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92048B1 -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048B1
KR100892048B1 KR1020060089896A KR20060089896A KR100892048B1 KR 100892048 B1 KR100892048 B1 KR 100892048B1 KR 1020060089896 A KR1020060089896 A KR 1020060089896A KR 20060089896 A KR20060089896 A KR 20060089896A KR 100892048 B1 KR100892048 B1 KR 100892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active material
p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5427A (ko
Inventor
추승우
최권영
신보라
오동명
김동명
김용정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8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048B1/ko
Priority to BRPI0718466A priority patent/BRPI0718466B8/pt
Priority to CN2007800344553A priority patent/CN101517812B/zh
Priority to PCT/KR2007/003759 priority patent/WO2008035854A1/en
Priority to US12/440,780 priority patent/US8129053B2/en
Priority to EP07807963.9A priority patent/EP2064768B1/en
Priority to JP2009529100A priority patent/JP5474553B2/ja
Priority to TW096131906A priority patent/TWI349384B/zh
Publication of KR20080025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의 젖음 특성이 낮은 양극 활물질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차전지로서,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첨가제')가 양극 합제 및/또는 전해액에 첨가되어 고율 방전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High-Rate Discharging Properties}
도 1은 1.5 C의 방전 조건에서 실시예 1의 전지와 비교예 1의 전지의 방전 용량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2 C의 방전 조건에서 실시예 1의 전지와 비교예 1의 전지의 방전 용량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액의 젖음 특성이 낮은 양극 활물질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차전지로서,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첨가제')가 양극 합제 및/또는 전해액에 첨가되어 고율 방전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 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고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압을 가지는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로 LiCoO2 등의 금속 산화물과 음극 활물질로 탄소 재료를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 사이에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을 넣고, LiPF6 등의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을 넣어서 제조하게 된다. 충전 시에는 양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음극의 탄소층으로 삽입되고, 방전시에는 반대로 음극 탄소층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양극 활물질로 삽입되며, 이때 비수성 전해액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매질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기본적으로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안정해야 하고, 충분히 빠른 속도로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
상기 비수성 전해액은 리튬 이차전지 제조의 마지막 단계에서 전지 내로 투입되는데, 이때 전극이 전해액에 의해 신속하고 완전하게 습윤화 되어야 전지 제조에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전지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의 비수성 전해액으로는 주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해액은 전해질 염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키고 해리시킬 만큼의 극성을 가진 극성 용매임과 동시에, 활성수소를 갖고 있지 않은 비양자성 용매이며, 종종 전해액 내부의 광범위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점성 및 표면장력이 높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의 비수성 전해액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결 합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 재료와 친화성이 적어서, 전극 재료를 쉽게 습윤화시키지 못한다. 이는,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지의 레이트 특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
또한,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로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에 포함되는 코발트(Co)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다양한 전이금속 혼합 산화물들을 LiCoO2 대신 사용하거나 그와 함께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고율 방전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고율 방전 특성은 리튬이온의 이동도(Rate 특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바, 전해액의 양극 활물질에 대한 젖음 특성을 높여 레이트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율 방전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극에 대한 전해액의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다수 존재하는 바,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2-305023호 및 미국 등록특허 제6,245,465호에는 퍼플루오르화 폴리에테르 등의 플루오르화물(Fluoride)과 술폰(Sulfone)에 플루오르화 알킬(Fluorinated alkyl) 등의 다양한 작용기를 치환한 물질들을 전해질 용매에 투입하여, 전해액의 전극에 대한 젖음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0-082471호 및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3-096232호에는 카르본산 염계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의 공중합체에 올리고알킬렌옥사이드 구조의 가교제를 치 환한 물질을 사용하여 젖음 특성을 향상시킨 전해질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2-066272호 