 안정제 2~50 중량부, 연성제 0.1~30 중량부,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또는 활제 0.1~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데코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중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그린폴)는 그 자체의 구조적 특수성과 가공 첨가제의 우수한 상용성으로 인해 인장과 인열 강도가 우수하며, 특히 신율(연신율)과 인쇄 적성은 범용 플라스틱 소재 대비 월등하게 뛰어난 점이 특징이고, 데코시트용 중에서도 고가의 멤브레인용(성형용)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물성이다. 특히 연기밀도 등의 방염 특성은 범용 플라스틱 소재 대비 1/600 수준으로 매우 뛰어나다.
이때, 데코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첨가되는 강도 조절제, 치수 안정제, 연성제, 충격보강제, 은폐력 향상제 또는 활제의 조합에 의해 투명/불투명 연질용 및 투명/불투명 경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연질용 데코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치수 안정제 2~50 중량부, 연성제 0.1~3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 연질용 데코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치수 안정제 2~50 중량부, 연성제 0.1~3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경질용 데코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치수 안정제 2~50 중량부,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 경질용 데코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치수 안정제 2~50 중량부,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구조적 특수성과 가공 첨가제의 우수한 상용성으로 인해 인장과 인열 강도가 우수하며, 특히 신율(연신율)과 인쇄 적성은 범용 플라스틱 소재 대비 월등하게 뛰어난 점이 특징이고 데코시트용 중에서도 고가의 멤브레인용(성형용)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물성이다. 또한 방염 특성(특히 연기밀도)은 범용 플라스틱 소재 대비 1/600 수준으로 매우 뛰어나다.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알킬렌옥사이드;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 또는 (C1-C20)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스타이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공중합으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텐 옥사이드, 펜텐 옥사이드, 헥센 옥사이드, 옥텐 옥사이드, 데센 옥사이드, 도데센 옥사이드, 테트라데센 옥사이드, 헥사데센 옥사이드, 옥타데센 옥사이드, 부타디엔 모녹사이드, 1,2-에폭사이드-7-옥텐, 에피플루오로하이드린,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글리시릴 메틸 에테르, 글리시딜 에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프로필 에테르, 글리시딜 2차부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 또는 이소펜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헥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헵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 옥틸 또는 2-에틸-헥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 또는 이소노닐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도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테트라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헥사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옥타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아이코실 에테르, 아이소프로필 글리시딜 에테르,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t-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펜텐 옥사이드, 사이클로헥센 옥사이드, 사이클로옥텐 옥사이드, 사이클로도데센 옥사이드, 알파-파이넨 옥사이드, 2,3-에폭사이드노보넨, 리모넨 옥사이드, 디엘드린, 2,3-에폭사이드프로필벤젠, 스타이렌 옥사이드, 페닐프로필렌 옥사이드, 스틸벤 옥사이드, 클로로스틸벤 옥사이드, 디클로로스틸벤 옥사이드, 1,2-에폭시-3-페녹시프로판, 벤질옥시메틸 옥시란, 글리시딜-메틸페닐 에테르, 클로로페닐-2,3-에폭사이드프로필 에테르, 에폭시프로필 메톡시페닐 에테르 바이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나프틸 에테르, 글리시돌 초산 에스테르, 글리시딜 프로피오네이트, 글리시딜 부탄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펜타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헥사노에이트, 글리시딜 헵타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옥타노에이트, 글리시딜 2-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노나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 도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테트라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헥사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옥타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아이코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또는 2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 알킬렌 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2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1~3이고,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CH2-O-R'(R'는 (C1-C8)알킬)이고, x는 5 내지 100의 정수이고, y는 0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에서 알킬렌은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 1-부틸렌, 사이클로헥센옥사이드, 알킬글리시딜에테르, n-부틸, n-옥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는 하기 화학식 2의 착화합물을 촉매를 이용하여, 히드록실 또는 카복시 산기를 단말기 또는 측쇄에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존재 하에,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알킬렌옥사이드;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 또는 (C1-C20)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스타이렌옥사이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 및 이산화탄소를 교대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코발트 3가 또는 크롬 3가이고;
A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고;
