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06516B1 - 배선 덕트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 덕트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516B1
KR101306516B1 KR1020120040331A KR20120040331A KR101306516B1 KR 101306516 B1 KR101306516 B1 KR 101306516B1 KR 1020120040331 A KR1020120040331 A KR 1020120040331A KR 20120040331 A KR20120040331 A KR 20120040331A KR 101306516 B1 KR101306516 B1 KR 101306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wiring duct
contact
contacto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442A (ko
Inventor
마사토 도키
유키히로 마츠노부
신이치로 야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1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긴 홈형의 코어 내의 측벽에 그 긴쪽 방향을 따라 도체를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배선 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접속 본체부와, 상기 접속 본체부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도록 유지되는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대응하는 상기 접촉자의 내측쪽에 긴쪽 방향을 따라 복수 병설되고, 상기 접촉자의 외측단에, 긴쪽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볼록형상의 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된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선 덕트 접속 장치{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배선 덕트의 단부에 접속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선 덕트(100)에 전원을 인입하거나, 배선 덕트(100)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 8에 나타내는 구조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배선 덕트(10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접속 본체부(1)와, 접속 본체부(1)로부터 외측쪽으로 돌출된 접촉자(2)와, 접촉자(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긴 판형상의 도통 부재(200)와, 도통 부재(200)를 거쳐서 접촉자(2)에 전기 접속되는 단자대부(terminal block part)(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접속 본체부(1)를 배선 덕트(100)내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 배선 덕트(100)가 구비하는 도체(110)에 대해 접촉자(2)가 전기 접속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도 8에 나타내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배선 덕트(100)의 각 도체(110)에 대해 한 개의 접촉자(2)만이 접촉하는 구조이며, 접촉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 2에는 한 쌍의 접촉자를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하고, 배선 덕트(100)의 각 도체(110)에 대해, 한 쌍의 접촉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접촉자는 각각이 긴 판형상의 도통 부재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이 도통 부재를 통해 단자대부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의하면, 각 도체(110)에 대한 접촉 부분이 2개소로 되며, 도 8에 나타내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비해 접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408844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9-283423호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2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복수의 접촉자의 각각을 도통 부재를 거쳐서 단자대부에 전기 접속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접속 본체부내에서의 전기 접속 개소가 많아지고, 그 만큼 신뢰성이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하기 때문에 접촉자를 다수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발명한 것으로서, 배선 덕트의 각 도체에 대한 접촉 개소를 2 개소 이상으로 해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게 하고, 또한, 그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는 것은 억제할 수 있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긴 홈형의 코어 내의 측벽에 그 긴쪽 방향을 따라 도체를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배선 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접속 본체부와, 상기 접속 본체부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도록 유지되는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대응하는 상기 접촉자의 내측쪽에 긴쪽 방향을 따라 복수 병설되고, 상기 접촉자의 외측단에, 긴쪽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볼록형상의 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접촉자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외측쪽으로 가압되는 가압 부분을 상기 탄성체마다 거리를 두고 개별적으로 갖고,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상기 가압 부분 중 이웃하는 상기 가압 부분 사이를,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 중 이웃하는 상기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게 마련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자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외측쪽으로 가압되는 가압 부분을, 상기 탄성체마다 거리를 두고 개별적으로 갖고,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상기 가압 부분과,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를 동일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선대칭으로 되도록 배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자의 내측단에는 상기 가압 부분을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연장하는 