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40008706B1 -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 Google Patents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706B1
KR940008706B1 KR1019930030159A KR930030159A KR940008706B1 KR 940008706 B1 KR940008706 B1 KR 940008706B1 KR 1019930030159 A KR1019930030159 A KR 1019930030159A KR 930030159 A KR930030159 A KR 930030159A KR 940008706 B1 KR940008706 B1 KR 94000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riving
circuit
clock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야베
다쯔오 모리야
Original Assignee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무라 가쯔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90008299A external-priority patent/KR940008709B1/ko
Application filed by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무라 가쯔미 filed Critical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3003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7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14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incorporating a stepping motor
    • G04C3/146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incorporating a stepping motor incorporating two or more stepping motors or roto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08Mounting, assembling of compon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Measurement Of Unknown Time Interv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본 발명은, 크로노 그래프 표시, 타이머 표시 등의 다기능 표시 수단을 갖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 및 아나로그 전자 시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다기능 아나로그 전자 시계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 소화 61-286783호, 특허 공개 소화 61-294388호, 실용신안 공개 소화 61-26191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전용 IC를 사용해서 다기능을 실현하고 있었다.
상술하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전용 IC가 필요했기 때문에,
1 IC의 개발 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므로 시장 정보에 대한 대응이 지연된다.
2 기능 추가, 사양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 IC의 변경 규모가 크고, 최악의 경우, 새로운 IC를 필요로 하였다.
3 기능 변화를 하나의 IC로 대응시킬 수가 없다.
등, 다양화하는 소비자 요구에 대응할 수 없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개발 기간이 짧고, 기능의 추가나 사양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기능 변화에 대응이 가능하고, 다양화하는 소비자 요구를 만족시키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 및 아나로그 전자 시계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 는 최소한, 코어 CPU와, 상기 코어 CPU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격납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상기 소프트웨어의 지령에 의거하여 복수의 스텝 모터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모터 운침 제어 회로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운침 제어 회로는 각 스텝 모터의 운침 펄스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모터 클럭 제어 회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모터 운침 제어 회로는 각 스텝 모터의 운침을 트리거하는 운침 기준용 클럭을 형성하는 운침 기준 신호 형성 회로를 갖고, 상기 운침 기준 신호 형성 회로는 소프트웨어의 지령에 의거하여 상기 운침 기준용 클럭의 주파수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모터 운침 제어 회로가 상이한 파형의 모터 구동 펄스를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펄스 형성 회로와, 소프트웨어의 지령에 의거하여 각 스텝 모터가 어느 구동 펄스를 선택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모터 운침 방식 제어 회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스텝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모터 드라이버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아나로그 전자 시계는 상술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와, 복수의 스텝 모터 및, 상기 복수의 스텝 모터에 연결되는 복수의 바퀴 열 구조를 갖는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크로노 그래프 회로(211)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3도는 제1도의 모터 운침 제어 회로(212)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4도는 제1도의 운침 기준 신호 형성 회로(220)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5도, 제6도, 제7도, 제8도는 각각 제1도의 제1구동 펄스 형성 회로(221), 제2구동 펄스 형성 회로(222), 제3구동 펄스 형성 회로(223), 제4구동 펄스 형성 회로(224)에서 출력되는 모터 구동 펄스 Pa, Pb, Pc, Pd의 타이밍 챠트.
제9도는 제1도의 모터 클럭 제어 회로(226),(227),(228) 및 (229)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아나로그 전자 시계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1도는 통상 시각 시 분 표시용 바퀴열의 단면도.
제12도는 통상 시각 초 표시용 바퀴열의 단면도.
제13도는 크로노 그래프 초 표시용 바퀴열의 단면도.
제14도는 크로노 그래프 분 표시 및 타이머 초 표시용 바퀴열의 단면도.
제15도는 알람 설정 시각 표시용 바퀴열의 단면도.
제16도는 제10도의 실시예의 회로 결선도.
제17도는 본 실시예의 다기능 전자 시계의 완성체의 외관도.
제18a 및 18b도는 통상 시각을 표시하기 위한 순서도.
제19a 및 제19b도는 크로노 그래프 기능의 순서도.
제20a 및 제20b도는 타이머 기능의 순서도.
제21a 및 21b 및 21c도는 알람 기능의 순서도.
제22a, 22b, 22c도는 모터의 운침 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코어 CPU 202 : 프로그램 메모리
204 : 데이타 메모리 211 : 크로노 그래프 회로
212 : 모터 운침 제어 회로 213,214,215,216 : 모터 드라이버
217 : 입력 제어 및 리셋 회로 218 : 인터럽트 제어 회로
219 : 모터 운침 방식 제어 회로 220 : 운침 기준 신호 형성 회로
221 내지 225 : 모터 구동 펄스 형성 회로
226 내지 229 : 모터 클럭 제어 회로 230 내지 233 : 트리거 형성 회로
234 내지 237 : 모터 구동 펄스 선택 회로
2 : 전지 3 : 스텝 모터 A
4 : 로터 5 : 5번 바퀴
6 : 4번 바퀴 7 : 3번 바퀴
8 : 2번 바퀴 9 : 날짜의 뒷바퀴
10 : 통 바퀴 15 : 스텝 모터 B
16 : 로터 17 : 1/5초침 CG 제1중간 바퀴
18 : 1/5초 CG 제2중간 바퀴 19 : 1/5초 CG 바퀴
27 : 스텝 모터 C 28 : 로터
29 : 분 CG 중간 바퀴 30 : 분 CG 바퀴
32 : 스텝 모터 D 33 : 로터
34 : AL 중간 바퀴 35 : AL 분 바퀴
36 : AL 날짜의 뒷 바퀴 3 : AL 동 바퀴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라서, 프로그램 메모리에 격납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복수의 스텝 모터의 운침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가 있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MOS-IC(20)은 코어 CPU를 중심으로 하여 하나의 칩상에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타 메모리, 4개의 모터 드라이버, 모터 운침 제어 회로, 음향 발생기, 인터럽트 제어 회로 등을 집적한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의 단일칩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다음에, 제1도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201은 코어 CPU로서, ALU, 연산용 레지스터, 어드레스 제어 레지스터, 스택 포인터, 인스트럭션 레지스터, 인스트럭션 디코더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주변 회로와는 메모리 맵프드(mapped) I/O 방식에 의해 어드레스 버스(adbus) 및 데이타 버스(dbus)로 접속되어 있다.
