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20418B1 -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 Google Patents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418B1
KR100520418B1 KR10-1999-7001241A KR19997001241A KR100520418B1 KR 100520418 B1 KR100520418 B1 KR 100520418B1 KR 19997001241 A KR19997001241 A KR 19997001241A KR 100520418 B1 KR100520418 B1 KR 10052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handrail
mounting
member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157A (ko
Inventor
쉬베러아르투르
Original Assignee
페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028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204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6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4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wo-dimensional frame-like elements, e.g. of rods in L- or H-shape, with or without br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7Railing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prior to the mounting of the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Ladder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Shove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개별적인 지지부재(3, 3', 3'')로 이루어진 적어도 네 개의 수직 기둥을 갖추고 있고, 적어도 상기 소정의 지지부재(3, 3', 3'')에는 발판(14, 14') 및 수평으로 뻗어 있는 난간부재(18, 18')를 위한 장착정점(24, 19, 20)이 갖추어져 있고, 비계 설치시에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된 상기 장착정점(19, 20)에 그 일면이 고정된 상기 난간부재(18, 18')가 상기 지지부재(3, 3', 3'')와 상기 난간부재(18, 18') 사이의 장착정점(19, 20)을 통하여 수평으로 뻗어있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설치된 비계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재(18, 18')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된 장착정점(19, 20)이 발판(14, 14')을 위하여 같은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된 상기 장착정점(24) 위에 놓이게끔 구성되어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면 비계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DISMOUNTABLE FACADE SCAFFOLD}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따른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와 상기 전면 비계를 조립하거나 해체하기 위한 특허청구범위 제 28항 및 제 29항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직 기둥이 서로 분리 가능한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와 같은 종류의 전면 비계(CH-A-658878, GB-A-0276487)는 건축물의 전면에 세워져 도료 칠작업과 같은 외부작업에 상당하게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전면 비계에서는, 첫 번째 비계면의 수직 기둥에 속하는 개별적인 지지부재가 상위에 놓이는 두 번째 비계면의 발판 약간 위에 그 단부가 놓이게끔 개별적인 비계면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작업자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부를 두 번째 비계면을 위한 지지부재의 하단부에다 특히 끼워 맞춤 결합을 통하여 체결한다.
작업자가 작업단계에서 머물게 되는 상기 (두 번째의) 비계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럿의 수평으로 뻗은 난간부재가 지지부재에 설치된다. 이러한 난간부재는 추락 위험을 줄이는 데 이용된다.
두 번째 비계면을 위한 모든 난간부재가 설치되고 난 후에, 상기 두 번째 비계면 위에 놓이는 세 번째 비계면의 발판을 조립자는 머리 너머로 미리 세워진 기둥에 고정한다.
최종적으로 개별적인 비계면을 마무리하는 데 있어서, 상기 비계는 보조적인 가로 지지대 및/또는 대각 지지대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공지된 전면 비계에서, 작업자는 바로 다음의 비계면을 위한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과정 및 다음의 비계면을 위한 난간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측면 보호물 내지는 측면 보호 난간 없이 작업해야 한다. 이것은 심각한 재난 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중인 전면 비계의 사시도.
도2a 내지 도2f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비계의 설치시 실행되는 총 여섯에 이르는 작업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비계의 여러 부속품을 도시한 도면.
도4a 및 4b는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 있는 지지부재의 체결을 위한 두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a 내지 도5c는 지지부재에 난간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정점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6a 및 도6b는 도5에 따른 장착정점과 관련한 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새로이 설치될 층의 난간은 이미 설치된 층으로부터 설치하고, 그 다음에야 가장 인접한 층에 속하는 발판을 이미 설치된 비계의 부분상에 올려 놓아, 새로운 발판을 딛게 되는 작업자는 이미 미리 조립된 난간을 통하여 추락 위험에서 예방되도록 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FR-A-2336532). 상기 가장 인접한 층의 난간을 미리 설치하는 것은, 우선 상기 비계의 이미 설치된 부분과 결합되고 후에 또한 다음 층의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세로 지지대가 상기 난간의 양 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것을 필요로 한다.
다른 공지된 같은 종류의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FR-A-2516141)에 있어서, 난간의 일단부에는 아래쪽으로 뻗은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대에 의하여 그 타단부가 수직 기둥에 매달리는 상기 난간은 가장 인접한 층을 향하여 위쪽으로 선회되어 이미 미리 설치된 수직 지지부재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공지된 해결책은 난간부재를 가장 인접한 층을 향하여 높이 들어 올려 비계의 수직 지지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하부로 뻗어 있는 보조적인 수직 기둥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부에서 언급했던 종류의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및 상기 비계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조립 내지는 해체시 재난 사고의 위험이 최소로 줄어들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립/해체 작업이 단순하고도 경제적으로 실시될 수 있게 된다.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허청구범위 제 1항, 제 28 내지는 제 29항에 따른 특징이 제공된다.본 발명에 따르면, 그 일단부에서 이미 설치된 지지부재와 선회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난간부재는 그 타단부에서 아직 설치되지 않은 다른 지지부재와 체결된다. 상기 미설치된 지지부재는 난간부재가 선회하여 수평의 위치에 이르는 운동을 통하여 들어 올려져, 이미 설치된 층에 배치된 지지부재상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난간부재의 상향 선회운동을 위하여 아무런 보조적인 수직 기둥도 사용되지 않고, 후에 비계의 구성부를 형성하게 되는 지지부재 자체가 이용될 뿐이다.본 발명에 따른 전면 비계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 제 2항 내지 제27항에서 알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의 조립 내지는 해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특허청구범위 제 28항 내지는 제 29항에서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의 일면에 고정된 난간부재가 지지부재와 난간부재 사이의 장착정점을 통하여 수평으로 뻗은 최소한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비계는 극히 단순한 방식으로 조립과 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난간부재는 미리 세워진 기둥에 선회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세워질 다른 지지부재에 의하여 위쪽으로 선회하여 그 최종적인 수평 위치에 이르게 된다.
