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79144B1 -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 Google Patents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144B1
KR101979144B1 KR1020180001310A KR20180001310A KR101979144B1 KR 101979144 B1 KR101979144 B1 KR 101979144B1 KR 1020180001310 A KR1020180001310 A KR 1020180001310A KR 20180001310 A KR20180001310 A KR 20180001310A KR 101979144 B1 KR101979144 B1 KR 101979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djusting
coupled
module
door 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백인현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14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잠금이 완료된 상태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회전이 방지되어 열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은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13); 수용 몸체(13)에 수용되는 기어 모터(12); 기어 모터(12)에 의하여 작동되는 회전 제한 모듈(11); 회전 제한 모듈(11)에 결합되는 로커(15); 및 전체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 모듈(14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A Door Lock Having a Structure of Preventing Opening Operating}
본 발명은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잠금이 완료된 상태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회전이 방지되어 열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인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 개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라커 룸, 사물함 또는 이와 유사한 보관 공간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도어 록 또는 개폐 장치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 록에서 라커 룸 또는 사물함의 경우 보관 위치의 특성으로 인하여 도난 방지 구조를 가지면서 잠금 상태가 안전하게 확인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의도되지 않는 열림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41462호는 도어락에 설치되는 도어락이 안전 핸들 구조체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370517호는 사용자가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해정이 이루어지는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에 적용되는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은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완료된 이후 열림 또는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41462호(아사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2017년04월17일 공개) 도어락의 안전 핸들 구조체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370517호(주식회사 아이레보, 2014년03월06일 공고)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완료된 이후 열림 또는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열림 방지 구조의 도어 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은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 수용 몸체에 수용되는 기어 모터; 기어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회전 제한 모듈; 회전 제한 모듈에 결합되는 로커; 및 전체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 제한 모듈의 둘레 면에 결합 가능하고, 탄성 유닛에 의하여 이동되는 스토퍼 록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 제한 모듈은 위쪽 부분의 둘레 면의 일부에 맞물림 이빨이 형성된 조절 기어; 조절 기어에 결합되는 축 기어; 축 기어에 결합되는 제한 유닛; 및 조절 기어의 위쪽에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절 기어의 아래쪽 외부 둘레 면에 형성된 고정 테두리; 고정 테두리에 형성된 삽입 홈; 및 고정 테두리의 위쪽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조절 기어의 둘레 면에 형성된 조절 날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어 모터의 작동을 탐지하는 탐지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은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완료된 이후 열림이 방지되거나 또는 모터의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의도되지 않는 잠금 해제 또는 잠금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은 개인용 라커, 사물함 또는 이와 유사한 보관 공간의 도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에 적용되는 열림 방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은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13); 수용 몸체(13)에 수용되는 기어 모터(12); 기어 모터(12)에 의하여 작동되는 회전 제한 모듈(11); 회전 제한 모듈(11)에 결합되는 로커(15); 및 전체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 모듈(141)을 포함한다.
도어 록은 다양한 개폐 구조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라커 룸 또는 사물함의 잠금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한 구조 변경을 통하여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도어의 잠금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수용 몸체(13)는 사각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의 내부는 다수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각각의 구분 영역은 서로 다른 구성요소의 구성을 위한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용 몸체(13)의 내부에 회전 제한 모듈(11)이 배치될 수 있고, 기어 모터(12)가 또한 수용 몸체(13)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 제한 모듈(11)을 작동시킬 수 있다.
