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809Y1 -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 - Google Patents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1809Y1 KR920001809Y1 KR2019870002495U KR870002495U KR920001809Y1 KR 920001809 Y1 KR920001809 Y1 KR 920001809Y1 KR 2019870002495 U KR2019870002495 U KR 2019870002495U KR 870002495 U KR870002495 U KR 870002495U KR 920001809 Y1 KR920001809 Y1 KR 9200018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portions
- cylindrical
- thermoplastic
- alo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05—Glue sti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 B05C17/0052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supplied to the apparatus in a solid state, e.g. rod, and melted before appl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5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 B26D1/6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and is mounted on a movable carriage
- B26D1/60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and is mounted on a movable carriage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6—Cam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10T428/2978—Surface characteri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의 사시도.
제 1a 도는 제 1 도의 선 1A-1A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형태의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을 이송시키도록 수동작동 가능한 이송기구를 구비한 공급장치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 3-3의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공급장치에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을 밀어넣는데 사용하도록 제 2 도의 공급장치에 제공되는 미끄럼 및 구동수단의 부분 확대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미끄럼 및 수동수단이 공급장치 내에서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을 따라 휘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확대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의 측면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가고성 물질 고체블록의 측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선 8-8의 단면도.
제 9 도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의 측면도.
제 9a 도는 제 9 도의 선 9A-9A의 단면도.
제 10 도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의 측면도.
제 10a 도는 제 10 도의 선 10A-10A의 단면도.
제 11 도는 열가소성물질 블록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속 성형기구의 부분평면도.
제 12 도 및 제 13 도는 제 11 도에 도시된 기구의 입, 출구단의 각부분 절개 확대도.
제 14 도는 제 12 도의 선 14-14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 15 도는 제 13 도의 선 15-15의 부분 단면도.
제 16 도는 제 11 도 내지 15 도에 도시된 기구에 포함된 다수의 주형중의 하나를 도시하는 끝단면도.
제 17 도는 제 11 도 내지 16 도에 도시된 기구에 제조한 연속된 열가소성물질 블록을 소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본 고안 기구의 평면도.
제 18 도는 제 17 도에 도시된 기구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 19 도는 제 18 도의 선 19-19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공급장치 62 : 이송조립체
64, 194, 264, 364, 464 : 블록
66, 196, 266, 366, 466 : 원통형 블록부분
68, 197, 198, 268, 368 : 직사각형 블록부분
120 : 성형기구 160 : 절단기구
본 고안은 용융장치에 공급하는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용융장치에 수용되어 용융되는 것에 의해 용융 열가소성물질로서 공급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용융장치는 노즐의 출구와 연통하는 내측용융실을 가지는 배럴부재와, 노즐의 반대쪽에 위치한 용융실의 단부와 연통하도록 일단이 배럴부재에 고착된 개구를 갖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리브는 긴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을 그의 개구내에 밀착끼임 상태로 수용하게 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은 일단은 용융실내에 그리고 타단은 슬리브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럴부재내에 위치한 블록의 단부를 용융시키도록 배럴부재를 가열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블록을 슬리브를 통해 용융실내로 밀어넣어 용융 열가소성물질을 용융실로부터 노즐을 통해 압축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데, 기능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이루게 하거나, 아니면 장치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이송수단을 설치하여 이루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원통형 열가소성물질 블록의 경우보다 상술한 구조의 용융장치를 통해 이송, 용융, 공급을 보다 쉽게 이루게 할 수 있고, 로오딩(loading)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편리하게 매우 긴 길이로 제공될 수 있는 신규형상의 열가고성물질 고체블록이 제공됨과 동시에 이러한 신규형상의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을 간단히 그리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라,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은 소정의 균일한 축방향 길이 및 직경을 갖는 동축상의 원통형 부분들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 부분들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원퉁형 부분들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한 길이의 대각선을 갖는 부분들에 의해 각각 균일한 길이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블록부분들은 정방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원통형 블록부분의 축방향길이 보다는 짧으나 대체로 그와 유사한 축방향 길이를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형상의 열가소성물질 블록은 원통형 블록에 비해 가요성이 크기 때문에 보관시 코일형태(약 50㎝의 직경을 갖는 코일)로 감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열가소성물질 블록은 원통형의 열가소성물질 블록의 경우보다 동일한 양의 용융 열가소성물질을 산출시킴에 있어 이송력이 적게 드는데, 그 이유는 블록의 원통형 부분들 사이에서 블록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들이 용융 열가소성물질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고체의 열가소성물질이 보다 직접적으로 가열된 배럴부재와 접촉하도록 가압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블록에는 블록부분들 사이에 힌지형 부분들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블록을 통해 횡방향으로 거의 완전히 연장되는 절단부들이 블록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보다 큰 직경을 갖고 보다 결질인 접착제와 블록도 쉽게 굽혀질 수 있게 되어, 사용에 앞서 선적 또는 적재를 위해 코일형태로 쉽게 만들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용융, 공급장치에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은 마주보는 양측면에서만 균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도 호형톱니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톱니에 의해 블록은 공급장치를 따라 안내되고 이송되게 된다. 이러한 블록은 또한 블록부분들 사이에 힌지형 부분들은 제공하는 형식으로 블록을 통해 횡방향으로 거의 완전히 연장되는 절단부분들이 블록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블록은 선적 및 적재시 코일형태로 말을 수 있게 쉽게 굽혀질 수 있게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소정의 균일한 축방향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 부분들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블록부분들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원통형 블록부분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한 길이의 대각선 길이를 갖는 부분들에 의해 블록을 따라 축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 블록부분은 직사각형 블록부분의 경우보다 블록을 따른 축방향 길이가 훨씬 길게 되어 있다. 직사각형 블록부분은 단면적이 가늘게 되어 있어 블록의 용이한 굽힘 및 인접한 원통형 블록부분의 단부와 맞물려 이송을 위한 결합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 중앙의 횡 힌지형 부분을 제공한다.
