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94092B1 - 전자 기능 카드 및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자 기능 카드 및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092B1
KR100994092B1 KR1020080097330A KR20080097330A KR100994092B1 KR 100994092 B1 KR100994092 B1 KR 100994092B1 KR 1020080097330 A KR1020080097330 A KR 1020080097330A KR 20080097330 A KR20080097330 A KR 20080097330A KR 100994092 B1 KR100994092 B1 KR 10099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electronic function
guide
identific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454A (ko
Inventor
가즈키 사토
도루 와가츠마
다케시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5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6Guiding cards; Checking correct operation of card-conveying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edg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내부에 메모리칩 등이 수납된 박형의 전자 기능 카드로서, 카드의 형상이 거의 동일한 데다 내부의 전자 회로의 종별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전자 기능 카드와 이 전자 기능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 1 카드 (C1) 의 케이스 (1) 는 중심선 (O-O) 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인 직사각형상이다. 우측부 (1e) 와 좌측부 (1f) 에서는, 표면 (1a) 부터 두께 도중까지 움푹 패어 형성된 안내 식별홈 (6, 6) 이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에 표면 (1a) 부터 두께 도중까지 움푹 패어 형성된 중간 오목부 (8, 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식별홈 (6, 6) 의 길이 치수 (L1) 는 내부의 회로의 종별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카드 커넥터에서는, 안내 식별홈 (6, 6) 을 안내하고 있을 때에 그 길이를 검지함으로써 카드의 내부 회로의 종별을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능 카드 및 카드 커넥터 {ELECTRONIC FUNCTION CARD AND CARD CONNECTOR}
본 발명은, 합성 수지제의 소형이고 박형인 케이스 내에 메모리칩 등의 전자 회로가 수납된 전자 기능 카드 및 이 전자 기능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특허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는, 메모리 카드로 칭해지는 소형이고 박형인 전자 기능 카드가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 전자 기능 카드는,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된 소형이고 박형인 케이스 (하우징으로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내에 메모리칩이나 메모리 컨트롤러 등으로서 기능하는 IC 칩 등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표면에, 내부의 전자 회로에 도통하는 복수의 외부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 기능 카드는, 카드 커넥터에 장착될 때에 전방을 향하는 부분에서 그 폭 치수가 작아지도록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결손부가 형성된 형상이 일반적이다. 케이스의 측부에는, 카드 커넥터에 삽입되었을 때의 안내가 되는 안내홈 및 박육부가 형성되고, 또한, 카드 커넥터 내에 장착되었을 때에 판스프링 등으로 형성된 유지부가 끼워 맞춰지기 위한 유지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용 오목부와 유지부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카드가 카드 커넥터 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6906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08947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65229호
종래의 메모리 디바이스 등으로서 사용하는 전자 기능 카드는, 완전히 동일한 형상이고 동일한 구조의 케이스 내에 메모리 용량이 상이한 메모리칩을 수납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카드는, 그 표면에 인쇄 등으로 메모리 용량이 수치로 기재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그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데, 카드의 형상과 구조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이 카드를 카드 커넥터에 장착한 시점에서 메모리 용량의 차이를 장치측에서 즉시 인식할 수는 없다.
또한, 향후의 전자 기능 카드의 용도로서, 내부의 전자 회로의 구동 전압을 메모리 용량의 상이에 대응하여, 또는 내부 회로의 기능의 차이에 따라 상이하게 할 필요성이 예측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카드의 형상과 구조가 완전히 동일하면, 카드 커넥터에 장착된 시점에서 장치측에 있어서 구동 전압의 차이를 인식할 수 없고, 그 때문에 잘못된 전압이 공급되어 내부 회로를 손상시키는 등의 폐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에는 내부 회로의 기능이 상이하고 또는 인터페이스의 규격이 상이한 카드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카드 커넥터로서, 상기 특허 문헌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이한 형상의 카드를 동일한 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이한 기능이고 상이한 형상인 카드를 공통의 카드 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카드 커넥터의 내부에 복수 종의 접속 단자를 형성하거나 하여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카드 커넥터 내에 각각의 종류의 카드에 대응하는 유지 기구를 개별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게 되어, 소형의 카드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내부의 전자 회로의 사양이 상이해도 케이스의 외형과 구조가 거의 동일해서,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는 데다, 카드 커넥터에 장착한 시점에서 내부의 전자 회로의 사양이나 종별의 차이를 인식시킬 수 있는 전자 기능 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장착되었을 때에 케이스 내의 전자 회로의 사양이나 종별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 1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 회로와, 상기 전자 회로에 도통하여 케이스의 표면에 나타나 있는 복수의 외부 접속부가 형성된 전자 기능 카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두께 방향에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과, 카드 커넥터로의 삽입 방향으로 향해지는 전단부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우측부와 좌측부를 갖고, 상기 외부 접속부는,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부와 상기 좌측부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제 1 면부터 상기 케이스의 두께 도중까지 움푹 패어 형성되어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안내 식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식별홈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전자 회로의 종별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 식별홈보다 후방에, 카드를 유지하기 위한 중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식별홈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에 상관없이, 상기 전단부부터 상기 중간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일정하다.
제 2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 회로와, 상기 전자 회로에 도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나타나 있는 복수의 외부 접속부가 형성된 제 1 카드와 제 2 카드를 갖는 전자 기능 카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와 상기 제 2 카드의 각각에서, 상기 케이스는, 두께 방향에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과, 카드 커넥터로의 삽입 방향으로 향해지는 전단부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우측부와 좌측부를 갖고, 상기 외부 접속부는,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우측부와 상기 좌측부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제 1 면부터 상기 케이스의 두께 도중까지 움푹 패어 형성되어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안내 식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카드와 상기 제 2 카드에서, 상기 안내 식별홈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서로 상이하고, 그 이외에는, 상기 제 1 카드와 상기 제 2 카드에서 상기 케이스의 형상과 구조가 동일하고, 상기 제 1 카드와 상기 제 2 카드에서, 내부의 상기 전자 회로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본 발명은, 상기 안내 식별홈보다 후방에, 카드를 유지하기 위한 중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카드와 상기 제 2 카드에서, 상기 전단부부터 상기 중간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제 1 본 발명과 제 2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 회로의 종별이 상이해도, 케이스의 기본적인 형상과 크기 및 구조가 동일하다. 그리고, 케이스의 측부 전방에 형성된 안내 식별홈의 길이만이 내부 회로의 종별에 따라 상이하다.
이 전자 기능 카드가 카드 커넥터에 장착될 때에, 각각의 카드의 안내 식별홈을 카드 커넥터 내의 공통의 안내부에 의해 안내할 수 있는 데다 안내 식별홈의 길이 차이를 검지함으로써, 카드 커넥터에 장착된 시점에서 내부의 전자 회로의 사양이나 종별의 차이로 검지할 수 있어, 각각의 카드에 적절한 제어 동작을 즉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상기 안내 식별홈의 길이 치수가 상이하면, 내부의 상기 전자 회로에 공급하는 구동 전압이 상이하다.
이 경우에, 카드가 카드 커넥터에 장착된 시점에서 내부의 전자 회로에 공급해야 할 전압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하여 상이한 전압을 공급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안내 식별홈의 길이 치수가 상이하면, 내부의 상기 전자 회로에 형성된 메모리 용량이 상이한 것이다.
제 3 본 발명은,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자 기능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식별홈을 통과시키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 식별홈의 길이 차이를 검지하는 식별 검지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 식별홈의 후단부의 위치 차이에 의해, 상기 식별 검지 기구가 상이한 동작을 실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카드 커넥터 내에, 상기 전자 기능 카드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된 것을 인식하고, 그 후에 상기 식별 검지 기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장착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의 종별을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판정 과정을 거침으로써, 카드의 내부 회로의 차이를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카드는 그 기본적인 형상과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카드 커넥터에서는 안내부나 접속 단자 등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경우가 없고, 복수 종의 전자 회로를 내장한 카드를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 기능 카드의 기본적인 구조나 치수가 동일하고, 단 안내 식별홈의 길이로만 내부의 전자 회로의 사양이나 종별의 차이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카드 커넥터는 안내 식별홈을 가이드하는 안내부 등을 복잡한 기 구로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카드는 안내 식별홈의 길이가 상이해도 중간 오목부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카드 커넥터 내에 형성된 하나의 유지부에 의해 내부의 전자 회로의 사양이나 종별이 상이한 카드를 각각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회로가 상이해도, 케이스의 크기나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구동 전압이나 용량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카드를 취급하기 쉬워진다.
도 1 은 카드 리더 (20)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와 도 3 은 덮개체를 분리한 카드 리더 (20)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카드 리더 (20) 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5 는 덮개체를 분리한 카드 리더 (20) 의 평면도이고, 도 6 과 도 7 은 제 1 카드가 장착되는 상태를 카드 리더 (20) 의 덮개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 은 제 2 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 는 제 3 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제 1 카드와 제 2 카드를 식별하는 식별 검지 기구 (70) 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A), 11(B) 는 상기 식별 검지 기구 (70) 의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2 이하에는 상기 카드 리더 (20) 에 장착되는 카드가 나타나 있다. 도 12 는 제 1 카드 (C1) 의 평면도이고, 도 13(A) 는 제 1 카드 (C1) 의 좌측면도이고, 도 14 는 제 1 카드 (C1) 를 경사진 하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제 2 카드 (C2) 의 평면도이다.
