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052B1 - 따기 쉬운 캔뚜껑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따기 쉬운 캔뚜껑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8052B1 KR0168052B1 KR1019910020498A KR910020498A KR0168052B1 KR 0168052 B1 KR0168052 B1 KR 0168052B1 KR 1019910020498 A KR1019910020498 A KR 1019910020498A KR 910020498 A KR910020498 A KR 910020498A KR 0168052 B1 KR0168052 B1 KR 01680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
- score
- nose
- lid
- riv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26—Mean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element
- B65D2517/0029—Mean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element the element being part of the pull-out pan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 B65D2517/0062—U-shaped and provided with an additional U-shaped peripheral chann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8—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within tear-out/push-in pan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8—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1—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externally of tear-out/push-in panel or preformed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쉽게 용기를 개봉할 수 있는 소위 이지 오픈 캔(easy open can) 이라 불리는 따기 쉬운 캔뚜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압캔이라도 충분한 낙하강도를 가지고 탭 노즈부의 캔뚜껑 천판과 탭과의 틈을 확보하고 탭의 당겨 일으키기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탭 노즈에 의한 개구편의 눌러 내리기 힘을 개구편에 집중적으로 작용시켜, 작은 힘으로 개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탭의 손잡이부 끝단부를 일으켜 세우고, 또 그 아래쪽에 탭의 손잡이부 패임을 형성하면, 탭의 당겨 일으키기 때에 손가락의 걸림이 양호하게 되고, 당겨 일으키기가 용이하여 따기 쉬운 캔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캔뚜껑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캔뚜껑의 이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Ⅰ-Ⅰ' 선에 의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캔뚜껑의 단면도.
제5도와 제6도는 종래의 캔뚜껑의 평면도와 이면도.
제7도는 제5도의 Ⅱ-Ⅱ' 선에 의한 단면도.
제8도와 제9도는 다른 종래의 캔뚜껑의 평면도와 이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Ⅲ-Ⅲ' 선에 의한 단면도.
제11도∼제13도는 개관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차아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캔뚜껑 11 : 상판(天板)
12 : 상판 오목부 13 : 리벳
14 : 비드 15 : 스코어
16 : 스코어의 시점 17 : 스코어의 종점
18 : 개구편(開口片) 19 : 탭 노즈부 오목부
20 : 탭 21 : 탭 노즈
22 : 탭 손잡이부 23 : 탭의 손잡이부 오목부
24 : 힌지 25 : 완충대(緩衝帶)
본 발명은 따기 쉬운 캔뚜껑에 관한 것이다.
요즘, 풀 탭(full tab) 등을 부설함으로써 쉽게 용기를 개봉할 수 있는 소위 이지 오픈 캔(easy open can) 이라 불리는 여러 가지의 캔뚜껑이 이용되어, 개구부분을 형성하는 개구편(開口片)을 당겨올려서, 뚜껑체로부터 제거하는 풀 오픈 타이프, 또 개구편을 뚜껑체로 부터 제거하지 않고 캔두껑 상판과의 연결 접속부분을 남기고 개구하는 것, 또는 개구편을 용기내로 밀어내는 푸쉬 오픈 타이프 등 여러 가지의 따기 쉬운 용기가 있다.
본 발명은, 탭을 당겨 일으키는 풀 오픈 타이프(full open type)에 속하지만, 개구편은 탭 선단에 의하여 용기내로 밀어 내려지고, 푸쉬 오픈 타이프의 성격을 가지는 따기 쉬운 캔뚜껑에 관한 것이다.
따기 쉬운 용기의 캔뚜껑에는 일반적으로 풀 오픈 타이프라 불리는 탭을 가지는 형식의 것이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풀 오픈 타이프의 것은 개구부분을 형성하는 개구편이 일반적으로 캔뚜껑 상판(天板)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많고, 개구편이 흩어지며, 이 개구편의 단부는 비교적 예리하기 때문에, 손 발등에 손상을 줄 위험이 있다. 그 때문에, 개구편을 캔뚜껑 상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못하도록 개구편이 상판에 대하여 연접부분(連接部分)을 가지는 형식의 캔뚜껑도 제안되고 있다.
이 풀 오픈 타이프의 연접부분을 가지는 형식의 캔에서는, 액체음료용 용기와 같이 용기로부터 직접 내용물을 마시는 경우, 코끝이 개구편에 위치하고, 개구편의 파단 단부가 비교적 예리하므로, 이 코끝의 개구편에 의하여 위화감을 면할 수 없고, 수요자에게 좋게 여겨지지 않는 결점이 있다.
또, 개구편을 상판으로부터 완전분리를 시키지 않는 따기 쉬운 용기의 캔뚜껑으로서는 푸쉬 오픈 타이프라 부르고 개구편을 용기내로 밀어넣는 형식의 것이 있다.
이 푸쉬 오픈 타이프에서는 개구편이 코 끝에 위치하는 위험성이 없는 반면, 개구편을 손가락으로 직접 밀어넣는 형식이므로 위험이 있고, 또 손가락끝등이 오염되어 있을 경우등에 있어서는 비위생적인 느낌을 면치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푸쉬 오픈 타이프의 개구편을 성형함과 동시에 탭을 부설하고, 풀 오픈 타이프의 캔뚜껑이라도 개구편에 푸쉬 오픈타이프의 성격을 주어, 개구편을 상판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는 일이 없이,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위화감, 비위생감을 주지 않는 따기 쉬운 용기의 캔뚜껑이 주목되게 되었다.
