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517B1 -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0517B1 KR101370517B1 KR1020130026214A KR20130026214A KR101370517B1 KR 101370517 B1 KR101370517 B1 KR 101370517B1 KR 1020130026214 A KR1020130026214 A KR 1020130026214A KR 20130026214 A KR20130026214 A KR 20130026214A KR 101370517 B1 KR101370517 B1 KR 1013705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lock
- pressing
- push
- handle member
- pu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에 적용되는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의 핸들부재를 밀면 상기 핸들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링크체가 작동하여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로서, 상기 핸들부재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링크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누름동작이 상기 링크체의 작동으로 이어져 상기 도어락 모티스를 해정시키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에 적용되는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과 같이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핸들(1)을 회전시켜 도어(D)의 데드볼트(2)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D)의 잠금해체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2)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신속하고 직관적인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로서, 도 2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내측핸들(3)과 외측핸들(4)에 도어(D)가 열리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래치볼트(5)를 해정하고 도어(D)를 여는 방식이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7'은 레버이고, '8'은 회동 샤프트이며, '6'은 데드볼트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모티스와 구동(데드볼트 및 레치볼트의 구동)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어락 장치의 작동성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도 2와 같은 방식의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3,4)의 일측 선단에 설치된 링크구조를 통해 눌러진 힘을 전달받아 모티스를 작동시키는 구조로서, 만일 핸들(3,4)의 상단이 아닌 하단이나 다른 가장자리를 누를 경우 작동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즉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을 눌러서 모티스의 작동(잠금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핸들을 누르는 힘을 모티스의 작동력으로 확실하게 전달(힘의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한편, 이러한 요구와 함께, 종래의 도어락은 내부에 핸들(3,4)을 누르는 것으로 간단히 해정되는 구조이므로, 외부에서 침입자가 문에 구멍을 뚫고 와이어와 같은 수단으로 내측의 핸들(3,4)을 누르는 것으로 용이하게 도어락을 강제해정시켜 무단칩입할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술적 고려 사항을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에 있어서, 외부에서 침입자가 문에 구멍을 뚫어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내측 핸들을 작동시켜 강제해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의 핸들부재를 밀면 상기 핸들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링크체가 작동하여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로서, 상기 핸들부재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링크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누름동작이 상기 링크체의 작동으로 이어져 상기 도어락 모티스를 해정시키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핸들부재의 내측에 탄성지지되어 일측방향으로 선회되는 누름단; 및 상기 누름단이 눌러지면 수직 하방으로 하강되고 말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링크체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누름단의 선단은 상기 핸들부재의 내부에 선회축을 기점으로 일정방향 선회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누름단의 말단은 내측으로 돌출된 누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누름돌기를 따라 이동하도록 경사단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말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하강되면 상기 링크체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말단에는 지지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에는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될 수 있다.
상기 링크체는, 상기 핸들부재가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가 상하로 이동되는 선회캠 수용부, 및 상기 선회캠 수용부에 선회되도록 장착되고 연결바의 일단이 연결된 선회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말단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선회캠 수용부 사이를 왕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핸들부재 내에 눌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노브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노브는 내측에 탄성 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 플레이트가 상기 누름부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이동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재의 내측면에는 고정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노브의 이동에 의해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선단이 상기 고정단의 가장자리에 간섭되는 것으로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서 핸들부재에 장착된 누름부재를 눌러야지만 핸들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의 핸들부재를 작동시켜 강제해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안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단에 장착된 고정노브를 작동시켜 누름부재가 눌러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비상시 직관적으로 핸들을 눌러서 도어를 개방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외측본체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외측본체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핸들부재와 링크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핸들부재와 링크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링크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베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c는 도 7a의 베이스가 최대 상승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베이스가 최대 하강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가 핸들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누름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누름단을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탄성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누름부재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슬라이딩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누름부재를 누른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및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고정노브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외측본체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외측본체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핸들부재와 링크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핸들부재와 링크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링크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베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c는 도 7a의 베이스가 최대 상승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베이스가 최대 하강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가 핸들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누름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누름단을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탄성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누름부재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슬라이딩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누름부재를 누른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및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고정노브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락 본체(300)에서 당겨지거나 눌러지는 핸들부재(100)가 구비되어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한 구성이다. 이때 핸들부재(100)를 당기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구조는 외측본체(도어락의 외측본체)에 적용되고, 핸들부재(100)를 밀어서 도어락을 해정하는 것은 내측본체(도어락의 내측본체)에 적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핸들부재(100)를 당기는 것으로 해정이 이루어지는 외측본체에 적용된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도어락 본체(300)의 바닥면에는 도어에 설치를 위한 복수의 고정단(310,3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들부재(100)는 상단(110a)과 하단(110b)이 링크체(200)의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핸들부재(100)가 눌러지면 그 힘은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를 동일한 힘으로 눌러져 회동체(30; 도 7a 및 7b에서 회동기어; 31로 표시함)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결바(10)를 직선운동으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이들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는 연결바(10)로 연결된다.