202는 2048워드×12 비트 구성의 마스트 ROM으로 형성되는 프로그램 메모리이며, IC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격납하고 있다.
203은 프로그램 메모리(202)의 어드레스 디코더이다.
204는 112워드×4비트 구성의 RAM으로 형성되는 데이타 메모리이며, 각종 계시를 위한 타이머나 각 지침의 바늘 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카운터 등에 사용된다.
205는 데이타 메모리(204)의 어드레스 디코더이다.
206은 발진 회로로서, Xin 및 Xout 단자에 접속되는 음차형 수정 진동자를 원주파수인 32768Hz로 발진한다.
207은 발진 정지 검출 회로로서, 발진 회로(206)의 발진이 정지하면 그것을 검출하여, 시스템에 리셋을 건다.
208은 제1분주 회로로서, 발진 회로(206)에서 출력되는 32768Hz 신호 ψ32K를 차츰 분주하여, 16Hz 신호ψ16을 출력한다.
209는 제2분주 회로로서, 제1분주 회로(208)로부터 출력되는 16Hz 신호 ψ16을 1Hz 신호 ψ1까지 분주한다. 또한, 8Hz로부터 1Hz까지의 각 분주단의 상태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코어 CPU(201)내로 입력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IC에 있어서는, 시계 계시 등의 처리를 위한 타임 인터럽트(interrupt) Tint로서, 16Hz 신호 ψ16, 8Hz 신호 ψ8, 1Hz 신호 ψ1을 사용하고 있다. 타임 인터럽트 Tint는 각 신호의 하강 에지로 발생하여, 각 인터럽트 요인의 입력과 리셋 및 마스크는 모두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져, 리셋과 마스크에 대해서는 각 요인마다 개별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10은 음향 발생기이며, 부저 구동 신호를 형성하여 AL단자로 출력한다. 부저 구동 신호의 구동 주파수, ON/OFF, 명종(鳴鐘)패턴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할 수가 있다.
211은 크로노 그래프 회로이며, 구체적으로는 제2도와 같이 구성이 되어 있으며, 1/100초계 크로노 그래프를 구성할때에, 1/100 초침의 운침 제어를 하드웨어로 행하여 소프트웨어의 부하를 현저하게 경감할 수가 있다.
제2도에 있어서, (2111)는 클럭 형성 회로이며, 512Hz 신호 ψ512로부터 크로노 그래프 계측의 기준 클럭을 이루는 100Hz 신호 ψ100와, 1/100 초침 구동 펄스 Pf를 형성하기 위한 100Hz로 펄스폭 3.91ms의 클럭 펄스 Pfc를 형성한다. (2112)는 50진(進)의 크로노 그래프 카운터이며, AND게이트(2119)를 통과하는 ψ100을 카운트하여, 제어 신호 형성 회로(2118)에서 출력되는 크로노 그래프 리셋 신호 Rcg에 의해 리셋된다. (2113)은 레지스터이며, 제어 신호 형성 회로(2118)로부터 스플리트 표시 지령 신호 Sp가 출력되었을 때에 크로노 그래프 카운터(2112)의 내용을 갖는다. 2114는 50진의 바늘 위치 카운터이며, 1/100 초침 구동 펄스 Pf를 카운트하므로서 1/100 초침의 표시 위치를 기억하여, 제어 신호 형성 회로(2118)에서 1/100 초침의 0위치를 기억시키기 위한 신호 Rhnd에 의해 리셋된다. 2115은 일치 검출 회로이며, 레지스터(2113)와 바늘 위치 카운터(2114)의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에는 일치 신호 Dty를 출력한다. 2116은 0위치 검출 회로이며, 바늘 위치 카운터(2114)의 0을 검출하면 0 검출 신호 Dto를 출력한다. 2117은 1/100 초침 운침 제어 회로이며, 1/100 초침 동작 상태 또한 크로노 그래프 계측 기간중은 크로노 그래프 카운터(2112)와 바늘 위치 카운터(2114)의 내용이 일치하고 있을 때에 클럭 펄스 Pfc를 통해, 스플리트 표시시 및 계측 정지시에는 레지스터(2113)와 바늘 위치 카운터(2114)가 일치하지 아니한 때는 클럭 펄스 Pfc를 통해, 1/100 초침 비동작 상태에서 크로노 그래프의 계측중에는 바늘 위치 카운터(2125)의 내용이 0이외의 때에는 클럭 펄스 Pfc를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118은 제어 신호 형성 회로이며, 소프트웨어의 지령에 의해, 크로노 그래프 계측의 스타트/스톱을 지령하는 스타트 신호 St, 스플리트 표시/스플리트 표시 해제를 지령하는 스플리트 신호 Sp, 크로노 그래프 계측의 리셋을 지령하는 크로노 그래프 리셋 신호 Rcg, 1/100 초침의 0위치를 기억시키기 위한 0위치 신호 Rhnd 및 1/100 초침의 동작/비동작을 지령하는 Drv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1/100 초침 구동은 스텝 모터 C 만으로 가능하다. 또한, 크로노 그래프 카운터(2112)에서 출력되는 5Hz의 캐리 신호 ψ5에 의해 크로노 그래프 인터럽트 CGint가 발생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1/5초 이후의 크로노 그래프 계측 처리가 가능하다.