신규형상을 갖는 본 고안의 열가소성물질 블록은 서로 마주보게 될 때 사이에 블록형의 공동을 형성하는 다수의 블록형 주형을 각기 구비한 두 개의 구조물과, 그 구조물의 일부 주형들이 선형경로 부분을 따라 가면서 면대면 접촉을 이룰수 있게 하도록 별도의 경로 주위로 상기 구조물의 주형 부분들을 각각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선형경로 부분을 따라 가면서 주형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도의 입구내로 용융 열가소성물질 블록을 분사하고 선형경로 부분을 따라 가면서 형성된 열가소성물질 블록을 주형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기구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 기구에는 또한 성형된 블록을 주형으로부터 나올 때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64)이 도시되어 있다.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64)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소정의 균일한 축방향 길이와 직경(일례로, 각각 약 0.38㎝ 및 1.5㎝)을 갖는 다수의 원통형 부분(66)들로 구성되며, 이 원통형 블록부분(66)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한 길이의 균일한 대각선을 갖는 다수의 부분(68)들에 의해 블록(64)을 따라 각각 균일하게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직사각형 블록부분(68)들은 원통형 블록부분(66)의 둘레와 일렬로 위치되는 코너들을 가지고 있고, 또한 원통형 블록부분(66)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으나 대체로 유사한 축방향 길이(일례로, 약 0.25㎝)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블록(66)은 원통형 블록부분(66)과 직사각형 블록부분(68)의 둘레면에 의해 형성되는 긴블록(64)의 4측면으로부터 원통형 블록부분(66)의 호형부들이 균일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돌출된 호형 돌출부분들은 블록(64)의 양측면을 따라 균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호형 톱니들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블록(64)의 평면형 표면부는 인접 톱니들의 루트(root) 사이에 배치된다. 원통형 블록부분(66)의 돌출부, 즉 톱니들은 랙톱니와 유사한 것으로서 제 2 도 내지 5 도를 참조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록(64)을 공급장치(60)의 이송조립체(62)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게 하고 구동되게 해준다. 원통형 블록부분(66)의 돌출부들 사이의 간격부는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장치(60)내에 위치한 블록(64)의 용융을 도모하기 위한 용융 열가소성물질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블록(64)에는 직사각형 블록부분(68)의 코너에 삼각형의 힌지부분(72)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상기 직사각형 블록부분(68)을 따라 거의 완전히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부(70)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긴블록의 굽힘이 일방향으로 쉽게 이루어져 선적 또는 적재를 위해 코일형태로 쉽게 만들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일부분씩 축방향으로 풀어낼때는 절단부가 없을때와 마찬가지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2 도 내지 5 도에는 용융 열가소성물질 공급장치(6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공급장치(60)는 1985년 11월 12일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552,287호에 기재된 공급장치(10)의 채널(29) 및 가압판(32)를 제 1 도에 도시된 긴 열가소성물질 블록(64)을 수동조작에 의해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이송조립체(62)로 대치시켰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공급장치(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장치(10)의 부품과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에 영문자 "a"를 첨가하여 표시하였다.
공급장치(60)는 미합중국 특허 제4,552,287호에 기재된 공급장치(10)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부분으로 된 프레임(12a)과, 그 프레임(12b)의 두부분 사이에 장착되고 밸브조립체(18a)의 방출 통로를 통해 노즐(21a)의 출구와 연통하는 내측 용융실을 가지고 있는 배럴부재(14a)와, 그 배럴부재(14a)에 일단이 고착되고 방출통로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용융실의 단부와 연통하는 원통형 개구를 가진 슬리브(20a)를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20a)는 원통형 개구내에 긴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64)을 수용하게 되는데, 이때 원통형 블록은 직경공차 한계의 상한으로 되는 지경을 가질때에도 원통형 개구에 약간의 틈새를 두고 끼이게 되어 있으며, 블록(64)의 일단부는 용융실내에 위치하며, 타단은 슬리브(20a)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장치(60)에는 블록(64)의 상기 일단부를 용융시키도록 배럴부재를 가열시키기 위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2a)은 핸들(20a)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핸들(26a)은 작동자가 한쪽손의 손가락들로 핸들을 잡고 그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블록(64)을 눌러 슬리브(20a)를 통해 용융실로 밀어넣음과 동시에 그 용융실로부터 용융 열가소성물질을 밸브 조립체(18a)와 노즐(21a)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게 위치되어 있다.
그러나, 공급장치(60)는 미합중국 특허 제4,552,287호에 기재된 공급장치(10)와는 다르게, 배럴부재(14a)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슬리브(20a)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이송조립체(62)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이송조립체(62)는 긴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64)을 슬리브 (20a)내에 수용 및 보유시킴과 동시에 블록(64)을 용융실 쪽으로 슬리브(20a)내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작동자가 엄지 손가락으로 블록(64)에 힘을 가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조립체(62)는 첫째, 프레임(12a)에 분리가능하게 고착되고 긴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64)를 슬리브(20a)의 개구와 일렬로 정렬되게 안내하는 통로(76)를 형성하는 벽수단 즉 (74)과, 둘째, 슬리브(20a)로부터 이격되는 후퇴위치와 슬리브(20a)에 인접하는 전진 위치간을 용융실과 일렬로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벽(74)에 장착되며, 블록(64)을 지지하기 위한 오목한 원통형 상면(80) 및 상기한 후퇴위치와 전진위치 사이에서 작동자에 의한 수동 왕복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핸들(26a)을 파지하고 있는 작동자의 엄지손가락끝을 수용하게끔 언지손가락(83)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면(80)의 반대쪽 측부를 통해 개구되는 요부(82)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슬라이드(78)와, 셋째, 열가소성물질 블록(64)의 원통형부분(66)들과 맞물리어 상기 블록을 슬라이드(78)의 전지 이동중에는 상기 블록(64)을 따라 그 블록(64)의 원통형부분(66)둘레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부재(84)를 갖는 구동수단과, 넷째, 블록(64)을 구동부재(84)와 맞물릴 수 있게 통로(76)내에 일렬로 정렬시키고 구동부재(84)와의 맞물림전에 상기 블록(64)을 통로(76)내에 보유시킬 수 있게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벽(7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프로켓 휘일(86)을 갖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리브(20a)의 개구와 일렬로 정렬시키는 위치에 블록(64)을 수용하는 통로(76)을 형성하는 벽(74)들은 각각 프레임(12a)의 파지부(30a) 및 주위의 지지구조물을 수용하도록 내면상에 대경으로 형성된 마주보는 호형부(88) (제 3 도)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호형부(88)는 슬리브(20a)인 인접하는 단부에서 프레임(12a)의 수평보강웨브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90) (제 2 도)을 가지고 있다. 벽(74)은 또한 슬리브(20a)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 연부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단벽부(92) (제 2 도와, 프레임(12a)의 파지부(30a)와 인접부분들 둘레상의 요구되는 위치에 벽(74)를 보유시킬 수 있도록 U형 스프링 금속채널(96)으로 둘러싸여 함께 보유되고 서로 마주 접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벽부(94)를 가지고 있다. 벽(74)의 호형부(88)는 파지부(30a)의 내면과 함께 단벽부(92)를 통한 입구를 갖는 통로(76)을 형성하는 내면을 가지고 있다.