(제 1 카드의 형상)
도 12 내지 도 14 에 나타내는 제 1 카드 (C1) 는, 이른바 멀티미디어 카드 등의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제 1 카드 (C1) 는 플라스틱제의 케이스 (1) 를 갖고 있고, 이 케이스 (1) 내에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칩이나 메모리 컨트롤러로서 기능하는 IC 칩 등이 수납되어 있다.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 는 제 1 면인 표면 (1a) 과 제 2 면인 이면 (1b) 을 갖고 있다. 표면 (1a) 과 이면 (1b) 은 서로 평행한 평면이고, 표면 (1a) 과 이면 (1b) 의 간격이 제 1 카드 (C1) 의 두께 치수 (T) 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 (1b) 의 전방에는 복수 개 (13 개) 의 외부 접속부 (5) 가 노출되어 있다. 외부 접속부 (5) 의 표면은 케이스 (1) 의 이면 (1b) 과 거의 동일면이다.
여기서, 「표면」과「이면」이란 외부 접속부 (5) 를 갖는 면과 갖지 않는 면을 식별하기 위한 편의상의 명칭이며, 카드 리더 (20) 에 대해 표면 (1a) 을 상향으로 하여 장착해도 되고, 이면 (1b) 을 상향으로 하여 장착해도 된다.
도 12 내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 는 전단부 (1c) 와 후단부 (1d) 를 갖고 있다. 또한 우측부 (1e) 와 좌측부 (1f) 를 갖고 있다.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부 (1c) 는 표면 (1a) 과 수직인 평면이고, 표면 (1a) 과 이면 (1b) 의 모서리부에는 전방 경사면 (2) 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부 (1d) 는 표면 (1a) 및 이면 (1b) 에 수직인 평면이다. 우측부 (1e) 와 좌측부 (1f) 는 표면 (1a) 및 이면 (1b) 과 수직인 평면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부 (1c) 와 우측부 (1e) 의 경계부 및 전단부 (1c) 와 좌측부 (1f) 의 경계부, 즉 전단부 (1c) 의 좌우 양측부에는 원통면의 일부인 전방 코너 곡면 (3, 3) 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부 (1d) 와 우측부 (1e) 의 경계부 및 후단부 (1d) 와 좌측부 (1f) 의 경계부, 즉 후단부 (1d) 의 좌우 양측부에도 원통면의 일부인 후방 코너 곡면 (4, 4)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1) 를 표면 (1a) 측에서 본 평면도에서는, 케이스 (1) 의 형상은 전후로 연장되는 중심선 (O-O) 을 개재하여 좌우에 대칭인 형상이다.
케이스 (1) 의 전방 부분에서는, 우측부 (1e) 와 좌측부 (1f) 로부터 중심선 (O-O) 을 향하여 움푹 패인 안내 식별홈 (6, 6) 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식별홈 (6, 6) 은, 우측부 (1e) 및 좌측부 (1f) 와 평행이고 또한 우측부 (1e) 및 좌측부 (1f) 로부터 중심선 (O-O) 을 향하여 거리 (W1) 만큼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면 (6a, 6a) 과, 이면 (1b) 과 평행한 내저면 (6c, 6c) 을 갖고 있다. 그리고, 우측의 안내 식별홈 (6) 의 후단부와 우측부 (1e) 사이, 및 좌측의 안내 식별홈 (6) 의 후단부와 좌측부 (1f) 사이에는 각각 경사부 (6b, 6b)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6b, 6b) 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중심선 (O-O) 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면이고, 경사부 (6b, 6b) 는 평면 또는 곡률을 갖는 곡면이다.
이 경사부 (6b, 6b) 가 안내 식별홈 (6, 6) 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단차부이고, 이 단차부가 카드 커넥터 (20) 에 형성된 식별 검지 기구 (70) 를 동작시키는 식별부로서 기능한다.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식별홈 (6, 6) 은 케이스 (1) 의 표면 (1a) 으로부터 이면 (1b) 을 향하여 움푹 패어 있다. 케이스 (1) 의 표면 (1a) 부터 안내 식별홈 (6) 의 내저면 (6c) 까지의 거리, 즉 안내 식별홈 (6, 6) 의 표면 (1a) 으로부터 이면 (1b) 을 향한 깊이 치수 (t1) 는 제 1 카드 (C1) 의 전체 두께 치수 (T) 의 거의 1/2 이다. 또한, 상기 안내 식별홈 (6, 6) 이 표면 (1a) 으로부터 움푹 패어 형성된 결과, 그보다 이면측에는 이면 (1b) 과 상기 내저면 (6c, 6c) 사이에 끼인 부분인 박육부 (7, 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육부 (7, 7) 의 두께 치수 (t2) 도 제 1 카드 (C1) 의 전체 두께 치수 (T) 의 거의 1/2 이다.
안내 식별홈 (6, 6) 은 전단부 (1c) 의 좌우 양측부에서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부 (1c) 의 두께 치수는 그 중앙의 대부분이 T 이지만, 양측부에 있어서는 두께 치수는 t2 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식별홈 (6, 6) 의 전후의 길이 치수 (L1) 는 케이스 (1) 의 전단부 (1c) 부터 경사부 (6b, 6b) 의 후단부까지의 거리이다.
케이스 (1) 의 우측부 (1e) 와 좌측부 (1f) 에서는, 안내 식별홈 (6, 6) 의 후단부보다 후방으로 거리 (L2) 만큼 떨어진 위치에 중간 오목부 (8, 8) 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오목부 (8, 8) 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 (L3) 는 상기 안내 식별홈 (6, 6) 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 (L1) 보다 짧다.
중간 오목부 (8, 8) 는, 우측부 (1e) 및 좌측부 (1f) 보다 중심선 (O-O) 측에 위치하고 또한 우측부 (1e) 및 좌측부 (1f) 와 평행한 내측단 (8a, 8a) 을 갖고 있다. 우측부 (1e) 부터 내측단 (8a) 까지의 폭 치수 그리고 좌측부 (1f) 부터 전내단 (8b) 까지의 폭 치수 (W2) 는 상기 안내 식별홈 (6, 6) 의 폭 치수 (W1) 와 거의 동일하다.
중간 오목부 (8, 8) 는 전내단 (8b) 과 후내단 (8c) 을 갖고 있고, 전내단 (8b) 과 후내단 (8c) 사이의 전후 간격이 중간 오목부 (8, 8) 의 길이 치수 (L3) 이다.
도 13(A) 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오목부 (8, 8) 는 내저단 (8d, 8d) 을 갖고 있고, 이 내저단 (8d, 8d) 은 이면 (1b) 과 평행이다. 표면 (1a) 부터 내저단 (8d, 8d) 까지의 치수가 중간 오목부 (8, 8) 의 깊이 치수 (t3) 이고, 이 깊이 치수 (t3) 는 상기 안내 식별홈 (6) 의 깊이 치수 (t1) 보다 크다.
이 제 1 카드 (C1) 가 카드 리더 (20) 에 장착될 때에, 안내 식별홈 (6) 내를 통과한 유지부 (53) (도 2 와 도 5 참조) 가 중간 오목부 (8) 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 1 카드 (C1) 가 카드 리더 (20) 내의 슬라이더 (41) 에 유지된다.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식별홈 (6, 6) 및 중간 오목부 (8, 8) 가, 함께 표면 (1a) 으로부터 이면 (1b) 을 향하여 두께 치수 (T) 의 도중까지 움푹 패인 형상이기 때문에, 안내 식별홈 (6, 6) 내를 통과한 유지부 (53) 를 그 직후에 중간 오목부 (8, 8) 에 끼워 맞출 수 있다. 게다가, 안내 식별홈 (6, 6) 의 후단부에 경사부 (6b, 6b)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부 (53) 는 경사부 (6b, 6b) 에 유도되어 순조롭게 중간 오목부 (8, 8) 내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오목부 (8, 8) 의 깊이 치수 (t3) 는 안내 식별홈 (6, 6) 의 깊이 치수 (t1) 보다 크기 때문에, 안내 식별홈 (6, 6) 내를 통과한 유지부 (53) 가 중간 오목부 (8, 8) 에 비집고 들어가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유지부 (53) 를 중간 오목부 (8, 8) 에 확실하게 끼워 맞춰, 제 1 카드 (C1) 를 카드 리더 (20) 내의 슬라이더 (41) 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 의 후단부 (1d) 보다 약간 내측에는 표면 (1a) 으로부터 움푹 패인 적출 오목부 (9)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C1) 가 카드 리더 (20) 에 장착되면, 상기 적출 오목부 (9) 를 갖는 후단 부분이 카드 리더 (20) 로부터 돌출된다. 이 적출 오목부 (9) 에 손톱을 거는 등 하여 제 1 카드 (C1) 를 카드 리더 (20) 로부터 꺼낼 수 있다.
(제 2 카드의 형상)
도 15 는 제 2 카드 (C2) 를 나타내는 도 12 와 동일한 평면도이다.
제 2 카드 (C2) 는 케이스 (11) 를 갖고 있고, 이 케이스 (11) 내에 메모리칩이나 그 밖의 IC 칩 등이 수납되어 있다.