Q는 두 질소 원자를 연결하여 주는 다이라디칼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 (C2-C20)알케닐;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C20)알케닐; (C1-C20)알킬(C6-C20)아릴;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C1-C20)알킬; (C1-C20)알콕시; (C6-C30)아릴옥시; 포밀; (C1-C20)알킬카보닐; (C6-C20)아릴카보닐; 또는 하이드로카빌로 치환된 1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상기 R1 내지 R10 중 2개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1 내지 R10 및 Q가 포함하는 수소들 중 적어도 1 개 이상은 하기 화학식 a, 화학식 b 및 화학식 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성자단이고;
X-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음이온; HCO3 -; BF4 -; ClO4 -; NO3 -; PF6 -; (C6-C20)아릴옥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옥시 음이온; (C1-C20)알킬카르복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카르복시 음이온; (C6-C20)아릴카르복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카르복시 음이온; (C1-C20)알콕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콕시 음이온; (C1-C20)알킬카보네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카보네이트 음이온; (C6-C20)아릴카보네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카보네이트 음이온; (C1-C20)알킬설포네이토(alkylsulfonate)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설포네이토(alkylsulfonate) 음이온; (C1-C20)알킬아미도(amido)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아미도(amido) 음이온; (C6-C20)아릴아미도(amido)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아미도(amido) 음이온; (C1-C20)알킬카바메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카바메이트 음이온; (C6-C20)아릴카바메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카바메이트 음이온이고;
Z는 질소 또는 인 원자이고;
R21, R22, R23, R31, R32, R33, R34 및 R35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 (C2-C20)알케닐;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C20)알케닐; (C1-C20)알킬(C6-C20)아릴;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C1-C20)알킬; 또는 하이드로카빌로 치환된 1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R21, R22 및 R23 중 2개 또는 R31, R32, R33, R34 및 R35 중 2개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41, R42 및 R4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 (C2-C20)알케닐;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C20)알케닐; (C1-C20)알킬(C6-C20)아릴;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C1-C20)알킬; 또는 하이드로카빌로 치환된 1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R41, R42 및 R43 중 2개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X'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N-R (여기서 R은 (C1-C20)알킬)이고;
n은 R1 내지 R10 및 Q가 포함하는 양성자단의 총 수에 1을 합한 정수이고;
X-는 M에 배위할 수도 있고;
이민의 질소 원자는 M에 탈배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치수 안정제 2~50 중량부, 연성제 2~70 중량부,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충전제 0.1~200 중량부, 발포제 0.5~20 중량부, 난연제 또는 방염제 0.1~200중량부 또는 활제 0.1~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테리어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인테리어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첨가되는 강도 조절제, 치수 안정제, 연성제, 충격보강제, 은폐력 향상제, 충전제, 발포제, 난연제 또는 방염제, 또는 활제의 조합에 의해 투명/불투명 연질용, 투명/불투명 경질용, 방염 특성 부여용 및 발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중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그린폴)는 그 자체의 구조적 특수성과 가공 첨가제의 우수한 상용성으로 인해 인장과 인열 강도가 우수하며, 특히 투명도와 방염 특성(특히, 연기밀도)은 경쟁 제품 대비 월등하게 뛰어나다. 또한 타 범용 플라스틱 대비 SK에너지가 자체 개발한 연성제(연화제)의 소량 사용으로도 경도 조절이 용이하다는 점은 특이할 만한 장점으로 초연질에서 초경질 제품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 연질용 인테리어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치수 안정제 2~50 중량부, 연성제 2~7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 연질용 인테리어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치수 안정제 2~50 중량부, 연성제 2~7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충전제 0.1~20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경질용 인테리어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치수 안정제 2~50 중량부,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방염 특성 부여용 인테리어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언급된 투명/불투명 연질용, 투명/불투명 경질용 인테리어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난연제 또는 방염제 0.1~200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포용 인테리어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치수 안정제 2~50 중량부, 연성제 2~7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충전제 0~200 중량부, 발포제 0.5~20 중량부 및 활제 0.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연성제 2~100 중량부,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 충전제 0.1~200 중량부, 활제 0.1~5 중량부 또는 안료 0.1~2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타포린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타포린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첨가되는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연성제 2~100 중량부,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 충전제 0.1~200 중량부, 활제 0.1~5 중량부 또는 안료의 조합에 의해 투명/불투명 연질용 및 투명/불투명 경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중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그린폴)는 그 자체의 구조적 특수성과 가공 첨가제의 우수한 상용성으로 인해 인열과 마모 강도가 우수하며, 특히 인쇄 적성과 SK에너지가 개발하고 특허 출원 예정인 연성제의 소량 사용으로 경도 조절이 자유롭다는 점과 직물과의 접착강도는 매우 뛰어난 장점이다.
