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289B1 -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Google Patents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3289B1 KR101383289B1 KR1020130006001A KR20130006001A KR101383289B1 KR 101383289 B1 KR101383289 B1 KR 101383289B1 KR 1020130006001 A KR1020130006001 A KR 1020130006001A KR 20130006001 A KR20130006001 A KR 20130006001A KR 101383289 B1 KR101383289 B1 KR 1013832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ob
- door lock
- push
- pull
- 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에 적용되는 강제잠금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의 핸들부재를 밀면 상기 핸들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링크체가 작동하여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로서, 상기 링크체에 선단이 고정되어 상기 링크체와 같이 하강되도록 내측본체에 말단이 고정되고, 복수의 오목한 홈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전방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노브돌기가 형성되고 노브돌기가 상기 홈을 이동하는 것으로 내부 강제잠금 및 해제 상태가 이루어지며 일단이 탄성지지된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에 적용되는 강제잠금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과 같이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핸들(1)을 회전시켜 도어(D)의 데드볼트(2)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D)의 잠금해체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2)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신속하고 직관적인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로서, 도 2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내측핸들(3)과 외측핸들(4)에 도어(D)가 열리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래치볼트(5)를 해정하고 도어(D)를 여는 방식이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7'은 레버이고, '8'은 회동 샤프트이며, '6'은 데드볼트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모티스와 구동(데드볼트 및 레치볼트의 구동)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어락 장치의 작동성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도 2와 같은 방식의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3,4)의 일측 선단에 설치된 링크구조를 통해 눌러진 힘을 전달받아 모티스를 작동시키는 구조로서, 만일 핸들(3,4)의 상단이 아닌 하단이나 다른 가장자리를 누를 경우 작동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즉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을 눌러서 모티스의 작동(잠금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핸들을 누르는 힘을 모티스의 작동력으로 확실하게 전달(힘의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와 동시에,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에는, 기존의 내부 강제잠금구조(내부에서 사용자가 '내부 강제잠금' 설정을 하면 외측 본체를 통한 도어락 해정이 불가능하도록 설정한 기능)가 적용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에도 비상시나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강제잠금설정이 설정된 상태에서 핸들을 누르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하여 신속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술적 고려 사항을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에 있어서,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힘이 링크구조로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면서도 종래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가 효율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의 핸들부재를 밀면 상기 핸들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링크체가 작동하여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로서, 상기 링크체에 선단이 고정되어 상기 링크체와 같이 하강되도록 내측본체에 말단이 고정되고, 복수의 오목한 홈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전방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노브돌기가 형성되고 노브돌기가 상기 홈을 이동하는 것으로 내부 강제잠금 및 해제 상태가 이루어지며 일단이 탄성지지된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링크체는, 상기 핸들부재가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가 상하로 이동되는 선회캠 수용부, 및 상기 선회캠 수용부에 선회되도록 장착되고 연결바에 연결된 선회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에는 슬릿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슬릿공에 삽입되는 고정포스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포스트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서 탄성지지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홈에 상기 노브돌기가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본체에는 베이스 패널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상기 노브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노브의 선단에는 상기 내측본체에 장착된 PCB에 의해 위치감지가 이루어지는 감지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의 측면에는 지지포스트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포스트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노브는 상기 내측본체에서 탄성지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핸들부재가 눌러져 상기 링크체가 하강되면 상기 연결부재가 선회되는 것으로, 상기 홈에 안착된 노브돌기가 상기 홈에서 이탈되는 것으로 상기 노브의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제잠금버튼의 설정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핸들부재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여 