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26607B1 - 복약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복약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607B1
KR101426607B1 KR1020120115839A KR20120115839A KR101426607B1 KR 101426607 B1 KR101426607 B1 KR 101426607B1 KR 1020120115839 A KR1020120115839 A KR 1020120115839A KR 20120115839 A KR20120115839 A KR 20120115839A KR 101426607 B1 KR101426607 B1 KR 101426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unit
medicine
pack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708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2011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607B1/ko
Priority to EP13189023.8A priority patent/EP2722031A1/en
Priority to US14/056,607 priority patent/US20140114471A1/en
Publication of KR20140049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60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약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는 약포 패키지가 보관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된 약포 패키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 중 최 전단의 약포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된 약포가 외부로 배출되는 인출구; 촬상부; 및 상기 약포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약 이력 정보와 더불어 미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사후 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약 관리장치{Management apparatus for taking medicine}
본 발명은 복약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처방 및 복약 정보에 따라 약포 패키지의 인출을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기간 약품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 조제된 약을 처방에 따라 제시간에 맞추어 정량을 복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간 또는 복용해야 할 양을 잊어버리기 쉬우며, 또한, 복용 시기가 지난 후 이미 복용을 했어야 하는 약을 의사나 약사와의 상의 없이 일시에 과다 복용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성질환자와 같이, 장기간의 약품 복용에 따른 부작용을 두려워하는 심리에서 약품의 복용을 일부러 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불규칙적인 약품 복용은 환자의 약복용 순응도를 저하시키고, 질병의 치료 기간을 장기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치료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의료진의 경우 병원이 아닌 집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의 약품 복용 상태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으며, 나아가 환자의 치료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1878호 "약(藥) 복용시각을 알려주는 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환자로 하여금 멜로디 소리나 점등되는 경광램프 신호에 의하여 처방된 약의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편리함은 있다. 그러나 이미 복용이 지난 약의 처리나 복용 여부를 보호자 등이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적절한 복약 시기에 복약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며, 환자가 정확한 시기에 복약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복약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약 관리와 관련된 정보 및 이에 대하여 참조가능한 참고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에게 환자의 관리를 보다 체계적할 수 있는 복약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는 약포 패키지가 보관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된 약포 패키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 중 최 전단의 약포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된 약포가 외부로 배출되는 인출구; 촬상부; 및 상기 약포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절단된 약포가 배출되도록 롤링하는 배출롤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포 패키지가 개재되어 상기 약포 패키지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배출롤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부 및 하부 구동롤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약포 패키지의 최 전단 약포가 최초로 위치되어 상기 구동롤 측으로 상기 약포 패키지가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권출롤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한 쌍의 구동롤과 상기 권출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권출롤로부터 상기 한 쌍의 구동롤 측으로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를 촬영하는 스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는 정지 화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식의 멀티미디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포가 외부로 인출된 시기 및 인출된 약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약 이력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부네트워크는 PSTN, 근거리 무선 통신망, 이동통신 무선망 및 인터넷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통신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약 데이터와 함께 상기 촬상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포 패키지에 인쇄된 2차원 그래픽 코드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부가 스캔한 2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환자 식별 데이터,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약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부가 스캔한 2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인식된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를 포함하는 복약 정보와 상기 인출구를 통하여 상기 약포가 배출된 시기 및 실제 인출된 약포 정보를 포함하는 복약 이력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복약 정보 및 복약 이력 정보의 비교 결과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한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인식된 복약 시기에 상기 약포가 실제 배출이 되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보호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 약포의 미인출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가 인식한 복약 시기에 대응하여 알람을 울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가 인식한 복약 시기에 상기 환자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SMS, 이메일 및 음성안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복약 시기에 복약이 가능하도록 환자의 복약을 관리하고, 촬상부에 의하여 촬영된 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관리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환자 및 복약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약 이력 정보와 더불어 미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사후 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의 상부 