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9766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666B1
KR102597666B1 KR1020230102670A KR20230102670A KR102597666B1 KR 102597666 B1 KR102597666 B1 KR 102597666B1 KR 1020230102670 A KR1020230102670 A KR 1020230102670A KR 20230102670 A KR20230102670 A KR 20230102670A KR 102597666 B1 KR102597666 B1 KR 102597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detection device
front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9097A (ko
Inventor
최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66B1/ko
Publication of KR2023011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097A/ko
Priority to KR1020230138798A priority patent/KR102689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저장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저장공간 내에 배치되는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는,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하프 글라스소재의 전면 패널과, 전면 패널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유리소재의 단열 패널, 및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사이에 밀폐된 제1공간을 형성하는 간봉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도어의 제1면을 형성하고, 제1면에서 함몰된 제2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캡데코, 도어의 제2면을 형성하는 제2캡데코,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도어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 제1캡데코, 제2캡데코, 도어 라이너, 사이드 프레임, 그리고 패널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제3공간에, 제1캡데코 또는 제2캡데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서, 발포액이 충진되어 형성된 단열재, 제1캡데코에 설치된 근접 감지장치, 및 근접 감지장치와 연결되어, 제2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장치 피시비를 포함하고, 감지장치 피시비를 수용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ir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별도의 수납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납 공간을 통해서 냉장고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고 일부의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를 개방하여 수납 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식품들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제공되는 별도의 수납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의 수납을 위해 상기 냉장고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근본적으로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만약 보조 도어 또는 홈바의 개방시 원하는 식품이 없는 경우 다시 메인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일부를 투명한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고내의 단열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음식물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를 노크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하여 고내를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감지장치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공간 내에 배치되는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하프 글라스소재의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유리소재의 단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사이에 밀폐된 제1공간을 형성하는 간봉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도어의 제1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면에서 함몰된 제2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캡데코; 상기 도어의 제2면을 형성하는 제2캡데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1캡데코, 상기 제2캡데코, 상기 도어 라이너, 상기 사이드 프레임,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제3공간에, 상기 제1캡데코 또는 상기 제2캡데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서, 발포액이 충진되어 형성된 단열재; 상기 제1캡데코에 설치된 근접 감지장치; 및 상기 근접 감지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장치 피시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저장공간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은,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제1 메인 라이팅 유닛과,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양측벽에 설치된 제2 메인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 라이팅 유닛과 상기 제2 메인 라이팅 유닛이 점등 시, 사용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서 상기 제1 저장공간 내부를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공간의 제1 영역을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상기 저장공간의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고 개구가 형성된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서브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의 하면에는 도어핸들이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서브도어는, 서브힌지에 의해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브도어의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된 손잡이가 상기 서브힌지보다 상기 근접 감지장치에 더욱 가깝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유닛은, 상기 메인도어의 상기 개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인 라이팅 유닛과 상기 제2 메인 라이팅 유닛과 함께 점등하는 도어 라이팅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빛의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조절된 유리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서 투명하게 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확인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라이팅 유닛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블랙색상 또는 거울면과 같은 상태가 되고, 상기 라이팅 유닛이 점등된 상태에서는 투명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단열 패널은, 상기 전면 패널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단열 패널과 상기 제1 단열 패널에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 단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과 제1 단열 패널 사이와 상기 제1 단열 패널과 제2 단열 패널 사이에는 복수개의 간봉에 의해 복수개의 제1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에는 비활성 기체가 충진되어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간봉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캡데코와 상기 제2캡데코가, 상기 전면 패널을 통해서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베젤이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면은 상기 도어의 하부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2면은 상기 도어의 상부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캡데코는 로어 캡데코를 정의하고, 상기 제2캡데코는 어퍼 캡데코를 정의하여, 상기 도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상기 로어 캡데코에 상기 근접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가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는, 상기 단열 패널의 후면에 의해 차폐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의 일단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도어의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폭은 상기 단열 패널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대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는 제1주입구와 이격되어 형성된 제2주입구가 상기 제1캡데코 또는 제2캡데코에 함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2공간을 차폐하는 수용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 커버에는,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가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가 형성되어져, 상기 수용부 커버가 상기 제1캡데코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가 