비상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락을 해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핸들부재를 누르는 동작으로 도어락 해정과 문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직관적 구조로서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외측본체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외측본체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핸들부재와 링크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핸들부재와 링크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링크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베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c는 도 7a의 베이스가 최대 상승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베이스가 최대 하강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9는 도 8의 후면도,
도 10은 도 9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서 노브가 강제잠금상태로 설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상태에서 노브가 강제잠금상태로 설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의 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의 노브를 다른 각도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의 내부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상태도, 및
도 17은 사용자가 핸들을 눌러 노브가 자동 후퇴되기 전에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외측본체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외측본체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핸들부재와 링크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핸들부재와 링크체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의 링크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베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c는 도 7a의 베이스가 최대 상승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베이스가 최대 하강되었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9는 도 8의 후면도,
도 10은 도 9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의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서 노브가 강제잠금상태로 설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상태에서 노브가 강제잠금상태로 설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의 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의 노브를 다른 각도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의 내부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상태도, 및
도 17은 사용자가 핸들을 눌러 노브가 자동 후퇴되기 전에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락 본체(300)에서 당겨지거나 눌러지는 핸들부재(100)가 구비되어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한 구성이다. 이때 핸들부재(100)를 당기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구조는 외측본체(도어락의 외측본체)에 적용되고, 핸들부재(100)를 밀어서 도어락을 해정하는 것은 내측본체(도어락의 내측본체)에 적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핸들부재(100)를 당기는 것으로 해정이 이루어지는 외측본체에 적용된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도어락 본체(300)의 바닥면에는 도어에 설치를 위한 복수의 고정단(310,3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들부재(100)는 상단(110)과 하단(120)이 링크체(200)의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핸들부재(100)가 눌러지면 그 힘은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를 동일한 힘으로 눌러져 회동체(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한편 이들 링크부재(210,220)의 연동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사이에는 연결바(10)로 연결된다.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링크체(200)는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가 서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링크부재(210,220)는 연결바(10)를 통해 서로 유기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 중 제2 링크부재(220)를 예를 들어 이들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제2 링크부재(220)는 베이스(21)와 선회캠 수용부(22) 및 선회캠(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1)는 상면에 다수의 체결공(25)이 형성되는데, 이들 체결공(25)을 통해 핸들부재(100; 도 6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21)의 양측에는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선회캠수용부(22)의 측면에는 곡선형태의 선회슬릿(S1; 도 7b 참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21)와 선회캠 수용부(22)는 이동슬릿과 선회슬릿(S1)이 겹쳐진 형태로 제1 샤프트(sh1)가 삽입되어 상호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베이스(21)는 선회캠 수용부(22)의 선회슬릿(S1)을 따라 각각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선회캠 수용부(22)의 내부에는 선회점(sh0)을 통해 선회캠 수용부(22) 내부에 장착된 선회캠(23)이 제공된다. 또한 이 선회캠(23)의 선단에는 제1 샤프트(sh1)가 관통하여 베이스(21)가 하강하거나 상승될 때 선회캠(23)도 같이 연동할 수 있다. 