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972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10972B1 KR940010972B1 KR1019910001773A KR910001773A KR940010972B1 KR 940010972 B1 KR940010972 B1 KR 940010972B1 KR 1019910001773 A KR1019910001773 A KR 1019910001773A KR 910001773 A KR910001773 A KR 910001773A KR 940010972 B1 KR940010972 B1 KR 940010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supply
- water tank
- air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계되는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동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 3 도는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급수탱크의 정면도 및 저면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공기조화기내의 팬을 덮는 케이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
제 8 도는 에어필터를 꺼낸 상태의 공기조화기의 배면 사시도.
제 9 도는 공기조화기의 배수호스 수납부를 나타내는 배면도.
제 10 도는 제 14 도의 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1 도는 공기조화기의 살수기와 물받침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 12 도는 물받침 용기의 횡단면도.
제 13 도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실의 부분 단면도.
제 14 도는 드레인파의 사시도.
제 15 도는 공기조화기의 조작반의 정면도.
제 16 도는 공기조화기의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17 도 및 제 18 도는 조작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 19 및 제 20 도는 급수호스의 측면도 및 단면도.
제 21 도는 급수탱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 : 냉방실 34 : 기계실
38 : 증발기 40 : 제1의 팬
41 : 흡입구 42 : 토출구
43 : 케이싱 45 : 공냉식 열교환기
46 : 에어필터 50 : 제2의 팬
67 : 전원 코드 69 : 걸림 방지용 돌출부
본 발명은 살수장치에 물을 보충하기 위한 물탱크의 손잡이 구조를 개량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 본체와 함께 임의의 위치에 배치 가능하게 한 가반식의 공기조화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같은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본체내에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모든 기기를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특히 응축기의 열교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이것을 공냉식 열교환기와 수냉식 열교환기로 분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수냉식 열교환기에 대해서 살수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여기에서 수냉식 열교환기에 살수되어 효율이 좋은 열교환이 행해진다. 그리고 살수장치의 살수작용에 동반해서 살수장치 및 수냉식 열교환기에서 물이 증발되어 소비된다.
그 때문에 살수장치에 물탱크가 부설되어 있고 증발한 분량만큼 물탱크에서 물을 살수장치에 보충하게 되어 있다. 또 물탱크의 물이 없어지면 새로이 물을 보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물탱크는 본체에서 용이하게 착탈 자유로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의 전형적인 물탱크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탱크 본체는 상하면 및 측면 모두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윗면쪽 대략 중앙부에는 손잡이부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하부쪽 일부는 아래쪽으로 돌출해 있고 이 돌출부의 아랫면쪽에는 주면에 나사부를 갖는 급수구체가 설치되고 여기에 급수변을 갖춘 개체가 개폐 자유롭게 나사식으로 붙여져 있다. 이 급수변은 그 일부가 개체에서 돌출해 있고 이 돌출부분이 밀어올려진 상태로 개방되고 밀어올리는 힘이 제거되면 닫혀지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물탱크를 공기조화기 본체내에 소정위치로 배치한 상태에서는 손잡이부가 상부측에, 급수변이 하부측에 있고 적당한 수단으로 착탈 자유롭게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탱크 본체의 하부측에 있어서는 급수변만 살수장치의 일부에 맞붙어 있고 항상 개방상태에 있다. 그런데 공기조화기 본체는 물탱크의 급수원인 수도꼭지와 떨어져서 배치되는 일이 많다.
살수장치의 물이 소정 수위 이하로 된 상태에서 경보가 작용하면 공기조화기 본체에서 물탱크를 뽑아내서 수도꼭지까지 운반하고 여기에서 급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 손잡이부가 상측부에 있기 때문에 이곳을 갖고 물탱크를 공기조화기 본체에서 꺼내고 또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물탱크를 꼭지까지 운반하는 것이 보통이다.
꼭지까지 운반한 물탱크에 급수하는데는 뚜껑체를 떼고 급수구를 개방해서 여기에서 급수하는 곳에서 당연히 물탱크를 상하 거꾸로 해서 급수변을 상부측으로 한다. 그리고 꼭지로부터의 급수가 완료되면 물탱크를 다시 공기조화기 본체까지 운반한다. 그때 물탱크를 다시 상하 역전시켜서 주손잡이부를 상부측으로 해서 갖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꼭지와 공기조화기 본체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 있고 또한 가득 채워진 물탱크는 매우 무겁기 때문에 도중 일단 내려서 휴식을 취할 필요가 있다. 혹은 급한 용무로 어쩔수 없이 물탱크를 마루면으로 내리는일도 있다. 그런데 운반상태인 채 물탱크를 내리면 급수변이 하부측에 있는 곳에서 이것이 마루면에 맞붙어서 개방되어 물이 새버린다.
또한 모처럼 가득 채워진 물탱크의 물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마루면을 적신다. 혹은 물탱크 자체의 중량이 충격을 받아 급수변에 걸려서 급수변을 파손할 염려도 있다. 따라서 운반 도중에 물탱크를 마루에 내릴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변을 아래로 해서 가득 채워진 물탱크를 운반할 때에 물이 새는 일없이 물탱크를 마루에 놓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물탱크의 급수변을 보호할 수가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공기조화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즉 이 공기조화기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수용되고 냉동회로를 구성하는 수냉식 열교환기와 수냉식 열교환기에 살수하기 위한 살수장치와 살수장치에서의 살수에 동반하여 살수장치 및 수냉식 열교환기에서 증발한 물을 살수장치에 보충하기 위한 물탱크를 갖추고 전술한 물탱크는 상부에 설치된 파지부와 하부에 돌출 설치된 급수변과 이 급수변의 근처에 설치되어 급수변 보다도 물탱크 하부에서의 돌출량이 큰 보조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도 중의 부호 "30"은 바닥면에 복수의 이동바퀴(31)가 설치된 가반식의 공기조화기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공기조화기 본체(30)의 내부는 대략 중앙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간막이벽(3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부에 냉방실(33), 하부에 기계실(34)이 형성되어 있다.