돌기 부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 본체부를 상기 배선 덕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멍을, 상기 접촉자가 갖는 복수의 상기 접점부의 긴쪽 방향의 중심점의 내측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본체부를 상기 배선 덕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멍을, 상기 접촉자가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접점부의 긴쪽 방향의 중심점의 내측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한 쌍의 상기 탄성체를, 1개의 판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판스프링 부재는 그 긴쪽 방향의 양단에, U자형상의 굴곡편부와 이 굴곡편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편부를 갖고, 양단의 상기 스프링편부를 각각 상기 가압 부분에 접촉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한 쌍의 상기 탄성체를 1개 또는 2개의 판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판스프링 부재는 그 긴쪽 방향의 양단에 "U"자 형상의 굴곡편부와 상기 굴곡편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편부를 갖고, 양단의 상기 스프링편부를 각각 상기 가압 부분에 접촉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편부는 상기 굴곡편부으로부터 내측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외측쪽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제 2 부분의 선단부를 상기 가압 부분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 본체부는 상기 배선 덕트의 상기 코어 내에 삽입되는 선단측 부분을 긴쪽 방향의 양측에 갖고, 양측의 상기 선단측 부분에 배치한 상기 접촉자끼리를 가요성의 도전체에 의해서 전기 접속시켜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배선 덕트의 각 도체에 대한 접촉 개소를 2 개소 이상으로 해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게 하고, 또한 그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는 것은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구비하는 접촉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촉자가 탄성체에 가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배선 덕트에 장착한 상태의 개략도이며, 도 4a는 기움 없이 시공된 경우, 도 4b는 기울어져 시공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스프링 부재의 변형예를 구비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배선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종래 기술로서 전술한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와 마찬가지이며, 배선 덕트(100)에 장착해서 이용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대해 급전을 실행하는 피드 인 캡(feed-in cap)으로 되어 있다.
우선, 배선 덕트(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덕트(100)는 그 긴쪽 방향(X)에 수직인 단면이 립(lip)을 갖는 'ㄷ'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긴 통형상 부재이며, 상부벽(101)과, 상부벽(101)의 양 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02)과, 각 측벽(10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립부를 이루는 저벽(103)을 갖는다. 립부로 되는 양 저벽(103)간의 간극이 배선 덕트(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104)로 된다. 배선 덕트(100)는 개구(104)가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개구(104)보다도 내부의 공간이 긴 홈형의 코어(105)로 된다.
측벽(102)의 내면에는 내측쪽을 향하게 하여 도체 유지부(106)를 돌출설치하고 있고, 이 도체 유지부(106)의 선단부에 도체(110)를 고정시키고 있다. 도체(110)는 배선 덕트(100)의 긴쪽 방향(X)을 따라 배치되고, 일직선형상으로 신장하는 긴 직사각형형상의 평탄한 접속면(111)을 코어(105) 내에 노출시키고 있다. 한 쌍의 도체(110)의 서로의 접속면(111)은 코어(105)를 거쳐서 대향하도록, 동일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배선 덕트(100)에 장착하는 본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후술하는 각 부재를 수용하는 접속 본체부(1)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본체부(1)는 선단측 부분(1a)과 이것보다 약간 폭 넓은 기단측 부분(1b)으로 구분되고, 이 선단측 부분(1a)이 배선 덕트(100)의 단부 개구를 통해 코어(105) 내에 삽입된다. 선단측 부분(1a)에는 그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서 외측쪽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도록, 전체적으로 긴 판형상을 이루는 접촉자(2)를 1쌍 구비하고 있다.
접속 본체부(1)의 기단측 부분(1b)에는 양 접촉자(2)가 전기 접속되는 단자대부(4)를 배치하고 있다. 접속 본체부(1)의 선단측 부분(1a)이 배선 덕트(100)의 코어(105) 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양 접촉자(2)는 각각 대응하는 도체(110)에 2개소에서 탄성 접촉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접촉자(2)와 한 쌍의 도체(110)는 일대일로 전기 접속된다.
이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접속 본체부(1)의 케이싱 양 측부에는 접촉자(2)가 돌출 함몰 가능하게 되는 개구를 마련하고 있다. 접속 본체부(1) 내에는 한 쌍의 접촉자(2)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벽(6)을 긴쪽 방향(X)을 따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폭 방향(Y)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칸막이벽(6)과, 이것에 인접하는 양 접촉자(2)의 사이에, 접촉자(2)에 접촉해서 외측쪽으로의 부세력을 부여하는 탄성체(7)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의 폭 방향(Y)은 긴쪽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 접속 본체부(1)의 설명에 이용하는 긴쪽 방향(X)은 배선 덕트(100)의 설명에서 이용한 긴쪽 방향(X)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탄성체(7)는 접촉자(2)에 대해 독립적으로서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며, 1개의 접촉자(2)의 내측쪽에 이와 대응하는 탄성체(7)를 복수(본 예에서는 한 쌍) 배치하고 있다. 이 한 쌍의 탄성체(7)는 긴쪽 방향(X)을 따라 일렬을 이루도록 병설되어 있다.
