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WO2019022474A1 - 불산을 저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막 - Google Patents

불산을 저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22474A1
WO2019022474A1 PCT/KR2018/008357 KR2018008357W WO2019022474A1 WO 2019022474 A1 WO2019022474 A1 WO 2019022474A1 KR 2018008357 W KR2018008357 W KR 2018008357W WO 2019022474 A1 WO2019022474 A1 WO 20190224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ating portion
lithium
separator
separation membrane
inorganic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83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민지
구민지
남관우
김민형
이제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8838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22260B1/en
Priority to US16/463,798 priority patent/US10811661B2/en
Priority to PL18838172T priority patent/PL3522260T3/pl
Priority to CN201880010769.8A priority patent/CN110301056B/zh
Publication of WO20190224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24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29Natural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coating separation membrane is prepared by dispersing aluminum oxide in a solvent or an aqueous solvent.
  • the water content of the inside of the battery may be increased due to the water affinity of the aluminum oxide.
  • the moisture inside the battery reacts with the lithium salt of the organic electrolytic solution such as LiPF 6 to generate hydrogen fluoride (HF) gas.
  • HF breaks down the SEI layer and accelerates dissolution of the anode, greatly reducing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cell.
  • HF accelerates decomposition of the battery at a high temperature, it may cause a greater problem in a secondary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driven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a general portable device.
  • the first co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may be located on the separation membrane substrate or may be located inside the por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substrate.
  • the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coat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coating portion including a mixture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polymer and a material preventing formation of hydrofluoric acid is placed on the separation membrane substrate of a porou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lithium ion conductivity and the electrolyte impregnation ratio.
  • 1 is a graph showing the content of HF with time.
  • a polymer solution was prepared by adding about 10% by weight of a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HFP) polymer to acetone and dissolving at a temperature of 60 ° C for about 12 hours or longer.
  • PVdF-HFP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 a first slurry was prepared. The prepared first slurry was coated on the polyethylene separator using a dip coating method.
  • the separation membrane prepared through the first slurry was impregnated with HF produced electrolyte, and the amount of HF change was confirmed for 7 days.
  • first coating portion 120 is coat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ion membrane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130 is coat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ating portion 120
  • the first coating part 120 may be coated on only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ating part 120 and the second coating part 130 may be coated on only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ating part 12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계열의 분리막 기재;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코팅부 및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팅부 및 제 2 코팅부는 상기 분리막 기재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막 기재의 기공의 내부에 위치하는 분리막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산을 저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막
본 출원은 2017년 7월 25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 2017-0094377 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불산을 저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막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계열의 분리막 기재의 표면, 또는 상기 분리막 기재의 기공 내부에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전지의 용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행의 리튬 이차전지에는, 양극과 음극과의 사이를 절연화시키는 분리막으로서, 두께가 5~30㎛ 정도인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이 사용되고 있다.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은 전지 내부 덴드라이트 성장(dendrite growth)에 의해 분리막이 파열되는 경우, 내부 단락으로 인한 전지 폭발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의 불안정성을 억제하기 위해 다공성 분리막 기재 단면 또는 양면에 무기물 입자를 바인더와 함께 코팅함으로써 무기물 입자가 기재의 수축율을 억제하는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무기물 코팅층에 의해 보다 안전한 분리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분리막은 산화알루미늄을 유계 또는 수계 용매에 분산시켜 제조되는데, 산화 알루미늄의 수분 친화력으로 인해 전지 내부의 수분 함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전지 내부의 수분은 LiPF6와 같은 유기 전해액의 리튬염과 반응하여 불화수소(HF)가스를 발생시킨다. HF는 SEI층을 파괴하고 양극의 용출을 가속화시킴으로써, 전지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크게 떨어트린다. 