상기 제2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커버에 상기 주입구를 차폐하는 주입구 커버가 함께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커버에 의해 상기 주입구가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는 상기 메인 제어부보다 상기 근접 감지장치에 더욱 가깝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전면 패널에 가해지는 노크 조작을 감지하는 노크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노크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도어의 일부에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 및 반사하는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도어 내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되는 라이팅 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점등하여 고내를 투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내의 공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식품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불필요한 개폐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냉기의 손실을 방지하여 소비전력의 개선 및 저장성능의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하프 글라스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어 라이팅 유닛이 점등된 상태에서는 내부를 투시가능하게 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미러와 같은 형태가 되어 냉장고 도어의 외관이 보다 돋보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패널 어셈블리의 노크 조작시 진동에 의한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노크 조작에 의해 상기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투명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 전면의 어느 위치를 노크하게 되더라도 동일 매질에서 전달되는 진동의 소리는 동일하므로 조작이 용이하고 효과적인 감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노크 감지장치의 마이크가 내장된 마이크 모듈이 패널 어셈블리의 배면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감지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노크시 발생되는 특정 파장의 진동 또는 음파를 유효 신호로 판단하도록 하여 외부 소음과 같은 비정상 소음에 의한 오인식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노크 신호를 판단하는 감지장치 피시비를 노크 감지장치와 함께 배치하여 유효 노크 신호 판단시 이를 냉장고 캐비닛 내부의 메인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하여, 노크 신호 판단시의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신호 처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노크 감지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설정시간 이내에 복수회 감지되는 경우 이를 유효 신호로 판단하도록 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에는 베젤이 형성되고 상기 베젤상에 상기 감지장치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전면 패널의 노크 조작은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감지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보다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전면 패널 하단의 배젤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의 다른 위치의 베젤을 얇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의 가시화 부분이 보다 넓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와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장치 그리고 감지장치 피시비가 상기 도어 하단에 함몰된 감지장치 수용부에 수용 및 장착되도록 하여 감지장치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장착시 별도의 스크류체결 또는 결합 구조 없이 슬라이딩 삽입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과정 중에 상기 전면 패널을 향하여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생산성과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전체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가 불투명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가 투명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서브 도어의 노크 감지장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서브 도어의 노크 감지장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노크 감지장치와 근접 감지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마이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7의 14-14'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7의 15-15'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장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0은 상기 노크 감지장치가 장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전체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121)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실(12)에는 냉장실을 밝히기 위한 라이팅 유닛(8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유닛(85)은 냉동실(13)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고내의 내측 벽면 어느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인출입 가능한 서랍 형상의 냉동실 수납부재(131)가 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냉동실 수납부재(131)는 냉동실 도어(30)의 개방에 연동하여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냉동실(13)과 냉동실(13)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바스켓은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에 구비되는 수납부재(121,131)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 소재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1) 전체가 금속 소재의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1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금속 소재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좌측(도 1에서 볼 때)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힌지(401) 및 미들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개구부(403)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04)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 바스켓(404)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는 적어도 일부가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 상기 개구부(403)로의 접근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씨스루 도어라 불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50)를 구성하는 유리소재는 빛의 투과율과 반사율이 조절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의 선택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서만 투명하게 되어 고내를 가시화시키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가 불투명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와 상기 서브 도어(5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에 아무런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는 불투명한 블랙 색상 또는 거울면과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의 공간 즉,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상기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을 가시화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블랙 색상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의 외관이 미려한 검은색의 거울과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하여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외관은 상기 메인 도어(4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들의 금속 질감과 조화되어 한층 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가 투명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와 상기 서브 도어(5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고내에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85)이 점등되어 고내측을 밝게 할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단 즉, 상기 개구부(403)의 상단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 될 수 있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을 밝게 하여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되면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이 