한 쌍의 탄성체(7)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접촉자(2)에 부세력을 부여하는 것이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그 일부끼리를 연속시키고, 1부재로서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양단을 굴곡시킨 형상의 판스프링 부재(10)에 의해서, 긴쪽 방향(X)으로 병설되는 한 쌍의 탄성체(7)를 구성하고 있다. 이 판스프링 부재(10)는 일직선형상의 지지편부(1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U자형상으로 굴곡편부(12)를 연장시키고, 이 굴곡편부(12)의 선단으로부터 또한 스프링편부(13)를 연장시킨 것이다. 스프링편부(13)는 기울기가 다른 제 1 부분(13a)과 제 2 부분(13b)을 'V'형상으로 연속시킨 형상을 갖는다. 제 1 부분(13a)은 굴곡편부(12)의 선단으로부터 일단 내측쪽으로 기울어져 연장된 직선형상의 탄성편이며, 제 2 부분(13b)은 이 제 1 부분(13a)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쪽으로 기울어져 연장된 직선형상의 탄성편이다. 이 제 2 부분(13b)의 선단부가, 대상 가압 부분(P)과 접촉하여, 접촉자(2)에 대해 탄성적인 가압력을 가한다.
바꿔 말하면, 각 탄성체(7)가 지지편부(11)와 굴곡편부(12)와 스프링편부(13)를 갖는 대략 "U"자형상의 형상이며, 긴쪽 방향(X)에 인접하는 한 쌍의 탄성체(7)의 지지편부(11)를 일체화시킴으로써, 1개의 판스프링 부재(10)를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도 5에는 판스프링 부재(10)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스프링편부(13)를 일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즉, 일직선형상의 지지편부(11)의 양단으로부터 "U"자형상의 굴곡편부(12)를 연장시키고, 양단의 굴곡편부(12)의 선단으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일직선형상의 스프링편부(13)를 연장시키고 있다. 이 변형예의 판스프링 부재(10)에 의해서도, 한 쌍의 탄성체(7)를 1부재로서 마련할 수 있다.
또, 도 1 등에 나타내는 형상의 판스프링 부재(10)에 의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판스프링 부재(10)에 비해, 스프링편부(13)와 접촉자(2)의 접촉 부분(가압 부분(P))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나, 작은 변위량으로도 큰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접촉자(2)의 외측단에는 볼록형상을 이루는 접촉부(20)를 복수(본 예에서는 한 쌍) 형성하고 있다. 각 접촉부(20)는 외측쪽을 향해 완만하게 팽창된 외형을 갖고, 그 외형 중 가장 외측쪽에 위치하는 점에서,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접촉(즉, 점 접촉)하도록 마련하고 있다(도 4 참조). 즉, 접촉자(2)는 긴쪽 방향(X)으로 신장하는 외측단 가장자리 중 2 개소를 외측쪽으로 팽창시킴으로써 한 쌍의 접촉부(20)를 형성한 것이며, 접촉부(20)끼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자(2)의 내측단으로부터는 받이부(21)를 굴곡 형성하고 있다. 이 받이부(21)는 두께 방향(Z)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편형상의 부분이다. 두께 방향(Z)은 긴쪽 방향(X) 및 폭 방향(Y)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L" 자형상으로 굴곡 형성되는 받이부(21)는 내측쪽을 향하는 평탄면(21a)을 갖는다. 이 평탄면(21a)의 별도 개소에, 한 쌍의 탄성체(7)가 각각 갖는 스프링편부(13)의 선단이 가압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탄성체(7)가, 대응하는 1개의 접촉자(2)를 외측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이 접촉자(2)에 형성한 한 쌍의 접촉부(20)가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접속 본체부(1)의 접촉자(2)와 단자대부(4)는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가요성의 도전체(8)를 거쳐서 전기 접속된다. 도전체(8)의 일단부(8a)는 접촉자(2)로부터 굴곡 형성한 접속부(22)에 대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접속부(22)는 접촉자(2) 중 단자대부(4)에 가까운 측의 단부로부터, 받이부(21)와 동일한 방향을 향해 "L"자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것이다. 도전체(8)의 타단부(8b)는 단자대부(4)에 대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촉자(2)는 탄성체(7)가 갖는 스프링편부(13)의 선단이 접촉하는 가압 부분(P)(도 2중의 사선 부분)을 한 쌍의 탄성체(7)마다 거리를 두고 개별적으로 갖는다. 이 가압 부분(P)은 받이부(21)가 갖는 평탄면(21a)상에 2개소 있고, 그 2개소의 가압 부분(P)이 긴쪽 방향(X)으로 거리(D1)를 두고 병설되어 있다.