제 2 카드 (C2) 의 케이스 (11) 에 형성된 안내 식별홈 (16) 은 제 1 카드 (C1) 의 안내 식별홈 (6) 보다 길지만, 이외의 형상에 대해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는 전부에 있어서 동일하다. 즉, 제 2 카드 (C2) 의 케이스 (11) 의 두께 치수 (T) 와 폭 치수 (W0) 및 길이 치수는 제 1 카드 (C1) 의 케이스 (1) 와 동일하다. 제 2 카드 (C2) 의 케이스 (11) 에 형성되어 있는 중간 오목부 (8, 8) 의 형상과 치수 및 위치는 제 1 카드 (C1) 의 케이스 (1) 와 동일하다. 그 외에 도 15 에서는, 제 1 카드 (C1) 의 케이스 (1) 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에 나타내는 제 2 카드 (C2) 에서는, 전방의 좌우 양측에 안내 식별홈 (16, 16)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식별홈 (16, 16) 에는 중심선 (O-O) 에 근접하는 위치에 내측면 (16a) 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면 (16a) 의 위치, 즉 안내 식별홈 (16, 16) 의 폭 치수 (W1) 는, 도 12 에 나타내는 케이스 (1) 의 안내 식별홈 (6, 6) 의 폭 치수 (W1) 와 동일하다. 또한 케이스 (11) 의 표면 (1a) 부터 내저면 (16c) 까지의 치수, 즉 안내 식별홈 (16, 16) 의 깊이 치수는, 도 13(A) 에 나타내는 케이스 (1) 의 안내 식별홈 (6, 6) 의 깊이 치수 (t1) 와 동일하다. 제 2 카드 (C2) 의 케이스 (11) 에는 안내 식별홈 (6, 6) 보다 이면측에 박육부 (17, 17) 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박육부 (17, 17) 의 폭 치수 및 두께 치수도 제 1 카드 (C1) 의 박육부 (7, 7) 와 동일하다.
단, 도 15 에 나타내는 케이스 (11) 의 안내 식별홈 (16, 16) 및 박육부 (17, 17) 의 길이 치수 (L11), 즉 전단부 (1c) 부터 경사부 (16b) 의 후단까지의 거리 (L11) 는, 도 12 에 나타내는 케이스 (1) 의 안내 식별홈 (6, 6) 및 박육부 (7, 7) 의 길이 치수 (L1) 보다 길다. 즉, 식별부로서 기능하는 단차부인 경사부 (16b, 16b) 는, 제 1 카드 (C1) 의 식별부인 경사부 (6b, 6b) 보다 바로 앞측 ((b) 측) 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카드 (C2) 의 케이스 (11) 에 형성되어 있는 중간 오목부 (8, 8) 의 길이 치수 (L3) 는, 케이스 (1) 의 중간 오목부 (8, 8) 의 길이 치수 (L3) 와 동일하 다. 또한, 도 15 에 나타내는 길이 치수 (L11 + L12) 는, 도 12 에 나타내는 길이 치수 (L1 + L2) 와 동일하다. 요컨대, 도 15 에 나타내는 케이스 (11) 에 있어서의 전단부 (1c) 부터 중간 오목부 (8, 8) 의 전내단 (8b, 8b) 까지의 거리는, 도 12 에 나타내는 케이스 (1) 의 상기 거리와 동일하다.
제 2 카드 (C2) 의 케이스 (11) 의 이면 (1b) 에 나타나 있는 외부 접속부의 수 및 위치 그리고 형상은, 도 14 에 나타내는 제 1 카드 (C1) 의 케이스 (1) 의 이면 (1b) 에 나타나 있는 외부 접속부 (5) 와 완전히 동일하다.
도 1 이하에 나타내는 카드 리더 (20) 에는,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가 동일하게 하여 장착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리더 (20) 에는 제 1 카드 (C1) 의 외부 접속부 (5) 와 제 2 카드 (C2) 의 외부 접속부 쌍방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속 단자 (55) 가 형성되어 있다.
단,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에서는 안내 식별홈 (6, 16) 및 박육부 (7, 17) 의 길이 치수 (L1, L11) 가 상이하기 때문에, 카드 리더 (20) 에서는 이 상이를 검지함으로써 어느 카드가 장착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의 사양의 차이는, 예를 들어 구동 전압의 차이, 즉 전원용의 외부 접속부를 통해 케이스 (1, 11) 내의 회로에 공급해야 하는 전압의 상이이다. 또는, 상기 사양의 상이는 케이스 (1, 11) 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메모리칩의 메모리 용량의 차이이다. 혹은,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중 어느 일방은 용량이 큰 메모리칩을 가져, 주로 데이터의 기억에 사용되고, 타방은 소정의 프로그램을 내장한 판독 전용 메모리가 내장되어, 제어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용도로서 사용된다.
도 12 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C1) 의 케이스 (1) 와 제 2 카드 (C2) 의 케이스 (11) 는 모두 중심선 (O-O) 에 대해 좌우 대칭 형상이고, 전체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다. 그 때문에, 케이스 (1, 11) 내부의 스페이스를 유효적으로 넓게 사용할 수 있고, 소형이고 또한 박형이면서, 내부의 IC 칩이나 그 밖의 회로를 집적하여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안내 식별홈 (6, 16) 과 중간 오목부 (8) 가 케이스 (1, 11) 의 표면 (1a) 측으로부터만 움푹 패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표리를 분별하기 쉽다. 또한, 안내 식별홈 (6, 16) 이 좌우 양측부 (1e, 1f) 에 있어서 전방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전후도 구별하기 쉽다. 그 때문에, 카드 리더 (20) 를 향하여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제 3 카드의 형상)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리더 (20) 에는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외에 제 3 카드 (C3) 가 장착 가능하다. 제 3 카드 (C3) 는, 전체의 폭 치수 (W3) 가 제 1 카드 (C1) 그리고 제 2 카드 (C2) 의 폭 치수 (W0) 보다 작다. 제 3 카드 (C3) 는, 전방 부분의 우측에 결손부 (17) 를 갖고 있어, 전방 부분의 폭 치수 (W4) 가 전체의 폭 치수 (W3) 보다 작아져 있다. 또한, 우측부에서는, 상기 결손부 (17) 보다 바로 앞측 ((b) 측) 에 케이스의 상하로 관통하는 오목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카드 (C3) 의 두께 치수는, 제 1 카드 (C1) 그리고 제 2 카드 (C2) 의 두께 치수 (T) 보다 작다. 이 제 3 카드 (C3) 는, 예를 들어 「micro SD 카드」라고 하는 것과 동일한 형상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리더 (20) 에는 제 3 카드 (C3) 의 외부 접속부와 접촉하는 제 2 접속 단자 (58) 가, 제 1 카드 (C1) 그리고 제 2 카드 (C2) 의 외부 접속부가 접촉하는 상기 제 1 접속 단자 (55) 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카드 리더의 구조)
다음으로, 상기 각종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리더 (20) 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리더 (20) 는 케이스 (케이싱) (21) 를 갖고 있다. 케이스 (케이싱) (21) 는,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 본체 (케이싱 본체) (22) 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 (22) 의 상방에 씌워진 덮개체 (23) 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22) 는 프레임체 형상이다. 케이스 본체 (22) 는 전벽부 (24), 후벽부 (25), 우벽부 (26), 좌벽부 (27) 및 저벽부 (28)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벽부 (24) 의 상면 (24a), 후벽부 (25) 의 상면 (25a), 우벽부 (26) 의 상면 (26a) 그리고 좌벽부 (27) 의 상면 (27a) 은 서로 동일면이다. 도 1 과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 (23) 의 천정판 (23a) 은 케이스 본체 (22) 의 상기 각 상면 (24a, 25a, 26a, 27a) 에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덮개체 (23) 에는 후측판 (23b) 과 우측판 (23c) 및 좌측판 (23d) 이 형성되고, 이들은 천정판 (23a) 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 되어 있다. 후측판 (23b) 은 케이스 본체 (22) 의 후벽부 (25) 외면에 설치되고, 우측판 (23c) 과 좌측판 (23d) 은 각각 케이스 본체 (22) 의 우벽부 (26) 외면과 좌벽부 (27)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21) 의 두께 치수는 케이스 본체 (22) 의 저벽부 (28) 하면 (28a) 부터 덮개체 (23) 의 천정판 (23a) 상면까지의 높이 치수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또한, 카드를 안내하여 수납하는 수납 영역의 높이 치수 (Ta) 는 케이스 본체 (22) 의 저벽부 (28) 상면 (28b) 부터 덮개체 (23) 의 천정판 (23a) 하면까지의 높이 치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 높이 치수 (Ta) 는, 제 1 카드 (C1) 그리고 제 2 카드 (C2) 의 전체 두께 치수 (T) 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두께 치수 (T) 보다 미소하게 큰 치수이다.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22) 의 좌벽부 (27) 내면이 안내 기준면 (27b) 이고,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는 그 좌측부 (1f) 가 상기 안내 기준면 (27b) 을 슬라이딩하면서, 케이스 (21) 의 안측 ((a) 측) 을 향하여 삽입된다. 케이스 본체 (22) 의 전벽부 (24) 에는 우측 안내면 (24b) 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의 우측부 (1e) 는 우측 안내면 (24b) 을 따라 안내된다.
좌벽부 (27) 내면의 안내 기준면 (27b) 과 전벽부 (24) 의 우측 안내면 (24b) 의 간격이 수납 영역의 폭 치수 (Wa) 이고, 이 폭 치수 (Wa) 는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의 폭 치수 (W0) 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미소하게 큰 치수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21) 의 전단에는 Ta × Wa 의 개구 면적의 삽입구 (29) 가 개구되어 있고,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및 제 3 카드 (C3) 는, 이 삽입구 (29) 로부터 케이스 (21) 의 내부를 향하여 삽입된다.