케이스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중 주요 구성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에 약포 패키지를 장착하는 초기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 패키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내에서 약포 패키지가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내에서 약포 패키지의 일부가 절단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약포 패키지의 일부가 절단되는 모습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의 제1 경로를 통하여 약포가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내에서 제2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내에서 제2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내에서 제2 경로를 통하여 약포가 저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와 관리서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제공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 및 각 구성부들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외부 네트워크(10)는 폭넓게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물리적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10)는 PSTN, 근거리 무선 통신망, 이동통신 무선망, 적외선 통신 등이나 이러한 통신방법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외부 네트워크는 게이트 웨이(60)를 기준으로 복약 관리장치(100)와 내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장치들과 구별을 위한 것으로서 물리적인 구현 방법이나 위치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의료기관 서버(20)는 관리서버(30)와 외부 네트워크(10)로 연결되어 있다. 의료기관 서버(20)는 관리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복약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의료기관의 의료 행위 단계에서 참조하기 위한 서버이다. 의료기관 서버(20)는 의료기관에서 진료 과정, 결과 및 처방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처리되는 서버와 물리적으로 동일한 서버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서버(30)는 복약 관리장치(100) 및 의료기관 서버(20)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다. 관리서버(30)는 복약 관리장치(100)로부터 복약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 의료기관 서버(20)에 전달한다. 또한 관리서버(30)는 추가적인 복약 이력 관리가 필요한 경우 이동통신 기지국(15)이나 외부 네트워크(10)를 통하여 보호자 단말기(50), 관리자 단말기(40) 등에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30)에 관한 구체적인 기능들은 관련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호자 단말기(50)는 복약 이력에 따른 관리를 받는 환자측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보호자 단말기(50)에는 단순히 보호자뿐 아니라 환자 자신의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50)에는 모바일폰,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컴퓨팅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50)는 이동통신 기지국(15), 외부 네트워크(10) 등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30) 및/또는 복약 관리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40)는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측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관리자 단말기(40) 또한 모바일폰,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컴퓨팅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50)는 이동통신 기지국(15), 외부 네트워크(10) 등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30) 및/또는 복약 관리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 측의 내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게이트 웨이(60)는 복약 관리장치(100)의 상위 네트워크에서 내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게이트 웨이(60)의 하위에 연결된 복약 관리장치(100)나 생체정보 측정기(70) 등과 외부 네트워크(10)를 데이터가 송수신 가능하도록 중계하는 장치이다. 게이트 웨이(6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하위의 장치들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생체정보 측정기(70)는 환자가 자신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혈당기(71)나 혈압기(72) 뿐 아니라 디지털 방식의 체온계 등 다양한 생체 정보의 측정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생체정보 측정기(70)는 유선으로 게이트 웨이(6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나,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게이트 웨이(60)에 연결될 수 있다. 생체정보 측정기(70)로부터 측정된 다양한 생체정보는 게이트 웨이(60)를 통하여 복약 관리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다.
복약 관리장치(100)는 처방된 약포 패키지를 장착하고, 처방된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 등의 복약 정보에 따라 환자의 복약을 보조하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약 관리장치(100)는 게이트 웨이(60)를 통하여 다양한 생체정보 측정기(70)들로부터 생체정보를 전달 받고, 복약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관리 서버(30)에 전달한다. 필요에 따라 복약 이력에 따른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복약 관리장치(100) 중 약포 패키지의 이송과 관련된 구성부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의 상부 케이스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중 주요 구성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약 관리장치(100)의 외부에는 하우징(101), 보호커버(102) 및 상부커버(103)가 구비된다. 하우징(101)은 복약 관리장치(100)의 각 측면과 저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보호커버(102)와 상부커버(103)는 복약 관리장치(10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보호커버(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모서리가 하우징(101)과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다. 보호커버(102)는 하우징(101) 상단을 개폐하며, 하우징 상단에 구비되는 설정 버튼(1023) 등의 접근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인출버튼(1022)은 보호커버(10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인출버튼(1022)은 환자의 입력에 따라 약포가 인출되도록 복약 관리장치(10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하우징(101)의 정면에는 약포가 인출되는 인출구(1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출구(140)의 하방에는 인출된 약포가 안착되는 안착부(1011)가 구비된다. 인출구(140)의 상부에는 표시부(1012)가 구비된다. 표시부(1012)는 다수의 LED를 구비하고 복약 관리장치(100)의 작동 상태에 따라 LED 들이 다양한 상태로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복약 관리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환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01)의 정면 상단에는 촬상부(104)가 구비된다. 촬상부(104)는 인출구(140) 측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촬상부(104)의 작동 방법 및 시기에 관하여는 이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부커버(103)는 하우징(101)의 상부에 위치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상부면 중 보호커버(102)로 커버되는 이외의 부분을 커버한다. 상부커버(103)의 상부면 내측에는 하방으로 한 쌍의 연결암(1033)이 연장 형성되며, 연결암(1033)의 단부에는 지지롤(1012)이 구비된다.
