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187B1 - 방전관용 정격 전력 자동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방전관용 정격 전력 자동 제어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1187B1 KR940001187B1 KR1019910004290A KR910004290A KR940001187B1 KR 940001187 B1 KR940001187 B1 KR 940001187B1 KR 1019910004290 A KR1019910004290 A KR 1019910004290A KR 910004290 A KR910004290 A KR 910004290A KR 940001187 B1 KR940001187 B1 KR 9400011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tube
- diode
- voltage
- current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압방전관용 안정화 장치의 전체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류 검출소자 2 : 다이오드
3 : 평활 콘덴서 4 : 브리지 다이오드
5 : 포토 커플러 8 : 연산증폭기
본 발명은 고압 방전관 안정화 장치에 적용되는 방전관 정격전력 자동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방전관은 제조 특성으로 인하여 각 제품화된 고압 방전관 사이에는 적지 않은 오차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고압 방전관 구동장치는 고압 방전관에 정격 전력을 제공함에 있어 제품상의 차이에 조응하는 정격 전력을 출력하는데 한계가 뚜렷했고, 특히, 고압 방전관 구동장치와 방전관이 원거리를 두고 설치될 경우, 심지어 방전관 구동장치에서 제공하는 구동출력이 방전관의 정격전력에서 벗어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고압 방전관의 제품상의 특성에 조응하면서 적정한 정격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방전관 정격 전력 자동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전관 연결 선로에 병렬로 연결되어 선로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브리지 다이오드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에 연결된 포토 커플러와, 방전관 연결선로에 직렬 접속되어 방전관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소자와, 상기 전류 검출소자(1)에 연결되어 검출된 전류를 필터링시키는 밴드패스 필터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의 출력을 정류시키도록 연결된 제1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에 연결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출력변화분을 전압강하시켜 정전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포토 커플러의 출력단과 상기 제너다이오드에 각각의 입력 저항을 통해 (+) 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자체출력을 기준전압으로 입력받도록 연결되어 전분제어 출력을 내는 연산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압 방전관용 안정화 장치에 관한 전체 블럭도로서, 도면에서 100은 직류 전원 공급 회로부, 200은 시동 고압 펄스 회로부, 300은 방전관 구동회로부, 400은 본 발명인 정격전력 자동 제어회로부, 500은 초기 기동 전류 제어회로부, 600은 전압 제어 발진부, 700은 버퍼 회로부, 800은 방전관 구동 제어회로부를 각각 나타낸다.
직류전압공급회로부(100)는 상용전원(110V 또는 220V, 380V, 440V, 480V등)을 입력으로 받아 일정한 직류 전압을 얻는 기능을 한다.
시동고압펄스회로부(200)는 상기 직류전압공급회로부(100)에서 제공되는 직류 전압을 충전하였다가 내부의 구형파 발진회로의 출력 주파수 주기대로 충전 전압을 방전시켜 방전관의 고압 시동펄스를 제공한다.
초기 기동전류제어회로부(500)은 상기 시동고압펄스회로부(200)가 동작하는 시점에, 즉, 방전관이 점등되기 전에 기동전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다가 방전관이 점등되면 상기 시동고압펄스회로부(200)의 동작을 멈추게 하며, 자기 자신도 동작을 멈춘다.
전압제어발진기(600)은 방전관을 점등시키기 위한 방전관구동회로부(300)의 동작주파수를 발진하여, 이 발진 주파수 신호를 버퍼회로부(700)에 의해 버퍼링되어 방전관구동제어회로부(800)에 가해진다.
방전관구동제어회로부(800)는 방전관구동회로부(300)가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방전관구동회로부(300)에 인가하고, 방전관구동회로부(300)내의 전력소자의 고주파 동작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전력소자의 게이트의 동작점을 제어한다.