도 2 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22) 의 내부에서는 좌벽부 (27) 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 영역 내로 연장되는 상부 안내벽 (31) 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부 (28) 의 상면 (28b) 부터 상부 안내벽 (31) 의 하면까지의 높이 치수 (Tb) 는, 도 13(A) 에 나타내는 제 1 카드 (C1) 의 박육부 (7) 의 두께 치수 (t2) 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C1) 가 전단부 (1c) 를 전방으로 향하고, 표면 (1a) 을 위로 향한 정상적인 방향으로 삽입되면, 박육부 (7) 가 상부 안내벽 (31) 의 하측으로 비집고 들어가, 제 1 카드 (C1) 를 케이스 (21) 의 안쪽까지 장착할 수 있다. 단,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C1) 가 그 후단부 (1d) 를 전방으로 향하게 하여 삽입되거나, 표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되면, 케이스 본체 (22) 가 상부 안내벽 (31) 에 닿아, 제 1 카드 (C1) 가 케이스 (21) 의 안측부까지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는 제 2 카드 (C2) 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도 4 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안내벽 (31) 보다 바로 앞측에는 규제 승강 부재 (32)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승강 부재 (32) 는 저벽부 (28) 에 형성된 노치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규제 승강 부재 (32) 는 돌출 자세를 향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규제 승강 부재 (32) 의 삽입구 (29) 측을 향하는 면은 경사면 (32a) 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면 (32a) 은, 케이스 (21) 의 안측 ((a) 측) 을 향함에 따라 저벽부 (28) 의 상면 (28b) 으로부터 서서히 높아지는 형상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승강 부재 (32) 의 우측면과 슬라이더 (41) 의 내측면 (41a) 까지의 폭 치수는 Wb 이다. 이 폭 치수 (Wb) 는, 도 12 와 도 15 에 나타내는 제 1 카드 (C1) 그리고 제 2 카드 (C2) 의 폭 치수 (W0) 보다 좁고, 도 9 에 나타내는 제 3 카드 (C3) 의 전체 폭 치수 (W3) 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미소하게 넓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 (29) 로부터 제 3 카드 (C3) 가 삽입되면, 이 제 3 카드 (C3) 는 규제 승강 부재 (32) 와 슬라이더 (41) 의 내측면 (41a) 사이를 통해 케이스 (21)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제 1 카드 (C1) 또는 제 2 카드 (C2) 가 삽입구 (29) 로부터 삽입되면, 이 카드의 전방 경사면 (2) 및 이면 (1b) 이 규제 승강 부재 (32) 의 경사면 (32a) 를 타고 올라가고, 그 때의 힘에 의해 규제 승강 부재 (32) 가 압하된다. 그 후에는, 압하된 규제 승강 부재 (32) 위를 제 1 카드 (C1) 또는 제 2 카드 (C2) 가 통과하여 케이스 (21) 안쪽까지 이동한다.
도 2 와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22) 의 우측에서는 저벽부 (28) 의 상면 (28b) 에 전후 방향 ((a)-(b) 방향) 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 (34) 는 상기 상면 (28b) 으로부터 융기 형성된 레일이다. 케이스 본체 (22) 의 우벽부 (26) 의 내측에는 슬라이더 (41)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 (41) 가 상기 가이드부 (34) 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자유롭게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 (41) 의 좌측부에는 내측면 (41a) 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면 (41a) 은, 상기 전벽부 (24) 에 형성된 우측 안내면 (24b) 과 동일한 위치에 있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벽부 (27) 에 형성된 안내 기준면 (27b) 과 상기 내측면 (41a) 까지의 폭 치수는 Wa 이다. 전술한 우측 안내면 (24b) 과 마찬가지로, 안내 기준면 (27b) 과 내측면 (41a) 사이에서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를 안내할 수 있다.
슬라이더 (41) 와 케이스 본체 (22)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 (41) 는 전벽부 (24) 를 향하여 바로 앞측 ((b) 측) 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 (41) 와 케이스 (21) 사이에는, 슬라이더 (41) 를 안측 ((a) 측) 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 (35) 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 (35) 는, 슬라이더 (41) 의 상면에 형성된 홈캠 (42) 과 케이스 (21) 에 형성된 로크 핀 (36) 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 핀 (36) 은 기단부 (36a) 와 선단부 (36b) 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 (36) 의 기단부 (36a) 는 케이스 본체 (22) 의 전벽부 (24) 상부에 형성된 유지 오목부 (24c) 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로크 핀 (36) 의 선단부 (36b) 는 홈캠 (42) 내에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형성된 덮개체 (23) 의 천정판 (23a) 에는 우측 바로 앞측에 로크 판스프링 (37)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 판스프링 (37) 은 천정판 (23a) 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된 외팔보 지지 스프링이다. 상기 로크 핀 (36) 은 이 로크 판스프링 (37) 에 의해 압압되고, 선단부 (36b) 가 홈캠 (42) 의 홈 저부에 가압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캠 (42) 은 안측 ((a) 측) 의 단부에 위치하는 로크 해제부 (42a) 와, 이 로크 해제부 (42a) 보다 바로 앞측 ((b) 측) 에 위치하는 로크부 (42b) 를 갖고 있다. 로크 해제부 (42a) 와 로크부 (42b) 사이에는, 좌측에 왕로 홈 (42c) 이 형성되고, 우측에 귀로 홈 (42d) 이 형성되어 있다. 홈캠 (42) 의 내부에서는, 로크 해제부 (42a), 왕로 홈 (42c), 로크부 (42b), 귀로 홈 (42d) 각 부의 경계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로크 핀 (36) 의 선단부 (36b) 는, 로크 해제부 (42a) → 왕로 홈 (42c) → 로크부 (42b) → 귀로 홈 (42d) → 로크 해제부 (42a) 의 순서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고, 그 역의 행정을 더듬어 갈 수 없다.
도 5 에서는, 슬라이더 (41) 가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 바로 앞측 ((b) 측) 으로 이동되어, 케이스 본체 (22) 의 전벽부 (24) 에 부딪히고 있다. 이 때, 로크 핀 (36) 의 선단부 (36b) 는 홈캠 (42) 의 로크 해제부 (42a)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카드 (C1) 또는 제 2 카드 (C2) 혹은 제 3 카드 (C3) 가 삽입구 (29) 로부터 삽입되고, 카드와 함께 슬라이더 (41) 가 안측 ((a) 측) 으로 이동하 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 (36) 의 선단부 (36b) 가 홈캠 (42) 의 왕로 홈 (42c) 내를 통과하고, 그 후,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 (36b) 가 홈캠 (42) 의 로크부 (42b) 에 이르러, 슬라이더 (41) 는 바로 앞측 ((b) 측) 으로 되돌아오지 않게 로크된다.
그 후, 카드를 밀어 슬라이더 (41) 를 짧은 거리만큼 안측 ((a) 측) 으로 이동시키면, 로크 핀 (36) 의 선단부 (36b) 가 홈캠 (42) 의 로크부 (42b) 로부터 빠져 나와 귀로 홈 (42d) 에 안내되어, 슬라이더 (41) 의 로크가 해제된다. 따라서, 슬라이더 (41) 는 탄성 지지 부재의 힘에 의해 도 5 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그 동안에 로크 핀 (36) 의 선단부 (36b) 가 귀로 홈 (42d) 에서 로크 해제부 (42a) 로 되돌아온다.
도 2 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41) 에는 내측면 (41a) 보다 안측 ((a) 측) 의 상면에 패임부 (41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패임부 (41b) 의 바로 앞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핀 (43) 이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슬라이더 (41)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핀 (43) 에 식별 아암 (44) 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아암 (44) 의 기부에는 좌측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식별 볼록부 (44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볼록부 (44a) 의 하면과 케이스 본체 (22) 의 저벽부 (28) 상면 (28b) 의 간격 치수는 Tb 이고, 이는 상면 (28b) 부터 상부 안내벽 (31) 하면까지의 높이 치수와 동일하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아암 (44) 에는 식별 볼 록부 (44a) 의 하측에 슬라이딩면 (44b) 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아암 (44) 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있으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구 (29) 의 안측에 상기 식별 오목부 (44a) 와 함께 상기 슬라이딩면 (44b) 이 대향하고 있다.
도 2 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C1) 가 삽입구 (29) 에 정상적인 방향으로 삽입되면, 제 1 카드 (C1) 우측의 박육부 (7) 가 식별 볼록부 (44a) 의 하측으로 비집고 들어가고, 또한 박육부 (7) 선단의 전방 코너 곡면 (3) 이 상기 슬라이딩면 (44b) 에 맞닿아, 제 1 카드 (C1) 의 삽입력으로 식별 아암 (44) 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다. 한편,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카드 (C3) 가 정상적인 방향으로 삽입되면, 이 제 3 카드 (C3) 의 우측 전방의 결손부 (17) 가 식별 아암 (44) 의 식별 볼록부 (44a) 와 슬라이딩면 (44b) 의 쌍방에 닿지 않고, 그 좌측을 통과한다. 따라서, 식별 아암 (44) 이 회전 운동하지 않고, 제 3 카드 (C3) 는 그 좌측에 장착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41) 의 안측 단부에는 내측면 (41a) 보다 좌측으로 뻗어있는 기준 스토퍼부 (45)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스토퍼부 (45) 의 바로 앞측 ((b) 측) 을 향하는 면이 기준 스토퍼면 (45a) 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41) 의 안측 단부에는 상기 기준 스토퍼부 (45) 의 우측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가이드부 (46)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가이드부 (46) 에는, 가동 스토퍼부 (47) 가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가동 스토퍼부 (47) 의 상면에는 연결 핀 (47a)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별 아암 (44) 의 선부 (先部) 에는 긴 구멍 (44c) 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핀 (47a) 이 긴 구멍 (44c)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 (41) 상에서는, 식별 아암 (44) 의 회전 운동 동작에 수반하여 가동 스토퍼부 (47) 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41) 상에서는 지지핀 (43) 의 바깥 둘레에 회전 운동 탄성 지지 부재로서 기능하는 토션 스프링 (51) 이 장착되어 있고, 식별 아암 (44) 은 토션 스프링 (51) 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식별 아암 (44) 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가동 스토퍼부 (47) 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준 스토퍼부 (45) 에 닿아 있다.
