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75350B1 - 동전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동전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350B1
KR101175350B1 KR1020100129858A KR20100129858A KR101175350B1 KR 101175350 B1 KR101175350 B1 KR 101175350B1 KR 1020100129858 A KR1020100129858 A KR 1020100129858A KR 20100129858 A KR20100129858 A KR 20100129858A KR 101175350 B1 KR101175350 B1 KR 101175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in
coins
abnormal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293A (ko
Inventor
노부시게 호리구치
쇼이치 우다
미츠마사 츠루다
야스유키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3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32Record keeping
    • G07D11/34Monitoring the contents of devices, e.g. the number of stored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는: 동전 통로(coin passage)에서 동전들을 운반하는 동전 운반 섹션(coin conveying section); 동전 통로에서 동전들을 식별하는 식별 섹션(identifying section); 식별 섹션에 의하여 정상으로 식별된 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로부터 방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 섹션(discharging section); 식별 섹션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로부터 제거하는 적어도 제1 제거 섹션(first removing section) 및 제2 제거 섹션(second removing section); 및 비정상 동전을 제거하기 위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identification factor)에 따라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중의 어느 하나로 비정상 동전을 분배하는 제어 섹션(control section);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전 처리 장치{Coi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동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처리 효율의 저감이 방지되는 동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09년 12월 2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9098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그 내용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 제2008-97099호에 개시된 동전 처리 장치는, 비정상 동전이 식별 시에 그 비정상 동전을 특정(specify)하고 식별 인자를 명확화(clarify)할 수 있다.
통상적인 동전 처리 장치는 동전 운반 섹션, 식별 섹션, 동전 정지 섹션(coin stopping section), 디스플레이 섹션, 및 제어 섹션을 구비한다. 동전 운반 섹션은 동전 통로에서 동전들을 운반한다. 식별 섹션은 동전 통로에 있는 동전들을 식별한다. 동전 정지 섹션은 동전 통로에서 동전들을 정지시킨다. 디스플레이 섹션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비정상 동전이 식별 섹션에 의하여 식별되는 때에, 제어 섹션은 비정상 동전이 동전 정지 섹션에 의하여 정지되도록 하고, 식별 섹션에 의한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가 검출 이미지와 관련된 인자인 때에는 비정상 동전의 검출 이미지(detection image)가 디스플레이 섹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즉, 비정상 동전이 식별되는 때에, 동전 정지 섹션에 의하여 비정상 동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수행함에 의하여 그 비정상 동전이 특정되고,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가 검출 이미지와 관련된 인자인 때에는 디스플레이 섹션에 비정상 동전의 검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그 식별 인자가 명확화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동전 정지 섹션으로 비정상 동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많은 비정상 동전들을 포함하는 동전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때에는, 정지 횟수가 증가하여,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정상 동전들을 포함하는 동전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때에도 비정상 동전들을 특정하고 식별 인자를 명확화할 수 있으며, 또한 처리 효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동전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는: 동전 통로(coin passage)에서 동전들을 운반하는 동전 운반 섹션(coin conveying section); 동전 통로에서 동전들을 식별하는 식별 섹션(identifying section); 식별 섹션에 의하여 정상으로 식별된 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로부터 방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 섹션(discharging section); 식별 섹션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로부터 제거하는 적어도 제1 제거 섹션(first removing section) 및 제2 제거 섹션(second removing section); 및 비정상 동전을 제거하기 위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identification factor)에 따라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중의 어느 하나로 비정상 동전을 분배하는 제어 섹션(control section);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동전 처리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제거 섹션들, 즉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을 포함하고, 그 제거 섹션들은 식별 섹션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로부터 제거한다. 비정상 동전들을 제거하는 때에, 제거 섹션은 비정상 동전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에 따라서 제1 제거 섹션과 제2 제거 섹션 중의 어느 하나로 비정상 동전들을 분배한다. 그러므로, 식별 인자에 따라서 분리된 제거 섹션들로 분배함으로써 비정상 동전들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정상 동전들을 정지시키지 않고서도 비정상 동전들을 특정하고 명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많은 비정상 동전들을 포함하는 동전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경우에도, 비정상 동전들을 특정하고 식별 인자를 명확히하는 것이 가능하여, 처리 효율에 있어서의 저감이 방지될 수 있다.
코인 처리 장치에서, 방출 섹션은 적어도 제1 방출 섹션 및 제2 방출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방출 섹션은 특정 화폐단위의 동전들인 정상 동전들을 방출하는 특정 방출 섹션일 수 있으며, 제2 방출 섹션은 특정 화폐단위의 동전들이 아닌 정상 동전들을 방출하는 비특정 방출 섹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방출 섹션은 특정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인 동전들을 방출하는 특정 방출 섹션이 되고, 제2 방출 섹션은 특정 화폐단위의 동전이 아닌 정상 동전인 동전들을 방출하는 비특정 방출 섹션이 된다. 이 때문에, 특정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인 동전들과 특정 화폐단위가 아닌 동전인 정상 동전들을 분리하여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동전 처리 장치에서, 특정 방출 섹션은 특정 화폐단위의 동전인 정상 동전들을 자루에 담기 위한 계수 경사로(counting chute), 및 특정 화폐단위의 동전인 정상 동전들을 박스에 담기 위한 방출 경사로(discharge chut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특정 방출 섹션은 특정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인 동전들을 자루에 담기 위한 계수 경사로와 특정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인 동전들을 박스에 담기 위한 방출 경사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특정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인 동전들이 자루와 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담겨지는 상태로 동전들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전 처리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작동 모드(operation mode)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설정 섹션(mode setting section)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섹션은 모드 설정 섹션에 의하여 선택된 작동 모드에 따라서 제1 분배 섹션 및 제2 분배 섹션에서의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어 섹션은 모드 설정 섹션에 의하여 선택되는 작동 모드에 따라서, 제1 분배 섹션 및 제2 분배 섹션에서의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각 제거 섹션의 식별 인자는 작동 모드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동전 처리 장치는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서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는 식별 인자 설정 섹션(identification factor setting section)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섹션은 식별 인자 설정 섹션에 의하여 제1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될 식별 인자를 제2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되었던 식별 인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동전 처리 장치가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서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는 식별 인자 설정 섹션을 포함하기 때문에, 각 제거 섹션에서 식별 인자를 임의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섹션은, 식별 인자 설정 섹션에 의하여 제1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될 식별 인자가 제2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되었던 식별 인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복수의 제거 섹션들에 관하여 동일한 식별 인자가 과잉으로 설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동전 처리 장치는,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섹션(display secti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섹션은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들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와 분류 섹션 간의 대응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제1 방출 섹션 및 제2 방출 섹션은 각각 제1 분류 섹션(40), 제4 분류 섹션(90), 및 제5 분류 섹션(1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l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은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제4 분류 섹션(9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비정상 동전들을 포함하는 동전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때에도 비정상 동전들을 특정하고 식별 인자를 명확화할 수 있으며, 또한 처리 효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동전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주된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도 1 에서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모습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도 1 의 화살표 B 의 방향으로부터 본 모습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흐트러진 동전들이 작동자에 의하여 삽입되는 삽입 슬롯(insertion slot)(미도시)이 본 실시예의 동전 처리 장치(11)의 상측 표면에 제공된다. 이 삽입 슬롯의 하측부에 위치된 동전 처리 장치(11)의 상측 섹션(upper section)에는 공급 디스크(supply disk; 13)가 제공된다. 공급 디스크(13)는 삽입 슬롯 안으로 삽입된 흐트러진 동전들을 수용하고, 수직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공급 디스크(13) 측에 인접하여서는 회전 디스크(rotating disk; 14)가 제공되고, 이 회전 디스크는 수직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이 회전 디스크(14)는 공급 디스크(13)로부터 원심력에 의하여 배출된 흐트러진 동전들을 수용한다. 이와 함께, 회전 디스크(14)는, 수용된 동전들이 원심력에 의하여 분리 섹션(separating section)(미도시)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그들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동전들을 안내하기 위한 동전 통로(15)로 하나씩 배출되도록 한다.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는, 도 2 에 도시된 제어 장치(제어 섹션)(200)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공급 구동 섹션(supply drive section; 201)에 의해서 전후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 처리 장치(11)의 상측 섹션에는 동전 통로(15)가 제공된다. 통전 통로(15)는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배출된 동전들을 한 단차만큼 높은 측부를 갖는 안내부들(16, 17) 사이의 통로 표면 상에서 안내한다. 이 동전 통로(15)는 제1 통로 섹션(21), 제2 통로 섹션(22), 및 제3 통로 섹션(23)을 구비한다. 동전 통로(15)는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배출된 동전들을 제1 통로 섹션(21), 제2 통로 섹션(22), 및 제3 통로 섹션(23)의 순서대로 안내한다. 제1 통로 섹션(21)은 회전 디스크(14)로부터 공급 디스크(13)의 반대측까지 대략 직선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제2 통로 섹션(22)은 제1 통로 섹션(21)의 회전 디스크(14) 반대측 측부으로부터 회전 디스크(14)가 배치된 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굽혀지고, 대략 직선을 이루어 수평으로 연장된다. 제3 통로 섹션(23)은 제2 통로 섹션(22)의 제1 통로 섹션(21) 반대측 측부로부터 회전 디스크(14)의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굽혀지고, 대략적으로 직선을 이루면서 수평으로 연장된다.
동전 통로(15)에서 동전들을 운반하는 동전 운반 섹션(26)은 동전 통로(15) 근처에 제공된다. 이 동전 운반 섹션(26)은 동전 통로(15)의 상측 측부에 제공된다. 동전 운반 섹션(26)은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들(27A 내지 27I)을 구비하는바, 그 컨베이어 벨트들은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배출된 동전들이 동전 통로(15)를 따라서 움직이게 한다. 즉, 컨베이어 벨트들(27A, 27B, 27C, 및 27D)은 동전들이 제1 통로 섹션(21) 상에서 이동하게 한다. 컨베이어 벨트들(27E 및 27F)은 동전들이 제2 통로 섹션(22) 상에서 이동하게 한다. 컨베이어 벨트들(27G, 27H, 및 27I)은 동전들이 제3 통로 섹션(23) 상에서 이동하게 한다.
또한, 동전 운반 섹션(26)은 모터(미도시)를 구비한 운반 구동 섹션(conveyance drive section; 202)을 포함하는바, 상기 모터는 도 2 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에 의하여 제어되고, 컨베이어 벨트들(27A 내지 27I)과 관련하여 전방 및 후방의 방향으로 구동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 통로(15)의 제1 통로 섹션(21)과 회전 디스크(14) 사이에서 일 안내부(17)의 원위 단부 부분(distal end portion)의 위치에는 안내 롤러(guide roller; 28)가 제공된다. 안내 롤러(28)은 자유로이 회전하여, 이 안내부(17)의 원위 단부 부분에 충돌하는 동전들이 회전 디스크(14)로 복귀하거나 또는 동전 통로(15)로 쉽게 안내되도록 한다.
재료 검출 센서(material detection sensor; 30)는 동전 통로(15)의 제1 통로 섹션(21) 내에 배치되어서, 제1 통로 섹션(21)의 통로 표면의 부분을 이룬다. 재료 검출 센서(30)는 제1 통로 섹션(21) 상에서 운반되는 동전의 재료를 자기적 데이터로 검출한다. 동전 검출 센서들(coin detection sensors; 30a, 30b)은 재료 검출 센서(30)의 근처에 제공된다. 동전 검출 센서들(30a, 30b)은 상기 재료 검출 센서(30)에 의한 검출 데이터를 추출(retrieve)할 타이밍을 측정한다. 즉, 제어 장치(200)는 상기 동전 검출 센서들(30a, 30b)에 의하여 동전들이 검출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재료 검출 센서(30)가 검출 데이터의 추출을 수행하게끔 한다. 외측 직경 검출 센서(outer-diameter detection sensor; 31)은 제2 통로 섹션(22) 측에서 제2 통로 섹션(22)에 가깝게 배치되는바, 즉 제1 통로 섹션(21)의 재료 검출 센서(30)의 하류 측에 배치된다.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는 제1 통로 섹션(21)에서 운반되는 동전의 직경을 검출하는 라인 센서(line sensor)를 포함한다.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는, 제1 통로 섹션(21)의 통로 표면의 부분을 이루어 동전의 운반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위를 갖도록 배치된 수광 섹션(light receiving section)과, 상기 수광 섹션을 대면하도록 배치된 발광 섹션(light emitting section)을 포함한다.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는, 지나가는 일 동전에 의하여 막히는 수광 섹션의 최대 길이를 동전의 직경으로 검출한다. 상측 및 하측의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reflected-light-quantity detection sensors; 35, 35)이 재료 검출 센서(30) 및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 가까이에 제공된다. 상측 및 하측의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은 각각 동전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빛을 조사하는 상측 및 하측의 발광 섹션들을 포함하고, 또한 각각 동전의 상측부와 하측부로부터 반사된 빛을 검출하는 상측 및 하측의 수광 섹션들을 포함한다. 동전 검출 센서들(30a, 30b)에 의하여 동전이 검출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에 의한 검출 데이터의 수집이 수행된다.