특히, 고온에서는 HF가 전지의 분해를 가속화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인 휴대용 기기보다 고온에서 구동되는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에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2958호에서는, 다기능성 입자 BaxSiyOz(0<x<1, 0<y<1, x+2y=x) 및 유기물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액과 분리막 기재로 이루어진 유/무기 복합 다기능성 코팅 분리막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수분의 함량을 낮추어 HF의 생성을 낮추는 다기능성 입자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생성된 HF는 제거하지 못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5310호는 다공성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 기재 상에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로 코팅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다공성 소재의 분리막 기재를 사용하면서 리튬 이온 전도도 및 전해액 함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으나, 불산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기능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다른 선행기술인 특허문헌 3은 이산화규소 성분을 포함하는 유리와 유기 고분자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606705호는 별도의 부재로서의 분리막이 아니라, 이산화규소와 혼합되어 제조되는 분리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공성 기재의 분리막과 혼합물층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전해액 함침율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39974호는 반응성 작용기가 표면에 위치하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분리막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전해액의 함침성과 이온 전도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차전지의 수명 특성에 영향을 끼치는 불산을 제거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전해액의 함침율이 높으면서도, 형성된 불산과 반응하여 불산의 함량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는 분리막에 대한 기술의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코팅부 및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코팅부가 다공성 구조의 분리막 기재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분리막 기재의 기공 내부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SEI 층의 파괴를 억제하여 전지셀의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계열의 분리막 기재;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코팅부 및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코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팅부 및 제 2 코팅부는 상기 분리막 기재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막 기재의 기공 내부에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코팅부 및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코팅부가 다공성 구조의 분리막 기재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분리막 기재의 기공 내부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리튬 이온 전도도 및 전해액 함침율 향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SEI 층을 파괴하여 전지의 수명 및 용량 특성을 열악하게 만드는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차전지의 수명 및 용량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상기 제 1 코팅부가 분리막 기재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코팅부가 제 1 코팅부 상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막 기재, 제 1 코팅부 및 제 2 코팅부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분리막 기재, 제 1 코팅부 및 제 2 코팅부는 서로 간에 독립적인 성질을 유지하면서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분리막 기재와 제 1 코팅부가 만나는 경계 부분 및/또는 제 1 코팅부와 제 2 코팅부가 만나는 경계 부분에서 서로 간에 혼합되어 경계가 불분명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상기 제 1 코팅부와 제 2 코팅부가 혼합된 혼합층이 분리막 기재 상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1 코팅부와 제 2 코팅부가 별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와 달리,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계열의 분리막 기재 상에 제 1 코팅부와 제 2 코팅부가 혼합된 하나의 혼합층이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제 1 코팅부와 제 2 코팅부를 각각 생성한 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제 1 코팅부와 제 2 코팅부 각각을 구성하는 화합물질들 간에 화학적인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코팅부와 제 2 코팅부의 생성 및 상기 혼합층의 제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코팅부는 상기 혼합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코팅부가 혼합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는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고, 90 중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전해액 함침율이 낮아지거나, 분리막의 충분한 강도를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혼합층이 분리막 기재의 기공 가운데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이 분리막 기재의 기공 내에도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액에 함침된 분리막 기재 내부에서 HF가 형성되더라도, 분리막 기재의 기공 내에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형성된 HF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 1 코팅부 및 제 2 코팅부가 분리된 구조인 경우뿐만 아니라, 혼합된 구조에도 제 2 코팅부의 함량은 일정하게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은 제 2 코팅부의 고형분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70 중량%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의 함량이 제 2 코팅부의 고형분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70 중량% 보다 적을 경우에는 불산의 제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 내지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은 SiO2를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SiO2를 포함하는 물질은 SiO2를 포함하는 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은 탄산나트륨(Na2CO3) 및 탄산칼륨(K2CO3)일 수 있으며, 이들은 불산과 하기와 같이 반응을 함으로써 불산을 제거할 수 있다.
