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697B1 -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9697B1 KR950009697B1 KR1019900012350A KR900012350A KR950009697B1 KR 950009697 B1 KR950009697 B1 KR 950009697B1 KR 1019900012350 A KR1019900012350 A KR 1019900012350A KR 900012350 A KR900012350 A KR 900012350A KR 950009697 B1 KR950009697 B1 KR 9500096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or
- area
- edge
- signal
- threshold valu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58—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e.g. colour misregistration corr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04N1/4092—Edge or detail enhan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IPS의 모듈 구성 개요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IPS를 구성하는 각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IPS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에지처리방식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에지처리용 LUT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비선형 필터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색문자 재현향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선에도 개선방식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선예도의 개선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1도 및 제12도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영역 식별방식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4도는 고정 블록 식별 방식을 채용한 대역 식별 처리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에지간의 거리에 의해서 화상영역을 식별하는 가변 블록 식별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6도는 가변 블록 식별방식을 채용한 대역 식별 처리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디지탈 칼라 화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18도는 종래의 에지 강조처리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19도는 색상검출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0도는 문자 굵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1도는 에지 강조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문자와 중간조화상의 혼재 원고에 있어서 문자영역과 중간조 영역을 식별하여 각각의 영역의 재현성의 향상을 도모한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영역 식별방식에 관한 것이다.
제17도는 디지탈 칼라화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18도는 종래의 에지 처리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19도는 색상검출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20도는 문자가 굵어지는 굵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21도는 에지 강조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칼라복사기에서는 Y(엘로),M(마젠타),C(시안),K(블랙)의 4색으로 된 현상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풀 칼라의 원고를 재현시키고 있다. 이때에 1회의 원고 독취 스캔닝으로 얻은 칼라의 화상데이터를 4회의 현상 프로세스실행을 위하여 기억해두려면 대단히 큰 메모리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각 현상색마다 반복원고 독취 스캔닝을 행하면서 신호처리를 행하여 현상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있다.
원고 독취에서는 라인센서를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B(청), G(녹), R(적)의 색분해신호에 의해서 독취 화상데이터를 짜서 제1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END변환(501), 칼라마스킹(칼라콜렉숀)(502)를 통하여 칼라의 토너신호 Y.M.C.로 변환시키고 있다. 그 후에 UCR(503)에 의해서 묵판(K)생성, 하색제거를 행하고 색상분리형 비선형 필터부, TRC(톤조정)(510), SG(스크린 제네레이터)(511)을 통하여 현상색의 토너신호(X)를 ON/OFF의 2치화 데이타로 만든다. 그리고, 이 2치화 데이타로 레이저 광을 제어하여 대전된 감광체를 노광시켜 망점계조에 의해서 각색의 화상을 겁쳐서 풀칼라의 원고를 재현시키고 있다.
통상 디지탈 칼라 화상처리장치에서는 문자, 선화 등의 2치 화상과 사진이나 망점인쇄물등의 중간조화상이 혼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류가 다른 화상을 갖는 원고에 대해서 비선형 필터처리를 도입하여 특별히 선예도가 높은 문자, 선화도의 2치화상을 얻기 위하여 에지 강조처리를 행하는 방식이 여러가지로 제안되어 있다. 그 일예로서 색상분리형 비선형 필터부를 구비한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 제17도이다.
색상분리형 비선형 필터부에는 UCR(503)에 있어서 목판생성, 하색제거처리를 행하여 생성된 Y,M,C,K신호에서 현상공정에 따라서 선택된 현상색의 화상 데이터(X)가 입력되어 2계통으로 분기된다. 그중 한쪽은 평활화 필터(504)로 평활화 처리가 행해지고 다른 쪽은 τ변환(506), 에지 검출필터(507), 에지강조용 LUT(508)에서 에지 강조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들의 출력이 최종적으로 가산기(509)에서 합성되어 비선형 필터신호로서 출력된다. 그 에지처리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 제18도이다.
에지처리에 있어서는 색상검출회로(505)에 의해서 입력화상의 색상을 검출하여 그때의 현상색이 필요한 색인지의 판단을 행한다. 여기서 입력화상이 흑영역인 경우에는 Y,M,C의 유채색 신호의 에지강조는 행하지 않고 K만을 에지량에 응하여 강조하도록 제어한다.
색상 검출회로(505)는 제19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Y,M,C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구하는 최대 최소회로(512), 현상색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서(513),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를 계산하는 감산회로(514), 최소치와 현상색과의 차를 계산하는 감산회로(515) 및 콤페어레이터(516∼518)를 갖고 있다. 콤페어레이터(516∼518)는 스레솔드치와 비교하여 스레숄드치보다 큰 경우네는 τ,m,c',m',y'의 출력을 각각 논리「1」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출력으로부터 동도(b)도에 나타낸 판정조건에 의해서 판정색상을 유도하고 또 동도면(C)도면에 나타낸 필요색, 불필요색의 판정조건에 의해서 현상색에 대해서 필요색「1」인지 불필요색 「θ」인지를 판정한다. 판정색상으로서는 통상의 문자색으로서 사용된다. W(백),Y,M,C,B,G,R,K의 8색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필요색, 불필요색의 판정조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색상이 예를 들면 B의 경우에는 현상색에서 m와 c가 필요색으로 되고, 그 이외는 불필요색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필요색의 사이클에서는 에지강조용 LUT(508)의 ①에 의해서 에지가 강조되고 불필요색의 사이클에서는 에지강조용LUT(508)의 ②에 의해서 에지강조를 하지않는 신호로 하고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 강조처리에서는 스레숄드(th)와의 비교에 의해서 색상식별을 행하고 그 결과에 의해서 에지 검출신호를 에지 강조용 LUT로 변환시켜 에지 강조신호를 생성시키고 있다. 그런데, IIT의 MTF 특성은 제20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서 나빠지고 있다. 또, 이 MTF의 열화정도는 색이나 주·부의 주사방향에 따라서도 다르다.
이와 같은 열화에 의해서 원고의 농도분포가 예를 들면 동도면(b)면의 a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것이라도 동도면(b)도면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짜브러진 데이타로 되어버린다. 색상검출에 있어서는, 이 신호 b를 스레숄드(th)와 비교하여 색상을 판정하기 위하여 본래는 W의 폭의 것이 W'와 같이 상당히 굵어진 상태로 색상이 판정되고, 이것이 에지강조의 처리범위로 된다. 이 판정에 준하여 동 c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에지 강조신호(d)가 가산되어 에지가 강조되므로 동도면(b)도면의 c와 같이 굵어진 문자에 의해서 재현된다. 또, 이 문자가 굵어진 것은 IIT뿐만 아니라, IOT의 현상재, 현상방식, 현상특성에 등에도 기인되어 나타난다.
또, 상기의 방식에서는, Y,M,C,K 신호 모두를 강조하고 있었던 다른 종래방식에 비하면 흑문자 재현은 향상될 수 있으나, Y,M,C 신호중에 평활화 신호가 남는다. 즉, 제18도의 에지 강조용 LUT(5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색은 ①에 의해서 강조되고 불필요색은 ②에 의해서 제거될뿐이므로 예를 들면 제21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흑문자의 필터 입력 신호에 대해서 Y,M,C를 강조하지 않고 k만을 강조하는 에지강조처리신호가 생성되지만 평활화 필터에서는 동도면(b)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Y,M,C,K신호 모두에 대해서 평활화한 평활화 처리신호가 생성된다. 따라서, 이들은 최종적으로 합성하면 동도면(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Y,M,C,K의 평활화 신호가 남는다.
통상 흑문자의 경우라도 K만이 아니고, Y,M,C의 신호도 섞여오므로, 에지의 부분에 이 Y,N,C의 평활화된 색이 나타나고, 즉, 흑문자를 K1색으로 재현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K1색 재현의 경우와 비교하면 선이 굵어진것, 레이엇갈림등에 의한 에지의 변색이나 혼탁색이 생기고 그 때문에 선명도가 없어져서 화질적으로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문자, 선회 등의 2치 화상과 사진이나 망점인쇄물의 중간조화상에 있어서 각각의 원고나 영역을 사전에 지정하는 것이 용이할 경우에는 그 원고마다 또는 영역마다 화상종을 지정함으로써 각각의 최적인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고 재현성을 높일 수 있으나, 이들의 혼재화상의 경우에는, 2치화상이나 중간 조화상에도 그 나름대로 재현시킬 수 있는 파라미터가 선택되게 된다. 2치화상에 대해서도 중간조화상에 대해서도 최적인 처리는 되지않고, 어느것이나 만족할 수 있는 화상을 얻기는 어렵다. 예를 들면 2치 화상에서는 에지강조가 약하게 흐려져서 문자가 선명하지 않든지 또 흑문자에서는 에지부가 소문자부에 혼탁색이 생겨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중간조화상에 대해서는 에지검출주파수 근방이 강조되어 버리므로 중간조 화상의 부드러움이 없어져 이상한 모아래나 에지가 이상하게 변조된 거치른 화상이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며 발명의 목적은 혼재화상에 있어서의 영역식별 정조를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역식별을 블록단위로 보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혼재화상에서 문자 화상이나 중간조화상 모두 재현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블록내에서의 화상의 영역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은 주파수성분의 에지량을 검출하는 하이패스 에지 검출 필터(1), 색상을 검출하는 색상검출수단(2) 및 색상검출수단(2) 및 색상검출수단(2)의 출력과 에지 검출 필터(1)의 출력에 준하여 에지부의 강조신호를 생성하는 강조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여 강조신호 생성수단(3)의 파라미터를 절환하여 에지강조 신호를 생성시키고 평활화 필터(5)의 출력과 합성하여 기록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화상종에 의한 재현성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화상처리 장치에 있어서 각 화소의 에지 정보로부터 블록단위로 화상영역의 식별을 행하는 대역 식별 처리수단(4)를 구비하고 영역에 응하여 강조신호 생성수단(3)의 파라미터의 절환을 행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화소의 에지정보에 의한 영역판정에 불균일이 있어도 블록단위로 화상 영역의 식별을 행하므로 불균일이나 오판정을 보정하여 식별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대역식별 처리수단은 소정의 농도 스레숄드치를 초래하는 농도의 화소에 대해서 에지량의 평균치를 구하고, 이 평균치가 소정의 에지량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느냐 초과하지 않느냐에 따라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 영역인지를 식별하고 나아가서는 모든 화소에 대해서 소정의 농도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느냐 또는 농도 스레숄드치이하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중간조 영역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소정의 농도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 농도의 화소수와 소정의 에지량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 농도의 화소수와 소정의 에지량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 에지량의 화소수와의 비율을 구하여 당해비율에 의해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 영역인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대역 식별처리수단은 소정의 에지량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 에지량의 화소의 거리에 따라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 영역인지를 식별하고 나아가서는 평균 농도치나 최저농도치에 따라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각 화소의 농도와 에지량에 따라서 영역식별을 행하므로 배경농도가 낮다. 에지량의 평균적으로 높다. 에지량이 많은등의 특징을 갖는 문자영역을 이들의 특징과 역인 중간조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목차]
우선 실시예 설명에 앞서서 목차를 나타낸다.