212는 모터 운침 제어 회로이며, 구체적으로는 제3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각 모터 드라이버에 모터 구동 펄스를 출력한다. 다음에, 제3도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219는 모터 운침 방식 제어 회로이며, 각 모터의 운침 방식을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기억을 함과 동시에, 정전 구동 Ⅰ을 선택하는 Sa, 정전 구동 Ⅱ을 선택하는 Sb, 역정전 구동 Ⅰ을 선택하는 Sc, 역전 구동 Ⅱ을 선택하는 Sd, 정전 보정 구동을 선택하는 Se의 각 제어 신호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220은 운침 기준 신호 형성 회로이며, 구체적으로는 제4도와 같이 구성되어,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운침용 기준 클럭 Cdrv을 형성하여 출력한다.
제4도에 있어서, 2201은 3비트의 레지스터이며,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지령(어드레스 디코더(2202)의 출력신호)에 의해, 운침용 기준 클럭 Cdrv의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타를 기억한다. 2203은 3비트의 레지스터이며, 프로그래머블 분주기(2205)로부터 출력되는 운침 기준용 클럭 Cdrv의 하강 에지로, 레지스터(2201)가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를 거두어 들여 기억한다. 2204는 디코더이며, 레지스터(2203)가 기억하는 데이타에 대응하여, 2,3,4,5,6,7,8,10,16의 수를 2진수 형태로 출력한다. 2205는 프로그래머블 분주기이며, 제1분주 회로(208)에서 출력되는 256Hz 신호 ψ256를, 디코더(2204)에서 출력되는 수치를 n이라 하면, 1/n로 분주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운침 기준 신호 형성 회로(220)는,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운침용 기준 클럭 Cdrv의 주파수를 128Hz, 85.3Hz, 64Hz, 51.2Hz, 42.7Hz, 32Hz, 25.6Hz, 16Hz의 8종류에서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운침용 기준 클럭 Cdrv의 주파수 변경은, 레지스터(2203)에 데이타가 거두어 들여진 시점에서 행해지고, 레지스터(2203)으로의 데이타의 거두어들임은 운침 기준용 클럭 Cdrv에 동기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앞의 주파수 fa에서 다음의 주파수 fb로 전환할 때에는, 반드시 1/fa의 간격이 확보된다.
또한, 정전 구동 Ⅰ및 역전 구동을 연속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운침 기준용 클럭 Cdrv의 주파수는 64Hz 이하로 한정된다.
221은 제1구동 펄스 형성 회로이며, 제5도에 도시한 정전 구동 Ⅰ용의 구동 펄스 Pa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222는 제2구동 펄스 형성 회로이며, 제6도에 도시한 정전 구동 Ⅱ용의 구동 펄스 Pb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223은 제3구동 펄스 형성 회로이며, 제7도에 도시한 역전 구동 Ⅰ용의 구동 펄스 Pc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224는 제4구동 펄스 형성 회로이며, 제8도에 도시한 역전 구동 Ⅱ용의 구동 펄스 Pd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225는 제5구동 펄스 형성 회로이며, 보정 구동용의 펄스군 Pe(일본국 특허 공개 소화 60-260883호에 개시되어 통상 구동 펄스 P1, 보정 구동 펄스 P2, 교류 자계 검출시 펄스 P3, 교류 자계 검출 펄스 SP1, 회전 검출 펄스 SP2)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226,227,228,229는, 모터 클럭 제어 회로이며, 구체적으로는 제9도와 같이 구성이 되어 있으며, 각각, 스텝 모터 A, 스텝 모터 B, 스텝 모터 C, 스텝 모터 D의 운침 펄스수를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제어한다.
제9도에 있어서, 2261는 4비트의 레지스터이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지령된 운침 펄스수를 기억한다. 2262는 4비트의 업 카운터이며, AND게이트(2274)를 통과하는 운침용 기준 클럭 Cdrv을 카운트하여, 제어 신호 Sreset에 의해 리셋된다. 2263은 일치 검출 회로이며, 레지스터(2261)와 업 카운터(2262)의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하였을 때에 일치 신호 Dy를 출력한다. 2264는 올(all) 1검출 회로이며, 레지스터(2261)의 내용이 모두 1인때에 올 1검출 신호 D15를 출력한다. 2265는 모터 구동 펄스 형성용 트리거 신호 발생 회로로서, NOT게이트(2266 및 2267)와 3입력 AND게이트(2268)와, 2입력 AND게이트(2269) 및 2입력 OR게이트(2270)로 형성되며, 레지스터(2261)에 올 1(15)이 세트되었을 때에는 그 밖의 데이타가 세트될 때까지 반복하여 모터 펄스를 출력을 계속해, 올 1이외의 데이타가 세트되었을 때에는 그것의 데이타 몫만큼 모터 펄스를 출력하여, 다음의 데이타가 세트될 때까지 모터 펄스 출력이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271은 쌍방향 스위치이며, 제어 신호 Sread가 출력되었을때에 ON하여, 업 카운터(2262)의 데이타를 데이타 버스에 싣는다. 2272는 제어 신호 형성 회로이며, 소프트웨어로 부터의 지령에 의해 레지스터(2261)에 운침 펄스수를 세트하기 위한 신호 Sset, 업 카운터(2262)의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 Sread, 레지스터(2261) 및 업 카운터(2262)를 리셋하기 위한 신호 Sreset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신호 Sread가 출력된 경우에는 NOT게이트(2273)와 AND게이트(2274)에 의해 운침 기준용 클럭 Cdrv의 통과가 금지된다. 이경우, 입력후에는 신호 Sreset를 발생시켜서 레지스터(2261)와 업 카운터(2262)를 리셋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치 검출 회로(2263)가 일치를 검출하였을때(세트된 펄스수를 출력하여 끝났을때) 각 모터는 모터 콘트롤 인터럽트(Mint)를 발생한다. 모터 콘트롤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소프트로 어느 인터럽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입력이 가능하고, 입력후에는 리셋할 수가 있다.
