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654B1 -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8654B1 KR101128654B1 KR1020100080297A KR20100080297A KR101128654B1 KR 101128654 B1 KR101128654 B1 KR 101128654B1 KR 1020100080297 A KR1020100080297 A KR 1020100080297A KR 20100080297 A KR20100080297 A KR 20100080297A KR 101128654 B1 KR101128654 B1 KR 1011286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thium metal
- metal electrode
- cathode
- electrode
- dop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5001 laminate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 polycyclic hydrocarbo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3 an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3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986 novola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97 pyro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THFKEDIFFGKHM-UHFFFAOYSA-N Dimethoxyethane Chemical compound COCCOC XTHFKEDIFFGK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HBTULDTCSOWOY-UHFFFAOYSA-N [C].C=C Chemical compound [C].C=C OHBTULDTCSOW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Substances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63 ammon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83 artifici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06 doctor blad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PFVYQJUAUNWIW-UHFFFAOYSA-N furfuryl alcohol Chemical compound OCC1=CC=CO1 XPFVYQJUAUNW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57 graphitized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31 mesocarbon micro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02 mesophase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82 natur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XJUTPCZVOIRIF-UHFFFAOYSA-N sulfolane Chemical compound O=S1(=O)CCCC1 HXJUTPCZVOIRI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6 Ac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62 Polyamide-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REMABGTGYGIQB-UHFFFAOYSA-N carbon carbon Chemical compound C.C CREMABGTGYGI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03 carbon fibre reinforced carb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1 cellulos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2 lyophiliz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5 micro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5 niob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CVJGMIXFAOAE-UHFFFAOYSA-N niobium atom Chemical compound [Nb] GUCVJGMIXFAOA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12 polyamide-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1 polyvinylid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79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5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lithium-ion capacitors, e.g. for lithium-doping or for intercal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해액에 양극, 음극 및 리튬금속 전극을 침지하는 단계; 상기 리튬금속 전극으로부터 상기 음극으로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하는 제 1 프리 도핑 단계;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과 상기 리튬금속전극으로부터 리튬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을 포함하는 제 2 프리 도핑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화학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는 모든 휴대용 정보통신기기,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완제품 기기의 핵심부품이다. 또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는 미래형 전기자동차 및 휴대용 전자장치등에 적용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고품질 에너지원으로써 확실하게 사용될 것이다.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 중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 원리를 이용하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al double layer)와 전기화학적 산환-환원 반응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Hybrid supercapacitor)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고출력 에너지 특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작은 용량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하여,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용량 특성을 개선할 새로운 대안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 중 리튬 이온 커패시터(Lithium ion capacitor; LIC)는 음극에 리튬 이온을 도핑함으로써,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에 비해 3 내지 4배 정도의 축적용량을 가질 수 있어, 큰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음극에 리튬이온을 프리 도핑하기 위한 공정은 전극 적층체의 최상단층과 최하단층에 각각 리튬 금속막을 구비시킨 후, 전해질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이때, 리튬 금속막은 전극 적층체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므로, 적층된 음극 전체에 리튬이온이 불균일하게 도핑될 뿐만 아니라, 프리 도핑 공정 완료후에 리튬 금속막이 잔존할 수 있어,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작동시에 리튬 금속이 석출되어,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리튬이온이 전극 적층체의 내부에 구비된 음극에 균일하게 도핑되기 까지의 시간이 20일 정도가 소요되어, 양산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전기 화학 커패시터는 용량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극에 프리도핑공정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지만, 음극의 프리도핑공정으로 인해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신뢰성이 저하되거나 양산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고용량의 전기 화학 커패시터를 양산에 적용하기 위해, 음극에 리튬이온을 균일하게 그리고 빠르게 도핑할 수 있는 새로운 음극 프리 도핑 공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화학 