재료 검출 센서(30)의 하류 측에는,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 제1 통로 섹션(21)의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 및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lower-side image detection section; 32)이 배치되어서, 제1 통로 섹션(21)의 통로 표면의 일부를 이룬다.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은 CCD 영역 센서(CCD area sensor) 등을 포함하고, 제1 통로 섹션(21)에서 운반되는 동전의 이미지를 하측부로부터 검출한다.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양 측부들에는 동전 검출 센서들(32a, 32b)이 제공된다. 동전 검출 센서들(32a, 32b)은 상기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에 의한 검출 데이터의 추출 타이밍을 측정한다. 즉, 제어 장치(200)는, 상기 동전 검출 센서들(32a, 32b) 둘 다에 의하여 동전이 검출되는 순간에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이 검출 데이터의 추출을 수행하게끔 한다.
제1 통로 섹션(21)의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하류 측에는,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upper-side image detection section; 33)이 제1 통로 섹션(21)의 통로 표면을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은 CCD 영역 센서 등을 포함하고, 제1 통로 섹션(21)에서 운반되는 동전의 이미지를 상측부로부터 검출한다. 동전 검출 센서들(33a, 33b)은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양 측부들에 제공된다. 동전 검출 센서들(32a, 32b)은 상기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에 의한 검출 데이터의 추출 타이밍을 측정한다. 즉, 제어 장치(200)는, 상기 동전 검출 센서들(32a, 32b) 둘 다에 의하여 동전이 검출되는 순간에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이 검출 데이터의 추출을 수행하게끔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동전 통로(15) 상의 동전들을 식별하고 또한 재료 검출 센서(30),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 및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에 의하여 구성되는 식별 섹션(34)은, 동전 통로(15)의 제1 통로 섹션(21)의 범위 내에 배치된다.
식별 섹션(34)을 이루는 재료 검출 센서(30),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 및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출력들은, 순차적으로 제어 장치(200) 안으로 입력된다. 이 제어 장치(200)는, 먼저 취급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진짜 동전들을 위한 재료 기준 데이터(material reference data)와 검출된 동전에 대한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데이터를 비교한다. 제어 장치(200)는, 재료 검출 데이터가, 취급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진짜 동전들의 재료 기준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일치도(degree of coincidence) 이상으로 부합하지 않는 상이한 재료라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검출된 동전이 상이한 재료라는 식별 인자를 갖는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false coin)으로 결정하고, 그 이후로는 식별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어 장치(200)가,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결과로부터, 진짜 동전 중 일 유형의 재료 기준 데이터에 대해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는 재료라고 결정하는 때에는, 그 유형의 진짜 동전의 재료에 따른 기준 반사광량 데이터를 독출한다. 그 다음, 제어 장치(200)는 동일한 검출된 동전에 관하여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에 의하여 검출된 동전의 전방면과 후방면의 반사광량 데이터가 상기 기준 반사광량 데이터에 대해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어 장치(200)는, 검출된 동전의 전방면과 후방면의 반사광량 검출 데이터 둘 다가 그 재료에 따른 기준 반사광량 데이터를 초과한다고 결정한다면, 검출된 동전에 오염/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검출된 동전의 전방면 및 후방면의 반사광량 검출 데이터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그 재료에 따른 기준 반사광량 데이터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200)는 그 동전이 오염/손상된 것으로 결정하고, 그 동전을 반사 오염인 식별 인자를 갖는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인 것으로 판정한다.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결과로부터, 제어 장치(200)가 일 유형의 진짜 동전의 재료 기준 데이터에 대해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는 것으로 결정한 때에는, 그 다음으로 그 유형의 진짜 동전의 직경 기준 데이터를 독출한다. 그 다음, 제어 장치(200)는 검출되는 동일한 동전에 관하여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에 의해 검출된 직경 검출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제어 장치(200)가 직경 기준 데이터와 직경 검출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지 않는 상이한 직경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그 검출된 동전을 상이한 직경인 식별 인자를 갖는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결정하고 이후에는 식별을 수행하지 않는다.
직경 기준 데이터와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의 검출 결과로부터의 직경 검출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여 그 동전이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이 아닌 것으로 제어 장치(200)가 결정하는 때에는, 제어 장치가 그 검출된 동전에 관하여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결과에 부합하는 기준 데이터를 갖는 일 유형의 진짜 동전의 전방면 및 후방면의 이미지 기준 패턴 데이터(image reference pattern data)를 독출한다. 그 다음, 제어 장치(200)는 그 이미지의 기준 패턴 데이터를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검출 패턴 데이터 및 동일한 검출 동전에 관한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검출 패턴 데이터와 비교하고, 전방면 및 후방면 각각의 패턴 데이터와 외측 직경이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제어 장치(200)가, 전방면 및 후방면 각각의 이미지의 검출 패턴 데이터와 기준 패턴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고 또한 그 외측 직경들이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한다고 결정하는 때에는, 그 검출된 동전을 일 유형의 진짜 동전인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제어 장치(200)가,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미지의 검출 패턴 데이터와 기준 패턴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지 않는 상이한 이미지라는 결정을 하거나, 또는 그 외측 직경들이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하는 때에는, 그 검출된 동전을 상이한 이미지라는 식별 인자를 갖는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결정한다.
유로화의 동전과 같이 모든 화폐단위들에 대하여 동일한 화폐단위의 일 측부는 모든 발행 국가들에 의하여 공통의 디자인을 가지고 반대 측부는 각 발행 국가마다 상이한 디자인을 갖는 동전들을 식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제어 장치(200)가, 모든 발행국가들에 있어서 공통인 일 측부의 디자인이 발행국가들 각각에 대해 공통이 기준 마스터 데이터(reference master data)에 대해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각 발행국가에 대하여 상이한 반대 측부의 디자인을 개별 발행국가들 각각의 기준 마스터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것이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 공통 디자인이 발행 국가들 각각에 대해 공통인 마스터 데이터에 대해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하고, 또한 각 발행국가마다 상이한 디자인이 어느 한 발행국가의 디자인의 마스터 데이터에 대해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부합한다고 결정한다면, 제어 장치(200)는 그것을 일 국가의 진짜 동전인 것으로 식별하고, 그렇지 않다면 그것이 상이한 이미지인 식별 인자를 갖는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결정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검출되는 동전의 상부 및 저부의 측부들, 즉 전방면 및 후방면에 관하여, 검출 패턴 데이터가 기준 패턴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일치하고 또한 검출 패턴 데이터의 동전 외측 직경이 기준 패턴 데이터의 동전 외측 직경과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일치하는 때에는, 제어 장치(200)가 그것을 높은 일치도를 갖는 진짜 동전인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검출되는 동전의 상부 및 저부 측부들, 즉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검출 패턴 데이터가 기준 패턴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검출 패턴 데이터의 동전 외측 직경이 기준 패턴 데이터의 동전 외측 직경과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일치되지 않는 때에는, 제어 장치(200)가 그것을 낮은 일치도를 갖는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일 유형의 진짜 동전인 것으로 결정된 검출된 동전에 관하여, 제어 장치(200)는 예를 들어 동전의 상부 및 저부 측부들, 즉 전방면 및 후방면에 관한 기준 패턴 데이터와 검출 패턴 데이터의 색조(color tone)의 일치도를 비교한다. 색조의 일치도가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일치되는 경우, 제어 장치(200)는 오염의 정도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어서 정상인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색조의 일치도가 미리 결정된 일치도 이상으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 제어 장치(200)는 오염의 정도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므로 비정상인 것으로 결정하며, 그 동전을 오염의 식별 인자를 갖는 오염된 진짜 동전인 것으로 검출되도록 결정한다. 이 경우, 색조의 일치도를 비교함에 있어서는, 동전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일치성이 비교되거나, 또는 동전 표면의 부분적 영역의 일치성이 비교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진짜 동전인 것으로 결정된 검출된 동전에 관하여, 제어 장치(200)는 상부 및 저부 측부들, 즉 전방면 및 후방면에 있어서 기준 패턴 데이터 및 검출 패턴 데이터의 일치도가 미리 결정된 비율보다 국지적으로 낮은 영역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일치도가 미리 결정된 비율보다 국지적으로 낮은 영역이 없는 경우, 제어 장치(200)는 손상도(degree of damage)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으므로 정상인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일치도가 미리 결정된 비율보다 국지적으로 낮은 영역이 있는 경우, 제어 장치(200)는 손상도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므로 비정상인 것으로 결정하고, 검출되는 동전을 국지적 손상이라는 식별 인자를 갖는 국지적으로 손상된 진짜 동전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진짜 동전인 것으로 결정된 검출된 동전에 관하여, 제어 장치(200)는 상부 및 저부 측부들, 즉 전방면 및 후방면에 관하여 검출 패턴 데이터로부터 동전의 외측 직경 부분의 변형도(degree of deformation)(둥근정도(roundness))를 검출한다. 외측 직경 부분의 변형도가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은 때, 제어 장치(200)는 변형도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으므로 정상인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변형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어 장치(200)는 변형도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므로 비정상인 것으로 결정하고, 검출된 동전을 전체적 손상이라는 식별 인자를 가진 전체적으로 손상된 진짜 동전인 것으로 결정한다.
진짜 동전 중에서, 제어 장치(200)는 오염된 동전, 국부적으로 손상된 진짜 동전, 및 전체적으로 손상된 진짜 동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드러난 동전이 이미지 오염/손상인 식별 인자를 갖는 이미지-오염된/손상된 진짜 동전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측 및 하측의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에 의하여 오염/손상된 동전인 것으로 결정된 진짜 동전들에 관하여는, 오염된 동전, 국부적으로 손상된 진짜 동전, 및 전체적으로 손상된 진짜 동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라도, 제어 장치(200)는 그것이 반사 오염/손상인 식별인자를 갖는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진짜 동전들 중에서이미지 오염/손상된 진짜 동전 또는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에 해당되지 않는 동전을 정상 동전으로 결정한다. 제어 장치(200)는 정상 동전들이 아닌 동전들을 모두 비정상 동전으로 결정한다.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하류에서 제1 통로 섹션(21)의 양 측부들에는 제1 통로 섹션(21)을 사이에 두고 정지기 부재들(stopper members; 36a, 36b)이 제공된다. 정지기 부재들(36a, 36b)은 하류 측으로부터 제1 통로 섹션(21) 상의 동전에 맞닿고, 이로써 동전이 정지되게 한다. 이 정지기 부재들(36a, 36b)은, 도시되지 않은 회전식 솔레노이드(solenoid)를 포함하고 도 2 에 도시된 정지기 구동 섹션(stopper drive section; 203)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로 앞뒤로 회전하도록 제작된다.