또한, 난간부재를 그 일단부에서 관절 결합을 통하여 지지부재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일체가 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이를 조립하거나 해체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조립과 해체시에 움직여야 할 부품의 수를 줄이는 이점을 지닌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점에 도달하는 데 다음과 같은 것이 공헌한다. 기술적으로 수직 기둥을 이루는 지지부재의 장착정점은 발판 약간 위에 놓이게 되거나, 난간부재가 발판용 장착정점과는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도록, 발판에서 멀리 상위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설치시 하나의 비계면을 이루는 난간부재는 같은 비계면의 발판에 앞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비슷하게, 비계의 해체시 발판을 난간부재에 앞서 해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같은 비계면을 이루는 난간요소가 이미 해체된 발판 위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보호가 특히 바람직한 것은, 조립과 해체시 항상 작업자가 비계 부속품을 받아 안거나 넘겨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밖으로 향해 있는 무엇인가에 기대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측면 보호물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면,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추락 위험이 뒤따를 것이다. 또한 조립과 해체 작업은 강한 바람이나 발판이 꽁꽁 얼어붙는 험악한 날씨 속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재난 사고의 위험은 더욱 높아질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보호가 특히 빛을 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비계의 설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난간부재가 그 일단부에서 설치될 비계면에 이미 세워져 있는 지지부재에 체결된다. 이 때, 상기 비계면의 발판은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 난간부재의 타단부는 미설치된 다른 지지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난간부재의 선회운동과 더불어 상기 지지부재가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난간부재는 그 최종적인 수평 위치에 이르고 설치될 비계면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쉽게, 상기 난간부재는 미설치된 발판에 의지하여 작업자의 팔이 직접 닿을 수 없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식으로 난간부재를 설치된 후에, 작업자가 다음으로 발을 디딜 수 있는 발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같은 비계면의 난간부재는 발판에 앞서 이미 설치된 상태에 있다.
해체시에는 이와는 정반대의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난간부재를 위하여 지지부재에 마련되는 장착정점과 발판을 위하여 같은 지지부재에 마련되는 장착정점 사이의 간격은 70㎝∼130㎝, 특히 대략 100㎝에 달한다.
조립된 비계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발판을 위하여 마련된 장착정점을 넘어서 예를 들어 60㎝∼120㎝의 길이, 특히 대략 90㎝ 길이로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길이로 인하여, 설치될 발판 위에 난간부재가 충분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고 효과적인 측면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난간부재는 발판 100㎝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난간부재가 해당 장착정점에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 작업이 단순화된다. 종래기술에서 흔히 일어나는, 키이를 해머로 박아 넣는 일은 이제 불필요하게 된다.
난간부재와 지지부재의 체결은 또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해체될 수 있도록 빠르고 단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비계에 있어서 여러 수직 조립체는 일 평면에서 인접하게 차례로 놓이는 발판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난간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체결 작업은 지지부재에 마련된 하나의 장착정점에 두 난간부재가 고정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난간부재가 정반대 방향으로 수평으로 뻗어 나갈 수 있게끔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난간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단순한 체결은, 상기 난간부재가 지지부재의 해당 장착정점에 매달릴 수 있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우연한 풀림을 예방하기 위하여 견고하게 매달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작업자가 난간부재에 몸을 기댈 때 일어날 수 있는 수평으로 향하여진 힘이 난간부재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난간부재는 지지부재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견고한 결합 형태는 그것만을 위한 부재를 마련하거나 작업자가 따로 파지하여 작업하는 일없이 오직 난간부재와 지지부재의 체결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달림 결합은 지지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수직으로 돌출해 있는 가로연결부재 및 상기 가로연결부재와 체결될 수 있게끔 난간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브래킷을 통하여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난간부재에도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연결부재는 예를 들어 지지부재에 용접될 수 있는 스탬핑부(stampings)로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탬핑 공정은 아주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에, 제조 비용의 감소 효과가 일어난다.
상기 가로연결부재는 예를 들어 대략 평면형상의 부재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그것은 발생하는 힘에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자연히 소정의 강도를 지녀야 한다.
상기 가로연결부재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로연결부재는 그 상부면과 하부면에 서로 위치를 바꾸어 배치되는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난간부재에 있어서 그 브래킷은 선회운동을 통하여 상기 가로연결부재에 꿰어맞춤된다. 상기 선회운동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가로연결부재의 돌기를 타고 넘는다. 상기 브래킷은 번갈아 일어나는 선회운동을 통하여 상기 가로연결부재의 상부면과 하부면상에 형성된 돌기를 너머 움직이게 된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난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긴 구멍으로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경우에 상기 브래킷은 선형운동을 통하여 상기 가로연결부재에 끼워맞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와 난간부재는 예를 들어 45。 미만의 각도를 이룬다. 상기 지지부재와 난간부재는 조립 내지는 해체 작업을 하는 동일한 단계에서 그러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각도에서, 상기 난간부재의 타단부는 자유단으로서 지지부재와 체결되어 있지 않게 되고, 그 타단부에서 지지부재와 체결되거나 풀릴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재와 난간부재의 장착정점은 작업자가 발을 딛고 있는 발판보다 대략 3m 위에 있게 되어, 단순한 선형운동을 통하여 해당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풀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된 비계에서 난간부재를 위하여 지지부재에 마련되는 두 개의 장착정점이 발판을 위하여 동일한 지지부재에 마련되는 장착정점 위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난간부재는 다음으로 설치될 발판과 상이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되어, 아주 효과적인 측면 보호를 이룰 수 있다.
두 번째 난간부재를 위하여 마련되는 장착정점과 발판을 위하여 마련되는 장착정점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어 30㎝∼70㎝, 특히 대략 50㎝에 이른다. 따라서 두 개의 난간부재는 예를 들어 발판과 50㎝ 및 100㎝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조립 내지는 해체시 움직여야 할 부분의 수는 바로 상기와 같은 경우에 하나의 지지부재에 귀속되는 두 개의 난간부재가 서로 관절 결합됨을 통하여 감소된다. 이러한 관절 결합은 두 난간부재가 상기 방식으로 위를 향하여 선회하여 그 수평위치에 공통적으로 이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두 별도의 난간부재 대신에 두 난간부재를 포괄하는 하나의 부분만이 움직여야 하며, 두 관절부재의 관절 결합을 통하여 전체 비계의 안정성이 보완된다.
설치된 비계에서 가장 하부의 비계면에 삽입할 수 있는 지지부재의 전체 유효길이는 280㎝∼330㎝, 특히 대략 300㎝에 달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이한 비계면에 설치되는 발판을 위한 두 장착정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길이를 지니는 가장 하부의 비계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에서, 두 개의 잇달아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위한 그 사이의 장착정점 내지는 체결부가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장착정점 내지는 체결부가 존재하게 되면, 가장 하부의 비계면에 가해지는 높은 힘으로 인하여 전체 비계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조립 내지는 해체시 움직여야 할 부분의 수는 또한, 특히 설치된 비계에 있어서 발판의 좁은 면에 놓이게 될 수 있는 두 평행하게 설치된 기둥이 가로 지지대를 통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결합되는 두 지지부재는 대략 H 형태를 이룬다.