냉방실(33)의 앞면쪽에 냉풍의 토출방향을 조정하는 냉각용 공기 흡입구(35)를 구비한 냉풍 토출그릴(36)이 설치되어 있다. 냉방실(33)의 배면측에는 흡입그릴(37)의 설치되고 흡입그릴(37)에 대향해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38)가 배치되어 있다. 증발기(38)의 하부에는 드레인판(139)이 배치되고 증발기(38)에서 생성되는 드레인 수를 받게 되어 있다.
간막이벽(32)에는 양쪽에 돌출한 회전축(39a)(39b)을 갖는 모터(39)가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모터(39)의 축방향은 수직으로 향해지고, 윗쪽으로 돌출하는 회전축(39a)에는 제1의 팬(40)이 끼워 붙여져 있다.
이 제1의 팬(40)은 윗면 및 아랫면에 상흡입구(41a)와 하흡입구(41b)를 갖고 냉풍 토출그릴(36)에 연통하는 토출구(42)를 갖는, 케이싱(43)에 의해 덮여져 있다. 기계실(34)의 배면측에는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과 대향해서 냉동 사이클의 응축기를 구성하는 공냉식 열교환기(4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공냉식 열교환기(45)는 이른바 핀드 튜브형이고 간막이벽(32)을 통해서 증발기(38)의 아래쪽 부위에 비스듬하게 기울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은 흡입그릴(37)과 소정간격을 남긴 하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일체형의 에어필터(46)는 흡입그릴(37)과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에 대향해서 본체(30) 배면측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일체형의 에어필터(46)는 흡입그릴(37)과 증발기(38)과의 사이 및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과 공냉식 열교환기(45)와의 사이에 걸쳐서 끼워져 있다.
공냉식 열교환기(45)는 케이싱(47)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 케이싱(47)은 모터(39)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하는 회전축(39b)이 관통하는 상흡입구(48)와 하흡입구(49)를 갖고 있다. 그리고 케이싱(47)은 회전축(39b)에 끼워 붙여진 제2의 팬(50)을 덮고 있다.
케이싱(47)에 설치된 토출구(51)는 본체(30)의 배면측으로 개구하는 개구부(52)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47)의 토출구(51)에는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가요성을 갖는 토출호스가 접속되어 있고 이 토출호스의 다른 단부는 피열교환실의 벽면을 관통해서 외부로 연통하는 배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토출호스는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체(30)는 임의의 개소에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실(34)에 집어 넣은 열교환 공기를 모두 실외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은 케이싱(47)의 하부에 냉동 사이클의 응축기를 구성하는 수냉식 열교환기(53) 및 살수장치(54)가 설치되어 있다. 응축기는 공냉식 열교환기(45)와 수냉식 열교환기(53)로 구성되어 있다. 수냉식 열교환기(53)는 열교환 파이프를 이중으로 둘러감은 코일형을 이루고 살수장치(54)를 구성하는 살수커버(55)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살수커버(55)의 상단부는 개구되어 있고 케이싱(47)와 하흡입구(49)에 연통되어 있다. 살수커버(55)의 하단부도 개구되어 있고 여기에서 수냉식 열교환기(53)가 아래쪽으로 돌출해있다.
수냉식 열교환기(53)의 하단부는 물받침 용기(56)내에 삽입되고 또한 여기로 수용되는 물에 침적되어 있다. 살수커버(55)의 하단부 주면은 물받침 용기(56)의 둘레면과 어느정도의 간격을 두고 삽입되고 물받침용기(56)내에 수용되는 물의 액면과는 어느 정도의 간격을 남기도록 치수 설정되어 있다. 물받침 용기(56)의 한측부에는 플로트 스위치(57)가 설치되어 최저액면을 검출한다.
제2의 팬(50)에서 돌출해서 케이싱(47)의 하흡입구(49)에서 살수커버(55)내에 돌출되는 회전축(39b) 단부에는 살수기(58)가 끼워 붙여져 있다. 이 살수기(58)의 둘레면은 수냉식 열교환기(53)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살수기(58)의 상단부는 폐쇄되고 하단부가 개구되는 원통체이고,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걸쳐서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역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개구부만 물받침 용기(56)내의 물에 침적되어 있다.
외주면 대략 중앙부에는 날개(58a)가 일체로 설계되고 이 근처에는 둥근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살수구멍(58b)이 개구되고 또한 상단부 근처에는 복수의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살수창(58c)이 개구되어 있다. 이와같이 해서 구성되는 살수장치(54)근처의 기계실(34) 배면 하부에는 보조흡입구(59)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압축기(63)의 토출측에 냉매관(P)을 통해서 공냉식 열교환기(45)가 접속되고 또한 이 하류측에 수냉식 열교환기(53)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캐필러리튜브(65)와 증발기(38)를 통해서 압축기(63)의 흡입측에 접속되고 이와같이 해서 냉동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부호 "66"은 공냉식 열교환기(45)와 수냉식 열교환기(53)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냉매관(P)내의 냉매 압력을 검지하는 고압 스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받침 용기(56)의 일부는 간막이판(56a)을통해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이곳에 물탱크(60)에서 공급되는 물을 받기 위한 급수부(6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간막이판(56a)에는 연통 파이프(62)가 설치되고 살수기(58)측에서 사용되어 증발한 분량만큼 물탱크(60)에서 급수부(61)를 통해서 보급하게 되어 있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탱크(60)의 탱크 본체(60a)는 도면에 있어서의 상하면 및 측면 모두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부분적인 돌출부는 없다.