이 정지기 부재들(36a, 36b)은, 무엇보다도 먼저, 1회분 포획(batch capture)의 시점에서 계수(count)를 위하여 정지기(stopper)로서 기능한다. 요망되는 화폐단위의 동전들이 미리 결정된 1회분의 포획 갯수에 도달하는 때에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의하여 정지기 부재들(36a, 36b) 둘 다가 제1 통로(21) 안으로 동시에 돌출되어 제1 통로 섹션(21)에 의하여 운반되어온 미리 결정된 갯수를 초과하는 동전들의 통행을 차단한다. 또한, 둘 째로, 이 정지기 부재들(36a, 36b)은 걸림과 같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기로서 기능한다.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는 때에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의하여, 정지기 부재들(36a, 36b) 둘 다가 제1 통로 섹션(21) 안으로 동시에 돌출되어 동전과 맞닿아서 그 이후의 동전들의 통행을 차단한다.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계수를 위한 정지기로서 기능하는 때에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작동하게끔 한 후에, 제어 장치(200)는 동전 운반 섹션(26)에 의하여 컨베이어 벨트들(27A 내지 27D)의 역방향 회전을 수행한다. 그 결과, 정지기 부재들(36a, 36b)보다 더 상류에 있는 모든 동전들은 회전 디스크(14)로 복귀한다.
또한, 제1 통로 섹션(21) 내에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상류 측 바로 앞의 위치에는 동전 검출 센서(37a) 및 동전 검출 센서(37b)가 제공된다. 동전 검출 센서(37a)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을 구동하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의 작동 타이밍을 측정한다. 동전 검출 센서(37b)는 동전의 정지를 확인한다. 즉, 제어 장치(200)는 동전 검출 센서(37a)에 의하여 목표 동전이 검출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여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제1 통로 섹션(21) 안으로 돌출되게끔 한다. 그 결과,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목표 동적에 맞닿아서 그 동전을 정지시킨다. 그 다음, 동전이 동전 검출 센서(37b)에 의하여 검출되는 때에, 목표 동전이 정지되었음을 검출한다.
제2 통로 섹션(22)의 제3 통로 섹션(23) 측에는, 제2 통로 섹션(22)으로부터 동전들을 방출시킬 수 있는 제1 분류 섹션(first sorting section; 40)이 제공된다. 제1 분류 섹션(40)은 분류 구멍(sorting hole; 41), 분류 안내 부재(sorting guide member; 43), 및 분류 구동 섹션(sorting drive section; 204)을 구비한다. 분류 구멍(41)은 제2 통로 섹션(22)의 통로 표면에 형성된다. 분류 안내 부재(43)는 이 분류 구멍(41)의 동전 운반 방향에서 하류 측의 단부 부분 위치에 제공되고, 도 3 에 도시된 회전 샤프트(rotating shaft; 42)에 중심을 두고 회전할 수 있다. 분류 구동 섹션(204)은 도 2 에 도시되어 있으며, 분류 안내 부재(43)가 미리 결정된 각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게 유발하는 회전식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분류 안내 부재(43)는 제2 통로 섹션(22)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분류 구멍(41)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제2 통로 섹션(22) 안으로 들어와서 분류 구멍(41)을 막는 폐쇄 상태로 회전한다.
보통의 경우, 제어 장치(200)는 분류 안내 부재(43)가 제2 통로 섹션(22) 안으로 들어오는 폐쇄 상태를 대기 상태(standby state)로 삼는다. 이 대기 상태에서는, 분류 안내 부재(43)를 넘어 이동함으로써 제1 분류 섹션(40)을 지나가려고 하는 동전이 분류 구멍(41) 안으로 낙하하지 않게 되며, 이 분류 구멍(41)을 지나감에 의하여 제2 통로 섹션(22)의 하류 측으로 추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어 장치(200)가 분류 구동 섹션(204)으로 하여금 분류 안내 부재(43)가 제2 통로 섹션(22) 위로 돌출되게끔 구동하는 개방 상태에서는, 제1 분류 섹션(40)을 지나가려고 하는 동전이 분류 안내 부재(43)에 의하여 안내되어서 분류 구멍(41) 안으로 들어오게 되어 분류 구멍(41) 안으로 낙하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로 섹션(22)에 있는 분류 구멍(41)의 상류 측 바로 앞의 위치에는 동전 검출 센서들(44a, 44b)이 제공된다. 동전 검출 센서들(44a, 44b)은 분류 안내 부재(43)를 구동할 타이밍을 측정하고 동전들을 계수한다. 분류 구멍(41)의 하류 측 바로 뒤의 위치들에는 동전 검출 센서들(44c, 44d)이 제공된다. 즉, 제어 장치(200)가, 목표 동전이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44a, 44b)에 의해 검출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분류 안내 부재(43)를 분류 구동 섹션(204)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제2 통로 섹션(22) 위로 돌출되도록 하는 때에는, 그 목표 동전 만이 분류 구멍(41) 안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동전 검출 센서들(44a, 44b)에 의하여 동전이 검출되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그 동전을 계수한다.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44c, 44d)은 동전이 분류 구멍(41) 안으로 낙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동전이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44a, 44b)에 의하여 검출되고 그 동전이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44c, 44d)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 장치(200)는 동전 검출 센서들(44a, 44b)에 의하여 계수되었던 동전이 분류 구멍(41) 안으로 낙하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동전이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44a, 44b)에 의하여 검출되고 그 동전이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44c, 44d)에 의하여 검출되면, 제어 장치(200)는 동전 검출 센서들(44a, 44b)에 의하여 계수되었던 동전이 분류 구멍(41) 안으로 낙하하지 않고서 분류 구멍을 지나간 것으로 판단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류 섹션(40)의 하측부에는 자루(bag)에 넣기 위한 계수 경사로(50)가 제공된다. 계수 경사로(50)는 분류 구멍(41)으로부터 낙하한 동전들을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안내한다. 계수 경사로(50)의 하측 단부에는 장착용 개구(mounting opening; 51)가 제공되는바, 여기에는 동전들을 자루에 넣음을 위한 수집 자루(collection bag; 55)가 장착된다. 이 장착용 개구(51)에 장착된 수집 자루(55)는 분류 구멍(41)으로부터 낙하한 동전들을 수집한다.
계수 경사로(50)는 분류 구멍(41) 바로 아래의 위치에 관문 구멍(gate hole; 52)을 갖는다. 이 관문 구멍(52)에는 경사로 관문(chute gate; 53)이 제공되는바, 경사로 관문은 구멍(52)을 개폐한다. 이 경사로 관문(53)은 관문 구멍(52)의 저부 단부 측에 제공된 회전 샤프트(54)를 중심으로 도 2 에 도시된 관문 구동 섹션(gate drive section; 205)의 구동에 의하여 앞뒤로 회전하는바, 관문 구동 섹션은 회전식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경사로 관문이 관문 구멍(52)을 막는 경사로 관문(53)의 폐쇄 상태가 대기 상태로 된다. 관문 구동 섹션(205)을 이 대기 상태로부터 구동함에 의하여, 경사로 관문(53)은 관문 구멍(52)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되고 계수 경사로(50)의 관문 구멍(52)에 대해 분류 구멍(41)의 반대측을 막는다. 따라서, 경사로 관문(53)이 폐쇄 상태에 있는 때에는, 분류 구멍(41)으로부터 낙하한 동전들 모두가 장착용 개구(51)로 안내된다. 경사로 관문(53)이 폐쇄 상태에 있는 때에는, 분류 구멍(41)으로부터 낙하한 동전들 모두가 낙하하여 관문 구멍(52)을 지나간다.
관문 구멍(52)의 하측부에는 임시 저장 컨테이너(temporary storage container; 60)가 제공된다. 임시 저장 컨테이너(60)는, 수직으로 개방된 사각형 프레임 형상(rectangular frame-shape)의 포위 벽 섹션(surrounding wall section; 61), 및 포위 벽 섹션(61)의 하측 부분 개구를 막는 저부 플레이트(62)를 구비한다. 포위 벽 섹션(61)은, 계수 경사로(50)에 가까운 대기 위치(standby position)와 계수 경사로(50)로부터 떨어진 이동 위치(moved position) 사이에서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포위 벽 섹션(61)은 모터(미도시)를 포함하고 도 2 에 도시된 벽 움직임 구동 섹션(wall movement drive section; 206)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된다. 저부 플레이트(62)도 계수 경사로(50)에 가까운 대기 위치와 계수 경사로(50)로부터 떨어진 이동 위치 사이에서의 수평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저부 플레이트(62)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고 도 2 에 도시된 저부 플레이트 움직임 구동 섹션(bottom plate movement drive section; 207)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된다.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에서, 포위 벽 섹션(61) 및 저부 플레이트(62)가 대기 상태에 있는 때에는, 포위 벽 섹션(61)의 하측 개구가 저부 플레이트(62)에 의하여 막히고, 관문 구멍(52)으로부터 낙하하는 동전들은 포위 벽 섹션(61) 내의 저부 플레이트(62)에 저장된다. 이 대기 상태로부터, 저부 플레이트(62)만이 이동 위치로 움직여지는 때에는, 포위 벽 섹션(61)의 하측 개구가 개방되고, 동전들은 이 대기 위치에서 낙하하게 된다. 또한, 대기 상태로부터 포위 벽 섹션(61)만이 이동 위치로 이동되는 때에는, 이동 위치에 놓여진 포위 벽 섹션(61)의 하측 개구가 개방되어 동전들이 이동 위치에서 낙하한다.
대기 위치에 있는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의 하측부에는 박스(box)용 방출 경사로(63)가 제공된다. 박스용 방출 경사로(63)는 저부 플레이트(62)의 움직임으로부터의 개방에 의하여 떨어지는 동전들을 수용하고 안내한다. 이동 위치에 있는 포위 벽 섹션(61)의 저부 측에는 회수 박스(return box; 64)가 제공된다. 회수 박스(64)는 포위 벽 섹션(61)의 이동 위치로의 움직임에 의하여 낙하하는 동전들을 수용 및 수집한다. 회수 박스(64)는 동전 처리 장치(11)의 몸체로부터 분리가능하다. 박스용 방출 경사로(63)는 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수집 박스(collection box; 65)로 동전들을 안내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통로 섹션(23)으로부터 동전을 제거할 수 있는 제2 분류 섹션(second sorting section; 70)이 제3 통로 섹션(23)의 제2 통로 섹션(22) 측에 제공된다. 이 제2 분류 섹션(70)은 분류 구멍(71), 분류 안내 부재(73), 및 분류 구동 섹션(208)을 구비한다. 분류 구멍(71)은 제3 통로 섹션(23)의 통로 표면에 형성된다. 분류 안내 부재(73)는, 동전 운반 방향에서 분류 구멍(71)의 하류 측의 단부 부분 위치에 제공되고, 도 4 에 도시된 회전 샤프트(7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분류 구동 섹션(208)은 도시되지 않은 회전식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바, 그 솔레노이드는 분류 안내 부재(73)가 미리 결정된 각도로 앞 또는 뒤로 회전하게끔 한다. 분류 안내 부재(73)는 제3 통로 섹션(23)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분류 섹션(71)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제3 통로 섹션(23) 안으로 들어와서 분류 구멍(71)을 막는 폐쇄 상태로 회전된다.