이 가압 부분(P)간의 거리(D1)는 접촉자(2)가 갖는 한 쌍의 접촉부(20)간의 거리(D2)보다도 작게 마련하고 있다. 또, 여기서의 접촉부(20)간의 거리(D2)는 접촉부(20) 중 가장 외측쪽에 위치하는 점끼리의 사이의 긴쪽 방향(X)의 거리이다.
그리고, 긴쪽 방향(X)으로 병설되는 한 쌍의 가압 부분(P)과, 마찬가지로 긴쪽 방향(X)으로 병설되는 한 쌍의 접촉부(20)는 동일한 중심선(C)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선대칭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이 중심선(C)은 긴쪽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가상선이다(도 1 참조).
즉, 각각의 접촉자(2)에 있어서, 탄성체(7)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한 쌍의 가압 부분(P)과, 배선 덕트(100)의 도체(110)에 대해 탄성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20)는 동일한 중심선(C)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가압 부분(P)간의 거리(D1)는 접촉부(20)간의 거리(D2)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선대칭의 배치로 하는 것에 의해, 배선 덕트(100)에 접속 본체부(1)를 삽입해서 접속시켰을 때에, 접촉자(2)의 가압 부분(P)이나 접촉부(20)에 가해지는 하중에 편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분(P)간의 거리(D1)는 작게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배선 덕트(100)에 대해 접속 본체부(1)가 다소 기울어져 접속된 경우(도 4b 참조)에도, 가압 부분(P)이나 접촉부(20)에 가해지는 하중의 편차는 크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중심선(C)은 접속 본체부(1) 중, 선단측 부분(1a)의 긴쪽 방향(X)의 중앙 부분을 통과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 중심선(C)의 설정에 의해서도, 접속 본체부(1)가 기울어져 접속된 경우에, 가압 부분(P)이나 접촉부(20)의 하중에 편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긴쪽 방향(X)에 있어서, 양측의 접촉자(2)가 갖는 한 쌍의 접촉부(20) 간의 중심 위치와, 선단측 부분(1a)의 길이 치수의 중심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마련한다.
또한, 본 예의 접촉자(2)에서는 내측단에 형성한 받이부(21)의 긴쪽 방향(X)의 중앙 부분에, 두께 방향(Z)을 향해 돌출된 돌기 부분(30)을 마련하고 있다. 이 돌기 부분(30)의 내측쪽을 향하는 평탄면(30a)(도 2 참조)은 받이부(21)의 평탄면(21a)의 중앙 부분을, 두께 방향(Z)을 향해 면일치로 연장하는 것이다.
접촉자(2)가 갖는 한 쌍의 가압 부분(P)은 받이부(21)의 평탄면(21a)으로부터 돌기 부분(30)의 평탄면(30a)에 걸쳐 각각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 돌기 부분(30)은 한 쌍의 가압 부분(P)을 각각 두께 방향(Z)을 따라 연장하는 것이다.
