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54060A - 빔 관리 방법, 사용자 장치, 기지국,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빔 관리 방법, 사용자 장치, 기지국,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54060A KR20240154060A KR1020247032196A KR20247032196A KR20240154060A KR 20240154060 A KR20240154060 A KR 20240154060A KR 1020247032196 A KR1020247032196 A KR 1020247032196A KR 20247032196 A KR20247032196 A KR 20247032196A KR 20240154060 A KR20240154060 A KR 202401540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surement information
- information
- report
- beam measurement
- instruc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00 final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8—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 관리 방법과 그 장치, 저장 매체,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그 중, 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적용되고, 송신 장치에서 전송된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수의 테스트 빔을 수신하는 단계; 다수의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얻는 단계;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 및 송신 장치가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여 얻도록 송신 장치로 타겟 측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발명은 출원번호가 202210460677.8이고, 출원일이 2022년 4월 28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초하여 출원되었으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내용은 전부 참조로 본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빔 관리 방법, 사용자 장치, 기지국,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지국 측에서는 구성 모델 기반의 빔 예측을 수행하여 사용자 측과 기지국 측 간의 빔 정렬을 구현하는데, 이 과정에서는 모델 입력으로 충분한 빔 보고 정보가 필요하므로 사용자 측에서는 기지국으로 많은 양의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피드백 파라미터를 보고해야 하나, 이는 엄청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하고 사용자 측의 업링크 전송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이하는 본문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주제에 대한 개요이다. 본 요약은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빔 관리 방법, 사용자 장치, 기지국,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신 장치에 적용되고,
송신 장치에서 전송된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수의 테스트 빔을 수신하는 단계;
다수의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여 얻도록 상기 송신 장치로 상기 타겟 측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송신 장치에 적용되고,
수신 장치로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수의 테스트 빔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장치에서 전송된 타겟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타겟 측정 정보는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빔 측정 정보는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다수의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얻는 것인, 상기 수신 장치에서 전송된 타겟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여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제3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1 양태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사용자 장치를 더 제공한다.
제4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2 양태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제5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빔 관리 방법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제6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고, 컴퓨터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컴퓨터 명령어를 판독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술한 빔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테스트 빔에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획득하고, 송신 장치로부터의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로부터 송신 장치에 보고해야 할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한다. 즉, 측정된 모든 빔 측정 정보를 송신 장치에 보낼 필요없이, 모든 빔 측정 정보에서 일부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송신하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이고 업링크 전송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보고된 일부 빔 측정 정보도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의 빔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송신 장치의 빔 예측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빔 훈련 오버헤드, 측정 전력 소비 및 처리 시간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 측의 빔 보고 오버헤드와 송신 장치 측의 빔 예측 성능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으므로 관련 방법에서의 기술적 공백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및 기타 양태 및 그 구현 방식에 대해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청구범위에서 더 많은 설명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 환경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에서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방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흐름도에는 논리적 순서가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경우에 있어서, 흐름도와 다른 순서로 도시되거나 설명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명세서, 청구범위 및 도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반드시 특정된 순서나 전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빔 관리 방법, 사용자 장치, 기지국,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의 빔 관리 방법은, 수신 장치에 적용되며, 빔 관리 방법은, 송신 장치에서 전송된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수의 테스트 빔을 수신하는 단계; 다수의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얻는 단계;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 및 송신 장치가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여 얻도록 상기 송신 장치로 상기 타겟 측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테스트 빔에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획득하고, 송신 장치로부터의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로부터 송신 장치에 보고해야 할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한다. 즉, 측정된 모든 빔 측정 정보를 송신 장치에 보낼 필요없이, 모든 빔 측정 정보 중에서 일부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송신하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이고 업링크 전송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보고된 일부 빔 측정 정보도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의 빔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송신 장치의 빔 예측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빔 훈련 오버헤드, 측정 전력 소비 및 처리 시간 지연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 측의 빔 보고 오버헤드와 송신 장치 측의 빔 예측 성능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으므로 관련 방법에서의 기술적 공백을 커버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 환경의 개략도이다.
도 1의 예에서, 상기 실시 환경은, 사용자 장치(110) 및 기지국(120)을 포함하며, 기지국(120)과 사용자 장치(110) 사이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기지국(120)과 사용자 장치(110)의 상대적 위치는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대응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는 기지국(12)을 따라 외부로 신호를 방사할 때 형성된 방사 구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사용자 장치(110) 있고 서로 다른 사용자 장치(110)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되면, 서로 다른 공간 위치에서 기지국(120)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적 위치는 지역 조건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110)는 액세스 단말,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장치, 사용자 단말,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10)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기, 접속 설정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전화,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프로세싱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5G 네트워크 또는 미래 5G 이상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빔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 환경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조직 아키텍쳐에 적용될 수 있으며, 3GPP 조직은, 고주파수의 빔 방향을 조절하고, 빔 스캐닝, 빔 측정, 빔 보고 및 빔 지시 등을 포함하는 적절한 송수신 빔 쌍을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빔 관리 프로그램을 제정하였다. 예를 들어, 송신 빔 스캐닝 과정에서, 기지국(120)은 기설정된 간격과 방향으로 빔을 송신한다. 사용자 장치(110)는 송신 빔에 로딩된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빔 품질 정보를 기지국(120)에 보고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120)은 최적의 빔을 결정하고 지향성 통신 링크를 구축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채널 상태 정보 인스턴스 CSI- ResourceConfig에서 각각의 사용자 장치(110)에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 자원 설정을 구성하고, 상위 계층 파라미터 CSI- ReportConfig에서 각각의 사용자 장치(110)에 하나 이상의 CSI 보고 설정을 구성한다. 여기서, CSI- ResourceConfig에는 채널 측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eference Symbol, CSI-RS)자원,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자원 및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자원을 포함하는 채널 측정 또는 간섭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 자원을 구성하였다. CSI- ReportConfig에는 코드북 유형, 주파수 도메인 보고 그래뉼레리티(granularity), 측정 제한 구성 및 레이어 표시, CSI-RS 자원 인덱스 CRI(CSI-RS Resource Indicator), SSB 자원 인덱스(SSB Resource Indicator, SSBRI), 물리 계층 기준 신호 수신 전력 L1-RSRP(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및 물리 계층 신호 대 간섭 잡음비 L1-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등과 같은 CSI 관련 피드백 량을 포함하는 CSI 보고 관련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NR은 L1-RSRP를 빔 측정을 위한 보고 파라미터로 하고, CSI 피드백 프레임 내에서 빔 관련 정보의 보고를 완료한다. 빔 측정 시, CSI 보고 설정에서 CSI 피드백 량 파라미터 reportQuantity를 "CRI-RSRP" 또는 "SSB-Index-RSRP"로 구성한다. 이때, 사용자 장치(110)는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 RSRP을 보고해야 한다. 여기서 CRI/SSBRI는 사용자 장치(110)가 선택한 CSI-RS 자원이 자원 세트에서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RSRP는 측정된 빔의 품질 정보를 나타낸다. 하나의 보고 설정에서 보고할 수 있는 측정 기준 신호 자원의 수와 RSRP의 수는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110)의 능력에 따라 결정되거나,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빔 스캐닝은 기지국(120) 또는 사용자 장치(110)가 서로 다른 시뮬레이션 빔을 차례로 사용하여 하나의 공간 영역을 커버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빔 스캐닝 동안, 기지국(120) 또는 사용자 장치(110)는 데이터 및 제어 채널에 양호한 송수신 빔 쌍을 찾도록 전체 코드북 또는 코드북의 서브세트로부터 빔을 차례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송신단 빔 스캐닝 과정에서 기지국은(120)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 자원 세트 NZP-CSI-RS- ResourceSet를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의 자원 세트는 서로 다른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다수의 CSI-RS 및/또는 SSB 자원을 포함하며, 사용자 장치(110)는 고정 수신 빔을 사용하여 CSI-RS 및/또는 SSB 자원을 수신 및 측정하여 송신단 빔 측정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0)는 기지국(120)에 의해 전송된 테스트 빔을 차례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기지국(120)에 대해서는, 빔 관리에 사용되는 CSI-RS 자원 또는 세트는 여러 번 반복적으로 전송되고, 사용자 장치(110)는 서로 다른 수신 빔을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수신 빔에 대한 스캐닝을 구현한다.