(Ⅰ) IPS(이메지 처리시스템)의 모듈 구성.
(Ⅱ) IPS의 하드웨어 구성.
(Ⅲ) 에지처리방식.
(Ⅳ) 선면도 개선방식.
(Ⅴ) 영역 식별방식.
이 실시예에서는 칼라복사기를 화상처리장치의 일예로 설명하겠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프린터나 팩시밀리, 기타의 화상처리 장치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Ⅰ) IPS의 구성 개요.
우선 화상데이타를 처리하는 IPS(이메지처리 시스템)의 구성개요를 설명하겠다.
제2도는 IPS 모듈구성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칼라화상 처리장치에서는 IIT(이메지 입력단자)에 있어서 CCD라인센서를 사용하여 광의 원색 B(청),G(녹), R(적)으로 분해하여 칼라원고를 독취하여 이것을 토너의 원색 Y(엘로), M(마젠타), C(사아닌) 또 K(흑 또는 묵)으로 변환시켜 IOT(이메지 출력단자)에 있어서 레이저 빔에 의한 노광, 현상을 행하여 칼라화상을 재현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 Y,M,C,K의 각각의 토너상으로 분해하여 프로세스 칼라로 하는 카피 프로세서(피치)를 1회, 마찬가지로 M,C,K에 대해서도 각각을 프로세스칼라로 하는 카피사이클을 1회씩 합계 4회의 카피 사이클을 실행하고 이들의 망점에 의한 상을 중첩시킴으로써 풀칼라에 의한 상을 재현시키고 있다. 따라서 칼라 분해신호(B,G,R 신호)를 토너신호(Y,M,C,K 신호)로 변환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색의 밸런스를 어떻게 조정하느냐 또는 IIT의 독취특성 및 IOT의 출력특성에 맞추어서 그 색을 어떻게 재현시키느냐, 농도나 콘트라스트의 밸런스를 어떻게 조정하느냐, 에지의 강조나 흐림, 모아레를 어떻게 조정하느냐 등이 문제로 된다.
IPS는 IIT로부터 B,G,R의 칼라분해신호를 입력하고 색의 재현성, 계조의 재현성, 정세도의 재현성등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가지 데이타처리를 행하여 현상 프로세스 칼라의 토너신호를 ON/OFF로 변환시키고 IOT로 출력하는 것이며,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END변환(Equivalent Neutral Density : 등가중성농도변환) 모듈 (301), 칼라 마스킹 모듈(302), 원고사이즈 검출 모듈(303), 칼라변환 모듈(304), UCR((Under Colour Removal ; 하색제거) 및 흑생성 모듈(305), 공간필터(306), TRC(Tone Reproduction Control ; 색조 보정제어)모듈(307), 축확처리 모듈(308), 스크린 제네레이터(309), IOT 인터페이스 모듈(310), 영역 생성회로나 스위치 매트릭스를 갖는 영역화상 제어 모듈(311), 에어리어 코멘드 메모리(312)나 칼라 팔레트 비디오 스위치회로(313)이나 폰트 버퍼(314)등을 갖는 편집제어 모듈등으로 되어있다.
또, IIT로부터 B,G,R의 칼라분해신호에 대해서 각각 8비트 데이타(256계조)를 END변환 모듈(301)에 입력하고, Y,M,C,K의 토너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프로세스 칼라의 토너신호(X)을 선택하고 이것을 2치화하여 프로세서 칼라의 토너신호의 ON/OFF 데이타로 하여 IOT 인터페이스 모듈(310)으로부터 OIT로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풀칼라(4칼라)의 경우에는 프리스캔닝으로 우선 원고사이즈검출, 편집영역의 검출, 기타의 원고정보를 검출한후에 예를 들면 우선 처음에 프로세스 칼라의 토너신호(X)를 y로 하는 카파시이클 이어서 프로세서 칼라의 토너신호(X)를 M으로 하는 카피사이클을 순차 실행할 때마다 4회의 원고독취 스캔닝에 대응한 신호처리를 행하고 있다.
IIT에서는 CCD센서를 사용하여 B,G,R의 각각에 대해서 1피크셀을 16도트/mm의 사이즈로 독출하여 그 데이타를 24비트(3색×8비트 ; 256계조)로 출력하고 있다. CCD센서는 상면에 B,G,R의 필터가 장착되어 있어서 16도트/mm의 밀도로 300mm의 길이를 갖고 190.5mm/sec의 프로세스스피드로 16라인/mm의 스캔닝을 행하므로 대략 각색에 대해서 매초 15M 피크 셀의 속도로 독취하여 데이타를 출력하고 있다. 또, IIT에서는 B,G,R의 화소의 아날로그 데이타를 로그 변환시킴으로써 반사율의 정보로부터 농도의 정보로 변환시키고 또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시키고 있다.
다음에 각 모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3도는 IPS를 구성하는 각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 END 변환 모듈
END 변환 모듈(30)은 IIT에서 얻어진 칼라 원고의 광학 독취신호를 그레이밸런스된 칼라신호로 조정(변환)시키기 위한 모듈이다.
칼라화상의 토너는 그레이의 경우에 등량으로 되고 그레이가 기준이 된다. 그러나, IIT로부터의 그레이의 원고를 독취했을 때에 입력하는 B,G,R의 칼라분해신호의 값은 광원이나 색분해 필터의 분광특성등이 이상적이 아니므로 같아져 있지않다. 그리하여, 제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테이블(LUT ; 루크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그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 END변환이다. 따라서, 변환테이블은 그레이 원고를 독취한 경우에 그레벨(흑→백)에 대응하여 상시 같은 계조로 B,G,R의 칼라분해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고 IIT의 특성에 의존된다. 또, 변환테이블은 16면 준비되고 그 중 11면이 네가필름을 포함하는 필름 프로젝터용 테이블이고 3면이 통상의 카피용, 사진용, 제네제이숀 카피용 테이블이다.
(B) 칼라마스킹 모듈
칼라마스킹 모듈(302)는 B,G,R신호를 매트릭스 연산함으로써, Y,M,C의 토러량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이고, END 변환에 의해서 그레이 밸런스 조정을 행한 후의 신호를 처리하고 있다.
칼라마스킹에 사용되는 변환 매트릭스는 순수하게 B,G,R로부터 각각 Y,M,C를 연산하는 3×3매트릭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B,G,R 뿐만 아니라 BG,GR,RB,B2,G2,R2의 성분도 가미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매트릭스를 사용하든지, 다른 매트릭스를 사용해도 좋은것은 물론이다. 변환 매트릭스로서는 통상의 칼라조정용과 모노칼라모드에 있어서의 강도 신호생성용의 2세트를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IIT의 비디오신호에 대해서 IPS로 처리할 때에 무엇보다도 우선 그레이 벨런스 조정을 행하고 있다. 이것을 가령 칼라미스킹 후에 행한다고 하면 칼라마스킹의 특성을 고려한 그레이 원고에 의한 그레이 밸런스 조정을 행해야 하므로 그 변환테이블이 더 복잡해진다.
(C) 원고사이즈 검출 모듈
정형사이즈의 원고는 물론 자르거나 붙인 또, 기타 임의의 형상의 원고를 카피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원고사이즈에 대응한 적절한 사이즈의 용지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원고사이즈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또 원고사이즈보다도 카피용지가 클 경우에 원고의 외측을 지우면 양호한 카피를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원고사이즈 검출모듈(302)은 프리스캔닝시의 원고사이즈 검출과 원고 독취 스캔닝시의 플래톤 칼라의 소거(──────)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플래튼 칼라는 원고와의 식별이 용이한 색, 예를 들면 흑으로 하고, 제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칼라 식별의 상한치/하한치를 스레숄드 레지스터(3031)에 세트시킨다. 그리고 프리시캔닝시는 원고의 반사율에 가까운 정보로 변환(τ 변환)시킨 신호(후술한 공간필터(306)의 출력을 사용한다)(X)와 드레숄드레지스터(3031)에 세트된 상한치/하한치를 콤페어레이터(3032)에서 비교하고, 에지검출회로(3034)에서 원고의 에지를 검출하여 좌표 x,y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최대/최소 소오터(2035)에 기억시킨다.
예를 들면, 제3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가 경사져 있는 경우나 구형이 아닌 경우에는 상하좌우의 최대치와 최소치(x1,x2,x1,x2)가 검출 기억된다. 또, 원고 독취 스캔닝 시는 콤페어레이터(3033)에서 원고의 Y,M,C와 스레숄드 레지스터(3031)에 세트된 상한치/하한치를 비교하여 플래톤 칼라소거회로(3036)에서 에지의 외측, 즉 플래톤의 독취신호를 소거하여 프레임 지우기처리를 행한다.
(D) 칼라 변환 모듈
칼라 변환 모듈(304)는 특정영역에 있어서 지정된 칼라를 변환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고, 제3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인도 콤페어레이터(3042), 스레숄드 레지스터(3041), 칼라팔레트(3043)등을 구비하여 칼라변환하는 경우에 피변환칼라의 각 Y,M,C의 상한치/하한치들 스레숄드 레지스터(3041)에 세트시키는 동시에 변환칼라의 각 Y,M,C의 값을 칼라팔레트(3043)에 세트시킨다. 또, 영역화상 제어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에어리어신호에 따라서 NAND게이트(3044)를 제어하고 칼라변환 에어리어가 아닌 경우에는 원고의 Y,M,C를 그대로 셀렉터(3045)에서 송출하고 칼라변환 에어리어에 들어가면 원고의 Y,M,C신호가 스레숄드 레지스터(3041)에 세트된 Y,M,C의 상한치와 하한치의 사이에 들어가면 우인도 콤페어레이터(3042)의 출력으로 셀렉터(3045)로 절환시켜 칼라팔레트(3043)에 세트된 변환칼라의 Y,M,C를 송출한다.
지정색은 디지타이저로 직접원고를 포인트함으로써 프리스캐닝시에 지정된 좌표의 주변의 B,G,R 각 25화소의 평균을 취하여 지정색을 인식한다. 이 평균조작에 의해서 예를 들면, 150선 원고에서도 색소 5이내의 정도로 인식 가능하게 된다. B.G.R농도 데이타의 독취는 IIT 세이딩 보정 RAM으로부터 지정좌표를 어드레스로 변환시켜 독출하고, 어드레스 변환시에는 원고사이즈 검지와 같이 레지스트레이숀 조정분의 재조정이 필요하다. 프리스캔닝에 있어서는 IIT는 샘플 스캔 모드로 동작한다. 세이딩 보정 RAM으로부터 독출된 B,G,R 농도 데이타는 소프트 웨어에 의해서 세이딩 보정된 후에 평균화되고 또, END 보정, 칼라마스킹을 실행하고 나서 우인도 콤페어레이터(3042)에 세트된다.
등록색은 1670만색증으로부터 동시에 8색가지 칼라팔레트(3043)에 등록이 가능하게 하고 표준색은 Y,M,C,G,B,R 및 이들의 중간색과 K,W의 14색을 준비하고 있다.
