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75475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475B1
KR100975475B1 KR1020097009654A KR20097009654A KR100975475B1 KR 100975475 B1 KR100975475 B1 KR 100975475B1 KR 1020097009654 A KR1020097009654 A KR 1020097009654A KR 20097009654 A KR20097009654 A KR 20097009654A KR 100975475 B1 KR100975475 B1 KR 100975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r
light emitting
operation mode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969A (ko
Inventor
마사노리 야스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66B5/0062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by device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엘리베이터칸의 상부 중 어느 일방에는 광을 발하는 발광 장치가 마련되고, 타방에는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을 받는 수광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을 통상 속도로 이동시키는 통상 운전 모드와, 통상 속도보다 저속으로 엘리베이터칸을 이동시키는 점검 운전 모드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 장치는 수광 장치에 의한 수광의 검출이 정지했을 때에,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승강로(昇降路)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칸의 부하 중량을 검출하는 부하 중량 검출부와, 개방된 엘리베이터칸 도어 입구에서의 통과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통과 검출부를 가지며, 부하 중량 검출부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 통과 검출부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수원이 엘리베이터칸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보수 안전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종래 엘리베이터의 보수 안전 장치에서는 부하 중량 검출부가 엘리베이터칸의 부하 중량의 증가를 검출하고, 또한 엘리베이터칸 도어 통과 검출부가 통과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보수원이 엘리베이터칸 상에 있는 것이 검출되어,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금지된다(특허 문헌 1 참조).
또, 종래 발광 장치와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을 받는 수광 장치를 엘리베이터칸 상에 마련하고, 수광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칸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상의 안전 장치도 제안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상에는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을 수광 장치로 유도하는 2개의 반사경이 마련되어 있다. 일방(一方)의 반사경은 발광 장치의 윗쪽에 배치되고, 타방(他方)의 반사경은 수광 장치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은 일방의 반사경에서 반사되어 엘리베이터칸 상의 작업 범위 위를 수평 방향으로 진행한 후, 타방의 반사경에서 반사되어 수광 장치에 도달한다. 이 종래 엘리베이터칸 상의 안전 장치에서는 수광 장치에 의한 수광이 정지되었을 때에,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칸 상에 있는 것이 검출되어, 경보의 발보 및 엘리베이터칸의 정지가 행해진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4-22454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5-9689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보수 안전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정전시 등, 엘리베이터칸 도어 통과 검출부의 동작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 보수원이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입구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내에 들어간 경우, 실제로는 보수원이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입구를 통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칸 도어 통과 검출부가 보수원을 검출하는 일은 없다. 이 경우, 정전이 복귀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 통과 검출부가 보수원을 검출하지 않은 채로 엘리베이터칸의 부하 중량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보수원이 엘리베이터칸 상에 타고 있다는 잘못된 검출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보수원이 엘리베이터칸 상에 타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실수로 금지될 우려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칸 상의 안전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 상의 작업 범위 위를 진행하는 광의 방향이 수평 방향이므로, 엘리베이터칸 상의 작업자를 검출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칸으로부터 윗쪽으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 각 반사경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칸의 실질적인 높이가 높아져서 승강로의 오버헤드(overhead) 치수가 증대되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의 높이 치수의 증대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 상의 보수원 유무를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엘리베이터칸의 상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되어, 광을 발하는 발광 장치;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엘리베이터칸의 상부 중 어느 타방에 마련되어,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을 받는 수광 장치; 및 엘리베이터칸을 통상 속도로 이동시키는 통상 운전 모드와, 통상 속도보다 저속으로 엘리베이터칸을 이동시키는 점검 운전 모드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수광 장치에 의한 수광의 검출이 정지했을 때에,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엘리베이터칸의 상부 중 어느 일방에 발광 장치가 마련되고, 타방에 수광 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수광 