상기 투명 연질용 타포린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연성제 2~100 중량부, 활제 0.1~5 중량부 및 안료 0.1~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 연질용 연질용 타포린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연성제 2~100 중량부, 충전제 0.1~200 중량부, 활제 0.1~5 중량부 및 안료 0.1~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경질용 타포린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 활제 0.1~5 중량부 및 안료 0.1~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 경질용 타포린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2~50 중량부,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 충전제 0.1~200 중량부, 활제 0.1~5 중량부 및 안료 0.1~2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0.1~30 중량부, 연성제 2~80 중량부, 방담제 0.1~5 중량부, 활제 0.1~3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포장랩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중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그린폴)는 그 자체의 구조적 특수성으로 인해 접착성, 신율(연신성), 투명도 및 산소 및 수분 차단성은 범용 플라스틱 소재와 확연하게 구별되는 특징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연성제 2~100 중량부, 충전제 30~300 중량부, 난연제 또는 방염제 30~30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발포제 0.5~10 중량부, 활제 0.1~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벽지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벽지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첨가되는 연성제, 충전제, 난연제 또는 방염제, 은폐력 향상제, 발포제 또는 활제의 조합에 의해 발포용 또는 방염(난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중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그린폴)는 그 자체의 구조적 특수성과 가공 첨가제와의 우수한 상용성으로 인해 인쇄 적성, 인장강도와 신율(연신성) 물성은 우수하며, 특히 충전제(탄산칼슘)와의 우수한 상용성으로 인해 발포 물성, 원가 절감, 엠보 물성, 환경마크 인증 획득(우수한 연기밀도에서 기인)과 방염 특성은 탁월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발포용 벽지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성제 2~100 중량부, 충전제 30~30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발포제 0.5~10 중량부 및 활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염(난연)용 벽지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성제 2~100 중량부, 충전제 30~300 중량부, 난연제 또는 방염제 30~30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발포제 0.5~10 중량부 및 활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성제 2~100 중량부, 탄성 부여제 0.5~50 중량부, 충전제 30~300 중량부, 발포제 0.5~30 중량부, 난연제 또는 방염제 30~30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안료 0.1~20 중량부 또는 활제 0.1~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조피혁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인조피혁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첨가되는 연성제, 탄성 부여제, 충전제, 발포제, 난연제 또는 방염제, 은폐력 향상제 또는 안료 또는 활제의 조합에 의해 발포용/비발포용 또는 방염 발포용/비발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중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그린폴)는 그 자체의 구조적 특수성과 가공 첨가제와의 우수한 상용성으로 인해 인쇄 적성, 인장강도와 신율(연신성) 물성은 우수하며, 특히 SK에너지에서 개발하고 특허 출원 예정인 연성제의 소량 사용으로도 경도 조절이 자유롭다는 점이 특징적이고, 우수한 방염 특성(특히 연기밀도)으로 인해 환경마크 인증 획득이 가능하다는 점도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발포용 인조피혁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성제 2~100 중량부, 탄성 부여제 0.5~50 중량부, 충전제 30~300 중량부, 발포제 0.5~30 중량부, 난연제 또는 방염제 30~30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안료 0.1~20 중량부 및 활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발포용 인조피혁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성제 2~100 중량부, 탄성 부여제 0.5~50 중량부, 충전제 30~300 중량부, 발포제 0.5~30 중량부, 난연제 또는 방염제 30~30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안료 0.1~20 중량부 및 활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염 발포용 인조피혁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성제 2~100 중량부, 탄성 부여제 0.5~50 중량부, 충전제 30~300 중량부, 발포제 0.5~30 중량부, 난연제 또는 방염제 30~30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안료 0.1~20 중량부 및 활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염 비발포용 인조피혁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성제 2~100 중량부, 탄성 부여제 0.5~50 중량부, 충전제 30~300 중량부, 발포제 0.5~30 중량부, 난연제 또는 방염제 30~300 중량부, 은폐력 향상제 5~30 중량부, 안료 0.1~20 중량부 및 활제 0.