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WO2016021751A1 -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1751A1
WO2016021751A1 PCT/KR2014/007308 KR2014007308W WO2016021751A1 WO 2016021751 A1 WO2016021751 A1 WO 2016021751A1 KR 2014007308 W KR2014007308 W KR 2014007308W WO 2016021751 A1 WO2016021751 A1 WO 20160217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user
switching
sig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3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도영
천시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73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21751A1/ko
Priority to CN201480081071.7A priority patent/CN106574816B/zh
Publication of WO20160217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17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including the transparent display.
  • a display device providing a transparent display screen refers to a device having a transparent property so that the background behind the device is reflected.
  • display panels are manufactured using opaque semiconductor compounds such as silicon (Si) and gallium arsenide (GaAs).
  •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a transparent oxide semiconductor film, thereby having a transparent property.
  •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s used, the user can view the necessary background while looking at the rear background located at the rear of the device, and can view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scree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of existing display devices.
  •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may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for various purposes.
  • US Patent Publication No. US2014-0035850 discloses a refrigerator in which a transparent display is attached to the front. The document discloses that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refrigerator, the user stops the screen being displayed and transparently controls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look into the refrigerator.
  • the refrigerator disclosed in the document makes the display device transparent. do. Therefore,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t is necessary to more clearly grasp the intention of the user to control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device.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a control method that can grasp the user's intention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conceived by recognizing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confirming the inside reflecting an active intention of a user.
  • a refrigerator includes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switch to a transparent or opaque state by a control signal;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f a user and outputting a first signal; An open / clos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open / close stat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output a second sig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signal to determine whether a user is in contact, to receive the second signal to determine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door, and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ransparent or opaque state of the display unit.
  •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f a user and outputting a first signal
  • An open / clos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open / close stat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output a second signal
  •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signal to determine whether a user is in contact, to receive the second signal to determine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door, and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ransparent or opaque state of the display unit.
  •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for storing a preset threshold time.
  • control unit may provide a control signal for maintaining the display unit in an opaque state when there is no user's contact or the user's contact but the contact holding tim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or the door is open. You can print
  • the controller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 transparent state when the contact holding time is more than the threshold time and the door is closed from the time when the user's contact is started.
  •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maintaining the display unit in the transparent state while the contact of the user is maintained afte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transparent state.
  •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n opaque state after a preset switching time after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n opaque state when the contact of the user disappears or the door is opened afte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transparent state.
  • the control unit switches to the opaque state, and when there is a user's recontact within a preset recontact time, the controller starts from the point of time of the user's recontact.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back to the transparent state.
  • the touch sensor may further output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 transparent state when receiving the third signal.
  •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transparent state by sliding the opaque portion of the display unit.
  •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display unit to the transparent state by sliding the opaque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liding input direction of the third signal. Can output a control signal.
  • the touch sensor may further output a fourth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sliding input havi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liding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ler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opaque state.
  •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in an opaque state by sliding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 the control unit slides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liding input direction of the fourth signal to switch the display unit to the opaque state. Can output a control signal.
  •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n opaque state after a preset switching time passes after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 the touch sensor may further output a fift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nock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 transparent state when receiving the fifth signal.
  • the control unit when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transparent state, the opaque portion gradually disappears from a portion close to any one point of the display unit, and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transparent state.
  •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n opaque state when the fifth signal is re-received afte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transparent state.
  •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n opaque state by gradually disappearing the transparent part from a part far from any one point of the display unit. have.
  •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n opaque state after a preset switching time passes after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 a refrigerator control method including: (a) receiving a first signal output by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f a us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of the user is performed; (b) determining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door by receiving a second signal output by the open / close sensor detecting a open / closed stat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c)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transparent or opaque state of the display unit 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in contact and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 the transparent display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is, unnecessary display control can be prevented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further prevented.
  • the transparent display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is, unnecessary display control can be prevented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further prevented.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according to a sliding input.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an opaque state according to a sliding input.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an opaque state according to the knock input.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an opaque state in response to knock re-entry.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of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 transparent state when the contact tim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and the switching time elapses so that the display unit is changed to the opaque state.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the opaque state and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when there is recontact.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by a sliding input.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and the switching time elapses so that the display unit is changed to the opaque state.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by a knock input.
  • FIG. 13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14 is an exemplary view of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camera unit therein.
  • 15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16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n internal image is shown as an augmented reality image to a user wearing a wearable display device.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refrigerator 100 may include a display 101, a contact sensor 102, an open / close sensor 103, and a controller 104.
  • the display unit 101 may be switched to a transparent or opaque state by a control signal.
  • the display unit 101 is a so-called 'transparent display', and has a transparent property, so that the background behind the display is reflected.
  •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4.
  • the touch sensor 102 may detect a user's touch and output a first signal.
  •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grasp the active intention that the user intends to use the refrigerator or look into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contact sensor 102.
  •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isplay is transparently controlled even when the user simply passes near the refrigerator without using an intention of using the refrigerator by using a sensor that senses the user's approach.
  • 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advantage of more accurately identifying a user's intention through an active action of the user who contacts the touch sensor 102.
  • the touch sensor 102 may be any device that can output a signal to the controller 104 by sensing various inputs of a user such as a mechanical switch, a pressure sensor, a capacitive sensor, and the like.
  • the touch sensor 102 may be connected to a handle of a refrigerator door, may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01, and may be included as a component of the display unit 101. That is, the touch sensor 102 may be connected to various parts of the refrigerator 100 and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 the open / close sensor 103 may detect an open / close stat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output a second signal.
  • the 'first signal' and 'second signal' are names for distinguish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act sensor 102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open / close sensor 103,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do not mean temporal priority or importance.
  • the controller 104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contact by receiving the first signal, and determine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door by receiving the second signal.
  • the controller 1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ransparent or opaque state of the display unit 101 based on whether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door and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 the control signal may be directly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1 as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04 or may be output to a separate device for adjusting the transparent state of the display unit 101.
  • FIG 2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 the display unit 101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so that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can be seen when the display unit 101 is in a transparent state.
  • 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attached to only two door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refrigerator 100.
  • the display attached to the left door of the display 101 is currently in an opaque state, and the display attached to the right door is in a transparent state.
  • the example of the refrigerator 100 illustrated in FIG. 2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an embodiment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 Switching methods include a wink method that switches from an opaque state to a transparent state at once, a dimming method that gradually switches from an opaque state to a transparent state, and a sliding method that slides an opaque portion into a transparent state. It can vary. Of course, the transition from the transparent state to the opaque state can also vary.
  • control unit 104 may switch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when the contact of the user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the refrigerator 1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105 that stores a preset threshold time T th .
  • the memory unit 105 may record and erase data such as flash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and solid state drive (SSD).
  • RAM random access memory
  • ROM read only memory
  •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 SSD solid state drive
  • mass storage medium such as a semiconductor device or a hard disk, it is a generic term for a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device and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memory device.