장치에 의한 수광의 검출이 정지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제어 장치에 의해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보수원이 엘리베이터칸 상에 탔을 때에,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이 보수원에 차단되는 것에 의해, 수광 장치에 의한 수광의 검출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 상의 보수원 유무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을 엘리베이터칸의 윗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통과시킬 필요가 없어지므로, 수평 방향으로 광을 통과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반사경 등의 부재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의 실질적인 높이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승강로의 높이 치수의 증대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counterweight; 3)가 마련되어 있다. 각 층에는 승강로(1) 내와 승장(乘場; 4)을 연통하는 승장 출입구(5)와, 승장 출입구(5)를 개폐하는 승장 도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는 복수의 기기가 유닛화된 꼭대기부 유닛(6)이 마련되어 있다. 꼭대기부 유닛(6)은 수평으로 배치된 장착 프레임(mounting frame; 7)과, 장착 프레임(7)에 각각 마련된 권상기(hoisting machine; 구동 장치; 8) 및 복수의 종동 쉬브(driven sheave; 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8) 및 각 종동 쉬브는 개별적으로 정해진 위치(소정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8)는 권상기(8)의 주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는 구동 쉬브(driving sheave; 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또, 권상기(8)는 주축을 따른 방향(축선 방향)의 치수가 지름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로 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8)는 주축의 방향이 연직(鉛直) 방향으로 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 및 각 종동 쉬브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main rope; 도시하지 않음)가 연속적으로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각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아져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이동하게 된다. 각 종동 쉬브는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의 이동에 따라 회전된다.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는 광을 발하는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발광 장치(9a, 9b, 9c)가 마련되어 있다. 각 발광 장치(9a ~ 9c)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각 발광 장치(9a ~ 9c)는 상부를 노출시켜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매립(embed)되어 있다. 각 발광 장치(9a ~ 9c) 각각으로부터의 광은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윗쪽으로 조사된다. 즉, 각 발광 장치(9a ~ 9c) 각각으로부터의 광은 승강로(1)의 꼭대기부를 향하여 조사된다.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는 각 발광 장치(9a, 9b, 9c)로부터의 광을 개별적으로 받는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수광 장치(10a, 10b, 10c)가 마련되어 있다. 즉,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는 발광 장치(9a ~ 9c)의 수와 동수인 수광 장치(10a ~ 10c)가 마련되어 있다. 각 수광 장치(10a ~ 10c)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수광 장치(10a ~ 10c)는 승강로(1)의 높이 방향(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 꼭대기부 유닛(6)의 치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 각 수광 장치(10a ~ 10c)는 권상기(8)에 장착되어 장착 프레임(7)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수광 장치(10a, 10b, 10c)는 각 발광 장치(9a, 9b, 9c)의 각각으로부터 받는 광의 유무를 개별적으로 검출한다.
엘리베이터칸(2)에는 엘리베이터칸(2) 상에서 조작 가능한 복귀 스위치(11)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의 내벽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2)가 마련되어 있다. 각 수광 장치(10a ~ 10c) 및 복귀 스위치(11)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제어 장치(12)로 전송된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통상 운전을 행할 때의 통상 운전 모드와,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할 때의 점검 운전 모드 사이에서 제어 장치(12)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운전 모드에서는 승장(4)에 마련된 승장 버튼 및 엘리베이터칸(2) 내에 마련된 행선층 버튼(모두 도시하지 않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작에 의한 호출 등록에 기초하여 속도 패턴이 제어 장치(12)에 의해 설정되고, 설정된 속도 패턴에 따른 통상 속도로 엘리베이터칸(2)이 이동된다.
점검 운전 모드에서는 엘리베이터칸(2) 상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칸 저속 이동용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이 이동하게 된다. 또, 점검 운전 모드에서는 통상 운전 모드에서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통상 속도)보다도 저속으로 엘리베이터칸(2)이 이동하게 된다.
제어 장치(12)는 각 수광 장치(10a ~ 10c)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한다. 즉, 제어 장치(12)는 각 수광 장치(10a ~ 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수광의 검출이 정지했을 때에,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한다. 또, 제어 장치(12)는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한 후에, 각 수광 장치(10a ~ 10c)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점검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금지한다.