벽(74)은 또한 상벽부(94)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연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단격을 두고 연장되는 릿지(98)를 가지고 있고, 슬라이드(78)는 상기 릿지(98)를 따라 후퇴위치와 전진위치간을 왕복 이동할 수 있게끔 상기 릿지(98)를 수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연장되는 홈을 가지고 있다.
구동부재(84)는 길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의 일단에 인접하여 일측부로 부터는 블록(64)의 원통형부분(66)들 사이에 물리도록 구성된 톱니(102)가 다수개 또는 세개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재(84)는 그의 길이 방향이 슬리브(20a)에 인접한 톱니(102) 및 통로(76)과 대체로 평행할 수 있게 통로(76)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슬라이드(78)의 홈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재(84)의 타단은 통로(76)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벗핀(100)에 의해 슬라이드(78)에 장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구동부재(84)는 통로(76)에 위치된 블록(64)의 원통형 부분(66)들 사이에 톱니가 물리게 되는 물림위치(제 4 도)와, 통로(76)에 위치된 블록(64)으로부터 톱니(102)를 멀리 이동시키게 하는 물림 해제위치(제 5 도)간을 피벗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동부재(84)는 통로(76)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구동부재(84) 및 슬라이드(78)의 측부들로부터 각기 돌출되는 돌출부(106)(107)들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104)에 의해 상기 물림위치로 가압되며, 블록(64)의 원통형 부분(66)을 나타 톱니(102)의 경사진 후면을 캠식으로 이동시키거나 슬라이드(78)를 그의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자의 엄지손가락으로 돌출부(106)를 밀어내는 것에 의해 상기 물림 해제 위치쪽으로 피벗돌 수 있다.
슬라이드(78)를 전진위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자가 슬라이드(78)에 힘을 가하게 되면 구동부재(84)는 그의 물림 위치로부터 물림 해제위치로 피벗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피벗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소정의 수단이 제공된다. 피벗핀(100)이 삽입되는 구동부재(84)의 기구는 통로(76)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동부재(84)는 그의 물림 위치에서 통로(76)의 축방향으로 그리고 슬라이드(78)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구동부재(84)는 정상위치(제 5 도)와 쇄정위치(제 4 도)간을 이동할 수 있게 슬라이드(78)에 장착되어 있는데, 구동부재(84)는 스프링(104)에 의해 상기 정상위치 쪽으로 가압되게 되며, 상기 정상위치로부터 구동부재(84)에 설치된 쇄정핀(108)과 슬라애드(78)간의 분리로 인해 물림해제 위치까지 피벗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84)가 쇄정위치에 있게되면 쇄정핀(108)은 슬라이드(78)의 전면을 따라 형성된 횡방향 홈에 맞물리게 되는데, 구동부재(84)는 블록(64)을 슬리브(20a)내로 밀어 넣을 때 슬라이드(78)로부터 전달받는 힘에 의해 스프링(10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쇄정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스프로켓 휘일(86)은 열가소성물질 블록(64)을 구동부재(84)의 톱니들과 맞물릴 수 있게 통로(76)내에 일렬로 정렬시킴과 동시에 상기 블록(64)을 구동부재(84)와 맞물리기 전에 통로(76)내에 보유시킬 수 있기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통로(76)의 입구에 인접하여 구동부재(84)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통로(76)의 측부상에서 통로(76)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핀(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프로켓휘일(86)은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평연장되는 팁이 형성된 다수의 톱니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톱니들은 원통형 블록부분(66)의 돌출부들 사이에 맞물리도록, 그리고 그 돌출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블록부분(68)의 평면들을 스프로켓(86)의 축 및 톱니와 평행하게 배향시킴과 동시에 상기 평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블록부분(68)의 평면들을 구동부재(84)의 톱니(102)와 평행하게 배향시킬 수 있게 돌출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직사각형 블록부분(68)의 평면들과 맞물리도록 간격을 두고 있다.
