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033B1 - 가설대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가설대 승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0033B1 KR101040033B1 KR1020090064761A KR20090064761A KR101040033B1 KR 101040033 B1 KR101040033 B1 KR 101040033B1 KR 1020090064761 A KR1020090064761 A KR 1020090064761A KR 20090064761 A KR20090064761 A KR 20090064761A KR 101040033 B1 KR101040033 B1 KR 101040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profile
- frame
- pin
- la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Ladder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걸림부가 구비된 프로파일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사선형으로 구비되고 걸림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파일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에 의해 걸림쇠가 사선형의 경로를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걸림쇠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채널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상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와 상호 걸림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기 위한 걸림쇠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암을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설대를 원하는 높이의 위치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장치, 프로파일, 유압실린더, 가이드암, 가이드홈, 앵커유닛, 브라켓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이나 하역장 등에서 각종 가설대 또는 작업발판을 원하는 높이의 위치로 승강시키는 가설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하중이 큰 가설물 또는 건설자재를 원하는 높이의 위치로 승강시키거나, 하역장에서 고하중의 가설대를 소정 높이의 위치로 운송하는 데에 있어서, 승강장치가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 구조물의 시공시 구조물의 외벽에 거푸집을 설치하는데, 이때 구조물 외벽에 대한 원활한 작업 수행을 위하여 구조물 외벽에 일종의 작업용 발판의 역할을 하는 가설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설대는 구조물의 층수 증가에 따라 계속해서 위로 추가 설치되는데, 종래에는 고층의 건축 구조물을 시공할 때 크레인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향 인양되는 상승식 가설대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크레인의 이용은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증가시킴으로 인해 공사진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04720호(명칭: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에서 프로파일을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기재에 의해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설대 승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가설대의 프로파일에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돌기에 승강기재가 걸림결합하면서 단계적으로 프로파일을 승강시키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특히 승강기재는 유압실린더와 후크의 구성을 통해 승강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프로파일의 걸림돌기들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걸림결합이 된다. 따라서, 가설대를 목표 높이까지 단계적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113115호와 제10-2007-0113116호를 특허출원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은 가이드암이 개방되거나 닫혀질 수 있어 승강작동수단에 프로파일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쉬운 가설대 승강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등록특허에 개시된 승강장치와, 상술한 특허출원들에 이어서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가설대를 승강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본 발명의 개발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현장이나 하역장을 비롯하여 각종 가설대를 다루는 곳에서 가설대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승강 이송할 수 있으면서 그 구조 또한 간소화된 가설대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걸림부가 구비된 프로파일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사선형으로 구비되고 걸림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파일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에 의해 걸림쇠가 사선형의 경로를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걸림쇠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채널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상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와 상호 걸림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기 위한 걸림쇠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암을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는 프로파일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한 프로파일과,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 중 어느 하나가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에 걸림작용될 수 있는 걸림쇠가 구비되어 상하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는 승강작동수단와, 상기 상하의 승강작동수단 사이에 결합되어 승강작동수단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작동수단은, 상기 프로파일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사선형으로 구비되고 걸림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파일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에 의해 걸림쇠가 사선형의 경로를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걸림쇠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채널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상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와 상호 걸림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기 위한 걸림쇠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암을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걸림부가 구비된 프로파일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있어 서, 상기 프로파일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사선형으로 구비되고 걸림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파일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에 의해 걸림쇠가 사선형의 경로를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걸림쇠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채널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상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와 상호 걸림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기 위한 걸림쇠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암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아드 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암의 이동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 이동한 후 가이드홈의 사선 방향의 원호를 따라 상기 제1 가이드핀을 회전중심축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암의 이동을 제공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암은 상기 제1 가이드핀과 제2 가이드핀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가설대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는 프로파일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 비한 프로파일과,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 중 어느 하나가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에 걸림작용될 수 있는 걸림쇠가 구비되어 상하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는 승강작동수단과, 상기 상하의 승강작동수단 사이에 결합되어 승강작동수단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작동수단은, 상기 프로파일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사선형으로 구비되고 걸림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파일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에 의해 걸림쇠가 사선형의 경로를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걸림쇠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채널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상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와 상호 걸림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기 위한 걸림쇠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암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아드 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암의 이동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 이동한 후 가이드홈의 사선 방향의 원호를 따라 상기 제1 가이드핀을 회전중심축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암의 이동을 제공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암은 상기 제1 가이드핀과 제2 가이드핀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가설대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설대 승강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후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구비된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고정프레임 사이로 삽입된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를 결합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핀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승강작동수단은 한쌍의 지지프레임 사이로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관통공으로 결합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승강구동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설대 승강장치는,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일부 중첩되게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한 쌍의 패널프레임과, 상기 패널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패널프레임은 결합고정핀을 통해 서로 결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패널프레임에 상기 결합고정핀으로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고정핀은 둥근 막대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부가 일부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결합고정핀의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원형의 복합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고정핀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고정핀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결합고정핀은 둥근 막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일 수 있다.