가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의 식품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될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60) 또한 가시화 상태가 되어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및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을 가시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작에 관하여서는 아래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40)는 금속 소재의 아웃 플레이트(4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42)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도어 캡데코(45)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는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03)와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 또한 상기 개구부(403)와 대응하는 영역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03)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이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캐비닛(10)의 둘레와 밀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와 캐비닛(10) 사이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는 리어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상면에는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밝히기 위한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개구부(403)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개구부 전체를 밝힐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면에는 도어 핸들(462)이 함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도어 핸들(462)에 손을 넣어 상기 메인 도어(40)를 회동 조작하여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사이에는 도어 프레임(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43)은 각각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사이에서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403)의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도어 프레임(43) 및 상기 캡데코(45)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내부 공간에는 발포액이 충전되어 단열재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개구부(403)의 둘레 영역 내부에는 단열재가 배치되어 고내 공간과 고외 공간을 단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 단차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혔을 때 상기 프레임 단차부(431)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43)의 일측면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장착을 위한 서브 힌지(51,52)가 장착되는 힌지 홀(433)이 개구된다. 상기 힌지 홀(433)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측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개구되며 상기 서브 힌지(51,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8-8'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구부(403)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복수의 유리가 일정 간격으로 적층 구성되는 패널 어셈블리(54)와, 상기 서브 도어(5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55,56),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는 서브 도어 라이너(59),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7) 및 로어 캡데코(5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전체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541)와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단열 패널(5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패널(542)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541)와 단열 패널(542) 그리고 복수의 단열 패널(542)들 사이에는 간봉(543)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은 유리 또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고내를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은 단열 소재 또는 단열 구조를 가지며 고내의 냉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541)은 빛의 투과율 및 반사율에 따라서 내부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한 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프 미러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541)은 고내의 메인 라이팅 유닛(85) 또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진 상태에서는 고내측의 빛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투과하면서 상기 전면 패널(541)이 투명하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고내 공간 또는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수납 공간을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꺼진 상태에서는 빛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며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541)은 거울면과 같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고내 공간 또는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수납 공간을 외부에서 볼 수 없게 된다.
상기 단열 패널(542)은 상기 전면 패널(541)보다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542)은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유리를 전해질 용액에 담가서 화학적으로 강화시킨 화학강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 패널(542)의 후면에는 복사에 의한 저장실 내로의 열전달을 줄이기 위한 저방사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방사코팅층이 형성된 유리를 로이 유리(Low-ε Glass)라고 하는데, 유리의 표면에 보통 은 등을 스퍼터링(Sputtering) 등으로 증착함으로써 저방사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봉(543)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사이의 밀폐된 공간 및 복수의 단열 패널 사이의 밀폐된 공간 사이는 진공 상태로 형성되어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사이의 밀폐된 공간 및 복수의 단열 패널(542) 사이의 밀폐된 공간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아르곤 가스와 같은 비활성 기체가 충전될 수 있다. 비활성 기체는 일반 공기에 비해 단열 특성이 더욱 우수하다. 이러한 이유로,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사이 그리고 복수의 단열 패널(542) 사이에 비활성 기체가 충전되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여 단열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열 패널(542)은 단일 패널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과 이격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상기 단열 패널(542)이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5,56)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5,56)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와 상기 도어 라이너(42)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5,56)은 상기 서브 힌지(51,52)가 장착되는 일면을 형성하는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사용자가 회동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561)가 형성되는 제 2 사이드 프레임(5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은 상기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힌지(51)와 로어 힌지(52)가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무게에 의해 장착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에 최초의 장착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단과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는 매우 밀접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회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은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같이 금속 또는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을 넣을 수 있도록 함몰된 손잡이(5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57)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상단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상단 및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의 상단과 결합된다.