그 윗면측 대략 중앙부에는 주손잡이부(76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측에는 급수변(79)과 보조손잡이부(76b)가 병설되어 있다. 급수변(79)은 뚜껑체(78)에 설치되고 탱크 본체(60a)에서 일체로 돌출 설치된 원통부의 둘레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부가 형성되고 이 급수구체(77)에 뚜껑체(78)가 개폐 자유롭게 나사식으로 붙여져 있다.
따라서 급수변(79)은 그 일부가 뚜껑체(78)에서 돌출해 있어서 이 돌출부분이 밀어 올려진 상태로 개방되고 밀어올리는 힘이 제거되면 닫혀지게 되어 있다. 손잡이부(76b)는 탱크 본체(60a)의 하부에 급수변(79)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고 또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그 돌출단면인 하단면은 급수변(79)의 선단부 보다도 소정량(ι)만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물탱크(60)는 급수상태에 있는 급수변(79) 및 보조손잡이부(76b)를 아랫면쪽으로, 주손잡이부(76a)를 윗면쪽으로 해서 급수부(61)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이 물탱크(60)와 병설된 상태로 압축기(6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부호"64"는 케이싱(47)의 토출구(51)에 접속되는 가요성을 가진 토출호스이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팬(40)을 덮는 케이싱(43)에서는 토출구(42)의 세로치수(A)가 제1의 팬(40)의 블레이드 양단부간의 치수(B)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구(42)의 가로치수(C)는 제1의 팬(40)의 직경(D=Φ) 보다도 매우 넓게 하고 본체(30)의 전면폭치수 보다 약간 좁은 정도로 좋다.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본체(30)의 배면측은 착탈 자유로운 배면패널(30a)로 이루어지고 흡입그릴(37)과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의 소정간격을 남기고 설치되어 있다. 이 토출그릴(37)과 열교환공기 흡입그릴(44)에 대향해서 일체형의 에어필터(46)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또 배면패널(30a)의 대략 중앙부에서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의 하부에서 토출호스(64)가 돌출되어 있다. 배면패널(30a)의 최하단부에는 배수호스 수납부(66) 및 본체(30)내의 도시하지 않은 전원부에서 연출되는 전원코드(67)가 끼워 통해지는 절개부(68)가 설치되어 있다.
또 흡입그릴(37)과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과의 사이에는 전원코드(67)를 묶는 코드 클립(68)의 걸림을 막기 위한 걸림방지용 돌출부(6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호스 수납부(66)에서는 배면패널(30a)의 하단 테두리에서 소정높이의 위치까지 절개부(66a)가 형성되고 여기에서 복수의 구부러진 조각(이하 곡성편이라 한다)(66b)이 전후방향으로 번갈아 돌출되어 있다.
이들 곡성편(66b)은 반원상으로 구부러져 있고 전후방향으로 돌출한 "66b"를 서로 구성하면 원형상을 된다. 전후방향으로 돌출한 서로의 곡성편(66b)으로 형성되는 직경은 물받침 용기(56)에 접속되는 배수호스(70)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다. 최상단의 곡성편(66b)의 상부는 바깥쪽으로 팽출 형성되는 팽출부(66c)로 되어 있다.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받침 용기(56)에는 리브(7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리브(71)는 살수기(58)와 동심원상에서 이 바깥주위에 있는 정도의 간격을 남기고 구부러져 상호간에 간격을 남기는 복수의 분할 조각으로 이루어진다. 이 높이 치수는 물받침 용기(56)에 모이는 물의 액면 보다도 반드시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3 도 및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발기(38)의 하부에 배치되는 드레인판(139)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잘라 일으킴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인수 배출구(72)가 개구되어 있고 간막이벽(32)에 설치된 연통하는 구멍(73)에 연통해 있다.
그리고 이 연통하는 구멍(73)에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의 한 단부가 접속되고 이 호스의 다른 단부는 물받침 용기(56)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증발기(38)에서 생성되는 드레인 수는 모두 물받침 용기(56)로 인도되게 되어 있다. 드레인판(139)의 배면측에는 한쌍의 에어필터 가이드(7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에어필터 가이드(74)는 배면패널(30a)에 에어필터(46)를 장착한 상태에서 이 측면에 에어필터가 맞붙도록 돌출되어 있다.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30)의 앞면쪽 일부에는 조작반(8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반(80)의 상부에는 스위치류(81)가 설치되고 운전모드 스위치(84)에 의해 송풍, 습기제거, 냉방중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다. 풍량 절환 스위치(85)에 의해 제1의 팬(40)의 송풍량으로써, 고,저 자동중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다.
타이머 스위치(86)에 의해 연속, 설정시간 후 타이머 "온(on)", 설정시간후 타이머 "오프(OFF)"중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다. 온도설정 스위치(87)에 의해 소정온도 범위에서 임의의 냉방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 시간 스위치(88)에 의해 소정시간 범위에서 임의의 타이머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램프류(82)에 있어서, 이상 램프(89)는 고압이상 상승이나 단수 등의 이상 발생시만 점등한다. 물탱크 잔량램프(90)는 플로트 스위치(57)가 물받침 용기(56)의 액면이 소정량 이하를 검지했을때만 점등한다. 타이머 램프(91)는 타이머 동작시에 점등한다. 운전램프(92)는 전원 스위치(83)를 "온"상태로 했을 때 점등하는 것이다.