구조물에 상기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 상기 연결프레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이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프로파일의 기울어짐에 대응되게 지지프레임이 기울어지도록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보정홈이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상기 패널프레임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기울기보정홈에 연결핀이 삽입되고 상기 기울기보정홈의 길이 방향에 대한 연결핀의 위치를 제어하여 지지프레임의 기울어짐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의 판상 슬라브에 설치되는 앵커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앵커유닛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앵커유닛에 일부 진입하여 상호 중첩되고 그 중첩부위를 삽입관통하는 체결핀에 의해 상기 앵커유닛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앵커유닛은 도랑이 형성되고 도랑의 양측에는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의 기울기 조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는 사각기둥 구조로 이루어져 앵커유닛의 도랑에 삽입 설치되며, 앵커유닛에 삽입 결합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체결핀이 기울기 조정홈을 관통하여 사각기둥에 체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앵커유닛의 일단부 상에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스크류 드라이버가 구 비되어 있고, 스크류 드라이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부가 상기 앵커유닛에 구비된 기울기 조정홈을 따라 전후진 하여 직선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설대 승강장치는, 상기 가이드채널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쇠를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쇠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쇠가 안정적으로 곡면 형태의 상기 걸림부 아래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걸림쇠는 둥근 막대 구조를 갖고, 걸림부의 안착홈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은 'ㄷ'자형 제1 빔과 'ㄷ'자가 180도 회전된 형태의 제2 빔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을 연결하는 연결핀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설대 승강장치는, 상기 프로파일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에는 프로파일의 플랜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채널프레임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채널프레임의 상부는 사선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프로파일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상기 승강작동수단에 삽입될 때 프로파일의 삽입을 가이드하며, 상기 사선형의 평판 하부는 수직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삽입된 프로파일의 플랜지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암이 직선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가이드홈과, 상기 제1 가이드홈에 대하여 사선 방향의 원호를 따라 상기 가이드암이 회전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구조의 관통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가이드홈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상부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가이드홈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하부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암은,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부 중첩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가이드암과, 상기 하부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부 중첩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가이드암과, 상기 상부 가이드암과 상기 하부 가이드암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설대 승강장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가아드 암과 상기 하부 가이드암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이동하는 제1 가이드핀과,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가이드암과 상기 하부 가이드암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이동한 다음 가이드홈의 사선 방향의 원호를 따라 상기 제1 가이드핀을 회전중심축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암 및 상기 하부 가이드암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핀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에는 가이드암이 닫혀진 경우의 제2 가이드핀이 위치되는 곳에 단턱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단턱에 의해 제2 가이드핀의 헤드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2 가이드핀은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되게 되며, 상기 제2 가이드핀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때 상기 제2 가이드핀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핀이 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때 하방향으로 원상회복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핀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때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작동수단의 가이드암을 용이하게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승강작동수단에 프로파일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쉽다.
건축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프로파일과 연결하여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고, 적재함을 연결하여 고하중의 중량물을 적재하고 승강시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건설현장이나 하역장 등에서 각종 가설대를 원하는 위치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어, 작업 진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승강장치에 비하여 기구적 구성이 훨씬 간소화되어 있고, 조작도 편리하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 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로서 제1 승강작동수단과 제2 승강작동수단을 승강구동수단에 결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로서 제1 승강작동수단과 제2 승강작동수단을 승강구동수단에 결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프로파일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승강작동수단이 프로파일에 결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제1 승강작동수단에 대한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제1 승강작동수단의 가이드암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1 승강작동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브라켓이 제1 승강작동수단에 결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브라켓이 제1 승강작동수단에 결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1 승강작동수단에 걸림쇠 안착홈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걸림쇠 안착홈이 구비된 제1 승강작동수단을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제2 승강작동수단에 대한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제2 승강작동수단의 가이드암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제2 승강작동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기울기보정홈에 대한 연결핀의 위치에 따른 기울어짐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고정부와 앵커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는 구조물에 가설대 승강작치가 장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구조물에 가설대 승강작치가 장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가설대 승강장치는 구조물 외벽에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걸림부(140)가 구비된 프로파일(100)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수단(200, 300)을 포함하며, 또한 가설대를 상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하의 승강작동수단(200, 300) 사이에 결합되어 승강작동수단(200, 300)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수단(40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승강'이라 함은 상승과 하강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제2 승강작동수단(300)에서 공통되는 부재의 도면 부호는 백단위 도면 번호만 다르고 십단위와 일단위 번호는 동일하게 부여하였는데, 예컨대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에 대하여 '210'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에 대하여는 도면 부호를 '310'으로 부여하였으며, 따라서 미설명되는 도면 부호는 이러한 기준을 참조하여 제1 승강작동수단(200) 또는 제2 승강작동수단(3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재가 설명되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승강작동수단(200,300)은 승강구동수단(400)을 기준으로 상·하측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편의상 하측의 것을 제1 승강작동수단(200)이라 칭하고, 상측의 것을 제2 승강작동수단(300)이라 칭한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제2 승강작동수단(300) 중 어느 하나는 건축 구조물의 외벽 또는 슬라브(10)에 설치되어 고정 이 된다. 이하에서는 제1 승강작동수단(200)이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도 20 내지 도 22의 '10' 참조)에 고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프로파일(100)이 승강할 때에는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210) 또는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3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걸림부(140)가 걸림결합된 상태에서 걸림결합되지 않은 걸림쇠(210,310)의 간섭 없이 승강하다가 소정 높이에서 걸림쇠(210,310)에 걸림작용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승강구동수단(400)은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제2 승강작동수단(300) 사이에 결합이 되어 이들 승강작동수단(200,300)이 승강하는 데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승강구동수단(400)의 구체적인 예로는, 큰 힘을 낼 수 있으면서 완충성능과 제어성능이 우수한 유압 액추에이터를 들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유압원(미도시)으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유압실린더(410)와 피스톤 로드(420) 등으로 구성된 유압 액추에이터가 예시되어 있다.
위의 설명과 같이 구성된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제2 승강작동수단(300) 및 승강구동수단(400)은 도 1 내지 도 4에 보인 것처럼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프로파일(100)이 설치된다.
프로파일(100)은 승강 구간별로 걸림부(140)가 구비된 구조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ㄷ'자형 제1 빔과 'ㄷ'자가 180도 회전된 형태의 제2 빔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된 구조로 개시되어 있다. 이 프로파일(100)은 가설대와 연결되거나 하물이 적재된 가설대와 연결되며, 승강작동수단(200,3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작동수 단(200,300)을 승강축으로 하여 승강하면서 가설대를 승강시키게 된다. 걸림부(140)는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을 연결하는 연결핀(130)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걸림부(140)는 가설대가 승강하는 소정의 구간별로 일정 간격을 이루고 있다. 이 걸림부(140)에는 후술하는 승강작동수단(200,300)의 걸림쇠(210,310)가 걸림작용된다. 걸림부(140)는 예를 들어 새의 부리 모양을 하고 있는데, 상단부(142)는 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사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하단부는 안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안착홈이 있으며, 걸림부(140)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상기 걸림쇠(210,310)는 둥근 막대 구조를 갖고, 걸림부의 안착홈 곡률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로파일(100)은 가설대의 승강 작업이 필요한 장소의 구조물(10)(예를 들면, 건설 작업용 가설대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외벽 또는 판상 슬라브)에 설치된 승강작동수단(200,300)에 설치된다.