방전관구동회로부(300)는 상기 직류전압공급부(100)에서 제공하는 직류전압을 분압하여 콘덴서에 충전시켰다가 전력소자가 방전관구동제어회로부(800)의 동작신호를 받아 교번적으로 동작할때 방전관에 동작 전압과 전류를 제공하며 전송전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직렬 공진회로를 통해 동작전압과 전류를 방전관에 제공한다. 한편, 내부의 공진인덕터의 중간탭에서 방전관의 연결단자를 설치하여 방전관이 연결되도록 하고 그러므로써 방전관이 원거리에 설치될때 대지와 고주파의 간섭을 최소화시킨다.
본 발명인 정격전력 자동 제어회로부(400)는 방전관에 안정된 정격전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회로부로서, 방전관이 점등되면 지속적으로 방전관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전압제어발진부(600)를 자동제어하며, 초기 기동전류제어부(500)의 동작이 멈추는 시점에 동작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인 정격전력 자동 제어회로부(400)의 일실시예에 대한 세부 회로도로서, 도면에서 1은 전류 감지소자, 2와 15는 다이오드, 4는 브리지 다이오드, 5는 포토 커플러, 8은 연산증폭기, 3은 평활콘덴서, 12 내지 14는 콘덴서, 6, 7, 9, 10, 11, 16은 저항, 17은 제너다이오드, 18은 밴드패스 필터를 각각 나타낸다.
방전관의 초기 점등시 방전관의 전류는 전류 감지소자(1)에 의해 감지되고, 저항(11)과 콘덴서(12)로 구성되는 밴드패스 필터(18)를 통해 다이오드(2)에 의해 정류된다. 여기서, 밴드패스 필터로 필터링시키는 이유는, 무부하시 또는 점등초기시 선로가 길어지면 선로의 임피이던스가 부하로 작용하여 비점등 상태이지만 점등한 상태인 것처럼 회로가 작동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정류된 전류는 콘덴서(3)에 의해 평활되어 제너다이오드(17)와 저항(7)을 통해 연산증폭기(8)에 가해지면 연산증폭기(8)는 출력 전압이 상승하게 되고 방전관이 완전히 점등하면 안정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너다이오드(17)는, 안정기 동작시 소자의 발열로 인한 소자 특성오차의 한계로 출력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온도변화에 대한 전압 변화분을 전압강하시켜 정전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점등후, 초기 방전관의 양단 전압은 수십 볼트로 매우 낮으며, 이 전압은 저항(9)과 브리지 다이오드(4)를 통해 포토 커플러(5)에 공급된다. 이때, 포토 커플러(5)의 발광다이오드는 방전관의 전압에 비레하는 빛의 밝기를 가지므로 포토 커플러(5)의 출력 트랜지스터는 저항(10)에 방전관의 전압에 해당하는 전압을 발생시킨다. 연산증폭기(8)는 (-)입력단에 자체출력을 기준전압으로 받고, (+)입력단은 방전관의 전압 및 전류를 가중치를 두어 입력받는다.