가동 스토퍼부 (47) 의 삽입구 (29) 를 향하는 면은 가동 스토퍼면 (48) 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스토퍼면 (48) 은, 그 좌측 부분이 제 1 스토퍼면 (48a) 이고, 그보다 우측이 제 2 스토퍼면 (48b) 이다. 제 1 스토퍼면 (48a) 은, 저벽부 (28) 의 상면 (28b) 에서 상방으로 거리를 Tb 만큼 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스토퍼면 (48b) 은 그보다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41) 의 바로 앞측 ((b) 측) 의 상면에는 유지 오목부 (41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 오목부 (41c) 내에 유지 부재 로서 기능하는 유지 판스프링 (52) 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판스프링 (52) 은, 판스프링 재료로서 기능하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U 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유지 오목부 (41c) 내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유지 판스프링 (52) 의 자유단에는 유지부 (53)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부 (53) 가 슬라이더 (41) 의 내측면 (41a) 보다 도시 좌측에 돌출되어 있다. 유지부 (53) 는 V 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고, 바로 앞측 ((b) 측) 을 향하는 부분이 경사 안내부 (53a) 이다. 경사 안내부 (53a) 는, 바로 앞측 ((b) 측) 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유지부 (53) 는 안측 ((a) 측) 을 향하는 부분이 걸림부 (53b) 이고, 이 걸림부 (53b) 는 전후 방향 ((a)-(b) 방향) 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 (53) 는 슬라이더 (41) 의 내측면 (41a) 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케이스 본체 (22) 의 저벽부 (28) 의 상면 (28b) 부터 유지부 (53) 의 하부 가장자리까지의 높이 치수는 상기 Tb 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Tb 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22) 의 안측 ((a) 측) 에는 제 1 접속 단자 (55)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 단자 (55) 는, 도 14 에 나타낸 제 1 카드 (C1) 및 제 2 카드 (C2) 의 이면 (1b) 에 노출되어 있는 외부 접속부 (5) 와 동일한 수로 또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 (22) 의 저부 안측에는 단자 지지판 (57) 이 형성되고, 이 단자 지지판 (57) 에 복수의 작은 구멍 (57a) 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단자 (55) 는 상향으로 산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각각이 상기 작은 구멍 (57a) 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접속 단자 (55) 는 작은 구멍 (57a) 내로 후퇴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탄성 변형할 수 있다.
각각의 제 1 접속 단자 (55) 에는 제 1 외부 단자 (56) 가 1 대 1 의 관계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 1 외부 단자 (56) 는 케이스 본체 (22) 의 후벽부 (25)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접속 단자 (55) 와 제 1 외부 단자 (56) 는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표면에 금 등의 낮은 저항의 귀금속 재료가 도금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과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단자 (55) 보다 삽입구 (29) 측에는 제 2 접속 단자 (58)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속 단자 (58) 는, 도 9 에 나타내는 제 3 카드 (C3) 의 하면에 노출되는 외부 접속부와 동일한 수로 또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22) 의 저부에는 가동 지지판 (61) 이 형성되고, 이 가동 지지판 (61) 에 복수의 작은 구멍 (61a) 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접속 단자 (58) 는 상향으로 산형으로 절곡되어, 작은 구멍 (61a) 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동 지지판 (61) 은, 제 2 접속 단자 (58) 보다 바로 앞측 ((b) 측) 에 형성된 축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지지판 (61) 은 제 2 접속 단자 (58) 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있다.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가 삽입구 (29) 로부터 삽입될 때에는, 제 1 카드 (C1) 나 제 2 카드 (C2) 의 전방 경사면 (2) 이 가동 지지판 (61) 을 타고 올라가고, 제 1 카드 (C1) 나 제 2 카드 (C2) 의 이면 (1b) 에 의해 가동 지지판 (61) 이 압하된다. 가동 지지판 (61) 이 압하되어 하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에, 이 가동 지지판 (61) 에 의해 제 2 접속 단자 (58) 가 압하되고, 각각의 제 2 접속 단자 (58) 가 가동 지지판 (61) 의 작은 구멍 (61a) 내부로 후퇴한다. 따라서, 제 1 카드 (C1) 나 제 2 카드 (C2) 의 이면 (1b) 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 (5) 는 제 2 접속 단자 (58) 에 닿지 않고, 이 제 2 접속 단자 (58) 위를 통과하여 안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도 9 에 나타내는 제 3 카드 (C3) 가 삽입구 (29) 로부터 삽입되면, 제 3 카드 (C3) 는 제 1 카드 (C1) 나 제 2 카드 (C2) 보다 두께 치수가 작기 때문에, 제 2 접속 단자 (58) 와 가동 지지판 (61) 에 의해 들어 올려져, 제 3 카드 (C3) 는 덮개체 (23) 의 천정판 (23a) 하면에 가압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접속 단자 (58) 가 제 3 카드 (C3) 의 이면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에 도통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 2 접속 단자 (58) 에는 제 2 외부 단자 (59)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제 2 외부 단자 (59) 는 케이스 본체 (22) 의 저부에 있어서 바로 앞측 ((b) 측) 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접속 단자 (58) 와 제 2 외부 단자 (59) 는, 표면에 금 등의 낮은 저항의 귀금속 재료가 도금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식별 검지 기구의 구조)
도 1 과 도 2 및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21) 의 좌측에는 식별 검지 기구 (70)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와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22) 의 좌벽부 (27) 에는 수납 오목부 (27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 오목부 (27c) 내에 식별 검지 기구 (70) 를 구성하는 검지 가동 부재 (71) 가 수납되어 있다. 검지 가동 부재 (71) 및 식별 검지 기구 (70) 를 구성하는 각 부품은, 좌벽부 (27) 의 내면인 안내 기준면 (27b) 보다 우측으로는 돌출되어 있지 않고, 식별 검지 기구 (70) 는, 카드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카드의 수납 영역보다 측부의 외측에서 구성되어 있다.
도 10 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가동 부재 (71) 에는 삽입구 (29) 측 ((b) 측) 의 단부에 지지축부 (71a)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축부 (71a) 가, 상기 수납 오목부 (27c) 의 내부에 있어서 좌벽부 (27) 에 형성된 지지 구멍 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검지 가동 부재 (71) 는, 지지축부 (71a) 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다.
검지 가동 부재 (71) 에는 유지축부 (71b)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축부 (71b) 의 바깥 둘레에 고리형의 유지 오목부 (71c) 가 형성되어 있다. 검지 가동 부재 (71) 에는 토션 스프링 (72) 이 형성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 (72) 은 도전성의 금속선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금 등의 낮은 저항 금속층이 도금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 (72) 의 권부 (72a) 는 유지축부 (71b) 바깥 둘레의 유지 오목부 (71c) 내에 장착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 (72) 의 각각의 아암부는 탄성 접점 (72b) 과 탄성 접점 (72c) 으로 되어 있고, 탄성 접점 (72b) 의 선단과 탄성 접점 (72c) 의 선단에서는, 토션 스프링 (72) 을 형성하는 선재가 V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 (22) 에서는, 수납 오목부 (27c) 의 저면 (27d) 에 1 쌍의 접점 (73) 과 접점 (74) 이 형성되어 있다. 접점 (73) 과 접점 (74) 은 금속판이고, 그 표면 (73a, 74a) 에는 금 등의 낮은 저항 금속층이 도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A),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 (73) 과 접점 (74) 은 수납 오목부 (27c) 의 저면 (27d) 내부에 매립되어 있고, 접점 (73) 의 표면 (73a) 과 접점 (74) 의 표면 (74a) 은 상기 저면 (27d) 과 동일면에 나타나 있다. 그 때문에, 접점 (73, 74) 의 표면 (73a, 74a) 과 저면 (27d) 사이에 거의 단차가 나타나 있지 않다.
도 11(A),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접점 (72b) 은 탄성 접점 (73) 의 표면 (73a) 에 항상 접촉되어 있고, 탄성 접점 (72c) 은 접점 (74) 의 표면 (74a) 또는 저면 (27d) 에 접촉된다. 이 양 탄성 접점 (72b 와 72c) 의 탄성력에 의해, 검지 가동 부재 (71) 에 상향의 탄성 지지력이 작용하고 있고, 검지 가동 부재 (71) 는 지지축부 (71a) 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자 하고 있다.
도 1 과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 (23) 의 천정판 (23a) 에는 좌측부에 검지 판스프링 (76)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검지 판스프링 (76) 은, 천정판 (23a) 의 일부에 노치부 (23e) 가 형성되고, 이 노치부 (23e) 의 내부에 있어서, 천정판 (23a) 을 형성하는 금속판의 일부가 외팔보 판스프링으로서 잘라내어짐으로써 천정판 (23a)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검지 판스프링 (76) 은, 바로 앞측 ((b) 측) 에 기단부 (76a) 가 위치하고 있다. 검지 판스프링 (76) 은, 기단부 (76a) 로부터 안측 방향 ((a) 방향) 을 향하여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직선부 (76b) 와, 이 직선부 (76b) 와 연속하는 기울어짐부 (76c) 를 갖고 있다. 기울어짐부 (76c) 는, 안측 ((a) 측) 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좌측 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그리고, 기울어짐부 (76c) 의 선부에는, 안측 방향 ((a) 방향) 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압압부 (76d)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판스프링 (76) 의 직선부 (76b) 의 일부와 기울어짐부 (76c) 의 일부는 수납 영역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카드 (C1) 또는 제 2 카드 (C2) 가 정상적인 방향으로 삽입될 때에, 직선부 (76b) 의 일부와 기울어짐부 (76c) 의 일부가 이들 카드의 통과 영역 위에 위치하고 있다. 검지 판스프링 (76) 중 카드의 통과 영역 위에 겹쳐져 있는 부분이 검지 작용부 (76e) 이다.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판스프링 (76) 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 검지 판스프링 (76) 은 케이스 본체 (22) 의 내부를 향하여 약간 하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단, 검지 판스프링 (76) 은 검지 작용부 (76e) 의 부분에서 케이스 본체 (22) 의 내부를 향하여 경사진 하향으로 변형되어 있어도 된다.