가령, 이 돌기 부분(30)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분(P)의 두께 방향(Z)의 길이는 L1로 된다. 이에 반해, 본 예에서는 접촉자(2)에 돌기 부분(30)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압 부분(P)의 두께 방향(Z)의 길이가 L2(>L1)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중의 화살표(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접촉자(2)에 기울기를 발생하는 것이, 돌기 부분(30)을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억제된다.
또한, 여기서 돌기 부분(30)을 돌출시키고 있는 방향은 받이부(21)를 "L"자형상으로 굴곡시키고 있는 방향과는 역 방향이다. 그 때문에, 화살표(F)와 같은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접촉자(2)에 기울기를 발생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대해, 도 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제 1 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제 1 예와는 다른 본 예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는 접속 본체부(1)를 배선 덕트(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멍(50)을, 선단측 부분(1a)의 중앙부에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의 중앙부는 긴쪽 방향(X) 및 폭 방향(Y)의 중심으로 되는 부분이며, 이 부분에, 두께 방향(Z)으로 관통하는 고정 구멍(50)을 마련하고 있다. 고정 구멍(50)에는 고정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통과시키고, 이 고정 나사에 의해서 접속 본체부(1)를 배선 덕트(100)에 고정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 쪽의 접촉자(2)가 갖는 한 쌍의 접촉부(20)의 중심점과, 다른 한 쪽의 접촉자(2)가 갖는 한 쌍의 접촉부(20)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즉, 상기한 중심선(C)) 중, 양측의 접촉자(2)의 중심점이 양단으로 되도록 연결한 선분의 중점으로 되는 개소에, 원형형상으로 개구된 고정 구멍(50)의 중심을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고정 구멍(50)을, 접촉자(2)가 갖는 한 쌍의 접촉부(20)의 긴쪽 방향(X)의 중심점의 내측쪽에 위치시킴으로써, 고정 나사로 배선 덕트(100)에 고정시켰을 때에 접속 본체부(1)에 기울기가 발생한 경우에도, 각 접촉부(20)에 가해지는 하중에 편차가 생기는 것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중심부에 고정 구멍(50)을 마련함으로써, 본 예에서는 복수의 탄성체(7)를 1개 부재로서 구성하고 있지 않다. 즉, 제 1 예의 판스프링 부재(10)의 지지편부(11)를 고정 구멍(50)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정확하게 2개 부재로 분단시킨 구조로 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 탄성체(7)를 대략 "U"자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의 판스프링 부재로 하고 있다. 각 탄성체(7)는 일직선형상의 지지편부(11)의 일단으로부터 "U"자형상의 굴곡편부(12)를 연장시키고, 이 굴곡편부(12)의 선단으로부터 또한 스프링편부(13)를 연장시킨 것이다. 스프링편부(13)는 제 1 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부분(13a)과 제 2 부분(13b)을 연속시킨 'V'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본 예에서는 가압 부분(P)이 합계 4개 존재하기 때문에, 이 가압 부분(P)과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접속 본체부(1) 내에는 4개의 탄성체(7)를 배치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3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대해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한 제 1 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제 1 예와는 다른 본 예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접속 본체부(1)는 배선 덕트(100)의 코어(105) 내에 삽입되는 선단측 부분(1a)을 긴쪽 방향(X)의 양측에 갖고 있다. 즉, 본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제 1 예와 같은 피드 인 캡이 아닌, 배선 덕트(100)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피드 인 조이너(feed-in joiner)로 되어 있다. 