보통의 경우, 제어 장치(200)는 분류 안내 부재(73)가 제3 통로 섹션(23) 안으로 들어온 폐쇄 상태를 대기 상태로 삼는다. 이 대기 상태에서, 분류 안내 부재(73)를 넘어 이동함에 의하여 제2 분류 섹션(70)을 지나갈고 하는 동전은 분류 구멍(71) 안으로 낙하하지 않게 되고, 이 분류 구멍(71)을 지나감에 의하여 제3 통로 섹션(23)에 있는 하류 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어 장치(200)가 분류 구동 섹션(208)으로 하여금 분류 안내 부재(73)가 제3 통로 섹션(23) 위로 돌출되게끔 구동하는 개방 상태에서는, 제2 분류 섹션(70)을 지나가려고 하는 동전이 분류 안내 부재(73)에 의하여 안내되어서 분류 구멍(71) 안으로 들어오게 되어, 분류 구멍(71) 안으로 낙하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통로 섹션(23)에서 분류 구멍(71)의 하류측 바로 앞의 위치에는 동전 검출 센서들(74a, 74b)이 제공된다. 동전 검출 센서들(74a, 74b)은 분류 안내 부재(73)의 구동 타이밍을 측정하고 동전들을 계수한다. 분류 구멍(71)의 하류측 바로 뒤의 위치에는 동전 검출 센서들(74c, 74d)이 제공된다. 즉,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74a, 74b)에 의하여 목표 동전이 검출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200)가 분류 구동 섹션(208)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분류 안내 부재(73)로 하여금 제3 통로 섹션(23) 위로 돌출되게끔 하는 때에는, 그 목표 동전만이 분류 구멍(71) 안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동전 검출 센서들(74a, 74b)에 의하여 동전이 검출되는 때에는, 제어 장치(200)가 그 동전을 계수한다.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74c, 74d)은 동전이 분류 구멍(71) 안으로 낙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동전이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74a, 74b)에 의하여 검출되고 또한 그 동전이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74c, 74d)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 장치(200)는 동전 검출 센서들(74a, 74b)에 의하여 계수되었던 동전이 분류 구멍(71) 안으로 낙하한 것으로 판단한다. 동전이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74a, 74b)에 의하여 검출되고 또한 그 동전이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74c, 74d)에 의하여 검출되면, 제어 장치(200)는 동전 검출 센서들(74a, 74b)에 의하여 계수되었던 동전이 분류 구멍(71) 안으로 낙하하지 않고 분류 구멍(71)을 지나간 것으로 판단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류 섹션(70)의 하측부에는, 분류 구멍(71)으로부터 낙하한 동전들을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로(75)가 제공된다. 경사로(75)의 저부 측에는 수용 박스(receiving box; 76)가 배치된다. 경사로(75)는 분류 구멍(71)으로부터 낙하한 동전들을 수용 박스(76)로 안내한다. 수용 박스(76)는 동전 처리 장치(11)의 몸체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다.
제3 통로 섹션(23)에서 제2 분류 섹션(70)의 하류 측에는 제3 통로 섹션(23)으로부터 동전들을 제거할 수 있는 제3 분류 섹션(third sorting section; 80)이 제공된다. 이 제3 분류 섹션(80)은 분류 구멍(81), 분류 안내 부재(83), 및 분류 구동 섹션(209)을 구비한다. 분류 구멍(81)은 제3 통로 섹션(23)의 통로 표면에 형성된다. 분류 안내 부재(83)는, 동전 운반 방향에서 분류 구멍(81)의 하류 측의 단부 부분 위치에 제공되고, 회전 샤프트(8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 에 도시된 분류 구동 섹션(209)은 회전식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포함하는바, 그 솔레노이드는 분류 안내 부재(83)로 하여금 미리 결정된 각도로 앞 또는 뒤로 회전되게끔 한다. 분류 안내 부재(83)는, 제3 통로 섹션(23)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분류 구멍(81)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제3 통로 섹션(23) 안으로 들어와서 분류 구멍(81)을 막는 폐쇄 상태로 회전한다.
보통의 경우, 제어 장치(200)는 분류 안내 부재(83)가 제3 통로 섹션(23) 안으로 들어오는 폐쇄 상태를 대기 상태로 삼는다. 이 대기 상태에서, 분류 안내 부재(83)를 넘어 이동함에 의하여 제3 분류 섹션(80)을 지나가려고 하는 동전은 분류 구멍(81) 안으로 낙하하지 않고, 이 분류 구멍(81)을 지나감에 의하여 제3 통로 섹션(23)에서 하류 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어 장치(200)가 분류 안내 부재(83)로 하여금 제3 통로 섹션(23) 위로 돌출되도록 분류 구동 섹션(209)을 구동하는 개방 상태에서는, 제3 분류 섹션(80)을 지나가려고 하는 동전은 분류 안내 부재(83)에 의하여 안내되어 분류 구멍(81)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분류 구멍(81) 안으로 낙하하게 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통로 섹션(23)에서 분류 구멍(81)의 상류 측 바로 앞의 위치에는 동전 검출 센서들(84a, 84b)이 제공된다. 동전 검출 센서들(84a, 84b)은 분류 안내 부재(83)의 구동 타이밍을 측정하고 동전들을 계수한다. 분류 구멍(81)의 하류 측의 바로 뒤의 위치에는 동전 검출 센서들(84c, 84d)이 제공된다. 즉,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84a, 84b)에 의하여 목표 동전이 검출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200)가 분류 구동 섹션(209)에 의하여 분류 안내 부재(83)로 하여금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제3 통로 섹션(23) 위로 돌출되게끔 하는 때에는, 그 목표 동전만이 분류 구멍(81) 안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84a, 84b)에 의하여 동전이 검출되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동전을 계수한다.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84c, 84d)은 동전이 분류 구멍(81) 안으로 낙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동전이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84a, 84b)에 의하여 검출되고 그 동전이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84c, 84d)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 장치(200)는 동전 검출 센서들(84a, 84b)에 의하여 계수되었던 동전이 분류 구멍(81) 안으로 낙하한 것으로 판단한다. 동전이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84a, 84b)에 의하여 검출되고 그 동전이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84c, 84d)에 의하여 검출되면, 제어 장치(200)는 동전 검출 센서들(84a, 84b)에 의하여 계수되었던 동전이 분류 구멍(81) 안으로 낙하하지 않고서 그 분류 구멍을 지나간 것으로 판단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분류 섹션(80)의 하측부에는 분류 구멍(81)으로부터 낙하한 동전들을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로(85)가 제공된다. 이 경사로(85)는 분류 구멍(81)으로부터 낙하하는 동전들을 경사로(85)의 저부 측에 배치된 수용 박스(86)로 안내한다. 수용 박스(86)는 동전 처리 장치(11)의 몸체로부터 자유로이 분리될 수 있다.
제3 통로 섹션(23)에서 제3 분류 섹션(80)의 하류 측에는 제3 통로 섹션(23)으로부터의 동전들을 제거할 수 있는 제4 분류 섹션(fourth sorting section; 90)이 제공된다. 제4 분류 섹션(90)은 분류 구멍(91), 분류 안내 부재(93), 및 분류 구동 섹션(210)을 구비한다. 분류 구멍(91)은 제3 통로 섹션(23)의 통로 표면에 형성된다. 분류 안내 부재(93)는 동전 운반 방향에서 분류 구멍(91)의 하류 측의 단부 부분 위치에 제공되고, 회전 샤프트(9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 에 도시된 분류 구동 섹션(210)은 회전식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포함하는바, 그 회전식 솔레노이드는 분류 안내 부재(93)로 하여금 미리 결정된 각도로 앞 또는 뒤로 회전하게끔 한다. 분류 안내 부재(93)는, 제3 통로 섹션(23)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분류 구멍(91)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제3 통로 섹션(23) 안으로 들어와서 분류 구멍(91)을 막는 폐쇄 상태로 회전한다.
보통의 경우, 제어 장치(200)는 분류 안내 부재(93)가 제3 통로 섹션(23) 안으로 들어오는 폐쇄 상태를 대기 상태로 삼는다. 이 대기 상태에서, 분류 안내 부재(93)를 넘어 이동함으로써 제4 분류 섹션(90)을 지나가려고 하는 동전은 분류 구멍(91) 안으로 낙하하지 않고, 이 분류 구멍(91)을 지나감으로써 제3 통로 섹션(23)에서 하류 측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한편, 분류 안내 부재(93)로 하여금 제3 통로 섹션(23) 위로 돌출되도록 제어 장치(200)가 분류 구동 섹션(210)을 구동하는 개방 상태에서는, 제4 분류 섹션(90)을 지나가려고 하는 동전이 분류 안내 부재(93)에 의하여 안내되어서 분류 구멍(91) 안으로 들어오게 되어 분류 구멍(91) 안으로 낙하하게 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통로 섹션(23)에서 분류 구멍(91)의 상류 측 바로 앞의 위치에는 동전 검출 센서들(94a, 94b)이 제공된다. 동전 검출 센서들(94a, 94b)은, 분류 안내 부재(93)의 구동 타이밍을 측정하고 동전들을 계수한다. 분류 구멍(91)의 하류 측 바로 뒤의 위치에는 동전 검출 센서들(94c, 94d)이 제공된다. 즉,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94a, 94b)에 의하여 목표 동전이 검출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200)가 분류 구동 섹션(210)에 의하여 분류 안내 부재(93)로 하여금 제3 통로 섹션(23) 위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돌출되게 하는 때에는, 그 목표 동전만이 분류 구멍(91) 안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동전 검출 센서들(94a, 94b)에 의하여 동전이 검출되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그 동전을 계수한다.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94c, 94d)은 동전이 분류 구멍(91) 안으로 낙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동전이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94a, 94b)에 의하여 검출되고 그 동전이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94c, 94d)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 장치(200)는 동전 검출 센서들(94a, 94b)에 의하여 계수되었던 동전이 분류 구멍(91) 안으로 낙하한 것으로 판단한다. 동전이 상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94a, 94b)에 의하여 검출되고 그 동전이 하류 측의 동전 검출 센서들(94c, 94d)에 의하여 검출되면, 제어 장치(200)는 동전 검출 센서들(94a, 94b)에 의하여 계수되었던 동전이 분류 구멍(91) 안으로 낙하하지 않고서 그 분류 구멍을 지나간 것으로 판단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분류 섹션(90)의 하측부에는 분류 구멍(91)으로부터 낙하한 동전들을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로(95)가 제공된다. 이 경사로(95)는 분류 구멍(91)으로부터 낙하하는 동전들을 경사로(95)의 저부 측에 배치된 수용 박스(96)로 안내한다. 수용 박스(96)는 동전 처리 장치(11)의 몸체로부터 자유로이 분리될 수 있다.
제3 통로 섹션(23)에서 제4 분류 섹션(90)의 하류 측에는 제3 통로 섹션(23)으로부터 동전들을 방출할 수 있는 제5 분류 섹션(fifth sorting section; 100)이 제공된다. 제5 분류 섹션(100)은 분류 구멍(101) 및 안내부(102)를 구비한다. 분류 구멍(101)은 제3 통로 섹션(23)의 통로 표면에 형성된다. 안내부(102)는 분류 구멍(101)을 덮도록 배치되고, 동전들을 분류 구멍(101) 안으로 끌어들인다. 제5 분류 섹션(100)은, 제4 분류 섹션(90)에 의하여 제3 통로 섹션(23)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았던 동전들 모두를 제3 통로 섹션(23)으로부터 방출시킨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통로 섹션(23)에서 분류 구멍(101)의 상류 측의 바로 앞 위치에는 동전 검출 센서들(103a, 103b)이 제공된다. 동전 검출 센서들(103a, 103b)은 분류 구멍(101)으로부터 동전들이 낙하한 것을 확인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분류 섹션의 하측부에는 분류 구멍(101)으로부터 낙하하는 동전들을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로(104)가 제공된다. 이 경사로(104)는 분류 구멍(101)으로부터 낙하하는 동전들을 경사로(104)의 저부 측에 배치된 수용 박스(105)로 안내한다. 수용 박스(105)는 동전 처리 장치(11)의 몸체로부터 자유로이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동전 처리 장치(11)는 도 2 에 도시된 작동 섹션(모드 설정 섹션, 식별 인자 설정 섹션)(15)을 더 포함하는바, 그것은 작동자에 의하여 수행되는 작동 입력을 받는 키보드, 및 작동자에게의 표시를 수행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섹션(216)을 포함한다.
동전 처리 장치(11)는 복수의 작동 모드들에서 동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바, 그 모드들은 작동 섹션(operating section; 215)에의 작동 입력에 의하여 선택 및 설정된다. 이하에서는 각 작동 모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식별 모드]
식별 모드는, 미리 설정된 특정 일 국가에서 취급될 수 있는 복수의 화폐단위들을 가지며 공급 디스크(13)에 삽입되는 동전들을 식별 및 계수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식별 모드의 각 수행에서 자유로이 설정되는 하나의 설정된 화폐단위를 갖는 정상 동전들을 계수 경사로(50)로부터 자루에 넣거나 또는 방출 경사로(63)로부터 박스에 넣는 작동 모드이다.
