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912B1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0912B1 KR100770912B1 KR1020030038815A KR20030038815A KR100770912B1 KR 100770912 B1 KR100770912 B1 KR 100770912B1 KR 1020030038815 A KR1020030038815 A KR 1020030038815A KR 20030038815 A KR20030038815 A KR 20030038815A KR 100770912 B1 KR100770912 B1 KR 100770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lementary sequence
- golay complementary
- length
- sequence
- subcarri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11—Complementary
- H04J13/0014—Go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04J11/00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transmit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02—Combining codes
- H04J13/107—Combining codes by concaten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Reduction thereof by selection of pilot symb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2—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using repet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도 14에서 IFFT기 입력단의 번호들은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의 부반송파들의 번호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0번 부반송파가 IFFT를 수행한 뒤에는 시간 영역에서 프리앰블 시퀀스의 기준점, 즉 시간 영역에서 DC 성분을 나타내기 때문에 0번 부반송파에는 널 데이터를 삽입한다. 또한, 상기 실제 사용되는 2B개의 부반송파들과, 상기 O번 부반송파를 제외한 부반송파들, 즉 -A/2번 부반송파 내지 -(B+1)번 부반송파까지의 부반송파들과, (B+1)번 부반송파 내지 (A/2-1)번 부반송파까지의 부반송파들에도 역시 널 데이터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A/2번 부반송파 내지 -(B+1)번 부반송파까지의 부반송파들과, (B+1)번 부반송파 내지 (A/2-1)번 부반송파까지의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가 삽입되는 이유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A/2번 부반송파 내지 -(B+1)번 부반송파까지의 부반송파들과, (B+1)번 부반송파 내지 (A/2-1)번 부반송파까지의 부반송파들이 보호 구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파수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 Sg(-B:B) 혹은 Pg(-B:B)가 상기 IFFT기에 입력되면, 상기 IFFT기는 입력되는 주파수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 Sg(-B:B) 혹은 Pg(-B:B)를 해당 부반송파들에 매핑시켜 IFFT를 수행하여 시간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로 출력한다. 여기서, 긴 프리앰블 구간 중 앞 부분의 프리앰블 시퀀스 구간 일 경우 상기 Sg(-B:B)를 IFFT기에 입력하고,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 구간일 경우 상기 Pg(-B:B)를 IFFT기에 입력하는 것이다.
Claims (28)
-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와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하여 상기 A보다 짧은 길이 M + N + k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와,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에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켜 할당하며,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할당한 후 시간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는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k는 -N과 -M중 작은 값보다 큰 정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는;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와,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하여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발생하는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발생기와,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을 미리 설정된 설정 간격으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에 일대일 매핑되도록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발생기는;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발생하는 제1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발생기와,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발생하는 제2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발생기와,상기 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과, 상기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 규칙에 상응하게 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으로 합성하는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기와,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중 하나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로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발생기는;길이 N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들 중 한 개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선택하는 선택기와,상기 선택한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의 켤레 쌍들중 한 개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켤레 쌍을 선택하여 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으로 발생하는 제1골래이 상보 시퀀스 켤레 쌍 발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2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발생기는;길이 M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들중 한 개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선택하는 선택기와,상기 선택한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의 켤레 쌍들중 한 개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켤레 쌍을 선택하여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으로 발생하는 제2골래이 상보 시퀀스 켤레 쌍 발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기는 하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 규칙>에 상응하도록 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 규칙>단, 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 규칙>에서 ai과 bi은 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A, B] 각각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나타내며, ci과 di는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C, D] 각각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나타내며, ei과 fi는 길이 M + N + k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E, F] 각각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나타내고, 상기 i, l, k는 0≤i≤M+N+k 조건을 만족함.