  • the threshold time T th is a reference time for determining the intention to switch the display unit 101 to be transparent and may be variously set. That is, if the user maintains the contact sensor 102 in contact with the threshold time T th or mor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ntends to transparently switch the display 101.
  • the controller 104 maintains the display unit 101 in an opaque state when there is no user's contact or when there is a user's contact but the contact holding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ime T th or the door is open. Can output a control signal. If there is no contact with the us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want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user contact, if it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nten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if the door is open, there is no need to switch the display unit 101 to the transparent state becaus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already visible.
  • control unit 104 controls the display unit 101 to switch to the transparent state when the contact holding time is more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 from the time when the user's contact is started and the door is closed. You can output When all o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want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so that the display unit 101 needs to be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 control unit 1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maintaining the display unit 101 in a transparent state while the user's contact is maintained after the display unit 101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have. If the user keeps contact with the touch sensor 102 even after the display unit 101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wants to keep looking in the refrigera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display unit 101 in a transparent state while the contact is maintained.
  • control unit 1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after a predetermined switching time passes after the display unit 101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have.
  • control unit 104 controls the display unit 101 when the user's contact disappears or the door is opened afte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o the opaque state can be output. If the user's contact disappear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no longer wants to look inside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if the door is open, sinc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already visible, it is not necessary to keep the display unit 101 in a transparent state.
  • the controller 104 reconnects the user when there is a user's recontact within a preset recontact time. From this point of time,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can be output. Since the user no longer needs to look inside the refrigerator, the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or 102 is stopped, but a situation may occur where the user wants to see the refrigerator again. In this case, if the user re-contacts within a preset re-contact time afte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want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g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display unit 101 back to the transparent state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recontact occurs.
  • an embodiment of switching to an opaque state when the contact disappears and an embodiment of switching to an opaque state after the switching time elapse may be applied to the refrigerator 100 together.
  •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by recontacting after being converted to an opaque state may also be applied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o enable various combinations of embodiments.
  • the controller 104 may switch the display 101 to a transparent state through a sliding input of a user.
  • the touch sensor 102 may further output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 unit 1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when receiving the third signal. That is, if the user has an aggressive action such as an input sliding to the touch sensor 10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want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 the third signal is a name for distinguishing the first signal from the second signal.
  • the first sliding input means a sliding input having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sliding input to be described below.
  •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according to a sliding input.
  • the contact sensor 102 is connected to a handle formed in the door. Therefore, when the user grabs the handle of the door and makes a first sliding input, the contact sensor 102 connected to the handle outputs a third signal.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the transparent state, the control unit 104 slides the opaque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01 to switch the display unit 101 to the transparent state. Can output a control signal.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the transparent state, the opacity of the display unit 10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liding input direction of the third signal. By sliding a portion, a control signal for converting the display unit 101 into a transparent state may be output.
  • control unit 104 switches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through a user's sliding input
  • the control unit 104 switches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through a user's sliding input. You can.
  • the touch sensor 102 may further output a fourth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sliding input havi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liding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 unit 1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when receiving the fourth signal after converting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 the fourth signal is a name for distinguishing it from the first to third signals described above.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switched to an opaque state according to a sliding input.
  • the right to left sliding input is the second sliding input.
  • the second sliding input refers to a sliding input having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liding input. That is, if the user has made an active and opposite behavior such as the second sliding input having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sliding input to the touch sensor 102, the user may no longer wish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Can be.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 the contact sensor 102 is connected to a handle formed in the doo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refore, when the user grabs the door handle and makes a second sliding input, the contact sensor 102 connected to the handle outputs a fourth signal.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the control unit 104 slides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01 so that the display unit 101 is in an opaque state.
  • the control signal can be output.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the control unit 104 is transparent of the display unit 10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liding input direction of the fourth signal. By sliding the par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may be output.
  • control unit 1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after a predetermined switching time after the display unit 101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converted to an opaque state by the second sliding after the display unit 101 is converted to the transparent state and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converted to the opaque state after the switching time have been applied are also applied to the refrigerator 100. Can be.
  • control unit 104 may switch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through a knock input of a user.
  • the touch sensor 102 may further output a fift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nock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ler 1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101 to a transparent state when the fifth signal is received.
  •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101 is switched to an opaque state according to a knock input.
  • the touch sensor 102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101. Therefore, the display unit 101 has a form of a so-called touch display. Therefore, when the user knocks the display unit 101 like knocking, the touch sensor 102 outputs a fifth signal.
  • the fifth signal is a name for distinguishing it from the first to fourth signals described above.
  • the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the opaque portion gradually disappears from a portion close to one point of the display unit 101.
  •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can be output.
  • the one point may be a point at which the knock input is applied in the display unit 101.
  • the control unit 1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an opaque state when the fifth signal is re-received after the display unit 101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If the user repeats an aggressive action such as a knock inpu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no longer wants to see the refrigerator.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switched to an opaque state according to the knock re-input.
  • a user's hand knocking as if knocking the display unit 101 in a transparent state may be checked.
  • the touch sensor 102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01, similarly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refore, when the user knocks the display unit 101 like knocking, the contact sensor 102 re-outputs the fifth signal.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the transparent part gradually disappears from a part far from any one point of the display unit 101 so that the display is gradually disappeared.
  •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unit 101 to an opaque state can be output.
  • the one point may be a point at which the knock input is applied.
  • control unit 1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after a predetermined switching time after the display unit 101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when the contact tim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step S200 the controller 104 receives a first signal output from the touch sensor 102 that detects a user's touch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 touch. If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that there is user contact (YES in S200), the control proceeds to step S210.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that there is no user contact (NO in S20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40.
  • step S210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whether the contact holding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ime T th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user's contact is started.
  • the threshold time T th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05.
  •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220 when the contact holding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YES in S210).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act holding time is not greater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or more (NO in S210), the control unit 104 proceeds to step S240.
  • step S220 the controller 104 receives the second signal output by the open / close sensor 103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refrigerator door to determine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door. If the door is closed (YES in S22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230. On the other hand, if the door is not closed (YES in S22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240.
  • step S230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200 after performing step S230. Therefore, if the user maintains contact with the touch sensor while the refrigerator door is closed, the controller 104 repeatedly maintains the display unit 101 in a transparent state while repeatedly performing steps S200 to S230.
  • step S240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teps S200 to S220, the controller 104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in step S240.
  • step S240 the control unit 104 proceeds to step S200.
  • the control unit 104 repeatedly performs steps S200 to S240.
  • control unit 104 repeatedly performs steps S200 to 240 to determine a transparent or opaque state of the display unit 101. You can switch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and the switching time has elapsed, thereby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opaque state.
  • step S250 is further added, 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7. Therefore,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the added step S250.
  • the control unit 104 performs step S230, and proceeds to step S250.
  • step S250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whether a preset switching time has elapsed. The switching tim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05. If the preset switching time has elapsed (YES in step S250), the control unit 104 proceeds to step S240. In operation S240, the controller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101 to an opaque state. On the other hand, if the preset switching time has not elapsed (NO in step S25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200. The control unit 104 repeatedly performs steps S200 to S250.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101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when the display 101 is switched to an opaque state and there is a recontact.
