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174B1 -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0174B1 KR880000174B1 KR1019840001844A KR840001844A KR880000174B1 KR 880000174 B1 KR880000174 B1 KR 880000174B1 KR 1019840001844 A KR1019840001844 A KR 1019840001844A KR 840001844 A KR840001844 A KR 840001844A KR 880000174 B1 KR880000174 B1 KR 8800001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loor panel
- frame member
- joined
- rear fl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선행기술의 후부차체구조의 부분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기 제1도의 Ⅱ-Ⅱ선 및 Ⅲ-Ⅲ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부차체구조를 표시하는 제1도에 유사한 사시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각기 제4도의 Ⅴ-Ⅴ선, Ⅵ-Ⅵ선 및 Ⅶ-Ⅶ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8도는 제4도에 표시된 후부차체구조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후부차체 구조를 표시하는 제4도에 유사한 도면.
제10도내지 제13도는 제9도의 Ⅹ-Ⅹ선, XI-XI선 핑 XII-XII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부마루패널 1a : 경사부
1b : 하단부 1c : 융기부
1d : 상단부 2 : 짐받이실
3 : 전후프레임 4 : 관통구
5 : 제1프레임부재 5a, 5b : 측벽(도면에서 우측 및 좌측)
5c : 저면 6 : 제2프레임부재
6a, 6b : 측벽(도면에서 우측 및 좌측) 6c : 정부벽
10 : 보강부재 13 : 판부재
14 : 교체부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후부마루패널의 후부를 층하져서 후부짐받이실을 형성하는 형식의 자동차에 있어서는 후부마루패널의 양측부 하방에 전후프레임이 배치되기 때문에 후부짐받이실은, 이 양측편 전후프레임사이에서 만 형성되고, 전후프레임의 외측과 후부마루패널과의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후프레임에도 후방으로 층하지게 형성하므로서, 이 전후프레임의 장소에서 충분한 지표면간의 여유를 얻을수 없기 때문에 만족하지 못한다. 지면에 대한 전후 프레임의 여유를 감소하지 않고 후부 짐받이실을 이용할수 잇는 공간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1981년에 공개된 일본 실용신안공개소 56-4979호에는 제1도내지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은 구조로 발표된 것을 참조하여 이제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개선의 목적으로 발명하였다. 상기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전체를 도시한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도시하되 자동차의 후부차체의 한편측의 구조만을 도시하였으며, 도시하지 아니한 반대편측에도 같은 모양의 구조가 존재한다. 제1도내지 제3도에 도시한 선행기술의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후부마루패널(a)에 층하진 부분으로 부터 그 상면을 후방에 연하여 후부짐받이실(b)에 이르는 프레임부재(c)와 후부마루패널(a)의 하면이 전방으로 연한 프레임부재(d)로 전후프레임(e)를 구성하며, 그들의 2개의 프레임부대(c), (d)가 후부마루패널(a)의 킥업(Kick-up)부를 개재해서 상하에 겹쳐지면서 연결되어 있는 후부차체구조가 개시되었다.