공급장치(60)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작동자는 먼저 동력선(47a)을 전원에 연결시켜 배럴부재(14a)와 방해링을 가열요소에 의해 가열시키도록 해야한다. 그뒤에는 슬라이드(78)를 후퇴위치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열가소성물질 블록(64)의 일단을 이송조립체(62)의 입구단에 삽입시키고, 스포로켓 휘일(86)의 톱니를 블록(64)의 직사각형 블록부분(68)의 대응측부에 맞물리게 하여 블록(64)를 통로(76)내로 향하게 한다. 그뒤에는 한쪽손으로 핸들(26a)을 잡고 그 손의 엄지손가락을 슬라이드(78)의 요부(82)내에 끼워 슬라이드(78)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구동조립체의 톱니(102)를 블록(64)의 원통형 블록부분(66) 사이에 물리게 하면서 블록(64)를 슬리브(20a)쪽으로 이동시켜 배럴부재(14a)의 용융실내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배럴부재(14a)내에서 블록(64)의 단부는 상기 배럴부재(14a)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용융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78)이 그의 후퇴위치로부터 전진위치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구동부재(8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구동부재(84)는 스프링(10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쇄정핀(108)이 슬라이드(78)의 선단면에 형성된 횡방향 슬롯에 맞물리게 되어 구동부재(84)가 그의 물림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드(78)가 그의 전진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작동자는 슬라이드(78)의 요부(82)내로 돌출되는 구동부재(84)의 돌출부(106)을 엄지손가락으로 밀면서 슬라이드(78)를 블록(64)의 둘레를 따라 수동으로 후퇴시킬 수 있는데, 이때 구동부재(84)는 상기의 밀음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78)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되며, 쇄정핀(108)는 슬라이드(78)의 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이에따라 구동부재(84)는 그의 톱니(102)가 통로(76)내에 위치된 블록(64)외의 맞물림을 해제하면서 상기 블록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도록 피벗되게 된다. 이후에, 작동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슬라이드(78)를 다시 조작하여 톱니(102)를 블록(64)의 새로운 부분에 맞물리게 할 수 있으며, 그 뒤에는 슬라이드(78)를 슬리브(20a) 및 용융실내로 밀어넣을 수 있게된다. 바람직하게는 톱니(102)는 블록(64)로 부터의 이탈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동부재(84)의 길이방향에 대해 약 89°의 각도를 두고 위치되는 선단연부를 가지고 있다.
제 6 도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긴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194)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블록(194)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소정의 균일한 축방향길이 및 직경(일례로, 각각 약 0.38㎝ 및 1.5㎝)을 갖는 다수의 원통형부분(196)들로 구성되며, 이 원통형 블록부분(196)들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원통형 블록부분(196)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한 길이의 균일한 대각선을 갖는 부분(197)(198)들에 의해 블록(194)을 따라 각각 균일하게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직사각형 블록부분(197)(198)들은 원통형 블록부분(196)의 둘레와 일렬로 위치되는 코너들을 가지고 있고, 또한 원통형 블록부분(196)의 축방향 길이 보다 작으나 대체로 유사한 축방향 길이(일례로, 약 0.25㎝)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블록(194)은 원통형 블록부분(196)들과 직사각형 블록부분(197)(198)들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4측면으로부터 원통형 블록부분(196)의 호형부들이 균일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된 호형 돌출부들은 블록(194)의 양측면을 따라 균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호형톱니들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블록(194)의 평면형 표면부는 인접톱니들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블록(194)의 평면형 표면부는 인접톱니들의 루트사이에 배치된다. 원통형 블록부분(196)의 돌출부, 즉 톱니들은 랙 톱니와 유사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194)을 공급장치(60)의 이송조립체(62)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게 하고 구동되게 해준다. 원통형 블록부분(196)의 돌출부들 사이의 간격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장치(60)내에 위치한 블록(194)의 용융을 도모하기 위한 용융 열가소성물질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블록부분(197)들은 정방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다수개(도면에서는 6개)씩 인접한 원통형 블록부분(196)들 사이에 배치되어 블록(194)의 강성부로서 작용하며, 한편 긴 직사각형 블록부분(198)들은 상기 강성부들 사이에서 블록(194)에 높은 가요성을 제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시 블록이 코일형식으로 감길 수 있게 해준다.
제 7 도 및 제 8 도에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긴 열가소성 고체블록(264)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블록(264)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소정의 균일한 축방향 길이와 직경(일례로, 각각 약 0.38㎝ 및 1.5㎝을 갖는 다수의 원통형 부분(266)들로 구성되며, 이 원통형 블록부분(266)들은 마주보는 한편의 두측면 에서는 평면을 이루고 마주보는 다른편의 두측면에서는 호형을 이루게 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이격 배치된 다수의 이격용 블록부분(268)들에 의해 블록(264)을 따라 축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격용 블록부분(268)의 축방향 길이는 원통형 블록부분(266)의 축방향 길이보다는 짧으나 대체로 그와 유사하게(일례로, 약 0.25㎝)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록(264)은 원통형 블록부분(266)과 이격용 블록부분(268)들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일렬로 배치되는 이격용 블록부분(268)의 평평한 둘레면들이 위치되어 있는 블록(264)의 대향측부측에서만(268)의 평평한 둘레면들이 위치되어 있는 블록(264)의 대향측부측에서만 원통형 블록부분(266)의 호형부들이 돌출하게 된다. 이 원통형 블록부분(266)의 호형부들은 블록(264)의 상기 양측부를 따라 균일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호형 톱니들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블록(264)의 평면형 표면부는 인접톱니들의 루트들 사이에 배치된다. 원통형 블록부분(266)의 돌출부, 즉 톱니들은 랙톱니와 유사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이 블록(264)을 공급장치(60)의 이송조립체(62)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게 하고 구동되게 해준다. 원통형 블록부분(266)의 돌출부들 사이의 간격부는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장치(60)내에 위치한 블록(264)의 용융을 도모하기 위한 용융 열가소성물질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블록(264)에는 직사각형의 이격용 블록부분(268)의 코너에 삼각형의 힌지부분(272)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상기 이격용 블록부분들중 소정의 것에 그를 거의 완전히 거쳐 연장되는 절단부(270)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긴 블록(264)의 굽힘이 쉽게 이루어져 선적 또는 적재를 위해 코일형태로 쉽게 맡을 수 있게된다.