또, 제어 장치(12)는 복귀 스위치(1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점검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한다. 즉, 제어 장치(12)는 복귀 스위 치(11)의 조작을 검출했을 때에만 점검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한다.
따라서, 수광 장치(10a ~ 10c)에 의한 수광의 검출이 정지되어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 전환된 경우, 그 후에 각 수광 장치(10a ~ 10c)에 의한 수광의 검출이 모두 회복되었다 해도, 복귀 스위치(11)를 조작하지 않는 한 통상 운전 모드로 전환되는 일은 없다.
승강로(1) 내의 기기에 대해 보수 점검을 행할 때에는 보수원(13)이 엘리베이터칸(2) 상에 올라타서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통상의 보수 점검은 승강로(1) 내에 설치된 소정의 보수 대상 기기에 대해 행해진다. 따라서, 보수원(13)의 작업 위치는 보수 대상 기기의 위치에 따라 정해져 있다. 또한, 소정의 보수 대상 기기로는, 예를 들어 권상기(8)나 제어 장치(12) 등을 들 수 있다.
엘리베이터칸(2) 상에는 보수원(13)이 보수 점검시에 이동 가능한 소정의 작업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소정의 작업 범위 내에는 보수 대상 기기에 대한 보수 공간(maintenance space)이 확보되어 있다. 보수원(13)은 보수 공간 내에서 보수 대상 기기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한다. 보수 대상 기기에 대한 보수 공간의 위치는 보수 대상 기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다.
각 발광 장치(9a ~ 9c)는 보수 대상 기기에 대한 보수 공간 내에 우선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발광 장치(9a ~ 9c)의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는 보수 대상 기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각 설정되어 있다.
도 2에는 보수 대상 기기인 제어 장치(12)에 대한 보수 공간(14)가 나타나 있다. 제어 장치(12)에 대한 보수 공간(14)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제어 장치(12)에 인접하는 엘리베이터칸(2) 상의 공간으로 되어 있다. 각 발광 장치(9a ~ 9c) 중 일부의 발광 장치(9a)는 제어 장치(12)에 대한 보수 공간(14) 내에 배치되어 있다. 나머지의 발광 장치(9b, 9c)는 제어 장치(12)와는 다른 별도의 보수 대상 기기(예를 들어 권상기(8) 등)에 대한 보수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엘리베이터칸(2)은 통상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각 수광 장치(10a ~ 10c)에서는 각 발광 장치(9a ~ 9c)로부터의 수광이 각각 검출되고 있다. 이로 인해, 통상 운전 모드가 유지된다.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보수원(13)이 승장(4)으로부터 승장 출입구(5)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칸(2) 상에 올라탄다. 이로 인해, 각 발광 장치(9a ~ 9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광이 보수원(13)에 의해 차단된다. 이로 인해, 각 수광 장치(10a ~ 10c)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수광의 검출이 정지된다.
각 수광 장치(10a ~ 10c)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수광이 정지되면, 제어 장치(12)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엘리베이터칸(2) 상의 엘리베이터칸 저속 이동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을 저속으로 이동시키는 점검 운전으로 된다.
