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055B1 -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 - Google Patents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5055B1 KR101285055B1 KR1020120136977A KR20120136977A KR101285055B1 KR 101285055 B1 KR101285055 B1 KR 101285055B1 KR 1020120136977 A KR1020120136977 A KR 1020120136977A KR 20120136977 A KR20120136977 A KR 20120136977A KR 101285055 B1 KR101285055 B1 KR 1012850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cell
- cover
- electrolyte
- exten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67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YADSGOSSYOOKMP-UHFFFAOYSA-N lead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Pb]=O YADSGOSSYOOK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KEQXNNJHMWSZHK-UHFFFAOYSA-L 1,3,2,4$l^{2}-dioxathiaplumbetane 2,2-dioxide Chemical compound [Pb+2].[O-]S([O-])(=O)=O KEQXNNJHMWSZH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924 angle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IJPYDMVFNTHIP-UHFFFAOYSA-L lead sulfate Chemical compound [PbH4+2].[O-]S([O-])(=O)=O PIJPYDMVFNTHI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49 sulphu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ZSJDYOACSA-N heavy water Substances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68—Means for preventing spilling of liquid or electrolyte, e.g. when the battery is tilted or turned ov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전지의 케이스를 밀폐시키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호 체결구조에서 상하측으로 전해액이 이동되는 미로구조를 형성하여 전해액의 누출저항을 높이고, 내측의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가스배출홀 및 미세홀을 형성하고, 그 위치를 정렬시켜 축전지가 전복되거나 기울어짐 상태에서도 전해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전지의 케이스를 밀폐시키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호 체결구조에서 상하측으로 전해액이 이동되는 미로구조를 형성하여 전해액의 누출저항을 높이고, 내측의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가스배출홀 및 미세홀을 형성하고, 그 위치를 정렬시켜 축전지가 전복되거나 기울어짐 상태에서도 전해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battery)는 충전(charging)된 전기를 방전(discharge)에 의하여 공급하는 것이고 충전과 방전하는 과정을 허용된 횟수 동안 반복하므로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또는 축전지(이하, ‘배터리’라 한다.)라고 한다.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및 전해질(이하, ‘전해액’이라 한다.)로 사용되는 재료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전극에 납을 사용하며 전해액으로는 황산을 사용하는 구성을 납 배터리로 분류한다.
납 배터리의 전극은 크게 양극과 음극용의 극판, 극주로 구분되고 각 전극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구분하는 격리판 및 전해액을 포함하여 케이스(40)에 수납 또는 수용하므로 내장하며,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소가스와 전해액이 증발하여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밀폐된 케이스(40)에 가스 배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납 배터리는 일례로, 화학반응식 PbO2 + H2SO4 ↔ PbSO4 + 2H2O의 가역반응을 통해 방전과 충전을 반복하는 원리로 동작하는 것으로, 생성된 전기는 방전하여 출력하고 입력된 전기는 충전하여 저장한다.
납 배터리는 이산화납(PbO2)으로 만든 극판과 황산액(H2SO4) 성분의 전해액이 황산화 납(PbSO4)과 물(H2O)로 변화하는 화학작용을 이용하는 것으로, 황산화 납(PbSO4)과 물(H2O)로 변화할 때 전기를 생성 및 방출하고, 충전이 되는 경우에는 반대로 치환하는 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화학 반응식이 진행될 때마다, 배터리 내부에서는 열이 발생하여 일부의 전해액이 증발하는 동시에 미량의 수소가스가 발생되므로 폭발 등의 방지를 위하여 생성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야 한다.
또한, 차량용 배터리는 차량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진동과 기울어짐에 여과 없이 노출되고 이때 가스 배기구를 통하여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술은 특허출원 제10-2000-72402호(2000. 12. 01.)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증발가스 배출구조’와 특허출원 제10-2008-20115호(2008. 05. 29.)의 니켈-수소전지용 벤트 플러그’등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배터리 전해액의 누출을 차단하고 가스를 배출하는 장치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는 커버(110)를 통하여 배출하고, 커버(110)는 배터리 케이스(200)의 상면에서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커버(110)는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는 원통형상이며, 배터리의 케이스(200)는 셀을 형성하고 양극판(210), 음극판(220), 격리판(230) 및 전해액을 수용한다.
커버(110)는 케이스(200)의 내에서 다 수개의 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각각의 공간에 연통되는 주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는 밸브(130)가 삽입되며, 주입구의 상단 둘레에는 밸브(130)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패킹(150)을 구비한다.
또한 커버(110)는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밴트캡(120)과 스프링(140)을 구비하는 마개가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를 밀폐시킨다.
상기 밴트캡(120)의 상단에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다른 홀이 형성된다.
종래 기술은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하여 배터리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며, 가스가 소정 압력이상으로 생성되면 자동 배출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스프링(140)의 불량에 의하여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체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의 숫자가 많으므로 생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종래의 축전지는 전복되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 전해액이 무방비 상태로 누출되고, 누출되던 전해액의 일부가 전해액 주입구에서 마개에 형성되는 밸브와 벤트캡 사이에 고여 스프링을 부식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축전지는 상기와 같은 전해액 주입구의 마개에서 스프링이 부식하면 탄성이 약해지므로 가스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도 밸브가 개방되어 전해액을 무방비상태로 누출하는 오작동이 반복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 내부의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면서도 전해액의 누출을 어렵게 하고 구성부품숫자를 늘리지 않으므로 제조원가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누출되는 전해액을 모아 내부로 다시 유입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축전지 케이스의 내측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주로 환수구와 전해액 주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었으며, 이때 가스가 내측의 압력에 의하여 밀려나오도록 하는 배출압력이 케이스 내측의 전해액에도 작용되어 환수구나 전해액 주입구를 통하여 가스의 배출과 함께 다량으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구조를 미로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누출된 전해액의 이동중에 저항을 증가시켜 누출을 차단하고, 환수될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전지가 전복되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부환수구의 위치를 정렬시켜서 전복 또는 급경사로 경사지는 경우에도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전지 케이스의 내측에서 발생된 가스의 배출구를 추가로 구성하여 환수구를 통하여 가스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형성함에 따라서 전해액의 배출압력을 생성하지 못하도록 하여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전해액이 수용되는 축전지 케이스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서 접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배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셀과 이격된 위치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내벽과, 상기 상부셀과 상부내벽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셀과 상부내벽 사이에 연결되는 상부미로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셀과 이격된 위치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벽과, 상기 하부셀과 하부벽 사이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미로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미로벽은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서 상기 상부커버가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하부미로벽이 상기 한 쌍의 상부미로벽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배면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되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 상기 외벽의 일측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중 양측 최외각에 각각 위치되는 상부셀에서 외벽으로 관통형성되어 내측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벽; 및 상기 상부내벽으로부터 하나 이상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을 구획하는 상부셀구획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벽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제1상부내벽과, 상기 제1상부내벽의 양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최외각셀에 각각 연통형성되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되는 좌 우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절곡벽을 각각 형성하는 제2상부내벽과, 상기 제2상부내벽의 한쪽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의 하측 가로벽을 형성하는 제3상부내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상기 하부셀은 누출된 전해액을 상기 축전지의 케이스에 환수하도록 하나 이상의 환수공이 형성되는 하부환수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환수구는 상기 하나 이상이 하부셀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었을 때, 각각의 하부셀 내에서 상기 하부커버의 중심측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환수구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 바닥면에서 하나 이상이 관통형성되어 축전지의 케이스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환수공; 상기 환수공이 형성되는 바닥면을 중심으로 상향 돌출되는 환수구 외벽; 및 상기 환수구 외벽에서 절개형성되어 누출된 전해액이 유입 및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전해액이 수용되는 축전지의 케이스와 연통되어 내측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전해액이 수용되는 축전지의 케이스와 연통되어 내측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미세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홀은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상기 하부셀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상기 하부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되는 각각의 하부셀에서 상기 