검지 판스프링 (76) 선부의 압압부 (76d) 는, 제 1 카드 (C1) 또는 제 2 카드 (C2) 의 이동 영역에 겹쳐져 있지 않고, 이 이동 영역보다 좌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연장되어 있다. 상기 검지 가동 부재 (71) 의 상면에는 돌곡면부 (71d) 가 형성되어 있다. 검지 가동 부재 (71) 는 탄성 접점 (72b, 72c) 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돌곡면부 (71d) 는 상기 검지 판스프링 (76) 의 압압부 (76d) 하면에서 가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검지 가동 부재 (71) 에는 탄성 접점 (72b) 과 탄성 접점 (72c) 의 탄성력이 상향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검지 판스프링의 압압부 (76d) 가 검지 가동 부재 (71) 를 하향으로 압하하는 탄성력은, 상기 탄성 접점 (72b, 72c) 이 검지 가동 부재 (71) 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보다 충분히 크다.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C1) 가 정상적인 방향으로 장착되어 정상적인 장전 위치로 이동하면, 제 1 카드 (C1) 좌측의 안내 식별홈 (6) 후단부의 경사부 (6b) 가 검지 판스프링 (76) 의 검지 작용부 (76e) 에 맞닿아, 검지 판스프링 (76) 이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검지 가동 부재 (71) 는 탄성 접점 (72b, 72c) 의 힘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다. 이 때, 탄성 접점 (72c) 이 접점 (74) 의 표면 (74a) 으로부터 벗어나, 접점 (73) 과 접점 (74) 은 비도통 상태가 된다.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카드 (C2) 가 정상적인 방향으로 안측까지 장착되었을 때에는, 제 2 카드 (C2) 좌측의 안내 식별홈 (16) 후단부의 경사부 (16b) 는 삽입구 (29) 측에 위치하고 있고, 경사부 (16b) 는 검지 판스프링 (76) 의 검지 작용부 (76e) 아래까지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지 작용부 (76e) 에 상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고, 검지 판스프링 (76) 에 의해 검지 가동 부재 (71) 가 하향으로 압하된다. 따라서, 탄성 접점 (72c) 이 접점 (74) 의 표면 (74a) 상으로 이동하고, 토션 스프링 (72) 을 통해 접점 (73) 과 접점 (74) 이 도통 상태가 된다.
(제 1 카드의 정상적인 장착 동작)
다음으로, 상기 카드 리더 (20) 에 대한 카드의 장착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와 도 6 및 도 7 은 제 1 카드 (C1) 가 정상적인 방향으로 장착될 때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41) 가 삽입구 (29) 측 ((b) 측) 으로 이동하고 있고, 슬라이더 (41) 상에서는 식별 아암 (44) 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가동 스토퍼부 (47) 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제 1 카드 (C1) 가, 그 전단부 (1c) 가 전방으로 향해지고, 표면 (1a) 이 위로 향해진 정상적인 자세로 삽입구 (29) 로부터 삽입되면, 제 1 카드 (C1) 의 케이스 (1) 우측에 형성된 박육부 (7) 가 슬라이더 (41) 의 바로 앞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지 판스프링 (52) 으로 형성된 유지부 (53) 의 하측을 통과한다.
또한, 우측의 박육부 (7) 가 식별 아암 (44) 의 식별 볼록부 (44a) 의 하측을 통과하고, 도 4 에 나타내는 높이 (Tb) 의 영역 내를 안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 때, 제 1 카드 (C1) 우측의 전방 코너 곡면 (3) 이 식별 아암 (44) 의 식별 볼록부 (44a) 의 하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면 (44b) 에 닿는다. 제 1 카드 (C1) 가 밀어 넣어지면, 전방 코너 곡면 (3) 에서 슬라이딩면 (44b) 이 눌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아암 (44) 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고, 이에 수반하여 슬라이더 (41) 상의 가동 스토퍼부 (47) 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 1 카드 (C1) 우측의 박육부 (7) 의 선부는, 가동 스토퍼부 (47) 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면 (48) 중 좌측에 위치하는 제 1 스토퍼면 (48a) 의 하측을 통과하여 더욱 안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1 카드 (C1) 의 좌측 전방의 박육부 (7) 는, 도 4 와 도 5 에 나타내는 규제 승강 부재 (32) 의 경사면 (32a) 을 슬라이딩하여 규제 승강 부재 (32) 위를 타고 올라가, 규제 승강 부재 (32) 가 압하된다. 그리고, 좌측의 박육부 (7) 는, 도 4 에 나타내는 저벽부 (28) 의 상면 (28b) 과 상부 안내벽 (31) 사이의 간격 (Tb) 내로 비집고 들어간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C1) 의 전단부 (1c) 가, 슬라이더 (41) 의 안측에 형성된 기준 스토퍼부 (45) 의 기준 스토퍼면 (45a) 에 닿는다.
그 동안에, 슬라이더 (41) 에 형성된 유지 판스프링 (52) 의 유지부 (53) 는 제 1 카드 (C1) 우측의 안내 식별홈 (6) 내부를 통과하고, 즉 박육부 (7) 위를 통과하여 안내 식별홈 (6) 후방의 경사부 (6b) 에 닿는다. 유지부 (53) 는 경사부 (6b) 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눌리기 때문에, 유지 판스프링 (52) 이 변형되어, 유지부 (53) 가 슬라이더 (41) 의 유지 오목부 (41c) 내로 일단 후퇴한다. 그리고, 유지부 (53) 는 제 1 카드 (C1) 의 우측부 (1e) 를 거리 (L2) 만큼 슬라이딩 하고, 중간 오목부 (8) 에 이르면, 유지 판스프링 (52) 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유지부 (53) 가 우측의 중간 오목부 (8) 내부에 끼워 맞춰진다.
이 때, 유지부 (53) 의 바로 앞측을 향하는 경사 안내부 (53a) 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부 (6b) 를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제 1 카드 (C1) 를 가벼운 힘으로 케이스 (21) 내에 밀어 넣어, 유지부 (53) 를 중간 오목부 (8) 에 끼워 맞출 수 있다. 그리고, 끼워 맞춘 후에는, 유지부 (53) 에 있어서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부 (53b) 가 중간 오목부 (8) 의 전내단 (8b) 에 걸리기 때문에, 제 1 카드 (C1) 가 바로 앞 방향 ((b) 방향) 으로 빠져 나오기 어려워진다.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C1) 에서는 전방에 위치하는 안내 식별홈 (6) 의 깊이 치수 (t1) 보다 중간 오목부 (8) 의 깊이 치수 (t3) 쪽이 깊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안내 식별홈 (6) 의 내부를 통과한 유지부 (53) 는 중간 오목부 (8) 의 내부에 확실하게 끼워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제 1 카드 (C1) 를 삽입구 (29) 로부터 삽입할 때에, 우측 전방의 박육부 (7) 를 도 4 에 나타내는 유지부 (53) 하측의 높이 (Tb) 공간 내부에 넣을 수 있으면, 그 후에 제 1 카드 (C1) 를 밀어 넣음으로써, 유지부 (53) 를 제 1 카드 (C1) 의 중간 오목부 (8) 에 확실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유지부 (53) 가 제 1 카드 (C1) 의 우측부 (1e) 에 닿은 채, 중간 오목부 (8) 내로 비집고 들어갈 수 없는 등의 불충분한 장착 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제 1 카드 (C1) 의 안내 식별홈 (6) 의 후방에 경사부 (6b) 가 존재하고, 또 한 중간 오목부 (8) 의 깊이 치수 (t3) 가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카드 (C1) 를 삽입하였을 때에, 그 저항력이 작아 유지부 (53) 를 중간 오목부 (8) 에 확실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제 1 카드 (C1) 를 삽입할 때에, 유지부 (53) 가 중간 오목부 (8) 에 끼워 맞춰지기 전의 시점에서, 슬라이더 (41) 가 탄성 지지력에 대항하여 도 2 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에서 (a) 방향으로 부주의하게 움직이기 시작하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유지부 (53) 가 중간 오목부 (8) 에 끼워 맞춰진 후에, 제 1 카드 (C1) 를 밀어 넣으면, 제 1 카드 (C1) 의 전단부 (1c) 에 의해 슬라이더 (41) 에 형성된 기준 스토퍼면 (45a) 이 눌리고, 제 1 카드 (C1) 와 슬라이더 (41) 가 일체가 되어 안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1 카드 (C1) 가 도 7 에 나타내는 장착 완료 위치에 이르면, 슬라이더 (41) 에 형성된 홈캠 (42) 의 로크부 (42b) 가 로크 핀 (36) 의 선단부 (36b) 에 걸려, 슬라이더 (41) 가 그 위치에서 로크된다.
이 때, 케이스 본체 (22) 의 안측에 형성된 제 1 접속 단자 (55) 의 각각이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C1) 의 이면 (1b) 에 노출되는 외부 접속부 (5) 의 각각에 탄압하여 접속된다.
