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67506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506B1
KR100567506B1 KR1020010028019A KR20010028019A KR100567506B1 KR 100567506 B1 KR100567506 B1 KR 100567506B1 KR 1020010028019 A KR1020010028019 A KR 1020010028019A KR 20010028019 A KR20010028019 A KR 20010028019A KR 100567506 B1 KR100567506 B1 KR 100567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dy
door
opening
main body
dish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640A (ko
Inventor
오야마마코토
이누이히로아키
유라마사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50958A external-priority patent/JP35468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942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22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1664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41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1664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4149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small size, e.g. portable mini dishwashers for small kitchens, office kitchens, boats, recreational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는 본체와 본체내에 설치된 세척조와, 세척조의 전면을 주된 면으로서 형성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도어체와, 도어체의 1개를 본체의 위쪽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한다. 하나의 도어체의 개방시에 도어체는 본체 위쪽공간으로 본체의 상부를 따르도록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어체를 위쪽으로 개방하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도어체의 개폐궤적의 최대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전방으로의 돌출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식기 세척기 자체의 설치성과 사용의 편리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를 주방 장치에 설치한 상태의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본체 전면이 수직인 경우의 밀봉 부분의 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본체 전면이 경사진 경우의 밀봉 부분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어체 개폐조작의 도중단계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어체 개방 상태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도어체 개방 상태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치수 오차를 포함하는 경우의 도어체 폐색 상태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다른 지지 수단을 이용한 경우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에 9에 있어서의 개구부를 상면에 형성한 경우의 식기 세척기의 개략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있어서의 다른 지지 수단을 이용한 경우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치수 오차를 포함하는 경우의 도어체 폐색 상태의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치수 오차를 포함하는 경우의 도어체 폐색 상태의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밀봉부재 근방의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본체 상부 근방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다른 지지 수단을 이용한 경우의 측면도,
도 29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
도 30은 종래의 다른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
도 31은 종래의 또 다른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32는 종래의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주로 시스템 키친이나 설거지대 그 외의 작업대 등에 설치하여 이용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도 29나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식기 등의 피 세척물을 본체내의 세척조에 수납하고, 세척조의 개구부(102)를 본체(101)의 도어체(103)로 폐색한 후에 세척 펌프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피 세척물의 세척 및 헹굼 공정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도 29의 도시에서는 본체(101)의 전면에 개구부(102)를 형성하고, 도어체(103)는 아래쪽으로 회전 운동하여 개구부(102)를 개방하는 구성이며, 또한 도 30에서는 상면에 개구부(102)를 형성하고, 도어체(103)는 위쪽으로 회전 운동하여 개방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도 29에 도시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한 개의 도어체(103)를 아래쪽으로 개방하기 때문에, 도어체(103)의 회전 운동에 필요한 공간이 크고, 본체(101)의 바닥면적과 도어체(103)의 면적의 합계만큼의 설치면적이 필요하게 되어, 식기 세척기의 설치성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도어체(103)의 전방으로의 돌출길이가 길므로, 전방에서의 피 세척물의 출납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갖고 있었다. 한편, 도 30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도어체(103)를 위쪽으로 개방하기 때문에, 본체치수 이외의 설치면적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지만, 개구부(102)를 크게 취하기 때문에, 본체(101) 자체의 바닥면적이 커져 버려, 결과적으로 설치성이 나빠진다. 또한, 위쪽으로 크게 개방하기 때문에, 도어개폐에 따르는 최대높이가 높아져, 설치장소의 높이의 제한때문에 본 장치(식기 세척기 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최근에는, 식기 세척기는 일본의 좁은 주방에서의 설치성을 높이기 위해서, 장치 자체의 바닥면적을 작게 하여 설치성을 높인 것이 주류가 되고 있다. 따라서, 그 내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적을 작게 한 만큼, 본체(101)의 높이를 높게 해야 하므로, 도어체(103)의 개폐 방법에 따라서는 높이의 제한으로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설치면적이 작고, 또한 높이가 낮은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높이가 높은 도어체의 개폐에 대응한 것으로서는, 예컨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화 제50-26356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것은 도어체(103)를 2분할하여,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도어체(103a, 103b)의 길이가 짧아져, 설치면적 및 설치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위쪽으로 개방하는 도어체(103b)는 도어체(103b)의 상단부를 지점으로서 회전 운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체(103)의 분할에 관계없이 위쪽으로의 돌출높이가 커져 설치높이의 제한으로 설치할 수 없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개방시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도어체(103b)를 본체(101)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정지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설겆이대의 천정면에 본 장치를 설치한 경우, 이 개방 위치의 도어체(103b)는 눈 높이의 약간 아래쪽이 된다. 이 때문에 세척조의 내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피 세척물의 출납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고, 또한 얼굴이나 두부에 접촉하므로 위험으로 연결될 우려도 있었다.
또한,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체(103)는 2개의 도어체(103a와 103b) 끼리를 연결하여 2번 꺾이는 구조로 한 예의 것이 있다. 이 경우에는 도어체(103)의 외부로의 돌출길이가 작아져, 도어체(103)의 개폐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부의 물기 빼는 선반 등이 도어체(103)의 개폐에 방해되지 않고, 탁상에 설치하는 식기 세척기의 경우에는 장치의 설치성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2개의 도어체(103)는 한쪽 방향으로 개방하므로, 식기 등의 출납이 방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한쪽의 도어체(103a)는 본체(101)에 직접 회전 운동 지지되어 있지만, 다른쪽의 도어체(103b)는 도어체(103a)에 연결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체(103a)는 본체(101)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개폐조작이 불안정하게 되어, 개폐하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일의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규제 수단이 별도로 필요했다.
또한, 전술한 도 31의 구성의 것은 2개의 도어체(103a, 103b)가 연동 링크(10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한쪽의 도어체(103)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다른쪽의 도어체(103)는 일의적으로 동작한다. 이 때, 이상적인 치수로 가공, 조립이 실행되어 있으면 문제는 없지만, 실제로는 가공이나 성형 등에 따른 부품의 오차나 조립시의 조립 오차 등이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에, 이상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개개의 도어체(103a, 103b) 단체(單體)로 개폐하는 경우의 방수는 확보되어 있다고 해도, 연동 링크(104)에 관한 부분에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이 존재하면, 밀봉 가능한 바른 위치에 도어체(103a, 103b)를 폐색할 수가 없게 된다. 즉, 도어체(103a, 103b) 단독으로의 방수가 확보되어 있던 경우라도, 복수의 도어체를 일의적으로 연동시킴으로써 폐색시에 간극이 발생하여 세척중에 누수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업무용 등 다소의 누수가 허용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가정용에서는 키친 카운터나 마루면 등이 침수되기 때문에 누수는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다. 또한 각 도어의 연동 장치에 관한 부분의 가공이나 조립 오차가 커지면 폐색조작이 무거워지거나, 또는 불가능하게 될 가능성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기 세척기의 설치에 필요한 높이를 낮게 억제함으로써 설치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사용의 편리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도어체의 개폐방식을 실현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 2 목적은 안정적인 동작으로 복수개의 도어체를 개구부의 한쪽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고, 또한 설치성이 좋은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 3 목적은 부품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이 존재한 경우라도, 식기 세척기 본체와의 밀봉 가능한 바른 위치에 도어체를 폐색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기 본체(이하, 본체라고 칭함)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전면을 주된 면으로서 형성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체를 상기 본체의 위쪽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도어체의 개방시에 도어체를 본체의 위쪽공간으로 본체의 상부를 따르도록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 때문에 도어체를 위쪽으로 개방하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도어체의 개폐궤적의 최대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전방으로의 돌출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전방으로의 돌출길이도 작으므로, 세척조의 내부를 확인하기 쉽고, 피 세척물의 출납이 용이한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체를 복수개의 도어체로 하고, 상기 도어체 중 한 개의 도어체를 상기 본체의 위쪽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고, 도어체를 분할함으로써 1개의 도어체의 길이는 짧아지므로, 도어체 개방에 따른 위쪽이나 전방으로의 도어체의 돌출길이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설치성이 높은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른 도어체를 아래쪽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세척기밖으로 물방울이나 오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본체와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복수개의 도어체를 갖고, 상기 도어체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각각의 도어체에 대응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모든 도어체를 개구부의 한쪽 방향측으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복수개로 분할한 도어체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은 모든 도어체를 개구부의 한쪽 방향측으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 세척물의 출납 등이 방해되지 않는 방향으로 개방하면, 사용의 편리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한쪽의 도어체를 폐색한 후에 다른쪽 도어체를 폐색하는 구성으로 하면, 모든 밀봉을 동시에 실행할 필요는 없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밀봉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든 지지 수단은 도어체를 회전 운동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고, 도어체는 본체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동작함으로써 도어체의 개폐조작성은 보다 향상한다.
다음에,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본체와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복수개의 도어체와 상기 도어체의 개폐 동작을 연동하는 연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체의 개폐 가능 범위내에 상기 도어체의 개폐 동작을 연동하는 영역과 연동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한 것이다.