제 9 도 및 제 9a 도에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긴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364)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블록(364)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소정의 균일한 축방향 길이와 직경(일례로, 각각 약 2.5㎝와 1.5㎝)을 갖는 다수의 원통형 부분(366)들로 구성되며, 이 원통형 블록부분(366)들은 그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한 길이의 균일한 대각선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이격 배치된 다수의 블록부분(368)들에 의해 블록(364)을 따라 축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블록부분(368)의 코너들은 원통형 블록부부(366)의 둘레와 일렬로 배치된다. 또한 블록부분(368)의 축방향 길이는 원통형 블록부분(366)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게(일례로, 약 0.25㎜)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록(364)은 원통형 블록부분(366)과 직사각형 블록부분(368)들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일렬로 배치되는 직사각형 블록부분(368)의 평편한 둘레면들이 위치되는 블록의 대향측부로부터 원통형 블록부분(366)의 호형부들이 균일한 간격을 두고 돌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된 호형돌출부들은 블록(364)의 양측부를 따라 균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호형 톱니들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블록(364)의 평면형 표면부는 인접톱니의 루트들 사이에 배치된다. 원통형 블록부분(366)의 돌출부, 즉 톱니들은 랙톱니와 유사한 것으로서, 블록(364)을 공급장치(60)의 경우와 유사하나 구동부재(84)에 톱니(102)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 이송조립체(도시안됨)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게 하고 구동되게 해준다. 원통형 블록부분(366)의 돌출부들 사이의 간격부는 또한 블록(364)에 대해 높은 가요성을 제공해주고, 이에 의해 블록(36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시 코일형식으로 말려질 수 있게 된다.
제 10 도 및 제 10a 도에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긴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464)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블록(464)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소정의 균일한 축방향 길이와 직경(일례로, 각각 약 2.5㎝와 1.5㎝)을 갖는 다수의 원통형 부분(466)들로 구성되며, 이 원통형 블록부분(466)들은 그들 사이에 호형의 힌지부(470)들을 형성시키는 형식으로 블록(464)의 거의 전두께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도면에서는 다수개(의 절단부(468)들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절단부(468)들에 의해 블록은 힌지부(470)에서 일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게되어, 적재 및 선적시 쉽게 코일형식으로 말려질 수 있다. 블록(464)은 본문에서 설명한 공급장치(10)와는 다른 형태의 것으로 블록을 이송시키도록 원통형 블록부분들의 둘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급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블록(464)은 상술한 다른 블록(64)(194)(264)(364)과 마찬가지로 도시된 것 보다 아주 길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코일형태로 하여 선적 및 적재할 수 있다.
제 11 도 및 19 도에는 제 1 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긴 열가소성물질 블록(64)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성형기구(120) 및 절단기구(160)가 도시되어 있다.
제 11 도 내지 1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구(120)는 각각 다수의 블록형 주형(124)를 구비한 두 개의 체인형 구조물(122)(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주형(124)(제 14 도 및 15 도)는 평행한 끝면(125)들과, 각 끝면(125)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측면(126)들과, 중앙에 길게 배치되고 상기 끝면(125)과 측면(126)을 통해 개구된 공동(128)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동(128)은 블록(64)의 각 직사각형 블록부분(68)의 축 및 마주보는 두모서리를 통해 연장되는 평면을 따라 분할된 블록(64)의 반쪽부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제1체인형 구조물(122)의 주형(124)들은 쇼울터 볼트(131)에 의해 주형(124)의 측면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원형피벗판(130)에 의해 끝면(125)들을 밀접시킨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2체인형 구조물(123)의 주형(124)들은 쇼울터 볼트(133)에 의해 주형(124)의 측면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반원형 피벗판(132)에 의해 끝면(125)들을 서로 밀접시킨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피벗판(132)는 주형(124)의 측면(126)에 인접하여 측부에 반원형 요부(134)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 요부(134)들은 원형 피벗판(130) 부분들을 수용하여 체인형 구조물(122)(123)간의 인접 주형(124)들을 면(126)대 면(126)의 접촉형식을 길이방향으로 접합시키게 하고, 이에 따라 그의 주형공동(128)들은 주형(124)의 측면(126)들 사이에서 일렬로 정렬되게 되며, 각 체인형 구조물(122),(123)의 인접주형(124)의 끝면(125)들은 공동(128)의 단부들이 인접 주형(124)들 사이에서 일렬로 정렬된 상기 끝면(125)들을 통해 개구될 수 있게 하도록 서로 접촉되게 된다.
두 체인형 구조물(122)(123)은 수직측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한 스프로켓상(135)(136)사이와, 스프로켓상(137)(138) 사이에서 각각 그 스프로켓쌍 둘레를 돌아 연장되어 있는데, 상기 각쌍의 스프로켓(135)(136)과 (137)(138)은 두체인형 구조물(122)(123)의 인접 하는 길이 부분들을 선형경로 부분(139)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이격 및 배치되어 있으며, 주형(124)들은 상기 선형 경로 부분(139)를 통과하면서 면(126)대 면(126)의 접촉을 이룸과 동시에 그의 하면을 따라 가면서 지지체(148)(제 13 도)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주형(124)들은 상기 선형 경로부분(139)을 따라 가면서 두열의 로울러(140)들에 의해 면(126)대 면(126)의 접촉을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로울러(140)들은 주형(124)의 측면(126)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주형(124)의 표면들과 접촉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있다.
스프로켓(135)(136)(137)(138)들은 체인형 구조물(122)(123)의 동기성(synchronism)의 유지를 도모함과 동시에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형 구조물(122)(123)을 로울러체인(142), 스프로켓(143)(144)(145)(146) 및 기어식 감속 구동장치(147)을 거쳐 구동 시킬 수 있도록 피벗판(130), 또는 (132)의 원형 부분들을 밀접하게 수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 반원형 요부(141)를 가지고 있다.