및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1996-027036호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계의 고분자와 다양한 리튬염, 메탈로신 등을 혼합하여 만든 고분자 전해질을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1997-306501호에는 유기 전해액과 친화성을 갖는 올레인산 아미드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유기 전해액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의 이차전지는 높은 내부 저항으로 인해 전지의 전반적인 작동 특성이 떨어지거나, 적어도 소망하는 수준의 고율 방전 특성을 발휘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전해액에 대한 젖음 특성이 낮은 양극 활물질에 대해, 전해액의 젖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정한 물질을 양극 합제나 또는 전해액에 첨가하는 경우, 전지의 일반적인 작동 특성을 저하시킴이 없이, 고율 방전 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해액의 젖음 특성이 낮은 양극 활물질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차전지로서,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첨가제')가 양극 합제 및/또는 전해액에 첨가되어 고율 방전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상기 첨가제를 양극 합제 및/또는 전해액에 포함함으로써, 양극 활물질의 전해액에 대한 젖음성이 크게 향상되고, 이에 따라 전하 이동 저항이 낮아짐으로써 리튬 이온의 이동도를 증가시켜, 고율 방전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양극 활물질은 전해액에 대한 젖음 특성이 낮은 양극 활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종류의 전이금속 원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다성분계 양극 활물질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등과 같은 단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은 작은 입자(1차 입자)들이 독립적인 상을 이루고 있다. 반면에, 리튬 니켈-코발트 산화물, 리튬 니켈-망간 산화물, 리튬 망간-코발트 산화물 등의 2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과, 리튬 니켈-망간-코발트 산화물 등의 3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 등은 일반적으로 1차 입자들이 응집된 구조의 2차 입자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들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은 결정 내에서의 리튬 이온의 확산 속도가 단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작은 입자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을 독립상 의 1차 입자로 만들기 위해서는 제조과정에서 소성 온도를 높여야 하지만, 이와 같이 소성 온도를 높일 경우, 결정 구조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한다. 따라서, 균일한 결정 구조의 형성을 위해서는 소성 온도를 낮추어야 하고, 이러한 낮은 소성 온도에서는 입자 크기의 성장에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2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 3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 등의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은 1차 입자들이 응집된 구조의 2차 입자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응집 구조에서는 입자 표면에 대한 전해액의 접근이 제한적이므로, 단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에 비해 레이트 특성이 낮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전해액 젖음 특성이 낮은 응집 2차 입자 구조의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은 양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첨가제는 응집 2차 입자 구조의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에 대한 전해액의 젖음 특성을 향상시켜, 리튬 이온의 확산 속도를 1차 입자 수준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은 전해액의 젖음 특성이 낮은 응집 구조를 가진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리튬 니켈-망간-코발트 산화물일 수 있으며,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LiNi1 /3Mn1 /3Co1 /3O2를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전해액에 첨가되는 경우에는, 전해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 10 중량%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첨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반대로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전해액의 점도 증가에 따른 주액 공정 상의 문제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첨가제가 양극 활물질에 직접 포함되는 경우에는, 양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첨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반대로 너무 많은 경우에는 내부 저항을 증가시켜 전지의 작동 특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양극 활물질에 대한 전해액의 젖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제인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미드 치환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예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의 블록 공중합 구조의 한쪽 또는 양쪽 말단에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체가 결합되어 있는 변질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PEO-PPO 블록 공중합 구조는 친수성의 PEO(Polyethylene oxide)와 소수성의 PPO(Polypropylene oxide) 쇄가 일정한 단위로 반복되어 결합된 구조로서, 전지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영향이 매우 적으며, 분자내에 친수성과 소수성 부위를 함께 가지고 있어서 전극에 대한 전해액의 젖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물질은 또한, 이러한 블록 공중합 구조의 말단에 매우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지는 플루오린을 다수 가지고 있는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체를 결합시킴으로써, PEO-PPO 블록 공중합체 단독 사용에 비해 더욱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결합은 물질의 표면 에너지 구배에 변화를 주게 되어 전해액의 양극에 대한 젖음 특성을 극대화시켜, 궁극적으로 고율 방전 특성 향상에 기여한다.