이 종류의 캔뚜껑으로서는, 종래 주로 내압캔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근년 국내로의 전개가 진전하는 중에 감압캔으로의 채용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감압캔은, 낙하한 때에 워터해머현상에 의한 스코어파단이 발생하기 쉽다. 감압캔에 사용된 캔뚜껑은, 캔 내외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판은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 있으나, 캔을 낙하하면 착지시에 캔속의 액체가 캔속에서 튀어 올라와 캔뚜껑을 민다. 이것이 워터해머현상인데, 이 때에 스코어에 전단응력(剪斷應力)이 걸려서 스코어는 파단하고 캔뚜껑은 개관하는 것이다. 이 경향은, 개관에 필요한 힘을 될 수 있는대로 작게 하기 위하여 스코어의 잔여 두께를 작게 할 필요가 있는 상술한 소위 탭 비분리식 캔뚜껑의 경우는 현저하였다.
또한, 감압캔은 상판이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 있음으로써, 탭이 상판에 밀착하기 때문에 탭이 잡기 어렵고, 또 탭을 당겨 일으키기 어려운 경향이 강하였다.
또, 일본국 실공소 63-233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캔뚜껑도 알려져 있다. 이 뚜껑은, 탭노즈(tab nose)의 아랫쪽의 상판에 연속한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를 배설하고, 탭노즈의 직4각형의 선단에 의한 개구 눌러내리기 때에, 탭노즈의 직4각형의 1각은 깊은 오목부에 들어가서 상판과 접촉하지 않고, 다른 쪽의 각이 얕은 오목부에 들어가, 그 때문에 다소 탭 손잡이의 당겨 일으키기가 용이하게 된다. 그런데, 눌러 내리기에 의한 개관시에는, 탭 선단의 한쪽 각이 오목부의 얕은 오목부의 바닥면에 부딪혀서 눌러 내리는데, 이 부분에 깊은 오목부와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눌러 내릴때에, 얕은 오목부가 깊은 오목부에 접근할 때까지 눌려 내려져서 변형하고, 그 후 스코어를 파단하는 눌러내리기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눌러내리기 힘의 1부가 우묵한 곳의 변형으로 소비되기 때문에 개구에 그 부만큼 더 힘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역점(力点), 지점(支点), 작용점(作用点)이 직선상에 없기 때문에 힘의 집중이 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풀 오픈 타이프로서, 또한 개구편이 푸쉬 오픈 타이프의 성격을 가지는 탭 비분리식 캔뚜껑은, 감압캔에 사용된 경우 낙하강도가 약하고, 또 개관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결점을 배제하고, 감압캔이라도 충분한 낙하강도를 가지고 탭 노즈부의 캔뚜껑 상판과 탭과의 틈을 확보하고 탭의 당겨 일으키기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탭 노즈에 의한 개구편의 눌러 내리기 힘을 개구편에 집중적으로 작용시켜, 작은 힘으로 개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개관에 즈음하여서의 초기파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탭의 손가락 걸이부 아래 면에 확실하게 손가락끝을 걸 수 있는 구조로 하였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판의 대략 중앙부에 리벳으로 연결한 원호형상의 탭노즈를 가지는 탭과, 시점과 종점을 리벳의 앞쪽에서 힌지(24)로 되는 간격을 설정하고 배치한 스코어(15)와, 스코어에 둘러싸인 개구편으로 이루어지는, 탭노즈에 의하여 개구편을 눌러 내려서 개구하는 캔뚜껑에 있어서, 탭노즈의 아래면의 상판에 리벳쪽의 스코어를 따라서 탭노즈를 수납하는 단차가 없는 면의 바닥면을 가지는 탭노즈부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기 쉬운 캔뚜껑에 있다.
여기서, 탭노즈부 오목부의 바닥면이 평탄한 단차가 없는 평면의 바닥면인 따기 쉬운 캔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탭노즈부 오목부의 바닥면은 단차가 없는 경사면의 바닥면이고, 탭노즈부 오목부의 바닥면은 탭노즈 접촉하는 부분을 최저부로 한 여러개의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된 단차가 없는 거꾸로 선 원추형상의 사면의 바닥면인 따기 쉬운 캔뚜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탭노즈부 오목부는 원호형상의 선단형상을 가지는 반달형의 오목부와, 탭노즈부 오목부의 리벳쪽 외주 가장자리와 리벳에 가까운 위치의 스코어와의 사이에 좁은 폭의 완충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완충대의 폭이 0.5mm∼5mm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코어가 시점과 종점을 리벳의 앞쪽에서 리벳의 좌우의 어느 같은 쪽에 힌지(24)로 되는 간격을 설정하고, 배치시키며, 스코어로 둘러싸인 개구편에, 요철비드 배치하고, 탭의 탭노즈의 반대쪽 끝단부에, 끝단부를 약간 위쪽으로 구부린 탭 손잡이부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탭 손잡이부의 아래면의 상판에, 탭 손잡이부 오목부를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판의 대략 중앙부에 리벳에 의하여 원호형상의 탭 노즈를 가지는 탭을 연결하고, 리벳의 앞쪽으로 스코어의 시점과 종점을 힌지(24)로 되는 간격을 설정하고 배치하여 스코어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스코어를 코이닝(coining)에 의하여 형성한 후에 리벳쪽의 스코어를 따라서 단차가 없는 면의 바닥면을 가지는 탭 노즈부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기 쉬운 캔뚜껑의 제조방법에 있다.