Na2CO3 + 4HF → 2NaHF2 + CO2 + H2O
K2CO3 + 4HF → 2KHF2 + CO2 + H2O
상기 제 1 코팅부를 구성하는 무기물 입자는 (a)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무기물 입자, (b) 압전성(piezoelectricity)을 갖는 무기물 입자 및 (c)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무기물 입자(a)는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또는 SiC이며;
상기 압전성을 갖는 무기물 입자(b)는 일정 압력 인가시 입자의 양쪽면 간에 발생되는 양 전하 및 음전하로 인해 전위차가 형성되는 것으로, BaTiO3, Pb(Zr,Ti)O3 (PZT), Pb1-xLaxZr1-yTiyO3 (PLZT), Pb(Mg1/3Nb2/3)O3-PbTiO3 (PMN-PT), hafnia (Hf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C 또는 이들의 혼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및
상기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c)는 리튬 원소를 함유하되, 리튬을 저장하지 않고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리튬포스페이트(Li3PO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xTiy(PO4)3, 0<x<2, 0<y<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 (LixAlyTiz(PO4)3, 0<x<2, 0<y<1, 0<z<3), 14Li2O-9Al2O3-38TiO2-39P2O5와 같은 (LiAlTiP)xOy 계열 glass(0<x<4, 0<y<13), 리튬란탄티타네이트 (LixLayTiO3, 0<x<2, 0<y<3), Li3.25Ge0.25P0.75S4와 같은 리튬게르마니움티오포스페이트 (LixGeyPzSw, 0<x<4, 0<y<1, 0<z<1, 0<w<5), Li3N와 같은 리튬나이트라이드 (LixNy, 0<x<4, 0<y<2), Li3PO4-Li2S-SiS2와 같은 SiS2 계열 glass(LixSiySz, 0<x<3, 0<y<2, 0<z<4), LiI-Li2S-P2S5와 같은 P2S5 계열 glass(LixPySz, 0<x<3, 0<y< 3, 0<z<7)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코팅부를 구성하는 상기 바인더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클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 및 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alcoh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 기재의 성분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바, 상기 이차전지는 양극 및 음극 사이에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마이크로미터 이상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xMn2-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xMx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재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마이크로미터 이상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and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팩은 고온 안전성 및 긴 사이클 특성과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의 상세한 예로는,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device),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시간에 따른 HF의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하나의 실시예 따른 분리막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다른 분리막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리막의 제조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 (PVdF-HFP) 고분자를 아세톤에 약 10 중량% 첨가한 후, 60 ℃의 온도에서 약 12 시간 이상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고분자 용액에 Al2O3 분말을 Al2O3 / PVdF-HFE = 80/20 (중량%비)가 되도록 첨가하여 2간 이상 볼밀(ball mill)법을 이용하여 Al2O3 분말 분산하여 제 1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 1 슬러리를 딥(dip)코팅법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분리막에 코팅하였다.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 (PVdF-HFP) 고분자를 아세톤에 약 10 중량% 첨가한 후, 60 ℃의 온도에서 약 12 시간 이상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고분자 용액에 SiO2 분말을 SiO2 / PVdF-HFE = 80/20 (중량%비)가 되도록 첨가하여 2시간 이상 볼밀(ball mill)법을 이용하여 SiO2 분말을 분산하여 제 2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 2 슬러리를 딥(dip)코팅법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분리막에 코팅된 제 1 슬러리 상에 코팅하였다.
전해액 제조
1M의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이 용해된 에틸렌카보네이트(EC) /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 3:7(부피비)인 전해액에 증류수 1,000 ppm을 주입한 후 60℃의 오븐에서 약 24시간 저장하여 HF를 과량 생성하도록 제조하였다.
제 1 슬러리를 통해 제조된 분리막을 HF 생성 전해액에 함침시킨 후 7일 동안의 HF 변화량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 1 슬러리와 제 2 슬러리를 혼합한 혼합 슬러리를 폴리에틸렌 분리막에 코팅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가를 하였다. 이때, Al2O3와 SiO2의 비율은 95 : 5(중량비)이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1 슬러리 및 제 2 슬러리를 코팅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 2 슬러리를 코팅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참고예>
상기 실시예 1의 전해액에서 증류수 1,000 ppm이 추가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참고예에서 제조된 이차전지를 25 ℃에서 7일간 보관하면서 HF의 함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SiO2를 포함하는 제 2 슬러리가 분리막의 최외층에 코팅된 실시예 1의 경우, 전해액에 증류수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HF가 형성되기 어려운 참고예와 비교할 때, HF가 SiO2 와 반응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참고예와 거의 유사한 정도의 HF 함량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제 1 슬러리와 제 2 슬러리라 혼합된 슬러리가 분리막 기재 상에 코팅되는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혼합 슬러리에서 SiO2의 함량비가 낮아지기 때문에 초기에 HF의 함량이 소폭 증가하나 4 일째 이후부터 감소하여 7일 째에는 초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한다.