즉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링크체(200)는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가 서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링크체(제1 및 제2 링크부재; 210,220)는 연결바(10)를 통해 서로 유기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 중 제2 링크부재(220)를 예를 들어 이들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제2 링크부재(220)는 베이스(21)와 선회캠 수용부(22) 및 선회캠(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1)는 상면에 다수의 체결공(25)이 형성되는데, 이들 체결공(25)을 통해 핸들부재(100; 도 6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21)의 양측에는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선회캠 수용부(22)의 측면에는 곡선형태의 선회슬릿(S1; 도 7b 참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21)와 선회캠 수용부(22)는 이동슬릿과 선회슬릿(S1)이 겹쳐진 형태로 제1 샤프트(sh1)가 삽입되어 상호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베이스(21)는 선회캠 수용부(22)의 선회슬릿(S1)을 따라 각각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선회캠 수용부(22)의 내부에는 선회축(sh0)을 통해 선회캠 수용부(22) 내부에 장착된 선회캠(23)이 제공된다. 또한 이 선회캠(23)의 선단에는 제1 샤프트(sh1)가 관통하여 베이스(21)가 하강하거나 상승될 때 선회캠(23)도 같이 연동할 수 있다. 즉 선회캠(23)은 선회캠 수용부(22)에서 선회축(sh0)을 기점으로 선회되고, 선회캠(23)의 선단에는 베이스(21)의 이동슬릿에 연결된 제1 샤프트(sh1)를 따라 선회캠 수용부(22)의 선회 슬릿(S1)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베이스(21)가 눌러져 선회캠 수용부(22)에서 하강되는 경우 선회캠 수용부(22)의 내부에 장착된 선회캠(23)도 연동(선회)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핸들부재(100)를 누르거나 당기는 경우 그 힘은 링크체(200)의 베이스(21)로 전달되어 베이스(21)를 선회캠 수용부(22) 상에서 승하강시키게 된다.따라서 베이스(21)의 승하강을 통해 선회캠 수용부(22) 내에 장착된 선회캠(23)이 선회되는 것으로 이 선회캠(23)에 연결된 연결바(10)가 직선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 연결바(10)는 일단에 랙부(12)가 장착되어 회동기어(31)에 기어연결된다(랙과 피니언 방식의 연결). 따라서 베이스(21)의 승하강에 따른 선회캠(23)의 선회작동은 연결바(10)를 직선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 직선이동을 통해 연결바(10)의 일단에 기어연결(랙과 피니언 연결)된 회동기어(3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어락 모티스를 작동(도어락 해정)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8a과 같이 핸들부재(100)에는 누름부재(110)가 장착된다. 이 누름부재(110)는 침입자가 문에 구멍을 뚫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핸들부재(100)를 외부측에서 눌러서 강제해정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즉, 사용자가 내측에서 핸들부재(100)를 눌러서 도어락을 해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누름부재(110)를 누른 상태로 핸들부재(100)를 밀어서 도어락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누름부재(110)에는 누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노브(120; 도 8b)가 장착되고, 누름부재(110)의 누름작동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부재(130; 도 9a 및 도 9b)를 포함한다.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누름부재(110)는 누름단(140)과 슬라이딩 부재(130)로 구성된다. 누름단(140)은 핸들부재(100)에 선회축(141)을 기준으로 일정반경으로 선회도록 설치된다. 또한 누름단(140)의 내부에는 누름 스프링(134)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누름단(140)을 누른 상태에서 원상태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130)는 누름단(140)이 눌러지면 핸들본체(100a; 도 10참조)에서 수직방향으로 하강되도록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누름단(140)의 선단에는 누름돌기(145)가 형성된다. 또한 이 누름돌기(145)와 대응되도록 슬라이딩 부재(130)에는 경사단(13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누름단(140)을 누르게 되면 누름돌기(145)가 경사단(135)을 따라 슬라이딩 부재(130)를 하강시키게 되어 수직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130)의 선단(130a)에는 지지스프링(133)을 통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누름돌기(145)가 하강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상승)되면 인장된 상태의 지지스프링(133)이 원상태로 복귀됨으로써 하강된 상태의 슬라이딩 부재(13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130)의 말단(130b)에는 지지롤러(131)가 장착된다. 