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20004498Y1 - 저 진공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저 진공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498Y1
KR920004498Y1 KR2019890019760U KR890019760U KR920004498Y1 KR 920004498 Y1 KR920004498 Y1 KR 920004498Y1 KR 2019890019760 U KR2019890019760 U KR 2019890019760U KR 890019760 U KR890019760 U KR 890019760U KR 920004498 Y1 KR920004498 Y1 KR 920004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ion
degree
low
recor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267U (ko
Inventor
노진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9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498Y1/ko
Publication of KR910012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49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1/00Vacuum gauges
    • G01L21/30Vacuum gauges by making use of ionisation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L19/083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electr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 진공도 측정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저진공도 측정장치의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회로도.
제 3 도는 종래의 이온 진공계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기구 2 : 진공구
10 : 이온진공계 12 : 외부전원
14 : X-Y기록계절연튜브
본 고안은 저진공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이온진공계를 사용하는 저진공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시스템의 기체의 절대 압력을 측정하기위해서는 진공계가 사용되는데, 이 진공계에는 측정원리에 따라, 열전도 진공계, 수은진공계, 이온진공계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 가운데 이온진공계는 저압기체충을 전자가 통과할 때 기체 분자의 전리에 의해 생기는 이온전류가 기체의 압력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측정범위가 아주 넓어 10-1-10-18Torr이나 통상은 압력범위가 10-3Torr이하의 영역에서 사용되며, 초진공의 측정에 주로 사용된다.
이온 진공계의 간략한 구조 및 측정하고자 하는 진공구가 연결된 상태가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처럼 이온진공계(10)는 이온전류기록기(6), 전원공급기(7), 방출전류제어기(8)로 이루어지며, 측정하고자 하는 진공구(2)의 콜렉터(3)는 이온전류기록기(6)에, 그리드(4)는 전원공급기(7)에, 필라멘트(5)단자는 방출전류제어기(8)에 각각 연결하여 진공도를 측정한다.
그런데 이온진공계의 경우 역시 측정범위의 제한이 설정된다.
이유는 이온 진공계의 시스템 내부사정에 의한 것으로 압력범위가 10-3Torr이상의 저진공의 진공도 측정시 필라멘트의 손상과 콜렉터의 과전류로 인한 계기의 손상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이온 진공계에서는 저진공으로의 미소시간의 변화에 대하여 이를 측정키 위해 10-3Torr이상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이온 진공계의 필라멘트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연유로 계기내의 보호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특히 실험실에서의 실험 또는 연구중 상기와 같이 저진공으로 진공도가 감소되면 상기 보호회로에 의해 진공계의 동작이 중지되므로 10-3Torr이상의 진공도 측정이 불가하다. 10-3Torr이상의 저진공도를 측정할 필요가 발생하므로 이를 위해 종래에는 저진공에서 고진공까지 진공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두 종류의 진공계가 별도로 사용되야 했었다.
즉, 특수한 실험연구 등에서 가스 방출이 일시적으로 심하게 일어나는 경우 시스템 내부의 일부분의 진공도가 고진공에서 저진공으로 갑자기 변환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진공도의 변화 측정을 위해서는 고, 저진공계 모두를 사용했던 것이다. 따라서 실험이 번거러웁게 되고 특히 저진공계부착이 어려운 부분의 진공도 측정에는 더욱 불편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이온 진공계로서 미소시간동안 저진공이 측정 가능한 시스템이 요망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적된 진공계 사용 특성이 고려된다 하더라도, 미소시간 동안 저진공에서 진공계의 일시적 사용으로 필라멘트 손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종래의 이온 진공계를 수단으로 하여 일시적으로 가스방출이 심한 부분에서의 고진공에서 저진공의 진공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서술된 내용과 같이 종래의 이온 진공계를 사용하여 저진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를 제 1 도와 제 2 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제 1 도와 같이 종래의 이온전류기록기(6)와 전원공급기(7), 및 방출전류제어기(8)로 구성되는 이온진공계(10)에 있어서, 측정하고자하는 진공구(2)에 연결할 때는 진공구(2)의 필라멘트(5)는 진공계(10)의 방출전류제어기(8)에 연결되고, 그리드(4)는 외부전원(12) 및 진공계의 전원공급기(7)에 동시에 연결되며, 외부전원에 연결됨과 동시에 X-Y기록계(14)에 병렬 연결된 저항(R)과 진공계의 이온전류 기록기(6)는 이들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SW)단자 (a), (b)에 연결되고, 이 스위치(SW)의 선택단자(C)는 진공구의 콜렉터(3)에 연결된다.