커패시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리튬금속 전극으로부터 음극으로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한 후, 양극과 음극간의 충전공정 및 리튬 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을 수행하여, 신뢰성과 양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은 전해액에 양극, 음극 및 리튬금속 전극을 침지하는 단계; 상기 리튬금속 전극으로부터 상기 음극으로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하는 제 1 프리 도핑 단계;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과 상기 리튬금속전극으로부터 리튬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을 포함하는 제 2 프리 도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프리 도핑 단계는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음극의 단락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리 도핑 단계는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리 도핑 단계는 상기 음극의 전위가 3V에서 0.8V로 감소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은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양극 사이의 방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은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양극의 단락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리 도핑 단계의 상기 충전공정은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의 전압이 3V 내지 4V일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리 도핑 단계의 상기 방출공정은 상기 양극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 사이의 전압이 2V 내지 3V일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리 도핑 단계 이후에, 상기 양극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을 단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을 단락시키는 단계는 상기 양극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 사이의 전압이 2V일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두고 교대로 적층된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한 전극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셀, 리튬금속 전극 및 전해액을 하우징 내부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리튬금속 전극으로부터 상기 음극으로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하는 제 1 프리 도핑 단계;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을 포함하는 제 2 프리 도핑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프리 도핑 단계는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 또는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음극의 단락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은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양극 사이의 방전 또는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양극의 단락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리 도핑 단계 이후에, 상기 양극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을 단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을 수행하는 제 2 프리 도핑 단계와 상기 하우징을 밀봉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리튬금속 전극을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어느 하나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는 집전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프리 도핑 방법은 음극에 직접 리튬이온을 1차적으로 도핑하여 도핑 시간을 단축시키며, 이후, 충전공정 및 리튬이온의 방출공정을 수행하여 음극에 리튬 이온을 균일하게 도핑함으로써, 음극의 프리 도핑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음극에 균일하게 리튬 이온을 도핑시킬 수 있다.
또한, 음극에 균일하게 그리고 빠르게 리튬 이온을 도핑할 수 있어, 고용량의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가 가능하며, 이와 더불어 신뢰성 및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프리 도핑 공정은 전극 셀을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어, 전극의 프리 도핑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별도로 글로브 박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공정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극의 집전체는 홀을 구비하여, 전극에 리튬이온을 더욱 균일하게 도핑할 수 있어,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수명을 개선하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에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하기 위해, 먼저, 하우징(110)내에 수용된 전해액(120)에 양극(150), 음극(140) 및 리튬금속 전극(130)을 침지한다.
여기서, 양극(150)은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양극 활물질층은 탄소재질, 예컨대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극(140)은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하거나 탈도핑할 수 있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 활물질층은 천연 흑연, 인조 흑연, MCF(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MCMB(MesoCarbon MicroBead, 흑연 휘스커(whisker), 흑연화 탄소섬유, 난흑연성 카본, 폴리아센(polyacene)계 유기반도체, 카본나노튜브, 탄소재질 재료와 흑연재질의 복합 탄소재료, 퍼프릴 알코올(furfuryl alcohol)수지의 열분해물, 노볼락(novolac) 수지의 열분해물, 피치(pitch) 및 코크스등의 축합 다환 탄화수소화물의 열분해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리튬금속 전극(130)은 음극(140)에 프리도핑되는 리튬이온의 공급원으로써, 리튬 또는 리튬을 포함한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해액(120)은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는 매질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해액은 전기화학 커패시터에 이용되는 전해액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전기화학 커패시터에서 사용되는 전해액과 별도로 제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전해액(120)은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은 염의 상태로, 예컨대 리튬염 또는 암모늄염등일 수 있다. 용매는 비프로톤성 유기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용매는 전해질의 용해성, 전극과의 반응성, 점성 및 사용온도범위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용매의 예로서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술포란, 아세톤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등일 수 있다. 여기서, 용매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용매는 에틸렌 카본과 에틸메틸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 카본과 에틸메틸카보네이트의 혼합비는 1:1 내지 1:2일 수 있다.
전해액(120)에 양극(150), 음극(140) 및 리튬금속 전극(130)을 침지한 후, 리튬금속 전극(130)으로부터 음극(140)으로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하는 제 1 프리 도핑을 수행한다.