또, 각 수광 장치(10a ~ 10c)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수광이 일단 정지 한 후에, 각 수광 장치(10a ~ 10c)에 의한 모든 수광이 회복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는 점검 운전 모드인 채로 유지된다. 즉,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는 각 수광 장치(10a ~ 10c)로부터의 정보에 관계없이 유지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각 수광 장치(10a ~ 10c)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점검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 전환되는 일은 없다.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복귀 스위치(11)가 보수원(13)에 의해 조작된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점검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발광 장치(9a ~ 9c)가 마련되고,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수광 장치(10a ~ 10c)가 마련되어 있고, 수광 장치(10a ~ 10c)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수광의 검출이 정지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제어 장치(12)에 의해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보수원(13)이 엘리베이터칸(2) 상에 탔을 때에, 발광 장치(9a ~ 9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광이 보수원(13)에 차단되는 것에 의해, 수광 장치(10a ~ 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수광의 검출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칸(2) 상 보수원(13)의 유무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원(13)이 점검 운전 모드로 전환하는 조작을 의식적으로 행하지 않아도, 보수원(13)이 엘리베이터칸(2) 상에 타는 것만으로 점검 운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수원(13)이 전환 조작을 잊은 경우라도,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발광 장치(9a ~ 9c) 각각으로부터의 광을 엘리베이터칸(2)의 윗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통과시킬 필요가 없어지므로, 수평 방향으로 광을 통과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칸(2)에 마련된 반사경 등의 부재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2)의 실질적인 높이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승강로(1)의 높이 치수의 증대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발광 장치(9a ~ 9c)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복수의 수광 장치(10a ~ 10c)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2) 상의 복수 개소(箇所)에서 보수원(13)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2) 상에서 보수원(13)의 유무를 더욱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각 발광 장치(9a ~ 9c)의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는 승강로(1) 내에 마련된 소정의 보수 대상 기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각 설정되어 있으므로, 보수 점검시에 보수원(13)이 존재할 확률이 높은 개소에 있어서 보수원(13)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칸(2) 상에서 보수원(13)의 유무를 더욱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12)는 엘리베이터칸(2) 상에 마련된 복귀 스위치(11)의 조작을 검출했을 때에만, 점검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하므로, 보수원(13)의 의사에 반하여 점검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 잘못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권상기(8)를 갖는 꼭대기부 유닛(6)이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마련되고, 각 수광 장치(10a ~ 10c)는 승강로(1)의 높이 방향에 대해 꼭대기부 유닛(6)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수광 장치(10a ~ 10c)가 꼭대기부 유닛(6)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승강로(1)의 높이 치수의 증대 방지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발광 장치(9a ~ 9c)가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마련되고, 각 수신 장치(10a ~ 10c)가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마련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각 수광 장치(10a ~ 10c)를 마련하고,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각 발광 장치(9a ~ 9c)를 마련해도 된다.
또, 각 발광 장치(9a ~ 9c) 및 각 수광 장치(10a ~ 10c)의 각각을 적외선 통신용의 발신 장치 및 수신 장치로 해도 된다. 즉, 각 발광 장치(9a ~ 9c)로부터의 광을 적외선으로 하고, 엘리베이터칸(2) 및 제어 장치(12) 사이에서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각 발광 장치(9a ~ 9c)로부터의 광에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정보는 각 발광 장치(9a ~ 9c)로부터 각 수광 장치(10a ~ 10c)로 보내진다. 제어 정보로는 각 발광 장치(9a ~ 9c)가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호출 등록의 정보 등을 들 수 있고, 각 발광 장치(9a ~ 9c)가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칸(2) 및 제어 장치(12) 사이의 제어 정보 전송은 승강로(1) 내에 매달아져 엘리베이터칸(2)과 함께 이동하는 제어 케이블(이동 케이블)을 통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각 발광 장치(9a ~ 9c)로부터의 광에 제어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제어 케이블의 일부를 삭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 케이블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어 케이블의 비용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는 CCD 카메라(화상 인식 장치; 21)가 수광 장치로서 마련되어 있다. CCD 카메라(21)는 각 발광 장치(9a ~ 9c) 각각으로부터의 광을 화상으로서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각 발광 장치(9a ~ 9c) 각각으로부터의 광은 공통의 CCD 카메라(21)에 의해 검출된다. CCD 카메라(21)에 의해 검출된 화상 정보는 제어 장치(12)로 전송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CCD 카메라(21)가 권상기(8)에 마련되어 있다.