복수개의 도어체를 연동하는 영역을 가짐으로써, 1개의 도어체를 개방하면 다른 도어체도 개방할 수 있으므로, 한 번의 개폐조작으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를 연동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어체의 폐색 위치 및 그 근방에서는 연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폐색 위치에서 각각의 도어체는 독립하여 존재하게 되어, 각 도어체를 밀봉 가능한 바른 위치에 폐색할 수 있으므로, 개개의 도어체 단독 개폐시의 방수가 확보되어 있으면, 도어체를 연동시킨 경우라도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의 개방 상태에서 도어체를 연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 놓으면, 개방후에 일부의 도어체를 더욱 개방할 수 있어, 세척조의 개구부를 보다 넓게 개방할 수 있으므로, 식기 등의 피 세척물의 출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를 주방 장치에 설치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기 본체(이하, 본체라 칭함)(1)내에 세척조(5)를 갖고, 세척조(5)내에 식기 등의 피 세척물(6)이 세척 바구니(7)에 세트되어 수납된다. 본체(1)내에는 세척조(5)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8), 세척수를 가압하는 세척 펌프(9)를 갖고, 세척조(5)내의 하부에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 구멍(11)을 가진 세척노즐(10)과 잔채(殘菜)를 수집하는 필터(12) 및 가열용 발열체(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세척조(5)의 바닥부에는 세척조(5)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14)와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 펌프(14a) 및 세척조(5)에 공기를 보내는 송풍기(15)를 구비하고 있고, 송풍기(15)에 의해서 송풍된 공기를 세척조(5)로 안내하는 송풍 경로(16)를 설치하고, 세척조(5)의 배기를 배기구(17)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체(1)의 전면에는 세척조(5)의 개구부(2)를 폐색하는 도어체(18)를 설치하여, 도어체(18)를 본체(1)의 위쪽공간으로, 도어체(18)에 고정한 지지 아암(20)과 본체(1)에 설치한 추축(21)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수단(19)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개방시에 도어체(18)는 그 정상부(30)로부터 본체(1)의 위쪽공간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추축(21)은 도어체(1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개폐에 따른 도어체(18)의 회전각도는 약 75°이다. 또한, 본체(1)의 전면 및 도어체(18)는 그 상부가 후방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고, 본체(1)를 포함하는 도어체(18)의 개방궤적의 최대높이는 700㎜ 이하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어체(18)와 본체(1) 사이에는 밀봉부재(22)를 배치하고 있고, 밀봉 부재(22)는 본체(1)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어체(18)에는 이 개폐조작을 실행하는 핸들부(23)를 설치하고, 도어체(18)의 폐색 위치에서 도어체(18)와 본체(1)를 잠그는 로킹 수단과 로킹 수단의 잠금을 검지하는 로킹 검지 수단(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고, 또한 지지 수단(19)의 지지 아암(20)에는 도어체(18)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 등의 가압수단(인장 스프링)(2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세척 바구니(7)는 도어체(18)의 개방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주방 장치의 개략도이며, 주방 장치는 주로 싱크를 구비한 설거지대(25)와 천장부근에 설치한 상단 찬장(26)으로 구성되고, 상단 찬장의 하부에는 물기 빼는 선반(27)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탁상형 식기 세척기(28)는 도 3과 같이 설거지대(25)의 작업대(천정면)(29)에 설치하면 가장 사용이 편리하다. 여기서, 식기 세척기(28)는 본체(1)를 포함하는 도어체(18)의 최대궤적의 최대높이를 전술한 바와 같이 700㎜ 이하로 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우선 식기 세척기의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기 등의 피 세척물(6)을 세척 바구니(7)에 세트하여 세척조(5)에 수납하고, 세제를 투입한 후에 개구부(2)를 도어체(18)로 폐색하고 식기 세척기 장치(이하, 장치라고 칭함)의 운전을 개시한다. 운전은 피 세척물(6)의 오물을 제거하는 세척공정, 부착된 세제나 잔채를 씻어내는 헹굼 공정, 그리고 피 세척물(6)에 부착되어 있는 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의 순서로 실행된다. 우선, 급수밸브(8)가 동작하여 소정량의 세척수를 세척조(5)에 공급하 고, 계속해서 세척 펌프(9)가 세척수를 가압하여 세척노즐(10)로부터 분사한다. 이 때, 세척조(5)내에 설치한 시즈 히터 등의 발열체(13)에 통전하고 있어, 세척수를 가열하면서 세척공정이 실행된다. 또한, 온도센서(14)는 세척조(5)의 온도를 검지하고 있으므로,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발열체(13)로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소정 시간의 세척공정을 끝내면, 오물을 포함하는 세척수는 배수 펌프(14a)에 의해서 장치 외로 배출되고 새롭게 세척수가 공급된다. 세척 펌프(9)를 운전하여, 세척노즐(10)로부터 다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제나 잔채 등이 부착된 피 세척물(6)의 헹굼을 실행한다. 소정 시간 운전한 후에 세척수를 배출하고 다시 세척수를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이 헹굼 공정은 연속하여 3회 정도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세척수를 장치 외로 배출하고 헹굼 공정은 종료한다.
계속해서 건조공정이 실행되어 송풍기(15)를 동작시킴으로써, 송풍 경로(16)를 통해 외기가 세척조(5)내로 송풍되어 배기구(17)에서 배출된다. 이 때, 발열체(13)는 통전되어 있고, 송풍과 온도의 양쪽의 효과에 의해서 피 세척물(6)에 부착된 물기의 증발이 촉진된다. 소정 시간 동안 이들의 건조공정을 실행하고 운전을 종료한다.
또한 도어체(18)는 추축(21)을 도어체(1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도어체(18)를 본체(1)의 위쪽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과 같이 도어체(18)의 정상부(30)에 추축을 설치한 경우에는 완전히 도어체(18)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A(2점쇄선)와 같이, 본체(1)와 도어체(18)의 높이의 합계만큼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개방에 따른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B와 같이 도어체(18)를 본체(1)의 상부(32)로부터 전방에 돌출한 상태로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탁상형의 식기 세척기(28)는 설거지대(25)의 천정면(29) 또는 전용대 등에 올려 놓고 사용하지만, 어느 경우에도 식기 세척기 본체(1)의 경사진 위쪽으로부터 세척조(5)내를 보는 높이이다. 따라서, 본체(1)의 상부(32)로부터 전방으로 도어체(18)가 돌출한 상태에서는 세척조(5)의 내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피 세척물(6)의 출납이 곤란해져 버린다. 또한, 돌출한 도어체(18)에 얼굴이나 두부가 접촉하여 위험으로 이어지거나, 장치가 파손할 우려가 있다.
즉, 종래의 것에서는 설치성과 사용의 편리성은 상반하는 관계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도어체(18)는 그 정상부(30)로부터 본체(1)의 위쪽공간을 향하여 본체(1)의 상면을 따르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도어체(18)를 본체(1)로부터 직립시키지 않고 본체(1)의 위쪽공간(도 1의 실선)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체(18)의 개폐궤적의 최대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도어체(18)의 전방으로의 돌출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설치성과 조작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일본의 좁은 주방에 대응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박형이고 키가 큰 타입의 식기 세척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 형상이라면 본체 전면을 개구부(2)로 한 쪽이 큰 개구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유리하다. 그리고, 본체(1)의 전면의 개구부(2)에 설치한 도어체(18)를 본체(1)의 위쪽공간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치의 바닥면적이 작고, 또한 설치높이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를 설치할 수 있을 가능성은 높아져, 종래에 설치하고 싶어도 설치할 수 없다고 하는 요망에 답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와 본체(1) 사이의 밀봉은 도 1과 같이, 도어체(18)의 한쪽 단부측[정상부(30)]을 축 지지한 경우라면, 밀봉하는 4변 중 축 부분의 1변과 다른 3변은 다른 구조로 할 필요가 있으므로, 완전히 밀봉하기 위해서는 밀봉구성이 복잡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도어체(18)의 모든 변이 본체(1)로부터 떨어져서 개폐하는 경우에는 모든 변을 일의적으로 밀봉할 수 있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를 본체(1)의 위쪽이 아니라, 본체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구성도 고려되지만, 그 경우에는 그 덮는 부분 만큼의 높이가 높아져 설치성이 악화된다.
또한, 도어체(18)의 개폐에 따른 추축(21)의 회전각도는 약 75°로 하여, 90°이하로 억제하고 있으므로, 도어체(18)의 개폐과정에서 물방울이나 오물 등이 부착된 도어체(18)의 내면(31)이 전방에서 보이는 일은 없다. 본체(1)의 위쪽공간으로 도어체(18)를 개방하기 때문에, 개방시에는 작업자의 얼굴 부근에 도어체(18)가 위치하게 되지만, 도어체(18)의 내면(31)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불쾌하게 느끼는 일은 없다. 또한, 의류 등이 도어체(18)에 접촉함으로써, 오물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전면이 수직형상인 경우, 회전각도가 90°이하이면 도어체의 내부가 전방에서 보이는 일은 없고, 본체(1)의 전면 상부가 후방 으로 경사하고 있는 경우에는 (90°)-(경사각)이면 내면(31)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각도는 90°이하일 필요가 있다.