PEO-PPO 블록 공중합체에서 PEO 블록과 PPO 블록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중합체의 말단이 어떠한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체는 그러한 공중합체의 한쪽 말단 또는 양쪽 말단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PEO-PPO 블록 공중합체에서 공중합체가 전체적으로 PEO 블록과 PPO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것의 양쪽 말단들을 구성하는 경우,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체가 PEO 블록의 말단에 결합되는 구조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체가 PPO 블록의 말단에 결합되는 경우, 에너지 구배가 한쪽으로 치우쳐져서 그 효과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즉, 당해 물질의 양쪽에 소수성을 지닌 작용기가 있을 경우 V 자 형태로 계면활성제가 작용하여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이어주는 앵커(anchor)가 2 개가 되지만, PPO 블록 말단에 결합될 경우, I 형태로 작용하여 앵커가 1 개 밖에는 작용하지 못하므로 그 효율이 떨어진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공중합체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66956912-pat00001
상기 식에서, n 은 40 ~ 1000 이고, m 은 40 ~ 200이며, n = Am의 비를 가지며, 여기서 A값은 1 ~5의 범위에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물질을 가지는 것은 대표적으로 FC4430(3M사 제품)가 시판되고 있다.
상기 첨가제는 그 자체로서 양극 활물질이나 전해액에 첨가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용매 등에 용해시킨 상태 또는 분산되어 있는 상태로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PEO-PPO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PEO 함량은 적어도 PPO 보다 많은 범위에서 전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충분한 길이의 PEO 블록이 존재하게 되므로,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체와 PPO 블록과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반발력이 약화되어, V자 형태로 휘어지는 것이 상대적으로 쉬워질 수 있다.
반면에, 블록 공중합체 중 PEO의 함량이 PPO 보다 적은 경우, PEO 블록은 길이가 PPO 블록의 길이보다 짧아지므로,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체와 PPO 블록과의 표면에너지 차이에 의한 반발력으로 인해, V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불안정해지므로, 앵커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기타 성분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은 양극 집전체 상에 상기 양극 활물질 외에 도전재 및 바인더 등의 혼합물을 슬러리의 형태로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축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혼합물에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재료를 도포, 건조 및 압축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양극의 성분들(바인더, 도전재, 충진제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 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재료는,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 (0≤x≤1), LixWO2 (0≤x≤1), SnxMe1 - 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and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계 전해질은, 비수 전해질과 리튬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수 전해질로는 비수 전해액,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비수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보네 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질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수계 전해질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리튬 이차전지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1. 양극의 제조
양극 활물질로서 평균 입경이 대략 10 ㎛인 LiCoO2와 LiNi1/3Mn1/3Co1/3O2 ('NMC')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LiCoO2 47.5 중량%, NMC 47.5 중량%, Super-P(도전제) 2.5 중량%, 및 PVdF(결합제) 2.5 중량%의 조성으로 용제인 NMP(N-methyl-2-pyrrolidone)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한 후, 알루미늄 집전체 상에 3 mAh/cm2로 코팅, 건조를 행한 후, 131 ㎛의 두께로 압착하여 양극을 제 조하였다.
1-2. 음극의 제조
음극 활물질로는 평균 입경이 대략 10 ㎛인 인조흑연을 사용하였고, 인조흑연 95.3 중량%, Super-P(도전제) 0.7 중량% 및 PVDF(결합제) 4 중량%의 조성으로 용제인 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한 후, 구리 집전체 상에 3 mAh/cm2로 코팅, 건조를 행한 후, 125 ㎛의 두께로 압착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1-3. 전해액의 제조
전해액으로는 1M LiPF6에 EC: EMC=1:2의 비율로 섞여 있는 EC/EMC계 유기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가 치환된 PEO-PPO 블록 공중합체로서 FC4430(3M 제품) 0.5 중량%를 첨가하여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1-4. 전지의 제조
상기 1-1 및 1-2에서 각각 제조된 양극과 음극 사이에 20 ㎛ 두께의 다공성 분리막(상표: 셀가드)을 위치시키고 상기 1-3에서 제조한 비수성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해액의 주입 후, 별도로 숙성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전지 조립을 행하였다.