여기서, 음극(140)에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하는 방법으로 음극(140)과 리튬금속 전극(130)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충전하는 충전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리튬금속 전극(130)은 산화되어 리튬이온을 생성하며, 리튬이온은 전해액(120)을 통해 이동하여 음극(140)에 도핑될 수 있다.
여기서, 음극(140)에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하는 다른 방법은 음극(140)과 리튬금속 전극(130)의 단락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음극(140)과 리튬금속 전극(130)간의 전위 차이로 인해, 리튬금속 전극(130)의 리튬이온은 음극(140)으로 자연적으로 도핑될 수 있다. 이때, 음극(140)과 리튬금속 전극(130)의 단락은 음극(140)과 리튬금속 전극(130) 사이의 충전 공정에 비해 더욱 빠르게 도핑공정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프리 도핑 공정은 리튬금속 전극(130)으로부터 음극(140)으로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시킴에 따라, 공정속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리 도핑 공정은 음극(140)의 전위가 3V에서 0.8V로 감소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음극(140)의 전위가 0.8V미만으로 감소되면서, 리튬금속 전극(130)으로부터 음극에 리튬이온을 도핑시키는 도핑공정시간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리 도핑 공정만을 이용하여, 음극(140)에 리튬 이온을 도핑시킬 경우, 도핑 공정 시간이 증대되어 양산에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음극(140)에 리튬 이온이 균일하게 도핑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프리 도핑 공정을 진행한 후, 음극(140)에 리튬이온을 균일하게 도핑할 수 있는 제 2 프리 도핑 공정을 진행한다.
제 2 프리 도핑 공정은 양극(150)과 음극(140)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도 2)과 리튬금속 전극(130)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도 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공정과 방출공정은 음극(140)에 리튬이온의 도핑량이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공정은 전해액(120)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을 고려하여 양극(150)과 음극(140) 사이의 전압이 3V 내지 4V일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충전공정은 양극(150)과 음극(140) 사이의 전압이 4V일 때까지 수행할 경우, 전해액(120) 또는 양극(150)에 포함된 리튬이온은 음극(140)으로 도핑될 수 있다.
방출공정은 리튬금속 전극(130)과 양극(150) 사이의 방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리튬금속 전극(130)과 양극(150)을 방전할 경우, 양극(150)은 음이온을 방출하여 양극(150)의 전위는 감소되며, 이와 동시에 리튬금속 전극(130)이 산화되어 리튬 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즉, 리튬금속 전극(130)과 양극(150) 사이의 방전으로 전해액에 리튬 이온이 방출될 수 있다.
방출 공정은 리튬금속 전극(130)의 산화를 고려하여 양극(150)과 리튬금속 전극(130) 사이의 전압이 2V 내지 3V일 때, 예컨대 2.8V일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방출 공정의 다른 방법으로 양극(150)과 리튬금속 전극(130)을 단락하는 단락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양극(150)과 리튬금속 전극(130)을 단락시킬 경우, 리튬이온이 전해액에 확산되지 않고 양극으로 리튬이온이 직접적으로 도핑될 수 있다.
여기서, 음극의 전위가 설정값까지 진행될 때까지 충전공정과 방출공정을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공정과 방출 공정을 통해 리튬 이온의 도핑량을 제어할 수 있어, 음극(140)에 리튬 이온을 균일하게 도핑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양극(150)과 리튬금속 전극(130)을 단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락 공정은 양극(150)과 리튬금속 전극(130) 사이의 전압이 2V이하일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즉, 양극(150)의 전위는 3V에서 2V로 낮아질 수 있다. 즉, 양극(150)의 전위가 낮아짐에 따라, 음극(140)에 도핑되는 리튬이온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어, 결국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양극(150)의 전위가 2V 보다 높을 경우, 음극(140)에 도핑되는 리튬이온의 양이 감소되어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는 작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음극(140)에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하기 위해, 1차 프리 도핑 공정을 통해 도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2차 프리 도핑 공정을 통해 음극에 균일하게 리튬 이온을 도핑할 수 있다.