또한, 본체(1)의 전면은 그 상부(32)가 후방으로 경사한 형상으로 한 것이고, 도어체(18)와 본체(1)의 상면과의 각도가 90°이상(도 4b에서는 120°정도)이 된다. 도 4에 본체 전면의 밀봉 부분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4a와 같이 전면이 수직인 경우에는 도어체(18)의 정상부 근방이 밀봉부재에 접촉하면서 가로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지만, 전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도 4b와 같이 옆으로 미끄러짐이 없고, 밀봉부재(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도어체는 이동한다. 밀봉부재(22)를 미끄러지듯이 도어체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조작력이 커지는 동시에, 밀봉부재(22)의 마모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옆으로 미끄러짐을 없애기 위해서는 도어체(18)의 개폐궤적이 커져 버린다. 또한, 폐색시에도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본체의 전면상부(32)를 뒤쪽으로 경사시킴으로써 단순한 추축(21)을 이용한 경우라도, 작은 조작력으로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고, 또한 내구성이 강한 밀봉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의 형상이 곡면인 경우에는 경사각도는 명확하지 않지만, 도어체(18)의 정상부(30)의 접선각도나 도어체(18)의 상단부(34)와 하단부(33)를 연결하는 각도 등으로 대용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 자체를 후방으로 경사시킨 구조로 했지만, 도어체(18)는 수직이거나, 도어체(18)와 밀봉부재(22)와 접하는 부분의 형상을 후방으로 경사시키거나, 원호형상으로 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의 개폐범위 전역에서, 도어체 내면의 하단부(33)가 상단부(34)보다도 항상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물방울은 항상 아래쪽으로 모이므로 하단부(33)측에 모여, 본체(1)의 천정면에 물방울이나 오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의 물방울을 세척조(5)내로 낙하하는 구성으로 하면, 장치외로 물방울이 낙하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물방울을 받는 구성을 도어체(18)의 하단부(33)에만 설치함으로써 물방울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식기 세척기 본체(1)를 포함하는 도어체(18)의 개방궤적의 최대높이를 700㎜ 이하로 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키친에 있어서 본 식기 세척기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일반적인 주방세트라고 상정하면, 도 3과 같이 설거지대(25)의 천정면(29)까지의 높이는 850㎜, 상단 찬장(26)의 상부까지의 높이는 2350㎜가 표준이다. 상단 찬장(26)의 높이는 500, 700, 900㎜ 등이 있고, 싱크 위쪽에 상단 찬장(26)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높이 700㎜의 선반을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 천정면(29)과 상단 찬장(26)의 하부와의 거리는 800㎜정도가 된다. 또한, 집합주택이나 비교적 작은 크기의 주방세트에서는 도 3과 같이 상단 찬장(26)의 하부에 물기 빼는 선반(27)을 설치한 경우가 많고, 일반적으로는 높이 500㎜의 상단 찬장에 300㎜ 정도의 물기 빼는 선반이 있어, 천정면(29)과 물기 빼는 선반(27)의 하부와의 거리는 약 700㎜가 된다. 따라서, 도어체(18)의 개방시의 높이를 700㎜ 이하로 함으로써 단독주택이나 집합주택을 막론하고, 일반적인 키친이면 본 식기 세척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당사 조사 결과에 의하면, 높이 700㎜ 이하이면 기존 가정의 약 75%에서는 설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어체(18)를 그 개방 가능 범위내의 복수 개소에서 정지 가능하게 한 경우 등, 적어도 높이 700㎜ 이하의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1)를 포함하는 도어체(18)의 개방궤적의 최대높이를 700㎜ 이하로 했지만, 650㎜ 이하라고 하면, 높이 2300㎜의 시스템이나 시공 등의 형편에 따라 상단 찬장(26)의 설치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어, 설치 가능율이 증가하여 대부분의 메이커의 키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당사 조사에서는 기존 주택의 약 85%의 주방에 설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높이 600㎜ 이하이면, 900㎜ 높이의 상단 찬장(26)을 설치한 경우라도 식기 세척기(28)의 설치가 가능하고, 기존의 95% 이상의 가정에 설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별도로 기재하지 않고 있지만, 높이의 최소측의 값은 본체(1)의 치수 이상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세척 바구니(7)는 도어체(18)의 개방상태에서 전방으로 꺼낼 수 있는 구성으로 해 놓으면, 세척 바구니(7)의 내부로의 피 세척물(6)의 출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어, 전방으로 도어체(18)가 약간 돌출한 상태라도 사용성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인장 스프링(24)은 도어체(18)를 위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도어체(18)의 중량이 상쇄되고, 도어체(18)의 개폐조작력이 작아져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도어체(18)가 중력에 의해서 자유강하할 때의 충격력을 저감할 수 있고, 장치에 걸리는 응력이 작아지므로, 내구성 향상이나 장치의 소형화로 이어진다. 또한, 도어체(18)의 중력과 인장 스프링(24)에 의한 가압력을 밸런스시키면, 도어체(18)를 임의의 장소에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예에서는 도어체(18)는 1개로 했지만, 복수개로 분할하여 1개의 도어체(18)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더욱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수단(19)은 추축(21)에 의한 회전 운동 지점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의 위쪽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체(18)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 세척이나 건조 방식이나 구성, 운전 모드 등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세척 건조기의 예를 도시했지만, 건조기능을 수반하지 않는 식기 세척기나 건조만을 실행하는 식기건조기, 또는 수납 장치 등의 다른 기기에도 본 발명의 도어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이며, 도 1에 도시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축(21) 및 지지 아암(20)을 포함하는 지지 수단(19)은 추축(21)을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35)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가이드홈(36)을 본체(1)에, 이것에 결합하는 가이드부(37)를 지지 아암(20)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1)의 상면(38)은 전후로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어체(18)를 개방할 때에는 우선 슬라이드부(35)에 의해서 추축(21)은 C에서 D까지 슬라이드하고, 다음에 E점까지 회전 운동한다. 이 때, 가이드홈(36)과 가이드부(37)는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동작은 일의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이 개방 동작의 초기단계에서는 C에서 D로의 이동에 따라서, 도어체(18)는 본체(1)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어체(18)가 밀봉부재(22)에 접하면서 가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일 없이, 작은 조작력으로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고, 또한 높은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의 폐색시에도 마찬가지로, 작은 힘으로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본체(1)의 전면을 후방으로 경사시키고 있지 않는 형상이더라도, 도어체(18)를 도어체(18)의 정상부(30)로부터 본체(1)의 위쪽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위쪽공간은 도어체(18)가 통과하기 때문에, 물품을 본체(1)의 상면(38)에 탑재한 상태로 도어체를 개방하면, 물품을 낙하시킬 우려가 있지만, 본체의 상면(38)을 경사시킴으로써 잘못하여 물품을 싣는 것을 방지하여, 물품의 전도나 낙하를 방지한다. 또한, 도 5에서는 전후로 경사시킨 구성으로 했지만, 전방 또는 후방으로만 경사시키거나, 좌우 방향으로 경사시키거나, 또는 곡면형상으로 하거나, 요철을 마련하는 등 물품의 탑재가 불가능하거나, 탑재했을 때에 불안정해지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또한, 문자로 명기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실시예 3)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1, 도 2에 도시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체가 2분할되어 하부 도어체(39)와 상부 도어체(40)로 되어 있고, 상부 도어체(4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19)으로는 2개의 회전 아암(41)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하부 도어체(39)의 지지 수단은 추축(42)으로 하고 있다. 또한, 2개의 상하 도어체(40, 39)의 개폐 동작을 연동하는 연동 수단(연동 링크)(43)을 설치하고 있고, 도어체의 개폐조작을 실행하는 핸들부(23)는 하부 도어체(39)에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회전 아암(41)은 상부 도어체(40)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지만, 실시예 1에서의 추축(21)에 의한 경우와 달리, 상부 도어체(40)의 이동궤적은 단순 원호가 아니게 되고, 도 6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상부 도어체(40)는 일점쇄선과 같이 이동한다. 도어체(40)의 개방 직후에는 도어체(40)는 본체(1)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후 위쪽으로 선회하면서 본체(1)의 상면을 따르듯이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도면의 실선의 상태로 이동한다. 상부 도어체(40)와 본체(1) 사이에 설치한 밀봉부재(22)에 대하여, 도어체(40)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개폐조작력은 작고, 밀봉부재(22)에 마모나 파손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즉, 2개의 회전 아암(41)을 이용함으로써 확실하고 내구성이 강한 밀봉 구조를 실현하면서, 상부 도어체(40)를 본체(1)의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어 실시예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어체는 2분할되어 있어, 1개의 도어체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본체(1)의 위쪽 및 전방으로의 돌출길이가 더욱 작아진다. 또한, 설계적으로도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밀봉 구조도 보다 확실하게 된다. 또한, 1개의 도어체에서는 상부 도어체(40)는 전방으로 돌출한 경우라도 2분할 이상으로 함으로써 완전히 본체(1)의 위쪽공간에 수납할 수도 있어, 세척조(5)의 내부가 보다 잘 보여 피 세척물(6)의 출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본체 상면의 후방부까지 도어체(40)를 개방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면(38) 후방부를 수납장소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어체(39)는 아래쪽으로 회전 운동하는 구성이지만, 하부 도어체(39)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설치면적은 작아도 되므로 설치에 지장이 없다. 