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364B1 - Elevator - Google Patents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7364B1 KR100567364B1 KR1020037015836A KR20037015836A KR100567364B1 KR 100567364 B1 KR100567364 B1 KR 100567364B1 KR 1020037015836 A KR1020037015836 A KR 1020037015836A KR 20037015836 A KR20037015836 A KR 20037015836A KR 100567364 B1 KR100567364 B1 KR 1005673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istway
- wall
- car
- elevator
- installation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1—Guideways; Guides with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sh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실벽의 평면형상을 5개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함으로써, 승강로벽과 카실벽과의 사이에 설치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스페이스에는 예를 들면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주제어반 등, 적어도 1개의 승강로기기가 설치되어 있다.In an elevator apparatus, when the planar shape of a compartment wall is made into a polygon with five or more angles, the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hoistway wall and the compartment wall. At least one hoistway apparatus, such as a main control board which controls a drive system,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엘리베이터, 승강로, 카실, 구동장치, 점검창Elevator, Lift, Carsill, Drive, Access Window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제어반 등의 기기가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pparatuses, such as a control panel, are arrange | positioned in a hoistway, for example.
종래의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장치나 제어반이 예를 들면 승강로벽과 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139321호 공보에 표시된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박형의 구동장치가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In a conventional machine-less elevator, a drive and a control panel are arrange | positioned, for example between a hoistway wall and a car. For example, in the machine-less-liquid elevator shown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139321, a thin drive devic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upper part of a hoistway.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에서는 여러가지의 기기를 승강로내에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승강로의 평면적이나 오버헤드 치수가 커져 있었다. 따라서, 승강로를 더욱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achine-less elevator as described above, since various devices need to be installed in the hoistway, the plane and overhead dimensions of the hoistway have increased.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a hoistway is required to be more compact.
(발명의 개시)(Initiation of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승강로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make a hoistway compact.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벽을 갖는 승강로, 카바닥과, 카바닥상에 배치되고 카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통형상의 카실벽과, 카실벽상에 배치되어 있는 천정을 가지고,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실 및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승강로기기를 구비하며, 카실벽의 평면형상을 5개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함으로써, 승강로벽과 카실벽과의 사이에 설치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1개의 승강로기기가 설치스페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istway having a hoistway wall, a car floor, a cylindrical carsil wall disposed on the car floor and provided with a car entrance, and a ceiling disposed on the carcase wall. And a plurality of hoistway devices arranged in the hoisting chamber and the hoistway, wherein the planar shape of the cabin wall is a polygon having five or more angles, whereby an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hoistway wall and the carcass wall. Elevator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lanar layout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lanar layout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lanar layout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The best form to carry ou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도면에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카가이드레일(2)과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카(4)는 카가이드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카(4)는 카틀(5)과 카틀(5)에 지지된 카실(6)을 가지고 있다. 카틀(5)은 한쌍의 세로틀(7)과, 세로틀(7)의 하단부간에 고정되고, 카실(6)을 지지하는 아래틀(8)과 세로틀(7)의 상단부간에 고정되어 있는 위틀(9)을 가지고 있다.In the figure, a pair of