회전 제한 모듈(11)은 기어 모터(12)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고, 회전 제한 모듈(11)의 아래쪽 끝에 고정 볼트(151)에 의하여 고정된 로커(15)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로커(15)의 회전에 의하여 도어가 열리거나 또는 잠길 수 있다. 기어 모터(12)는 회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모터 및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작동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작동 기어는 회전 제한 모듈(11)의 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회전 제한 모듈(11)은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로커(15)가 회전되어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 상태에서 탄성 유닛(161)에 의하여 스토퍼 록(16)이 예를 들어 위로 이동되는 것과 같이 작동되어 회전 제한 모듈(11)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기어 모터(12)의 작동이 제어 모듈(141)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제어 모듈(141)은 예를 들어 PCB 기판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어 모듈(141)은 평판 구조의 브래킷(142)에 고정될 수 있고, 브래킷(142)은 수용 몸체(13)의 덮개 기능을 할 수 있다. 수용 몸체(13) 및 수용 몸체(13)에 결합된 구성 요소는 작동 몸체(10)를 형성하고, 작동 몸체(10)의 작동에 의하여 도어가 잠금 상태가 되거나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몸체(10)의 앞쪽에 전면 덮개 모듈(20)이 결합되고, 작동 몸체(10)의 뒤쪽에 고정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전면 덮개 모듈(20)은 수용 몸체(13)의 위쪽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21); 전면 커버(21)에 위쪽 면에 결합되는 키 신호 처리 기판(23); 키 신호 처리 기판(23)의 위쪽에 결합되는 키패드(24); 및 키패드(24)가 고정되는 패드 커버(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USB 포트가 설치될 수 있고, 포트 캡(UC)에 의하여 USB 포트가 밀폐되어 보호될 수 있다. 비밀 번호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24)와 함께 RF 인증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면 커버(21)에 커버 핸들(26)이 결합될 수 있다. 전면 덮개 모듈(20)은 인증 수단의 입력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c를 참조하면, 수용 몸체(13)의 아래쪽에 고정 모듈이 결합되어 도어 록(30)이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 모듈(10)의 위쪽에 덮개 모듈(20)이 결합되어 록 몸체(31)가 형성되고, 록 몸체(31)의 아래쪽에 홀더(32)가 결합되어 후면 커버(33)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 커버(33)의 결합에 의하여 도어 록(30)이 만들어질 수 있다. 록 몸체(31)의 내부에 배터리(B)가 배치되어 제어 모듈(141) 또는 기어 모터(12)에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도어 록(30)은 라커, 사물함 또는 이와 유사한 용도를 가진 다양한 도어에 설치되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에 적용되는 열림 방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 제한 모듈(11)은 위쪽 부분의 둘레 면의 일부에 맞물림 이빨이 형성된 조절 기어(115); 조절 기어(115)에 결합되는 축 기어(114); 축 기어(114)에 결합되는 제한 유닛(111); 및 조절 기어(115)의 위쪽에 결합되는 캡(113)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제한 모듈(11)은 수용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기어 모터(12)에 맞물려 작동될 수 있다. 조절 기어(115)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조절 기어(115)의 아래쪽에 형성된 체결 홀(H)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수단이 되는 로커가 고정 볼트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조절 기어(115)는 아래쪽 외부 둘레 면에 형성된 고정 테두리(115d); 고정 테두리(115d)에 형성된 삽입 홈(115e); 및 고정 테두리(115d)의 위쪽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조절 기어(115)의 둘레 면에 형성된 조절 날개(115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테두리(115d)에 형성된 삽입 홈(115e)에 회전 제한 모듈(11)의 둘레 면에 결합 가능하고, 탄성 유닛(161)에 의하여 이동되는 스토퍼 록(16)에 형성된 잠금 탭(16a)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 록(16)은 선형으로 연장되는 선형 부재의 형상이 될 수 있고, 잠금 탭(16a)은 스토퍼 록(16)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이 될 수 있다. 스토퍼 록(16)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 유닛(161)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고, 스토퍼 록(16)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잠금 탭(16a)이 삽입 홈(115e)에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결합 또는 분리에 의하여 회전 제한 모듈(11)이 회전이 되거나, 회전 방지가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어 로커에 의하여 도어가 잠금 상태로 된 이후 회전 제한 모듈(11)의 회전이 제한되고 이에 의하여 열림 방지가 되거나 또는 모터의 역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조절 기어(115)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되는 조절 몸체(115a)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테두리(115d)가 조절 몸체(115a)의 아래쪽 부분에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몸체(115a)의 둘레 면에 조절 날개(115c)가 형성될 수 있고, 조절 날개(115c)는 고정 테두리(115d)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절 몸체(115a)의 실린더 형상의 둘레 면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는 띠 형상이 될 수 있다. 조절 날개(115c)는 둘레 면을 따라 고정 테두리(115d)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조절 몸체(115a)의 둘레 면의 반은 1 높이로 형성되고, 둘레 면의 나머지 부분은 1 높이에 비하여 높은 2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조절 기어(115)의 회전에 따라 탄성 유닛(161)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토퍼 록(16)이 삽입 홈(115e)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조절 몸체(115a)의 위쪽 부분에 잠금 기어(115b)가 형성될 수 있고, 잠금 기어(115b)는 띠 형상이 될 수 있고, 둘레 면의 일부에 맞물림 이빨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맞물림 이빨에 기어 모터(12)의 작동 기어(122)가 맞물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어 모터(12)는 작동 모터(121) 및 작동 모터(121)에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작동 기어(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모터(121)은 회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모터가 될 수 있고, 작동 기어(122)는 둘레 면에 잠금 기어(115b)의 맞물림 이빨에 맞물리는 이빨을 가질 수 있다.