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는 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1 혹은 -1의 값을 가지는 성분들이 상기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중 시간 영역의 DC 성분에 대응되는 부반송파에 매핑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는 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1 혹은 -1의 값을 가지는 성분들이 상기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 중 홀수 번째 부반송파에 매핑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는 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을 하기 수학식에 상응하게 미리 설정된 설정 간격으로 상기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매핑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수학식>여기서, 상기 GPM(n)에서 n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의 인덱스를 나타내며, GPM(n)은 프리앰블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상기 J(n)는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이고, 상기 L(i)는 상기 복소 골래이 시퀀스 J(n)을 IFFT 한 후에 출력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나타냄.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GPM(n)은 하기 수학식으로 표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수학식>GPM(n)=-(B-E-nI)여기서,-B≤i≤B, 0≤n≤M+N+k-1 이며, 상기 -B는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널데이터가 삽입된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부반송파들의 시작 부반송파 번호를 나타내며, B는 종료 부반송파 번호를 나타내고 E는 0번 부반송파에 널(null) 데이터가 아닌 +1 혹은 -1값이 매핑되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변수를 나타냄.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설정 간격은 하기 수학식과 같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수학식>B = Ik + D(단, 0≤D≤(I-1))여기서, 상기 I는 상기 설정 간격을 나타내고, 상기 E는 0번 부반송파에 널(null) 데이터가 아닌 +1 혹은 -1 값이 매핑되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변수를 나타내고, 상기 F는 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의 마지막 구성을 삽입하는 매핑 괸계를 맞추기 위한 변수를 나타내며, 변수 D = 0일 경우, E = 1, 2, ... , I-1이고 F = I-E가 되도록 설정하고, D = 1, ... , I-1일 경우, E=0, ... , I-1(D+E≠F)이고, 상기 F는 ((B-F) mod I = D + E)가 되도록 설정함(단,0≤F≤(I-1)).
-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와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A보다 짧은 길이 M + N + k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과,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에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켜 할당하며,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할당한 후 시간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는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k는 -N과 -M중 작은 값보다 큰 정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은;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와,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하여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발생하는 과정과,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을 미리 설정된 설정 간격으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에 일대일 매핑되도록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발생하는 과정은;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발생하는 과정과,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발생하는 과정과,상기 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과,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 규칙에 상응하게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으로 합성하는 과정과,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중 하나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로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발생하는 과정은;길이 N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들중 한 개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선택하는 과정과,상기 선택한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의 켤레 쌍들중 한 개의 프리 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켤레 쌍을 선택하여 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으로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발생하는 과정은;길이 M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들중 한 개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선택하는 과정과,상기 선택한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의 켤레 쌍들중 한 개의 프리미티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켤레 쌍을 선택하여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으로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 규칙에 상응하게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으로 합성하는 과정은 하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 규칙>에 상응하도록 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 규칙>단, 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합성 규칙>에서 ai과 bi은 길이 N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A, B] 각각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나타내며, ci과 di는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C, D] 각각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나타내며, ei과 fi는 길이 M + N + k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E, F] 각각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나타내고, 상기 i, l, k는 0≤i≤M+N+k의 조건을 만족함.