상기 방법에서, 탭 노즈부 오목부의 리벳쪽 외주 가장자리와 리벳에 가까운 위치의 스코어와의 사이에 좁은 폭의 완충대를 설치하여 스코어를 형성할 수 있다.
풀 오픈 타이프의 캔뚜껑은 개구시에 탭을 당겨 일으킴으로써 리벳 가까이의 스코어에 초기파괴를 발생시킨다. 이이서 탭을 당겨 올림으로써 탭 노즈가 개구편을 아래쪽으로 눌러내리고 스코어를 따라서 파단이 진행한다.
그런데, 눌러 내릴때에 개구편이 물러서 구부러지기 쉽거나, 탭의 눌러내리기 힘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면, 눌러 내리기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스코어를 따라서 파단이 되지 않는다. 또 탭을 당겨 일으키기에는 힘이 필요하고, 손가락이 잘 걸릴 필요가 있다.
특히 감압캔의 경우는 상판이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기 때문에 탭의 단부가 상판과 밀접하여 손가락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경향이 강하다. 또 직4각형의 탭 노즈로는 눌러 내리기 힘을 집중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탭노즈의 선단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점이다. 이와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개구편을 원호형상 선단부에서 눌러 내리기 때문에 역점, 지점, 작용점을 직선상에 배치할 수 있고, 눌러 내리기 힘을 집중하여 강력하게 눌러 내리는 작용을 한다. 직4각형의 탭 노즈로는 눌러 내리기 힘이 분산하여 버리고 개구편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없다. 그 1각 만을 상판에 접촉시킨다 하더라도, 접촉하는 탭 노즈의 직4각형의 1각은 작용점이지만 역점과 지점을 연결하는 선에서 벗어나 있고, 무리한 구조로 힘의 집중은 충분히 할 수 없다. 또, 본 발명은 스코어의 시점과 종점으로부터 떨어진 부위의 움푹 패인 바닥면을 눌러 내리기 때문에 시점과 종점 사이의 힌지가 되는 부분을 파괴할 위험이 전혀 없다. 또한, 원호형상은, 탭노즈의 강성을 크게 하고, 꺾여 구부러지지 않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탭노즈의 아래면의 상판에, 탭 손잡이부를 당겨 올릴때 탭노즈를 받아들이는 바닥면이 단턱이 없는 면으로 되어 있는 반달형상의 탭노즈부 움푹 패인 곳을 형성한 것이다.
탭 손잡이부를 당겨 올릴 때에 탭노즈가 내려가면, 손가락을 당겨 올리기 끝단에 걸기 쉽고, 충분한 당겨올리기 힘을 부가할 수 있다. 상판에 반달형상의 탭 노즈의 받아들이기 패인곳을 설치하면, 원호형상의 탭노즈의 선단이 패인곳의 바닥에 맞닿을 때까지 탭의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당겨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탭노즈부 패인 곳의 바닥면이 단차가 없는 면인 것이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탭노즈부 패인곳의 바닥면에 단차를 설정하면, 단차부는 왜곡(歪曲)이 크기 때문에 탭노즈로 눌러 내릴 때에 단차가 해소 할 때까지 눌러 내리기 힘을 흡수하여 변형하고, 단차가 없어지고 나서 스코어 파단의 눌러내리기 힘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부가한 힘의 일부가 개관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개관에 큰 힘이 필요로 되는 것이다.
그런 고로, 탭노즈부 패인곳 바닥면에는 단차를 형성하여서는 안된다.
바닥면은 평평한 면이라도 좋고, 경사면이라도 좋다. 또 여러개의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경우는, 최저부에 탭노즈 선단이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눌러 내리기 힘이 집중한 작용점으로서, 이 부위가 가장 유효하다.
본 발명의 제4의 특징은, 탭노즈부 패인곳에 의하면, 캔을 낙하한 때의 워터해머 현상에 의한 스코어의 파단을 방지한 것이다. 캔을 낙하하면 착지시에 캔속의 액체는, 캔속에서 튀어오르고, 캔뚜껑을 민다. 이때 캔뚜껑에는 워터해머라고 불리는 쇼크가 가하여진다. 그런데, 캔뚜껑에 코이닝(coining)가공으로 스코어를 배설하면, 이 가공에 의하여 금속은 스코어의 양쪽으로 밀려나고, 스코어 안쪽의 금속판은 양쪽의 스코어에 의하여 밀려난 금속에 의하여 현저하게 팽창된다. 이것이 소위 메탈 나머지라고 불리는 현상인데,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캔의 낙하 착지시에 이남은 금속이 크게 바깥쪽으로 팽창하고, 이 팽창에 의하여 스코어에 전단응력이 걸려서, 스코어는 파단하고, 캔뚜껑은 개관하여 버리는 것이다. 이것이 워터해머현상이다.