하부커버의 중심측에 가까운 위치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중에서 최외각측에 위치된 양측의 최외각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은 상기 하부셀의 영역내에서 중심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셀 영역을 횡단하는 상부댐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댐퍼는 양측 전해액의 이동을 차단하는 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이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하부셀은 누출된 전해액을 상기 축전지의 케이스에 환수하도록 하나 이상의 환수공이 형성되는 하부환수구; 전해액이 주입되도록 바닥면이 관통형성되는 하부주입구; 상기 상부벽과 이격되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가로벽; 인접된 타 하부셀을 구획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셀구획벽; 및 상기 하부셀구획벽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주입구를 둘러쌓은 벽에서 상기 하부환수구를 거쳐 상기 하부가로벽까지 연장되어 상기 하부환수구 또는 상기 하부주입구에서 누출된 전해액이 상기 하부미로벽까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하부이동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상기 하부환수구의 외벽에서 최외각측 하부셀이 위치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연장벽; 상기 하부셀구획벽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환수구와 이격된 벽을 형성함에 따라서 누출된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하부연장벽; 및 상기 하부주입구의 외벽에서 상기 하부이동벽과 반대 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과 인접된 타 하부셀간 사이에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3하부연장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상기 하부이동벽과 하부셀구획벽 사이의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바닥면은 상기 하부환수구에서 상기 하부주입구가 형성되는 제2바닥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상기 제1바닥면에서 상기 제2바닥면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은 상기 하부셀의 하부주입구와 융착되어 상기 하부주입구를 밀폐시키는 상부주입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은 일측과 타측을 차단하는 댐으로서 각각의 상부셀 영역을 횡단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상부댐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은 상기 상부미로벽이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가로벽; 배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벽으로서 상기 하부커버에서 누출된 전해액을 상기 축전지의 케이스로 환수시키는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환수구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환수구; 상기 상부환수구에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연장벽; 상기 상부가로벽의 일측 끝단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부이동벽; 및 상기 상부가로벽의 타측 끝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내벽 사이에 전해액 및 가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상부전달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시에 각 커버의 외측 격벽에 미로구조를 형성하여 전해액의 누출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전해액의 셀간 누출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환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전지가 전복되거나 기울어짐 상태에서도 케이스의 내측에 분할 형성되는 각각의 분할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전해액의 수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 형성되도록 환수구를 정렬시키기 때문에 축전지의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커버뿐만 아니라 상부커버에서 전복시에 전해액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격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전복시에 전해액의 누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기울어진 상태가 해소되면 즉시 환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상부커버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상부커버의 셀확대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하부커버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하부커버의 셀확대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미로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하부커버의 기울어짐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상부커버의 전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상부커버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상부커버의 셀확대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하부커버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하부커버의 셀확대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미로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하부커버의 기울어짐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상부커버의 전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는 축전지에서 전해액을 수용하는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부커버(20)와,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에서 체결되는 상부커버(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40)는 내측에서 다 수개의 격벽으로 분할 형성되어 전해액을 각각 수용하는 분할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축전지 케이스의 내부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임에 도면 및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상기 하부커버(20)는 전해액이 수용되는 축전지 케이스(40)의 상면을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20)는 상기 전해액의 화학적 작용에 의하여 생산되는 전원의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전원단자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케이스에서 다 수개의 분할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는 하부셀(21~23, 21'~2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0)는 상기 하부커버(20)의 상측에서 안착되어 상기 하부커버(20)를 통하여 유출되는 가스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커버(20)의 상측을 밀폐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하부커버의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하부셀과 동일한 숫자의 상부셀(11~13, 11'~13')로서 구획된다. 상기 상부커버(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상부커버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상부커버의 셀 확대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커버(10)는 상기 하부커버(20)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커버(10)를 밀폐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커버(10)는 상기 하부커버(2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과 동일한 숫자의 상부셀(11~13, 11'~13')로서 구획된다.
상기 상부커버(10)는 상면에는 평면을 이루고, 배면에서 일방향으로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14)과,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중 최외각에 위치되는 양측의 상부셀(11, 11')에서 외벽(14)으로 연통되어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15)와, 상기 외벽(14)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되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의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내벽(16)과, 상기 상부내벽(16)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을 구획하는 상부셀구획벽(18)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배출구(15)는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중에서 양측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최외각측의 상부셀(11, 11')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은 일측 끝단에 제1상부셀(11), 타측에 제6상부셀(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셀(11)은 일측에서 제1가스배출구(151), 상기 제6상부셀(11')은 타측에서 제2가스배출구(151')에 각각 연통된다.
상기 외벽(14)은 상기 상부커버(10)의 배면 테두리에서 돌출되는 벽으로서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외벽(14)은 양측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제1가스배출구(151)와 제2가스배출구(151')가 관통된다.
아울러 상기 외벽(14)은 상측 또는 하측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에서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하부커버(20)의 상측에 안착될 시에 상기 하부커버(20)에서 돌출형성되는 끼움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되는 절개홈(14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내벽(16)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의 상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내벽(161)과, 상기 제1상부내벽(161)의 양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가스배출구(151)와 제2가스배출구(151')가 각각 형성되는 좌 우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내향되는 절곡면(162a)을 각각 형성하는 제2상부내벽(162)과, 상기 제2상부내벽(162)의 한쪽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3상부내벽(163)을 포함한다.
이중 상기 제1상부내벽(161)은 상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14)과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 사이에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상부내벽(161)은 상기 외벽(14) 사이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벽(141)과,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커버(20)와 체결시에 미로구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상부미로벽(17, 171, 172a, 172b)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상부 미로벽(17)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에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1상부내벽(161)으로 연장된다. 이때 각 상부셀(11~13, 11'~13')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부 미로벽(172a, 172b)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최외각측에 위치된 제1상부셀(11)과, 제6상부셀(11')은 한 쌍이 아닌 하나의 상부미로벽(171)으로 형성됨도 가능하다.
여기서 최외각측에 형성되는 상부셀(11, 11')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미로벽(171)은 인접된 타 상부셀(12, 12')로부터 전해액이 이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셀구획벽(18)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상부내벽(163)에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을 구획한다. 특히 상기 상부셀구획벽은 상기 상부커버가 가로방향으로 놓여져 있을 때 중심에 위치되는 상부셀중앙벽(18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셀중앙벽이 위치된 방향을 중심측 위치라 칭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중, 양측 끝단에 위치된 최외각셀(11, 11')에서 각각 형성되는 상기 제1가스배출구(151)와 제2가스배출구(151')가 위치된 방향을 최외각측 방향이라 칭한다.