또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수신단 빔 스캐닝 동안, 기지국(120)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 자원 세트 NZP-CSI-RS- ResourceSet를 구성한다. 각각의 자원 세트는 동일한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된 다수의 CSI-RS 및/또는 SSB 자원을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110)는 서로 다른 수신 빔을 사용하여 CSI-RS 및/또는 SSB 자원을 수신하고 측정하여 수신 빔의 스캐닝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지국(120)은 필요에 따라 테스트 빔을 차례로 전송하는 방식, 즉, 서로 다른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된 다중 CSI-RS 자원 및/또는 SSB 자원 세트를 구성하여 송신 빔의 스캐닝을 구현하도록 한다.
사용자 장치(110)는 적어도 기지국(120)에서 전송한 기준 신호 자원이 구성된 테스트 빔과 빔 보고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다중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획득하며, 다중 빔 측정 정보로부터 타겟 측정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타겟 측정 정보는 기지국(120)이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120)은 적어도 기설정된 동작 로직에 따른 빔 관리 또는 작업자 제어에 따른 빔 관리 등의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기지국(120)은 적어도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고 관리하는 기능, 즉, 기설정된 동작 로직 또는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장치(110)로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중 테스트 빔을 송신하며, 사용자 장치(110)에 의해 전송된 타겟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타겟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타겟 측정 정보는 사용자 장치(110)에 의해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선택되며, 빔 측정 정보는 사용자 장치(110)에 의해 다수의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얻는다. 기지국(120)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기지국일 수 있으며, 밀리미터파 AAS 기지국일 수도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기지국(120) 및 사용자 장치(110)가 가지는 상기 기능은 서로 다른 적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이러한 실시 환경이 5G, 6G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후 진화될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한하지 않으며,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특정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실시 환경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빔 관리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며, 상기 빔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자 장치(110)와 같은 수신 장치에 적용된다. 상기 빔 관리 방법은 단계 S110 내지 단계 S14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10: 송신 장치에서 송신된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중 테스트 빔을 수신한다.
본 실시예의 수신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자 장치(1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송신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지국(12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대응하는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 시나리오 및 원리를 보다 편리하게 설명하기 위해, 관련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를 수신 장치로, 기지국을 송신 장치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단계에서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수의 테스트 빔을 수신함으로써, 후속 단계에서, 기준 신호 자원 및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할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함으로써,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이는 효과를 달성한다.
기지국의 테스트 빔의 전송 방식, 개수 및 방향 등은 기설정된 작동 논리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구성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기지국이 어떤 방식으로 테스트 빔을 사용자 장치로 보내든지 사용자 장치는 수신 된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중 테스트 빔을 기반으로 후속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수행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대해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다중 테스트 빔은 서로 다른 빔 스캐닝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동일한 빔의 다양한 스캐닝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동일할 수도 있다. 즉, 구체적인 테스트 빔의 수, 유형 등은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준 신호 자원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CSI-RS 자원;
동기화 신호 블록 SSB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은 CSI-RS 자원 및/또는 SSB 자원 일수 있으며, 상기 자원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장치 측의 빔 측정, 스캐닝을 구현한다. CSI-RS 자원, SSB 자원이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빔 보고 지시 정보는,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 여기서,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은 기설정된 품질 임계값 조건 또는 기설정된 품질비율 임계값 조건을 포함함 - ;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다양한 차원에서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 중,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다양한 차원에서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각각 지시에 사용될 수 있고, 이 중 둘 이상이 결합되어 지시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지시 정보의 구체적인 적용 시나리오는 아래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단계적으로 설명할 것이며,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빔 보고 지시 정보가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빔 측정 정보의 절대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빔 측정 정보의 비례 계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절대 개수는 보고된 빔 측정 정보를 지시하는 실제 개수를 의미하고, 비례 계수는 모든 빔 측정 정보 개수에 대한 보고된 빔 측정 정보의 실제 개수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모두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속함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서 빔 측정 정보의 절대 개수를 보고하도록 하는 지시 및/또는 빔 측정 정보의 비례 계수를 보고하도록 하는 지시는 필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정될 수 있다. 즉, 더 많은 적용 시나리오에 더 적합할 수 있도록 동적 조절성을 가진다.
단계 S120: 다중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획득한다.
본 단계에서, 단계 S110에서 사용자 장치가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중 테스트 빔을 획득하였기 때문에, 단계 S120에서 다중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후속 단계에서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원하는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장치가 다중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측정 프로그램에 따라 측정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에서 다중 기준 신호 자원의 수신을 검출하면, 상기 기설정된 측정 프로그램에 따라 다중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얻거나, 또는 작업자가 감지 장치를 설치하여 수신된 기준 신호 자원을 감지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감지 장치가 기준 신호 자원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면, 테스트 빔을 수신하였음을 설명하므로, 다중 테스트 빔의 다중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 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빔 측정 정보에는:
기준 신호 자원의 수신 신호;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기준 신호 수신 품질;
신호 대 잡음비;
신호 대 간섭 대 잡음비;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실시예에 나열된 빔 측정 정보는 단지 특정 예시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구체적 적용 시나리오에서 더 적거나 많은 빔 측정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후속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은 구체적으로 물리 계층 기준 신호 수신 전력 L1-RSRP일 수 있으며, 또는 구체적으로 물리 계층 신호 대 간섭 대 잡음비 L1-SINR 등일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0: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한다.
본 단계에서, 단계 S120에서 이미 다중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획득하였으므로, 사용자 장치는 단계 S130에서 수신된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추가로 선별하여 요구에 부합되는 타겟 측정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후속 단계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계 S130 이후의 단계에 대해 더 설명하며, 단계 S130 이후에 단계 S150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계 S150: 송신 장치로 타겟 빔에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의 인덱스 정보를 전송한다.
타겟 빔은 타겟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테스트 빔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단계에서는 기지국으로 타겟 측정 정보에 해당하는 테스트 빔에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의 인덱스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이 상기 인덱스 정보와 타겟 측정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면서 빔 예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인덱스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의 특정 내용을 판단하여 얻는데 도움을 주어 기지국의 빔 예측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계 S130에 대해 더 설명한다.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단계 S130는 단계 S13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계 S131은 아래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잇어서, 다중 빔 측정 정보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고,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는 다중 빔 측정 정보를 고품질과 저품질의 순서로 정렬하여 정렬된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고, 제1 측정 정보 서열 중 각각의 빔 측정 정보의 고품질과 저품질은 순서에 의해 구분할 수 있으므로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타겟 측정 정보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타겟 측정 정보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다중 빔 측정 정보이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기지국이 빔 예측을 진행함에 있어서 더 나은 효과를 가지도록 하고,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히 도움이 되므로,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이고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함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기설정된 개수는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지시 방식은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의해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직접 지시하는 경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는 제1 기설정된 개수로서 특정 값을 지시할 수 있고, 보고 빔 측정 정보에 대한 일부 내용(예를 들어 영역)의 개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간접적으로 지시하는 경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는 제1 기설정된 개수와 연관된 간접 파라미터, 예를 들어, 보고 비례 파라미터를 지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장치가 측정된 다중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보고 비례 파라미터와 측정된 다중 빔 측정 정보의 개수의 곱을 계산하여 보고할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정보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빔 정보 그룹 중에서 품질이 가장 좋은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정보 그룹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각각의 빔 정보 그룹에서 품질이 가장 좋은 빔 측정 정보를 각각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정보 그룹 각각에서 품질이 가장 좋은 하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최종적으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품질이 비교적 좋은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기지국이 빔 예측을 진행함에 있어서 더 나은 효과를 가지도록 하며,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히 도움이 되므로,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이고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함을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각각의 빔 측정 정보의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2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고,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2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차례로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 빔 측정 정보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는 빔 측정 정보의 품질을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해당 비율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2 측정 정보 서열을 얻고, 정렬된 제2 측정 정보 서열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제2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킷 측정 정보로 하고, 선택된 타겟 측정 정보는 상대적으로 품질이 높은 다중 빔 측정 정보이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기지국이 빔 예측을 진행함에 있어서 더 나은 효과를 가지도록 하며,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히 도움이 되므로,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이고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함을 이해할 수 있다.