식별 모드에서의 과정 및 동전 분배 설정은 다음과 같다.
(1) 작동 섹션(215)에 입력된 작동에 의하여, 일 화폐단위가 설정되고, 계수 경사로(50)에서 자루에 넣어지는 모든 동전 처리(all coin processing)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 장치(200)는 식별 모드에서 모든 동전 처리의 시작 시에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를 구동한다. 이로서,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가 회전하고, 동전 운반 섹션(26)의 컨베이어 벨트들(27A 내지 27I)이 회전한다. 따라서, 공급 디스크(13)의 동전들은 회전 디스크(14)로 전달되고, 그 동전들은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동전 통로(15)로 하나씩 배출되어 동전 통로(15) 상에서 열을 이루어 운반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의 식별 결과로부터 설정된 일 화폐단위를 갖는 정상 동전들로서 식별된 동전들을 제1 분류 섹션(40)에 있는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그들을 계수 경사로(50)를 거쳐서 수집 자루(55)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1 분류 섹션(4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 있는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과, 식별 섹션(34)에 있는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2 분류 섹션(70)에 있는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그들을 경사로(75)를 거쳐서 수용 박스(7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2 분류 섹션(7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식별 모드에서, 특정 일 국가가 아닌 다른 국가의 동전이 섞여 있는 경우, 이 동전이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졌다면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식별되고, 이 동전이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되 상이한 직경을 갖는다면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식별되어, 제2 분류 섹션(7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과 식별 섹션(34)에서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들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3 분류 섹션(8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85)를 거쳐서 수용 박스(8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3 분류 섹션(8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84a 내지 8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식별 모드에서, 특정 일 국가가 아닌 다른 국가으 동전이 혼합되었던 경우에는, 그 동전이 동일한 재료와 동일한 직경을 갖되 상이한 이미지를 갖는다면,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되어 제3 분류 섹션(8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 있는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의 검출 결과로부터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들로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들로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및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4 분류 섹션(9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95)를 거쳐서 수용 박스(9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4 분류 섹션(9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다른 정상 동전(특정 일 국가의 모든 화폐단위들의 동전들 중에서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동전)들을 제5 분류 섹션(10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경사로(104)를 거쳐서 수용 박스(105)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5 분류 섹션(10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103a, 103b)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공급 디스크(13)으로 공급된 동전들 모두의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중 대응되는 것으로의 수집이 완료되고 계수의 비정상이 없다면,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를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날자 데이터 등과 함께, 식별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는 요지,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의 수집 갯수, 및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를 저장하고, 이들을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한다.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는, 수집 자루(55)의 동전들은 설정된 일 화폐단위를 갖는 정상 동전들이고, 수용 박스(76)의 동전들은 비정상 동전들로서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 또는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이며, 수용 박스(86)의 동전들은 비정상 동전들로서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이고, 수용 박스(96)의 동전들은 비정상 동전들로서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들 또는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들이며, 수용 박스(105)의 동전들은 정상 동전들로서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다른 동전들임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처리에 의하여, 식별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가 종료된다. 식별 모드에서 모든 동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종료까지 계수(counting) 상의 불규칙성이 없다면, 위에서 설명된 비정상 동전들이 있더라도,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은 동전 통로(15) 안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식별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에,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계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1 분류 섹션(4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2 분류 섹션(7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84a 내지 8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3 분류 섹션(8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4 분류 섹션(9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및 동전 검출 센서들(103a, 103b)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5 분류 섹션(10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들 각각에 있어서, 검출의 시점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을 정지시킴에 의하여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동전의 배출을 정지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여 정지기 부재들(36a, 36b)로 하여금 돌출되어 나오게 하고, 이로써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상류 측에 있는 동전들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제1 분류 섹션(40)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계수 경사로(50)을 거쳐서 수집 자루(55) 내에 수집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제1 분류 섹션(40)의 하류 측에서의 동전들이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제4 분류 섹션(90), 및 제5 분류 섹션(100) 각각의 해당하는 것에 의하여 분류되도록 설정되게 한다.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 통로(15) 상의 동전들이 사라지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거꾸로 구동하여 회전 디스크(14)와 정지기 부재들(36a, 36b) 사이에 있는 동전들이 회전 디스크(14)로 복귀하도록 한다. 그 다음, 제어 장치(200)는 계수 비정상이 발생하였다는 요지,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의 수집된 동전의 존재, 및 식별 모드에 의한 반복 처리를 촉구하는 요지를 디스플레이 섹션(216)에 표시한다. 이것을 봄으로써, 작동자는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로부터 수집된 동전들을 꺼내고,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한 후에 그들을 공급 디스크(13)에 공급하여, 다시 식별 모드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다.
(2) 작동 섹션(215)에 대한 작동 입력에 의하여, 일 화폐단위가 설정되고, 계수 경사로(50)에서의 박스에 의한 1회분 처리(batch processing)가 선택되고, 1회분 포획 갯수가 설정되는 경우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의 시작시, 제어 장치(200)는 관문 구동 섹션(205)을 구동하여 경사로 관문(53)을 개방 상태에 놓이게 한다. 이와 함께,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구동한다. 그 다음,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가 회전하고, 동전 운반 섹션(26)의 컨베이어 벨트들(27A 내지 27I)이 회전한다. 그 다음, 공급 디스크(13)의 동전들이 회전 디스크(14)로 전달되고, 동전들은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동전 통로(15)로 하나씩 배출되어 동전 통로(15) 상에서 열을 이루어 운반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식별 섹션(34)의 식별 결과로부터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으로서 식별된 동전들을 1회분 포획 갯수 만큼만 방출하고, 이들을 개방 상태에 있는 경사로 관문(53)에 의하여 측정 경사로(50)로부터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으로 저장한다. 이 때, 제1 분류 섹션(4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과 식별 섹션(34)에서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2 분류 섹션(7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그들을 경사로(75)를 거쳐서 수용 박스(76) 안에 수집한다. 이 때, 제2 분류 섹션(7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식별 모드에서, 특정 일 국가가 아닌 다른 국가의 동전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그 동전이 상이한 재료의 것이라면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되고,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되 상이한 직경을 갖는다면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되어, 제2 분류 섹션(7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과 식별 섹션(34)에서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인 것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3 분류 섹션(8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85)를 거쳐서 수용 박스(8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3 분류 섹션(8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84a 내지 8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식별 모드에서, 특정의 일 국가가 아닌 다른 국가의 동전이 혼합된 경우에는, 그 동전이 동일한 재료 및 동일한 직경을 가지되 상이한 이미지를 갖는 것이라면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으로서 식별되어, 제3 분류 섹션(8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의 검출 결과로부터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및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4 분류 섹션(9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95)를 거쳐서 수용 박스(9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4 분류 섹션(9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정상 동전들(특정 일 국가의 모든 화폐단위의 동전들 중에서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다른 동전들)을 제5 분류 섹션(10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경사로(104)를 거쳐서 수용 박스(105)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5 분류 섹션(10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103a, 103b)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설정된 1회분 포획 숫자의 마지막 동전이 동전 검출 센서들(37a, 37b)에 의한 검출에 기초하여 정지기 부재들(36a, 36b)을 지나간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타이밍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을 정지시킴으로써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로부터의 동전의 배출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로 하여금 돌출되어 나오도록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여, 마지막 동전의 상류 측에 있는 동전들을 정지시키고,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와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중의 대응되는 것에 수집되게 한다. 동전 통로(15) 상에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사라지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역구동하여서 회전 디스크(14)와 정지기 부재들(36a, 36b)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회전 디스크(14)로 복귀시킨다.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동전들이 설정된 1회분 포획 갯수만큼만 계수 비정상 없이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에 수집 완료되고,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발생하는 다른 동전들이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중의 대응되는 것에 수집 완료되는 때에는, 제어 장치(200)가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의 동전들을 방출 경사로(63)를 거쳐서 수집 박스(65)에 수집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제어 장치(200)는, 날자 데이터와 관련하여,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는 요지, 수집 박스(6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의 수집 갯수, 및 수집 박스(6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를 저장하고, 이들을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한다. 수집 박스(6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는, 수집 박스(65)의 동전들은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이고, 수용 박스(76)의 동전들은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 또는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이며, 수용 박스(86)의 동전들은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인 비정상 동전들이고, 수용 박스(96)의 동전들은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 또는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들인 비정상 동전들이며, 수용 박스(105)의 동전들은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다른 정상 동전들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처리에 의하여,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비정상 동전들이 있는 경우에도, 계수의 불규칙이 없다면,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의 시작 후 1회분 포획 갯수의 마지막 동전 후 다음 동전이 정지될 때까지,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의 구동을 정지시키지 않고, 따라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은 동전 통로(15) 안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식별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계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1 분류 섹션(4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2 분류 섹션(7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84a 내지 8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3 분류 섹션(8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4 분류 섹션(9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및 동전 검출 센서들(103a, 103b)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5 분류 섹션(10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들 각각에 관하여, 검출 시점에서,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을 정지시킴에 의하여 회전 디스크(14) 및 공급 디스크(13)로부터 동전이 배출되는 것을 정지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돌출되어 나오도록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여,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상류 측에 있는 동전들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제1 분류 섹션(40)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계수 경사로(50)를 거쳐서 임시 저장 컨테이너(60) 내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제1 분류 섹션(40)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제4 분류 섹션(90), 및 제5 분류 섹션(100) 각각의 하나에 의하여 분류되도록 설정한다.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서 동전 통로(15)에 있는 동전들이 사라지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의 동전들이 회수 박스(64)로 수집되게 하고,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역구동하여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회전 디스크(14)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회전 디스크(14)로 복귀시킨다. 그 다음, 제어 장치(200)는 계수 비정상이 발생하였다는 요지, 회수 박스(64)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의 수집된 동전들의 존재, 및 식별 모드에 의한 처리를 반복을 촉구하는 요지를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한다. 작동자는 이를 보고, 회수 박스(64)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로부터 수집된 동전들을 꺼내어,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한 후에, 그들을 공급 디스크(13)로 공급하고 다시 한번 식별 모드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식별 모드에서,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1 분류 섹션(40) 및 제5 분류 섹션(100)은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정상으로 식별된 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하는 방출 섹션을 이룬다. 세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은,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는 제거 섹션을 이룬다. 제1 분류 섹션(40) 및 제5 분류 섹션(100) 중의 하나인 제1 분류 섹션(40)은 특정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을 방출하는 특정 방출 섹션을 이룬다. 제1 분류 섹션(40) 및 제5 분류 섹션(100) 중의 다른 하나인 제5 분류 섹션(100)은 특정된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이 아닌 정상 동전들을 방출하는 비특정 방출 섹션을 이룬다. 특정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을 자루에 넣기 위한 계수 경사로(50), 및 제1 분류 섹션(40)에 후속하는 특정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을 박스에 넣기 위한 방출 경사로(63)도 비특정 방출 섹션을 이룬다. 비정상 동전을 제거하는 경우, 제어 장치(200)는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에 따라서, 세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에 분배에 의하여 제거를 수행한다.
[계수 모드]
계수 모드는 공급 디스크(13)에 삽입된 동전들의 식별 처리를 수행하는 작동 모드인데, 그 동전들은 미리 설정된 특정 일 국가의 정상 동전들이며 또한 계수 모드의 각 수행시 자유로이 설정되는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동전들이며, 상기 계수 모드는 식별 섹션(34)의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 및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결과에만 기초하여서, 동전들을 계수 경사로(50)로부터 자루에 넣거나 또는 방출 경사로(63)로부터 박스에 넣는다.
계수 모드에서의 처리 및 동전 분배 설정은 다음과 같다.
(1) 작동 섹션(215)에 대한 작동 입력에 의해, 일 화폐단위가 설정되고, 계수 경사로(50)에서의 자루담기에 의한 모든 동전 처리가 선택되는 경우.
계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시작시,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구동한다. 이로써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가 회전하고, 동전 운반 섹션(26)의 컨베이어 벨트들(27A 내지 27I)이 회전한다. 따라서, 공급 디스크(13)의 동전들은 회전 디스크(14)로 전달되고, 동전들은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동전 통로915)로 하나씩 배출되어 동전 통로(15)에서 열을 이루어 운반된다.