한편, 상부커버(103)가 오픈된 상태에서는 내측에 구비된 보관부(110)가 노출된다. 보관부(110)는 처방된 약포 패키지를 최초로 장착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약포 패키지를 인출하는데 기여하는 주요 구성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110), 이송부(120), 절단부(150) 및 경로선택부(130)를 들 수 있다. 이송부(120)는 보관부(110)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절단부(150)는 이송부(120)의 사이에 구비된다. 경로선택부(130)는 이송부(120)를 기준으로 보관부(110)의 타측, 즉 인출구(140)에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관부(110)는 권심(111), 측면케이스(112) 및 이탈방지부(113)를 포함한다. 보관부(110)는 권심(111) 및 권심(111)을 중심으로 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한 쌍의 측면케이스(112)를 구비한 휠 형상으로 형성된다. 권심(111)은 약포 패키지가 권취되는 권심의 역할을 하며, 측면케이스(112)는 권취된 약포 패키지가 양 측면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탈방지부(113)는 양 측면의 측면케이스(112) 사이의 공간부를 커버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탈방지부(113)는 약포 패키지가 권심(111)에 권취된 후 권심(111)을 중심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경로선택부(130)는 회동축(131), 연결암(132), 지지플레이트(133) 및 경사부(134)를 포함한다. 경로선택부(130)는 약포 패키지가 이송되는 방향, 즉 이송부(120)의 롤러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동축(131)을 구비한다. 회동축(131)에는 연결암(132)이 이송부(120)의 배출롤(123)의 하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연결암(132)의 단부 및 배출롤(123)의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133)가 구비된다. 지지플레이트(133)는 배출롤(123)의 하단과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지지플레이트(133)의 단부, 즉 약포 패키지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출측에는 경사부(134)가 형성된다. 경로선택부(130)의 출측은 앞서 설명한 인출구(140)에 인접하게 구비됨으로써 연속적인 약포 패키지의 이송 경로를 형성한다.
절단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20)의 약포 패키지 이송 경로상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절단부(150)는 배출롤(123)과 구동롤(122) 사이에 구비되어, 약포 패키지 중 최전단의 약포를 절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송부(120)는 권출롤(121), 구동롤(122) 및 배출롤(123)을 포함한다. 권출롤(121)은 이송부(120) 중 이송경로 상의 입측에 구비된다. 약포 패키지는 최전단의 약포가 권출롤(121)에 올려진 상태로 장착된다. 권출롤(121)이 회전함에 따라 권출롤(121) 상에 놓여진 약포가 이송된다. 권출롤(121)의 출측에는 한 쌍의 구동롤(122a, 122b)가 구비된다. 구동롤(122a, 122b)은 상하로 구비된다. 또한 구동롤(122a, 122b)는 상호 기어로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상부 구동롤(122a)과 하부 구동롤(122b) 중 어느 하나에 모터를 통하여 토크를 전달하면 나머지 하나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배출롤(123)은 구동롤(122a, 122b)의 출측에 구비된다. 배출롤(123)은 이송부(120)의 최후단에 구비되어 절단된 약포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권출롤(121)의 상부에는 상부커버(103)의 상단면 하부로부터 연장된 연결암(1033)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지지롤(1032)이 위치할 수 있다. 지지롤(1032)은 권출롤(121)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약포를 상부로부터 지지하여 용이하게 권출 및 이송이 가능하게 한다.
상부 배출롤(122a) 및 하부 배출롤(122b)은 기어부(127)로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상호 토크가 전달되고, 배출롤(123)과 상부 구동롤(122a), 하부 구동롤(122b)과 권출롤(121)은 각각 타이밍 벨트(126, 125)로 연결되어 구동력, 즉 토크가 전달된다. 지지롤(1032)에는 별도의 토크가 전달되지 않는다.
이송부(120)에 포함되는 각 롤러들(121, 122, 123)들의 외주면은 약포를 큰 힘으로 압박하지 않도록 스펀지와 같은 탄성의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180)는 경로 선택부(130) 및 이송부(120)의 하부에 약포가 저장될 수 있는 일정한 공간부로서 형성된다. 또한 경로 선택부(130)의 하부에는 약포가 낙하되는 경우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가 형성된 가이드부(18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에 의하여 약포가 장착되고, 이송되는 과정을 각 구성부들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에 약포 패키지를 장착하는 초기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포 패키지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내에서 약포 패키지가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내에서 약포 패키지의 일부가 절단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약포 패키지의 일부가 절단되는 모습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03)를 오픈한 상태에서 보관부(110)에 약포 패키지를 권취한다. 이 때 약포 패키지의 최전단 약포(81a)를 권취롤(121)의 상단에 위치시킨다.