제 1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공기조화기에 갖추어지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지는 제어회로(93)는 조작반(80)의 스위치류(81)와 램프류(82), 물받침 용기(56)에 설치된 플로트 스위치(57),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63), 모터(39) 및 경보부저(9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같이 해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63)를 구동해서 냉매를 압축하고 고온고압상태로 해서 토출한다.
동시에 모터(39)에 전기를 통해서 제1의 팬(40)과 제2의 팬(50) 및 살수기(58)를 일제히 구동한다. 냉매는 공냉식 열교환기(45)에서 수냉식 열교환기(53)로 인도되고 여기에서 열교환해서 응축한다.
또한 캐필러리 튜브(65)로 인도되어 감압되고 증발기(38)로 인도되어 증발한다. 이 증발기(38)에는 피열교환실(실내)의 열교환 공기가 인도되고 있고 냉매와 열교환해서 증발 잠열을 빼앗긴다. 열교환증기는 온도 저하하고 냉기가 되어 다시 피열교환실로 토출되어 냉방이 실시된다.
한편 제1의 팬(40)은 흡입그릴(37)에서 열교환 공기를 냉방실(33)에 집어 넣는다. 이 열교환 공기는 에어필터(46)에서 되고 나서 증발기(38)를 통과하고 냉매와 열교환해서 증발잠열을 빼앗겨 냉매가 되어 케이싱(43)의 상하흡입구(41a)(41b)에서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케이싱(43)의 토출구(42)에서 냉풍 토출그릴(36)를 통해서 다시 피열교환실로 송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3)의 토출구(42)의 세로치수(A)를 제1의 팬(40)의 블레이드 양단부간의 치수(B) 보다도 좁게 형성하고 토출구(42)의 가로치수(C)를 제1의 팬의 직경(DΦ)보다도 매우 넓게 하고 본체(30)의 앞면 가로치수에 대략 가까이로 형성했다. 따라서 제1의 팬(40)의 송풍작용에 의해 송출되는 냉기는 팬(40)에서 토출구(42)에 이르기까지의 송풍로에서 차츰 정압이 상승해서 가로방향으로 바람의 흐름이 분산된다. 실제로 토출구(42)에서 외부로 토출되는 상태에서 풍속이 평균화되고, 냉풍 토출 그릴(36)의 가로방향에 걸쳐서 균일한 풍량에서 지장없는 송풍작용이 행해진다.
제 1 도 및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팬(40)과 함께 제2의 팬(50)이 회전 구동되고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에서 열교환 공기를 기계실(34)로 집어 넣는다. 이때 열교환 공기는 일체형의 에어필터(46)에 의해서 여과되고 공냉식 열교환기(45)가 더러워지지 않는다. 또 이 공냉식 열교환기(45)를 간막이벽(32)를 통해서 증발기(38)와 근접해서 배치했기 때문에 에어필터(46)는 증발기(38)로 인도되는 실내공기와 공냉식열교환기(45)로 인도되는 열교환 공기의 양쪽을 함께 여과하는 일체형을 구성하고 있다.
또 증발기(38)와 공냉식 열교환기(45)와의 사이에는 간막이벽(32)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각각의 열교환작용에 아무런 지장도 없다. 공냉식 열교환기(45)는 경사해서 배치했기 때문에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의 상하치수를 작게해도 충분한 열교환 공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기동시 이외 공냉식 열교환기(45)는 이미 냉방 작용이 행해지고 있는 실내의 비교적 저온에서 저습도의 열교환 공기와 열교환하기 때문에 이곳에 인도되는 냉매의 습도와 공기와의 습도차가 크고 따라서 열교환 효율이 크다.
공냉식 열교환기(45)를 통과해서 열교환한 공기는 케이싱(47)의 상흡입구(48)에서 그 내부로 인도되고 이 토출구(51)에서 토출호스(64)를 통해서 실외로 배출된다. 또 제2의 팬(50)의 작용에 의해서 보조 흡입그릴(59)에서 기계실(34)내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고 살수커버(55)의 하단부 둘레면과 물받침 용기(56) 둘레면과의 간격에서 살수커버(55)내로 인도된다.
열교환 공기는 살수커버(55)내에 배치되는 수냉식 열교환기(45)와 열교환한 공기와 합류해서 토출호스(64)에서 배출된다. 모터(39)의 구동에 동반해서 살수기(58)가 회전하고 원심력에 의해서 하단 개구부에서 물받침 용기(56)내의 물을 내주면에 따라 빨아 올린다.
살수구멍(58b) 및 살수창(58c)에 도달한 물은 주위를 향해서 튀어나오고 살수된다. 살수기(58)의 주위에 따라서 배치되는 수냉식 열교환기(53)는 살수기(58)에서의 살수를 직접적으로 받고 혹은 일단 살수커버(55)에 닿은 물방물이 튀어서 되돌아와서 간접적으로 살수된다.
또 수냉식 열교환기(53)의 상단부가 받은 물방울이 그 하단부에 따라서 흘러 내린다. 살수기(58)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날개(58a)는 회전에 동반하여 살수커버(55)내의 공기를 휘저어 섞어서 수냉식 열교환기(53)와의 열교환 작용을 보조한다.
동시에 수냉식 열교환기(53)에 닿아서 튀어 되돌아와서 물방울을 받고 다시 수냉식 열교환기(53)에 살수하는 작용을 행한다. 수냉식 열교환기(53)는 살수기(58)의 살수작용을 충분히 받고 이곳에 인도되는 냉매와 물이 열교환한다. 수냉식 열교환기(53)를 적신 대부분의 물방물은 물받침 용기(56)에 흘러내려서 회수되고 살수기(58)에 의해서 다시 살수된다. 일부의 물방울은 증발하고 살수커버(55)내에 인도되어 수냉식 열교환기(53)와 열교환한 후의 공기와 혼합해서 고습공기가 된다.