전면에 설치된 비계는 흔히 그 일측에 난간부재를 필요로 하기에, 상기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지지부재에 있어서 그중 하나가 난간부재를 위한 최소한 하나의 장착정점을 구비하는 것으로 족하다.
서로 결합된 지지부재의 범위 안에서, 상이한 길이를 가지거나,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도 서로 위치가 다르게 배치되는, 두 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의거한 실시예에 의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건축중인 건축물(1)에 설치되는 전면 비계를 도시하고 있다. 지면(2)상에 그 길이 방향 측면이 상기 건축물(1)의 정면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저면을 이루며 수직 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네 개의 받침 지지부재(3)가 세워진다.
가장 하단의 비계면에 배치된 받침 지지부재(3)는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축대(4)를 통하여 지면에 설치되고, 가로 지지대(5)와 대각 지지대(6)를 통하여 적재용 받침 조립체(7)로 완비된다. 이러한 받침 조립체(7)는 도 1에서 편의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오른쪽 하단부에 계속적으로 설치된다.
건축물 쪽에서 좁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수직기둥을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 조립체(7)의 두 연결돌출부(8)상에는 부분적으로 서로 보강되는 여러 지지부재가 끼워맞춤된다. 상기 받침 조립체(7)에 직접 이어지는 A층에서는 중간연결부재(9), 장착정점(10) 및 지지 프레임(11)이 지지부재로서 설치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은 서로 평행을 이루며 가로 지지대를 통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세로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상기 A층에 이어지는 다른 B 내지 F층을 위하여, 상기 A층의 지지부재 상에 내지는 상기 장착정점(10) 및 지지 프레임(11)상에 다른 장착정점(10) 및 지지 프레임(11)이 끼워맞춤된다. E층을 위하여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1)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1)의 형태가 특히 명확하게 드러난다. 도 1에 도시된 작업단계에서 작업자(12)는 바로 이러한 지지 프레임(11)을 붙잡게 된다.
받침 조립체(7), 중간연결부재(9), 장착정점(10) 및 지지 프레임(11) 사이의 장착정점에는 끼워맞춤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서 상기 장착정점은 전체의 비계 전면을 도시하기 위하여 짧은 수평선으로 표시된다.
도 1에 따른 수직 기둥의 조립 방법은 도4b에 의거한 설명에서 다시 기술될 것이다.
수직으로 연결 조립되는 중간연결부재(9), 장착정점(10) 및 지지 프레임(11)으로 구성되는 총 7개의 수직 기둥 조립체가 건축물(1)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건축물(1)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 두 개의 수직 기둥 조립체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발판(14)이 설치되고, 바로 이 발판(14)이 결국 A층 내지 F층을 위한 여러 작업면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 비계는 또한 앞으로 돌출해 있는 두 개의 보조 비계(15, 16)를 갖추고 있다.
상기 발판(14)에서 작업하는 사람들(12, 17)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1)의 앞에는 적절한 높이로 난간부재(18)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난간부재(18)의 조립은, 먼저 한 층의 난간부재(18)가 설치되고 다음으로 같은 층의 발판(14)이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자(12)는 난간부재(18)를 맨 먼저 첫 번째 지지 프레임(11')의 장착정점(19)에 체결한다. 두 번째 지지 프레임(11'')은 상기 장착정점(19)의 반대쪽에 있는 난간부재(18)의 단부와 그 장착정점(20)에서 결합된다. 이로써, 두 지지 프레임(11', 11'')은 두 난간부재(18)와 더불어 평행 사변형을 형성한다. 상기 난간부재(18)는 상기 지지 프레임(11', 11'')에 관절 결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경우, 작업자(12)는 전체의 조립체를 지지 프레임(11'')을 잡고 전체의 조립체를 화살표 방향인 위쪽을 향하여 선회시켜, 상기 지지 프레임(11'')을 그 하부에 놓이는 지지 프레임(11) 내지는 장착정점(10)상에 끼워맞춤할 수 있다.
상술한 작업단계를 통하여 E층을 위한 난간부재(18)는 같은 층의 발판이 설치되기 전에 이미 조립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E층을 위한 발판(14)이 고정되는 시점에 이미 측면 보호물이 난간부재(18)의 형태로 있게 되어, E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상당한 정도로 예방하게 된다.
상기 난간부재(18)에 더하여, 전체 비계의 정면에는 보조 난간부재(21)가 설치된다.
특히 건축물(1)과 반대쪽에 있는 발판(14)의 측면에는 옆막이판(22)이 분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이러한 옆막이판(22)은 상기 건축물을 향하고 있는 상기 발판(14)의 측면 및 정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옆막이판(22)은 통행시 발판(14)에 놓이는 공구가 측면으로 밀쳐져 전면 비계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비계에서, 네 층(A, B, C, D)은 이미 마무리되었고 두 층(E, F)은 아직 설치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비계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이루어지는 개별적인 작업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 따른 작업단계에서, 작업자(12)는 A층에 배치된 하나의 발판(14)상에 서 있다. 상기 작업자(12)는 최소한 하나의 난간부재(18) 덕분에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난간부재(18)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받침 지지부재(3)와 그 장착정점(19)에서 체결된다.
도 2b에 따른 작업단계에서, 작업자(12)는 하나의 지지부재(3')를 상기 받침 지지부재(3)상에 끼워맞춘다. 상기 지지부재(3, 3') 사이의 장착정점(23)은 끼워맞춤 부재를 통하여 실현된다.
도 2c에 따르면, 다른 하나의 난간부재(18')가 그 일단부에서 그것을 위하여 구비된 상기 지지부재(3')의 장착정점에 매달리게 된다. 상기 난간부재(18')의 타단부가 다른 지지부재(3'')에 체결된 이후에, 상기 난간부재(18')는 상기 지지부재(3'')와 함께 도 2d의 화살표 방향인 위를 향하여 선회하게 된다. 이리하여 도 2e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3'')는 그 하부에 놓이는 지지부재(3)상에 장착정점(23')에서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도 2e에 도시된 위치에서, A층 위의 B층을 위한 상기 난간부재(18')는 B층에 필요한 발판(14')이 설치되기 전에 이미 조립되어 있게 된다.