상기 상부셀구획벽(18)은 상기 제1상부셀(11)과 제2상부셀(12)을 구획하는 제1상부셀구획벽(181)과, 제2상부셀(12)과 제3상부셀(13)을 구획하는 구획하는 제2상부셀구획벽(18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셀구획벽(19)은 상기 제4상부셀(13')과 제5상부셀(12')을 구획하는 제3셀구획벽(183)과, 상기 제5상부셀(12')과 제6상부셀(11')을 구획하는 제4상부셀구획벽(18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셀구획벽(181)과 제2상부셀구획벽(182)은 상기 상부가로벽(115, 125)의 제1가스배출구(151)가 위치된 방향의 끝단에서 세로로 연장되며, 상기 제3상부셀구획벽(183)과 제4상부셀구획벽(184)은 상기 상부가로벽(115', 125'의 제2가스배출구(151')가 위치된 타측 방향의 끝단에서 각각 세로로 연장된다. 즉, 상기 상부셀구획벽(181, 182, 183, 184)은 각 셀 영역내의 상부가로벽(115, 125, 135, 115', 125', 135')에서 최외각측 방향의 끝단에서 세로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상부셀중앙벽(185)은 상기 제3상부셀(13)과 제4상부셀(13')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되, 중앙에서 만곡된 형상의 상부만곡부(185a)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하부커버(20)의 하부만곡부(251a)와 체결되어 원기둥을 이루어 이동되는 전해액의 저항을 증가시킨다.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은 하부커버(20)의 하부주입구(211, 221, 231, 211', 221', 231')에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상부주입구(113, 123, 133, 113', 123', 133')와,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부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에 일치되는 상부환수구(111, 121, 131, 111', 121', 131')와, 상기 가스배출구(15)에 가스를 전달하는 가스전달구(152)와, 상기 상부주입구(113)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셀(11~13, 11'~13') 영역을 가로방향으로 횡단하는 상부댐퍼(114)와, 상기 상부환수구(111)에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연장벽(112)과, 상기 상부미로벽(17, 171a, 171b, 172a, 172b, 173a, 173b)으로 전해액을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이동벽(116)과, 상기 제1상부내벽(161)과 이격되어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미로벽(17)이 연결되는 상부가로벽(115)과, 상기 상부셀구획벽(18)과 상부환수구(111) 사이에서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상부연장벽(128)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은 상기 상부셀중앙벽(185)에 의하여 우측의 최외각셀인 제1상부셀(11)에서 중심측 방향에 위치되는 제2상부셀(12)과 제3상부셀(13)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셀중앙벽(185)의 타측에서 좌측의 최외각셀인 제6상부셀(11')에서 상기 상부셀중앙벽(185)까지 정렬 및 구획되는 제4상부셀(13')과 제5상부셀(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셀(11)과 제6상부셀(11')은 상기 상부커버(10)에서 양측의 최외각셀로서 각각 제1가스배출구(151)와 제2가스배출구(151')에 각각 연통되며, 제2 내지 제5상부셀(12~12')에 구비되지 않은 가스전달구(152, 152')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가스전달구(152, 152')는 최외각측에 위치된 제1상부셀(11)의 일측에서 연통되는 제1가스배출구(151)에 가스를 전달하는 제1가스전달구(152)와, 상기 제6상부셀(11')의 타측에서 제2가스배출구(151')에 연통되어 가스를 전달하는 제2가스전달구(152')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전달구(152, 152')는 상기 제1가스배출구(151)와 제2가스배출구(151')에서 각각 연통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상면이 개방되는 입구(152a)와, 상기 입구(152a)를 중심으로 외측에서 돌출형성되어 벽을 이루는 외벽(152c)과, 상기 외벽(152c)에서 누출된 가스 및 전해액이 상기 입구(152a)에 전달되도록 절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홈(152b)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가스전달구(152, 152')는 상기 절개홈(152b)을 통하여 상기 입구(152a)로 유입되는 가스 및 전해액을 내측에서 상기 제1가스배출구(151)와 제2가스배출구(151')로 각각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댐퍼(114)는 상기 상부주입구(113)를 기준으로 일측방향인 최외각셀이 위치되는 최외각측 방향과, 상기 상부셀중앙벽(185)이 위치되는 중심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셀(11~13, 11'~13')을 횡단하는 댐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댐퍼(114)는 상기 상부주입구(113)와 상부환수구(111)에서 누출되는 전해액이 벽너머의 공간으로 이동됨을 차단하는 댐이다.
상기 상부가로벽(115)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11~13, 11'~13')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으로서 각각 최외각측 방향의 끝단에서 상기 상부셀구획벽(18)이 각각 연결된다. 특히 상기 상부가로벽(115)은 최외각측 방향에서 세로방향으로 상기 상부셀구획벽(18)에 각각 연결되고, 중심측 방향이 끝단에서 상기 하부이동벽(116)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상부연장벽(112)은 상기 상부환수구(111)에서 최외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최외각셀(11, 11') 측 방향에 위치되는 제1상부셀구획벽(181)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이동벽(116)은 상기 상부가로벽(115)의 중심측 방향의 끝단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환수구(111)를 거쳐 상기 상부주입구(113)의 외벽(14)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이동벽(116)은 동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접한 상기 제1부셀구획벽(181)과 이격되어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상부이동벽(116)은 후술되는 하부커버(20)의 하부이동벽(218)과 체결되어 누출된 전해액을 상기 상부미로벽(17)과 하기의 하부미로벽(27)에 의하여 형성되는 미로구조로 가이드한다.
상기 제2상부연장벽(117)은 상기 가스전달구(152, 152')의 외측 벽에서 상기 상부환수구(111)의 외벽과 이격되어 상기 제1상부연장벽(112)을 향해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2상부연장벽(1177)은 상기 상부환수구의 외벽(14) 사이에 전해액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되,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환수구(11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연장된다. 즉, 상기 상부환수구(111)의 외면이 만곡된 벽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제2상부연장벽(117) 역시 만곡된 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상부연장벽(117)은 끝단이 상기 제1상부연장벽(112)과 이격되어 빈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1상부연장벽(111)으로 전해액을 안내한다.
상기 상부주입구(113)는 상기 하부커버(20)에서 전해액이 주입되는 하부주입구(21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부주입구(211)를 밀폐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주입구(113)는 상기 하부주입구(211)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환수구(111)는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부환수구(212)의 상면에 안착되어 접착됨에 따라서 상기 하부환수구(212)의 형상과 일치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주입구(113, 123, 133, 111', 123', 133')와 상기 상부환수구(111, 121, 131, 111', 121', 131')는 각 셀영역 내에서 상기 상부커버(10)의 중심측에 가까운 위치로서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상부셀(11) 내지 제3상부셀(13)에서 각각 형성되는 상부주입구(113, 123, 133)와 상부환수구(111, 121, 131)는 제1 내지 제3상부셀(11~13)의 영역내에서 상기 상부셀중앙벽(185)과 가까운 위치인 타측에 각각 위치되어 정렬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커버(10)의 제4 내지 6상부셀(11'~13')에서 각각 형성되는 상부주입구(113', 123', 133')와 상부환수구(111', 121', 131')는 상기 제4 내지 제6 상부셀(11'~13')의 영역내에서 중심측 위치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되어 정렬된다.
또한 상기 제1상부셀(11)과 제6상부셀(11')은 상기 제1상부셀(11)에서 상기 제1가스전달구(152)의 외벽(152c)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상부내벽(162) 사이로 상기 상부미로벽(17)까지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상부전달벽(18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커버(1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하부커버(2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며, 이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를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하부커버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하부커버의 셀확대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커버(20)는 다 수개의 공간으로 분할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벽(24)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셀을 구획하는 하부셀구획벽(25)과, 각 하부셀(21~23, 21'~23')의 하부가로벽(215)에서 상기 하부벽(24) 사이로 연장되는 하부미로벽(27)과,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홀(29) 및 미세홀(28)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벽(24)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의 상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벽(241)과, 상기 제1하부벽(24)의 양끝단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벽(242)과, 상기 제2하부벽(242)의 끝단에서 중심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제2하부벽(242)의 끝단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제3하부벽(2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부벽(241)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 상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구획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하부벽(242)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에서 최외각셀에 해당되는 제1하부셀(21)과 제6하부셀(21')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하부벽(242)은 상부커버(10)의 가스배출구(15)가 형성된 바와 일치되도록 내측(즉, 중심측)으로 절곡되는 홈(242a)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연장된다.
상기 제3하부벽(243)은 양측 최외각셀(21, 21')에서 중심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이 하부셀(21~23, 21'~23') 사이에 상기 상부미로벽(17)과 일치되는 상기 하부미로벽(27)이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3하부벽(24)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과의 사이에서 전해액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이 사이에 상기 하부미로벽(27)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하부셀구획벽(25)은 하부셀과 하부셀사이에서 각각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셀과 셀을 구획시키며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셀중앙벽(185)에 일치되는 하부셀중앙벽(251)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셀구획벽(25)은 제2하부셀(22) 내지 제5하부셀(22') 영역내에서 각각 상기 하부셀중앙벽(251)과 먼 위치로서 최외각셀(21, 21')과 가까운 위치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1하부셀(21)과 제6하부셀(21')은 최외각측에서 상기 제2하부벽(24)에 의하여 하부커버(20) 외측에 구획된다.