도 4 내지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화학 커패시터(200)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세퍼레이터(210)를 사이에 두고 양극(220) 및 음극(23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예비 전극 셀(200a)을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예비 전극 셀(200a)의 최외층에 세퍼레이터(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퍼레이터(210)는 음극(230)과 양극(220)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210)는 종이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210)의 종류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양극(220)은 양극 집전체(221)와 양극 집전체(221)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양극 활물질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극(220)은 양극 집전체(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240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양극 집전체(221)와 양극 단자(240a)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221)는 알루미늄, 스텐레스, 동, 니켈, 티탄, 탄탈 및 니오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극 집전체(221)의 두께는 10 내지 300㎛의 범위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221)는 박막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양극 집전체(221)는 이온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균일한 도핑 공정을 위해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양극 활물질층(222)은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재료, 즉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양극 활물질층(222)은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인더를 형성하는 재질의 예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폴리불화비닐리덴(PVdF)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등의 열가소성 수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등의 고무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PVP)등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양극 활물질층(222)은 도전재, 예컨대 카본 블랙 및 용매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극(220)을 형성하기 위해, 양극 활물질층(222)을 시트 형태로 제조한 후,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양극 활물질층(222)과 양극 집전체(221)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양극(220)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으로, 양극 집전체(221) 상에 양극 활물질을 슬러리로 형성한 후, 코팅법, 예컨대 닥터 블레이드법을 통해 양극 활물질층(222)을 형성함으로써, 양극(220)을 제조할 수 있다.
음극(230)은 음극 집전체(231)와 음극 집전체(231)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음극 활물질층(2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230)은 음극 집전체(2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단자(250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음극 집전체(231)와 음극 단자(250a)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극 집전체(231)는 금속, 예컨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극 집전체(231)는 박막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음극 집전체(231)는 이온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균일한 도핑 공정을 위해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음극 활물질층(232)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재질, 예컨대 음극 활물질층(232)은 천연 흑연, 인조 흑연, MCF(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MCMB(MesoCarbon MicroBead, 흑연 휘스커(whisker), 흑연화 탄소섬유, 난흑연성 카본, 폴리아센(polyacene)계 유기반도체, 카본나노튜브, 탄소재질 재료와 흑연재질의 복합 탄소재료, 퍼프릴 알코올(furfuryl alcohol)수지의 열분해물, 노볼락(novolac) 수지의 열분해물, 피치(pitch) 및 코크스등의 축합 다환 탄화수소화물의 열분해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230)은 앞서 설명한 양극(220)의 제조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양극(220)과 음극(230)은 적어도 2 회로 적층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예비 전극 셀(200a)의 양극 단자(240a)와 음극 단자(250a)를 각각 용접하여, 양극 단자부(240)와 음극 단자부(250)를 구비한 전극 셀(200b)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용접공정은 초음파 용접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후, 하우징(260) 내부에 전극 셀(200b)과 전극 셀(200b)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리튬금속 전극(300)을 수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튬금속 전극(300)은 2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극 셀(200b) 및 리튬금속 전극(300)을 하우징 내부에 수용하는 것을 도 6을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우징(260)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전극 셀(200b)을 포장하기 위해, 먼저 전극 셀(200b)과 리튬금속 전극(300)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을 열융착하여 하우징(26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열 융착 공정은 추후 전해액을 투입하고 리튬금속 전극(300)의 배출을 위한 개구(261)를 남겨두도록 한다.
이후, 개구를 통해 전극 셀(200b)과 리튬금속 전극(300)을 수용하도록 전해액을 충진한다. 여기서, 전해액은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은 염의 상태로, 예컨대 리튬염 또는 암모늄염등일 수 있다. 용매는 비프로톤성 유기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용매는 전해질의 용해성, 전극과의 반응성, 점성 및 사용온도범위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용매의 예로서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술포란, 아세톤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등일 수 있다. 여기서, 용매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용매는 에틸렌 카본과 에틸메틸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 카본과 에틸메틸카보네이트의 혼합비는 1:1 내지 1:2일 수 있다.