그리고 케이싱(47)의 하흡입구(49)에서 이 내부로 인도되어 상흡입구(48)에서 흡입되는 공냉식 열교환기(45)와 열교환한 후의 열교환 공기와 혼합된다. 살수커버(55)쪽에서 인도되는 고습공기는 공냉식 열교환기(45)와 열교환한 후의 비교적 고온의 공기에 가열되고 제2의 팬(50)에서 토출호스(64)로 인도되는 도중에서 저습공기로 바뀌어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제2팬(50) 및 토출호스(64)에 물방울이 부착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기계실(34)에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에서 공냉식 열교환기(45), 상흡입구(48), 제2의 팬(50), 토출구(51), 토출호스(6)에 이르는 제1의 통풍로(95)와 보조 흡입그릴(59)에서 살수커버(55)내 하흡입구(49), 제2의 팬(50), 토출구(51), 토출호스(64)에 이르는 제2의 통풍로(96)가 형성되게 된다.
공냉식 열교환기(45)는 제1의 통풍로(95)의 흡입측에 배치되고 수냉식 열교환기(53)는 제2의 통풍로(96)의 흡입측에 배치된다. 공냉식 열교환기(45)에는 살수기(58)에서 살수되는 물방울이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부식이 생기지 않음과 동시에 물방울이 쌓이는 일도 없어서 확실한 열교환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수냉식 열교환기(53)는 살수기(58)에서 살수되는 물을 받음과 동시에 제2의 통풍로(96)에 인도되는 열교환 공기가 접촉하기 때문에 확실한 열교환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고압측의 열교환량(Q)은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Q=Q1+Q2
Q1=Kc(Tc-Ta)
…공냉식 열교환기(45)에 의한 열교환량
Q2=Cu·G
…수냉식 열교환기(53)에 의한 열교환량
Kc=공냉식 열교환기(45)의 열교환율(kcal/h.℃)
Tc=공냉식 열교환기(45)의 평균 냉매 온도(℃)
Ta=공냉식 열교환기(45)의 흡입 공기온도(℃)
Cu=물의 잠열(kcal/㎏)
G=물의 소비량(㎏/h)
고압측의 열교환량(Q)을 일정하게 하면 공냉식 열교환기(45)를 수냉식 열교환기(53)와는 다른 통풍로(95)상에 배치하는 것에 따라 Tc-Ta가 커져서 "Q1"가 증대한다. 반대로 "Q2"가 작아지고, "Cu"가 일정한 곳에서 G가 감소한다.
즉 물의 소비량이 감소하고 종래의 것보다도 연속 운전시간이 대폭으로 연장되고 물탱크(60)에 물을 보충하기까지의 간격이 길어지고, 그 걸리는 시간이 줄어든다.
또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탱크(60)가 공기조화기 본체(30)내의 소정 부위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급수변(79) 및 보조손잡이부(76b)가 하측부에 있고 주손잡이부(76a)가 상부측에 있다.
그곳에서 공기조화기 본체(30)로 물탱크(60)를 꺼낼때는 물론이고 꺼낸 물탱크(60)를 꼭지에 운반할때는 상부측에 있는 주손잡이부(76a)를 갖는다. 그리고 꼭지까지 운반한 물탱크(60)에 급수하는데는 이것을 상하 거꾸로 해서 급수변(79)측을 상부측으로 하고 뚜껑체(78)를 떼고 급수구체(77)를 개방한다. 물탱크(60)가 가득 채워졌으면 뚜껑체(78)을 덮어서 급수구체(77)을 닫고 이것을 다시 공기조화기 본체(30)까지 운반하지 않으면 안된다.
가득 채움에 의해서 중량이 매우 커진 것도 있고, 이 상태에서 상부측에 있는 보조손잡이부(76b)를 갖고 운반하면 물탱크(60)가 기울어서 운반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주손잡이부(76a)와 보조손잡이부(76b)를 갖고 물탱크(60)를 급수상태에서 다시 상하 역전해서 주손잡이부(76a)를 상부측으로 해서 갖게 된다.
꼭지와 공기조화기 본체(30)와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이 보통이고 또한 가득 채워진 물탱크(60)는 무겁기 때문에 도중 일단 내려서 휴식을 취할 필요가 있다. 혹은 급한 용무로 어쩔수 없이 물탱크(60)를 마루면에 내리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급수변(79)이 하부측에 있는 운반상태인 채 물탱크(60)를 내려도 좋다. 즉 급수변(79) 보다도 보조손잡이부(76b)를 돌출시켰기 때문에 급수변(79)은 마루면에 맞붙는 일이 없고 보조손잡이부(76b)만 맞붙는다.
급수변(79)에는 아무런 밀어올리는 힘도 작용하지 않는 곳에서 닫은채이고 가득 채워진 물이 젖어서 감소하는 일이 없다. 또 꼭지에의 왕복인 물탱크의 운반시는 이제까지와 똑같이 급수변(79)이 하부측에 있지만 마루면에 놓여진 어떠한 것에 충돌하지는 않는다. 즉 급수변(79)보다도 보조손잡이부(76b)쪽이 아래쪽으로 돌출해 있기 때문에 이 보조손잡이부(76b)에 의해서 급수변(79)이 보호된다.
이때 물탱크(60)의 운반방향에 보조손잡이부(76b)를 앞으로 향하고 이 뒤쪽에 급수변(79)이 있으면 또한 보호 효과가 높아진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공기조화기는 이하와 같은 특징으로 구비하고 있다.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보수시등 물받침 용기(56)에 모이는 물을 배출할 때 이외는 물받침 용기(56)에 접속된 배수호스 수납부(66)내에 삽입한다.