아래틀(8)에는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는 카(4)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균형추(13)는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또, 균형추(13)는 승차장측에서 보아 카(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The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부착틀(14)(도 2에서는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부착틀(14)은 카가이드레일(2)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부착틀(14)에는 카(4) 및 균형추(13)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권양기)(15)가 탑재되어 있다.An attachment frame 14 (not shown in FIG. 2) is disposed above the
구동장치(15)는 구동장치 본체(16)와, 구동장치 본체(1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17)를 가지고 있다. 또, 구동장치(15)는 구동시브(17)의 회전축이 수직으로 뻗도록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 본체(16)는 축방향 치수가 직경보다도 작은 박형 모터를 가지고 있다.The
부착틀(14)에는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18),(19), 균형추측 반환풀리 (20) 및 방향전환풀리(21)가 탑재되어 있다. 제1의 카측 반환풀리(18)는 그 회전축이 카(4)의 안쪽방향(도 2의 상하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뻗도록 제1의 주삭접속부 (1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의 카측 반환풀리(19)는 그 회전축이 카(4)의 안쪽방향(도 3의 상하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뻗도록 제2의 주삭접속부(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The
균형추측 반환풀리(20)는 그 회전축이 수평으로 뻗도록 균형추(1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장치(15),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18),(19), 균형추측 반환풀리(20) 및 방향전환풀리(21)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4)와 겹치도록 카(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The counterweight
구동시브(17)에는 카(4) 및 균형추(13)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주삭군(22)이 감겨 있다. 주삭군(22)은 다수의 제1의 주삭(23)과 다수의 제2의 주삭(24)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제1의 주삭(23)의 개수와 제2의 주삭(24)의 개수가 같다.The driving sheave
또, 제1 및 제2의 주삭(23),(24)으로는 예를 들면 수지피복을 갖는 유연성이 높은 복합재료 로프가 사용된다. 이로써, 구동시브(17), 제1 및 제2의 카측 반환풀리(18),(19), 균형추측 반환풀리(20) 및 방향전환풀리(21)의 직경을 작게 할 수가 있다.As the first and second
제1의 주삭(23)은 제1의 주삭접속부(11)에 접속된 제1의 단부와, 균형추(13)의 상부에 접속된 제2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2의 주삭(24)은 제2의 주삭접속부 (12)에 접속된 제1의 단부와, 균형추(13)의 상부에 접속된 제2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The 1st
제1의 주삭(23)은 제1의 단부에서 제1의 카측 반환풀리(18), 구동시브(17) 및 균형추측 반환풀리(20)의 순으로 감겨져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제2의 주삭(24)은 제1의 단부에서 제2의 카측 반환풀리(19), 방향전환풀리(21), 구동시브 (17) 및 균형추측 풀리(20)의 순으로 감겨져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The first
즉, 균형추(13)에 접속된 제1의 주삭(23)과 제2의 주삭(24)은 구동시브(17)에서 2방향으로 분기되어 카(4)에 접속되어 있다.That is, the 1st main grinding |
방향전환풀리(21)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제2의 주삭(24)의 진입각도가 가능한 한 작게 되도록 방향전환풀리(21)의 회전축은 수직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Although the turning
또, 승강로(1)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승강로벽(1a),(1b)과, 승차장 출입구(25)가 설치되어 있는 제3의 승강로벽(1c)과, 제3의 승강로벽(1c) 및 카(4)의 배면에 대향하는 제4의 승강로벽(1d)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카실(6)은 카바닥(도시않음)과, 카바닥상에 배치되고 카출입구(26)가 설치되어 있는 카실벽(27)과, 카실벽(27)상에 배치되어 있는 천정(28)을 가지고 있다.The
카실벽(27)의 평면형상을 6각형으로 함으로써, 승강로벽(1a),(1b),(1d)과 카 실벽(27)과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의 설치스페이스(29),(3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실벽(27)의 형상은 단면 4각형의 통에서의 서로 인접하고 있는 2개의 코너부를 모따기해서 경사면(27a),(27b)을 형성한 형상이다. 경사면(27a),(27b)은 승강로벽(1a),(1b)에 대해 경사져 있다. 설치스페이스(29),(30)는 경사면(27a), (27b)과 승강로벽(1a),(1b),(1d)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By making the planar shape of the
제1의 설치스페이스(29)에는 승강로기기로서의 주제어반(31)이 설치되어 있다. 제2의 설치스페이스(30)에는 승강로기기로서의 부제어반(32)이 설치되어 있다.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은 구동장치(15) 및 기타의 기기를 제어한다.In the