제 1 카드 (C1) 가 정상적인 상태로 장착되면,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검지 기구 (70) 에서는, 제 1 카드 (C1) 좌측의 안내 식별홈 (6) 후방의 단차부인 경사부 (6b) 에 의해 천정판 (23a) 과 일체로 형성된 검지 판스프링 (76) 의 검지 작용부 (76e) 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탄성 접점 (72b, 72c) 의 탄성력에 의해 검지 가동 부재 (71) 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고, 탄 성 접점 (72c) 이 접점 (74) 의 표면 (74a) 으로부터 벗어나, 케이스 본체 (22) 의 일부인 저면 (27d) 상으로 이동한다.
제 1 카드 (C1) 를 카드 리더 (20) 로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카드 (C1) 를 안측 ((a) 측) 으로 누른다. 제 1 카드 (C1) 와 함께 슬라이더 (41) 가 약간 안측으로 이동하면, 로크 핀 (36) 의 선단부 (36b) 가 홈캠 (42) 의 로크부 (42b) 로부터 벗어나, 슬라이더 (41) 가 탄성 지지 부재의 힘으로 바로 앞측 ((b) 측) 으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41) 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제 1 카드 (C1) 의 후단부가 삽입구 (29) 부터 돌출된다.
(제 2 카드의 정상적인 장착 동작)
도 8 은 카드 리더 (20) 에 제 2 카드 (C2) 가 정상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과 도 8 을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제 2 카드 (C2) 가 장착될 때의 각 부재의 동작, 즉 유지 판스프링 (52) 의 유지부 (53) 의 동작이나 식별 아암 (44) 과 가동 스토퍼부 (47) 의 동작 등은 제 1 카드 (C1) 가 장착될 때와 완전히 동일하다.
상이한 것은 도 10 과 도 11 에 나타내는 식별 검지 기구 (70) 의 동작뿐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카드 (C2) 는, 좌우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 식별홈 (16) 및 박육부 (17) 가 길고, 제 2 카드 (C2) 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을 때, 안내 식별홈 (16) 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식별부인 경사부 (16b) 가 삽입구 (29) 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카드 (C2) 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었을 때에, 경사부 (16b) 가 검지 판스프링 (76) 의 검지 작용부 (76e) 보다 바로 앞측 ((b) 측) 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검지 판스프링 (76) 의 압압부 (76d) 에 의해 검지 가동 부재 (71) 가 하향으로 가압된 채로 있다.
따라서,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가동 부재 (71) 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있고, 탄성 접점 (72c) 이 접점 (74) 의 표면 (74a) 위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 (72) 을 통해 접점 (73) 과 접점 (74) 이 도통되어 있다.
(제 1 카드와 제 2 카드의 식별 검지 동작)
제 1 카드 (C1) 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 또는 제 2 카드 (C2) 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의 식별 동작은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 (C1) 가 정상적으로 장착되면, 제 1 접속 단자 (55) 가 제 1 카드 (C1) 의 이면 (1b) 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 (5) 에 개별적으로 접촉된다. 마찬가지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카드 (C2) 가 정상적으로 장착되면, 제 1 접속 단자 (55) 가 제 2 카드 (C2) 의 이면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 (5) 에 개별적으로 접촉된다.
카드 리더 (20) 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부, 혹은 각종 전자 기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카드 리더 (20) 가 접속되어 있는 마더 장치에 형성된 제어부에서는 제 1 접속 단자 (55) 를 감시하고 있고, 제 1 접속 단자 (55) 가 외부 접속부 (5) 에 접촉된 것을 검지하였을 때에 어느 하나의 카드가 장착된 것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카드에 형성된 복수의 외부 접속부 (5) 중 어느 하나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에서는 단락되어 있는 외부 접속부 (5) 에 대응하는 제 1 접속 단자 (55) 를 감시하고, 제 1 접속 단자 (55) 끼리가 단락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함으로써, 제 1 카드 (C1) 또는 제 2 카드 (C2)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에서는, 도 10 에 나타내는 식별 검지 기구 (70) 의 접점 (73) 과 접점 (74) 이 도통 상태인지의 여부도 감시하고 있다. 제어부에서는, 제 1 접속 단자 (55) 끼리의 단락 등에 의해, 제 1 카드 (C1) 또는 제 2 카드 (C2) 가 장착된 것으로 인식하였을 때에, 상기 접점 (73) 과 접점 (74) 이 도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 (73) 과 접점 (74) 이 도통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장착된 것이 제 1 카드 (C1) 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 (73) 과 접점 (74) 이 도통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장착된 것이 제 2 카드 (C2) 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는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의 사양에 적절한 제어 동작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에서 구동 전압이 상이할 때에는, 각 카드마다 상이한 전압을 공급한다. 또한, 제 1 카드 (C1) 와 제 2 카드 (C2) 에서 메모리 용량이 상이할 때에는, 각각의 카드의 메모리 잔량 정보를 제어부에 취입하여, 그 후의 기록 데이터량의 조정이 실시된다.
(제 1 카드 또는 제 2 카드의 오삽입)
도 3 은 제 1 카드 (C1) 가 후단부 (1d) 를 전방으로 향하여 삽입구 (29) 로부터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아암 (44) 의 식별 볼록부 (44a) 는 카드의 삽입 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카드 (C1) 의 후단부 (1d) 는 이 식별 볼록부 (44a) 에 닿는다. 그대로 제 1 카드 (C1) 를 밀어 넣으면, 식별 아암 (44) 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가동 스토퍼부 (47) 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단, 이 때에도 후단부 (1d) 가 식별 볼록부 (44a) 에 닿은 채로 있고, 제 1 카드 (C1) 는 슬라이더 (41) 에 대해 그 이상은 상대적으로 안측으로 나아가지 않게 된다. 그 후, 제 1 카드 (C1) 가 밀어 넣어지면, 슬라이더 (41) 가 함께 안측으로 밀어 넣어지는데, 제 1 카드 (C1) 의 후단부 (1d) 가 식별 볼록부 (44a) 에 닿은 채로 있기 때문에, 제 1 카드 (C1) 가 케이스 (21) 내로 완전하게 비집고 들어갈 수는 없다.
또한, 제 1 카드 (C1) 와 함께 슬라이더 (41) 가 안측으로 밀어 넣어지면, 제 1 카드 (C1) 의 후단부 (1d) 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영역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부 안내벽 (31) 에 닿아, 그 이상은 제 1 카드 (C1) 와 슬라이더 (41) 가 안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제 1 카드 (C1) 의 후단부 (1d) 가 상부 안내벽 (31) 에 닿은 시점에서는, 로크 기구 (35) 에 있어서, 로크 핀 (36) 의 선단부 (36b) 가 홈캠 (42) 의 로크부 (42b) 에 걸리는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도 3 의 상태에서, 제 1 카드 (C1) 가 밀어 넣어져도 슬라이더 (41) 가 로크되는 경우는 없고, 제 1 카드 (C1) 에 부여되어 있는 힘을 제거하면, 슬라이더 (41) 를 전방 ((a) 방향) 으로 복귀시키는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카드 (C1) 가 삽입구 (29) 로 밀려 되돌려진다.
또한, 제 1 카드 (C1) 가 전단부 (1c) 를 전방으로 향하고 또한 이면 (1b) 을 상향으로 하여 삽입구 (29) 로부터 삽입되었을 때에도,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부 (1d) 를 전방으로 향하여 삽입되었을 때와 동일하다. 또한, 이 오삽입에 관해서는 제 2 카드 (C2) 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 3 카드의 삽입 동작)
도 9 는 카드 리더 (20) 에 제 3 카드 (C3) 가 정상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3 카드 (C3) 는, 그 폭 치수 (W3) 가 제 1 카드 (C1) 그리고 제 2 카드 (C2) 의 폭 치수 (W0) 보다 작다. 그 때문에, 제 3 카드 (C3) 가 삽입구 (29) 에 대해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하여 삽입되면, 제 3 카드 (C3) 는 규제 승강 부재 (32) 와 슬라이더 (41) 의 내측면 (41a) 사이의 폭 치수 (Wb) 영역 (도 5 참조) 의 내부를 이동하도록 하여 안측을 향하여 삽입된다.
제 3 카드 (C3) 는 우측에 결손부 (17) 를 갖고 있기 때문에, 카드의 선단이 식별 아암 (44) 의 식별 볼록부 (44a) 에 닿는 경우가 없다. 그 때문에, 식별 아암 (44) 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 채로 있고, 가동 스토퍼부 (47) 는 좌측으로 이동한 채로 있다. 그리고, 제 3 카드 (C3) 의 전단부가 가동 스토퍼부 (47) 의 제 1 스토퍼면 (48a) 및 제 2 스토퍼면 (48b) (도 4 참조) 에 닿고, 이 때, 유지 판스프링 (52) 의 유지부 (53) 가 제 3 카드 (C3) 의 케이스 우측부를 상 하로 관통하는 오목부 (18) 에 끼워 맞춰진다.
그대로 제 3 카드 (C3) 를 케이스 (21) 내에 밀어 넣으면, 슬라이더 (41) 가 함께 밀어 넣어진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카드 (C3) 의 좌측부는 상부 안내벽 (31) 에 닿지 않고 케이스 (21) 의 안측까지 삽입된다. 그리고, 로크 핀 (36) 의 선단부 (36b) 가 홈캠 (42) 의 로크부 (42b) 에 걸려 슬라이더 (41) 가 로크된다.
이 때, 케이스 본체 (22) 의 저부에 형성된 제 2 접속 단자 (58) 가 제 3 케이스 (C3) 의 하면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제어부에서는, 제 2 접속 단자 (58) 의 단락 상태 등을 감시함으로써, 제 3 카드 (C3) 가 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을 인식한다.