이 선행기술의 구조에서 전후 프레임(e)은 각기 차체의 내부와 외부에서 대향하는 2개의 프레임부재로 분할되어서 후부 마루패널(a)의 킥업부분을 개재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후프레임(e)이 전체적으로 직선상으로 되지 않으므로 선행기술의 후부차체는 강도가 충분하지 않았다. 예로서 후부단 충돌의 사고에 있어서 충돌로 일어난 충격은 전후 프레임(e)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c), (d)간의 연결부에 작용하여 프레임부재(c)를 축방향에서 어긋나게 벗어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프레임 (e)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재(C)와 (D)는 서로 분리된다. 부가하여, 프레임부재(c), (d)간의 연결부가 복잡하고 차체의 전후방향의 물리적 강도나 강성을 증가하게 하는 후부 차체의 내부보강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후부차체에서 본래의 상술한 결점과 불편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되 그 전후프레임(e)의 물리적 강도 및 강성을 크게 하였으며, 또 조립과 제작이 용이한 후부차체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 그 본질적인 모적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부차체의 좌우양측에 직선상으로 배설되는 전후프레임을 후부마루패널의 밑면에 용접 또는 딴 방법으로 접합되는 제1프레임부재와 후부마루패널의 후방을 향하여 층하져서 형성한 후부짐받이 실내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재로 분할하여 구성되었으며, 제1 및 제2프레임부재는 상기 전후 프레임을 삽통하기위한 후부마루패널에 마련한 관통구의 주변의 안팎에 용접 또는 딴 방법으로 접합시킨다. 그래서 후부짐받이실 내외를 전후방향에 직선방향으로 관통하는 전후프레임을 배설할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다음과 같은 설명으로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진행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간략과 양호한 이해를 위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루어진 후부차체구조의 반, 즉 한쪽편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내지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1)로 표시된 후부 마루패널은 경사부(傾斜部)(1a)를 개재하여서 상단부(上段部)(1d)와 하단부(下段部)(1b)로 구분 형성하고, 여기서 하단부(1b)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은, 예로서 후부짐받이실(2)같은 것이다. 경사부(1a) 및 하단부(1b)와 인접한 후부차체의 모퉁이 부분에는 후부짐받이실(2)에 부분적으로 융기(隆起)한 융기부(1c)가 형성되어있다. 그래서 후부마루패널(1)에 있어서 경사부(1a)와 융기부(1c)에 걸쳐서 차체의 좌우 양쪽에 직선상으로 배설되게끔 전후프레임(3)을 후부짐받이실(2)에 끼우기 위한 관통공(4)을 설치하였다.(제8도 참조) 오히려 관통구(4)는 반대측(도면에서는 우측)에도 형성되어 있으며, 다음에는 전후프레임(3)만을 설명한다. 전후프레임(3)은 후부마루패널(1)의 밑면에 접합되는 단면 U자형 제1프레임부재(5)와, 후부짐받이실(2)내에 배설 하되, 단면역 U자형 제2프레임부재(6)로 구성되었다. 그런데 제2프레임부재(6)는 측벽(6a)와 (6b)및 정부벽(6c)으로 구성되어 후부짐받이실(2)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프레임부재(5)의 한쪽측벽(5a)(도면에서 우측)은 수직면인데 대하여 다른쪽 측벽(5b)(도면에서 죄측)은 그 후단부가"L"형으로 형성되었으며, 또 상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플랜지(8) 및 (9)가 일체로 돌출되어있다.
이러한 제1프레임부재(5)는 제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한쪽 측벽(5a)은 휘일하우스내벽(7)에 접합되었으며, 다른쪽(도면에서 좌측) 측벽(5b)의 플랜지(8)는 후부마루패널(1)의 밑면에 또 플랜지(9)는 후부짐받이실(2)의 경사부(1a)의 밑면에, 그리고 저면(5c)은 융기부(1c)의 밑면에 각각 접합하는 것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프레임부재(5)내에는 상술한 방법으로 고정되기에 앞서 단면역 U자형으로 형성된 보강부재(10)의 전반부가 단단하게 고착된다. 상기 제2프레임부재(6)의 한쪽(도면에서 좌측) 측벽(6b)은 후부짐받이실(2)의 경사부(1a)의 상면과 융기부 (1c)의 상면에 접합될수 있게 하부 전반부 및 전단에는 각각 플랜지(11)및 (12)가 " "형으로 형성되었으며, 또 제2프레부재 (6)는 제6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다른쪽 측벽(6a)은 보강부재(10)의 측벽(10a)을 개재하여 제1프레임부재 (5)의 측벽(5a)에 접합된다. 제2프레임부재(6)는 측벽(6a) 및 (6b)는 각기 보강부재 (10)의 측벽(10a), (10b)에 접합되고 또 플랜지(11)를 융기부(1c)의 상부면에, 또 프랜지(12)를 경사부 (1a)에 각각 접합하는 것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2프레임부재(6)의 하단개구는 판부재(13)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결국 제1 및 제2프레임부재(5) 및 (6)은 후부마루패널(1)에 형성한 관통구 (4)의 주연에 있어서 일체적으로 용접되어서 전후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속되는 폐쇄된 단면구조를 가진 전후 프레임(3)을 구성하고 있다. 또, 후부마루패널(1)의 밑면에 접합되어 있는 교체부재(14)는 선단의 플랜저(15)에 의하여 제1프레임부재(5)의 측벽(5b)에도 접합되고 또 딴방법으로 단단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서 후부마루패널(1) 및 전후프레임(3)이 일체적으로 고정된 후부차체구조를 얻을수 있다.