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압출 공법 뿐만 아니라 카렌다 공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종래 압출 공법에 비하여 생산성 측면에서 4~5배의 우수성을 나타내며, 보다 낮은 온도에서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폴리비닐염화수지계 소재 대비 비중이 낮은 점도 가공에 있어서, 제조 원가 절감의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폴리비닐염화수지 대체제인 폴리프로필렌(PP)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PET-G) 대비 신율 물성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 신율 물성은 폴리염화비닐수지 소재 대비 3~4배 정도 향상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코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목재나 철판 등에 늘려 붙이는 공정에서 매우 유리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온 내지 50 ℃ 의 낮은 온도에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포장랩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갖고 있는 적합한 신율(연신) 특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포장랩용 또는 벽지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발포용으로 적용되는 경우 매우 우수한 인장강도 및 신율을 나타내며, 내구성 향상 및 후가공의 용이성이 뛰어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품류는 폴리염화비닐 소재의 최대 단점인 연소시 유독 가스류와 다이옥신이 전혀 발생치 않으며, 특히 연기밀도가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약 1/600 수준으로 가공 중이나 제품 사용 과정에서 어떠한 유해 가스류가 발생치 않아 방염 특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활용하고 있으며, 인체 유해한 가공 첨가제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안정제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연성, 강도 및 연신성 등이 기존 폴리염화비닐 수지 수준 이상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폴리염화비닐 대체재의 최대 단점인 압출 가공 방식을 탈피하여 대량생산 가능한 카렌다 가공 방식에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동절기 시 깨지거나 인쇄, 표면 처리등의 후가공 처리가 필요하지 않아 매우 경제성이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 평가)
1. 인장강도/신율 :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인열강도는 ASTM D1004 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3. 연기밀도는 ASTM E662 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치수안정성 : 시트 시편(200×20mm)을 Dry Oven 내에서 80℃/1주일 유지 후 길이 변화율이 ±4% 이내인지 측정하였다
5. 내한성 : 시트 시편(150×20mm) 5개를 -30℃의 Chamber 내에서 4시간 유지 후 Folding Test(취구에 설치된 시편을 접었다 편 후 갈라지거나 깨지는 정도 확인)로 평가하였다.
(평가 : 2개 이상 Break되면 Fail)
6. 백색도 : Color Meter로 백색도 측정한다.
7. 카렌다 가공성 및 작업성 : 배합/혼련 용이성, 가공 온도, Roll 작업 용이성 및 용융물이 Roll에 묻어 나오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평가 : 1.매우열세, 2.열세, 3.양호, 4.우수, 5.매우우수)
8. 후가공 작업성 : 인쇄, 엠보, 합판 또는 표면처리 작업성이 어느 정도 수월한지 측정하였다.
(평가 : 1.매우열세, 2.열세, 3.양호, 4.우수, 5.매우우수)
9. 투명도 : Haze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그린폴, 에스케이에너지사) 100 중량부에 강도 조절제겸 치수 안정제(엘지화학, PA828) 5 중량부, 연성제(일본, DAIFATTY-101) 5 중량부, 은폐력향상제(코스모화학, KA100) 15 중량부, 활제(스테아릭엑시드와 미국 이스트만사의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2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40도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 공정을 거친 후 데코시트 완제품을 제조한다.
제조된 불투명 연질용 친환경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데코시트 제품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연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그린폴, 에스케이에너지사) 100 중량부에 충격보강제(엘지화학, IM809), 5 중량부, 활제(미국 이스트만사의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1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40도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유리섬유로 접착한 후 인쇄, 점착 및 표면 처리 공정을 거친 후 인테리어시트 완제품을 제조한다.
제조된 투명 경질용 친환경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인테리어시트 제품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지 않고, 연성제 함량을 2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그린폴, 에스케이에너지사) 100 중량부에 충전제(오미아코리아 Omya-10) 150 중량부, 은폐력향상제(코스모화학, KA100) 15 중량부, 연성제(일본, DAIFATTY-101) 20 중량부, 발포제(금양, AC1000) 3 중량부, 활제(스테아릭엑시드와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2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30~4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10도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시트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발포 반제품 시트를 원지에 접착한 후 발포, 인쇄, 엠보 공정을 거친 후 완제품을 제조한다.
제조된 친환경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벽지용 제품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그린폴, 에스케이에너지사) 100 중량부에 충전제(오미아코리아 Omya-5T) 120 중량부, 탄성부여제(유니소재, Sorblen 시리즈) 5 중량부, 연성제(일본, DAIFATTY-101) 20 중량부, 발포제(금양, AC3000) 3 중량부, 활제(스테아릭엑시드와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2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30~4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10도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시트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발포 반제품 시트를 직물 원단에 접착한 후 발포, 인쇄, 엠보 및 표면 처리 공정을 거친 후 완제품을 제조한다.