(E) UCR 및 흑생성 모듈
Y.M.C가 같은 양일 경우에는 그레이가 되므로 이론적으로는 같은양의 Y.M.C를 흑으로 치환시킴으로써 같은 색을 재현시킬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흑으로 치환시키면 혼탁색이 생겨 선명한 색의 재현성이 나빠진다. 그리하여, UCR 및 흑생성 모듈(305)에서는 이와 같은 혼탁색이 생기지 않도록 적당량의 K를 생성시키고 그 양에 응하여 Y,M,C를 같은 양 감소시키는 (하색제거)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Y,M,C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검출하고 그 차에 응하여 변환테이블로부터 최소치이하에서 K를 생성하고 그 양에 응하여 Y,M,C에 대해서 일정한 하색제거를 행하고 있다.
UCR 및 흑생성에서는 제3e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그레이에 가까운 색이 되면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가 작아지므로 Y,M,C의 최소치 상당을 그대로 제거하여 K를 생성시키지만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가 클 경우에는 제거량을 Y,M,C의 최소치보다도 적게 하여 K의 생성량도 적제함으로써 묵의 혼입 및 저명도 고채도색의 채도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구체적인 회로구성예를 나타낸 제3f도에서는 최대치/최소치 검출회로(3051)에 의해서 Y,M,C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검출하여, 연산회로(3053)에 의해서 그 차를 연산하고 변환테이블(3054)와 연산회로(3055)에 의해서 K를 생성시킨다. 변환테이블(3054)가 K의 값을 조정하는 것이며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가 작은 경우에는 변환테이블(3054)의 출력치가 0이 되므로 연산회로(3055)에서 최소치를 그대로 K의 값으로써 출력하지만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가 클 경우에는 변환테이블(3054)의 출력치가 0이 않되게 되므로 연산회로(3055)에서 최소치로부터 그 만큼 감산된 값을 K의 값으로써 출력한다. 변환테이블(3056)이 K에 대응하여 Y, M, C로부터 제거하는 값을 구하는 테이블이고 이 변환테이블(3056)을 통해서 연산회로(3059)에서 Y,M,C로부터 K에 대응하는 제거를 행한다. 또, 앤드게이트(3057,3058)은 모노칼라모드, 4풀칼라모드의 각 신호에 따라서 K신호 및 Y,M,C의 하색제거한 후의 신호를 게이트하는 것이다. 셀렉터(3052,3050)는 프로세스 칼라신호에 의해서 Y,M,C,K 중 어느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실제로는 Y,M,C의 망점으로 색을 표현시키고 있으므로, Y,M,C의 제거나 K의 생성비율은 경험적으로 생성된 커브나 테이블등을 사용하여 설정되고 있다.
(F) 공간 필터 모듈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장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IIT에서 CCD를 스캔닝하면서 원고를 독취하므로 그대로의 정보를 사용하면 흐른 정보로 되고, 또 망점에 의해서 원고를 재현시키고 있으므로 인쇄물의 망점주기와 16도트/mm의 샘플링 주기와의 사이에서 모아래가 생긴다. 또, 스스로 생성하는 망점주기와 원고의 망점 주기와의 사이에서도 모아래가 생긴다. 공간 필터 모듈(306)은 이와 같은 흐림을 회복하는 기능과 모아래를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또 모아래 제거에는 망점성분을 잘라내기 위한 로우 패스필턱라 사용되고 에지강조에는 하이패스 필터가 사용되고 에지강조에는 하이 패스 필터가 사용된다.
공간 필터 모듈(30)에서는 제3g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Y,M,C,Min 및 Max-Min의 입력 신호의 1색을 셀렉터(3003)에서 꺼내고 변환 테이블(3004)를 사용하여 반사율에 가까운 정보로 변환시킨다. 이 정보의 쪽이 에지를 얻기 쉽기 때문이다. 그 1색으로서는 예를 들면 Y를 선택하고 있다. 또, 스레숄드 레지스터(3001), 4배트의 2치화회로(3002), 데코더(3005)를 사용하여 화소마다 Y,M,C,Min 및 Y,M,C,K,B,G,R,W(백)의 8종으로 색상 분리를 한다. 데코더(3005)는 2치화정보에 응하여 색상을 인식하여 프로세스칼라로부터 필요색인지를 1비트의 정보로 출력하는 것이다.
제3g도의 출력은 제3h도의 회로에 입력된다. 여기서는 FIFO(3061)과 5×7디지탈필터(3063), 모듀레이숀 테이블(3066)에 의해서 망점제거의 정보를 생성하고 FIFO(3062)와 5×7디지탈필터(3064), 모듀레이숀 테이블(3067), 디레이회로(3065)에 의해서 동도면(g)의 출력 정보로부터 에지 강조정보를 생성한다. 모듀레이숀 테이블(3066,3067)은 사진이나 문자전용, 혼재등의 카피의 모드에 응해서 선택된다.
에지강조에서는 예를 들면, 제3i도의 (a)과 같은 녹색의 문자를 (2)와같이 재현시키려는 경우에 Y,C를 (c)(d)와 같이 강조 처리하고 M는 (e)실선과 같이 강조처리를 하지 않는다. 이 스위칭을 AND게이트(3068)로 행하고 있다. 이 처리를 행하려면 (e)의 점선과 같이 강조하면 (f)과 같이 에지에 M의 혼색에 의한 혼탁이 생긴다. 디레이회로(3065)는 이와 같은 강조를 프로세스칼라마다 AND게이트(3068)로 스위칭하기 위하여 FIFO(3062)와 5×7디지탈필터(3064)와의 동기를 도모하는 것이다.
선명한 녹색문자를 통상의 처리로 재생시키면 녹색문자에 마젠타가 섞여서 혼탁이 생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하여 녹색으로 인색하면, Y,C는 통상과 같이 출력하지만 M는 억제하여 에지강조를 하지않게 한다.
(G) TRC 변환 모듈
IOT는 IPS로부터의 ON/OFF신호에 따라서 Y,M,C,K의 각 프로세스 칼라에 의해서 4회의 카피사이클(4풀칼라 카피의 경우)를 실행하고 풀칼라원고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신호처리에 의해서 이론적으로 구한 칼라를 충실하게 재생하려면 IOT의 특성을 고려한 미묘한 조정이 필요하다. TRC 변환모듈(307)은 이와 같은 재현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Y,M,C의 농도의 각 조합에 의해서 제3j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8비트 화상 데이타를 어드레스입력으로 하는 어드레스 변환 테이블을 RAM에 갖고 에어리어 신호에 따른 농도조정, 콘트라스트 조정, 네가포지반전, 칼라 벨런스 조정, 문자모드 , 투명합성등의 편집기능을 갖고 있다.
이 RAM 어드레스 상위 3비트에는 에어리어신호의 비트 0∼ 비트 3이 사용된다. 또, 영역의 모드에 의해서 상기 기능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이 RAM은 예를 들면 2K 바이트(256×8면)으로 구성하여 8면의 변환테이블을 보유하고 Y,M,C의 각 사이클마다에 IIT 캐리지 리턴중에 최고 8면분 격납되고 영역지정이나 카피모드에 응하여 선택된다. 물론 RAM 용량을 증가시키면 각 사이클마다 로오드시킬 필요는 없다.
(H) 축확처리 모듈
축확처리 모듈(308)은 제3k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버퍼(3083)에 데이타(X)를 일단 보지하여 송출할 과정에서 축확 처리회로(3082)를 통하여 축확처리하는 것이고 리샘플링제네레이터 및 어드레스콘트롤러(3081)에서 샘플링 피치 신호와 라인버퍼(3083)의 리드/라이트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라인버퍼(3083)은 2라인분으로 되는 핑퐁 버퍼로 함으로써 한쪽의 독출과 동시에 나머지쪽에 다음 라인 데이타를 기입될 수 있게하고 있다. 축확처리에서는 주 주사방향에는 이 축확처리 모듈(308)에서 디지탈적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부주사방향에는 IIT의 스캔닝의 스피드를 바꾸고 있다. 스캔닝 스피드는 2배로부터 1/4배의 속도까지 변화시킴으로써 50%로부터 400%까지 축확시킬 수 있다. 디지탈 처리에서는 라인버퍼(3083)에 데이타 버퍼(3083)에 데이타를 리드/라이트할 때에 속가내어 보완함으로써 축소시키고 부가 보완함으로써 확대시킬 수 있다. 보완데이타는 중간에 있는 경우에는 동도면(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의 데이타와의 거리에 응한 겹쳐진 처리를 하여 생성된다. 예를 들면 데이타(Xi)의 경우에는 양측의 데이타 Xi, Xi+1 및 이들의 데이타와 샘플링 포인트와의 거리(d1,d2)로부터
(Xi×d2)+(Xi+1×Xd1)
단 d1+d2=1의 연산을 하여 구해진다.
축소처리의 경우에는 데이타의 보완을 하면서 라인 버퍼(3083)에 기입하고 동시에 앞라인의 축소처리한 데이타를 버퍼에서 독출하여 송출한다. 확대처리의 경우에는 일단 그대로 기입하고 동시에 앞라인의 데이타를 독출하면서 보완 확대하여 송출한다. 기입시에 보완확대하면 확대율에 응하여 기입시의 클록을 높이지 않으면 안되지만 상기와 같이하면 같은 클록으로 기입/독출을 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을 사용하여 도중에서 도출하든지 타이밍을 지연시켜 독출함으로써 주 주사방향의 쉬프트 이메지 처리할 수 있고 반복 독출함으로써 반복 처리할 수 있고 반대쪽에서 독출함으로써 경상처리할 수도 있다.
(Ⅰ) 스크린 제네레이터
스크린 제네레이터(309)는 프로세스 칼라의 계조 토너신호를 ON/OFF의 2치화 토너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고 스레숄드 매트릭스 제조표현된 데이타치의 비교에 의한 2치화 처리와 에러 확산처리를 행하고 있다. IOT에서는 이 2치화 토너신호를 입력하고 16도트/mm에 대응하도록 대략 종 80μmφ, 폭 μmφ의 타원형상의 레이저 빔을 ON/OFF하여 중간조의 화상을 재현시키고 있다.
우선 계조의 표현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3n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4×4의 하프톤 셀(S)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우선, 스크린 제네레이터에서는 이와 같은 하프톤 셀(S)에 대응하여 스레숄드 매트릭스(m)가 설정되고 이것과 계조 표현된 데이타치가 비교된다. 그리고 이 비교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데이타치가「5」라고 하면, 스레숄드 매트릭스의 m의「5」이하의 부분에서 레이저빔을 ON으로 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16도트/mm로 4×4의 하프톤 셀을 일반적으로 100spi, 16계조의 망점이라고 하지만 이것으로는 화상이 거칠고 칼라화상의 재현성이 나쁜것이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계조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이 16비트/mm의 화소를 종(주 주사방향)으로 4분할하고 화소단위로의 레이저빔의 ON/OFF주파수를 동도면(o)에 나타낸 바와 같이 1/4단위 즉 4배로 높이도록 함으로써 4배 높은 계조를 실현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것에 대응하여 동도면(o)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레숄드치 매트릭스 m'를 설정하고 있다. 또 선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서브 매트릭스법을 채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상기의 예를 각 하프톤 셀의 중앙부근을 유일한 성장핵으로 하는 같은 스레숄드 메트릭스 m을 사용했으나 서브 매트릭스법은 복수의 단위 매트릭스의 집합에 의해서 구성하고 동도면(p)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트릭스의 성장핵을 2개소 또는 그이상(복수)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크린의 패턴설계수법을 채용하면 예를 들면 밝은곳은 141spi, 6-4계조로 하고 어두어짐에 따라서 200psi, 128계조로 함으로써 어두운곳, 밝은곳에 따라서 자유로 선수와 계조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은 계조의 원활정도나 세선성, 입상성 등을 눈으로 보아 판정함으로써 설계할 수 있다.