제어 장치(12)는 CCD 카메라(21)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한다. 즉, 제어 장치(12)는 CCD 카메라(21)로부터의 화상 정보와, 미리 설정된 설정 기준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한다. 설정 기준 정보는 각 발광 장치(9a ~ 9c) 각각으로부터의 광이 CCD 카메라(21)에 의해 모두 검출되어 있을 때(즉, 각 발광 장치(9a ~ 9c)로부터 CCD 카메라(21)로의 각각의 광 차폐가 없을 때)의 화상 정보이다. CCD 카메라(21)로부터의 화상 정보가 설정 기준 정보와 정합(整合)되지 않아, 각 발광 장치(9a ~ 9c)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 검출이 정지되어 있는 결과가 되었을 때에, 제어 장치(12)는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양(同樣)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발광 장치(9a ~ 9c) 각각으로부터의 광 을 화상으로서 검출 가능한 CCD 카메라(21)가 수광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으므로, 각 발광 장치(9a ~ 9c) 각각으로부터의 광 검출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2) 상에서 보수원(13)의 유무를 더욱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발광 장치(9a ~ 9c)가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마련되고, CCD 카메라(21)가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마련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CCD 카메라(21)를 마련하고,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각 발광 장치(9a ~ 9c)를 마련해도 된다.
실시 형태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는 발광 장치(31)가 마련되어 있다. 발광 장치(31)는 CCD 카메라(21)에 대해 선 형상으로 발광하는 선 광원을 가지고 있다. 발광 장치(31)의 선 광원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발광 장치(31)의 선 광원으로는, 예를 들어 선 형상으로 연속해서 배열된 복수의 LED 등을 들 수 있다. 선 광원은 직선 형상 및 곡선 형상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CCD 카메라(21)는 발광 장치(31)로부터의 광을 화상으로서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CCD 카메라(21)에 의해 검출된 화상 정보는 제어 장치(12)로 전송된다.
제어 장치(12)는 CCD 카메라(21)로부터의 화상 정보와 미리 설정된 설정 기준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한다. 설정 기준 정보는 발광 장치(31)의 선 광원의 모든 부분(즉, 선 광원 전체)으로부터의 광이 CCD 카메라(21)에 의해 검출되어 있을 때(즉, 선 광원 전체로 부터 CCD 카메라(21)로의 광 차폐가 없을 때)의 화상 정보이다. CCD 카메라(21)로부터의 화상 정보가 설정 기준 정보와 정합되지 않아, 발광 장치(31)의 선 광원의 적어도 일부로부터의 광 검출이 정지되어 있는 결과가 되었을 때에, 제어 장치(12)는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발광 장치(31)가 CCD 카메라(21)에 대해 선 형상으로 발광하는 선 광원을 가지고 있으므로, 발광 장치(31)를 발광시키는 범위를 연속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2) 상에서 보수원(13)의 유무를 더욱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발광 장치(31)의 광원이 선 광원으로 되어 있으나, CCD 카메라(21)에 대해 면 형상으로 발광하는 면 광원을 발광 장치의 광원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의 소정 범위에 발광 장치가 마련된다. 또, 제어 장치(12)에는 발광 장치의 면 광원의 모든 부분(즉, 면 광원 전체)으로부터의 광이 CCD 카메라(21)에 의해 검출되어 있을 때의 화상 정보가 설정 기준 정보로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면, 발광 장치의 발광이 연속되는 범위를 더욱 넓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2) 상에서 보수원(13)의 유무를 더욱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는 선 광원을 가지는 발광 장 치(41)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발광 장치(41)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의 영역 내의 소정 작업 범위보다도 승장 출입구(5)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 발광 장치(41)의 선 광원은 승장 출입구(5)의 정면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 발광 장치(41)의 선 광원은 승장 출입구(5)의 정면 폭 방향을 따라 승장 출압구(5)의 전 범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발광 장치(41)의 선 광원의 길이가 승장 출압구(5)의 정면 폭 치수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즉, 발광 장치(41)의 선 광원은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장 출압구(5)와 엘리베이터칸(2) 상의 소정 작업 범위와의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발광 장치(41)의 선 광원이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승장 출압구(5)와 엘리베이터칸(2) 상의 소정 작업 범위와의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으므로, 승장 출압구(5)와 엘리베이터칸(2) 상의 사이를 이동하는 보수원(13)을 검출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2) 상에서 보수원(13)의 유무를 더욱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는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발광 장치(51, 52)가 마련되어 있다. 각 발광 장치(51, 52)는 CCD 카메라(21)에 대해 선 형상으로 발광하는 선 광원을 각각 가지고 있다. 또, 각 발광 장치(51, 52)는 제어 장치(12)에 대한 보수 공간(14)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발광 장 치(51, 52)의 선 광원의 각각은 제어 장치(12)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즉, 각 발광 장치(51, 52)의 수평 방향에 대한 각각의 위치는 보수 대상 기기인 제어 장치(12)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발광 장치(51, 52)는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어 장치(12)와는 다른 별도의 보수 대상 기기에 대한 보수 공간 내에도 각 발광 장치(51, 52)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4와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복수의 발광 장치(51, 52)가 선 광원을 각각 가지며, 각 발광 장치(51, 52)의 수평 방향에 대한 각각의 위치가 제어 장치(12)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으므로, 보수 점검시에 보수원(13)이 존재할 확률이 