또한, 상부 도어체(40)나 인출한 세척 바구니(7) 등으로부터 낙하하는 물방울이나 오물을 받을 수 있어, 장치밖으로 상기 물방울이나 오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체(40)의 개폐궤적을 하부 도어체(39)의 선단보다 후방에서 수습되도록 해 두면, 물방울 등의 낙하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식기 등을 세척 바구니(7)에 수납할 때에, 남은 국물이나 잔채가 개구부(2)의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즉, 박형으로 전면개구를 갖는 본체(1)에 있어서, 설치성이 높고, 출납 등의 사용이 편리하고, 또한 장치밖으로의 물방울이나 오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세척 바구니(7)는 도어체의 개방상태에서 전방으로 꺼낼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세척 바구니(7)의 내부로의 피 세척물(6)의 출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하부 도어체(39)의 위쪽으로 세척 바구니(7)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세척 바구니(7)를 인출했을 때에 물방울이나 오물이 장치밖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어체(39)와 상부 도어체(40)에는 이들의 개폐 동작을 연동하는 연동 수단(링크 장치)(43)을 설치하고 있고, 하부 도어체(39)에 설치한 핸들부(23)를 잡고 개방하면, 양쪽의 도어체(39, 40)를 하나의 동작으로 개폐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 편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연동 수단(43)은 상하 도어체(40, 39)의 개폐순서를 일의적(1조작)으로 규제할 수 있으므로, 하부 도어체(39)부터 먼저 열리고, 그 선단부가 상부 도어체(40)보다도 항상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정해 두면, 확실하게 물방울 등이 장치밖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양 도어체의 개폐순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도어체(39)의 추축(42)의 반대측에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한 위치에 지점(支點)(44)을 설치하고, 회전 아암(41)상의 지점(45)과 상기 지점(44)을 연동 수단(43)으로 연결함으로써, 하부 도어체(39)가 먼저 열리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지지 수단(19)이더라도 마찬가지로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연동 수단(43)은 링크 구조로 했기 때문에, 개방시 및 폐색시 모두 연동 동작을 일의적으로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도어체의 동작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연동 개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체(40)를 동작시킨 경우라도, 하부 도어체(39)는 연동하여 움직이므로, 어떤 도어체를 조작하여도 무 관하다. 또한, 연동 수단(43)은 링크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로 연결하거나 톱니 바퀴나 벨트, 체인 등으로 연동시키는 등, 다른 구성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구성이라면, 연동 수단(43)이 본체(1)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은 없고, 링크 장치(43)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또한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알기 쉽도록, 회전 아암(41) 등의 지지 수단(19)은 본체(1)의 측면에 설치하고 있도록 도시했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의 측벽(46)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상부 도어체(40)의 폐색 상태에서는 지지 수단(19)은 외측으로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시동시에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개폐 동작 중 본체(1)에 손을 대고 상부 도어체(40)를 조작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손가락을 끼이는 등의 위험은 없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부재(22)는 지지 수단(19)인 회전 아암(41)보다 내측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회전 아암(41)은 세척조(5)내와는 완전히 밀봉된 상태로 되어, 지지 수단(19)[회전 아암(41)]이 금속제이더라도 녹이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한, 측벽(46)의 강도를 확보하고, 또한 폭을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본체(1)로부터 출입하는 부재는 얇은 쪽이 좋고, 연동 수단(43)이 본체(1)의 외측으로 나오지 않는 상기 구성이면, 본체(1)로부터 출입하는 부재는 회전 아암(41)만으로도 충분하므로, 폭 방향의 소형화로 이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동 수단(43)을 설치한 경우의 예를 도시했지만, 연동 수단(43)을 이용하지 않고, 상부 도어체(40)와 하부 도어체(39)를 따로따로 개방하는 구성이라도 도어체의 개폐에 의해서 장치의 설치성을 저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부 도어체(40)와 하부 도어체(39)의 분할위치에는 도어간 밀봉부재(50)를 설치하고 있어, 이 때문에 분할면을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분할에 의해서 도어체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어체의 분할위치는 자유단끼리가 되어, 열변형이나 가압 등에 의해서 잘 휘게 된다. 이 때문에, 확실한 밀봉은 곤란해지지만, 이 휨을 흡수할 수 있는 예컨대, 고무제의 탄성을 갖는 도어간 밀봉부재(50)를 이용함으로써, 상부 도어체(40)와 하부 도어체(39)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도어체(40, 39)의 개폐순서를 정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개방시에는 하부 도어체(39)의 개방후에 상부 도어체(40)를 개방한다. 이 때문에 개폐순서에 적절히 대응한 도어간 밀봉부재(50)의 설치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서 도어간 밀봉부재(50)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도어간 밀봉부재(50)에 손상 등을 주지 않고, 또한 작은 조작력으로 확실하게 밀봉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도어체(39)를 먼저 개방하기 때문에, 상부 도어체(40)의 개방에 따라 낙하하는 물방울을 받을 수 있어 장치 외부로의 물방울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도어체의 폐색 위치에 있어서, 상하 도어체(40, 39)와 본체(1)를 걸어 고정하는 로킹 수단을 도어체의 분할위치의 근방에 설치해 놓으면, 분할위치의 근방은 개폐에 따른 도어체의 이동거리가 가장 큰 위치이며, 가장 작은 힘으로 도어체를 잠글 수 있다. 또한, 상하 도어체(40, 39)끼리를 결합한 경우라도 도어체와 본체(1)를 로킹할 수 있어, 연동 수단(43)도 포함시켜 어딘가 1개소를 본체(1)와 걸면 좋다.
또한, 도어체는 2분할로 했지만, 1개의 도어체(40)로 하고, 회전 아암(41)에 의해 위쪽으로 회전 운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탁상형의 식기 세척기로 본체(1)의 전면에 개구부(2)를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했지만, 빌트인 타입이나 또는 위쪽으로 주된 개구부(2)를 형성한 경우라도 본 발명의 도어체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이며, 상기 실시예 1에서 실시예 3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체(40)를 본체(1)의 위쪽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으로는 2개의 슬라이드부(35)를 이용하고 있다. 슬라이드부(35)는 슬라이드홈(47)과 그것에 결합하는 지지 아암(20a)의 단부에 마련한 결합부(4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2)는 세척조(5)의 천정면(49)의 일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슬라이드부(35)를 이용함으로써 상부 도어체(40)의 이동궤적은 임의로 설정 할 수 있어, 개방직후의 이동 방향이나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도어체(40)의 본체(1)로부터의 돌출량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세척조(5)의 상면부(49)의 일부를 개구부(2)로 함으로써 보다 넓고 쓰기 쉬운 개구부(2)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1) 전면의 밀봉부가 후방으로 경사하기 쉬워져 밀봉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측면의 일부를 개구부로 할 수도 있어, 측방향에서도 식기류 등을 출납하기 쉬운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이며, 실시예 1에서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5)의 개구부(2)를 폐색하는 2개의 도어체(18)[하부 도어체(51)와 상부 도어체(52)]를 설치하고 있고, 하부 도어체(51)는 추축(53)에 의해 본체(1)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 도어체(52)는 지지 수단으로서 마련한 2개의 회전 아암(54, 55)을 이용하여, 추축(56, 57)에 의해 상부 도어체(52)에, 추축(58, 59)에 의해 본체(1)측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하부 도어체(52, 51)를 연동하는 연동 수단으로서 연동 링크(연동 수단)(60)를 설치하고 있고, 그 한쪽 단부측은 하부 도어체(51)와 일체적으로 구성한 추축(61)에 지지되고, 다른쪽 단부측은 상부 도어체(52)의 지지 수단인 회전 아암(54)상의 추축(62)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추축(62)과 결합하는 연동 링크(60)의 구멍부(63)는 여유를 마련한 긴 구멍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추축이나 상기 회전 아암, 연동 수단(60) 등의 지지 수단은 도어체(18)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도어체(18)의 개폐조작을 하는 핸들부(64)는 하부 도어체(51)에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2개로 분할한 상, 하부 도어체(52, 51)는 상하로 각각 개폐하는 구성이며, 추축(53)의 회전에 의해서 하부 도어체(51)는 아래쪽으로 회전 운동하고, 2개의 회전 아암(54, 55)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상부 도어체(52)는 본체(1)의 위쪽공간으로 이동한다. 이 때, 회전 아암(54, 55)의 길이는 달라 상부 도어체(52)는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연동 수단인 연동 링크(60)는 하부 도어체(51)와 상부 도어체(52)를 지지하는 회전 아암(54)을 연결하고 있어, 한쪽의 도어체를 이동시키면 다른쪽의 도어체도 연동하여 이동한다. 이 때문에, 2개의 도어체(18)를 개방할 필요는 없고, 한 번의 개방조작으로 2개의 도어체(18)를 한꺼번에 개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그리고, 추축(62)과 결합하는 구멍부(63)는 긴 구멍형상으로, 연동 링크(60)에 의해서 연동하지 않는 영역을 만들어 낸다. 도 11은 하부 도어체(51)의 핸들부(64)를 인출한 경우의 도중 단계도이며, 도시의 위치까지 하부 도어체(51)를 이동시키더라도, 추축(62)과 긴 구멍(63)의 여유에 의하여 추축(62)부는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 도어체(52)는 전혀 이동하지 않는다. 다음에, 그 이상 하부 도어체(51)를 인출하면, 연결 링크(60)의 작용에 의해서, 상부, 하부 도어체(52, 51)는 연동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상하의 도어체(18)는 동시에 개방된다. 도 12에 도시된 F는 하부 도어체(51)의 회전 운동 가능 범위이며, G의 범위는 그 중 상하의 도어체(18)가 연동하는 범위이다. 또한, 도 11과 같이, 하부 도어체(51)가 먼저 개방하고 나서, 다음에 상부 도어체(52)가 열리기 때문에, 상부 도어체(52)에 부착된 물방울이나 오물 등이 장치밖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 상태인 도 12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연동 링크(60)의 긴 구멍(63) 부분의 범위내에서, 상부 도어체(52)는 하부 도어체(51)와는 연동하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체(52)만을 더욱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 세척조(5)의 개구부(2)를 보다 넓게 개방할 수 있으므로, 식기 등의 피 세척물(6)의 확인이나 출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세척 바구니를 인출하는 구성으로 해 놓으면, 보다 피 세척물의 출납이 용이해진다.
또한, 긴 구멍(63)의 여유량을 크게함으로써, 연동하지 않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므로, 예컨대 설치장소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상태로 사용하고, 설치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상부 도어체(52)만을 더욱 위쪽으로 개방시켜 사용하는 등의 사용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긴 구멍(63)의 여유량을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어체(18) 개방시의 최대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실제 설치장소의 높이에 따른 높이까지 상부 도어체(52)를 개방함으로써, 설치높이를 충분히 살린 사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동 링크(60)의 구멍부를 긴 구멍(63)으로 하는 본 실시예 이외의 연동 수 단에 있어서도, 연동하지 않은 영역을 조절하는 것은 가능하여, 설치높이를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다.