[비교예 1]
전해액에 FC4430를 첨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양극 활물질로서 LiCoO2 만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전해액에 FC4430를 첨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양극 활물질 중에 NMC를 20 중량%로 첨가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전해액에 FC4430를 첨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4에서 각각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들을 0.2 C, 0.5 C, 1 C, 1.5 C 및 2 C의 조건으로 방전시켜 방전 용량을 상호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은 0.2 C의 방전 조건을 기준(100)으로 하여 나머지 방전 조건에서의 용량을 상대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이차전지에서 1.5 C 및 2 C의 방전 그래프들을 도 1 및 도 2에 함께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6066956912-pat00002
이들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전 용량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1 C 이상의 고율 방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지는 비교예 1의 전지에 비해 우수한 방전 용량을 나타냈으며, 특히, 방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방전 용량의 차이가 현저히 커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실시예 2의 전지와 비교예 4의 전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한편, 양극 활물질로서 단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인 LiCoO2 만을 사용한 전지들(비교예 2 및 3)은, 전반적으로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 는 전지(비교예 1)에 비해 고율 방전 용량 유지율이 우수하였으나, FC4430의 첨가 여부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인 NMC가 일부라도 전극 활물질로서 포함된 전지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의 부가에 의해, 양극 젖음성의 개선에 의해 고율 방전 용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특정한 첨가제를 양극 합제 및/또는 전해액에 첨가함으로써, 양극의 젖음성이 개선되어 전해액과 양극 사이의 반응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높은 고율 방전 용량을 발휘한다.

Claims (11)

  1. 전해액의 젖음 특성이 낮은 양극 활물질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차전지로서,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기를 포함하는 고분자('첨가제')가 (ⅰ) 양극 합제, 또는 (ⅱ) 전해액, 또는 (ⅲ) 양극 합제 및 전해액에 첨가되어 고율 방전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해액의 젖음 특성이 낮은 양극 활물질은 적어도 2 종류의 전이금속 원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다성분계 양극 활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계 양극 활물질은 1차 입자들이 응집된 구조의 2차 입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은 양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계 전이금속 산화물은 리튬 니켈-망간-코발트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전해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 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양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와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의 블록 공중합 구조의 한쪽 또는 양쪽 말단에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체가 결합되어 있는 변질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PEO-PPO 블록 공중합체가 전체적으로 PEO 블록과 PPO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것의 양쪽 말단들을 구성하는 경우, 퍼플루오르화 술폰 아마이드 치환체가 PEO 블록의 말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Figure 112006066956912-pat00003
    (1)
    상기 식에서, n 은 40 ~ 1000이고, m 은 40 ~ 200이며, n = Am의 비를 가지며, 여기서 A값은 1 ~ 5의 범위에 있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PEO-PPO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PEO 함량은 전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60089896A 2006-09-18 2006-09-18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0892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896A KR100892048B1 (ko) 2006-09-18 2006-09-18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BRPI0718466A BRPI0718466B8 (pt) 2006-09-18 2007-08-04 Bateria secundária de propriedades de alta taxa de descarga aperfeiçoadas
CN2007800344553A CN101517812B (zh) 2006-09-18 2007-08-04 具有改善的高速率放电特性的二次电池
PCT/KR2007/003759 WO2008035854A1 (en) 2006-09-18 2007-08-04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high-rate discharging properties
US12/440,780 US8129053B2 (en) 2006-09-18 2007-08-04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high-rate discharging properties
EP07807963.9A EP2064768B1 (en) 2006-09-18 2007-08-04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high-rate discharging properties
JP2009529100A JP5474553B2 (ja) 2006-09-18 2007-08-04 高速放電特性を改良した二次バッテリー
TW096131906A TWI349384B (en) 2006-09-18 2007-08-28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high-rate discharging proper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896A KR100892048B1 (ko) 2006-09-18 2006-09-18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427A KR20080025427A (ko) 2008-03-21
KR100892048B1 true KR100892048B1 (ko) 2009-04-06

Family

ID=3920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896A KR100892048B1 (ko) 2006-09-18 2006-09-18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29053B2 (ko)
EP (1) EP2064768B1 (ko)
JP (1) JP5474553B2 (ko)
KR (1) KR100892048B1 (ko)
CN (1) CN101517812B (ko)
BR (1) BRPI0718466B8 (ko)
TW (1) TWI349384B (ko)
WO (1) WO20080358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0667A (zh) * 2019-12-31 2020-07-17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负极浆料、负极片、动力电池和电动汽车
WO2021225396A1 (ko) * 2020-05-08 2021-1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양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7683B2 (en) * 2008-05-30 2012-10-02 Uchicago Argonne, Llc Nano-sized structured layered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to enable high energy density and high rate capability lithium batteries
FR2979630B1 (fr) * 2011-09-05 2013-10-04 Univ Provence Aix Marseille 1 Copolymeres a blocs dont un polyanionique base sur un monomere anion de type tfsili comme electrolyte de batterie.