도 2f에 따르면, 끝으로 B층을 위한 상기 발판(14')이 그것을 위해 구비된 지지부재(3', 3'')의 장착정점(24)에 설치된다. 상기 B층에 작업자(12)가 올라서는 시점에는 이미 상기 난간(18')이 조립되어 있게 되기에, 작업자(12)를 위한 측면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판(14, 14')은 상기 지지부재(3, 3', 3'')에 직접 고정되거나, 간접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기둥(3, 3', 3'')과 결합되는 가로 지지대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여러 상이한 수직 지지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수직 지지부재는 청구의 범위 안에서 하나의 비계를 조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3a는 가장 하부의 비계면에 삽입하기 위하여 고안된 대략 3m 길이인 두 개의 지지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25)는 그 하단부 및 대략 2m 높이에 발판(14, 14') 고정용 장착정점(24)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재(25)에 두 상이한 비계면을 위한 두 개의 발판(14, 14')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발판(14, 14')을 위한 상기 두 개의 장착정점(24)보다 대략 50㎝ 및 100㎝ 상위에, 도 3에 미도시된 난간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정점(19)이 구비된다.
두 개의 지지부재(25)중 최소한 하나는 차례로 놓이는 두 비계면의 난간부재를 위한 장착정점(19)을 구비하고 있다.
도 3a에 도시된 가장 하부의 비계면을 위한 지지부재(25)의 실시예는, 전체 비계의 안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는 아무런 장착정점 내지는 끼워맞춤부도 상기 비계면에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이점을 지닌다.
도 3b는 하나의 지지부재(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3)는 그 하부의 지지부재(25)상에 이어지는 모든 비계면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는 그 하단면에서 도 3a에 따른 지지부재(25)의 상단부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난간부재를 위하여 구비되는 상기 지지부재(3)의 두 장착정점(19)이 발판을 위하여 구비되는 다른 장착정점(24)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3b에 따른 지지부재의 전체 유효길이는 대략 2m에 이른다.
도 3b의 하부에는 장미꼴로 형성된 장착정점(24)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착정점(24)에는 발판이 고정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3c는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특별한 지지부재(26)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26)는 오직 발판만을 위한 하나의 장착정점(24)을 그 상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26)는 가장 상부의 비계면에 삽입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 있어서, 건축물쪽에 있는 수직 지지부재는 지붕의 돌출된 부분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3c에 따른 짧은 지지부재(26)는 상기 지붕 돌출부와 충돌하지 않을 수 있게 해 준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지지부재는 단일 지지부재로만 이루어진다. 인접한 지지부재 사이의 우연한 결합은 오직 분해 가능한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뿐이다.
이와 달리, 도 4a에서는 두 개의 지지부재(3)가 가로 지지대(27)를 통하여 서로 확고하게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이 형성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지지부재(3)와 가로 지지대(27)로 이루어진 전체의 조립체는 H 형태의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가로 지지대(27)의 약간 상부에 발판(14)을 위한 장착정점(24)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달리 적용하여 상기 가로 지지대(27)가 지지 역할도 하면서 발판(14)을 위한 장착정점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게 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상기 장착정점(24)의 대략 1m 상부에, 도 4a에는 미도시된 난간부재를 위한 다른 장착정점(19)이 구비되어 있다.
도 4a에 따른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서로 끼워맞춤 부재(23)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조립과 해체시 움직여야 할 부분의 수가 감소된다. 왜냐하면 두 개의 지지부재(3)는 가로 지지대(27)를 통하여 단일 요소로 통합되기 때문이다.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상응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로 지지대(27)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3)는 상이한 길이를 가진다. 하나의 지지부재(3)는 도 4a에 따른 실시예와는 달리 작은 길이를 지니기에, 상기 지지 프레임(3, 27)의 전체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감수해야만 하는 일은,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재차 하나의 분리된 부분을 가지는 장착정점(10)과 그 장착정점(23)에서 결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도 3 및 도 4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움직여야 할 부분의 수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난간부재가 해당 장착정점(19)에 확고하게 관절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조립에 앞서 이미 상기 지지부재(3)와 난간부재(18) 사이에 확고한 관절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도 5는 난간부재(18)를 지지부재(3)에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체결 방식에서 원리적인 문제가 되는 것은 매달림 결합이다. 이러한 결합은 지지부재(3)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가로연결부재(28) 및 상기 가로연결부재(28)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난간부재(18)의 단부에 설치되는 브래킷(29)을 통하여 실현된다. 상기 가로연결부재(28)는 지지부재(3)와 특히 장착정점(32)에서 용접되어 확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로연결부재(28)는 그 상부면과 하부면상에 위치를 달리하여 형성된 두 개의 돌기(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브래킷(29)의 개구부(31)의 폭(q)은 상기 난간부재(18)가 번갈아 이루어지는 선회운동시 상기 가로연결부재(18)에 꿰어맞춤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정확히 말하여, 상기 폭(q)은 꿰어맞춤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도 난간부재(18) 내지 브래킷(29)의 선형운동에 의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선택된다. 이 때, 난간부재(18)와 지지부재(3)는 대략 서로 수직을 이룬다.
상기 난간부재(18)를 지지부재(3)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회운동 내지는 꿰어맞춤 작용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난간부재(18)에는 우연하게 수평으로 향해진 힘이 작용하여 풀릴 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3)에 가장 인접하게 놓이는 가로연결부재(28)의 돌기(30) 걸림면은 지지부재(3)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30)의 걸림면은 상기 브래킷(29)을 아주 쉽게 꿰어맞추기 위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3)쪽에 놓이는 상기 가로연결부재(28)의 걸림면과 지지부재(3) 사이의 간격(d)은, 상반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난간부재(18)의 브래킷(29)이 하나의 단일 가로연결부재(28)상에 꿰어맞춤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상기 가로연결부재(28)에 한 난간부재(18)의 첫 번째 단부를 고정시키는 데 있어서, 상기 난간부재(18)는 상기 가로연결부재(28)에 상관적인 위치인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된다(도 2c 참조).
지지부재(3)와 난간부재(18) 사이에 이루어지는 각도(a)는 45。 미만이다.
소정의 길이(l)를 가지고 긴 구멍으로 형성되는 브래킷(29)의 개구부(31)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에서 순수한 선형운동을 통하여 상기 난간부재(18)를 상기 가로연결부재(28)에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난간부재(18)는 화살표 A의 방향인 위쪽으로 상기 가로연결부재(28)를 선회하여 도 5c에 도시된 수평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위치에서 이제는 상기 브래킷(29)과 가로연결부재(28) 사이의 작용과 관련하여, 상기 개구부(31)의 길이(l)나 그 폭(q)도 더 이상 결정적인 것이 되지 못한다.