상기 로어 캡데코(58)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사이드 프레임(55)과 제 2 사이드 프레임(56)의 하단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하단 및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59)의 하단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도어(50)의 하부에는 근접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구비된다. 상기 근접 감지장치(81)는 사용자의 근접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서브 도어(50)의 노크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과 인접하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 의해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을 투시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근접 감지장치(81)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 감지장치(81) 및 노크 감지장치(82)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베젤(5411)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젤(5411)은 빛의 투과가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55,56)와 어퍼 캡데코(57)와 로어 캡데코(58) 및 간봉(543)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541)의 하단에 형성된 베젤(5411)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투과부(5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는 상기 근접 감지장치의 전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젤(5411)이 인쇄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5412)와 접하는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의 전면은 상기 베젤(5411)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부(5412)에 의해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의 전면이 노출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투과부(5412) 영역이 쉽게 노출되지 않고 전체 상기 전면 패널(541)과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상기 서브 도어의 노크 감지장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서브 도어의 노크 감지장치 결합 구조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노크 감지장치와 근접 감지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는 근접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감지장치(81)가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으로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감지가 가능하지만 키가 작은 유아 또는 동물 기타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의 높이보다 낮은 다른 물건의 경우 감지를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패널(541)을 노크 조작하였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 의해 감지되는 노크 조작에 의해 상기 냉장고(1)의 특정 동작을 지시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사용자의 노크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점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로어 캡데코(58)에는 로어 힌지(5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힌지(52)와 떨어진 일측 즉, 상기 제 2 사이드 프레임(56)과 인접한 일측에는 감지장치 수용부(58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는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개구된 하면은 수용부 커버(583)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부 커버(583)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 커버(583)를 상기 로어 캡데코(58)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가 체결되는 케이스 고정부(58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 커버(583)의 다른 일측에는 주입구 커버부(583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 커버부(5831)는 상기 로어 캡데코(58) 상에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 성형을 위해 충전되는 발포액이 주입되는 주입구(5824)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 커버(583)를 상기 로어 캡데코(58)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를 차폐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주입구(5824)까지 차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 커버(583)의 상면에는 피시비 장착부(5833)가 더 형성된다. 상기 피시비 장착부(5833)에는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신호 처리를 위한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장착된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근접 감지장치(81) 및/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연결되며 상기 피시비 장착부(583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근접 감지장치(81) 및/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근접 감지장치(81) 및 노크 감지장치(82)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신호를 처리하는 피시비가 원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감지된 신호가 처리되기 위해서 신호선을 통해 이동하게 될 때 발생되는 노이즈가 증가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를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장착되는 위치에 함께 배치함으로써 메인 제어부(2)는 유효한 노크 온 신호 입력 여부만 수신하게 된다. 이를 통해, 메인 제어부(2)와 감지장치 피시비(83) 사이의 신호선에 의한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를 통해 노이즈가 최소화된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인식률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경우 마이크(8211)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는 mV 단위임에 비해 냉장고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2)는 기본적으로 V 단위의 신호를 입력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리적인 신호의 스케일 차이로 인해 메인 제어부(2)에서 정상적인 노크 온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냉장고는 대전압/대전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이다. 따라서, 전기적인 노이즈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는 마이크(8211)에 의해 출력되는 mV 단위의 신호가 전기적인 노이즈에 더욱 취약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를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서 노이즈의 획기적인 감소와 이로 인한 인식률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어 힌지(52)와 인접하는 상기 로어 캡데코(58)의 일측에는 발포액이 주입되는 주입구(584)가 더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584)는 별도의 주입구 커버(5841)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 커버(5841)의 상면에는 다수의 후크부(5842)가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 커버(5841)가 상기 주입구(584)의 내측에 압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일면에는 전선 홀(5823)이 형성된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 및 상기 근접 감지장치(81), 노크 감지장치(82)와 연결된 전선은 상기 전선 홀(5823)을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541)과 접하는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전면에는 상기 근접 감지장치(81)와 노크 감지장치(82)가 상기 전면 패널(541)과 밀착될 수 있도록 개구되는 관통부(5825,582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내측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장착을 