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76455B1 -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455B1
KR100876455B1 KR1020060071834A KR20060071834A KR100876455B1 KR 100876455 B1 KR100876455 B1 KR 100876455B1 KR 1020060071834 A KR1020060071834 A KR 1020060071834A KR 20060071834 A KR20060071834 A KR 20060071834A KR 100876455 B1 KR100876455 B1 KR 10087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sealed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battery
wid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477A (ko
Inventor
양승진
최정희
류지헌
이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7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455B1/ko
Priority to CN2007800358151A priority patent/CN101517776B/zh
Priority to PCT/KR2007/003531 priority patent/WO2008016229A1/en
Priority to JP2009522704A priority patent/JP4990975B2/ja
Priority to US12/309,912 priority patent/US8277970B2/en
Publication of KR2008001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4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밀봉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전지케이스의 실링부와 전극조립체 사이에는 발생한 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미실링 상태의 잉여부(미실링 잉여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미실링 잉여부는 상기 전극조립체에 대략 일치하는 크기의 수납부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의 4 변 중 전극 단자의 위치를 포함한 3 변을 실링하는 단계, 상기 미실링부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미실링부를 수납부로부터 소정의 이격 폭으로 실링하는 단계 등을 거쳐 제조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n Non-Sealing Residue Portion}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과정 중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선 A-A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드로잉 부위(B)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전해액 주입 후 미실링부에 가스 포켓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활성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단부 실링부를 제거하여 포집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과 미실링 잉여부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의 스웰링 현상에 대한 모식이다.
본 발명은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밀봉되어 있고, 전지케이스의 실링부와 전극조립체 사이에는 발생한 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미실링 상태의 잉여부(미실링 잉여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미실링 잉여부를 일측 실링부 상에 인접하여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외측에 형성한 구조의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또한,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 바,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가 분해 사시도로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전극조립체(30), 전극조립체(3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40, 50), 전극 탭들(40, 50)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리드(60, 70), 및 전극조립체(30)를 수용하는 전지케이스(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조립체(3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 탭들(40, 50)은 전극조립체(30)의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전극리드(60, 70)는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전극 탭들(40, 50)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지케이스(2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전극리드(60, 70)의 상하면 일부에는 전지케이스(20)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절연필름(80)이 부착되어 있다.
전지케이스(20)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을 가지고 있 다. 도 1에서와 같은 적층형 전극조립체(30)의 경우, 다수의 양극 탭들(40)과 다수의 음극 탭들(50)이 전극리드(60, 70)에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전지케이스(20) 내부 상단은 전극조립체(3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는 과충전되거나, 고온에의 노출, 내부 단락 등이 유발되었을 때, 전해액의 분해로 인한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면서 케이스가 부풀어오르는 이른바 스웰링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스웰링 현상은 밀봉된 케이스 내부에 고압을 유발하면서, 전해액 분해를 더욱 촉진하여 폭발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발생한 가스로 인해 전지케이스의 중앙 부위가 부풀어 오르면서 전지의 변형을 유발하고, 그로 인해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의 실링부 사이에 소정의 미실링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부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5-332726호와 제2005-222872호에는, 적층형 전극조립체가 라미네이트 시트의 수납부에 내장되는 이차전지에서, 전극조립체가 장착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수납부와 라미네이트 시트의 실링부 사이에 미실링부를 두고 과충전이나 고온 발생과 