  • step S260 is further added,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refore,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the added step S260.
  • step S240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contact of the user within a preset recontact time.
  • the recontact tim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05. If there is a recontact within the recontact time (YES in step S26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230.
  • step S230 the controller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101 to a transparent state.
  •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200.
  • the controller 104 repeatedly performs steps S200 to S240 and S260.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101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by a sliding input.
  • step S300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an open / closed state of a refrigerator door from the open / close sensor 103. If the door is in the closed state (YES in step S30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3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is in the open state (NO in step S300), the controller 104 repeats step S300.
  • step S310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whether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input of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102. If the controller 104 has received the third signal (YES in step S31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20.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ler 104 has not received the third signal (NO in step S31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0 to repeat steps S300 and S31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01 may maintain an opaque state while the controller 104 repeatedly performs steps S300 and S310.
  • step S320 the controller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101 to a transparent state.
  • the controller 104 performs step S320 and proceeds to step S330.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the control unit 104 slides the opaque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01 to display the display unit (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101 to a transparent state can be output.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the transparent state, the opacity of the display unit 10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liding input direction of the third signal. By sliding a portion, a control signal for converting the display unit 101 into a transparent state may be output. Since th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step S330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refrigerator door from the open / close sensor 103. If the door is in the closed state (YES in step S33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340.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is in the open state (NO in step S33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350.
  •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ler 104 receives a fourt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liding input of the user from the touch sensor 102. If the controller 104 receives the fourth signal (YES in step S34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50.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ler 104 has not received the fourth signal (NO in step S34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30 to repeat steps S340 and S350. Accordingly, the display 101 may maintain a transparent state while the controller 104 repeatedly performs steps S340 and S350.
  • the controller 104 In operation S350, the controller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101 to an opaque state.
  • the control unit 104 performs step S350,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0. Therefore, the controller 104 repeatedly performs steps S300 to S350.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the control unit 104 slides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01 to display the display unit (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101) into an opaque state can be output.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the control unit 104 is transparent of the display unit 10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liding input direction of the fourth signal. By sliding the par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may be output. Since th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and the switching time elapses so that the display unit is changed to the opaque state.
  • step S340 is replaced with step S340-1, 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0. Therefor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spect to the replaced step S340-1.
  • step S340-1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whether a preset switching time has elapsed.
  • the switching tim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05. If the preset switching time has not elapsed (NO in step S340-1),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330 and repeats steps S340 and S350. Accordingly, the display 101 may maintain a transparent state while the controller 104 repeatedly performs steps S340 and S350. On the other hand, if the preset switching time has elapsed (YES in step S340-1),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350. In operation S350, the controller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101 to an opaque state.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by a knock input.
  • step S400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an open / closed state of a refrigerator door from the open / close sensor 103. If the door is in the closed state (YES in step S4000), the control unit 104 proceeds to step S4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is in the open state (NO in step S40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440. Therefore, when the refrigerator door is open, the display unit 101 may maintain an opaque state.
  • step S410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whether the fift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nock input of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102. If the controller 104 has received the fifth signal (YES in step S41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420.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ler 104 has not received the fifth signal (NO in step S41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400 and repeats steps S400 and S410.
  • step S420 the controller 104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101 is in an opaque state. If the display unit 101 is in an opaque state (YES in step S420), the control unit 104 proceeds to step S430. In operation S430, the controller 104 converts the display 101 to transparent. On the other hand, if the display unit 101 is not in an opaque state (NO in step S420), the controller 104 proceeds to step S440. In operation S440, the controller 104 switches the display 101 to opaque. The controller 104 performs step S430 or step S440,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0. The controller 104 repeats steps S400 to S440.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verting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an opaque portion starts from a portion close to any one point of the display unit 101. This gradually disappears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 transparent state. Since th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control unit 104 when the control unit 104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the control unit 104 is transparent from a part far from any point of the display unit 101. The portion may gradually disappear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Since th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control unit 104 controls to switch the display unit 101 to an opaque state after a preset switching time after the display unit 101 is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Can output a signal. Since the embodiment has already been described,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FIG. 13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refrigerator 5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501, a contact sensor 502, an open / close sensor 503, a controller 504, and a camera unit 505.
  • the display unit 501 output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505 as an image.
  • the image output of the display unit 50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4.
  • touch sensor 502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touch sensor 102,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troller 504 may receive the first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contact, and receive the second signal to determine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door.
  • the controller 5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505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01 based on whether the user is in contact and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 the camera unit 505 is located inside the refrigerator, and photographs an inside image of the refrig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side image').
  • the camera unit 505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 apparatuses in order to photograph various parts of the refrigerator.
  • FIG. 14 is an exemplary view of a refrigerator 500 in which a camera unit 505 is installed.
  • two camera devices installed therein may be identified through an open right door. 1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amera unit 505 includes two camera devices,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 FIG. 1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unit 501 is attached to the left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efrigerator 500.
  • the display unit 101 outputs an internal image as an imag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4.
  • the controller 504 may control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01 when the user's contac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the refrigerator 5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506 for stor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T th .
  • the threshold time T th is a reference time for determining the user's intention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nd may be variously set. That is, if the user maintains contact with the touch sensor 502 for more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ntends to see an internal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501.
  • the controller 504 may not transmit the internal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when there is no user's contact or when there is a user's contact but the contact holding tim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or the door is open. Control not to output video. If there is no contact with the us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want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user contact, if it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nten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if the door is open, sinc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already visible, there is no need to output the internal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 the controller 504 outputs the internal image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when the contact holding tim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and the door is closed from the time when the user's contact is started. Can be controlled. When all o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want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 the controller 5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and then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1 while the user's contact is maintained. You can control the output to continue. If the user keeps contact with the touch sensor 502 even after the display unit 501 outputs the internal imag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ntends to keep looking in the refrigera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internal image as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501 while the contact is maintained.
  • the controller 5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and then the internal image is no long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1 after a preset switching time. You can control it so that it is not output.
  • the controller 5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and then the user's contact disappears or the door is opened, the internal The image may be controlled not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501 as an image. If the user's contact disappear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user no longer wants to look inside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if the door is open, sinc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already visible, there is no need to output the internal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 control unit 504 controls the user's contact disappears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internal image is not output to the display unit 501 as an image and there is a user's re-contact within a preset re-contact time
  • the internal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user is in contact again. Since the user no longer needs to look inside the refrigerator, the contact with the touch sensor 502 is interrupted, but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wants to see the refrigerator again may occur.
  • the controller 504 may control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through a sliding input of a user.
  • the touch sensor 502 may further output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ler 504 may control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when the third signal is received. That is, if the user has an aggressive action such as an input sliding to the touch sensor 50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ntend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output the internal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as an image.
  • the third signal is a name for distinguishing the first signal from the second signal.