위한 감지장치 장착부재(84)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재(84)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장착되기 위한 상기 관통부(5826)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재(84)는 상기 로어 캡데코(58)의 성형시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와 함께 성형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성형되어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재(84)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면(84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841)은 일부가 상기 관통부(582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841)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두께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용이하게 안착시키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841)은 상기 관통부(5826)의 가로 방향 길이와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841)의 일단 즉, 상기 전선 홀(5823)과 인접하는 일단에는 제 1 사이드월(842)이 돌출된다. 상기 제 1 사이드월(842)은 상기 관통부(5826)의 일단 보다 더 외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최초 삽입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안착면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841)에는 탄성 고정부(843)와 상기 탄성 고정부(843)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안착면(841)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84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고정부(843)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843)는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절개부(844)를 따라서 연장되는 연장부(8431)와 상기 연장부(8431)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속부(84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8432)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정위치에 장착 완료되었을 때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일측단을 눌러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구속부(8432)는 상하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일측단과 접하는 구속면(8433)과,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상기 안착면(841)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하면과 접하는 경사면(84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상기 안착면(841)에 안착된 상태에서 장착을 위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될 때 상기 경사면(8434)과 접하게 되며, 상기 경사면(8434)에 의해 상기 구속부(8432)는 하방으눌려지게 되고 상기 연장부(8431)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장착을 위한 정위치로 이동 완료되면 상기 연장부(8431)는 탄성 복원되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측방에서 눌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 고정부(843)의 측방에는 가이드부(845)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845)의 단부에는 제 2 사이드월(846)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사이드월(846)은 상기 관통부(5826)의 일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최종적으로 고정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월(846)과 상기 가이드부(845)에 의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장착되는 수용부(847)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845)의 내측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향하는 면은 안내면(8451)과 밀착면(84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8451)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845)의 개구된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면 패널(541)와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845)를 향하여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삽입되는 초기에는 상기 가이드부(845) 내측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며, 상기 안내면(8451)을 지나게 됨에 따라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을여 가압된다.
상기 밀착면(8452)은 상기 안내면(8451)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사이드월(846) 까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밀착면(8452)과 상기 전면 패널(541) 사이의 거리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상기 밀착면(8452)에 위치되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에 가압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마이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노크 온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 모듈(821)과, 상기 마이크 모듈(821)이 수용되는 홀더(8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음파를 직접 센싱하는 마이크(8211)와 상기 마이크(8211)를 수용하는 마이크 수용부(8212)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8211)는 음파의 직접적인 센싱을 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821)의 내부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마이크(8211)의 일면은 음파를 수용하는 음파 수신부(8213)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음파 수신부(8213)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8212)의 개구(8214)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8211)의 타측에는 신호선(821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선(8216)은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수용부(8212)는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 수용부(8212)에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8212) 내부에 장착된 마이크(8211)와 인접하는 일측에 개구(8214)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8214)의 둘레에는 원형의 돌기(82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8215)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8212)가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될 때 일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상기 개구(8214)의 전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돌기(8215)에 의해 밀착되는 개구(8214)와 상기 음파 수신부(8213) 사이에는 밀폐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착 공간의 전방은 매질 즉, 전면 패널(541)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매질 내부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상기 소정 공간 내의 공기를 진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한 음파가 상기 마이크(8211)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로 인해 외부 소음이나 진동이 상기 소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외부 노이즈로 인해 노크 온 판단 오류,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노크 온 인식률을 매우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노크 온 입력이 가해졌을 때 이를 노크 온으로 판단하는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더(823)는 상기 마이크 모듈(821)을 수용하며, 상기 전면 