또,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은 카실(6)이 최상층에 위치할 때에 카실벽(27)의 경사면(27a),(27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은 승강로벽(1d)에 대해 균형추 가이드레일(3)을 지지하고 있는 다수의 레일브래킷(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Moreover, the
경사면(27a),(27b)에는 설치스페이스(29),(30)에 임하는 점검창(34a),(34b)과, 카실(6)내로부터 점검창(34a),(34b)을 개폐하는 커버(35a),(35b)가 설치되어 있다.Cove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또, 카실벽(27)에는 커버(35a),(35b)의 개폐를 검출하는 커버스위치(36a), (36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35a),(35b)가 열려있을 때는 카(4)의 승강이 저지된다.Moreover, the cover switches 36a and 36b which detect opening and closing of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실벽(27)의 평면형상을 6각형으로 함으로써, 승강로벽(1a),(1b),(1d)과 카실벽(27)과의 사이에 제 1 및 제2의 설치스페이 스(29),(30)를 확보하고, 또 제1 및 제2의 설치스페이스(29),(30)에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을 배치하였으므로 승강로(1)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planar shape of the
또, 제1 및 제2의 설치스페이스(29),(30)는 카(4)의 승강행정 전체에 걸쳐 확보되므로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을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모든 승강로기기를 설치할 수가 있고, 소용량에서 대용량까지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스페이스의 절약을 도모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또, 카실벽(27)의 형상은 단면 4각형의 통에서의 코너부를 모따기한 형상이므로 의장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는 동시에, 승강로(1)내의 스페이스를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또, 카실벽(27)에는 설치스페이스(29),(30)에 임하는 점검창(34a),(34b)과, 점검창(34a),(34b)을 개폐하는 커버(35a),(35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설치스페이스 (29),(30)에 설치되어 기기의 보수점검작업을 카실(6)내에서 실시할 수가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또, 커버(35a),(35b)의 개폐를 검출하는 커버스위치(36a),(36b)를 사용하고, 커버(35a),(35b)가 열렸을 때는 카(4)의 승강이 저지되도록 하였으므로 보수점검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또, 구동장치(15)를 승강로(1)내에 배치하고, 또 구동장치(15)를 제어하는 주제어반(31)을 최상층에 배치하였으므로 구동장치(15)와 주제어반(31)과의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어신호의 노이즈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실시의 형태 2.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카실벽(27)의 형상은 단면 4각형의 통에서의 4개의 코너부를 모따기해서 경사면(27a ~ 27d)을 형성한 형상, 즉 단면 8각형의 통형상체이다. 그리고, 경사면(27a)과 승강로벽(1a),(1d)과의 사이에 제1의 설치스페이스(29)가 설치되어 있다. 또, 경사면(27c)과 승강로벽(1b),(1c)과의 사이에 제3의 설치스페이스(41)가 설치되어 있다.Next, FIG. 3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경사면(27a),(27c)에는 각각 점검창(34a),(34c) 및 커버(35a),(35c)가 설치되어 있다. 제1의 설치스페이스(29)에는 주제어반(31)이 설치되어 있다. 제3의 설치스페이스(41)에는 부제어반(32)이 설치되어 있다. 부제어반(32)은 승강로벽(1b)에 고정되어 있다.
카실벽(27)의 측면에는 부제어반(32)을 카실(6)내에서 보수점검하기 위한 점검창(34e) 및 점검창(34e)을 카실(6)내에서 개폐하는 커버(35e)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side surface of the
카(4)의 아래틀(8)에는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는 경사면(27b),(27d)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주삭접속부(11),(12)는 카(4)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경사면(27b),(27d)에는 주삭접속부(11),(12)에 임하는 점검창(34b),(34d)과, 카실(6)내에서 점검창(34b),(34d)을 개폐하는 커버(35b),(35d)가 설치되어 있다.Cove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제1의 주삭(23)은 제1의 단부에서 제1의 카측 반환풀리(18), 방향전환풀리 (21), 구동시브(17) 및 균형추측 반환풀리(20)의 순으로 감겨져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제2의 주삭(24)은 제1의 단부에서 제2의 카측 반환풀리(19), 구동시브 (17) 및 균형추측 반환풀리(20)의 순으로 감겨져 제2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The firs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실벽(27)의 평면형상을 8각형으로 함으로써, 승강로벽(1a ~ 1d)과 카실벽(27)과의 사이에 제1 및 제3의 설치스페이스 (29),(41)를 확보하고, 또 제1 및 제3의 설치스페이스(29),(41)에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을 배치하였으므로 승강로(1)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planar shape of the
또, 카실벽(27)의 형상은 단면 4각형의 통에서의 4개의 코너부를 모따기한 형상이므로 의장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승강로(1)내의 스페이스를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shape of the
또, 카실(6)의 대각에 위치하는 경사면(27b),(27d)의 외측에 주삭접속부 (11),(12)를 배치하였으므로 승강로(1)내의 스페이스를 더욱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grinding-connecting