  • the first sliding input means a sliding input having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sliding input to be described below.
  • the controller 5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through a sliding input of the user, the controller 504 displays the internal image through the sliding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ler 501 may be controlled to not output an image to the unit 501.
  • the touch sensor 502 may further output a fourt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liding input havi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liding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ler 5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and then receives the fourth signal so that the internal image is not output to the display unit 501 as an image. Can be controlled.
  • the fourth signal is a name for distinguishing it from the first to third signals described above.
  • the controller 5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through a sliding input of the user. After a preset switching time, the internal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1. You can control the video not to be output.
  • the controller 504 may control the image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501 through the knock input of the user.
  • the touch sensor 502 may further output a fift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nock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ler 504 may control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when the fifth signal is received.
  • the controller 5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and then outputs the internal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as an image when the fifth signal is re-received. Can be controlled to prevent If the user repeats an aggressive action such as a knock inpu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no longer wants to see the refrigerator.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output the internal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as an image.
  • the controller 5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after the preset switching time elapses after controlling the internal image a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501. You may.
  • FIG. 15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refrigerator 6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601, a contact sensor 602, an open / close sensor 603, a control unit 604, and a camera unit 605.
  • the communication unit 601 transmit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605 as image data.
  • Image data transmiss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601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604.
  • the communication unit 601 may include an RF electric circuit network considering a wireless connection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the lik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601 include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Time Division (TDMA).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EDGE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TDMA Time Division
  •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protocol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Multiple Access, Bluetooth, Wi-Fi, Short Message Service (SMS) text, and other related communications considering wireless communication by voice recognition capable device 100 Standards and conventions can be followed.
  • touch sensor 602 is the same as the touch sensor 102 described above,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troller 604 may receive the first signal to determine whether a user is in contact, and receive the second signal to determine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door.
  • the control unit 604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601 to transmit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601 as image data based on whether the user is in contact and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have.
  • the camera unit 605 is located inside the refrigerator, and photographs an inside image of the refrig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rnal image').
  • the camera unit 605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 devices in order to photograph various parts of the refrigerator.
  • FIG. 16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n internal image is shown as an augmented reality image to a user wearing the wearable display device 700.
  • FIG. 16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amera unit 605 includes two camera devices, but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 FIG. 16 may identify a user who wears the wearable display device 700.
  • the wearable display device 700 may receiv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 the received image data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as an augmented reality image 701.
  • the wearable display device 700 illustrated in FIG. 16 is a device of a head type, and may provide augmented reality to a user by overlapping a virtual image in real time as seen by the user in real time.
  • the wearable display device 700 is shown as an example of a device worn on the head, but the above exampl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wearable display device 700 refers to any devic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user's body to perform a computing action.
  • various types of wearable devices such as glasses, hair bands, wristwatches, arm bands, shoes, neckbands, rings, contact lens types, etc. have been disclosed, but are not limited to the type of wear.
  • control unit 604 may control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when the user's contac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the refrigerator 6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606 for storing a preset threshold time T th .
  • the threshold time T th is a reference time for determining the user's intention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nd may be variously set. That is, if the user maintains contact with the touch sensor 602 for more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ntends to see an internal imag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mage 701.
  • the controller 604 may display the internal image in the communication unit 601 when there is no user's contact or when there is a user's contact but the contact holding tim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or the door is open. Control not to transmit data. If there is no contact with the us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want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user contact, if it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ntention of the user who want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if the door is open, sinc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already visible, there is no need to check the internal imag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mage 701.
  • the controller 604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a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when the contact holding tim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time T th and the door is closed from the time when the user's contact is started. Can be controlled. When all o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want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 control unit 6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output a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and then the image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to the internal image while the user's contact is maintained. Can be controlled to continue transmission. If the user keeps contact with the touch sensor 602 even after the user checks the inside image of the refrigerator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mage 701,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ntends to keep looking in the refrigera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while the contact is maintained.
  • the controller 6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th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and then passes the internal imag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to the image data after a preset switching time. You can control it so that it is no longer sent.
  • control unit 6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th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after the user's contact disappears or the door is opened, the internal The image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601 does not transmit the image data. If the user's contact disappear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no longer wishe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mage 701. In addition, if the door is open, sinc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already visible, there is no need to check the internal imag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image 701.
  • control unit 604 controls the user's contact disappears in the state that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internal image is not transmitted to th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and there is a user's re-contact within a preset re-contact time
  • the internal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as th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user is in contact again. Since the user no longer needs to look inside the refrigerator, the contact with the touch sensor 602 is stopped, but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wants to see the refrigerator again may occur.
  • the controller 604 may control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through a sliding input of a user.
  • the touch sensor 602 may further output a thir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ing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ler 604 may control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when the third signal is received. That is, if the user has an aggressive action such as an input sliding to the touch sensor 60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ntends to se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 the third signal is a name for distinguishing the first signal from the second signal.
  • the first sliding input means a sliding input having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sliding input to be described below.
  • the controller 6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through a sliding input of the user, the controller 604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to the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sliding input of the user. In operation 601, the control may not be transmitted as image data.
  • the touch sensor 602 may further output a fourth signal corresponding to a second sliding input havi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liding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ler 6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the image data in the communication unit 601 and then receives the fourth signal so that the internal image is not transmitted as the image data in the communication unit 601. Can be controlled.
  • the fourth signal is a name for distinguishing it from the first to third signals described above.
  • control unit 6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th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through a sliding input of the user, a predetermined switching time elapses, and the internal image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It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be transmitted as image data.
  • the controller 604 may control the image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as image data through a knock input of a user.
  • the touch sensor 602 may further output a fift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nock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ler 604 may control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when the fifth signal is received.
  • control unit 6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th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and then re-receives the fifth signal
  • the control unit 604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as th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Can be controlled to prevent If the user repeats an aggressive action such as a knock inpu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no longer wants to see the refrigerator.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control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 the controller 604 controls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the image data after a preset switching time after controlling the internal image to be transmitted as the image data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01. You may.
  •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other chipset, a logic circuit, a register, a communication modem,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like, which are known in the art to execute calculation and various control logic. It may include.
  •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set of program modules.
  • the program modul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executed by a processor.