제2 측정 정보 서열과 제1 측정 정보 서열의 정렬 방식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며, 즉 둘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특정 그룹화 기준에만 관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더 제한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측정 정보 서열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히 도움이 되므로,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이고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함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무작위로 선택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매번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한 후,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나머지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다음 것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식으로, 이와 유사하게 마지막으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얻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다중 빔 측정 정보로부터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무작위로 한 번만 선택한다.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기설정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에 대응되는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타겟 측정 정보로 선택한다.
본 단계에서, 대응하는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가 이미 결정되었으므로,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기설정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할 수 있다. 즉 타겟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에 대응하는 빔 측정 정보를 타겟 측정 정보로 선택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히 도움이 되므로,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이고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함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설정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는 미리 정의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일 수 있으며, 고정적으로 설정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 예를 제공하여 상기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 1:
기지국의 빔 예측에 있어서 L1-RSRP 또는 L1-SINR이 큰 빔 측정 정보가 더 중요하고, 서로 인접하는 빔 품질의 변화가 큰 빔 방향에 포함된 정보가 더 풍부한 점을 고려하면, 기지국의 모델 추리와 빔 예측에 더 유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L1-RSRP 또는 L1-SINR이 더 큰 앞의 다중 송신 빔을 보고하거나, 또는 서로 인접한 기준 신호의 L1-RSRP 또는 L1-SINR 비율이 비교적 큰 앞 다중 송신 빔을 고려하여, 사용자 장치가 빔 품질이 양호하거나 인접한 빔 품질의 변화가 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기만 하면 오버헤드를 줄이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송신단 빔 조절을 실현하기 위해, 기지국은 먼저 서로 다른 송신 빔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치로 구성된 M개의 기준 신호 및 /또는 비례 계수(ρ)(0<ρ≤1) 및/또는 보고 빔 개수 K(1≤K≤M)를 전송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는 빔 품질 측정 내용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비례 계수(ρ)는 보고된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동적으로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K는 사용자 장치가 보고해야 할 빔 측정 정보의 개수 또는 빔 측정 정보의 간격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비례 계수(ρ) 및 /또는 보고 빔 개수(K)가 구성되지 않거나 기본 값인 경우, 사용자 장치가 모든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해야 하거나 기존 보고 방식으로 돌아가야 함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각각의 "○"는 하나의 테스트 빔을 나타내고, 사용자 장치는 빔 품질이 비교적 양호한 앞의 다중 빔만 보고한다. 여기서 도 3의 빔 품질 정보는 구체적으로 L1-RSRP로 나타내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 3에서는 간단히 "전력"으로 기재한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되는 M개의 기준 신호를 측정한 후, 측정된 빔 품질 정보 L1-RSRP를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으로 정렬하여, 도 3과 같이 "전력이 강한 빔"을 결정하고, 더 큰 값을 갖는 앞 N개 빔 품질 정보를 선택한다. 여기서 또는 또는 K, 및 는 각각 상향 반올림 기호와 하향 반올림 기호를 나타낸다. 그 다음, 사용자 장치는 이 N개 빔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 및 빔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는 빔 품질이 비교적 양호한 처음 다중 빔만을 보고한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되는 M개의 기준 신호를 측정한 후 M개의 빔 품질 정보(L1-RSRP 또는 L1-SINR)를 획득한다. 그 다음, 이 M개의 빔 품질 정보를 차례로 다중 빔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빔 그룹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개수는 K개이다. 사용자 장치는 각각의 빔 그룹 내 빔 품질 정보의 크기를 비교하고, 각각의 빔 그룹 내 최대 빔 품질 정보와 해당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는 다중 빔을 무작위로 보고한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되는 M개의 기준 신호를 측정한 후 N개의 빔 품질 정보(L1-RSRP 또는 L1-SINR) 무작위로 선택한다. 여기서 또는 또는 K, 및 는 각각 상향 반올림 기호와 하향 반올림 기호를 나타낸다. 그 다음, 사용자 장치는 이 N개 빔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 및 빔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는 고정된 인덱스를 갖는 다중 빔을 보고한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되는 M개의 기준 신호를 측정한 후, 미리 정의되거나 고정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에 해당하는 N개의 빔 품질 정보(L1-RSRP 또는 L1-SINR)를 선택한다. 여기서 또는 또는 K, 및 는 각각 상향 반올림 기호와 하향 반올림 기호를 나타낸다. 그 다음, 사용자 장치는 이 N개 빔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 및 빔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각각의 "○"는 테스트 빔을 나타내고, 사용자 장치는 빔 품질 변화가 큰 일부 빔 쌍만 보고하며, 여기서 도 4의 빔 품질 정보는 구체적으로 L1-RSRP로 나타낸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 4에서는 간단히 "전력"으로 기재한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되는 M개의 기준 신호를 측정한 후, 서로 인접한 기준 신호의 빔 품질 정보 L1-RSRP의 비율을 계산하고 이를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정렬하여 도 4와 같이 "인접 빔 전력비가 큰 빔"을 결정하고, 비율이 더 큰 앞 N개의 빔 품질 정보를 선택한다. 여기서 또는 또는 K, 및 는 각각 상향 반올림 기호와 하향 반올림 기호를 나타낸다. 그 다음, 사용자 장치는 이 N개 빔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 및 빔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은 사용자 장치가 보고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빔 품질 정보를 AI 모델의 입력으로 하여 AI 기반 빔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송수신 빔 쌍을 추리하거나, 또는 기지국은 사용자 장치가 보고한 빔 측정 정보에 대해 보간, 제로 패딩, 잡음 감소, 차원 상승 등의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여 AI 모델의 입력과 일치시키고 잡음에 대한 네트워크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며, 데이터 전처리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빔 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다시 AI 기반 빔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송수신 빔 쌍을 추리한다. 모든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보고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보고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비례 계수(ρ) 또는 보고 빔 개수(K)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고 오버헤드와 빔 예측 성능을 겸비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130에 대해 더 설명하되, 빔 보고 지시 정보가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와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빔 측정 정보의 최소 설정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단계 S130은 단계 S132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2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기설정된 품질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품질이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 기설정된 품질 임계값 조건을 통해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품질이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며, 이는 제1 기설정된 임계값이 기설정된 품질 요구를 만족하는 값이기 때문에 품질이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 측정 정보가 요구 사항을 만족한다고 판단하여 품질이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 측정 정보를 타겟 측정 정보로 할 수 있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이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기설정된 품질비율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빔 측정 정보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가 제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 기설정된 품질비율 임계값 조건을 통해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품질이 제 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제2 기설정된 임계값이 설정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의 임계값이기 때문에 빔 측정 정보의 품질이 높은지 낮은지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가 제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빔 측정 정보가 요구 사항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어 품질이 제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 측정 정보를 타겟 측정 정보로 할 수 있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이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서어, 기설정된 품질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품질이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빔 측정 정보의 최소 설정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품질이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 측정 정보의 개수가 최소 설정 개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품질이 높은 것부터 낮은 것 순으로 정렬하여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얻고,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최소 설정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 기설정된 품질 임계값 조건을 통해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품질이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며, 제1 기설정된 임계값이 설정된 품질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값이므로, 품질이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빔 측정 정보가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나아가 이 부분 빔 측정 정보의 개수가 보고된 최소 설정 개수의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중 빔 측정 정보에 대한 품질 정렬 결과에 따라, 최소 설정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이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기설정된 품질비율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빔 측정 정보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가 제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빔 측정 정보의 최소 설정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빔 측정 정보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가 제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빔 측정 정보의 개수가 최소 설정 개수 미만으로 판단되면,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품질이 높은 것부터 낮은 것으로 정렬하여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얻고,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최소 설정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 기설정된 품질비율 임계값 조건를 통해 다중 빔 측정 정보로부터 다중 빔 측정 정보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가 제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제2 기설정된 임계값이 설정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의 임계값이기 때문에 빔 측정 정보의 품질이 높은지 낮은지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가 제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빔 측정 정보가 요구 사항을 만족한다고 판단하고, 나아가 이 부분 빔 측정 정보의 개수가 보고된 최소 설정 개수의 요구를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중 빔 측정 정보에 따라 품질을 정렬한 결과에 따라 최소 설정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이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기설정된 임계값 및 제2 기설정된 임계값은 기설정된 품질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구체적인 상황에 맞게 지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상기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 2:
기지국의 빔 예측에 있어서 L1-RSRP 또는 L1-SINR이 큰 빔 측정 정보가 더 중요하고, 서로 인접하는 빔 품질의 변화가 큰 빔 방향에 포함된 정보가 더 풍부한 점을 고려하면, 기지국 측의 모델 추리와 빔 예측에 더 유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에서는, L1-RSRP 또는 L1-SINR이 더 큰 앞의 다중 송신 빔을 보고하거나, 서로 인접하는 기준 신호의 L1-RSRP 또는 L1-SINR 비율이 비교적 큰 앞의 다중 송신 빔을 고려하게 된다. 즉 사용자 장치가 빔 품질이 양호하거나 서로 인접하는 빔 품질의 변화가 큰 기준 신호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만 하면 되므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송신단 빔 조절을 실현하기 위해, 기지국은 먼저 서로 다른 송신 빔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치로 구성된 M개의 기준 신호 및 /또는 절대 임계값(α) 및/또는 비례 임계값(β) 및/또는 최소 보고 개수(W)(W≥1)를 전송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는 테스트 빔의 신호를 제공하고, 절대 임계값(α)은 빔 품질이 좋은 송신 빔을 스크리닝하고, 비례 임계값(β)은 빔 정보가 풍부한 송신 빔을 스크리닝한다. W는 사용자 장치가 보고하는 빔 개수의 하한을 한정한다. 절대 임계값(α) 및/또는 비례 임계값(β) 및/또는 최소 보고 개수(W)가 구성되지 않거나 기본 값인 경우, 사용자 장치는 모든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해야 하거나 기존 보고 방식으로 돌아가야 함을 의미한다.
그 다음, 사용자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되는 M개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M개의 빔 품질 정보(L1-RSRP 또는 L1-SINR)를 얻는다. 사용자 장치는 빔 품질 정보가 절대 임계값(α)보다 큰 다중 기준 신호를 선택하고, 해당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 및 빔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 하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는 인접 기준 신호의 빔 품질 정보의 비율을 계산하여, 비율이 비례 임계값(β)보다 크고 및/또는 빔 품질 정보가 절대 임계값(α)보다 큰 다중 기준 신호를 선택하고, 해당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 및 빔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빔 품질 정보가 절대 임계값(α)보다 큰 기준 신호의 개수가 W보다 작거나, 또는 인접 빔 품질 정보의 비율이 비례 임계값(β)보다 크고 및/또는 빔 품질 정보가 절대 임계값(α)보다 큰 기준 신호의 개수가 W보다 작으면, 사용자 장치는 모든 기준 신호의 빔 품질 정보를 큰 것에서 작은 것 순으로 정렬하고, 처음 W개 비교적 큰 빔 품질 정보와 해당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을 선택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은 사용자 장치가 보고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빔 품질 정보를 AI 모델의 입력으로 하여 AI 기반 빔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송수신 빔 쌍을 추리하거나, 또는 기지국에서 사용자 장치가 보고한 빔 측정 정보에 대해 보간, 제로 패딩, 잡음 감소, 차원 상승 등의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여 AI 모델의 입력과 일치시키고 잡음에 대한 네트워크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며, 데이터 전처리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빔 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다시 AI 기반 빔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송수신 빔 쌍을 추리한다. 모든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보고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보고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절대 임계값(α) 및/또는 비례 임계값(β)을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고 오버헤드와 빔 예측 성능을 겸비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130에 대해 더 설명하되, 빔 보고 지시 정보가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와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단계 S130는 단계 S133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3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다중 빔 측정 정보는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되어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고,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와 인접하는 타겟 인접 영역 내의 모든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는, 먼저,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통해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품질이 비교적 좋은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정렬하여 선택하고, 다시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이 나타내는 테스트 빔의 영역 특성에 따라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와 서로 인접하는 타겟 인접 영역 내 모든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즉 품질이 비교적 높은 빔 측정 정보의 타겟 인접 영역 내 기타 빔 측정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이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제2 기설정된 개수의 측정 윈도우로 분할하고, 각각의 측정 윈도우의 모든 빔 측정 정보의 합에 따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다중 측정 윈도우를 정렬하여 제3 측정 정보 서열을 얻고,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3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 먼저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통해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제2 기설정된 개수의 측정 윈도우로 분할하고, 각각의 측정 윈도우를 측정 윈도우 내 빔 측정 정보의 합에 따라 품질을 배열한다. 측정 윈도우의 빔 측정 정보의 합의 크기가 측정 윈도우의 빔 측정 정보의 전체 품질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술한 단계를 통해 제3 측정 정보 서열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품질의 측정 윈도우를 구분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제3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할 수 있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이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기설정된 개수와 유사하게, 제2 기설정된 개수도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지시된다. 구체적인 지시 방식은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황에 맞게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 기설정 개수에 대해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 예를 제공하여 상기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 3:
최적의 송신 빔이 주변의 빔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L1-RSRP 또는 L1-SINR이 비교적 큰 다중 송신 빔을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L1-RSRP 또는 L1-SINR이 비교적 큰 다중 빔 영역을 보고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 장치는 일부 송신 빔과 그 인접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만 하면 되므로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송신단 빔 조절을 실현하기 위해, 기지국은 먼저 M개 기준 신호 및 /또는 비례 계수(ρ)(0<ρ≤1) 및/또는 보고 빔 영역 개수 K(1≤K≤M) 및/또는 이웃 영역 인자(Ω)를 구성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는 테스트 빔의 신호를 제공하며, 비례 계수(ρ)는 보고된 측정 빔의 개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K는 사용자 장치가 보고해야 할 기준 신호 영역의 개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웃 영역 인자(Ω)는 보고해야 할 인접 영역 빔 범위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비례 계수(ρ) 및 /또는 보고 빔 영역 개수(K) 및/또는 이웃 영역 인자(Ω)가 구성되지 않거나 기본 값인 경우, 사용자 장치는 모든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해야 하거나 기존 보고 방식으로 돌아가야 함을 의미한다. 또는 Ω이 구성되지 않았거나 Ω의 기본값이 0인 경우, 사용자 장치가 빔 품질이 비교적 좋은 앞 다중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해야 함을 나타낸다. 또는 Ω이 구성되지 않았거나 Ω의 기본값이 1인 경우, 사용자 장치가 빔 품질이 비교적 좋은 앞 다중 빔 및 인접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해야 함을 나타낸다. Ω가 1 이상인 경우, 사용자 장치가 빔 품질이 비교적 좋은 앞 다중 빔 및 복수의 인접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해야 함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각각의 "○"는 테스트 빔을 나타내고, 도 5의 빔 품질 정보는 구체적으로 L1-RSRP로 나타내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 5에서는 간단히 "전력"으로 기재한다. 사용자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되는 M개 기준 신호를 측정한 후, 측정된 빔 품질 정보 L1-RSRP를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으로 정렬하여, 도 5와 같이 "전력이 강한 빔"을 결정하고, 더 큰 값을 갖는 앞 N개 빔 품질 정보를 선택한다. 여기서 또는 또는 K, 및 는 각각 상향 반올림 기호와 하향 반올림 기호를 나타낸다. 이들 N개 빔에 해당하는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를 ri (1≤i≤N)로 정의하면, 사용자 장치는 [ri -Ω, ri+Ω](1≤i≤N)범위 내의 모든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 및 해당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각각의 "○"는 테스트 빔을 나타내고, 도 6의 빔 품질 정보는 구체적으로 L1-RSRP로 나타내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 6에서는 간단히 "전력"으로 기재한다. 사용자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되는 M개 기준 신호를 측정한 후 M개의 빔 품질 정보 L1-RSRP를 획득한다. 그 다음, 서로 인접하는 Ω개 기준 신호를 하나의 측정 윈도우로 구성하고, 각각의 측정 윈도우의 빔 품질 정보(L1-RSRP 또는 L1-SINR )의 총합을 계산하고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으로 정렬한다. 도 6의 "총 전력이 강한 윈도우 내 빔"과 같이, 비교적 큰 앞 N개 측정 윈도우를 선택하고, 여기서 또는 또는 K, 및 는 각각 상향 반올림 기호와 하향 반올림 기호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장치는 이 N개 측정 윈도우 내 모든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와 해당 빔 측정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은 사용자 장치가 보고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빔 품질 정보를 AI 모델의 입력으로 하여 AI 기반 빔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송수신 빔 쌍을 추리하거나 또는 기지국에서 사용자 장치가 보고한 빔 측정 정보에 대해 보간, 제로 패딩, 잡음 감소, 차원 상승 등의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여 AI 모델의 입력과 일치시키고 잡음에 대한 네트워크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며, 데이터 전처리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빔 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다시 AI 기반 빔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송수신 빔 쌍을 추리한다. 모든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보고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보고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비례 계수(ρ) 또는 보고 빔 개수(K) 또는 이웃 영역 인자(Ω)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고 오버헤드와 빔 예측 성능을 겸비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130에 대해 더 설명한다.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단계 S130는 단계 S134 내지 단계 S135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4: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한다.