또한 상기 하부셀구획벽(25)은 상기 제2하부셀(22)과 제3하부셀(23)과, 상기 제4하부셀(23')과 제5하부셀(22')에서 각각 최외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셀구획벽(25)은 상기 하부셀중앙벽(25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셀중앙벽(251)은 상기 제3하부셀(23)과 제4하부셀(23') 사이를 구획하되 중앙에 만곡형성되는 하부만곡부(251a)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만곡부(251a)는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만곡부(185a)과 체결되면서 원기둥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만곡부(251a)와 상부만곡부(185a)는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가 체결되면서 양측에서 하부이동벽(218)과 상부이동벽(116)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경로를 통하여 이동되는 전해액의 저항을 증가시킨다.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은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가스배출구(151)와 제2가스배출구(151')가 위치되는 최외각측 하부셀(21, 21')에서 상기 하부셀중앙벽(251)이 위치된 중심측 방향으로 정렬되며, 각각의 하부셀의 구획은 상기 하부셀구획벽(25)에 의하여 구획된다.
즉, 상기 하부커버(20)는 최외각측에서 제1하부셀(21)과 제6하부셀(2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셀(21)에서 제3하부셀(23)은 하부환수구(212) 및 하부주입구(211)의 위치가 일치되며, 제4 내지 제6하부셀(21'~23')은 상기 제1 내지 제3하부셀(21~23)과 반대 위치에서 상기 하부환수구(212'~232') 및 하부주입구(211'~231')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의 상세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은 전해액이 주입되는 하부주입구(211, 221, 231, 211', 221', 231')와, 누출된 전해액이 환수되는 하부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와, 축전지 케이스(40)의 내측에서 발생된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부셀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되는 가스배출홀(29)과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중(21~23, 21'~23')에서 최외각측에 위치되는 하부셀(예를 들면, 제1하부셀(21)과 제6하부셀(21'))에만 형성되는 미세홀(28)과, 상기 하부환수구(212)의 외벽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가로벽(215)과 끝단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하부연장벽(213)과, 상기 하부전달벽(216)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환수구(212)의 외벽과 일치되는 형상의 벽을 갖도록 연장되어 상기 하부환수구(212)의 사이에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하부연장벽(217)과, 상기 상부댐퍼(114)와 일치되도록 상기 하부주입구(211)에서 최외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하부연장벽(214)과, 상기 하부주입구(211)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이동벽(116)과 일치되는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하부이동벽(218)과, 상기 하부이동벽(218)의 하측 끝단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하부셀의 하측 가로벽을 형성하는 하부가로벽(215)과, 상기 상부커버(10)의 가스전달구(152, 152')에 전해액을 전달하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하부전달벽(216)과, 각 하부셀(21~23, 21'~23')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바닥면(281, 262)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면(265)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주입구(211)는 하측으로 관통형성되어 내측에서 전해액이 주입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주입구(211)는 원형으로서 돌출형성된 벽이 상기 전해액이 주입되는 입구의 외측을 둘러쌓은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하부주입구는 종래에는 마개를 통하여 상부가 밀폐되었기에 전해액의 몰림에 따라서 마개에 구성되는 스프링이나 밸브를 부식시켜 결국 전해액이 누출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주입구(211)는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주입구와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하여 접착됨에 따라서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지 않고 완전히 밀폐시켰다.
상기 하부환수구(212)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에서 중심측에 위치되며, 누출된 전해액이 케이스(40)의 내측으로 환수시킨다. 이를 위한 구성에서 상기 하부환수구(212)는 원형의 바닥면(212a)과, 상기 바닥면(212a)의 외측에서 하나 이상이 관통형성되어 전해액이 입출입되는 하나 이상의 환수공(212b)과, 상기 환수공(212b) 및 바닥면(212a)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위치되는 환수공(212b)과 바닥면을 둘러쌓은 형상의 벽을 이루는 환수구의 외벽(212c)과, 상기 환수구의 외벽(212c)에서 일부가 절개되어 누출된 전해액이 입출입되는 절개구(212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간의 미로구조와 상부댐퍼(114)에 의한 전해액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환수공(212b)과 환수구(212)의 외벽(212d)만으로서 간략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환수공(212b)은 상기 바닥면의 외측에서 하나 이상이 관통형성되어 누출된 전해액을 케이스(40) 내측으로 안내한다. 이때 환수된 전해액 또는 누출되는 전해액은 상기 제1하부연장벽(213)과 하부전달벽(216) 사이의 이동경로(263)을 통하여 누출되거나 또는 환수된다.
또한 상기 환수구의 외벽(14)은 환수공(212b)과 상기 바닥면(262)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양 끝단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절개구(212d)를 형성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상기 환수구의 외벽(14)의 상단에 마개가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마개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바닥면(212a)은 상기 환수공(212b)과 다른 높이의 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면(212a)은 상기 환수공(212b)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서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누출된 전해액이 상기 환수공(212b)에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에서 각각 형성되는 상기 하부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와 하부주입구(211, 221, 231, 211', 221', 231')는 상술한 상부커버(10)와 체결되기 때문에 상호간에 동일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와 하부주입구(211, 221, 231, 211', 221', 231')는 각각이 하부셀(21~23, 21'~23') 영역내에서 중심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정렬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커버(20)가 제1 내지 제6하부셀(21~23, 21'~23')로 구성되고, 이중 상기 상부커버(10)의 가스배출구(15)가 위치되는 최외각셀(21, 21')에서 상기 제1하부셀(21)에서 제1가스배출구(151)의 대향된 위치에서 하부환수구(212)와 하부주입구(211)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하부셀(22)과 제3하부셀(23) 역시 상기 제1가스배출구(151)와 대향된 위치에서 하부환수구(222, 232)와 하부주입구(221, 231)가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6하부셀(21')은 타측에 제2가스배출구(151')가 위치되면 상기 제6하부셀(21') 영역내에서 상기 제2가스배출구(151')와 대향된 위치에 하부환수구(212')와 하부주입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4하부셀(23')과 제5하부셀(22') 역시 각각 하부환수구(222', 232')와 하부주입구(221', 231')가 상기 제2가스배출구(151')에 대향된 일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하부셀(21~23)은 타측에 하부환수구(212, 222, 232)와 하부주입구(211, 221, 231)가 위치되고, 제4 내지 제6하부셀(21'~23')은 일측에서 상기 하부환수구(212', 222', 232')와 하부주입구(211', 221', 231')가 위치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은 양측의 제1가스배출구(151)와 제2가스배출구(151')가 위치된 최외각측에서 중심방향으로 하부환수구(212)와 하부주입구(211)가 위치되도록 정렬되며, 특히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중에서 상기 하부셀중앙벽(251)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정렬된다.
이와 같은 하부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와 하부주입구(211, 221, 231, 211', 221', 231')의 위치를 정렬함에 따른 작용은 하기의 작용설명에서 후술한다.
상기 가스배출홀(29)은 상기 하부환수구(212)의 환수구의 외벽(14)과 상기 하측 가로벽 사이에서 관통형성되어 케이스(40) 내측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스배출홀(29)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에서 상술한 하부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와 하부주입구(211, 221, 231, 211', 221', 231')와 마찬가지로 최외각측에서 중심측 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하부이동벽(218)은 상기 하부주입구(211)에서 세로방향으로 상기 하부셀구획벽(25)과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전해액의 이동경로(267)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이동벽(218)은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이동벽(116)과 일치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미세홀(28)은 상기 하부이동벽(218)에서 밀착되는 평면에서 케이스(40)의 내측으로 관통형성되어 내측의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하부연장벽(214)은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댐퍼(114)와 일치된 형상으로서 상기 하부주입구(211)의 외벽(211a)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3하부연장벽(214)은 상기 하부벽(24)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하부벽(242)과 끝단이 이격되어 전해액의 이동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가로벽(215, 225, 235)은 각 하부셀(21~23, 21'~23')의 하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으로서 하측에서 연장되는 제3하부벽(24)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가로벽(215)은 일측에서 상기 하부전달벽(216)의 끝단과 연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하부이동벽(218)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이동벽(218)은 상기 하부셀구획벽(25) 사이에서 전해액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이 경로는 상기 제3하부벽(24)과 상기 하부가로벽(215) 사이의 경로에 연결된다.
상기 하부전달벽(216)은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전달벽(186)과 체결되어 상기 상부커버(10)의 가스전달구(152, 152')에 전해액을 전달하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전달벽(216)은 상기 상부커버(10)의 가스배출구(15)가 포함될 수 있는 수용부(264)의 외측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하부벽(24)과의 사이에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된체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가로벽(215)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전달벽(216)은 상기 제2하부벽(24)의 사이에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3하부벽(24)과 상기 셀하측 가로벽 사이에 형성되는 전해액이 이동경로와 연결시킨다.