같은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이 발생시 일측 방향으로 융착된 실링부가 벌어지면서 가스를 배출시키는 구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5-332726호의 기술은 전극조립체가 장착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수납부에 그것의 외주면을 따라 수납부 내측에 소정 폭의 이격 공간을 두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극조립체의 크기와 비교하여 수납부의 크기가 크므로, 실제 제조공정에서 그러한 이격 공간이 만들어지도록 수납 부 상에 전극조립체를 정위치시키기가 어려우며, 고압 발생시 실링되어 있는 가스 배출부위가 신뢰성있게 벌어지도록 구성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5-222872호는, 가스 배출부가 신뢰성 있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해 가스 유로부를 라미네이트 전지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가스유로 가이드 부재를 라미네이트 시트보다 강성이 높은 부재를 사용하는 기술로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높다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제조공정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조립체가 라미네이트 시트의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에서, 전해액을 주입한 미실링부를 전극조립체 쪽에 인접하여 실링하지 않고, 전지케이스의 실링부와 전극조립체를 장착하는 수납부 사이에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조건에서 전해액의 분해로 인하여 발생한 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미실링 상태의 잉여부를 포함하도록 제조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 전지케이스 내부의 고압 발생과 전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제조공정이 용이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밀봉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전지케이스의 실링부와 전극조립체 사이에는 발생 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미실링 상태의 잉여부(미실링 잉여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미실링 잉여부는,
(a) 상기 전극조립체에 대략 일치하는 크기의 수납부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하는 단계;
(b) 상기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의 4 변 중 전극 단자의 위치를 포함한 3 변을 실링하는 단계;
(c) 상기 미실링부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미실링부를 수납부로부터 소정의 이격 폭으로 실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상기 미실링 잉여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는, 전지케이스의 실링부와 전극조립체 사이에 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미실링 상태의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과충전, 고온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으로 인해 전지내 고압 발생시, 1차적으로 미실링 잉여부가 팽창하면서 발생 가스를 미실링 잉여부의 가용 체적만큼 내압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생 가스의 포집을 위한 미실링 잉여부가 실질적으로 전극조립체 수납부 상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수납부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제작할 필요가 없어서, 수납부에 대한 전극조립체의 장착 과정이 용이하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다수의 전극 탭들을 연결하여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권취형 구조, 스택형 구조와 스택/폴딩형 구조를 들 수 있다. 스택/폴딩형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0082058호, 제2001-0082059호 및 제2001-008206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은 본 발명의 내용에 참조로서 합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특히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의 수납부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와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시트 또는 그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시트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것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단계(a)에서, 라미네이트 시트는 전극조립체 수납부가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상호 분리된 별도의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파우치 케이스는 수십 내지 수백 ㎛ 두께의 라미네이트 시트를 다이와 펀치를 사용하여 드로잉 공정으로 부분 압축함으로써 수납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두 단위의 분리형 전지케이스는 4 면에서 결합되어 실링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4 면 실링부 모두에서 대기와 접하게 되어, 장기간의 사용시 공기(특히, 습기)의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일측 단부가 상호 연결된 전지케이스는 3 면에만 실링부를 형성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서 라미네이트 시트의 수납부는, 상기 단계(a)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에 대략 일치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앞서의 설명과 같이, 드로잉 공정에 의해 수납부를 형성할 때에는, 드로잉 공정시 시트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납부의 내측면은 소정의 하향 경사면(테이퍼 면)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수납부의 하단면이 전극조립체에 대략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전극조립체보다 다소 큰 크기의 개방 상단면을 통해 전극조립체를 삽입하고, 삽입시의 위치 오차에도 불구하고, 전극조립체의 측면이 수납부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하단면에 도달하므로, 장착 과정이 매우 용이하다.