조절 몸체(115a)의 내부에 축 기어(114)가 배치될 수 있고, 축 기어(114)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위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면 형상이 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축 기어(114)의 위쪽 부분에 제한 유닛(111)이 결합될 수 있다. 제한 유닛(111)은 속이 빈 드럼 형상의 결합 드럼(111a); 결합 드럼(111a)의 위쪽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한 몸체(111b); 및 제한 몸체(111b)의 위쪽에 결합 드럼(111a)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큰 지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한 밴드(111c)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드럼(111a)과 제한 몸체(111b)의 내부에 축 기어(114)가 결합되고, 결합 드럼(111a)과 제한 몸체(111b)는 조절 몸체(115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한 밴드(111c)는 예를 들어 전체 원둘레의 1/4 또는 2/3가 되는 길이를 가진 일부 원형 밴드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한 밴드(111c)는 조절 몸체(115a)의 위쪽 부분에 위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한 밴드(111c)는 잠금 기어(115b)가 형성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한 몸체(111b)의 위쪽 부분에 코일 스프링과 같은 높이 조절 유닛(112)이 배치될 수 있고, 높이 조절 유닛(112)의 부분은 조절 몸체(115a)의 위쪽에 결합되는 캡(113)의 천정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캡(113)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실린더 형상의 한쪽 부분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제한 밴드(111c)가 잠금 기어(115b)와 유사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조절 날개(115c)는 조절 몸체(115a)의 둘레 면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조절 날개(115c)의 높이에 대응되는 형상이 위에서 형성된 수용 몸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 제한 모듈(11)의 회전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기어 모터(12)의 작동 기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잠금 기어(115b)는 전체적으로 끝 부분이 서로 분리된 불완전한 원형 띠 형상이 될 수 있고, 잠금 기어(115b)의 일부에 맞물림 이빨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 기어(115b)의 맞물림 이빨과 작동 기어(122)가 맞물려 회전될 수 있고, 조절 몸체(115a)의 회전에 의하여 조절 날개(115c)에 의하여 조절 몸체(115c)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맞물림 상태가 벗어나게 되고, 작동 모터(121)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 제한 모듈(11)이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밴드(111c)가 작동 기어(122)와 맞물리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회전 제한 모듈(11)이 작동 모터(121)의 작동과 관계없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 제한 모듈(11)의 회전에 의하여 로커(15)가 회전되어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토퍼 록(16)이 위쪽으로 이동되어 잠금 탭(16a)이 삽입 홈(115e)에 삽입이 되어 열림 방지가 될 수 있다.