이후, 음극(230)에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음극(230)에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하는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핑 공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 1 프리 도핑 공정과 음극(230)에 균일하게 리튬 이온을 도핑할 수 있는 제 2 프리 도핑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리 도핑 공정은 리튬금속 전극(300)으로부터 음극(230)으로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한다. 이때, 제 1 프리 도핑 공정은 리튬금속 전극(300)과 음극(230)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 또는 리튬금속 전극(300)과 음극(230)의 단락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리 도핑 공정은 양극(220)과 음극(230)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과 리튬금속 전극(300)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충전 공정과 방출 공정은 음극(230)에 도핑된 리튬 이온의 도핑량이 설정값까지 도달할 때까지 수회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양극(220)과 리튬금속 전극(300)을 단락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양극(220)에 리튬 이온이 도핑됨에 따라, 전기화학 커패시터(200)의 에너지 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음극(230)의 프리 도핑 공정이 완료되었을 경우, 리튬금속 전극(300)이 소모되지 않고 잔존할 경우, 하우징(260)으로부터 배출한다. 이에 따라, 리튬금속 전극(300)이 하우징(260) 내부에 잔존하게 되어 전극 셀(200b)의 최외곽의 음극(230)이나 양극(220)에 리튬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화학 커패시터(20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음극(230)의 프리 도핑 공정을 수행한 후, 하우징(260)의 개구(261)를 진공 밀봉한다.
여기서, 전해액은 음극(230)의 프리 도핑 공정을 수행할 때 충진된 전해액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리튬 이온의 프리 도핑 공정에서 사용된 전해액이 고전압에서 전기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재질일 경우, 하우징(260)의 개구(261)를 밀봉하기 이전에 리튬 이온의 프리 도핑 공정에서 사용된 전해액을 배출하고, 새로운 전해액을 투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2차의 프리 도핑 공정을 통해, 음극(230)에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함으로써, 음극(230)에 리튬 이온을 균일하게 그리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전기화학 커패시터(200)의 양산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음극(230)의 프리 도핑 공정을 완료한 후, 리튬금속 전극(300)을 배출하는 공정을 더 수행하여,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내부에 리튬 금속이 석출되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극(230)의 프리 도핑 공정은 하우징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어, 음극(230)의 프리 도핑 공정을 위한 글로브 박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설비 투자를 축소할 수 있어, 결국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음극(230) 및 양극(220)은 홀을 구비한 집전체를 구비하여, 음극(230)에 더욱 효율적으로 리튬 이온을 균일하게 도핑할 수 있어,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수명을 향상시키며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기화학 커패시터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예에 있어서, 셀 제작 및 프리 도핑 공정은 -60℃이하인 아르곤 글로브 박스 속에서 진행하였으며, 프리도핑 공정의 충정공정은 정전류 일정 전압으로 3.8V까지 수행하였고, 프리 도핑공정의 단락 공정은 2V까지 수행하였다.
양극 형성
양극 활물질로서 수증기 활력법에 의해 형성된 약 2200㎡/g의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을 이용하였다. 활성탄 분말, 아세틸렌 블랙 및 폴리비닐리덴 불소를 가각 중량비 80:10:10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이후, 메틸피롤리돈(NMP)에 혼합물을 첨가한 후, 교반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후, 슬러리를 20㎛의 알루미늄 박에 닥터 블레이드법으로 도포 및 반건조한 후, 10㎝×10㎝의 크기로 절단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이때, 전극의 두께는 약 60㎛였다. 전극 셀을 제조하기 전에 양극을 진공 속에서 12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음극 형성
음극 활물질로서 흑연, 아세틸렌 블랙 및 폴리불화비닐리덴(PVdF)을 중량비 8:1.3:0.7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이후, 메틸피롤리돈(NMP)에 혼합물을 첨가한 후, 교반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후, 슬러리를 구리에 도포, 건조, 및 프레스하여 25㎛의 두께를 갖는 시트를 형성한 후, 10㎝×10㎝의 크기로 절단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형성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양극과 음극을 대향시켜 한 쌍의 전극을 제작하였다. 이후, 양극에 알루미늄을 용접하고, 음극에 니켈을 용접하여 전극 셀을 형성하였다. 한편, 에틸렌 카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를 중량비로 중량비로 3:1:4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 용매에 LiPF6를 용해하여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전극셀과 전해액을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에 봉입하였다.