상술한 폭(q)에 기초하여 도 5c에 따른 위치에서, 난간부재(18)가 순수한 선형운동을 통하여 상기 가로연결부재(28)로부터 풀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러한 풀림은 단지 의도적인 여러 번의 선회운동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범위 안에서 난간부재의 첫 번째 단부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방식으로 지지부재(3)에 체결되고, 그 타단부는 선회운동을 통하여 다른 지지부재(3)에 꿰어맞춤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가로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서 상기 가로연결부재는 두 개의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가로돌출부(33, 34)로 이루어진다. 그 하단 가로돌출부(34)는 위로 솟아난 두 개의 돌기(30)를 형성하고 있고, 그 상단 가로돌출부(33)는 그 하부면에 상기 돌기(30)에 대응하도록 두 개의 홈(35)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그 기능상의 원리는 도 5에 따른 기능상의 원리에 상응한다. 상기 브래킷(29)은 하단 가로돌출부(34)를 통하여 꿰어맞춤된다.
도 6b는 도 6a에 상응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30)와 상기 홈(35)은 거꾸로 위치를 바꾸어 상단 가로돌출부(33') 내지는 하단 가로돌출부(34')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 개시된 범위 안에서 수많은 다른 실시예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9)

  1. 개별적인 지지부재(3, 3', 3'')로 이루어진 적어도 네 개의 수직 기둥과, 상기 수직 기둥에 층을 이루며 설치되는 발판(14, 14') 및 난간부재(18, 18')가 갖추어져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로서, 적어도 소정의 상기 지지부재(3, 3', 3'')는 상기 발판(14, 14') 내지는 수평으로 뻗어 있는 난간부재(18, 18')를 위한 장착정점(24; 19, 20)을 구비하고 있고, 설치된 비계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재(18, 18')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된 장착정점(19, 20)이 상기 발판(14, 14')을 위하여 같은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된 상기 장착정점(24) 위에 놓이며, 상기 난간부재(18')는 이미 설치된 층(A)으로부터 경사진 상태에서 가장 인접한 층(B)에 이미 세워져 있는 지지부재(3')의 상부 장착정점(19, 20)에 그 일단부에서 체결되고, 상기 장착정점(19, 20)을 통하여 수평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높이 선회하여 고정될 수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 3', 3'')는 각 층(A, B, C, D, E)의 최상부 난간부재(18)의 장착정점(19, 20) 위에서 직접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난간부재(18')의 타단부는 다른 상기 지지부재(3'')의 상부 장착정점(19, 20)과 관절 결합될 수 있거나 관절 결합되고 상기 다른 지지부재(3'')에 의하여 그 최종 위치로 높이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는 이미 설치된 층(A)에 배치된 지지부재(3)상에 놓이게 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재(18, 18')를 위하여 마련되는 장착정점(19, 20)과 상기 발판(14, 14')을 위하여 마련되는 장착정점(24) 사이의 간격은 70㎝∼130㎝, 특히 약 100㎝에 이르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조립된 비계에서 상기 지지부재(3, 3', 3'')는 상기 발판(14, 14')을 위하여 마련된 상기 장착정점(24)을 넘어서 특히 60㎝∼120㎝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약 90㎝ 길이로 하향 연장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재(18, 18')는 조립된 비계에서 수평으로 뻗어 있는 바(18, 18')로서 형성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난간부재(18, 18')는 상기 난간부재(18, 18')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된 상기 장착정점(19, 20)에 각기 체결될 수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재(18, 18')는 상기 난간부재(18, 18')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되는 상기 장착정점(19, 20)에 경사진 상태에서 매달림 결합할 수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은 상기 난간부재(18, 18')가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난간부재(18, 18')를 파지하므로써 해체될 수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림 결합은 우연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수단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림 결합은 상기 지지부재(3, 3', 3'')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수직으로 돌출해 있는 가로연결부재(28) 및 상기 가로연결부재(28)와 체결될 수 있게끔 상기 난간부재(18, 18')의 단부에 구비되는 브래킷(29)을 통하여 실현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연결부재(28)는 스탬핑부로서 형성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연결부재(28)는 대략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연결부재(28)는 그 상부면과 하부면에 서로 위치를 바꾸어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돌기(30)를 형성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9)은 상기 난간부재(18, 18')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긴 구멍(31)으로서 형성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 3', 3'')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난간부재(18, 18')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9)은 선회운동을 통하여 상기 가로연결부재(28)에 끼워맞춤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9)은 선형운동을 통하여 상기 가로연결부재(28)에 끼워맞춤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3, 3', 3'')와 상기 난간부재(18, 18')는 60° 미만의 각도, 특히 45° 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연결부재(28)는 두 개의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가로돌출부(33, 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 가로돌출부(34)는 위로 솟아난 적어도 두 개의 돌기(30)를 형성하고 있고, 그 상단 가로돌출부(33)는 그 하부면에 상기 돌기(30)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두 개의 홈(35)을 형성하고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연결부재(28)는 두 개의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가로돌출부(33', 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 가로돌출부(34')는 그 상부면에 적어도 두 개의 홈(35)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상단 가로돌출부(33')는 상기 홈(35)에 대응하도록 위로 솟아난 적어도 두 개의 돌기(30)를 형성하고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1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비계에서 상기 난간부재(18, 18')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되는 상기 두 개의 장착정점(19, 20)이, 상기 발판(14, 14')을 위하여 동일한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되는 장착정점(24) 위에 놓이게 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난간부재(18, 18')를 위하여 마련되는 상기 장착정점(19, 20)과 상기 발판(14, 14')을 위하여 마련되는 상기 장착정점(24) 사이의 간격은 30㎝∼70㎝, 특히 약 50㎝에 이르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두 난간부재(18, 18')는 서로 관절 결합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2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비계에서 상기 지지부재(3, 3', 3'')의 전체 유효길이는 180㎝∼220㎝, 특히 약 200㎝에 이르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2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된 비계에서 가장 하부의 비계면에 삽입할 수 있는 지지부재(25)의 전체 유효길이는 280㎝∼330㎝, 특히 약 300㎝에 이르고, 상기 지지부재(25)는 상이한 비계면에 설치되는 상기 발판(14, 14')을 위한 두 개의 장착정점(24)을 구비하고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2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3, 3', 3'')는 1개의 수직 기둥을 형성하기 위하여 끼워맞춤 결합(23, 23')을 통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2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부재(3, 3', 3'')는 가로 지지대(27)를 통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결합된 지지부재(3, 3', 3'') 중 하나만이 상기 난간부재(18, 18')를 위한 최소한 하나의 상기 장착정점(19, 20)을 구비하고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결합된 지지부재(3, 3', 3'')는 상이한 길이를 지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2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나의 층 내부에서 상기 발판(14)을 위하여 마련되는 장착정점(24)의 위쪽에는 상기 난간부재(18)를 위해 마련되는 두 개의 장착정점(20)이 차례로 구비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28. 