패널(541)을 향하여 개구된 모듈 안착부(8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상기 모듈 안착부(82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돌기(8215)가 상기 홀더(823)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도롤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823)에는 상기 마이크(8211)와 연결된 상기 신호선이 출입되는 홀더 슬롯(8232)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 슬롯(8232)은 상기 모듈 안착부(8231)의 일측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더 슬롯(8232)을 통과하는 신호선이 상기 지지부재 슬롯(8252)을 통과하여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823)의 외측면 일측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홀더 돌출부(8233)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 돌출부(8233)는 상기 홀더(823)의 둘레 중 일측으로만 돌출되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재(84)에 의해 장착될 때 상기 구속부(8432)와 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 돌출부(8233)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 장착시 방향성을 부여하여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구속부(8432)에 의해 가압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지만, 사용자의 노크 조작의 유효 입력 부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 자체가 아닌 진동에 의한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8211)의 특성상 매질에 밀착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어느 위치를 노크 조작하더라도 연속되는 동일 매질을 통해 음파가 전달되어 유효하게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노크 감지장치(82)의 위치는 전선의 배치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가시화 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일단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사용자는 전면 패널(541)의 어느 지점을 노크 조작하게 되더라도 동일 매질상에 밀착된 상기 마이크(8211)를 통한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사용자가 노크 입력을 가하는 영역은 전면 패널(541)의 전면이 정의하는 영역 모두일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상기 전면 패널(541)의 대부분은 실질적으로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는 시스루 영역으로 상기 노크 온 감지장치가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 중 상기 베젤(5411)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면 패널(541)의 좌우양측 보다는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상기 전면 패널(541) 좌우 양측과 상단의 베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베젤(5411)의 형상에 의해 상기 시스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선이 상대적으로 많이 가지 않는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시스루 영역이 보다 넓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베젤(5411)의 영역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지만,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어느 위치를 노크 하더라도 사용자의 노크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노크 조작 외에도 전면 패널(541)의 전면에 진동을 가하는 환경 요소는 매우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의 열고 닫음에 따른 충격, 외부의 강한 소음 등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 전면이 진동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환경에 의한 입력을 노크 신호로 판단될 여지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사용자가 서브 도어(50) 전면을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서브 도어(50) 전면을 2 회 두드리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의 노크 패턴을 분석하면 첫번째 노크와 두번째 노크 사이의 간격은 약 600 ms 미만임을 알 수 있다. 즉, 1 초(s)가 1000 ms 임을 감안하며, 1초 미만의 간격을 두고 첫번째 노크와 두번째 노크가 발생됨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입력을 노크 신호로 오인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노크의 강도는 사용자마다 편차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매질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러한 강도의 편차는 클 수 있으나, 진동 패턴의 편차는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크의 강도 편차는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쇄시킬 수 있으며, 노크 입력의 패턴과 노크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인자로 하여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반대로, 비정상적인 입력을 노크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도 14는 도 7의 14-14'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7의 15-15'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재(84)에 의해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홀더 돌출부(8233)가 상기 구속부(8432)에 접하여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845)가 형성하는 수용부(847) 내측의 공간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845)의 안내면(8451)을 통해 수용부(847)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밀착면(8452)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향하여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밀착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 패널(541)과 상기 밀착면(8452)의 사이의 폭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두께보다 더 작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플라스틱 소재의 홀더(823)에 상기 마이크 모듈(821)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마이크 모듈(821)은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D)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의 마이크 수용부(84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므로 따라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장착시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돌출된 거리(D)만큼 압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마이크 모듈(821)의 압축에 의해 상기 수용부(847)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압축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847)의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 모듈(821)의 전면은 압축 상태로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되어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노크 신호를 효과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노크 감지장치의 장착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의 장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장착을 위해서는 우선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내측을 개방하고 상기 감지장치 장착부재(84)를 조립 또는 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상기 감지장치 수용부(582)의 내측으로 삽입하며, 상기 제 1 사이드월(842) 측을 통해 상기 안착면(841)에 안착되도록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마이크 모듈(821)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향하도록 하며, 상기 홀더 돌출부(8233)가 상기 제 1 사이드월(842)을 향하도록 삽입하게 된다.