상기 단계(b)에서, 라미네이트 시트의 4 변 중 전극 단자가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3 변을 실링하는 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연결된 전지케이스에서는 2 변만을 실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극 단자는 그것의 재질과 두께로 인해 실링부의 밀봉성을 상대적으로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실링 과정에서 함께 실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부분적인 실링에 의해 남겨진 미실링부를 통해 단계(c)에서 전해액을 주입하고, 단계(d)에서 활성화 공정을 수행한다. 미실링부는 상기와 같은 전해액 주입 공정 및 활성화 공정을 거친 후에 단계(e)에서 재차 밀봉되므로, 일반적으로 다른 실링부보다 크게 제작한다. 이 경우, 미실링부를 포함하는 변의 폭(A)은 실링부만 포함하는 다른 변의 폭(L)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정도 크게 전지케이스 상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식 A = L + (0.1 ~ 0.5)L 로 표현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로 LiCoO2 등의 금속 산화물과 음극 활물질로 탄소 재료를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 사이에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을 개재하고, LiPF6 등의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을 넣어서 제조하게 된다. 충전 시에는 양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음극의 탄소층으로 삽입되고, 방전시에는 반대로 음극 탄소층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양극 활물질로 삽입되며, 이때 비수성 전해액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매질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기본적으로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안정해야 하고, 충분히 빠른 속도로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계속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음극 활물질의 표면에서 전해액이 분해되면서 가스가 발생하며, 초기 충방전 과정에서 음극 활물질 표면에 SEI 막이 형성되어 추가적인 가스 발생을 억제한다. 상기 단계(d)의 활성화 과정은 이러한 SEI 막의 형성을 위해 필요하며, 최종적인 전지의 제조 이전에 반드시 요구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단계(c) 이후 및 단계(d) 이전에, 전해액을 주입한 미실링 부위의 외주면 단부 부위(단부 실링부)만을 실링하여, 전지케이스 내부에 소정 크기의 가스 포켓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부 실링부를 절취하여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제거하고, 여부의 전해액을 제거하거나 부족한 전해액을 보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포켓부(B)는 해당 변의 폭(A)을 기준으로 일정부분 형성되어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폭으로 전지케이스 상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식 B = (0.3 ~ 0.6 )A 으로 표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활성화 과정에서 소모되었거나 또는 제조과정에서 부족하게 주입된 전해액을 2차 주액하여 보충할 수도 있으며, 일정시간(예를 들어, 12 시간) 동안의 방치, 활성화 충전 등을 재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d)에서는 미실링부 중 전극조립체 수납부로부터 소정의 폭으로 이격된 부위를 실링하여 미실링 잉여부를 형성하는 바, 상기 미실링 잉여부(C)는 해당 변의 폭(A)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폭으로 전지케이스 상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식 C = (0.1 ~ 0.4 )A 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미실링 잉여부(D)가 10% 미만이면,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 발생한 가스를 포집하여 전지의 폭발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미미하며, 반대로 40%를 초과하면, 전지의 크기가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미실링 잉여부(C)를 포함하는 특정 변(A)은 다른 실링부 변(L)에 비해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전지 내에서 고압이 발생할 시 1차적으로 전지케이스의 4변 중 상기 변에 위치한 미실링 잉여부(C)가 팽창하면서 전지 내압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고, 소정의 임계값 이상으로 고압이 발생하면 2차적으로 미실링 잉여부에 인접한 상기 변(A)의 실링부가 벌어지면서 전지 내에서 발생한 고압의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폭발로부터 전지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으며, 특히, 리튬 함유 전해액이 겔의 형태로 전극조립체에 함침되어 있는, 이른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파우치형 전지를 단위전지로서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한다.
중대형 전지팩은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부 전지셀에서의 이상 발생시 연쇄반응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미실링 잉 여부를 포함함으로써, 전지팩의 전체적인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과정 중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에 대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에서, 전극단자들(112, 114)이 연결되어 있는 전극조립체(110)는 일측에 수납부(120)가 형성된 두 개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케이스(130) 내에 장착되어 있다. 4 변 중 전극단자들(112, 114)을 포함하는 상변 및 하변을 포함하여 3 개의 변에는 열압축에 의해 실링부(140)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변은 미실링부(150)의 상태로 남아 있다. 그러한 미실링부(150)을 통해 전해액이 주입된다.
도 3에는 도 2에서 선 A-A에 따른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서 드로잉 부위(B)의 확대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10)가 하부 케이스(134)의 수납부(120) 상에 장착되고, 상부 케이스(132)를 덮은 후, 상호 접하는 면(L1)에 실링 작업을 행한다.
