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640Y1 -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4640Y1 KR200394640Y1 KR20-2005-0017972U KR20050017972U KR200394640Y1 KR 200394640 Y1 KR200394640 Y1 KR 200394640Y1 KR 20050017972 U KR20050017972 U KR 20050017972U KR 200394640 Y1 KR200394640 Y1 KR 2003946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support
- handrail
- supports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0—Scaffolds comprising upright members and provision for supporting cross-members or platforms at different positions therealo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04G2001/302—Ladder scaffolds with ladders supporting the platform
- E04G2001/305—The ladders being vertical and perpendicular to the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개조 또는 보수할 때 사용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지지대에 평행하게 연결된 수평지지대 사이에 다수의 높이 조절용 지지대를 소정 높이 간격으로 서로 대응되게 설치하여, 작업 환경에 따라 발판을 상기 소정 높이에 대응되게 설치된 수평지지대 또는 다수의 높이 조절용 지지대에 거치시켜 발판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한편, 수직지지대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작업 높이와 위치에 따라 작업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난간대 높이를 연장 또는 단축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고 대응하는 두 쌍의 수직지지대 각각에 한 쌍의 수평지지대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수평지지대 사이에는 다수의 높이 조절용 수평 지지대가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고, 상기 대응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 및 높이 조절용 수평지지대에는 양측 단부에 다수의 연결부재가 구비된 발판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개조 또는 보수할 때 사용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지지대에 평행하게 연결된 수평지지대 사이에 다수의 높이 조절용 지지대를 소정 높이 간격으로 서로 대응되게 설치하여, 작업 환경에 따라 발판을 상기 소정 높이에 대응되게 설치된 수평지지대 또는 다수의 높이 조절용 지지대에 거치시켜 발판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한편, 수직지지대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작업 높이와 위치에 따라 작업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난간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공사시에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외벽에 임시가설물인 비계(scaffolding)를 설치한다. 종래의 작업용 난간대는 발판을 쌍줄 비계의 연결부재위에 올려 놓고 철사로 묶어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작업용 난간대는 발판의 고정된 상태가 불안정하여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발판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번거러웠다. 최근들어, 다양한 종류의 난간대가 개시되고 있는데, 대부분 높이가 고정된 지지대에 발판을 거치시키는 구조이고, 그 높이 또한 상당한 높이에 고정된 구조여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지면으로부터 발판에 올라서거나 또는 지면으로부터 자재를 용이하게 이송하는 것이 불편하였다. 특히, 무거운 자재를 짊어진 상태에서 상당한 높이의 발판에 올라설 경우 무게 중심을 잃어 추락하는 안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높이 조절 가능한 난간대도 개시되어 있으나, 복잡한 링크 장치를 응용한 것이어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자 스스로 높이 조절하는 것이 번거러웠을 뿐만 아니라, 링크 부재 등과 같은 추가적인 자재의 요구에 의해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 건설 현장에서는 고하중하에서도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하여 작업 난간대 및 발판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용이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용 난간대가 요구되어져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발판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공기를 단축하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편,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작업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은 다수의 발판을 상이한 높이에 다단으로 거치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 스스로가 작업 종류에 따라 발판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이동 및 조정할 수 있어,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작업 및 자재의 이동이 원활하고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좌·우측에 설치된 다수의 수직지지대 또는 높이조절용 수평지지대를 종래의 별도로 구비되었던 승강 사다리의 대용으로 사용가능하여, 자재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고 대응하는 두 쌍의 수직지지대 각각에 한 쌍의 수평지지대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수평지지대 사이에는 다수의 높이 조절용 수평 지지대가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고, 상기 대응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 및 높이 조절용 수평지지대에는 양측 단부에 다수의 연결부재가 구비된 발판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두 쌍의 수직지지대 각각의 일측 말단부에는 체결부재의 일단이 결합되고, 그 체결부재의 타단에는 별개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 각각의 말단부가 결합되어, 전체 난간대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지지대를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별개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의 타단부에는 ∩ 자형 난간대의 수직지지대의 양측 단부가 연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별개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 