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695B1 -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1695B1 KR101971695B1 KR1020160040171A KR20160040171A KR101971695B1 KR 101971695 B1 KR101971695 B1 KR 101971695B1 KR 1020160040171 A KR1020160040171 A KR 1020160040171A KR 20160040171 A KR20160040171 A KR 20160040171A KR 101971695 B1 KR101971695 B1 KR 101971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medication
- taken
- medicine
- medica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9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101 premed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 G06K9/2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7—Processing image or video features in feature spaces; using data integration or data reduction, e.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r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or self-organising maps [SOM]; Blind source sepa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04N5/225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전 동작 및 복약 후 동작을 촬영하며, 촬영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는, 환자의 손바닥을 촬영하거나, 환자의 입을 촬영하거나, 또는 환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환자의 복약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자의 복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기 투약이 필요한 만성 질환자가, 지정된 시간에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직접복약관리(Directly Observed Treatment, DOT)는 가장 중요한 치료 수단이며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약물의 과복용, 오복용, 미복용 등의 주요 원인은 환자가 복약 시간, 방법, 회수 및 주의사항 등을 일일이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특히, 약물의 과복용, 오복용, 미복용 등은, 고령자나 장기 투약 환자에게는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는 DOT를 권고하고 있으며, 이미 미국, 일본 등 선진 국가에서는 DOT의 실시로 일부 질병의 규모가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완치율 또한 향상되었다.
그러나, DOT가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관련 전문가들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환자의 약 복용 여부가 일일이 확인되어야 한다. 따라서, DOT는 인적, 경제적 한계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의료 기관은, 제한적인 복약 확인 및 지도를 하고 있으며, 단순히 복약 시간 및 예정일 등을 통보하고 독려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의료 및 헬스케어 분야에서, IT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 스케줄 기반의 스마트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복약관리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 또한, 환자의 복약을 돕기 위한 여러 복약 보조기기들이 국내외에서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일 예로서, 복약 시간이 되면 약병의 뚜껑에서 소리와 불빛으로 환자에게 복약 시간을 알리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환자의 복약 여부는 약병의 뚜껑의 개폐 여부로 확인되며, 이는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알림 후에도 약병의 뚜껑이 열리지 않으면, 제조사의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에게 전화 발신을 하여 복약을 알리는 기능도 개발되고 있다.
다른 예로서, 카트리지 형태의 자동 배출 방식의 복약 보조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이는, 환자의 별도의 행위 없이 약의 보관 및 배출이 제어되는 단순 약제 배출 기능만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복약 보조장치들은 사용자에게 복약 시간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환자가 실제로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전 동작 및 복약 후 동작을 촬영하며, 촬영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는 환자의 손바닥을 촬영하거나, 환자의 입을 촬영하거나, 또는 환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환자의 복약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가 실시간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환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환자에게 약을 복용할 것을 권유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복약 여부가 실질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 구비되어 있는 종래의 복약 모니터링 장치에 카메라를 연결하고, 상기 복약 모니터링 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들의 비용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는 환자의 복약 전 및 후의 동작 중 일부를 파악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실제로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손바닥 이미지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입의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손바닥 이미지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입의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복약 과정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100)는 환자를 촬영하는 카메라(110), 카메라(11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20), 환자가 복용하는 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40) 및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환자의 복약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단의 뚜껑을 여닫는 상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자 내 환자가 복용하는 약이 보관될 수 있으며, 복약관리가 필요한 환자의 댁내에서, 접근이 용이한 고정된 장소에 위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가 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110)는 컴퓨터 등의 USB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웹캠 형태의 카메라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110)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100)의 메인보드에 바로 꽂아 이용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메라(110)는 환자의 손바닥, 입 속 또는 