주형(124)의 측면(126)들을 스프로켓(135)(137)의 닙(nip) 지역에서 서로 이격시키게하고 (일로, 약 2.5㎝의 간격을 두고), 주형(124)들을 스프로켓(135)(137)의 둘레부분들 사이에 배치되고 대체로 평행하나 서로 근접하는 짧은 거리(일례로, 약 18㎝)의 경로 부분들과 선형 경로부분(139)을 따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프로켓(135)(137)들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으며 로울러(140)(제 11 도 및 12 도)에 의해 한정되는 선형경로 부분(139)의 입구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주형(124)를 선형 경로부분(139)의 출구단으로부터 그의 측면(126)들이 이격 배치되는(일례로, 3.8㎝) 스프로켓(136)(138)(제 13 도)의 둘레부분까지 짧은거리(일례로, 약30㎝)로 연장되고 대체로 평행하나 서로에 대해 벌어지는 경로 부분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스프로켓(136)(138)들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선형경로부분(139)의 출구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피벗판(130)(132)들은 선형 경로부분(139)를 따라 가면서 로울러(140)에 의해 접촉으로 인해 서로 맞물리기전에, 또는 그후에 각각 원형의 피벗판(130)을 주형(124)의 측면(126)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피벗판(132)의 요부(134)와 맞물리거나 그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하는데 적합하도록 일렬로 정렬되어 이동하게 되는데, 만일 스프로켓(135)(137)과 스프로켓(136)(138)의 둘레부분에서부터 각각 블록들이 면(126)대 면(126) 접촉을 이루기 시작하거나 그러한 접촉을 해제하기 시작하게 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은 피벗판(130)(132)간의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는 쉽게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상기한 같은 구성에 따라 주형(124)들은 스프로켓(136)(138)의 둘레를 돌아 서로에 대해 멀리 이동하기 시작하기전에, 새로 성형된 열가소성물질 블록의 원통형 부분(66)의 돌출부들을 주형(124)의 공동(128)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주형(124)의 측면(126)들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선형경로 부분(139)의 입구에서(126)대 면(126)접촉을 이루고 있는 주형(124)들의 공동에는 용융 중합물질이 압출기(도시안됨)와 같은 공급원으로부터 긴튜브(50)를 통해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 튜브(50)는 열가소성 물질 블록(64)의 정방형 단면을 갖는 블록부분(68)을 형성하는 주형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내에 꼭끼일 수 있는 크기의 정방형 둘레를 가짐과 동시에 배치를 이룬다(제 12 도). 주형(124)들이 선형 경로 부분(139)를 이동함에 따라 용융물질은 냉각에 의해 응고되게 되고, 이와 같이 하여 연속적으로 성형되는 열가소성물질 블록은 안내튜브(153)를 구비하는 수단에 의해 선형 경로부분(139)의 출구로부터 방출됨에 따라 안내튜브(153)을 통해 제 17 도 내지 19 도에 도시된 절단기구(160)로 이송되어 소정길이의 열가소성물질블록(64)으로 절단됨과 동시에 블록(64)에 간격을 두고 절단부(70)가 형성되게 된다.
제 17 도 내지 제 19 도에는 성형기구(120)에 의해 연속적으로 성형 제조한 본 고안의 열가소성물질 블록을 소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16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구(160)는 다수의 블록형 지지부재(164)를 각각 가지는 두 개의 체인형 구조물(162)(163)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부재(164)는 끝면(165)들과, 그끝면 (165)들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166)과, 블록의 반쪽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측면(166)과 끝면(165)들을 통해 개구되고 중앙에 길게 배치되어 있는 반원형 요부(167)를 가지고 있다. 제1체인형 구조물(162)를 가지고 있다. 제1체인형 구조물(162)의 지지부재(164)들은 쇼울더 볼트(171)에 의해 지지부재(164)의 측면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원형 피벗판(170)에 의해 그들의 끝면(165)들을 서로 인접시킨 상태로 함께 부착되어 있으며, 제2체인형 구조물(163)의 지지부재(164)들은 쇼울더 볼트(173)에 의해 지지부재(164)의 측면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반원형 피벗판(172)에 의해 그들의 끝면(165)들을 서로 인접시킨 상태로 함께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피벗판(172)은 지지부재(164)의 측면(126)에 인접하여 측부에 반원형 요부(174)를 가지고 있는데, 이 요부(174)는 대응하는 원형 피벗판(170)부분을 수용하여 체인형 구조물(162)(163)간의 인접 지지부재(164)들을 면(166)대 면(166)의 접촉형식으로 길이 방향으로 정합시키게 하고, 이에따라 요부(167)들이 지지부재(164)들 사이에서 일렬로 정렬되게 된다.