및 ∩ 자형 난간대의 수직지지대에는 다수의 쌍의 록크핀이 상호 대응하는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상호 대응하는 높이에 구비된 한 쌍의 록크핀에 안전 바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별개의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 사이에는 발판이 장착가능한 수평지지대가 구비되고, 그 수평지지대의 중간과 상기 수직지지대의 일측에는 ㄱ 자형 지지대의 양측 말단부가 연결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 사이에 수직보강대가 설치되고, 그 수직보강대와 수직지지대 사이에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높이 조절용 지지대를 서로 대응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판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는 지지대에 직접 접하여 발판을 지지대에 거치시키는 거치고리 및 발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고리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고,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는 발판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0)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금속판재로 제작된다. 상기 금속판재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10)의 양측 단부에는 다수의 연결부재(16)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재(16)는 수평지지대에 직접 접하여 발판(10)을 수평지지대에 거치시키는 거치고리(12)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고리(12)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에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가능하도록 후크형 고리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16)는 상기 거치고리(12)와 대응하는 안전고리(14)를 포함하는데, 이 안전고리(14)는 발판(10)이 수평지지대에 거치된 경우 외측으로부터 발판(1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발판(10)이 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 내지 해체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발판(10)의 거치고리(12)가 거치된 수평지지대를 하측으로부터 감싸도록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는 수직지지대(20a, 20c, 20b, 20d), 상기 수직지지대(20a, 20c, 20b, 20d) 사이에 연결된 수평지지대(30a, 30b, 30c, 30d), 상기 수평지지대(30a, 30b, 30c, 30d)에 지면과 평행하게 거치되는 다수의 발판(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20a, 20c, 20b, 20d)는 한 쌍의 좌측 수직지지대(20a, 20c)와 한 쌍의 우측 수직지지대(20b, 20d)로 이루어진다. 수직지지대(20a, 20c, 20b, 20d)의 일단은 바닥면에 접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를 지지시킨다. 수직지지대(20a, 20c, 20b, 20d)의 타단에는 수직지지대를 난간대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한 장착되는 체결부재의 체결공(22a, 22b, 22c, 22d)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30a, 30b, 30c, 30d)는 상기 한 쌍의 좌측 수직지지대(20a, 20c) 사이에 연결된 좌측 수평지지대(30a, 30b) 및 상기 한 쌍의 우측 수직지지대(20b, 20d) 사이에 연결된 우측 수평지지대(30c, 30d)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측 수평지지대(30a, 30b)는 한 쌍의 좌측 수직지지대(20a, 20c)의 상측 및 하측에 바닥면과 평행하게 각각 연결되고, 상기 우측 수평지지대(30c, 30d)는 한 쌍의 우측 수직지지대(20b, 20d)의 상측 및 하측에 바닥면과 평행하게 각각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좌측 수직지지대(20a, 20c) 및 좌측 수평지지대(30a, 30b)는 우측 수직지지대(20b, 20d) 및 좌측 수평지지대(30c, 30d)에 높이 및 너비 측면에서 서로 완전 대응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수평지지대(30a, 30b) 사이에 좌측 수직 보강대(32a)가 설치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우측 수평지지대(30c, 30d)사이에도 우측 수직 보강대(32b)가 설치된다. 상기 좌측 수직 보강대(32a)는 상기 우측 수직 보강대(32b)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다. 또한, 좌측 수직 보강대(32a)와 좌측 수직지지대(20a, 20c) 사이 및 우측 수직 보강대(32b)와 우측 수직지지대(20b, 20d) 사이에는 다수의 높이 조절용 수평지지대(34a, 36a, 38a; 34b, 36b, 36b)가 상호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난간대의 좌측부를 설명하면, 상기 좌측 수직 보강대(32a)가 상기 좌측 수직지지대(20a, 20c) 및 상기 좌측 수평지지대(30a, 30b)에 의해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난간대 좌측면을 수직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좌측 수직 보강대(32a)는 좌측 수평지지대(30a, 30b) 사이 수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좌측 수직 보강대(32a)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각각 필요에 따라 다수의 높이 조절용 수평지지대(34a, 36a, 38a)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좌측 수직 보강대(32a)와 좌측 수직지지대(20a) 사이에는 2개의 높이 조절용 수평지지대(36a, 38a)를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3단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하였고, 좌측 수직 보강대(32a)와 좌측 수직지지대(20bc) 사이에는 1개의 높이 조절용 수평지지대(34a)를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2단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작업 환경 또는 작업 종류에 따라 높이 조절용 수평지지대의 개수를 달리하여 난간대의 발판 설치 위치를 자유자재로 높이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좌우 대응하게 설치된 수평지지대(30a, 30c ; 30b, 30d) 및/또는 높이 조절 수평지지대(34a, 34b ; 36a, 36b ; 38a, 38b)에 발판(10)을 설치 및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발판(10)의 양단측 거치고리(12)가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30a, 30c ; 30b, 30d) 및/또는 높이 조절 수평지지대(34a, 34b ; 36a, 36b ; 38a, 38b)에 동시에 거치되게 하는 것만으로 발판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 