높은 개소에 있어서 보수원(13)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2) 상에서 보수원(13)의 유무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각 발광 장치(51, 52)를 발광시키는 범위를 연속시킬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2) 상에서 보수원(13)의 유무를 더욱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발광 장치(51, 52)의 광원이 선 광원으로 되어 있으나, CCD 카메라(21)에 대해 면 형상으로 발광하는 면 광원을 발광 장치의 광원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12)에는 발광 장치의 면 광원의 모든 부분(즉, 면 광원 전체)으로부터의 광이 CCD 카메라(21)에 의해 검출되어 있을 때의 화상 정보가 설정 기준 정보로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면, 발광 장치의 발광이 연속되는 범위를 더욱 넓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2) 상에서 보수원(13)의 유무를 더욱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2 ~ 5에서는 CCD 카메라(21)의 대수가 1대로 되어 있으나, CCD 카메라(21)의 대수를 복수대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의 높이 치수의 증대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 상의 보수원 유무를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승강로 내를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되어, 광을 발하는 발광 장치,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의 어느 타방에 마련되어, 상기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을 받는 수광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통상 속도로 이동시키는 통상 운전 모드와, 상기 통상 속도보다도 저속으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이동시키는 점검 운전 모드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수광 장치에 의한 수광의 검출이 정지했을 때에,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발광 장치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수광 장치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각 상기 수광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수광의 검출이 정지했을 때에,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점검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 및 상기 수광 장치 중,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마련된 장치의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는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된 소정의 보수 대상 기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칸 상에서 조작 가능한 복귀 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귀 스위치의 조작을 검출했을 때에만, 상기 점검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의 전환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마련된 꼭대기부 유닛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발광 장치 및 상기 수광 장치 중,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마련된 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높이 방향으로 대해 상기 꼭대기부 유닛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 및 상기 제어 장치 사이를 전송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광 장치는 상기 발광 장치로부터의 광을 화상으로서 검출 가능한 화상 인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수광 장치에 대해 선 형상으로 발광하는 선 광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수광 장치에 대해 면 형상으로 발광하는 면 광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광 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꼭대기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와 승장을 서로 연통하는 승장 출입구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상의 소정 작업 범위와의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97009654A 2006-11-06 2006-11-06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75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2095 WO2008056398A1 (en) 2006-11-06 2006-11-06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969A KR20090076969A (ko) 2009-07-13
KR100975475B1 true KR100975475B1 (ko) 2010-08-11

Family

ID=3936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654A KR100975475B1 (ko) 2006-11-06 2006-11-0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80725B1 (ko)
JP (1) JP4885975B2 (ko)
KR (1) KR100975475B1 (ko)
CN (1) CN101535161B (ko)
WO (1) WO2008056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4949B2 (ja) * 2009-03-09 2011-10-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JP5605833B2 (ja) * 2010-08-20 2014-10-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2184091A (ja) * 2011-03-07 2012-09-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1405169B1 (ko) * 2012-09-21 2014-06-13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 상부용 자동 안전 시스템
JP5743346B2 (ja) * 2013-08-08 2015-07-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制御方法
BR102016024614A2 (pt) 2015-10-22 2017-05-02 Otis Elevator Co sistema de elevador, e, conjunto de segurança de manutenção
BR112018067735B1 (pt) 2016-03-18 2022-12-06 Otis Elevator Company Sistema de segurança de elevador, sistema de elevador, e, método para operar um sistema de elevador