회전 제한 모듈(11)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어 모터(12)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는 탐지 유닛(18)이 기어 모터(12)에 결합될 수 있고, 탐지 유닛(18)에 의하여 기어 모터(12)의 작동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지 유닛(18)에 의하여 기어 모터(12)의 기준 위치, 기준 위치에 대한 모터의 회전각과 같은 기어 모터(12)의 작동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어 모터(12)의 작동 상태가 탐지되는 것에 의하여 로커의 잠금 또는 열림 동작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은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완료된 이후 열림이 방지되거나 또는 모터의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의도되지 않는 잠금 해제 또는 잠금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은 개인용 라커, 사물함 또는 이와 유사한 보관 공간의 도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도어에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작동 몸체 11: 회전 제한 모듈
12: 기어 모터 13: 수용 몸체
15: 로커 16: 스토퍼 록
16a: 잠금 탭 18: 탐지 유닛
20: 전면 덮개 모듈 21: 전면 커버
23: 키 신호 처리 기판 24: 키패드
25: 패드 커버 26: 커버 핸들
30: 도어 록 31: 록 몸체
32: 홀더 33: 후면 커버
111: 제한 유닛 111a: 결합 드럼
111b: 제한 몸체 111c: 제한 밴드
112: 높이 조절 유닛 113: 캡
114: 축 기어 115: 조절 기어
115a: 조절 몸체 115b: 잠금 기어
115c: 조절 날개 115d: 고정 테두리
115e: 삽입 홈 121: 작동 모터
122: 작동 기어 141: 제어 모듈
142: 브래킷 151: 고정 볼트
161: 탄성 유닛 B: 배터리
H: 체결 홀 UC: 포트 캡

Claims (5)

  1.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몸체(13);
    수용 몸체(13)에 수용되는 기어 모터(12);
    기어 모터(12)에 의하여 작동되는 회전 제한 모듈(11);
    회전 제한 모듈(11)에 결합되는 로커(15); 및
    전체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 모듈(141)을 포함하고,
    회전 제한 모듈(11)의 둘레 면에 결합 가능하고, 탄성 유닛(161)에 의하여 이동되는 스토퍼 록(16)을 더 포함하는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 제한 모듈(11)은 위쪽 부분의 둘레 면의 일부에 맞물림 이빨이 형성된 조절 기어(115); 조절 기어(115)에 결합되는 축 기어(114); 축 기어(114)에 결합되는 제한 유닛(111); 및 조절 기어(115)의 위쪽에 결합되는 캡(1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조절 기어(115)의 아래쪽 외부 둘레 면에 형성된 고정 테두리(115d); 고정 테두리(115d)에 형성된 삽입 홈(115e); 및 고정 테두리(115d)의 위쪽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조절 기어(115)의 둘레 면에 형성된 조절 날개(115c)를 더 포함하는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어 모터(12)의 작동을 탐지하는 탐지 유닛(18)을 더 포함하는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KR1020180001310A 2018-01-04 2018-01-04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Expired - Fee Related KR101979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10A KR101979144B1 (ko) 2018-01-04 2018-01-04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10A KR101979144B1 (ko) 2018-01-04 2018-01-04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144B1 true KR101979144B1 (ko) 2019-05-20

Family

ID=6667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3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9144B1 (ko) 2018-01-04 2018-01-04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1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386U (ko) * 1998-10-20 2000-05-15 김민박 도어 록 장치용 액츄에이터
KR101081444B1 (ko) * 2009-04-08 2011-11-08 주식회사 베리트시스템 디지털 도어록
KR20120086614A (ko) * 2011-01-26 2012-08-03 주식회사 디오큐브 자동 택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0517B1 (ko) 2013-03-12 2014-03-06 주식회사 아이레보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20170041462A (ko) 2015-10-07 2017-04-17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안전 핸들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386U (ko) * 1998-10-20 2000-05-15 김민박 도어 록 장치용 액츄에이터
KR101081444B1 (ko) * 2009-04-08 2011-11-08 주식회사 베리트시스템 디지털 도어록
KR20120086614A (ko) * 2011-01-26 2012-08-03 주식회사 디오큐브 자동 택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0517B1 (ko) 2013-03-12 2014-03-06 주식회사 아이레보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20170041462A (ko) 2015-10-07 2017-04-17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의 안전 핸들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58023B2 (en) Locking assembly with spring mechanism
US11002039B2 (en) Electronic controlled handles
KR102055902B1 (ko) 차량 도어
JP2013509516A (ja) 二重ロック機構を有する金庫
US5865050A (en) Locking cover for dead bolt actuators
US20140130555A1 (en) Data port lock
KR101979144B1 (ko)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TWI687579B (zh) 門的彈出型附鎖把手裝置
US20140331723A1 (en) Electronic Locking Device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US20080216531A1 (en) Locking apparatus
JP3865652B2 (ja) 施錠装置
KR20180106707A (ko) 디지털 도어락
JPH061016B2 (ja) ロック装置
US4185483A (en) Door locking device
KR10187647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 도어락 장치
US11326368B2 (en) Lead screw latch
KR102449598B1 (ko)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KR100856743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EP3858658B1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having a safety unlocking mechanism
US20170114569A1 (en) Directionally-controlled locking system and method
KR200448139Y1 (ko)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KR101700387B1 (ko) 슬라이딩 개폐 구조의 전자식 잠금 기기
KR20030025502A (ko) 도어록킹장치
KR200307237Y1 (ko) 도어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