중간조화상을 상기와 같은 도트매트릭스에 따라서 재현시키는 경우에 계조수와 해상도는 상반되는 관계로 된다. 즉, 계조수를 높이면 해상도가 나빠지고 해상도를 높이면 계조수가 낮아진다는 관계가 있는 또 스레숄드 데이타의 메트릭스를 작게하면 실제로 출력하는 화상에 양자화 오차가 생긴다. 에러 확산 처리는 동도면(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 제네레이터(3092)에서 생성된 ON/OFF의 2치화 신호와 입력의 계조신호와의 양자화 오차를 농도변환회로(3093), 감산회로(3094)에 의해서 검출하고 보정회로(3095), 가산회로(3091)을 사용하여 피드백하여 마이크로적으로 보았을때의 제조의 재현성을 좋게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앞라인의 대응하는 위치와 그 양쪽화소를 디지탈 필터를 통하여 에러 확산처리를 행하고 있다. 스크린 제네레이터에서는 상기와 같이 중간조화상이나 문자화상등의 화상의 종류에 따라서 원고 또는 영역마다 스레숄드치 데이타나 에러확산처리의 피드백 계수를 절환하여 고계조, 고정세화상의 재현성을 높이고 있다.
(1) 영역화상 제어모듈
영역화상제어 모듈(311)에서는 7개의 구형영역 및 그 우선순위가 영역생성회로에 설정가능한 구성이고 각각의 영역에 대응하여 스위치매트릭스에 영역정보가 설정된다. 제어정보로서는, 칼라변환이나 모노칼라나 풀칼라등의 칼라모드 사진이나 문자 등의 모듀레이숀 셀렉트 정보, TRC의 셀렉트정보, 스크린 제네레이터의 셀렉트 정보 등이 있고, 칼라마스킹 모듈(302), 칼라 변환 모듈(304), UCR 모듈(305), 공간 필터(306), TRC 모듈(307)의 제어에 사용된다. 또, 스위치 매트릭스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설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K) 편집 제어 모듈
편집 에저 모듈은 구형이 아니고 예를 들면 원그래프등의 원고를 독취하고 형상이 한정 되지 않은 지정영역을 지정색으로 발라버리는 색칠하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동도면(m)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의 버스에 AGDC(Advanced Graphic Digital Controller)(3121), 폰트 버퍼(3126), 로고 ROM(3128), DMA(DMA Controll-er)(312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CPU에서 엔코드된 4비트의 에어리어 코멘트가 AGDC(3121)을 통하여 프레인 메모리(3122)로 기입되고 폰트 버퍼(3126)에 포트가 기입된다. 플레인 메모리(3122)는 4매로 구성하고 예를 들면「0000」의 경우에는 코멘트 0이고, 오리지날 원고를 출력한다는 것과 같이 원고의 각점을 플레인 0∼플레인 3의 4비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 4비트의 정보를 코멘드 0∼코멘드 15에 데코딩하는 것이 데코더(3123)이고 코멘드 0∼코멘드 15를 필 패턴, 필 로직, 로고중의 어느 처리를 행하는 코멘드로 하느냐를 설정하는 것이 스위치 매트릭스(3124)이다. 폰트 어드레스 콘트롤러(3125)는 2비트의 필 패턴 신호에 의해서 망점 세이드, 해칭 세이드등의 패턴에 대응하여 폰트버퍼(3126)의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것이다.
스위치회로(3127)는 스위치 매트릭스(3124)의 필 로직신호나 원고데이타(X)의 내용에 따라서 원고데이타(X), 폰트버퍼(3126), 칼라 필레트의 선정 등을 행하는 것이다. 필로직은 백그라운드(원고의 배경부)만을 칼라메슈로 발라버리든지 특정부분(포어그라운드)을 칼라변환시키든지 마스킹이나 트리밍, 발리버리는등을 행하는 정보이다.
본 발명의 IPS에서는 이상과 같이 IIT의 원고 독취신호에 대해서 우선 END변환한후에 칼라 마스킹을 하고 풀칼라 데이타로의 쪽이 효율적인 원고사이즈나 프레임지우기 칼라변환의 처리를 행하고나서 하색제거 및 묵의 생성을 행하여 프로세스 칼라로 조여간다. 그러나, 공간 필터나 칼라변조, TRC, 축확등의 처리는 프로세스칼라의 데이타를 처리함으로써 풀칼라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경우보다도 처리량을 적게하고 사용하는 변환테이블의 수를 1/3으로 하는 동시에 그만큼 종류를 많게하여 조정의 유연성, 색의 재현성, 계조의 재현성, 정세도의 재현성을 높이고 있다.
(Ⅱ) IPS의 하드웨어 구성
제4도의 IPS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IPS에서는 2매의 기판(IPS-A, IPS-B)로 분할하고, 색의 재현성이나 계조의 재현성, 정세도의 재현성 등의 칼라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달성하는 부분에 대해서 제1의 기판(IPS-A)에 편집과 같이 응용, 전문기능을 달성하는 부분을 제2의 기판(IPS-B)에 탑재하고 있다. 전자의 구성이 제4a∼c도이고 후자의 구성이 동도면(d)이다.
특히 제1의 기판에 의해서 기본적인 기능이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면 제2의 기판을 설계 변경하는 것만으로 응용, 전문기능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칼라 화상형성장치로서 더 기능을 높이려는 경우에는 다른쪽 기판의 설계변경을 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IPS의 기판에는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CPU의 버스(어드레스버스 ADRSBUS, 데이타버스 DATABUS, 콘트롤버스 CTRLBUS)가 접속되고 IIT의 비디오데이타 B.G.R 동기신호로서 비디오 클록IIT·VCLK, 라인동기(주 주사방향, 수평 동기)신호 IIT·LS, 페이지동기(부 주사방향, 수직동기)신호 IIT·PS가 접속된다.
비디오 데이타는 END 변환부이후에 있어서 파이프라인 처리되기 때문에 각각의 처리단계에 있어서 처리에 필요한 클록단위로 데이타의 지연이 생긴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각 처리의 지연에 대응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생성하여 분배하고 또 비디오클록과 라인동기신호의 패일체크를 행하는 것이 라인동기발생 및 페일체크회로(328)이다. 그 때문에 라인동기 발생 및 페일 체크회로(328)에는 비디오 클록 IIT·VCLK와 라인동기신호 IIT·LS가 접속되고 또 내부설정 재기입을 행하도록 CPU의 버스(ADRBUS, DATABUS, CTRLBUS), 칩셀렉트신호(CS)가 접속된다.
IIT의 비디오데이타 B,G,R는 END변환부의 ROM(321)로 입력된다. END변환테이블은 예를 들면 RAM 사용하여 CPU로부터 적의 로드하도록 구성해도 좋으나 장치가 사용상태에 있어서 화상데이터의 처리중에 재기입할 필요성이 거의 생기지 않으므로 B,G,R의 각각에 2K바이트의 ROM의 2개씩 사용하고 ROM에 의한 LUT(룩업 테이블)방식을 채용하고있다. 또, 16면의 변환테이블을 보유하고 4비트의 선택신호 END Sel에 의해서 절환된다.
END변환된 ROM(321)의 출력은 칼라마다 3×1 매트릭스를 2면 보유하는 3개의 연산 LSI(322)로 되는 칼라마스킹부에 접속된다. 연산 LSI(322)에는 CPU의 각 패스가 접속된다. CPU로부터 매트릭스 계수가 설정가능하게 되어있다. 화상신호의 처리로부터 CPU에 의한 재기입 등을 위하여 CPU의 버스로 절환시키기 위하여 세트업신호(SU), 칩셀렉트신호(CS)가 접속되고 매트릭스의 선택절환에 1비트의 절환신호(MONO)가 접속된다. 또, 파워다운신호(PD)를 입력하고 IIT가 스캔닝을 행하지 않을 때, 즉 화상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을때의 내부의 비디오 클록을 멈추고 있다.
연산 LSI (322)에 의해서 B,G,R로부터 Y,M,C로 변환된 신호는 동도면(d)에 나타낸 제2의 기판(IPS-B)의 칼라변환 LSI(353)을 통하여 칼라 변환처리후에 DOD용 LSI(323)으로 입력된다. 칼라변환 LSI(353)에는 비변환 칼라를 설정하는 스레숄드 레지스터, 변환칼라를 설정하는 칼라팔레트, 콤페어레이터등으로 되는 칼라변환회로를 4회로 보유하고, DOD용 LSI(323)에는 원고의 에지검출회로, 프레임지우기회로등을 보유하고 있다.
프레임지우기 처리를 한 DOD용 LSI(323)의 출력은 UCR용 LSI(324)으로 출력된다. 이 LSI는 UCR회로와 묵생성회로, 또 필요색 생성회로를 포함하고 카피사이클에서의 토너칼라에 대응하는 프로세스칼라(X), 필요색(Hue), 에지(Edge)의 각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LSI에는 그리하여 문자영역은 배경농도가 낮은 곳이 많은점에 착안하여 이들을 제거한 범위 A'에서 평균치 Ab'를 구하여 대표치로 한다.
즉, 획일적으로 동도면(d) 범위 A에 나타낸 바와같은 일정범위에서 평균치를 취한 경우에는 문자영역도 중간조영역도 그 평균치 Ab가 거의 같은 값이 되어 구별할 수 없게된다. 그러나, 문자영역은 배경이 엷으므로 동도면(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레숄드치(th1)을 설정하고 이 스레숄드치(th1)의 농도를 갖는 범위(A')에서 에지량의 총합계 Σe(i)를 평균화하면 문자영역은 높은값을 나타내고, 문자부영역과 중간조영역과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2비트의 프로세스 칼라 지정신호 COLR, 칼라모드 신호(4 COLR, MONO)도 입력된다.
라인 메모리(325)는 UCR용 LSI(324)에서 출력된 프로세스칼라(X), 필요색(Hue), 에지(Edge)의 각 신호를 5×7의 디지탈 필터(326)으로 입력하기 위하여 4라인분의 데이타를 축적하는 FIFO 및 그지연분을 정합시키기 위한 FIFO로 된다. 여기서 프로세스칼라(X)와 에지(Edge)에 대해서는 4라인 필터(326)으로 보내고, 필요색(Hue)에 대해서는 FIFO으로 지연시켜서 디지탈필터(326)의 출력과 동기시켜 MIX용 LSI(327)로 보내게 되어있다.