CN106542395A (zh) * 2016-12-06 2017-03-29 宁波永良电梯技术发展有限公司 电梯井道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CN106882664B (zh) * 2017-04-17 2019-02-26 太原优班图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型的电梯监控系统
EP3409628A1 (en) * 2017-05-29 2018-12-05 KONE Corpora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lighting and an elevator
EP3424858B1 (en) 2017-07-03 2020-04-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intenance space projection systems
US10983210B2 (en) 2017-09-25 2021-04-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nsor array system
WO2020255353A1 (ja) * 2019-06-20 2020-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0921445B (zh) * 2019-12-30 2020-10-27 中国矿业大学 一种罐笼人员数量和肢体外伸监测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6285A (ja) 1985-10-21 1987-05-0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S6488686A (en) * 1987-09-29 1989-04-03 Fujitsu Ltd Deficient parts inspecting device for packaged part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1678A (en) * 1977-03-31 1978-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Smoke detecting method of elevator shafts
JPH0188686U (ko) * 1987-12-01 1989-06-12
JPH02169482A (ja) * 1988-12-19 1990-06-29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413868B2 (ja) * 1993-04-05 2003-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ニアモータ駆動方式エレベータ装置
JPH08113440A (ja) * 1994-10-18 1996-05-0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かご上作業安全装置
US6202797B1 (en) * 1999-08-26 2001-03-20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protection of elevator mechanics
EP1431228B1 (en) * 2000-02-09 2013-11-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afety device for working on top of an elevator car
EP1167268B1 (en) * 2000-02-09 2005-12-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afety device for work on elevator cage
JP2003212448A (ja) * 2002-01-25 2003-07-3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空間光伝送装置
JP2004196428A (ja) * 2002-12-16 2004-07-1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3824586B2 (ja) 2003-01-24 2006-09-2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保守安全装置
JP2005096878A (ja) * 2003-09-22 2005-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機器通信装置
JP2005096891A (ja) * 2003-09-22 2005-04-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かご上の安全装置
JP2005193995A (ja) * 2003-12-26 2005-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の揺れ変位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6285A (ja) 1985-10-21 1987-05-0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S6488686A (en) * 1987-09-29 1989-04-03 Fujitsu Ltd Deficient parts inspecting device for packaged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56398A1 (en) 2008-05-15
EP2080725A1 (en) 2009-07-22
CN101535161B (zh) 2011-10-26
KR20090076969A (ko) 2009-07-13
JPWO2008056398A1 (ja) 2010-02-25
JP4885975B2 (ja) 2012-02-29
EP2080725A4 (en) 2013-07-10
EP2080725B1 (en) 2015-05-20
CN101535161A (zh)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47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49794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US11505427B2 (en)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CN102317192B (zh) 电梯装置及其检查方法
KR20180097150A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JP550350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用取付物検出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エレベータの点検方法
CN114040883A (zh) 移动辅助装置的点检指示装置
CN114599598A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JP2012162342A (ja) エレベータ安全装置、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5443245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20190330015A1 (en) Elevator safety system
EP3587324A1 (en) Elevator system
CN112955396B (zh) 电梯装置
JP438752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530062B1 (ko)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JP7315094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監視装置
JP2004175560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EP4345044A1 (en) Elevator safety system
JP7215549B1 (ja) エレベータ保守システム
EP1493706B1 (en) Elevator device
JP201109878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211935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JP2024008248A (ja) エレベータ
JP6786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接触抑制システム
JP6765227B2 (ja) 出入口開閉不良時マットずれ検出エレベーター、及び出入口開閉不良時マットずれ検出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