이 선단 개구부는 물받침 용기(56)내의 수액면 보다도 높아져서 물받침 용기(56)내의 물을 그대로 모을 수 있고 배수호스(70)의 수납 처리가 용이하다. 배수호스 수납부(66)를 구성하는 곡성편(66b)을 전후방향으로 번걸아 돌출하고 각각 대략 반원상으로 구부렸다.
그리고 전후방향으로 돌출하는 곡성편(66b)의 구성을 원형상으로 하고 그 직경을 배수호스(70)의 직경 보다도 약간 크게 했기 때문에 배수호스(70)를 확실히 수납 유지할 수 있다. 또 배스호스 수납부(66)의 형상구조와 함께 배면패널(30a)에 맞춰서 배수호스(70)를 같은 색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배수호스(70)는 외부에서 거의 보이지 않고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물받침용기(56)내를 청소할 때는 배수호스 수납부(66)에서 배수호스(70)를 빼내고 배면패널(30a)의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이 선단 개구부는 물받침 용기(56) 바닥면 보다도 낮은 위치가 되어 모이는 물을 모두 배출할 수 있다. 즉 물받침 용기(56)내의 배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받침 용기(56)에 일체로 설치된 리브(71)는 살수기(58)를 덮는 것과 동시에 이곳에 모이는 물의 액면 보다도 높고, 살수기(58)와 동심원상에서 분할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살수기(58)가 물받침 용기(56)에 모이는 물을 빨아올리는데 동반하여 수액면이 물결쳐도 리브(71)는 물결을 막는 작용을 행하고 그 안쪽을 물결치게 하지 않는다.
또 물결침이 없기 때문에 물결치는 소리의 발생도 없고 소음이 외부로 새는 일이 없다. 이 리브(71)의 안쪽에 있는 살수기(58)의 하단부는 항상 물에 침적된 상태가 되고 항상 소정량의 물을 빨아올려 살수해서 살수에 지장이 없다.
제 13 도 및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형의 에어필터(46)는 증발기(38)측의 흡입그릴(37)과 공냉식 열교환기(45)측의 열교환 공기 흡입그릴(44)의 양쪽에 걸쳐서 대향하고 이들에 흡입되는 공기를 함께 여과한다.
에어필터(46)의 막힘방지를 위해 청소를 실시하는데는 배면패널(30a)에서 꺼내서 한번으로 끝낼수가 있다. 필요한 작업 종료후는 에어필터(46)를 다시 배면패널(30a)에 끼워 붙인다.
이때 에어필터(46)의 하단부는 드레인판(139)에 설치되는 에어필터 가이드(74)에 접촉되고 가이드 된다. 즉 에어필터 가이드(74)는 에어필터(46)의 원할한 장착을 보조한다. 에어필터(46)가 소정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도증부는 에어필터 가이드(74)에 의해서 배면패널(30a)의 소정부위에 억압된다. 따라서 운전에 동반되는 진동이 있어도 에어필터(46)가 흔들리는 일이 없고 소음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제 15 도 및 제 1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살수기(58)의 살수작용에 의해 물받침 용기(56)를 통해서 물탱크(60)내의 물이 소비되고, 플로트 스위치(57)가 소정액면 이하를 검지하면 검지신호가 제어회로(93)로 보내진다.
이곳에서 조작반(80)의 물탱크 잔량램프(90)에 신호를 보내고 어느 일정시간만 점등 혹은 점멸시킨다. 훅은 경보부저(94)를 일정시간 작동시켜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물탱크 (60)를 본체(30)에서 꺼내고 제 22 도에서 제 24 도에 나타낸 급수호스(75)를 물탱크(60)에서 뗀다. 그리고 급수호스(75)를 이용해서 물탱크(60)내에 급수하고 다시 본체(30)내의 소정위치에 장착한다.
이와같은 일련의 작업은 어느정도 재빨리 실시할 필요가 있다. 즉 수냉식 열교환기(53)에 대한 살수량이 감소하면 이 열교환 효율이 저하해서 이상 램프(89)의 점등 및 냉방운전의 정지에 연계된다.
물탱크(60)에 대한 물의 보충을 재빨리 실시할 수 있어서 냉방운전을 그때마다 정지할 필요가 없고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쾌적 공간이 계속된다. 또 물탱크(60)내의 물의 잔량이 적은 상태를 모르고 타이머 스위치(86)를 "온" 혹은 "오프"로 설정하면 그 설정시간 전에 물탱크 잔량램프(90)가 점등해 버린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즉시 물을 보충하면 냉방 운전이 계속되기 때문에 타이머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제 17 도 및 제 18 도는 조작반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7 도에 나타나는 조작반(80A)에는 물탱크잔량램프(90)의 바로 상부에 표시수단이 잔여 운전시간 표시부(95)가 추가된다. 이 잔여 운전시간 표시부(95)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는 수위 검출수단으로써의 플로트 스위치는 물받침 용기(56)에 있어서의 액면수위의 수위 변화를 순차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그리고 그 검출신호가 항시 제어회로(93)로 보내지고 제어회로(93)에서는 그 플로트 스위치의 검출신호로서 물받침 용기(56)의 액면 수위의 변화를 연산하고, 그 결과에서 남은 운전시간을 추축하고 잔여 운전시간 표시부(95)에 있어서 디지털 표시한다.
필요에 따라서 타이머 설정하는 사용자는 이 잔여 운전시간 표시부(95)에서 표시되는 시간을 보고 급수의 유무등 필요한 판단을 하고 나서 타이머 설정을 실시할 수 있으면 좋다.