디지탈필터(326)는 2×7필터의 LSI를 3개로 구성한 5×7필터가 2조(로우패스 LP와 하이패스 HP)이고 한쪽에서 프로세스 칼라(X)에 대해서의 처리를 행하고 다른쪽에서 에지(Edge)에 대해서의 처리를 행하고 있다. MIX용 LSI(327)에서는 이들의 출력으로 변환테이블로 망점제거나 에지강조의 처리를 행하여 프로세스칼라(X)에 믹싱하고 있다. 여기서는 변환테이블을 절환하기 위한 신호로서 에지(EDGE), 샤프(Sharp)가 입력되어 있다.
TCR(342)는 8면의 변환테이블을 보유하는 2K바이트의 RAM로 된다. 변환테이블은 각 스캔닝전에 캐리지의 리턴기간을 이용하여 변환테이블의 재기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3비트의 절환신호(TRC Sel)에 의해서 절환된다. 또, 여기서부터의 처리출력은 트랜시버로부터 축확처리용 LSI(345)로 보내진다. 축확처리부는 8K바이트의 RAM(344)을 2개 사용하여 핑퐁버퍼(라인버퍼)를 구성하고 LSI(345)에서 샘플링 피치의 생성, 라인버퍼의 어드레스를 생성시키고 있다.
축확처리부의 출력은 동도면(d)에 나타낸 제2의 기판의 에어리어 메모리부를 통하여 EDF용 LSI(346)으로 되돌아간다. EDF용 LSI(346)는 앞라인의 정보를 보지하는 FIFO를 갖고 앞라인의 정보를 사용하여 에러확산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리고, 에러확산처리후의 신호(X)는 스크린 제네레이터를 구성하는 SG용 LSI(347)을 거쳐서 IOT 인터페이스로 출력된다.
제4c도에 나타낸 IOT 인터페이스에서는 1비트의 ON/OFF신호로 입력된 SG용 LSI(347)로부터의 신호를 LSI(349)로 정리하여 파라렐로 IOT로 송출하고 있다.
제4도에 나타낸 제2의 기판에 있어서, 설계로 흐르고 있는 데이타는 16비트/mm이므로 축소 LSI(354)에서는 1/4로 축소하고 또 2치화하여 에어리어 메모리에 축적한다. 확대데코드 LSI(359)는 필터패턴 RAM(360)을 갖으며 에어리어 메모리부터 영역정보를 독출하여 코멘드를 생성할때에 16비트/mm로 확대하고 로고어드레스의 발생, 칼라팔레트, 필패턴의 발생처리를 행하고 있다. DRAM(356)은 4면으로 구성하고 코드된 4비트의 에어리어 정보를 격납한다. AGDC(355)는 에어리어 코멘드를 콘트롤하는 전용콘트롤러이다.
(Ⅲ) 에지처리방식
디지탈 칼라복사기에서는 사진, 망점인쇄물, 문자, 선회등 여러가지 원고가 입력된다. 우선, 공간필터모듈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에지 강조 신호와 스므징신호를 적당히 혼합하여 화상의 종류에 대응한 재형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에지처리방식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에지처리용 LUT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에지처리회로는 제5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하이패스의 에지검출필터(361), 원화상신호의 색상을 검출하는 색상 검출회로(362), 에지강조용 LUT(록업 테이블) ①과 에지감쇄용 LUT ②로 되고 에지검출신호를 변환하는 에지처리 LUT(363)을 구비하여 에지를 검출하여 필요색일 경우에는 강조하고 불필요색일 경우에는 감쇄시키도록 한 에지처리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색상검출회로(362)의 절환신호는 현상색이 필요색이나 불필요색인가를 내용으로 하는 것이며 필요색의 절환신호에 의해서 에지처리 LUT(363)을 에지강조용 LUT ①로 절환하고 불필요색의 절환신호에 의해서 에지처리 LUT(363)을 에지감쇄용 LUT ②로 절환한다. 에지처리 LUT(363)에서는 에지강조용 LUT ①로 절환되면, 에지검출신호가 에지를 강조하는 신호로 변환되고 에지감쇄용 LUT ②로 절환되면, 에너지검출신호가 에지를 감쇄시키는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에지가 검출되었을 때에있어서 필요색의 경우에는 에지가 강조되고 불필요색의 경우에는 에지가 감쇄된다.
에지처리 LUT(363)은 횡축을 에지검출필터의 출력치, 즉, 에지의 정도를 나타낸 값, 종축을 LUT의 출력치로 하고 예를 들면 필터의 출력치가 ±100이하를 중간조화상부라고 판정하여 강조량을 0으로 하고 ±100보다도 외측을 에지부라고 판정하여 강조치 또는 감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에지 감쇄용 LUT ②는 제6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의 출력치가 ±100보다도 외측으로 감쇄치를 제공하고, 즉, 이 경우에는 에지량에 따라서 한쪽으로 강조(즉,감쇄)하도록 LUT의 출력치를 설정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색상이 흑의 필터 입력신호에 대해서 에지처리회로에서는 동도면(c)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흑색을 강조하는 동시에 Y,M,C를 불필요색으로 하고, 이것을 강조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지량에 따라서 감쇄시킨다. 이와같이 에지량에 따라서 필요색에서는 강조하고 불필요색에서는 감쇄시키는 에저치러신호를 에지검출신호로부터 생성하는 것이 에지처리 LUT(363)이다. 한편, 평활화회로에서는 각각의 색에 대해서 제5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활화 처리신호가 생성된다. 따라서 평활화처리 신호에서는 각색에 대하여 에지부분이 흐려지지만 이 부분을 에지강조 처리신호와 합성함으로써 동도면(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필요색이 거의 감쇄되어 출력되지 않는 필터 출력신호를 얻을 수 있고 흑문자를 대략 K1색 만으로 재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I),(F)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에지부에서의 혼색도 없어지고 Y,M,C,K,B,G,R,W에 대해서는 에지부에도 혼탁이 없는 문자를 재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2개의 에지처리용 LUT는 압축함으로써 하나의 LUT로 구성해도 좋다. 그 예를 나타낸 것이 제6b도이다. 이 예에서는 256계조의 데이타에 적용되는 경우에 그 1/2의 128로 최소분해능을 2계조로 함으로써 -126∼0∼+126을 감쇄용의 불필요색 영역으로 하고 그 양측 -256∼-128과 128∼254를 강조용의 필요색 영역으로 하고 있다.
제7도는 비선형 필터부의 LSI를 사용한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도, 제8도는 제7도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는 UCR·LSI(365)로 인쇄칼라신호(data)로부터 에지신호(edge), 필요색(색상)신호(Hue)를 분리시켜 화상데이타(data)와 제이신호(edge)를 각각 디지탈 필터(366,367)로 입력하는 것이다.
디지탈 필터(ME-LUT)(366)은 로우패스필터이고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의 에지부분을 둔하게 하는(흐리게 한다) 특성을 갖는 것이다. 샤프네스 조정은 이 파라미터의 설정을 바꾸어 특성을 바꿈으로서 실현시키고 있다. 또, 디지탈 필터(USM-LUT)(367)는 하이드패스필터이고 제8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화상의 에지부분을 추출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 화상 데이타(data), 디지탈필터(366,367)의 출력신호, 필요색신호(Hue)가 MIX·LSI(368)로 입력되어 혼합된다. 이 MIX·LSI(368)에서는 평활처리용 LUT(ME-MODU-LUT)와 에지처리용 LUT(SM-MODU-LUT)를 갖고 있다.
평활처리용 LUT는 제8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강약 2매의 테이블을 갖고, 동도면(e)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강약에 대응한 변조를 행하고 또 에지처리용 LUT는 예를 들면 에지강조용 LUT로서 제8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강·중·약의 3매의 테이블을 갖고 동도면(f)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강·중·약에 대응한 변조를 행하고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에지처리용 LUT에서는 색상신호(Hue)에 의해서 에지강조용 LUT와 에지 감쇄용 LUT와의 절환이 행해진다.
제7a도는 에지강조용 LUT를 통하여 가산하든지 직접 제로출력으로 하여 또는 에지감쇄용 LUT를 통하여 가산하든지 즉, 2매의 LUT를 절환제어하는 제18도 또는 제5도의 회로에 적용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제7b도는 디지탈필터(367')에서의 출력데이타 폭을 1비트분 감소시켜 거기에 색상신호 Hue를 1비트 더하여 8비트 데이타로 만들어 MIX·LSI(368')로의 입력데이타로 하는 것이고 MIXㆍLSI(368')에 있어서 제6b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1매의 LUT로 색상신호(Hue)의 ON/OFF에 의해서 필요색영역(강조용 LUT)과 불필요색 영역(감쇄용 LUT)을 구분하여 사용해서 에지가산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즉, 에지검출부(367')로부터 데이타폭이 1비트의 싸인 S(+ 또는 -)와 7비트의 데이타(d6d5d4d3d2d0)로 되는 경우에는 최하위 비트d0를 삭제하고 전체를 우로 1비트씩 쉬프트하여 최상위 비트에 Hue신호를 가한다. 따라서 비트어사인의 변경후의 입력데이타는
「HS d5d4d3d2d1d0」
에 의한 8비트의 구성이 된다.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예에 적용시킨 경우에는 1개의 강조용 LUT를 준비한만큼 강조용 LUT를 통하여 에지데이타를 가산하든지 직접 제로 출력하여 가산하느냐이므로 불필요색에 대해서 에지의 감쇄용 LUT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에지강조용 LUT와 에지 감쇄용 LUT를 1개의 LUT(제6b도)로 구성하고 에지검출부에서의 데이타폭의 조작과 필요색신호(Hue)의 부가를 행함으로써 제7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단한 하드웨어의 변경에 의해서 본 발명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 색상판정에 의한 에지강조는 흑문자 재현 뿐만 아니라 색문자에 대해서도 그 재현성의 개선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예를 들면, 마젠다 M의 문자가 입력되었다하면 제8g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상판정이 M이라고 판정된 영역에서는 강조되고 그 이외는 감쇄되므로, 온화한 구배부는 삭제된다. 그 때문에 필요색부분만을 강조하고 있었든 종래의 방식에 비해서 외측의 W부분이 불필요색으로서 제거되므로 샤프한 문자재현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색상검출하는 Y,M,C,K,B,G,R,W에 대해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Ⅳ) 선예도 개선 회로
화상의 선예정도는 화상의 윤곽부분의 상승이나 가는 콘트라스트의 유무, 대면적 콘트라스트 또는 흑의 재현성의 양부로서 나타난다. 상기와 같이 에지처리를 행함으로써 에지부에 있어서의 문자의 혼탁을 없애는 도시에 에지부를 샤프하게 만들수는 있지만 문자가 굵어지는 것을 해소시킬 수는 없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에지처리회로에 선예도 개선 회로를 부가하고 색상의 판정에 있어서 에지검출을 샤프하게 함으로써 문자가 굵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가는 문자의 재현성을 개선했다.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선예도 개선방식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선예도의 개선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9도에 있어서, 셀렉터(372)는 전술한 UCR회로를 포함하고 목판생성, 하색제거를 행하여 현상색을 선택하는 회로이다. 로우패스필터(373)는 망점을 제거하여 원활한 중간조화상을 재현시키기 위한 신호처리를 행하는 평활필터이다. τ변환(374), 에지검출필터(375), LUT(376)가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강조신호를 생성하는 처리회로이다.