즉 선회캠(23)은 선회캠 수용부(22)에서 선회점(sh0)을 기점으로 선회되고, 선회캠(23)의 선단에는 베이스(21)의 이동슬릿에 연결된 제1 샤프트(sh1)를 따라 선회캠 수용부(22)의 선회 슬릿(S1)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베이스(21)가 눌러져 선회캠 수용부(22)에서 하강되는 경우 선회캠 수용부(22)의 내부에 장착된 선회캠(23)도 연동(선회)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내측본체(400)에 강제잠금버튼(5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강제잠금버튼(500)는 사용자가 노브(51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외측의 도어락 본체(도 3의 300으로 표시)의 해정 작동을 방지하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실내에서 강제잠금버튼(500)을 설정하는 것으로 외부에 강제 침입에 대비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도 8에서 미설명 부호 '410'은 핸들 연결부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러한 강제잠금버튼(500)의 설정과 관계없이 비상시 사용자가 실내에서 핸들을 미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도 8과 같이 강제잠금버튼(500)은 내측본체(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노브(510)와 이 노브(510)의 이동위치를 고정시키는 연결부재(520)를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7과 같이, 내측본체(400)에 장착되는 베이스 패널(450)에는 노브(5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구성 중 노브(510)의 선단에는 감지바(540)가 형성된다. 이 감지바(540)는 도 10과 같이 PCB(600) 상에서 일정간격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노브(510)의 설정위치를 PCB(600)가 감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노브(510)를 도 12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강제잠금설정이 되도록 PCB(600)가 감지바(540)의 이동을 감지(sensing)하게 된다. 이때 적용되는 감지방법으로는 포토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노브(510)의 내측면에는 노브돌기(511)가 돌출형성되고, 노브(510)의 일측단부에는 지지포스트(550)가 형성되고, 이 지지포스트(550)에는 제2 스프링(S2)이 장착되어 노브(510)를 일측방향(도 10에서 좌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한편, 노브(510)의 노브돌기(511)는 연결부재(520; 도 15 참조)에 형상된 한 쌍의 제1홈(521)과 제2홈(522) 사이를 이동하면서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520)는 일단이 선회축(525)으로 연결되어 베이스 패널(450)에 설치된다. 또한 연결부재(520)의 타단에는 고정포스트(530)가 형성되고, 이 고정포스트(530)는 링크체(200)의 베이스(21)에 형성된 슬릿공(21a)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포스트(530)에는 제1 스프링(S1)이 장착되어 고정포스트(530)와 연결된 연결부재(520)는 노브(510) 측으로 밀착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상태(핸들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부재(520)에 형성된 한 쌍의 홈(521,522) 중 어느 하나에 노브(510)의 노브돌기(511)가 안착됨으로써 노브(510)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510)를 사용자가 이동시키면 노브돌기(511)는 제1홈(521)에서 제2홈(522)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강제잠금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2홈(522)에 노브돌기(511)가 위치한 상태에서 노브(510)를 이동시키면 노브돌기(511)는 제2홈(522)을 따라 이동하여 제1홈(521)에 위치됨으로써 강제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노브(510)가 강제잠금 설정된 상태(즉 노브돌기가 제2홈에 고정된 상태)로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 측에서 핸들부재(100)를 눌러 개방을 하고자 하는 경우 핸들부재(100)에 고정된 링크체(200)의 베이스(21)가 하강되는 것으로 연결부재(520)도 선회축(525)을 기점으로 선회되어 하강된다(도 17 참조).
이때 연결부재(520)의 하강시 슬릿공(21a; 도 11참조)에 연결된 고정포스트(530)도 일정간격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연결부재(520)의 원활한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520)가 하강되면 제2홈(522)에 고정된 노브(510)의 노브돌기(511)의 구속이 해제되어 노브(510)의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노브(510)의 지지포스트(550)에 삽입된 제2 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노브(510)는 강제잠금 해제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노브(510)의 내부 강제잠금설정 위치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내측의 핸들부재(100)를 누르게 되면 링크체(200)의 베이스(21)가 하강하게 되어 링크체(200)가 구동됨으로써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짐은 물론 내측본체(400)의 강제잠금용 노브(510)도 제2 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해제위치로 자동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노브(510)의 설정위치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핸들부재(100)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여 비상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락을 해정하여 하여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핸들부재 200: 링크체
300: 도어락 본체 400: 내측본체
500: 강제잠금버튼 510: 노브
520: 연결부재 525: 선회축
530: 고정포스트 540: 감지바
300: 도어락 본체 400: 내측본체
500: 강제잠금버튼 510: 노브
520: 연결부재 525: 선회축
530: 고정포스트 540: 감지바
Claims (6)
-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300)의 핸들부재(100)를 밀면 상기 핸들부재(100)의 바닥면에 장착된 링크체(200)가 작동하여 도어락 모티스의 회동기어(3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로서,
상기 링크체(200)에 선단이 고정되어 상기 링크체(200)와 같이 하강되도록 내측본체(400)에 말단이 고정되고, 복수의 오목한 홈(521,522)이 형성된 연결부재(520); 및
상기 연결부재(520)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홈(521,522)을 따라 이동하는 노브돌기(511)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돌기(511)가 상기 홈(521,522)을 이동하는 것으로 내부 강제잠금 또는 해제 상태가 이루어지며 일단이 탄성지지된 노브(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200)는, 상기 핸들부재(100)가 장착되는 베이스(21), 상기 베이스(21)가 상하로 이동되는 선회캠 수용부(22), 및 상기 선회캠 수용부(22)에 선회되도록 장착되고 연결바(10)의 일단이 연결된 선회캠(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21)에는 슬릿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520)의 선단에는 상기 슬릿공(21a)에 삽입되는 고정포스트(5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포스트(530)에는 스프링(S1)이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21) 상에서 탄성지지되어 상기 연결부재(520)의 상기 