  • ⁇ part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apply to the refrigerator in whole or in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사용자가 접촉 센서를 일정시간 이상 접촉할 경우, 디스플레이가 투명하게 된다. 접촉이 사라지거나 문이 열린 경우, 디스플레이가 불투명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접촉 센서에 슬라이딩 입력을 하거나 노크 입력을 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가 투명하게 되거나 불투명하게 될 수 있다. 접촉 등 사용자의 적극적인 행동을 통해 냉장고 내부를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불필요하게 투명하게 전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본 명세서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분야의 기술 발달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기기는 현대인의 생활 속 곳곳에 배치되었다. 반도체 분야의 기술 중에서도, 특히 눈에 띄는 분야는 바로 디스플레이 분야이다. 수요자의 요구에 맞추어 새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연구에 의해 개발된 것 중 하나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투명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는 투명한 성질을 가져서 장치 뒷쪽 배경이 그대로 비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등과 같은 불투명 반도체 화합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였다. 그러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산화물 반도체막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투명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장치 뒷쪽에 위치하는 후면 배경을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14-0035850에는 투명 디스플레이가 전면에 부착된 냉장고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는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할 경우, 디스플레이하던 화면을 중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투명하게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냉장고 안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사용자가 냉장고에 볼일이 없는 경우에도 즉, 다른 목적을 가지고 냉장고 앞을 지나가거나, 공간상의 제약으로 냉장고 앞에서 다른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문헌에 개시된 냉장고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투명하게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착된 냉장고의 경우, 사용자의 의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적극적 의사를 반영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는 제어신호에 의해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센서; 냉장고 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센서; 및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는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접촉이 없거나 또는 사용자의 접촉이 있지만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 이하이거나 또는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접촉이 개시된 시점부터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 이상이고 상기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지나 또는 상기 문이 열린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재접촉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 시점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재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센서는 사용자의 제1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3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불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3 신호의 제1 슬라이딩 입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불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센서는 사용자의 상기 제1 슬라이딩 입력과 반대 방향을 가진 제2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상기 제4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불투명 상태가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4 신호의 제2 슬라이딩 입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센서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5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한 점과 가까운 부분부터 불투명 부분이 점차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상기 제5 신호를 재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한 점과 멀리 떨어진 부분부터 투명 부분이 점차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 제어 방법은 (a)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가 출력한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냉장고 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센서가 출력한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의 접촉여부 및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촉을 일정시간 이상 유지하는 사용자의 행동을 통해서 사용자의 의사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디스플레이 제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딩 또는 노크와 같이 단순 접촉 외에 적극적 행위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디스플레이 제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냉장고 문을 열지 않고 냉장고 내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냉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를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가 냉장고 문의 전면에 부착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입력에 따라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입력에 따라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가 노크 입력에 따라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가 노크 재입력에 따라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접촉시간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부가 투명 상태로 전환되고 전환시간이 경과하여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부가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고 재접촉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입력에 의해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부가 투명 상태로 전환되고 전환시간이 경과하여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부가 노크 입력에 의해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내부에 카메라부가 설치된 냉장고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내부 이미지가 증강 현실 영상으로 보여지고 있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100)는 디스플레이부(101), 접촉 센서(102), 개폐 센서(103) 및 제어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제어신호에 의해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일명 '투명디스플레이'로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뒷쪽 배경이 그대로 비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104)에서 출력된다.
상기 접촉 센서(102)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100)는 사용자가 냉장고를 사용하려고 하거나 냉장고 안을 들여다 보고 싶어하는 적극적 의사를 상기 접촉 센서(102)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냉장고 사용에 대한 적극적 의사가 없이 단순히 냉장고 근처에 지나가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를 투명하게 제어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100)는 상기 접촉 센서(102)를 접촉하는 사용자의 적극적 행동을 통해서 사용자의 의사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접촉 센서(102)는 기계식 스위치, 압력 센서, 정전용량 센서 등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104)에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촉 센서(102)는 냉장고 문의 손잡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일 구성요소로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접촉 센서(102)는 상기 냉장고(100)의 다양한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개폐 센서(103)는 냉장고 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는 각각 상기 접촉 센서(102)가 출력하는 신호와 상기 개폐 센서(103)가 출력하는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시간적 우선 또는 중요도 등을 의미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사용자의 접촉 여부 및 문의 개폐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104)에서 출력되는 신호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직접 출력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투명 상태를 조절하는 별도의 장치에 출력될 수도 있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101)가 냉장고 문의 전면에 부착된 예시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투명 상태일 때, 냉장고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냉장고 문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냉장고(100)의 상단부에 위치한 2개의 문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가 부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1) 중 왼쪽 문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는 현재 불투명 상태이고, 오른 쪽 문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는 현재 투명 상태이다. 하지만, 상기 도 2에 도시된 냉장고(100)의 예시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한 실시예로서 본 명세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불투명 상태에서 한번에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윙크(wink) 방식, 불투명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디밍(dimming) 방식, 불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슬라이딩(sliding) 방식 등 전환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물론 투명 상태에서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방식도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접촉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100)는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Tth)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05)는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소거할 수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반도체 소자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매체로서, 디바이스의 종류에 상관 없이 정보가 저장되는 디바이스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특정 메모리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임계시간(Tth)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하게 전환시키려는 의사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시간으로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접촉 센서(102)를 상기 임계시간(Tth) 이상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면,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하게 전환시키려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접촉이 없거나 또는 사용자의 접촉이 있지만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Tth) 이하이거나 또는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이 없다면,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의사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접촉이 있다 하여도 상기 임계시간(Tth) 이하라면, 역시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의사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문이 열린 상태라면, 이미 냉장고의 안이 보이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없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접촉이 개시된 시점부터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Tth) 이상이고 상기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도 사용자가 계속해서 상기 접촉 센서(102)와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계속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지나 또는 상기 문이 열린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졌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더 이상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문이 열린 상태라면, 이미 냉장고의 안이 보이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유지시킬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제어부(104)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재접촉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 시점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재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더 이상 냉장고 안을 볼 필요가 없어 상기 접촉 센서(102)와의 접촉을 중단하였으나, 다시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재접촉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다면, 사용자에게 다시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상기 재접촉이 있는 시점부터, 지체 없이, 투명 상태로 재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1)가 투명 상태로 전환된 이후, 접촉이 사라지면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 및 전환시간이 경과하면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는 함께 상기 냉장고(1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1)가 불투명 상태로 전환된 이후 재접촉에 의해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 역시, 상술한 실시예와 함께 적용되어 다양한 조합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슬라이딩입력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 센서(102)는 사용자의 제1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3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접촉 센서(102)에 슬라이딩하는 입력과 같이 적극적인 행위가 있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제3 신호란, 상술한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딩 입력이란, 이하 설명될 제2 슬라이딩 입력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진 슬라이딩 입력을 의미한다.