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을 상기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에 매핑하는 과정은, 상기 길이 M + N + k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1 혹은 -1의 값을 가지는 성분들이 상기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 중 시간 영역의 DC 성분에 대응되는 부반송파에 매핑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을 상기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에 매핑하는 과정은, 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1 혹은 -1의 값을 가지는 성분들이 상기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 중 홀수 번째 부반송파에 매핑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을 상기 M + N + k 개의 부반송파들에 매핑하는 과정은, 상기 길이 M + N + k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 각각을 하기 수학식에 상응하게 매핑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수학식>여기서, 상기 GPM(n)에서 n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상기 J(n)은 골래이 상보 시퀀스이고, 상기 L(i)는 상기 복소 골래이 시퀀스 J(n)을 IFFT 한 후에 출력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나타내며, 상기 GPM(n)은 프리앰블 시퀀스를 구성하는 성분들의 인덱스를 나타냄.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GPM(n)은 하기 수학식과 같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수학식>GPM(n)=-(B-E-nI)여기서,-B≤i≤B, 0≤n≤M+N+k-1 이며, 상기 -B는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널 데이터가 삽입된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부반송파들의 시작 부반송파 번호를 나타내며, 상기 B는 종료 부반송파 번호를 나타내고, 상기 E는 0번 부반송파에 널(null) 데이터가 아닌 +1 혹은 -1 값이 매핑되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변수를 나타냄.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설정 간격은 하기 수학식으로 표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수학식>B = Ik + D(단, 0≤D≤I-1)여기서, 상기 I는 상기 설정 간격을 나타내고, 상기 E는 0번 부반송파에 널(null) 데이터가 아닌 +1 혹은 -1 값이 매핑되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변수를 나타내고, 상기 F는 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의 마지막 구성을 삽입하는 매핑 관계를 맞추기 위한 변수를 나타내며, 변수 D = 0일 경우, E = 1, 2, ... , I-1이고 F=I-E가 되도록 설정하고, D = 1, ... , I-1일 경우, E=0, ... , I-1(D+E≠F)이고 F는 ((B-F) mod I = D + E)가 되도록 설정함(단,0≤F≤(I-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8815A KR100770912B1 (ko) | 2003-06-16 | 2003-06-16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US10/868,410 US7372910B2 (en) | 2003-06-16 | 2004-06-15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reamble sequences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8815A KR100770912B1 (ko) | 2003-06-16 | 2003-06-16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08074A KR20040108074A (ko) | 2004-12-23 |
KR100770912B1 true KR100770912B1 (ko) | 2007-10-26 |
Family
ID=3350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88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0912B1 (ko) | 2003-06-16 | 2003-06-16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7372910B2 (ko) |
KR (1) | KR1007709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57659B1 (en) * | 1998-11-16 | 2004-06-29 | Victor Company Of Japan, Ltd. |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KR101015736B1 (ko) * | 2003-11-19 | 2011-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선택적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US8724447B2 (en) * | 2004-01-28 | 2014-05-13 | Qualcomm Incorporated | Timing estimation in an OFDM receiver |
US8433005B2 (en) * | 2004-01-28 | 2013-04-30 | Qualcomm Incorporated | Frame synchronization and initial symbol timing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
ES2255390B1 (es) * | 2004-05-28 | 2008-02-01 | Vicente Diaz Fuente | Dispositivo y metodo de estimacion optima de la distorsion del medio de transmision mediante la emision secuencial de pares de secuencias complementarias en cuadratura. |
US20060025079A1 (en) * | 2004-08-02 | 2006-02-02 | Ilan Sutskover | Channel esti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100724949B1 (ko) * | 2005-05-03 | 2007-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와제어 정보의 다중화 방법 및 장치 |
US7697414B2 (en) * | 2005-09-30 | 2010-04-13 | Meshnetworks, Inc. |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crest factor reduction for multi-carrier modul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KR100770898B1 (ko) * | 2006-09-29 | 2007-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잡음 측정장치 및 방법 |
EP2090051B1 (en) * | 2006-10-02 | 2012-06-13 | Nxp B.V.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packets for transmission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
KR100862724B1 (ko) * | 2006-12-06 | 2008-10-1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 통신 시스템의 파일롯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
ES2302638B1 (es) * | 2006-12-21 | 2009-06-04 | Vicente Diaz Fuente | Metodo mejorado de codificacion y decodificacion con al menos dos pares de secuencias ortogonales. |
KR101514630B1 (ko) * | 2007-01-15 | 2015-04-23 |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 Ofdm 시스템을 위해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율(papr)이 낮은 2진수 프리엠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 |
US8331480B2 (en) | 2007-07-13 | 2012-12-11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Method of and generator for generating preamble sequences in communication systems |