환자의 동작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예컨대, 환자의 손바닥 이미지, 환자의 입 속 이미지 또는 환자의 동작이 포함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환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복약 모니터링 장치(100)에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약을 보관하는 약 상자의 무게가 환자가 복용해야 할 약의 무게만큼 감소되었는지의 여부를 추가적으로 더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무게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약 상자의 무게가 감소되었다면, 제어부(120)는 환자가 약을 약 상자로부터 꺼냈다는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저장 수단으로서,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환자가 복용하는 약의 종류 및 개수, 약을 복용하는 시간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140)는 환자 또는 환자의 복약을 관리하는 관리자(예컨대, 환자에게 약을 처방한 의사 또는 약사와 같은 병원 관계자)이 입력하는 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환자 또는 관리자의 입력 조작을 통해 입력부(140)는 약의 종류, 개수, 약을 복용하는 시간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40)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100)의 소정 위치에 버튼 등과 같은 물리적 버튼을 통해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40)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100)의 소정 위치에 구현된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이콘의 선택 조작을 통해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40)는 환자의 복약 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10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스피커, 디스플레이, 램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음성, 문자 또는 빛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복약 모니터링 장치(100)의 제어부(120)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우선, 환자 또는 관리자는 환자가 복용할 약의 종류 및 개수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는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정보들을 저장부(130)에 저장한다(S202). 이러한, 약에 대한 정보(약의 종류, 개수 등)는 환자의 관리자에 의해서 입력부(140)를 통해 사전에 입력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환자 또는 관리자는 환자가 약을 복용해야 할 복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다음,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용 시간이 도래하면, 출력부(150)를 통해 음성 또는 문자 또는 시각적으로 환자에게 약을 복용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약을 복용할 것을 환자에게 권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문자 또는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통해 약을 먹을 시간임을 환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다양한 색상의 램프를 점멸시켜 약을 복용할 시간임을 환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약을 복용해야 할 시간에 알림을 주면, 환자는 약을 복용해야 할 시간임을 인식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의 뚜껑을 열어, 복약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약을 꺼내서 복용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출력부(150)를 구성하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 방법 및 절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출력부(150)를 통해 제공되는 가이드를 참조하여 약을 복용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복용 시간이 도래한 후 기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카메라(110)를 구동시켜, 환자의 손바닥 또는 입을 촬영하거나, 환자의 동작을 동영상으로 촬영한다(S204).
아울러, 제어부(120)는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6).
여기서, 환자를 촬영하는 과정(S204) 및 촬영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206)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정들(S204, S206)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S206의 판단결과, 환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환자의 복용 정보를 저장한다(S208). 이때, 환자의 복용 정보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만약, 단계 S206의 판단결과, 환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20)는 출력부(150)를 통해, 환자에게 약을 복용할 것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210).
아울러, 제어부(120)는 환자가 약을 복용하거나 복용하지 않은 복약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면, 제어부(120)는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약 정보를 상기 환자의 복약 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복약 정보의 전송은 기 설정된 기간 마다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복약 정보의 전송은 복약이 이루어질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환자를 촬영하는 과정(S204) 및 촬영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206)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손바닥 이미지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특히, 도 3의 (a)는 복약 전에 약이 놓여져 있는 손바닥을 촬영한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의 (b)는 복약 후에 약이 사라진 손바닥을 촬영한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입의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어부(120)는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손바닥 영상을 이용하거나, 환자의 입 속 영상을 이용하거나, 환자의 복약 과정에 대한 동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손바닥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환자가 복약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약을 꺼낸 후, 손 위에 복용 전 약을 올려 놓으면, 카메라(1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이 놓여져 있는 환자의 손바닥을 촬영한다.
이때, 환자가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제어부(120)는 출력부(150)를 통해 환자에게 상기한 바와 같이 약 복용을 권유하는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환자는 상기 지시에 따라, 약을 손바닥에 올려 놓은 후, 카메라(110) 앞에 약이 놓여져 있는 손바닥을 위치시킨다.