제조된 친환경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인조피혁용 제품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SK, LLDPE) 5중량부, 연성제(일본 DAIHACHI사 다이패티-101) 5 중량부, 은폐력향상제(코스모화학, KA100) 7.5 중량부, 상용화제(EM200, 호남석유화학) 0.1 중량부, 충전제(오미마코리아, 옴야-2T) 20 중량부, 활제(OCI, 스테아릭액시드) 1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50℃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믹싱롤 및 워밍롤의 혼련 공정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장식용 시트 완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내지 18 및 비교예 1 및 2]
실시예 8 내지 12는 상기 강도조절제를 각각 10, 20, 50, 75, 10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13 내지 18는 연성제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의 SKflex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비교예 1 및 2는 각각 강도조절제 및 연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내지 30]
실시예 19 내지 24는 연성제로 일본 DAIHACHI사의 다이패티-101을 사용하고, 실시예 25 내지 30은 연성제로 아크릴레이트(PA828, LG화학)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 내지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1 내지 46]
실시예 31 내지 34는 상용화제로 호남석유화학 TU100D를 각각 0.1, 0.5, 1, 5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35 내지 38은 상용화제로 호남석유화학 BP402를 각각 0.1, 0.5, 1, 5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39 내지 42는 상용화제로 호남석유화학 EV600를 각각 0.1, 0.5, 1, 5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43 내지 46은 상용화제로 호남석유화학 EM200를 각각 0.1, 0.5, 1, 5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비교예 3은 상기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7 내지 58]
실시예 47 내지 50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51 내지 54는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T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55 내지 58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비교예 4는 상기 충전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9 내지 70]
실시예 59 내지 62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T를, 실시예 63 내지 66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를, 실시예 67 내지 70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7 내지 50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71 내지 80 및 비교예 5 내지 6]
실시예 71 내지 75는 은폐력 향상제 함량을 각각 5, 7.5, 10, 20, 30 중량부를, 실시예 76 내지 80은 활제 함량을 각각 0.1, 0.5, 1, 2, 5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비교예 5 및 6은 실시예 7과 동일하되, 각각 은폐력 향상제 및 활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81]
강도조절제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의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82 내지 92]
실시예 82 내지 86는 상기 강도조절제를 각각 10, 20, 50, 75, 10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87 내지 92는 연성제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의 SKflex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93 내지 104]
실시예 93 내지 98은 연성제로 일본 DAIHACHI사의 다이패티-101을 사용하고, 실시예 99 내지 104는 연성제로 아크릴레이트(PA828, LG화학)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7 내지 9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05 내지 120]
실시예 105 내지 108는 상용화제로 호남석유화학 TU100D를 각각 0.1, 0.5, 1, 5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109 내지 112는 상용화제로 호남석유화학 BP402을 각각 0.1, 0.5, 1, 5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113 내지 116은 상용화제로 호남석유화학 EV600을 각각 0.1, 0.5, 1, 5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117 내지 120은 상용화제로 호남석유화학 EM200을 각각 0.1, 0.5, 1, 5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21 내지 132]
실시예 121 내지 124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125 내지 128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T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129 내지 132는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33 내지 144]
실시예 133 내지 136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T를, 실시예 137 내지 140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를, 실시예 141 내지 144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1 내지 124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45 내지 154]
실시예 145 내지 149는 은폐향상제 함량을 각각 5, 7.5, 10, 20, 30 중량부를, 실시예 150 내지 154는 활제 함량을 각각 0.1, 0.5, 1, 2, 5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55]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강도 조절제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의 폴리락틱산 5 중량부, 연성제(일본 DAIHACHI사 다이패티-101) 5 중량부, 은폐력향상제(코스모화학 KA100) 7.5 중량부, 충전제(오미마코리아 옴야-2T) 20 중량부, 활제(OCI 스테아릭액시드) 2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60℃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장식용 시트 완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6 내지 166]
실시예 156 내지 160은 상기 강도조절제를 각각 10, 20, 50, 75, 10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161 내지 166은 연성제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의 SKflex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15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67 내지 178]
실시예 167 내지 172는 연성제로 일본 DAIHACHI사의 다이패티-101을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15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173 내지 178은 연성제로 아크릴레이트(PA828, LG화학)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15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79 내지 190]
실시예 179 내지 182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183 내지 186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T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187 내지 190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91 내지 202]
실시예 191 내지 194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T를, 실시예 195 내지 198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를, 실시예 199 내지 202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9 내지 18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03 내지 212]