WO2009074693A1 (es) * | 2007-12-13 | 2009-06-18 | Sidsa (Semiconductores Investigación Y Diseño S.A.) | Método y aparato de señalización mediante pilotos frecuenciales basado en secuencias complementarias |
WO2009140605A1 (en) * | 2008-05-15 | 2009-11-19 | Marvell World Trade Ltd. | Efficient physical layer preamble format |
WO2010037100A1 (en) | 2008-09-29 | 2010-04-01 | Marvell World Trade Ltd. | Physical layer data unit format |
US8264946B2 (en) * | 2008-12-31 | 2012-09-11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systems for PAPR reduction in SC-FDMA systems |
WO2011138023A2 (en) * | 2010-05-05 | 2011-11-10 | Gcm Communications Technology | Method and system for accurate synchronization of frequency, phase and symbol timing |
US10009204B2 (en) * | 2015-05-27 | 2018-06-2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Random access preamble signal construction |
US10333669B2 (en) | 2016-03-02 | 2019-06-25 | Qualcomm Incorporated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ngle channel, bonded channel, and MIMO OFDM frames with fields to facilitate AGC, timing, and channel estimation |
CN109691048B (zh) * | 2016-07-29 | 2021-07-20 | 杜塞尔多夫华为技术有限公司 | 将发送数据格式化为帧结构的发送机和方法 |
CN109923841B (zh) | 2016-11-04 | 2021-01-1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参考信号配置方法、训练字段配置方法及装置 |
CN109274629B (zh) * | 2018-11-19 | 2019-05-17 | 济南大学 | Ofdm系统中峰值功率优化方法及发射系统 |
US10862608B2 (en) * | 2018-12-04 | 2020-12-08 |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CN113950069A (zh) * | 2020-07-15 | 2022-01-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
CN113037677B (zh) * | 2021-04-14 | 2022-03-01 | 清华大学深圳国际研究生院 | 一种基于abo-ofdm的低papr通信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9589A (ko) * | 2000-11-21 | 2002-05-27 | 윤종용 |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프리엠블 시퀀스 생성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67482B1 (en) * | 1999-03-05 | 2003-05-20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ynchronization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
US7039036B1 (en) * | 1999-04-01 | 2006-05-02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Reduced complexity primary 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s with good correlation properties for WCDMA |
WO2000067404A1 (de) * | 1999-04-29 | 2000-11-09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zur bildung bzw. ermittlung einer signalfolge, verfahren zur synchronisation, sendeeinheit und empfangseinheit |
CA2276971A1 (en) * | 1999-07-06 | 2001-01-06 | Wen Tong | Preamble using golay sequence for access channel i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
FR2814885B1 (fr) * | 2000-10-03 | 2003-05-30 |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 Methode de synchronisation de stations de base |
DE60320956D1 (de) * | 2002-03-07 | 2008-06-26 | Alvarion Ltd | Hierarchische präambelkonstruktionen für ofdma auf der basis komplementärer sequenzen |
-
2003
- 2003-06-16 KR KR1020030038815A patent/KR10077091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6-15 US US10/868,410 patent/US737291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9589A (ko) * | 2000-11-21 | 2002-05-27 | 윤종용 |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프리엠블 시퀀스 생성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372910B2 (en) | 2008-05-13 |
US20040252777A1 (en) | 2004-12-16 |
KR20040108074A (ko) | 2004-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0912B1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100905572B1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100557159B1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100918764B1 (ko) |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
KR100450936B1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101445388B1 (ko) | 반복 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 |
US2004006674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reamble sequence in a OFDM communication system | |
KR20040087622A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040036630A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050048344A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050011292A (ko) |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040108070A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040108076A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050018333A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100724968B1 (ko) | 다중 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럿 변조에 따른 신호송수신 장치 및 방법 | |
RU2391789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ации и передачи кодовой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 |
KR20050011057A (ko) |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방법 | |
HK1235178A1 (en) | Method and receiving end for analyzing a code sequ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050011058A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050109875A (ko)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7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6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