Figure PCTKR2018008357-appb-I000001
그러나, 비교예 1 및 2에서는, 전해액에 포함된 증류수가 전해액의 리튬염과 반응하기 때문에 HF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Al2O3를 포함하는 제 1 슬러리층과 SiO2를 포함하는 제 2 슬러리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 저장 1 일째까지 HF의 함량이 약 400 ppm 정도 급격히 증가하고 이후 거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4 일째 이후 완만한 증가세를 보여 7 일째 약 1,800 ppm 의 HF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슬러리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의 경우 저장 1 일째까지 약 900 ppm 정도 급격히 증가하고 이후 완만한 증가세를 보여 7 일째 약 2,300 ppm 이상의 HF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즉, 비교예 1 및 2는 HF를 제거할 수 있는 SiO2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HF 함량이 점점 증가하게 되며, 비교예 2는 Al2O3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영향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HF의 함량이 더욱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리막(100)은 개방형 기공(111)이 형성된 분리막 기재(11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제 1 코팅부(120)가 코팅되어 있고, 분리막 기재(110)와 대면하지 않은 제 1 코팅부(120)의 외측면에는 제 2 코팅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기공(111)의 내부에는 제 1 코팅부(120) 및 제 2 코팅부(130)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를 개시하고 있으나, 기공(111)은 전해액 함침율을 높이기 위하여 빈 공간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또는 기공(111)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 1 코팅부(120) 및/또는 제 2 코팅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코팅부(120)는 분리막 기재(110)의 양면 전체에 코팅되고 제 2 코팅부(130)는 제 1 코팅부(120)의 외측면 전체에 코팅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 1 코팅부(120)는 분리막 기재의 양면 중 일부에만 코팅될 수 있고, 제 2 코팅부(130)는 제 1 코팅부(120)의 외측면 중 일부에만 코팅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리막(200)은 개방형 기공(211)이 형성된 분리막 기재(21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제 1 코팅부 및 제 2 코팅부가 혼합된 혼합층(240)이 코팅되어 있다.
기공(211)의 내부에는 혼합층(240)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를 개시하고 있으나, 기공(211)은 전해액 함침율을 높이기 위하여 빈 공간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또는 기공(211)의 적어도 일부에는 혼합층(24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혼합층(240)은 분리막 기재(210)의 양면 전체에 코팅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분리막 기재의 양면 중 일부에만 코팅될 수도 있다.
도 4는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다른 분리막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개방형 기공(311)이 형성된 분리막 기재(310)의 기공 내에는 제 1 코팅부 및 제 2 코팅부가 혼합된 혼합층(340)이 위치하고 있다.
혼합층(340)은 기공(311) 가운데 적어도 일부의 기공에 포함될 수 있으며, 혼합층의 일부는 분리막 기재의 상면 및 하면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막 기재, 및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코팅부 및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코팅부를 포함하는 바, 리튬 이온 전도도 및 전해액 함침율 향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SEI 층을 파괴하여 전지의 수명 및 용량 특성을 열악하게 만드는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 부호의 설명
분리막: 100, 200, 300
분리막 기재: 110, 210, 310
분리막의 기공: 111, 211, 311
제 1 코팅부: 120
제 2 코팅부: 130
혼합층: 240, 340

Claims (13)

  1.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계열의 분리막 기재;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코팅부 및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코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팅부 및 제 2 코팅부는 상기 분리막 기재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막 기재의 기공의 내부에 위치하는 분리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팅부는 분리막 기재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코팅부는 제 1 코팅부 상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팅부와 제 2 코팅부가 혼합된 혼합층이 분리막 기재 상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팅부는 상기 혼합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5 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분리막.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층이 분리막 기재의 기공 가운데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은 제 2 코팅부의 고형분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70 중량%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분리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산의 생성을 방지하는 물질은 SiO2를 포함하는 물질인 분리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iO2를 포함하는 물질은 SiO2를 포함하는 유리인 분리막.