실시예 203 내지 207은 은폐력 향상제 함량을 각각 5, 7.5, 10, 20, 30 중량부를, 실시예 208 내지 212는 활제 함량을 각각 0.1, 0.5, 1, 2, 5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13]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강도 조절제로 BASF사의 펠렛 타입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5 중량부, 연성제(일본 DAIHACHI사 다이패티-101) 5 중량부, 은폐력향상제(코스모화학 KA100) 7.5 중량부, 충전제(오미마코리아 옴야-2T) 20 중량부, 활제(OCI 스테아릭액시드) 2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20℃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장식용 시트 완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4 내지 224]
실시예 214 내지 218은 상기 강도조절제를 각각 10, 20, 50, 75, 10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219 내지 224은 연성제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의 SKflex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2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25 내지 236]
실시예 225 내지 230는 연성제로 일본 DAIHACHI사의 다이패티-101을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213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231 내지 236는 연성제로 아크릴레이트(PA828, LG화학)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2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37 내지 248]
실시예 237 내지 240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241 내지 244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T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245 내지 248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49 내지 260]
실시예 249 내지 252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T를, 실시예 253 내지 256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를, 실시예 257 내지 260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37 내지 240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61 내지 259]
은폐력 향상제 함량을 각각 5, 7.5, 10, 20, 30 중량부와 활제 함량을 각각 0.1, 0.5, 1, 2, 5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71]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강도 조절제로 애경화학사의 액상 프리폴리머 타입의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5 중량부, 연성제(일본 DAIHACHI사 다이패티-101) 5 중량부, 은폐력향상제(코스모화학 KA100) 7.5 중량부, 충전제(오미마코리아 옴야-2T) 20 중량부, 활제(OCI 스테아릭액시드) 2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30도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장식용 시트 완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72 내지 282]
실시예 272 내지 276는 상기 강도조절제를 각각 10, 20, 50, 75, 10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27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277 내지 282은 연성제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의 SKflex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27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83 내지 294]
실시예 283 내지 288은 연성제로 일본 DAIHACHI사의 다이패티-101을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273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289 내지 294은 연성제로 아크릴레이트(PA828, LG화학)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260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95 내지 306]
실시예 295 내지 298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299 내지 302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T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303 내지 306는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07 내지 318]
실시예 307 내지 310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T를, 실시예 311 내지 314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를, 실시예 315 내지 318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95 내지 298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19 내지 328]
실시예 319 내지 323는 은폐력 향상제 함량을 각각 5, 7.5, 10, 20, 30 중량부를, 실시예 324 내지 3328은 활제 함량을 각각 0.1, 0.5, 1, 2, 5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29]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강도조절제로 LG화학사의 폴리메탈메타크릴레이트 5 중량부, 연성제(일본 DAIHACHI사 다이패티-101) 5 중량부, 은폐력향상제(코스모화학 KA100) 7.5 중량부, 충전제(오미마코리아 옴야-2T) 20 중량부, 활제(OCI 스테아릭액시드) 1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60도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장식용 시트 완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30 내지 340]
실시예 330 내지 334는 상기 강도조절제를 각각 10, 20, 50, 75, 10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318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335 내지 340은 연성제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의 SKflex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329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41 내지 352]
실시예 341 내지 346는 연성제로 일본 DAIHACHI사의 다이패티-101을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32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347 내지 352는 연성제로 아크릴레이트(PA828, LG화학)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329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53 내지 364]
실시예 353 내지 356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357 내지 360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T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361 내지 364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9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65 내지 376]
실시예 365 내지 368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T를, 실시예 369 내지 372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를, 실시예 373 내지 376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53 내지 356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77 내지 386]
실시예 377 내지 381은 은폐력 향상제 함량을 각각 5, 7.5, 10, 20, 30 중량부를, 실시예 382 내지 386는 활제 함량을 각각 0.1, 0.5, 1, 2, 5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9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87]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강도 조절제로 삼성토탈사의 에틸렌바이닐아세테이트 5 중량부, 연성제(일본 DAIHACHI사 다이패티-101) 5 중량부, 은폐력향상제(코스모화학 KA100) 7.5 중량부, 충전제(오미마코리아 옴야-2T) 20 중량부, 활제(OCI 스테아릭액시드) 2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20℃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장식용 시트 완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88 내지 399]