이때, 제어부(120)는 환자가 약이 놓여진 손바닥을 카메라(110) 앞에 위치시키도록, 출력부(150)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 후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30초)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카메라(110)를 구동시켜, 촬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 후, 환자가 입력부(140)에 구비된 촬영 버튼을 선택하면, 카메라(110)를 구동시켜, 촬영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0)에 비춰야할 관심 영역(환자의 손바닥 영역)을 출력부(15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영역 내에 약이 포함될 수 있도록, 약의 위치 및 손바닥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바닥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상기 센서를 통해 환자의 손바닥이 카메라(110) 앞에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센서를 통해 환자의 손바닥이 카메라(110) 앞에 위치되었다고 판단되면, 카메라(110)를 구동시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를 생성한다.
카메라(110)가 구동되어 촬영 정보가 생성되면, 제어부(120)는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환자의 손바닥에 약이 놓여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6).
예컨대, 제어부(120)는 촬영된 손바닥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알맹이들이 있다고 판단되면, 환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해 약을 쥐고 있다고 판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의 약 복용 동작이 수행된 후, 제어부(12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환자의 손바닥을 다시 한번 촬영한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환자의 손바닥에 약이 놓여져 있는 것을 확인 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카메라(110)를 통해 환자의 손바닥이 재촬영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재촬영된 정보를 분석하여, 손바닥 위에 알맹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손바닥 위에 어떠한 알맹이도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환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련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1차로 촬영된 도 3의 (a)에 도시된 손바닥 이미지와, 2차로 촬영된 도 3의 (b)에 도시된 손바닥 이미지를 분석하여, 환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행된 과정들에 아래와 같은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손바닥 내 약의 상기 알맹이들의 개수 및 크기들을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들과 비교하여, 환자가 자신이 복용해야 할 약을 정확히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 제어부(120)는 단계 S206에서 촬영된 정보로 복약 여부를 판단할 시, 손바닥 위에 올려진 약이 정확히 환자가 복용해야 할 약이 맞는지 또한 그 개수가 맞는지 등을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30)에는 환자가 복용하는 약을 구성하는 알약의 개수 및 크기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저장부(130)에는 환자가 복용해야 할 약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다.
만약, 환자가 약을 정확히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출력부(150)를 통해 약의 종류 및 개수에 오류가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추가적인 판단을 통해, 복약 모니터링 장치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입 속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카메라(110)는 환자가 약을 복용하기 전에 약이 놓여져 있는 입만을 촬영할 수 있으며, 환자가 약을 복용한 후에 약이 없어진 입을 추가적으로 더 촬영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환자가 약을 입에 넣은 후 가볍게 입을 벌려 혀 위의 약이 놓여있는 상태를 카메라(110)에 비추면, 제어부(120)는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입 속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입 속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입에 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 속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원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손바닥 영상을 이용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원리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 속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면, 약이 입 안에 있음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환자가 일부러 약을 뱉어내지 않는 이상, 환자가 약을 복용하였음이 확실히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약을 복용한 후에 다시 입을 벌려 빈 혀를 확인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복약 확인 절차가 간단해 질 수 있고, 복약 여부가 더욱 효율적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복약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입 속 영상을 이용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할 시에도, 환자의 손바닥 영상을 이용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같이, 약의 종류 및 개수 등이 추가적으로 더 판단될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복약 동작이 촬영된 촬영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카메라(110)는 환자가 약 상자로부터 약을 꺼낸 후부터 복약할 때까지의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동영상에서 환자의 얼굴과 입 또는 손 영역을 추적하여 손이 입을 가리는 동작 등을 복약으로 인식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동작 인식 및 추적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동영상을 통해 환자가 약 상자에서 약을 꺼내는 동작, 환자가 입 속에 약을 넣는 동작, 환자가 입 속의 약을 삼키는 동작 등을 확인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복약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가장 많은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을 이용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약을 복용하는 모든 과정이 카메라(110) 앞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출력부(150)의 하나인 디스플레이에 환자의 복약 모습이 비춰지는 