230,231,232,233은 트리거 형성 회로이며, 모터 운침 방식 제어 회로(219)에서 출력되는 운침 방식 제어 신호(Sa,Sb,Sc,Sd,Se)에 대응하여, 모터 클럭 제어 회로에서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 Tr를 (221), (222), (223), (224), (225)의 각 구동 펄스 제어 회로가 모터 구동 펄스(Pa,Pb,Pc,Pd,Pe)를 형성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Sat,Sbt,Sct,Sdt,Set)로서 통과시킨다.
234,235,236,237은 모터 구동 펄스 선택 회로이며, 운침 방식 제어 회로(Sa,Sb,Sc,Sd,Se)에 대응하여, 각 구동 펄스 형성 회로에서 출력되는 모터 구동 펄스(Pa,Pb,Pc,Pd,Pe)중에서 각 스텝 모터에 필요한 구동 펄스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상으로 제3도의 설명을 끝낸다.
(213,214,215,216)은 모터 드라이버이며, 모터 구동 펄스 선택 회로에서 출력되는 모터 구동 펄스를 각각의 모터 구동 회로가 갖는 2개의 출력 단자에 교대로 출력하여, 각 스텝 모터를 구동한다.
217은 입력 제어 및 리셋 회로이며, A, B, C, D, RA1, RA2, RB1, RB2의 각 스위치 입력의 처리 및 K, T, R의 입력 단자의 처리를 행한다. 상기 A, B, C, D중 어느 한개 또는 RA1, RA2, RB1, RB2중 어느 한개의 스위치가 입력하면 스위치 인터럽트 Swint를 발생한다. 이때의 인터럽트 요인의 입력 및 리셋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각 입력 단자는 Vss에 풀 다운되어 있으며, 오픈 상태에서는 데이타 O, VDD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데이타 1로 된다.
K 단자는 사양 전환 단자이며, K 단자의 데이타에 의해 2종류의 사양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K 단자의 데이타의 입력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한다.
R 단자는 시스템 리셋 단자이며, R 단자가 VDD에 접속되면 하드웨어에 의해, 코어 CPU, 분주 회로 및 기타 주변 회로가 강제적으로 초기 상태로 설정된다.
T 단자는 테스트 모드 변환 단자이며, RA2 단자를 VDD에 접속한 상태에서 T 단자에 클럭을 입력하므로서, 주변 회로를 테스트하기 위한 16개의 테스트 모드를 전환할 수가 있다. 주요 테스트 모드로는, 정전 Ⅰ확인모드, 정전 Ⅱ 확인모드, 역전 Ⅰ 확인 모드, 역전 Ⅱ 확인 모드, 보정 구동 확인 모드, 크로노 그래프 1/100초 확인 모드 등이 있으며, 이들 확인 모드에 있어서는, 각 모터 구동 펄스 출력 단자에 자동적으로 모터 구동 펄스가 출력된다.
시스템 리셋은, R 단자를 VDD에 접속하는 방법 외에, 스위치의 동시 입력으로도 할 수가 있고, 본원의 IC에 있어서는, A나 C중 어느 한개와 B 및 RA2의 동시 입력이 있었을 때와, A, B, C중 어느 한개와 RA2, RB2의 동시 입력이 있었을 때에 하드웨어에 의해 강제적으로 시스템 리셋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에서 처리가 가능한 리셋 기능으로서, 분주 회로 리셋과 주변 회로 리셋이 있으며, 주변 회로 리셋을 행한 경우에는 분주 회로도 리셋된다.
218은 인터럽트 제어 회로이며, 스위치 인터럽트, 크로노 그래프 인터럽트, 모터 콘트롤 인터럽트에 관해서, 각각의 인터럽트의 우선 순위를 표시해, 입력이 행해질 때까지의 기억, 입력후의 리셋 처리를 한다.
200은 정전압 회로이며, VDD-VSS사이에 부가되는 전지 전압(약 1.58V)에서 약 1.2V의 저정전압을 형성하여, VS1 단자에 출력한다.
이상으로 제1도에 대한 설명은 끝낸다.
이상으로 상세하게 설명을 해온 바와 같이, CMOS-IC(20)은 스텝 모터의 구동에 관해서 다음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으며, 다침 형태의 다기능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로서 매우 뛰어나다.
1 모터 드라이버(213,214,215,216)를 갖고 있으며, 4개의 스텝 모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2 운침 제어 방식 제어 회로(219)와 구동 펄스 형성 회로(221 내지 225)와 모터 구동 펄스 선택 회로(234 내지 237)을 갖고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4개의 스텝 모터의 각각에 3종류의 정전 구동과 2종류의 역전 구동을 시킬 수가 있다.
3 운침 기준 신호 형성 회로(2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각 스텝 모터의 운침 속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4 4개의 스텝 모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모터 클럭 형성 회로(226 내지 229)를 구비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각 스텝 모터의 운침 펄스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기능 아나로그 전자 시계의 한 실시예의 평면도를 제10도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스텝 모터를 사용하여 다기능화를 실현하고 있다. 다음에, 제10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1은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자판이며, 2는 전지이다. 3은 통상 시각을 표시시키기 위한 스텝 모터 A로서, 고투자재로 형성되는 자심(3a)과, 자심(3a)에 감긴 코일과 그것의 양단을 도통이 가능하게 단말 처리한 코일 리드 기판과 코일테로 형성되는 코일 블럭(3b)과, 고투자재로 형성되는 고정자(3c)와, 로터 자석과 쇠붙이로 형성되는 로터(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5,6,7,8은 각각, 5번 바퀴, 4번 바퀴, 3번 바퀴, 2번 바퀴이며, 9는 날짜의 뒷 바퀴, 10은 통의 바퀴이다. 2번 바퀴 및 통의 바퀴는 시계 본체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바퀴열 구성에 의해, 시계 본체의 중심 위치에 통상 시각의 분 표시 및 시 표시를 행하고 있다. 제11도는 이 통상 시각 시분 표시를 위한 바퀴열의 맞물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 쇠붙이(4a)는 5번 톱니바퀴(5a)와 맞물리고, 5번 쇠붙이(5b)는 4번 톱니바퀴(6a)와 맞물리고 있다. 또한, 4번 쇠붙이(6b)는 3번 톱니바퀴(7a)와 맞물리고, 3번 쇠붙이(7b)는 2번 톱니바퀴(8a)와 맞물리고 있다. 이 로터 쇠붙이(4b)에서 2번 톱니 바퀴(8a)까지의 감속비는 1/1800로 되어 있으며, 로터(4)가 1초간에 반회전하므로서, 2번 바퀴는 3600초 즉, 60분에 1회전하여, 통상 시각의 분 표시가 가능해진다. 11은 분 표시를 위해 2번 바퀴(8) 선단에 끼워 마춰진 분침이다. 또한, 2번 쇠붙이(8b)는 날짜의 뒤 바퀴(9a)와 맞물리고, 날짜의 뒤 쇠붙이(9b)는 통 바퀴(10)와 맞물리고 있다. 2번 쇠붙이(8b)에서 통 바퀴(10)까지의 감속비는 1/12로 되어 있으며, 통상 시각의 시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12는 시 표시를 위해 통 바퀴(100)의 선단에 끼워 마춰진 시침이다.