상기 안착면(841)에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안착되면 도 1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홀더 돌출부(8233)가 우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전반부는 상기 관통부(5826)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상면은 상기 관통부(5826)의 상단과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상기 안착면(841)을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수용부(847)를 향하도록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슬라이딩 이동 중에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하면이 상기 탄성 고정부(843)를 지나게 된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하면은 최초 상기 탄성 고정부(843)의 경사면(8431)과 접하게 되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더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 고정부(843)의 하면은 상기 경사면(8431)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연장부(8431)는 탄성변형되고 상기 구속부(8432)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도 18과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측방향 이동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더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측방향으로 더 이동되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수용부(847)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가이드부(845)의 안내면(8451)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상기 전면 패널(541)을 향하게 된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상기 안내면(8451)을 이동함에 따라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전면은 상기 전면 패널(541)과 접하게 되고 상기 홀더(823)의 전방으로 돌출된 탄성소재의 마이크 모듈(821)은 전면은 압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9와 같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완전히 측방으로 밀어 상기 수용부(847)의 끝까지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 고정부(843)와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하면 사이의 간섭이 해제되어 탄성 고정부(843)는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고정부(843)의 구속면(8432)은 상기 홀더 돌출부(8233)와 접하는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홀더 돌출부(8233)가 상기 탄성 고정부(843)의 구속부(8432)를 넘어 갈때 사용자는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걸림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장착 완료를 인지 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상기 노크 감지장치가 장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상기 수용부(847)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부(845)에 의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후면 일부가 가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돌출부(8233)는 상기 탄성 고정부(843)의 구속부(8432)와 접하게 되며, 우측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좌측면 또한 상기 제 2 사이드월(846)에 의해 구속된 상태이며,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상면은 상기 관통부(5826)의 상단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장착이 완료되고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전면은 상기 마이크 모듈(821)이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전면 패널(541)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541)의 노크조작을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에도 장착위치가 변경되거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공간 내에 배치되는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하프 글라스소재의 전면 패널과,
    상기 전면 패널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유리소재의 단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과 단열 패널사이에 밀폐된 제1공간을 형성하는 간봉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도어의 제1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면에서 함몰된 제2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캡데코;
    상기 도어의 제2면을 형성하는 제2캡데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1캡데코, 상기 제2캡데코, 상기 도어 라이너, 상기 사이드 프레임,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제3공간에, 상기 제1캡데코 또는 상기 제2캡데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서, 발포액이 충진되어 형성된 단열재;
    상기 제1캡데코에 설치된 근접 감지장치; 및
    상기 근접 감지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감지장치 피시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저장공간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팅 유닛은,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제1 메인 라이팅 유닛과,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양측벽에 설치된 제2 메인 라이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 라이팅 유닛과 상기 제2 메인 라이팅 유닛이 점등 시,
    사용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서 상기 제1 저장공간 내부를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공간의 제1 영역을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상기 저장공간의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고 개구가 형성된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서브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의 하면에는 도어핸들이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서브도어는,
    서브힌지에 의해 상기 메인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브도어의 일측에 함몰되게 형성된 손잡이가 상기 서브힌지보다 상기 근접 감지장치에 더욱 가깝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유닛은,
    상기 메인도어의 상기 개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메인 라이팅 유닛과 상기 제2 메인 라이팅 유닛과 함께 점등하는 도어 라이팅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냉장고.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빛의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조절된 유리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서 투명하게 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확인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상기 라이팅 유닛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블랙색상 또는 거울면과 같은 상태가 되고,
    상기 라이팅 유닛이 점등된 상태에서는 투명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패널은,
    상기 전면 패널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단열 패널과