한편, 약포 패키지(80)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약포 패키지(80)는 복수의 약포(81)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일련의 약포 패키지(80) 중 상술한 권취롤(121)의 상단에 위치할 약포를 최전단 약포(81a)라 정의한다. 보관부(110)에 권취된 약포 패키지(80)는 약포의 인출을 위하여 이송되는 경우 최전단 약포(81a)부터 이송되기 시작하며, 최전단 약포(81a)가 절단 및 인출되고 난 후에는 최전단 약포(81a)와 인접했던 약포가 다시 최전단 약포(81a)가 된다.
또한 약포 패키지(80)에 포함되는 각 약포(81)에는 2차원 그래픽 코드, 바람직하게는 QR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QR 코드에는 환자 식별 데이터,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 등의 복약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식별 데이터는 복약 대상인 환자의 식별을 위한 일련 번호 또는 환자의 인적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는 특정 약포에 어떠한 약이 포함되어 있으며, 어느 시기에 복약을 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03)를 덮는다. 이 때 상부커버(103)의 상부면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롤(1032)이 권출롤(121)의 상부에 접하면서 약포(81) 및 약포 패키지(8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어서 구동롤(122a, 122b)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권취롤(121)이 함께 회전하면서 권취롤(121)과 지지롤(1032) 사이에 개재된 약포 패키지(80)가 인출구(140) 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약포 패키지(80)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 상에는 스캔부(160)가 구비된다. 스캔부(160)는 이송 경로 중 구동롤(122)과 권출롤(1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스캔부(160)는 앞서 설명한 약포 패키지(80)에 인쇄된 QR코드와 약포 패키지의 절단 위치 또는 절취선을 스캔한다. 스캔부(16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2차원 그래픽 코드 및 절취선을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 그래픽 코드 및 절취선을 동시에 촬영 및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약포의 인출 또는 저장 시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단 약포(81a)가 배출롤(123)과 경로선택부(13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절단부(150)가 작동하여 최전단 약포(81a)를 절단 및 분리시킨다.
이후 분리된 최전단 약포(81a)는 경로 선택부(130)의 작동 상태에 따라 2가지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절단된 약포가 두 가지 경로를 통하여 인출되거나 저장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의 제1 경로를 통하여 약포가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내에서 제2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내에서 제2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고,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 내에서 제2 경로를 통하여 약포가 저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경로는 장치 외부로 인출되는 경로이며, 제2 경로는 장치 내부에 별도의 공간에 저장되는 경로이다.
구체적으로 제1 경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구(140)를 통하여 분리된 최전단 약포(81a)가 인출되는 경로이다. 이 경우 경로선택부(130)는 상부의 배출롤(123)과 접촉한 상태가 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로선택부(130)의 출측 단부는 인출구(140) 측으로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배출롤(123)의 롤링에 따라 분리된 최전단 약포(81a)는 인출구(140)를 통하여 배출된다.
반면 제2 경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선택부(130)의 회동축(131)이 회동하여 지지플레이트(133) 및 경사부(134)가 내리막 경사를 형성한다. 이 경우 지지플레이트(133) 상에 위치하던 분리된 최전단 약포(81a)는 지지플레이트(133)의 내리막 경사를 따라 미끌어지게 된다. 그 결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단 약포(81a)는 지지플레이트(133)로부터 떨어져서 저장부(180)로 낙하하게 된다. 낙하하는 최전단 약포(81a)는 가이드부(181)에 최초로 접촉하여 가이드부(181)의 경사를 따라 미끄러져 저장부(180)의 최하단에 모이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의 흐름과 관련된 구성부들을 설명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장치와 관리서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은 복약 도움장치(100) 및 관리서버(30)를 중시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복약 도움장치(100) 및 관리서버(30) 중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구성부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복약도움장치(100)는 스캔부(160), 촬상부(104) 및 제어부(190)를 구비한다. 스캔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포에 인쇄된 QR코드와 절취선 등을 스캔하며, 촬상부(104)는 복약 도움장치(100) 주변, 특히 전방의 정지 화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한다.