실시예 388 내지 393는 상기 강도조절제를 각각 10, 20, 50, 75, 10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387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394 내지 399은 연성제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의 SKflex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38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00 내지 411]
실시예 400 내지 405는 연성제로 일본 DAIHACHI사의 다이패티-101을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387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406 내지 411은 연성제로 아크릴레이트(PA828, LG화학)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38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12 내지 423]
실시예 412 내지 415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416 내지 419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T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420 내지 423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87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24 내지 435]
실시예 424 내지 427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T를, 실시예 428 내지 431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를, 실시예 432 내지 435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12 내지 4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36 내지 445]
실시예 436 내지 440은 은폐력 향상제 함량을 각각 5, 7.5, 10, 20, 30 중량부를, 실시예 441 내지 445는 활제 함량을 각각 0.1, 0.5, 1, 2, 5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88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46]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수지(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 100 중량부에 강도 조절제로 LG화학사의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5 중량부, 연성제(일본 DAIHACHI사 다이패티-101) 5 중량부, 은폐력향상제(코스모화학 KA100) 7.5 중량부, 충전제(오미마코리아 옴야-2T) 20 중량부, 활제(OCI 스테아릭액시드) 2 중량부를 헨셀 믹서기에서 투입하여 20분 동안 드라이 블렌딩한 혼합물을 150도의 컴파운딩용 압출기로 투입하여 펠렛화한다. 이를 혼련 공정(믹싱롤과 워밍롤)과 카렌다 공정을 통해 시트 반제품을 제조한 후 인쇄, 프라이머 및 표면 처리와 합판 공정을 거친 후 장식용 시트 완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47 내지 457]
실시예 447 내지 451는 상기 강도조절제를 각각 10, 20, 50, 75, 10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446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452 내지 457은 연성제로 에스케이이노베이션사의 SKflex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446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58 내지 469]
실시예 458 내지 463는 연성제로 일본 DAIHACHI사의 다이패티-101을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446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464 내지 469은 연성제로 아크릴레이트(PA828, LG화학)를 사용하고, 각각 1, 2.5, 5, 10, 20, 50중량부로 조절하되, 실시예 446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70 내지 481]
실시예 470 내지 473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474 내지 477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2T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하였으며, 실시예 478 내지 481은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를 각각 20, 50, 100, 200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46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82 내지 493]
실시예 482 내지 485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5T를, 실시예 486 내지 489는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를, 실시예 490 내지 493은 충전제로 오마코리아사의 옴야-10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70 내지 473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94 내지 503]
실시예 494 내지 498은 은폐력 향상제 함량을 각각 5, 7.5, 10, 20, 30 중량부를, 실시예 499 내지 503는 활제 함량을 각각 0.1, 0.5, 1, 2, 5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46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Claims (12)
-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알킬렌옥사이드;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 또는 (C1-C20)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스타이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공중합에 의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랜덤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강도 조절제,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용화제,
2-(2-메톡시에톡시)에틸벤질 아디페이트, 충전제 및 활제를 포함하는 카렌다 가공용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로 공중합된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렌다 가공용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도 조절제 0.1~100 중량부, 2-(2-메톡시에톡시)에틸벤질 아디페이트 0.1~50 중량부, 충전제 0.1~200 중량부, 활제 0.1~5 중량부 및 상용화제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카렌다 가공용 수지 조성물.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충격보강제 0.1~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카렌다 가공용 수지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 0.5~20 중량부 또는 난연제 0.1~20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카렌다 가공용 수지 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백토,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백색카보, 비정질 실리카, 멜라민 수지 또는 요소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카렌다 가공용 수지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제는 스테아릭산 또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카렌다 가공용 수지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강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계 화합물 또는 염소화 폴리에틸렌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카렌다 가공용 수지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아질산암모늄, 아지드화합물, 붕수소화나트륨 또는 경금속을 포함하는 무기 타입 발포제와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ADCA), N, 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N, N'-Dinitrosopentamethylenetetramine, DNPA), 4, 4'-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4, 4'-Oxybis(benzenesulfonylhydrazide, OBSH) 또는 p-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p-Toluenesulfonylhydrazide, TSH)을 포함하는 유기 타입 발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난연제는 인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할로겐계 화합물 및 수화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카렌다 가공용 수지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1179702A EP2426174A1 (en) | 2010-09-03 | 2011-09-01 | Resin composition for sheet products |