WO2013090249A1 (en) * 2011-12-14 2013-06-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chemical cells including partially fluorinated soluble polymers as electrolyte additives
US9923240B2 (en) * 2012-09-28 2018-03-20 Daikin Industries, Ltd. Electrolyte solution, electrochemical device, lithium battery, and module
KR102143461B1 (ko) * 2012-12-13 2020-08-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소듐 이차전지
US9236634B2 (en) * 2013-03-15 2016-01-12 Wildcat Discorvery Technologies, Inc. Electrolyte solutions for high cathode materials and methods for use
DE102013204671A1 (de) * 2013-03-18 2014-09-18 Robert Bosch Gmbh Elektrode für eine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
CN103633368B (zh) * 2013-10-28 2015-08-19 山东海容电源材料有限公司 电解液用阻燃添加剂及阻燃型锂离子电池电解液
US9287586B1 (en) 2015-01-16 2016-03-15 Wildcat Discovery Technologies, Inc. Electrolyte solutions for high energy cathode materials and methods for use
CN110444813B (zh) * 2016-08-09 2021-02-26 安徽圣格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解液,及包含其的锂二次电池
US9912011B1 (en) 2017-02-24 2018-03-06 Wildcat Discovery Technologies, Inc Electrolyte additives
US9985316B1 (en) 2017-02-24 2018-05-29 Wildcat Discovery Technologies, Inc Electrolyte additives
CN113972398B (zh) * 2021-10-18 2022-08-16 傲普(上海)新能源有限公司 一种非水系电解液和使用其的非水系电解液电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3308A (ja) * 1996-01-31 1997-08-15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H11214016A (ja) 1998-01-20 1999-08-06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US6475678B1 (en) 1999-08-24 2002-11-0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6541140B1 (en) 2000-08-07 2003-04-01 Wilson Greatbatch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lithium ion secondary cell having multiplate electrodes with differing discharge rate region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028A (en) * 1977-05-09 1978-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Dendrite-inhibiting electrolytic solution and rechargeable aqueous zinc-halogen cell containing the solution
US5208271A (en) * 1992-11-02 1993-05-04 Basf Corporation Flexible polyurethane foams with reduced tendency for shrinkage
KR0125150B1 (ko) 1994-12-30 1997-12-15 이정성 고체전지에서의 고분자 전해질
JPH09306501A (ja) 1996-05-16 1997-11-28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有機電解液電池
WO1999019932A1 (en) 1997-10-15 1999-04-22 Moltech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solvents for secondary cells
JP3511906B2 (ja) 1998-09-03 2004-03-29 新神戸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1088814A1 (de) * 1999-09-29 2001-04-04 MERCK PATENT GmbH Fluorierte Sulfonamide als schwer entflammbare Lösungsmittel zum Einsatz in elektrochemischen Zellen
KR100368438B1 (ko) 1999-12-31 2003-01-24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다층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2001297790A (ja) * 2000-04-11 2001-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604317B2 (ja) * 2000-07-17 2011-0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756812B1 (ko) * 2000-07-17 2007-09-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기화학 장치
JP2002075330A (ja) * 2000-09-01 2002-03-15 Hitachi Maxell Ltd 非水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60736A (ja) * 2000-12-27 2002-09-13 Mitsubishi Chemicals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
ITMI20010008A1 (it) 2001-01-03 2002-07-03 Ausimont Spa Additivi per fluoropolieterei per applicazioni elettromagnetiche
JP5162803B2 (ja) * 2001-02-15 2013-03-13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及びそれに用いる非水系電解液
JP2002324578A (ja) * 2001-04-25 2002-11-08 Mitsubishi Chemicals Corp 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及びそれに用いる非水系電解液
KR100446659B1 (ko) * 2001-05-09 2004-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리튬이온 전지
JP2003096232A (ja) 2001-09-26 2003-04-03 Nitto Denko Corp 接着性多孔質膜、それより得られる高分子ゲル電解質とそれらの応用
JP2003223887A (ja) * 2002-01-29 2003-08-0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系二次電池
KR100445434B1 (ko) * 2002-07-10 2004-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리튬-황 전지