단계 S135: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와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한다.
본 단계에서, 최적의 송신빔이 이웃 영역 빔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사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한다. 즉 각각의 빔 측정 정보의 이웃 영역 서브세트 빔 측정 정보를 고려하여, 더욱이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요구에 부합되는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한다. 선택된 이 부분 빔 측정 정보 품질은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이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134에 대해 더 설명하되, 빔 보고 지시 정보에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단계 S134는 단계 S1341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계 S1341: 각각의 빔 측정 정보에 대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빔 측정 정보를 빔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한다.
본 단계에서는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사용자 장치로 각각의 빔 측정 정보의 이웃 영역 서브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시 정보를 통해 빔 측정 정보를 빔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할 수 있어, 후속 단계에서 바인딩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따라 타겟 측정 정보를 더 선택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계 S134에 대해 더 설명한다. 단계 S134는 단계 S1342 내지 단계 S134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42: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송신 패턴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1343: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송신 패턴 정보에 따라 각각의 빔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한다.
단계 S1344: 각각의 빔 측정 정보에 대해 빔 측정 정보를 빔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한다.
본 단계에서는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송신 패턴 정보가 다중 테스트 빔의 파라미터 특징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송신 패턴 정보를 통해 대응하는 테스트 빔을 결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빔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여 빔 측정 정보를 빔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함으로써 후속 단계에서 바인딩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기반으로 타겟 측정 정보를 더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135에 대해 더 설명한다. 단계 S135는 단계 S1351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51은 적어도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다중 빔 측정 정보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고,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가 바인딩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하의 모든 빔 측정 정보를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는, 먼저,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품질에 따라 정렬하여 정렬된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얻음으로써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품질이 비교적 좋은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다시 선택된 빔 측정 정보의 이웃 영역 서브 인덱스를 고려하여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와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가 바인딩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하의 모든 빔 측정 정보를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이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른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하의 모든 빔 측정 정보의 합에 따라,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4 측정 정보 서열을 얻고, 제4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선택하고,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하의 모든 빔 측정 정보를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본 단계에서는 동일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갖는 빔 측정 정보를 동일 종류의 빔 측정 정보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갖는 빔 측정 정보에 따라 추가적인 비교가 가능하다. 즉, 동일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하의 모든 빔 측정 정보의 합을 비교하여 서로 다른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품질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제4 측정 서열에서에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하의 모든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이 부분 빔 측정 정보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지국의 빔 예측에 충분이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지국으로 다른 빔 측정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기지국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빔 예측 성능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 예를 제공하여 상기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 4:
최적의 송신 빔이 주변 빔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L1-RSRP 또는 L1-SINR이 비교적 큰 다중 송신 빔을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L1-RSRP 또는 L1-SINR이 비교적 큰 다중 빔 영역을 보고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 장치가 일부 송신 빔과 그 인접 빔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만 하면 되므로,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송신단 빔 조절을 실현하기 위해, 기지국은 먼저 M개 기준 신호 및 /또는 비례 계수(ρ)(0<ρ≤1) 및/또는 보고 빔 영역 개수 K(1≤K≤M)를 구성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는 테스트 빔의 신호를 제공하고, 비례 계수(ρ)는 보고된 측정 빔의 개수를 조절하며, K는 사용자 장치가 보고해야 할 기준 신호 영역의 개수를 지시한다. 비례 계수(ρ) 및 /또는 보고 빔 영역 개수(K)가 구성되지 않거나 기본 값인 경우, 사용자 장치가 모든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해야 하거나 기존 보고 방식으로 돌아가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M개 기준 신호를 각각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SubsetIndex에 바인딩한다. 동일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하의 모든 기준 신호의 송신 빔 방향은 서로 인접하며, 1 차원 및 2 차원을 포함한다. 또는 기지국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치에 1 차원 및 2 차원에서의 빔 방향 및 개수를 포함하는 빔 패턴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면, 사용자 장치는 송신 빔 패턴에 따라 각각의 송신 빔의 이웃 영역 서브세트를 자율적으로 추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의 각각의 "○"는 테스트 빔을 나타내고, 도 9의 빔 품질 정보는 구체적으로 L1-RSRP로 나타내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 9에서는 간단히 "전력"으로 기재한다. 사용자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되는 M개 기준 신호를 측정한 후, 측정된 빔 품질 정보 L1-RSRP를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으로 정렬하여, 도 9와 같이 "전력이 강한 빔"을 결정하고, 더 큰 값을 갖는 앞 N개 빔 품질 정보를 선택한다. 여기서 또는 또는 K, 및 는 각각 상향 반올림 기호와 하향 반올림 기호를 나타낸다. 사용자 장치는 이 N개 기준 신호의 인덱스 CRI/SSBRI 및 빔 측정 정보 및 이 N개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 서브세트 내 모든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와 빔 품질 정보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각각의 "○"는 테스트 빔을 나타내고, 도 10의 빔 품질 정보는 구체적으로 L1-RSRP로 나타내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 10에서는 간단히 "전력"으로 기재한다. 사용자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되는 M개 기준 신호를 측정한 후 M개의 빔 품질 정보 L1-RSRP를 획득한다. 그 다음, 동일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SubsetIndex 내 빔 품질 정보의 총합을 계산하여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으로 정렬한다. 도 4와 같이 "총 전력이 강한 테스트 빔 서브세트"를 결정하고, 비교적 큰 앞 N개 이웃 영역 서브세트를 선택한다. 여기서 또는 또는 K, 및 는 각각 상향 반올림 기호와 하향 반올림 기호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장치는 이 N개 이웃 영역 서브세트 내 모든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와 해당 빔 측정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은 사용자 장치가 보고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빔 품질 정보를 AI 모델의 입력으로 하여 AI 기반 빔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송수신 빔 쌍을 추리하거나 또는 기지국에서 사용자 장치가 보고한 빔 측정 정보에 대해 보간, 제로 패딩, 잡음 감소, 차원 상승 등의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여 AI 모델의 입력과 일치시키고 잡음에 대한 네트워크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며, 데이터 전처리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빔 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다시 AI 기반 빔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송수신 빔 쌍을 추리한다. 모든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보고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보고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비례 계수(ρ) 또는 보고 빔 영역 개수(K) 또는 이웃 영역 서브세트의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고 오버헤드와 빔 예측 성능을 겸비하였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계 S130에 대해 더 설명한다. 빔 보고 지시 정보가 다차원으로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타겟 측정 정보는 절대값 보고 방식으로 기지국에 송신하는 제1 타겟 측정 정보와 차등 보고 방식으로 기지국에 송신하는 제2 타겟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130은 단계 S136 내지 단계 S137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단계 S136: 다차원으로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제1 기설정된 개수의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한다.