이 문제는 탭 비분리형의 캔뚜껑은, 개관에 필요한 힘을 될 수 있는 대로 적게하기 위하여, 스코어 남은 두께를 작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물리적 강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고, 특히 감압캔을 캔뚜껑을 아래로 하여서 낙하 하였을때 스코어의 파단이 현저하다.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 연구 결과, 스코어의 배설등에 의하여 발생한 메탈 나머지현상을 해결하지 않으면, 워터해머에 의한 개관의 방지가 되지 않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탭노즈부 오목부는 스코어 배설에 의하여 발생한 메탈 나머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캔뚜껑에는 나머지 금속이 존재하지 않고, 캔의 낙하 착지시에 있어서의 팽창이 감소하고, 스코어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가장 스코어의 파단이 발생하기 쉬운 리벳쪽의 스코어를 따라서 단차가 없는 바닥면의 탭 노즈부 오목부를 배설하였으므로 스코어의 파단은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뒤에 제시하는 비교시험에서 밝히겠으나, 예컨대 상술한 일본국 실공소 63-23316호 공보에 기재된 캔뚜껑과 같이 단차가 있는 바닥면의 오목부으로는 메탈 나머지현상을 해결할 수 없고, 워터해머 쇼크에 의하여 개관하여 버린다.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은, 탭노즈부 오목부를 상판의 스코어에 둘러쌓인 개구편에 닿는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개구편에 강성을 준 탭 노즈에 의한 눌러 내리기 때에 개구편이 변형하여 눌러 내리기 힘을 흡수하고, 스코어의 파단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의 특징은, 단차가 없는 바닥면 오목부와, 리벳에 가까운 위치의 스코어와의 사이에 완충대(緩衝帶)를 배설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탭노즈부 오목부는, 워터해머(water hammer)에 의한 스코어의 파단을 방지함과 동시에, 탭노즈에 의한 눌러 내리기 힘의 개관력으로의 집중을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스코어가 이 오목부에 접촉하거나, 접촉하지는 않더라도 지나치게 가까워지면, 워터해머에 의한 스코어의 파단이 일어난다. 이 종류의 스코어 파단은 리벳과 탭노즈부 오목부 사이의 스코어에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았다.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인 완충대이다. 상기 오목부의 리벳쪽 외주 가장자리와, 리벳쪽의 스코어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폭은 0.5mm∼5mm가 바람직하다. 특히 1.5mm∼2.5mm가 최적이다. 이보다 좁으면 스코어 가공시에 스코어가 파단하여 버리고, 또 이보다 넓으면, 쇼크흡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제7의 특징은 탭의 손잡이부의 끝단부를 약간 위쪽으로 구부려서 당겨 일으킬 때에 손가락을 걸리기 쉽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8의 특징은, 캔뚜껑의 탭 손잡이부의 끝단부 아래면의 상판에 탭손잡이 오목부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7의 특징과 제8의 특징에 의하여, 탭의 당겨 일으키기 때에 손가락을 걸기 쉽고, 개관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의 특징은, 스코어를 배설하고 나서 탭노즈부 오목부를 배치한 것이다.
이와같은 순서로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면, 코이닝(coining)에 의한 스코어의 배설등에 의하여 발생한 메탈 나머지의 흡수가 매우 효과적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이다. 실험의 결과로 보아서 오목부를 형성한 후에 스코어를 형성한 경우보다도 스코어를 형성한 후에 오목부를 형성한 편이 메탈 나머지의 흡수가 양호하였다.
본 발명의 캔뚜껑은 이와같이 우수한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탭노즈부 오목부는 상기한 우수한 작용을 하기 위하여는 지나치게 깊으면 지점의 구속이 작아지고 개관효과가 적어진다. 또 지나치게 얕으면 개관효과와 내 워터해머효과가 적어진다. 이 오목부의 깊이는 탭노즈의 리벳으로 부터의 길이에도 관계한다. 탭노즈의 리벳으로 부터의 길이가 7∼9mm이고 깊이가 0.2∼1.0mm의 범위에서 유효한 효과가 보이는데, 0.4∼0.6mm의 깊이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탭노즈의 리벳으로 부터의 길이가 8mm이고 깊이가 0.5mm인 때에 최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탭 손잡이 오목부는 탭 손잡이부의 끝단부 바로 아래로부터 외주방향으로 10mm 범위내에서, 깊이 0.2∼1.0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캔을 겹쳐 쌓은 때도 탭과의 간섭은 없고, 캔 밑을 손상주는 일도 없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캔뚜껑의 표면을 나타낸다. (10)은 캔뚜껑이고, 상판(11)의 중앙을 횡단하여 상판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는 강성을 주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반드시 절대로 필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오목부(12)의 안쪽이며 대략 상판의 중심에, 탭(20)가 리벳(1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탭노즈(21)는 원호형상이다. 탭노즈의 아래면의 상판에는 리벳쪽의 스코어를 따라서 반달형상의 단턱이 없는 바닥면을 가지는 탭노즈부 오목부(19)가 배설되어 있다. (15)는 스코어이다. 스코어는 리벳의 앞쪽의 위치로부터, 오목부(12)의 주변을 따라서 탭노즈부 오목부를 둘러싸고 배치되고, 개구편(18)을 형성한다. 또 개구편에는, 탭노즈부 오목부의 앞쪽에, 비드(14)를 형성하여 개구편의 강성을 크게 하고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캔뚜껑의 이면을 나타낸다. 스코어가 리벳의 앞쪽으로부터 개구편을 둘러싸고 거의 반바퀴 돌고 있는 것이 이해된다. (16)은 스코어의 시점이고, (17)은 스코어의 종점이다. 시점과 종점 사이의 상판은 개구시에 절단하지 않고 남아서, 개구편과 상판을 연결하는 힌지(24)로서 작용하고, 개구편이 뚜껑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도록 기능한다. 이렇게 해서 분리한 탭에 의한 공해가 방지된다. 탭노즈는 원호형상이고, 선단에 눌러 내리기 힘이 집중하므로, 힘의 집중점과 힌지는 이격되어 있고, 힌지부분은 파단되지 않는다. (23)은 탭의 손잡이부의 아래면의 상판에 형성한 탭의 손잡이부 오목부이다. 탭의 당겨 일으키기 때에 이 오목부에 손가락끝을 삽입하면 손가락의 걸림이 잘 되어서 탭당겨 일으키기가 용이하게 된다.