다음에서는 전술한 승강작동수단(200,30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은 상부 가이드프레임(220)과 하부 가이드프레임(230)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프레임(240)을 구비하며, 상부 가이드프레임(220), 하부 가이드프레임(230) 및 지지프레임(240)은 걸림쇠(210)를 기준으로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다.
서로 마주보게 구비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에는 걸림쇠(210)를 가이드하기 위한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60)이 마련되어 있고, 한 쌍의 지지프레임(240)들 사이에는 걸림쇠(21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걸림쇠(210)는 지지프레임(240) 내에 구비된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가이드된다. 걸림쇠(210)는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에 걸림작용될 수 있도록 둥근 막대 형상을 가진다. 걸림쇠(210)에 맞물리는 걸림부(140)의 해당 부위에는 곡면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부(140)의 안착홈은 걸림쇠(210)의 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걸림쇠(210)는 걸림부(140)에 안정적인 상태로 걸림 결합되게 된다.
걸림쇠(210)는 프로파일(100)의 상승시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를 상대로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하게 되며, 승강 정지시에는 걸림쇠(210)가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에 걸리게 된다. 즉, 프로파일(10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걸림부(140)에 의해 걸림쇠(210)는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140)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걸림쇠(210)가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60)의 하부로 내려오게 되면 걸림부(140)와 걸림 결합될 준비가 된 것이다. 걸림쇠(210, 310)가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에 걸려 있을 때, 프로파일(100)은 승강작동수단(200, 3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쇠(210)는 프로파일(100)이 상향진입시 걸림부(140)에 접촉되어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상향 이동되고, 프로파일(100)이 하향진입시 걸림부(140)와 상호 걸림결합되어 걸림부(140)의 아래를 지지한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60) 일단부 에는 걸림쇠(210)를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쇠 안착홈(262)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승강작동수단(200, 300)이 프로파일(100)을 상승하거나 하강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걸림쇠(210)는 지지프레임(240)에 형성된 걸림쇠 안착홈(262)에 고정되고, 승강작동수단(200, 300)이 프로파일(100)을 상승하거나 하강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걸림쇠 안착홈(262)에서 걸림쇠(210)를 약간 들어올리게 되면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걸림쇠(210)는 미끄러져 내려오게 된다. 걸림쇠 안착홈(262)과 가이드채널(260)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걸림쇠(210)의 고정과 이동이 원활하도록 되어 있으며, 걸림쇠 안착홈(262)은 가이드채널(26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작업자에 의해 걸림쇠(210)가 걸림쇠 안착홈(262)에서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60)에 진입하게 되면 그 무게에 의해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60)은 따라 내려오게 되며, 이에 따라 걸림쇠(21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항상 가이드채널(260)의 하단부에 놓여있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쇠(210)는 외력이 없는 경우 항상 걸림부(140)에 맞물릴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220,230), 지지프레임(240) 및 걸림쇠(210)의 구성은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에는 프로파일(100)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닫혀지거나 개방되는 가이드암(222,2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암(222,232)은 프로파일(100)의 플랜지(120)를 부분적으로 감싸게 됨으로써, 프로파일(100)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게 한다. 가이드암(222, 232)은 상부 가이드암(222)과 하부 가이드암(232)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234)를 구비하 며, 상부 가이드암(222), 하부 가이드암(232) 및 지지부재(234)는 걸림쇠(210)을 기준으로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암(222, 232)은 프로파일(100)의 웹(11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채널(236)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가이드채널(236)은 프로파일(100)이 승강시 프로파일의 웹(110)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여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며, 프로파일의 웹(110)의 폭보다 작은 평판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파일(10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프레임(240)의 일단부에는 프로파일의 플랜지(120)를 가이드하기 위한 채널프레임(243)이 구비되어 있다. 채널프레임(243)은 프로파일(100)이 승강시 프로파일의 플랜지(12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는 사선형의 평판 구조로 이루어져 프로파일(100)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삽입될 때 프로파일(100)의 삽입을 가이드하여 삽입 편차가 생기더라도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사선형의 평판 하부는 수직의 평판 구조로 이루어져 삽입된 프로파일의 플랜지(12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암(222,232)과 채널프레임(243)의 구성은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가이드암(222,232)의 일단부는 상부 가이드프레임(220)과 하부 가이드프레임(230)과 일부 중첩되어 맞물리게 설치된다. 상부 가이드암(222)의 일단부는 상부 가이드프레임(220)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하부 가이드암(232)의 일단부는 하부 가이드프레임(230)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부 가이드프레임(220) 및 하부 가이드프레임(230)에는 가이드암(222,232) 의 이동 경로인 가이드홈(238, 239)이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암(222,232)은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가이드홈(238, 239)을 따라 프로파일(100)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슬라이딩됨으로서 개방되거나 닫혀진다. 가이드홈(238, 239)은 가이드암(222,232)이 수평으로 직선 이동된 후, 직선 이동된 경로에 대하여 사선 방향의 경로(원호)로 회전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상부 가이드프레임(220) 및 하부 가이드프레임(230)에 홈이 형성된 것이다. 상부 가이드암(222)과 하부 가이드암(232)은 가이드홈(238, 239)을 관통하는 제1 가이드핀(244)과 제2 가이드핀(246)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암(222,232)이 가이드홈(238, 239)을 따라 이동시, 제1 가이드핀(244)은 수평으로 직선 이동만을 하게 되고, 제2 가이드핀(246)은 수평으로 직선 이동을 한 후, 제1 가이드핀(244)을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직선 이동된 경로에 대하여 사선 방향의 경로(원호)를 따라 회전 이동되게 된다. 가이드암(222,232)이 닫혀져 있는 경우, 가이드암(222, 232)은 제1 가이드핀(244) 및 제2 가이드핀(246)에 의해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프로파일(100)을 제1 승강작동수단(200)에 설치하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가이드암(222,232)을 가이드홈(238, 239)을 따라 이동되게 하여 젖혀지도록 개방한다. 프로파일(100)을 승강작동수단(200)에 장착하기 위하여 가이드암(222,232)이 제1 가이드핀(244) 및 제2 가이드핀(246)의 직선 이동에 의해 제1 가이드홈(238)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하고, 제1 가이드홈(238)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구비된 원호 모양의 제2 가이드홈(239)을 따라 제2 가이드핀(246)이 제1 가이드핀(244)을 회전중심축으로 회전 이동되게 함 으로써 가이드암(222, 232)이 제2 가이드홈(239)을 따라 이동되어 개방되게 된다. 제1 가이드핀(244)과 제2 가이드핀(246)이 제1 가이드홈(238)을 따라 직선 이동될 때에는 함께 이동되며, 제1 가이드핀(244)이 제1 가이드홈(238)의 일단에 도달한 후에는 제1 가이드핀(244)은 더 이상 직선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게 되며 제2 가이드핀(246)은 제1 가이드핀(244)을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제2 가이드홈(239)을 따라 회전 이동된다. 가이드암(222,232)이 가이드홈(238, 239)을 따라 이동이 완료되면 가이드암(222,223)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되게 된다.