단계 S137: 각각의 테스트 빔 서브세트에서 품질이 가장 높은 빔 측정 정보를 제1 타겟 측정 정보로 선택하고, 각각의 테스트 빔 서브세트에서 품질이 가장 높은 빔 측정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빔 테스트 정보를 제2 타겟 측정 정보로 선택한다.
본 단계에서는 다차원으로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통해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서브세트로 분할하고, 분할하여 얻은 서브세트에서 품질이 가장 좋은 빔 측정 정보를 제1 타겟 측정 정보 및 분할하여 얻은 서브세트에서 제1 타겟 측정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제2 타겟 측정 정보로 한다. 제1 타겟 측정 정보는 절대값 보고 방식으로 기지국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제2 타겟 측정 정보는 차등 보고 방식으로 기지국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므로, 다차원 형식으로 기지국으로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전송 즉 기준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증가함으로써 기존 기술적 방안에 비해 빔 보고 오버헤드와 기지국 측의 빔 예측 성능을 겸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준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증가시켜 빔 측정 정보 보고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기지국의 빔 예측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제한 없이 더 다양한 차원으로 더 많은 타겟 측정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더 많은 타겟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의 빔 예측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기본 원리는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계 S136에 대해 더 설명한다. 빔 측정 정보에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이 포함되는 경우, 단계 S136는 단계 1361 내지 단계 S136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61: 다중 기준 신호의 수신 품질을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5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한다.
단계 S1362: 다차원으로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5 측정 정보 서열에서 다중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을 제1 기설정된 개수의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한다.
본 단계에서,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을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5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여, 품질에 따라 다중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을 제1 기설정된 개수의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테스트 빔 서브세트는 차이성을 반영하기 위해 다수의 서로 다른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후속 단계에서 테스트 빔 서브세트를 기반으로 타겟 측정 정보를 얻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136에 대해 더 설명한다. 단계 S136은 단계 S136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363: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수신 빔 정보가 결정되면, 다차원으로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하는 지시 정보 및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수신 빔 정보에 따라 동일한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수신 빔 정보에 대응하는 빔 측정 정보를 동일한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한다.
본 단계에서는,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수신 빔 정보가 기준 신호 자원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의 수신 빔 정보를 특성화할 수 있으므로, 다차원으로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하는 지시 정보 및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수신 빔 정보에 따라 동일 수신 빔에 대응하는 빔 측정 정보를 동일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할 수 있다.
테스트 빔 서브세트를 분할하는 방식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균등하게 분할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빔 서브세트를 분할할 수 있다. 즉, 모든 빔 측정 정보는 제1 기설정된 개수의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균등하게 분할되거나, 또한, 예를 들어 매번 모든 빔 측정 정보에서 하나만 선택하여 분류한다. 이렇게 유추하면, 모든 빔 측정 정보를 분류하여 최종 테스트 빔 서브세트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상술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 5:
기존의 빔 보고 메커니즘에 비해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빔 예측 방법은 보고해야 할 빔 수가 더 많고, 빔 품질 정보(L1-RSRP 또는 L1-SINR) 값 범위도 더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이고, 보고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중 기준 빔 품질 정보, 즉 다중 기준 RSRP 또는 기준 SINR 설정을 고려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RSRP 보고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선택된 다중 기준 RSRP는 절대값 보고 방식을 사용하고, 다른 기준 신호에 대응하는 RSRP는 차등 방식으로 보고된다.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송신단 빔 조절을 실현하기 위해, 기지국은 먼저 M개 기준 신호 및/또는 기준 RSRP 인자(γ)를 구성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는 테스트 빔 신호를 제공하고, γ는 기준 RSRP의 개수를 지시한다. γ가 구성되지 않거나 γ가 기본값으로 설정된 경우, 이는 참조 RSRP의 개수가 1임을 나타내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기준 RSRP의 개수를 자체적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기존 보고 방식으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사용자 장치가 서로 다른 송신 빔에서 전송된 M개 기준 신호를 측정 한 후, 측정된 빔 품질 정보 RSRP는 γ개의 서브세트로 나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M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 RSRP를 큰 것부터 작은 것으로의 순서로 정렬하여 이를 γ개의 서브세트로 균등하게 나누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는 수신 빔 방향이 다름에 따라 M개의 기준 신호 수신 전력 RSRP를 γ개의 서브세트로 나눈다.
L1-RSRP의 보고에 대해, 각각의 서브세트의 최대 RSRP를 기준 RSRP로 하고, 절대값 보고 방식을 채택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서브세트의 최대 RSRP는 1dB의 단계 크기를 갖는 [-140,-44] dBm 범위 내의 7비트 페이로드로 양자화되고, 동시에 페이로드 수를 늘리거나 단계 크기를 줄여 보고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이러한 γ개 기준 RSRP 및 해당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를 보고해야 한다. 각각의 서브세트의 기타 RSRP는 동일 서브세트에서 최대 RSRP를 기준 RSRP로 하고, 차등 보고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차등 RSRP는 2dB의 단계 크기를 갖는 [-30, 0] dB 범위 내의 4비트 페이로드로 양자화되며, 동시에 페이로드 수를 줄이거나 단계 크기를 증가시켜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차등 RSRP를 보고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는 차등 RSRP 및 해당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를 보고하는 이외에, 기준이 된 최대 RSRP 및/또는 최대 RSRP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CRI/SSBRI도 보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지국은 사용자 장치가 보고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빔 품질 정보를 AI 모델의 입력으로 하여 AI 기반 빔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송수신 빔 쌍을 추리하거나 또는 기지국에서 사용자 장치가 보고한 빔 측정 정보에 대해 보간, 제로 패딩, 잡음 감소, 차원 강화 등의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여 AI 모델의 입력과 일치시키고 잡음에 대한 네트워크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며, 데이터 전처리된 기준 신호 자원 인덱스 및/또는 빔 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은 다시 AI 기반 빔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송수신 빔 쌍을 추리한다. 동일 보고 실례 중의 최대 측정 RSRP만 기준 RSRP로 선택하는 것에 비해, 본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은 기준 RSRP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고 오버헤드, RSRP 보고 정확성 및 빔 예측 성능을 겸비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 중 임의의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통해 어떤 보고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치에 CSI 피드백 량을 보고할지 지시한다. 동시에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통해 이 보고 방식으로 사용자 장치에 필요한 보조 정보를 지시하고, 보고 빔 개수 및/또는 보고 비례 계수 및/또는 기설정된 임계값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140: 송신 장치가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도록 송신 장치로 타겟 측정 정보를 송신한다.
본 단계에서, 사용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테스트 빔에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획득하고, 기지국으로부터의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기지국으로 보고할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획득할 수 있다. 즉, 측정된 모든 빔 측정 정보를 기지국에 보낼 필요는 없으며, 모든 빔 측정 정보 중에서 일부 빔 측정 정보만 선택하여 발송하면 되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고, 업링크 전송 부담을 줄일 수 있어 기지국은 보고된 일부 빔 측정 정보의 도움을 기반으로 빔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기지국의 성능 예측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빔 훈련 오버헤드, 측정 전력 소비 및 처리 지연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사용자 장치 측의 빔 보고 오버헤드와 기지국 측의 빔 예측 성능을 겸비할 수 있으므로, 관련 방법의 기술적 공백을 커버할 수 있다.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며,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내 이미 훈련되어 이식된 인공지능 AI 모델을 기반으로 예측할 수 있고, 타겟 측정 정보가 기지국 측의 AI 빔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한 예측은 AI 모델의 견고성 및 보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작업자는 수신한 타겟 측정 정보를 훈련된 기지국 내부의 빔 예측 네트워크에 입력하여 빔 예측 네트워크에서 출력되는 최적의 빔 결과 등을 얻는다.