계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의 식별 결과로부터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으로서 식별된 동전들을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계수 경사로(50)을 거쳐서 수집 자루(55) 내에 수집한다. 이때, 제1 분류 섹션(4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계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들로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및 식별 섹션(34)에서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2 분류 섹션(7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75)를 거쳐서 수용 박스(7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2 분류 섹션(7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계수 모드에서, 설정된 화폐단위가 아닌 동전과 특정된 일 국가가 아닌 다른 국가의 동전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동전이 상이한 재료로 되어 있다면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되고, 동일한 재료로 되고 상이한 직경을 갖는다면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되어, 제2 분류 섹션(7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된다.
계수 모드의 모든 동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의 검출 결과로부터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4 분류 섹션(9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95)를 거쳐서 수용 박스(96) 안에 수집한다. 이 때, 제4 분류 섹션(9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공급 디스크(13)로 공급되었던 모든 동전들의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96) 중 해당되는 것으로의 수집이 계수 비정상 없이 완료되는 때에는, 제어 장치(200)가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날자 데이터 등과 관련하여 계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는 요지,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96) 각각 내의 수집 갯수, 및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96)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를 저장하고, 이들을 디스플레이 섹션(216)에 표시한다.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96)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는, 수집 자루(55)의 동전들은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이고, 수용 박스(76)의 동전들은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 또는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인 비정상 동전들이며, 수용 박스(96)의 동전들은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인 비정상 동전들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처리에 의하여, 계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된 비정상 동전들이 있는 경우에도, 계수 불규칙성이 없다면, 계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종료까지,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은 동전 통로(15) 안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계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에,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계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1 분류 섹션(4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2 분류 섹션(7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및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4 분류 섹션(9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들 각각에 있어서, 검출 시점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을 정지시킴에 의하여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로부터의 동전들의 배출을 정지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돌출되어 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고, 이로써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상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정지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제1 분류 섹션(40) 사이의 동전들을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계수 경사로(50)를 거쳐서 수집 자루(55) 내에 수집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제1 분류 섹션(40)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제2 분류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에 의하여 각각 분류되도록 한다.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서 동전 통로(15)에 있던 동전들이 사라지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역구동하여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회전 디스크(14) 사이의 동전들을 회전 디스크(14)로 복귀시킨다. 그 다음에, 제어 장치(200)는 계수 비정상이 발생하였다는 요지,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96)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존재, 및 계수 모드에 의한 처리를 반복할 것을 촉구하는 요지를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한다. 작동자를 이것을 보고,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96) 중 해당되는 것으로부터 수집된 동전들을 꺼내고, 불필요한 동전들을 제거한 후에, 그 동전들을 공급 디스크(13)로 공급하여 다시 한번 계수 모드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다.
(2) 작동 섹션(215)에 대한 작동 입력에 의하여, 일 화폐단위가 설정되고, 계수 경사로(50)에서 박스에 담겨지는 1회분 처리가 선택되며, 1회분 포획 갯수가 설정되는 경우.
계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의 시작시, 제어 장치(200)는 관문 구동 섹션(205)을 구동하여 경사로 관문(53)을 개방 상태로 되게 한다. 이와 함께,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구동한다. 따라서,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가 회전하고, 동전 운반 섹션(26)의 컨베이어 벨트들(27A 내지 27I)이 회전한다. 따라서, 공급 디스크(13)의 동전들이 회전 디스크(14)로 전달되고, 그 동전들은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동전 통로(15)로 하나씩 배출되어서 동전 통로(15)에서 열을 이루어 운반된다.
계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의 식별 결과로부터 설정된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으로 식별된 동전들을 설정된 1회분 포획 갯수만큼만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측정 경사로(50)로부터 개방 상태에 있는 경사로 관문(53)에 의하여 임시 저장 컨테이너(60)로 저장시킨다. 이 때, 제1 분류 섹션(4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계수 모드의 1회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과 식별 섹션(34)에서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2 분류 섹션(7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75)를 거쳐서 수용 박스(7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2 분류 섹션(7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계수 모드에서는,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동전과 특정된 일 국가가 아닌 다른 국가의 동전이 혼합된 경우에, 이 동전이 상이한 재료로 되어 있다면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으로서 식별되고, 동일한 재료를 가지되 상이한 직경을 갖는다면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으로서 식별되어, 제2 분류 섹션(7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계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의 검출 결과로부터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들로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4 분류 섹션(9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95)를 거쳐서 수용 박스(9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4 분류 섹션(90)의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설정된 일 화폐단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설정된 1회분 포획 갯수의 마지막 동전이 동전 검출 센서들(37a, 37b)에 의한 검출에 기초하여 정지기 부재들(36a, 36b)을 지나간 것으로 판단되는 타이밍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을 정지시킴에 의하여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로부터의 동전들의 배출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돌출되어 나오도록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여서, 마지막 동전의 상류 측에 있는 동전들을 정지시키며,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임시 저장 컨테이너(60)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중의 해당되는 것에 수집되게 한다. 동전 통로(15)에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사라지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역구동하여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회전 디스크(14)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회전 디스크(14)로 복귀시킨다.
계수의 비정상 없이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동전들이 설정된 1회분 포획 갯수만큼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에 수집되는 것이 완료되고, 또한 계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일어나는 다른 동전들의 수용 박스들(76, 96) 중의 해당하는 것으로의 수집이 완료되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의 동전들을 방출 경사로(63)를 거쳐서 수집 박스(65)로 수집되게 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날자 데이터 등과 함께, 계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는 요지, 수집 박스(65) 및 수용 박스들(76, 96) 각각에서의 수집 갯수, 수집 박스(65) 및 수용 박스들(76, 96)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를 저장하고, 이들을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한다. 수집 박스(65) 및 수용 박스들(76, 96)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란, 수집 박스(65)의 동전들은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이고, 수용 박스(76)의 동전들은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 또는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인 비정상 동전이며, 수용 박스(96)의 동전들은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인 비정상 동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처리에 의하여, 계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비정상 동전들이 있는 경우에도, 계수의 불규칙이 없다면, 계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의 시작 후 1회분 포획 갯수의 마지막 동전 다음의 동전이 정지될 때까지,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동전 통로(15) 안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계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계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 비정상으로 부터 제1 분류 섹션(4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2 분류 섹션(7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및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4 분류 섹션(9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경우들 각각에 있어서, 검출 시점에서,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을 정지시킴에 의하여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로부터의 동전의 배출을 정지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여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돌출되어 나오게 하고, 이로써 정지기 부재들(36a, 36b) 상류 측의 동전들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제1 분류 섹션(40) 사이의 동전들을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계수 경사로(50)를 거쳐서 임시 저장 컨테이너 내에 수집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제1 분류 섹션(40)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제2 분류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 각각에 의하여 분류되게 한다. 정지기 부재들(36a, 36b) 하류 측에서 동전 통로(15)에 있는 동전들이 사라지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의 동전들을 회수 박스(60)로 수집하고,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역구동시켜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회전 디스크(14)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회전 디스크(14)로 복귀시킨다. 그 다음, 제어 장치(200)는 계수 비정상이 발생하였다는 요지, 회수 박스(64) 및 수용 박스들(76, 96) 각각 내의 수집된 동전들의 존재, 및 계수 모드에 의한 처리를 반복할 것으로 촉구하는 요지를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한다. 이것을 본 작동자는 회수 박스(64) 및 수용 박스들(76, 96)로부터 수집된 동전들을 꺼내어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한 후에, 그들을 공급 디스크(13)에 공급하고, 계수 모드에 의한 처리를 다시 실행시킨다.
상기 식별 모드에서는, 하나의 제1 분류 섹션(40)이,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정상으로 식별된 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는 방출 섹션을 이룬다.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은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는 제거 섹션을 이룬다. 비정상 동전을 제거하는 경우, 제어 장치(200)는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에 따라서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으로의 분배에 의하여 제거를 수행한다.
[국가 분류 모드]
국가 분류 모드는 취급될 수 있는 복수의 국가들의 일 화폐단위이고 공급 디스크(13)에 삽입된 동전들을 식별 및 계수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국가 모드의 각 수행 시에 자유로이 설정되는 일 특정 국가의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을 방출 경사로(63)로부터 박스에 넣거나 또는 계수 경사로(50)로부터 자루에 담는 작동 모드이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 설정되는 처리 및 동전 분배는 다음과 같다.
(1) 작동 섹션(215)에 대한 작동 입력에 의하여, 일 특정 국가의 일 화폐단위가 설정되고, 계수 경사로(50)에서 자루에 담는 모든 동전 처리가 선택되는 경우.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시작 시,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구동한다. 이로써,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가 회전하고, 동전 운반 섹션(26)의 컨베이어 벨트들(27A 내지 27I)이 회전한다. 따라서, 공급 디스크(13)의 동전들이 회전 디스크(14)로 전달되고, 동전들은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동전 통로(15)로 하나씩 배출되어 동전 통로(15)에서 열을 이루어 운반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의 식별 결과로부터 일 특정 국가의 설정된 일 화폐단위인 정상 동전로서 식별된 동전들을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계수 경사로(50)을 거쳐서 수집 자루(55)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1 분류 섹션(4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과 식별 섹션(34)에서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2 분류 섹션(7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75)를 거쳐서 수용 박스(7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2 분류 섹션(7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74a 내지 7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의 검출 결과로부터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및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3 분류 섹션(8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85)를 거쳐서 수용 박스(8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3 분류 섹션(8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84a 내지 8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취급될 수 있는 복수의 국가 중 특정된 일 국가의 것이 아닌 모든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을 제4 분류 섹션(9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경사로(95)를 거쳐서 수용 박스(9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4 분류 섹션(9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취급될 수 있는 복수의 국가 중 특정된 일 국가의 동전으로서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다른 화폐단위의 동전인 정상 동전들을 제5 분류 섹션(10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경사로(104)를 거쳐서 수용 박스(105)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5 분류 섹션(10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103a, 103b)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공급 디스크(13)에 공급된 모든 동전들의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중 해당하는 것으로의 수집이 계수 비정상 없이 완료되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날자 데이터 등과 함께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는 요지,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의 수집 갯수, 및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의 분류를 저장하고, 이들을 디스플레이 섹션(216)에 표시한다.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란, 수집 자루(55)의 동전들은 특정된 일 국가의 설정된 일 화폐단위인 정상 동전들이고, 수용 박스(76)의 동전들은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 또는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인 비정상 동전들이며, 수용 박스(86)의 동전들은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 또는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인 비정상 동전들이고, 수용 박스(96)의 동전들은 특정된 일 국가가 아닌 다른 국가의 정상 동전들이며, 수용 박스(105)의 동전들은 특정된 일 국가의 동전으로서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다른 화폐단위의 동전인 정상 동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처리에 의하여,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비정상 동전들이 있는 경우에도, 계수의 불규칙이 없다면,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의 시작으로부터 종료까지,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동전 통로(15) 안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 중,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계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1 분류 섹션(4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2 분류 섹션(7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84a 내지 8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3 분류 섹션(8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4 분류 섹션(9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및 동전 검출 센서들(103a, 103b)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5 분류 섹션(10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경우들 각각에 있어서, 검출 시점에는, 제어 장치(200)가 공급 구동 섹션(201)을 정지시킴에 의하여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로부터의 동전의 배출을 정지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여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밖으로 돌출되어 나오게 하고, 이로써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상류 측에 있는 동전들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제1 분류 섹션(40)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계수 경사로(50)를 거쳐서 수집 자루(55) 내에 수집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제1 분류 섹션(40)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제4 분류 섹션(90), 및 제5 분류 섹션(100) 각각에 의하여 분류되도록 한다. 동전 통로(15)에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사라지면,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역구동하여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회전 디스크(14)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회전 디스크(14)로 복귀시킨다. 그 다음, 제어 장치(200)는 계수 비정상이 발생하였다는 요지,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존재, 및 국가 분류 모드에 의한 처리를 반복할 것을 촉구하는 요지를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한다. 작동자는 이것을 보고, 수집 자루(5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로부터 수집된 동전들을 꺼내어, 불필요한 동전을 제거한 후에, 그 동전들을 공급 디스크(13)로 공급하여 다시 국가 분류 모드에 의한 처리를 실행한다.