  9. 제 1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a)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무기물 입자, (b) 압전성(piezoelectricity)을 갖는 무기물 입자 및 (c)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분리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무기물 입자(a)는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또는 SiC이며;
    상기 압전성을 갖는 무기물 입자(b)는 일정 압력 인가시 입자의 양쪽면 간에 발생되는 양 전하 및 음전하로 인해 전위차가 형성되는 것으로, BaTiO3, Pb(Zr,Ti)O3 (PZT), Pb1-xLaxZr1-yTiyO3 (PLZT), Pb(Mg1/3Nb2/3)O3-PbTiO3 (PMN-PT), hafnia (Hf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C 또는 이들의 혼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및
    상기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c)는 리튬 원소를 함유하되, 리튬을 저장하지 않고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리튬포스페이트(Li3PO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xTiy(PO4)3, 0<x<2, 0<y<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 (LixAlyTiz(PO4)3, 0<x<2, 0<y<1, 0<z<3), 14Li2O-9Al2O3-38TiO2-39P2O5와 같은 (LiAlTiP)xOy 계열 glass(0<x<4, 0<y<13), 리튬란탄티타네이트 (LixLayTiO3, 0<x<2, 0<y<3), Li3.25Ge0.25P0.75S4와 같은 리튬게르마니움티오포스페이트 (LixGeyPzSw, 0<x<4, 0<y<1, 0<z<1, 0<w<5), Li3N와 같은 리튬나이트라이드 (LixNy, 0<x<4, 0<y<2), Li3PO4-Li2S-SiS2와 같은 SiS2 계열 glass(LixSiySz, 0<x<3, 0<y<2, 0<z<4), LiI-Li2S-P2S5와 같은 P2S5 계열 glass(LixPySz, 0<x<3, 0<y< 3, 0<z<7)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분리막.
  11. 제 1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클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 및 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alcoh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분리막.
  12. 제 1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 기재의 성분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분리막.
  13. 제 1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막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PCT/KR2018/008357 2017-07-25 2018-07-24 불산을 저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막 WO201902247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38172.7A EP3522260B1 (en) 2017-07-25 2018-07-24 Battery separator comprising material reducing hydrofluoric acid
US16/463,798 US10811661B2 (en) 2017-07-25 2018-07-24 Battery separator comprising hydrofluoric acid reduction material
PL18838172T PL3522260T3 (pl) 2017-07-25 2018-07-24 Separator baterii zawierający materiał zmniejszający ilość kwasu fluorowodorowego
CN201880010769.8A CN110301056B (zh) 2017-07-25 2018-07-24 包括减少氢氟酸的材料的电池隔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377 2017-07-25
KR1020170094377A KR102293887B1 (ko) 2017-07-25 2017-07-25 불산을 저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474A1 true WO2019022474A1 (ko) 2019-01-31

Family

ID=6503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8357 WO2019022474A1 (ko) 2017-07-25 2018-07-24 불산을 저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11661B2 (ko)
EP (1) EP3522260B1 (ko)
KR (1) KR102293887B1 (ko)
CN (1) CN110301056B (ko)
PL (1) PL3522260T3 (ko)
WO (1) WO2019022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58B1 (ko) * 2019-05-02 2021-04-02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불산 수용체용 기능성 세라믹 입자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제조
CN112937024B (zh) * 2021-01-29 2023-06-30 江西睿捷新材料科技有限公司 锂电池用铝塑复合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2999A1 (en) * 2001-10-11 2003-04-17 Varta Microbattery Gmbh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separator assembly for galvanic elements
KR100775310B1 (ko) 2004-12-22 2007-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소자
KR100877161B1 (ko) * 2007-09-17 2009-01-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열 안정성이 우수한 고출력 이차전지용 다공성 분리막 및그 제조 방법
JP4606705B2 (ja) 2003-06-18 2011-01-05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二次電池
KR101358761B1 (ko) * 2011-05-03 2014-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442958B1 (ko) 2013-02-18 2014-09-23 삼성토탈 주식회사 장기구동 성능 향상을 위한 다기능성 코팅 분리막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KR20150099648A (ko) * 2014-02-21 2015-09-01 주식회사 포스코 분리막, 분리막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70094377A (ko) 2014-12-11 2017-08-17 메트글라스, 인코포레이티드 Fe-Si-B-C계 비정질 합금 박대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변압기 자심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6705Y1 (ko) 1967-04-19 1971-03-09
US7267909B2 (en) * 2003-06-06 2007-09-11 Amtek Research International Llc Battery separators containing reactive functional groups
HUE052954T2 (hu) * 2004-07-07 2021-05-28 Lg Chemical Ltd Szerves/szervetlen kompozit porózus szétválasztó, és ezt tartalmazó elektrokémiai készülék
KR100749301B1 (ko) * 2004-07-07 2007-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 유/무기 복합 다공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소자
JP2007165292A (ja) * 2005-11-16 2007-06-28 Mitsubishi Chemicals Corp 二次電池用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100727248B1 (ko) * 2007-02-05 2007-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활성층이 코팅된 유기/무기 복합 분리막 및 이를구비한 전기화학소자