종류에 따라 발판(1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해야될 경우, 발판(10)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해체한 후, 적정 위치에 배치된 수평지지대에 다시 발판을 옮겨 거치시킴으로써 발판 설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20a, 20b, 20c, 20d)가 발판(10)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뒤틀리거나 이격되어 난간대 전체가 불안정해지고, 그 결과 발판(1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추락 등과 같은 안전 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음을 고려하여, X 자형 보강대(25)를 두 쌍의 수직지지대(20a, 20b; 20c, 20d) 사이에 설치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도 2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업자가 낮은 곳에서 작업할 경우만을 고려하여 단층 구조로 구성한 것인 반면, 도 3 및 도 4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보다 높은 곳에서 작업해야 할 경우를 고려하여 복층 구조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 자형 난간대를 결합시킨 구조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20a, 20b, 20c, 20d)의 일측 말단부에 체결부재(60a, 60b, 60c, 60d)의 일단을 결합시키고, 그 체결부재(60a, 60b, 60c, 60d)의 타단에는 별개 난간대의 수직지지대(40a, 40b, 40c, 40d)를 결합하여, 전체 난간대의 높이를 수직으로 연장시킨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60a, 60b, 60c, 60d)에는 다수의 체결공(62)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볼트(64)에 의해 수직지지대(20a, 20b, 20c, 20d)의 말단부에 형성된 체결공(22a, 22b, 22c, 22d) 및 별개 난간대의 수직지지대(40a, 40b, 40c, 40d)의 말단부에 형성된 체결공(42a, 42b, 42c, 42d)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3 및 도 4는 체결부재(60a, 60b, 60c, 60d)에 형성된 체결공(62)에 볼트(64)를 체결시켜, 수직지지대를 연장시키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체결 방식은 단순히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시키는 기존의 모든 공지된 체결 방식을 포함는 광의의 개념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트(64)는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죔과 풀림이 가능한 나비형 볼트이다. 한편, 상기 별개 난간대의 수직지지대(40a, 40b, 40c, 40d)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발판이 수평하게 거치될 수 있는 수평지지대(50a, 50c)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지지대(50a, 50c)의 중간과 상기 수직지지대(40a, 40d)의 일측에는 굴절 보강 지지대(44a, 44b)의 양측 말단부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절 보강 지지대(44a, 44b)는 역 ㄴ 자형으로 제작한다. 이는 작업자가 하측 작업대에 구비된 사다리 모양의 수평지지대(30a, 30b, 36a, 38a)를 딛고 작업 장소로 올라갈 경우, 난간대 내측으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정도의 개구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별개 난간대에 설치된 수평지지대(50a, 50c) 및 굴절 보강 지지대(44a, 44b)에 탈착식 발판(10)을 설치하여 높은 곳에서의 안전한 작업 환경을 스스로 조성할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 자형 난간대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별개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40a, 40b, 40c, 40d)의 타단부에는 ∩ 자형 난간대(50b, 50d)의 수직지지대의 양측 단부가 연결부재(80)를 매개로 체결된다. 도6은 ∩ 자형 난간대가 체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확대 결합도이다.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80)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별개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40a, 40b, 40c, 40d)의 일측 단부에 내삽되고, 그 타측 단부가 상기 ∩ 자형 난간대(50b, 50d)의 수직지지대의 타측 단부에 내삽된다. 연결부재(80)의 중간부는 그 외경을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연결부재(80)를 매개로 별개 난간대와 ∩ 자형 난간대가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별개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40a, 40b, 40c, 40d) 및 ∩ 자형 난간대(50b, 50d)의 수직지지대에는 다수의 쌍의 록크핀(80)이 상호 대응하는 높이에 구비된다. 상기 상호 대응하는 높이에 구비된 한 쌍의 록크핀에 안전 바(52a, 52b)가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도6a는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는 록크핀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바(53a, 52b)의 양측 말단부에는 체결공(54)이 형성되고, 그 체결공에 록크핀(80)를 삽입한 후 록크핀(80)을 당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호이스트카 안전 출입문의 구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고, 본 고안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발판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므로, 공기 단축 및 시공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작업자 스스로 발판의 설치 높이를 안전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다수의 발판을 상이한 높이에 계단식 등으로 다단 거치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스스로 발판의 배치를 작업 종류에 따라 조정할 수 있어,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작업 및 자재의 이동을 보다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째, 다수의 발판을 난간대의 높이 방향으로 계단과 같이 다단으로 거치함으로써, 승강 사다리 없이 난간대만으로도 작업자가 편리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계단식으로 거치된 발판이 승강 사다리의 기능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으므로 승강 사다리 등의 자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는 발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 자형 난간대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6a는 ∩ 자형 난간대가 체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확대 결합도이고, 도6b는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는 록크핀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판 12: 거치고리