(2) 작동 섹션(215)에 대한 작동 입력에 의하여, 일 특정 국가의 일 화폐단위가 설정되고, 계수 경사로(50)에서 박스에 넣는 1회분 처리가 선택되며, 1회분 포획 갯수가 설정되는 경우.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의 시작시, 제어 장치(200)는 관문 구동 섹션(205)을 구동하여 경사로 관문(53)이 개방 상태에 놓이게 한다. 이와 함게,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구동한다. 이로써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가 회전하고, 동전 운반 섹션(26)의 컨베이어 벨트들(27A 내지 27I)이 회전한다. 따라서, 공급 디스크(13)의 동전들이 회전 디스크(14)로 전달되고, 동전들은 회전 디스크(14)로부터 동전 통로(15)로 하나씩 배출되어서 동전 통로(15) 상에서 열을 이루어 운반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의 식별 결과로부터 일 특정 국가의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으로서 식별된 동전들을 1회분 포획 갯수 만큼만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측정 경사로(50)로부터 개방 상태에 있는 경사로 관문(53)에 의하여 임시 저장 컨테이너(60)로 저장한다. 이 때, 제1 분류 섹션(4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재료 검출 센서(30)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과 식별 섹션(34)에서 외측 직경 검출 센서(31)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2 분류 섹션(7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75)를 거쳐서 수용 박스(7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2 분류 섹션(7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식별 섹션(34)에서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반사광량 검출 센서들(35, 35)의 검출 결과로부터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하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2)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 및 상측부 이미지 검출 섹션(33)의 검출 결과로부터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제3 분류 섹션(8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고, 이들을 경사로(85)를 거쳐서 수용 박스(8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3 분류 섹션(8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84a 내지 8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특정된 일 국가가 아닌 다른 국가의 모든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을 제4 분류 섹션(9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경사로(95)를 거쳐서 수용 박스(96)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4 분류 섹션(9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 제어 장치(200)는 특정된 일 국가의 동전으로서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다른 화폐단위의 동전인 정상 동전들을 제5 분류 섹션(10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경사로(104)를 거쳐서 수용 박스(105) 내에 수집한다. 이 때, 제5 분류 섹션(100)에 의한 분류의 정상/비정상은 동전 검출 센서(103a, 103b)의 계수의 정상/비정상에 기초하여 확인된다.
동전 검출 센서들(37a, 37b)에 의한 검출에 기초하여 일 특정된 국가의 설정된 일 화폐단위인 동전으로서 설정된 1회분 포획 갯수의 마지막 동전이 정지기 부재들(36a, 36b)을 지나간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타이밍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을 정지시킴에 의하여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로부터의 동전들의 배출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여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돌출되어 나오도록 하여서, 마지막 동전의 상류 측에 있는 동전들을 정지시키고,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임시 저장 컨테이너(60)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중의 해당되는 것에 수집되게 한다. 동전 통로(15)에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사라지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공급 구동 섹션(201)과 운반 구동 섹션(202)을 역구동하여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회전 디스크914)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회전 디스크(14)로 복귀시킨다.
계수 비정상 없이 일 특정 국가의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동전들이 1회분 포획 갯수만큼만 임시 저장 컨테이너(60)로 수집되는 것이 완료되고, 또한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에 발생되는 다른 동전들이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중의 해당되는 것으로 수집되는 것이 완료되는 때에, 제어 장치(200)는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의 동전들을 방출 경사로(63)를 거쳐서 수집 박스(65)로 수집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날자 데이터 등과 함께,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모든 동전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는 요지, 수집 박스(6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의 수집 갯수, 및 수집 박스(6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를 저장하고, 이들을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한다. 수집 박스(65)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분류란, 수집 박스(65)의 동전들은 특정된 일 국가의 설정된 일 화폐단위의 동전인 정상 동전이고, 수용 박스(76)의 동전들은 상이한 재료의 오류 동전 또는 상이한 직경의 오류 동전인 비정상 동전이며, 수용 박스(86)의 동전들은 상이한 이미지의 오류 동전, 반사-오염/손상된 진짜 동전, 또는 이미지-오염/손상된 진짜 동전인 비정상 동전이고, 수용 박스(96)의 동전들은 특정된 일 국가가 아닌 다른 국가의 정상 동전이며, 수용 박스(105)의 동전들은 일 특정 국가의 설정된 일 화폐단위가 아닌 다른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처리에 의하여,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비정상 동전들이 있더라도, 계수 불규칙이 없다면,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의 시작 후 1회분 포획 갯수의 마지막 동전 후 다음 동전을 정지시킬 때까지,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지 않으므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동전 통로(15) 안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의 1회분 처리 중,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계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44a 내지 4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1 분류 섹션(4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74a 내지 7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2 분류 섹션(7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84a 내지 8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3 분류 섹션(8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동전 검출 센서들(94a 내지 94d)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4 분류 섹션(9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 및 동전 검출 센서들(103a, 103b)의 계수 비정상으로부터 제5 분류 섹션(100)의 분류 비정상이 검출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경우들 각각에 있어서, 검출 시점에는, 제어 장치(200)가 공급 구동 섹션(201)을 정지시킴에 의하여 공급 디스크(13) 및 회전 디스크(14)로부터의 동전의 배출을 정지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구동 섹션(203)을 구동하여 정지기 부재들(36a, 36b)이 밖으로 돌출되어 나오게 하고, 이로써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상류 측에 있는 동전들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제1 분류 섹션(40)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제1 분류 섹션(40)에서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고, 이들을 계수 경사로(50)를 거쳐서 임시 저장 컨테이너(60) 내에 수집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제1 분류 섹션(40)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제4 분류 섹션(90), 및 제5 분류 섹션(100) 각각에 의하여 분류되도록 한다. 동전 통로(15)에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의 하류 측에 있는 동전들이 사라지면, 제어 장치(200)는 임시 저장 컨테이너(60)의 동전들을 회수 박스(64)로 수집하고, 공급 구동 섹션(201) 및 운반 구동 섹션(202)을 역구동하여서 정지기 부재들(36a, 36b)과 회전 디스크(14) 사이에 있는 동전들을 회전 디스크(14)로 복귀시킨다. 그 다음, 제어 장치(200)는 계수 비정상이 발생하였다는 요지, 회수 박스(64)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각각 내에 수집된 동전들의 존재, 및 국가 분류 모드에 의한 처리를 반복할 것을 촉구하는 요지를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한다. 작동자는 이것을 보고, 회수 박스(64) 및 수용 박스들(76, 86, 96, 105)로부터 수집된 동전들을 꺼내어, 불필요한 동전을 제거한 후에, 그 동전들을 공급 디스크(13)로 공급하여 다시 국가 분류 모드에 의한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국가 분류 모드에서는, 세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1 분류 섹션(40), 제4 분류 섹션(90), 및 제5 분류 섹션(100)이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정상인 것으로 식별된 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시키는 방출 섹션을 이룬다.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3 분류 섹션(80)은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하는 제거 섹션을 이룬다. 제1 분류 섹션(40), 제4 분류 섹션(90), 및 제5 분류 섹션(100) 중의 하나인 제1 분류 섹션(40)은 특정의 화폐단위인 정상 동전들을 방출하는 특정의 방출 섹션을 이루고, 다른 분류 섹션, 즉 제5 분류 섹션(100)은 특정의 화폐단위의 동전이 아닌 다른 정상 동전들을 방출시키는 비특정의 방출 섹션을 이룬다. 또한, 제1 분류 섹션(40)에 후속하는, 특정의 화폐단위인 정상 동전들을 자루에 담기 위한 계수 경사로(50), 및 특정의 화폐단위인 정상 동전을 박스에 넣기 위한 방출 경사로(63)도 비특정의 방출 섹션을 이룬다. 제어 장치(200)는, 비정상 동전을 제거하는 경우에,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에 따라서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3 분류 섹션(80)에 대한 분배에 의하여 제거를 수행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 섹션(215)에서는, 세 개의 작동 모드, 즉 식별 모드, 계수 모드, 및 국가 분류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작동 섹션(215)에 의하여 선택 및 설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서 작동한다. 식별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200)가 세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으로의 분배에 의하여 제거될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고, 비정상 동전들의 그 식별 인자가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 각각에서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되게 한다. 계수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200)가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으로의 분배에 의하여 제거될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고, 비정상 동전들의 그 식별 인자가 제2 분류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 각각에서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되게 한다. 국가 분류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200)가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3 분류 섹션(80)으로의 분배에 의하여 제거될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고, 비정상 동전들의 그 식별 인자가 제2 분류 섹션(70) 및 제3 분류 섹션(80) 각각에서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되게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의 동전 처리 장치는 세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을 구비하는바, 이들은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한다. 본 실시예의 동전 처리 장치에 따르면,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식별 모드에서 비정상 동전을 제거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200)는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에 따라서 세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으로의 분배에 의하여 비정상 동전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분리된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으로의 분배에 의하여 식별 인자에 따른 비정상 동전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전 처리 장치는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을 구비하는바, 이들은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에 따르면,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계수 모드에서 제어 장치(200)는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에 따라서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과 제4 분류 섹션(90)으로의 분배에 의하여 동전들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식별 인자에 따라서 분리된 제2 분리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으로의 분배에 따른 비정상 동전들의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전 처리 장치는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3 분류 섹션(80)을 구비하는바, 이들은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15)로부터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에 따르면,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국가 분류 모드에서 비정상 동전들을 제거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200)는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에 따라서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 및 제3 분류 섹션(80)으로의 분배에 의하여 비정상 동전들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분리된 제2 분류 섹션(70) 및 제3 분류 섹션(80)으로의 분배에 의하여 식별 인자에 따른 비정상 동전들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분배식 제거에 의하여, 비정상 동전을 정지시키지 않고서도 비정상 동전을 특정하고 그것의 식별 인자를 명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많은 비정상 동전들을 포함하는 그룹의 동전들을 식별하는 경우에 조차도 비정상 동전을 특정하고 그것의 식별 인자를 명확하게 하며, 또한 처리 효율에 있어서의 저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식별 모드 및 국가 분류 모드에서, 제1 분류 섹션(40) 및 제5 분류 섹션(100) 중의 하나인 제1 분류 섹션(40)은 특정의 화폐단위인 정상 동전들을 방출하는 특정 방출 섹션이 되고, 그 두 개 중의 다른 하나인 제5 방출 섹션(100)은 특정의 화폐단위가 아닌 정상 동전들을 방출하는 비특정의 방출 섹션이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특정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과 특정 화폐단위가 아닌 정상 동전을 분리하고 이들을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 방출 섹션은 특정 화폐단위인 정상 동전들을 자루에 담기 위한 계수 경사로(50), 및 특정 화폐단위인 정상 동전들을 박스에 담기 위한 방출 경사로(6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특정 화폐단위인 정상 동전들을 선택에 따라서 자루에 담거나 박스에 담도록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작동 섹션(215)에 의한 선택 및 설정되는 작동 모드에 따라서, 식별 모드에서는 세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 각각으로, 그리고 계수 모드에서는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 각각으로, 그리고 국가 분류 모드에서는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3 분류 섹션(80)으로의 분배에 의하여 제거될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각 분배식 제거를 위한 식별은 모드 선택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또한, 식별 모드에서는 세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 각각, 그리고 계수 모드에서는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 각각, 그리고 국가 분류 모드에서는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3 분류 섹션(80)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가 디스플레이 섹션(216) 상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와 분류 섹션 간의 대응 관계가 용이하게 인식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동전 처리 장치에서는,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정상으로 식별된 정상 동전들이, 식별 모드에서는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1 분류 섹션(40) 및 제5 분류 섹션(100)에 의하여, 계수 모드에서는 하나의 분류 섹션, 즉 제1 분류 섹션(40)에 의하여, 그리고 국가 분류 모드에서는 세 개의 분류 섹션, 즉 제1 분류 섹션(40), 제4 분류 섹션(90), 및 제5 분류 섹션(100)에 의하여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동전 통로(15)로부터 정상 동전들을 방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 섹션이 있을 수 있으며, 4 이상이 있을 수도 있다.