상부 가이드프레임(220)에는 가이드암(222, 232)이 닫혀진 경우의 제2 가이드핀(246)이 위치되는 곳에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24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단턱(247)에 의해 제2 가이드핀(246)의 헤드부가 삽입되어 제2 가이드핀(246)은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되게 되며, 제2 가이드핀(246)이 상방향으로 약간(약 1∼3㎝ 정도) 들어올려질 때 제2 가이드핀(246)이 가이드홈(238, 239)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제2 가이드핀(246)은 단턱(247)에 의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제2 가이드핀(246)에는 탄성부재(249)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통상적인 토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핀(246)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이 안정적이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249)는 제2 가이드핀(246)이 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때 하방향으로 원상회복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제2 가이드핀(246)이 상방향으로 약간(약 1∼3㎝ 정도) 들어올려질 때 제2 가이드핀(246)이 가이드홈(238, 239)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하고,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제2 가이드핀(246)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가이드핀(246)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때 가이드홈(238, 239)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프로파일(100)을 제1 승강작동수단(200)에 설치하는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가이드암(222,232)을 가이드홈(238, 239)을 따라 이동되게 하여 젖혀지도록 개방한 상태에서 승강작동수단(200,300)이 위치된 방향으로 프로파일(100)의 플랜지(120)를 삽입한다.
프로파일(100)의 플랜지(120)가 삽입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작동수단(200,300)의 가이드암(222,232)이 프로파일(100)의 플랜지(12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가이드암(222,232)을 닫음으로써 승강작동수단(200,300)에 프로파일(100)이 설치된다. 즉, 가이드암(222,232)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고 있는 제2 가이드핀(246)을 약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고, 제1 가이프핀(244)을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제2 가이드핀(246)을 이용하여 제2 가이드홈(239)을 따라 회전되게 한 후 제1 가이드핀(244)과 제2 가이드핀(246)이 제1 가이드홈(238)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암(222,232)이 플랜지(12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닫혀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구성은 제2 승강작동수단(3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제2 승강작동수단(300)은 서로 호환할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프레임(241) 사이로 삽입된 승강구동수단(400)의 하단부를 결합핀(242)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핀(242)이 삽입되는 관통공(27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프레임(241)은 지지프레임(240)이 후방향(프로파일이 결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240)과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승강작동수단(200)은 한쌍의 지지프레임(241) 사이로 승강구동수단(400)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241) 상측의 관통공(270)으로 결합핀(242)이 삽입됨으로써 승강구동수단(400)과 결합이 된다.
이러한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구성은 제2 승강작동수단(3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경우에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341) 사이로 삽입된 승강구동수단(400)의 상단부를 결합핀(342)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핀(342)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승강작동수단(300)은 한쌍의 고정프레임(341) 사이로 승강구동수단(400)의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340) 하측의 관통공으로 결합핀(342)이 삽입됨으로써 승강구동수단(400)과 결합이 된다.
또한, 가설대 승강장치는, 제1 승강작동수단(200)을 구조물(10) 또는 고정부(500)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2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52)은, 고정프레임(241) 또는 지지프레임(240)의 측면에 일부 중첩되게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한 쌍의 패널프레임(254b)과, 패널프레임(254b)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54a)을 포함하고, 지지프레임(240)과 패널프레임(254b)은 결합고정 핀(258)을 통해 서로 결착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241) 또는 지지프레임(240)과 패널프레임(254b)에 결합고정핀(258)으로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264)이 구비되어 있고, 결합고정핀(258)은 둥근 막대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부(259)가 일부 형성된 구조를 갖고, 관통공(264)은 결합고정핀(258)의 구조에 대응하여 돌기부(259)가 삽입되는 삽입홈(264")과 원형(264')의 복합 구조로 이루어지며, 결합고정핀(258)이 관통공(264)에 삽입되어 결합고정핀(258)이 회전되게 되면 결합고정핀(258)은 둥근 막대에 형성된 돌출부(259)에 의해 관통공(264)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구조물(10)에 제1 승강작동수단(200)을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266)이 연결프레임(254a)에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266)을 통해 볼트가 삽입되어 제1 승강작동수단(200)이 구조물(10) 또는 고정부(500)에 고정되게 된다.