하부 케이스(134)는 대략 113 ㎛ 두께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를 다이와 펀치를 사용하여 드로잉 공정으로 부분 압축함으로써, 수납부(12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얇은 두께의 시트는 그것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파열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드로잉 공정의 절곡 부위(134a, 134b)는 완만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수납부(120)의 측면은 하향 경사면(122)의 형태로 형성되며, 수납부(120)의 상단면은 하단면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전극조립체(110)는 수납부 하단면에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가지므로, 전극조립체(110)를 수납부(12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위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장착이 용이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전해액 주입 후 미실링부에 가스 포켓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활성화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가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지케이스의 미실링부(도 4: 150) 중 외주면 단부만을 소정의 폭으로 실링하여, 상대적으로 큰 가스 포켓부(160)를 형성한다. 단부 실링부(162)는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일시적으로 포집하기 위한 가스 포켓부(160)를 만들기 위해 형성하므로, 단부 실링부(162)의 폭은 기타 실링부(14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앞서의 설명과 같이, 활성화 과정을 통한 최초 충방전시 전극조립체(110)의 음극에 보호막이 형성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카보네이트 화합물이 분해하며 발생한 가스가 가스 포켓부(160)에서 포집된다. 이러한 활성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완성된 전지셀의 충전시 기형성된 보호막은 정상적인 작동조건 하에서 추가적인 가스 발생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단부 실링부를 제거하여 포집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과 미 실링 잉여부를 형성하는 과정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단부 실링부(162)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가스 포켓부(도: 160)를 일부 제거하여, 가스 포켓부(160)에 포집되어 있던 발생 가스를 제거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과잉의 잉여 전해액을 짜내거나 및/또는 부족한 전해액을 보충할 수 있다. 가스 포켓부(160)의 절취 크기는 대략 도 7에서의 미실링 잉여부를 형성하면서 소정 크기의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미실링 잉여부(17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의 외주면 단부를 실링하여 측면 실링부(172)를 형성한다. 앞서의 설명과 같이, 측면 실링부(172)는 기타 실링부(140)의 폭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그보다 작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의 스웰링 현상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정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는 드로잉 공정으로 인해, 전극조립체 수납부(120) 내측면에 소정 크기의 잉여 체적(Va)이 존재한다. 그러나, 과충전, 고온에의 노출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는 가스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발생한 내압은 미실링부(170)의 변형을 유발한다. 미실링부(170)의 변형은 측면 실링부(172)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까지 가능하므로, 발생한 가스의 양에 따라 체적 변형(Vb)에서 체적 변형(Vc)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잉여 체적(Va)과 비교하여, 체적 변형(Vb)와 체적 변형(Vc)의 크기는 미실링 잉여부(170)를 포함하는 전체 변의 길이(L1)에서 측면 실링부(172)에 대 응하는 변의 길이(L2)를 제외한 길이에 대응하여 대략 세제곱의 비례 관계로 증가하므로, 미실링 잉여부(170)에 의해 포집될 수 있는 가스의 양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한편, 가스의 발생량이 미실링 부위(170)의 최대 체적 변형(Vc)를 초과하게 되면, 전지케이스의 4변 중 실링부의 크기가 가장 작은 실링부, 즉, 미실링 잉여부(170)에 인접한 측면 실링부(172)가 벌어지면서 고압의 가스가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전지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지의 낙하, 외부로부터의 충격 인가시에도 전극조립체의 이동을 억제하여 내부단락을 방지하고, 과충전이나 고온과 같은 외부 상황으로 인한 전지내에서 고압 발생시 1차적으로 미실링 잉여부가 팽창하면서 이차전지의 내압상승을 억제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안전성을 제공한다.

Claims (13)

  1.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밀봉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전지케이스의 실링부와 전극조립체 사이에는 발생 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미실링 상태의 잉여부(미실링 잉여부)가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실링부는,
    (a) 상기 전극조립체에 일치하는 크기의 수납부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하는 단계;
    (b) 상기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의 4 변 중 전극 단자의 위치를 포함한 3 변을 실링하는 단계;
    (c) 상기 미실링부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미실링부를 실링하여, 해당 변의 폭을 기준으로 10 내지 40%의 폭으로 미실링 잉여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권취형,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상부 및 하부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는 변의 폭은 실링부를 포함하는 다른 변의 폭보다 10 내지 50%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 이후 및 단계(d) 이전에, 전해액을 주입한 미실링 부위의 외주면 단부 부위(단부 실링부)만을 실링하여, 전지케이스 내부에 해당 변의 폭을 기준으로 30 내지 60%의 폭으로 가스포켓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부 실링부를 절취하여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제거하고 여부의 전해액을 제거하거나 부족한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는 변의 폭은 실링부를 포함하는 다른 변의 폭보다 15 내지 25% 크고, 상기 미실링 잉여부는 해당 변의 폭을 기준으로 20 내지 30%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전지내에서 고압의 발생시 1차적으로 미실링 잉여부가 팽창하면서 내압 상승을 억제하고, 임계값 이상의 고압 발생시 2차적으로 미실링 잉여부 인접 실링부가 벌어지면서 고압 가스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삭제
KR1020060071834A 2006-07-31 2006-07-31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Active KR100876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834A KR100876455B1 (ko) 2006-07-31 2006-07-31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CN2007800358151A CN101517776B (zh) 2006-07-31 2007-07-21 具有未密封驻留部分的袋形二次电池
PCT/KR2007/003531 WO2008016229A1 (en) 2006-07-31 2007-07-21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n non-sealing residue portion
JP2009522704A JP4990975B2 (ja) 2006-07-31 2007-07-21 非密封残留部分を有する小袋形二次バッテリー