식별 섹션(34)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은, 식별 모드에서는 세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에 의하여, 계수 모드에서는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4 분류 섹션(90)에 의하여, 그리고 국가 분류 모드에서는 두 개의 분류 섹션들, 즉 제2 분류 섹션(70) 및 제3 분류 섹션(80)에 의하여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전 통로(15)로부터 비정상 동전들을 방출시키는 적어도 두 개의 분류 섹션들이 있을 수 있으며, 4 이상이 있을 수도 있다.
특정 화폐단위의 정상 동전들은 박스에 담기 위한 방출 경사로(63)와 자루에 담기 위한 계수 경사로(50) 중 선택되는 하나에 의하여 동전 통로(15)로부터 방출된다. 그러나, 구성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수 경사로(50)와 방출 경사로(63) 중의 하나만이 제공될 수 있다.
작동 섹션(215)에서는 세 개의 작동 모드들, 즉 식별 모드, 계수 모드, 및 국가 분류 모드가 선택될 수 있고, 제어 장치(200)는 선택 및 설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서 분배에 의하여 제거될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두 개의 작동 모드들이 선택될 수 있으며, 제어 장치(200)는 선택 및 설정되는 작동 모드에 따라 분배에 의하여 제거될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게 될 수 있다.
작동 섹션(식별 인자 설정 섹션(215)에서는, 제2 분류 섹션(70), 제3 분류 섹션(80), 및 제4 분류 섹션(90) 중 각 제거 섹션에 관하여 분배에 의한 제거를 위한 식별 인자가 선택 및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200)는, 작동 섹션(215)에 의한 일 제거 섹션에 관한 식별 인자의 선택 및 설정의 경우에, 다른 제거 섹션들에 관하여 이미 선택 및 설정된 식별 인자와의 중복을 피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함에 의하여, 각 제거 섹션을 위한 식별 인자를 임의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동 섹션(215)에 의하여 일 제거 섹션을 위한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는 경우, 일 제거 섹션에 관한 식별 인자가 다른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된 식별 인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제어 장치(200)가 제한하기 때문에, 복수의 제거 섹션들에 관하여 동일한 식별 인자가 과도하게 설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경사로들(75, 85, 95, 104)로부터 수용 박스들(76, 86, 96, 105)로 동전들을 안내하는 대신에, 수용 박스들(76, 86, 96, 105) 중의 적어도 하나가 수집 자루로 될 수 있다.
계수 비정상은, 복수의 동전들이 가까이 근접하여 운반되는 근위 급송(near feed), 동전이 분류를 위하여 낙하할 수 없는 채로 넘어가는 오버런(overrun), 및 동전이 센서에 의하여 검출될 수 없는 위치로 이동하는 편향 결함(one-sided defect)을 포함한다. 이들은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기 때문에, 계수 비정상이 발생한 때에는, 계수 비정상의 동전은 정상 동전을 안내하는 계수 경사로(50) 또는 방출 경사로(63)로 안내되고 그 안에 낙하하게 되며, 그 다음에 그 때까지 계수되었던 정상 동전들과 함께 다시 처리가 수행된다. 그러나, 계수 비정상에 있어서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분류 섹션(40)의 상류 측에 별도의 분류 섹션과 회수 박스(64)로의 별도의 경사로를 제공함에 의하여, 모든 모드들 중에 식별 섹션(34)에서 발생하는 계수 비정상의 동전들이 그 분류 섹션 및 경사로에 의하여 회수 박스(64)로 바로 복귀될 수 있다.
위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 및 예시되었으나, 그것은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가, 생략, 대체, 및 다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설명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하여 한정된다.
11: 동전 처리 장치 13: 공급 디스크
14: 회전 디스크 15: 동전 통로
16, 17: 안내부 21: 제1 통로 섹션
22: 제2 통로 섹션 23: 제3 통로 섹션
26: 동전 운반 섹션 27A 내지 27I: 컨베이어 벨트
200: 제어 장치(200) 201: 공급 구동 섹션
202: 운반 구동 섹션

Claims (16)

  1. 동전 통로(coin passage)에서 동전들을 운반하는 동전 운반 섹션(coin conveying section);
    동전 통로에서 동전들을 식별하는 식별 섹션(identifying section);
    식별 섹션에 의하여 정상으로 식별된 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로부터 방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 섹션(discharging section);
    식별 섹션에 의하여 비정상으로 식별된 비정상 동전들을 동전 통로로부터 제거하는 적어도 제1 제거 섹션(first removing section) 및 제2 제거 섹션(second removing section); 및
    비정상 동전을 제거하기 위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identification factor)에 따라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중의 어느 하나로 비정상 동전을 분배하는 제어 섹션(control section);을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출 섹션은 적어도 제1 방출 섹션 및 제2 방출 섹션을 포함하고,
    제1 방출 섹션은 특정 화폐단위의 동전들인 정상 동전들을 방출하는 특정 방출 섹션이며, 제2 방출 섹션은 특정 화폐단위의 동전들이 아닌 정상 동전들을 방출하는 비특정 방출 섹션인, 동전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특정 방출 섹션은 특정 화폐단위의 동전인 정상 동전들을 자루에 담기 위한 계수 경사로(counting chute), 및 특정 화폐단위의 동전인 정상 동전들을 박스에 담기 위한 방출 경사로(discharge chut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전 처리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작동 모드(operation mode)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설정 섹션(mode setting section)을 더 포함하고,
    제어 섹션은, 모드 설정 섹션에 의하여 선택된 작동 모드에 따라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에서의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는, 동전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동전 처리 장치는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서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는 식별 인자 설정 섹션(identification factor setting section)을 더 포함하고,
    제어 섹션은 식별 인자 설정 섹션에 의하여 제1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될 식별 인자를 제2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되었던 식별 인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동전 처리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동전 처리 장치는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서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는 식별 인자 설정 섹션을 더 포함하고,
    제어 섹션은 식별 인자 설정 섹션에 의하여 제1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될 식별 인자를 제2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되었던 식별 인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동전 처리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동전 처리 장치는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서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는 식별 인자 설정 섹션을 더 포함하고,
    제어 섹션은 식별 인자 설정 섹션에 의하여 제1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될 식별 인자를 제2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되었던 식별 인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동전 처리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동전 처리 장치는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서 비정상 동전들의 식별 인자를 선택 및 설정하는 식별 인자 설정 섹션을 더 포함하고,
    제어 섹션은 식별 인자 설정 섹션에 의하여 제1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될 식별 인자를 제2 제거 섹션에 관하여 선택 및 설정되었던 식별 인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동전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섹션(display section)을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섹션을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섹션을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섹션을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섹션을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섹션을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섹션을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제1 제거 섹션 및 제2 제거 섹션 각각에 관하여 비정상 동전의 식별 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섹션을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KR1020100129858A 2009-12-22 2010-12-17 동전 처리 장치 Active KR101175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0984 2009-12-22
JP2009290984A JP5460299B2 (ja) 2009-12-22 2009-12-22 硬貨処理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293A KR20110073293A (ko) 2011-06-29
KR101175350B1 true KR101175350B1 (ko) 2012-08-20

Family

ID=4375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858A Active KR101175350B1 (ko) 2009-12-22 2010-12-17 동전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43959B2 (ko)
EP (1) EP2339546B1 (ko)
JP (1) JP5460299B2 (ko)
KR (1) KR101175350B1 (ko)
CN (1) CN102110325B (ko)
TW (1) TWI4302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2929B2 (ja) * 2013-01-28 2016-10-05 旭精工株式会社 硬貨払出装置
EP2765559B1 (de) * 2013-02-08 2020-11-04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Münzen
JP5945752B2 (ja) * 2013-03-08 2016-07-05 旭精工株式会社 硬貨払出装置
JP6143685B2 (ja) * 2014-02-10 2017-06-07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6619937B2 (ja) * 2015-02-10 2019-12-1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包装機、硬貨包装システムおよび硬貨包装方法
JP2016162156A (ja) * 2015-03-02 2016-09-0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2017054399A (ja) * 2015-09-11 2017-03-16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DE102015117601A1 (de) * 2015-10-16 2017-05-11 Schuler Pressen Gmbh Prüfvorrichtung zum Prüfen von Münzrohlingen
US20170270735A1 (en) 2016-03-16 2017-09-21 Glory Ltd. Coin handling apparatus
JP6901658B2 (ja) 2017-03-06 2021-07-14 旭精工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硬貨入出金装置
JP6756282B2 (ja) * 2017-03-16 2020-09-16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検銭装置
CN111017342B (zh) * 2019-12-20 2021-08-17 湖南辰泰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硬币清分包装流程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7154Y1 (ko) * 1970-06-04 1973-08-09
JPS4827154B1 (ko) * 1970-12-29 1973-08-20
JPS5933098Y2 (ja) * 1974-08-12 1984-09-14 株式会社東芝 物品区分装置
JPH0682410B2 (ja) * 1988-08-31 1994-10-19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3652545B2 (ja) * 1999-04-26 2005-05-2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3867763B2 (ja) * 2000-03-27 2007-01-1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機
EP1180747B1 (en) * 2000-08-10 2004-11-17 Mars Incorporated Currency handling apparatus
US6755730B2 (en) * 2002-03-11 2004-06-29 Cummins-Allison Corp. Disc-type coin processing device having improved coin discrimination system
JP4334192B2 (ja) * 2002-08-22 2009-09-30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機
KR100843327B1 (ko) 2005-09-27 2008-07-03 로레루 머시너리 가부시끼 가이샤 경화 입금기
CN2884345Y (zh) * 2005-12-09 2007-03-28 蔡宁 硬币鉴别清分机
JP4884911B2 (ja) * 2006-10-06 2012-02-29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包装機
JP4757764B2 (ja) 2006-10-06 2011-08-24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機
JP5022815B2 (ja) 2007-08-10 2012-09-12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US20090229949A1 (en) * 2008-03-14 2009-09-17 Glory Ltd., A Corporation Of Japan Verification system and banknote-and-coin handling system
JP5092903B2 (ja) 2008-05-29 2012-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9546B1 (en) 2020-02-26
US8443959B2 (en) 2013-05-21
EP2339546A1 (en) 2011-06-29
US20110151759A1 (en) 2011-06-23
JP5460299B2 (ja) 2014-04-02
KR20110073293A (ko) 2011-06-29
JP2011133982A (ja) 2011-07-07
TWI430205B (zh) 2014-03-11
CN102110325B (zh) 2014-03-12
CN102110325A (zh) 2011-06-29
HK1157484A1 (en) 2012-06-29
TW201135673A (en) 201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350B1 (ko) 동전 처리 장치
JP5013915B2 (ja) 硬貨処理方法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3673052B2 (ja) 硬貨入出金機の取引口装置
JP2009163778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6757023B2 (ja) 硬貨入出金装置
JP3405643B2 (ja) 硬貨選別機
JP3423645B2 (ja) 硬貨入出金機
JP4598546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4815131B2 (ja) 硬貨入金口装置
JP6500325B2 (ja) 硬貨処理装置
JP2001283278A (ja) 硬貨選別計数機
JP3415388B2 (ja) 硬貨選別装置
JPH10228556A (ja) 硬貨搬送装置および硬貨入金処理機の残留硬貨類搬送装置
JP3214841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4764020B2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その硬貨処理方法
JP3479428B2 (ja) 硬貨入出金機の硬貨受収排出装置
JP6534211B2 (ja) 包装硬貨処理装置および包装硬貨処理方法
JP3086681B2 (ja) 硬貨処理装置
HK1157484B (en) Coin processing apparatus
JP3456857B2 (ja) 硬貨選別装置
JP3086575B2 (ja) 硬貨処理装置
JP3774289B2 (ja) 硬貨入出金機
JP2589242Y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JP5398473B2 (ja) 硬貨入出金機
JP3320989B2 (ja) 硬貨入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