또한, 제10도에 있어서, 13은 시계 본체의 9시 방향의 축 위에 배치된 작은 초 바퀴이며, 로터(4), 5번 바퀴(5), 작은 초 바퀴(13)에 의한 바퀴열 구성에 의해, 시계 본체의 9시 방향의 축 위에, 통상 시각의 초 표시를 행하고 있다. 제12도는 이 통상 시각 초 표시를 위한 바퀴열의 맞물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5번 쇠붙이(5b)는 작은 초 톱니바퀴(13a)와 맞물리고 있다. 로터 쇠붙이(5b)는 작은 초 톱니바퀴(13)까지의 감속비는 1/30로 되어 있으며, 로터(4)가 1초간에 180˚ 회전하므로서, 작은 초 바퀴(13)는 60초에 1회전 즉, 1초간에 6˚ 회전하여, 통상 시각의 초 표시가 가능해진다. 14는 초 표시를 위해 작은 초 바퀴(13)의 선단에 끼워 마춰진 작은 초침이다.
제10도에 있어서, 15는 크로노 그래프 초침 표시를 위한 스텝 모터 B로서, 고투자재로 형성되는 자심(15a)과, 자심(15a)에 감겨진 코일과 그 양단을 도통 가능하게 단말 처리한 코일 리드 기판과 코일테로 형성되는 코일 블럭(15b)과, 고투자재로 형성되는 고정자(15c) 및, 로터 자석과 로터 쇠붙이로 형성되는 로터(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17,18,19는 각각 1/5초 CG 제1중간 바퀴, 1/5초 CG 제2중간 바퀴, 1/5초 CG 바퀴이며, 1/5초 CG바퀴는 시계 본체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퀴열 구성에 의해, 시계 본체의 중심 위치에 크로노 그래프의 초 표시를 하고 있다. 제13도는 이 크로노 그래프 초 표시를 위한 바퀴열의 맞물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 쇠붙이(16a)는 1/5초 CG 제1중간 톱니바퀴(17a)와 맞물리고, 1/5초 CG 제1중간 쇠붙이(17b)는 1/5초 CG 제2중간 톱니바퀴(18a)와 맞물리고 있다. 또한, 1/5초 CG 제2중간 쇠붙이(18b)는 1/5초 CG톱니바퀴(19a)와 맞물리고 있다. 이 로터 쇠붙이(16a)에서 1/5초 CG톱니바퀴(19a)까지의 감속비는 1/150으로 되어 있다. CMOS-IC(20)으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의해, 로터(16)는 1/5초간에 180˚ 회전한다. 이때문에 1/5초 CG바퀴(19)는 1/5초간에 1.2˚ 즉, 1초간에 1.2˚×5스텝 회전하여, 1/5초마다의 크로노 그래프 초 표시가 가능해진다. (21)은 크로노 그래프 초 표시를 위해 1/5초 CG바퀴 선단에 끼워 맞춤된 1/5초 CG바늘이다. 또한, 1/5초 CG바늘(21)은, 타이머 시각 세트를 위한 타이머 세트 바늘로서의 기능도 겸용하고 있다. 이 타이머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 상술한다.
(27)은 크로노 그래프의 분 표시 및 타이머 경과 시각 초 표시를 위한 스텝 모터 C로서, 고투자재로 형성되는 자심(27a)과, 자심(27a)에 감겨진 코일과 그것의 양단을 도통이 가능하게 단말 처리한 코일 리드기판과 코일테로 형성되는 코일 블럭(27b)과, 고투자재로 형성되는 고정자(27c)와, 로터 자석과 로터 쇠붙이로 형성되는 로터(2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29,30은 각각, 분 CG중간 바퀴 및 분 CG바퀴이며, 분 CG바퀴(30)는 시계 본체의 12시 방향의 축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퀴열 구성에 의해, 시계 본체의 12시 방향의 축 위에 크로노 그래프의 분 표시 및 타이머 경과 시각의 초 표시를 하고 있다. 제14도는 이 크로노 그래프 분 표시 및 타이머 경과 시각 초 표시를 위한 바퀴열의 걸어 맞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 쇠붙이(28a)는 분 CG중간 톱니바퀴(29a)와 맞물리고, 분 CG중간 쇠붙이(29b)는 분 CG톱니바퀴(30a)와 맞물리고 있다. 이 로터 쇠붙이(28a)에서 분 CG 톱니바퀴(30a)까지의 감속비는 1/30으로 되어 있다. 크로노 그래프 모드의 경우, CMOS-IC(20)으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의해, 로터(28)는 1분간에 360˚의 비율 즉, 30초마다 180˚×2스텝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분 CG바퀴는 1분간에 12˚ 즉 30분간으로 360˚(12˚×30스텝)회전하여, 30분간의 크로노 그래프 분 표시가 가능해진다. (31)은 크로노 그래프 분 표시를 위해 분 CG바퀴 선단에 끼워 마춰진 분 CG바늘이다. 이 분 CG바늘(31)과 상술한 1/5초 CG바늘(21)과의 조합에 의해, 최소 판독 단위 1/5초, 최대 계측 30분의 크로노 그래프 표시가 가능하다.