완충대(25)는, 리벳에 가까운 위치의 스코어(15)와 워터 해머쇼크 흡수 오목부(19)의 리벳쪽 외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배설되어, 스코어의 워터해머 파단을 방지하고 있다.
제3도는, 제1도의 본 발명의 캔뚜껑을 Ⅰ-Ⅰ'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탭노즈부 오목부(19)가, 단차가 없는 면의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이해된다. 단차가 없으므로 개구편의 눌러 내리기 때에 탭노즈(21)가 직접 바닥면을 누르므로 모든 힘이 눌러 내리기 개관에 이용된다. 단차가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의 부분은 강성이 작기 때문에 단차의 변형에 눌러 내리기 힘이 흡수되어, 개관에 사용되는 힘이 감소하므로, 개관에 그만큼 큰 힘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불리가 있다.
또, 탭 손잡이부(22)의 끝단부가 약간 위쪽을 향하여 기립하고 있다. (23)은 탭의 손잡이부 아래쪽의 상판에 형성한 탭의 손잡이부 오목부이고,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다.
이와같이, 탭의 손잡이부 끝단부를 일으켜 세우고, 또 그 아래쪽에 탭의 손잡이부 오목부를 형성하면, 탭의 당겨 일으키기 때에 손가락의 걸림이 양호하게 되고, 당겨 일으키기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탭선단에 의하여 직접 파단력이 개구편에 작용하고, 스코어의 파단이 정확하게 행하여진다. 그리고, 개구편은 강성이 크고 구부림하지 않으므로 개관이 용이하다. 스코어의 시점과 종점 사이의 힌지부에는 탭노즈가 닿지 않기 때문에 눌러 내리기 힘은 작용하지 않고, 파단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탭당겨 일으키기가 용이한 우수한 효과가 나타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의 캔뚜껑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탭 노즈부 오목부의 바닥면이, 경사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도, 바닥면에 단차는 없다. 둘 이상의 경사면으로 바닥면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탭노즈가 이들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보텀점에 닿는 것이 가장 좋다. 이 경우도 단차가 있어는 안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비교예로서 종래의 캔뚜껑을 제사하여 설명한다.
제5도∼제7도는, 일본국 실공소 63-23316호 공부에 기재된 캔뚜껑이고, 또 제8도∼제10도는 일본국 특공소 57-42545호 공보에 기재된 캔뚜껑으로서, 모두 비교를 위하여 제시한 종래의 캔뚜껑이다.
제5도는, 일본국 실공소 63-23316호 공보 기재의 종래 캔의 표면, 제6도는 그 이면, 제7도는 제5도의 Ⅲ-Ⅲ' 선에 의한 단면을 나타낸다.
탭 노즈는 역시 직4각형으로서, 한쪽의 탭노즈의 각의 아래쪽 상판에 오목부(19)를 형성하여 눌러내리기 때에 이 각부를 받아들여서 상판과의 접촉을 막고, 또, 둘러 내리기 때에 탭노즈의 각부를 받아들이는 오목부의 이웃에 얕은 오목부를 형성하여, 탭 손잡이부의 상판과의 밀착을 막고 탭의 손잡이부(22)의 당겨 일으키기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직4각형의 탭노즈의 한쪽 각부에서 눌러 내리기를 하기 때문에 역점과 지점과 작용점이 직선상에 없고 눌러 내리기 힘의 집중이 곤란한다. 또한, 이 종래예는 얕은 오목부와 깊은 오목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개관시에 눌러 내리기 힘을 흡수하기 때문에 개관에 큰 힘과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제8도는, 상기 일본국 특공소 57-42545호 공보 기재의 캔뚜껑의 표면, 제9도는 이면을 나타낸다. 제10도는, 제5도의 Ⅱ-Ⅱ' 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탭노즈는 직4각형이고 한쪽의 각부의 아래쪽 상판에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0도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탭노즈의 다른 각이 상판에 밀착하고 있으므로 탭의 손잡이부(22)는 상판에 밀착하여 당겨 일으키기가 곤란한 것과, 직4각형의 탭노즈의 한쪽의 각부로 눌러 내리기를 하므로 역점과 지점과 작용점이 직선상에 없고 구조적으로도 충분한 눌러 내리기 힘을 발휘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캔뚜껑은 비교시험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눌러 내리기 힘의 집중이 적을 뿐만 아니라, 깊은 오목부의 면적이 작으므로 메탈 나머지를 흡수할 수 없고, 워터해머현상에 대한 방어효과가 없다.
[비교시험 1]
[내 워터해머 개관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 1는, 제1도∼제3도에 나타낸 캔뚜껑을 사용하였다. 탭노즈부 오목부의 깊이는 0.5mm이고, 내용적 350ml의 캔 벽판 두께 0.1mm의 스틸캔이며, 상판은 판두께 0.3mm의 알루미늄판이다. 또 캔뚜껑 60mm이고, 스코어 나머지 두께는 120μm이다.