이하 지지롤러(131)의 위치에 따른 핸들부재(100)의 작동상태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앞서, 도 7a 내지 도 7d의 설명과 같이 링크체(200)는 핸들부재(100)가 하강되면 베이스(21)가 같이 하강되는 것으로 연결바(10)를 직선으로 이동시키고, 이 연결바(10)에 말단에 연결된 회동체(30; 회동기어 3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10과 같이, 슬라이딩 부재(130)의 지지롤러(131)는 누름단(14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선회캠 수용부(22)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부재(100)를 밀어도 지지롤러(131)가 선회캠 수용부(22) 상에 위치함으로써 핸들부재(100)를 누르는 것이 불가능하다(즉 링크체는 베이스만이 승하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도 11과 같이 사용자가 누름단(140)을 눌러서 슬라이딩 부재(130)를 하강시켜 지지롤러(131)가 링크체(200)의 베이스(21) 상으로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부재(100)를 누르게 되면 그 힘이 베이스(21)로 전달되어 베이스(21)의 하강이 이루어짐으로써 링크체(200)의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해 핸들부재(100)를 누르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푸쉬-풀 도어락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누름부재(110)를 핸들부재(100)에서 누르는 것으로 슬라이딩 부재(130)의 지지롤러(131)를 베이스(21) 상에 위치되도록 이동시켜 핸들부재(100)를 누르는 것으로 링크체(200)의 베이스(21)를 하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130)의 말단(130b)에 지지롤러(131)를 장착함으로써 핸들부재(100)의 하강시 베이스(21)와 선회캠 수용부(22)의 접경부에서 측벽(선회캠 수용부(20)의 측벽)을 타고 용이하게 이동(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누름부재(110)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130)의 지지롤러(131)는 선회캠 수용부(22) 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핸들부재(100)가 눌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재(110)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와이어 등을 통해 핸들부재(100)를 누르는 것이 불가능함으로써 외부 침입자에 의한 강제해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누름단(140)에는 고정노브(120)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누름단(140)을 누른 상태에서 고정노브(12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12와 같이 누름단(140)이 계속적으로 눌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노브(120)는 고정볼트(121)를 통해 내측에 탄성 플레이트(122)가 장착된다. 이 탄성 플레이트(122)는 도 8d와 같이 중간에 볼록부(122a)가 형성되고, 양측에 고정을 위한 고정홀(122b)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122h)가 형성된다. 한편 누름단(140)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록부(122a)와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홈(1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노브(120)의 이동시 고정홈(123)에 탄성 플레이트(122)의 볼록부(122a)가 안착됨으로써 이동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핸들본체(100a)의 내측에는 고정노브(120)의 탄성 플레이트(122)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고정단(124)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단(124)은 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2와 같이 고정노브(120)가 이동되어 탄성 플레이트(122)의 선단이 고정단(124; 볼트의 헤드)에 가장자리의 안측으로 이동되면 이들이 서로 간섭되어 누름단(140)이 누름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름단(140)이 눌러진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누름부재(110)를 누르지 않고도 핸들부재(100)를 누르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설정은 특히 화재와 같은 비상시 사용자가 누름부재(110)를 별도로 누르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핸들부재(100)를 누르는 것으로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일명 '안티패닉 기능설정'이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내부에서 핸들부재(100)에 장착된 누름부재(110)를 눌러야지만 핸들부재(10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의 핸들부재(100)를 작동시켜 강제해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단(140)에 장착된 고정노브(120)를 작동시켜 누름부재(110)가 눌러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비상시 직관적으로 핸들부재(100)를 눌러서 도어를 개방하여 탈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핸들부재 120: 고정노브