이 접속 본체부(1) 내에 있어서는 양측의 선단측 부분(1a)에 배치한 접촉자(2) 중, 긴쪽 방향(X)으로 병설되는 접촉자(2)끼리를 가요성의 도전체(60)에 의해서 각각 전기 접속시키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긴 홈형의 코어(105) 내의 측벽(102)에 그 긴쪽 방향(X)을 따라 도체(110)를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배선 덕트(10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접속 본체부(1)와, 접속 본체부(1)에 그 양 측면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도록 유지되는 접촉자(2)와, 접촉자(2)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탄성체(7)를, 대응하는 접촉자(2)의 내측쪽에 긴쪽 방향(X)으로 복수 병설하고, 접촉자(2)의 외측단에는 긴쪽 방향(X)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볼록형상의 접촉부(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따르면, 배선 덕트(100)의 각 도체(110)에 대한 접촉 개소를 복수 마련하고, 이에 따라, 접촉자(2)와 도체(110)의 사이의 전기 접속을 더욱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촉부(20)는 접촉자(2)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접속 본체부(1) 내에서의 전기 접속은 이 접촉자(2)에 대해 실행하면 좋고, 접촉부(20)마다 전기 접속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접속 본체부(1) 내에 있어서 전기 접속 개소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고,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자(2)를 다수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도 억제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접촉자(2)는 탄성체(7)에 의해 외측쪽으로 가압되는 가압 부분(P)을 복수의 탄성체(7)마다 거리를 두고 개별적으로 갖고 있고, 긴쪽 방향(X)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가압 부분(P) 중 이웃하는 가압 부분(P)의 사이의 거리(본 예에서는 가압 부분(P)이 한 쌍이기 때문에, 이 한 쌍의 가압 부분(P)간의 거리)(D1)은 긴쪽 방향(X)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접촉부(20) 중 이웃하는 접촉부(20)의 사이의 거리(본 예에서는 접촉부(20)가 한 쌍이기 때문에, 이 한 쌍의 접촉부(20)간의 거리)(D2)보다도 작게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촉자(2)가 갖는 복수의 가압 부분(P)끼리를 가능한 한 근접해서 배치함으로써, 접속 본체부(1)가 배선 덕트(100)에 대해 기운 상태에서 시공된 경우에도, 각각의 가압 부분(P)이나 접촉부(20)에 가해지는 하중에 편차가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접촉자(2)는 탄성체(7)에 의해 외측쪽으로 가압되는 가압 부분(P)을 복수의 탄성체(7)마다 거리를 두고 개별적으로 갖고, 긴쪽 방향(X)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가압 부분(P)과, 긴쪽 방향(X)으로 병설되는 복수의 접촉부(20)는 동일한 중심선(C)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선대칭으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선대칭의 배치로 함으로써, 접촉자(2)가 갖는 각각의 가압 부분(P)이나 접촉부(20)에 있어서 하중에 편차를 발생시키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접촉자(2)의 내측단에는 가압 부분(P)을 긴쪽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연장하는 돌기 부분(30)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촉자(2)가 갖는 가압 부분(P)의 길이를 가능한 한 크게 설정함으로써, 접촉자(2)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그 접촉자(2)에 기울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접속 본체부(1)를 배선 덕트(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멍(50)을, 접촉자(2)가 갖는 복수의 접촉부(20)의 긴쪽 방향(X)의 중심점의 내측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 구멍(50)을 배치함으로써, 고정 구멍(50)을 통한 나사 고정 등에 의해서 접속 본체부(1)가 기울어진 자세로 고정된 경우에도, 각 접촉부(20)에 가해지는 부하에 편차를 발생시키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접속 본체부(1)와 배선 덕트(100)의 전기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제 1 및 제 3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긴쪽 방향(X)으로 병설되는 한 쌍의 탄성체(7)를 1개의 판스프링 부재(10)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판스프링 부재(10)는 그 긴쪽 방향(X)의 양단에, "U"자형상의 굴곡편부(12)와 이 굴곡편부(12)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편부(13)를 갖고, 양단의 스프링편부(13)를 각각 가압 부분(P)에 접촉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탄성체(7)를 1개 부재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접속 본체부(1)내의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 다수의 탄성체(7)를 수용하기 쉬워지고, 부품 점수도 삭감된다.