도 3은 디스플레이부(101)가 슬라이딩 입력에 따라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우측 문의 중간에 형성된 손잡이를 손으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 센서(102)는 문에 형성된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문의 손잡이를 잡고 제1 슬라이딩 입력을 하면,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 상기 접촉 센서(102)가 제3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불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3 신호의 제1 슬라이딩 입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불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4)가 사용자의 슬라이딩입력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켰다면, 상기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슬라이딩입력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 센서(102)는, 사용자의 상기 제1 슬라이딩 입력과 반대 방향을 가진 제2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상기 제4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신호란, 상술한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101)가 슬라이딩 입력에 따라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우측 문의 중간에 형성된 손잡이를 손으로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 슬라이딩 입력이 제2 슬라이딩 입력이다. 상기 제2 슬라이딩 입력이란, 상기 제1 슬라이딩 입력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진 슬라이딩 입력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접촉 센서(102)에 제1 슬라이딩 입력과 반대 방향을 가진 제2 슬라이딩 입력과 같이 적극적이면서도 앞선 행동과 반대인 행위를 하였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더 이상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 센서(102)는,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문에 형성된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문의 손잡이를 잡고 제2 슬라이딩 입력을 하면,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 상기 접촉 센서(102)가 제4 신호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가 불투명 상태가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4 신호의 제2 슬라이딩 입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1)가 투명 상태로 전환된 이후, 제2 슬라이딩에 의해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 및 전환시간이 경과하여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는 함께 상기 냉장고(100)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 센서(102)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5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101)가 노크 입력에 따라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1)를 노크하듯이 두드리는 사용자의 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 센서(10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일명 터치 디스플레이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노크하듯이 두드리면, 상기 접촉 센서(102)가 제5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5 신호란, 상술한 제1 신호 내지 제4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어느 한 점과 가까운 부분부터 불투명 부분이 점차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한 점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서 상기 노크 입력이 가해진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상기 제5 신호를 재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노크 입력과 같은 적극적 행위를 반복하였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더 이상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101)가 노크 재입력에 따라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투명 상태의 디스플레이부(101)를 노크하듯이 두드리는 사용자의 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 센서(102)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노크하듯이 두드리면, 상기 접촉 센서(102)가 제5 신호를 재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어느 한 점과 멀리 떨어진 부분부터 투명 부분이 점차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한 점은 상기 노크 입력이 가해진 지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냉장고(100)의 디스플레이부(101)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냉장고(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각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접촉시간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20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102)가 출력한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접촉이 있다고 판단하면(S200의 YES), 단계 S210으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접촉이 없다고 판단하면(S200의 NO), 단계 S240으로 이행한다.
단계 S21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사용자의 접촉이 개시된 시점부터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Tth)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임계시간(Tth)은 상기 메모리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Tth) 이상인 경우(S210의 YES), 단계 S220으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Tth) 이상이 아닌 경우(S210의 NO), 단계 S240으로 이행한다.
단계 S22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냉장고 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센서(103)가 출력한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4)는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S220의 YES), 단계 S230으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는 문이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S220의 YES), 단계 S240으로 이행한다.
단계 S23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230을 수행한 이후, 단계 S200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냉장고 문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촉 센서와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면,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200 내지 단계 S23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유지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가 단계 S200 내지 단계 S220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단계 S240으로 이행하게 될 경우, 단계 S24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240을 수행한 이후, 단계 S200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200 내지 단계 S240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4)는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이상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200 내지 24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를 사용자의 의사에 맞게 전환시킬 수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부(101)가 투명 상태로 전환되고 전환시간이 경과하여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단계 S200 내지 S240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단계 S250이 더 추가된 것 역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된 단계 S250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230을 수행하고, 단계 S250으로 이행한다. 단계 S25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전환시간은 상기 메모리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4)는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경과하였다면(단계 S250의 YES), 단계 S240으로 이행한다. 단계 S24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는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단계 S250의 NO), 단계 S200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200 내지 단계 S250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부(101)가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고 재접촉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1)가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단계 S200 내지 S240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단계 S260이 더 추가된 것 역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된 단계 S260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240을 수행하고, 단계 S260으로 이행한다. 단계 S26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미리 설정된 재접촉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재접촉 시간은 상기 메모리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재접촉 시간 이내에 재접촉이 있다면(단계 S260의 YES), 단계 S230으로 이행한다. 단계 S23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는 재접촉 시간 이내에 재접촉이 있지 않았다면(단계 S260의 NO), 단계 S200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200 내지 단계 S240 및 단계 S260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부(101)가 슬라이딩 입력에 의해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30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개폐 센서(103)로부터 냉장고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단계 S300의 YES),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310으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단계 S300의 NO),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300을 반복 수행한다.
단계 S31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접촉 센서(102)로부터 사용자의 제1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3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4)가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였다면(단계 S310의 YES), 단계 S320으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가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면(단계 S310의 NO), 단계 S300으로 이행하여 단계 S300 및 단계 S310을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4)가 단계 S300 및 단계 S310을 반복 수행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불투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320을 수행하고, 단계 S330으로 이행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불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3 신호의 제1 슬라이딩 입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불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단계 S330에서, 상기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개폐 센서(103)로부터 냉장고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단계 S330의 YES),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340으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단계 S330의 NO),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350으로 이행한다.
단계 S34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접촉 센서(102)로부터 사용자의 제2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4)가 상기 제4 신호를 수신하였다면(단계 S340의 YES), 단계 S350으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가 상기 제4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면(단계 S340의 NO), 단계 S330으로 이행하여 단계 S340 및 단계 S350을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4)가 단계 S340 및 단계 S350을 반복 수행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투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350을 수행하고, 단계 S300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300 내지 단계 S350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4 신호의 제2 슬라이딩 입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11은 디스플레이부가 투명 상태로 전환되고 전환시간이 경과하여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단계 S300 내지 S330 및 S350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단계 S340이 단계 S340-1로 대체된 것 역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대체된 단계 S340-1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340-1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전환시간은 상기 메모리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4)는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단계 S340-1의 NO), 단계 S330으로 이행하여 단계 S340 및 단계 S350을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4)가 단계 S340 및 단계 S350을 반복 수행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투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는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경과하였다면(단계 S340-1의 YES), 단계 S350으로 이행한다. 단계 S35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12는 디스플레이부가 노크 입력에 의해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실시예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S40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개폐 센서(103)로부터 냉장고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단계 S4000의 YES),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410으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단계 S400의 NO),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440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냉장고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불투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접촉 센서(102)로부터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대응하는 제5 신호를 수신하였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4)가 제5 신호를 수신하였다면(단계 S410의 YES),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420으로 이행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4)가 제5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면(단계 S410의 NO),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400으로 이행하여 단계 S400 및 단계 S410을 반복 수행한다.