홈(521,522)에 상기 노브돌기(511)가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본체(400)에는 베이스 패널(450)이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450)에는 상기 노브(510)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노브(510)의 선단에는 상기 내측본체(400)에 장착된 PCB(600)에 의해 위치감지가 이루어지는 감지바(5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510)의 측면에는 지지포스트(55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포스트(550)에는 스프링(S2)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노브(510)가 상기 내측본체(400)에서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100)가 눌러져 상기 링크체(200)가 하강되면 상기 연결부재(520)가 선회되는 것으로, 상기 홈(521,522)에 안착된 노브돌기(511)가 상기 홈(521,522)에서 이탈되는 것으로 상기 노브(51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6001A KR101383289B1 (ko) | 2013-01-18 | 2013-01-18 |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PCT/KR2014/000055 WO2014107048A1 (ko) | 2013-01-04 | 2014-01-03 | 푸쉬-풀 도어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6001A KR101383289B1 (ko) | 2013-01-18 | 2013-01-18 |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3289B1 true KR101383289B1 (ko) | 2014-04-09 |
Family
ID=5065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6001A KR101383289B1 (ko) | 2013-01-04 | 2013-01-18 |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328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3484A (ko) * | 2014-09-18 | 2016-03-28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 |
KR20180004563A (ko) * | 2016-07-04 | 2018-01-12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푸시-풀 구조체 |
KR102546202B1 (ko) | 2021-12-21 | 2023-06-21 | 주식회사 라온아이오티 | 가압 상태에서 작동 가능한 도어락 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7279A (ja) * | 1996-05-29 | 1997-12-09 | Imai Masaru | 内側把手の引動により自動ロックされる三角戸ばね錠 |
KR200239251Y1 (ko) | 2001-04-20 | 2001-10-12 | 주진 | 푸쉬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
JP2007154499A (ja) | 2005-12-05 | 2007-06-21 | Daikoku Seisakusho:Kk | プッシュプル錠 |
KR20110096741A (ko) * | 2010-02-23 | 2011-08-31 | 윤자호 | 푸시풀형 도어락 |
-
2013
- 2013-01-18 KR KR1020130006001A patent/KR1013832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7279A (ja) * | 1996-05-29 | 1997-12-09 | Imai Masaru | 内側把手の引動により自動ロックされる三角戸ばね錠 |
KR200239251Y1 (ko) | 2001-04-20 | 2001-10-12 | 주진 | 푸쉬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
JP2007154499A (ja) | 2005-12-05 | 2007-06-21 | Daikoku Seisakusho:Kk | プッシュプル錠 |
KR20110096741A (ko) * | 2010-02-23 | 2011-08-31 | 윤자호 | 푸시풀형 도어락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3484A (ko) * | 2014-09-18 | 2016-03-28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 |
KR101634651B1 (ko) * | 2014-09-18 | 2016-06-30 |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연결 구조체 |
KR20180004563A (ko) * | 2016-07-04 | 2018-01-12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푸시-풀 구조체 |
KR102370026B1 (ko) | 2016-07-04 | 2022-03-02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푸시-풀 구조체 |
KR102546202B1 (ko) | 2021-12-21 | 2023-06-21 | 주식회사 라온아이오티 | 가압 상태에서 작동 가능한 도어락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39223C (en) | Sliding door handle and latch | |
US20100213724A1 (en) |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with handle turning direction control | |
KR101871838B1 (ko) | 디지털 도어락 | |
KR100888514B1 (ko) |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 |
TW201901005A (zh) | 裝設於雙扇門的鎖具構造 | |
KR101383289B1 (ko) |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 |
KR20140148049A (ko) |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 |
KR101663162B1 (ko) |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 |
KR101370517B1 (ko) |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 |
KR101598958B1 (ko) |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 |
KR200447937Y1 (ko) |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 |
KR100638246B1 (ko) | 도어의 잠금장치 | |
KR20160087699A (ko) |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 |
JP3133714U (ja) | 開き戸の施解錠機構 | |
KR101524775B1 (ko) | 다중 래치 통합 배치형 멀티 록 장치 및 설치 방향 선택장치 | |
KR200438979Y1 (ko) | 디지털식 도어록 | |
KR101962437B1 (ko) |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 |
KR101887640B1 (ko) |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 |
WO2014107048A1 (ko) | 푸쉬-풀 도어락 | |
JP4205081B2 (ja) | 開き戸の施解錠機構 | |
JP5358818B2 (ja) | 扉用の施解錠装置 | |
KR101322308B1 (ko) | 썸턴 클러치 구조체 | |
KR101360100B1 (ko) |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 |
KR100628955B1 (ko) | 도어록 메카니즘 | |
JP2004353378A (ja) |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