이것에 의해 타이머 설정하고 나서 그 시간내에서 운전이 정지하거나 혹은 타이머 설정에 의한 운전 개시 직후에 운전이 정지하는 등의 불합리가 없어지고 타이머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이 조작반(80A)에는 에코노미 스위치(9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에코노미 스우치(95)를 "온"하는 것에 따라 「에코노미」모드의 운전이 행해지고 소비전력이 줄어든다.
즉 에노코미 스위치(95)를 "온"한 상태에서 제어회로(93)는 압축기(63)의 "온/오프" 인터벌 운전을 지시함과 동시에 제1의 팬(4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39)를 압축기(63) 보다도 1등급 내려간 회전을 실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들어 에코노미 스위치(95)를 "온"했을 때 설정온도 보다도 실온이 내려가 있다면 압축기(63) 및 모터(39)는 "오프"로 제어된다. 또 이때 설정온도 보다도 실온이 올라가 있다면 압축기(63)와 모터(39)의 "온/오프" 인터벌 운전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에코노미 모드 선택시에 설정온도 보다도 실온이 0-2℃의 범위에서 올라가 있다면 스위치 "온"에서 1시간 경과후까지는 압축기(63)를 3분간 "온"하고, 4분간 "오프"한다. 1시간 경과후부터 2시간 경과하기까지는 압축기(63)를 3분간 "온"하고, 7분간 "오프"한다.
2시간 경과 이후는 실온이 설정온도 이하가 되기까지 압축기(63)를 3분간 "온"하고 10분간 "오프"한다. 동시에 제1의 팬(40)의 회전수를 압축기(63) 보다 1등급 내린 제어를 실시한다.
즉 압축기(63)가 "온"이면 제1의 팬(40)의 송풍은 "M", 압축기(63)가 "오프"이면 제1의 팬(40)의 송풍은 "L"로 되도록 회전수를 줄인 운전제어를 실시한다. 또 에코노미 모드 선택시에 설정온도 보다도 실온이 2℃ 비정상이면 스위치 "온"에서 1시간 경과후까지는 압축기(63)를 18분간 "온"하고 3분간 "오프"한다.
1시간 경과후에서 2시간 경과하기까지는 압축기(63)를 5분간 "온"하고, 7분간 "오프"한다. 2시간 경과 이후는 실온이 설정온도 이하가 되기까지 압축기(63)를 5분간 "온"하고, 10분간 "오프"한다.
동시에 제1의 팬(40)의 회전수를 압축기(63)보다 1등급 내린 제어를 실시하는 것은 같다. 이와 같은 제어를 실시하는 에코노미 스위치(95)를 먼저 설명했던 실시예에서 설치해도 좋고 후술하는 조작반(80B)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조작반(80A)에 있어서의 물탱크 잔량램프(90)는 상기 실시예와 같고 물받침 용기(56)내의 물이 필요 최저한이 된 상태에서 점등 혹은 점멸하도록 해도 좋고 혹은 이것을 제거하고 잔여 운동시간 표시부(95)로 바꾸어도 좋다.
제 18 도에 나타나는 조작반(80B)에서는 이상램프(89a)의 통지방법을 바꾸고 있다. 즉 이상 내용을 구분해서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들어 물탱크 잔량램프(90)의 점등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급수작업을 방치해서 물받침 용기(56)내에 거의 물이 없어지는 단수시에는 점등시켜서 이것을 계속한다. 또 어떠한 원인으로 고압측이 이상 상승했을 때는 소정간격을 두고 점멸을 계속한다. 따라서 1개의 이상 램프(89a)에서 2가지로 구분할 수가 있어서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 19 도, 제 20 도는 물탱크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물탱크(60)의 둘레면에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 오목형상의 호스 설치부(60b)에 장착 가능한 급수호스(7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급수호스(75)는 양단부를 상호 끼우고 떼기 자유로운 직경(d1Φ〈d2Φ)인 접속부(75a)(75b)로 함과 동시에 이들 접속부(75a)(75b) 상호를 신축 자유로운 호스부(75c)로 연결하고 있다.
또 직경이 커다란 접속부(75b)에는 꼭지 부착구(9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꼭지 부착구(95)는 내수성이 있고 또한 용이하게 절단되지 않는, 예를들어, 끈이고, 그 양단부가 접속부(75b)에 고정되고 도중부는 루프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와같은 급수호스(75)를 사용하지 못할때는 물탱크(60)의 둘레면에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 호스 설치부(60a)에 바깥으로 감긴다. 그리고 물탱크(60)에 급수하기 위해 급수호스(75)를 사용할때는 제 2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탱크(60)에서 떼어낸 급수호스(75)를 신장시키고 그 한쪽의 접속부(75a)를 물탱크(60)의 개방된 급수구체(77)내에 삽입 접속한다.
그리고 다른쪽의 접속부(75b)를 예를들어 세면기(M)의 꼭지(n)에 접속하지만 이때 접속부(75b)에 설치된 꼭지부착구(95)를 꼭지(n)에 부착한다. 접속부(75b)의 개구면은 꼭지(n)의 급출구에 대향하게 되고 개방한 꼭지(n)에서 급출되는 물을 모두 받아들인다.
이 변형예에서는 물탱크(60)에 따라서 설치되는 호스 설치부(60a)에 급수호스(75)를 바깥으로 감고 이 양쪽의 접속부(75a)(75b) 상호를 끼워 맞춰서 설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급수호스(75)의 수납이 간단해진다.