US12/309,912 US8277970B2 (en) 2006-07-31 2007-07-21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n non-sealing residue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834A KR100876455B1 (ko) 2006-07-31 2006-07-31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477A KR20080011477A (ko) 2008-02-05
KR100876455B1 true KR100876455B1 (ko) 2008-12-29

Family

ID=3899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834A Active KR100876455B1 (ko) 2006-07-31 2006-07-31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77970B2 (ko)
JP (1) JP4990975B2 (ko)
KR (1) KR100876455B1 (ko)
CN (1) CN101517776B (ko)
WO (1) WO200801622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8200A3 (ko) * 2010-08-05 2012-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KR20140068551A (ko) *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20150107115A (ko) * 2014-03-13 2015-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활성화된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및 전지셀 제조방법
KR20170118448A (ko) *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 전지
US11245147B2 (en) 2017-11-14 2022-02-08 Samsung Sdi Co., Lt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unsealed portion
US11872692B2 (en) * 2022-04-06 2024-01-16 Sk On Co., Ltd. Case open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13B1 (ko) * 2006-08-14 2009-06-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안전성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전기화학 셀
KR101408623B1 (ko) * 2009-09-17 2014-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그 제조방법
DE102009051315A1 (de) * 2009-10-29 2011-07-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30165 Batteriezelle mit Gasreservoir
KR101192083B1 (ko) * 2009-11-18 2012-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159099B1 (ko) * 2009-12-01 2012-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포집용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KR101155917B1 (ko) 2010-03-11 2012-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419570B1 (ko) * 2010-03-12 2014-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53126B1 (ko) * 2010-07-20 2014-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KR101304870B1 (ko) * 2010-12-02 2013-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전지셀
CN102130365B (zh) * 2011-01-30 2013-03-13 康图强 具有极高承压能力的叠片式锂电池芯体及封装工艺
KR101307772B1 (ko) * 2011-07-07 2013-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101306187B1 (ko) * 2011-11-11 2013-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및 전지셀 제조방법
KR101433666B1 (ko) * 2012-02-07 2014-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 상의 미코팅 구간을 포함하는 전지셀의 제조방법
KR101499471B1 (ko) * 2012-02-27 2015-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101420060B1 (ko) * 2012-07-24 2014-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외장재 실링용 실링툴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EP2899771B1 (en) * 2012-12-24 2017-08-16 LG Chem, Lt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sealing margin for improved durability
JPWO2015002094A1 (ja) * 2013-07-05 2017-02-23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セル
US9735402B2 (en) * 2013-07-30 2017-08-15 Lg Chem, Ltd. Battery cell having double sealing structure
JP6245468B2 (ja) * 2013-09-12 2017-12-13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発生ガス評価用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ラミネートセルとラミネートセルホルダー
US9123949B2 (en) 2013-09-17 2015-09-01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cell
US9123950B2 (en) 2013-09-26 2015-09-01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cell
CN105794036B (zh) * 2013-12-11 2018-08-28 日产自动车株式会社 二次电池的排气孔形成工艺及排气孔形成装置
US9172122B2 (en) * 2014-02-25 2015-10-27 Lg Chem, Ltd. Battery module
KR101650858B1 (ko) * 2014-03-13 2016-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제조방법 및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KR20170002013A (ko) * 2015-06-29 2017-0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45492B1 (ko) * 2016-06-14 2020-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명 특성이 향상된 전지시스템 및 전지시스템의 가동 방법
KR102106111B1 (ko) * 2016-12-20 2020-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의 전해액 주액방법
KR102347901B1 (ko) * 2017-10-17 2022-01-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균열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3908B1 (ko) * 2017-10-17 2022-09-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패턴 실링 단계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347884B1 (ko) * 2017-10-17 2022-01-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실링 블록,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실링 방법
KR102150759B1 (ko) * 2017-10-26 2020-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의 압력변화 측정을 위한 부품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전지의 압력변화 측정 방법
KR102527981B1 (ko) 2018-08-31 2023-05-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2334022B1 (ko) * 2018-11-02 2021-1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 보충용 홈이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698661B1 (ko) * 2019-02-01 2024-08-27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장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22065720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사이드 폴딩 장치 및 방법
KR20220041746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의 가스제거장치 및 가스제거방법