제4도 및 제9도에 있어서는 후부차체의 한편측(우측편)의 구조만을 표시되어 있지만 도시하지 아니한 반대편측에도 같은 구조가 존재한다. 따라서 양편측의 전후프레임(3)의 각각은 전체로서 자동차 차체구조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이고, 직선방향으로 뻗으므로 후부차체의 물리적 강도 및 강성이 크고, 충돌시의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수가 있다. 그러므로 객실과 연료탱크의 보호에 있어 우수하다. 부언하면 전후 프레임(3)은 두개의 성분, 즉 제1및 제2프레임부재(5), (6)에 의하여 만들어지므로 후부짐받이실(2)내의 제2프레임부재(6)의 플랜지(11), (12)는 하방을 향하여 위치되어 있으므로 모서리에 의하여 야기되는 어떠한 손상에도 유리하게 피할수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차체구조의 각측에 대한 전후 프레임(3)이 휘일하우스내벽(7)에 연결된 것같이 설명되었지만 제9도 내지 제1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내측으로 간격을 두어도 좋다. 제9도 내지 제13도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제1프레임부재(5)의 측벽(5b)의 플랜지(8) 및(9)은 이와유사한 후부마루패널(1)의 경사부(1a)와 융기부(1c) 밑면에 연결되고, 제2프레임 부재(6)의 측벽(6b)의 플렌지(11) 및 (12)도 이와 유사한 경사부(1a)와 융기부(1c)에 연결되고, 또 프레임부재(5)의 측벽(5a)도 보강부재(10)를 개재해서 프레임부재(6)의 측벽(6a)에 역시 연결된다. 제9도 내지 제13도에 표시된 실시에 따른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는 제4도 내지 제9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라 배치된 것과 같은 장점과 효과를 실제적으로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에 관련하여 완전히 설명되었지만 여러변경 및 수정은 측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 하겠읍니다. 예로서 전후 프레임의 각각은 휘일하우스 내벽에 직접 단단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만약에 바란다면 휘일하우스 내벽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어도 좋다. 더우기 길이방향의 프레임의 각각의 형은 설명되고 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만약 그것이 일반적으로 직선으로 뻗게 길이방향의 프레임을 허용된다면 마음대로 선택될수 있다.
Claims (4)
- 후부마루패널(1)의 후방을 향해서 층하져서 후부짐받이실(2)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후부마루패널(1)에는 차체의 좌우 양편에 직선상으로 배설하는 한쌍의 전후프레임(3)을 후부짐받이실(2)내에 삽통하기 위한 한쌍의 관통구(4)를 마련하였으며, 상기 전후프레임(3)은 후부마루패널(1)의 밑면에 접합되는 제1프레이부재(5)의 후부짐받이실(2)내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부재(6)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및 제2프레임부재(5) 및 (6)이 보강부재(10)에 의하여 관통구 (4)의 주연에서 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의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후부마루패널(1)은 중심부의 경사부(1a)를 개재해서 전방의 상단부(1d) 및 하단부(1b)를 구분형성하되, 상기 하단부(1b)에는 융기부(1c)가 형성되어있는 자동차의 후부차체의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5)과 보강부재 (10)는 단면 U자형이고, 제2프레임(6)은 단변 역 U자형으로 형성되어있는 자동차의 후부차체의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프레임부재(5) 및 (6)은 프랜지(9), (5c)와 (11), (12)를 각각 형성하였으며, 이들 프랜지(9), (5c)와 (11), (12)는 관통구(4)를 포위하는 연부에서 접합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8062617A JPS59186781A (ja) | 1983-04-07 | 1983-04-07 |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
JP58-62617 | 1983-04-07 | ||
JP62617 | 1983-04-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8620A KR840008620A (ko) | 1984-12-17 |
KR880000174B1 true KR880000174B1 (ko) | 1988-03-12 |
Family
ID=1320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1844A KR880000174B1 (ko) | 1983-04-07 | 1984-04-07 |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4563035A (ko) |
JP (1) | JPS59186781A (ko) |
KR (1) | KR8800001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08391A (en) * | 1986-07-03 | 1987-11-24 | Mazda Motor Corporation | Rear body structure for motor vehicle |
US5180206A (en) * | 1988-07-19 | 1993-01-19 | Suzuki Motor Corporation | Structure for vehicular body of automotive vehicle |