상기 제1하부연장벽(213)은 상기 하부환수구(212)의 외벽(14)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되, 상기 하부전달벽(216) 또는 하부가로벽(215)사이와 끝단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그 사이에 전해액이 이동되는 경로(263)를 형성한다.
상기 제2하부연장벽(217)은 상기 하부환수구(212)의 외벽과 일치된 형상(예를 들면, 만곡된 형상)으로서 상기 환수구(212)의 외벽(212c) 사이에 전해액이 이동되는 경로(263)를 형성하도록 상기 가스배출구(15)의 외벽(14)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하부연장벽(217)과 상기 하부환수구(212)의 외벽(212c) 사이의 거리는 구간 전체가 동일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265)은 상기 하부이동벽(218)과 하부셀구획벽(25)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제1바닥면(261)에서 최외각측에 위치되는 상기 하부주입구(211)와 하부환수구(212)를 포함하는 제2바닥면(262) 사이에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면(261)은 상기 제2바닥면(26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65)은 최외각측에서 누출된 전해액이 중심측으로 전달됨을 늦추게 하고, 중심측에서 최외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부환수구(212)를 통하여 환수되는 전해액을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벽(218)은 상기 하부셀구획벽(25)에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이동벽(218)과 상기 하부셀구획벽(25)사이의 이동경로(267)에서 전해액의 이동시에 저항을 증가시킨다.
상기 하부미로벽(27)은 상기 하부가로벽(215)과 상기 제3하부벽(24)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하부미로벽(27)은 제2 내지 제5하부셀(22')에서 각각 하나 씩 형성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응용예로서 각 하부셀마다 하나 이상이 형성됨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전해액의 누출 및 환수되는 과정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축전지 케이스(40)의 상면에 하부커버(20)를 안착시키고, 상기 하부주입구(211)를 통하여 전해액을 주입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면에 상기 상부커버(10)를 초음파 또는 기타 장치나 방법에 의하여 상기 하부커버(20)에 접착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부주입구(211)는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주입구(113)가 안착됨에 따라서 밀폐된 상태이고, 상기 하부커버(20)의 제2하부벽(24)의 상단에 상기 상부커버(10)의 제2상부내벽(162)의 하단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0)의 가스배출구(15)는 상기 하부전달벽(216)과 상부전달벽(186)이 안착된 벽면과 상기 제2하부벽(24)과 제2상부내벽(162)이 안착된 벽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를 배출시킨다.
아울러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부환수구(212)는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환수구(111)가 안착됨에 따라서 상측이 밀폐되고, 상기 하부환수구(212)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구(212d)를 통하여 누출된 전해액이 환수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20)의 제3하부연장벽(214)은 상측에서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댐퍼(114)와 밀착되고, 측방에서 상기 제2하부벽(24)과의 사이에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부이동벽(116)과 하부이동벽(218)은 상하간에 접착되어 상기 상부셀구획벽(18)과의 사이에서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환수구(212)는 누출된 전해액을 환수시키는 역할도 수행하지만, 축전지가 기울어지거나 전복될 경우에 전해액이 누출될 수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상기 하부환수구(212)에 마개를 씌워서 밀폐시켰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상부미로벽(17)과 하부미로벽(27) 및 상부댐퍼(114)와 하부환수구(212)의 위치를 중심측으로 정렬시켜서 전해액의 누출을 최소화하고 인접 셀로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기에 하부환수구(212)에 마개를 씌우지 않았다.
특히 상기 하부환수구(212)에서 누출된 전해액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전해액이 누출된다. 즉, 상기 전해액은 상기 하부환수구(212)의 절개구(212d)를 통하여 누출되어 상기 제1하부연장벽(213)과 하부전달벽(216)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누출된다. 이후 상기 전해액은 상기 제2하부연장벽(217)과 하부환수구(212) 사이의 이동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3하부연장벽(214)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전해액은 상기 제3하부연장벽(214)과 상기 제2하부벽(24) 사이의 경로를 통하여 상기 경사면에 도달된다.
여기서 상기 전해액은 상기 제2하부연장벽(217)과 제1하부연장벽(213)에 의하여 형성되는 미로구조에 의한 저항으로 그 속도가 많이 저하되고, 상기 경사면에 의하여 전해액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후에 상기 경사면(265)에 의하여 저지된 전해액이 점차로 그 양이 증가되어 상기 경사면(265)을 넘어서면, 상기 하부이동벽(218)과 하부셀구획벽(25) 사이의 경로를 통하여 이동되어 상기 하부가로벽(215)과 제3하부벽(24) 사이의 경로(264)로 진입되어 상기 상부미로벽(17)과 하부미로벽(27)의 미로구조에 도달된다.
상기 상부미로벽(17)은 상기 상부커버(10)에서 한 쌍(172a, 172b)이 상호 이격된 상태이며, 상기 하부미로벽(27)은 상부미로벽(172a)과 상부미로벽(172b) 사이의 하측에서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미로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미로벽(17)과 하부미로벽(27)은 상부커버(10)가 하부커버(20)의 상면에 안착된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상부미로벽(17) 사이에 상기 하부미로벽(27)의 상단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환수구(212) 또는 미세홀(28)이나 가스배출홀(29)을 통해서 유출된 전해액은 상기 제3하부연장벽(214)과 상기 제2하부벽(24) 사이의 경로를 통하여 경사면을 넘어서 상기 하부이동벽(218)과 상기 하부셀구획벽(25) 사이의 경로를 통하여 이동된다. 이때 전해액은 상기 상부미로벽(17)의 하단 아래쪽을 통과한 뒤에 다시 상승하여 하부미로벽(27)을 넘은 뒤 다시 상부미로벽(17)의 하측으로 하강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저항이 증가되어 인접 셀 또는 상기 가스배출구(15)측을 향한 이동이 저지됨에 따라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하부환수구(212)로 환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하부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나 가스배출홀(29) 및 미세홀(28)을 통하여 누출되는 전해액이 인접 셀로 이동됨이 상기 상부미로벽(17)과 하부미로벽(27)에 의한 미로구조에서 저지되어 각 셀의 하부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로 환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에서 분할된 하나 이상의 셀 영역에서 상부환수구(111, 121, 131, 111', 121', 131'))와 하부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의 위치를 중심측 방향으로 정렬시켰다. 이는 상기 축전지가 기울어짐 상태에서 누출된 전해액을 저지하여 환수구로서 환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커버(10)에서 상부댐퍼(114)를 구비하여 축전지가 전복되었을 경우에 상기 상부주입구(113)와 상부환수구(111) 사이의 전해액이 타 영역으로 이동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축전지의 기울어진 상태와 전복된 상태는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하부커버의 기울어짐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중 도 8은 상부커버가 전면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은 도 8에 도시된 하부커버에서 전해액의 누출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축전지가 장착된 자동차가 급경사로 이루어진 언덕길을 주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축전지를 기울어진 상태에서 이동시키거나 또는 외부충격에 의하여 축전지가 기울어져서 상기 전원단자가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커버(10) 및 하부커버(20)가 상측에 위치되어 전면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를 설명하자면, 상기 하부셀(21~23, 21'~23')은 상기 하부주입구(211~231, 211'~231')가 상측에 위치되고, 각 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가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셀(11~13, 11'~13')은 상기 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를 통하여 전해액이 누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미세홀(28)과 가스배출홀(29)을 구비함에 따라서 가스가 상기 미세홀(28) 및 가스배출홀(29)을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내측에서 상기 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에서 전해액을 밀어내는 압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기울어지는 과정에서 일부만이 누출된다.