제어부(190)는 복약 도움장치(100) 내에 포함된 롤러나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제어하며, 스캔부(16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최전단 약포가 분리되기 위한 제어 등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약포가 인출되는 등의 특정 시기에 복약 관리장치(100)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04)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부(104)는 복약 여부의 판단에 이용될 수 있는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촬상부(104)는 복약 도움장치(100)의 작동 시에 복약 도움장치(100)의 정면 방향을 촬영하여 복약 도움장치(100)로부터 약포를 인출한 사람을 촬영하거나, 인출구(140) 측을 촬영함으로써 약포가 실제로 인출되었는지의 여부 등을 확인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상부(104)는 촬영 시간 또는 주기에는 제한이 없다. 즉, 촬상부(104)는 관리자 또는 보호자가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보조자료로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90)는 복약정보 수집부(194), 통신부(195), 데이터 인식부(192) 및 알람부(193)를 더 포함한다.
복약정보 수집부(194)는 약포가 복약 시기에 따라 정상적으로 인출되었는지 또는 복약 시기가 도과하여 저장부에 저장되었는지의 정상 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약정보 수집부(194)는 이러한 정상 복약 여부와 함께 정상적인 복약의 이력 및 미복약 정보 등을 포함하는 복약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미복약 정보는 미인출 횟수, 미인출된 약포 정보 등을 넓게 포함한다. 또한 복약정보 수집부(194)는 스캔부(160)가 스캔한 데이터로부터 인식한 복약 정보와 복약 이력 정보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95)는 관리서버(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95)는 복약정보 수집부(194)에 의하여 수집된 각종 복약 이력 정보나 촬상부(104)에 의하여 촬영된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95)는 앞서 설명한 환자의 생체 정보 및 복약정보 수집부(194)에 의한 복약 정보 및 복약 이력 정보의 비교 결과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95)에 의한 데이터 전송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 이력 정보의 경우 주기적으로 관리서버(30)로 전송되거나 복약 시기에 약포가 실제 인출이 되지 않은 경우 등에만 관리서버(30)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통신부(195)는 보호자 단말기나 관리자 단말기에 복약 이력 정보 특히 미복용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정보는 SMS, 메일, 음성 안내 도는 음성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인식부(192)는 스캔부(160)가 스캔한 데이터로부터 환자 식별 데이터,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 등의 복약 정보들을 인식한다. 알람부(193)는 복약 정보에 포함된 복약 시기에 대응하여 환자에게 복약 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알리기 위하여 알람을 울릴 수 있다.
관리서버(30)는 복약 관리부(31), 수신부(32) 및 복약정보 전송부(33)를 포함한다. 수신부(32)는 복약 도움장치(100)의 통신부(195)로부터 전송되는 복약 이력 정보와 함께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복약정보 전송부(33)는 의료기관서버에 환자의 복약 이력을 전송한다.
복약 관리부(31)는 수신된 복약 이력 정보에 미복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이에 대한 사후 관리 기능을 한다. 미복약 정보란 미인출 횟수 및 미인출된 약포 정보 등과 같이 정상 복용 시간에 약포의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정황을 유추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복약 관리부(31)는 복약 이력 정보에 미복약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 경우 관리자 단말기나 보호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도 17을 참조하여 복약 관리 제공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제공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약포 패키지를 로딩한다(S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포 패키지를 복약 관리장치 내에 장착하고, 약포 패키지에 인쇄된 QR 코드 등을 복약 관리장치가 스캔하고 인식함으로써 로딩이 된다. 이러한 로딩 정보 또한 복약 관리장치로부터 관리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약 관리장치가 약포 패키지에 인쇄된 2차원 그래픽 코드를 스캔하여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 등의 복약 정보를 인식한다(S20).