상기 회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부가회로는 감산회로(377), 적산회로(378), 가산회로(379), 콤페어레이터(380),AND게이트회로(383)로 되는 것이고, 상기 비선형 필터처리회로에 대해서 색상신호의 보정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감산회로(377)에서는 로우패스필터(373)의 입력측과 출력측에 접속되고 원화상 신호와 로우패스필터(373)의 출력신호와의 차를 구하여 승산회로(378)에서는 감산회로(377)의 출력축에 접속되고 원화상 신호와 로우패스필터(373)의 출력신호와의 차를 K배함으로써 개인 조정을 행하고 가산회로(379)는 감산회로(377)의 출력측과 로우패스필터(373)의 입력측에 접속되고 감산회로(377)의 출력신호와 원화상 신호를 가산하고 있다. 그리고 콤페어레이터(380)에서는 가산회로(379)의 출력신호를 스레숄드치(th)와 비교하고 2치화하고 AND게이트회로(383)에서는 콤페이레이터(380)의 2치화출력과 색상식별회로(383)의 색상신호(필요색신호)와의 논리적 연산을 행함으로서 색상신호를 보정하고 있다.
다음에 전체의 동작을 설명하면 감산회로(377)에서는 로우패스필터(373)의 출력신호와 원화상 신호와의 차를 구함으로써 에지검출을 행하고 있다. 즉, 제10도의 LP에 나타낸 로우패스필터(373)와 감산회로(377)의 조합에 의해서 특성 HP의 하이프새필터를 만들고 있다. 이 감산회로(377)에서 얻어진 에지검출신호를 그대로 사용하려면 신호가 약하므로 적산회로(378)에 있어서 K배되어 게인 조정된다.
또, 이 적산회로(378)의 출력에서는 직류성분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이 게인 조정된 에지 검출신호에 가산회로(379)에서 원화상 신호를 가산함으로써 제10b도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류성분을 포함하여 에지부를 강조하여 샤프하게 한 에지강조신호(Edge)
Edge=K(a-b)+a
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신호(Edge)콤페어레이터(380)에서 스레숄드치(th)와 비교하여 동도면(b)의 사선으로 나타낸 2치화신호를 생성하고 AND게이트회로(383)에서 이 2치화신호와 색상식별회로(382)의 색상신호와의 논리적 연산을 행한다. 이 보정된 색상신호(Hue)의 ON/OFF에 의해서 에지검출회로(375)의 출력을 LUT(376)에서 변환시키고 합성회로(381)에서 로우패스필터(373)의 출력과 합성삼으로써 에지부가 샤프하고 굵어짐이 없는 색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이 LUT(376)에 전항의 테이블을 적용시킴으로써 필요색 영역(강조용 LUT)와 불필요색 영역(감쇄용 LUT)를 구분 사용하여 가산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게인(K)은 Y,M,C,K의 각색에 따라서 변화시킨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 장치의 선예도 개선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로우패스필터(373)의 입출력양측에 간단한 회로를 부가하는 것만으로 효율좋게 문자가 굵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나 조정에 유연성을 갖을 수 없다. 그리하여 각색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 제11도 및 제12도이다.
즉, 문자가 굵어지는 양상은 IIT의 MTF특성이나 IOT의 현상특성에 따라서 상당히 달라진다. 예를 들면 IIT에서는 제3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주사방향과 부 주사방향에 의해서 MTF특성에 차가 있고 색에 따라서도 그린은 비교적 좋으나 블루와 레드가 나쁘다. 따라서 이들의 불균일로 인해서 처리파라메터를 바꿀수 없는 경우에는 주사방향이나 색에 의한 불균일이 생기게 된다. 또, IOT에 있어서도 주사방향이나 주파수, 콘트라스트 등에 의해서 현상 특성이 바뀐다. 그 때문에 색 문자간에서 재현되는 문자의 선예도도 변화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평활화용의 로우패스필터(373)에 감산회로(377)을 조합하여 에지검출용 바이패스필터를 만들고 있으므로 평활화용 로우패스팰티(373)를 무시하여 에지검출용 바이패스 필터의 특성을 자유로 바꿀수는 없다. 즉, 로우패스필터(373)에 의해서 특성이 정해져 버린다.
그리하여 색상식별회로(382)의 입력측에 별개로 바이패스필터(385)를 접속하고 원화상 신호의 각각에 대해서 자유로 하이패스필터의 특성을 바꿀 수 있도록 한것이 제12도이다. 이와 같이 하이패스필터(385)를 색상검출용으로 설비하면 각색마다 게인을 자유로 설정할 수도 있고 현상색마다의 개별대응으로 파라메타를 바꿔서 Y,M,C,K간의 밸런스가 잡힌 선영한 문자, 선화화상을 재현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무딘 신호에 의해서 색상식별을 행하고 있었으나 색상식별 회로(382)에 있어서 에지가 샤프한 신호가 입력되므로 문자가 굵어지지않는 색상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하면 회로구성으로서의 규모는 커지지만 각 색별로 필터의 파라메터를 설정, 변경할 수 있고 칼라벨런스가 잡힌 에지강조를 행할 수 있다.
또, 제12도에 나타낸 예는 제9도에 나타낸 부가회로에 있어서 감산회로(377),적산회로(378),가산회로(379)를 각색신호의 합성회로(386), 하이패스필터(387)로 바꾼 것이다. 합성회로(386)는 예를 들면
A=K1Y+K2M+K3C
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에지검출이 용이한 등가휘도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 A를 하이패스필터(387)의 입력신호로 한다. 이 경우에 각 계수는 예를 들면 K1=0.11, K2=0.59, K3=0.3과 같은 값이 설정되고 이 계수를 개별적으로 바꿈으로서 각색마다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 하이패스필터(387)에는 직류로 가한 계수를 설정하고 현상색마다 절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각색마다 합성회로(386)의 계수 및 하이패스필터(387)의 계수를 바꿀 수 있다.
(Ⅴ) 영역식별
(Ⅵ) 혼재화상재현과 영역식별
상기와 같이 에지처리를 행하여 사진망점인쇄, 문자, 선화등의 원고에 대해서 파라메터를 절환함으로써 중간조화상에 대해서는 원활한 화상의 재현성은 높이고 문자화상에 대해서는 흐림이 없는 윤곽의 선명한 화상의 재현성을 높이고 있다. 또 문자화상에 대해서는 상기 선예도의 개선을 행함으로써 특히 흑문자에 있어서의 에지나 소문자의 혼탁을 없애고 뚜렷뚜렷한 문자의 재현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활한 화상을 재현하는 중간조화상과 에지의 선명한 문자화상은 파라메터의 절환이 필요하므로 원고가 중간조원고인지, 문자원고인지 또는 영역이 중간조영역인지, 문자영역인지의 지정에 의해서 파라메터의 절환을 행하고 또 이들이 혼재된 화상에 대해서는 또 다른 파라메터로 절환하는 것이 검토되어 왔다. 즉, 중간조용 파라메터로 문자를 재현시키면 에지나 소문자에 흐름이나 혼탁이 생기고 문자용 파라메터로 중간조를 재현시키면 중간조 화상중의 에지를 강조해 버리므로 중간조화상중에서 에지가 극단적으로 강조된 거칠은 화상이 되어버린다. 그 때문에 중간조용 파라메터 및 문자용 파라메터와는 별도로 중간조 에지강조를 약하게 하고 문자의 흐름이나 혼탁도 없애서 중간조도 문자도 재현시킬 수 있는 혼재용 파라메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혼재용 파라메터는 중간조도 문자도 그 나름대로 재현할 수 있으나, 중간조용 파라메터나 문자용 파라메터에 의한 경우와 같은 높은 재현성을 얻을 수는 없다. 따라서, 혼재화상에 있어서 중간조도 문자도 높은 재현성을 얻으려면 각각의 영역을 식별하여 중간조용 파라메터와 문자용 파라메터의 절환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회로에 대역식별처리회로를 부가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문자영역과 중간조영역을 식별하여 중간조용의 파라메터와 문자용 파라메터의 절환을 가능하게하는 동시에 그 식별정도를 높이도록 한것이고 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 제13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은 제1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비선형의 에지검출필터(402)에서 얻어지는 에지신호에 준하여 대역식별처리회로(405)에서 문자영역과 중간영역을 식별하고 그 식별결과에 의해서 에지강조용 LUT(403)의 파라메터를 절환하는 것이다. 대역식별처리회로(405)에 의한 식별 처리는 각 화상에 대해서 에지량의 판정을 행하는 처리와 그 판정처리의 결과에 준하여 블록단위로의 문자영역과 중간조영역의 식별을 행하는 처리로 나눌 수 있다.
또, 블록판정에 있어서는 블록을 고정시키는 방식과 블록을 가변으로 하는 방식이 채용된다. 이와 같은 2단계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본래에 문자영역인곳에서 국부적으로 중간조영역으로 식별하든지 역으로 본래 중간조영역인 곳에서 국부적으로 문자영역으로 식별하는 것과 같은 오식별을 없애도록 하여 식별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대역식별 처리회로(364)는 동도면(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화소를 블록으로 하여 각 화소마다의 특징치를 구하고 그 대표치를 동도면(c)에 나타낸 곳과 같은 블록데이타열로 한다. 그리고 이 블록데이타열의 대표치로 영역식별을 한다. 또, 이 블록의 집합으로 마찬가지로 행하여 영역의 식별을 행하게 해도 좋다.
다음에 구체적인 대역식별처리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제14도에 의해서 설명하겠다.
(B) 고정블록 식별방식
제14도는 고정블록 식별방식을 채용한 대역 식별 처리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블록 식별방식은 일정사이즈의 블록을 설정하여 대표치를 구하고 그 블록내가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정영역인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그 대표치로서는 예를 들면 m×n내의 화소이 평균치 Ab,
가 통상 생각되나 이 값에 의하면 문자영역과 중간조영역에서 큰차가 생기지 않으므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의 식별이 어려워져 식별정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우선, 동도면(a)에 나타낸 회로에 있어서 라인단위로 상위 4비트를 농도데이타, 하위 4비트를 에지데이타로 하는 8비트 데이타를 보지하는 FIFO(411, 412)와 그로부터 출력된 8비트데이타를 화소단위로 보지하는 래치회로(DF ; D-플립플롭)군(413, 414)와 셀렉터(415)는 m×n사이즈의 블록에서 화소를 추출하는 것이다. 타이밍 콘트롤러(416)는 클록에 의해서 전체의 리드라이트 타이밍신호를 생성하고 각 회로에 있어서의 데이타의 보지, 선택, 연산 등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다. 콤페어레이터(417)는 셀렉터(415)에서 선택된 화소의 8비트 데이타종 장위 4비트의 농도데이타를 입력하고 스레숄드치(th1)과 비교하는 것이며 스레숄드치(th1)를 초과하는 농도데이타의 화소수를 계수하는 것이 카운터(408)이다. 한편, 가산기(419)는 셀렉터(415)에서 선택된 화소의 하위 4비트를 에지데이타로서 입력하고 에지량의 가산연산을 행하여 에지량의 총합계를 구하는 것이며, 그 총합계(Σe(i))를 카운터(408)의 값(A')으로 나누어 평균치(Ab')를 구하는것이 제산기(420)이다. 래치회로(421)는 소정의 화소수(m×b)가 연산처리되면 타이밍 콘트롤러(416)로부터 래치펄스가 공급되고 그때의 제산기(420)에서 구해진 평균치(Ab')를 보지하는 것이다. 콤페어 레이터(422)는 이 평균치(Ab')를 스레숄드치(th2)와 비교하는 것이며 이 대소에 의해서 당해 블록이 문자영역인지 중간조 영역인지를 판정하여 그 판정치를 FIFO(423)으로 송출한다.