다음에, 도 12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어체(18)를 폐색할 때에는 하부 도어체(51)를 조작하여, 우선 도 11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추축(62) 부분은 여유를 갖기 때문에, 상부 도어체(52)의 움직임에는 자유가 존재하지만, 상부 도어체(52)의 자중에 의해서 상부 도어체(52)에는 폐색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하부 도어체가 도 11에 도시하는 시점에서 상부 도어체(52)는 거의 폐색 상태가 된다. 그리고, 또한 하부 도어체(51)를 되돌리면, 상부, 하부 도어체(52, 51)의 연동은 긴 구멍(63)에 의해서 해제되기 때문에, 하부 도어체(51)만이 동작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폐색 위치까지 폐색한다. 이 폐색 위치에서는 상부, 하부 도어체(52, 51)는 연동하고 있지 않고, 단독의 도어체로서 존재하고 있어, 개개의 상부, 하부 도어체(52, 51) 단독으로 방수가 확보되어 있으면, 확실하게 개구부(2)를 수밀적(水密的)으로 폐색할 수 있다.
1개의 도어체로 개폐하는 타입은 이미 여러가지 존재하고, 비교적 용이하게 방수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도어체(18)를 연동시켜, 종래와 같이 연동 수단에 의한 연동이 완전히 일의적으로 실행되는 경우에는 이상적인 치수로 가공, 조립이 실행되고 있으면 문제 없이 방수가 유지되는 위치로 양 도어체를 폐색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가공이나 성형 등에 따른 부품의 오차나 조립시의 조립 오차 등이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에, 이상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부품의 오차에 조립 오차 등이 더해지면 최종적인 오차는 크게 증대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연동이 일의적인 경우에는 방수가 불완전해져 버린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축(62)의 위치가 약간 어긋나 있을 경우, 상부 도어체(52)는 완전히 폐색되지 않고, H 부분이 뜬 상태로 정지한다. 이 때문에, 상부 도어체(52)의 밀봉은 불완전하게 되어 세척중에 누수를 발생한다. 또한, 도 14와는 반대로, 상부 도어체(52)쪽이 과다하게 폐색해 버릴 때에는 조작하는 하부 도어체(51)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폐색조작이 무거워지거나, 심한 경우에는 폐색이 불가능해지거나 파손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폐색 위치 근방에서 도어체(51, 52)끼리를 연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 도어체를 밀봉 가능한 위치에 폐색할 수 있으므로, 상하의 도어체(52, 51)를 연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확실히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하의 도어체(52, 51)에 각각 로킹 장치를 설치하면, 각각의 소정위치로 확실하게 로킹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의 도어체(52, 51)끼리의 일부를 중합한 경우에는 외측의 도어체로 다른쪽의 도어체를 밀어 넣을 수 있어, 1개의 도어체를 폐색 위치로 위치 결정하면, 다른쪽의 위치 결정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아암(54, 55)이나 연동 수단(60)은 도어체(18)의 서로 대향하는 쪽에 각각 설치하고 있고, 도어체(18)에 좌우 균등하게 연동 수단(60)의 작동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종속 도어체(18)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체(18)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도어체끼리 연동하지 않는 영역을 마련하기 위해서, 추축(62)부를 축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구체적으로는 추축(62) 부분의 구멍부(63)를 긴 구멍형상으로 했지만, 이외에도 타원형상이거나, 원형형상으로 여유를 크게한 것이나, 또는 축형상을 타원 등의 비원형형상으로 하거나, 축형상과 구멍형상을 다르게 하는 등 여러가지의 구성이 고려되고, 모두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동 링크(60)에 추축(62)을 설치하고, 회전 아암(54)에 추축(62)과 결합하는 긴 구멍(63)을 형성한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추축(62)과는 반대측의 추축(61)의 구멍부를 긴 구멍형상으로 한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추축(62)에 끼워 넣은 긴 구멍(6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랜지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추축(62)의 이동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재질이나 급유 등의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도어체(18)의 개폐방식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15와 같이 상부 도어체(52)는 상부 도어체(52)에 고정된 1개의 지지 수단(지지 아암)(65)을 추축(66) 주위로 회전 운동 하는 방식 등 어떠한 구성이더라도 방수에 대해서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개폐 방향이 좌우열기이거나, 도어체의 개수가 3개 이상이더라도 동일하다. 또한, 연동 수단(60)은 하부 도어체(51)와 상부 도어체(5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추축(61) 및 지지 아암(65) 등의 지지 수단에 접속하여 설치했지만, 상하의 도어체(52, 51)의 개폐와 동시에 이동하는 장소에 설치하면 무방하고, 도 10이나 도 15에 도시하는 위치로 연동 수단(60)의 접속장소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어체(18)나 지지 수단을 본체(1)에 설치하는 도 10에 도시하는 구성의 추축(58, 59)이나, 도 15에 도시하는 구성의 추축(53, 66)을 동일 기반부재[세척조(5)나 다른 부재 등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함]에 지지함으로써, 도어체(51, 52)와의 사이의 오차가 작아지고, 조립 오차 등에 기인하는 도어체(18)의 위치의 오차가 작아져, 도어체(18)와 개구부(2)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중의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구성 등에서는 추축(53, 58, 59)이나 회전 아암(54, 55)등은 알기 쉽게 벽면의 외측에 있는 것으로 도시했지만, 본체(1)의 벽면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고, 세척조(5) 내와 설치하는 영역을 구별함으로써, 녹이나 열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부(2)는 본체(1)의 전면으로 했지만, 천정면이나 측면이거나, 또는 복수의 면에 개구부를 갖는 구성이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탁상형의 식기 세척기만이 아니라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연동 수단(60)은 실시예 3과 같이 링크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로 연결하거나, 톱니 바퀴나 벨트, 체인 등으로 연동시키는 등, 다른 구성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동 링크(60)와 같이 기구적 수단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전기적 수단을 이용하더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도어체(52)를 개폐시키는 구동 모터와 하부 도어체(51)의 개폐위치를 검지하는 위치센서를 설치하고, 위치센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구동 모터로 상부 도어체(52)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연동하는 영역과 연동하지 않는 영역을 설정 할 수도 있다.
(실시예 6)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이며,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 5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동 수단인 연동 링크(60)에는 신축 가능한 신축부(67)를 설치하고 있고, 상부 도어체(52)는 추축(68)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신축부(67)에는 신축부(67)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체(압축 스프링)(69)를 설치하고 있다.
도어체(18)의 폐색 위치에서는 신축부(67)에 의해서 각각의 도어체(18)는 독립하고 있고, 각 하부 도어체(51), 상부 도어체(52)를 밀봉 가능한 위치에 폐색할 수 있으므로, 상하의 도어체(18)를 연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폐색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시에 상부 도어체(52)만을 더욱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신축부(67)에 설치한 탄성체(69)는 신축부(67)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고, 연동 링크(60)는 최단길이이므로, 하부 도어체(51)의 핸들부(64)를 가지고 폐색할 때에는 먼저 상부 도어체(52)가 폐색한다. 그리고, 폐색 위치의 근방에서는 하부 도어체(51)를 폐색하는 힘에 의해서, 상부 도어체(52)는 폐색 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된다. 또한, 이 이상 하부 도어체(51)를 폐색 위치를 향하여 밀어 넣었을 때에는 압축 스프링(69)에 의한 가압력이 상부 도어체(52)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부 도어체(52)를 폐색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먼저 상부 도어체(52)가 폐색하고, 다음에 하부 도어체(51)가 폐색한다고 하는 순서로 되어, 도어체(18)끼리가 연동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함에도 관계없이, 일정순서로 도어체(18)를 폐색할 수 있다. 도어 폐색의 순서가 확정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도어체(18)끼리가 접촉하여 파손하는 것 등을 방지하고, 모든 도어체(18)를 확실하게 폐색할 수 있으므로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69)를 작용시킨 경우에는 조작하는 도어체 이외의 도어[상부 도어체(52)]의 중량이 그 폐색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먼저 그 도어체[상부 도어체(52)]를 폐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부 도어체(52)를 조작하여 상하의 도어체(18)를 개폐하는 경우나, 옆으로 열리는 개폐의 도어에도 대응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와 같이 추축(62) 부분을 긴 구멍(63)형상으로 하는 등 여유를 마련한 경우라도, 압축 방향으로 탄성체(69)를 작용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체(52)가 폐색하는 방향으로 별도의 탄성체를 설치한 경우에는 상부 도어체(52)에는 항상 폐색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폐색시에는 항상 상부 도어체(52)가 먼저 닫히는 구성이 되어, 폐색순서가 일정화함으로써 원활하고 또한 확실한 폐색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이며,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 5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동 수단은 연동 와이어(70)로 하고, 접속부(71)로 하부 도어체(51)에, 접속부(72)로 상부 도어체(52)에 설치되어 연동 와이어(70)의 한쪽 단부측의 접속부(72)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부(73)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와 같이, 접속부(72)는 슬라이드부(73)에 의해서 이동하기 때문에, 도어체(18)의 폐색 위치에서는 각 상부 도어체(52), 하부 도어체(51)는 독립하고 있고, 각 상부 도어체(52), 하부 도어체(51)를 밀봉 가능한 위치에 폐색할 수 있어, 상하의 도어체(18)를 연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동 와이어(70)를 이용하여 연동한 경우에는 링크의 경우와 달리, 폐색 방향으로의 연동력은 작용하지 않지만, 도 17과 같이 상부 도어체(52)의 자중이 폐색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하부 도어체(51)를 폐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도어체(52)도 폐색함으로써, 개폐의 양 방향에서 상하의 도어체(18)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체(52)를 폐색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작용시킨 경우에는 확실하게 상부 도어체(52)는 폐색하기 때문에, 자중의 작용의 유무에 관계하지 않고 개폐의 동작을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이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서 폐색 위치 근방에서는 폐쇄 방향으로 탄성체의 가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폐색순서도 일정하게 되어 확실히 밀봉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이며,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 5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동 수단(60)은 실시예 5와 동일하지만, 폐색 위치에서 하부 도어체(51)는 상부 도어체(52)의 일부에 중합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도어체(18)와 개구부(2) 및 상부, 하부 도어체(52, 51)끼리의 중합부(74)에는 밀봉부재(7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어체(18)의 개폐조작을 하는 핸들부(64)를 하부 도어체에 설치하고 있고, 도어체(18)와 본체(1)를 고정하는 로킹 수단(76)을 하부 도어체(51)와 본체(1)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도어체(18)의 개폐에 관한 기본적인 작용, 효과는 실시예 5와 동일하지만, 상부, 하부 도어체(52, 51)의 일부를 중합한 구성으로 하고 있고, 폐색 위치에서는 하부 도어체(51)로 상부 도어체(52)를 밀어 넣은 형태가 되어, 폐색 위치에서는 연동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외부에 위치하는 하부 도어체(51)만을 폐색 상태로 위치 결정하면, 상부 도어체(52)도 소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로킹 수단(76)을 가장 외부에 위치하는 하부 도어체(51)에만 설치하면, 모든 도어체(18)를 로킹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치의 간소화로 연결된다.