121: 고정볼트 122: 탄성 플레이트
123: 고정홈 124: 고정단
130: 슬라이딩 부재 131: 지지롤러
140: 누름단 145: 누름돌기
121: 고정볼트 122: 탄성 플레이트
123: 고정홈 124: 고정단
130: 슬라이딩 부재 131: 지지롤러
140: 누름단 145: 누름돌기
Claims (9)
-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300)의 핸들부재(100)를 밀면 상기 핸들부재(100)의 하부에 장착된 링크체(200)가 작동하여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기어(3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로서,
상기 핸들부재(100)의 내측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링크체(2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들부재(100)의 누름동작이 상기 링크체(200)의 작동으로 이어져 상기 도어락 모티스를 해정시키는 누름부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10)는,
상기 핸들부재(100)의 내측에 탄성지지되어 일측방향으로 선회되는 누름단(140); 및
상기 누름단(140)이 눌러지면 수직 하방으로 하강되고 말단(130b)이 선택적으로 상기 링크체(200)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단(140)의 선단은 상기 핸들부재(100)의 내부에 선회축(141)을 기점으로 일정방향 선회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누름단(140)의 말단은 내측으로 돌출된 누름돌기(145)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30)의 내측에는 상기 누름돌기(145)를 따라 이동하도록 경사단(135)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30)의 말단(130b)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130)가 하강되면 상기 링크체(200)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30)의 말단(130b)에는 지지롤러(131)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30)의 선단에는 지지스프링(135)에 의해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200)는,
상기 핸들부재(100)가 장착되는 베이스(21),
상기 베이스(21)가 상하로 이동되는 선회캠 수용부(22), 및
상기 선회캠 수용부(22)에 선회되도록 장착되고 연결바(10)의 일단이 연결된 선회캠(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30)의 말단(130b)은 상기 베이스(21)와 상기 선회캠 수용부(22) 사이를 왕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10)의 내부에는 상기 누름부재(110)가 상기 핸들부재(100) 내에 눌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노브(12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브(120)는 내측에 탄성 플레이트(122)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 플레이트(122)가 상기 누름부재(1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이동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100)의 내측면에는 고정단(12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노브(1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탄성 플레이트(122)의 선단이 상기 고정단(124)의 가장자리에 간섭되는 것으로 상기 누름부재(110)의 누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300)의 핸들부재(100)의 전면을 밀면 상기 핸들부재(100)의 하부에 장착된 링크체(200)가 작동하여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기어(3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로서,
상기 핸들부재(100)의 일측에 장착된 누름부재(110); 및
상기 핸들부재(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재(110)의 동작을 일정하게 단속하는 고정노브(1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브(120)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재(100)의 전면과 상기 누름부재(110)를 함께 누르는 동작이 상기 링크체(200)의 동작으로 이어져 상기 도어락 모티스를 해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6214A KR101370517B1 (ko) | 2013-03-12 | 2013-03-12 |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PCT/KR2014/000055 WO2014107048A1 (ko) | 2013-01-04 | 2014-01-03 | 푸쉬-풀 도어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6214A KR101370517B1 (ko) | 2013-03-12 | 2013-03-12 |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0517B1 true KR101370517B1 (ko) | 2014-03-06 |
Family
ID=5064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6214A KR101370517B1 (ko) | 2013-01-04 | 2013-03-12 |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051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9733B1 (ko) | 2015-02-24 | 2017-07-31 | 키플레이주식회사 |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