제13b∼d도와 제14a도에 나타낸 회로와의 대응을 보면 제13b도에 나타낸 블록내에 있어서 농도 데이타가 스레숄드치(th1)를 초과하는 화소(제13d도에 나타난 범위(A'))를 카운터(418)에서 계수하고 동시에 그 범위(A')의 에지량 총합계(Σe(i))를 가산기(419)에서 연산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을 평균화한 값(Ab')이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의 판정을 콤페어레이터(422)에서 행하고 그 판정치를 제13c도의 각 블록에 대응하여 FIFO(423)에 기입하고 있다.
제14b도에 나타낸 예는 에지량이 스레숄드치(th2)보다도 큰 화소수와 농도가 스레숄드치(th1)보다 큰 화소수와의 비율을 구하여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를 판정하는 것이고, 각각의 판정을 행하여 화소수를 카운트하는 것이 콤페어레이터(431,433)과 카운터(432,434), 에지량이 스레숄드치(th2)보다도 큰 화소수와 농도가 스레숄드치(th1)보다도 큰 화소수와의 비율을 연산하는 것이 제산기(435)이다. 래치회로(436)는 제산기(435)에 구한 일정한 화소블록의 비율을 보지하는 것이고 콤페어 레이터는 래치회로(436)에 보지한 비율을 스레숄드치(th3)과 비교하여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다. 문자영역인 경우에 에지량의 스레숄드치(th2)보다도 큰 화소수의 비율은 높아진다. 따라서 비율이 스레숄드치(th3)보다도 큰 경우에는 문자영역으로 판정한다.
제14c도에 나타낸 예는 블록내의 각 화소의 농도를 스레숄드(th1)로 2치화하고 그 값이 블록내의 화소에서 모두「1」또는「0」일때에는 중간조영역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콤퍼어레이터(441)는 각 화소의 농도를 스레숄드치(th1)로 초과하는 화소를 계수하는 것이 카운터(442), 블록내의 화소가 모두 「1」또는「0」인지의 여부의 판정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LUT(443)이다. 예를 들면 블록내의 화소수를 8×2로 하면 LUT(443)은 카운터(442)의 값이 「0」또는「1」일때에 중간조영역으로서의 「0」을 출력하고 그이외일 때에 「1」을 출력한다. AND게이트(448)는 이 LUT(443)의 출력과 콤페어레이터(47)의 출력과의 논리적 연산을 행하는 것이며 콤페어레이터(447)는 제14a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콤페어레이터(422)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제14a도에 나타낸 예에서는 문자영역으로 판정된 경우라도 이 예에서는 LUT(443)의 출력이「0」이면 중간조영역으로 판정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하나하나의 화소의 에지량이 스레숄드치(th2)보다도 큰 화소를 계수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문자부에서 계수치가 커지고 또 그 간격이 짧아지므로, 문자부와 중간부와의 구별이 가능해진다.
(C) 가변 블록 식별방식
가변 블록 식별방식은 에지간 거리에 의해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제15도는 에지간의 거리에 의해서 화상영역을 식별하는 가변 블록 식별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6도는 가변 블록 식별방식을 채용한 대역식별처리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5a도에서 에지량 분포는 실선, 농도분포는 1점쇄선이고 상기 에지간격으로 식별하는 방법은 동도면(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스레숄드치(th)를 초과한 에지간의 거리 L0,L1,L2… 가 스레숄드치(th2)보다도 짧은때에 문자영역으로 판정하고 그 이외일 때에 중간조 영역으로 판정한다. 또, 에지간의 거리( L)가 스레숄드치(th1)보다도 짧고 또한 그간의 평균농도가 낮을때에 문자영역으로 하면 판정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에지간의 거리(L)가 스레숄드치(th2)보다도 짧고, 또한 그간의 최저농도가 어느 스레숄드치보다도 작을때에 문자영역으로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인 회로구성예를 나타낸 것이 제16도이다.
제16도에서 카운터(454)는 에치간의 거리 L을 계측하기 위한 클록을 계수하는 것이며 콤페어 레이터(453)는 스레숄드치(th)를 초과하는 에지 데이타를 검출하는 것이다. 래치회로(455,456)은 콤페어레이터(453)에서 에지가 검출되었을 때의 카운터(454)의 값을 보지하는 것이며 콤페어레이터(453)에서 에지가 검출되면 그때의 카운터(454)의 값이 래치회로(455)에 보지되고 래치회로(455)에 보지되어 있었던 값이 래치회로(456)에 보지된다. 따라서 래치회로(455)와 (456)의 값의 차가 에지간의 거리(L)로 되고 이것을 구하는 것이 감산회로(457)이다. 어드레스 콘트롤러(459)는 래치회로(455)의 값과 (456)의 값사이에서 SRAM(460)의 기입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콤페어레이터(458)는 감산회로(457)에서 구한 에지간의 거리(L)가 스레숄드치(th1)보다도 짧은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며 에지간의 거리(L)가 스레숄드치(th1)보다도 짧은 경우에는「1」,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SRAM (460)은 어드레스 콘트롤러(459)에 의해서 발생한 어드레스에 콤페어레이터(458)의 출력치를 기입하는 것이다.
다음에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겠다. 거리(L)의 간격을 두고 스레숄드치(th)를 초과하는 에지데이타가 입력되면 우선 스레숄드치(th)를 초과하는 제1에지데이타로 콤페어레이터(453)가 에지검출신호를 출력하면 래치회로(455)에 그때의 카운터(454)의 값(Xi-1)이 래치된다. 이어서 스레숄드치(th)를 초과하는 다음(제2의) 에지 데이타로 재차 콤페어레이터(453)가 에지검출신호를 출력하면 래치회로(455)에 그때의 카운터(454)의 값(Xi)이 래치되는 동시에 래치회로(455)에 래치되어있기전의 에지검출신호 출력시의 계수치(Xi-1)가 래치된다. 그렇게 되면 감산회로(457)에 검출에지간의 거리( L)
L=(Xi-Xi-1)
가 구해지고 이 거리(L)에 대해서 콤페어레이터(458)에서 스레숄드치(th1)보다도 짧은 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이 판정결과에 의해서 콤페어레이터(458)에서 「1」이 출력된 경우에는 스레숄드치(th)를 초과하는 제1데이타로부터 제2데이타까지의 사이에서 SRAM(460)에 「1」이 기입된다. 즉, 이 사이를 문자영역으로 한다. 역으로 콤페어레이터(458)에서 「0」으로 출력된 경우에는 스레숄드치(th)를 초과하면 제1에지데이타로부터 제2데이타까지의 사이에서 SRAM(460)에 「0」이 기입된다. 즉, 이 사이를 중간조 영역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지량이나 농도를 각 화소마다 평가하고 그들을 총합하여 블록단위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를 식별하므로 국부적인 오식별을 보정할 수 있고 높은 농도의 영역의 식별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문자와 중강조와의 혼재원료에 있어서도 각각의 화상에 최적의 파라메터를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중간조 환상과 에지가 강조된 문자화상의 재현성을 양자 모두 모순없이 높일 수 있다.
Claims (7)
- 높은 주파수성분의 에지량을 검출하는 하이패스의 에지검출필터, 색상을 검출하는 색상검출수단 및 색상 검출수단의 출력과 에지검출 필터출력에 준하여 에지부의 강조 신호를 생성하는 강조신호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강조신호 생성수단의 파라메터를 절환하여 화상정류에 따른 재현성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각 화소의 에지정보로부터 블록단위로 화상영역의 식별을 행하는 대역식별 처리수단을 구비하고 행하는 대역식별 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영역에 따라서 강조신호 생성수단의 파라메터의 절환을 행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식별 처리수단은 소정의 농도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 농도의 화소에 대해서 에지량의 평균치를 구하고 이 평균치가 소정의 에지량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를 식별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식별 처리수단은 모든 화소에 대해서 소정의 농도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지 또는 농도 스레숄드치 이하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중간조영역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식별 처리수단은 소정의 농도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 농도의 화소수와 소정의 에지량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 에지량의 화소수와의 비율을 구하고 당해 비율에 의해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식별 처리수단은 소정의 에지량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 에지량의 화소의 거리에 의해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에지량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 에지량의 화소의 거리 및 평균 농도치에 의해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에지량 스레숄드치를 초과하는 에지량의 화소의 거리 및 최저 농도치에 의해서 문자영역인지 중간조영역인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209279A JPH0372778A (ja) | 1989-08-11 | 1989-08-11 | 画像処理装置の領域識別方式 |
JP1-209279 | 1989-08-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5102A KR910005102A (ko) | 1991-03-30 |
KR950009697B1 true KR950009697B1 (ko) | 1995-08-26 |
Family
ID=1657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12350A KR950009697B1 (ko) | 1989-08-11 | 1990-08-11 |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134667A (ko) |
JP (1) | JPH0372778A (ko) |
KR (1) | KR95000969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39383A (en) * | 1989-05-10 | 1993-08-24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image editing |
GB2238928B (en) * | 1989-09-05 | 1994-06-08 | Canon Kk | Image data convert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US5495349A (en) * | 1990-01-13 | 1996-02-27 | Canon Kabushiki Kaisha | 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stores processing parameters by character data |
US5485534A (en) * | 1990-03-28 | 1996-01-16 | Fuji Photo Film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emphasizing sharpness of image by detecting the edge portions of the image |
JP3003799B2 (ja) * | 1990-03-28 | 2000-01-31 |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 画像の鮮鋭度強調方法及びその装置 |
GB9020079D0 (en) * | 1990-09-14 | 1990-10-24 | Crosfield Electronics Ltd | Image enhancement |
US5757378A (en) * | 1990-10-13 | 1998-05-26 | Canon Kabushiki Kaisha | 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
US7221475B1 (en) | 1990-10-13 | 2007-05-22 | Canon Kabushiki Kaisha | 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
JPH04189564A (ja) * | 1990-11-26 | 1992-07-08 | Canon Inc | 出力方法 |
JP2960537B2 (ja) * | 1990-11-30 | 1999-10-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2606486B2 (ja) * | 1991-06-24 | 1997-05-0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描画装置 |
JPH0514683A (ja) * | 1991-07-01 | 1993-01-22 | Canon Inc | 画像処理装置 |
US5696842A (en) * | 1991-07-04 | 1997-12-09 | Ricoh Company, Ltd. | Image processing system for adaptive coding of color document images |
KR100206267B1 (ko) * | 1991-08-20 | 1999-07-01 | 윤종용 | 화상처리장치의 화상데이타 경계성분 강조회로 |
DE69215824T2 (de) * | 1991-10-07 | 1997-04-03 | Hewlett Packard Co | Verfahren zur Annäherung voller Auflösung beim Farbdrucken |
US5276532A (en) * | 1991-11-26 | 1994-01-04 | Xerox Corporation | Split-level frame buffer |
US5392365A (en) * | 1991-12-23 | 1995-02-21 | Eastman Kodak Company | Apparatus for detecting text edges in digital image processing |
US5339170A (en) * | 1991-12-31 | 1994-08-16 | Xerox Corporation |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hybrid filtering to provide improved reconstruction of continuous tone images from halftone screen-structured images |
JP3093409B2 (ja) * | 1992-01-10 | 2000-10-03 | 富士通株式会社 | 3次元計測装置 |
JP2740409B2 (ja) * | 1992-04-21 | 1998-04-15 |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 シャープネス処理装置 |
JP3097785B2 (ja) * | 1992-04-30 | 2000-10-10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処理装置 |
JPH0630263A (ja) * | 1992-07-13 | 1994-02-04 | Mita Ind Co Ltd | カラー画像処理回路 |
US5673335A (en) * | 1992-08-26 | 1997-09-30 | Canon Kabushiki Kaisha | Col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JP3391816B2 (ja) * | 1992-08-26 | 2003-03-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ラー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
US5748345A (en) * | 1992-09-08 | 1998-05-05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colors of input image |
US5854689A (en) * | 1992-10-28 | 1998-12-29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moothing processing for each of different colors |
US5557688A (en) * | 1992-11-18 | 1996-09-17 | Fuji Photo Film Co., Ltd. | Method of extracting characteristic image data and color data conversion device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
EP0603833B1 (en) * | 1992-12-22 | 1999-06-30 | Konica Corporation | 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moothing compensation of an image |