최적의 빔 결과에는,
적어도 하나의 최적의 빔 쌍; 및
적어도 하나의 최적의 빔 쌍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쌍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최적의 빔 결과는 하나 이상의 최적의 빔 쌍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각의 최적의 빔 쌍은 하나의 최적의 송신 빔과 하나의 최적의 수신 빔을 포함하며,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선택 및 설정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며, 상기 빔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지국(120)과 같은 송신 장치에 적용된다. 상기 빔 관리 방법은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210: 수신 장치로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중 테스트 빔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송신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지국(120)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실시예의 수신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자 장치(110)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대응하는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적용 시나리오 및 원리를 보다 간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각각의 관련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을 송신 장치로, 사용자 장치를 수신 장치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 실시예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단계에서, 사용자 장치로 빔 보고 지시 정보와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중 테스트 빔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장치가 빔 보고 지시 정보와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중 테스트 빔을 기반으로 타겟 측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겟 측정 정보는 기지국에 제공되어 빔 예측에 사용된다.
유의해야 할 점은, 송신 장치의 빔 송신 방향은 다양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동작 로직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작업자의 제어 하에 결정되며, 송신 장치가 모든 빔 송신 방향을 결정한 경우, 송신 장치는 그 중 적어도 일부 빔 송신 방향에서 선택할 수 있다. 즉 빔 전송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두 가지 경우로 구성하여 다중 테스트 빔을 얻을 수 있다.
다중 테스트 빔은 서로 다른 빔 스캐닝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테스트 빔의 구체적인 개수는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준 신호 자원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CSI-RS 자원; 및
동기화 신호 블록 SSB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은 CSI-RS 자원 및/또는 SSB 자원일 수 있으며, 상기 자원을 구성하여 사용자 장치 측의 빔 측정, 스캐닝을 구현하며, CSI-RS 자원 및 SSB 자원은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S220: 수신 장치에 의해 전송된 타겟 측정 정보를 수신한다.
타겟 측정 정보는 수신 장치에 의해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선택하여 얻고, 빔 측정 정보는 수신 장치에 의해 다중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얻어진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본 단계에서는 단계 S210에서 이미 사용자 장치로 빔 보고 지시 정보와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중 테스트 빔이 전송되었으므로, 사용자 장치는 빔 보고 지시 정보와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중 테스트 빔을 기반으로 타겟 측정 정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후속 단계에서 상기 타겟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빔 예측을 하도록 한다.
빔 보고 지시 정보는,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 여기서,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은 기설정된 품질 임계값 조건 또는 기설정된 품질비율 임계값 조건을 포함함 - ;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다양한 차원에서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 중,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다양한 차원에서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각각 지시에 사용될 수 있고, 그 중 둘 이상이 결합되어 지시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지시 정보의 구체적인 적용 시나리오는 아래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단계적으로 설명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실행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빔 보고 지시 정보가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빔 측정 정보의 절대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빔 측정 정보의 비례 계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절대 개수는 보고된 빔 측정 정보의 실제 개수를 의미하고, 비례 계수는 모든 빔 측정 정보 개수에 대한 보고된 빔 측정 정보의 실제 개수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모두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속함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서 빔 측정 정보의 절대 개수를 보고하도록 하는 지시 및/또는 빔 측정 정보의 비례 계수를 보고하도록 하는 지시는 필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정될 수 있다. 즉, 더 많은 적용 시나리오에 더 적합할 수 있도록 동적 조절성을 가진다.
빔 측정 정보에는:
기준 신호 자원의 수신 신호;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기준 신호 수신 품질;
신호 대 잡음비;
신호 대 간섭 대 잡음비;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실시예에 나열된 빔 측정 정보는 단지 특정 예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구체적 적용 시나리오에서 더 적거나 많은 빔 측정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230: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한다.
본 단계에서, 사용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테스트 빔에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빔 측정 정보를 획득하고, 기지국으로부터의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기지국으로 보고해야 할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측정된 모든 빔 측정 정보를 기지국에 보낼 필요는 없으며, 모든 빔 측정 정보 중 일부 빔 측정 정보만 선택하여 송신하므로, 빔 보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고, 상향링크 전송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보고된 일부 빔 측정 정보의 도움을 받아 빔 예측을 하며, 이는 기지국의 빔 예측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빔 트레이닝 오버헤드, 측정 전력 소비 및 처리 지연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사용자 장치 측의 빔 보고 오버헤드 및 기지국 측의 빔 예측 성능을 겸비할 수 있어 관련 방법의 기술적 공백을 메울 수 있다.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며,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내 이미 훈련되어 이식된 인공지능 AI 모델을 기반으로 예측할 수 있고, 타겟 측정 정보가 기지국 측의 AI 빔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한 예측은 AI 모델의 견고성 및 보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작업자는 수신한 타겟 측정 정보를 훈련된 기지국 내부의 빔 예측 네트워크에 입력하여 빔 예측 네트워크에서 출력되는 최적의 빔 결과 등을 얻는다.
최적의 빔 결과에는,
적어도 하나의 최적의 빔 쌍;
적어도 하나의 최적의 빔 쌍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 쌍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최적의 빔 결과는 하나 이상의 최적의 빔 쌍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각의 최적의 빔 쌍은 하나의 최적의 송신 빔과 하나의 최적의 수신 빔을 포함하며,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선택 및 설정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230 전에 단계 S24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240: 수신 장치에 의해 전송된 타겟 빔에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의 인덱스 정보를 수신한다.
타겟 빔은 타겟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테스트 빔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단계에서는, 타겟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테스트 빔에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의 인덱스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인덱스 정보와 타겟 측정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면서 빔 예측을 수행할 수 있고, 인덱스 정보의 도움을 받아 최적의 빔 결과의 특정 내용을 판단하여 빔 예측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계 S230에 대해 더 설명한다. 단계 S230은 단계 S231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231: 타겟 측정 정보와 타겟 빔에 대해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의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여 얻는다.
본 단계에서는, 타겟 측정 정보와 타겟 빔에 구성된 기준 신호 자원의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빔 예측을 수행하여 최적의 빔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빔 예측에 대한 실제 효과를 높이고, 빔 예측에 대한 정확성을 높인다.