또한, 상부, 하부 도어체(52, 51)끼리의 접합면은 중합하여 있기 때문에, 외부로 물이 누설하기 어려우므로 밀봉성이 향상한다. 또한, 밀봉부재(75)를 이용함 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소의 오차를 흡수하여 밀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끼리의 일부를 중합한다는 것은 도어체 그자체를 중합하는 것 외에, 도어체에 설치한 밀봉부재 등을 중합하는 구성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9)
도 19,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며, 상기 도 1, 도 2에 도시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5)의 개구부(2)를 폐색하는 2개의 도어체(18)[하부 도어체(77)와 상부 도어체(78)]를 설치하고 있고, 각각의 상하 도어체(78, 77)를 본체(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으로서 회전 지점(79, 80) 및 상부 도어체(78)와 일체화하여 마련한 지지 아암(81)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어체(18)와 본체(1)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82)는 본체(1)측에, 상하 도어체(78, 77)끼리의 분할위치를 밀봉하는 밀봉부재(83)는 상부 도어체에 설치하고, 개방시에는 하부 도어체(77)를 먼저 개방하고, 폐색시에는 상부 도어체(78)를 먼저 폐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2개의 도어체(18)의 개폐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 수단(연동 링크)(84)을 구비하고 있고, 도어체(18)의 개폐조작을 실행하는 핸들부(85)는 하부 도어체(77)에 설치하고, 도어체(18)를 상부 방향으로 가압 하는 가압수단으로서 인장 스프링(86)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어체(18)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도어체(18)의 최상면은 세척조내에 설치한 세척 바구니(7)의 바닥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어체(18)의 폐색 위치에서 도어체(18)를 걸어 고정하는 로킹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도어체(18)에 관한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2개로 분할한 상하 도어체(78, 77)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79, 80)은 각각의 상하 도어체(78, 77)를 본체(1)에 대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본체(1)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불의의 상하 도어체(78, 77)의 움직임이 발생할 우려 없이, 안정적인 개폐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각 상하 도어체(78, 77)는 회전 운동 형상으로 일의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개폐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는 상하 도어체(78, 77)의 개폐순서를 정한 구성이며, 상부 도어체(78)를 폐색한 후에 하부 도어체(77)를 폐색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우선 상부 도어체(78)와 본체(1)와의 밀봉을 밀봉부재(82)로 확실하게 실행하고, 계속해서 하부 도어체(77)의 전체 둘레를 본체(1)상의 밀봉부재(82)와 상부 도어체(78)의 밑변의 밀봉부재(83)로 밀봉함으로써,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전면을 개구부(2)로 한 경우에는 본체의 상면에 개구부가 있는 경우와 달리, 약간의 누수라도 발생하면 장치밖으로 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밀봉을 실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는 개구부(2)의 한쪽 방향으로만 개방하는 구성이며, 피 세척물(6)의 출납 등이 방해되지 않는 방향으로 개방하면, 도어체(18)에 의해서 사용의 편리성은 손상되지 않는다. 도 20과 같이, 도어체(18)를 아래쪽으로 개방함으로써, 식기 등을 출납할 때에 국이나 물방울이 세척기의 외부에 낙하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세척 바구니(7)를 전방으로 인출한 경우라도 국을 흘릴 걱정은 없고, 세척 바구니(7)를 전방으로 인출함으로써 피세척물의 출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위쪽으로 도어체(18)는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설거지대 등의 천정면에 설치한 경우라도 세척조(5)내의 확인이 방해되지 않다.
또한, 위쪽 개방이더라도 사용이 방해되지 않는 구성이면 무방하고, 이 경우에는 아래쪽으로 개방한 도어체(18)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체(1)의 바닥면적정도의 설치면적이 있으면 본 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보다 설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 이외의 가로 방향으로 개방 하는 구성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것은 탁상설치형으로 했지만, 개구부(2)는 본체(1)의 전면에 형성하고, 상하 도어체(78, 77) 모두 아래쪽으로 개방함으로써, 본체(1)의 위쪽에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전면 개방의 빌트인 타입 식기 세척기의 도어체 구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탁상설치형 식기 세척기에 적용한 경우라도, 본체(1)의 위쪽에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일본의 좁은 주방공간에서도 설치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도어체(18)는 분할되어 있고, 전방으로의 돌출길이는 작게 되어 있으므로 설치성이 보다 향상한다. 특히, 도어체(18)의 개방상태에서 상하 도어체(78, 77)의 선단위치가 대략 일치하도록 상하 도어체(78, 77)의 길이를 설정한 경우에는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도어체(18)의 외부로의 돌출길이를 최소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식기 세척기의 설치에 필요한 면적은 가장 작아진다. 또한, 설치면적이 작으므로, 세로로 놓거나 가로로 놓는 등의 많은 설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어, 각 가정의 형태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도어체(78, 77)의 개폐순서를 정하고, 개방시에는 하부 도어체(77)의 개방후에 상부 도어체(78)를 개방하는 구성으로, 또한 개폐순서에 적절히 대응한 밀봉부재(82)의 설치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밀봉부재(82)에 손상 등을 주지 않고, 또한 작은 조작력으로 확실하게 밀봉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상하 도어체(78, 77)의 개폐 동작을 연동하는 연동 수단(84)을 설치하고 있고, 하부 도어체(77)에 설치한 핸들부(85)를 가지고 개방하면, 상하 도어체(78, 77)를 하나의 동작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장치의 사용의 편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됨과 동시에, 도어체(18)의 개폐순서를 일의적으로 규제할 수 있으므로, 먼저 하부 도어체(77)가 열리는 구성으로 해 놓으면, 작업자는 도어체(18)의 개폐순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하부 도어체(77)가 완전히 먼저 열리지 않더라도, 하부 도어체(77)의 이동량이 상부 도어체(78)의 이동량보다도 크면 무방하고, 구체적으로는 도면과 같이 하부 도어체(77)의 회전지점(79)의 반대측으로 연장한 위치에 마련한 지점(88a)과, 지지 아암(81)을 회전지점(80)의 반대측에 연장한 위치에 마련한 지점(88b)을 연동 수단(84)으로 연결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연동 수단(84)의 설치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연동 수단(84)을 이용 하지 않는 경우라도, 먼저 개방하는 도어체(18)에만 핸들부(85)를 설치하는 등의 수단으로 개폐순서를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연동 수단(84)은 링크 구조로 했기 때문에, 개방시, 폐색시 모두 연동 동작을 일의적으로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도어체의 동작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연동 개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체(78)를 동작시킨 경우라도, 하부 도어체(77)는 연동하여 움직임으로써 어떤 도어체를 조작해도 무방하다. 또한, 연동 수단(84)은 링크 구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로 연결하거나, 톱니 바퀴나 벨트, 체인 등으로 연동시키는 등 다른 구성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구성이라면, 연동 수단(84)이 본체(1)의 외측으로 나오는 일은 없고, 링크의 사이에 손가락을 끼이는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므로,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체(18)의 개방상태에 있어서 도어체(18)의 최상면(87)은 세척조(5)내에 설치한 세척 바구니(7)의 바닥부(88)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도어체(18)의 개방상태에서 세척 바구니(7)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세척 바구니(7) 속에 수납한 피 세척물(6)의 출납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아래쪽으로 도어체(18)가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세척 바구니(7)를 인출했을 때에 물방울 등이 장치의 전방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 바구니(7)에 설치한 롤러(88c) 등이 도어체(18)의 상면을 슬라이드하는 구성이면, 인출한 상태에서 세척 바구니(7)를 안정시킬 수 있어 피 세척물(6)의 출납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의 가압수단으로서 설치한 인장 스프링(86)은 도어체(18)를 위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도어체(18)의 개폐조작력이 작아져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도어체(18)가 중력에 의해서 자유강하할 때의 충격력을 저감할 수 있고, 장치에 걸린 응력이 작아짐으로써, 내구성 향상이나 장치의 소형화에 연결된다. 또한, 폐색 위치 근방에서는 도어체(18)는 자연스럽게 폐색하고, 개방 위치 근방에서는 도어체(18)는 자연스럽게 개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 등의 다른 탄성 수단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도어체(18)의 폐색 위치에서 도어체(18)를 걸어 고정하는 로킹 수단을 설치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서 운전중에 도어체(18)가 개방하거나, 밀봉부가 불완전하게 되어 누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로킹 수단은 도어체(18)와 본체(1)를 걸어 고정하는 구성이거나, 상하 도어체(78, 77)끼리를 걸어 고정하는 구성이거나, 또는 연동 수단(84)과 본체(1)를 걸어 고정하는 등 어떠한 구성이더라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의 폐색 동작과 동시에 로킹되는 구성이거나, 폐색 동작과는 별도로 레버 등을 이동시키는 구성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탁상 설치형으로 전면에 개구부(2)를 갖는 식기 세척기의 예를 도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탑로드형으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에 개구부(2)를 갖는 구조이더라도 도어체의 개폐조작을 일의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개폐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등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수평단면의 직사각형 형상에 있어서의 긴 변을 포함하는 면을 개구부(2)로 했지만, 짧은 변측을 개구부(2)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어체(18)는 2분할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한 구성도 고려된다. 또한, 상하 방향 이외에도 가로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구성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지 수단(79, 80)은 회전 운동 지점으로 했지만,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88d)를 갖는 등의 구성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회전 운동 지점(79, 80)나 연동 링크(84) 등은 알기 쉽도록 벽면의 외측에 있는 것으로 도시했지만, 본체(1)의 벽면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고, 세척조(5) 내와 설치 영역을 구별함으로써, 녹이나 열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향상하고, 또한 연동 링크(84)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0)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며, 상기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 5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한 본 식기 세척기가 상기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 5와 다른 점은 추축(53, 58, 59)을 기반부재(89)에 설치한 점과, 상하의 도어체(18)는 그 분할면에서 중합하는 구성으로 한 점이다.