프로파일(100)의 기울어짐에 대응되게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보정홈(268)이 프로파일(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패널프레임(254b)에 구비되어 있고, 기울기보정홈(268)에 연결핀(272)이 삽입되고 기울기보정홈(268)의 길이 방향에 대한 연결핀(272)의 위치를 제어하여 지지프레임(240)(또는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기울어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기울기보정홈(268)에 대한 연결핀(272)의 위치에 따른 기울어짐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가설대의 무게 등에 의해 프로파일이 "/" 또는 "\"모양의 기울기를 갖더라도, 기울기보정홈(268)에 대한 연결핀(27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프로파일(100)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은 브라켓(252)을 통해 고정부(50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고정부(500)에는 서로 연결된 제1 몸체부(502)와 제2 몸체부(504)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몸체부(502)에는 전술한 제1 승강작동수단(2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브라켓(252)의 연결공(266)을 통해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너트공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프레임(254a)에 형성된 연결공(266)을 통해 체결볼트가 제1 몸체부(502)에 형성된 너트공으로 삽입됨으로써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고정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52)의 연결공(266)을 통해 고정부(500)의 너트공에 체결볼트를 삽입하여 브라켓(252)을 고정부(500)에 결합시킬 때,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브라켓(252)을 회전시켜 프로파일(100)의 기울어짐에 맞추어 조절함으로써, 승강방향의 비틀림에 맞추어 가설대를 승강하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브라켓(252)이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프로파일(100)의 기울어짐이 변화되어도 그에 맞추어 가설대를 승강하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브라켓(252)의 회전으로 프로파일(100)의 기울어짐에 맞추어 상대적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제1 승강작동수단(200)이 프로파일(100)의 기울어짐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500)는 구조물(10)의 판상 슬라브에 설치되는 앵커유닛(60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500)의 제2 몸체부(504)는 앵커유닛(600)에 일부 진입하여 상호 중첩되고 그 중첩부위를 삽입관통하는 체결핀(516,516')에 의해 앵커유닛(600)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앵커유닛(600)에는 도랑(602)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500)의 제2 몸체부(504)는 앵커유닛(600)의 도랑(602)에 삽입 설치된다. 제2 몸체부(504)는 사각기둥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앵커유닛(600)에 삽입 결합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핀 체결구(518,518')가 사각기둥 양쪽에 구비되어 있다.
앵커유닛(600)에는 도랑(602)이 형성되어 있고 도랑(602)의 양측에는 적어도 1개의 기울기 조정홈(604,604')이 구비되어 있다. 기울기 조정홈(604,604')은 도랑(602)의 양측에 일정 길이의 홈이 형성된 것이다. 앵커유닛(600)의 도랑(602)에 제2 몸체(504)가 삽입되면, 상기 기울기 조정홈(604,604')의 구멍을 통해 핀 체결구(518,518')에 체결핀을 체결하여 앵커유닛(600)과 고정부(500)를 결합한다. 앵커유닛(600)의 기울기 조정홈(604,604')은 고정부(500)가 수평으로 직선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앵커유닛(600)의 일단부 상에는 스크류 드라이버(610)가 구비되어 있다. 스크류 드라이버(610)는 고정부(500)의 제1 몸체부(502)와 연결되어 있고, 스크류 드라이버(610)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부(500)가 기울기 조정홈(604,604')을 따라 전후진 하여 직선이동하게 된다. 스크류 드라이버(610)의 구동에 의하여 고정부(500)를 전후로 움직일 수 있고, 고정부(500)에는 제1 승강작동수단(200)이 체결되어 있으므로 고정부(500)가 전후 직선이동함에 따라 제1 승강작동수단(200)도 전후 직선이동하게 된다. 스크류 드라이버(610)는 앵커유닛(600)에 고정되는데, 스크류 드라이버(610)를 앵커유닛(600)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620)가 구비되고 연결부(620)와 앵커유닛(600)에 형성된 볼트 체결구(612, 622)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스크류 드라이버(610)를 앵커유닛(6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전후 직선 이동은 프로파일(100)을 승강시 키거나 하강시킬 때 유격을 제어하는데 필요하다. 또한, 고정부(500) 및 제1 승강작동수단(200)이 전후 직선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건축하려는 구조물의 외형이 변화되어도 그에 맞추어 가설대를 승강하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크류 드라이버(610)로 고정부(500)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구조물의 외벽이 경사져 있더라도 그에 맞추어 프로파일(100)의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인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 모양의 기울기를 갖는 구조물의 외벽에 대하여는, 하부에 있는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결합된 고정부(500)는 스크류 드라이버(610)를 이용하여 밖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부에 있는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결합된 고정부(500)는 스크류 드라이버(610)를 이용하여 안으로 들어가게 조절함으로서, 프로파일(100)이 "\" 모양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가설대를 승강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승강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가 구조물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승강장치의 승강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서 구조물(10)이 마치 공중에 떠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이는 간략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구조물(10)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슬라브를 의미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체에 연결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가설대를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킬 때 이루어지는 승강장치의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강작동수단(200)가 브라 켓(252), 고정부(500) 및 앵커유닛(600)을 통해 구조물(10)에 설치되어 고정이 되고,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제2 승강작동수단(300) 모두 프로파일(100)과 대향하고 있다. 이때, 프로파일(100)은 예를 들어 지상에 놓여져 있다고 가정한다. 구조물(10)에 브라켓(252)을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 연결프레임(254a)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볼트가 삽입되어 브라켓(252)이 구조물(1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210,310)들은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 아래를 받쳐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은 걸림쇠(210)가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승강작동수단(300)도 걸림쇠(310)가 프로파일(100)의 다른 걸림부(140)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한편, 걸림쇠 안착홈(262)이 구비된 경우에는, 걸림쇠(210,310)는 걸림쇠 안착홈(262)에서 이탈되면 그 무게에 의해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서 항상 프로파일(100) 측으로 밀착되려는 힘을 받으며,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아래로 내려온 걸림쇠(210, 310)는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에 걸림 결합될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제2 승강작동수단(300)을 연결하고 있는 승강구동수단(400)을 작동시킨다. 승강구동수단(400)의 유압실린더(410)로부터피스톤 로드(420)를 충분히 이완시켜 제2 승강작동수단(300)을 상승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 유압 액추에이터로 예시된 승강구동수단(400)의 유압실린더(410)에 유압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하면 유압실린더(410)로부터 피스톤 로드(420)가 이완되면서 제2 승강작동수단(30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310)는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와 맞물려 지지하는 상태로 제2 승강작동수단(300)이 상승함에 따라 프로파일(100)이 상승하게 된다. 프로파일(10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제1 승강작동수단(100)의 걸림쇠(210)는 걸림부(140)와 부딪치면서 걸림부(140)에 의해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140)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므로 프로파일(100)은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210)의 간섭없이 상승할 수 있다.