그 외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220);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실시예의 빔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도 2의 단계 S110 내지 단계 S140, 단계 S150, 단계 S131, 단계 S132, 단계 S133, 도 7의 단계 S134 내지 단계 S135, 단계 S1341, 도 8의 단게 S1342 단계 내지 단계 S1344, 단계 S1351, 도 11의 단계 S136 내지 단계 S137, 도 12의 단계 S1361 내지 단계 S1362 또는 단계 S1363을 포함한하는 사용자 장치(200)를 더 제공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320);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의 빔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도 13의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 단계 S240 또는 단계 S231을 포함하는 기지국(300)을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는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의 빔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으며, 컴퓨터 장치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명령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하여 컴퓨터 장치가 상술한 임의의 실시예의 빔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상기 개시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이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물리적 구성 요소 또는 모든 물리적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실시될 수 있고, 또는 하드웨어 또는 전용 집적 회로와 같은 집적 회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저장 매체(또는 비일시적 매체) 및 통신 매체(또는 임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분포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용어 컴퓨터 저장 매체는, 정보(예: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에서 실시하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제거 가능 또는 제거 불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기타 자기 스토리지 장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공지한 것은, 통신 매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임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다양한 동등한 변형 또는 대체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등한 변형 또는 대체는 모두 본 특허청구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7)
- 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 적용되고,
송신 장치에서 전송된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수의 테스트 빔을 수신하는 단계;
다수의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여 얻도록 상기 송신 장치로 상기 타겟 측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빔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동기화 신호 블록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는,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은 기설정된 품질 임계값 조건 또는 기설정된 품질비율 임계값 조건을 포함함 - ;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다양한 차원에서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가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빔 측정 정보의 절대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빔 측정 정보의 비례 계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에는,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의 수신 신호;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기준 신호 수신 품질;
신호 대 잡음비;
신호 대 간섭 대 잡음비;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는,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고,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정보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상기 빔 정보 그룹 중에서 품질이 가장 좋은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빔 측정 정보의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빔 측정 정보의 비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2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고,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차례로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가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와 상기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빔 측정 정보의 최소 설정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품질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품질이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품질비율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빔 측정 정보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가 제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품질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에서 품질이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빔 측정 정보의 최소 설정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품질이 상기 제1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가 최소 설정 개수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품질이 높은 것부터 낮은 것 순으로 정렬하여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얻고, 상기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상기 최소 설정 개수의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품질비율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빔 측정 정보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가 제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빔 측정 정보의 최소 설정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빔 측정 정보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빔 측정 정보의 비가 제2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가 상기 최소 설정 개수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품질이 높은 것부터 낮은 것으로 정렬하여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얻고, 상기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최소 설정 개수의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가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와 상기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는,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고,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빔 측정 정보와 인접하는 타겟 인접 영역 내의 모든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제2 기설정된 개수의 측정 윈도우로 분할하고, 각각의 상기 측정 윈도우의 모든 상기 빔 측정 정보의 합에 따라 상기 다중 측정 윈도우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3 측정 정보 서열을 얻고,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는,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하는 단계;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와 상기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대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송신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송신 패턴 정보에 따라 각각의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대해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상기 빔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바인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와 인접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는,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1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고,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빔 측정 정보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선택하고,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빔 측정 정보,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빔 측정 정보가 바인딩된 상기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하의 모든 빔 측정 정보를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상기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하의 모든 빔 측정 정보의 합에 따라, 상기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4 측정 정보 서열을 얻고, 상기 제4 측정 정보 서열에서 첫번째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부터 차례로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를 선택하고, 제1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하의 모든 상기 빔 측정 정보를 타겟 측정 정보로 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가 다차원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겟 측정 정보는 절대값 보고 방식으로 상기 송신 장치로 송신되는 제1 타겟 측정 정보와 차등 보고 방식으로 상기 송신 장치로 송신되는 제2 타겟 측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는 단계는,
다차원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제1 기설정된 개수의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테스트 빔 서브세트에서 품질이 가장 높은 빔 측정 정보를 상기 제1 타겟 측정 정보로 선택하고, 각각의 상기 테스트 빔 서브세트에서 품질이 가장 높은 상기 빔 측정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빔 테스트 정보를 제2 타겟 측정 정보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에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이 포함되는 경우, 다차원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제1 기설정된 개수의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기준 신호의 수신 품질을 높은 품질에서 낮은 품질로 정렬하여 제5 측정 정보 서열을 획득하는 단계;
다차원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5 측정 정보 서열에서 상기 다중 기준 신호 수신 품질을 제1 기설정된 개수의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다차원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를 제1 기설정된 개수의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수신 빔 정보가 결정되면, 다차원으로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수신 빔 정보에 따라 동일한 상기 다중 테스트 빔에 대한 수신 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동일한 상기 테스트 빔 서브세트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타겟 측정 정보를 선택하여 얻은 후,
상기 송신 장치로 타겟 빔에 구성된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의 인덱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타겟 빔은 상기 타겟 측정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테스트 빔인 것인, 빔 관리 방법. - 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송신 장치에 적용되고,
수신 장치로 빔 보고 지시 정보 및 기준 신호 자원으로 구성된 다수의 테스트 빔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장치에서 전송된 타겟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타겟 측정 정보는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에 따라 다중 빔 측정 정보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빔 측정 정보는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다수의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을 측정하여 얻는 것인, 상기 수신 장치에서 전송된 타겟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여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빔 관리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자원;
동기화 신호 블록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는,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임계값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인자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기설정된 이웃 영역 서브세트 인덱스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다양한 차원에서 상기 빔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보고 지시 정보가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빔 측정 정보의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는,
빔 측정 정보의 절대 개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빔 측정 정보의 비례 계수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측정 정보에는,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의 수신 신호;
기준 신호 수신 전력;
기준 신호 수신 품질;
신호 대 잡음비;
신호 대 간섭 대 잡음비;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여 얻기 전에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타겟 빔에 구성된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의 인덱스 정보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타겟 빔은 상기 타겟 측정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테스트 빔인 것인, 빔 관리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측정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예측하여 얻는 단계는,
상기 타겟 측정 정보와 상기 타겟 빔에 구성된 상기 기준 신호 자원의 인덱스 정보에 따라 최적의 빔 결과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빔 관리 방법. -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것인, 사용자 장치. -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것인, 기지국.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고, 컴퓨터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컴퓨터 명령어를 판독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컴퓨터 장치가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빔 관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210460677.8 | 2022-04-28 | ||
CN202210460677.8A CN117041997A (zh) | 2022-04-28 | 2022-04-28 | 波束管理方法、用户装置、基站、存储介质及程序产品 |
PCT/CN2023/082226 WO2023207412A1 (zh) | 2022-04-28 | 2023-03-17 | 波束管理方法、用户装置、基站、存储介质及程序产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54060A true KR20240154060A (ko) | 2024-10-24 |
Family
ID=8851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32196A KR20240154060A (ko) | 2022-04-28 | 2023-03-17 | 빔 관리 방법, 사용자 장치, 기지국,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54060A (ko) |
CN (1) | CN117041997A (ko) |
WO (1) | WO2023207412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43430B (zh) * | 2016-12-23 | 2020-09-11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波束管理信息的配置、处理方法、终端及基站 |
CN109041251A (zh) * | 2017-06-08 | 2018-12-1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随机接入方法、装置、基站、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0446232B (zh) * | 2018-05-04 | 2021-10-29 |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 测量上报配置方法、测量上报方法、小区切换方法及设备 |
CN111972024B (zh) * | 2018-08-10 | 2022-02-08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信道状态信息上报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
-
2022
- 2022-04-28 CN CN202210460677.8A patent/CN117041997A/zh active Pending
-
2023
- 2023-03-17 KR KR1020247032196A patent/KR2024015406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3-03-17 WO PCT/CN2023/082226 patent/WO2023207412A1/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7041997A (zh) | 2023-11-10 |
WO2023207412A1 (zh) | 2023-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57129B2 (en) | SCell selection and optimization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 |
US10382972B2 (en) | Coverage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base station control program stored thereon | |
US11399376B2 (en) | Method and system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for estimating quality based on learning model | |
US10887072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carrier aggregation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120238305A1 (en) | Method for obtaining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parameter,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 |
CN111328084B (zh) | 一种小区容量的评估方法及装置 | |
US20120122512A1 (en) | Cellular network, base station and method for self-optimizing transmit power to user equipments | |
CN108496396A (zh) | 无线设备、网络节点及由无线设备和网络节点执行的用于彼此通信的方法 | |
EP294529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mmunication modes | |
US11956727B2 (en) | Coordinating control of average EIRP of multiple radio transmitters | |
CN109792277A (zh) | 波束选择方法及装置 | |
Li et al. | Improved spectrum sharing algorithm based on feedback control information in cognitive radio networks | |
KR20240154060A (ko) | 빔 관리 방법, 사용자 장치, 기지국,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 |
US20130079015A1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radio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
CN108271184A (zh) | VoLTE业务处理方法及装置 | |
US11778500B2 (en) | Signal repor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 |
US10306634B2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ignal | |
KR20240116893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EP4150861B1 (en) | Determining cell upgrade | |
CN110650522B (zh) | 闭环功率控制方法、网络侧设备和终端 | |
CN109547278A (zh) | 一种提升超级小区网络吞吐量的方法及装置 | |
WO2019028704A1 (zh) | 下行信号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 |
US20230114492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cheduling information based on lear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240297683A1 (en) | 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 selecting cell for perform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CN108260216A (zh) | 高频通信的调度方法、设备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