또한, 스프링편부(13)는 굴곡편부(12)로부터 일단 내측쪽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제 1 부분(13a)과, 제 1 부분(13a)으로부터 외측쪽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제 2 부분(13b)을 갖고, 제 2 부분(13b)의 선단부를 가압 부분(P)에 접촉시키도록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기울기가 다른 제 1 부분(13a) 및 제 2 부분(13b)에 의해서, 스프링편부(13)를 'V'형상으로 구성한 것에 의해, 이 제 2 부분(13b)의 선단부를, 접촉자(2)가 갖는 소정의 가압 부분(P)에 대해 안정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작은 변위량이라도 큰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제 3 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있어서, 접속 본체부(1)는 배선 덕트(100)의 코어(105) 내에 삽입되는 선단측 부분(1a)을 긴쪽 방향(X)의 양측에 갖고, 양측의 선단측 부분(1a)에 배치한 접촉자(2)끼리를 가요성의 도전체(60)에 의해서 전기 접속시켜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한 구성의 접촉자(2)나 탄성체(7)를 갖는 선단측 부분(1a)을 긴쪽 방향(X)의 양측에 구비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로 함으로써,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거쳐서 배선 덕트(100)끼리를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높고, 또한 그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는 것은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했지만,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접촉자(2)에 부세력을 부여하는 탄성체(7)의 수는 한 쌍에 한정되지 않고, 3이상의 복수라도 좋다. 또한, 각 접촉자(2)가 일체로 갖는 접촉부(20)의 수도 한 쌍에 한정되지 않고, 3이상의 복수라도 좋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의도하는 범위 내이면, 적절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조합이나 치환을 실행하는 것도 적절히 가능하다.
1 접속 본체부 1a 선단측 부분
2 접촉자 7 탄성체
10 판스프링 부재 12 굴곡편부
13 스프링편부 13a 제 1 부분
13b 제 2 부분 20 접촉부
30 돌기 부분 60 도전체
100 배선 덕트 105 코어
110 도체 P 가압 부분
X 긴쪽 방향

Claims (10)

  1. 긴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형의 코어 내의 측벽에 그 긴쪽 방향을 따라 도체를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배선 덕트의 단부에 삽입되는 접속 본체부와,
    상기 접속 본체부에 그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도록 유지되는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를 외측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는 대응하는 상기 접촉자의 내측쪽에 긴쪽 방향을 따라 복수 병설되고,
    상기 접촉자의 외측단에, 긴쪽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복수의 볼록형상의 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외측쪽으로 가압되는 가압 부분을 상기 탄성체마다 거리를 두고 개별적으로 갖고,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복수의 상기 가압 부분 중 이웃하는 상기 가압 부분 간의 거리를,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 중 이웃하는 상기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외측쪽으로 가압되는 가압 부분을 상기 탄성체마다 거리를 두고 개별적으로 갖고,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복수의 상기 가압 부분과,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를 동일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선대칭으로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복수의 상기 가압 부분과,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를 동일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선대칭으로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내측단에는 상기 가압 부분을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여 연장하는 돌기 부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본체부를 상기 배선 덕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멍을, 상기 접촉자가 구비한 복수의 상기 접촉부의 긴쪽 방향에서의 중심점의 내측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한 쌍의 상기 탄성체를 1개의 판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판스프링 부재는 그 긴쪽 방향의 양단에 "U"자 형상의 굴곡편부와 상기 굴곡편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편부를 갖고, 양단의 상기 스프링편부를 각각 상기 가압 부분에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긴쪽 방향을 따라 병설되는 한 쌍의 상기 탄성체를, 2개 이상의 판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판스프링 부재는 "U"자 형상의 굴곡편부와 상기 굴곡편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편부를 갖고, 상기 스프링편부를 각각 상기 가압 부분에 접촉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부는 상기 굴곡편부로부터 내측쪽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외측쪽으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제 2 부분의 선단부를 상기 가압 부분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본체부는 상기 배선 덕트의 상기 코어 내에 삽입되는 선단측 부분을 긴쪽 방향의 양측에 갖고,
    양측의 상기 선단측 부분에 배치한 상기 접촉자끼리를 가요성의 도전체에 의해서 전기 접속시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20120040331A 2011-04-18 2012-04-18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1306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2316 2011-04-18