JP4685974B2 (ja) * 2009-02-24 2011-05-18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多孔膜、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非水系二次電池用吸着剤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US9786947B2 (en) * 2011-02-07 2017-10-10 Sila Nanotechnologies Inc. Stabilization of Li-ion battery anodes
WO2012114162A1 (en) * 2011-02-26 2012-08-30 Etv Energy Ltd. Pouch cell comprising an empty -volume defining component
US9123955B2 (en) * 2012-04-06 2015-09-01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aterial
TW201347274A (zh) * 2012-05-09 2013-11-16 Hitachi Chemical Co Ltd 電化學元件用隔板及其製造方法
CN103972448A (zh) * 2013-01-28 2014-08-0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电化学电源隔膜及其制备方法、电化学电池或电容器
JP2014179206A (ja) 2013-03-14 2014-09-25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3647034A (zh) * 2013-12-04 2014-03-19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股份公司 一种应用于锂离子电池的氮化物陶瓷涂层的制备方法
CN103811702B (zh) * 2014-02-12 2016-02-10 佛山市金辉高科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陶瓷涂层聚烯烃复合膜及其制备方法
JP6264658B2 (ja) * 2014-08-06 2018-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6081586A (ja) * 2014-10-10 2016-05-16 住友化学株式会社 多孔質層
KR102121277B1 (ko) * 2015-05-11 2020-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무기 복합 다공성 세퍼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N108028377A (zh) * 2015-09-16 2018-05-11 株式会社理光 非水电解质蓄电元件
KR101723974B1 (ko) 2015-09-23 2017-04-06 주식회사 윙코 전류 미러 회로를 이용하여 센싱 마진을 확보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방법
CN105529424A (zh) * 2016-02-03 2016-04-27 常州可赛成功塑胶材料有限公司 一种粘胶纤维纳米二氧化硅复合电池隔膜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2999A1 (en) * 2001-10-11 2003-04-17 Varta Microbattery Gmbh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separator assembly for galvanic elements
JP4606705B2 (ja) 2003-06-18 2011-01-05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二次電池
KR100775310B1 (ko) 2004-12-22 2007-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소자
KR100877161B1 (ko) * 2007-09-17 2009-01-0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열 안정성이 우수한 고출력 이차전지용 다공성 분리막 및그 제조 방법
KR101358761B1 (ko) * 2011-05-03 2014-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442958B1 (ko) 2013-02-18 2014-09-23 삼성토탈 주식회사 장기구동 성능 향상을 위한 다기능성 코팅 분리막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KR20150099648A (ko) * 2014-02-21 2015-09-01 주식회사 포스코 분리막, 분리막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723994B1 (ko) 2014-02-21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 분리막, 분리막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70094377A (ko) 2014-12-11 2017-08-17 메트글라스, 인코포레이티드 Fe-Si-B-C계 비정질 합금 박대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변압기 자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22260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88261A1 (en) 2019-09-19
CN110301056A (zh) 2019-10-01
PL3522260T3 (pl) 2022-05-02
US10811661B2 (en) 2020-10-20
EP3522260A4 (en) 2019-12-11
CN110301056B (zh) 2022-03-01
EP3522260B1 (en) 2022-02-09
KR102293887B1 (ko) 2021-08-25
EP3522260A1 (en) 2019-08-07
KR20190011621A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5792A1 (ko)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6093589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조립체,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4084681A1 (ko) 표면 특성이 다른 무기물 입자의 이중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방법
WO2015065118A1 (ko)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0071387A2 (ko) 고출력 리튬 이차 전지
WO2009110726A2 (en) Separator having porous coating layer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WO2012128440A1 (ko)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67778A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2074300A2 (ko) 리튬 이차전지
WO2013066052A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EP3648197B1 (en)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a flame retardant separator having an asymmetric structure
WO2013089428A1 (ko)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WO2015065116A1 (ko) 유기-무기 복합 다공성 막, 이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및 전극 구조체
WO2019221410A1 (ko) 전극 보호층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적용한 리튬 이차전지
WO2018174527A1 (ko) 리튬 이차 전지
WO2019022474A1 (ko) 불산을 저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막
WO2019017617A1 (ko) 집전체가 없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1075924A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방법
WO2021034060A1 (ko) 내열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0050559A1 (ko) 분리막 기재가 없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WO2020159083A1 (ko)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하는 스택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7119675A1 (ko) 확장된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20076139A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23167477A1 (ko)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3059173A1 (ko) 이차전지용 분리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381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381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503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