또 물탱크(60)에 급수할때는 접속부(75a)(75b) 상호를 빼고 물탱크(60)에서 떼어내고 한쪽의 예를들어 접속부(75b)를 뚜껑체(78)를 떼고 급수구체(77)에 접속하고 다른쪽의 접속부(75a)를 수도꼭지등의 급수원으로 접속하면 좋다.
이와같이 물탱크(60)에의 급수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꼭지 부착구(95)를 설치한 것에 의해 급수호스(75)의 단부를 꼭지(n)에 끼워 붙이는 일없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꼭지(n)에 있어서의 급수압을 다소 크게해도 급수호스(75)가 꼭지(n)에서 떨어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없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는 일없이 종래의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서 여러가지 변형예를 고안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 냉동회로를 구성하는 수냉식 열교환기와, 상기 수냉식 열교환기에 살수하기 위한 살수수단과, 상기 살수수단으로부터의 살수에 따라 상기 살수수단 및 수냉식 열교환기로부터 증발한 물을 살수수단에 보충하기 위한 물탱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설치된 물탱크를 휴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그 하부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상기 살수수단에 공급하는 물을 조절하기 위한 급수수단과, 상기 급수수단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수단보다 상기 물탱크의 하면으로부터 많이 돌출한 파지보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를 역을 휴대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둘레면에 걸쳐 형성된 오목형상의 호스부착부와, 상기 호스부착부에 착탈자유롭게 감겨지고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시에 사용되는 급수호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호스는, 그 양단부에 상호직경이 다르고 상호 삽입 및 분리가 자유롭게 설치된 원통형상의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를 서로 연결하는 신축 자유로운 호스부로 구성되고, 상기 급수호스가 상기 물탱크의 호스부착부에 감길 때 상기 접속부가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시에 상기 급수호스의 양단중 어느 한쪽의 접속부는 물탱크의 급수구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접속부는 급수원의 꼭지에 걸려 꼭지와 상기 접속부의 접속을 유지시킬 수 있는 꼭지 걸림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2-087855 | 1990-03-30 | ||
JP2084661A JP2786714B2 (ja) | 1990-03-30 | 1990-03-30 | 空気調和機 |
JP3360890U JP2504602Y2 (ja) | 1990-03-30 | 1990-03-30 | 空気調和機 |
JP??02-033608 | 1990-03-30 | ||
JP2-33608 | 1990-03-30 | ||
JP??02-084661 | 1990-03-30 | ||
JP2-084661 | 1990-03-30 | ||
JP2087855A JP2788325B2 (ja) | 1990-04-02 | 1990-04-02 | 空気調和機 |
JP2-087855 | 1990-04-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7133A KR910017133A (ko) | 1991-11-05 |
KR940010972B1 true KR940010972B1 (ko) | 1994-11-21 |
Family
ID=2728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01773A KR940010972B1 (ko) | 1990-03-30 | 1991-01-31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EP (1) | EP0450273B1 (ko) |
KR (1) | KR9400109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161584B1 (es) * | 1998-08-13 | 2002-06-16 | Bsh Fabricacion Sa | Acondicionador de aire movil. |
KR100306266B1 (ko) * | 1998-09-12 | 2002-06-24 | 정필하 | 실내기 내부에서 물과 공기로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된 에어컨 |
KR100287633B1 (ko) * | 1998-09-12 | 2002-02-19 | 정필하 | 실내기 자체 냉각식 에어컨의 개량 냉각 구조. |
GB2493228A (en) * | 2012-02-02 | 2013-01-30 | John Burns | Electric fire and a climate control system |
CN106949539A (zh) * | 2017-03-16 | 2017-07-14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调器、清洗控制方法及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29121A (ja) * | 1982-01-27 | 1983-08-02 | Toshiba Corp | 空気調和機 |
JP2593507B2 (ja) * | 1988-02-29 | 1997-03-26 | 株式会社東芝 | 空気調和機 |
IT1218242B (it) * | 1988-05-13 | 1990-04-12 | Miralfin S P A Ora Miralfin Sr | Apparecchiatura per il condizionamento dell' aria in un locale |
-
1991
- 1991-01-30 EP EP91101237A patent/EP045027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01-31 KR KR1019910001773A patent/KR9400109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7133A (ko) | 1991-11-05 |
EP0450273B1 (en) | 1994-12-07 |
EP0450273A3 (en) | 1992-04-01 |
EP0450273A2 (en) | 1991-1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40008427B1 (ko) | 공기조화기 | |
CN110857797B (zh) | 除湿机 | |
KR940010972B1 (ko) | 공기조화기 | |
CN114264005A (zh) | 空调烟机及其控制方法 | |
JP3364576B2 (ja) | 除加湿装置 | |
JPH01222127A (ja) | 空気調和機 | |
CN216897626U (zh) | 空调烟机 | |
JP2002317961A (ja) | 除湿機 | |
KR100310119B1 (ko) | 공기조화기 | |
JP2788325B2 (ja) | 空気調和機 | |
KR100310118B1 (ko) | 공기조화기 | |
JP2878774B2 (ja) | 空気調和機 | |
JP2878773B2 (ja) | 空気調和機 | |
JP2786714B2 (ja) | 空気調和機 | |
JP2002277061A (ja) | 温風暖房機 | |
CN216897627U (zh) | 空调烟机 | |
JP2003021495A (ja) | 空気調和機 | |
JPH03282135A (ja) | 空気調和機 | |
CN114264004A (zh) | 空调烟机 | |
JP2002310466A (ja) | 温風暖房機 | |
JPH03282136A (ja) | 空気調和機 | |
JP2006234283A (ja) | 空気調和機 | |
JP2002310508A (ja) | 温風暖房機 | |
JP2006308191A (ja) | 一体型空気調和機 | |
JPH08296870A (ja) | 空気調和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030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