예를 들면, 상기 축전지는 하부셀(21~23, 21'~23')에서 상기 미세홀(28) 및 가스배출홀(29)이 구비되지 않았다면, 축전지가 넘어졌을 때 상기 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를 통하여 가스가 외부로 빠져나오기 위한 압력을 가한다. 그리고 전해액은 상기 가스의 배출압력에 의하여 가스의 배출과 함께 대량 누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각 하부셀(21~23, 21'~23')마다 가스배출홀(29)을 구비하고, 특히 최외각측인 제1하부셀(21)과 제6하부셀(21')에 미세홀(28)을 더 구비함에 따라서 케이스(40) 내측에서 발생된 가스의 배출경로를 형성함에 따라서 내측에서 전해액을 밀어내는 압력이 생성되지 않는다.
도 10과 도 11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축전지와 상하측이 반대로 위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0은 축전지의 상부커버(10)가 전면에 위치되도록 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과 같이 넘어진 상태에서 하부커버(2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과 같이 축전지가 넘어진 상태가 되면, 각 하부셀(21~23, 21'~23')의 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가 상측에 위치되며, 하부주입구(211, 221, 231, 211', 221', 231')가 하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축전지는 상기 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가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서 전해액의 누출이 경사진 상태에서 수직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누출될 수 있으나, 정확히 축전지가 수직으로 정지된 상태가 되면 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가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서 누출이 정지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하부주입구(211, 221, 231, 211', 221', 231')와 상부주입구(113, 123, 133, 113', 123', 133')가 융착에 의하여 밀폐됨에 따라서 상기 하부주입구(211, 221, 231, 211', 221', 231')를 통한 전해액의 누출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가 정상위치로 되돌아가면, 누출된 전해액은 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로 환수됨에 따라서 외부로의 누출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2는 도 10의 축전지가 좌측으로 회전되어 수직으로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 축전지의 기울어짐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와 같은 기울어짐 상태에서 하부커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각 하부셀(21~23, 21'~23')은 상기 하부셀중앙벽(251)을 기준으로 최외각측에서 상기 하부셀중앙벽(251)이 위치되는 중심측을 향하는 방향에서 각 환수구(212, 222, 232, 212', 222', 232')가 위치된다. 따라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 제1하부셀(21)이 가장 하측에 위치되고, 제6하부셀(21')이 상측에 위치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하부셀(21~23)의 환수구(212, 222, 232)는 상기 하부셀중앙벽(25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환수구(212, 222, 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 각각의 셀 영역내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4 내지 제6하부셀(21'~23')의 환수구(212', 222', 232')는 각각의 셀 영역내에서 하부셀중앙벽(25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서 각 셀영역 내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4 내지 제6하부셀(21'~23')은 각 셀영역내에서 환수구(212', 222', 232')가 하측에 위치됨에 따라서 케이스(40)의 내측에서 각 분할된 영역에 수용되는 전해액의 수면아래에 위치됨에 따라서 전해액이 누출된다. 그러나 상기 제4하부셀 내지 제6하부셀(21'~23')의 환수구(212', 222', 232')를 통하여 누출된 전해액은 상술한 가스배출홀(29) 및 미세홀(28)에 의한 배출압력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상기 제1하부연장벽(213', 223', 233')을 넘지 못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내지 제3하부셀(21~23)은 상기 환수구(212, 222, 232)가 셀영역내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하부셀(21~23)과 연통되는 상기 케이스(40)의 내측 분할공간(도시되지 않음)에서 전해액의 수면 높이가 상기 환수구(212, 222, 232)보다 낮은 위치에 놓여지게 됨에 따라서 전해액의 누출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축전지의 케이스(4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21~23, 21'~23')과 동일한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은 격벽(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독립적인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분할된 영역내에 각각 주입되는 전해액은 통상적으로 각각의 분할된 공간에 여유를 둘 수 있을 정도로 양이 조절되기 때문에 환수구(212, 222, 232)가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케이스 내의 각 분할된 영역의 전해액의 수면위에 위치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축전지는 제1 내지 제3하부셀(21~23)의 환수구(212, 222, 232)의 높이가 케이스 내측의 각 분할 영역의 전해액 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기 때문에 전해액의 누출이 없다. 또한 제4 내지 제6하부셀(21'~23')은 환수구(212', 222', 232')가 하측에 위치되나 가스배출홀(29)과 미세홀(28)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전해액을 밀어내는 압력이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해액은 상기 제4 내지 제6하부셀(21'~23')에서 누출된 양이 매우 적어 상기 제1하부연장벽(213', 223', 233')을 넘지 못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댐퍼(114)를 통하여 축전지가 전복되었을 경우에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였다.
축전지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외부에 가해진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전복된 상태라면,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부환수구(212)에서 전해액이 누출된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부환수구(212)는 천정에 해당되는 위치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환수구(212)의 절개구(212d)를 통하여 전해액이 누출되어 상기 상부커버(10)의 제1상부연장벽(112)과 제2상부연장벽(117) 및 상부주입구(113)에 의하여 형성되는 영역으로 낙하한다. 그러나 상기 상부커버(10)에 낙하된 전해액은 상기 상부댐퍼(114)에 의하여 그 이상으로 이동됨이 차단된다. 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에서 상부커버의 전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축전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되는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가 접착된 상태에서 전복되었다면,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부환수구(212)에서 누출된 전해액이 상부커버(10)의 배면으로 고이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환수구(212)로부터 낙하된 전해액은 제1상부연장벽(112)에서 상기 상부주입구(113) 및 상부댐퍼(114)에 도달되는 영역에서 전해액이 고이게 되면서 상기 상부댐퍼(114)에 의해 저지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상기 하부주입구에 마개를 설치하여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축전지가 전복되었을 경우라면 마개의 틈사이로 전해액이 누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주입구와 하부커버의 하부주입구가 융착에 의하여 접착고정됨에 따라서 전해액의 누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는 전복시에도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댐퍼(114)에 의하여 누출된 전해액이 저지되어 누출량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미세홀(28)과, 가스배출홀(29) 및 하부환수구(212)가 축전지의 최외각측에서 중심방향으로 각 셀영역내에서 위치됨에 따라 축전지의 기울어짐 및/또는 전복시에도 전해액의 누출이 최소화되면서 환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상부커버 11 : 제1상부셀
12 : 제2상부셀 13 : 제3상부셀
11': 제6상부셀 12': 제5상부셀
13': 제4상부셀 14 : 외벽
15 : 가스배출구 16 : 상부내벽
17 : 상부미로벽 18 : 상부셀구획벽
20 : 하부커버 21 : 제1하부셀
22 : 제2하부셀 23 : 제3하부셀
21' : 제6하부셀 22': 제5하부셀
23': 제4하부셀 24 : 하부벽
25 : 하부셀구획벽 27 : 가스배출홀
28 : 미세홀 30 : 전원단자
40 : 케이스 111 : 상부환수구
112 : 제1상부연장벽 113 : 상부주입구
114 : 상부댐퍼 115 : 상부가로벽
141 : 가이드벽 161 : 제1상부내벽
162 : 제2상부내벽 162a : 절곡부
163 : 제3상부내벽 171, 171a, 171b : 상부미로벽
181 : 제1상부셀구획벽 182 : 제2상부셀구획벽
183 : 제3상부셀구획벽 184 : 제4상부셀구획벽
185 : 상부셀중앙벽 185a : 상부만곡부
211 : 하부주입구 211a : 주입구 외벽
212 : 하부환수구 212a : 바닥면
12 : 제2상부셀 13 : 제3상부셀
11': 제6상부셀 12': 제5상부셀
13': 제4상부셀 14 : 외벽
15 : 가스배출구 16 : 상부내벽
17 : 상부미로벽 18 : 상부셀구획벽
20 : 하부커버 21 : 제1하부셀
22 : 제2하부셀 23 : 제3하부셀
21' : 제6하부셀 22': 제5하부셀
23': 제4하부셀 24 : 하부벽
25 : 하부셀구획벽 27 : 가스배출홀
28 : 미세홀 30 : 전원단자
40 : 케이스 111 : 상부환수구
112 : 제1상부연장벽 113 : 상부주입구
114 : 상부댐퍼 115 : 상부가로벽
141 : 가이드벽 161 : 제1상부내벽
162 : 제2상부내벽 162a : 절곡부
163 : 제3상부내벽 171, 171a, 171b : 상부미로벽
181 : 제1상부셀구획벽 182 : 제2상부셀구획벽
183 : 제3상부셀구획벽 184 : 제4상부셀구획벽
185 : 상부셀중앙벽 185a : 상부만곡부
211 : 하부주입구 211a : 주입구 외벽
212 : 하부환수구 212a : 바닥면
Claims (18)