승강구동수단(400)에 의해 제2 승강작동수단(300) 및 프로파일(100)이 소정의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제1 승강작동수단(200)이 해당 높이에 위치하는 걸림부(140)에 걸림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지할 위치(제1 승강작동수단의 걸림쇠 위치)보다 약간 상측에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가 위치하도록 피스톤 로드(420)를 이완시켰다가 다시 수축시킨다. 그러면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210)가 걸림부(140)에 걸리게 됨으로써 프로파일(100)이 제1 승강작동수단(200)에 고정이 된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에 의해 프로파일(100)이 고정되면, 승강구동수단(400)의 피스톤로드(420)을 수축시켜 제2 승강작동수단(300)이 하강되도록 한다. 이때, 프로파일(100)은 제1 승강작동수단(200)에 의해 고정되어 있게 된다.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하강시에 걸림쇠(310)는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므로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에 부딪치더라도 간섭없이 제2 승강작동수 단(30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즉,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하강시에 걸림쇠(310)가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 상부에 부딪치면 걸림쇠(310)는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걸림부(140)와의 접촉이 없어지면 무게에 의해 가이드채널(260) 하단부로 내려오게 된다.
제2 승강작동수단(300)이 소정의 높이로 하강한 상태에서 제2 승강작동수단(300)이 해당 높이에 위치하는 걸림부(140)에 걸림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 위치보다 약간 하측에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310)가 위치하도록 피스톤 로드(420)를 수축시켰다가 다시 이완시켜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310)가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에 결착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높이의 위치로 프로파일(1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상승에 따라 프로파일(100)이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단계적으로 프로파일(100)을 원하는 높이만큼 상승시킬 수가 있다.
다음으로, 가설대를 소정의 높이로 하강시킬 때 이루어지는 승강장치의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과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210,310)가 각각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에 걸림으로써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가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310)에 맞물려 있는 상태로 승강구동수단(400)이 이완된 상태에서 승강구동수단(400)의 유압 실린더(410)로부터 피스톤 로드(420)를 약간 하강시킴으로써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210)가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210)가 걸림부(140)에 장애를 받지 않고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걸림쇠 안착홈(262)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된다.
이어서,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210)를 걸림쇠 안착홈(262)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승강구동수단(400)의 유압실린더(410)와 피스톤 로드(420)의 수축시 프로파일(100)이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210)에 구애를 받지 않고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유압실린더(410)와 피스톤 로드(420)를 수축시키면,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210)에 최초로 걸려있던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가 걸림쇠(210)를 지나 통과하게 되어 제1 승강작동수단(200)에 최초에 걸려있던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는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에 최초로 걸려있던 프로파일(140)의 걸림부(140)가 제1 승강작동수단(200)을 완전히 통과하면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210)를 걸림쇠 안착홈(262)에서 이탈시켜 가이드채널(260)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러면 피스톤 로드(420)의 의해 프로파일(100)이 하강할 때, 걸림쇠(210)는 프로파일(100) 측으로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프로파일(100)이 소정의 높이로 하강을 완료하게 되면, 제1 승강작동수단(200)의 걸림쇠(210)가 해당 높이의 걸림부(140)에 걸림작용됨으로써 프로파일(100)이 정지하게 된다.
제1 승강작동수단(200)에 의해 프로파일(100)이 고정되면, 승강구동수단(400)의 유압 실린더(410)와 피스톤 로드(420)를 약간 수축시킴으로써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310)가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림쇠(310)가 걸림부(140)에 장애를 받지 않고 가이드채널(360)을 따라 걸림쇠 안착홈(362)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된다.
이어서,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310)를 걸림쇠 안착홈(362)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승강구동수단(400)의 피스톤 로드(420)의 상승시 제2 승강작동수단(300)이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에 구애를 받지 않고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승강구동수단(400)의 피스톤로드(420)를 이완시켜 제2 승강작동수단(300)이 상승되도록 한다. 이때, 프로파일(100)은 제1 승강작동수단(200)에 의해 고정되어 있게 된다.
제2 승강작동수단(300)이 소정의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제2 승강작동수단(300)이 해당 높이에 위치하는 걸림부(140)에 걸림결합되도록 걸림쇠(310)를 걸림쇠 안착홈(362)에서 이탈시켜 가이드채널(360)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제2 승강작동수단(300)의 걸림쇠(310)가 프로파일(100)의 걸림부(140)에 결착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높이의 위치로 하강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프로파일(100)에 연결된 가설대 또는 하물을 적재한 수단을 소정 높이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로서 제1 승강작동수단과 제2 승강작동수단을 승강구동수단에 결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로서 제1 승강작동수단과 제2 승강작동수단을 승강구동수단에 결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설대 승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프로파일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승강작동수단이 프로파일에 결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제1 승강작동수단에 대한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제1 승강작동수단의 가이드암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승강작동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브라켓이 제1 승강작동수단에 결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브라켓이 제1 승강작동수단에 결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1 승강작동수단에 걸림쇠 안착홈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걸림쇠 안착홈이 구비된 제1 승강작동수단을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제2 승강작동수단에 대한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제2 승강작동수단의 가이드암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2 승강작동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기울기보정홈에 대한 연결핀의 위치에 따른 기울어짐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고정부와 앵커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는 구조물에 가설대 승강작치가 장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구조물에 가설대 승강작치가 장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조물 100: 프로파일
200,300: 승강작동수단 210,310: 걸림쇠
220,230: 가이드프레임 222,232: 가이드암
238: 제1 가이드홈 239: 제2 가이드홈
240: 지지프레임 244: 제1 가이드핀
246: 제2 가이드핀 252: 브라켓
400: 승강구동수단 500: 고정부
600: 앵커유닛
Claims (22)
-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걸림부가 구비된 프로파일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있어서,상기 프로파일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에 사선형으로 구비되고 걸림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파일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에 의해 걸림쇠가 사선형의 경로를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걸림쇠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채널;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상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와 상호 걸림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기 위한 걸림쇠; 및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암을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는 프로파일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있어서,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한 프로파일;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 중 어느 하나가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에 걸림작용될 수 있는 걸림쇠가 구비되어 상하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는 승강작동수단; 및상기 상하의 승강작동수단 사이에 결합되어 승강작동수단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승강작동수단은,상기 프로파일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에 사선형으로 구비되고 