즉, 상하의 도어체(18)는 그 분할면에서 중합부(91)로 중합하는 구성이며, 도어체(18)와 개구부(2)와의 밀봉 및 도어체(18)의 중합부(91)의 밀봉에는 탄성을 갖는 밀봉부재(92)를 설치하고 있고, 여기서는 예컨대 중공 단면의 고무재료로 하고 있다.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2개로 분할한 상하 도어체(52, 51)는 상하로 각각 개폐하는 구성이며, 추축(53)의 회전에 의해서 하부 도어체(51)는 아래쪽으로 회전 운동하여, 2개의 회전 아암(54, 55)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상부 도어체(52)는 본체(1)의 위쪽공간으로 이동한다. 이 때, 회전 아암(54)과 회전 아암(55)의 길이는 다르고, 상부 도어체(52)는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또한, 연동 수단인 연동 링크(60)는 하부 도어체(51)와 상부 도어체(52)를 지지하는 회전 아암(54)을 연결하고 있어, 한쪽의 도어체를 이동시키면 다른쪽의 도어체도 연동하여 이동한다. 이 때문에, 2개의 도어체(18)를 개방할 필요는 없고, 한 번의 개방조작으로 2개의 도어체(18)를 한꺼번에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장치에서는 도어체(18), 그것을 가동 지지하는 회전 아암(54, 55) 또는 추축 위치, 또는 연동 수단(60) 등에 치수 오차나 조립 오차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한 소정위치에 도어체(18)를 폐색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반드시 어긋남이 발생하는데, 부품의 오차에 조립 오차 등이 더해지면 최종적인 오차는 크게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추축(62)의 위치가 약간 어긋난 경우, 상부 도어체(52)는 완전히 폐색되지 않고, J의 부분이 뜬 상태로 정지하기 때문에, 세척중에 누수가 발생한다. 그러나, 탄성을 갖는 밀봉부재(92)를 이용함 으로써 도 25와 같이, 그 탄성에 의해서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밀봉성을 확보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밀봉부재(92)의 탄성은 밀봉면을 밀착시키는 효과도 있지만, 여기서의 주된 목적은 도어체(18)의 폐색 위치가 어긋난 경우의 어긋남을 흡수하여 밀봉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도 24와는 반대로 상부 도어체(52)쪽이 과다하게 폐색해 버릴 때에는 조작하는 하부 도어체(51)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폐색조작이 무겁게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폐색이 불가능해지거나 파손할 우려가 있지만, 탄성을 갖는 밀봉부재(92)를 통해서 이 불량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성은 확보할 수 있지만, 밀봉부재(92)의 압축량은 장소에 따라서 다르므로 밀봉의 강약은 존재하게 된다. 그래서, 도 26의 부분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부재(92)보다 내측에 리브(93)를 설치함으로써 세척수의 분류(噴流)가 밀봉부재(92)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밀봉부재(92)의 압축량이 작은 곳에 분류가 직격함으로써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리브(93)의 형상이나 설치장소, 개수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어체(18)는 폐색 상태에서 도어체(18)의 분할면을 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도어체끼리의 중합부(91)가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로 됨으로써 밀봉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어체(18)의 분할면에 밀봉부재(92)를 이용함으로써 치수 오차나 조립 오차에 의한 도어체(18)의 어긋남을 흡수하여 밀봉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어체(51)의 지지 수단인 추축(53)과 상부 도어체(52)의 지지 수단인 회전 아암(54, 55)은 각각 단독으로 본체(1)에 설치되어 있어, 개폐 동작이 가장 안정하게 됨으로써, 개개의 도어체(51, 52)의 개폐에 따른 오차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연동에 따른 어긋남도 작게 할 수 있어 밀봉성이 향상된다.
또한, 지지 수단[회전 아암(54, 55) 및 지지 아암(53a)]을 본체에 접속하는 지지 수단 접속부인 추축(53, 58, 59)은 단일 기반부재(89)에 설치한 것으로, 추축끼리의 위치 결정 정밀도는 별도로 설치한 경우에 보다 향상되고, 조립 오차를 경감할 수 있음으로써, 폐색시에 도어체(18)의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어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기반부재(89)를 본체(1)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세척조(5)의 벽면이나 다른 구조부품을 기반부재(89)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반부재(89)와 지지부재인 추축(53, 56, 57, 58, 59) 및 회전 아암(54, 55)과 연동 수단(60)으로 1개의 유닛부품을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조립공정에서는 사전에 유닛화된 유닛부품을 세척조(5) 등에 장착할 뿐이므로, 조립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 기반부재(89)에 장착되는 지지 수단 접속부의 추축(53, 58, 59)은 전부 이 유닛부품에 유닛화되어 있음으로써, 조립공정에서는 이 유닛부품을 세척조(5)나 도어체(18)에 고정하도록 성립시키면 되므로, 채워 넣기나 비스 고정 등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반부재(89)상의 추축 부분의 가공은 유닛부품의 상태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코킹 등의 영구체결이나 리테이너 링 등에 의한 체결도 가능하고, 추축 부분에 느슨해짐이 발생하지 않는 체결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신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품의 분해 등에 의해서 지지부재의 장착부의 위치관계는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부품교환 등의 보수작업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기반부재(89)를 이용한 경우에는 조립 오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밀봉부재(92)와 같은 탄력성이 우수한 밀봉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아암(54, 55)이나 연동 수단(60)은 도어체(18)의 서로 대향하는 쪽의 기반부재(89)상에 각각 설치하고 있고, 도어체(18)에 좌우 균등하게 연동 수단(60)의 작동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종속의 도어체(18)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체(18)의 폐색 위치의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의 개폐 동작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아암(54)은 직선이 아니라 만곡된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아암(54, 55) 등의 지지 수단을 본체(1)의 측면 내부에 설치한 경우에 회전 아암(54, 55)이 이동하는 슬릿(94)을 본체(1)에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 이 슬릿(94)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한 것으로, 슬릿(94)에 의한 본체(1)의 강도저하를 억제함과 아울러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단, 회전 아암(54, 55)의 형상에 한정은 없고, 직선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밀봉 효과에는 영향은 없다.
또한, 밀봉부재(92)는 중공 단면의 고무재료로 했지만, 립형상이거나, 또는 발포성의 재료 등 다른 구성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어체(18)의 개폐방식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28과 같이 상부 도어체(52)는 상부 도어체(52)에 고정된 1개의 지지 수단(지지 아암)(95)을 추축(9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는 방식 등 어떠한 구성이더라도 방수에 대해서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개폐 방향이 좌우 열기이거나, 도어체의 개수가 3개 이상이더라도 동일하다. 또한, 연동 수단(60)은 도어체(18) 내지 도어체(18)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95)에 접속하여 설치했지만, 도어체(18)의 개폐와 동시에 이동하는 장소에 설치하면 되고, 도 23이나 도 28에 도시하는 위치에 연동 수단(60)의 접속장소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각 도면에 있어서, 추축이나 회전 아암 등은 잘 알 수 있도록 벽면의 외측에 있는 것으로 도시했지만, 본체(1)의 벽면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고, 세척조(5) 내와 설치 영역을 구별하여 마련함으로써 추축이나 회전 아암의 녹이나 열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2)는 본체(1)의 전면으로 했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천정면이나 측면이거나, 또는 복수의 면에 개구부를 갖는 구성이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연동 수단(60)은 링크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와 같이 와이어, 톱니 바퀴나 벨트, 체인 등으로 연동시키는 등 다른 구성이더라도 무방하고, 기구적 수단 이외의 전기적 수단을 이용하더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 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도어체를 본체의 위쪽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도어체를 위쪽으로 개방하는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도어체의 개폐궤적의 최대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전방으로 돌출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바닥면적도 작고, 또한 높이도 낮게 억제됨으로써, 본 식기 세척기를 설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져, 설치하고 싶더라도 설치할 수 없다고 하는 요망에 답할 수 있다. 또한,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전방으로의 돌출길이도 작으므로, 세척조의 내부를 확인하기 쉽고, 피 세척물의 출납을 실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체를 복수개 설치한 경우에는 1개의 도어체의 길이는 짧아지므로, 도어체 개방에 따른 위쪽이나 앞쪽으로의 도어체의 돌출길이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설치성이 높은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도어체를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회전 운동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각각의 도어체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각 지지 수단은 모든 도어체를 개구부의 한쪽 방향측으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어체끼리가 아니라, 설치된 본체에 각각의 도어체가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도어체는 안정적인 개폐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수단은 모든 도어체를 개구부의 한쪽 방향측으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 세척물의 출납 등이 방해되지 않는 방향으로 개방하면, 사용의 편리성을 손상하지 않는다. 또한, 한쪽의 상기 도어체를 폐색한 후에 다른쪽의 도어체를 폐색하는 구성으로 하면, 모든 밀봉을 동시에 실행할 필요는 없고,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밀봉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체의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각 도어체의 선단위치는 대략 일치하도록 각 도어체의 길이를 설정한 경우에는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도어체의 외부로의 돌출길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식기 세척기의 설치에 필요한 면적이 작아짐으로써, 주방 등에 설치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도어체의 개폐 동작을 연동하는 연동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한 번의 조작으로 모든 상기 도어체를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식기 세척기의 사용의 편리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도어체의 하나의 도어체를 개폐시켰을 때의 개폐의 동작범위에 있어서, 연동 수단에 상기 다른 도어체가 연동하여 동작하지 않는 동작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도어체의 개폐 동작을 연동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모든 도어체의 방수를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도어체를 폐쇄했을 때에 제 1 도어체와 제 2 도어체가 탄성을 갖는 밀봉부재를 사이에 두고 폐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도어체의 개폐 동작을 연동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체의 방수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Claims (5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전면을 포함하여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부 도어체 및 하부 도어체와,
    상기 상부 도어체 및 하부 도어체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체 및 하부 도어체는, 연동 수단에 의해 그 개폐 동작이 연동하고, 또한, 상기 하부 도어체는 하방향으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도어체는 그 개방할 때의 이동 궤적이 본체의 상면을 따르도록 상기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구성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체는 상기 하부 도어체의 동작에 연동하는
    식기 세척기.