US5491558A (en) * | 1992-12-29 | 1996-02-13 | Eastman Kodak Company |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writing a halftone dot having a variable density edge profile |
US5523849A (en) * | 1993-06-17 | 1996-06-04 | Eastman Kodak Company | Optimizing edge enhancement for electrographic color prints |
GB2279199B (en) * | 1993-06-18 | 1997-07-30 | Ricoh Kk | Image processing apparatus |
JP3548205B2 (ja) * | 1993-10-29 | 2004-07-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
US5363209A (en) * | 1993-11-05 | 1994-11-08 | Xerox Corporation | Image-dependent sharpness enhancement |
US5832112A (en) * | 1993-12-24 | 1998-11-03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specific originals |
KR960001927A (ko) * | 1994-06-30 | 1996-01-26 | 김광호 | 상역식별장치 |
US5557709A (en) * | 1994-07-01 | 1996-09-17 | Seiko Epson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ther array generation to reduce artifacts in halftoned images |
US5651078A (en) * | 1994-07-18 | 1997-07-22 |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ntouring in video compression |
DE69416584T2 (de) * | 1994-08-25 | 1999-10-07 | Co.Ri.M.Me. Consorzio Per La Ricerca Sulla Microelettronica Nel Mezzogiorno, Catania | Unscharfes Verfahren zur Bildrauschverringerung |
DE69515633T2 (de) * | 1994-09-12 | 2000-09-21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indhoven | System und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schärfe eines farbbildes |
US6064494A (en) * | 1994-11-18 | 2000-05-16 | Minolta Co., Ltd. | Image processor |
JPH08179752A (ja) * | 1994-12-21 | 1996-07-12 | Canon Inc |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
JP3343457B2 (ja) * | 1994-12-22 | 2002-11-11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JPH08221567A (ja) * | 1995-02-10 | 1996-08-30 | Fuji Photo Film Co Ltd | 色領域分離方法 |
US5764963A (en) * | 1995-07-07 | 1998-06-09 | Rambu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askable multiple color block writes |
DE69526792T2 (de) * | 1995-09-29 | 2002-12-05 | Hewlett-Packard Co. (N.D.Ges.D.Staates Delaware), Palo Alto | Bildverarbeitungsgerät und -verfahren |
US20030174864A1 (en) * | 1997-10-27 | 2003-09-18 | Digital Biometrics, Inc. | Gambling chip recognition system |
JP3772368B2 (ja) * | 1995-11-13 | 2006-05-10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JP3769800B2 (ja) * | 1996-01-12 | 2006-04-26 | 株式会社Sumco | 単結晶引上装置 |
JPH09261481A (ja) * | 1996-03-22 | 1997-10-03 | Toshiba Corp | 画像形成装置 |
JP3733200B2 (ja) * | 1997-05-12 | 2006-01-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
US5956470A (en) * | 1997-09-25 | 1999-09-21 | Xerox Corporation | Text quality enhancement via resolution enhancement technique based on separating jaggedness detection and filtering |
EP0917347A3 (en) * | 1997-11-17 | 2000-12-13 | Xerox Corporation | Dynamically adjustable unsharp masking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
JPH11220628A (ja) * | 1998-01-30 | 1999-08-10 | Canon Inc |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
US6445831B1 (en) * | 1998-02-10 | 2002-09-03 | Fuji Photo Film Co., Ltd.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JPH11250246A (ja) * | 1998-02-27 | 1999-09-17 | Fuji Photo Film Co Ltd |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
US6178260B1 (en) * | 1998-09-23 | 2001-01-23 | Xerox Corporation | Image se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
US6394569B1 (en) | 1998-10-29 | 2002-05-28 | Eastman Kodak Company | Ink jet printer method of providing an image on a receiver so that the image has reduced graininess |
JP4386216B2 (ja) * | 1999-03-09 | 2009-12-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ラー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
US6744532B1 (en) * | 1999-08-31 | 2004-06-01 |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for enhancing printing quality |
TW567711B (en) * | 1999-10-14 | 2003-12-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Color conversion device and color conversion method |
US6545724B1 (en) * | 1999-10-29 | 2003-04-08 | Intel Corporation | Blending text and graphics for display on televisions |
JP3548504B2 (ja) * | 2000-06-26 | 2004-07-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 |
US7006695B2 (en) * | 2000-12-27 | 2006-02-28 | Ricoh Company, Ltd. | Image compression/decompression system employing pixel thinning-out and interpolation scheme |
JP2002247283A (ja) * | 2001-02-16 | 2002-08-30 | Fuji Photo Film Co Ltd | 画像形成装置 |
US6636045B2 (en) * | 2001-04-03 | 2003-10-21 | Baker Hughes Incorporated | Method of determining formation anisotropy in deviated wells using separation of induction mode |
US6941017B2 (en) * | 2001-09-18 | 2005-09-06 | Tektronix, Inc. | Temporal processing for realtime human vision system behavior modeling |
JP4172616B2 (ja) * | 2001-09-21 | 2008-10-29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処理装置 |
US7643019B2 (en) * | 2002-05-23 | 2010-01-05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Edge dependent motion blur reduction |
EP1398952A3 (en) * | 2002-09-12 | 2005-11-02 | Konic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
US7365880B2 (en) * | 2003-04-04 | 2008-04-29 | Kabushiki Kaisha Toshib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US20050206961A1 (en) * | 2004-03-17 | 2005-09-22 | Kabushiki Kaisha Toshib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JP4832031B2 (ja) * | 2005-09-08 | 2011-12-07 |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
JP2007174479A (ja) * | 2005-12-26 | 2007-07-05 | Fuji Xerox Co Ltd | 読取制御システム |
US7679783B2 (en) * | 2006-03-09 | 2010-03-16 | Kabushiki Kaisha Toshiba |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grayscale data within a prescribed tolerance |
US20090010562A1 (en) * | 2007-07-03 | 2009-01-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revising edge region and image forming device using the same |
US8553279B2 (en) * | 2007-07-04 | 2013-10-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o improve image quality based on an edge pixel |
JP5512522B2 (ja) * | 2007-09-28 | 2014-06-04 | オセ−テクノロジーズ・ベー・ヴエー | Mtfの適応可能な補正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US20090086275A1 (en) * | 2007-09-28 | 2009-04-02 | Jian Liang | Processing a digital image of content |
JP5147585B2 (ja) * | 2008-07-25 | 2013-02-20 | 三星電子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
US8111918B2 (en) * | 2008-10-20 | 2012-02-07 | Xerox Corporation | Segmentation for three-layer mixed raster content images |
CN102109753A (zh) * | 2009-12-25 | 2011-06-29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自动检测镜头方法 |
KR101208237B1 (ko) | 2010-12-29 | 2012-12-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디지털 이미지의 노이즈 감소 장치 및 방법 |
WO2018140060A1 (en) | 2017-01-30 | 2018-08-0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Color space values corresponding to classification identifiers |
JP6994923B2 (ja) * | 2017-12-07 | 2022-01-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
US12062246B2 (en) * | 2021-09-30 | 2024-08-13 | Konica Minolta Business Solutions U.S.A., Inc. | Extracting text from an imag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54593A (en) * | 1981-01-02 | 1985-11-1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Universal thresholder/discriminator |
JP2677283B2 (ja) * | 1984-06-14 | 1997-11-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ラー画像処理装置 |
US4577235A (en) * | 1984-08-20 | 1986-03-18 | The Mead Corporation | Text/continuous tone image decision processor |
JPH0636602B2 (ja) * | 1984-09-21 | 1994-05-1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雑音低減回路 |
US4707745A (en) * | 1984-12-20 | 1987-11-17 | Ricoh Company, Ltd. | Digital copier with document image region decision device |
JP2756280B2 (ja) * | 1988-11-14 | 1998-05-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ラー画像処理装置 |
-
1989
- 1989-08-11 JP JP1209279A patent/JPH0372778A/ja active Pending
-
1990
- 1990-08-09 US US07/565,022 patent/US5134667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8-11 KR KR1019900012350A patent/KR9500096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134667A (en) | 1992-07-28 |
JPH0372778A (ja) | 1991-03-27 |
KR910005102A (ko) | 1991-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09697B1 (ko) | 화상처리장치의 영역식별방식 | |
KR950009647B1 (ko) | 화상처리장치의 화질제어방식 | |
US8477324B2 (en) |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at uses s-shaped gamma curve | |
US6118547A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
US5245417A (en) | Ground fog and ground removing syste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
JPH07106646B2 (ja) | 画像処理装置 | |
JPH01198870A (ja) | デジタルカラー画像処理装置 | |
JPH04126461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ディジタルカラー複写機 | |
JPH01241978A (ja) | カラー画像処理装置 | |
JPH0736609B2 (ja) |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下色除去方式 | |
US5200832A (en) | Color image recording device with color edit and conversion processing | |
JP2906974B2 (ja) | カラー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 |
JPH02244876A (ja) | 画像処理装置の鮮鋭度改善方式 | |
JP2890456B2 (ja) | 画像処理装置 | |
JPH0722327B2 (ja) | カラー画像処理装置 | |
JP7266462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4080252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JP2003230006A (ja) |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 |
JPH0644800B2 (ja) | 画像処理装置 | |
JPH02259694A (ja) | 画像処理装置の中抜き文字生成方式 | |
JP3352106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 |
JP3304108B2 (ja) |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 |
JPH0457274B2 (ko) | ||
JPH04287569A (ja) | カラー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 |
JP3448083B2 (ja) | 画像信号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81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