걸림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파일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에 의해 걸림쇠가 사선형의 경로를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걸림쇠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채널;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상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와 상호 걸림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 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기 위한 걸림쇠; 및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암을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걸림부가 구비된 프로파일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있어서,상기 프로파일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에 사선형으로 구비되고 걸림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파일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에 의해 걸림쇠가 사선형의 경로를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걸림쇠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채널;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상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와 상호 걸림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기 위한 걸림쇠;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암;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아드 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암의 이동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핀; 및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 이동한 후 가이드홈의 사선 방향의 원호를 따라 상기 제1 가이드핀을 회전중심축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암의 이동을 제공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며,상기 가이드암은 상기 제1 가이드핀과 제2 가이드핀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구조물 외벽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는 프로파일을 포함한 가설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에 있어서,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한 프로파일;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 중 어느 하나가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에 걸림작용될 수 있는 걸림쇠가 구비되어 상하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는 승강작동수단; 및상기 상하의 승강작동수단 사이에 결합되어 승강작동수단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승강작동수단은,상기 프로파일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된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에 사선형으로 구비되고 걸림쇠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파일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에 의해 걸림쇠가 사선형의 경로를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부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걸림쇠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채널;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상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상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프로파일이 하향진입시 상기 걸림부와 상호 걸림결합되며, 상기 걸림부의 아래를 지지하면서 상기 프로파일을 승강시키기 위한 걸림쇠;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암;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아드 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암의 이동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핀; 및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 이동한 후 가이드홈의 사선 방향의 원호를 따라 상기 제1 가이드핀을 회전중심축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암의 이동을 제공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며,상기 가이드암은 상기 제1 가이드핀과 제2 가이드핀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지지프레임이 후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구비된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고정프레임 사이로 삽입된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를 결합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핀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승강작동수단은 한쌍의 지지프레임 사이로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관통공으로 결합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승강구동수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상기 브라켓은,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일부 중첩되게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구비 된 한 쌍의 패널프레임; 및상기 패널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패널프레임은 결합고정핀을 통해 서로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패널프레임에 상기 결합고정핀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고정핀은 둥근 막대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부가 일부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결합고정핀의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원형의 복합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고정핀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고정핀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결합고정핀은 둥근 막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구조물에 상기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 상기 연결프레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이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기울어짐에 대응되게 지지프레임이 기울어지도록 보정하기 위한 기울기보정홈이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상기 패널프레임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기울기보정홈에 연결핀이 삽입되고 상기 기울기보정홈의 길이 방향에 대한 연결핀의 위치를 제어하여 지지프레임의 기울어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판상 슬라브에 설치되는 앵커유닛을 더 포함하며,상기 브라켓은 상기 앵커유닛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앵커유닛에 일부 진입하여 상호 중첩되고 그 중첩부위를 삽입관통하는 체결핀에 의해 상기 앵커유닛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유닛은 도랑이 형성되고 도랑의 양측에는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의 기울기 조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는 사각기둥 구조로 이루어져 앵커유닛의 도랑에 삽입 설치되며, 앵커유닛에 삽입 결합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체결핀이 기울기 조정홈을 관통하여 사각기둥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유닛의 일단부 상에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스크류 드라이버가 구비되어 있고, 스크류 드라이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부가 상기 앵커유닛에 구비된 기울기 조정홈을 따라 전후진 하여 직선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채널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쇠를 안착시키기 위한 걸림쇠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걸림쇠가 안정적으로 곡면 형태의 상기 걸림부 아래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걸림쇠는 둥근 막대 구조를 갖고, 걸림부의 안착홈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파일은 'ㄷ'자형 제1 빔과 'ㄷ'자가 180도 회전된 형태의 제2 빔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을 연결하는 연결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파일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부에는 프로파일의 플랜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채널프레임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채널프레임의 상부는 사선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프로파일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상기 승강작동수단에 삽입될 때 프로파일의 삽입을 가이드하며, 상기 사선형의 평판 하부는 수직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삽입된 프로파일의 플랜지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상기 가이드암이 직선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가이드홈과, 상기 제1 가이드홈에 대하여 사선 방향의 원호를 따라 상기 가이드암이 회전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구조의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가이드홈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상부 가이드프레임; 및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가이드홈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하부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암은,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부 중첩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가이드암;상기 하부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부 