비교예 1은 제5도∼제6도의 나타낸 캔뚜껑을 사용하였다. 오목부의 깊은 쪽은 0.6mm 얕은 쪽은 0.4mm로 0.2mm의 단차가 있다. 내용적 350ml의 캔 벽판 두께 0.1mm의 스틸캔이며, 상판은 판 두께 0.3mm의 알루미늄판이다.
또 캔뚜껑의 지름은 60mm이고, 스코어 나머지 두께는 120μm이다.
비교예 2는 제8도∼제9도에 나타낸 캔뚜껑을 사용하였다. 오목부의 깊이는 0.6mm이고, 내용적 350ml의 캔벽판 두께 0.1mm의 스틸캔이며, 상판은 판 두께 0.3mm의 알루미늄판이다. 또 캔뚜껑의 지름은 60mm이고, 스코어 나머지 두께는 120μm이다.
비교예 3은 실시예 1의 캔뚜껑의 완충대를 제외한 이외는 동일한 뚜껑을 사용하였다. 이 뚜껑의 워터해머쇼크 흡수 오목부(19)의 리벳이 외주 가장자리는 리벳에 가까운 스코어에 접촉되어 있다.
각각 100개의 캔에 물을 충전하여 낙하시험을 하였다. 시험캔은 캔 내부를 수은주 40cm의 진공으로 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시험은, 1m의 높이로부터 나무 마루에 낱개로 거꾸로 낙하를 하였다. 조금이라도 스코어가 잘린 캔은 모두 균렬캔으로 카운트 하였다.
[비교시험 2]
[개관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모두 비교시험 1에서 사용한 캔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캔은, 물을 충전하고, 캔내 진공도는 수은 주 40cm로 하였다.
시험은 캔을 고정하여 탭 손잡이부를 위쪽으로 당겨 올리고, 스코어가 파단발생하기 까지의 힘을 측정하였다. 또 그 때의 개관차아트를 작성하였다.
비교시험의 결과를 표 2에, 개관차아트를 제11도∼제13도에 나타낸다. 제11도는 실시예 1, 제12도는 비교예 1, 제13도는 비교예 3의 시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탭 손잡이부를 위쪽으로 당겨 올릴때에 개관력이 단숨에 상승하여, 큰 초기 개관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작은 힘으로 개관할 수 있으나, 비교예 1은 단차가 없어지기 까지의 힘을 필요로 하고, 또 비교예 2는 탭당겨 일으키기가 곤란하였다. 실시예 1에 비하여 비교예 1은 26%, 비교예 2는 37%의 큰 힘을 필요로 하였다.
이 비교시험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캔뚜껑은 작은 힘으로 단시간에 개구할 수 있고, 더욱이 캔을 떨어뜨렸을 때에 워터해머현상에 의한 스코어의 파단이 없는 것이 이해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요건이 서로 짜여져서 종래의 캔뚜껑에서는 볼 수 없었던 우수한 개구성과 내 워터해머성을 나타내고, 취급이 매우 용이하고도 안전하다.
Claims (13)
- 상판(11)의 대략 중앙부에 리벳(13)으로 연결한 원호형상의 탭노즈(21)를 가지는 탭(20)과, 시점(16)과 종점(17)을 리벳의 앞쪽에서 힌지(24)로 되는 간격을 설정하여 배치한 스코어(15)와, 스코어에 둘러싸인 개구편(18)으로 이루어지는, 탭노즈에 의하여 개구편을 눌러 내려서 개구하는 캔뚜껑에 있어서, 탭노즈의 아래면의 상판에 리벳쪽의 스코어를 따라서 탭노즈를 수납하는 단차가 없는 면의 바닥면을 가지는 탭노즈부 오목부(1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기 쉬운 캔뚜껑.
- 제1항에 있어서, 탭노즈부 오목부(19)의 바닥면이 평탄한 단차가 없는 평면의 바닥면인 따기 쉬운 캔뚜껑.
- 제1항에 있어서, 탭노즈부 오목부(19)의 바닥면이 평탄한 단차가 없는 경사면의 바닥면인 따기 쉬운 캔뚜껑.
- 제1항에 있어서, 탭노즈부 오목부(19)의 바닥면이 탭노즈 접촉하는 부분을 최저부로 한 여러개의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된 단차가 없는 거꾸로 선 원추형상의 경사면의 바닥면인 따기 쉬운 캔뚜껑.
-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탭노즈부 오목부가 원호형상의 선단형상을 가지는 반달형의 오목부인 따기 쉬운 캔뚜껑.
-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탭노즈부 오목부(19)의 리벳쪽 외주 가장자리와 리벳에 가까운 위치의 스코어와의 사이에 좁은 폭의 완충대(25)를 배치한 따기 쉬운 캔뚜껑.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완충대(25)의 폭이 0.5mm∼5mm인 따기 쉬운 캔뚜껑.
-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스코어(15)가 시점(16)과 종점(17)을 리벳의 좌우 어느 한 쪽에 힌지(24)로 되는 간격을 설정하여, 배치한 스코어(15)인 따기 쉬운 뚜껑.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스코어로 둘러싸인 개구편(18)에, 요철비드(14)를 배치한 따기 쉬운 캔뚜껑.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탭의 탭노즈의 반대쪽 끝단부에, 끝단부를 약간 위쪽으로 구부린 탭 손잡이부(22)를 설치한 따기 쉬운 캔뚜껑.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탭 손잡이부(22)의 아래면의 상판에, 탭 손잡이부 오목부(23)를 설치한 따기 쉬운 캔뚜껑.