또, 주삭접속부(11),(12)에 임하는 점검창(34b),(34d)을 경사면(27b),(27d)에 설치하였으므로 주삭접속부(11),(12)의 보수점검도 카실(6)내에서 할 수가 있고,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실시의 형태 3.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실시의 형태 1, 2에서는 승차장측에서 보아 카(4)의 후방에 균 형추(13)가 배치되어 있으나, 실시의 형태 3에서는 균형추(13)는 카실(6)의 한쪽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카(4)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카실벽(27)의 형상은 단면 4각형의 통에서의 3개의 코너부를 모따기해서 경사면(27a),(27b),(27d)을 형성한 형상, 즉 단면 7각형의 통형상체이다. 그리고, 경사면(27a)과 승강로벽(1a),(1d)과의 사이에 제1의 설치스페이스(29)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 또는 2와 같다.Next, FIG. 4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이와 같이 균형추(13)가 카(4)의 측방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라도 카실벽(27)의 평면형상을 5개 이상의 각을 갖도록 다각형으로 해서 설치스페이스(29)를 확보하고, 그 설치스페이스(29)에 주제어반(31)을 설치하였으므로 승강로(1)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Thus, even in the elevator apparatus in which the
실시의 형태 4.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의 형태 1 ~ 3에서는 1대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만 표시하였으나,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여러대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나란히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이 된다. 이 경우 2대의 카실(27) 사이에 설치스페이스(42)를 배치함으로써, 승강로(1)내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보다 넓은 설치스페이스(42)를 확보할 수가 있다.Next, FIG. 5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lanar layou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실시의 형태 5.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의 형태 1 ~ 4에서는 카실벽(27)의 형상을 단면 4각형의 통에서 적어도 1개의 코너부를 모따기해서 경사면(27a ~ 27d)을 형성한 형상으로 하였으나,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4각형의 변의 일부에 요(凹)부(27e)를 설치한 단면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승강로벽(1a),(1d)과 요(凹)부 (27e)와의 사이에 설치스페이스(43)를 확보할 수가 있다.Next, FIG. 6: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lanar layou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실시의 형태 6.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의 형태 1 ~ 4에서는 카실벽(27)에 평면상의 경사면(27a ~ 27d)을 설치하였으나, 예를 들면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설치스페이스(44)에 대향하는 카실벽(27)의 측면(27f)을 곡면으로 해도 된다.Next, FIG. 7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lanar layou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또, 카실벽의 평면형상은 9개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해도 된다. 다시 말하면, 카실벽은 5개 이상의 면을 갖는 통형상의 다면체이면 된다.In addition, the planar shape of the compartment wall may be a polygon having nine or more angles. In other words, the casing wall may be a cylindrical polyhedron having five or more faces.
또, 상기한 예에서는 승강로기기로서 주제어반(31) 및 부제어반(32)을 표시하였으나, 다른 승강로기기를 설치스페이스에 설치해도 된다. 다른 승강기기로는 예를 들면 트랜스, 배터리(충전지) 및 원격관리장치(감시반) 등을 들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여기서, 원격관리장치는 원격에 위치하는 관리실로 원격관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감시반이다. 또, 원격관리장치는 옵션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설치스페이스의 확보가 어려우나,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스페이스가 카의 승강행정의 거 의 전체에 걸쳐 존재하므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Here, the remote management device is a monitoring panel for outputting a remote management signal to the management room located in the remote. In addition, since the remote management apparatus is often installed as an opt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installation spac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easily installed since the installation space exists almost throughout the elevation of the car.
또, 승강로기기로서 카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를 설치스페이스에 설치해도 된다.As a hoistway device, a drive device for elevating the car may be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또, 상기한 예에서는 1 : 1 로핑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였으나, 로핑방식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2 : 1 로핑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elevator apparatus of 1: 1 roping system was shown in the above example, a roping system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elevator apparatus of 2: 1 roping system.