이어서 인식된 복약 정보에 따라 환자에게 알람을 제공하고, 약포를 제공한다(S30). 다만 복약 시기에 해당 약포의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미인출된 해당 약포를 약포 패키지로부터 분리하여 저장부에 별도로 저장한다. 이 단계에서 복약 관리장치는 제공된 약포에 대한 종류, 제공 시기, 미복약 횟수, 미복약 시기 및 미복약 약포에 대한 종류 정보 등 복약 이력 정보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기 설정된 시기에 복약 이력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S40). 이 때 복약 이력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또는 미복약정보가 수집된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서버는 전송된 복약 이력 정보가 미복약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전송된 복약 이력 정보가 미복약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복약 이력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한다(S60). 반면, 전송된 복약 이력 정보가 미복약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해당 복약 이력 정보를 의료기관 서버로 전송하기 전 또는 후에 복약 이력 관리를 수행한다(S55). 여기서 복약 이력 관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복약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등의 사후 관리를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복약 관리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20: 의료기관 서버 30: 관리서버
40: 관리자 단말기 50: 보호자 단말기
60: 게이트웨이 70: 생체 정보 측정기
100: 복약 관리장치 110: 보관부
120: 이송부 130: 경로선택부
140: 인출구 150: 절단부
160: 스캔부 180: 저장부

Claims (15)

  1. 약포 패키지가 보관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된 약포 패키지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 중 최 전단의 약포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절단된 약포가 외부로 배출되는 인출구;
    촬상부; 및
    상기 약포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약포의 실제 인출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 및 상기 인출구 측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절단된 약포가 배출되도록 롤링하는 배출롤을 구비하는 복약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 패키지가 개재되어 상기 약포 패키지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배출롤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부 및 하부 구동롤을 포함하는 복약 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약포 패키지의 최 전단 약포가 최초로 위치되어 상기 구동롤 측으로 상기 약포 패키지가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권출롤을 포함하는 복약 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동롤과 상기 권출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권출롤로부터 상기 한 쌍의 구동롤 측으로 이송되는 약포 패키지를 촬영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정지 화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식의 멀티미디어 영상을 촬영하는 복약 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가 외부로 인출된 시기 및 인출된 약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약 이력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네트워크는 PSTN, 근거리 무선 통신망, 이동통신 무선망 및 인터넷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통신망인 복약 관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약 데이터와 함께 상기 촬상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복약 관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 패키지에 인쇄된 2차원 그래픽 코드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부가 스캔한 2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환자 식별 데이터,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약 정보를 인식하는 복약 관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부가 스캔한 2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인식된 복약 시기 및 약포 패키지 정보를 포함하는 복약 정보와 상기 인출구를 통하여 상기 약포가 배출된 시기 및 실제 인출된 약포 정보를 포함하는 복약 이력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복약 정보 및 복약 이력 정보의 비교 결과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복약 관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인식된 복약 시기에 상기 약포가 실제 배출이 되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보호자 단말기 및 관리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 약포의 미배출 사실을 통보하는 복약 관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인식한 복약 시기에 대응하여 알람을 울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복약 관리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가 인식한 복약 시기에 상기 환자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SMS, 이메일 및 음성안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약 관리장치.
KR1020120115839A 2012-10-18 2012-10-18 복약 관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26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839A KR101426607B1 (ko) 2012-10-18 2012-10-18 복약 관리장치
EP13189023.8A EP2722031A1 (en) 2012-10-18 2013-10-17 Medicine-taking management apparatus
US14/056,607 US20140114471A1 (en) 2012-10-18 2013-10-17 Medicine-taking manage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839A KR101426607B1 (ko) 2012-10-18 2012-10-18 복약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708A KR20140049708A (ko) 2014-04-28
KR101426607B1 true KR101426607B1 (ko) 2014-08-05

Family

ID=5065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8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6607B1 (ko) 2012-10-18 2012-10-18 복약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6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578A (ja) * 2002-12-26 2004-07-22 Higashi Nihon Medicom Kk 薬歴簿システム
KR20110138735A (ko) * 2010-06-21 2011-12-28 (주) 자누리 약제 배출장치
KR20120072109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3343A (ko) * 2012-02-14 2013-08-22 대진기술정보 (주) 약제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6578A (ja) * 2002-12-26 2004-07-22 Higashi Nihon Medicom Kk 薬歴簿システム
KR20110138735A (ko) * 2010-06-21 2011-12-28 (주) 자누리 약제 배출장치
KR20120072109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3343A (ko) * 2012-02-14 2013-08-22 대진기술정보 (주) 약제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708A (ko) 201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307B1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US20140114471A1 (en) Medicine-taking management apparatus
EP3706705B1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US9235690B2 (en) Medication dispenser with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KR20140139998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1971695B1 (ko)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210272B1 (ko)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083666A1 (en) Medication delivery and complian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101368644B1 (ko) 약제 배출장치
US20100096399A1 (en) Smart Medicine Container
KR20150039341A (ko) 복약 관리장치
KR20160134950A (ko) 퍼스널 디스펜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16438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KR20210125154A (ko) 복약 관리 시스템
KR101426607B1 (ko) 복약 관리장치
KR101421809B1 (ko) 복약 관리장치
KR101147996B1 (ko) 개인용 투약 장치
EP2225616B1 (en) Medication dispenser with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TWI598845B (zh) Drug delivery methods and medicine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