US5419609A (en) * | 1993-01-07 | 1995-05-30 | Ford Motor Company | Energy isolation apparatus for an automotive vehicle |
JPH0834368A (ja) * | 1994-07-21 | 1996-02-06 | Honda Motor Co Ltd | 自動車のフレーム連結部構造 |
DE19618258A1 (de) * | 1996-05-07 | 1997-11-13 | Bayerische Motoren Werke Ag | Rahmen |
EP0928734B1 (en) * | 1996-09-24 | 2004-11-10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Reinforced construction for rear wheel housing in automobile, and restraint device for use in same |
DE10126183A1 (de) * | 2001-05-30 | 2002-12-12 | Karmann Gmbh W | Einrichtung zum Erhöhen der Festigkeit eines Hohlformteiles einer Fahrzeugkarosserie |
JP4010817B2 (ja) * | 2002-01-30 | 2007-11-2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の車体フレーム構造 |
JP4404036B2 (ja) * | 2005-09-21 | 2010-01-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後部構造 |
DE102008036338A1 (de) * | 2008-08-04 | 2010-02-18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Fahrzeugaufbau mit einer bodenseitigen Verstärkung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17765A (en) * | 1968-05-21 | 1970-06-30 | Budd Co | Vehicle rear underbody structure |
US3627373A (en) * | 1970-02-19 | 1971-12-14 | Gen Motors Corp | Vehicle body |
GB2088795B (en) * | 1980-10-31 | 1983-06-02 | Cam Gears Ltd | Hydraulic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
JPS564979A (en) * | 1979-06-25 | 1981-01-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Hardcopy unit |
JPS5863168U (ja) * | 1981-10-23 | 1983-04-27 | マツダ株式会社 | 自動車の車体構造 |
-
1983
- 1983-04-07 JP JP58062617A patent/JPS59186781A/ja active Granted
-
1984
- 1984-04-04 US US06/596,616 patent/US4563035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4-04-07 KR KR1019840001844A patent/KR8800001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8620A (ko) | 1984-12-17 |
JPS59186781A (ja) | 1984-10-23 |
JPS637991B2 (ko) | 1988-02-19 |
US4563035A (en) | 1986-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02187A (en) | Reinforced floor struc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 |
US4950025A (en) | Automobile rear body structure | |
US7147275B2 (en) | Front part structure of vehicle body | |
US6270153B1 (en) |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 |
US5127704A (en) | Automobile lower body structure | |
KR100306840B1 (ko) | 자동차의상부차체구조 | |
US6145923A (en) | Automobile frontbody structure | |
US4471992A (en) | Automobile body structure | |
KR880000174B1 (ko) |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 | |
JP2003212152A (ja) | 車体構造 | |
KR102027124B1 (ko)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마운팅 구조체 | |
JPH0632247A (ja) | 車体下部構造 | |
JP2936877B2 (ja) |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 |
JP3765244B2 (ja) |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 |
US5611592A (en) | Automobile rear body structure | |
JP3537669B2 (ja) | 自動車の車体下側部補強構造 | |
JPH049274Y2 (ko) | ||
JP3346694B2 (ja) | キャブオーバ型自動車の車室後部構造 | |
CN111434571B (zh) | 车体下部构造 | |
JP3082587B2 (ja) | 車両の後部車体構造 | |
KR930007220B1 (ko) |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 |
JPH0715824Y2 (ja) | 自動車のダッシュパネル部車体構造 | |
JPH0664561A (ja) | 車体の下部構造 | |
JPH0352230Y2 (ko) | ||
JPH05278643A (ja) | 車体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307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