    상기 제1 단열 패널에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 단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과 제1 단열 패널 사이와 상기 제1 단열 패널과 제2 단열 패널 사이에는 복수개의 간봉에 의해 복수개의 제1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는 비활성 기체가 충진되어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봉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캡데코와 상기 제2캡데코가, 상기 전면 패널을 통해서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베젤이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도어의 하부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2면은 상기 도어의 상부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캡데코는 로어 캡데코를 정의하고,
    상기 제2캡데코는 어퍼 캡데코를 정의하여,
    상기 도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상기 로어 캡데코에 상기 근접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가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너는,
    상기 단열 패널의 후면에 의해 차폐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의 일단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도어의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폭은 상기 단열 패널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대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제1주입구와 이격되어 형성된 제2주입구가 상기 제1캡데코 또는 제2캡데코에 함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2공간을 차폐하는 수용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 커버에는,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가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가 형성되어져,
    상기 수용부 커버가 상기 제1캡데코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가 상기 제2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커버에 상기 주입구를 차폐하는 주입구 커버가 함께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커버에 의해 상기 주입구가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는 상기 메인 제어부보다 상기 근접 감지장치에 더욱 가깝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전면 패널에 가해지는 노크 조작을 감지하는 노크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노크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30102670A 2016-03-23 2023-08-07 냉장고 KR102597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670A KR102597666B1 (ko) 2016-03-23 2023-08-07 냉장고
KR1020230138798A KR102689497B1 (ko) 2016-03-23 2023-10-1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971A KR102474194B1 (ko) 2016-03-23 2016-03-23 냉장고
KR1020220161922A KR102623105B1 (ko) 2016-03-23 2022-11-28 냉장고
KR1020230102670A KR102597666B1 (ko) 2016-03-23 2023-08-07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922A Division KR102623105B1 (ko) 2016-03-23 2022-11-28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8798A Division KR102689497B1 (ko) 2016-03-23 2023-10-1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097A KR20230119097A (ko) 2023-08-16
KR102597666B1 true KR102597666B1 (ko) 2023-11-03

Family

ID=6013915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971A KR102474194B1 (ko) 2016-03-23 2016-03-23 냉장고
KR1020220161922A KR102623105B1 (ko) 2016-03-23 2022-11-28 냉장고
KR1020230102670A KR102597666B1 (ko) 2016-03-23 2023-08-07 냉장고
KR1020230138798A KR102689497B1 (ko) 2016-03-23 2023-10-17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971A KR102474194B1 (ko) 2016-03-23 2016-03-23 냉장고
KR1020220161922A KR102623105B1 (ko) 2016-03-23 2022-11-28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8798A KR102689497B1 (ko) 2016-03-23 2023-10-1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74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542B1 (ko) * 2018-06-01 202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57878B1 (ko) * 2018-06-01 2020-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96932B1 (ko) * 2018-06-01 2020-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96959B1 (ko) * 2018-06-01 2020-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제어 방법
KR102554593B1 (ko) * 2018-12-03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CN109780800B (zh) * 2019-01-04 2023-03-31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具有显示屏组件的门中门及具有其的冰箱
KR102633905B1 (ko) 2019-01-31 202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리 입력이 가능한 냉장고
WO2024080546A1 (ko) * 2022-10-13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4627A1 (en) 2009-12-08 2011-06-09 Magna International Inc. Appliance doors having integrated lighting and controls
WO2012154236A1 (en) 2011-05-10 2012-11-15 Anthony, Inc. Refrigerated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WO2016021751A1 (ko) 2014-08-07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883U (ko) * 1997-10-21 1999-05-15 전주범 쇼케이스의 도어구조
KR20130115586A (ko) * 2012-04-12 2013-10-22 (주)에스앤지그룹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겸용 지능형 냉장고
KR102109405B1 (ko) * 2013-04-25 2020-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28196B1 (ko) * 2013-04-26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123493A (ko) * 2014-04-25 201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662398B1 (ko) * 2014-07-16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4627A1 (en) 2009-12-08 2011-06-09 Magna International Inc. Appliance doors having integrated lighting and controls
WO2012154236A1 (en) 2011-05-10 2012-11-15 Anthony, Inc. Refrigerated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WO2016021751A1 (ko) 2014-08-07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194B1 (ko) 2022-12-06
KR20170110486A (ko) 2017-10-11
KR102689497B1 (ko) 2024-07-30
KR20240117516A (ko) 2024-08-01
KR20230119097A (ko) 2023-08-16
KR102623105B1 (ko) 2024-01-10
KR20230150241A (ko) 2023-10-30
KR20220161248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666B1 (ko) 냉장고
US11779135B2 (en) Refrigerator having panel assembly covering opening of outer plate of door
US11300350B2 (en) Refrigerator
KR102645864B1 (ko) 가전기기 및 냉장고
KR102012462B1 (ko) 냉장고
KR102067743B1 (ko) 냉장고
KR102167549B1 (ko) 냉장고
KR102206063B1 (ko) 냉장고
KR102725092B1 (ko) 냉장고
KR102087685B1 (ko) 냉장고
US20240125539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