두 체인형 구조물(162)(163)은 스프로켓쌍(175)(176)사이와, 스프로켓쌍(177)(78)사이에서 각각 그 스프로켓쌍 둘레를 돌아 연장되어 있는데, 상기 각쌍의 스프로켓(175)(176)과 (177)(178)은 그 스프로켓쌍들 사이에 위치하는 체인형 구조물(162)(163)간의 인접 길이 부분들을 면(166)대 면(166) 접촉을 이루면서 이동시킬 수 있게 이격 및 배치되어 있다. 스프로켓(175)(176)(177)(178)은 각각 체인형 구조물(162)(163)의 동기성의 유지를 도모함과 동시에 구동장치(147)에 의해 동력 전달기구(도시안됨)를 거쳐 이루어지는 선택된 두 스프로켓(175)(177)또는 (176)(78)의 회전에 따라 체인형 구조물 (162)(163)을 장치(120)의 체인형 구조물(122)(123)과 동기시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피벗판(170), 또는 (172)의 원형 부분들을 밀접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진 반원형 요부(180)들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스프로켓쌍(175)(176)과 (177)(178)은 체인형 구조물 (162)(163)부분들을 스프로켓(175)(177)사이에 위치하여 성형기구(120)로부터 연속된 블록을 수용하게되는 입구와 스프로켓(176)(178)사이에 위치하여 절단된 블록(64)들을 방출시키게 되는 출구를 갖는 선형 절단 경로 부분을 따라 면(166)대 면(166)의 접촉관계를 유지시키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체인형 구조물(162)(163)을 각각 별도의 경로를 다라 이동시키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제1체인형 구조물(162)의 지지부재(164)들에는 다수의 칼(181)(182)이 장착되어 있는데, 각 칼(181)(182)들은 지지부재(164)에 고착된 칼날 가이드(183)를 따라 지지부재(164)의 요부(174)로부터 이격되는 후퇴 위치와, 칼(182)가 절단 경로 부분을 따라 상기 요부(174)를 교차하여 연장되고 칼(181)(칼(182)보다 짧은 길이를 가짐)은 절단경로 부분을 따라 지지부재(164)의 요부(174)를 교차하여 단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되게 되는 절단위치간을 요부(174)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절단기구(160)는 성형기구(120)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블록을 소정의 길이의 블록(64)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그리고 그 블록(64)을 따라 절단부(70)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칼(182)을 그의 후퇴위치로부터 절단경로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절단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다시 칼(181)(182)들을 절단경로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경로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후퇴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2체인형 구조물(163)의 지지부재(164)들은 프레임부재(186)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로울러(185)들에 의해 요부(174)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측면을 따라 지지되게 된다. 또한, 절단기구(160)는 자체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격되는 소정의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형캠(188)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원형캠(188)은 각각의 칼(182)이 절단경로 부분을 따라 이동하면서 캠(188)을 통과하게 될 때 상기 칼(182)을 눌러 후퇴 위치롤부터 절단위치로 이동시키게 하도록 소정의 수단(도시안됨)에 의해 편심 경로를 따라 구동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작동에 의하여 절단부(70)의 형성이나 블록의 절단이 이루어지며, 절단된 블록(64)은 체인형 구조물(162)(163)이 스프로켓(176)(178)주위를 돌면서 서로 분리됨에 따라 상기 체인형 구조물(162)(163)으로부터 방출되게 된다. 칼(182)이 장착된 지지부재(164)들이 스프로켓(176)주위를 돌면서 이동하게 됨에따라, 칼(182)은 상기 지지부재(164)들이 절단 경로 부분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체인형 구조물(162)의 경로 부분을 따라 이동하게 될 때 발생하는 중력에 의해 후퇴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한편, 블록(64)의 길이를 다르게 하거나 절단부(70)의 위치를 다르게 해야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지지부재(164)들로부터 칼(181)(182)을 제거하거나 그 지지부재(164)들에 칼(181)(182)을 보충시
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다수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부분(366,466)들 사이에 힌지형부분(72, 198, 272, 368, 470)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블록을 통해 횡방향을로 거의 완전히 연장되어, 그 힌지형 부분에서 블록이 일방향으로 굽혀질수 있게하는 하나이상의 절단부(70,270, 4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절단부(70, 270, 468)가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이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소정의 균일한 축방향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부분(66, 196, 266)으로 구성되어, 그 원통형부분들은 그의 직경과 비슷한 길이의 대각선을 가지는 직사각형부분(68, 197, 268)에 의해 블록을 따라 축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
- 제 3 항에 있어서, 직사각형 블록부분(68, 197)들은 정방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원통형 블록부분(66, 196)의 축방향 길이와 비슷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블록의 양측면을 따라 호형톱니가 균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6/892,243 US4774123A (en) | 1984-10-23 | 1986-07-31 | Thermoplastic block shape and manufacturing method |
US892243 | 1986-07-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2178U KR880002178U (ko) | 1988-04-07 |
KR920001809Y1 true KR920001809Y1 (ko) | 1992-03-20 |
Family
ID=2539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70002495U KR920001809Y1 (ko) | 1986-07-31 | 1987-02-28 |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4774123A (ko) |
EP (1) | EP0254785B1 (ko) |
JP (1) | JPH0545445Y2 (ko) |
KR (1) | KR920001809Y1 (ko) |
CN (1) | CN1029602C (ko) |
AT (1) | ATE74944T1 (ko) |
AU (1) | AU601702B2 (ko) |
BR (1) | BR8605119A (ko) |
CA (1) | CA1280862C (ko) |
DE (1) | DE3684917D1 (ko) |
ES (1) | ES2030661T3 (ko) |
MX (1) | MX16961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51846A (en) * | 1989-02-02 | 1990-08-28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Hot melt applicator with anti-drip mechanism |
US5443903A (en) * | 1993-02-25 | 1995-08-22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Hot melt stick |
US5462206A (en) * | 1994-10-12 | 1995-10-31 | Kwasie; Jon B. | Melting assembly for thermoplastic materials |
US5848696A (en) * | 1996-11-25 | 1998-12-15 |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 Wrapped materi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and unwrapping such material |
US6076674A (en) | 1998-05-27 | 2000-06-20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Wrapped materi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such material |
US8236227B2 (en) * | 2009-09-30 | 2012-08-07 | Stratasys, Inc. | Method for building three-dimensional models in extrusion-based digital manufacturing systems using tracked filaments |
CN112191610A (zh) * | 2020-09-08 | 2021-01-08 | 韶关市欧莱高新材料有限公司 | 一种ito平面靶材超声波清洗架及其制造方法 |
CN114250094B (zh) * | 2022-01-02 | 2024-05-28 | 罗利芳 | 一种生物质燃料制备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32101A (en) * | 1956-01-24 | Dispenser for pasty materials | ||