상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환자의 불편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동작 인식 및 추적 알고리즘은 높은 성능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약 모니터링 장치의 성능에 따라 동영상을 이용한 복약 여부 판단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복약 모니터링 방법은, 적용될 복약 모니터링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가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가 실시간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환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환자에게 약을 복용할 것을 권유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복약 여부가 실질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 구비되어 있는 종래의 복약 모니터링 장치에 카메라를 연결하고, 상기 복약 모니터링 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들의 비용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모니터링 장치는 환자의 복약 전 및 후의 동작 중 일부를 파악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실제로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삭제
- 환자의 손바닥, 입 속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거나, 상기 환자의 복약 동작을 동영상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의 손바닥을 1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환자의 손바닥을 2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1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에서는 환자의 손바닥에 약이 놓여져 있었고, 2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에서는 환자의 손바닥에 약이 놓여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차적으로 촬영한 손바닥 내 약의 개수 및 크기를 기 저장된 복용할 약의 개수 및 크기와 비교하여, 약이 정확히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정확히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약의 선택에 오류가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 - 환자의 손바닥, 입 속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거나, 상기 환자의 복약 동작을 동영상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환자가 약을 꺼낸 후부터 복약할 때까지의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동영상에서 환자의 얼굴과, 입 또는 손 영역을 추적하여 손이 입을 가리는 동작을 복약으로 인식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복약 모니터링 장치. - 삭제
- 환자가 복용해야 할 약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약 복용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환자에게 약을 복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단계;
복용 시간이 도래한 후 기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카메라를 구동시켜, 환자의 손바닥 또는 입을 촬영하거나, 환자의 동작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환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의 복용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에게 약을 복용할 것을 권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의 손바닥을 1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환자의 손바닥을 2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1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에서는 환자의 손바닥에 약이 놓여져 있었고, 2차적으로 촬영한 이미지에서는 환자의 손바닥에 약이 놓여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복약 모니터링 방법. - 삭제
- 환자가 복용해야 할 약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약 복용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환자에게 약을 복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단계;
복용 시간이 도래한 후 기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카메라를 구동시켜, 환자의 손바닥 또는 입을 촬영하거나, 환자의 동작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환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의 복용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에게 약을 복용할 것을 권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환자가 약을 꺼낸 후부터 복약할 때까지의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동영상에서 환자의 얼굴과, 입 또는 손 영역을 추적하여 손이 입을 가리는 동작을 복약으로 인식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복약 모니터링 방법. - 환자가 복용해야 할 약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약 복용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환자에게 약을 복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단계;
복용 시간이 도래한 후 기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카메라를 구동시켜, 환자의 손바닥 또는 입을 촬영하거나, 환자의 동작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촬영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환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의 복용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환자에게 약을 복용할 것을 권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환자가 약을 꺼낸 후부터 복약할 때까지의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동영상을 통해 환자가 약 상자에서 약을 꺼내는 동작, 환자가 입 속에 약을 넣는 동작 및 환자가 입 속의 약을 삼키는 동작을 확인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복약 모니터링 방법. - 제 6 항, 제8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환자가 복용해야 할 약을 정확히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복약 모니터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0171A KR101971695B1 (ko) | 2016-04-01 | 2016-04-01 |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0171A KR101971695B1 (ko) | 2016-04-01 | 2016-04-01 |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704A KR20170112704A (ko) | 2017-10-12 |