개별적인 지지부재(3, 3', 3'')로 이루어진 적어도 네 개의 수직 기둥과, 상기 수직 기둥에 층을 이루며 설치되는 발판(14, 14') 및 난간부재(18, 18')가 갖추어져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로서, 적어도 소정의 상기 지지부재(3, 3', 3'')는 상기 발판(14, 14') 내지는 수평으로 뻗어 있는 난간부재(18, 18')를 위한 장착정점(24; 19, 20)을 구비하고 있고, 설치된 비계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재(18, 18')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된 장착정점(19, 20)이 상기 발판(14, 14')을 위하여 같은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된 상기 장착정점(24) 위에 놓이며, 상기 난간부재(18')는 이미 설치된 층(A)으로부터 경사진 상태에서 가장 인접한 층(B)에 이미 세워져 있는 지지부재(3')의 상부 장착정점(19, 20)에 그 일단부에서 체결되고, 상기 장착정점(19, 20)을 통하여 수평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높이 선회하여 고정될 수 있고, 한 층(A)이 설치된 후에 우선 가장 인접한 층(B)의 다른 상기 지지부재(3')는 이미 설치된 상기 층(A)의 가장 상부의 난간부재(18)를 위한 장착정점(19, 20) 상부에서 직접 상기 층(A)의 지지부재(3)상에 놓이며, 상기 난간부재(18')는 이미 설치된 상기 층(A)으로부터 경사진 상태에서 높이 선회하여 세워진 지지부재(3')의 상부 장착정점(19, 20)에 그 일단부가 체결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8')의 다른 하단부는 다른 상기 지지부재(3'')의 장착정점(19, 20)과 관절 결합되거나 상기 다른 지지부재(3'')에 의해 그 최종 위치로 높이 움직이고, 상기 지지부재(3'')는 이미 설치된 층(A)에 배치된 상기 지지부재(3)상에 놓이며,
    상기 가장 인접한 층(B)의 상기 발판(14')은 아래로부터 올려져 놓이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29. 개별적인 지지부재(3, 3', 3'')로 이루어진 적어도 네 개의 수직 기둥과, 상기 수직 기둥에 층을 이루며 설치되는 발판(14, 14') 및 난간부재(18, 18')가 갖추어져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로서, 적어도 소정의 상기 지지부재(3, 3', 3'')는 상기 발판(14, 14') 내지는 수평으로 뻗어 있는 난간부재(18, 18')를 위한 장착정점(24; 19, 20)을 구비하고 있고, 설치된 비계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재(18, 18')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된 장착정점(19, 20)이 상기 발판(14, 14')을 위하여 같은 지지부재(3, 3', 3'')에 마련된 상기 장착정점(24) 위에 놓이며, 상기 난간부재(18')는 이미 설치된 층(A)으로부터 경사진 상태에서 가장 인접한 층(B)에 이미 세워져 있는 지지부재(3')의 상부 장착정점(19, 20)에 그 일단부에서 체결되고, 상기 장착정점(19, 20)을 통하여 수평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높이 선회하여 고정될 수 있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를 해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판(14')을 들어낸 후에 상기 지지부재(3'')는 상기 난간부재(18)의 장착정점(19, 20) 위에서 그 하부에 놓이는 지지부재(3)로부터 직접 해체되고,
    상기 난간부재(18')는 해체된 상기 지지부재(3'')에 의하여 하향 선회하여 상기 지지부재(3'')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아래로 경사진 난간부재(18')의 상단부는 특히 상기 지지부재(3')에 마련된 상기 장착정점(19, 2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해당 지지부재(3')는 그 하부에 놓이는 상기 지지부재(3)로부터 해체되는,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를 해체하기 위한 방법.
KR10-1999-7001241A 1996-08-16 1997-08-01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KR100520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3092A DE19633092A1 (de) 1996-08-16 1996-08-16 Zerlegbares Fassadengerüst
DE19633092.0 1996-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157A KR20000068157A (ko) 2000-11-25
KR100520418B1 true KR100520418B1 (ko) 2005-10-12

Family

ID=780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241A KR100520418B1 (ko) 1996-08-16 1997-08-01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6422345B1 (ko)
EP (1) EP0918912B2 (ko)
KR (1) KR100520418B1 (ko)
AT (1) ATE192819T1 (ko)
AU (1) AU723378B2 (ko)
BR (1) BR9711314A (ko)
DE (3) DE19633092A1 (ko)
ES (1) ES2145630T5 (ko)
PL (1) PL187936B1 (ko)
PT (1) PT918912E (ko)
TR (1) TR199900327T2 (ko)
WO (1) WO1998007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8787A1 (es) * 1998-05-08 1999-11-18 Ulma C Y E, S. Coop. Nuevo procedimiento de montaje de barandillas en andamios
DE20004389U1 (de) * 2000-03-13 2000-08-17 Günter Rux GmbH, 58135 Hagen Bauelementensatz für ein Gerüst
EP1268955A1 (de) * 2001-01-19 2003-01-02 Günter Rux Gmbh Selbstarretierendes geländer
ES2203270B1 (es) * 2001-02-14 2005-02-16 Ingenieria De Encofrados Y Servicios, S.L. Perfeccionamientos en andamios de fachada.
DE10111976A1 (de) * 2001-03-13 2002-09-19 Peri Gmbh Zerlegbares Gerüst, Geländerelement dafür und Verfahren zum Anbringen mehrerer Geländerelemente
SE521500C2 (sv) * 2001-03-27 2003-11-04 Pluseight Safety Ab Anordning för personskydd vid byggnadsställningar och förfarande för att skydda personer medelst sådan anordning
CA2385380A1 (en) * 2001-05-31 2002-11-30 Tatsuo Ono Mounting method for a handrail in a frame scafolding
DE10128595A1 (de) * 2001-06-13 2002-12-19 Peri Gmbh Stirnseitengeländer
DE10128955A1 (de) * 2001-06-15 2002-12-19 Peri Gmbh Zerlegbares Gerüst
DE10243356B4 (de) * 2002-07-22 2007-03-22 Peri Gmbh Zerlegbares Gerüst
DE10245743A1 (de) * 2002-10-01 2004-04-15 Peri Gmbh Zerlegbares Gerüst
US7857097B2 (en) * 2004-11-10 2010-12-28 Patrick Evinger Scaffold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61582A1 (en) * 2004-12-10 2005-03-24 Karanouh Rached Movable and repositionable safety guard rails for scaffolding
US7735606B1 (en) 2006-08-14 2010-06-15 Norton William L Scaffold support platform
US7698860B2 (en) * 2006-08-31 2010-04-20 Stageright Corporation Raised deck system for emergency isolation and treatment shelter (EITS)
NL2000547C1 (nl) * 2007-03-19 2008-09-22 Xsplatforms B V Steiger met leuningframes voorzien van staanderdelen.