KR101962434B1 (ko) * | 2017-11-28 | 2019-03-26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안티패닉 구조체가 구비된 푸쉬풀 도어락 |
KR101979142B1 (ko) | 2018-01-04 | 2019-05-20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안전 개폐 기능을 가진 도어 록 |
KR101979144B1 (ko) | 2018-01-04 | 2019-05-20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1456Y1 (ko) * | 1983-10-19 | 1989-04-05 | 다끼겐 세이조오 가부시끼가이샤 | 문짝용 핸들장치 |
JPH1150706A (ja) * | 1997-07-30 | 1999-02-23 | Giken Kanamono Kk | 扉 錠 |
EP1881138A2 (en) | 2006-07-20 | 2008-01-23 | ANTIPANIC S.r.l. | Panic-opening device |
KR100934255B1 (ko) | 2008-02-26 | 2009-12-31 | 주식회사 다산월드 | 상하 2단 환기창용 핸들 |
-
2013
- 2013-03-12 KR KR1020130026214A patent/KR1013705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1456Y1 (ko) * | 1983-10-19 | 1989-04-05 | 다끼겐 세이조오 가부시끼가이샤 | 문짝용 핸들장치 |
JPH1150706A (ja) * | 1997-07-30 | 1999-02-23 | Giken Kanamono Kk | 扉 錠 |
EP1881138A2 (en) | 2006-07-20 | 2008-01-23 | ANTIPANIC S.r.l. | Panic-opening device |
KR100934255B1 (ko) | 2008-02-26 | 2009-12-31 | 주식회사 다산월드 | 상하 2단 환기창용 핸들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9733B1 (ko) | 2015-02-24 | 2017-07-31 | 키플레이주식회사 |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
KR101962434B1 (ko) * | 2017-11-28 | 2019-03-26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안티패닉 구조체가 구비된 푸쉬풀 도어락 |
KR101979142B1 (ko) | 2018-01-04 | 2019-05-20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안전 개폐 기능을 가진 도어 록 |
KR101979144B1 (ko) | 2018-01-04 | 2019-05-20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38001B2 (ja) | ドアー錠におけるラッチ・ボルトの錠掛けのガイド構造 | |
US8870250B2 (en) | Sliding door handle and latch | |
US7836738B2 (en) | Mortise lock for ordinary door and panic door | |
US20090078011A1 (en) | Mortise Lock | |
US10053897B1 (en) | Multi-point sliding door latch | |
KR101871838B1 (ko) | 디지털 도어락 | |
KR101370517B1 (ko) |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
EP3135842B1 (en) | Lock device equipped with opening support mechanism, and sliding door including lock device equipped with opening support mechanism | |
US7287787B1 (en) | Linear thumb-piece actuation latch mechanism | |
KR101598958B1 (ko) |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 |
KR200478968Y1 (ko) | 푸쉬 핸들의 강제잠금 구조체 | |
KR101663162B1 (ko) |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 |
US11118374B2 (en) | Straight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200447937Y1 (ko) |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 |
KR20140125554A (ko) |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 |
KR101383289B1 (ko) |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
US6536248B1 (en) | Door lock-and-handle assembly | |
CA2609647A1 (en) |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 |
KR101598961B1 (ko) | 설치가 용이한 범용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락 | |
WO2014107048A1 (ko) | 푸쉬-풀 도어락 | |
CA3116902C (en) | Straight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1887640B1 (ko) |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 |
KR101360100B1 (ko) |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 |
KR101417841B1 (ko) | 도어락용 푸쉬-풀 구조의 완충구조체 | |
US12054970B2 (en) | Push pad exit device for emergency door egress and vertical latch bolt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