- 상판(11)의 대략 중앙부에 리벳(13)에 의하여 원호형상의 탭노즈(21)를 가지는 탭(20)을 연결하고, 리벳의 앞쪽으로 스코어(15)의 시점과 종점(17)을 힌지(24)로 되는 간격을 설정하여 배치하고 스코어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스코어를 코이닝에 의하여 형성한 후에 리벳쪽의 스코어를 따라서 단차가 없는 면의 바닥면을 가지는 탭 노즈부 오목부(1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기 쉬운 캔뚜껑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탭 노즈부 오목부(19)의 리벳쪽 외주 가장자리와 리벳에 가까운 위치의 스코어와의 사이에 좁은 폭의 완충대(25)를 설치하여 스코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따기 쉬운 캔뚜껑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322367A JP2663365B2 (ja) | 1990-11-28 | 1990-11-28 | 容易開口罐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90-322367 | 1990-11-28 | ||
JP90-322366 | 1990-11-28 | ||
JP2322366A JPH0829781B2 (ja) | 1990-11-28 | 1990-11-28 | 耐衝撃容易開口罐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9470A KR920009470A (ko) | 1992-06-25 |
KR0168052B1 true KR0168052B1 (ko) | 1998-12-01 |
Family
ID=2748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20498A KR0168052B1 (ko) | 1990-11-28 | 1991-11-18 | 따기 쉬운 캔뚜껑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653355A (ko) |
KR (1) | KR0168052B1 (ko) |
TW (1) | TW20432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15964A (en) | 1996-02-23 | 1998-02-10 |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 Can end with emboss and deboss score panel stiffening beads |
US6234336B1 (en) | 1996-11-01 | 2001-05-22 | Metal Container Corporation | Stay-on-tab container closure having tear panel with no contour features on the upper surface |
US6425493B1 (en) * | 1997-11-12 | 2002-07-30 |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 Beverage container |
BR9917316A (pt) * | 1999-03-23 | 2002-12-31 | Ball Corp | Aparelho e método para extremidade de recipiente com respiradouro |
US6164480A (en) * | 1999-03-30 | 2000-12-26 |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 Can lid with stay-on-tab |
KR19990083697A (ko) * | 1999-06-08 | 1999-12-06 | 노태식 | 캔의탭제조용금형 |
MXPA04006730A (es) * | 1999-12-08 | 2005-03-31 | Metal Container Corp | EXTREMO DE ENVASE DE BEBIDA METáLICO CON PARED DE EXTREMO DE ENVASE DE BEBIDA METáLICO CON PARED DE BOQUILLA MEJORADA Y BROCA DE AVELLANAR. |
US7380684B2 (en) | 1999-12-08 | 2008-06-03 | Metal Container Corporation | Can lid closure |
US6419110B1 (en) | 2001-07-03 | 2002-07-16 | Container Development, Ltd. | Double-seamed can end and method for forming |
US6715629B2 (en) | 2001-12-19 | 2004-04-06 | Rexam Beverage Can Company | Can end for a container |
KR100453608B1 (ko) * | 2002-06-12 | 2004-10-20 | 주식회사 지엔에프 | 도토리를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
KR100481041B1 (ko) * | 2002-06-25 | 2005-04-07 | 이은지 | 도토리와 콩을 원료로 하는 면류 식품의 제조 방법 |
US6761281B2 (en) | 2002-11-26 | 2004-07-13 | Rexam Beverage Can Company | Modified score for smooth openability |
US7617945B2 (en) * | 2003-09-19 | 2009-11-17 | Gabe Cherian | Pull tab |
US20060071005A1 (en) | 2004-09-27 | 2006-04-06 | Bulso Joseph D | Container end closure with improved chuck wall and countersink |
US7506779B2 (en) | 2005-07-01 | 2009-03-24 | Bal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einforcing bead in a container end closure |
EP2149502A1 (fr) * | 2008-07-28 | 2010-02-03 | Impress Group B.V. | Couvercle pour conteneurs avec anneau d'ouverture et conteneur pourvu d'un tel couvercle |
US20100089923A1 (en) * | 2008-10-09 | 2010-04-15 | Ue-Ming Yang | Non-detachable fulcrum type liet tab for beverage container |
US20110174819A1 (en) * | 2010-01-18 | 2011-07-21 | John Murphy | Tamper evident container |
US8567158B2 (en) | 2010-08-06 | 2013-10-29 | Ball Corporation | Container end closure with optional secondary vent opening |
US10017295B2 (en) | 2010-08-06 | 2018-07-10 | Ball Corporation | Container end closure with optional secondary vent opening |
US8727169B2 (en) | 2010-11-18 | 2014-05-20 | Ball Corporation | Metallic beverage can end closure with offset countersink |
USD637489S1 (en) | 2010-12-10 | 2011-05-10 | Pactiv Corporation | Pull grip feature of a container lid |
USD638704S1 (en) | 2010-12-10 | 2011-05-31 | Pactiv Corporation | Container lid |
USD691039S1 (en) | 2011-10-27 | 2013-10-08 | Ball Corporation | Vented container end closure |
ES2749348T3 (es) * | 2011-11-04 | 2020-03-19 | Ball Corp | Cierre del extremo de un recipiente metálico ventilado |
MX355486B (es) | 2012-05-04 | 2018-04-19 | Ball Corp | Cierre extremo metálico con panel de desprendimiento que tiene rigidez mejorada. |
USD715144S1 (en) | 2012-11-13 | 2014-10-14 | Ball Corporation | Vented container end closure |
USD715647S1 (en) | 2012-11-28 | 2014-10-21 | Ball Corporation | Vented end closure |