14: 안전고리 16: 연결부재
20a, 20b, 20c, 20d: 수직지지대 30a, 30b, 30c, 30d: 수평지지대
32a, 32b: 수직보강대
34a, 34b, 36a, 36b, 38a, 38b: 높이 조절용 수평지지대
50b, 50d: ∩자형 난간대 52a, 52b: 안전 바(bar)
60a, 60b, 60c, 60d: 체결부재
70: 록크핀 80: 연결부재
Claims (7)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에 있어서,서로 마주보고 대응하는 두 쌍의 수직지지대 각각에 한 쌍의 수평지지대가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수평지지대 사이에는 다수의 높이 조절용 수평 지지대가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고, 상기 대응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 및 높이 조절용 수평지지대에는 양측 단부에 다수의 연결부재가 구비된 발판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쌍의 수직지지대 각각의 일측 말단부에는 체결부재의 일단이 결합되고, 그 체결부재의 타단에는 별개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 각각의 말단부가 결합되어, 전체 난간대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지지대를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의 타단부에는 ∩ 자형 난간대의 수직지지대의 양측 단부가 연결부재를 매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 및 ∩ 자형 난간대의 수직지지대에는 다수의 쌍의 록크핀이 상호 대응하는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상호 대응하는 높이에 구비된 한 쌍의 록크핀에 안전 바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난간대의 두 쌍의 수직지지대 사이에는 발판이 장착가능한 수평지지대가 구비되고, 그 수평지지대의 중간과 상기 수직지지대의 일측에는 굴절 보강 지지대의 양측 말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대 사이에 수직보강대가 설치되고, 그 수직보강대와 수직지지대 사이에 높이가 상이한 다수의 높이 조절용 지지대가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는 지지대에 직접 접하여 발판을 지지대에 거치시키는 거치고리 및 발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식 B.T 난간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7972U KR200394640Y1 (ko) | 2005-06-22 | 2005-06-22 |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7972U KR200394640Y1 (ko) | 2005-06-22 | 2005-06-22 |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4640Y1 true KR200394640Y1 (ko) | 2005-09-02 |
Family
ID=4369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7972U KR200394640Y1 (ko) | 2005-06-22 | 2005-06-22 |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4640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2336B1 (ko) | 2006-04-24 | 2007-06-25 | 주식회사 로템 | 대형 장비용 단위 안전발판체 및 조립식 안전발판체 |
KR20120014569A (ko) * | 2009-05-06 | 2012-02-17 |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 비계 부재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 및 비계 시스템을 세우기 위한 방법 |
KR101162471B1 (ko) | 2010-01-18 | 2012-07-03 | 이동구 | 조립식 워킹 타워 |
-
2005
- 2005-06-22 KR KR20-2005-0017972U patent/KR20039464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2336B1 (ko) | 2006-04-24 | 2007-06-25 | 주식회사 로템 | 대형 장비용 단위 안전발판체 및 조립식 안전발판체 |
KR20120014569A (ko) * | 2009-05-06 | 2012-02-17 |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 비계 부재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 및 비계 시스템을 세우기 위한 방법 |
KR101674878B1 (ko) | 2009-05-06 | 2016-11-10 |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 비계 부재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 및 비계 시스템을 세우기 위한 방법 |
KR101162471B1 (ko) | 2010-01-18 | 2012-07-03 | 이동구 | 조립식 워킹 타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20418B1 (ko) |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 |
US5259479A (en) | Self-raising cantilever-type work platform assembly | |
KR200418247Y1 (ko) | 건축용 비계 | |
JP2009541612A (ja) | 建設現場用階段 | |
CA2080079A1 (en) | Self-raising work platform assembly | |
US8245816B2 (en) |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 |
KR200394640Y1 (ko) |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 |
JP3947605B2 (ja) | 足場ユニット及び足場ユニットを用いた足場構造 | |
KR102298233B1 (ko) | 고소작업용 이동식 안전 발판 및 이를 이용한 점검로 시공방법 | |
JPS6350342Y2 (ko) | ||
JPS641395Y2 (ko) | ||
KR100201539B1 (ko) | 유니트 철골계단 및 그 설치방법 | |
JP3982807B2 (ja) | 階段 | |
KR200367391Y1 (ko) |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 |
KR200302136Y1 (ko) | 교량용 작업안전대 조립체 | |
KR102229641B1 (ko) | 엘리베이터 공사용 작업대 | |
CN217999075U (zh) | 一种钢构钢梯 | |
KR200400391Y1 (ko) | 추락방지대가 설치되는 비계틀 설치구조 | |
KR200378403Y1 (ko) | 고소작업대 | |
EP1876315A1 (en) |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 |
JP2003026386A (ja) | エスカレーターの作業用足場及びその組立方法 | |
KR940008464Y1 (ko) | 높이 조정 가능한 비계용 안전난간대 | |
JPH0514392U (ja) | 階段用作業足場 | |
KR100683506B1 (ko) | 계단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0668457B1 (ko) |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