이후, 전술한 프리 도핑 공정으로 음극의 90%까지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한 후, 양극과 리튬 금속 전극 사이의 전압이 2V될 때까지 단락시켰다.
도핑공정이 완료된 후,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부터 리튬 금속 전극을 배출 한 후, 알루미튬 라미네이트 필름을 밀봉하였다.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성능 평가 : 고온 사이클 시험
60℃의 항온조 내에서 정전류 일정 전압으로 900초 3.8V까지 충전하고 이어서 정전류로 2.0V까지 방전하여, 10초 경과 후 다음과 같은 충 방전을 반복 수행하였다. 이 충방전을 1 사이클이라 하며, 이 충방전을 1000사이클 반복한 후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구했다. 1000 사이클을 반복하여 수행한 후, 용량 유질율은 97%였다. 또한, 당초의 정전용량은 510F이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3.9V부터 2.0까지 높은 전압 범위에서 60℃ 사이클에 우수하며 큰 용량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2차의 프리 도핑 공정으로 음극에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함으로써,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 260 : 하우징
120 : 전해액
130, 300 : 리튬금속 전극
150, 220 : 양극
140, 230 : 음극
240 : 양극단자부
250 : 음극단자부
120 : 전해액
130, 300 : 리튬금속 전극
150, 220 : 양극
140, 230 : 음극
240 : 양극단자부
250 : 음극단자부
Claims (17)
- 전해액에 양극, 음극 및 리튬금속 전극을 침지하는 단계;
상기 리튬금속 전극으로부터 상기 음극으로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하는 제 1 프리 도핑 단계;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과 상기 리튬금속전극으로부터 리튬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을 포함하는 제 2 프리 도핑 단계;
상기 양극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을 단락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 도핑 단계는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음극의 단락으로 수행되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 도핑 단계는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으로 수행되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 도핑 단계는 상기 음극의 전위가 3V에서 0.8V로 감소될 때까지 수행되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은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양극 사이의 방전에 의해 수행되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은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양극의 단락에 의해 수행되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리 도핑 단계의 상기 충전공정은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의 전압이 3V 내지 4V일 때까지 수행되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리 도핑 단계의 상기 방출공정은 상기 양극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 사이의 전압이 2V 내지 3V일 때까지 수행되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을 단락시키는 단계는 상기 양극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 사이의 전압이 2V일 때까지 수행되는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두고 교대로 적층된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한 전극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셀, 리튬금속 전극 및 전해액을 하우징 내부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리튬금속 전극으로부터 상기 음극으로 리튬 이온을 직접적으로 도핑하는 제 1 프리 도핑 단계;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을 포함하는 제 2 프리 도핑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을 밀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 도핑 단계는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 또는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음극의 단락공정으로 수행되는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은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양극 사이의 방전 또는 상기 리튬금속 전극과 상기 양극의 단락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리 도핑 단계 이후에,
상기 양극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을 단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하는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전류를 인가해 충전하는 충전공정과 상기 리튬금속 전극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방출공정을 수행하는 제 2 프리 도핑 단계와 상기 하우징을 밀봉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리튬금속 전극을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어느 하나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는 집전체를 구비하는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0297A KR101128654B1 (ko) | 2010-08-19 | 2010-08-19 |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US12/967,800 US20120042490A1 (en) | 2010-08-19 | 2010-12-14 | Method of pre-doping lithium ion into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capacitor using the same |