미설명부호(1)은 진공구(王求)(2)의 배기구(口)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진공구(2)의 그리드(4)에 선택스위치(SW)를 연결할 경우 필라멘트(5)의 방출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이온진공계(10)의 방출전류를 일정하게, 예를들면 1mA로 유지하기 위해 진공계의 외부단자중 그리드(4)와 콜렉터(3)단자만을 본 고안에서 이용한다.
그리고 진공구의 콜렉터(3)에 흐르는 이온 전류로서 진공계(10)에서는 진공도를 측정하므로 본 고안에 따라 스위치단자(C)와 (a)를 거쳐 연결된 X-Y기록계(14)에 동일한 전류를 흘러 그때의 값을 진공계(10)에서의 진공도와 서로 상응하도록 한다.
이온 전류에 있어서, 전원관계를 도시한 제 2 도의 회로에서와 같이, 외부전압의 전압치 즉 -155V를 콜렉터(3)와 그리드(4)간에 인가할 때 저항(R)에 흐르는 이온전류와, 이온진공계 연결시 필라멘트(5)와 콜렉터(3)가 전압치 즉 -25V에 따른 이온 전류가 서로 상응하도록 구성되어 이온 전류가 측정되므로써 진공계에서의 이온전류에 상당하는 진공도와 기록계상의 전류를 비교함으로써 그 진공도를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일시적인 저진공도에서의 진공도를 알기 위해서 상기 수단이 이용된다. 즉 저진공을 측정하는 통상의 파라니 게이지를 이용하여 저진공도에서의 이온전류와 상기 파라니 게이지의 진공도를 비교하여 측정하여 기록계상에서의 각 이온전류에 상응하는 진공도의 표준을 설정하여 둔다. 따라서, 특히 피라니 게이지 같은 저진공계 부착이 어려운 부분의 진공도 측정시 이 게이지를 이용치 않고, 또한, 그러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저진공계 사용없이 제 2 도와 같은 통상의 이온진공계 사용만으로 일시적인 저진공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이온전류기록기(6)와 전원공급기(7) 및 방출전류제어기(8)로 구성되는 이온 진공계(10)에 진공구(2)를 결합하여 진공도를 측정하는 진공도 측정장치에 있어서, 진공구(2)의 필라멘트(5)는 진공계의 방출전류제어기(8)에 연결되고, 그리드(4)는 외부전원(12) 및 진공계의 전원공급기(7)에 동시에 연결되며, 외부전원에 연결됨과 동시에 X-Y기록계(14)에 병렬 연결된 저항(R)과 진공계의 이온전류 기록기(6)는 이들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단자 (a), (b)에 연결되고, 이 스위치(SW)의 선택단자 (c)는 진공구의 콜렉터(3)에 연결하여 저진공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진공도 측정 장치.
KR2019890019760U 1989-12-23 1989-12-23 저 진공도 측정장치 Expired KR920004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760U KR920004498Y1 (ko) 1989-12-23 1989-12-23 저 진공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760U KR920004498Y1 (ko) 1989-12-23 1989-12-23 저 진공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267U KR910012267U (ko) 1991-07-30
KR920004498Y1 true KR920004498Y1 (ko) 1992-07-02

Family

ID=1929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760U Expired KR920004498Y1 (ko) 1989-12-23 1989-12-23 저 진공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4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267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3784A2 (en) Vacuum monitoring apparatus
US3528904A (en) Range scale circuit including temperature compensation element
KR920004498Y1 (ko) 저 진공도 측정장치
KR950009267A (ko) 절연유 열화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
US4605895A (en) Domestic electrical tester
US4596148A (en) Tritium pressure measurement
CN101221082B (zh) 一种新型真空计
US2995703A (en) Thermistor matching
SU1472777A1 (ru) Ионизационный вакуумметр
Beres et al. A new type of argon ionisation detector
US3379967A (en) Vacuum gauge including a cold cathode ionization tube
US3577884A (en) Pressure-measuring device
US3118103A (en) Voltage doubling power supply
CN218444209U (zh) 一种质谱仪温度检测电路
CN215678544U (zh) 一种测试设备
Evans et al. A Philips-Type Ionization Gauge for Measuring of Vacuum from 10-7 to 10-1 mm. of Mercury
US3267377A (en) Measuring circuit for providing an output either linearly or logarithmically relatedto an input
US3703356A (en) Portable flame ionization gas leak detector
SU1048394A1 (ru) Датчик парциального давлени водорода
JPH0210452Y2 (ko)
US2974232A (en) Calibration circuit
JPH11344471A (ja) イオン化検出器における拡張検出ゾ―ン
US3622870A (en) Penning gauge circuit improvement
CN2180987Y (zh) 热电偶补偿器
KR20010036738A (ko) 진공 게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12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12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5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10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101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8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