CN112729456B (zh) * 2020-12-16 2023-05-02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软包电芯气囊袋设计方法
KR20230056142A (ko)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흡착제가 개재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EP4411906A1 (en) * 2023-02-01 2024-08-07 Cellforce Group GmbH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cell with a pouch hou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8725A (en) 1983-05-11 1987-07-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Inc. Hermetically sealed storage battery
US6254648B1 (en) 1998-07-29 2001-07-03 Samsung Sd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e for a secondary battery
US20040038126A1 (en) 2002-08-20 2004-02-26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safety v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7632B2 (ja) * 1997-05-09 2005-11-1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US6048638A (en) * 1998-05-29 2000-04-11 Motorola, Inc. Flexible battery
JP4187870B2 (ja) * 1999-04-26 2008-11-26 株式会社東芝 電池の製造方法
KR100515572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15571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 화학 셀
KR100497147B1 (ko) 2000-02-08 2005-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055573A (ja) 2001-08-14 2003-02-26 Nippon Shikizai Inc 積層型干渉性球状顔料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20030039703A (ko) 2001-11-14 2003-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위해 제공되는 가스방
JP3789439B2 (ja) * 2003-03-03 2006-06-21 Necラミリオンエナジー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積層型組電池
JP4426861B2 (ja) * 2004-02-04 2010-03-03 エナックス株式会社 薄型二次電池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4617679B2 (ja) 2004-02-09 2011-0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
JP4830267B2 (ja) 2004-05-21 2011-1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
KR100709881B1 (ko) * 2005-09-28 2007-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8725A (en) 1983-05-11 1987-07-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Inc. Hermetically sealed storage battery
US6254648B1 (en) 1998-07-29 2001-07-03 Samsung Sd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e for a secondary battery
US20040038126A1 (en) 2002-08-20 2004-02-26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with safety v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8200A3 (ko) * 2010-08-05 2012-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KR20140068551A (ko) * 2012-11-28 2014-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1602466B1 (ko) * 2012-11-28 2016-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20150107115A (ko) * 2014-03-13 2015-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활성화된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및 전지셀 제조방법
KR101713068B1 (ko) 2014-03-13 2017-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활성화된 전지셀의 가스 제거 장치 및 전지셀 제조방법
KR20170118448A (ko) *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 전지
KR102147416B1 (ko) 2016-04-15 2020-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 전지
US11245147B2 (en) 2017-11-14 2022-02-08 Samsung Sdi Co., Lt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unsealed portion
US11872692B2 (en) * 2022-04-06 2024-01-16 Sk On Co., Ltd. Case ope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477A (ko) 2008-02-05
JP2009545849A (ja) 2009-12-24
US8277970B2 (en) 2012-10-02
WO2008016229A1 (en) 2008-02-07
CN101517776A (zh) 2009-08-26
JP4990975B2 (ja) 2012-08-01
CN101517776B (zh) 2011-11-09
US20100028772A1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455B1 (ko)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165066B1 (ko)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636371B1 (ko)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101123061B1 (ko) 향상된 안전성의 이차전지
EP2782181A1 (en) Layer cell, assembled battery including layer cell, and method for assembling layer cell
KR101159099B1 (ko) 가스 포집용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KR101424003B1 (ko) 스웰링 현상을 방지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419570B1 (ko) 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466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
JP6899746B2 (ja) 全固体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02532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180219208A1 (en) Lithium storage battery with integrated circuit-breaker for improved operating safety
US20180219209A1 (en) Lithium storage battery with integrated circuit-breaker for improved operating safety
KR20140147991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KR20070109080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2616196B1 (ko)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120040447A (ko) 절연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JP3923259B2 (ja) 電池の製造方法
CN220710544U (zh) 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JPH08148184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1596489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전지 성능 발현이 장기화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1179034B1 (ko) 밀봉성이 우수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US20240006707A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00005792A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9254A (ko) 스톱퍼를 포함하는 전지셀 수납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