- 전해액이 수용되는 축전지 케이스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서 접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배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셀과 이격된 위치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내벽과, 상기 상부셀과 상부내벽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셀과 상부내벽 사이에 연결되는 상부미로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셀과 이격된 위치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벽과, 상기 하부셀과 하부벽 사이의 이격된 공간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미로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미로벽은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서 상기 상부커버가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하부미로벽이 상기 한 쌍의 상부미로벽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배면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되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
상기 외벽의 일측에서 누출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중 양측 최외각에 각각 위치되는 상부셀에서 외벽으로 관통형성되어 내측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벽; 및
상기 상부내벽으로부터 하나 이상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을 구획하는 상부셀구획벽을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벽은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제1상부내벽과, 상기 제1상부내벽의 양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최외각셀에 각각 연통형성되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되는 좌 우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절곡벽을 각각 형성하는 제2상부내벽과, 상기 제2상부내벽의 한쪽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셀의 하측 가로벽을 형성하는 제3상부내벽을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누출된 전해액을 상기 축전지의 케이스에 환수하도록 하나 이상의 환수공이 형성되는 하부환수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환수구는 상기 하나 이상이 하부셀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었을 때, 각각의 하부셀 내에서 상기 하부커버의 중심측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환수구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 바닥면에서 하나 이상이 관통형성되어 축전지의 케이스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환수공;
상기 환수공이 형성되는 바닥면을 중심으로 상향 돌출되는 환수구 외벽; 및
상기 환수구 외벽에서 절개형성되어 누출된 전해액이 유입 및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절개구를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전해액이 수용되는 축전지의 케이스와 연통되어 내측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홀을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전해액이 수용되는 축전지의 케이스와 연통되어 내측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미세홀을 더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홀은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상기 하부셀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상기 하부커버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되는 각각의 하부셀에서 상기 하부커버의 중심측에 가까운 위치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은
상기 하나 이상의 하부셀중에서 최외각측에 위치된 양측의 최외각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은
상기 하부셀의 영역내에서 중심측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셀 영역을 횡단하는 상부댐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댐퍼는 양측 전해액의 이동을 차단하는 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이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하부셀은
누출된 전해액을 상기 축전지의 케이스에 환수하도록 하나 이상의 환수공이 형성되는 하부환수구;
전해액이 주입되도록 바닥면이 관통형성되는 하부주입구;
상기 상부벽과 이격되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가로벽;
인접된 타 하부셀을 구획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셀구획벽; 및
상기 하부셀구획벽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주입구를 둘러쌓은 벽에서 상기 하부환수구를 거쳐 상기 하부가로벽까지 연장되어 상기 하부환수구 또는 상기 하부주입구에서 누출된 전해액이 상기 하부미로벽까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하부이동벽;을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상기 하부환수구의 외벽에서 최외각측 하부셀이 위치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하부연장벽;
상기 하부셀구획벽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부환수구와 이격된 벽을 형성함에 따라서 누출된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하부연장벽; 및
상기 하부주입구의 외벽에서 상기 하부이동벽과 반대 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과 인접된 타 하부셀간 사이에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3하부연장벽;을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상기 하부이동벽과 하부셀구획벽 사이의 전해액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바닥면은 상기 하부환수구에서 상기 하부주입구가 형성되는 제2바닥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셀은
상기 제1바닥면에서 상기 제2바닥면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은
상기 하부셀의 하부주입구와 융착되어 상기 하부주입구를 밀폐시키는 상부주입구를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은
일측과 타측을 차단하는 댐으로서 각각의 상부셀 영역을 횡단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상부댐퍼를 더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셀은
상기 상부미로벽이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가로벽;
배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벽으로서 상기 하부커버에서 누출된 전해액을 상기 축전지의 케이스로 환수시키는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환수구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환수구;
상기 상부환수구에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상부연장벽;
상기 상부가로벽의 일측 끝단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부이동벽; 및
상기 상부가로벽의 타측 끝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내벽 사이에 전해액 및 가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상부전달벽을 포함하는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6977A KR101285055B1 (ko) | 2012-11-29 | 2012-11-29 |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 |
PCT/KR2012/010555 WO2014084437A1 (ko) | 2012-11-29 | 2012-12-06 |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 |
CN201210551821.5A CN103855333B (zh) | 2012-11-29 | 2012-12-18 | 蓄电池的内漏液防止盖 |
JP2013020026A JP5760015B2 (ja) | 2012-11-29 | 2013-02-05 | 蓄電池の内漏液防止カバー(batterycoverforpreventionelectrolyteleakage) |
ES13154374.6T ES2588373T3 (es) | 2012-11-29 | 2013-02-07 | Tapa para baterías para prevenir la fuga de electrolitos |
EP13154374.6A EP2738832B1 (en) | 2012-11-29 | 2013-02-07 | Battery cover for prevention of electrolyte leakage |
US13/762,678 US9269931B2 (en) | 2012-11-29 | 2013-02-08 | Battery cover for prevention of electrolyte leakage |
MX2013001699A MX345880B (es) | 2012-11-29 | 2013-02-12 | Tapa de bateria para prevenir fugas de electrolito. |
ZA2013/01816A ZA201301816B (en) | 2012-11-29 | 2013-03-11 | Battery cover for prevention of electrolyte leakage |
BR102013015352-4A BR102013015352B1 (pt) | 2012-11-29 | 2013-06-18 | Cobertura de bateria para impedir vazamento de eletrólito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6977A KR101285055B1 (ko) | 2012-11-29 | 2012-11-29 |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5055B1 true KR101285055B1 (ko) | 2013-07-10 |
Family
ID=4771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6977A KR101285055B1 (ko) | 2012-11-29 | 2012-11-29 |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9269931B2 (ko) |
EP (1) | EP2738832B1 (ko) |
JP (1) | JP5760015B2 (ko) |
KR (1) | KR101285055B1 (ko) |
CN (1) | CN103855333B (ko) |
BR (1) | BR102013015352B1 (ko) |
ES (1) | ES2588373T3 (ko) |
MX (1) | MX345880B (ko) |
WO (1) | WO2014084437A1 (ko) |
ZA (1) | ZA201301816B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4439B1 (ko) * | 2014-02-12 | 2015-10-29 | (주)현태금형 | 배터리 커버 |