US10246229B2 (en) | 2013-03-14 | 2019-04-02 |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 Vented beverage can and can end |
US9403628B2 (en) * | 2013-03-14 | 2016-08-02 |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 Vented beverage can and can end |
WO2014149768A1 (en) | 2013-03-15 | 2014-09-25 | Ball Corporation | End closure with a ring pull actuated secondary vent |
CA2901440C (en) * | 2013-03-15 | 2017-06-06 | Ball Corporation | End closure with tab guidance features |
WO2016018977A1 (en) | 2014-07-30 | 2016-02-04 | Ball Corporation | Vented container end closure |
JP7472785B2 (ja) * | 2018-04-03 | 2024-04-23 | 東洋製罐株式会社 | 缶蓋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67752A (en) * | 1972-09-28 | 1976-07-06 | Reynolds Metals Company | Easy-open wall |
US3957172A (en) * | 1975-07-14 | 1976-05-18 | Continental Can Company, Inc. | End panel for nested tab safety closure |
US4024981A (en) * | 1976-07-01 | 1977-05-24 | Ermal C. Fraze | Easy-open ecology end |
US4150765A (en) * | 1977-11-10 | 1979-04-24 | The Continental Group, Inc. | Tab construction for easy opening container |
US4148410A (en) * | 1978-01-30 | 1979-04-10 | Ermal C. Fraze | Tab for easy-open ecology end |
US4276993A (en) * | 1979-10-10 | 1981-07-07 | The Continental Group, Inc. | Easy-opening container with non-detach tab |
US4286728A (en) * | 1980-04-11 | 1981-09-01 | Ermal C. Fraze | Tab and ecology end |
US4318493A (en) * | 1980-09-26 | 1982-03-09 | The Continental Group, Inc. | Easy opening container |
US4821912A (en) * | 1982-08-23 | 1989-04-18 | Wells Robert A | Reclosable self-opening can end |
US4465204A (en) * | 1983-07-13 | 1984-08-14 | The Stolle Corporation | Pull tab for easy open end |
US4524879A (en) * | 1984-06-18 | 1985-06-25 | Van Dorn Company | Can end pour spout and pull tab construction |
AU576900B2 (en) * | 1984-10-01 | 1988-09-08 | J Gadsden Proprietary Limited | Easy-opening can end |
US4681238A (en) * | 1986-10-03 | 1987-07-21 | Sanchez Ruben G | Re-closure device for pop top containers |
US4930658A (en) * | 1989-02-07 | 1990-06-05 | The Stolle Corporation | Easy open can en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US5007554A (en) * | 1989-04-25 | 1991-04-16 | Charles Hannon | Container lift tab |
DE3941239C1 (ko) * | 1989-12-14 | 1991-06-27 | Schmalbach-Lubeca Ag, 3300 Braunschweig, De | |
US5064087A (en) * | 1990-11-21 | 1991-11-12 | Koch Systems Incorporated | Self-opening can lid with improved contour of score |
US5129541A (en) * | 1991-06-04 | 1992-07-14 | Buhrke Industries, Inc. | Easy open ecology end for cans |
US5385254A (en) * | 1993-08-09 | 1995-01-31 | Hannon; Charles N. | Easy lift container opening |
-
1991
- 1991-11-18 KR KR1019910020498A patent/KR01680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
- 1992-03-31 TW TW081102444A patent/TW20432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
- 1995-09-26 US US08/534,060 patent/US5653355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9470A (ko) | 1992-06-25 |
TW204323B (en) | 1993-04-21 |
US5653355A (en) | 1997-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68052B1 (ko) | 따기 쉬운 캔뚜껑 및 그 제조방법 | |
US3227304A (en) | Can opening arrangement | |
US5145086A (en) | Captive tear tab with protective means for container opening | |
US3355058A (en) | Push-in can lid | |
RU2425786C2 (ru) | Ушко для крышк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 |
CA1179615A (en) | Easy open can end with pull tab having retained tear strip with stress relief means | |
US3200982A (en) | Bottle cap | |
CA1069841A (en) | Ecological easy-open can end | |
US4252247A (en) | Tear-open can lid with push-in tabs | |
JP2003512262A (ja) | より容易に開口し、衛生性の高められた缶蓋構造 | |
US3738526A (en) | Container with permanently attached tear strip and tab | |
EP0564725B1 (en) | Anti-impact easily openable can li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CN111132905B (zh) | 安全开封盖 | |
US3341055A (en) | Container opening device | |
US3472415A (en) | Receptacle and opening means therefor | |
US3394837A (en) | Container opening means | |
US3067910A (en) | Self opening tin can lid | |
JPH0829781B2 (ja) | 耐衝撃容易開口罐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0798234B2 (ja) | 容易開口罐蓋 | |
JP3533626B2 (ja) | 簡易開封式のアルミニウム合金製キャップ | |
JPH04201852A (ja) | 容易開口罐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WO2001002260A1 (en) | Can lid with opening means providing enhanced opening function and sanitariness | |
JP4466946B2 (ja) | 開口容易缶蓋 | |
JPS6323316Y2 (ko) | ||
JPS5836672Y2 (ja) | イ−ジ−オ−プン缶用缶蓋の引張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