US2760228A (en) * | 1952-02-19 | 1956-08-28 | Telecommunications Sa | Manufacture of tubular insulators for electric conductors |
US2874084A (en) * | 1953-11-30 | 1959-02-17 | B B Chem Co | Handling thermo-responsive cements |
US2995159A (en) * | 1957-12-23 | 1961-08-08 | United Shoe Machinery Corp | Portable plastic injection devices |
US3204828A (en) * | 1964-03-16 | 1965-09-07 | United Shoe Machinery Corp | Portable thermoplastic cement dispensers |
US3337093A (en) * | 1964-04-06 | 1967-08-22 | United Shoe Machinery Corp | Electrically heated cement extruders |
US3298572A (en) * | 1965-04-09 | 1967-01-17 | United Shoe Machinery Corp | Cement dispensers |
US3377012A (en) * | 1966-04-06 | 1968-04-09 | Western Electric Co | Apparatus for applying a coating of a fused material to an article |
DE1729157B2 (de) * | 1967-05-05 | 1970-05-14 | Bayer Ag |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massgenauer Profile aus Kunststoff |
US3612357A (en) * | 1969-10-06 | 1971-10-12 | Swingline Inc | Molten material dispensers with controlled forcible manual feeder for ratchet-toothed heat-liquefiable rod, having heater and thermostat |
US3732046A (en) * | 1971-03-22 | 1973-05-08 | Advanced Drainage Syst | Dimensional control apparatus |
BE790649A (fr) * | 1971-11-02 | 1973-02-15 | B N G & Cie | Dispositif pour la realisation de tube |
US3917123A (en) * | 1974-01-14 | 1975-11-04 | Sale Tilney Ag | Adhesive block |
US4072778A (en) * | 1975-10-22 | 1978-02-07 | Lamb Robert Colin | Spacing system |
US4186239A (en) * | 1976-12-06 | 1980-01-29 | Berkley & Company, Inc. | Monofilament weed cutters |
US4315885A (en) * | 1977-07-08 | 1982-02-16 | Lemelson Jerome H | Continuous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
DE2821902C3 (de) * | 1978-05-19 | 1982-02-04 |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ünchen | Betonbewehrungsstab, insbesondere Spannstab |
DE2934916C2 (de) * | 1979-08-29 | 1983-12-01 | Volker O. Prof. Dr.Med. 8012 Ottobrunn Lang | Universelle sterile geschlossene Schlauch-SETS für die künstliche Beatmung, Atemhilfs- und Aerosoltherapie |
DE3279862D1 (en) * | 1981-06-15 | 1989-09-14 | Wavin Bv | Apparatus for making profiled plastics tube |
US4621748A (en) * | 1983-01-07 | 1986-11-11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Thermoplastic block shape, feeding mechanism and manufacturing method |
US4552287A (en) * | 1983-01-07 | 1985-11-12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Thermoplastic dispensing device |
-
1986
- 1986-07-31 US US06/892,243 patent/US4774123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10-16 EP EP86308029A patent/EP025478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10-16 ES ES198686308029T patent/ES2030661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10-16 AT AT86308029T patent/ATE74944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6-10-16 AU AU63993/86A patent/AU601702B2/en not_active Ceased
- 1986-10-16 DE DE8686308029T patent/DE3684917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10-20 BR BR8605119A patent/BR8605119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6-10-20 MX MX004083A patent/MX169618B/es unknown
- 1986-11-29 CN CN86108128A patent/CN102960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6-12-08 JP JP1986188008U patent/JPH0545445Y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
- 1987-02-10 CA CA000529354A patent/CA1280862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02-28 KR KR2019870002495U patent/KR92000180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8605119A (pt) | 1988-03-29 |
EP0254785A3 (en) | 1989-03-08 |
EP0254785B1 (en) | 1992-04-15 |
US4774123A (en) | 1988-09-27 |
JPS6323006U (ko) | 1988-02-16 |
CN86108128A (zh) | 1988-02-10 |
CA1280862C (en) | 1991-03-05 |
AU601702B2 (en) | 1990-09-20 |
JPH0545445Y2 (ko) | 1993-11-19 |
ATE74944T1 (de) | 1992-05-15 |
ES2030661T3 (es) | 1992-11-16 |
EP0254785A2 (en) | 1988-02-03 |
CN1029602C (zh) | 1995-08-30 |
KR880002178U (ko) | 1988-04-07 |
MX169618B (es) | 1993-07-15 |
DE3684917D1 (de) | 1992-05-21 |
AU6399386A (en) | 1988-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1809Y1 (ko) | 열가소성물질 고체블록 | |
US3408112A (en) | Process for manufacturing brushes from a bundle of locks of threads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is process | |
CA1299344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binding cables, by a continuous strip | |
US4060083A (en) | Pill gun | |
CA1298450C (en) | Suction applying molded blocks in pipe forming apparatus | |
US4621748A (en) | Thermoplastic block shape, feeding mechanism and manufacturing method | |
CA109676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articles from fibrous material | |
JPH07507475A (ja) | 関節連結のプレートを有する移動面 | |
US3911712A (en) | Crimping tool | |
KR950007145B1 (ko) | 열가소성 물질 블록과, 그 이송기구 및 그 제조장치 | |
DE69907308T2 (de) | Mit Folien dekorierende Spritzgiessmaschine | |
JP2610252B2 (ja) | 固形の熱可塑性材料の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を形成する機構とブロックを切断する手段との組合せ | |
EP0257838B1 (en) | Hot-melt guns | |
CA1283278C (en) | Thermoplastic block shape feeding mechanism and manufacturing method | |
AU617843B2 (en) | Thermoplastic blocks | |
KR101456978B1 (ko) | 플라스크 몰드 클램핑장치 | |
KR960002551B1 (ko) | 벨트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및 그 이송장치 | |
DE1629514B1 (de) | Automatische schallplattenpresse | |
EP046759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wire leads | |
GB2141372A (en) | Moulding apparatus | |
KR940008624A (ko) | 테이프형 물품의 단부를 자동으로 절단, 용접 및 접속하기위한 장치 | |
JPS6238101B2 (ko) | ||
US3156963A (en) | One-directional clutch | |
JP3844595B2 (ja) | 光ファイバの被覆除去装置 | |
JP2007007909A (ja) | 引取り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316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