단계 S42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가 불투명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1)가 불투명 상태라면(단계 S420의 YES),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430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43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으로 전환시킨다. 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가 불투명 상태가 아니라면(단계 S420의 NO),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440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440에서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430 또는 단계 S440을 수행하고, 상기 단계 S400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4)는 단계 S400 내지 단계 S440을 반복 수행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어느 한 점과 가까운 부분부터 불투명 부분이 점차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의 어느 한 점과 멀리 떨어진 부분부터 투명 부분이 점차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5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500)는 디스플레이부(501), 접촉 센서(502), 개폐 센서(503), 제어부(504) 및 카메라부(5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1)는 상기 카메라부(505)가 촬영한 이미지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의 영상 출력은 상기 제어부(50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센서(502)는 상술한 접촉 센서(102)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 센서(503)는 상술한 개폐 센서(103)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사용자의 접촉 여부 및 문의 개폐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부(505)가 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505)는 냉장고 내부에 위치하여, 냉장고 내부 이미지(이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부(505)는 냉장고 내부를 보다 다양하고 많은 부분을 촬영하기 위해 복수의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내부에 카메라부(505)가 설치된 냉장고(500)의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열린 오른쪽 문을 통해 내부에 설치된 2대의 카메라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상기 카메라부(505)가 2대의 카메라 장치로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4에는 상기 냉장고(500)의 상단부 왼쪽에 상기 디스플레이부(501)가 부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1)는 상기 제어부(504)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 이미지를 영상으로 출력하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4)는 사용자의 접촉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500)는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Tth)을 저장하는 메모리부(5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Tth)는 냉장고의 내부를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시간으로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접촉 센서(502)를 상기 임계시간(Tth) 이상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면, 사용자에게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를 통해서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4)는 사용자의 접촉이 없거나 또는 사용자의 접촉이 있지만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Tth) 이하이거나 또는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사용자의 접촉이 없다면,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의사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접촉이 있다 하여도 상기 임계시간(Tth) 이하라면, 역시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의사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문이 열린 상태라면, 이미 냉장고의 안이 보이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내부 이미지를 출력할 필요가 없다.
반면, 상기 제어부(504)는 사용자의 접촉이 개시된 시점부터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Tth) 이상이고 상기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 이후,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계속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서 상기 내부 이미지를 출력한 이후에도 사용자가 계속해서 상기 접촉 센서(502)와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계속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더 이상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 이후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지나 또는 상기 문이 열린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졌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더 이상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문이 열린 상태라면, 이미 냉장고의 안이 보이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내부 이미지를 출력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제어부(504)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져서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 이후 미리 설정된 재접촉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 시점부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더 이상 냉장고 안을 볼 필요가 없어 상기 접촉 센서(502)와의 접촉을 중단하였으나, 다시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 이후 미리 설정된 재접촉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다면, 사용자에게 다시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접촉이 있는 시점부터, 지체 없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4)는 사용자의 슬라이딩입력을 통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 센서(502)는 사용자의 제1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3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접촉 센서(502)에 슬라이딩하는 입력과 같이 적극적인 행위가 있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제3 신호란, 상술한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딩 입력이란, 이하 설명될 제2 슬라이딩 입력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진 슬라이딩 입력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504)가 사용자의 슬라이딩입력을 통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였다면, 상기 제어부(504)는 사용자의 슬라이딩입력을 통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 센서(502)는, 사용자의 상기 제1 슬라이딩 입력과 반대 방향을 가진 제2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 이후 상기 제4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신호란, 상술한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또 한편, 상기 제어부(504)가 사용자의 슬라이딩입력을 통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4)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통해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 센서(502)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5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 이후 상기 제5 신호를 재수신할 때,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노크 입력과 같은 적극적 행위를 반복하였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더 이상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제어부(5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 영상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6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600)는 통신부(601), 접촉 센서(602), 개폐 센서(603), 제어부(604) 및 카메라부(6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601)는 상기 카메라부(605)가 촬영한 이미지를 영상 데이터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601)의 영상 데이터 전송은 상기 제어부(60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601)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외부 통신망으로의 무선 접속을 고려한 RF 전기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01)에 의해 접속되는 무선 통신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SMS(Short Message Service) 문자를 포함하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통신 규격과 규약, 및 음성 인식 가능 디바이스(100)에 의한 무선 통신을 고려한 다른 관련 통신 규격과 규약을 따를 수 있다.
상기 접촉 센서(602)는 상술한 접촉 센서(102)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 센서(603)는 상술한 개폐 센서(103)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사용자의 접촉 여부 및 문의 개폐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부(605)가 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605)는 냉장고 내부에 위치하여, 냉장고 내부 이미지(이하' 내부 이미지')를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부(605)는 냉장고 내부를 보다 다양하고 많은 부분을 촬영하기 위해 복수의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내부 이미지가 증강 현실 영상으로 보여지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냉장고 내부에 설치된 2대의 카메라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상기 카메라부(605)가 2대의 카메라 장치로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6에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를 착용한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는 상기 통신부(601)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영상(701)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는 머리에 쓰는 형태의 디바이스로서, 사용자가 보는 실제 환경에 가상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6에서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로서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디바이스를 예시로 제시하였으나, 상기 예시가 본 명세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여 컴퓨팅 행위를 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출원 당시 안경, 헤어 밴드, 손목시계, 암 밴드(arm band), 신발, 목거리, 반지, 콘택트렌즈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착용형 디바이스가 공개되었지만, 착용 형태에 따라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04)는 사용자의 접촉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에 따른 냉장고(600)는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Tth)을 저장하는 메모리부(6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Tth)는 냉장고의 내부를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시간으로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접촉 센서(602)를 상기 임계시간(Tth) 이상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면, 사용자에게 내부 이미지를 상기 증강 현실 영상(701)을 통해서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4)는 사용자의 접촉이 없거나 또는 사용자의 접촉이 있지만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Tth) 이하이거나 또는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사용자의 접촉이 없다면,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의사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접촉이 있다 하여도 상기 임계시간(Tth) 이하라면, 역시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의사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문이 열린 상태라면, 이미 냉장고의 안이 보이기 때문에 상기 증강 현실 영상(701)을 통해 내부 이미지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반면, 상기 제어부(604)는 사용자의 접촉이 개시된 시점부터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Tth) 이상이고 상기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출력하도록 제어한 이후,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계속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증강 현실 영상(701)으로 냉장고 내부 이미지를 확인한 이후에도 사용자가 계속해서 상기 접촉 센서(602)와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계속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더 이상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 이후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지나 또는 상기 문이 열린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졌다면, 사용자에게 상기 증강 현실 영상(701)을 통해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더 이상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문이 열린 상태라면, 이미 냉장고의 안이 보이기 때문에 상기 증강 현실 영상(701)을 통해 내부 이미지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제어부(604)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져서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한 이후 미리 설정된 재접촉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 시점부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더 이상 냉장고 안을 볼 필요가 없어 상기 접촉 센서(602)와의 접촉을 중단하였으나, 다시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한 이후 미리 설정된 재접촉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다면, 사용자에게 다시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접촉이 있는 시점부터, 지체 없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04)는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을 통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 센서(602)는 사용자의 제1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3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접촉 센서(602)에 슬라이딩하는 입력과 같이 적극적인 행위가 있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제3 신호란, 상술한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딩 입력이란, 이하 설명될 제2 슬라이딩 입력과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진 슬라이딩 입력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604)가 사용자의 슬라이딩입력을 통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였다면, 상기 제어부(604)는 사용자의 슬라이딩입력을 통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 센서(602)는, 사용자의 상기 제1 슬라이딩 입력과 반대 방향을 가진 제2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 이후 상기 제4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신호란, 상술한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또 한편, 상기 제어부(604)가 사용자의 슬라이딩입력을 통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04)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통해 상기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 센서(602)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5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 이후 상기 제5 신호를 재수신할 때,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노크 입력과 같은 적극적 행위를 반복하였다면, 사용자에게 냉장고 안을 보고 싶어하는 의사가 더 이상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제어부(604)는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내부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601)에서 영상 데이터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산출 및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제어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해 권리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속하는 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속적인 구성은 하나씩만 추가되는 예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2이상의 종속적인 구성이 조합을 이루어 추가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본 명세서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를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로 설명되었다.