DE102007018314A1 (de) 2007-04-18 2008-11-06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Stütze für ein Raumtragwerk sowie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Geländ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Geländereinrichtung an einer Stütze
DE102008051135A1 (de) * 2008-10-10 2010-04-15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Verfahren zur Montage und zur Demontage eines Fahrgerüsts
DE202009009545U1 (de) 2009-07-10 2009-12-31 Poly-Tools Bennewart Gmbh Baukastenstecksystem
EP2354375A1 (en) 2010-01-14 2011-08-10 Jerslev Stilladsservice A/S A scaffolding system
US8973711B2 (en) * 2010-08-31 2015-03-10 Deltak Manufacturing, Inc. Intermediate scaffold joint
DE102011014614B4 (de) * 2011-03-21 2014-12-24 Rux Gmbh Baugerüst sowie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s Baugerüstes
US9109874B2 (en) 2012-12-29 2015-08-18 Conxtech, Inc. Modular, six-axis-adjustable, concrete-pour form-structure system
KR102206510B1 (ko) * 2013-01-24 2021-01-25 콘스테크, 아이엔씨. 모듈식, 제거식 부착가능하고 횡방향-작업자 지지 비계를 포함한 복층, 파이프- 지지 프레임 시스템
JP2016509643A (ja) 2013-01-27 2016-03-31 コンクス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二重機能の逐次的タスク突耳整合ピッキング積重ね位置合わせ建築部材取扱いシステム
WO2014163964A1 (en) 2013-03-13 2014-10-09 Conxtech, Inc. Modular, faceted, block-and-shell node system for connecting elongate frame elements
EP3094588B1 (en) 2014-01-13 2022-05-04 Conxtech, Inc. Clasp-and-lug system
US9341304B2 (en) * 2014-03-08 2016-05-17 Pall Corporation Modular filtration frame assembly
US9556624B1 (en) * 2014-06-27 2017-01-31 Utility Service Co., Inc. Scaffold system
EP3012385B1 (en) 2014-10-20 2018-08-15 Jerslev Stilladsservice A/S Scaffolding security railing
DE102014224002A1 (de) * 2014-11-25 2016-05-25 Peri Gmbh Geländerholm und Gerüst mit einem Geländerholm
USD768466S1 (en) 2015-03-30 2016-10-11 Conxtech, Inc. Rail pocket
USD796774S1 (en) 2015-03-30 2017-09-05 Conxtech, Inc. Rail pallet
USD777947S1 (en) 2015-03-30 2017-01-31 Conxtech, Inc. Modular ladder
USD768420S1 (en) 2015-03-30 2016-10-11 Conxtech, Inc. Toe kick
DE102015206276A1 (de) 2015-04-08 2016-10-13 Peri Gmbh Gerüstteil und Gerüst mit einem solchen Gerüstteil
DE102016205906A1 (de) * 2016-04-08 2017-10-12 Peri Gmbh Montagehilfe
US11306492B2 (en) 2016-06-24 2022-04-19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Load bearing components and safety deck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0472823B2 (en) 2016-06-24 2019-11-12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Formwork system
US11624196B2 (en) 2016-06-24 2023-04-11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Connector end fitting for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293194B2 (en) 2016-06-24 2022-04-05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976483B2 (en) 2016-06-24 2024-05-07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post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DE102016213773A1 (de) * 2016-07-27 2018-02-01 Peri Gmbh Befestigungselement
DE102017216889A1 (de) 2017-09-25 2019-03-28 Peri Gmbh Stangenförmiges Gerüstelement, Gerüst-Teil mit einem solchen Gerüstelement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olchen Gerüstelements
WO2019157394A2 (en) 2018-02-09 2019-08-15 Conxtech, Inc. Moment connection component clamping tool
US11085194B2 (en) 2018-02-09 2021-08-10 Conxtech, Inc. Moment connection component lifting tool assembly
DE102018114244A1 (de) 2018-06-14 2019-12-19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Einzelner Gerüststiel
US20200087984A1 (en) * 2018-09-14 2020-03-19 Arthur J. Wells Rooftop fall protection system
US11492813B2 (en) 2018-10-23 2022-11-08 Colin Fearon Modular guard rail for construction scaffolding
US11885142B2 (en) * 2019-04-26 2024-01-30 WIFCO Steel Products, Inc. Stair and walkway system and method
US11761560B2 (en) 2020-02-19 2023-09-19 Conxtech, Inc. Modular pipe rack system
DE202020104197U1 (de) 2020-04-15 2020-08-19 Rux Gmbh Baugerüst
DE202020103145U1 (de) 2020-06-02 2020-06-30 Rux Gmbh Konsole zum Anbau an den Rahmen eines Baugerüsts
DE202020103146U1 (de) 2020-06-02 2020-06-22 Rux Gmbh Vorrichtung zur Anbringung von Absturzsicherungen an Baugerüsten
DE102020126730B4 (de) 2020-10-12 2023-04-20 Ismet Güler Aufzug-Vorrichtung eines Gebäude-Gerüstes
DE102020132056A1 (de) 2020-12-02 2022-06-02 Peri Ag Geländerholm, Modulgerüst,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Modulgerüsts sowie Verwendung eines Geländerholms in einem Modulgerüst
DE102021109947A1 (de) 2021-04-20 2022-10-20 Peri Se Geländerholm, Gerüst,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Gerüsts sowie Verwendung eines Geländerholms in einem Gerüst
DE202021102273U1 (de) 2021-04-28 2021-05-27 Rux Gmbh Anbaueinrichtung für den Rahmen eines Baugerüsts
DE102021133941A1 (de) 2021-12-20 2023-06-22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Anordnung von gerüstbauteilen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derartigen anordnung
DE102022113064A1 (de) 2022-05-24 2023-11-30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Geländerelement, baugerüst mit einem derartigen geländerelement und verfahren zur demontage eines derartigen geländerelements
DE202023100314U1 (de) 2023-01-23 2023-02-27 Scafom-rux GmbH Baugerüst