중첩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가이드암; 및상기 상부 가이드암과 상기 하부 가이드암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가아드 암과 상기 하부 가이드암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이동하는 제1 가이드핀; 및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가이드암과 상기 하부 가이드암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이동한 다음 가이드홈의 사선 방향의 원호를 따라 상기 제1 가이드핀을 회전중심축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며,상기 상부 가이드암 및 상기 하부 가이드암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핀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프레임에는 가이드암이 닫혀진 경우의 제2 가이드핀이 위치되는 곳에 단턱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단턱에 의해 제2 가이드핀의 헤드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2 가이드핀은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되게 되며, 상기 제2 가이드핀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때 상기 제2 가이드핀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핀이 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때 하방향으로 원상회복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핀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질 때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대 승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4761A KR101040033B1 (ko) | 2009-07-16 | 2009-07-16 | 가설대 승강장치 |
PCT/KR2010/000961 WO2011007949A1 (ko) | 2009-07-16 | 2010-02-17 | 가설대 승강장치 |
MYPI2012000209A MY162374A (en) | 2009-07-16 | 2010-02-17 | Device for lifting temporary stand |
SG2012003232A SG177682A1 (en) | 2009-07-16 | 2010-02-17 | Device for lifting temporary st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4761A KR101040033B1 (ko) | 2009-07-16 | 2009-07-16 | 가설대 승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7306A KR20110007306A (ko) | 2011-01-24 |
KR101040033B1 true KR101040033B1 (ko) | 2011-06-09 |
Family
ID=4344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4761A KR101040033B1 (ko) | 2009-07-16 | 2009-07-16 | 가설대 승강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0033B1 (ko) |
MY (1) | MY162374A (ko) |
SG (1) | SG177682A1 (ko) |
WO (1) | WO2011007949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9343B1 (ko) * | 2012-08-08 | 2014-08-12 |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 멀티 레일 클라이밍 장치 |
KR101613425B1 (ko) | 2014-09-22 | 2016-04-19 | 금강공업 주식회사 | 프로파일 걸림 장치 |
KR20180105839A (ko) | 2017-03-16 | 2018-10-01 | 주식회사 동신텍 | 슬라브 트러스 시스템 |
KR20240094722A (ko) | 2022-12-16 | 2024-06-25 | 주식회사 성신가설 | 가설대 승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503077A1 (en) * | 2011-03-23 | 2012-09-26 | ULMA C y E, S. COOP. |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adaptable to buildings undergoing construction having a variable vertical projection |
KR101321464B1 (ko) * | 2012-01-31 | 2013-10-28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클라이밍 시스템의 클라이밍 슈 |
EP2864564A4 (en) * | 2012-06-26 | 2015-12-23 | Form 700 Pty Ltd | ENHANCED FRAME FOR CLIMBING NET |
ES2589585T3 (es) * | 2013-04-09 | 2016-11-15 | Meva Schalungs-Systeme Gmbh | Sujeción para un patín de guía de un sistema trepante para encofrados de hormigón |
ES2703918T3 (es) * | 2014-08-27 | 2019-03-13 | Doka Gmbh |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guiar un soporte para un elemento de encofrado o de protección |
GB2541178B (en) * | 2015-07-30 | 2018-02-14 | Ischebeck Titan Ltd | Re-positionable floor guide system |
US11053699B2 (en) * | 2017-10-27 | 2021-07-06 | Doka Gmbh | Climbing shoe, safety screen support system and safety screen system |
KR102122507B1 (ko) * | 2019-07-23 | 2020-06-12 |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 시스템 안착 여부의 직관적 확인이 가능한 건축물 벽체 공사용 인양 시스템 |
GB2589924B (en) * | 2019-12-13 | 2021-12-15 | Ischebeck Titan Ltd | Floor guide for a climbing screen |
IT202100001778A1 (it) * | 2021-01-28 | 2022-07-28 | Huennebeck Italia S P A | Unita' di risalita |
CN113482312A (zh) * | 2021-07-01 | 2021-10-08 | 广西建工集团控股有限公司 | 导向式双层结构电梯井操作平台及基于该平台的施工方法 |
CN114033152B (zh) * | 2021-12-08 | 2023-06-27 |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 楼板附着装置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52249A1 (en) | 2000-01-18 | 2003-03-20 | Thomas Waldschmitt | Wall climbing form hoist |
KR20080005634U (ko) * | 2007-05-21 | 2008-11-26 | 삼목정공주식회사 |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
KR20090047104A (ko) * | 2007-11-07 | 2009-05-12 | 금강공업 주식회사 | 가설대 승강장치 |
KR20090047103A (ko) * | 2007-11-07 | 2009-05-12 | 금강공업 주식회사 | 가설대 승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44514A (ja) * | 1994-11-17 | 1996-06-04 | Hory Corp | 昇降機能を備えた足場付型枠装置及び足場付型枠装置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壁等の構築方法 |
-
2009
- 2009-07-16 KR KR1020090064761A patent/KR1010400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2-17 WO PCT/KR2010/000961 patent/WO201100794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2-17 MY MYPI2012000209A patent/MY162374A/en unknown
- 2010-02-17 SG SG2012003232A patent/SG177682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52249A1 (en) | 2000-01-18 | 2003-03-20 | Thomas Waldschmitt | Wall climbing form hoist |
KR20080005634U (ko) * | 2007-05-21 | 2008-11-26 | 삼목정공주식회사 |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
KR20090047104A (ko) * | 2007-11-07 | 2009-05-12 | 금강공업 주식회사 | 가설대 승강장치 |
KR20090047103A (ko) * | 2007-11-07 | 2009-05-12 | 금강공업 주식회사 | 가설대 승강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9343B1 (ko) * | 2012-08-08 | 2014-08-12 |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 멀티 레일 클라이밍 장치 |
KR101613425B1 (ko) | 2014-09-22 | 2016-04-19 | 금강공업 주식회사 | 프로파일 걸림 장치 |
KR20180105839A (ko) | 2017-03-16 | 2018-10-01 | 주식회사 동신텍 | 슬라브 트러스 시스템 |
KR20240094722A (ko) | 2022-12-16 | 2024-06-25 | 주식회사 성신가설 | 가설대 승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07949A1 (ko) | 2011-01-20 |
MY162374A (en) | 2017-06-15 |
KR20110007306A (ko) | 2011-01-24 |
SG177682A1 (en) | 2012-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0033B1 (ko) | 가설대 승강장치 | |
JP5368109B2 (ja) | 建築分野で利用するためのガイドシュー及び昇降システム | |
KR100927259B1 (ko) | 가설대 승강장치 | |
KR100704720B1 (ko) |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 |
KR100707548B1 (ko) | 자가 상승 폼웍의 상승 실린더 | |
KR100927258B1 (ko) | 가설대 승강장치 | |
US20080236944A1 (en) | Platform Support Device For Lifting Loads Or Persons The Height Of A Structure | |
JP5015630B2 (ja) |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の取り付け方法 | |
JP5264581B2 (ja) | セルフクライミング工事用リフト | |
KR102305399B1 (ko) | 시공 건축물의 높낮이 조절형 리프팅 장치 | |
JP4163177B2 (ja) | 足場システム | |
KR100707545B1 (ko) | 클라이밍폼의 상승 브래킷용 이동성 지지대 | |
KR101873394B1 (ko) |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 |
KR100841011B1 (ko) | 중량물 승강장치 | |
KR200423750Y1 (ko) | 가설대 승강장치 | |
KR101062138B1 (ko) |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 |
CN114945531B (zh) | 用于将装配框架引入竖井中的移动式传送设备及方法 | |
JP7220995B2 (ja) | 移動式足場装置、及び使用方法 | |
KR101306590B1 (ko) | 프로파일 안내 걸림 장치 | |
JP6419051B2 (ja) |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足場 | |
JP5581476B2 (ja) | 昇降式移動足場 | |
KR101613425B1 (ko) | 프로파일 걸림 장치 | |
JPH06212803A (ja) | 押し上げ引き上げ用複合ジャッキ装置 | |
JP4101232B2 (ja) | 昇降可能な仮設足場を用いた建設物の施工方法 | |
AU2003254411B2 (en) | A lifting or transporting means using a reciprocating j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