KR101971695B1 true KR101971695B1 (ko) | 2019-04-25 |
Family
ID=6014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0171A KR101971695B1 (ko) | 2016-04-01 | 2016-04-01 |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16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25363A1 (en) * | 2021-04-22 | 2022-10-27 | Seegene, Inc. | Self-sampling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self-sampling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8975B1 (ko) | 2018-04-30 | 2020-10-22 | 이휘원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객체의 이벤트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
KR102185492B1 (ko) * | 2019-04-11 | 2020-12-03 | 주식회사 에버정보기술 |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안면인식 기반 스마트 디스펜서 |
CN113785558B (zh) | 2019-05-07 | 2024-01-05 | 掌中加有限公司 | 利用摄像头模块和无线通信设备检测事件的可穿戴设备 |
KR102215692B1 (ko) * | 2019-05-15 | 2021-02-16 | 주식회사 비타메이트 | 알약 배출 장치 |
CN111402987B (zh) * | 2019-12-31 | 2024-05-10 | 武汉星巡智能科技有限公司 | 基于可见光视频的用药提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WO2021246590A1 (ko) * | 2020-06-01 | 2021-12-09 | 알고케어 주식회사 | 영양제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펜서 장치 |
KR102356202B1 (ko) * | 2020-06-01 | 2022-02-07 | 알고케어 주식회사 | 영양제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펜서 장치 |
KR102544646B1 (ko) * | 2020-06-02 | 2023-06-19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약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및 복약관리시스템 |
CN111743774B (zh) * | 2020-06-10 | 2024-07-26 | 泰州市人民医院 | 一种智能喂药系统 |
KR102545440B1 (ko) | 2020-08-04 | 2023-06-22 |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복약관리시스템 |
KR102344338B1 (ko) * | 2020-08-19 | 2021-12-29 | 인핸드플러스 주식회사 | 약물 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KR102483973B1 (ko) * | 2022-04-15 | 2023-01-04 | 주식회사 더인츠 | 치료약의 과다복용 및 오복용을 방지하는 스마트 복약 관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복약 관리 시스템 |
KR102548928B1 (ko) * | 2022-12-07 | 2023-06-28 | 주식회사 제이엔제이테크 | 인공지능 기반의 복약 관리 및 커뮤니티 매칭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69277A (ja) * | 2012-02-20 | 2013-09-02 | Tohoku Univ | 服薬確認装置および服薬確認システム |
KR101515494B1 (ko) * | 2013-06-26 | 2015-05-0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약기 및 약 지급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5339A (ko) * | 2013-07-05 | 2015-0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복약 관리 장치 |
-
2016
- 2016-04-01 KR KR1020160040171A patent/KR1019716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69277A (ja) * | 2012-02-20 | 2013-09-02 | Tohoku Univ | 服薬確認装置および服薬確認システム |
KR101515494B1 (ko) * | 2013-06-26 | 2015-05-0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약기 및 약 지급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25363A1 (en) * | 2021-04-22 | 2022-10-27 | Seegene, Inc. | Self-sampling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self-sampling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704A (ko) | 2017-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1695B1 (ko) |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
CN111372549B (zh) | 整合药物管理的系统、方法及模组 | |
US9144399B2 (en) | Medication recording device | |
US10025908B1 (en) | Medication adherence systems and methods | |
US8423181B2 (en) | Tablet dispenser system | |
KR101368644B1 (ko) | 약제 배출장치 | |
US11464710B2 (en) | Automated and secure methods for dispensing medication | |
JP6338454B2 (ja) | 服用証跡管理端末、服用証跡管理システム及び服用証跡管理方法 | |
JP2017045437A (ja) | 服薬管理装置、服薬管理システム、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20190282450A1 (en) |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 |
KR101497307B1 (ko) |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 |
KR20160134950A (ko) | 퍼스널 디스펜서 제어 장치 및 방법 | |
KR20140139998A (ko) |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 |
JP6307865B2 (ja) |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17176541A (ja) | 電子血圧計 | |
KR20170011039A (ko) | 약보관용기의 중량검출에 따른 복약 지원 시스템 | |
US2007003833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ensing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ation | |
KR101868114B1 (ko) | 복합 기능성 혈압 관리 시스템 | |
EP4297040A1 (en) | Method for monitoring the taking of a medication and a medication system | |
KR101147996B1 (ko) | 개인용 투약 장치 | |
KR102677881B1 (ko) | 향정신성 의약품의 사용 및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관리 키트 및 이 관리 키트를 보관하는 금고 | |
KR20200070678A (ko) | 비전 기반 복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
WO2019142453A1 (ja) | 服薬管理プログラム、服薬管理装置、服薬管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 |
KR101426607B1 (ko) | 복약 관리장치 | |
ITBO950540A1 (it) | Apparecchiatura per il dosaggio e la distribuzione controllata di metadone o di altre sostanze similari.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