DE202023105830U1 (de) 2023-10-09 2023-12-04 Scafom-rux GmbH Vorrichtung zur Anbringung von Absturzsicherungen an Baugerüsten
DE202023106733U1 (de) 2023-11-15 2024-01-11 Scafom-rux GmbH Vorrichtung zur Anbringung von Absturzsicherungen an Baugerüsten
DE202024001500U1 (de) 2024-08-08 2024-09-13 Scafom-rux GmbH Vorrichtung zur Anbringung von Absturzsicherungen an Baugerüsten
DE202024001499U1 (de) 2024-08-08 2024-09-17 Scafom-rux GmbH Vorrichtung zur Anbringung von Absturzsicherungen an Baugerüste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5053E (en) * 1961-10-17 Releasable metal scaffolding connector
FR1215292A (fr) * 1958-11-14 1960-04-15 Perfectionnements aux échafaudages métalliques démontables et ensembles analogues
US3122385A (en) * 1960-09-13 1964-02-25 Ponteggi Tubolari Dalminc Inno Scaffolding-brace lock
GB1046861A (en) * 1963-01-17 1966-10-26 Acrow Eng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caffolding
US3313081A (en) * 1964-04-20 1967-04-11 Superior Scaffold Co Multiple brace point extendable shore
US3564803A (en) * 1968-12-06 1971-02-23 Mills Scaffold Co Ltd Extensible scaffold and other load supporting elements
DD90210A1 (de) * 1971-06-29 1972-05-20 Geländer zur Montage bzw. Demontage für den Gerüstbau
FR2247912A5 (en) * 1973-10-12 1975-05-09 Self Lock Echafaudages Scaffolding designed for easy movement of workmen - has prefabricated frames with passageway allowing man to walk upright
FR2256998A1 (en) * 1974-01-04 1975-08-01 Albret Soc Nouv D Unit-construction scaffolding assembly - has ladders and platforms detachably hinged on cross-members
US3938290A (en) * 1974-02-04 1976-02-17 Tower Scaffolding (Bristol) Limited Scaffolding
US4026079A (en) * 1975-10-03 1977-05-31 Beaver-Advance Corporation Shoring scaffold construction
FR2336532A1 (fr) * 1975-12-23 1977-07-22 Somefran Contreventement formant garde-corps d'un niveau de travail d'un echafaudage
FR2516141B1 (fr) * 1981-11-10 1987-11-27 Philippe Robert Procede de montage d'un echafaudage et dispositif monte audit procede
FR2533610B1 (fr) 1982-09-23 1985-10-04 Somefran Procede de montage d'un echafaudage, contreventement utilis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et echafaudage equipe dudit contreventement
GB8323753D0 (en) * 1983-09-05 1983-10-05 Rieder R Scaffolding
DE3504188A1 (de) 1985-02-07 1986-08-07 Sebastian 8388 Mamming Ernst Diagonalstrebe fuer gerueste
NL8600407A (nl) * 1986-02-18 1987-09-16 Petrus Johannes Lambertus De L Systeemsteiger.
DE3702057A1 (de) * 1987-01-24 1988-08-04 Langer Ruth Geb Layher Geruest mit verbindungsvorrichtungen
US4782914A (en) * 1987-12-22 1988-11-08 Nail Donald E Safety guard rail for scaffolding
US4830144A (en) * 1988-01-25 1989-05-16 Saf-T-Gre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caffold
US5135077A (en) * 1991-08-12 1992-08-04 Universal Builders Supply, Inc. Scaffolding system
US5145030A (en) * 1991-09-11 1992-09-08 Waco International Corporation Guard rail post
JPH07111094B2 (ja) * 1991-12-27 1995-11-29 小野 辰雄 支柱装置
US5287947A (en) * 1992-07-24 1994-02-22 Mcswain Gregory A Vertical support grid system
DE9409418U1 (de) * 1994-06-10 1995-01-19 Krause-Werk GmbH & Co KG, 36304 Alsfeld Klemmverbindung zum Zusammenbau von vorgefertigten Profilstäben zu einem Baugerüst
DE9410743U1 (de) * 1994-07-08 1995-01-12 Krause-Werk GmbH & Co KG, 36304 Alsfeld Rahmenelement
FR2743103B1 (fr) * 1995-12-27 1998-04-03 Hussor Erecta Sa Panneau garde-corps de securite, en particulier pour echafaudage multidirectionnel
US6000495A (en) * 1998-01-22 1999-12-14 Bil-Jax, Inc. Scaffol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116497A (en) 1998-03-06
JP3865784B2 (ja) 2007-01-10
EP0918912B1 (de) 2000-05-10
WO1998007934A1 (de) 1998-02-26
JP2000516310A (ja) 2000-12-05
PL331630A1 (en) 1999-08-02
DE19633092A1 (de) 1998-02-19
DE19655284B4 (de) 2008-01-24
AU723378B2 (en) 2000-08-24
BR9711314A (pt) 2000-01-18
ES2145630T3 (es) 2000-07-01
ES2145630T5 (es) 2007-05-16
ATE192819T1 (de) 2000-05-15
US20020092707A1 (en) 2002-07-18
DE59701662D1 (de) 2000-06-15
TR199900327T2 (xx) 1999-07-21
EP0918912A1 (de) 1999-06-02
KR20000068157A (ko) 2000-11-25
PL187936B1 (pl) 2004-11-30
PT918912E (pt) 2000-10-31
US6422345B1 (en) 2002-07-23
US6554102B2 (en) 2003-04-29
EP0918912B2 (de)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418B1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JP2009541612A (ja) 建設現場用階段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US6799658B2 (en) Mobile outrigger scaffolding system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KR200443024Y1 (ko) 계단용 난간 지주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GB2347453A (en) Scaffold system mountable on window sill or ledge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JP3732888B2 (ja) 踊場付き仮設階段
KR101036707B1 (ko)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KR200211926Y1 (ko) 계단난간의 설치부재
JP2996385B2 (ja) 組立式足場
KR200394640Y1 (ko)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KR100201539B1 (ko)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GB2428729A (en) A scaffold stair unit
US20220235562A1 (en) Scaffolding stair system
JP3865784B6 (ja) 分解可能な正面足場
KR20100100537A (ko) 핸드레일 서포트어셈블리
KR200277663Y1 (ko) 계단난간
JP2565042Y2 (ja) 階段の手摺りの支持構造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JP2572353Y2 (ja) 工事用仮設足場
JPH02465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