JP2011092316A JP5789770B2 (ja) 2011-04-18 2011-04-18 配線ダクト接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442A KR20120118442A (ko) 2012-10-26
KR101306516B1 true KR101306516B1 (ko) 2013-09-09

Family

ID=4693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331A KR101306516B1 (ko) 2011-04-18 2012-04-18 배선 덕트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47130B2 (ko)
JP (1) JP5789770B2 (ko)
KR (1) KR101306516B1 (ko)
CN (1) CN102751605B (ko)
DE (1) DE102012007742B4 (ko)
FI (1) FI124290B (ko)
TW (1) TWI4554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3705B2 (ja) * 2011-05-31 2015-10-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ダクト接続装置
US9190790B1 (en) * 2014-07-10 2015-11-17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a bus bar system
US10188014B2 (en) * 2014-12-16 2019-01-22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Latch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3185A (ja) * 1997-11-17 1999-08-27 Molex Inc 低背型表面取付電気コネクタ
JP2001126830A (ja) 1999-10-22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ダクト接続装置
JP2002199544A (ja) * 2000-12-22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ダクト用電気接続器
JP2009283423A (ja) * 2008-05-26 2009-12-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配線ダクト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34435C2 (de) * 1971-08-03 1983-04-28 Staff GmbH & Co KG, 4920 Lemgo Überbrückungsadapter für Stromverteilerschienen
JPS5438593A (en) * 1977-08-31 1979-03-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tribution track
FR2423074A1 (fr) * 1978-04-14 1979-11-09 Lampes Sa Systeme d'accessoires de raccordement pour rail d'alimentation electrique a profil asymetrique
US5478261A (en) * 1978-06-14 1995-12-26 Virginia Patent Development Corp. Modular jack for directly coupling modular plug with printed circuit board
JPS5911426Y2 (ja) * 1978-10-30 1984-04-07 日立電線株式会社 配線ダクト用ジヨイント
JPH02128218U (ko) * 1989-03-24 1990-10-23
JPH0488441A (ja) 1990-07-26 1992-03-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記憶装置
JP2739031B2 (ja) * 1992-12-08 1998-04-08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4088441B2 (ja) 2001-12-26 2008-05-2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配線器具、配線装置およびライティングダクト装置
US7798824B2 (en) * 2008-08-28 2010-09-21 Juno Manufacturing, Inc. Adapter for line voltage tr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3185A (ja) * 1997-11-17 1999-08-27 Molex Inc 低背型表面取付電気コネクタ
JP2001126830A (ja) 1999-10-22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ダクト接続装置
JP2002199544A (ja) * 2000-12-22 2002-07-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ダクト用電気接続器
JP2009283423A (ja) * 2008-05-26 2009-12-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配線ダクト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55424B (zh) 2014-10-01
JP2012226920A (ja) 2012-11-15
DE102012007742A1 (de) 2012-10-18
CN102751605A (zh) 2012-10-24
CN102751605B (zh) 2014-10-29
JP5789770B2 (ja) 2015-10-07
DE102012007742B4 (de) 2015-08-27
FI124290B (en) 2014-06-13
TW201251241A (en) 2012-12-16
US8647130B2 (en) 2014-02-11
FI20125416L (fi) 2012-10-19
US20120264338A1 (en) 2012-10-18
KR20120118442A (ko)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0258B (zh) 插座連接器
JP6454339B2 (ja) 外部に設定される特定のバスシステムのソケット構造用の接触要素
US9620900B2 (en)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US10109933B2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of a plug-in connection terminal
JP7154782B2 (ja) 可動コネクタ
CN107437680A (zh) 用于连接两个电气平面触头的连接笼
KR101306516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1359236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JP2013168301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081064B2 (ja) 配線ダクト接続装置
JP5793705B2 (ja) 配線ダクト接続装置
US1201521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70232111A1 (en) Card edge connector
KR20140001551U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11303055B2 (en) Socket contact having spring device
KR101340182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CN103069934B (zh) 用于容纳电路载体的壳体
CN202503134U (zh) 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200432944Y1 (ko) 버스바
JP5985908B2 (ja) 接続部材およびコネクタ
JP2024049216A (ja) コネクタセット及び第一コネクタ
CN103178376A (zh) 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