Claims (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2/004271 WO2003091141A1 (en) | 2002-04-26 | 2002-04-26 |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4688A KR20040004688A (en) | 2004-01-13 |
KR100567364B1 true KR100567364B1 (en) | 2006-04-04 |
Family
ID=2926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15836A KR100567364B1 (en) | 2002-04-26 | 2002-04-26 | Elevato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564176A4 (en) |
JP (1) | JPWO2003091141A1 (en) |
KR (1) | KR100567364B1 (en) |
CN (1) | CN1295129C (en) |
WO (1) | WO200309114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2005000398B4 (en) * | 2004-02-19 | 2013-09-12 | Mitsubishi Denki K.K. | Machine roomless elevator |
CN1812926A (en) * | 2004-04-28 | 2006-08-02 | 三菱电机株式会社 | Elevator apparatus |
US7258202B1 (en) * | 2004-05-10 | 2007-08-21 | Inventio Ag | Creation of temporary safety spaces for elevators |
WO2005121007A1 (en) * | 2004-06-07 | 2005-12-22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vator apparatus |
FR2892713B1 (en) * | 2005-11-03 | 2009-05-08 | Ceima Conception D Equipements | ELEVATOR IN CORNER. |
US20070209292A1 (en) * | 2006-03-13 | 2007-09-13 | Broyan Frederick K | Corner lift device |
US20130233652A1 (en) * | 2010-12-02 | 2013-09-12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system with emergency operation and backup power supply at the same location as the elevator drive |
JP5665666B2 (en) * | 2011-06-22 | 2015-02-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vator equipment |
WO2016151350A1 (en) | 2015-03-23 | 2016-09-29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operation and service panel |
JP6258430B1 (en) * | 2016-09-26 | 2018-01-10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Operation switching method for emergency machine roomless elevator and emergency machine roomless elevator |
CN110740959B (en) * | 2017-06-14 | 2022-06-28 | 因温特奥股份公司 | Operating and/or display panel, elevator car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perating and/or display panel |
CN112850395A (en) * | 2019-11-27 | 2021-05-28 | 中际联合(北京)科技股份有限公司 | Lifting device with non-contact electromagnetic induction detection function |
CN116331996A (en) * | 2021-12-23 | 2023-06-27 | 奥的斯电梯公司 | Elevator car frame,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
EP4269311A1 (en) * | 2022-04-25 | 2023-11-01 | Thoma Aufzüge GmbH | Elevator cab suitable for wheelchair users |
EP4349758A1 (en) * | 2022-10-05 | 2024-04-10 |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 Elevator arrangement exhibiting eccentric guide rails and an eccentric drive unit as well as use of an eccentrically arranged drive unit for such elevator arrangement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89789A (en) * | 1990-07-30 | 1992-03-23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controller |
JPH0489787A (en) | 1990-08-01 | 1992-03-23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driving device |
ATE273916T1 (en) | 1996-11-11 | 2004-09-15 | Inventio Ag | ELEVATOR SYSTEM WITH A DRIVE UNIT ARRANGE IN THE ELEVATOR SHAFT |
JPH10231074A (en) * | 1997-02-19 | 1998-09-02 | Hitachi Ltd | Small elevator |
JP2000238971A (en) * | 1999-02-19 | 2000-09-05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Elevator device |
JP2000247560A (en) * | 1999-02-26 | 2000-09-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vator device |
JP3747710B2 (en) * | 1999-10-05 | 2006-02-22 | 松下電工株式会社 | Elevator drive unit fixing structure |
JP2001233555A (en) * | 2000-02-22 | 2001-08-28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Elevator |
JP2001253659A (en) * | 2000-03-13 | 2001-09-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Machine room of elevator for station |
WO2001079104A1 (en) * | 2000-04-17 | 2001-10-25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in-car maintenance |
-
2002
- 2002-04-26 CN CNB02807629XA patent/CN129512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4-26 WO PCT/JP2002/004271 patent/WO200309114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2-04-26 JP JP2003587717A patent/JPWO2003091141A1/en active Pending
- 2002-04-26 EP EP02722861A patent/EP1564176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2-04-26 KR KR1020037015836A patent/KR10056736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95129C (en) | 2007-01-17 |
KR20040004688A (en) | 2004-01-13 |
WO2003091141A1 (en) | 2003-11-06 |
EP1564176A4 (en) | 2010-05-05 |
CN1500061A (en) | 2004-05-26 |
JPWO2003091141A1 (en) | 2005-09-02 |
EP1564176A1 (en) | 2005-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7364B1 (en) | Elevator | |
JP4191331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20040052478A (en) | Machine-room-less traction sheave elevator | |
WO2002102701A1 (en) | Machine house-less elevator | |
WO2004020322A1 (en) | Elevator | |
CN100402402C (en) | Elevator | |
US7562745B2 (en) | Elevator with an operation space in a center of a machine room | |
JP2003146555A (en) | Elevator | |
JP2001063935A (en) | Elevator device | |
KR20030020969A (en) | Elevator device | |
JP5516512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0685505B1 (en) | Elevator apparatus | |
KR20040071325A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00053343A (en) | Elevator device | |
JP4303830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01048445A (en) | Elevator | |
EP1266859B1 (en) | Elevator device | |
KR200207427Y1 (en) | Elevator apparatus | |
JP6440862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0804866B1 (en) | Drive unit for elevator apparatus, evator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of elevator apparatus, and maintenance/inspection method of elevator apparatus | |
EP1710191B1 (en) | Elevator system | |
CN116018314A (en) | Elevator system | |
JP2005145609A (en) | Elevator device | |
JP2004051250A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0524363B1 (en) | Elevator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