JP2015216085A (ja) * | 2014-05-13 | 2015-12-03 | 株式会社Gsユアサ | 鉛蓄電池 |
KR20160150367A (ko) | 2015-06-22 | 2016-12-30 | (주)무진서비스 | 축전지의 전조와 커버 결합용 열판 |
KR200484079Y1 (ko) * | 2016-07-22 | 2017-07-28 | 강성진 | 수소 호흡기 |
KR101799238B1 (ko) | 2017-06-09 | 2017-11-17 | 김국현 | 배터리 커버 조립체 |
KR101799239B1 (ko) | 2017-06-09 | 2017-11-17 | 김국현 | 배터리 커버 조립체 제작방법 |
KR20210006752A (ko) * | 2019-07-09 | 2021-01-19 |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 납축전지용 황산 누액 방지 장치 |
KR20210019158A (ko) * | 2019-08-12 | 2021-02-22 |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 플러디드 배터리의 전해액 누출 방지를 위한 벤팅 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68356A1 (ko) * | 2014-10-29 | 2016-05-06 | 주식회사 지에스텍 |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 |
JP6631015B2 (ja) | 2015-02-27 | 2020-01-15 | 株式会社Gsユアサ | 鉛蓄電池 |
KR101823584B1 (ko) * | 2015-03-04 | 2018-01-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팩 |
JP6596874B2 (ja) | 2015-03-30 | 2019-10-30 | 株式会社Gsユアサ | 鉛蓄電池及び鉛蓄電池の蓋部材の製造方法 |
US10193115B2 (en) * | 2016-03-23 | 2019-01-29 | East Penn Manufacturing Co. | Battery cover |
JP6973039B2 (ja) * | 2017-12-25 | 2021-11-24 | 株式会社Gsユアサ | 鉛蓄電池 |
CN108767140B (zh) * | 2018-04-18 | 2021-12-14 | 天能电池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efb起停蓄电池盖 |
CN217114682U (zh) * | 2022-05-23 | 2022-08-02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电池单体的外壳、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17332A (ja) | 2004-04-28 | 2005-11-10 | Furukawa Battery Co Ltd:The | 鉛蓄電池 |
JP2008041299A (ja) | 2006-08-02 | 2008-02-2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鉛蓄電池 |
JP2010021007A (ja) | 2008-07-10 | 2010-01-28 |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 鉛蓄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216563A1 (de) * | 1992-05-20 | 1993-11-25 | Vb Autobatterie Gmbh | Akkumulator |
US5683830A (en) * | 1997-02-06 | 1997-11-04 | Douglas Battery Manufacturing Company | Leak resistant battery cover |
KR20000072402A (ko) | 2000-09-01 | 2000-12-05 | 권혁이 | 음파의 흡음을 방지한 쇠로 형성된 스피커 캐비닛 |
KR100353948B1 (ko) | 2000-12-01 | 2002-09-2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배터리의 증발가스 배출구조 |
JP4138275B2 (ja) * | 2001-07-23 | 2008-08-27 | エキサイド インダストリーズ リミテッド | 電解液漏れ抵抗自動車用バッテリ |
JP4715089B2 (ja) * | 2003-11-28 | 2011-07-06 | 株式会社Gsユアサ | 鉛蓄電池 |
JP4529949B2 (ja) * | 2006-06-12 | 2010-08-25 | 新神戸電機株式会社 | 鉛蓄電池の検査方法 |
US8323811B2 (en) * | 2006-08-04 | 2012-12-04 | Gs Yuasa International Ltd. | Lead acid storage battery |
JP5148863B2 (ja) * | 2006-11-02 | 2013-02-20 | 古河電池株式会社 | 蓄電池の排気構造 |
KR100844601B1 (ko) * | 2006-11-07 | 2008-07-07 | 세방전지주식회사 | 배터리 케이스 커버 |
KR100867247B1 (ko) | 2006-12-01 | 2008-11-06 | 에스케이건설주식회사 | 도어 개폐제어구조를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
JP5365046B2 (ja) * | 2008-03-27 | 2013-12-11 | 新神戸電機株式会社 | 鉛蓄電池 |
KR20090124110A (ko) | 2008-05-29 | 2009-12-03 | 에너그린(주) | 니켈-수소전지용 벤트 플러그 |
JP5446326B2 (ja) * | 2009-03-04 | 2014-03-19 | 新神戸電機株式会社 | 鉛蓄電池 |
JP5521390B2 (ja) * | 2009-05-20 | 2014-06-11 | 新神戸電機株式会社 | 鉛蓄電池 |
JP5396161B2 (ja) * | 2009-06-02 | 2014-01-22 | 古河電池株式会社 | 蓄電池 |
-
2012
- 2012-11-29 KR KR1020120136977A patent/KR1012850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06 WO PCT/KR2012/010555 patent/WO201408443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2-18 CN CN201210551821.5A patent/CN103855333B/zh active Active
-
2013
- 2013-02-05 JP JP2013020026A patent/JP576001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2-07 ES ES13154374.6T patent/ES2588373T3/es active Active
- 2013-02-07 EP EP13154374.6A patent/EP2738832B1/en active Active
- 2013-02-08 US US13/762,678 patent/US9269931B2/en active Active
- 2013-02-12 MX MX2013001699A patent/MX345880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3-03-11 ZA ZA2013/01816A patent/ZA201301816B/en unknown
- 2013-06-18 BR BR102013015352-4A patent/BR102013015352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17332A (ja) | 2004-04-28 | 2005-11-10 | Furukawa Battery Co Ltd:The | 鉛蓄電池 |
JP2008041299A (ja) | 2006-08-02 | 2008-02-2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鉛蓄電池 |
JP2010021007A (ja) | 2008-07-10 | 2010-01-28 |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 鉛蓄電池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4439B1 (ko) * | 2014-02-12 | 2015-10-29 | (주)현태금형 | 배터리 커버 |
JP2015216085A (ja) * | 2014-05-13 | 2015-12-03 | 株式会社Gsユアサ | 鉛蓄電池 |
KR20160150367A (ko) | 2015-06-22 | 2016-12-30 | (주)무진서비스 | 축전지의 전조와 커버 결합용 열판 |
KR200484079Y1 (ko) * | 2016-07-22 | 2017-07-28 | 강성진 | 수소 호흡기 |
KR101799238B1 (ko) | 2017-06-09 | 2017-11-17 | 김국현 | 배터리 커버 조립체 |
KR101799239B1 (ko) | 2017-06-09 | 2017-11-17 | 김국현 | 배터리 커버 조립체 제작방법 |
KR20210006752A (ko) * | 2019-07-09 | 2021-01-19 |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 납축전지용 황산 누액 방지 장치 |
KR102265184B1 (ko) * | 2019-07-09 | 2021-06-15 |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 납축전지용 황산 누액 방지 장치 |
KR20210019158A (ko) * | 2019-08-12 | 2021-02-22 |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 플러디드 배터리의 전해액 누출 방지를 위한 벤팅 구조 |
KR102225201B1 (ko) * | 2019-08-12 | 2021-03-09 |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 플러디드 배터리의 전해액 누출 방지를 위한 벤팅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738832A1 (en) | 2014-06-04 |
ES2588373T3 (es) | 2016-11-02 |
ZA201301816B (en) | 2013-11-27 |
MX2013001699A (es) | 2014-05-28 |
US9269931B2 (en) | 2016-02-23 |
CN103855333B (zh) | 2016-01-20 |
JP5760015B2 (ja) | 2015-08-05 |
MX345880B (es) | 2017-02-21 |
BR102013015352A2 (pt) | 2015-03-17 |
BR102013015352B1 (pt) | 2021-07-20 |
US20140147733A1 (en) | 2014-05-29 |
CN103855333A (zh) | 2014-06-11 |
JP2014107262A (ja) | 2014-06-09 |
WO2014084437A1 (ko) | 2014-06-05 |
EP2738832B1 (en) | 2016-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5055B1 (ko) |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 | |
KR101323919B1 (ko) |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커버 | |
KR101220485B1 (ko) | 배터리의 전해액 누출 차단 장치 | |
JP4138275B2 (ja) | 電解液漏れ抵抗自動車用バッテリ | |
JP6756093B2 (ja) | 鉛蓄電池 | |
JP5148861B2 (ja) | 蓄電池の排気構造 | |
KR20210019158A (ko) | 플러디드 배터리의 전해액 누출 방지를 위한 벤팅 구조 | |
CN104094450A (zh) | 方形二次电池 | |
JP2008117583A (ja) | 蓄電池の排気構造 | |
JP2010282743A (ja) | 蓄電池 | |
JP2008166075A (ja) | 蓄電池の液漏れ防止装置 | |
TR201808469T4 (tr) | Elektrolitik bataryalar için kapak. | |
JP2017182986A (ja) | 鉛蓄電池 | |
JP2009021017A (ja) | 蓄電池 | |
JP5148863B2 (ja) | 蓄電池の排気構造 | |
JP5183985B2 (ja) | 蓄電池 | |
JP2013004436A (ja) | 鉛蓄電池 | |
JP5314238B2 (ja) | 密閉形鉛蓄電池 | |
JP2008177042A (ja) | 蓄電池用二重蓋排気構造 | |
KR101490028B1 (ko) | 밀봉된 가스배기홀을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 |
KR102081447B1 (ko) | 복합 벤트 패스를 가지는 납축전지의 누액방지 구조 | |
US3723188A (en) | Filling and venting device for a storage battery | |
KR102651295B1 (ko) | 납축전지 누액방지 밸브 캡 | |
KR200489366Y1 (ko) | 내누액 개선형 일체형 벤트캡 | |
JP7327454B2 (ja) | 鉛蓄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