(제 1 카드의 변형예)
도 13(B) 는 제 1 카드의 변형예 Ca1 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이 변형예 Ca1 은, 안내 식별홈 (6A) 의 후방에 형성된 경사부 (6B) 가 도 13(A) 에 나타내는 제 1 카드 (C1) 의 경사부 (6b) 와 상이하다.
제 1 카드 (C1) 의 경사부 (6b)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부 (1d) 를 향함에 따라 중심선 (O-O) 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는데, 경사면 (6b) 은 표면 (1a) 에 대해서는 수직면이다.
이에 대해, 변형예 Ca1 의 경사부 (6B) 는 제 1 카드 (C1) 와 마찬가지로, 후단부 (1d) 를 향함에 따라 중심선 (O-O) 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는데, 또한 경사부 (6B) 는 표면 (1a) 과 수직인 면이 아니라, 후단부 (1d) 를 향 함에 따라 표면 (1a) 에 서서히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요컨대, 경사부 (6B) 는 삼차원적으로 경사져 있다.
이 변형예 Ca1 은, 상기 카드 리더 (20) 에 장착시켰을 때에 그 삽입 과정에서 유지부 (53) 가 경사부 (6B) 를 슬라이딩하고, 다시 좌측부 (1e) 를 슬라이딩하고 나서 중간 오목부 (8) 에 끼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B) 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Ca1 은 카드의 표면 (1a) 측으로부터 탄압하는 유지부 (153) 를 갖는 카드 리더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형예 Ca1 이 카드 리더 내에 삽입되면, 유지부 (153) 는 안내 식별홈 (6A) 내를 통과하고, 유지부 (153) 가 경사부 (6B) 를 슬라이딩하여 카드의 표면 (1a) 을 타고 올라가고, 그 후에 유지부 (153) 가 중간 오목부 (8) 에 끼워 맞춰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변형예 Ca1 은 유지부 (53) 를 갖는 카드 리더뿐만 아니라,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1a) 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유지부 (153) 를 갖는 카드 리더에도 장착할 수 있는 범용적인 것이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카드 커넥터에 제 1 카드를 삽입한 상태를, 덮개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카드 커넥터에 제 1 카드가 잘못된 방향에서 장착된 상태를, 덮개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카드 커넥터를 삽입구로부터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는 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카드 커넥터를, 덮개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카드가 장착되는 도중의 카드 커넥터를, 덮개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제 1 카드의 장착이 완료된 카드 커넥터를, 덮개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제 2 카드의 장착이 완료된 카드 커넥터를, 덮개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제 3 카드의 장착이 완료된 카드 커넥터를, 덮개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식별 검지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A), 11(B) 는 식별 검지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12 는 제 1 카드의 평면도이다.
도 13(A) 는 제 1 카드의 좌측면도, 13(B) 는 제 1 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4 는 제 1 카드를 아래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제 2 카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1 제 1 카드
C2 제 2 카드
C3 제 3 카드
1, 11 케이스
1a 제 1 면인 표면
1b 제 2 면인 이면
1c 전단부
1d 후단부
1e 우측부
1f 좌측부
5 외부 접속부
6, 16 안내 식별홈
6b, 16b 경사부
7, 17 박육부
8 중간 오목부
20 카드 리더
21 케이스
22 케이스 본체
23 덮개체
41 슬라이더
55 제 1 접속 단자
58 제 2 접속 단자

Claims (18)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 회로와, 상기 전자 회로에 도통하여 케이스의 표면에 나타나 있는 복수의 외부 접속부가 형성된 전자 기능 카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두께 방향에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과, 카드 커넥터로의 삽입 방향으로 향해지는 전단부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우측부와 좌측부를 갖고, 상기 외부 접속부는,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부와 상기 좌측부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제 1 면부터 상기 케이스의 두께 도중까지 움푹 패어 형성되어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안내 식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식별홈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전자 회로의 종별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식별홈보다 후방에, 카드를 유지하기 위한 중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 식별홈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에 상관없이, 상기 전단부부터 상기 중간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전자 기능 카드.
  3.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 회로와, 상기 전자 회로에 도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나타나 있는 복수의 외부 접속부가 형성된 제 1 카드와 제 2 카드를 갖는 전자 기능 카드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와 상기 제 2 카드의 각각에서, 상기 케이스는, 두께 방향에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과, 카드 커넥터로의 삽입 방향으로 향해지는 전단부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우측부와 좌측부를 갖고, 상기 외부 접속부는,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우측부와 상기 좌측부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제 1 면부터 상기 케이스의 두께 도중까지 움푹 패어 형성되어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안내 식별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카드와 상기 제 2 카드에서, 상기 안내 식별홈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서로 상이하고, 그 이외에는, 상기 제 1 카드와 상기 제 2 카드에서 상기 케이스의 형상과 구조가 동일하고, 상기 제 1 카드와 상기 제 2 카드에서, 내부의 상기 전자 회로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능 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식별홈보다 후방에, 카드를 유지하기 위한 중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카드와 상기 제 2 카드에서, 상기 전단부부터 상기 중간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전자 기능 카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식별홈의 길이 치수가 상이하면, 내부의 상기 전자 회로에 공급하는 구동 전압이 상이한 전자 기능 카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식별홈의 길이 치수가 상이하면, 내부의 상기 전자 회로에 형성된 메모리 용량이 상이한 전자 기능 카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기능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식별홈을 통과시키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 식별홈의 길이 차이를 검지하는 식별 검지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8. 제 5 항에 기재된 전자 기능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식별홈을 통과시키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 식별홈의 길이 차이를 검지하는 식별 검지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9. 제 6 항에 기재된 전자 기능 카드가 장착되는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식별홈을 통과시키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 식별홈의 길이 차이를 검지하는 식별 검지 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 식별홈의 후단부의 위치 차이에 의해, 상기 식별 검지 기구가 상이한 동작을 실시하는 카드 커넥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 식별홈의 후단부의 위치 차이에 의해, 상기 식별 검지 기구가 상이한 동작을 실시하는 카드 커넥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 식별홈의 후단부의 위치 차이에 의해, 상기 식별 검지 기구가 상이한 동작을 실시하는 카드 커넥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된 것을 인식하고, 그 후에 상기 식별 검지 기구의 동작 상태 를 확인함으로써, 장착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의 종별을 판정하는 카드 커넥터.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된 것을 인식하고, 그 후에 상기 식별 검지 기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장착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의 종별을 판정하는 카드 커넥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된 것을 인식하고, 그 후에 상기 식별 검지 기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장착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의 종별을 판정하는 카드 커넥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된 것을 인식하고, 그 후에 상기 식별 검지 기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장착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의 종별을 판정하는 카드 커넥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된 것을 인식하고, 그 후에 상기 식별 검지 기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장착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의 종별을 판정하는 카드 커넥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에 형성된 외부 접속부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부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전자 기능 카드가 정상적인 위치에 장착된 것을 인식하고, 그 후에 상기 식별 검지 기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장착된 상기 전자 기능 카드의 종별을 판정하는 카드 커넥터.
KR1020080097330A 2007-10-05 2008-10-02 전자 기능 카드 및 카드 커넥터 KR100994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62363 2007-10-05
JP2007262363A JP4376284B2 (ja) 2007-10-05 2007-10-05 電子機能カードおよびカード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454A KR20090035454A (ko) 2009-04-09
KR100994092B1 true KR100994092B1 (ko) 2010-11-15

Family

ID=4053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330A KR100994092B1 (ko) 2007-10-05 2008-10-02 전자 기능 카드 및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76284B2 (ko)
KR (1) KR100994092B1 (ko)
CN (1) CN101404068A (ko)
TW (1) TW2009377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359A (ja) * 2007-10-05 2009-04-30 Alps Electric Co Ltd 電子機能カード
JP5568671B2 (ja) * 2013-07-16 2014-08-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EP3087457B1 (en) 2013-12-23 2021-02-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riting information on substrate displays
KR102205900B1 (ko) * 2014-01-29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석장치 및 분석장치의 카트리지 장착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KR102207114B1 (ko) * 2014-06-12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의 운용 방법
CN107632566B (zh) * 2017-09-19 2020-06-30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板卡识别装置、方法和网络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9831A1 (fr) 2001-01-26 2002-08-01 Sony Corporation Carte a circuit integre et adaptateur de carte a circuit integre
JP2005339496A (ja) 2004-04-26 2005-12-08 Renesas Technology Corp メモリカー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9831A1 (fr) 2001-01-26 2002-08-01 Sony Corporation Carte a circuit integre et adaptateur de carte a circuit integre
JP2005339496A (ja) 2004-04-26 2005-12-08 Renesas Technology Corp メモリカ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4068A (zh) 2009-04-08
JP2009093358A (ja) 2009-04-30
JP4376284B2 (ja) 2009-12-02
TW200937773A (en) 2009-09-01
KR20090035454A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092B1 (ko) 전자 기능 카드 및 카드 커넥터
US6783399B2 (en) Universal slot for accommodating various types of flash memory cards
JP3689528B2 (ja) コンビチップカード用の接触ユニット
US9236692B2 (en) Card connector
EP1324256B1 (en) Card connector
US8794986B2 (en) Connector
JP5919171B2 (ja) 手動式カードリーダ
JP422686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9164003A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1724335B1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JP4582214B2 (ja) コネクタ
KR101057236B1 (ko) 카드 커넥터
US6869017B2 (en) Card connector
JP2009110097A (ja) カードコネクタ
JP4510067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9093890A (ja) カードコネクタ
CN105186156B (zh) 卡保持构件以及卡用连接器
JP6456757B2 (ja)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9093359A (ja) 電子機能カード
JP2009140662A (ja) カードコネクタ
JP382757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TWI548147B (zh)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JP2003229206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629463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436404B2 (ja) 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