US20050220700A1 (en) * 2003-03-14 2005-10-06 Seimi Chemical Co., Lt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wde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312792C (zh) * 2003-03-14 2007-04-25 清美化学股份有限公司 锂二次电池用正极活性物质粉末
US20060134901A1 (en) * 2004-12-22 2006-06-22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ot-Melt Underfill Composition and Methos of Application
JP4771412B2 (ja) * 2005-02-14 2011-09-1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感光性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3308A (ja) * 1996-01-31 1997-08-15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H11214016A (ja) 1998-01-20 1999-08-06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US6475678B1 (en) 1999-08-24 2002-11-0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6541140B1 (en) 2000-08-07 2003-04-01 Wilson Greatbatch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lithium ion secondary cell having multiplate electrodes with differing discharge rate reg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0667A (zh) * 2019-12-31 2020-07-17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负极浆料、负极片、动力电池和电动汽车
WO2021225396A1 (ko) * 2020-05-08 2021-1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양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4768A4 (en) 2012-02-01
CN101517812B (zh) 2012-09-05
CN101517812A (zh) 2009-08-26
JP2010503969A (ja) 2010-02-04
EP2064768B1 (en) 2013-12-25
BRPI0718466B8 (pt) 2023-03-21
US20100047694A1 (en) 2010-02-25
BRPI0718466A2 (pt) 2013-12-03
KR20080025427A (ko) 2008-03-21
JP5474553B2 (ja) 2014-04-16
TW200816542A (en) 2008-04-01
TWI349384B (en) 2011-09-21
EP2064768A1 (en) 2009-06-03
WO2008035854A1 (en) 2008-03-27
BRPI0718466B1 (pt) 2018-05-08
US8129053B2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048B1 (ko) 고율 방전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0893229B1 (ko) 전극 활물질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1041829B1 (ko) 폴리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바인더를 포함한음극 재료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음극 재료 조성물을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907621B1 (ko) 두 성분의 도전재를 포함하는 양극 합제 및 그것으로구성된 리튬 이차전지
KR100898706B1 (ko) 도전성 고분자가 균일한 패턴으로 코팅되어 있는 양극 및이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100783293B1 (ko) 양극 활물질 및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1120437B1 (ko) 도전성 고분자가 균일한 패턴으로 코팅되어 있는 음극 및이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20070077231A (ko) 분리막의 코팅층에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
KR101159104B1 (ko) 분산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를 바인더로서 포함하고있는 전극 합제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0781051B1 (ko) 접착력이 향상된 음극 합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080017110A (ko) 점토 광물이 코팅되어 있는 시트형 분리막 및 이를 사용한전기화학 셀
KR100838165B1 (ko) 티타늄 화합물이 피복되어 있는 탄소계 음극 활물질 및그것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80124659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846073B1 (ko) 친수성-친유성 블록 공중합체가 전해액에 함유되어 있는리튬 이차전지
KR100897180B1 (ko) 도전제로서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양극 합제 및그것으로 구성된 리튬 이차전지
KR100861711B1 (ko) 과방전 방지를 위한 음극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101156614B1 (ko) 고중합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바인더를 포함한 전극재료,그 제조방법 및 그 전극재료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965280B1 (ko) 도전제의 분산성이 향상된 양극 슬러리 및 그로부터 제조된리튬 이차전지
KR20090048350A (ko) 고온 특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080062968A (ko)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이차전지용 양극 합제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1001324B1 (ko) 젖음성이 향상된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965276B1 (ko) 도전제의 분산성이 향상된 음극 슬러리 및 그로부터 제조된리튬 이차전지
EP4462516A1 (en) Negative electrode compositio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negative electrode
EP4340060A1 (en) Anode composition,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ode
KR10086825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과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