JP2011009495A JP2012044137A (ja) | 2010-08-19 | 2011-01-20 | 電極のリチウムイオンプレドーピング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電気化学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0297A KR101128654B1 (ko) | 2010-08-19 | 2010-08-19 |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7600A KR20120017600A (ko) | 2012-02-29 |
KR101128654B1 true KR101128654B1 (ko) | 2012-03-26 |
Family
ID=4559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0297A KR101128654B1 (ko) | 2010-08-19 | 2010-08-19 |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042490A1 (ko) |
JP (1) | JP2012044137A (ko) |
KR (1) | KR101128654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8591A (ko) | 2014-09-30 | 2016-04-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화학반응을 통해 리튬이 도핑된 그래핀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KR20180061672A (ko) | 2016-11-30 | 2018-06-08 | 삼신디바이스 주식회사 | 전기화학 디바이스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061671A (ko) | 2016-11-30 | 2018-06-08 | 삼신디바이스 주식회사 | 리튬이온 커패시터용 리튬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
KR101948804B1 (ko) * | 2015-05-11 | 2019-02-15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향상된 리튬이온 도핑속도를 갖는 흑연전극 및 이를 채용한 리튬이온커패시터 |
KR101955667B1 (ko) | 2017-12-27 | 2019-03-07 | 삼신디바이스 주식회사 | 리튬이온의 도핑특성이 향상된 리튬이온 커패시터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KR20190064117A (ko) | 2017-11-30 | 2019-06-10 | 세방전지(주) | 납축전지와 리튬전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듀얼 배터리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12629A (ja) * | 2011-03-31 | 2012-11-01 | Fuji Heavy Ind Ltd | リチウムイオ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
JP2014120701A (ja) * | 2012-12-19 | 2014-06-30 | Ibiden Co Ltd | 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ドーピング槽 |
CN104956521B (zh) * | 2012-12-19 | 2018-06-29 | 亿目朗美国股份有限公司 | 用于能量存储的负电极活性材料 |
KR20140111622A (ko) | 2013-03-11 | 2014-09-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의 프리도핑 방법,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
WO2014142523A1 (ko) * | 2013-03-11 | 2014-09-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의 프리도핑 방법,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
KR102380895B1 (ko) * | 2013-04-23 | 2022-03-31 | 테슬라, 인크. | 리튬 이온 캐패시터의 고체 전해질 계면 형성 및 애노드 프리 리튬화를 위한 방법 |
US11038165B2 (en) | 2014-05-29 | 2021-06-15 | Sila Nanotechnologies, Inc. | Ion permeable composite current collectors for metal-ion batteries and cell design using the same |
CN104201320A (zh) * | 2014-09-16 | 2014-12-10 | 赵前永 | 一种为锂离子电池电极材料预锂化的方法 |
JP2016096297A (ja) * | 2014-11-17 | 2016-05-26 | イビデン株式会社 | 金属塊内蔵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
CN104681311B (zh) * | 2014-12-12 | 2017-12-19 | 宁波中车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锂离子电容器的新型预嵌锂方法 |
JP6425562B2 (ja) * | 2015-01-26 | 2018-11-21 | イビデン株式会社 | ドープ電極体の製造方法 |
JP6425563B2 (ja) * | 2015-01-26 | 2018-11-21 | イビデン株式会社 | ドープ電極体の製造装置 |
JP6933589B2 (ja) * | 2018-02-22 | 2021-09-0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負極活物質のプレドープ方法、負極の製造方法、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
EP3790030A4 (en) * | 2018-05-02 | 2022-01-12 | Jtekt Corporation | ALKALINE METAL ION CONDENSER |
CN109698323B (zh) * | 2018-11-30 | 2022-03-22 | 江苏天合储能有限公司 | 一种用于锂离子电池的预锂化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
CN109755474A (zh) * | 2018-12-29 | 2019-05-14 | 三明学院 | 一种锂离子电池负极材料的补锂方法及补锂装置 |
NO345255B1 (en) * | 2019-04-04 | 2020-11-23 | Ipr Holding As | Method for pre-lithiating a lithium-ion capacitor |
WO2020226354A1 (ko) * | 2019-05-03 | 2020-11-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이와 같이 제조된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CN110224182B (zh) * | 2019-05-20 | 2022-03-11 |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 一种锂离子电池预锂化的方法 |
NO346653B1 (en) * | 2019-09-03 | 2022-11-14 | Beyonder As | Method for pre-lithiating a lithium-ion capacitor |
CN115692614B (zh) * | 2021-07-29 | 2024-10-11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电极制备方法、电极制备装置、电极以及储能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311363A (ja) * | 2007-06-13 | 2008-12-25 | Advanced Capacitor Technologies Inc | リチウムイオンのプレドープ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蓄電素子の製造方法 |