다음에 타이머 모드의 경우이나, CMOS-IC(20)으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의해, 로터(28)는 크로노 그래프 모드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은 1초간에 180˚×1스텝이며, 분 CG바늘(31)은 반시계 방향으로 1초씩 회전하여, 1주 60초의 타이머 경과 시간 초 표시를 한다. 또한, 이때, 로터(16)는 CMOS-IC 20으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의해, 크로노 그래프 모드시와는 역방향으로 1분간에 180˚×5스텝 회전한다. 따라서 1/5초 CG바늘(21)은 반시계 방향으로 1분간 6˚의 비율로 회전하여, 타이머 경과 시간 분 표시를 한다. 또한, 타이머 시각의 설정이나, 제10도의 제2감는 축(23)이 1단째의 상태에 있어서, B스위치(25)를 1회 누를때마다 로터(16)는 180˚×5스텝 회전하여, 1/5초 CG바늘(21)은 6˚단위(눈금상 1분 단위)로 회전하여, 최대 60분까지의 타이머 설정 시각을 표시한다.
제10도(32)는 알람 설정 시각 표시를 위한 스켑 모터 D로서, 고투자재로 형성되는 자심(32a)과, 자심(32a)에 감긴 코일과 그것의 양단을 도통이 가능하게 단말 처리한 코일 리드 기판과 코일테로 형성되는 코일 블럭(32b)과, 고투자재로 형성되는 고정자(32c)와, 로터 자석과 로터 쇠붙이로 형성되는 로터(3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34,35,36,37은 각각 AL 중간 바퀴, AL분(分)바퀴, AL 날짜의 뒷 바퀴, AL 통 바퀴이며, AL 분 바퀴(35) 및 AL 통 바퀴(37)는 시계 본체의 6시 방향의 축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퀴열 구성에 의해, 시계 본체의 6시 방향의 축 위에 알람 설정 시각 표시를 하고 있다. 제15도는 이 알람 설정 시각 표시를 위한 바퀴열의 걸어 맞춤 상태를 도시한 단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 쇠붙이(33a)는 AL 중간 톱니바퀴(34a)와 맞물리고, AL 중간 쇠붙이(34b)는 AL 분 톱니바퀴(35a)와 맞물리고 있다. 또한, AL 분 쇠붙이(35b)는 AL 날짜의 뒷 톱니바퀴(36a)와 맞물리고, AL 날짜의 뒤 쇠붙이(36b)는 AL 통 바퀴(37)와 맞물리고 있다. 로터 쇠붙이(33a)에서 AL 분 톱니바퀴(35a)까지의 감속비는 1/30이며, AL 분 쇠붙이(35b)에서 AL 통 바퀴(37)까지의 감속비는 1/12로 되어 있다. 또한, (38)은 AL 분 바퀴(35) 선단에 감합된 AL 분침이며, (39)는 AL 통 바퀴(37) 선단에 끼워 맞춘 AL 시침이다.
제2감는 축(23)이 1단째의 경우, 타이머 세트 모드로 되어, C 스위치(26)를 1회 누를때마다 CMOS-IC(20)으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의해 로터(33)는 180˚회전한다. 따라서, AL 분침은 6˚(눈금상 1분), AL 시침은 0.5˚ 회전한다. 이에 따라, 알람 시각을 1분 단위로 최대 12시간까지 설정이 된다. 또한, 이때, C 스위치(26)를 계속 누르면 AL 분침(38) 및 AL 시침(39)은 가속적으로 연속 회전하여, 단시간에 알람 시각 설정이 가능해진다. 설정된 알람 시각과 통상 시각이 일치하면 알람음이 울린다. 또한, 제2감는 축(23)이 0단째의 경우, 알람 오프 모드로 되어, AL 분침(38) 및 AL 시침(39)은 통상 시각을 표시한다. 이 경우, 로터(33)는 CMOS-IC(20)으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의해 1분마다 180˚스텝으로 회전을 한다. 따라서, AL 분침(38)은 1분 운침을 한다.
이상으로 제10도에 대한 설명을 끝낸다.
제16도에, CMOS-IC(20)과 다른 전기 소자와의 회로 결선도를 도시한다. 제16도에 있어서, (2)는 산화 은전지(SR 927W), (3b)는 스텝 모터 A의 코일 블럭, (15b)는 스텝 모터 B의 코일 블럭, (24)는 A 스위치, (25)는 B 스위치, (26)은 C 스위치, (27b)는 스텝 모터 C의 코일 블럭, (32b)은 스텝 모터 D의 코일 블럭, (55) 및 (56)은 부저 구동용의 소자이며, (55)는 승압 코일, (56)은 보호 다이오드가 부착된 미니 몰드 트랜지스터, (57)은 CMOS-IC(20)에 내장이되어 있는 정전압 회로의 전압 변동을 억제하기 위한 0.1μF의 칩 콘덴서, (58)은 CMOS-IC(20)에 내장되어 있는 발진 회로의 주파수 발생원을 이루는 초소형 음차형 수정 진동자, (46a)는 빗장(46)의 일부분에 형성된 스위치, (59a)는 제2원앙새(59)의 일부분에 형성된 스위치, (64)는 제10도에 도시되지 않으나 시계 케이스의 뒤 뚜겅에 첨부된 압전 부저이다. 또한, 스위치(24,25,26)는 푸시 버턴형 스위치이며, 누를때에만이 입력된다. 또한 스위치(46a)는 제1감는 축(22)에 연동하는 스위치이며, 제1감는 축(22)의 1단째에서 RA1 단자와 닫히고, 2단째에서 RA2 단자와 닫히고, 통상 위치에서는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59a)는 제2감는 축(23)에 연동하는 스위치이며, 제 2감은 축(23)의 1단째에서 RB1 단자와 닫히고, 2단째에서 RB2 단자와 닫히고, 통상 위치에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7도는 본 실시예의 다기능 전자 시계의 완성체의 외관도이다. 제17도 및 제18도 내지 제22도의 플로우챠트를 기초로, 본 실시예의 사양 및 조작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한다.