본 명세서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제공된 본 명세서의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명세서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냉장고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제어신호에 의해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센서;
    냉장고 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개폐 센서; 및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접촉이 없거나 또는 사용자의 접촉이 있지만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 이하이거나 또는 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접촉이 개시된 시점부터 접촉유지시간이 상기 임계시간 이상이고 상기 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지나 또는 상기 문이 열린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재접촉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재접촉이 있는 시점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재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센서는, 사용자의 제1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3 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불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3 신호의 제1 슬라이딩 입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불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센서는, 사용자의 상기 제1 슬라이딩 입력과 반대 방향을 가진 제2 슬라이딩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4 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상기 제4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불투명 상태가 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제4 신호의 제2 슬라이딩 입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부분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센서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5 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한 점과 가까운 부분부터 불투명 부분이 점차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상기 제5 신호를 재수신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한 점과 멀리 떨어진 부분부터 투명 부분이 점차 사라져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시킨 이후 미리 설정된 전환시간이 지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a)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가 출력한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냉장고 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센서가 출력한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의 접촉여부 및 상기 문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PCT/KR2014/007308 2014-08-07 2014-08-07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WO20160217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7308 WO2016021751A1 (ko) 2014-08-07 2014-08-07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CN201480081071.7A CN106574816B (zh) 2014-08-07 2014-08-07 包括透明显示器的冰箱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7308 WO2016021751A1 (ko) 2014-08-07 2014-08-07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1751A1 true WO2016021751A1 (ko) 2016-02-11

Family

ID=5526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308 WO2016021751A1 (ko) 2014-08-07 2014-08-07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CN (1) CN106574816B (ko)
WO (1) WO2016021751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486A (ko) * 2016-03-23 201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80035521A1 (en) * 2014-10-09 2018-02-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energy usage of a transparent display case
US10258170B2 (en) 2014-10-15 2019-04-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isplay
US10417943B2 (en) 2011-10-13 2019-09-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on display case
US10679243B2 (en) 2014-06-16 2020-06-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analyzing consumption
WO2021066342A1 (ko) * 2019-10-02 2021-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1474393B2 (en) 2014-10-08 2022-10-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ighting assembly for electronic display and graphic
US11854440B2 (en) 2016-07-08 2023-12-2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irror having an integrated electronic display
WO2024181667A1 (ko) * 2023-02-28 2024-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725092B1 (ko) 2024-07-23 202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6703A (zh) * 2017-11-15 2018-02-23 佛山市淇特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
CN110708530A (zh) * 2019-09-11 2020-01-17 青岛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增强现实设备透视封闭空间的方法和系统
CN110671882A (zh) * 2019-09-16 2020-01-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敲击控制方法
CN110926086A (zh) * 2019-12-12 2020-03-27 肇庆学院 电控变色环保冰箱
CN110926085A (zh) * 2019-12-12 2020-03-27 肇庆学院 可透视双层节能环保冰箱
KR20220163929A (ko) * 2020-01-13 2022-12-12 쿨러 스크린스 인크. 냉각 캐비닛용 스마트 이동식 클로저 시스템
CN113494799A (zh) * 2020-04-02 2021-10-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透明屏的显示控制方法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962A (ja) * 1991-10-15 1993-04-27 Keiji Watanabe 冷蔵庫の透過式扉装置
KR101081617B1 (ko) * 2011-03-14 2011-11-09 (주)티원시스템즈 입체감을 갖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쇼 케이스 냉장고.
KR20130115586A (ko) * 2012-04-12 2013-10-22 (주)에스앤지그룹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겸용 지능형 냉장고
KR20140017934A (ko) * 2012-08-02 2014-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40062920A (ko) * 2012-11-15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962A (ja) * 1991-10-15 1993-04-27 Keiji Watanabe 冷蔵庫の透過式扉装置
KR101081617B1 (ko) * 2011-03-14 2011-11-09 (주)티원시스템즈 입체감을 갖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쇼 케이스 냉장고.
KR20130115586A (ko) * 2012-04-12 2013-10-22 (주)에스앤지그룹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겸용 지능형 냉장고
KR20140017934A (ko) * 2012-08-02 2014-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40062920A (ko) * 2012-11-15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냉장고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7943B2 (en) 2011-10-13 2019-09-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on display case
US10679243B2 (en) 2014-06-16 2020-06-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analyzing consumption
US12032240B2 (en) 2014-10-08 2024-07-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system for refrigerated display case
US11474393B2 (en) 2014-10-08 2022-10-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ighting assembly for electronic display and graphic
US10455671B2 (en) 2014-10-09 2019-10-22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energy usage of a transparent display case
US20180368240A1 (en) * 2014-10-09 2018-12-2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energy usage of a transparent display case
US10555406B2 (en) * 2014-10-09 2020-02-0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energy usage of a transparent display case
US20180035521A1 (en) * 2014-10-09 2018-02-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energy usage of a transparent display case
US10595648B2 (en) 2014-10-15 2020-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to products
US10258170B2 (en) 2014-10-15 2019-04-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isplay
KR102623105B1 (ko) 2016-03-23 202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161248A (ko) * 2016-03-23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4194B1 (ko) * 2016-03-23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119097A (ko) * 2016-03-23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30150241A (ko) * 2016-03-23 202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7666B1 (ko) 2016-03-23 202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110486A (ko) * 2016-03-23 201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89497B1 (ko) 2016-03-23 202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854440B2 (en) 2016-07-08 2023-12-2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irror having an integrated electronic display
WO2021066342A1 (ko) * 2019-10-02 2021-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WO2024181667A1 (ko) * 2023-02-28 2024-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725092B1 (ko) 2024-07-23 202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74816B (zh) 2019-11-26
CN106574816A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1751A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WO201304300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rotation in a portable terminal
WO2011025239A2 (ko) 모션을 이용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WO2014204047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5009128A1 (en) Flexibl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bject by flexible device
WO2012008628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대기화면 구성방법
WO20140216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arm service using context awareness in portable terminal
WO2012108729A2 (en)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touch screens and screen change method for the device
WO2016186463A1 (en) Method for launching a second application using a first application icon in an electronic device
WO20161371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tem
EP349750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5081503A1 (zh) 一种处理方法、装置及终端
WO2020166911A1 (en) Scree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WO2015057013A1 (ko) 휴대용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161439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adiating light used to capture iris
WO20160395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18686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5115698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5133814A1 (ko) 저장 공간을 절약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제어방법
CN107409173A (zh) 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
WO2016064140A1 (en) Providing method for inputting and electronic device
WO2015178520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012629A1 (en) Method of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6089074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character input through the same
WO2015064935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993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93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