JP2010097707A (ja) * | 2008-10-14 | 2010-04-30 | Fuji Heavy Ind Ltd | リチウムイオンのプレドープ方法、電極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蓄電体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53921B2 (ja) * | 1999-05-12 | 2009-04-15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リチウム二次電池 |
CN101138058B (zh) * | 2005-03-31 | 2011-03-30 | 富士重工业株式会社 | 锂离子电容器 |
JP4928824B2 (ja) * | 2006-05-02 | 2012-05-09 | Fdk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蓄電素子の製造方法 |
JP5002188B2 (ja) * | 2006-05-12 | 2012-08-15 | Fdk株式会社 | 蓄電装置および蓄電セル |
JP4863001B2 (ja) * | 2006-10-03 | 2012-01-25 | 宇部興産株式会社 | 蓄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2010
- 2010-08-19 KR KR1020100080297A patent/KR1011286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12-14 US US12/967,800 patent/US2012004249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
- 2011-01-20 JP JP2011009495A patent/JP2012044137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311363A (ja) * | 2007-06-13 | 2008-12-25 | Advanced Capacitor Technologies Inc | リチウムイオンのプレドープ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蓄電素子の製造方法 |
JP2010097707A (ja) * | 2008-10-14 | 2010-04-30 | Fuji Heavy Ind Ltd | リチウムイオンのプレドープ方法、電極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蓄電体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8591A (ko) | 2014-09-30 | 2016-04-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화학반응을 통해 리튬이 도핑된 그래핀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KR101948804B1 (ko) * | 2015-05-11 | 2019-02-15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향상된 리튬이온 도핑속도를 갖는 흑연전극 및 이를 채용한 리튬이온커패시터 |
KR20180061672A (ko) | 2016-11-30 | 2018-06-08 | 삼신디바이스 주식회사 | 전기화학 디바이스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061671A (ko) | 2016-11-30 | 2018-06-08 | 삼신디바이스 주식회사 | 리튬이온 커패시터용 리튬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
KR20190064117A (ko) | 2017-11-30 | 2019-06-10 | 세방전지(주) | 납축전지와 리튬전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듀얼 배터리 시스템 |
KR101955667B1 (ko) | 2017-12-27 | 2019-03-07 | 삼신디바이스 주식회사 | 리튬이온의 도핑특성이 향상된 리튬이온 커패시터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044137A (ja) | 2012-03-01 |
US20120042490A1 (en) | 2012-02-23 |
KR20120017600A (ko) | 2012-0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8654B1 (ko) |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
KR101138474B1 (ko) |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 | |
US7848081B2 (en) | Lithium-ion capacitor | |
US8288032B2 (en) | Energy storage device ce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46658B1 (ko) | 전극 박, 집전체,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축전 소자 | |
JP4535334B2 (ja) | 有機電解質キャパシタ | |
JP4918418B2 (ja) | リチウムイオンのプレドープ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蓄電素子の製造方法 | |
KR101138521B1 (ko) |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 | |
EP2228862A1 (en) | Wound-type electric storage device with an additional ion source | |
JP4924966B2 (ja) |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 |
WO2007132896A1 (ja) | 蓄電デバイスおよび蓄電システム | |
WO2006112070A1 (ja) |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 |
JP2009200302A (ja) | 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蓄電デバイス | |
US20120099246A1 (en) | Lithium ion capacitor | |
JP2008252013A (ja) |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 |
JP2012004491A (ja) | 蓄電デバイス | |
JP2016186921A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
US20120300366A1 (en) | Method for pre-doping anode and lithium ion capacitor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2010287641A (ja) | 蓄電デバイス | |
US20120050949A1 (en) | Lithium ion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10141065A (ja) | 蓄電デバイス | |
JP4731974B2 (ja) |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 |
JP2011205016A (ja) |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用の正極および負極の製造方法、並びに負極に対するリチウムイオンの吸蔵方法 | |
CN114207756B (zh) | 混合电容器 | |
JP2013218910A (ja) | 電気化学デバイ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