제17도에 있어서, (40)은 외장 케이스, (41)은 문자판이다. 또한 문자판 위에 있어서 (42)는 통상 초 시각 표시부, (43)은 크로노 그래프 분 표시 및 타이머 경과 시간 초 표시부, (44)는 알람 설정 시각 표시부이다.
먼저, 통상 시각이나, 상술한 바와 같이 매초 운침하는 작은 초침(14), 분침(11), 시침(12)에 의해 표시가 된다. 시각 맞춤은 제1감는 축(22)을 2단째에 인출하므로서 가능해진다. 이때, 제10도에 도시한 원앙새(45), 빗장(46)에 맞물리는 규정 레버(47)에 의해 4번 바퀴(6)가 규정되어, 로터(4)가 정지하여, 작은 초침의 운침이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제1감는 축(11)을 회전시키면, 북 바퀴(48), 작은 철 바퀴(50)를 통해서 날짜의 뒷 바퀴(9)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여기에서, 2번 톱니바퀴(8a)은 일정한 미끄럼 토크를 갖고서 2번 쇠붙이(8b)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4번 바퀴(6)가 규정되어 있어도 작은 철 바퀴(50), 날짜의 뒷 바퀴(9), 2번 쇠붙이(8b), 통 바퀴(10)는 회전한다. 따라서 분침(11) 및 시침(12)은 회전하여, 임의의 시각에 설정할 수가 있다.
제18도에 통상 시각을 표시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제18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Hz 인터럽트가 입력되면, 스위치 RA2가 오프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입력하여, RA2가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터 운침 방식 제어 회로(219)에 스텝 모터 A의 정전 보정 구동을 세트하여, 모터 클럭 제어 회로 A226에 운침수 1를 세트한다. 스위치 RA2가 온(시각 수정 상태)의 경우에는 모터 구동을 정지하여, RA2가 오프된 시점에서 1초 후에 모터가 구동되도록 분주 회로(208) 및 (209)를 잠깐 리셋한다.
제19도에 크로노 그래프 기능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또한, 제25도중에서 사용하고 있는 "CG"는 크로노 그래프의 약어이다. 또한 "CG스타트"는 크로노 그래프 계측중 또한 스플리트 표시 해제 상태를 표시한다. 제2감는 축(23)이 통상 위치에 있을때(RB1과 RB2가 함께 오프인때)는 크로노 그래프 모드로 되어, A스위치가 입력할때마다 크로노 그래프 계측의 스타트와 스톱을 반복한다. 크로노 그래프 계측이 개시되면, CG인터럽트에 의해 데이타 메모리(204)의 일부에 형성되는 CG 1/5초 카운터가 +1되어, 1/5초 CG바늘(21)이 1/5초씩으로 운침됨과 동시에, 1/5초 카운터가 1분을 카운트하면, 역시 데이타 메모리(204)의 일부에 형성되는 CG분 카운터가 +1이 되어 분 CG바늘(31)이 1분씩으로 운침된다. 또한 "CG스타트"시에 B 스위치가 입력하면 스플리트 표시 상태로 되어, 스플리트 표시 상태에서 B 스위치가 입력하면 "CG 스타트"로 되어, 1/5초 CG바늘(21)과 분 CG바늘(31)은 계측 시간을 표시할때까지 빨리 보내진다. 또한 크로노 그래프 계측 정지 상태에서 B 스위치가 입력하면, 크로노 그래프 계측이 리셋되어 각 CG 바늘을 0위치를 표시할때까지 빨리 보내진다. 또한, 빨리 보내기 운침의 방법에 대해서는, 제22도의 플로우챠트에 표시한다.
제20도에 타이머 기능의 플로우챠트를 표시한다. 타이머 설정 시간은 1/5초 CG 바늘(21)에 의해 표시된다. 제2감는 축(23)이 1단째에 있을때(RB1가 온인때)에는 타이머 모드로 되어, 타이머 세트 상태시에 B 스위치가 입력되면 타이머 세트 시간이 1분 증가하여, 1/5초 CG 바늘(21)이 1분 단위(5스텝)씩 운침한다. 이 1/5초 CG 바늘(21)이 나타내는 문자판(41)위에 눈금이 타이머 설정 시간을 표시하고, 최대 60분까지의 설정이 가능하다. 타이머의 스타트, 스톱은 A 스위치(24)에서 행한다. 타이머 동작이 스타트하면, 분 CG 바늘(31)이 반시계 방향으로 1초마다, 1/5초 CG 바늘(21)이 반시계 방향으로 1분마다 운침하여, 타이머 경과 시간을 표시한다. 또한, 타이머 1분 세트시 및 최종 1분시는, 분 CG 바늘(31)은 정지하여, 1/5초 CG 바늘(21)이 1초마다의 감산을 하여, 최정의 3초전에서 예고음이 울려, 0초에 달했을 때에 타임 종료음이 울려 타이머 동작을 종료한다.
제21도에 알람 기능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알람 설정 시각은 문자판 위의 44부에 표시된다. 제2감는 축(23)을 1단째로 한 상태에서 C 스위치(26)를 누를때마다 AL 분침(38), AL 시침(39)이 1분 단위에서 운침하여, 최대 12시간의 알람 시각 설정이 가능하다. 이때 C 스위치(26)를 계속 누르면 AL 분침(38) 및 AL 시침(39)은 가속적으로 연속 회전하여, 단시간에 알람 시각 설정이 가능해진다. 설정된 알람 시각과 통상 시각이 일치되면 알람음이 울린다. 또한, 제2감는 축(23)이 0단째에 있는 경우 알람 및 상술하는 타이머 모두가 비동작 모드로 되어, AL 분침(38) 및 AL 시침(39)은 통상 시각을 표시한다. 또한, 이 통상 시각의 수정은, 제2감는 축을 2단째의 상태에서 회전하므로서, 제10도에 도시한 AL 북 바퀴(49), AL 작은 철 바퀴(51)를 거쳐서 행해진다.