TW100131671A TW201219446A (en) | 2010-09-03 | 2011-09-02 | Resin composition for sheet products |
US13/224,473 US8252886B2 (en) | 2010-09-03 | 2011-09-02 | Resin composition for sheet products |
JP2011193345A JP2012057158A (ja) | 2010-09-03 | 2011-09-05 | シート用樹脂組成物 |
CN201110264568.0A CN102408695B (zh) | 2010-09-03 | 2011-09-05 | 用于片材的树脂组合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6571 | 2010-09-03 | ||
KR20100086571 | 2010-09-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4477A KR20120024477A (ko) | 2012-03-14 |
KR101505448B1 true KR101505448B1 (ko) | 2015-03-25 |
Family
ID=4613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8127A KR101505448B1 (ko) | 2010-09-03 | 2011-08-31 | 시트용 수지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5448B1 (ko) |
TW (1) | TW20121944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9979B1 (ko) * | 2012-05-04 | 2019-02-19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투명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이용 |
KR101958736B1 (ko) * | 2012-05-04 | 2019-07-04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CN104302692B (zh) | 2012-06-25 | 2017-06-13 | Lg化学株式会社 | 基于聚亚烷基碳酸酯的树脂膜及其制备方法 |
KR20140039804A (ko) * | 2012-09-25 | 2014-04-0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기계적 물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KR20140039826A (ko) * | 2012-09-25 | 2014-04-0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생분해성 및 인장신율이 우수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JP6031616B2 (ja) * | 2013-03-27 | 2016-11-24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を含む樹脂組成物 |
KR101644114B1 (ko) * | 2013-03-27 | 2016-07-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KR101508612B1 (ko) | 2013-06-28 | 2015-04-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KR101944322B1 (ko) * | 2013-10-29 | 2019-02-01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 |
KR101659069B1 (ko) * | 2015-12-23 | 2016-09-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와 폴리락타이드를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생분해성 성형품 |
CN112961436B (zh) * | 2021-03-03 | 2023-04-07 | 海南蓝岛环保产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塑料制品及制备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1319B1 (ko) * | 1991-03-08 | 1995-02-17 | 주식회사 삼양사 |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JP2007131756A (ja) * | 2005-11-11 | 2007-05-31 | Sumitomo Chemical Co Ltd |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
US20090234042A1 (en) * | 2006-04-27 | 2009-09-17 | Basf Se | Transparent blends of polypropylene carbonate |
JP2010138326A (ja) * | 2008-12-12 | 2010-06-24 | Toudai Tlo Ltd |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から成形された成形体 |
-
2011
- 2011-08-31 KR KR1020110088127A patent/KR10150544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9-02 TW TW100131671A patent/TW201219446A/zh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1319B1 (ko) * | 1991-03-08 | 1995-02-17 | 주식회사 삼양사 |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JP2007131756A (ja) * | 2005-11-11 | 2007-05-31 | Sumitomo Chemical Co Ltd |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
US20090234042A1 (en) * | 2006-04-27 | 2009-09-17 | Basf Se | Transparent blends of polypropylene carbonate |
JP2010138326A (ja) * | 2008-12-12 | 2010-06-24 | Toudai Tlo Ltd |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から成形された成形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219446A (en) | 2012-05-16 |
KR20120024477A (ko) | 2012-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5448B1 (ko) | 시트용 수지 조성물 | |
US8252886B2 (en) | Resin composition for sheet products | |
KR101505443B1 (ko) | 고투명, 고광택 시트용 친환경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KR101814832B1 (ko)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것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 필름, 플레이트 및 사출 성형품 | |
Khare et al. | Studies toward producing eco-friendly plastics | |
KR101478655B1 (ko) |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
US9441105B2 (en) |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biodegradable film | |
JP2007070391A (ja) | 植物由来成分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 |
US9475913B2 (en) | Foam sheet using polylactic acid having extended cha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
JP5042526B2 (ja) | ポリ乳酸/ポリオレフィン系組成物 | |
JP2010111740A (ja) | 生分解性難燃ポリエステル発泡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得られる発泡体、その成形体 | |
KR20240110547A (ko)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JP4672409B2 (ja) |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 |
JP2013028811A (ja) |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積層体 | |
KR20150087084A (ko) |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
JP4331467B2 (ja) | 耐熱性を有する生分解性軽量パネル | |
KR101793669B1 (ko) |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폴리락트산 복합체 | |
JP2002371172A (ja) | 乳酸系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609268B2 (ja) |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 |
JP4366848B2 (ja) | 架橋型軟質乳酸系ポリマ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組成物 | |
JP5022257B2 (ja) | 相溶性脂肪族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 |
JP2009249428A (ja) |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 |
JP2001172487A (ja) | 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