  15. 삭제
  16. 삭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상부 도어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상부 도어체의 내면이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상부 도어체를 지지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상부 도어체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상부 도어체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항상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식기 세척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상부 도어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상부 도어체에서 떨어져서 설치된 추축을 포함한
    식기 세척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체의 개폐에 따른 상기 추축의 회전각도는 90°이하인
    식기 세척기.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링크을 포함한
    식기 세척기.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면의 상부는 후방으로 경사진 형상인
    식기 세척기.
  24. 제 13 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면은 경사진 형상인
    식기 세척기.
  2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세척조의 상면의 일부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식기 세척기.
  2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포함하는 상기 상부 도어체의 개폐궤적의 최대높이는 700㎜ 이하인
    식기 세척기.
  2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측벽에 설치된
    식기 세척기.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전면을 포함하여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부 도어체 및 하부 도어체와,
    상기 상부 도어체 및 하부 도어체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도어체 및 하부 도어체는, 연동 수단에 의해 그 개폐 동작이 연동하고, 또한, 상기 하부 도어체는 하방향으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도어체는 그 개방할 때의 이동 궤적이 본체의 상면을 따르도록 상기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구성으로 하며,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도어체 중의 하나를 개폐시켰을 때의 개폐의 동작범위에 있어서 상기 다른 도어체가 연동하여 개폐 동작하지 않는 영역을 갖는
    식기 세척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도어체와 상기 지지 수단 중 하나에 접속된
    식기 세척기.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신축하는 부재를 갖는 신축부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작동력을 전달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의 적어도 1개소는 이동 가능한
    식기 세척기.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작동력을 전달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의 적어도 1개소는 회전 운동 가능한 추축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에는 상기 추축과 결합하고 상기 추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멍부가 형성된
    식기 세척기.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체는 그 하단부 근방에서 상기 세척조에 지지된
    식기 세척기.
  4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체 및 하부 도어체의 폐색 상태에서 상기 상부 도어체 및 하부 도어체의 일부는 서로 중합하는
    식기 세척기.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체 및 하부 도어체의 폐색 상태에서 최외부에 위치하는 도어체에 설치된 핸들부를 더 포함한
    식기 세척기.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체 및 하부 도어체의 폐색 상태에서 최외부에 위치하는 도어체 이외의 도어체에는 적어도 폐색 위치에서 폐색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식기 세척기.
  44.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서로 상기 도어체의 대향하는 양쪽에 설치된
    식기 세척기.
  45.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에 설치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복수의 도어체로서, 상기 복수의 도어체를 폐색하였을 때에 상기 복수의 도어체의 일부가 서로 중합하는 부분을 갖는 상기 복수의 도어체와,
    상기 도어체 중 하나의 개폐 동작에 의해서 다른 도어체를 연동하여 개폐시키는 연동 수단과,
    상기 도어체를 닫았을 때에 복수의 도어체의 상기 중합하는 부분에 설치된 탄성 밀봉 부재와,
    상기 복수의 도어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도어체를 상기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수단을 포함한
    식기 세척기.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체는 하방으로 회전 운동하여 개방되는 하부 도어체와, 상기 본체의 상방 공간으로 이동하여 개방되는 상부 도어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수단을 상기 본체에 접속하는 단일 기반부재로 형성된 지지 수단 접속부를 더 포함한
    식기 세척기.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체와 본체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 밀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체를 닫았을 때에 상기 탄성 밀봉부재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립을 상기 도어체에 설치한
    식기 세척기.
  49.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를 닫았을 때에 상기 상부 도어체 및 상기 하부 도어체가 중합하는 부분에서 상기 상부 도어체가 상기 하부 도어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50.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어체는 그 하단부 근방에서 상기 세척조에 지지된
    식기 세척기.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KR1020010028019A 2000-05-23 2001-05-22 식기 세척기 KR100567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0958A JP3546809B2 (ja) 2000-05-23 2000-05-23 食器洗浄機
JP2000-150958 2000-05-23
JP2000194202A JP4552282B2 (ja) 2000-06-28 2000-06-28 食器洗浄機
JP2000-194202 2000-06-28
JP2001-016646 2001-01-25
JP2001016647A JP3494150B2 (ja) 2001-01-25 2001-01-25 食器洗浄機
JP2001-016647 2001-01-25
JP2001016646A JP3494149B2 (ja) 2001-01-25 2001-01-25 食器洗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640A KR20010107640A (ko) 2001-12-07
KR100567506B1 true KR100567506B1 (ko) 2006-04-03

Family

ID=2748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019A KR100567506B1 (ko) 2000-05-23 2001-05-22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67506B1 (ko)
CN (2) CN2505024Y (ko)
TW (1) TW5555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47985A (en) * 2007-02-20 2008-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bleware cleaning machine
JP4349419B2 (ja) * 2007-02-20 2009-10-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101054434B1 (ko) * 2008-06-30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기기
CN104068806B (zh) * 2013-03-30 2017-01-18 海尔集团公司 洗碗机上部门体开门控制方法
CN107951451B (zh) * 2017-11-15 2024-04-0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洗碗机的移动铰接结构
CN108542327B (zh) * 2018-06-11 2021-10-0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
CN108852235B (zh) * 2018-08-10 2023-08-22 深圳市宝嘉智能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自动开关门装置
CN109483708A (zh) * 2018-12-19 2019-03-19 禹州惠祥瓷业有限公司 一种瓷器清洗机的擦洗装置
CN112716410A (zh) * 2021-01-25 2021-04-30 浙江蓝炬星电器有限公司 一种洗碗机开门机构
CN113384216B (zh) * 2021-07-20 2024-08-13 芜湖美的智能厨电制造有限公司 用于洗涤电器的通风组件和洗碗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7638A (en) * 1989-10-17 1993-11-02 Arne Alvemarker Dish washing machine with a vertically movable door blade
JPH06142027A (ja) * 1992-11-09 1994-05-24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の扉開閉装置
JPH074557U (ja) * 1993-06-15 1995-01-24 キャタピ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運転室のフロントウインドウ装置
JPH09220934A (ja) * 1996-02-19 1997-08-2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クドアの開閉装置
KR0148304B1 (ko) * 1995-12-27 1998-10-15 김태구 버스의 이중스윙도어 개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50503B2 (ko) * 1973-03-15 1976-10-08 Calor Sa
JP3767278B2 (ja) * 1999-10-01 2006-04-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7638A (en) * 1989-10-17 1993-11-02 Arne Alvemarker Dish washing machine with a vertically movable door blade
JPH06142027A (ja) * 1992-11-09 1994-05-24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の扉開閉装置
JPH074557U (ja) * 1993-06-15 1995-01-24 キャタピ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運転室のフロントウインドウ装置
KR0148304B1 (ko) * 1995-12-27 1998-10-15 김태구 버스의 이중스윙도어 개폐구조
JPH09220934A (ja) * 1996-02-19 1997-08-2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クドアの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5542B (en) 2003-10-01
CN100441135C (zh) 2008-12-10
KR20010107640A (ko) 2001-12-07
CN2505024Y (zh) 2002-08-14
CN1327788A (zh) 200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506B1 (ko) 식기 세척기
EP2173228B1 (en) Dish washer provided with a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between a spray liquid pipe and a spraying arm in a spraying system
EP2710945B1 (en) Dishwashing machine
KR101054115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US9642511B2 (en) In-situ door removal device in a dishwashing appliance
AU2013257526B2 (en) Dishwasher
US20190330788A1 (en) Casing structure for preventing water penetration, and control panel assembly in washing machine having same
EP4048130B1 (en) Dishwasher
KR102662674B1 (ko) 식기세척기
KR20020045815A (ko)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밀폐 구조
CN113677249A (zh) 洗碗机
JP3494149B2 (ja) 食器洗浄機
KR20200016773A (ko) 식기세척기
JP3417352B2 (ja) 食器洗い機
KR101193262B1 (ko) 식기 세척기
KR100658851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조립 구조
JP3656643B2 (ja) 食器洗浄機
KR100662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 구조
JP4552282B2 (ja) 食器洗浄機
KR100832197B1 (ko) 식기 세척기
KR102674534B1 (ko) 식기 세척기
US11571105B2 (en) Spot detection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JP2001327452A (ja) 食器洗浄機
US20230255440A1 (en) Dishwashing appliance having a door linkage assembly
US20220125273A1 (en) Dishwashing appliance cable motor m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