제22도에 각 모터의 운침 방법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제22도(a)는 운침수가 14발 이하의 경우의 모터의 운침 방법이며, 제22도(b) 및 (c)는 15발 이상의 빨리 보내기(128Hz)의 운침 방법이다. 또한, 도면중에 사용되고 있는 "모터 펄스 레지스터"는 제9도의 레지스터(2261)이다.
이상으로 실시예의 설명을 끝낸다.
이상으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램 메모리에 격납되는 소프트웨어 순서로, 각가지 사양의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 및 아나로그 전자 시계가 가능해지고, 소프트웨어의 개발 기간은 같은 기능을 실현하는 랜덤 로직 IC의 개발 기간의 1/2 내지 1/3로 끝나 IC의 개발 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또한, 개발 도중에 사양 변경이나 기능 추가 등이 있다 하더라도 소프트웨어의 변경으로 용이하게 대응이 가능하다는 등, 다양화하는 소비자 요구를 만족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 및 아나로그 전자 시계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정전압 회로(200)와, 발진 회로(206)와, 제1분주 회로(208)와, 제2분주 회로(209)와, 크로노 그래프 회로(211)와, 입력 제어 및 리셋 회로(217)와, 인터럽트 제어 회로(218)로 구성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에 있어서, 적어도 ALU, 연산용 레지스터, 인스트럭션 레지스터, 인스트럭션 디코더를 포함하는 코어 CPU(201)와, 상기 코어 CPU를 작동시키기 위한 인스트럭션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프로그램 메모리(202)와,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02)의 어드레스 디코더(203)와, 데이타 메모리(204)와, 상기 데이타 메모리(204)의 어드레스 디코더(205)와, 각 스텝 모터의 운침 펄스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모터 클럭 제어 회로(226,227,228,229)와, 각 스텝 모터의 운침의 트리거로 되는 운침 기준용 클럭을 형성하고, 또, 소프트웨어의 지령에 의거하여 상기 운침 기준용 클럭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운침 기준 신호 형성 회로(220)와, 다른 파형의 모터 구동 펄스를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 펄스 형성 회로(211,222,223,224,225)와, 소프트웨어의 지령에 의거하여 각 스텝 모터로 하여금 어느 구동 펄스를 선택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모터 운침 방식 제어 회로(219)와, 상기 모터 운침 방식 제어 회로(219)로부터 출려된 운침 방식 제어 신호(Sa,Sb,Sc,Sd,Se)에 대응하여, 모터 클럭 제어 회로로부터 출력된 트리거 신호 Tr를 상기 각 구동 펄스 형성 회로로 하여금 모터 구동 펄스(Pa,Pb,Pc,Pd,Pe)를 형성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Sat,Sbt,Sct,Sdt,Set)로서 통과시키는 트리거 형성 회로(230,231,232,233)와, 상기 운침 방식 제어 신호(Sa,Sb,Sc,Sd,Se)에 대응하여, 상기 각 구동 펄스 형성 회로로부터 출력된 상기 모터 구동 펄스(Pa,Pb,Pc,Pd,Pe)들로부터 각 스텝 모터에 필요한 구동 펄스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모터 구동 펄스 선택 회로(234,235,236,237)를 구비하여, 복수의 스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운침 제어 회로(212)와, 상기 모터 구동 펄스 선택 회로로부터 출력된 모터 구동 펄스를 각각의 모터 구동 회로에 있는 2개의 출력 단자로 번갈아 출력하여, 각 스텝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드라이버(213,214,215,216)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코어는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인스트럭션을 읽어내어, 상기 인스트럭션 디코더로 해독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상기 모터 운침 제어 회로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KR1019930030159A 1988-06-17 1993-12-24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Expired - Fee Related KR940008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159A KR940008706B1 (ko) 1988-06-17 1993-12-24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087388 1988-06-17
JP88-150873 1988-06-17
KR1019890008299A KR940008709B1 (ko) 1988-06-17 1989-06-16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
KR1019930030159A KR940008706B1 (ko) 1988-06-17 1993-12-24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299A Division KR940008709B1 (ko) 1988-06-17 1989-06-16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706B1 true KR940008706B1 (ko) 1994-09-26

Family

ID=2648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159A Expired - Fee Related KR940008706B1 (ko) 1988-06-17 1993-12-24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631B1 (ko) * 2004-02-17 2009-12-21 태그-호이어 에스.에이. 역행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631B1 (ko) * 2004-02-17 2009-12-21 태그-호이어 에스.에이. 역행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8709B1 (ko)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
KR940009375B1 (ko) 전자 수정 기능 부착 전자 시계
USRE38197E1 (en) Multifunction electronic analog timepiece
KR970010632B1 (ko) 다기능 전자 시계
HK1007203B (en) A multi-functional analog electronic watch
KR940008706B1 (ko)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KR950003009B1 (ko) 알람 주착 전자 시계
JP3266917B2 (ja) 多機能電子時計
EP0347250B1 (en) Electronic alarm watch
JP2998749B2 (ja) アラーム付電子時計
JPH0277678A (ja) 多機能電子時計
JP3126103B2 (ja) 多機能電子時計
JPH02159999A (ja) ステップモータ駆動回路
JP2993202B2 (ja) 多機能電子時計
JPH0552970A (ja) 時 計
JPH0915351A (ja) 多機能電子時計
JPS6349748Y2 (ko)
JPH0552968A (ja) 多機能電子時計のモード表示構造
JPH068867B2 (ja) 時計の指針位置修正手段
JPS59111087A (ja) 指針表示ストツプウオツチ
JPH051599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312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19931224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8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4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