상기 연산증폭기(8)는 적분 제어를 행하며, 정상상태, 즉, 점등이 완전히 된 상태에서 정격전류가 되도록 저항(6, 7)의 저항값이 결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초기 점등시, 방전관의 전압이 작을때는 정격 전류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방전관의 전압이 상승함에 따라 전류가 감소되어 정격치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출력단에 연결된 다이오드(15)는 상기 제너 다이오드(17)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부가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방전관의 특성이 다소 차이가 있어도 방전관의 전압, 전류 모두를 추적 검출하여 자동제어하므로 정격에 가까운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방전관 연결선로 길이, 주위 온도등 설치 환경에 의한 소자변동분을 보상하여 출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상용전원의 전압이 변하여도 항상 일정한 출력이 얻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전관용 안정화장치가 방전관의 다양한 제품특성에 조응하면서 정격 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2)
- 고압 방전관 안정화 장치에 적용되어 방전관의 정격 전력을 자동제어하는 회로에 있어서, 방전관 연결 선로에 병렬로 연결되어 선로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브리지 다이오드(4)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4)에 연결된 포토 커플러(5)와, 방전관 연결선로에 직렬 접속되어 방전관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소자(1)와, 상기 전류 검출소자(1)에 연결되어 검출된 전류를 필터링시키는 밴드패스필터(18)와 상기 밴드 패스 필터(18)의 출력을 정류시키도록 연결된 제1다이오드(2)와, 상기 다이오드(2)에 연결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출력변화분을 전압강하시켜 정전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17)와, 상기 포토 커플러(5)의 출력단과 상기 제너다이오드(17)에 각각의 입력 저항(6,7)을 통해 (+)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입력단자는 자체출력을 기준전압으로 입력받도록 연결되어 적분제어출력을 내는 연산 증폭수단(8)과, 상기 연산증폭 수단(8)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15)를 구비하여, 방전관의 설치환경 및 특성에 따른 점등 상태를 추적 검출하여 방전관에 적정한 정격전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자동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정격 전력 자동 제어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2)를 통한 전류신호를 평활하기 위해 상기 다이오드(2) 출력단에 연결된 평활 콘덴서(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정격 전력 자동 제어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04290A KR940001187B1 (ko) | 1991-03-18 | 1991-03-18 | 방전관용 정격 전력 자동 제어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10004290A KR940001187B1 (ko) | 1991-03-18 | 1991-03-18 | 방전관용 정격 전력 자동 제어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9219A KR920019219A (ko) | 1992-10-22 |
KR940001187B1 true KR940001187B1 (ko) | 1994-02-16 |
Family
ID=1931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04290A KR940001187B1 (ko) | 1991-03-18 | 1991-03-18 | 방전관용 정격 전력 자동 제어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4000118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7217B1 (ko) * | 2007-07-13 | 2012-05-25 |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 Led 구동기 및 그 제어 방법 |
-
1991
- 1991-03-18 KR KR1019910004290A patent/KR94000118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7217B1 (ko) * | 2007-07-13 | 2012-05-25 |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 Led 구동기 및 그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19219A (ko) | 1992-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00113A (en) | Variable high frequency ballast circuit | |
EP0696158B1 (en) |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 |
US5394064A (en) | Electronic ballast circuit for fluorescent lamps | |
US6051935A (en) |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luminous flux produced by a light source | |
US7235899B2 (en) | Switching constant-current power supply system | |
US5962981A (en) |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 |
US4952848A (en) |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ballast control of discharge lamps | |
US6448720B1 (en) | Circuit for driving an HID lamp | |
JPS6212098A (ja) | 高圧ガス放電灯点灯回路配置 | |
KR970002289B1 (ko) | 형광등 제어장치 | |
KR100266244B1 (ko) | 고-주파수 전류에 의한 저-압 수은 방전 램프 작동용 회로 장치 | |
US5367228A (en) | High-pressure sodium lamp control circuit providing constant peak current and color | |
NO180320B (no) | Universelt elektronisk ballastsystem | |
KR940001187B1 (ko) | 방전관용 정격 전력 자동 제어회로 | |
US4970437A (en) | Chopper for conventional ballast system | |
EP1079670B1 (en) | Cold cathode discharge lamp lighting circuit | |
KR950005284B1 (ko) | 메탈할라이드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 |
JP4306363B2 (ja) | 放電灯点灯装置 | |
KR940001188B1 (ko) | 고압 방전관용 전자식 안정화 장치 | |
KR960006610B1 (ko) |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의 점등회로 | |
JPH06338397A (ja) | 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 |
JPH08111289A (ja) | 放電灯点灯装置 | |
NO873333L (no) | Elektronisk ballastreaktans for hoeyintensitets gassutladningslamper. | |
WO2002097548A1 (en) | Amplitude control of gas discharge lamps | |
JPH02177298A (ja) | 放電灯点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